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에테르의 일본&미국 리서치 avatar

에테르의 일본&미국 리서치

일본, 미국을 중심으로 관심있는 정보를 저장하는 곳입니다. 한국에서 잘 보지 못하는 일본의 경제상황, 다양한 회사들을 찾아 볼 수 있는 채널이에요.
본 채널은 단순히 저의 의견을 적고, 이를 기록하는 용도입니다.
제가 언급하는 종목들은 매수-매도 등 투자권유를 의미하는게 아닙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어떤 경우에도 법적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Рейтинг TGlist
0
0
ТипПубличный
Верификация
Не верифицированный
Доверенность
Не провернный
Расположение
ЯзыкДругой
Дата создания каналаТрав 05, 2023
Добавлено на TGlist
Лип 05, 2024
Прикрепленная группа

Последние публикации в группе "에테르의 일본&미국 리서치"

현재 딥시크 R2에 대한 루머

- 1.2조 파라미터, 780억 활성 파라미터
- 하이브리드 MoE
- GPT-4o 대비 97.3% 저렴 (입력 $0.07/M, 출력 $0.27/M)
- 5.2PB 학습 데이터, C-Eval2.0에서 89.7%
- 비전(시각) 성능 우수, COCO에서 92.4%
- 화웨이 Ascend 910B에서 82% 활용률
골드만삭스 2025년 2분기 투자 전망:
"투자 환경은 세 가지 구조적 변화에 의해 재편되고 있습니다. 첫째, 미국 정부가 주도하는 글로벌 무역 시스템의 경제적 재구성. 둘째, 국가 안보 동맹과 우선순위 변화에 따른 새로운 지정학적 질서와 독일의 재정 정책 변화. 셋째, AI 도입과 파괴적 혁신이 확산되는 기술 혁명입니다."

1. 미국 경제 성장세는 둔화될 것으로 보이지만, 현재의 견조한 경기 상황을 감안할 때 심각한 경기 침체는 예상하지 않습니다. 다만, 리스크는 하방(경기 악화) 쪽에 더 치우쳐 있다고 판단합니다.

2.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 위험이 남아 있는 만큼, 연준이 노동시장에서 심각한 균열이 나타나기 전까지는 선제적으로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낮다고 봅니다.

3. 경제 불확실성과 위험이 커진 만큼,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방어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지만, "위험 인지, 수익 준비(Risk Aware, Return Ready)" 전략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4. 단기적으로는 달러 약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지만, 달러의 구조적 붕괴를 논하기에는 시기상조라고 생각합니다.
디지타임스) 중국 반도체 장비업계 ‘메가 합병’ 추진 요약

중국 정부가 반도체 장비 산업을 재편하기 위해 200여 개의 국내 기업을 10개 핵심 기업으로 통합하는 대규모 합병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 제재 강화 속에서 국가 경쟁력과 자립도를 높이기 위한 조치입니다.

베이징은 "선택과 집중" 전략 하에 기술력과 대규모 생산 역량이 있는 소수 기업에 자원을 몰아주는 방식으로, 기존의 보조금 분산 지원 모델에서 벗어나고 있습니다.

나우라 테크놀로지(Naura Technology)가 통합의 선두에 서 있으며, 2025년 3월 코팅 장비업체 저장 징셩의 지분을 인수하는 등 적극적으로 제품 포트폴리오 확장에 나서고 있습니다.

중국은 2014~2024년 반도체 국산화에 1.3조 위안(약 1822억 달러)을 투자했지만, 자급률은 23%에 그쳐 첨단 제조 역량 부족이 여전합니다.

미국의 높은 대중 장비 관세(최대 145%)와 수출 규제에 대응해, 중국 업체들은 일부 생산 공정을 싱가포르·말레이시아 등으로 이전해 원산지 변경 전략을 쓰고 있습니다.

중국의 글로벌 확대는 한국에 위협이자 기회로, 미·중 분리로 인해 한국 소재·부품·장비 수출 확대 가능성이 열리고 있습니다.

SEMI에 따르면 2024년 글로벌 300mm 웨이퍼 팹 장비 투자는 993억 달러(전년 대비 4%↑), 2025년엔 1232억 달러로 급증(24%↑)해 처음으로 1천억 달러를 넘을 전망입니다.

https://www.digitimes.com/news/a20250423PD215/equipment-2024.html?chid=10
삼성전자가 구글 인공지능(AI) 서버용 반도체에 HBM3E 공급을 추진했으나 무산됐다는 대만언론 보도가 나왔다.

대만 디지타임스는 15일 “삼성전자는 최근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에서 경쟁력 향상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그러나 여전히 문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보도했다.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92791
블룸버그) 환율 원칙 재확인, 미국 측 "수준‧목표 언급 없다" – 미일 재무장관 회담

카토 일본 재무상과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워싱턴에서 만나 환율은 시장에서 결정되며, 과도한 변동이 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원칙을 재확인하였습니다. 미국 측에서는 환율 목표나 관리 방안 등 구체적인 언급이 없었습니다.
카토 재무상은 미국의 관세 조치가 매우 유감스럽다며 미일 무역협정과의 정합성 문제를 제기하였고, 강력히 재검토를 요청하였습니다.
이 회담 이후 엔화 강세 현상이 다소 진정되었습니다.
또한 우에다 일본은행 총재는 경제 및 물가 전망이 달성된다면 금리 인상을 통해 금융완화 수준을 조정할 방침을 재확인하였습니다.
[알파벳 FY2025 CapEx 가이던스 750억달러 수준 유지. 기존 컨센 상회]

-알파벳, FY2025 CapEx 가이던스 750억달러로 유지. 분기별로 CapEx 투입 변동성 있겠지만 연간 기준은 유지

-클라우드 수급은 여전히 타이트 함



<컨콜 CapEx 가이던스 관련 내용>

Second, in cloud, we're in a tight demand supply environment and given that revenues are correlated with the timing of deployment of new capacity, we could see variability in cloud revenue growth rates dependent on capacity deployment each quarter. We expect relatively higher capacity deployment towards the end of 2025.

Moving to investments, starting with our expectation for CapEx for the full year 2025, we still expect to invest
approximately $75 billion in CapEx this year. The expected CapEx investment level may fluctuate from quarter to quarter due to the impact of changes in the timing of deliveries and construction schedules.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Intel 1Q25 실적 요약

▶ 1Q25 실적 (Non-GAAP 기준)
※ 매출액: 127억달러 (-10.9% QoQ/ flat% YoY)
[vs. 컨센서스 123.1억달러]

※ GPM: 39.2% (-2.9%p QoQ/-5.9%p YoY)
[vs. 컨센서스 36.0%]

※ EPS: 0.13달러 (flat% QoQ/-27.8% YoY)
[vs. 컨센서스 0.01달러]


▶ 주요 사업 부문별 매출액
※ CCG: 76억달러 (-8% YoY)

※ DCAI: 41억달러 (+8% YoY)

※ NEX: CCG 및 DCAI 사업부로 통합하는 조직 변경 단행

※ IFS: 47억달러 (+7% YoY)
[vs. 컨센서스 43.0억달러]


▶ 2Q25 가이던스(중간값 기준)
※ 매출액: 118억달러 (vs. 컨센서스 128.8억달러)
※ GPM: 36.5% (vs. 컨센서스 36.8%)
※ EPS: 0.00달러 (vs. 컨센서스 0.07달러)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구글 1Q 실적발표

•Revenue: $90.23 billion vs. $89.12 billion, estimated
•Earnings per share: $2.81 vs. $2.01, estimated
•YouTube advertising revenue: $8.93 billion versus $8.97 billion, according to StreetAccount
•Google Cloud revenue: $12.26 billion versus $12.27 billion, according to StreetAccount
•Traffic acquisition costs (TAC): $13.75 billion versus $13.66 billion, according to StreetAccount

https://www.cnbc.com/2025/04/24/alphabet-googl-q1-earnings-report-2025.html
밍치궈) 애플 아이폰17프로 12GB 램 탑재로 마이크론, 하이닉스 수혜 예상

최신 업계 조사에 따르면:

1. 애플의 2025년 하반기 출시 예정인 새로운 아이폰 17 시리즈(프로 맥스, 프로, 울트라 씬 포함)는 모두 12GB DRAM을 탑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이전에는 프로 맥스만 업그레이드될 것으로 추정했음).

2. 애플은 아이폰 17 베이스 모델에도 12GB를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공급 부족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애플은 현재 평가를 마무리 중이며, 5월 중 최종 결정을 내릴 예정입니다.

3. 만약 2025년 하반기 아이폰 17 베이스 모델이 올해에도 8GB를 유지하더라도, 2026년 하반기 출시되는 모든 아이폰 신제품에는 12GB가 탑재될 전망입니다.

4. 12GB의 평균 판매가격(ASP)은 8GB 대비 약 50% 높아, 주요 공급업체인 마이크론과 SK하이닉스의 실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5. 애플이 더 공격적인 DRAM 업그레이드 전략을 취하는 것은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6. 전체적으로, 마이크론이 AI용 HBM 출하량 규모가 더 작기 때문에 SK하이닉스보다 성장 잠재력이 더 클 수 있습니다.

https://mingchikuo.craft.me/luXVWtplQ9Bokb
제발 내 오시는 졸업하지말아다오...
24년부터 나름 옛날부터 활동하던 핵심 멤버들이 졸업하는 바람에 요즘 투심이 좀 별로이긴해요.
골드만삭스) 커버(홀로라이브) 주식회사(5253.T): 음악 콘텐츠 기여도를 반영해 실적 추정치 상향, 그러나 촉매 부족으로 ‘중립’ 의견 유지

2024년 4월 24일, 우리는 “ANYCOLOR (5032.T): Japan Transformers: 버츄얼 유튜버 팬덤 성장 재가속 국면 진입; GSe/TP 상향, ‘매수’ 의견 재확인”이라는 보고서를 발행하며 VTuber 업계에서 음악 콘텐츠 사업의 성장 잠재력에 대한 견해를 정리하였습니다. 이번에는 커버 주식회사(Cover Corp.)의 음악 콘텐츠 관련 매출을 새롭게 반영해, 2026년 3월~2028년 3월 결산 영업이익 전망치를 각각 1% 미만, 2%, 4% 상향 조정했습니다. 또한 밸류에이션 기준 연도를 2026년 3월~2027년 3월의 평균에서 2027년 3월~2028년 3월의 평균으로 롤포워드하였고, 새로운 기준 기간에서 이익 성장률 둔화를 반영해 목표 PER을 22배에서 19배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그 결과 12개월 목표주가는 기존과 같은 2,750엔으로 유지합니다. 현 주가 대비 약간의 상승 여력은 있으나, 2026년 3월 가이던스 리스크 및 최근 VTuber ‘졸업’(즉, 활동 종료)에서 비롯된 잠재적 실적 영향 등 뚜렷한 촉매가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중립(Neutral)’ 의견을 유지합니다. 앞으로는 해외 사업 내 트레이딩 카드 매출, 모바일 앱 게임 분야의 진척 상황에 주목할 예정입니다.

목표주가 산정 방법 및 리스크 – 커버 주식회사
당사는 ‘중립(Neutral)’ 의견을 부여합니다. 12개월 목표주가는 2,750엔입니다. 일본 인터넷/게임 섹터, 한국 엔터테인먼트 에이전시 대비 업종 평균 이상의 이익 성장률을 반영해 목표 PER 19배(업종 중앙값 이상)를 적용하였으며, 2026년~2027년의 EPS 평균치를 8.4% 자기자본비용으로 12개월 할인해 산출했습니다. 주요 리스크로는 평판 리스크(-), 신규 VTuber 팬덤 증가의 강약(+/-), VTuber 계약 변경(-), 메타버스 사업(+/-) 등이 있습니다.

투자 전략 – 커버 주식회사
당사는 커버 주식회사에 대해 ‘중립’ 의견을 유지합니다. 커버는 일본의 주요 VTuber 기획사로, 국내외에서 확고한 팬층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굿즈 및 라이선스/콜라보레이션 사업의 견조한 매출 성장에 힘입어 향후 3년(2025~2027년 3월 결산) 동안 영업이익이 의미 있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또한 굿즈 사업 내 저가 상품 중심의 SKU 확대, 고가 타이업 중심의 라이선스/콜라보 프로젝트 증가에 힘입어 매출 고성장이 계속될 것으로 판단합니다. 특히 커버는 최상위 VTuber 모두 구독자 100만 명 이상을 보유하고 있어, 이들의 높은 인지도를 바탕으로 고가 프로젝트 수주가 가능하다고 봅니다. 다만 이 회사의 강력한 이익 성장 전망은 이미 주가에 반영되어 있다고 판단하며, 상위 VTuber의 실적 기여도가 높아질수록 이들의 ‘은퇴’(졸업) 리스크가 증가할 수 있다고 봅니다.
요즘 워낙 뉴스가 변하다 보니 이게 찌라시인지 아닌지 모르겠네요
**현재까지 중국언론에서 추가 내용 보도가 없습니다. 당초 기사 원문에서도 시장에 도는 내용이라는 점과 단서가 많은것을 보아 신빙성이 떨어지는 보도 같습니다.

Рекорды

27.04.202523:59
14.4KПодписчиков
02.02.202506:00
200Индекс цитирования
23.02.202513:58
7.1KОхват одного поста
07.02.202518:55
12.5KОхват рекламного поста
11.09.202423:59
7.69%ER
23.02.202513:58
54.11%ERR

Популярные публикации 에테르의 일본&미국 리서치

06.04.202513:45
한 정보장교가 작성한 팔란티어 온톨로지 핵심 요약

팔란티어의 핵심인 온톨로지는 현실 세계의 객체, 사건 및 그들 간의 관계를 디지털 가상 세계에 구조적으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단순히 "A와 B가 관계있다"는 객관적 사실을 명시하며, 처음에는 인과관계를 직접 나타내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너구리가 광망을 건드렸다"와 "부대가 출동했다"는 개별 사건만으로는 컴퓨터가 그 연관성을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온톨로지는 여기에 "광망을 건드리면 부대가 출동한다"는 관계를 정의해줍니다.
하지만 팔란티어는 다양한 데이터(다른 동물 영상, 센서 그래프, 출동 시간 등)를 온톨로지에 통합함으로써 더 깊은 추론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를 통해 "광망의 특정 기준 이상의 절곡이 출동의 실제 원인"이며, 필요한 절곡 정도나 출동 소요 시간까지 머신러닝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 즉, 다양한 데이터를 온톨로지로 엮어 복잡한 현실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추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러한 온톨로지 모델은 6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
1. 데이터 요소 (가):
클래스: 객체의 종류나 범주 (예: 부대, 사람, 장소, 사건)
인스턴스: 클래스의 실제 개체 (예: 1분대)
속성: 인스턴스의 구체적인 값 (예: 1분대의 인원 수 = 10명)

2. 구조/논리 요소 (나):
관계: 온톨로지의 핵심. 객체 간의 연결을 정의 (예: 드론 → located_at → Base_X). 도메인(출발점)-관계명-레인지(도착점)로 구성되며, 사용자 정의 및 확장이 가능.
계층 구조: 클래스 간의 상하위 개념 정의 (예: 소대는 부대의 하위 개념, Squad ⊆ Unit). "A는 B의 일종이다"와 같은 개념적 분류.
제약 조건: 데이터 검증 및 논리적 추론에 사용되는 불변의 규칙 (예: 보병 이동 속도는 시속 4km). 인스턴스의 가변적 상태와 달리 모델의 안정성과 추론의 기반을 제공.

과거에는 도메인 전문가가 온톨로지를 구축하는 데 수개월이 걸렸지만, LLM의 발전으로 구축 시간이 크게 단축되었습니다. 결국 온톨로지는 데이터를 의미 있는 정보로 변환하고, 이를 바탕으로 컴퓨터가 복잡한 상황을 이해하고 예측하며 의사결정을 지원하도록 하는 강력한 프레임워크입니다.

https://gall.dcinside.com/war/4284978

뉴스 찾아보다가 괜찮은 글을 하나 발견해서 요약해서 업로드합니당. 해당 글의 2편이 안나온게 단점이네요.
└ 내부분열 시작 ㅋㅋㅋㅋㅋ 🤣

"캘리포니아 주가 무지막지한 트럼프의 관세정책에 대해 백악관을 상대로 첫 고소" 사례 발생

결국 트럼프가 꼬리를 내릴 수 밖에 없는 또다른 요인 추가
(위) 미국 백악관의 대중국 품목별 관세율

오늘 중국 내에서 245% 관세율이 크게 회자되었습니다.

미국 현지시간 4/15일에 발표된 백악관 성명에서 주사기와 바늘 관세율이 245%로 표기되었기 때문입니다.

익숙히 알고 있던 145%보다 100% 더 높은 숫자죠. 중국이 대응 안한다고 했으니 중국발 추가 이벤트는 없겠지만, 외부압박에 중국인들의 국가주의가 더 강해진 것 같습니다.

자료 출처: 뉴욕타임스
https://www.nytimes.com/interactive/2025/04/12/business/economy/china-tariff-product-costs.html
post.reposted:
루팡 avatar
루팡
01.04.202514:28
엔비디아 관련 Raymond James 기술 영업팀 발언:

Nvidia 및 AI 관련 수요는 여전히 강력하며, 수요 둔화 조짐은 전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2025년까지의 가시성도 양호하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GB300의 경우, 7월쯤 본격적인 생산(Ramp)이 시작될 수 있으며, 이는 3분기/4분기 실적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Oppenheimer 의견:

아시아에서의 최근 채널 체크 결과, AI 분야의 강력한 성장이 관측되었으며, 이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하이퍼스케일러의 지출 확대에 의해 주도되고 있습니다.
공급망 병목 현상은 점차 완화되고 있으며, TSMC의 AI 가속기 연평균 성장률(CAGR)은 40% 이상으로 예상됩니다.
공급망 전반은 GB300(Ultra)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AMD의 MI350 역시 비슷한 시점에 출시될 예정입니다.
CoWoS(고대역폭 패키징) 수요는 여전히 매우 높습니다.
빌 애크먼. 관세 시행 연기 가능성. 시황맨

약 3시간 전에 빌 애크먼이 SNS에 의미있는 글을 올렸네요.

월요일에 트럼프가 관세 시행을 연기하는 발표를 해도 놀라지 않을 것이라고.

수십 년간 미국에 해를 끼지고 산업을 파괴하는 불공정한 관세를 해결하는 중요한 일을 트럼프가 하는 중

다만 며칠 만에 해결할 수 없는 중요한 문제라 대비할 시간을 주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다고 언급.

그렇게 하지 않을 경우 경기 침체에 빠질 위험성이 커진다고 지적.

월요일은 미국 경제 역사에 가장 흥미로운 날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올렸네요.

지난 대선에서 트럼프를 지지한 인물인데.. 관세 시행 연기를 암시하는 내용을 올린 겁니다.

트럼프 측과 소통을 하고 난 발언인지, 본인 희망을 올려 '희망 고문'만 유발하는 것인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03.04.202511:50
JP모건) 대규모 관세 충격, 미국과 글로벌 경기침체 위협

1. 트럼프 대통령은 해방기념일에 미국 관세 대폭 인상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4월 5일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상품에 최소 10%의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며, 4월 9일부터는 주요 교역국들에 대해 보다 높은 관세율이 적용될 전망입니다. 이는 해당 국가들이 미국 상품에 부과하는 관세와 비관세 장벽을 기준으로 산출된 행정부의 추정치에 기반합니다. 아래 표에 제시된 국가별 추정치에 따르면, 중국 및 기타 아시아 국가들에 가장 높은 관세율이 적용될 예정이며, EU에 대한 20%의 관세 인상은 글로벌 경제 전망에 가장 큰 충격을 미칠 것입니다.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수입되는 미국 상품에 추가 관세가 부과되지 않은 점이 이러한 충격을 다소 완화시키긴 합니다.

2. 이 정책이 시행될 경우, 미국의 실질 관세율은 25%에 가까운 수준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약 3.3조 달러에 달하는 미국 상품 수입 규모를 기준으로 보면 약 6600억 달러, 즉 GDP의 2.2%에 달하는 세금 인상과 같은 효과를 나타냅니다. 이는 최근 몇십 년 동안 어떤 세금 인상보다도 큰 규모입니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영향 또한 상당하며, 올해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약 2%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기업들의 이윤 마진 압축이 제한적이라고 가정 시).

3. 저희는 아직 정확한 예측을 변경하지 않고 있으며, 앞으로 며칠 동안의 정책 이행 및 협상 과정을 지켜보고자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이 완전히 시행될 경우, 현재 예측에 포함되지 않은 상당한 거시 경제 충격을 초래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는 정책이 시장 심리에 미치는 영향과 상당한 관세율 증가에 직면한 국가들의 보복 조치로 인해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큽니다.

4. 따라서 이러한 정책이 지속될 경우, 올해 미국과 글로벌 경제가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합니다.

5. ECB와 유럽 경제 전망
4월 17일 ECB(유럽중앙은행) 회의에서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독일의 재정정책 변화로 인해 유로존 GDP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지만, 이번 미국 관세 인상은 성장에 대한 하방 리스크를 증가시켜 ECB의 4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였습니다. ECB는 관세가 예측(특히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결정하지 못한 상태이므로, 6월 회의에서 새로운 경제 전망을 기반으로 결정을 내릴 가능성도 남아 있습니다. 1%의 유로존 GDP 하락은 이미 무역 정책 불확실성으로 2026년 말까지 예측에 반영되어 있으며, 미국 관세가 10% 이상 인상될 경우 추가적인 하방 리스크가 발생할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는 중기적으로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하락세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6. 영국과 BoE 정책 방향
영국에 대한 관세는 향후 일부 완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지속적인 미국 관세 인상은 영국의 성장 감소와 재정 전망에 상당한 부담을 가할 것입니다. BoE(영란은행)는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혼합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보복 조치가 없고 환율 약세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약한 성장과 잉여 상품이 영국 시장으로 유입될 가능성은 디스인플레이션 압력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미 BoE가 5월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관세 인상과 기업의 세금에 대한 반응이 BoE의 금리 인하 폭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7. 미국 경제 및 고용
4월 5일 발표될 미국 취업 데이터에 앞서, ADP는 3월 미국 민간 고용이 15.5만 명 증가했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우리의 13.5만 명 전망치를 약간 상회하는 수준으로, ADP와 BLS 간 평균 오차 범위 안에 있습니다. 지난달 ADP 고용 증가는 8.4만 명으로 7월 이후 가장 작았으나, 이번 지표는 12개월 평균 성장 속도와 일치하는 수준으로 반등을 보였습니다. 즉, ADP 보고서에는 지난달 고용 성장세가 크게 둔화되었다는 신호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8. 아시아 및 기타 신흥 시장
한국의 3월 헤드라인 및 근원 인플레이션은 각각 2.1%와 1.9%로 상승했습니다. 근원 물가가 3개월간 제자리걸음을 보인 후 0.3% 상승했으며, 서비스 물가는 대학 등록금 인상의 영향으로 증가했습니다. 우리는 약세 통화로 인한 상승 효과가 3분기까지 인플레이션을 2% 수준으로 유지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 후에는 완화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그러나 성장 둔화 리스크는 보다 신속한 BoK(한국은행)의 금리 인하를 자극할 수 있습니다. 다음 금리 인하는 5월로 예상되며, 총 75bp 인하를 전망합니다.
04.04.202513:02
관세 여파에 대한 WEDBUSH의 DAN IVES: 변화가 없다면 기술에 대한 "경제적 종말"

'25년 동안 시장과 기술 주식을 다루면서, 우리는 닷컴 버블, 금융 위기, 코로나 붕괴 등 많은 혼란스러운 순간을 보았지만, 지난 36시간 동안 트럼프 관세 계획과 같은 자초한 참사는 본 적이 없습니다. 상호 관세라는 아이디어는 이론적으로는 합리적이며 기업 리더들이 오랫동안 논의해 왔습니다. 하지만 제시된 내용은 우아한 공식이 아닙니다. 명확성이 부족하고 역사적인 경제적 혼란을 초래할 위험이 있는 무역 데이터의 복잡한 굿 윌 헌팅 칠판입니다.

이는 단순한 가정적 위험이 아닙니다. 칩, 하드웨어, 팹, 구성 요소 및 원자재와 같은 기술 부문은 주로 아시아에 기반을 둔 글로벌 공급망을 기반으로 구축됩니다. 중국에 50%, 대만에 32%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미국 기술에 대한 차단 밸브 역할을 합니다. 국내에서 생산된 iPhone은 1,000달러가 아닌 3,500달러가 될 것입니다. 가전제품은 비용이 40~50% 상승하고 AI 혁명은 정체될 것입니다.

미국의 제조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는 4~5년이 걸릴 것입니다. 노동 비용이 너무 높아 국내 팹을 확장할 수 없고, 노동력은 갑작스러운 전환에 대비되지 않았습니다. 제안된 대로 시행된다면 기술 부문의 수익이 최소 15% 감소하고, 공급망은 코로나 시대의 혼란을 연상시키는 루빅 큐브가 될 것이며, 더 광범위한 경제가 불황이나 스태그플레이션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추상적인 정책 논쟁이 아닙니다. 이것은 미국 기술 리더십에 대한 근본적인 위험입니다. 우리는 협상이 곧 시작될 것으로 가정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기술과 미국 소비자에게 어두운 날이 다가올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논쟁의 여지가 없습니다.'
파이낸셜 타임즈) 헤지펀드, 2020년 코로나 위기 이후 가장 큰 마진콜 직면
글로벌 시장 매도세로 보유 자산 가치 하락하며 은행들이 추가 자금 요구

세줄요약
1. 뉴욕 증시 폭락과 도널드 트럼프의 관세 발표로 인해 헤지펀드들이 2020년 코로나 팬데믹 이후 최대 규모의 마진콜에 직면했고, 투자은행들은 추가 증거금을 요구했습니다.

2. 헤지펀드들은 대규모 주식 매도에 나섰으며, 특히 기술주, 인공지능 관련 종목, 고급 소비재 등에서 손실이 집중되어 순 레버리지가 18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하락했습니다.

3.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는 금 가격마저 2.9% 급락했으며, 이는 헤지펀드들이 마진콜 충족을 위해 금을 매도한 결과로 분석됩니다


이하 기사 본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로 글로벌 금융시장이 급락하면서, 헤지펀드들은 2020년 코로나 팬데믹으로 세계 경제가 멈췄을 때 이후 가장 큰 마진콜을 받았습니다.
월스트리트 은행들은 보유 자산 가치가 급락한 헤지펀드 고객들에게 대출 담보로 추가 자금을 요구했다고 이 사안에 정통한 세 명의 관계자가 전했습니다. 몇몇 대형 은행들은 팬데믹 초기인 2020년 이후 가장 큰 규모의 마진콜을 발행했습니다.

이번 마진콜은 목요일과 금요일에 걸쳐 글로벌 시장이 겪은 격렬한 변동성을 보여줍니다. 트럼프의 관세 발표에 이어 중국의 보복 관세가 이어졌고, 다른 국가들도 대응 조치를 준비하면서 시장이 요동쳤습니다. 월스트리트의 S&P 500 주가지수는 2020년 이후 최악의 주간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석유와 위험도가 높은 기업 채권도 대규모 매도세를 보였습니다.

한 프라임 브로커리지 임원은 "금리, 주식, 석유 모두 크게 하락했다... 전반적으로 모든 분야에서 변동성이 컸다"며, 이는 코로나 팬데믹 초기 몇 달 동안의 급격하고 광범위한 시장 움직임을 떠올리게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대형 미국 은행의 프라임 브로커리지 임원은 "우리는 고객들의 전체 포트폴리오에서 리스크를 이해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연락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두 명의 관계자에 따르면 월스트리트 프라임 브로커리지 팀들은 금요일 아침 일찍 출근해 대량의 마진콜을 준비하기 위한 전 직원 회의를 열었다고 합니다.
목요일은 미국 기반 롱/숏 주식 펀드가 2016년 데이터 추적을 시작한 이래 최악의 하루를 기록했으며, 평균 펀드는 2.6% 하락했다고 모건 스탠리 프라임 브로커리지 부서의 새로운 주간 보고서가 전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목요일 주식 매도 규모는 기록상 가장 큰 수준과 비슷했으며, 이는 2023년 미국 지역 은행 위기와 2020년 코로나 매도세와 유사한 수준입니다. 매도는 메가캡 기술주, 인공지능 관련 소프트웨어 및 반도체, 고급 소비재, 투자은행 등 특정 섹터에 집중되었습니다.
이 같은 매도로 인해 미국 롱/숏 주식 펀드 순 레버리지(베팅 확대를 위해 사용하는 차입 비율)는 약 42%로 18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모건 스탠리 보고서는 밝혔습니다.

현재까지 피해는 트럼프가 위협했던 무역 전쟁에 대응해 많은 헤지펀드들이 최근 몇 주 동안 주식 포지션을 축소하고 은행들과의 레버리지를 줄이지 않았다면 더 컸을 것입니다.
헤지펀드 부문이 겪고 있는 혼란을 보여주는 또 다른 신호로 금요일 금값이 2.9% 하락했는데, 이는 글로벌 투자자들 사이에서 깊은 침체감에도 불구하고 발생한 일입니다. 스탠다드 차터드의 귀금속 분석가 수키 쿠퍼는 금이 "마진콜 충족"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08.04.202514:01
일본 상장 ETF 검색법
아래 사이트에서 ETF 테마별로 찾아서 검색하시면됩니다.

https://www.jpx.co.jp/equities/products/etfs/issues/01.html
16.04.202522:35
■ Jerome Powell 연준 의장(비둘기파, 당연직)

1. 통화정책은 조정 전 상황이 명확해질 때까지 기다릴 수 있는 좋은 수준에 위치

2. 지금까지 분석된 것들을 기반으로 보면 예상보다 공격적(larger-than-expected)인 관세정책은 물가의 상승, 성장의 하락 요인

3. 여러 불확실성, 하방 압력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는 견조

4. 1분기 수입 증가는 성장 둔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작년과 같은 강력한 성장세는 보기 힘들 것

5. 고용은 완전고용 또는 그 상태에 근접. 물가는 2%를 소폭 상회(bit above the 2% goal)하나, 지금까지 굉장한 진전을 보였음

6. 3월 PCE, Core PCE는 각각 2.3%, 2.6% 전망

7. 고용은 강력하고 균형잡혀 있으면서도 물가를 자극하지 않고 있음

8. 양대책무 간 상충 가능성을 놓고 여러 시나리오를 마련해야 할 것(we may find ourselves in a scenario with mandates in tension)

9. 급격한 기업, 가계심리 위축은 무역분쟁과 이로 인한 불확실성 증가에 기인

10. 정부정책은 지금도 변화 및 발전 중. 이에 따라 매우 불확실한 상황도 지속

11. 장기 기대인플레이션은 적절하게 고정되어 있음(well-anchored)

12. 관세 관련 물가 압력은 끈질길 가능성. 중요한 것은 기대인플레이션 흐름(depending ultimately on inflation expectations)

13. 정부정책은 연준의 목표달성을 어려워지게 할 것(will likely move the Fed away from its goals)

14. 연말까지 양대책무의 균형을 잡기 어려울 것(will be moving away from goals for the balance)으로 예상

15. 경제가 둔화됨에 따라 실업률도 상승할 가능성이 높음

16. 관세정책은 연준의 가장 비관적인 예상치보다도 공격적

17. 연준은 당장의 물가안정 뿐만 아니라 기대인플레이션도 고정시켜야할 의무가 있음

18. 2025년 자동차 산업 공급망은 훼손될 것이고, 이는 인플레이션의 고착화로 이어질 전망

19. 관세정책의 궁극적인 효과는 지금도 불명확

20. 그간의 이민자 유입은 지금까지의 강력한 성장에 일부 기여

21. 노동력 공급이 제한되고 있으나, 수요 역시 둔화. 실업률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이 이어질 것

22. 임금상승률은 지속가능한 수준

23. 장기적으로 이민자 감소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전망

24. 공무원 인력감축이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지 알 수 없음. 그러나 과학 분야 연방 지원금액 삭감은 고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

25. 아직까지는 양대책무가 상충되는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으나 실업률과 물가의 동반 상승 리스크는 존재

26. 통화정책 조정은 거시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함. 높은 불확실성 속에서의 정책 조정 관련 경험은 없음

27. 이 정도의 관세를 경험한 적도 없음(no modern experience dealing with tariffs of this size)

28. 리스크가 구조적으로 증가하면 미국의 투자 매력 감소는 불가피

29. 시장은 예상범위 안에서 원활하게 작동 중

30. 최근의 변동성은 역사적으로 많은 이벤트들(processing historically unique events)을 소화하면서 발생. 높은 불확실성 속에서 변동성 장세는 이어질 가능성이 높음

31. 준비금은 지금도 매우 풍부(still abundant)한 수준

32. 연준의 자산 규모는 양적긴축을 중단해야 할 규모에 근접하지도 않았음(not close to the point where the Fed would stop balance sheet runoff altogether)

33. 자산축소의 속도조절로 노이즈를 줄일 수 있을 것

34. 필요할 경우 연준은 글로벌 시장에 달러 유동성을 공급할 준비가 되어있음

35. 정부 부채 규모도, 증가 속도도 지속가능하지 않은 수준

36. 재정수지 적자를 줄이기 위해서는 초당적으로 연방정부 지출을 조정해야 함

37. 고용이 완전고용 상태에 있는만큼 지금이 재정지출을 줄일 수 있는 적기
[MS] 삼성전자 Samsung Electronics (005930.KS) Top Pick 선정

Memory – A Story of Buckets : Shawn Kim
(Morgan Stanley, 20250328)


한국 IT 섹터 – Memory: 버킷의 이야기

1. 투자 아이디어 요약
-메모리 업황은 3가지 버킷(① 상품성 메모리, ② HBM/AI, ③ 중국/DeepSeek 수요)에 의해 결정됨.
-HBM 마진 지속성과 2H25 반등에 대한 기대는 과도하게 낙관적일 수 있음.
-삼성전자는 현재 글로벌 사이클리컬 주식 중에서도 가장 저평가된 종목 중 하나로, 이번 보고서에서 Top Pick으로 신규 선정.


2. 메모리 시장 3대 변수 (시장 과소평가)
1) HBM 수요 둔화 및 경쟁 심화 우려
-한국 → 대만 HBM 수출 급감 (Exhibit 2)
-북미 Hyperscaler Capex 둔화
-2H25부터 HBM 경쟁 심화 전망
2) 중국 AI칩 규제 및 관세 우려에 따른 선행 수요 집중
-관세 및 제재 우려로 인한 전방 수요 당겨오기 발생
-이는 2H25 이후 수요의 역풍으로 작용 가능
3) 성장 둔화 조짐 확대
-소비심리지수, 여행·운송·소비 관련 코멘트 약화
-미국 소비자 신뢰지수 팬데믹 초 수준 회귀 (Exhibit 4)
-IT Capex 증가율 둔화 (2025: YoY -42bps)

3. 삼성전자 투자포인트 (Top Pick 선정 이유, 6가지)
1) HBM3e/4 수주 가능성 (옵셔널리티) : 2Q25 HBM3e 12-hi, 2H25 HBM4 수주 가능성
2) 공매도 금지 해제 수혜주 : 저평가 대형 가치주로 외국인 수급 유입
3) AI 반도체→Non-US 회귀 흐름의 수혜 : 미국 외 테크로 로테이션 가능성 부각

4) 엣지 AI 전략 강화 : 매출의 절반이 소비자 가전 기반
5) P/B < 1 수준의 극단적 저평가
6) 우량 재무구조로 경기 둔화 방어 가능

4. 실적 전망 및 주요 가정 변경 요약
HBM 매출 성장률 조정 (2025)
→ 수요 둔화 반영, 1Q25 저점 후 회복 전망
모바일 출하량 상향 조정 (S25 수요 반영)
→ FY25: 254mn → 259mn
DRAM Bit Growth 대폭 하향 (FY25: -10.5ppt)
→ 수요 Pull-in 효과 반영

5. Valuation 및 투자매력도
목표주가: 70,000원 (보통주 기준, 22% 업사이드)
RIM 기반 + P/B 크로스체크
2025E P/B 1.2x (과거 사이클 고점 수준)
현재 딥시크 R2에 대한 루머

- 1.2조 파라미터, 780억 활성 파라미터
- 하이브리드 MoE
- GPT-4o 대비 97.3% 저렴 (입력 $0.07/M, 출력 $0.27/M)
- 5.2PB 학습 데이터, C-Eval2.0에서 89.7%
- 비전(시각) 성능 우수, COCO에서 92.4%
- 화웨이 Ascend 910B에서 82% 활용률
JP모건) 테슬라 매도 유지, 컨센서스 하향, 목표가 $120 유지

1분기 납품량이 3년 내 최저 수준으로 하락하며 전례 없는 브랜드 피해 확인, 추정치 하향 및 비중 축소 등급 재확인

테슬라가 수요일에 발표한 1분기 납품량이 저희의 최저 추정치보다도 크게 낮아, 3월 12일 보고서 "테슬라: 소비자 브랜드 반응 강화로 추정치 하향; 이제 2025년 납품량 2년 연속 하락 및 EPS 3년 연속 하락으로 성장 서사 및 프리미엄 가치 평가 약화 예상"에서 우려했던 전례 없는 브랜드 피해를 확인함에 따라 테슬라 주식에 대한 추정치를 하향 조정하고 비중 축소 등급을 재확인합니다. 실제로, 테슬라의 1분기 판매 및 생산 보고서는 소비자 반응의 정도를 과소평가했을 수 있다고 생각하게 합니다. 1분기 실제 납품량 336,681대는 저희의 업계 최저 예상치 355,041대보다 18,360대 또는 5.2% 낮았습니다. 시장 전체 대비로는 상황이 더 악화되어, 블룸버그 컨센서스 390,343대보다 53,662대 또는 13.7% 낮았고, 회사 집계 애널리스트 평균 377,592대보다 40,911대 또는 10.8% 낮았습니다.

테슬라 주식은 수요일 세션을 5.3% 상승으로 마감했지만(S&P 500은 0.7% 상승), 초기에는 5% 이상 하락이 예상되어 투자자 기대치에 크게 미치지 못했음을 시사합니다. 이번 주 유럽 전역에서 만난 기관 투자자들과의 대화에 따르면, 수요일 테슬라 주식의 10% 이상 장중 랠리는 납품 보고서에 대한 반응이 아니라 오히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승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이는 판매 발표 직후 Politico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내각 구성원을 포함한 측근들에게 일론 머스크가 앞으로 몇 주 안에 현재 [정부] 역할에서 물러날 것이라고 말했다"는 보도에 대한 투자자들의 긍정적 반응 때문이었습니다. 물론, 그 정부 역할은 테슬라 브랜드를 둘러싼 논란에 기여했습니다. 이 보도는 후에 밴스 부통령에 의해 "완전한 가짜 뉴스"로 일축되어 진실성이 불확실합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테슬라 판매 추세가 저희와 시장이 예상했던 것보다 더 악화되고 있다는 점이며, 이에 따라 이미 컨센서스 아래였던 저희 추정치를 더 낮추고 컨센서스도 저희의 새로운 낮은 추정치 쪽으로 더 하락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저희는 이제 1분기 2025년 EPS를 0.36달러로 예상하며, 이는 이전 0.40달러와 가장 최근 블룸버그 컨센서스 0.46달러(2024년 4분기 실적 발표 시점인 1월 29일에는 0.70달러였으며, 2021년 8월 최고치 2.75달러에서 83% 하락)에 비해 낮습니다. 2025년 연간 EPS 추정치는 이제 2.30달러로, 이전 2.35달러에서 하향되었으며, 컨센서스인 2.70달러(4분기 실적 발표 시점에는 3.25달러였으며, 2022년 11월 최고치 8.41달러에서 약 83% 하락)보다 낮습니다.

저희의 수익 추정치는 부분적으로 납품량 전망 하향에 기초합니다(2분기 2025년 404K, 이전 418K에서 하향; 회계년도 2025년 1,715K, 이전 1,775K에서 하향; 회계년도 2026년 1,975K, 이전 2,025K에서 하향). 저희는 계속해서 2025년 12월 목표가 120달러에 대한 큰 하방 위험을 예상합니다.
16.04.202510:04
[핵심요약]
1. S&P 500 선물이 중국이 트럼프 대통령과의 대화에 열려 있다는 보도에 100포인트 급등함.
2. 해당 보도는 블룸버그(Bloomberg)에서 나왔음.
3. 블룸버그가 인용한 정보 출처는 "중국 정부의 생각을 잘 아 는 사람"'이었음.

중국쪽에는 아직 이런 뉴스가 없다고 합니다.
08.04.202503:09
4000~7000 범위는 우리집 고양이도 이야기할 수 있는데
Войдите, чтобы разблокировать больше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