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서화백의 그림놀이 🚀 avatar

서화백의 그림놀이 🚀

#Disclaimer
• 업로드 되는 모든 종목은 작성자 및 작성자와 연관된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또한 해당 종목 및 상품을 보유 또는 매도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보유하고 있는 경우, 추후 매도할 가능성이 있음을 알립니다.
• 모든 게시글은 외부 압력없이 스스로 작성했으며, 투자에 대한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을 알립니다.
Рейтинг TGlist
0
0
ТипПубличный
Верификация
Не верифицированный
Доверенность
Не провернный
Расположение
ЯзыкДругой
Дата создания каналаDec 04, 2023
Добавлено на TGlist
Sep 09, 2024

Статистика Телеграм-канала 서화백의 그림놀이 🚀

Подписчиков

7 158

24 часа
1
0%Неделя
95
1.3%Месяц
403
6%

Индекс цитирования

0

Упоминаний0Репостов на каналах0Упоминаний на каналах0

Среднее охват одного поста

1 694

12 часов1 665
22.1%
24 часа1 694
21.5%
48 часов1 394
106.8%

Вовлеченность (ER)

0.93%

Репостов24Комментариев0Реакций4

Вовлеченность по охвату (ERR)

19.47%

24 часа0%Неделя
3.18%
Месяц
4.2%

Охват одного рекламного поста

1 372

1 час1 936141.11%1 – 4 часа1148.31%4 - 24 часа1 687122.96%
Подключите нашего бота к каналу и узнайте пол аудитории этого канала.
Всего постов за 24 часа
18
Динамика
13

Последние публикации в группе "서화백의 그림놀이 🚀"

이것도 내용이 너무 좋다
다음은 Macquarie의 전략 보고서 「Rights, Wrongs & Returns: Investing in the Revolutionary Maelstrom (2025.4.20)」**의 한글 요약입니다:

**1. 보고서 핵심 인식: 세상은 이제 '제한된 혼란'이 아니라 '구조적 혁명기'에 접어들었다


- 기존 경제, 정치, 사회 질서가 붕괴되고 있으며 단기적인 교란이 아닌 근본적인 체제 전환**이 진행 중이다.
- 이 변화는 **정보화 시대 + 금융화(Fujiwara 효과)**라는 구조적 충돌에서 비롯되며, 이는 노동, 자본, 화폐의 본질적 역할 변화로 이어진다.

**2. 4가지 핵심 전략 아이디어


Fujiwara 효과: 정보 혁명과 과도한 금융화가 결합되어 사회적 양극화, 지정학적 단절, 산업 붕괴를 초래
주기 소멸 + 금융 팽창: 실물 대비 5배 이상 팽창한 '금융의 구름'이 시장 신호 왜곡 및 리스크 확대 유발
모든 산업이 하나로 수렴: 산업 간 경계 붕괴 → 승자 독식 심화
신자유주의 붕괴: 기존 정치·경제·사회 시스템에 대한 합의 소멸 → 새로운 합의 도출까지 장기 혼란 예상

3. 미국은 이제 '질서 수호자' 아닌 '체제 붕괴자'로 전환

- 트럼프 2.0 시대의 미국은 전통적 제도·규제 파괴, 고립주의 강화, 글로벌 공공재 공급 거부**를 통해 세계 질서 교란
- 보호무역 강화 → 전세계 공급망 붕괴 위험 증가
- 미국의 **불확실성 프리미엄 상승
→ 글로벌 자산 전반에 리프라이싱 압력 가중


4. 혼란기에서 투자 전략은?

- 안정성·예측 가능성은 환상: 더 이상 ‘안전 자산’은 존재하지 않음
- 주식 투자전략은 ‘종목 선별’ 중심으로: 구조적 성장, 생산성, 리쇼어링 수혜 업종에 집중
- 시장 시그널은 고수익 회사채(HY), 변동성 지표, 유동성 흐름 등에서 확인

5. 주요 리스크 및 시사점

- 정책·무역·지정학 불확실성: GFC, COVID 수준으로 상승
- 소프트 지표 급락: 소비자·기업 신뢰지수 하락, 자산 가격 상승 기대 후퇴
- 자본시장 균열: 그림자 금융, 고위험 채권, 레버리지 시장 중심으로 붕괴 신호 감지

6. 미국 중심 세계체제의 균열과 USD 지위

- USD 지배력은 여전히 강력하나 디지털 통화(CBDC) 및 지역화**가 서서히 위협
- 달러 비중 감소하더라도, **유로·엔화·위안화가 이를 대체하기엔 역부족

- 그러나 글로벌 공공재 공급 거부 지속 시 달러 패권 약화 가능

7. 결론

> "혼돈은 버그가 아니라 핵심 기능이다."
> 기존 체제 붕괴와 새로운 질서로의 이행은 필연적이며, 단기 교란에 흔들리지 말고 구조적 변화를 중심으로 투자 전략을 세워야 함.
post.reposted:
묻따방 avatar
묻따방
└ 블랙미러 레알 개꿀잼. 시즌이 진행될수록 일반적인 드라마는 루즈해지는데 블랙미러는 단편이어서 지루하지 않고 그 샘솟는 아이디어가 궁금증을 계속 결말을 궁금하게 만듬. 안보신분들은 시즌1부터 정주행 하세요.

시즌5인가 USS칼리스터라는 편이 있는데 그거 후속편이 시즌7의 마지막 편으로 이어짐. 개신박함. ㅋㅋㅋㅋ
넷플릭스에 있는 블랙미러 시즌7 1화 보통사람들
추천 또 추천입니다
인류애 뚝뜍 떨어지고 확장될 ai시대에 시사하는바가 많음

https://youtu.be/A-jNNZ3mj1U?si=mfV7cEzXojP3Tu4m
‘美 채권 최대 보유’ 일본, 30조원 매도…2005년 이래 최대 규모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894313?utm_source=telegram&utm_medium=social
느낌
마침 너 잘걸렸다
주워온 천조국 가카 짤
할아버지.. 또 이러신다..
Houston,,,

Рекорды

21.04.202523:59
7.2KПодписчиков
15.03.202523:59
50Индекс цитирования
27.02.202513:10
9.9KОхват одного поста
14.03.202523:59
7.9KОхват рекламного поста
29.11.202423:59
6.97%ER
09.03.202502:47
146.18%ERR

Развитие

Подписчиков
Индекс цитирования
Охват 1 поста
Охват рекламного поста
ER
ERR
OCT '24JAN '25APR '25

Популярные публикации 서화백의 그림놀이 🚀

⚡️⚡️⚡️⚡️⚡️⚡️ 방금 한국 대통령 권한대행과 좋은 통화를 했습니다.

우리는 그들의 엄청난 지속 불가능한 잉여, 관세, 조선, 미국 LNG 대량 구매, 알래스카 파이프라인 합작 투자, 그리고 한국에 제공하는 대규모 군사 보호에 대한 지불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그들은 제 첫 임기인 수십억 달러 동안 이러한 군사적 지불을 시작했지만, 슬리피 조 바이든은 알 수 없는 이유로 계약을 해지했습니다. 모두에게 충격적이었습니다! 어쨌든 양국 모두에게 큰 대가를 치를 수 있는 기회와 확신이 있습니다.

최고 팀은 미국으로 향하는 비행기에 탑승해 있으며, 상황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우리도 미국과 거래를 하고 싶어하는 다른 많은 국가들과 거래하고 있습니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무역과 관세가 적용되지 않는 다른 주제들도 논의하고 있으며, 협상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원 스톱 쇼핑"은 아름답고 효율적인 과정입니다!!! 중국도 거래를 하고 싶어 하지만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릅니다. 우리는 그들의 요청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렇게 될 것입니다! 미국에 신의 축복이 있기를 바랍니다.
08.04.202522:49
#방산
- 에어로, 로템, 목표주가 상향
22.04.202500:04
주워온 천조국 가카 짤
08.04.202523:40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에이피알(278470.KS/매수):
해외 매출 사상 최대

■ 1Q25 Preview: 해외 매출 사상 최대, 컨센서스 상회 전망

에이피알의 1분기 실적은 연결 매출 2,387억원(YoY+60%), 영업이익 455억원(YoY+64%, 영업이익률 19%)으로, 컨센서스(영업이익 390억원)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상회의 주요 요인은 동사가 주력하고 있는 미국 및 일본 시장과 B2B 부문의 호조에 기인한다. 미국과 일본 시장 모두 K-뷰티 진출이 확대되며 브랜드 간 성장 차별화가 나타나고 있는데, 동사는 소비자의 꾸준한 관심을 이끌어내며 각 시장에서 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고성장 달성 및 마케팅 효율화로 수익성 또한 개선될 전망이다. 디바이스는 부스터프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미니’의 국내외 침투가 확대되면서 기기 판매량은 50만대를 상회하고, 전년 동기 대비 8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 해외 +147%, 미국 +187%, 일본 +103%
에이피알의 해외 매출은 1.6천억원(YoY+147%)으로 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압도적인 성장 기대된다. 미국은 매출 710억원(YoY+187%)으로 분기 최대 실적 시현할 전망이다. 지난 블랙프라이데이의 트래픽 상승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으며, 평월 매출 규모 또한 상승세를 보이며 마케팅 효율이 개선된 것으로 파악된다. 아마존에서의 판매는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 틱톡샵의 매출은 이를 상회한 것으로 보인다. 화장품과 기기 매출은 각각 320%, 80% 성장이 전망된다. 일본은 매출 200억원(YoY+103%)으로 분기 최대 실적이 예상된다. 역직구 플랫폼이 전체 매출의 약 80%를 기여하고 있으며, 주요 쇼핑 시즌에 판매가 확대되면서 호실적이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B2B 부문은 매출 444억원(YoY+800%) 전망한다. 북미에서의 인지도 확대가 선순환 되고 있다. 유럽, 중동 등 다양한 국가로 수출이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기기의 경우 생산량 대비 요청 물량이 많은 것으로 파악된다.

■ 해외 확장 초입, 보여줄 전략이 더 많다
동사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주요 시장의 이커머스에 집중, 압도적 성장을 시현하고 있다. 이제 해외 확장의 초입 단계에 진입했으며, 동사의 마케팅 역량이 본격적으로 선순환 되기 시작했다. 주요 시장에서 메디큐브 화장품을 중심으로 빠르게 인지도를 높이는 한편, 디바이스 사용을 보다 친숙하게 만들어 국가별 침투율과 인당 구매액을 점진적으로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에이프릴스킨 역시 브랜드 리뉴얼을 단행했으며, 점진적으로 노출도를 확대하고 있다. 또한, 하반기에는 디바이스 신제품 출시도 예정돼 있어 추가적인 성장 모멘텀이 기대된다. 2025년 에이피알의 실적은 연결 매출 1조원(YoY+39%), 영업이익 1.9천억원(YoY+53%)으로 전망되며, 추정치 상향에 기인 목표주가를 9만원으로 상향 조정, 업종 Top pick을 유지한다. 최근 주가는 미국의 글로벌 상호 관세 부과 등에 따른 시장 내 변동성 확대 등 외부 요인으로 인해 일부 조정을 받았으나, 주가는 12M P/E는 14x 로 매력적인 수준이다. 압도적 성장이 나타나는 가운데 보여줄 전략과 성장 여력이 충분한 만큼, 재평가 가능성이 높다.

전문: https://vo.la/IYRBLp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텔레그램 채널

https://bit.ly/3iuQwik
27.03.202523:04
#크래프톤
- 인조이가 아쉽게된거지,,,
📌 요약: "투자는 잊고 혼돈을 포용하라"
Macquarie Global Strategy, 2025년 4월 9일

🔥 최근 상황: 시장이 급등한 이유는?
• 미국 주식시장이 **SPX +10%, 나스닥 +12%**로 폭등함.
• 배경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다수 국가에 대한 관세 유예(90일)**를 발표하면서 시장의 불확실성이 일시적으로 완화되었기 때문.
• 이는 이전까지의 긴장 상태—"Liberty Day"의 여진—에서 벗어난 결과.
그러나, 이런 반등은 근본적인 안정이 아니라 정치적 변동성의 일시적 해소에 불과.

🧠 핵심 논지: 왜 기존 투자 방식이 무너졌는가?
1. 전통적 투자 전략은 "예측 가능한 세계"를 전제로 했음
• 과거 수십 년간 투자자들은 경제 지표, 정책, 경기 사이클을 바탕으로 **"싸게 사고 비쌀 때 판다"**는 논리를 따름.
• 예: 금리가 오르면 성장주는 조정받고, 경기 회복기엔 경기민감주가 오른다 등.
→ 하지만 지금은 이런 전제 자체가 무너짐. 왜냐하면...
2. 리스크가 더 이상 경제 내부에 있지 않기 때문
• 지금의 리스크는 경제 논리 밖에서 움직임:
◦ 팬데믹(코로나19): 공급망 붕괴, 노동시장 변화
◦ 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시장과 지정학의 불확실성 확대
◦ 중국의 구조 전환: 글로벌 생산기지의 불확실성 증가
◦ 트럼프의 정책 회귀: 돌발적인 관세·통상·금융 규제 리스크
→ 즉, 리스크가 이제 '정치', '지정학', '감정'이라는 측정 불가능한 영역으로 이동.
→ 따라서 기존의 '팩트 기반 투자'는 무력화되고 있음.

🧱 제도의 붕괴: 왜 미국마저 신뢰할 수 없는가?
• 선진국 투자자들이 믿었던 마지막 보루는 "강력하고 독립적인 제도(공무원, 법원, 중앙은행)"였음.
• 미국은 한때 이 제도의 전형이었으나 지금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신뢰가 붕괴 중:
◦ 관료제 약화: 전문가보다 정치적 충성심을 우선
◦ 사법 독립성 훼손: 대법원 정치화
◦ 중앙은행 압박 증가: 금리 결정도 정치적 공격 대상
◦ 정책의 일관성 부재: 대통령이 바뀌면 경제 정책이 180도 뒤집힘
→ 제도가 신뢰받지 못하면 자산의 공정한 가치 산정도 불가능해짐.

🌪️ 그래서, 왜 "혼돈"이 핵심이 되는가?
• 제도, 정책, 규칙이 매번 바뀐다면 예측은 무의미.
• 투자자가 할 수 있는 것은 "분석"이 아니라 "적응"뿐.
• 혼돈은 일시적 변수가 아니라 구조적 변화로 자리잡음.

🧭 투자자에게 주는 조언: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1 기존 가치 분석법을 버려라
◦ 예: "이 종목은 평균보다 저평가됐어" 같은 논리, 지금은 통하지 않음.
2 즉각적이고 유연한 트레이딩
◦ 감정이나 철학이 아니라 빠른 의사결정과 대응력이 중요.
3 장기적으로는 본질에 투자하라
◦ 기술력, 생산성, 인재는 결국 남는다.
◦ 혼돈 속에서도 좋은 기업은 살아남는다.
#방산
17.04.202504:08
아래는 Macquarie의 2025년 4월 리포트 "New Atomic Age: Asia leads the nuclear renaissance"**의 핵심 내용을 한글로 정리한 요약입니다.

---

**핵심 요약


1. 핵에너지 부활 및 아시아 주도
- 전 세계 원자로 건설 수는 30년 만에 최고치(65기, 70GW 이상).
- 중국이 전 세계 신규 원자로의 약 45%**를 건설 중이며, **한국**은 효율적인 건설 및 SMR 수출 확대 전략 추진.
- **주요 수혜 기업
: Doosan Enerbility, Dongfang Electric, Mitsubishi Heavy, CNNP, CGN Mining, Boss Energy.

2. 핵발전의 투자 매력
- 2024년 원자력 관련 글로벌 투자액은 약 $64B, 10년 만에 최고.
- 발전소 재가동, 수명연장, SMR 개발 등도 활발.
- 핵발전은 탄소중립, 에너지 안보, 전력망 안정성**에 기여하는 핵심 요소로 주목.

**3. SMR(소형모듈원자로)과 차세대 기술

- 중국, 캐나다, 미국**을 중심으로 SMR 상용화 진행 중.
- SMR은 저비용, 짧은 건설기간, 안전성 등의 장점으로 산업체 및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
- 주요 개발사: **NuScale, GE-Hitachi, TerraPower, CNNC, KHNP, Mitsubishi
.

4. 핵 연료(우라늄) 공급 부족 및 수요 급증
- 신규 원전 건설, 재가동, SMR 수요 증가로 우라늄 수요 급등 예상.
- 공급의 1위는 카자흐스탄(37%), 주요 기업으로 Boss Energy, CGN Mining 언급됨.
- 우라늄 가격은 2024년 급등 후 안정세(장기 계약가는 $80/lb 수준 유지).

5. 주요국 전략 및 전망
- 중국: 2035년까지 150기 신규 원전 목표. 2030년까지 98GW 달성 전망.
- 한국: Shin Hanul 3·4호기 착공, APR1400 해외 수출 강화. SMR 개발 중.
- 일본: 후쿠시마 이후 14기 재가동, 신규 원전도 논의 재개.
- 인도: 700MW급 PHWR 10기 동시 건설, 2047년까지 100GW 목표.
- 미국: 신규 대형 원전은 제한적이나 SMR 및 수명 연장 중심.
- EU: 프랑스는 신규 6기 EPR2 계획, 동유럽도 신규 건설 가속화.

6. 리스크 요인
- 대형 사고 발생 시 여론 반전 우려 (Three Mile Island, 체르노빌, 후쿠시마 사례).
- 발전 수요 둔화, 서방의 고비용 구조 지속, 탄소중립 정책 약화 시 수요 위축 가능.

---

주요 투자 아이디어 요약 (Macquarie 추천주)

| 기업명 | 국가 | 역할 | 특징 |
|--------|------|------|------|
| Doosan Enerbility | 한국 | 장비 제조 | SMR 부품, APR1400 부품 공급 |
| Dongfang Electric | 중국 | 장비 제조 | 중국 내 40% 시장 점유율 |
| Mitsubishi Heavy | 일본 | 장비·설계 | 고부가가치 부품, 자동화 설비 보유 |
| CNNP | 중국 | 발전 운영 | 연평균 8.8% 용량 성장 전망 |
| Boss Energy | 호주 | 우라늄 생산 | Honeymoon ISR 프로젝트 |
| CGN Mining | 홍콩 | 우라늄 개발 | Zhalpak 광산 생산 증가 |

---

필요하시면, 특정 기업별 상세 분석, SMR 발전 시나리오, 우라늄 수급 전망, 또는 국가별 원전 정책만 따로 정리해드릴 수 있습니다.
27.03.202522:57
#skhynix
주총 10시 시작
20분 진행
회의 끝나고 1분만에 임직원 다 퇴장
질문 있으면 이메일이나 대표전화로

대단하다
제약바이오 밸류 체인
다음은 Macquarie의 전략 보고서 「Rights, Wrongs & Returns: Investing in the Revolutionary Maelstrom (2025.4.20)」**의 한글 요약입니다:

**1. 보고서 핵심 인식: 세상은 이제 '제한된 혼란'이 아니라 '구조적 혁명기'에 접어들었다


- 기존 경제, 정치, 사회 질서가 붕괴되고 있으며 단기적인 교란이 아닌 근본적인 체제 전환**이 진행 중이다.
- 이 변화는 **정보화 시대 + 금융화(Fujiwara 효과)**라는 구조적 충돌에서 비롯되며, 이는 노동, 자본, 화폐의 본질적 역할 변화로 이어진다.

**2. 4가지 핵심 전략 아이디어


Fujiwara 효과: 정보 혁명과 과도한 금융화가 결합되어 사회적 양극화, 지정학적 단절, 산업 붕괴를 초래
주기 소멸 + 금융 팽창: 실물 대비 5배 이상 팽창한 '금융의 구름'이 시장 신호 왜곡 및 리스크 확대 유발
모든 산업이 하나로 수렴: 산업 간 경계 붕괴 → 승자 독식 심화
신자유주의 붕괴: 기존 정치·경제·사회 시스템에 대한 합의 소멸 → 새로운 합의 도출까지 장기 혼란 예상

3. 미국은 이제 '질서 수호자' 아닌 '체제 붕괴자'로 전환

- 트럼프 2.0 시대의 미국은 전통적 제도·규제 파괴, 고립주의 강화, 글로벌 공공재 공급 거부**를 통해 세계 질서 교란
- 보호무역 강화 → 전세계 공급망 붕괴 위험 증가
- 미국의 **불확실성 프리미엄 상승
→ 글로벌 자산 전반에 리프라이싱 압력 가중


4. 혼란기에서 투자 전략은?

- 안정성·예측 가능성은 환상: 더 이상 ‘안전 자산’은 존재하지 않음
- 주식 투자전략은 ‘종목 선별’ 중심으로: 구조적 성장, 생산성, 리쇼어링 수혜 업종에 집중
- 시장 시그널은 고수익 회사채(HY), 변동성 지표, 유동성 흐름 등에서 확인

5. 주요 리스크 및 시사점

- 정책·무역·지정학 불확실성: GFC, COVID 수준으로 상승
- 소프트 지표 급락: 소비자·기업 신뢰지수 하락, 자산 가격 상승 기대 후퇴
- 자본시장 균열: 그림자 금융, 고위험 채권, 레버리지 시장 중심으로 붕괴 신호 감지

6. 미국 중심 세계체제의 균열과 USD 지위

- USD 지배력은 여전히 강력하나 디지털 통화(CBDC) 및 지역화**가 서서히 위협
- 달러 비중 감소하더라도, **유로·엔화·위안화가 이를 대체하기엔 역부족

- 그러나 글로벌 공공재 공급 거부 지속 시 달러 패권 약화 가능

7. 결론

> "혼돈은 버그가 아니라 핵심 기능이다."
> 기존 체제 붕괴와 새로운 질서로의 이행은 필연적이며, 단기 교란에 흔들리지 말고 구조적 변화를 중심으로 투자 전략을 세워야 함.
17.04.202504:06
#원자력
- 맥쿼리에서 원자력 발전에 관하여 이닛
- 국내사중에서는 두산에너빌리티가 포함
17.04.202523:52
#한화비전

① 핵심 투자 포인트

- 한화비전은 SK하이닉스로부터 TCB(thermal compression bonder) 공급 계약을 수주하며 고부가 반도체 장비 업체로 도약 중.
- HBM(고대역폭 메모리) 수요 증가와 적층 수 증가에 따라 TCB 장비 수요가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
- 한화세미텍은 그간 R&D 중심으로 적자를 이어왔으나, 2025년부터 TCB 매출 본격화로 흑자 전환 예상.
- 미국의 베트남산 제품에 대한 고관세(최대 46%) 우려는 있지만, 경쟁사들(Avigilon, Axis 등)도 동일 조건에 놓여 있어 가격 전가 가능성 높음.
- 중국산 CCTV의 미국 내 입지 축소에 따라 한화비전의 점유율 확대 기회 존재.

② 실적 전망 및 이익 변화

- 2025년 매출 1.88조원, 영업이익 1,867억원, 순이익 1,421억원 전망.
- 2026년에는 매출 2.31조원, 영업이익 3,712억원, 순이익 2,877억원으로 고성장 지속.
- 조정 EPS 기준, 2025년 2,822원 → 2026년 5,711원 → 2027년 7,765원까지 성장 예상.
- ROE도 2024년 6.5%에서 2026년 25.9%, 2027년 27.2%로 대폭 개선.

③ TCB 장비 관련 전망

- SK하이닉스와의 계약으로 HBM3E 12단용 TCB 14대 납품 예정 (2025년 2분기부터).
- 2026년에는 HBM4용 신규 수주 가능성 있음.
- TCB는 초기 수익성은 낮을 수 있으나, 추후 영업이익률 개선 예상.
- SK하이닉스와는 공동개발(JDP)이 아닌 공동평가(JEP) 방식으로 계약 → 타 고객사 확보 가능성 확보.
- 삼성전자도 과거 다이본더, 플립칩 본더 채택 사례로 미루어 TCB 도입 가능성 있음.

④ 미국 관세 이슈 대응

- 생산기지 다변화 전략 수행: 일부 CCTV 생산을 한국으로 이전.
- 미국 내 AI 기능 CCTV 수요 증가로 인해 가격 인상 수용 가능성 존재.
- 중국산 CCTV(하이크비전 등)의 미국 시장 점유율 하락(2023년 기준 5.2%)은 한화비전에게 기회.

⑤ 목표주가 상향 및 밸류에이션 근거

- 기존 목표주가 58,000원 → 86,000원으로 48% 상향 조정.
- 한화세미텍의 반도체 장비 사업 가치를 글로벌 후공정 장비 업체 평균 PER(16.5x) 기준으로 재평가.
- 한화비전 본업(감시카메라)은 성장률 둔화로 PER 13.8x 적용, 사업가치는 기존보다 축소.

⑥ 위험 요인

- 베트남산 제품에 대한 미국 관세 본격 시행 시 수익성 훼손 가능.
- 반도체 장비 시장 내 기술 경쟁 심화 및 점유율 확보 실패 시 리스크.
- 특허 소송 등의 법적 리스크.

==========

반면에 이쪽은 목표주가 48% 상향 !
14.04.202513:12
엔터 프리뷰
Войдите, чтобы разблокировать больше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