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Brain and Body Research avatar

Brain and Body Research

TGlist reytingi
0
0
TuriOmmaviy
Tekshirish
Tekshirilmagan
Ishonchnoma
Shubhali
Joylashuv
TilBoshqa
Kanal yaratilgan sanaMar 21, 2023
TGlist-ga qo'shildi
Sep 09, 2024

Telegram kanali Brain and Body Research statistikasi

Obunachilar

33 035

24 soat
24
0.1%Hafta
142
0.4%Oy
360
1.1%

Iqtiboslar indeksi

0

Eslatmalar1Kanallardagi repostlar0Kanallardagi eslatmalar1

Bitta postning o'rtacha qamrovi

1 144

12 soat1 1440%24 soat1 144
79.6%
48 soat5 609
32%

Ishtirok (ER)

1.66%

Repostlar11Izohlar0Reaksiyalar8

Qamrov bo'yicha ishtirok (ERR)

3.46%

24 soat
13.53%
Hafta
1.25%
Oy
1.73%

Bitta reklama postining qamrovi

1 144

1 soat76466.78%1 – 4 soat21518.79%4 - 24 soat3 557310.93%
Botimizni kanalingizga ulang va ushbu kanal auditoriyasining jinsini bilib oling.
24 soat ichidagi barcha postlar
10
Dinamika
8

"Brain and Body Research" guruhidagi so'nggi postlar

[속보]"금값, 또 올랐다"..3,500달러 '첫 돌파'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금 현물 가격은 이날 장중 온스당 3,500.1달러까지 올라 사상 처음으로 3,500달러선을 넘어섰습니다.

전날 최초로 3,400달러를 넘은 데 이어 연일 치솟고 있습니다.

금 현물 가격은 우리나라 시간으로 오후 3시 반 기준 전장 대비 1.85% 오른 3,487.4달러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올해 들어 33% 가까이 올랐습니다.

이날 6월물 금 선물 가격도 처음으로 3,500달러선을 넘었습니다.

금 선물 가격은 장중 온스당 3,509.9달러까지 올랐고, 우리나라 시간으로 오후 3시 20분 기준 전장 대비 2.31% 오른 3,504.4달러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을 상대로 연일 기준금리 인하를 압박하면서 안전자산 선호를 부채질하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미국의 관세정책과 그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 달러화 약세, 미 국채 등 달러 표시 자산 매도 움직임,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집, 금 상장지수펀드(ETF)로의 자금 유입 등도 금값 상승 요인으로 꼽힙니다.

골드만삭스는 내년 금값이 온스당 4,000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660/0000083850?cds=news_media_pc&type=breakingnews
Repost qilingan:
AWAKE 플러스 avatar
AWAKE 플러스
📌 HD현대일렉트릭(시가총액: 11조 7,874억)
📁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2025.04.22 13:36:18 (현재가 : 327,000원, 0%)

매출액 : 10,147억(예상치 : 9,705억+/ 5%)
영업익 : 2,182억(예상치 : 2,037억/ +7%)
순이익 : 1,541억(예상치 : 1,624억/ -5%)

**최근 실적 추이**
매출/영업익/순익/예상대비 OP
2025.1Q 10,147억/ 2,182억/ 1,541억/ +7%
2024.4Q 8,157억/ 1,663억/ 1,272억/ -25%
2024.3Q 7,887억/ 1,638억/ 1,166억/ -1%
2024.2Q 9,169억/ 2,101억/ 1,612억/ +69%
2024.1Q 8,010억/ 1,288억/ 934억/ +55%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280017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67260
K-뷰티가 사로잡은 시장, 러시아의 2025 뷰티 트렌드

한국이 사로잡은 러시아 뷰티 시장

한국은 러시아의 화장품 시장에서 점유율 35%를 차지하며 1위 자리를 굳건히 하고 있다.
한국의 뒤를 이어 프랑스, 폴란드, 독일, 이탈리아가 상위 5개국에 포함됐다. 2023년까지 4대 수출국이었던 중국은 2024년 6위로 두 계단 하락했으며, 이는 독일과 이탈리아 등 일부 유럽 국가로부터의 수입 증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2025년 주목받는 러시아 뷰티 트렌드

① 안티에이징 트렌드의 중심, 레티놀
시장조사기관 Trend Hunter에 따르면, 레티놀은 2025년 글로벌 뷰티 트렌드의 핵심 성분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며 러시아에서도 이미 2021년부터 주목받기 시작했다. 비타민 A 유도체인 레티놀은 세포 재생을 촉진하고 콜라겐 생성을 자극하여 잔주름 감소에 도움을 주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노화 방지뿐 아니라 여드름 완화에도 효과가 있어 폭넓은 연령대에서 활용 가능한 다기능 성분으로 주목받고 있다.

② 스키니멀리즘: 메이크업 트렌드 변화
스키니멀리즘은 피부(skin)와 미니멀리즘(minimalism)의 합성어로 피부에 꼭 필요한 소수의 제품만을 사용하는 메이크업 방식을 의미한다. 스킨케어 단계를 2~3단계로 간소화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용성 면에서도 각광받고 있다. 또한, 최근 이 같은 트렌드는 기초 화장품뿐만 아니라 색조 화장품 영역으로도 확대되는 추세다.

한국산 화장품 소비 경향에서도 스키니멀리즘이 나타나고 있다. 러시아 내 대표적인 K-뷰티 편집샵 Hollyshop의 CEO 크리스티나 티쉬코바는 “소비자들이 이전처럼 다양한 화장품을 사들이기보다는 기초 스킨케어의 필수 기능을 충족하는 3~4개의 제품만 사용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이는 한국 화장품의 간결한 사용법과 고기능성에 대한 러시아 소비자들의 신뢰를 보여주는 사례로도 볼 수 있다.

③ 러시아를 사로잡은 셀렉티브 향수
특히 주목할 만한 변화는 셀렉티브(니치) 향수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가 급격히 증가했다는 점이다. 개성과 독창성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이 점점 더 희귀하고 독특한 향을 찾는 경향이 뚜렷해지며 셀렉티브 향수를 택하고 있다.

최근 가장 주목받는 브랜드는 이스라엘의 Zielinski & Rozen이다. Zielinski & Rozen은 다양하고 독특한 향을 제공함과 동시에 러시아 소비자들의 소득 수준을 고려한 합리적인 가격으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④ 피부 미생물 균형, 마이크로바이옴 관리
마이크로바이옴(미생물 생태계) 관련 제품에 대한 관심도 높다. 특히 코로나19 사태 이후 러시아 소비자들은 마이크로바이옴을 피부 면역과 직결되는 요소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과거에는 건강기능식품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던 프로바이오틱스와 프리바이오틱스가 최근에는 스킨케어 제품에도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으며, 박테리아 용해물, 사카로미세스 등을 포함한 제품도 인기를 끌고 있다.

⑤ 스키니피케이션, 체계적인 두피·모발 관리
스키니피케이션이란, 기존 피부 관리에 적용되던 클렌징, 보습, 영양 공급, 보호의 단계별 관리 방식을 두피와 모발에도 적용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트렌드는 특히 한국의 단계별 스킨케어 방식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평가된다.

프랑스 브랜드 L'Oréal Professionnel은 두피 및 모발 관리 제품을 생산하는 대표 브랜드로, 러시아에서도 높은 인지도를 보유하고 있다. L'Oréal은 두피 상태와 모발 타입을 고려한 단계별 관리 시스템을 갖춘 다양한 제품 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두피 정화 샴푸, 강화 세럼이 있다.

시사점

K-뷰티는 러시아 수입시장에서 독보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선풍적인 한류 열기와 한국 뷰티산업의 성장, 일부 글로벌 브랜드의 철수 등 여러 요인이 작용한 결과다. 이러한 추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향후 글로벌 기업이 러시아 시장에 본격적으로 재진입하고, 한국 제품 간 경쟁이 더욱 격화되는 등의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

[본문 링크]
목표주가 상향 및 신규 보고서 (8:46)

상향
삼양식품(2건)
오리온
동인기연
파라다이스
한화엔진
LS ELECTRIC(2건)
한국항공우주
NHN


신규
넥센타이어
하이브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에스엠
JYP Ent.
디어유
코미코
삼성화재
삼성생명
DB손해보험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목표주가 상향 및 신규 보고서 (8:46)

상향
GKL
에스엠
한국전력
현대로템
삼양식품 2
LIG넥스원
범한퓨얼셀
한화시스템
DB손해보험
한국항공우주
대양전기공업
HD현대중공업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신규
펌텍코리아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EU, 대미 관세협상 직전 애플·메타 제재 발표 연기"
#애플 #메타 '디지털시장법 위반' 조사중…美자극않으려 미룬듯

DMA는 거대 플랫폼 사업자의 시장 지배력 남용을 방지하고자 7개 플랫폼 사업자를 '게이트 키퍼'로 지정, 특별 규제하는 법이다. 7개 게이트 키퍼 지정 기업 가운데 5개가 미국 기업이다.

규정상으로는 위반 결론 시 전 세계 매출의 최대 10%, 반복적 위반 시에는 20%까지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

집행위는 작년 3월 DMA가 전면 시행된 이후 #애플 #알파벳 #메타 를 상대로 외부 앱 개발자에게 적용하는 자체 규정인 '다른 결제방식 유도 금지'(anti-steering) 등이 DMA 위반 가능성이 있다며 조사에 착수했다.

당초 집행위는 12개월 이내에 조사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었지만, 현재까지는 알파벳의 구글에 대한 예비 조사 결과만 내놨다.

이에 미국 빅테크 규제에 불만을 제기한 트럼프 대통령을 의식해 결과 발표가 계속 지연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집행위가 여전히 애플, 메타에 대해 DMA 위반으로 결론을 내릴 것으로 예상은 되지만 최종 결과 발표가 얼마나 더 미뤄질지 당장은 명확하지 않다.

또 과징금 자체보다도 집행위가 내릴 시정명령 수위에 따라 애플, 메타의 영업 관행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더 클 수 있다고 WSJ는 해설했다.

https://naver.me/GPdKg48f
25년 4월 18일 주요공시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25년 4월 18일 주요공시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25년 4월 18일 시간외특징주 테마시황섹터 및 종목

시트1 : 시간외
시트2 : 테마시황
시트3 : 테마별 등락률
시트4 : 52주 신고가

비비리서치에서 손수 제작하는 자료입니다.
엑셀 파일 잘 활용하길 바랍니다.
참고로 테마시황을 읽어보시면 섹터에 대한 수급이 파악됩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25년 4월 18일 52주 신고가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25년 4월 18일 테마별 등락률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25년 4월 18일 테마시황

상승
✅ 원격진료/비대면진료(U-Healthcare)
✅ 비만치료제
✅ 영상콘텐츠/ 영화
✅ 음원/음반/ 엔터테인먼트
✅ 원자력발전
✅ 웹툰/ 메타버스(Metaverse) 등
✅ 정치/인맥(홍준표)
✅ 세종시(행정수도 이전) 관련주
✅ 해운

하락
✅ 딥페이크(deepfake)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25년 4월 18일 시간외 특징주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 STX엔진 🏃

시가총액 : 5,200억원 (22,550원)
22년 5,440억 / -88억 / -267억
23년 6,304억 / 189억 / 57억
24년 7,246억 / 422억 / 272억
25년F 8,098억 / 576억 / 353억

2025년 4월 18일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수주잔고 업데이트

금일 STX엔진은 총 2건의 공급계약을 체결했습니다. HD현대삼호와 HD현대중공업으로부터 각 477억원 규모 선박용 이중연료 발전기엔진 공급계약을 수주했으며, 이를 반영한 현재 수주잔고는 1조 2,442억원입니다.

24년 사업보고서 기준 수주잔고는 1조 2,451억원이며 이후 공시된 단일판매 공급계약은 3건입니다.

22년 이후 역대 최대 수주잔고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18800507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18800509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다음주 부터 본격적인 빅테크 포함 실발 시즌 개막

Rekordlar

22.04.202523:59
33KObunachilar
01.02.202523:59
2000Iqtiboslar indeksi
20.10.202423:59
8.8KBitta post qamrovi
08.12.202423:59
9.6KReklama posti qamrovi
16.02.202504:51
10.07%ER
15.04.202500:51
24.20%ERR

Rivojlanish

Obunachilar
Iqtibos indeksi
1 ta post qamrovi
Reklama posti qamrovi
ER
ERR
OCT '24JAN '25APR '25

Brain and Body Research mashhur postlari

13.04.202504:58
HD현대미포 (3rd Feat. 기대되는 포인트 #1)

#센텀호랑이 #centum_tiger #HD현대미포 #중소형선발주싸이클 #LNGBV #LNG벙커링 #IMO #친환경 #STS #컨테이너 #LPGC #USTR #미중제제 #알래스카 #트럼프정권 #조선 #전략상선단

1️⃣ LNG 벙커링이란?
• LNG 벙커링은 바다 위의 주유소 역할을 하는 선박으로, 다른 선박에 LNG(액화천연가스) 연료를 공급하는 작업을 의미.
• IMO 환경규제 강화로, 디젤 대신 LNG를 선택하는 선박들이 증가하면서 LNG 벙커링선(LNGBV) 수요도 동반 상승 중.

벙커링 방식 3가지
TTS (Truck to Ship): 트럭이 선박 옆에 와서 주유
PTS (Port to Ship): 항만의 파이프를 통해 주유
STS (Ship to Ship): 벙커링선이 직접 선박에 옮겨줌 → 최근 가장 선호되는 방식 (HD현대미포의 주요 수주 분야!)

2️⃣ LNG 벙커링 수요 확대 배경

🌿 IMO 환경규제 3가지 대응

1. 저유황유(LSFO) 사용

- 기존 연료보다 황 함유량이 낮지만
- 연료비가 50% 이상 비싸고 공급 제한적

2. 스크러버(Scrubber) 설치
- 기존 연료를 계속 사용 가능 (탈황장치로 정화)
- 초기 비용 부담, 소형 선박엔 설치 어려움
- 일부 항만은 스크러버 장착 선박 입항 제한

3. LNG 추진선 운용
- 디젤 대신 LNG 사용
- 황산화물 100% 제거, 이산화탄소 23% 감소, 질소산화물도 대폭 감소

📈 현황 요약
• 지금까지는 스크러버 설치가 일반적이었으나,
• 2024년 신조선의 50%는 대체 연료 추진선
• 그 중 21%는 ‘LNG Ready’선
• 특히 LNG는 전체 대체 연료 추진선 발주량의 70%를 차지
👉 2023년 43% → 2024년 70%로 시장 주류로 부상

⚡️IMO 환경규제 강화
• IMO 2020 이후 황산화물 규제에 따라 LNG가 친환경 연료로 부상
• 탈황설비(Scrubber) 회피 수단으로 LNG를 채택하는 선박 증가

3️⃣ LNG 추진선의 구조적 성장 전망

📉 전환율은 아직 낮다
• 전 세계 친환경 연료 선박 비중
• 톤수 기준: 7~8%
• 대수 기준: 2%
• 벌크선: 4%, MR탱커: 1%
→ 친환경화는 이제 막 시작, 향후 전환 수요 폭발적

4️⃣LNG 벙커링 시장 확대 근거

LNG 추진선 급증
• 2023년: LNG 추진선 472척 (운반선 제외)
• 2033년까지 1,285척으로 172% 증가 전망
→ 운항 657척 + 발주 628척

벙커링 연료 수요 급증
• 전 세계 LNG 벙커링용 소비량
• 2023년: 320~370만 톤
• 2025년: 740~800만 톤
• 2027~2028년: 1,000만 톤 이상 예상
→ 공급할 벙커링선 증가 필수

벙커링 방식의 변화 (TTS → STS)
• 초기엔 Truck-to-Ship(TTS) 방식 중심
• 최근엔 Ship-to-Ship(STS) 방식이 확장성·효율성 모두 우위
→ 중대형 벙커링선 수요 확대 → HD현대미포 수혜

글로벌 항만 인프라 확충
• LNG 벙커링 가능 항만 수
• 2022년: 141개
• 2023년: 185개
• 2025년까지 50개 이상 추가 예정
→ 전 세계 벙커링 선박 운용 기반 확대

글로벌 주요 시장 동향
• 유럽: 로테르담 중심으로 STS(선박간 급유) 방식 활성화, EU 2025년까지 139개 항만에 인프라 구축 목표.
• 중국: 상하이항 국제 허브화, Avenir LNG와 협력 강화.
• 싱가포르/일본: 대형 벙커선 도입, 국가 보조금 통한 시장 선점 의지 강함.
• Shell: 세계 최대 벙커선 포트폴리오 보유, 15개 항만 네트워크 확장 중.

5️⃣ HD현대미포의 경쟁력 및 실적

STS 중심 중형 벙커링선에서 독보적 경쟁력
• Ship-to-Ship(STS) 벙커링 방식이 LNG벙커링의 주류로 자리 잡으면서,
• 중형(7,500~18,000㎥급) LNG벙커링선 건조 경험을 보유한 HD현대미포가 강세를 보임
• 설계 최적화·빠른 납기·운영 효율성에서 글로벌 선사들의 신뢰 확보

대표 건조 사례
• 블루웨일호 (7,500㎥) – 한국 최초 STS 전용 벙커링선 / HD현대미포 건조
• K.Lotus호 (18,000㎥) – 대한해운·한국가스공사 공동 / 글로벌 에너지기업 쉘에 장기 용선
• 팬오션 LNG벙커링선 – 미국 및 싱가포르 시장 진출 예정, 현대미포에서 건조 중

국내 유일 STS 상용 실적
• 한국에서 최초로 SIMOPS(하역+벙커링 동시작업) 수행
• 선사, 조선소, 정부기관이 요구하는 복합운영 기술의 상용화 실적 확보
→ HD현대미포는 단순 조선소를 넘어 벙커링 오퍼레이션 생태계의 핵심 파트너로 평가받는 중

향후 수주 모멘텀
• 글로벌 메이저 셸(Shell), Avenir, Titan 등이 STS 벙커링선 10척 이상 확보
→ 후속 발주 확대 가능성 높음
• HD현대미포는 해당 선종에 대한 입찰 및 협력 기반 확보 중

https://blog.naver.com/centum_tiger/223831377160
Repost qilingan:
루팡 avatar
루팡
12.04.202511:57
미국 세관국은 2025년 4월 11일 공지를 통해, 휴대폰, 노트북(NB), SSD, 모니터, 키보드, 메모리, 태양광 패널, 프로세서 칩, 아날로그 칩, 로직 칩 등 여러 품목에 대해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 면제를 발표

이 면제는 기본 10% 관세뿐 아니라 특정 국가에 추가 부과된 관세에도 적용되며, 중국산 제품도 면제 대상에 포함됩니다.

정보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소비자 전자제품 수요가 ‘상호 관세’로부터 타격을 받는다는 우려를 해소할 수 있으며, 대만계 공급망에는 큰 호재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이에 따라 미국계 고객사의 소비자 전자제품 재고 확보 수요에 대해 낙관적인 시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https://content.govdelivery.com/bulletins/gd/USDHSCBP-3db9e55?wgt_ref=USDHSCBP_WIDGET_2
25.03.202512:38
바디텍메드 2025년 주주총회 후기
(MissU)

요약
- 4월에 동물진단 무조건 나옴
- 25년 1분기, 2분기 실적 개선 3분기, 4분기는 오더 받아봐야 알 수 있음
- 26년은 실적은 퀀텀 점프


https://m.blog.naver.com/miss_u-/223809489958
O'chirildi07.04.202501:09
06.04.202523:53
•니케이 225 선물 하한가 기록후 거래중단

>日经225指数和东证指数期货在触及跌停板后暂停交易。
04.04.202501:55
원전기자재 수출 길라잡이
(kotra)

목차

I. 원전 기자재 수출 개요
1. 원전 기자재의 의미 및 범위
2. 원전 산업 수출 키워드
3. 원전 산업 수출 체크리스트


II. 원전 산업 수출 절차
1. 수출 사전 준비
가. 수출 허가 대상 품목 여부 확인
나. 수출 통제 대상 국가 확인
2. 정보 수집 및 시장 분석
가. 세계 원전 시장 규모 및 신규 발주 전망
나. 주요 국가별 원전 시장 동향
다. 주요 경쟁 국가 및 경쟁 기업
3. 마케팅 사업 참여
가. 수출 기회 모색
나. 수출 역량 강화 및 기반 조성
다. 수출 역량 확대
4. 벤더 등록 및 입찰 참가
가. 주요 발주처별 벤더 등록 및 입찰 참가 방법
나. 주요 국가별 해외 인증 및 취득 방법
5. 수출 보증, 수출 신고 및 운송
가. 수출 보증 및 보험
나. 수출 통제
다. 수출 운송 및 납품
라. 수출 물품 대금 수금

첨부 1. 원자력 수출 통제 품목
첨부 2. 2025 KOTRA 주요 사업 (잠정)
첨부 3. 2025 유망 전시회 캘린더 (원전 관련)
12.04.202512:00
위 게시글에서 언급된
HS 코드별 상세 품목 설명입니다.


8471:
자동 데이터 처리기계 및 그 단위기기
개인용 컴퓨터, 서버, 태블릿, 노트북 등
주변기기(예: 하드 드라이브, 그래픽 카드, 메모리 모듈)
POS(Point of Sale) 단말기, ATM 등

8473.30:
타자기·수표발행기 등의 부속품
프린터, 복합기, 스캐너의 부품 및 액세서리
잉크 카트리지, 토너, 프린터 헤드 등

8486:
반도체 제조용 기계·장치
웨이퍼 가공 장비(에칭, 리소그래피, 이온 주입기 등)
패키징 장비(다이 본딩, 와이어 본딩기)

8517.13.00:
휴대용 무선전화기(스마트폰 포함)
GSM, LTE, 5G 지원 휴대폰

8517.62.00:
기타 무선통신기기
무선 랜(LAN) 카드, 블루투스 모듈, RFID 장치

8523.51.00:
고체상태 저장장치(SSD)
플래시 메모리 기반 저장장치(USB, 메모리 카드 제외)

8524:
기록된 광학·자기 매체
CD, DVD, 블루레이 디스크(데이터·음악·영상 기록)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8528.52.00:
LCD 모니터
19인치 이상의 평면 디스플레이 모니터

8541.10.00:
다이오드·트랜지스터 및 유사 반도체 소자
LED, 태양전지용 다이오드, 전력 반도체

8541.21.00: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
MOSFET, GaN 트랜지스터 등

8541.29.00:
기타 트랜지스터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BJT) 등

8541.30.00:
개별 반도체 소자(디지털·아날로그 IC)
마이크로컨트롤러, 메모리 칩(DRAM, NAND 플래시)

8541.49.10:
절연된 전선·케이블(전압 80V 미만)
USB 케이블, 이어폰 잭 등

8541.49.70:
자동차용 전선 하네스

8541.49.80:
광섬유 케이블

8541.49.95:
기타 절연 전선·케이블

8541.51.00:
절연된 전기회로용 커넥터
HDMI, USB 포트, PCB 커넥터

8541.59.00:
기타 절연 전기부품

퓨즈, 터미널 블록 등

8541.90.00:
반도체 패키지·기타 부품
칩 패키징용 케이스, 실리콘 웨이퍼

8542:
집적회로(IC)
마이크로프로세서, FPGA, ASIC
아날로그 IC(전원 관리, 증폭기)
12.04.202512:36
⚡️전력기기 섹터에 대한 고민 정리

작성: 피카츄 아저씨 텔레그램 (t.me/pikachu_aje)

🚨보유종목에 대해 작성한 자료로 코멘트에 편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세 줄 요약]
1. HD현대일렉 실적 부진과 글로벌 피어의 리레이팅이 조정을 촉발함
2. 피크아웃 아님. 인프라 내러티브는 여전히 살아있으며 AI 전력 수요는 구조적
3. 숫자로 다시 증명되면 반등 가능. 글로벌 피어 반등이 선행될 수도 있음

📉 [왜 조정받았을까? 원인 정리]
- 이번 하락은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소가 작용했다고 판단하지만 주된 원인은 기대치에 못 미친 점 & 글로벌 피어의 가파른 하락 & 피 당분간 이러한 하락이 지속될 수도 있다고 봅니다.
1) 대장주 HD현대일렉트릭 실적이 기대에 못 미침
2) 글로벌 피어그룹의 주가 하락 ➡️ 싸져야하는 거 아닌가? = 차익실현 욕구 자극
3) 22~24까지 랠리에 대한 자연스러운 차익실현 구간 진입
4) 섹터 대장주의 영향력: HD현대일렉 → 섹터 전체 조정 유발
(비교) 방산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버텨주면서 낙폭 제한됨

🚀 [피크아웃 아님을 말할 수 있는 근거]
https://blog.naver.com/pikachu_aje/223830736847
1. 피크아웃에 대한 얘기가 나올 때가 되어 미리 말씀드리자면 아닙니다.

2. 국내 전력기기 업체들은 지속적으로 성장하면서 수익성 지표 개선이 이뤄지고 있고, 수주잔고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습니다. 다만, 배전변압기 시장은 공급량 증대에 따른 경쟁심화가 있다고 하니 유의하셔야겠습니다.
https://blog.naver.com/pikachu_aje/223830736847

3. 구독자분께서 댓글로 AI전력 효율화, AI그로스에 대한 시장의 의문에 대해서 말씀해주시기도 했는데 이에 대해서 많은 회사들이 아니라고 답변하고 있습니다.

1) $MSFT는 기존 집행했던 CAPEX가 크고, $GOOGL의 CAPEX 집행 또한 지속적입니다. 특히 CAPEX가 서버와 데이터센터 구축에 들어가고, 확실한 수요가 이미 존재한다고 합니다.
https://blog.naver.com/pikachu_aje/223823736207

2) $ETN 또한 데이터 센터가 지속적인 확장을 이루고 있는데 본인들의 전성기가 이제부터라는 자신감을 보였습니다.
https://blog.naver.com/pikachu_aje/223827187577

3) $POWL은 천연가스 프로젝트의 확장을 얘기하고, $CEG의 경우 Calpine 인수를 통해서 원자력~천연가스에 이르는 기저발전 포트폴리오를 확장했습니다.
https://blog.naver.com/pikachu_aje/223830621302

4. 이외에도 AI자체가 지정학적 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Key가 되고 있다보니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분쟁 상황에서 투자를 줄인다?는 내러티브적으로 맞지 않습니다. 그래서 시진핑은 딥시크 핵심인력을 중국에만 있을 수 있게 하는 특별포상(?)을 내리기도 했습니다.
"中, AI 기술 유출될라 "딥시크 핵심인력 여권압수"

5. 결론적으로 지금의 관세 전쟁을 비롯해서 AI 경쟁은 사실상의 전쟁에 가깝습니다. 우리는 러-우 전쟁을 통해서 인프라의 유무에 따라 입장 차이가 두드러지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런 탈세계화 정국 속에서 인프라의 중요성은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https://blog.naver.com/pikachu_aje/223321735112

📈 [상승 시그널은 무엇일까?]
1. 글로벌 피어의 상승: 밸류 매력 부각
- 국내 전력기기 주식에 대한 자금 유입이 글로벌 대비 저렴하다는 아이디어가 있었기 때문에 글로벌 피어그룹이 회복하는 모습을 선행하는 것이 하나의 모멘텀이 될 수 있습니다.

2. 국내 기업 실적 서프라이즈: 피크아웃 내러티브 해소
- 전력기기가 지속적으로 주목받았던 것은 컨센서스를 계속 이겨오면서 기대 이상의 성장을 이뤄냈기 때문입니다. 실적을 통해서 피크아웃이 아님을 입증해주면 됩니다.
- 수출데이터가 좋게 나왔고, 무게당 단가도 꾸준히 올라주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입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7722

3. 내러티브는 이상무
- 내러티브는 위에 말씀드렸다시피 이상 없습니다. 따라서 내러티브가 받쳐주면서 숫자 개선만 나타나면 될 것으로 봅니다.

💡 [글로벌 피어가 던지는 힌트]
ETN: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는 구조적이며, 전성기는 지금부터라는 자신감 피력 (2024년 실적 발표)
POWL: 천연가스 발전 프로젝트 관련 송배전 장비 수요 확대 전망
CEG: Calpine 인수를 통해 원자력~천연가스 기반의 기저 발전 조합 확보 → 배전망 안정 수요 동반
슈나이더: "AI와 LLM은 일시적 유행이 아니다. 고객은 더 높은 전력 밀도, 효율성, 지속가능성을 요구한다" (CEO)
히타치: Hitachi Energy는 HVDC 및 초고압 변압기 수주잔고가 전년 대비 +41% 증가하며, AI 및 신재생 전원 연계 인프라 수요 대응을 주요 성장 축으로 제시. CapEx는 전년 대비 +28%로 공격적 투자 중

⚠️ [리스크 요인]
1. 배전변압기 시장 경쟁심화 → ASP 하락 가능성
2. 미국 전력시장 규제 변화 or IRA 정책 변경 리스크
3. 일부 종목은 수주잔고에 대한 품질 검증 필요

📌 결론: 밸류에이션에 대한 고민이 있는 분기점. 숫자와 내러티브에 대한 믿음이 있다면..

- 22~24년 시즌 지속적으로 상승해왔고 실적 등 숫자에는 문제가 없기 때문에 방향성에 주목한다면 지속 투자 가능. 단, 미국 대장주인 $ETN과 밸류에이션 괴리가 크지 않고
- 미국의 $ETN은 주가가 1년 전 수준으로 돌아갔음을 고려하면 반등할 때 같이 올라올 수 있는 퀄리티 종목 주목(고사양 전력기기 & 높은 해외매출비중)

💬 개인적인 바람이라면 전력기기 주식들 글로벌 회사처럼 IR하고 transcript도 올려줬으면 좋겠습니다. 이번에 해외기업들 보면서 제일 부러웠던 게 이런 자료의 접근성이 좋다는 점..

💬 어느정도 상승이 나온 섹터이기 때문에 몰빵보다는 수익 다각화가 될 수 있는 여타 섹터도 같이 개발하셔야 한다고 봅니다.

💬 끝으로 슈나이더 CEO의 말 한마디를 인용하여 덧붙이겠습니다.
AI와 LLM은 일시적인 유행이 아닙니다. 고객들은 지금 그 어느 때보다 더 높은 전력 밀도, 에너지 효율성, 지속가능성을 원하고 있습니다.

[작성] 피카츄 아저씨 ⚡️
[제보]
피카츄에게 제보하기
[태그]
#전력기기

🌩️도움되셨다면 스파크⚡️부탁드립니다!
🌩️제보는 블로그 게시글 통해 받고 있습니다. 구독자 분들의 의견으로 더욱 짜릿한 콘텐츠로 찾아 뵙겠습니다.
🌩️블로그는 늘 열려있으니 서로이웃 추가 주실 때 ‘텔레그램 잘 보고 있다’고만 얘기해주세요!
🌩️종목에 대한 매수, 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투자에 대한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니 투자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by. #피카츄아저씨
26.03.202503:04
주주총회 후기 모음 - 실시간 업데이트 중 (비나인 님)
(많은 분들 감사합니다)

아미코젠
동서
한솔아이원스
DSR
에스앤디
삼성전자
SNT모티브
한솔케미칼
유니드
아세아
현대차
동국제약
아세아제지​
효성중공업
한미반도체
비나텍
한화생명
케이에스피
넥스틴
코스모신소재
인바디
LS일렉트릭
SM엔터테인먼트
바디텍메드
비올
티앤엘
DN오토모티브
제이에스코퍼레이션
HD현대일렉트릭
케어젠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롯데칠성
삼양식품

https://m.blog.naver.com/benine-/223810175091
26.03.202503:25
[2025-산업] 2024 한류백서

■ 1부 2024 KOFICE 한류 조사연구 동향
김아영(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문화교류연구센터 센터장)

■ 2부 2024년 한류 부문별 성과와 전망
1. 방송 한류
불안 속에서 지속된 방송 한류, 위기를 넘어서기 위한 분투
이성민(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교수)

2. 영화 한류
‘뉴 K-무비’의 확장성
김형석(영화 저널리스트)

3. 음악 한류
위기와 기회 사이에서
이규탁(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 국제학과 교수)

4. 공연 한류
양적 풍요와 한계를 동시에 마주한 공연 한류
이수정(DMZ피스트레인뮤직페스티벌 예술감독·알프스 기획이사)

5. 게임한류
불확실성 속에서 글로벌 활로를 찾는 게임 한류
강신규(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책임연구위원)

6. 만화*웹툰 한류
주춤하는 확장, 심화하는 교류
이수엽(미디어미래연구소 연구위원)

7. 음식 한류
플랫폼으로서 음식 한류, 도전과 전망
강보라(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소 전문연구원)

8. 뷰티 한류
K-뷰티의 구조적 전환, 수출 100억 달러 시대 연 중소 브랜드
정낙영(인베스트조선 기자)

9. 패션 한류
디자이너 패션, 한류를 입다
이윤경(한국문화관광연구원 콘텐츠연구본부 본부장)

■ 3부 2024 한류 정책, 법적 근거를 완비하다
김규찬(국립창원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왜 마이크로소프트가 가장 먼저 자본지출(CapEx)을 축소했는가?

마이크로소프트의 단계적인 ‘축소’ 이면에는, 단계적인 수요-공급의 불균형재무적 고려사항이 존재한다. 단기 수요의 속도 변화나 하드웨어 선택의 변화가 발생할 경우, 외부 임대나 신규 건설 속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ROIC(투입 자본 수익률)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함이다.

마이크로소프트가 가장 먼저 ‘축소’에 나섰다고 해서 업계 전체의 하락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현재 단계에서는 Meta와 Google이 여전히 빠른 속도로 확장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 들어 데이터 센터 과잉 건설에 관한 뉴스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 알리바바의 조셉 차이는 미국과 유럽에서의 데이터센터 과잉 건설을 경고했고,

• 투자사 TD Cowen은 마이크로소프트가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 새롭게 설계된, 전력 소비량 2GW 규모의 모든 데이터 센터 프로젝트를 철회했다고 밝혔다.

왜 하필 마이크로소프트가 가장 먼저 CapEx를 축소했는가?

OpenAI의 최대 클라우드 협력사(CSP)인 마이크로소프트는 2024년 하반기부터 2025년 초까지 자본 지출 증가율이 업계 최고 수준이었다.

Microsoft Azure는 한동안 대규모 AI 연산 수요(내부 및 파트너사 AI 훈련 및 추론 포함)를 맡아왔고, 이에 따라 고밀도 데이터 센터를 신속히 건설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여러 차례 실적 발표에서 데이터 센터, 서버, 네트워크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계속 확대하겠다고 언급해 왔다.

2023년부터 마이크로소프트는 OpenAI와 긴밀히 협력하며, AI 모델 학습 및 애플리케이션 배포에 대량의 GPU/TPU 클러스터 및 대응 데이터 센터가 요구되었다.

비록 OpenAI가 마이크로소프트에 요청한 정확한 연산 자원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공개 정보 및 경영진 발언에 따르면, 대규모 모델 훈련 및 추론을 뒷받침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은 이번 CapEx 상승의 주요 동력 중 하나였다.

또한 보고서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CapEx에 일부 금융리스(lease) 형태의 지출도 포함되어 있어, 단기적으로는 CapEx 수치를 눈에 띄게 부풀려 보이게 하는 효과도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와 업계 소식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는 대규모 투자 이후 최근 몇 분기 동안 임대 및 신규 데이터센터에 대한 평가와 조정을 더 정교하게 진행하고 있으며, 북미와 유럽 시장에서 일부 제3자 데이터 센터 임대 계약을 취소하거나 연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원인은 다음과 같은 주요 요소들일 수 있다:

① 단계적 수요-공급 불일치
초기 AI 훈련 수요를 지원하기 위해 빠르게 확장한 후, 마이크로소프트는 일부 지역의 설비 용량이 과도하거나 유휴 상태일 수 있다는 위험을 인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수요가 완만하거나 전환기에 접어든 시점에서, 아직 완공되지 않았거나 계약이 발효되지 않은 외부 임대 계약을 재검토하게 된 것이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가 클라우드 및 AI의 장기 수요에 대한 판단을 바꿨다는 의미는 아니며, 기존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단기 투자 속도를 조절하는 움직임으로 볼 수 있다.

② 내부 프로젝트 및 협업 수요의 변화
만약 마이크로소프트나 OpenAI의 훈련 수요가 일시적으로 둔화되거나, 보다 효율적인 하드웨어/플랫폼으로 전환될 경우, 단기적으로 데이터 센터 용량 수요가 조정될 수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는 현재 중장기적인 배치 속도를 중시하고 있으며, 초대형 건설 프로젝트(특히 제3자 데이터 센터 임대 기반 프로젝트)는 계약 단계에서 취소 또는 연기되는 사례도 있다.

2024년 4분기에는 주요 기업들의 ROIC(투입 자본 수익률)가 명확히 반등했으며, 마이크로소프트 역시 건강한 ROIC 유지가 매우 중요한 상황이다.

CapEx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한계 수익과 ROIC가 압박받을 경우, 경영진은 새로운 설비 확장 계획을 신중하게 재검토해 자본 효율성을 극대화하려는 것이다.

③ 경쟁사와 수요 재배치
Google과 Meta는 국제 시장 및 미국 내에서 마이크로소프트가 철회한 공간 일부를 흡수 중이다. OpenAI 또한 직접 구축하거나, 다수의 제3자와 협력 가능성이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외에도 Google과 Meta 역시 데이터 센터 확장을 지속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업계의 구조적 변화를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의 단기적인 확장 속도 조절은 자원 통합 및 전략 재조정이라는 정상적인 행동으로 볼 수 있다.

다른 클라우드 기업과 비교했을 때 마이크로소프트 CapEx 조정의 산업적 의미는?

클라우드 기업들의 전반적인 고투자 기조는 변하지 않았다. Amazon, Google, Meta 등은 2024년 4분기 및 이후 연도에도 자본 지출을 크게 늘리고 있으며, 이는 클라우드와 AI 시장이 중장기적으로 여전히 호황임을 의미한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축소’는 어디까지나 전략적 미세 조정이며, 산업이 하락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신호는 아니다.

📌 결론: 마이크로소프트의 CapEx 조정은 왜 일시적인가?

AI 붐 초기 단계에서 가장 먼저 CapEx를 공격적으로 확대한 기업이 바로 Microsoft였음

• 현재는 일부 과잉 설비 및 유휴 리소스를 정리하며, 자원 효율성 확보와 ROIC 개선에 집중

• 산업의 장기적 성장성(AI, 클라우드 수요)은 유지되고 있음

• Google, Meta는 오히려 2024~2025년 빠르게 투자 확대 중

https://wallstreetcn.com/articles/3743967
01.04.202504:10
25년 3월 전체 잠정치 수출입 데이터에 대한 비비리서치 의견입니다. 잠정치 데이터는 전국 기준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5년 3월 1일부터 31일까지 수출입 데이터 잠정치
(구독자님들의 편의를 위해서 기업 코멘트와 함께 해당 데이터의 링크를 첨부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1탄
(잠정치 전국에서 수출되는 데이터를 기본으로 합니다. 따라서 비비리서치는 전국에서 전 세계로 수출된 데이터와 전국에서 특정 국가로 수출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업로드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디램 (전국)
관련종목 : 삼성전자 / SK하이닉스

22년 7월 이후 역대 최대 수출금액을 기록했습니다. 일평균 수출액 기준 YoY +29.32% MoM +25.28%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6175

디램모듈 (전국)
관련종목 : 삼성전자 / SK하이닉스
일평균 수출액 기준으로는 비비리서치가 집계한 18년 1월부터 25년 3월까지의 수출금액 중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수출금액을 기록했습니다. 일평균 수출액 기준 YoY +26.25 MoM +95.17%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6179

낸드 플래시 (전국)
관련종목 : 삼성전자 / SK하이닉스
지난 2월 대비 크게 증가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6179?single

CMOS 이미지센서(CIS) (전국)
관련종목 : 삼성전자 / DB하이텍
지난 2월 대비 크게 증가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6181

SSD(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전국)
관련종목 : 삼성전자 / SK하이닉스
지난 2월 대비 크게 증가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6185

MCP (복합구조칩 집적회로) (전국)
관련종목 : 삼성전자 / SK하이닉스
지난 2월 대비 크게 증가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6187

산업용원자현미경 (전국)
관련종목 : 파크시스템스
지난 2월 대비 크게 증가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6203

핸들러 (전국)
관련종목 : 테크윙 / 제이티 등
지난 2월 대비 크게 증가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6205

세라믹 히터(전국)
관련종목 : 미코세라믹 등
지난 2월 대비 소폭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6207

FPD 및 반도체 이송장치 (전국)
관련종목 : 싸이맥스 / 로체시스템즈 / 라온테크 등
지난 2월 대비 소폭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6209

반도체 웨이퍼 세척 장비 (디스컴) (전국)
관련종목 : 피에스케이홀딩스
지난 2월 대비 크게 증가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6211

웨이퍼의 절단 이전에 전체 웨이퍼에 연결접점(범프)를 형성하는 웨이퍼 범핑용 기기 (리플로우) (전국)
관련종목 : 피에스케이홀딩스 등

지난 2월 대비 소폭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6213

반도체 웨이퍼용 증착장비 (전국)
관련종목 : 주성엔지니어링 / 원익IPS / 유진테크 / 테스
지난 2월 대비 대폭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6217

건식식각장비 (전국)
관련종목 : 브이엠 / SEMES
저조했던 수출 금액이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6219

TC BONDER (전국_대만)
관련종목 : 한미반도체
지난 2월 대비 대폭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6225

8인치 레이저마커 (전국)
관련종목 : 이오테크닉스 등
22년 5월 이후 역대 최대 수출금액을 기록했습니다. 일평균 수출액 기준 YoY +92432.46% MoM +57.39%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6231

고압 수소 열처리 장비 (어닐링) (전국)
관련종목 : HPSP / 예스티 등
지난 2월 대비 대폭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6235

스크러버 액체용•기체용 여과 및 청정기 (전국)
관련종목 : GST / 유니셈 등
지난 2월 대비 소폭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6237
중국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6239

블랭크마스크 (전국)
관련종목 : 에스앤에스텍
일평균 수출액 기준으로는 비비리서치가 집계한 18년 1월부터 25년 3월까지의 수출금액 중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일평균 수출액 기준 YoY +45.92% MoM +12.27%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6245
중국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6247
대만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6249
글로벌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6251

펠리클 (전국)
관련종목 : 에프에스티 / 에스앤에스텍
지난 2월 대비 소폭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6253

러버 소켓 (전국)
관련종목 : ISC / 티에스이 / 티에프이 / 마이크로컨텍솔 등
지난 2월 대비 소폭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6255

포토레지스트 (전국)
관련종목 : 동진쎄미켐 / 켐트로닉스 등
지난 2월 대비 소폭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6259

쿼츠 (전국)
관련종목 : 원익QnC / 비씨엔씨 등
지난 2월 대비 소폭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6261

기타 전기회로의 개폐용·보호용·접속용(리노핀) (전국)
관련종목 : 리노공업 / ISC / 티에스이 / 오킨스전자 / 마이크로컨텍솔
지난 2월 대비 소폭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6267
11.04.202504:26
25년 4월 10까지 잠정치 수출입 데이터에 대한 비비리서치 의견입니다. 잠정치 데이터는 전국 기준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5년 4월 1일부터 10일까지 수출입 데이터 잠정치
(구독자님들의 편의를 위해서 기업 코멘트와 함께 해당 데이터의 링크를 첨부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1탄
(잠정치 전국에서 수출되는 데이터를 기본으로 합니다. 따라서 비비리서치는 전국에서 전 세계로 수출된 데이터와 전국에서 특정 국가로 수출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업로드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디램 (전국)
관련종목 : 삼성전자 / SK하이닉스

10일치 기준 3개월 연속 수출금액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7428

디램모듈 (전국)
관련종목 : 삼성전자 / SK하이닉스

10일치 기준 지난달 대비 수출금액이 크게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7434

낸드 플래시 (전국)
관련종목 : 삼성전자 / SK하이닉스

10일치 기준 지난달 대비 수출금액이 크게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7436

CMOS 이미지센서(CIS) (전국)
관련종목 : 삼성전자 / DB하이텍

10일치 기준 지난달 대비 수출금액이 소폭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7438

MLCC (전국)
관련종목 : 삼성전기 / 삼화콘덴서 / 아모텍 / 아바코 / 아바텍 등

10일치 기준 지난달 대비 수출금액이 소폭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7440

SSD(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전국)
관련종목 : 삼성전자 / SK하이닉스

10일치 기준 지난달 대비 수출금액이 소폭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7442

MCP (복합구조칩 집적회로) (전국)
관련종목 : 삼성전자 / SK하이닉스

* MCP는 고용량 메모리반도체와 HBM을 포괄하는 복합 구조칩 집적회로(MCP)
10일치 기준 2개월 연속 수출금액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7444

모노리식 집적회로 (전국)
관련종목 : 네패스 등

10일치 기준 지난달 대비 수출금액이 소폭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7446

연마제 (CMP공정에 쓰이는 소재) (전국)
관련종목 : 케이씨텍 / 동진쎄미켐 / 솔브레인 등

10일치 기준 지난달 대비 수출금액이 대폭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7448

반도체 웨이퍼, 소자의 측정, 검사용 장비 (전국)
관련종목 : 와이씨 (와이아이케이)

10일치 기준 지난달 대비 수출금액이 대폭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7454

반도체 웨이퍼 패턴결함 검사장비 및 반도체오버레이계측기 (전국)
관련종목 : 넥스틴

10일치 기준 지난달 대비 수출금액이 소폭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7458

핸들러 (전국)
관련종목 : 테크윙 / 제이티 등

10일치 기준 지난달 대비 수출금액이 대폭 늘었습니다. 일평균 수출액 기준 YoY +555.46%, MoM +17.05%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7462

세라믹 히터(전국)
관련종목 : 미코세라믹 등

10일치 기준 지난달 대비 수출금액이 소폭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7464

FPD 및 반도체 이송장치 (전국)
관련종목 : 싸이맥스 / 로체시스템즈 / 라온테크 등

10일치 기준 지난달 대비 수출금액이 대폭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7466

반도체 웨이퍼 세척 장비 (디스컴) (전국)
관련종목 : 피에스케이홀딩스

10일치 기준 지난달 대비 수출금액이 대폭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7468

웨이퍼의 절단 이전에 전체 웨이퍼에 연결접점(범프)를 형성하는 웨이퍼 범핑용 기기 (리플로우) (전국)
10일치 기준 수출금액이 대폭 늘었습니다.
관련종목 : 피에스케이홀딩스 등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7470

반도체 웨이퍼용 증착장비 (전국)
관련종목 : 주성엔지니어링 / 원익IPS / 유진테크 / 테스

10일치 기준 지난달 대비 수출금액이 소폭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7474

건식식각장비 (전국)
관련종목 : 브이엠 / SEMES

10일치 기준 지난달 대비 수출금액이 대폭 늘었습니다. 일평균 수출액 기준 YoY +614.46%, MoM +49.55%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기타 레이저마커 (전국)
관련종목 : 이오테크닉스 / 한미반도체

10일치 기준 지난달 대비 수출금액이 소폭 늘었습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77478
HD현대미포 (2nd 글 : 실적 및 반복건조)
#centumtiger #센텀호랑이 #HD현대미포 #현대미포 #반복건조 #전략상선단 #LNG #미국산LNG #LNGBV #PC선 #조선 #방산 #트럼프 #관세 #알래스카 #미중제재

1. 수주 현황과 건조 흐름
2026년까지 도크가 이미 가득 찼으며, 현재 2027년 하반기부터 2028년까지의 건조 물량을 확보 중.
• 연간 약 50척 인도 중이며, 베트남 도크 확장을 통해 2030년 연간 건조 능력이 8척 늘어날 예정.

2. 평균 선가(ASP) 및 매출 전망
• 수주잔량을 전체 선박수로 나눈 평균 선가는 매년 상승세:
2021년 568억 → 2025년 814억 -> 2027년 968억 원 예상 (CAGR 9.29%)

3. 매출액 추정
• 매출 추정식:
ASP × 건조 수량
→ 2025년 매출 약 5조원, 2026년 5조원 중후반, 2027년 6조원

4. 비용 분석
• 후판 가격 하락:
2024년 하반기 톤당 70만 원 후반으로 계속 하락 중

• 반복건조에 따른 설계비용 절감
“전에 만든 배랑 똑같이 만들어주세요!”
→ 선가의 15-20%를 차지하는 설계비용 절감으로 수익성 증대
→ 현재 PC선 중심으로 약 110척 반복건조 중

5. 수익성(OPM) 전망
• 2025년:
• 2분기 OPM 5%
• 3분기 OPM 6%
• 4분기 OPM 7.5%
• 2026년: 두 자릿수 OPM
• 2027년: 고선가 LNG BV 및 전략상선단 수주에 반복건조 효과까지 더해지며, 최고 수준의 OPM 도달 가능
• 25년 2월말 기준 PC선 수주잔량 110척에 전략상선단 PC선 30척 추가된다면, 과거 슈퍼사이클(2005~2008년)의 OPM 15%를 초과할 수 있음.

👉 전략상선단은 평시에는 민간 기업이 상업적 목적으로 운항하지만, 유사시(전쟁, 글로벌 공급망 마비 등) 정부가 활용할 수 있게 준비된 선박들

💡 정리
HD현대미포는 현재 도크가 꽉 찬 상태이며, 반복건조 확대와 후판가격 하락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를 누리고 있음.

여기에 미국과의 LNG 및 방산 협력 강화로 LNG BV, 전략상선단 PC선 등 고부가가치 선정 수주 확대되면서, 중장기적으로 수익성(OPM) 레벨업이 기대됨.

https://m.blog.naver.com/centum_tiger/223829628693
Repost qilingan:
우리는 트윗충 avatar
우리는 트윗충
트럼프, 중국 제외한 모든 국가에 대한 관세 90일 일시 중단 고려

※“우리는 트윗충의 모든 게시글은 매수, 매도 등 권유를 구성하지 아니하며 내용의 그 어느 부분도 투자 결정을 위한 기초 또는 근거가 될 수 없습니다.”
24.03.202513:03
아래는 세 보고서를 종합하여 요약한 내용입니다:

1) 글로벌 서버 시장 전망 및 AI 트레이닝 서버 출하량 하향 조정
- AI 서버 시장 전망 하향: 기존 대비 AI 트레이닝 서버(특히 GPU 기반 풀랙 서버) 출하량을 2025년에 크게(약 35%) 낮추고, 2026년에도 일부 조정해 반영했습니다. 이는 차세대 GPU 제품 전환 시점이 겹치는 데다, 초대형 CSP(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의 투자와 수요가 당초 기대 대비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 AI 서버 종류별 동향:
- *랙 형태(Rack-level)*: 2025~26년 출하량을 크게 낮춰 잡았으며, 전 세대 대비 생산 및 수요 모두 점진적으로 증가하겠지만 단기적으로는 예측치가 하락했습니다.
- *기존 베이스보드 기반 고성능 서버*: 전체 시장에서 완전히 대체되기보다는 고객사의 다양한 요구(설계 유연성 등)로 인해 일정 수요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일반 서버(General servers) 및 추론(Inferencing) 서버: 일반 서버 시장은 PC·서버 교체 수요가 조금씩 살아나며 2025~26년에 각각 6%, 4%의 출하량 증가가 예상됩니다. AI 추론 서버는 AI 서비스 확산으로 인해 중장기적 수요가 유망하지만, 시장 규모가 트레이닝 서버에 비해서는 작습니다.
- 미·중 클라우드 업체 투자: 미국 주요 CSP의 2025년/26년 자본 지출(capex)은 각각 전년 대비 +41%/+15%로 추정되는 반면, 중국 주요 CSP의 2025년/26년 capex는 각각 +26%/+4%로 비교적 완만하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citeturn0file0

2) 일본 반도체 제조장비(SPE) 업종 전망: 밸류에이션(멀티플) 하향 및 수요 재점검
- AI 서버 수요 둔화에 따른 백엔드 공정 업체 실적 조정: 전 세계 AI 서버 전망이 하향 조정됨에 따라, 후공정 장비 업체(Disco, Advantest, Tokyo Seimitsu 등)의 FY25~26년 실적 추정치가 소폭 낮아졌습니다. 다만 전공정 장비(전사적으로 EUV, 드라이 노광 등) 기업에 대해서는 중장기 수요전망이 크게 바뀌지 않아 기존 추정치를 유지했습니다.
- 섹터 멀티플 조정: AI 서버 호황 기대감이 다소 줄어든 데다, 전체 반도체 업황이 이미 '업사이클 중반부'에 들어섰다는 판단으로, 기존 FY25E 기준 EV/EBITDA 18배 적용에서 FY25~26년 평균치 기준 15배로 낮췄습니다. 그 결과 주요 종목들의 목표주가를 평균 8% 내외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 투자 의견: 일본 SPE 업종 내에서는 Tokyo Electron(프론트엔드 공정), Advantest 및 Disco(백엔드 공정)의 매수 의견을 유지했습니다. 반면 Lasertec처럼 EUV 관련 투자가 단기에 크게 늘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기업은 주가 상승 여력이 제한적이라고 평가합니다.
citeturn0file1

3) 대만 부품업체 관점: AI 서버 랙 출하 부진으로 실적·목표주가 하향
- GPU AI 서버 중심의 단기 전망 하향: 글로벌 AI 서버 랙 출하량이 2025년에 기존 전망 대비 35%가량 줄어들 것으로 보이면서, 주로 GPU 기반 AI 서버에 대한 파워 모듈·CCL(동박 적층판)·커넥터 기업들의 단기 실적에 부정적 영향이 예상됩니다. 반면 ASIC 기반 AI 서버(구글·아마존 등)가 주력인 업체들은 상대적으로 타격이 덜할 것으로 분석됩니다.
- 주요 대만 업체별 조정:
- *델타(Delta)*: AI 서버 전력공급(PSU)·냉각솔루션 비중이 상당하지만, 수요 둔화로 2025~26년 실적 추정치 및 밸류에이션을 낮췄습니다. 그럼에도 차세대 파워랙(고성능 전원장치) 진출 가능성이 있어 중장기 성장성은 여전히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했습니다.
- *EMC, TUC, GCE*: 주로 ASIC 서버나 고속 스위치용 CCL·PCB를 공급하기에 GPU 보다는 영향이 적습니다. 따라서 목표주가와 이익 추정치를 일부 낮추었지만, 향후 시장점유율 확대와 지속적인 고부가 제품 공급으로 중장기 성장성에 대한 긍정적 시각을 유지하며 매수 의견을 유지했습니다.
- *Lotes*: GPU AI 서버 관련 신제품(SoCAMM, UQD 등)을 공급하지만, 출하량 둔화로 인한 부정적 영향과 경쟁 심화 가능성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하향했으며 투자의견은 중립을 유지했습니다.
- *ITEQ*: 중·저가 CCL 위주의 포트폴리오로 높은 이익률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추가적인 AI 서버 둔화까지 겹쳐 수익성 개선 폭이 제한적이라고 판단, 매도 의견을 유지했습니다.
citeturn0file2

---

요약적으로:
- AI 트레이닝 서버(GPU 위주) 수요 전망이 이전보다 눈에 띄게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2025~26년 중 차세대 GPU 전환과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들의 Capex 조정, 그리고 생산 공정 복잡도 등으로 인해 출하량이 예상치보다 부진할 것으로 보입니다.
- 반면 기존 베이스보드 기반 고성능(AI) 서버나 ASIC AI 서버, 추론 서버는 상대적으로 수요 변동 폭이 크지 않으며, 일반 서버 시장은 교체 사이클로 인해 소폭 성장할 전망입니다.
- 이러한 흐름에 따라 반도체 제조장비 업종(특히 후공정 장비 회사)과 AI 서버 부품·소재주(대만·일본 등) 역시 목표주가·실적 전망이 일부 하향되었습니다. 다만 중장기적으로 AI 확산이 가져올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 추세 자체가 중단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 일부 회사는 생산 전환(차세대 모델)과 시장점유율 확대(고부가 소재·제품)로 성장성을 유지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Ko'proq funksiyalarni ochish uchun tizimga ki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