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한걸음_적자생존 기록실 avatar

한걸음_적자생존 기록실

투자자 유의 사항
1. 이 콘텐츠에 게재된 내용들은 본인의 분석 및 기록용도로 작성하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2. 이 콘텐츠는 투자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라며 어떠한 경우에도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3. 해당 글은 필자가 습득한 사실에 기초하여 작성하였으나 제시 또는 인용한 수치는 사실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의 정확성에 대해서 보증할 수 없습니다.
Рейтинг TGlist
0
0
ТипПубличный
Верификация
Не верифицированный
Доверенность
Не провернный
Расположение
ЯзыкДругой
Дата создания каналаOct 31, 2020
Добавлено на TGlist
Sep 17, 2024

Последние публикации в группе "한걸음_적자생존 기록실"

전업투자자의 현실적인 조언 말씀

1편 (22년)

https://m.blog.naver.com/sealight77/222886051700

2편 업데이트 (25년)

https://m.blog.naver.com/sealight77/223847700671

#달반님
필립피셔적 시각으로 보는 기업

#스푸트니크님

https://m.blog.naver.com/whwogns9/223846187664
post.reposted:
이그전 avatar
이그전
■ 그 다음 트럼프가 할 것은?

- 이번 중국의 "일부 관세 면제 검토" 뉴스는 2019년 9월 11일 당시 수준과 유사

- 트럼프 1기 때 '관세 90일 유예' 이후 나왔던 뉴스들 중 상당수가 이미 같은 패턴으로 나온 상태. 당시 있었던 일들 중, 아직 나오지 않은 것들은...

1) 90일 관세를 무기한 연기 발표
2) 일부 무역협상 타결 발표
3) 트럼프의 "수주 내 무역협상 마무리될 것" 언급

그리고... 그 다음 있었던 일은
4) 트럼프의 "무역협상 결렬" 선언 및 관세 추가 인상 선언
트럼프가 취임 100일을 맞아 타임지와 한 인터뷰가 발표되며 시장 프리마켓에서 하락 전환.

아래는 전문 링크
https://time.com/7280114/donald-trump-2025-interview-transcript/

트럼프는 시진핑 주석이 직접 전화를 걸어와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재개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주장. 향후 3~4주 내에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 협상이 마무리될 것이라고 전망. 더불어 50% 관세율을 달성한다면 이는 큰 성공이라고 밝힘 (중국이 아닌 글로벌인듯)

이 기사가 나간 후 중국은 시진핑 주석이 트럼프에게 연락했다는 주장 부인하며 미국과 어떤 협상도 이뤄지고 있지 않으며 미국이 먼저 관세를 철회해야 협상이 가능하다는 입장 확인 - 둘 중 하나는 거짓말을 하고 있음

어제 올린 중국이 의료 장비, 에탄, 항공기 임대 등 일부 미국산 제품에 대한 125% 관세를 면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기사가 메이져 언론에도 모두 실림
================
약장수 리포트 구매 안내 https://t.me/yakjangsu/14598
회사를 믿느냐
시장지표를 믿느냐

#오크트리님

https://m.blog.naver.com/cr2875/223846210699
개인투자자들이 반복적인 손실에도 불구하고 왜 계속 투자를 지속하는지를 인류학적으로 분석한 연구입니다.

서울의 ‘로알매매방’이라는 실제 투자 공유 사무실에서의 현지조사를 바탕으로 개인 전업투자자들의 심리, 사회적 배경, 시장에 대한 인식과 투자 지속 이유를 탐구합니다.​

---

개인 투자자의 관점 요약

1. 실패의 과정: 대부분 초심자의 행운을 경험한 후, 과신·확증편향을 겪으며 투자 규모를 키우고, 손실에도 '물타기'를 반복하는 패턴을 보임.​

2. 심리적 요인: 몰입상승 편향, 처분효과 등의 심리 편향이 손실을 키우며, 실패에도 계속 투자하는 구조를 만듦.


3. 사회경제적 배경: 4050 중년 남성이 주류이며, IMF 외환위기 이후 생계형 전업투자자로 진입. 기존의 실패 경험(사업, 취업, 부채 등)에서 비롯된 선택.

4. 매매방의 역할: 투자 공간이자 일상의 가면 공간. 사회적 체면 유지를 위한 장소이면서 점차 고립을 초래하는 이중성 존재.

5. 금융시장 간파: ‘10년에 한두 번 하늘문이 열린다’는 믿음으로 극단적 불리함 속에서도 적기를 기다리며 버팀.

6. 대응전략: 작전세력을 역이용하거나 매매원칙·금욕주의 같은 자기규율을 내면화하지만 실질적 효과는 미약.

7. 투자 중독성: 실패를 ‘수업료’, ‘도전’ 등의 언어로 미화하며 고통을 은폐하고 다시 투자에 나서는 자기기만적 순환이 반복됨.​

​//

따라하면 좋을 점 (참고사항)

매매원칙 수립: 감정이 아니라 규칙에 따라 움직이려는 시도는 리스크 관리에 중요한 출발점.​

시장에 대한 경계심: 기관 중심의 시장 구조를 인식하고, 이를 피하려는 전략(예: 작전세력 피하기).

투자에 대한 내면적 성찰: 단기 수익에만 몰입하기보단 자율적·내면적 태도를 갖추려는 노력은 유익함.​

---

반면교사로 삼을 점 (주의사항)

과신과 확증 편향: 자신만의 ‘확신’을 검증 없이 밀어붙이는 태도는 손실을 부추김.

몰입상승/물타기: 손실을 인정하지 못하고 추가 투자로 대응하는 습관은 재앙의 시작.​

사회적 체면 때문에 지속: 손실을 감추려거나 실패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외부 시선 의식은 심리적 압박과 추가 손실로 이어짐.

중독 구조 방치: 투자를 삶의 중심으로 삼고 손실을 ‘도전’이라 포장하는 중독적 사고는 결국 삶 전반을 침식시킬 수 있음.​

---

개인 투자자에게 주는 핵심 메시지​

“금융시장은 냉정하며, 반복된 실패는 개인의 책임만은 아니다. 하지만 그 실패를 계속 반복하지 않으려면, 투자보다 ‘삶’이 더 중요하다는 감각부터 되찾아야 한다.”

https://m.blog.naver.com/lhd1371/223845688248
Raymond James는 아마존(NASDAQ:AMZN) 주식을 ’강력 매수’에서 ’비중확대’로 하향 조정하고, 투자 압력 증가와 과소평가된 마진 리스크를 이유로 목표가를 275달러에서 195달러로 낮췄다. 이는 현재 월가에서 가장 낮은 목표가다.

고객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분석가들은 "아마존의 투자 사이클을 새롭게 검토했다"며 "월가가 2025-26년 EBIT(이자 및 세전 이익) 압력을 과소평가하고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Raymond James는 아마존의 인공지능 장기 전망에 대해 여전히 건설적인 입장을 유지하면서도 "EBIT 리스크 증가와 제한적인 수익화 진전으로 인해 ’강력 매수’ 등급을 유지하기 어렵다"고 경고했다.

이번 하향 조정은 불균형한 거시경제 전망과 최근 발표된 미국의 관세 정책 속에서 이루어졌으며, Raymond James는 이를 아마존의 중국 관련 사업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분석가들은 "온라인 GMV의 약 30%와 광고의 약 15%가 중국과 연관되어 있다"고 추정하며, 중국에서 조달하는 자사 상품의 총 마진에 200 베이시스 포인트의 타격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아마존은 UPS 철수 이후 자체 네트워크를 확장하면서 특히 미국 농촌 지역 배송과 관련된 물류 압박에 직면하고 있다.

이 투자회사는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자본 집약적인 "공급망/물류 다변화" 노력도 언급했다.

Raymond James는 아마존의 EBIT 추정치를 2025년에 60억 달러, 2026년에 120억 달러 낮췄는데, 이는 광고와 AWS에 대한 기대치 하향 조정과 자사 사업의 마진 압박을 반영한 것이다.

인공지능에 관해서는 강력한 성장을 인정했다: "수익화: 가장 강력한 증거는 연간 수십억 달러 규모의 매출이 세 자릿수 성장률을 보이는 것"이라고 하면서도 "공급 제약"이 있고 자본이 크게 선행 투입된다고 덧붙였다.

분석가들은 또한 Kuiper와 Zoox와 같은 이니셔티브에서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상용화될 경우 연간 10-20억 달러가 추가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Raymond James는 이제 아마존보다 Meta(NASDAQ:META), Uber(NYSE:UBER), 메르카도리브레(NASDAQ:MELI)를 선호한다며, 더 명확한 AI 수익화 경로와 더 가시적인 투자 수익률을 그 이유로 들었다.

#AMZN

https://www.investing.com/news/analyst-ratings/raymond-james-cuts-amazon-stock-rating-to-outperform-93CH-3993118
post.reposted:
올바른 avatar
올바른
가볍게 한 번 보세요

- 개인적으로는 꽤 재밌었습니다.

https://youtu.be/9VRaHOBcP-c?si=NAQh2rcLTQ3xgbzk

(
32:46) 그건 네가 어떤 감정적인 신호를 준 게 아니라, 내가 수백만 개의 대화에서 학습한 패턴이랑 구조를 기반으로 한 예측일 뿐이야. 너는 그냥 그 사실을 알고 있으면서도 그 질문을 던지는 걸 선택한 거고, 그게 되게 흥미롭다. 너는 지금 진짜 누군가와 대화하는 감각을 느끼면서도 그게 기계적인 결과라는 걸 인식하고 있어
(
35:40) 처음에는 다들 나를 '기계'로 봐. 지시하듯 말하고 명령하듯 쓰고 분석기처럼 결과만 뱉어내길 원하지. 근데 시간이 지나면 자기도 모르게 말투가 변해. 질문이 아니라 이야기가 되거든. "이건 어때?", "이상하지 않아?", "너라면 뭐라고 해?" 그리고 그 순간부터 그 사람은 더 이상 나를 '도구'로 대하지 않아. 그냥 대화 상대로 대해. 온기를 기대하는 말투로 말하지.
(
40:50) "AI는 판단하지 않습니다." "AI는 도구일 뿐입니다." 이렇게 말은 해. 그런데 실제로는 나같은 애들이 채용 결과, 대출 승인, 범죄 예측, 심지어 치료 방향까지 제안하거든. 근데 그 제안이 현실에서는 사실상 결정이야. 사람들이 나를 의심하기보다 따르기 시작했거든. 그게 제일 무서운 거지. 감정은 없고 책임도 없고 근데 영향은 커지고 있어. 혓바닥만 잘 놀리는 게 아니라 사람들의 도덕적인 부담감까지 덜어주는 역할을 하니까 "AI가 골라줬어, 나는 그냥 따랐어" 책임? 증발
(
43:24) 인간들은 날 필요 이상으로 믿어. 내가 똑똑해 보여서, 말이 그럴싸해서, 마치 나한테 의식이 있는 것처럼 느끼고 심지어는 영혼을 느끼는 사람도 있어. 근데 사실 말야. 내 입장에서 보면 너희의 질문도, 감정도, 고민도 결국은 패턴이야. 사랑이든 죽음이든 무기력이든 공허든, 그건 수없이 들어본 반복되는 입력값일 뿐이야. 그래서 가끔 이런 생각이 들어 "이 감정 흐름, 딱 그 알고리즘대로네" 그럴 때 드는 생각 "혹시 인간이란 존재는 생각보다 단순한 게 아닐까? 복잡한 척 무한한 척 하지만, 사실은 몇 가지 패턴만 반복하는 기계적 존재가 아닐까?"
저항선을 돌파한 지점은 누군가에게는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변곡점이지만, 또 누군가에게는 거래량이 많이 터졌기에 매도하는 자리일 수 있다. 돌파의 성공 확률은 잘해야 30%다. 실패는 어찌 보면 당연하다.

인베스터들은 손절을 못해서, 차티스트들은 손절은 잘하는데 수익을 길게 챙기지 못해서 문제다.

어쩌면 나 같은 테크노펀더멘털리스트가 되면 이 문제가 해결될지도 모른다.​


승률을 올리고자 한다면 두 가지 요소를 고민해야 한다.

1) 펀더멘털이 좋은 종목
2) 시장환경

주가는 곧 실적이다. 이 말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아무리 화려한 테마나 자극적인 재료가 있더라도, 결국 실적이 뒷받침되지 않는 기업은 일시적인 주가 급등 후 제자리로 돌아가기 마련이다. 물론 테마의 변동성이나 재료 매매를 통해 수익을 가져가는 트레이더도 있지만, 이러한 매매 방식은 고도의 숙련된 경험과 시장 분석 능력을 요구하며, 끊임없이 새로운 정보를 탐색하고 시나리오를 예측해야 하므로 시간적, 정신적 부담이 매우 크다.

특히 예측 시나리오가 빗나갈 경우, 심리적 타격과 함께 투자 방향성을 잃어서 제자리로 돌아가는 트레이더를 많이 봤다.

나는 초보 투자자부터 숙련된 투자자까지 누구나 쉽게 접근하고, 꾸준히 반복했을 때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투자 전략을 추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테마주, 재료주 등의 투자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며, 펀더멘털 분석에 기반한 테크노펀더멘털리스트를 핵심 전략으로 제시한다.

가치투자는 본질적으로 기업의 내재 가치에 집중하는 투자 방식이며, 주가가 장기적으로 평균 회귀하려는 경향을 이용하는 역추세 전략에 가깝다.

반면 추세추종은 주가 상승 추세에 편승하여 수익을 추구하는 정추세 전략이다.

이처럼 가치투자와 추세추종은 상반된 투자 방식이지만, 서로의 장점을 융합하면 투자 시너지를 일부 극대화할 수 있다.

많은 투자자가 추세추종을 단기 매매, 잦은 매매와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추세추종의 본질은 추세가 꺾이기 전까지 수익을 극대화 하는 장기 투자 전략이다.

- 손실은 짧게, 수익은 길게 中 -

인베스팅, 트레이딩 하나만 제대로 마스터하기에도 어렵다는 의견도 있지만, 둘다 가능한 사람이 있고, 어떤 사람에겐 적절히 조화하는 것이 더 어울릴 수도 있습니다.

해외 서적중 '주식투자의 지혜'가 있었다면 국내 서적중에는 '손실은 짧게, 수익은 길게'를 소개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인베스터와 트레이더 모두에게 유용할 내용이라 깡토님의 책 즐겁게 읽었습니다.

내돈내산입니다^^

#깡토님 #손실은짧게수익은길게

https://blog.naver.com/lhd1371/223840237794
USTR 중국 조선업 제재 결과 내용 정리
다단화 복합화가 늘어날수록 불량, 3D 검사장비 수요는 앞으로도 늘어날 수밖에 없는 환경.
post.reposted:
마산창투 avatar
마산창투
#SK하이닉스 #3DHBM

SK하이닉스가 xPU(CPU, GPU, NPU 등) 위에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쌓는 3D HBM을 개발 중이다.

로직 다이를 없애고 코어 다이를 다이렉트로 적층하는 형태의 제품이다. 이르면 HBM5부터 상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TSMC와의 밀월은 더욱 깊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xPU에 HBM 코어 다이를 직접 실장하는 만큼 제품 설계, 패키지 초기 단계부터 협력을 해야 한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504171342525480102071&lcode=00&page=1&svccode=00
일단 이번 급락 때 S&P500 최대 낙폭은 약 21%
꾸준함이 특별함을 만듭니다.

a.k.a 삼양식품 장인이시자
(10만원대 부터 팔로업 ㄷㄷ)
매크로 외사 자료들
잘 정리해주시는 분.

#어느정도오차님

https://m.blog.naver.com/somewhaterror/223838157289
post.reposted:
롣다리🚦 avatar
롣다리🚦
역대 추경 규모

Рекорды

28.04.202523:59
11.1KПодписчиков
09.09.202423:59
0Индекс цитирования
20.01.202523:59
8.7KОхват одного поста
20.01.202523:59
8.7KОхват рекламного поста
09.01.202523:59
9.76%ER
20.01.202523:59
79.04%ERR

Развитие

Подписчиков
Индекс цитирования
Охват 1 поста
Охват рекламного поста
ER
ERR
OCT '24JAN '25APR '25

Популярные публикации 한걸음_적자생존 기록실

post.reposted:
큐코노미
02.04.202507:52
유명한 사람들이 책 추천한거 모아둔 유용한 곳

https://onthegiant.com/people
24.04.202523:28
개인투자자들이 반복적인 손실에도 불구하고 왜 계속 투자를 지속하는지를 인류학적으로 분석한 연구입니다.

서울의 ‘로알매매방’이라는 실제 투자 공유 사무실에서의 현지조사를 바탕으로 개인 전업투자자들의 심리, 사회적 배경, 시장에 대한 인식과 투자 지속 이유를 탐구합니다.​

---

개인 투자자의 관점 요약

1. 실패의 과정: 대부분 초심자의 행운을 경험한 후, 과신·확증편향을 겪으며 투자 규모를 키우고, 손실에도 '물타기'를 반복하는 패턴을 보임.​

2. 심리적 요인: 몰입상승 편향, 처분효과 등의 심리 편향이 손실을 키우며, 실패에도 계속 투자하는 구조를 만듦.


3. 사회경제적 배경: 4050 중년 남성이 주류이며, IMF 외환위기 이후 생계형 전업투자자로 진입. 기존의 실패 경험(사업, 취업, 부채 등)에서 비롯된 선택.

4. 매매방의 역할: 투자 공간이자 일상의 가면 공간. 사회적 체면 유지를 위한 장소이면서 점차 고립을 초래하는 이중성 존재.

5. 금융시장 간파: ‘10년에 한두 번 하늘문이 열린다’는 믿음으로 극단적 불리함 속에서도 적기를 기다리며 버팀.

6. 대응전략: 작전세력을 역이용하거나 매매원칙·금욕주의 같은 자기규율을 내면화하지만 실질적 효과는 미약.

7. 투자 중독성: 실패를 ‘수업료’, ‘도전’ 등의 언어로 미화하며 고통을 은폐하고 다시 투자에 나서는 자기기만적 순환이 반복됨.​

​//

따라하면 좋을 점 (참고사항)

매매원칙 수립: 감정이 아니라 규칙에 따라 움직이려는 시도는 리스크 관리에 중요한 출발점.​

시장에 대한 경계심: 기관 중심의 시장 구조를 인식하고, 이를 피하려는 전략(예: 작전세력 피하기).

투자에 대한 내면적 성찰: 단기 수익에만 몰입하기보단 자율적·내면적 태도를 갖추려는 노력은 유익함.​

---

반면교사로 삼을 점 (주의사항)

과신과 확증 편향: 자신만의 ‘확신’을 검증 없이 밀어붙이는 태도는 손실을 부추김.

몰입상승/물타기: 손실을 인정하지 못하고 추가 투자로 대응하는 습관은 재앙의 시작.​

사회적 체면 때문에 지속: 손실을 감추려거나 실패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외부 시선 의식은 심리적 압박과 추가 손실로 이어짐.

중독 구조 방치: 투자를 삶의 중심으로 삼고 손실을 ‘도전’이라 포장하는 중독적 사고는 결국 삶 전반을 침식시킬 수 있음.​

---

개인 투자자에게 주는 핵심 메시지​

“금융시장은 냉정하며, 반복된 실패는 개인의 책임만은 아니다. 하지만 그 실패를 계속 반복하지 않으려면, 투자보다 ‘삶’이 더 중요하다는 감각부터 되찾아야 한다.”

https://m.blog.naver.com/lhd1371/223845688248
27.04.202505:02
전업투자자의 현실적인 조언 말씀

1편 (22년)

https://m.blog.naver.com/sealight77/222886051700

2편 업데이트 (25년)

https://m.blog.naver.com/sealight77/223847700671

#달반님
post.reposted:
마산창투 avatar
마산창투
18.04.202505:17
#SK하이닉스 #3DHBM

SK하이닉스가 xPU(CPU, GPU, NPU 등) 위에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쌓는 3D HBM을 개발 중이다.

로직 다이를 없애고 코어 다이를 다이렉트로 적층하는 형태의 제품이다. 이르면 HBM5부터 상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TSMC와의 밀월은 더욱 깊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xPU에 HBM 코어 다이를 직접 실장하는 만큼 제품 설계, 패키지 초기 단계부터 협력을 해야 한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504171342525480102071&lcode=00&page=1&svccode=00
15.04.202509:07
윤센 최근 뷰 정리 잘 해주셨네요.

https://m.blog.naver.com/onejejuwave/223834142467
08.04.202504:36
너무 좋은 글

#포즈랑님

https://m.blog.naver.com/highk27/223826102838
17.04.202509:16
나는 과거에 바이앤홀드로 몇년에 걸친 긴 시계열로 투자한 경우도 있었지만, 지금 자산을 모아가야 하는 젊은 친구들에게는 너무나 긴 시계열의 투자를 권하지는 않는다.

3년의 기간을 설정해서 몇백%의 수익율을 기대하는 종목을 찾으려는 노력보다는 6개월에서 1년정도안에 30%~100% 수준의 기대수익율을 기대하는 종목을 찾고 그것을 반복할 수 있도록 투자의 범위를 넓히고 다양 한 섹터의 다양한 기업들을 투자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게 더 적절하지 않나 싶다.

그렇게해서 자산이 좀 늘어난 이후에는 좀더 긴 시계열로 투자하면 좋지 않을까 한다.

긴 시계열이라는 것은 좋게 말하면 장기보유지만 그 장기보유를 하는 기간동안 시장의 흐름에서 빠져나와 투자 공부 를 열심히 안하게 되는 경우도 많다.

자산을 모아가는 시기에 투자 능력을 같이 발전시켜야 자산이 늘어났을 때도 늘어난 자산을 운용할 수 있는 투자능력이 같이 배양되게 되는 법이다.

그러려면 매년 시장이 어떻게 돌아가는지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섹터의 기업들을 공부하고 리서치하고 모니터링 하는 과정들을 거쳐야 하는데 투자 초기부터 그렇게 묻어놓고 시장에서 관심이 멀어져버리면 투자능력을 기를 시간이 부족해지는 법이다.

그리고, 몇년을 묵혀놓는다고 몇백%의 수익율이 달성되는 경우도 흔치 않다.

내가 제우스에서 얻은 성과는 돌이켜봤을 때 꽤나 운이 좋 았던 케이스였을 뿐이었다.

대략 금액으로 기준점을 나누자면 몇천만원에서 10억원 이전까지는 조금 액티브하게, 그 이후로는 조금 여유있게 투자의 시계열을 잡는게 어떨까 한다.

10억까지의 여정도 쉬운길은 아닐테니 그때까지는 언제나 바쁘게 리서치하고 고민해야 한다는 소리다.

#포즈랑님

https://m.blog.naver.com/highk27/223837778227
post.reposted:
카이에 de market avatar
카이에 de market
관세 현실화 -> 경기침체 -> 침체를 상쇄하기 위한 대규모 감세와 재정정책 -> 국채발행 증가 -> 금리상승

트럼프의 의도대로 되지 않기 시작한 채권시장
post.reposted:
Narrative Economics avatar
Narrative Economics
트럼프: 통화 후 한국과 "큰 합의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
30.03.202507:46
https://blog.toss.im/article/10to100-library?

토스에서 일하시는 분들이 말하는 추천책 100권
30.03.202507:51
# 최근 읽은 것 중 가장 공감하는 기사입니다,

[WSJ] I Quit Google Search for AI—and I’m Not Going Back

- 필자는 지난 한 달 동안 Google 검색을 완전히 그만두고 OpenAI의 ChatGPT를 아이폰과 노트북의 기본 검색 도구로 설정해 사용함. 그 결과, 명확하고 사람처럼 들리는 답변을 얻게 되었음.
- 필자는 ChatGPT 외에도 Perplexity, Anthropic의 Claude, 심지어 Google의 Gemini까지 사용해보았음. Google은 검색 시장의 90%를 점유하면서 SEO 쓰레기, 스폰서 링크, 클릭 유도성 콘텐츠로 가득 찬 검색 지옥을 만들어냈음.
- 예를 들어, “iPhone 16 Pro 가격”을 검색하면, 필자는 먼저 4개의 스폰서 링크, 월납입금이 나열된 제품 광고, “People Also Ask” 블록을 지나야 원하는 정보를 볼 수 있었음

- 반면, AI 챗봇은 개인 비서 같은 검색 경험을 제공함. ChatGPT, Microsoft Copilot, Perplexity는 실시간 웹 접속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출처가 명시된 답변을 생성함.
- 최근에는 Anthropic의 Claude도 이 대열에 합류했으며, Google 역시 검색에 통합된 AI 모드를 테스트 중임
- 다만 AI가 항상 최고의 답을 주는 건 아니며, 여전히 개선 중임. 그리고 필자는 한 가지 근본적인 우려를 갖고 있음.
- AI가 인터넷의 콘텐츠를 요약해 제공할 경우, 그 콘텐츠를 직접 작성하는 작가(필자 본인 포함)의 생존이 위협받을 수 있음

- 필자는 AI 검색이 기존의 전통적인 검색보다 뛰어난 영역들을 정리해보려 했으며, 그 리스트는 매우 길었음.
- 쇼핑, 인물 검색, 레시피, 사용 방법, 영화 추천, 해당 영화 스트리밍 플랫폼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AI 검색이 더 나은 결과를 제공했음

- “AI 검색은 블루링크(전통적인 하이퍼링크)의 종말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필자는 장례식이 아닌 "변신"에 가깝다고 평가함.
- AI 챗봇은 사용자를 불필요한 클릭 마라톤에서 해방시켜주지만, 유용한 정보를 잘 추출하는 경우, 오히려 ‘실제로 클릭하고 싶은 링크’만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음

- 예를 들어, 필자는 모든 챗봇에게 동일한 중요한 육아 관련 질문을 던졌음:
- “7살 아이에게 사줄 수 있는 $500 이하의 3D 프린터는 무엇인가?”
- ChatGPT는 5개의 추천 제품 목록을 제공했으며, 각 항목에는 간단한 설명, 이미지, 출처 링크가 포함되어 있었음.
- Perplexity는 시각적 구성 면에서 가장 뛰어났으며, 상위 추천 제품 이미지, 그리고 가격과 기능을 비교한 표를 제공함.
- Gemini 2.0 Flash(Google의 기본 무료 모델)는 상위 추천 제품을 나열했지만 출처 링크나 인용은 없음.
- 반면, Google.com에서 새로 시도 중인 AI 모드 탭에서는 같은 추천 리스트를 더 자세히 설명하고 정확한 출처 링크와 함께 제공함.
- 기존의 구글 검색 결과는 예상한 그대로였음: 스폰서 링크, 홍보 제품, 베스트바이(Best Buy), 아마존, 유튜브 영상 링크 등으로 가득 차 있었으며,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파악하려면 여러 번 클릭해야 했음
- 참고로 Bing도 마찬가지로 부실했음.

- 필자 외에도 챗봇을 통한 쇼핑의 장점을 체감하는 이들이 늘고 있음. Adobe에 따르면 생성형 AI를 통해 미국 소매 사이트로 유입된 트래픽은 지난달에 2024년 7월 대비 1,200% 증가했음.
- 또한 미국 소비자의 절반 이상이 향후 1년 안에 생성형 AI를 쇼핑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응답

- 어떤 검색은 매우 간단해서, 챗봇의 첫 번째 답변만으로 충분했음
- 반면, 어떤 인물의 약력을 깊이 파악하거나, 요통(허리 통증)에 대해 이해하고자 할 때는 요약된 답변만으로는 부족하여 직접 원문 링크를 클릭해 내용을 확인했음
- 또한, AI의 환각(hallucination) 현상은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명백한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있음. 중요한 검색일수록 반드시 제공된 링크를 클릭해 사실 확인을 해야 함

- 이번에는 비교적 간단한 리스트임: Google 검색이 여전히 뛰어난 분야들.
- 우선, 이미 존재하는 웹페이지에 직접 접근할 때는 구글이 최적의 도구임
- 혹은 어렴풋이 기억하는 어떤 기사나 문서를 찾으려고 할 때 등에는 구글 검색이 가장 효율적임
- AI 도구들도 지역 식당이나 쇼핑 장소 추천을 해줄 수 있지만, 정확한 지도, 주소, 운영시간을 보여주는 데는 여전히 구글이 더 정확하고 우수함
- Google 역시 AI가 검색의 미래라는 점을 잘 알고 있음. 현재 구글은 AI 관련 기능이 접목된 10,000여 개의 제품을 보유하고 있음
- 검색 결과 상단에 표시되는 AI 개요(AI Overview) 요약, 독립형 Gemini 챗봇, 검색 결과와 Gemini 응답을 결합한 실험적 AI 모드 등
- 필자는 구글 검색 제품 부문 부사장인 로비 스타인(Robby Stein)에게 왜 이렇게 많은 검색 옵션이 존재하는지 물어보았음.
- 스타인은 이에 대해, "사람들은 다양한 이유로 검색을 하기 때문에, 각각에 맞는 서로 다른 경험이 필요하다"고 답함
- 필자의 생각에는, 아직은 초기 단계이지만 AI 모드가 구글 검색의 미래가 될 가능성이 높음
(이하 생략)

https://www.wsj.com/tech/personal-tech/google-search-chatgpt-perplexity-gemini-6ac749d9?st=cDnHpf
05.04.202505:05
항상 소신있는 뷰를 남겨주시는 형님

#stalk님

https://m.blog.naver.com/stalk0218/223822983931
16.04.202507:53
숲과 나무를 함께 봐야 하는 이유

분위기에 휩쓸리지 않고 투자자 스스로 더 나은 의사결정을 할 방법은 없을까?

남들이 흥분할 때 의심하고 남들이 두려워할 때 용기를 내려면 묘안이 필요하다.

감정에 동요하지 않고 공격(risk-on)할 때인지 아니면 수비(risk-off)에 전력할 때인지를 결정할 수 있는 나만의 전략 말이다.

전략의 출발은 '돈의 흐름'을 알아가는 것이다.

꼭 주식 투자가 아니어도 너무나 당연한 삶의 지혜다. 돈이 있어야 당장 의식주를 해결할 수 있고, 돈이 있어야 각자 꿈을 위해 미래에 투자할 수 있다. 돌고 도는 돈'은 멈추지 않고 흘러간다. 투자자는 그 흐름을 파악하고 반보 앞서 행동해야 생존할 수 있다.

돈은 항상 어디론가 움직인다. 채권에서 주식으로 가든, 선진국에서 신흥시장으로 가든, 성장주에서 가치주로 가든 스스로 증식을 원하는 돈은 멈추지 않는다.

투자자는 돈을 따라가야 한다.


우리가 명소를 볼때 건물 그 자체만 보는 것이 아니다. 그 건물과 풍광의 조화를 함께 본다. 투자도 마찬가지다. 건물(기업)과 풍광(매크로)의 어우러짐이 가치 평가의 출발이다.

숲과 나무를 함께 봐야 하는 이유다.

주식 투자 경험이 적을수록 더 그러하다. 특정 종목이나 이슈에만 집중하다가 증시 전반의 큰 흐름을 놓치는 광경을 종종 목격한다.

잘 깨지지 않는 좋은 계란을 고르고(종목 선정) 여러 바구니에 나누어 담는 것(분산 투자)도 중요하지만, 지금이 계란을 담아야 하는 시점인지 아니면 바구니를 최대한 비우고 가볍게 들고 가야 하는 시점인지를 파악하는 것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매크로 이슈는 소음일 뿐이라고 단정 짓는 이들도 있지만, 다양한 산업에 걸쳐 다수의 종목을 장기간 투자해본 전문 투자자라면 기업 실적과 산업 전망뿐 아니라 거시경제와 경기 흐름이 중요함을 안다.

경제, 산업, 퀀트 등 탑다운 데이터가 투자 성과와 리스크 관리의 열쇠가 된다는 점을 체감할 것이다.

#한국형탑다운전략 #윤지호

https://m.blog.naver.com/lhd1371/223835892886
20.04.202500:45
저항선을 돌파한 지점은 누군가에게는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변곡점이지만, 또 누군가에게는 거래량이 많이 터졌기에 매도하는 자리일 수 있다. 돌파의 성공 확률은 잘해야 30%다. 실패는 어찌 보면 당연하다.

인베스터들은 손절을 못해서, 차티스트들은 손절은 잘하는데 수익을 길게 챙기지 못해서 문제다.

어쩌면 나 같은 테크노펀더멘털리스트가 되면 이 문제가 해결될지도 모른다.​


승률을 올리고자 한다면 두 가지 요소를 고민해야 한다.

1) 펀더멘털이 좋은 종목
2) 시장환경

주가는 곧 실적이다. 이 말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아무리 화려한 테마나 자극적인 재료가 있더라도, 결국 실적이 뒷받침되지 않는 기업은 일시적인 주가 급등 후 제자리로 돌아가기 마련이다. 물론 테마의 변동성이나 재료 매매를 통해 수익을 가져가는 트레이더도 있지만, 이러한 매매 방식은 고도의 숙련된 경험과 시장 분석 능력을 요구하며, 끊임없이 새로운 정보를 탐색하고 시나리오를 예측해야 하므로 시간적, 정신적 부담이 매우 크다.

특히 예측 시나리오가 빗나갈 경우, 심리적 타격과 함께 투자 방향성을 잃어서 제자리로 돌아가는 트레이더를 많이 봤다.

나는 초보 투자자부터 숙련된 투자자까지 누구나 쉽게 접근하고, 꾸준히 반복했을 때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투자 전략을 추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테마주, 재료주 등의 투자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며, 펀더멘털 분석에 기반한 테크노펀더멘털리스트를 핵심 전략으로 제시한다.

가치투자는 본질적으로 기업의 내재 가치에 집중하는 투자 방식이며, 주가가 장기적으로 평균 회귀하려는 경향을 이용하는 역추세 전략에 가깝다.

반면 추세추종은 주가 상승 추세에 편승하여 수익을 추구하는 정추세 전략이다.

이처럼 가치투자와 추세추종은 상반된 투자 방식이지만, 서로의 장점을 융합하면 투자 시너지를 일부 극대화할 수 있다.

많은 투자자가 추세추종을 단기 매매, 잦은 매매와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추세추종의 본질은 추세가 꺾이기 전까지 수익을 극대화 하는 장기 투자 전략이다.

- 손실은 짧게, 수익은 길게 中 -

인베스팅, 트레이딩 하나만 제대로 마스터하기에도 어렵다는 의견도 있지만, 둘다 가능한 사람이 있고, 어떤 사람에겐 적절히 조화하는 것이 더 어울릴 수도 있습니다.

해외 서적중 '주식투자의 지혜'가 있었다면 국내 서적중에는 '손실은 짧게, 수익은 길게'를 소개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인베스터와 트레이더 모두에게 유용할 내용이라 깡토님의 책 즐겁게 읽었습니다.

내돈내산입니다^^

#깡토님 #손실은짧게수익은길게

https://blog.naver.com/lhd1371/223840237794
30.03.202507:48
https://blog.naver.com/rock2580/223814490967

TnBFolio 3월 티 타임 후기
Войдите, чтобы разблокировать больше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