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coin Community
Notcoin Community
Proxy MTProto | پروکسی
Proxy MTProto | پروکسی
Proxy MTProto | پروکسی
Proxy MTProto | پروکسی
iRo Proxy | پروکسی
iRo Proxy | پروکسی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Рейтинг TGlist
0
0
ТипПубличный
Верификация
Не верифицированный
Доверенность
Не провернный
Расположение
ЯзыкДругой
Дата создания каналаБер 09, 2020
Добавлено на TGlist
Вер 09, 2024

Популярные публикации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트럼프 형 이런데 어떻게 증산을 합니까??
서로 원하는 유가의 방향성이 다름
2024 주요 휴머노이드 로봇 비교

1. Sanctuary AI – Phoenix



키/무게: 170cm, 70kg

속도: 5km/h

특징: 사무, 물류, 서비스 산업에 적합. 인간 동작을 정교히 모방한 설계.


2. Agility Robotics – Digit



키/무게: 175cm, 64kg

속도: 5.4km/h

특징: 물류 및 창고 작업에 특화. 박스 운반, 배달 작업에 최적화.


3. Unitree Robotics – H1



키/무게: 180cm, 47kg

속도: 18km/h

특징: 빠른 이동성으로 감시, 순찰 등 보안 작업에 유리.


4. Boston Dynamics – HD Atlas



키/무게: 150cm, 47kg

속도: 8km/h

특징: 높은 민첩성으로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이나 구조 활동에 적합.


5. Tesla – Optimus Gen 2



키/무게: 180cm, 47kg

속도: 8km/h

특징: 대량 생산과 가격 경쟁력으로 공장 자동화 및 반복 작업에 최적화.


결론:
Tesla는 대중적 확산을 목표로 하고, Boston Dynamics는 특수 작업에 강점. Agility Robotics와 Sanctuary AI는 물류 및 서비스 산업에 적합하며, Unitree는 보안 작업에 최적화된 전략을 펼침.
05.02.202500:50
05.02.202500:50
주요 관세·정책 발표 시점: 그래프 상단에 미국(파란색 텍스트)과 중국(빨간색 텍스트)의 발표가 적혀 있으며, 각각의 타이밍에 맞춰 변동성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예: 2018년 3월 스틸·알루미늄 관세 → 변동성 급등

2018년 6월 500억 달러 관세 발표, 7~9월 추가 관세 시행(160억 달러·2000억 달러 등) → 변동성 추가 상승

2019년 5월 화웨이 제재, 600억 달러 관세 등 → 다시 변동성 급등

S&P 500의 추세: 무역전쟁 기간에도 지수는 전반적으로 상승 추세를 이어갔습니다. 즉, 장기적으로는 상승을 지속했으나, 무역전쟁 관련 주요 이슈 발표 때마다 단기 조정(하락) → 반등의 패턴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트럼프 1기 때 경험으로 보면 관세 자체가 중장기 추세를 바꿀만한 이벤트는 아닐 가능성이 높고 한번 학습한 내용이라 이전만큼의 충격은 주지 않을 것 같네요
미국 20년 이상 만기 국채 ETF(TLT)의 공매도 규모
는 역대급
그만큼 미국채 발행 물량과 인플레 우려가 높아진 상황
이번주 CPI, PPI 발표가 단기 추세의 분수령
숏이 몰린만큼 반대 급부도 클 수 있지만 트럼프가 관세로 워낙 흔들고 있는 상황이라 변동성 확대를 염두할 필요가 있어보임
24.02.202522:30
뉴욕증시는 다우만 소폭 오른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나스닥의 기술주 투매가 이어지며 나스닥은 수익률은 YTD -0.12%로 결국 마이너스 전환 했습니다.
반면에 코스피는 10.24%, 코스닥은 14.03%를 기록중인걸 보면 항상 쏠림은 부메랑으로 돌아오네요.

이날 빅테크 마이크로소프트가 최소 두 곳의 민간 데이터센터 운영자와 수백 메가와트 규모의 임대 계약을 해지했다는 소식이 AI 관련주와 에너지 관련주에 된서리를 뿌렸습니다.
AI 소프트웨어 대장주 역할을 하던 팔란티어는 이날도 10.53% 급락하며 나흘 동안 27.2% 내렸고 브로드컴(-4.91%), TSMC(-3.32%), AMD(-2.46%), 퀄컴(-2.62%) 밀리면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도 2.59% 하락했습니다.
전력 공급업체 비스트라(-5.11%), GE버노바(-3.65%), 콘스텔레이션 에너지는 5.88% 급락했습니다.

반면에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는 4분기 영업이익이 저년 동기 대비 71% 급증한 145억3언만 달러를 기록하는 등 강력한 실적을 내 4.11% 상승하며 역사적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나이키는 투자은행 제프리스가 목표주가를 75달러에서 115달러로 높힌데 힘입어 4.94% 상승하며 다우지수의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성장주가 부러지고 가치주는 버티는 2022년의 향기가 일단 좀 나네요. 인플레이션의 흐름과 그에 따른 금리 추이에 따라 쉬어 가는 구간일지 부러지는 벼랑일지가 판가름 나지 않겠나 싶네요.

채권금리는 안전자산 선호와 2년물 국채 호조에 2년물 금리는 1.9bp 내린 4.173%, 10년물은 1.8bp 하락한 4.402%를 기록했습니다.

유가는 이란의 석유 수출을 겨냥한 새로운 제재를 부과하면서 WTI 기준으로 0.43% 상승한 배럴당 70.70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다음주면 캐나다 멕시코에 대한 관세 유예가 끝남에 따른 관세 불확실성과 26일 장 마감 후 나오는 엔비디아 실적이 시장의 단기 포인트가 될 것 같습니다.
다른 기술 대비 AI의 도입 속도가 더 빠름
미국이 치고 나가고 중국이 쫓는 형세에 우리나라는 이전 기술에서의 치고 나가던 모습이 이번엔 전혀 보이지 않아 우려되는 상황
Here is a look at Bitcoin price performance from prior cycle lows

비트코인 저점 대비 상승률은 재탕 삼탕을 지날수록 크게 줄어드는 상황
레버리지 없이 비트코인 사서 큰 부자가 될 확률은 그만큼 낮아졌다고 볼 수 있을 듯
04.02.202522:22
뉴욕증시는 3대지수 모두 상승 마감했습니다.
중국이 미국산 수입품 일부에 보복관세를 단행했지만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 간 협상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에 하방 지지력을 제공했고 12월 구인/이직 보고서에서 고용 둔화 신호가 나타나면서 시장은 탄력을 받았습니다.

중국 정부는 이날 미국 정부가 자국에 부과한 10%의 추가 보편 관세에 대해 보복 관세로 대응해 아시아 시장에서 주가 지수 선물은 한때 급락하기도 했었는데요. 하지만 멕시코, 캐나다 사례를 볼 때 중국과도 협상을 위한 관세라는 인식이 커졌습니다.

이에 관세 영향으로 약세를 보였던 애플(+2.1%), 엔비디아(+1.71%), 테슬라(+2.22%)가 강세를 보였고 전일 AI 방위산업 업체 팔란티어가 굉장한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24% 급등하면서 구글(+2.5%), 메타(+0.96%), 아마존(+1.95), 마이크로소프트(+0.35%)도 강세를 보이며 M7 모두 올라 지수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반면 제약사 머크는 4분기 매출 호조에도 주력 의약품인 HPV 백신의 매출 감소 실망에 9% 넘게 급락했고 펩시코도 연간 순익이 월가 기대치를 못 미칠 것으로 전망하며 4.51%, 페이팔도 지난 4분기 마진 악화에 13.17% 내렸습니다.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구글도 EPS는 시장 전망치를 상회했지만 매출이 하회하면서 시간외로 8%대 급락 중입니다. 특히 클라우드 매출이 시장 전망치를 밑돌면서 실망감을 줬습니다.

이날 발표된 12월 JOLTs에 따르면 계절 조정 기준 구인 건수는 760만건으로 집계되며 예상치 800만건에 한참 못 미치며 14개월간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기록했습니다. 이에 국채 금리는 하락세를 보이며 2년물은 4.9bp 내린 4.216%, 10년물은 2.8bp 하락한 4.515%를 기록했습니다. 달러도 3거래일 만에 하락하며 달러인덱스 기준 0.87% 급락한 107.936을 기록했습니다.

유가는 WTI 기준으로 0.63% 내린 배럴당 72.70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10.02.202507:54
[한투증권 글로벌 주식전략팀] 미국 주식 Monthly: AI 관련 소프트웨어에 집중

● 금월 미국 주식 Top picks로 엘라스틱(ESTC)과 트레이드 데스크(TTD)를 제시
- DeepSeek 이슈로 소프트웨어 기업들의 AI 서비스 개발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되는 구간이기 때문
- 두 기업 모두 기존 솔루션에 AI를 도입해 일정 부분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공통점도 있음

● 엘라스틱(ESTC)
- 비용 감소로 AI 서비스 개발 수요가 늘어나면 데이터 플랫폼 업체를 활용하려는 니즈가 커질 것
- AI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필요한 데이터의 종류가 더욱 다양해질 것이기 때문에 엘라스틱의 벡터 검색 기능에 대한 수요도 늘어날 것

● 트레이드 데스크(TTD)
- 핵심 전방 시장인 CTV 광고 시장이 확대되는 구간에 진입
- 넷플릭스 등 주요 OTT와 일찍이 파트너십을 체결해 CTV 광고 시장에서 강력한 해자를 확보해뒀기에 외형 확대의 가장 직접적인 수혜 기대

● 반도체, 전기차, 건설장비 업종 내 최선호주는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AMAT), 테슬라(TSLA), 캐터필라(CAT)
-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반도체 장비 기업들의 4Q24 실적이 예상치를 상회하며 동사 실적에 대한 기대감 상승. 높았던 중국 매출 기저도 최근 낮아짐. 밸류에이션 부담도 낮은 구간
- 테슬라: 1) Model 2 출시, 2) FSD 매출 성장, 3) 로보택시 규제 완화 모멘텀 보유. 트럼프 정책 불확실성 높지만 peer 대비 영향 작을 것
- 캐터필라: 트럼프 행정부 인프라 정책 구체화 수혜 기업. 미국/해외 재건 및 에너지 운송 증대 예상. 밸류에이션 부담 제한적

*보고서: https://vo.la/gTkgXz
*텔레그램: https://t.me/chinaitev
03.02.202503:46
[한투 전략/시황 김대준] 코스피 하락 코멘트

- 코스피는 전일대비 3.0% 하락한 2,442p, 코스닥은 3.6% 내린 702p로 확인(12시 30분 기준)

- 설 연휴에 발생한 딥시크 충격이 가시기도 전에 트럼프 고관세 부과 현실화로 투자심리 경색

- 코스피 상장사 중 90% 이상 하락한 가운데 반도체, 2차전지, 가전, 자동차 등 수출주 급락

- 캐나다, 멕시코, 중국 관세 부과로 한국 기업 역시 고관세 리스크에 노출될 것이란 우려 심화

- 캐나다(LG엔솔, 포스코퓨처엠), 멕시코(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전자, 기아) 주재 기업 불안 확산

- 미국발 무역분쟁이 재개되면서 원/달러 환율은 1,470원 선까지 급등. 국내 수급 환경에 부정적

- 트럼프 2기 행정부 하에서 관세 불확실성은 지속될 것. 한국 관세 노출 전까지 불안심리 유지

- 대응 측면에서 관세 영향이 제한적인 산업에 집중할 것. 방어 성향이 강한 내수 업종이 대안

- 또한 캐나다 원유와 중국 관세율 제한에서 보듯이 미국에 필요한 산업은 저가 매수 가능할 것

- 기존 트럼프 수혜주로 볼 수 있는 조선, 방산, 원전, 전력, 바이오 등은 낙폭 확대 시 비중 확대

- 금일 코스피 낙폭은 커졌으나 2,400p 이하는 절대적 저평가 영역. 추후 방어가 시도될 수 있음

- 당사는 코스피 연간 하단으로 2,300p(12MF PER 8배, 12MT PBR 0.8배) 제시
러우 전쟁이 종결된 후 유럽과 러시아간 관계가 얼마나 회복되냐에 따라 에너지 가격의 변동성이 커질 수 밖에 없음
유럽 입장에서 러시아 물량을 다시 받긴 하겠지만 이전만큼 포지션을 늘리긴 힘들 듯
중국은 싸게 받던 러시아 원유 가격이 아무래도 좀 오를테고 미국은 유럽으로 나가던 물량을 어디로 또 돌릴지...

근데 트럼프 입장에서 에너지 가격이 내려가야 인플레가 잡히기 때문에 에너지 가격 하락이 나쁜 시나리오는 아닐 듯
그리고 미국 주식 시장의 집중도가 높다고 해서 더 큰 위험으로 이어지진 않았음
5년 평균 대비 가장 약세를 보인 통화는 위안화 그 다음이 원화네요

통화가 약세로 갈수록 수출 경쟁력은 올라가지만 그만큼 내수 소비가 커지긴 또 힘든 포인트가 되죠
그리고 미국이 이걸 아주 싫어함
여긴 딥시크 덕분에 분위기 좋음
Войдите, чтобы разблокировать больше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