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Реальна Війна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Україна Сейчас | УС: новини, політи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ачен пише

Анатолий Шарий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Реальна Війна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Україна Сейчас | УС: новини, політи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ачен пише

Анатолий Шарий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Реальна Війна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Україна Сейчас | УС: новини, політика

호그니엘
记录
26.04.202523:59
10.4K订阅者09.09.202423:59
0引用指数11.03.202503:55
4.6K每帖平均覆盖率11.03.202503:55
8.6K广告帖子的平均覆盖率19.03.202523:59
3.43%ER11.03.202503:55
46.14%ERR转发自:
ITM. IDEATOMONEY

09.04.202507:07
안녕하세요. 이언주 의원실입니다.
오늘 확대출범할 미래경제성장전략위원회 구성원 중 선대인 선대인경제연구소장은 최종 조율 과정에서 합류하지 않으시는 것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오늘 확대출범할 미래경제성장전략위원회 구성원 중 선대인 선대인경제연구소장은 최종 조율 과정에서 합류하지 않으시는 것으로 결정되었습니다.
无法访问
媒体内容
媒体内容
30.03.202523:10
[MS] 삼성전자 Samsung Electronics (005930.KS) Top Pick 선정
Memory – A Story of Buckets : Shawn Kim
(Morgan Stanley, 20250328)
한국 IT 섹터 – Memory: 버킷의 이야기
1. 투자 아이디어 요약
-메모리 업황은 3가지 버킷(① 상품성 메모리, ② HBM/AI, ③ 중국/DeepSeek 수요)에 의해 결정됨.
-HBM 마진 지속성과 2H25 반등에 대한 기대는 과도하게 낙관적일 수 있음.
-삼성전자는 현재 글로벌 사이클리컬 주식 중에서도 가장 저평가된 종목 중 하나로, 이번 보고서에서 Top Pick으로 신규 선정.
2. 메모리 시장 3대 변수 (시장 과소평가)
1) HBM 수요 둔화 및 경쟁 심화 우려
-한국 → 대만 HBM 수출 급감 (Exhibit 2)
-북미 Hyperscaler Capex 둔화
-2H25부터 HBM 경쟁 심화 전망
2) 중국 AI칩 규제 및 관세 우려에 따른 선행 수요 집중
-관세 및 제재 우려로 인한 전방 수요 당겨오기 발생
-이는 2H25 이후 수요의 역풍으로 작용 가능
3) 성장 둔화 조짐 확대
-소비심리지수, 여행·운송·소비 관련 코멘트 약화
-미국 소비자 신뢰지수 팬데믹 초 수준 회귀 (Exhibit 4)
-IT Capex 증가율 둔화 (2025: YoY -42bps)
3. 삼성전자 투자포인트 (Top Pick 선정 이유, 6가지)
1) HBM3e/4 수주 가능성 (옵셔널리티) : 2Q25 HBM3e 12-hi, 2H25 HBM4 수주 가능성
2) 공매도 금지 해제 수혜주 : 저평가 대형 가치주로 외국인 수급 유입
3) AI 반도체→Non-US 회귀 흐름의 수혜 : 미국 외 테크로 로테이션 가능성 부각
4) 엣지 AI 전략 강화 : 매출의 절반이 소비자 가전 기반
5) P/B < 1 수준의 극단적 저평가
6) 우량 재무구조로 경기 둔화 방어 가능
4. 실적 전망 및 주요 가정 변경 요약
HBM 매출 성장률 조정 (2025)
→ 수요 둔화 반영, 1Q25 저점 후 회복 전망
모바일 출하량 상향 조정 (S25 수요 반영)
→ FY25: 254mn → 259mn
DRAM Bit Growth 대폭 하향 (FY25: -10.5ppt)
→ 수요 Pull-in 효과 반영
5. Valuation 및 투자매력도
목표주가: 70,000원 (보통주 기준, 22% 업사이드)
RIM 기반 + P/B 크로스체크
2025E P/B 1.2x (과거 사이클 고점 수준)
Memory – A Story of Buckets : Shawn Kim
(Morgan Stanley, 20250328)
한국 IT 섹터 – Memory: 버킷의 이야기
1. 투자 아이디어 요약
-메모리 업황은 3가지 버킷(① 상품성 메모리, ② HBM/AI, ③ 중국/DeepSeek 수요)에 의해 결정됨.
-HBM 마진 지속성과 2H25 반등에 대한 기대는 과도하게 낙관적일 수 있음.
-삼성전자는 현재 글로벌 사이클리컬 주식 중에서도 가장 저평가된 종목 중 하나로, 이번 보고서에서 Top Pick으로 신규 선정.
2. 메모리 시장 3대 변수 (시장 과소평가)
1) HBM 수요 둔화 및 경쟁 심화 우려
-한국 → 대만 HBM 수출 급감 (Exhibit 2)
-북미 Hyperscaler Capex 둔화
-2H25부터 HBM 경쟁 심화 전망
2) 중국 AI칩 규제 및 관세 우려에 따른 선행 수요 집중
-관세 및 제재 우려로 인한 전방 수요 당겨오기 발생
-이는 2H25 이후 수요의 역풍으로 작용 가능
3) 성장 둔화 조짐 확대
-소비심리지수, 여행·운송·소비 관련 코멘트 약화
-미국 소비자 신뢰지수 팬데믹 초 수준 회귀 (Exhibit 4)
-IT Capex 증가율 둔화 (2025: YoY -42bps)
3. 삼성전자 투자포인트 (Top Pick 선정 이유, 6가지)
1) HBM3e/4 수주 가능성 (옵셔널리티) : 2Q25 HBM3e 12-hi, 2H25 HBM4 수주 가능성
2) 공매도 금지 해제 수혜주 : 저평가 대형 가치주로 외국인 수급 유입
3) AI 반도체→Non-US 회귀 흐름의 수혜 : 미국 외 테크로 로테이션 가능성 부각
4) 엣지 AI 전략 강화 : 매출의 절반이 소비자 가전 기반
5) P/B < 1 수준의 극단적 저평가
6) 우량 재무구조로 경기 둔화 방어 가능
4. 실적 전망 및 주요 가정 변경 요약
HBM 매출 성장률 조정 (2025)
→ 수요 둔화 반영, 1Q25 저점 후 회복 전망
모바일 출하량 상향 조정 (S25 수요 반영)
→ FY25: 254mn → 259mn
DRAM Bit Growth 대폭 하향 (FY25: -10.5ppt)
→ 수요 Pull-in 효과 반영
5. Valuation 및 투자매력도
목표주가: 70,000원 (보통주 기준, 22% 업사이드)
RIM 기반 + P/B 크로스체크
2025E P/B 1.2x (과거 사이클 고점 수준)


03.04.202511:41
转发自:
더바이오 뉴스룸

27.03.202503:18
오스코텍은 27일 경기 성남시 코리아바이오파크 지하 1층 강당에서 열린 정기주주총회에서 김정근 오스코텍 대표의 재선임 안건이 '부결' 됐다고 밝혔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3840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3840
转发自:
몰?루



15.04.202508:00
한미 vs 하이닉스 본더 관련 요약
필자의 요약엔 일부 편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1. 한미반도체 장비를 이용해서 개발 작업 진행
2. 한미 장비 자체는 불완전성이 있기에, 하이닉스 BM 자료 및 공정자료 제공
3. 자료를 토대로 개선 작업 & 어느정도 성과 달성
4. A사 이외에도 두번째 H사를 듀얼벤더로 마련하려고 함
5. 한미에서 급발진. 엉 느그들 듀얼벤더 하면 나 CS 안해줌ㅇㅇ
6. 하이닉스 어 그래 그래봐라 ㅇㅇ 하고 벤더 선정에서 제외
https://www.teamblind.com/kr/s/UGmH6XzF
필자의 요약엔 일부 편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1. 한미반도체 장비를 이용해서 개발 작업 진행
2. 한미 장비 자체는 불완전성이 있기에, 하이닉스 BM 자료 및 공정자료 제공
3. 자료를 토대로 개선 작업 & 어느정도 성과 달성
4. A사 이외에도 두번째 H사를 듀얼벤더로 마련하려고 함
5. 한미에서 급발진. 엉 느그들 듀얼벤더 하면 나 CS 안해줌ㅇㅇ
6. 하이닉스 어 그래 그래봐라 ㅇㅇ 하고 벤더 선정에서 제외
https://www.teamblind.com/kr/s/UGmH6XzF
03.04.202507:17
🧿 [4/3, Conviction Call] 미국 보편/상호 관세 부과와 한국 경제/증시/업종 영향
유안타 주식전략 김용구(02-3770-3521)
자료: <https://bit.ly/43ChjP7>
텔레그램: <https://t.me/ConvictionCall>
<미국 보편/상호 관세 부과의 한국 매크로 영향 (Economist 김호정)>
• 한국시간 3일 새벽 트럼프 대통령은 예고대로 상호 관세율을 발표. 이번 상호관세 발표에서 관세율이 가장 높은 국가는 베트남으로 46%, 다음으로 중국은 34%. 두 지역 모두 한국 기업들이 현지 생산활동을 통해 미국에 상품을 수출하는 곳으로, 공급망 측면에서도 고민거리가 많아진 상황. ADB-MARIO에서 트럼프 1기 당시 추정한 한국의 미국에 대한 직접 수출 및 글로벌 교역의 축소에 따른 부가가치 감소분은 -87억 달러로 2024년 GDP 지출항목 중 수출에서 9% 규모를 차지.
• 이번 상호 관세 부과는 트럼프 1기 당시 보다 광범위하게 부과된 점을 고려할 때, 산술적인 부가가치 감소분은 트럼프 1기 때보다 클 것으로 판단. 상호관세 부과로 인해 단기적으로 미국산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지만 미국의 수입물가 상승에 따른 소비자물가 상승 압력이 확대될 수 있음. 또한 상대국의 보복관세에 따른 미국 기업의 수출 경쟁력 약화를 초래 가능. 이 경우 미국 경제의 스테그플레이션 우려는 더욱 커질 수 있을 것. 다만 상호 관세는 양국간의 협상 결과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며, 양국간 일정 수준의 협상 타결을 예상. 결국 관세 부과의 영향은 초기에 집중되고, 이후에는 협상 결과에 따라 축소되는 양상을 띨 가능성을 제시. 충격반응함수를 통해 상호 관세 부과에 따른 수출지표에는 최대 7개월 충격이 반영될 수 있고, GDP 감소분은 -0.3%p 내외로 추정. 정성적인 부분에서 기대할 수 있는 시나리오와 정량적으로 산출된 수치를 통해 전망해보면 3분기 말부터는 관세에 의한 매크로 충격을 해소해 가는 그림을 그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
<한국증시 및 업종별 영향과 대응전략 판단 (Strategist 김용구) >
• 보편관세 10%에 ‘Dirty 60’ 대상 20% 이상의 상호관세가 추가. 이는 시장의 당초 기대를 넘어서는 수준으로, 당분간 국내외 자산시장은 Best 시나리오에 대한 기대가 지워진 채 관련 변수의 경과를 확인하며 조건반사적 등락흐름을 보일 개연성이 높음. 주식시장 관련 Worst 시나리오(30% 확률)는 중국/유로존 등 Non-US 주요국들이 즉각 보복에 나서며 사태가 강대강 정면충돌의 파국 또는 장기전 양상으로 비화되는 경우에 해당. 이 경우 시장은 ‘25년 하반기 미국 스테그플레이션 현실화를 기정사실화하며 Risk-Off 수세적 대응으로 일관할 공산이 큼. KOSPI 시장의 하방 지지선은 센티멘탈 Rock-bottom에 준하는 12개월 선행 P/B 0.7배선(환산 지수대 2,100pt)까지 후퇴가 불가피하며, 시장 투자가 초점은 현금과 극단적 저평가 자산주 일부로 한정.
• 현재 합리적으로 예상 가능한 Base 시나리오(70% 확률)는 3일 부과된 관세율을 최상단으로 이후 국가별 개별 협상을 통해 절충안과 우회로를 확보해 실효 관세율을 낮춰가는 경우에 해당. 이 경우 협상 과정에서의 단기/국지적 마찰은 일부 있겠으나, 트럼프 2기 관세/통상 압박은 중기적으론 피크아웃으로 전환에 나설 개연성이 높음. 상기 과정에선 KOSPI 펀더멘탈 진바닥에 해당하는 12개월 선행 P/B 0.8배선(환산 지수대 2,400pt)의 하방 지지력은 유효하며, 2,400pt선 내외 구간에선 투매보단 보유, 관망보단 매수가 투자전략 절대미덕에 해당. 관련 불확실성 확인/소화 과정에서의 단기 증시 부침을 중장기 시각하 시장 재진입 및 전략대안 저가매수의 호기로 활용. 당사 섹터/업종 담당자 View에 따를 경우, 반도체, 제약/바이오, SW 등이 관련 불확실성 파장이 제한되는 안전지대 업종대안에 해당
* 본 내용은 당사 compliance의 승인을 득하였음
유안타 주식전략 김용구(02-3770-3521)
자료: <https://bit.ly/43ChjP7>
텔레그램: <https://t.me/ConvictionCall>
<미국 보편/상호 관세 부과의 한국 매크로 영향 (Economist 김호정)>
• 한국시간 3일 새벽 트럼프 대통령은 예고대로 상호 관세율을 발표. 이번 상호관세 발표에서 관세율이 가장 높은 국가는 베트남으로 46%, 다음으로 중국은 34%. 두 지역 모두 한국 기업들이 현지 생산활동을 통해 미국에 상품을 수출하는 곳으로, 공급망 측면에서도 고민거리가 많아진 상황. ADB-MARIO에서 트럼프 1기 당시 추정한 한국의 미국에 대한 직접 수출 및 글로벌 교역의 축소에 따른 부가가치 감소분은 -87억 달러로 2024년 GDP 지출항목 중 수출에서 9% 규모를 차지.
• 이번 상호 관세 부과는 트럼프 1기 당시 보다 광범위하게 부과된 점을 고려할 때, 산술적인 부가가치 감소분은 트럼프 1기 때보다 클 것으로 판단. 상호관세 부과로 인해 단기적으로 미국산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지만 미국의 수입물가 상승에 따른 소비자물가 상승 압력이 확대될 수 있음. 또한 상대국의 보복관세에 따른 미국 기업의 수출 경쟁력 약화를 초래 가능. 이 경우 미국 경제의 스테그플레이션 우려는 더욱 커질 수 있을 것. 다만 상호 관세는 양국간의 협상 결과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며, 양국간 일정 수준의 협상 타결을 예상. 결국 관세 부과의 영향은 초기에 집중되고, 이후에는 협상 결과에 따라 축소되는 양상을 띨 가능성을 제시. 충격반응함수를 통해 상호 관세 부과에 따른 수출지표에는 최대 7개월 충격이 반영될 수 있고, GDP 감소분은 -0.3%p 내외로 추정. 정성적인 부분에서 기대할 수 있는 시나리오와 정량적으로 산출된 수치를 통해 전망해보면 3분기 말부터는 관세에 의한 매크로 충격을 해소해 가는 그림을 그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
<한국증시 및 업종별 영향과 대응전략 판단 (Strategist 김용구) >
• 보편관세 10%에 ‘Dirty 60’ 대상 20% 이상의 상호관세가 추가. 이는 시장의 당초 기대를 넘어서는 수준으로, 당분간 국내외 자산시장은 Best 시나리오에 대한 기대가 지워진 채 관련 변수의 경과를 확인하며 조건반사적 등락흐름을 보일 개연성이 높음. 주식시장 관련 Worst 시나리오(30% 확률)는 중국/유로존 등 Non-US 주요국들이 즉각 보복에 나서며 사태가 강대강 정면충돌의 파국 또는 장기전 양상으로 비화되는 경우에 해당. 이 경우 시장은 ‘25년 하반기 미국 스테그플레이션 현실화를 기정사실화하며 Risk-Off 수세적 대응으로 일관할 공산이 큼. KOSPI 시장의 하방 지지선은 센티멘탈 Rock-bottom에 준하는 12개월 선행 P/B 0.7배선(환산 지수대 2,100pt)까지 후퇴가 불가피하며, 시장 투자가 초점은 현금과 극단적 저평가 자산주 일부로 한정.
• 현재 합리적으로 예상 가능한 Base 시나리오(70% 확률)는 3일 부과된 관세율을 최상단으로 이후 국가별 개별 협상을 통해 절충안과 우회로를 확보해 실효 관세율을 낮춰가는 경우에 해당. 이 경우 협상 과정에서의 단기/국지적 마찰은 일부 있겠으나, 트럼프 2기 관세/통상 압박은 중기적으론 피크아웃으로 전환에 나설 개연성이 높음. 상기 과정에선 KOSPI 펀더멘탈 진바닥에 해당하는 12개월 선행 P/B 0.8배선(환산 지수대 2,400pt)의 하방 지지력은 유효하며, 2,400pt선 내외 구간에선 투매보단 보유, 관망보단 매수가 투자전략 절대미덕에 해당. 관련 불확실성 확인/소화 과정에서의 단기 증시 부침을 중장기 시각하 시장 재진입 및 전략대안 저가매수의 호기로 활용. 당사 섹터/업종 담당자 View에 따를 경우, 반도체, 제약/바이오, SW 등이 관련 불확실성 파장이 제한되는 안전지대 업종대안에 해당
* 본 내용은 당사 compliance의 승인을 득하였음
转发自:
현대차증권_리서치센터_채널

17.04.202523:31
[현대차증권 제약/바이오 여노래]
보로노이(310210)
BUY/220,000(신규)
<표적 항암제의 G.O.A.T를 향해>
폐암, EGFR, 그리고 표적항암제
- 2002년 EGFR 표적 항암제 이레사(Gefitinib)과 타세바(Erlotinib)의 등장. 무진행생존기간은 확보했으나 생존기간 연장 실패. 암세포의 종양 내 이질성으로 인한 획득 내성 발생, T790M이 대표적. 획득 내성을 잡아 생존기간을 늘리려고 개발된 2세대 표적항암제, 하지만 1) 표적성 부족으로 인한 유효성 개선 실패, 2) 안전성 부족으로 실패
- 아스트라제네카가 성공적으로 개발한 T790M표적 3세대 표적항암제 타그리소, 안전하면서도 1차 치료제에서 18.9개월의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으로 블록버스터로 자리매김. 하지만 3세대 표적 항암제도 내성은 발생. 타그리소도 획득내성으로 T790M의 다음 단계 돌연변이인 C797S에 대한 미충족 수요 발생.
- 낮은 뇌투과율로 1차 치료제로서 뇌전이율을 높이면서 획득내성을 낮출 치료제가 필요. 전통적 돌연변이와 획득내성을 포괄하면서, 뇌전이를 높인 약제가 필요한 시장
VRN11: "The Contender"
- C797S와 전통적 돌연변이를 타겟하는 VRN11, 높은 표적성 비임상에서 확인. 경쟁약물 대비 정상 EGFR보다 돌연변이에 결합력이 강해 부작용 발생이 우려 낮은 편. 뇌전이 모델 마우스에서 유효성 확인. 임상 1a상 3+3와 보충 코호트로 최소 90명 이상 모집, AACR에서 1상 중간 데이터 공개 예정
- 아직 비임상이지만 임상에서의 기대할 수 있는 근거들이 존재. ORIC-114는 비임상에서 확인했던 선택성, 유효성, 안전성, 뇌투과율을 임상에서 입증
- ALK 표적항암제 로비큐아도 전임상에서 1. 강한 선택성, 2. 뇌투과율 3. 안전성 모두 임상에서 입증
- 2차 C797S 돌연변이가 발생한 내성 환자를 표적, 우수한 뇌전이율을 기반으로 한 1차 뇌전이 환자 시장 진입 기대. 최종적으로 1차 치료제로 올라가는 것이 목표
- T790M이 사라지면서 4세대 표적항암제로 표준요법이 옮겨질 수 있으나, 다시 T790M내성이 발생하는 경우 무진행생존기간 연장에 불리할 수 있는 상황
VRN10, HER2도 TKI가 필요하다
- VRN10은 HER2와 돌연변이체에 대한 표적성을 높인 약물, VRN10은 단독뿐만 아니라 1차 치료제인 기존 항체 복합제나 ADC 병용을 통해 뇌전이 치료효과를 늘리는 포지셔닝을 예상, 현재 임상 1상 중
VRN07(ORIC-114), 뇌전이를 잡기 위한 리브레반트 병용
- 임상으로 확인되고 있는 ORIC-114, 변화한 엑손 20 삽입 돌연변이 시장에서 단독임상과 리브레반트와 병용임상으로 1차 치료제 진입 기대
주가전망 및 Valuation
- 매수 의견 및 목표 주가 220,000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SOTP 밸류에이션 통해 목표주가를 선정하였으며, 주력 파이프라인 3개의 가치를 NPV방식으로 산정하여 합산
* URL: https://buly.kr/7x6BgvR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보로노이(310210)
BUY/220,000(신규)
<표적 항암제의 G.O.A.T를 향해>
폐암, EGFR, 그리고 표적항암제
- 2002년 EGFR 표적 항암제 이레사(Gefitinib)과 타세바(Erlotinib)의 등장. 무진행생존기간은 확보했으나 생존기간 연장 실패. 암세포의 종양 내 이질성으로 인한 획득 내성 발생, T790M이 대표적. 획득 내성을 잡아 생존기간을 늘리려고 개발된 2세대 표적항암제, 하지만 1) 표적성 부족으로 인한 유효성 개선 실패, 2) 안전성 부족으로 실패
- 아스트라제네카가 성공적으로 개발한 T790M표적 3세대 표적항암제 타그리소, 안전하면서도 1차 치료제에서 18.9개월의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으로 블록버스터로 자리매김. 하지만 3세대 표적 항암제도 내성은 발생. 타그리소도 획득내성으로 T790M의 다음 단계 돌연변이인 C797S에 대한 미충족 수요 발생.
- 낮은 뇌투과율로 1차 치료제로서 뇌전이율을 높이면서 획득내성을 낮출 치료제가 필요. 전통적 돌연변이와 획득내성을 포괄하면서, 뇌전이를 높인 약제가 필요한 시장
VRN11: "The Contender"
- C797S와 전통적 돌연변이를 타겟하는 VRN11, 높은 표적성 비임상에서 확인. 경쟁약물 대비 정상 EGFR보다 돌연변이에 결합력이 강해 부작용 발생이 우려 낮은 편. 뇌전이 모델 마우스에서 유효성 확인. 임상 1a상 3+3와 보충 코호트로 최소 90명 이상 모집, AACR에서 1상 중간 데이터 공개 예정
- 아직 비임상이지만 임상에서의 기대할 수 있는 근거들이 존재. ORIC-114는 비임상에서 확인했던 선택성, 유효성, 안전성, 뇌투과율을 임상에서 입증
- ALK 표적항암제 로비큐아도 전임상에서 1. 강한 선택성, 2. 뇌투과율 3. 안전성 모두 임상에서 입증
- 2차 C797S 돌연변이가 발생한 내성 환자를 표적, 우수한 뇌전이율을 기반으로 한 1차 뇌전이 환자 시장 진입 기대. 최종적으로 1차 치료제로 올라가는 것이 목표
- T790M이 사라지면서 4세대 표적항암제로 표준요법이 옮겨질 수 있으나, 다시 T790M내성이 발생하는 경우 무진행생존기간 연장에 불리할 수 있는 상황
VRN10, HER2도 TKI가 필요하다
- VRN10은 HER2와 돌연변이체에 대한 표적성을 높인 약물, VRN10은 단독뿐만 아니라 1차 치료제인 기존 항체 복합제나 ADC 병용을 통해 뇌전이 치료효과를 늘리는 포지셔닝을 예상, 현재 임상 1상 중
VRN07(ORIC-114), 뇌전이를 잡기 위한 리브레반트 병용
- 임상으로 확인되고 있는 ORIC-114, 변화한 엑손 20 삽입 돌연변이 시장에서 단독임상과 리브레반트와 병용임상으로 1차 치료제 진입 기대
주가전망 및 Valuation
- 매수 의견 및 목표 주가 220,000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SOTP 밸류에이션 통해 목표주가를 선정하였으며, 주력 파이프라인 3개의 가치를 NPV방식으로 산정하여 합산
* URL: https://buly.kr/7x6BgvR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4.04.202508:27
배당성향 상위&배당수익률 높은 종목
[Web발신]
배당성향 상위&배당수익률 높은 종목
안녕하세요, KB증권 Quant 김민규입니다.
- 언론보도에 따르면, 주주환원 촉진을 위한 배당소득 분리과세 입법이 추진중입니다
- 이에 참고할 수 있도록 배당성향 35% 이상 종목 중 예상배당수익률 높은 종목 리스트 보내드립니다
- URL: https://bit.ly/3Yd404j
(KB증권 내부 컴플라이언스 점검을 완료했음. 단순 참고자료로 법적 책임의 근거가 되지 않음)
☞무료수신거부 0808886611
[Web발신]
배당성향 상위&배당수익률 높은 종목
안녕하세요, KB증권 Quant 김민규입니다.
- 언론보도에 따르면, 주주환원 촉진을 위한 배당소득 분리과세 입법이 추진중입니다
- 이에 참고할 수 있도록 배당성향 35% 이상 종목 중 예상배당수익률 높은 종목 리스트 보내드립니다
- URL: https://bit.ly/3Yd404j
(KB증권 내부 컴플라이언스 점검을 완료했음. 단순 참고자료로 법적 책임의 근거가 되지 않음)
☞무료수신거부 0808886611
频道变更历史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