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색인간의 매크로 + 투자
회색인간의 매크로 투자 카페 공개 채널입니다
채널에서 전달하는 어떠한 정보도 정확함을 보증할 수 없으며, 투자의 근거로 활용하셔도 1%도 책임지지 않으며, 종목 이야기는 잘 하지도 않지만 하더라도 제가 보유했을 수 있으며 언제든 매도할 수 있습니다.
문의 mistergray@naver.com
채널에서 전달하는 어떠한 정보도 정확함을 보증할 수 없으며, 투자의 근거로 활용하셔도 1%도 책임지지 않으며, 종목 이야기는 잘 하지도 않지만 하더라도 제가 보유했을 수 있으며 언제든 매도할 수 있습니다.
문의 mistergray@naver.com
"회색인간의 매크로 + 투자" 群组最新帖子
13.05.202501:36
https://cafe.naver.com/traderoreconomist/2500
느긋하게 데일리를 좀 늦게 올렸습니다. 미국만큼 확 3~4% 뜨는 것은 아니지만 한국 장도 꾸역꾸역 꽤 견조하게 올라가는군요.
느긋하게 데일리를 좀 늦게 올렸습니다. 미국만큼 확 3~4% 뜨는 것은 아니지만 한국 장도 꾸역꾸역 꽤 견조하게 올라가는군요.


13.05.202500:17
오늘 CPI 프리뷰 by 골드만.


转发自:
올바른

12.05.202523:33
미-중 관세 추이
- 2월 1일 (10%) : 보편관세 10%
- 3월 3일 (20%) : 중국에 +10%p 추가
- 4월 2일 (54%) : 상호관세 54%
- 4월 8일 (104%) : 보복 1차
- 4월 9일 (145%) : 보복 2차
- 5월 12일 (30%) : 제네바 회담 후 90일 유예
- 2월 1일 (10%) : 보편관세 10%
- 3월 3일 (20%) : 중국에 +10%p 추가
- 4월 2일 (54%) : 상호관세 54%
- 4월 8일 (104%) : 보복 1차
- 4월 9일 (145%) : 보복 2차
- 5월 12일 (30%) : 제네바 회담 후 90일 유예


转发自:
이웅찬_iM증권시황/전략

12.05.202523:31
자료 발간했습니다.
어제는 조금 아쉬운게 많았습니다. 제 전망에 대해서 좀 아쉬웠던거죠.. 제가 금융업계에서 하는 역할이 결국 글로벌 마켓 내러티브 가장 잘 따라다니고, 그냥 뉴스만 전달하고 뉴스 증폭기 렉카차 하는게 아니라 최대한 해석해서 우리 증시가 어떻게 소화해야할지 고민하고.. 그래서 가즈아~ 하는 리테일보다는 같이 고민을 공유하는 기관투자자들에 조금 더 마음이 가는 것도 사실이고.. 바뀌는 내러티브를 빠르게 알아차리지 못한 것 같아서 스스로에게 조금 아쉬운 부분이 있습니다. 증시는 틀릴 수 있어도 정책은 안틀린다고 생각했는데..
여튼 이제 와서 다시 생각해보자면 트럼프 정권은 언제부턴가 금리 안정보다는 증시 안정으로 정책을 바꾼 것 같죠. 결과 금리는 다시 뜨고 증시도 떴습니다. 경기 하강이 꽤 두려웠나보다.. 생각도 들고.. 리쇼어링은 벌써 포기하는건가? 싶기도 하고 그렇습니다.
미 증시는 200선을 넘어서 21배까지 올라왔습니다. 미중 협상보다 더 좋은 호재가 있을까? 우크 휴전 정도 아니면 쉽지 않을 것 같으니 이제 호재파먹기는 시마이치고 펀더랑 지표 봐야겠죠. 지표는 시간을 두고 둔화는 될 거고.. EPS 성장률도 너무 높고.. 금리는 다시 다 올라왔고.. 그러면 이거 쎈피 더 쎄게 가겠냐 싶기는 합니다. 못간다는게 아니라 바닥에서 올라올거 벌써 다 올라온거 아닌가 생각이 되죠..
국장은 싸기는 싼데.. 수출 빠지는게 좀 찜찜하게 작용할 걸로 생각됩니다. 여튼 관세 10퍼는 맞는거고, 1234월에 물량 다 떙겨놨으니 5월부터는 공백이 나오는게 맞겠습니다. 그래서 일단 IT가 반등은 하겠는데.. 쭉쭉 갈지는 자신은 없고.. 그러면 다시 왔다리갔다리 하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지수는 2600 넘겨서 적당히 잡아두고 로테이션 싸움이 될 것 같죠.. 일단 IT가 가겠습니다만.. 첫 끝발이 지속될 것 같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오랜만에 경제지표들 열심히 뜯어보는 분기가 되겠네요.
어제는 조금 아쉬운게 많았습니다. 제 전망에 대해서 좀 아쉬웠던거죠.. 제가 금융업계에서 하는 역할이 결국 글로벌 마켓 내러티브 가장 잘 따라다니고, 그냥 뉴스만 전달하고 뉴스 증폭기 렉카차 하는게 아니라 최대한 해석해서 우리 증시가 어떻게 소화해야할지 고민하고.. 그래서 가즈아~ 하는 리테일보다는 같이 고민을 공유하는 기관투자자들에 조금 더 마음이 가는 것도 사실이고.. 바뀌는 내러티브를 빠르게 알아차리지 못한 것 같아서 스스로에게 조금 아쉬운 부분이 있습니다. 증시는 틀릴 수 있어도 정책은 안틀린다고 생각했는데..
여튼 이제 와서 다시 생각해보자면 트럼프 정권은 언제부턴가 금리 안정보다는 증시 안정으로 정책을 바꾼 것 같죠. 결과 금리는 다시 뜨고 증시도 떴습니다. 경기 하강이 꽤 두려웠나보다.. 생각도 들고.. 리쇼어링은 벌써 포기하는건가? 싶기도 하고 그렇습니다.
미 증시는 200선을 넘어서 21배까지 올라왔습니다. 미중 협상보다 더 좋은 호재가 있을까? 우크 휴전 정도 아니면 쉽지 않을 것 같으니 이제 호재파먹기는 시마이치고 펀더랑 지표 봐야겠죠. 지표는 시간을 두고 둔화는 될 거고.. EPS 성장률도 너무 높고.. 금리는 다시 다 올라왔고.. 그러면 이거 쎈피 더 쎄게 가겠냐 싶기는 합니다. 못간다는게 아니라 바닥에서 올라올거 벌써 다 올라온거 아닌가 생각이 되죠..
국장은 싸기는 싼데.. 수출 빠지는게 좀 찜찜하게 작용할 걸로 생각됩니다. 여튼 관세 10퍼는 맞는거고, 1234월에 물량 다 떙겨놨으니 5월부터는 공백이 나오는게 맞겠습니다. 그래서 일단 IT가 반등은 하겠는데.. 쭉쭉 갈지는 자신은 없고.. 그러면 다시 왔다리갔다리 하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지수는 2600 넘겨서 적당히 잡아두고 로테이션 싸움이 될 것 같죠.. 일단 IT가 가겠습니다만.. 첫 끝발이 지속될 것 같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오랜만에 경제지표들 열심히 뜯어보는 분기가 되겠네요.


12.05.202523:26
JPM: 예상보다 건설적이었던 제네바 회담
제네바에서 열린 미중 고위급 회담이 예상보다 훨씬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함. 양국은 해방의 날 이후 발표된 모든 추가 관세와 비관세 조치를 오는 5월 14일부터 90일간 일시적으로 철회하고, 이를 10%의 보편 관세로 대체하기로 합의함. 이번 합의로 미국의 대중 평균 관세율은 약 41%, 중국의 대미 평균 관세율은 약 28%로 인하될 예정임. 중국은 이와 함께 희토류 수출 제한, 미국 기업에 대한 반독점·반덤핑 조사 등 비관세 보복 조치도 일시 중단하기로 했으며, 양국은 향후 정례적인 경제·통상 대화를 이어가기로 함.
시장에서는 일시적인 관세 동결 정도를 예상했으나, 이번 합의가 34%에 달했던 상호 보복 관세를 다른 국가와 동일한 10% 수준으로 전환한 점이 특히 긍정적으로 평가됨. 또한 중국이 펜타닐 통제 조치에 실질적인 진전을 보일 경우, 미국의 20% 펜타닐 관련 추가 관세와 중국의 2.5% 보복 관세가 추가로 철회될 가능성이 있음. 반대로 90일 내 실질적 합의 도출에 실패할 경우 관세가 다시 확대될 수 있다는 점도 배제할 수 없음.
이러한 상황을 반영해 당사는 이번 조치가 2025년 말까지 유지된다는 가정 아래 성장률 전망을 상향 조정함. 기존 110% 관세 인상 시나리오에서는 중국 GDP가 최대 3%p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이번 합의로 관세 인상폭이 30%에 그치면서 성장률이 약 1.5%p 개선될 것으로 분석함. 이에 따라 7월 추가 재정 부양책(1조 위안 규모) 가능성은 낮아졌고, 2025년 연간 성장률 전망도 기존 4.1%에서 4.8%로 상향함. 분기별 성장률 역시 2분기부터 4분기까지 모두 3.0% 수준으로 상향 조정됨.
금융정책 측면에서는 기존 30bp 기준금리 인하와 100bp 지준율 인하 전망을 유지함. 관세 인하로 위안화 약세 압력이 다소 완화되면서 인민은행의 정책 여력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다만 은행 수익성 압박이 남아 있어 정책 여지는 제한적일 수 있음. 종합적으로 이번 회담이 중국 경제에 긍정적 모멘텀을 제공한 것으로 평가되며, 향후 미중 협상의 진전 여부가 시장의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임.
*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제네바에서 열린 미중 고위급 회담이 예상보다 훨씬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함. 양국은 해방의 날 이후 발표된 모든 추가 관세와 비관세 조치를 오는 5월 14일부터 90일간 일시적으로 철회하고, 이를 10%의 보편 관세로 대체하기로 합의함. 이번 합의로 미국의 대중 평균 관세율은 약 41%, 중국의 대미 평균 관세율은 약 28%로 인하될 예정임. 중국은 이와 함께 희토류 수출 제한, 미국 기업에 대한 반독점·반덤핑 조사 등 비관세 보복 조치도 일시 중단하기로 했으며, 양국은 향후 정례적인 경제·통상 대화를 이어가기로 함.
시장에서는 일시적인 관세 동결 정도를 예상했으나, 이번 합의가 34%에 달했던 상호 보복 관세를 다른 국가와 동일한 10% 수준으로 전환한 점이 특히 긍정적으로 평가됨. 또한 중국이 펜타닐 통제 조치에 실질적인 진전을 보일 경우, 미국의 20% 펜타닐 관련 추가 관세와 중국의 2.5% 보복 관세가 추가로 철회될 가능성이 있음. 반대로 90일 내 실질적 합의 도출에 실패할 경우 관세가 다시 확대될 수 있다는 점도 배제할 수 없음.
이러한 상황을 반영해 당사는 이번 조치가 2025년 말까지 유지된다는 가정 아래 성장률 전망을 상향 조정함. 기존 110% 관세 인상 시나리오에서는 중국 GDP가 최대 3%p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이번 합의로 관세 인상폭이 30%에 그치면서 성장률이 약 1.5%p 개선될 것으로 분석함. 이에 따라 7월 추가 재정 부양책(1조 위안 규모) 가능성은 낮아졌고, 2025년 연간 성장률 전망도 기존 4.1%에서 4.8%로 상향함. 분기별 성장률 역시 2분기부터 4분기까지 모두 3.0% 수준으로 상향 조정됨.
금융정책 측면에서는 기존 30bp 기준금리 인하와 100bp 지준율 인하 전망을 유지함. 관세 인하로 위안화 약세 압력이 다소 완화되면서 인민은행의 정책 여력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다만 은행 수익성 압박이 남아 있어 정책 여지는 제한적일 수 있음. 종합적으로 이번 회담이 중국 경제에 긍정적 모멘텀을 제공한 것으로 평가되며, 향후 미중 협상의 진전 여부가 시장의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임.
*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转发自:
Rafiki Research

12.05.202522:26
2025년 5월 13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중이 관세를 낮추는데 합의하면서 주가가 올랐고 VIX는 18까지 하락했습니다.
(2) 트럼프의 약가인하 행정명령이 우려했던 것보다 약하다는 평가로 제약주들이 반등했습니다.
(3) 삼성전자가 고객사들과 D램 가격 인상에 합의했다고 전자신문이 보도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82%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15.10원 (-3.2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세줄요약
(1) 미중이 관세를 낮추는데 합의하면서 주가가 올랐고 VIX는 18까지 하락했습니다.
(2) 트럼프의 약가인하 행정명령이 우려했던 것보다 약하다는 평가로 제약주들이 반등했습니다.
(3) 삼성전자가 고객사들과 D램 가격 인상에 합의했다고 전자신문이 보도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82%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15.10원 (-3.2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转发自:
유진투자증권 IT 임소정

12.05.202513:13
엔비디아, GPU 가격 전면 인상
TSMC의 미국 내 생산되는 4nm 칩가격 30% 인상으로, 최대 고객사인 엔비디아가 마진을 유지하기 위해 대부분 제품군의 공식 가격을 인상.
NVIDIA RTX 5090의 경우 가격이 계속 올라 많은 커스텀 모델이 공식 판매처에서 3,000달러에 근접 또는 이상에 달한 것으로 확인.
또한 비용 상승을 상쇄하고 플랫폼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H200 및 B200 칩과 모듈의 가격을 인상하고 있어 이에 따라 다른 서버 제조 업체들도 가격을 10-15% 인상하는 파급 효과 발생
https://www.trendforce.com/news/2025/05/12/news-made-in-usa-costs-bite-nvidia-reportedly-hikes-gpu-price-tags-across-the-board/
TSMC의 미국 내 생산되는 4nm 칩가격 30% 인상으로, 최대 고객사인 엔비디아가 마진을 유지하기 위해 대부분 제품군의 공식 가격을 인상.
NVIDIA RTX 5090의 경우 가격이 계속 올라 많은 커스텀 모델이 공식 판매처에서 3,000달러에 근접 또는 이상에 달한 것으로 확인.
또한 비용 상승을 상쇄하고 플랫폼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H200 및 B200 칩과 모듈의 가격을 인상하고 있어 이에 따라 다른 서버 제조 업체들도 가격을 10-15% 인상하는 파급 효과 발생
https://www.trendforce.com/news/2025/05/12/news-made-in-usa-costs-bite-nvidia-reportedly-hikes-gpu-price-tags-across-the-board/
12.05.202512:56
금리는 왜 튈까 싶었는데 블벅 기사는 이렇게 쓰여있네요
The dollar traded around 1% stronger at a one-month high. Gold fell more than 3%. The 10-year Treasury yield rose seven basis points as traders pushed back the timing of possible interest-rate cuts.
The dollar traded around 1% stronger at a one-month high. Gold fell more than 3%. The 10-year Treasury yield rose seven basis points as traders pushed back the timing of possible interest-rate cuts.
转发自:
루팡

12.05.202512:12
미국 재무장관 베센트(Bessent):
블룸버그 TV에서 "중국과의 '불행한 격화' 발생" 언급
미국은 현재 중국과의 전략적 디커플링(분리)을 모색 중
양측 모두 ‘전면적인 디커플링’을 원하지 않는다는 데에는 동의
중국과의 1단계 무역 합의는 하나의 틀을 제공했던 사례
중국의 최종 보복 관세가 어디에 정착될지 지켜볼 것
현재 중국에 대한 관세 수준은 ‘최저선’에 해당
4월 2일 수준이 중국에 대한 관세 ‘최고선’이 될 것
중국의 추가 보복을 피하기 위한 절차를 현재 마련함
중국에 대한 관세가 10% 이하로 내려가는 것은 비현실적
트럼프는 중국에 대한 80% 관세도 ‘수출 금지 조치’로 보지 않음
트럼프와 시진핑 간 회담 전에 전화 통화가 이뤄질 것으로 봄
트럼프-시진핑 간 통화는 향후 몇 주 또는 몇 달 내에 이뤄질 수 있음
대부분의 무역 및 관세 문제가 연말까지 해결되기를 희망
규제 완화는 3분기, 4분기부터 효과 나타날 것
블룸버그 TV에서 "중국과의 '불행한 격화' 발생" 언급
미국은 현재 중국과의 전략적 디커플링(분리)을 모색 중
양측 모두 ‘전면적인 디커플링’을 원하지 않는다는 데에는 동의
중국과의 1단계 무역 합의는 하나의 틀을 제공했던 사례
중국의 최종 보복 관세가 어디에 정착될지 지켜볼 것
현재 중국에 대한 관세 수준은 ‘최저선’에 해당
4월 2일 수준이 중국에 대한 관세 ‘최고선’이 될 것
중국의 추가 보복을 피하기 위한 절차를 현재 마련함
중국에 대한 관세가 10% 이하로 내려가는 것은 비현실적
트럼프는 중국에 대한 80% 관세도 ‘수출 금지 조치’로 보지 않음
트럼프와 시진핑 간 회담 전에 전화 통화가 이뤄질 것으로 봄
트럼프-시진핑 간 통화는 향후 몇 주 또는 몇 달 내에 이뤄질 수 있음
대부분의 무역 및 관세 문제가 연말까지 해결되기를 희망
규제 완화는 3분기, 4분기부터 효과 나타날 것
转发自:
Risk & Return

12.05.202511:01
주말에 있었던 일련의 과정으로 미국의 대중 관세율이 145%에서 30%로 90일간 인하됐습니다. 당초 이야기되던 80%와 50%보다 훨씬 낮은 수준입니다.
합의가 기적적인 요소는 아닙니다. 애초 시장이 145%가 지속 불가능하다고 인식했기 때문에 불확실성 해소라고 봐야 합니다. 물론 예상을 초과했기 때문에 주식의 경우 추가 상승이 나와도 이상하지 않습니다.
물론 합의를 교두보로 삼아 추가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당장 진전이 없더라도 향후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점에서 충분히 긍정적입니다.
재밌는 점은 인도와 영국이 마무리됐으나 합의가 제일 쉬운 편에 속하던 한국, 일본에서 여려움을 겪는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EU와 중국은 합의가 예상보다 매우 빠르고 이상할 정도로 원만합니다.
시장은 현 시간 NQ 기준 약 4% 상승하는 등 리스크 오프를 띄고있으며 합리적으로 보입니다. 지수는 적당히 높은 확률의 적당한 상승과 적당히 낮은 확률의 큰 하락의 기점에 있습니다.
따라서 시장의 템포 자체도 대폭 느려질 것입니다. 사이클 하나가 통째로 끝난 것처럼 느끼기 때문입니다. 특히 제일 좋은 기회였던 US 약세가 많이 되돌려졌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성급하게 행동하지 말고 인내심을 갖고 느긋하게 기다려야 합니다.
현재 시장에서 특이한 점은 단기금리에서 인하전망은 고평가된 반면 장기채는 저평가된 모습이 거의 6개월 넘게 지속된다는 것입니다. 그만큼 리스크 프리미엄이 많이 붙었다는 뜻, 또한 수급적인 불리함이 있다는 말입니다.
그래도 '미국의 패권', '달러의 지위' 같은 자극적인 키워드에 대한 시장 반응도가 다시 이전과 같은 형태로 역학을 보일 것입니다. 이 또한 느려지는 시장 템포와 발맞출 가능성이 높습니다.
합의가 기적적인 요소는 아닙니다. 애초 시장이 145%가 지속 불가능하다고 인식했기 때문에 불확실성 해소라고 봐야 합니다. 물론 예상을 초과했기 때문에 주식의 경우 추가 상승이 나와도 이상하지 않습니다.
물론 합의를 교두보로 삼아 추가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당장 진전이 없더라도 향후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점에서 충분히 긍정적입니다.
재밌는 점은 인도와 영국이 마무리됐으나 합의가 제일 쉬운 편에 속하던 한국, 일본에서 여려움을 겪는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EU와 중국은 합의가 예상보다 매우 빠르고 이상할 정도로 원만합니다.
시장은 현 시간 NQ 기준 약 4% 상승하는 등 리스크 오프를 띄고있으며 합리적으로 보입니다. 지수는 적당히 높은 확률의 적당한 상승과 적당히 낮은 확률의 큰 하락의 기점에 있습니다.
따라서 시장의 템포 자체도 대폭 느려질 것입니다. 사이클 하나가 통째로 끝난 것처럼 느끼기 때문입니다. 특히 제일 좋은 기회였던 US 약세가 많이 되돌려졌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성급하게 행동하지 말고 인내심을 갖고 느긋하게 기다려야 합니다.
현재 시장에서 특이한 점은 단기금리에서 인하전망은 고평가된 반면 장기채는 저평가된 모습이 거의 6개월 넘게 지속된다는 것입니다. 그만큼 리스크 프리미엄이 많이 붙었다는 뜻, 또한 수급적인 불리함이 있다는 말입니다.
그래도 '미국의 패권', '달러의 지위' 같은 자극적인 키워드에 대한 시장 반응도가 다시 이전과 같은 형태로 역학을 보일 것입니다. 이 또한 느려지는 시장 템포와 발맞출 가능성이 높습니다.
转发自:
한화투자 중국/신흥국 정정영

12.05.202509:33
[미중이 상호 보복관세를 낮춘 건 어쩌면 본격적으로 싸우기 위함]
>> 100%를 넘어서는 상호관세는 협상력이 떨어진다는 것을 양국 모두 느꼈을 것으로 판단. 상대 자체를 할 필요가 없는 수준이기 때문
>> 미국은 대중 추가관세 부과의 명분이었던 펜타닐 관세 20%를 남겨둠. 여기에 양국 모두 90일동안 24% 담보 설정. 1기 경험을 참고한다면 100%를 넘지 않는 선에서 관세를 올리고 내릴 가능성 충분
• 미국은 중국으로부터 해방되지 않았고 중국은 관세 전면 철회에 실패
>> 추가관세가 사라졌다고 중국이
대미국 수출 의존도를, 미국이 대중국 수입 의존도를 다시 키울 가능성은 제한적
=========================
[트럼프 1기 데자뷰: 1년짜리 본게임은 이제 스타트]
* 2018년 3월 미국의 대중국 추가관세 부과 & 투자제한 행정명령으로 미중 상호 보복관세 타격전
* 2018년 12월 미중 정상회담에서 90일동안 추가관세 부과 중단 & 협상 재개에 합의
* 이는 결렬됐고 2019년 5월 미국은 대중국 추가관세를 25%로 올림. 8월에는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
* 2019년 12월에나 되어서 양국 1단계 합의 도달 발표. 2020년 1월 백악관에서 최종 서명
>> 100%를 넘어서는 상호관세는 협상력이 떨어진다는 것을 양국 모두 느꼈을 것으로 판단. 상대 자체를 할 필요가 없는 수준이기 때문
>> 미국은 대중 추가관세 부과의 명분이었던 펜타닐 관세 20%를 남겨둠. 여기에 양국 모두 90일동안 24% 담보 설정. 1기 경험을 참고한다면 100%를 넘지 않는 선에서 관세를 올리고 내릴 가능성 충분
• 미국은 중국으로부터 해방되지 않았고 중국은 관세 전면 철회에 실패
>> 추가관세가 사라졌다고 중국이
대미국 수출 의존도를, 미국이 대중국 수입 의존도를 다시 키울 가능성은 제한적
=========================
[트럼프 1기 데자뷰: 1년짜리 본게임은 이제 스타트]
* 2018년 3월 미국의 대중국 추가관세 부과 & 투자제한 행정명령으로 미중 상호 보복관세 타격전
* 2018년 12월 미중 정상회담에서 90일동안 추가관세 부과 중단 & 협상 재개에 합의
* 이는 결렬됐고 2019년 5월 미국은 대중국 추가관세를 25%로 올림. 8월에는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
* 2019년 12월에나 되어서 양국 1단계 합의 도달 발표. 2020년 1월 백악관에서 최종 서명
记录
12.05.202523:59
6.1K订阅者10.09.202423:59
0引用指数08.12.202423:59
7.8K每帖平均覆盖率08.12.202423:59
21.5K广告帖子的平均覆盖率19.01.202523:59
6.21%ER08.12.202423:59
203.37%ERR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