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DS투자증권 리서치 avatar

DS투자증권 리서치

TGlist 评分
0
0
类型公开
验证
未验证
可信度
不可靠
位置
语言其他
频道创建日期Oct 05, 2020
添加到 TGlist 的日期
Sep 13, 2024

记录

27.04.202523:59
5.9K订阅者
05.02.202516:53
3200引用指数
01.02.202523:59
6.9K每帖平均覆盖率
12.03.202505:21
8.2K广告帖子的平均覆盖率
03.04.202519:01
3.30%ER
11.03.202523:59
107.36%ERR

DS투자증권 리서치 热门帖子

13.04.202522:04
DS투자증권 지주/미드스몰캡 Analyst 김수현, 연구원 강태호

[미드스몰캡] 현대엘리베이터 - 내리실 분 안 계시면, 계속 올라가겠습니다

투자의견 : 매수(신규)
목표주가 : 94,000원(신규)
현재주가 : 62,800원(04/11)
Upside : 49.7%

1. 나진 상가 재건축으로 현재 대비 두 배 이상 가치 재평가 가능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94,000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 수익 창출 능력에 기반한 적정 기업 가치는 최소 3.4조원
- 최소 적정 기업가치라고 표현하는 이유는 비핵심 자산은 가치 평가에 반영하지 않았기 때문
- 나진 상가 혹은 연지동 사옥의 매각 가능성 높게 평가하며 이 자금은 주주 배당으로 활용될 전망

2. 턴어라운드 초입 + 10% 배당 수익률은 하방 지지
- 3년간 핵심 원재료 가격은 41% 하락한 반면 판가는 50% 상승
- 승강기 노후화 규제 강화로 25년부터 15만대의 잠재 교체 수요가 발생
- 연간 200억 넘는 손실을 보는 중국 내수 사업을 중단
- 모회사인 현대홀딩스와 사모펀드 H&Q와의 자금 거래 구조상 유일한 자회사인 동사의 고배당 정책은 향후 수년간 지속될 전망

3. 대북 사업도 업사이드 요인
- 자회사인 현대아산은 대북 사업 관련 7개 분야 포괄적 사업권 보유
- 트럼프 대통령 - 김정은 위원장 간 외교 관계 개선 및 한국 대북 정책 변화 여부에 따라 대북사업 재평가 기대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SInvResearch
01.04.202522:38
DS투자증권 중공업/미드스몰캡/미국 Analyst 양형모, 연구원 강태호

[조선] 조선주가 경기민감주라는 편견을 버리자

이번 사이클은 LNG와 해양 방산 - 조선주가 경기민감주라는 편견을 버리자
- 조선업은 역사적으로 상선(벌크선, 컨테이너선, 탱커 등) 건조에 주력하며 경기 민감주로 분류
- 그러나 이번 사이클에서는 조선업을 단순히 경기 민감 섹터로 간주하는 기존 편견은 재검토가 필요
- 이번 사이클은 전통적인 상선 중심의 수요 회복을 넘어 새로운 구조적 모멘텀에 의해 주도되고 있으며, 이는 주가의 중장기 상승 여력을 뒷받침할 전망

근거1. 미국의 중국 견제로 인한 해양 방산 및 우회 발주 수혜
- 러우 전쟁 이후 미국의 견제는 중국이다. 최근까지도 CIA는 중국이 2027년 대만을 침공할 것이라는 주장
- 미국은 중국 견제를 위해 (1) 해군력을 대폭 증강시켜야 하고, (2) 중국 조선소가 수익 창출을 차단해야 함
- 이로 인해 동맹국인 한국 조선은 (1) 미국 해양 방산 모멘텀 현실화, (2) 선주들이 미국의 중국 선박에 대한 관세 및 제재로 인해 중국 조선소 대신 한국 조선소로 발주를 전환하는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음

근거2. AI 혁명(방산, 민간)으로 인한 전력 수요 증가와 LNG선 발주 증가
- 만약 미국과 중국의 전쟁이 발발한다면 해상과 공중전일 것
- 러우전쟁에서 경험한 드론 공격의 압도적 가성비를 생각하면 미래전은 이러한 육해공 드론을 이용한 AI전쟁이 될 전망
- AI는 닷컴 버블과 달리 방산 및 민간에 빠르게 적용 중이 이로 인해 AI는 전세계로 확산될 수 밖에 없다는 판단
- LNG 수요 늘어날 전망이며 LNG선 발주 증가로 한국 조선 수혜 예상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SInvResearch
21.04.202500:06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2032211

다분히 의도적인 기사

외국인 매출이 50% 이상 성장 중입니다. 그 수치는 빠져 있네요

외국인, 온라인, 간편결제 등 전부 빠져 있습니다.

현재 가장 고성장 분야는 외국인 오프라인, 온라인 국내 및 역직구입니다

참고로 올리브영 1분기 매출은 경상적 성장 20% 내외로 알려져 있습니다.
02.04.202502:08
CJ올리브영 자사주 취득 관련

DS투자증권 김수현

- 신한 SPC 지분 11.3%를 자사주로 취득하기로 결의한 것으로 추정
- 우리는 여기에 추가로 기타 소액 주주 0.6% 지분도 이번에 자사주로 매입할 가능성 높다고 판단
- 언론보도에 따르면 올리브영 주총은 3/31로 이미 관련 결의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
- 자사주 매입 규모는 4,100~4,200억원 내외로 추정 (소액주주 지분 포함)
- 외부 주주는 모두 나가며 향후 주주 구성은 CJ 51.3%, 자사주 23.2%, 특수 관계인 25.5% (친족 포함)
- 향후 남은 스케쥴은 자사주 소각
- 우리는 올리브영 IPO 가능성은 없다고 판단하며 합병에 무게가 실리는 정황
- 올리브영 적정가치 7조원 vs. 현재 CJ 시총 3.7조원으로 크게 저평가된 상황

*상기내용은 리서치센터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LNG】 곧 40~65척 발주

# 향후 발주되는 LNG선은 한국 조선소가 전체 수주 가능할 전망
10.04.202522:52
FDA, 동물실험을 단계적으로 폐지할 것으로 밝힌 뒤 ai헬스케어주 급등

FDA는 독성 및 세포주 및 유기체 독성 테스트에 대한 AI 기반 계산 모델을 선호하여 동물 실험을 단계적으로 중단할 것

https://www.benzinga.com/government/regulations/25/04/44752313/health-care-technology-stocks-surge-after-fda-announces-plans-to-phase-out-animal-testing-requirements
15.04.202522:20
DS투자증권 인터넷/게임 최승호, RA 김대성

[인터넷/AI산업] 국내 AI 반격의 서막: AGENT로 승부
투자의견:비중확대(신규)

▶️국내 AI 기술: 기술격차는 더 깊어질 전망
-국내 AI 적절한 평가법으로 LMSYS(유저평가)을 제시
- 벤치마크를 세워 국내오픈소스 AI(카카오/LG)와 글로벌 오픈소스AI를 직접 사용해보며 비교함.
-국내AI: Llama3와는 비교할 수 있는 수준, DEEPSEEK와 비교는 무리.
-국내 AI 절대적 수준은 많이 올라왔으나, 자본투입 격차로 글로벌 AI와 격차 못 좁힐 것으로 전망

▶️국내 AI 서비스: 외부 LLM을 차용한 서비스화에 집중한다면 승산 있다
-그러나 서비스의 양태는 다를 수 있음
-원천기술인 LLM을 빌려오고, 서비스에 집중하는 우월전략 존재
-국내/글로벌 AI 기술격차는 LLM을 빌려오며 해결됨
-글로벌 TOP20 AI서비스, 외부모델 활용케이스가 60%
-AI 서비스 주도권은 플랫폼 과점하고 있는 국내에게 있음
-AI Agent에서는 데이터와 기존 버티컬 서비스의 유기적 연결이 더 중요할 것
-이미 국내 생성형 AI 서비스 국내사 점유율 30%를 상회
-28년까지 AI 챗봇/AGENT 시장 4.4조원까지 CAGR 110%성장 전망, 국내 과점 예상

▶️국내 AI 수익화: 비용감소/MCP, A2A/초개인화 광고커머스로 수익 본격화
-3가지 이유로 올해부터 AI 서비스 본격적인 수익화 전망
1)AI 서비스 비용 감소, 장기적으로 매출에서 API원가 10%하회 전망
2)MCP/A2A 확산으로 AI AGENT 상용화 시기 앞 당겨질 전망
3)초개인화된 AI 광고/커머스 등장으로 P/Q 동반 개선

▶️Top-pick: NAVER, 차선호주: 카카오
-AI 전략은 카카오가 네이버를 앞섬
-OPENAI와 협업선택, 하반기 AI AGENT 출시 등 전략 및 속도 우수
-그러나 세부정보 공개가 아직 없어 정밀평가 어려움
-반면 네이버는 온서비스 AI 전략을 통해 광고/커머스 성장 가시화
-퍼스트파티 데이터 풍부하고, 다목적형 플랫폼이기에 AI AGENT 서비스에 더 유리
-네이버 AI AGENT는 준비단계로 파악, 추후 구체화 시 가장 큰 시너지 발생 예상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인터넷/게임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ssi_game
08.04.202522:10
DS투자증권 미드스몰캡/재생에너지 Analyst 안주원, 연구원 김진형

[미드스몰캡] 산일전기 - 여전히 좋은 실적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58,000원(하향)
현재주가 : 45,950원(04/08)
Upside : 26.2%

▶️ 1Q25 Preview: 매출액과 영업이익 YoY 각각 +44%, +38%
- 기확보된 수주잔고(24년 말 기준 3,892억원), 증설 효과 반영, 우호적인 환율 등에 기인한 호실적
- 현재 영업환경 고려 시 30% 이상의 수익성 충분히 달성 가능

▶️ 관세에 적응해가고 있는 기업들
- 높게 책정된 관세율에도 산일전기는 주요 거래처들로부터 꾸준한 오더 유입
- 1) 관세가 모든 수입품에 대해 적용되며 2) 변압기 공급부족 지속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
- 국내외 변압기 업체들 미국 투자 발표했으나 당장 부족한 제품은 수입 외 선택지 없음

▶️ 괴리율 고려해 목표주가 58,000원으로 하향
- 주가는 고점 대비 44% 하락, 올해 예상실적 기준 PER 12배에 거래 중
- 향후 관세 정책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을 시 단기 15~20% 반등 가능
- 1분기 실적발표 전까지 관세 이벤트에 따른 주가 변동성 확대 불가피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28.03.202503:05
크래프톤 코멘트
DS투자증권 인터넷/게임 최승호


인조이 금일 9시 출시.

현재 발매 1시간 만에 동시접속자 5만명 돌파 후 6만명 peak,스팀 실시간 매출 1위 달성 후 유지 중
현재 스팀리뷰 379개 기준 매우긍정적 88%

동시접속자/매출/평가 추이 모두 긍정적. 모두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임.

인조이의 현재 스팀 동시접속자는 국내 최근 PC/콘솔 신작이었던 네오위즈 P의거짓 ATH 1.9만명을 넘어서는 수치이며, 오늘 출시된 넥슨의 카잔 2만명도 넘어서는 수치임. 자사 게임인 칼리스토프로토콜의 ATH 1.7만명도 넘어서는 수치. 최근 글로벌 출시한 게임인 유비소프트 어쌔신 크리드 섀도우 6.4만명도 넘어서는 수치.국내PEER 게임들 콘솔 포함해도 넘어서는 수치로 판단.

심즈는 출시 1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스팀 매출 10위권 유지. 이 추세대로 간다면 인생 시뮬레이션의 매우 긴 PLC를 고려 시,
장기적으로 역대 국내 PC 싱글 패키지 게임(40$ 이상) 중 가장 높은 판매량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

얼리엑세스 단계이기때문에, 게임이 정식출시전까지 고쳐나가며 수정될 수 있는 부분이 많다는 점도 긍정적. 유저들이 기다릴 수 있는 이유는, 전세계에 인생시뮬레이션 게임이 인조이,심즈 2종에 불과하며 근 시기 내 동일장르 기대작 출시도 없기 때문임. 따라서 초기지표에 너무 일회일비할 필요없고, 포텐셜과 TAM정도만 확인해도 충분함.

당사는 현재 추이대로면 시장컨센서스인 1Y 100-200만장(최근 상상인증권 ndr후기 레포트 참고)수준을 Beat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함.

*상기내용은 리서치센터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21.04.202500:15
만약 CJ주가가 많이 빠진 상태로 올리브영 합병 시도시 대부분 주주들이 반대할겁니다.
21.04.202522:01
DS투자증권 엔터·미디어·음식료 Analyst 장지혜, 연구원 김대성

[엔터·미디어·음식료] K Knows Z, Z Likes K

■ Global Gen Z의 취향을 저격하며 성장 중인 K-Contents
- Gen Z(1997~2012년 출생)는 25년 전 세계 인구 25%로 최대 인구 집단
- Gen Z가 경제 활동을 시작하며 소비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점점 커질 것
- 한국의 아이돌, 드라마, 화장품, 음식료품과 같은 K-Contents가 Gen Z 취향을 저격하며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 중

■ 엔터(Initiation): 글로벌 점유율 확대 + 엔터 기획사 역할 확대
- 1)음악 소비 시장 내 글로벌 Gen Z 비중 확대, 2)K-pop 주요 소비 시장인 동남아 경제 성장과 일본 점유율 상승, 미국/유럽/남미 진출 확대로 K-pop점유율 상승
- 주요 엔터 기획사는 메가 IP의 활발한 글로벌 활동을 기반으로 국내외 K-pop 신규 IP를 발굴하고 MD, 팬플랫폼 등 밸류체인 확장을 통해 IP 레버리지 효과 확대
-당사 엔터 신규 커버리지 4곳의 25년 합산 실적은 매출액 4.9조원(+16% YoY), 영업이익 6,238억원(+64% YoY, OPM 12.8%)으로 전망

■ 차이나[China]는 업사이드 분석
-여전히 불확실성은 높지만 한한령 해제 시 미디어는 구작 판매 및 신작 선판매로 리쿱율 상승, 엔터는 중국 공연 및 활동 증가에 따른 IP레버리지 확대로 수익성장
-최근 중국 관련 소비재(오리온, 건기식 ODM)도 중국 실적 개선이 나타나고 있어 주목

■ 최선호주: 하이브, 스튜디오드래곤, 삼양식품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31.03.202509:12
2025-03-31
KOSPI200 종목을 대상으로 한국거래소 공매도 통계에 기록된 거래대금과 거래량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직접 취합하여 정리했습니다.
공매도 거래대금 옆의 괄호는 공매도 거래대금 비중을 나타냅니다.
공매도 거래대금 중 평균 97%가 업틱룰(Uptick rule)이 적용되었으며 반도체, 2차전지, 조선, 방산 4개 섹터가 주로 공매도 거래대금이 활발하게 나타났습니다.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KOSPI200 공매도 거래대금 상위 10종목
1. SK하이닉스 2,298억원 (24.29%)
2. 한미반도체 873억원 (43.07%)
3. LG에너지솔루션 803억원 (36.89%)
4. HD현대일렉트릭 439억원 (32.8%)
5. 포스코퓨처엠 379억원 (44.52%)
6. 삼성전자 344억원 (2.72%)
7. 현대차 307억원 (14.04%)
8. 한화오션 293억원 (12.61%)
9. HD현대중공업 292억원 (38.24%)
10. POSCO홀딩스 241억원 (16.17%)

**공매도 거래대금 비중 (%) = 100 X (공매도거래대금 / 거래대금)
21.04.202522:27
DS투자증권 재생에너지/미드스몰캡 Analyst 안주원, 연구원 김진형

[재생에너지] LS일렉트릭 - 실적은 성장, 주가 상승 위한 트리거 필요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70,000원(유지)
현재주가 : 176,600원(04/21)
Upside : 52.9%

▶️ 1Q25 Review: 추정치 부합한 실적
- 1분기 매출액 1.0조원(-0.6% YoY), 영업이익 873억원(-6.9% YoY) 시현
- 1) 전력 인프라 부문 매출액과 영업이익 각각 +9%, +41% YoY, 2) 자동화 부문 영업이익이 대폭 개선

▶️ 데이터센터 향 매출 발생, 추가 수주 확보가 중요
- 미국 빅테크 데이터센터에 배전반과 전력기기 공급 계약(2,500억원 규모) 체결
- 해당 매출액은 올해 3월~11월에 걸쳐 모두 반영될 전망이며 영업이익률은 15% 내외로 추정
- 3월 수주는 관세 이슈 전 나온 이벤트인 만큼 진행 중인 공급 건들에 대한 추가 수주 확보가 주가 상승 트리거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270,000원 유지
- 3조원이 넘는 전력인프라 수주잔고를 바탕으로 실적은 분기별로 갈수록 좋아질 전망
- 실적보다는 AI에 대한 모멘텀이 다시 살아나는 것이 중요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14.04.202522:10
DS투자증권 반도체 Analyst 이수림, 연구원 김진형

[반도체] SK하이닉스 - 1Q25 Pre: 고성능 포트폴리오가 더욱 부각될 것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90,000원(유지)
현재주가 : 180,200원(04/14)
Upside : 60.9%

1. 1Q25 Preview: 컨센서스 5% 상회 전망
- SK하이닉스 1Q25 영업이익 6.9조원으로 컨센서스 6.5조원 5% 상회 전망
- DRAM B/G 전분기 대비 -10%, ASP -3% 감소
- NAND B/G -18% 감소와 ASP -6% 감소 추정
- 고객사 일정으로 인해 HBM 매출은 전분기 대비 -21% 감소, 2Q25부터 회복하여 연간으로는 전년 대비 110% 성장할 것

2. 빨라진 메모리 가격 반등 시점
- DDR5 가격이 2Q25부터 반등할 것으로 추정, 이에 따라 2분기 DRAM 영업이익 추정치를 기존 7.4조원에서 8조원으로 상향 조정
- 하반기 세트 수요의 지속 증가 여부는 아직 불확실하나 상반기는 확실히 가격 상승 흐름이 이어진다는 판단

3. 실적 감안 시 현재 주가는 저평가
- 2025년 영업이익 추정치를 기존 35조원에서 36.4조원으로 상향 조정
- 관세 리스크가 부각될수록 고성능 메모리 위주의 포트폴리오를 확보한 동사의 실적 안정성이 두각을 나타낼 것
- HBM은 장기 공급계약으로 가격 변동성이 낮고 서버용 DDR5 역시 수요가 크게 위축되지는 않을 것
- HBM의 이익 기여도가 2025년 기준 45% 이상으로 전망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06.04.202522:01
DS투자증권 반도체 Analyst 이수림, 연구원 김진형

[반도체] 관세 폭풍 속 Silver-lining 찾기

1. 반도체 직접 관세는 피했지만 최종 제품인 IT 기기는 관세 적용
- 결국 IT 기기 수요 측면에서는 타격이 불가피
- 중간재인 메모리 반도체는 관세로 인한 IT 기기 수요 감소 시 가격 하락 압박이 나타날 수 있음
- 미국 정부 향후 특정 칩에 대한 관세 부과 역시 계획 중

2. IT 기기에 대한 높은 관세는 중국 수요 감소로 이어질 것
- 관세 부담으로 인해 중국산 제품의 글로벌 수요 위축 가능성
- 특히 미국 시장 내 가격 경쟁력 약화가 수출 감소로 이어지고 내수 소비심리 위축을 야기할 것
- 미국 역시 IT 기기 가격 상승으로 인한 영향이 존재하나 서버 비중이 높고 가격 민감도는 상대적으로 낮음

3.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 비용 증가로 AI Capex 지연에 대한 우려도 제기
- AI 하드웨어 및 IT 기기에 대한 관세 부과로 인해 빅테크 기업들의 인프라 구축 비용 역시 증가 전망
- 영향 범위는 불확실하지만 특히 데이터센터 장비 가격 상승 전망
- 빅테크의 AI Capex 축소 시 AI 하드웨어 밸류체인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

4. 고성능만이 살길, SK하이닉스가 상대적으로 견조할 것
- SK하이닉스 HBM의 이익 기여도가 2025년 기준 45% 이상으로 전망, 서버 DRAM과 eSSD의 판매비중 역시 높아지는 중
- HBM은 가격 변동성이 낮고 서버용 DDR5 역시 수요가 크게 위축되지는 않을 전망
- 2024년 기준 미국향 매출 비중 SK하이닉스 63%, 삼성전자 반도체 29% 미만으로 추정. 중국향 매출 비중은 SK하이닉스 23%, 삼성전자 반도체 31% 이상으로 추정. 중국 IT 기기 수요에는 삼성전자가 상대적으로 더 민감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