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Україна Сейчас | УС: новини, політика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Реальна Війна | Україна | Новини

Лачен пише

Nairaland Pulse | News

Анатолий Шарий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Україна Сейчас | УС: новини, політика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Реальна Війна | Україна | Новини

Лачен пише

Nairaland Pulse | News

Анатолий Шарий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Україна Сейчас | УС: новини, політика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퀀텀 알고리즘
记录
18.05.202505:49
5.6K订阅者11.09.202423:59
0引用指数12.01.202523:59
1.2K每帖平均覆盖率12.01.202523:59
1.2K广告帖子的平均覆盖率07.02.202523:59
27.08%ER12.01.202523:59
22.56%ERR18.05.202502:18
장난감 진열대 '텅텅' 비었다…주말 오후 대형마트에 무슨 일이
https://naver.me/546hM0ok
https://naver.me/546hM0ok
17.05.202521:31
젠슨 황 "중국용 AI칩은 H20이 끝"…다른 반도체로 中공략 시사
https://naver.me/x1m23bkk
https://naver.me/x1m23bkk
14.05.202507:39
태양광株, 대선 공약·미중 갈등 '겹호재'…상한가·신고가 속출
https://naver.me/FAPDo2GO
https://naver.me/FAPDo2GO
15.05.202510:58
'억만장자 투자자' 스티브 코핸 "美 경기침체 확률 45%"
https://naver.me/5Pl7LWaV
https://naver.me/5Pl7LWaV
19.05.202511:22
신용등급 강등에 美국채 급락…30년물 금리 5.022%↑
https://naver.me/FFahfhFz
https://naver.me/FFahfhFz
14.05.202509:32
美 관세 전 너도나도 선행구매…'메모리의 봄' 착시 우려
https://naver.me/5Pl7p511
https://naver.me/5Pl7p511
19.05.202509:30
[단독] LG, 엔비디아에 '암 진단용 AI' 공급
https://naver.me/FzsDEhP4
https://naver.me/FzsDEhP4
转发自:
다올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2.04.202522:54
[다올투자증권 반도체/소부장 고영민, 김연미]
소부장 1Q25 Preview
- 자력으로 이겨낼 수 있는 곳들만
💡 핵심 주제 & 아이디어 요약
"업종 전반적으로 트럼프 관세 정책 불확실성과 경기에 대한 우려가 작용 중입니다.
단기적으로 박스권 가격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나,
개별 모멘텀을 보유한 소부장들은 반등 구간에서 상대적으로 강한 탄력을 보일 것으로 예상합니다.
옥석 가리기 전략이 유효하며
최선호주 와이씨켐, 주성엔지니어링, 에스티아이, 관심종목 브이엠, 오로스테크놀로지 의견을 유지합니다."
▶️ 1Q25 Preview - 전반적 실적 개선세는 아직
- 관세 Pull-in 수요는 하반기 수요를 선제적으로 반영한 것으로 판단
- 3분기부터 ASP 둔화 가능성, 생산업체들의 공급 축소 기조는 25년 내내 지속 또는 확대 예상
→ 소재 및 부품사들의 전반적 실적 개선세는 더디게
- 장비사들은 HBM 중심 전/후공정 투자가 계획대로 진행되며 상대적 견조한 실적 가능
- 특히 SK하이닉스 CapEx 계획치 상향
→ 관련 Value-Chain 실적 흐름 부각
- 다올 커버리지 중 1분기 영업이익이 컨센서스 대비 5% 이상 상회 전망: 주성엔지니어링, 에스티아이, 유니셈
▶️ 모멘텀 키워드 4가지
① HBM: 차세대 아이템(Fluxless) 본격화
② 유리기판: 샘플 시생산 확대, 소재/장비 공급 증가
③ EUV: 레이어 수 확대 속 구조적 성장 소재 확대
④ 키옥시아: QLC 및 하이브리드 본딩용 장비 발주 본격화
▶️ 투자전략
- 전반적 업종 주가 레벨은 Band 하단 위치, 가격 매력도 존재
- 다만, 단기적으로 박스권 예상 → 반등 국면에서 반등폭이 강할 수 있는 종목은 압축적으로 발생 유력
- 업황 요인 외 개별 성장 요인을 보유한 종목 중심 대응 필요
- 최선호주: 와이씨켐, 주성엔지니어링, 에스티아이
- 관심종목: 브이엠, 오로스테크놀로지
▶️ 개별 종목
- 와이씨켐★
- 주성엔지니어링★
- 에스티아이★
- 한솔케미칼
- 유니셈
- 비씨엔씨
- 지오엘리먼트
- 신성이엔지
📑 자료: https://buly.kr/jZ9HRy
*컴플라이언스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소부장 1Q25 Preview
- 자력으로 이겨낼 수 있는 곳들만
💡 핵심 주제 & 아이디어 요약
"업종 전반적으로 트럼프 관세 정책 불확실성과 경기에 대한 우려가 작용 중입니다.
단기적으로 박스권 가격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나,
개별 모멘텀을 보유한 소부장들은 반등 구간에서 상대적으로 강한 탄력을 보일 것으로 예상합니다.
옥석 가리기 전략이 유효하며
최선호주 와이씨켐, 주성엔지니어링, 에스티아이, 관심종목 브이엠, 오로스테크놀로지 의견을 유지합니다."
▶️ 1Q25 Preview - 전반적 실적 개선세는 아직
- 관세 Pull-in 수요는 하반기 수요를 선제적으로 반영한 것으로 판단
- 3분기부터 ASP 둔화 가능성, 생산업체들의 공급 축소 기조는 25년 내내 지속 또는 확대 예상
→ 소재 및 부품사들의 전반적 실적 개선세는 더디게
- 장비사들은 HBM 중심 전/후공정 투자가 계획대로 진행되며 상대적 견조한 실적 가능
- 특히 SK하이닉스 CapEx 계획치 상향
→ 관련 Value-Chain 실적 흐름 부각
- 다올 커버리지 중 1분기 영업이익이 컨센서스 대비 5% 이상 상회 전망: 주성엔지니어링, 에스티아이, 유니셈
▶️ 모멘텀 키워드 4가지
① HBM: 차세대 아이템(Fluxless) 본격화
② 유리기판: 샘플 시생산 확대, 소재/장비 공급 증가
③ EUV: 레이어 수 확대 속 구조적 성장 소재 확대
④ 키옥시아: QLC 및 하이브리드 본딩용 장비 발주 본격화
▶️ 투자전략
- 전반적 업종 주가 레벨은 Band 하단 위치, 가격 매력도 존재
- 다만, 단기적으로 박스권 예상 → 반등 국면에서 반등폭이 강할 수 있는 종목은 압축적으로 발생 유력
- 업황 요인 외 개별 성장 요인을 보유한 종목 중심 대응 필요
- 최선호주: 와이씨켐, 주성엔지니어링, 에스티아이
- 관심종목: 브이엠, 오로스테크놀로지
▶️ 개별 종목
- 와이씨켐★
- 주성엔지니어링★
- 에스티아이★
- 한솔케미칼
- 유니셈
- 비씨엔씨
- 지오엘리먼트
- 신성이엔지
📑 자료: https://buly.kr/jZ9HRy
*컴플라이언스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30.04.202508:14
[단독] 로보티즈, LG전자에 휴머노이드 'AI 워커' 1차 납품
https://naver.me/G4WDWLMf
https://naver.me/G4WDWLMf
30.04.202510:11
시끌벅적 구조조정에도…트럼프 100일, 작년보다 313조 더썼다
https://naver.me/FmfD3MRw
https://naver.me/FmfD3MRw
转发自:
한양증권 리서치(스몰캡)

22.04.202523:30
한양증권 스몰캡 Analyst 이준석
[바이오플러스] HA필러·화장품·마이크로니들 패치, 세 개의 성장축이 움직인다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 9,500원
현재주가(04/22): 7,830원
Upside : 21.3%
2025년 영업이익 483.2억 원(+107.2%, YoY) 전망
동사는 필러 중심의 기존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유전자 재조합 기반의 차세대 바이오 의약품 및 화장품 원료 사업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기존 필러 시장에서의 경쟁우위를 바탕으로 고기능성 화장품 원료, 보툴리눔 톡신 및 GLP-1 비만 치료제 등 파이프라인을 다각화하고 있으며, 2025년을 기점으로 글로벌 시장 확대 및 직접 수출 체계를 강화하는 구조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2025년 실적은 총매출 1,089.9억 원(+65.5% YoY), 영업이익 483.2억 원(+107.2% YoY)으로 추정된다. HA 필러 매출이 720억 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보이며, 메디컬 디바이스 81억 원, 코스메틱 227.5억 원, 상품 및 용역 부문에서 70.5억 원의 매출이 예상된다.
HA필러 본업에 신사업 날개를 달다
동사의 투자 포인트는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핵심 주력 품목인 HA 필러의 고성장세다. DVS 가교 기술력을 기반으로 2025년 약 720억 원의 매출이 예상된다. 브라질 등 남미를 중심으로 유럽까지 매출이 확대되고 있으며, 기존 ODM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자사 브랜드 기반의 직접 유통 체계 전환이 본격화되면서 높은 수익성 확보가 기대된다. 둘째, 코스메틱 사업부의 외형 확장이다. 전년도에는 중국 왕홍 채널을 통해 일부 매출이 인식되었으며, 올해는 글로벌 유통사와의 협업을 통해 판매 채널이 다변화될 예정이다. 특히, 작년 하반기 자회사로 편입된 코트리의 매출이 온전히 반영되면서, 올해 화장품 부문에서 200억 원 이상의 매출이 기대된다. 셋째, GLP-1 계열 비만 치료제의 성장 가능성이다. 삭센다 제네릭은 그레이 마켓을 통해 우선 납품이 개시되며, 위고비 대비 투약 편의성이 우수한 마이크로니들 패치형 제품도 병행 개발 중이다. 비만 치료제 시장은 투자자의 관심이 지속해서 높아지고 있으며, 마이크로니들 기술은 차세대 약물 전달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더불어, 신공장의 GMP 승인 절차가 마무리되는 하반기부터는 삭센다 제네릭의 수출도 본격화될 수 있어, 실적 추가 상향 여지도 존재한다.
신공장(Bio Complex) 2025년 1분기 준공 완료
동사는 충북 음성에 약 1,500억 원을 투자해 cGMP 수준의 바이오 콤플렉스를 구축하고, 2025년 1분기 준공을 완료하였다. 총 연면적은 약 1만 2천 평으로,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톡신 등 주요 품목별로 독립된 생산라인을 설계하였고, FDA 및 CE 인증 기준에 부합하는 글로벌 수준의 설비를 확보하였다. 연간 생산능력은 HA 필러 4,000만 개로, 기존 대비 약 10배 확장되었으며, GLP-1 비만치료제 및 톡신의 대량 생산 대응도 가능한 구조다. 상반기 중 시제품 생산 완료 후, 하반기부터 GMP 인증과 본격 상업 생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인프라 구축 완료를 통해 수출 확대와 신제품 상업화가 실적 레벨업의 기폭제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자료 바로가기: http://bit.ly/4jJhVqU
한양증권 스몰캡 채널: https://t.me/hanyangresearch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바이오플러스] HA필러·화장품·마이크로니들 패치, 세 개의 성장축이 움직인다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 9,500원
현재주가(04/22): 7,830원
Upside : 21.3%
2025년 영업이익 483.2억 원(+107.2%, YoY) 전망
동사는 필러 중심의 기존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유전자 재조합 기반의 차세대 바이오 의약품 및 화장품 원료 사업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기존 필러 시장에서의 경쟁우위를 바탕으로 고기능성 화장품 원료, 보툴리눔 톡신 및 GLP-1 비만 치료제 등 파이프라인을 다각화하고 있으며, 2025년을 기점으로 글로벌 시장 확대 및 직접 수출 체계를 강화하는 구조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2025년 실적은 총매출 1,089.9억 원(+65.5% YoY), 영업이익 483.2억 원(+107.2% YoY)으로 추정된다. HA 필러 매출이 720억 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보이며, 메디컬 디바이스 81억 원, 코스메틱 227.5억 원, 상품 및 용역 부문에서 70.5억 원의 매출이 예상된다.
HA필러 본업에 신사업 날개를 달다
동사의 투자 포인트는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핵심 주력 품목인 HA 필러의 고성장세다. DVS 가교 기술력을 기반으로 2025년 약 720억 원의 매출이 예상된다. 브라질 등 남미를 중심으로 유럽까지 매출이 확대되고 있으며, 기존 ODM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자사 브랜드 기반의 직접 유통 체계 전환이 본격화되면서 높은 수익성 확보가 기대된다. 둘째, 코스메틱 사업부의 외형 확장이다. 전년도에는 중국 왕홍 채널을 통해 일부 매출이 인식되었으며, 올해는 글로벌 유통사와의 협업을 통해 판매 채널이 다변화될 예정이다. 특히, 작년 하반기 자회사로 편입된 코트리의 매출이 온전히 반영되면서, 올해 화장품 부문에서 200억 원 이상의 매출이 기대된다. 셋째, GLP-1 계열 비만 치료제의 성장 가능성이다. 삭센다 제네릭은 그레이 마켓을 통해 우선 납품이 개시되며, 위고비 대비 투약 편의성이 우수한 마이크로니들 패치형 제품도 병행 개발 중이다. 비만 치료제 시장은 투자자의 관심이 지속해서 높아지고 있으며, 마이크로니들 기술은 차세대 약물 전달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더불어, 신공장의 GMP 승인 절차가 마무리되는 하반기부터는 삭센다 제네릭의 수출도 본격화될 수 있어, 실적 추가 상향 여지도 존재한다.
신공장(Bio Complex) 2025년 1분기 준공 완료
동사는 충북 음성에 약 1,500억 원을 투자해 cGMP 수준의 바이오 콤플렉스를 구축하고, 2025년 1분기 준공을 완료하였다. 총 연면적은 약 1만 2천 평으로,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톡신 등 주요 품목별로 독립된 생산라인을 설계하였고, FDA 및 CE 인증 기준에 부합하는 글로벌 수준의 설비를 확보하였다. 연간 생산능력은 HA 필러 4,000만 개로, 기존 대비 약 10배 확장되었으며, GLP-1 비만치료제 및 톡신의 대량 생산 대응도 가능한 구조다. 상반기 중 시제품 생산 완료 후, 하반기부터 GMP 인증과 본격 상업 생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인프라 구축 완료를 통해 수출 확대와 신제품 상업화가 실적 레벨업의 기폭제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자료 바로가기: http://bit.ly/4jJhVqU
한양증권 스몰캡 채널: https://t.me/hanyangresearch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14.05.202502:37
한미반도체, HBM4 전용 'TC 본더 4' 출시…JEDEC 기준 완화로 수혜 기대 [소부장반차장]
https://naver.me/FSSMmwzW
https://naver.me/FSSMmwzW
转发自:
SK증권 조선 한승한

18.05.202509:45
[SK증권 조선 한승한] (shane.han@sks.co.kr/3773-9992)
▶️한수위: 국내 조선업체들 북미 조선&함정&기자재 시장 노린다
▪️신조선가지수 186.80pt(-0.03pt), 중고선가지수 177.32pt(+0.92pt) 기록
▪️지난 16일,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인 제이미슨 그리어는 HD현대 정기선 수석부회장과 한화오션 김희철 대표와 제주에서 만나 양국 간의 조선업 협력방안에 대해서 논의
▪️한화오션은 거제 사업장의 스마트 생산 시스템을 미국 필리조선소에 적용할 계획이며, 다양한 수요와 장기적인 생산 역량 확보를 고려해 미국 내 추가 생산 거점 설립을 검토 중. 이를 통해 실질적인 협력 성과를 만들어 낼 계획임을 밝힘
▪️HD현대는 HD현대중공업과 미국 헌팅턴 잉걸스 간의 협력 사례를 소개하며 공동 기술개발, 선박 건조 협력, 기술 인력 양성 등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제시했으며, 미국 내 중국산 항만 크레인의 독점적 공금 문제 해결을 위해 HD현대삼호의 크레인 제조 역량을 소개
▪️미국은 지난 ‘24년에 5년 간 200억 달러를 투입해 항만 크레인 교체 추진을 발표했음. 지난 ‘24년 9월에 이와 관련해 USTR은 ‘24년 5월 14일 이전에 주문되고 ‘26년 5월 14일 이전에 인도되는 STS 크레인에 대해 25%의 관세를 면제하기로 결정한 바 있음. 하지만 올해 4월 USTR이 발표한 새로운 조치로 인해 중국산 STS 크레인에 대한 관세 면제 조치가 변경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 미 현지시간으로 5월 19일에 중국산 항만 크레인 관세 관련 공청회 예정
▪️미국은 일본 Mitsui E&S와 PACECO Corp(Mitsui E&S의 100% 자회사), 캐나다 Brookfield 간의 협력을 통해 미국 캘리포니아 항만의 중국산 크레인을 교체하는 프로젝트를 이미 진행 중. Mitsui E&S는 미국 연방 자금 지원을 받기 위해 ‘BABA(Build America, Buy America)’ 법안을 준수하고 있으며, 해당 정책에 따르면 크레인 부품의 55% 이상을 미국산으로 조달하고, 최종 조립 또한 미국 내에서 수행해야 함
▪️국내 선박용 크레인 업체들이 미국 항만 크레인 시장에 진출하려면 ‘BABA’ 정책을 충족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중국산 부품 사용 비중 감축 뿐만 아니라 인수 혹은 투자를 통해 미 현지 생산 거점을 확보해야 함. 향후 국내 조선/기자재 업체들의 미국 항만 크레인 시장 진출 관련한 움직임 모니터링 필요
▪️지난 15~16일, 방위사업청장은 캐나다를 방문해 캐나다 정부의 국방/안보 전문 싱크탱크인 ‘캐나다 국제문제연구소(CGAI)’와 국방방산 분야 교류 및 협력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 국방부, 산업부 고위급 관계자 및 해군 사령관 등의 군 관계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다양한 방산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으며, 해당 면담에는 캐나다 차세대 잠수함 사업(CPSP) 수주를 타겟하고 있는 팀 코리아(HD현대중공업&한화오션)가 함께 참여
▪️지난 16일, SK오션플랜트는 미 해군 함정 MRO 시장 진출을 위한 입찰 참여 및 MSRA 취득 등 본격적인 준비에 나섰다고 밝힘. 조기 시장진입이 가능한 군수지원함 MRO 사업에 올해 말부터 입찰 참여한다는 계획이며, 이에 필요한 MSRA 취득을 위해 TF 구성 및 관련 준비에 착수. ‘26년 말까지 협약을 체결해 ‘27년부터 연간 4~5척 수주를 목표
▪️SK오션플랜트는 (구)삼강엠앤티 시절, 대한민국 해군과 해양경찰청에 30여척 이상의 함정을 건조하여 성공적으로 인도한 경험이 있으며, 현재 대한민국 해군의 최신형 호위함인 울산급 Batch-III 2, 3, 4번함을 동시 건조 중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 뿐만 아니라 국내 조선/기자재 업체들의 미국 조선업 시장 진출 가능성은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중. 특히 단기적 관점에서 미국의 조선/해운업 재건과 해군력 강화를 위한 과정에서 부족한 공급망 확보를 위해 조선 동맹국가(한국&일본)의 기자재 업체들의 도움 또한 필요할 것으로 전망. 조선업 비중확대(Overweight) 의견 유지
▶️보고서 원문: https://buly.kr/AF0DRtE
SK증권 조선 한승한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Cyclical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한수위: 국내 조선업체들 북미 조선&함정&기자재 시장 노린다
▪️신조선가지수 186.80pt(-0.03pt), 중고선가지수 177.32pt(+0.92pt) 기록
▪️지난 16일,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인 제이미슨 그리어는 HD현대 정기선 수석부회장과 한화오션 김희철 대표와 제주에서 만나 양국 간의 조선업 협력방안에 대해서 논의
▪️한화오션은 거제 사업장의 스마트 생산 시스템을 미국 필리조선소에 적용할 계획이며, 다양한 수요와 장기적인 생산 역량 확보를 고려해 미국 내 추가 생산 거점 설립을 검토 중. 이를 통해 실질적인 협력 성과를 만들어 낼 계획임을 밝힘
▪️HD현대는 HD현대중공업과 미국 헌팅턴 잉걸스 간의 협력 사례를 소개하며 공동 기술개발, 선박 건조 협력, 기술 인력 양성 등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제시했으며, 미국 내 중국산 항만 크레인의 독점적 공금 문제 해결을 위해 HD현대삼호의 크레인 제조 역량을 소개
▪️미국은 지난 ‘24년에 5년 간 200억 달러를 투입해 항만 크레인 교체 추진을 발표했음. 지난 ‘24년 9월에 이와 관련해 USTR은 ‘24년 5월 14일 이전에 주문되고 ‘26년 5월 14일 이전에 인도되는 STS 크레인에 대해 25%의 관세를 면제하기로 결정한 바 있음. 하지만 올해 4월 USTR이 발표한 새로운 조치로 인해 중국산 STS 크레인에 대한 관세 면제 조치가 변경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 미 현지시간으로 5월 19일에 중국산 항만 크레인 관세 관련 공청회 예정
▪️미국은 일본 Mitsui E&S와 PACECO Corp(Mitsui E&S의 100% 자회사), 캐나다 Brookfield 간의 협력을 통해 미국 캘리포니아 항만의 중국산 크레인을 교체하는 프로젝트를 이미 진행 중. Mitsui E&S는 미국 연방 자금 지원을 받기 위해 ‘BABA(Build America, Buy America)’ 법안을 준수하고 있으며, 해당 정책에 따르면 크레인 부품의 55% 이상을 미국산으로 조달하고, 최종 조립 또한 미국 내에서 수행해야 함
▪️국내 선박용 크레인 업체들이 미국 항만 크레인 시장에 진출하려면 ‘BABA’ 정책을 충족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중국산 부품 사용 비중 감축 뿐만 아니라 인수 혹은 투자를 통해 미 현지 생산 거점을 확보해야 함. 향후 국내 조선/기자재 업체들의 미국 항만 크레인 시장 진출 관련한 움직임 모니터링 필요
▪️지난 15~16일, 방위사업청장은 캐나다를 방문해 캐나다 정부의 국방/안보 전문 싱크탱크인 ‘캐나다 국제문제연구소(CGAI)’와 국방방산 분야 교류 및 협력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 국방부, 산업부 고위급 관계자 및 해군 사령관 등의 군 관계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다양한 방산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으며, 해당 면담에는 캐나다 차세대 잠수함 사업(CPSP) 수주를 타겟하고 있는 팀 코리아(HD현대중공업&한화오션)가 함께 참여
▪️지난 16일, SK오션플랜트는 미 해군 함정 MRO 시장 진출을 위한 입찰 참여 및 MSRA 취득 등 본격적인 준비에 나섰다고 밝힘. 조기 시장진입이 가능한 군수지원함 MRO 사업에 올해 말부터 입찰 참여한다는 계획이며, 이에 필요한 MSRA 취득을 위해 TF 구성 및 관련 준비에 착수. ‘26년 말까지 협약을 체결해 ‘27년부터 연간 4~5척 수주를 목표
▪️SK오션플랜트는 (구)삼강엠앤티 시절, 대한민국 해군과 해양경찰청에 30여척 이상의 함정을 건조하여 성공적으로 인도한 경험이 있으며, 현재 대한민국 해군의 최신형 호위함인 울산급 Batch-III 2, 3, 4번함을 동시 건조 중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 뿐만 아니라 국내 조선/기자재 업체들의 미국 조선업 시장 진출 가능성은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중. 특히 단기적 관점에서 미국의 조선/해운업 재건과 해군력 강화를 위한 과정에서 부족한 공급망 확보를 위해 조선 동맹국가(한국&일본)의 기자재 업체들의 도움 또한 필요할 것으로 전망. 조선업 비중확대(Overweight) 의견 유지
▶️보고서 원문: https://buly.kr/AF0DRtE
SK증권 조선 한승한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Cyclical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18.05.202501:11
제2플라자합의 경계…5월 환율 일 25원 출렁, 야간거래 후 최대
https://naver.me/xt4wVLwK
https://naver.me/xt4wVLwK
17.05.202508:12
AI로봇이 ‘킬러’로 돌변하는 순간 [AI오답노트]
https://naver.me/FLel6f11
https://naver.me/FLel6f11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