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Реальна Війна | Україна | Новини
Реальна Війна | Україна | Новини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Реальна Війна | Україна | Новини
Реальна Війна | Україна | Новини
몰?루 avatar

몰?루

본 채널의 게시물은 단순 의견 및 기록용도이고 매수-매도 등 투자권유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어떤 경우에도 법적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TGlist рейтинг
0
0
ТипАчык
Текшерүү
Текшерилбеген
Ишенимдүүлүк
Ишенимсиз
Орду
ТилиБашка
Канал түзүлгөн датаJul 19, 2023
TGlistке кошулган дата
Sep 13, 2024
Тиркелген топ

Рекорддор

19.05.202523:59
2.3KКатталгандар
09.09.202423:59
0Цитация индекси
16.09.202423:59
1.1K1 посттун көрүүлөрү
04.04.202521:45
1.1K1 жарнама посттун көрүүлөрү
28.02.202523:59
9.80%ER
16.09.202423:59
70.28%ERR
Катталуучулар
Citation индекси
Бир посттун көрүүсү
Жарнамалык посттун көрүүсү
ER
ERR
OCT '24JAN '25APR '25

몰?루 популярдуу жазуулары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BacurasHouse avatar
BacurasHouse
07.05.202508:08
[美 군용기 정비, 한국에 맡긴다?]
– 한미 방산·관세협상의 숨은 카드, ‘MRO 허브 코리아’ 부상

https://m.sedaily.com/NewsView/2GSPD4XS9Q#cb

1️⃣ 미국, 한국에 ‘군용기 MRO’ 맡기나?
미 국방부가 한화에어로스페이스·KAI·대한항공 등 한국 방산기업을 직접 방문해 군용기 유지·보수·정비(MRO) 역량을 검토함.
이미 조선 부문(MRO)에서 한화오션, HD현대 등이 미 해군 함정 정비를 수주한 데 이어, 항공 분야로 확장하려는 움직임.

2️⃣ 왜 한국인가?
• 미국은 ‘지역거점운영유지체계(RSF)’를 통해 동맹국에 군 정비를 위탁해 전투 효율을 높이는 전략 구상
• 기존 미 본토 정비는 비효율·비용↑
• 아태 지역 MRO 거점 후보: 한국, 일본, 호주, 필리핀
→ 한국은 부품·엔진 정비 등 기술력 선두권

3️⃣ K항공 3인방 역량 요약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GE·P&W·롤스로이스와 엔진 라이선스 생산
• 누적 1만 대 이상 엔진 생산, 5700대 정비
• 창원1사업장에 엔진 공장 증설 중 (월 생산 2배↑)
• 미국 내 부품공장 4곳 운영

(대한항공)
• F-16 전투기 수명 연장 정비 경험
• 1978년부터 미군 MRO 경험 (총 3700대)
• 인천 영종도에 연간 360대 규모 엔진 정비공장 건설 중 (5780억 원 규모)

(KAI)
• FA-50 수출 후 성과기반 군수지원(PBL) 수행
• 정부 인증 MRO 사업자, KAEMS 자회사 운영
• 경남 사천에 대형 MRO 단지 확장 중 (총 2481억 원 규모)

4️⃣ 시장의 크기와 전략적 의미
• 2025년 세계 군용기 MRO 시장: 약 57조 원
• 2030년까지 65조 원 규모로 성장 전망
• 미국 수주 성공 시 기술력 인증 + 동맹국 진출 발판
관세 협상 지렛대로 활용 가능 (항공+조선+LNG 등 포트폴리오 구축)

5️⃣ 조선 부문은 이미 성과 중
• 한화오션: 월리 쉬라호, 유콘호 등 미 함정 정비
• 한국 조선업체, 미 해군 함정 7~9건 수주 목표
• 트럼프, 조선업 부활 위해 K조선과 협력 시사

6️⃣ 정부·업계 전략 포인트
• 아태 경쟁국 대비 설비·기술력 우위 확보
MRO 허브 지정 시, 안보 파트너 + 산업 보완제 역할
• 미국 제조업 약화된 틈새에 한국이 ‘보조 뇌’로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도PB의 생존투자 avatar
도PB의 생존투자
19.05.202500:02
35세 이상 사용자들이 떨어져 나가기 시작했다는 것임.

이게 뭘 뜻하냐면
우리가 본업에서도 GPT 활용을 정점에 달하도록 만들어두면, 그들보다 앞서나갈 확률이 압도적으로 커진다는 것임.

기업만 AI를 활용하는게 아님
개인은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

기업은 정해진 툴 안에서 활용도를 극대화 시켜야 하지만 개인은 여러 툴을 본인 입맛대로 활용할 수 있음.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는 것

가령
1) GPT한테는 단순 이미지 해석과 뉴스 자동 전달을
2) 구글LLM 한테는 기업 실적과 인터뷰를 보다 딥하게 해석을
3) 이미 만들어진 핀챗, 코핀, 밸리AI를 통해서는 기업 실적 체킹을
4) 감마를 통해 자료 정리를
5) 릴리스를 통해 유튜브 영상을 빠르게 체킹을

자, 간단하게 정리해서 이 정도인데도
"아 AI는 어려운거야" 라고 한다면 성장하지 않겠다는 것이 됨.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avatar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12.05.202506:00
2025.05.12 14:53:14
기업명: 디아이(시가총액: 4,242억)
보고서명: 기타경영사항(자율공시)(종속회사의주요경영사항)

종속회사 : 디지털프론티어
제목 : SK하이닉스 向 반도체 검사장비 공급계약 체결

* 주요 내용
1. 판매 및 공급계약 구분:


- 반도체 검사장비 공급계약

(HBM / DDR5용 WAFER TESTER)


2. 계약내역:


- 계약금액: 35,868,800,000원


- 최근매출액: 213,957,402,579원


- 매출액대비: 16.8%


3. 계약상대: SK하이닉스(주) (SK hynix Inc.)

4. 공급지역: 대한민국

5. 계약기간: 2025-05-09 ~ 2025-10-31

6. 계약(수주)일: 2025-05-09

* 기타 사항 :
- 본 공시는 당사 주요종속회사인 (주)디지털프론티어의의

단일판매.공급계약 체결과 관련한 공시임. - 상기 계약금액은 부가가치세(VAT) 포함 금액임. - 상기 최근매출액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라 작성된

2024년 연결재무제표상의 매출액 기준임. - 상기 계약(수주)일은 당사 P/O 접수일임.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12800295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3160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카이에 de market avatar
카이에 de market
22.04.202522:36
비공개 투자자 서밋에서 “매우 가까운 시일 내 대중 무역전쟁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현재 수준의 관세율로는 현 상황을 지속할 수 없다는 데 모두가 공감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중국과의 다음 단계 논의가 진행될 것”이라며 “세계와 시장이 안도의 한숨을 쉴 수 있도록 미중 간 긴장 완화 가능성이 긍정적인 신호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94671?sid=101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루팡 avatar
루팡
22.04.202509:10
中, 희토류 수출 통제…첫 타깃은 한국

"희토류 쓴 제품, 美 수출 말라"…한국 등 본격 압박


변압기 제조사에 약속 요구…배터리·항공우주도 비상
'우회 수출 금지' 경고 어기면 희토류 판매 중단할 듯


중국 정부가 한국 기업에 ‘중국산 희토류를 사용해 생산한 제품을 미국 군수업체에 수출하면 제재하겠다’는 내용의 경고성 공문을 보낸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정부가 미국산 반도체의 대중국 우회 수출을 통제해온 것처럼, 중국도 전략광물인 희토류의 ‘제3국 수출 통제’에 본격적으로 나선 것이다. 미·중 양국이 벌이는 ‘패권 전쟁’에서 한국 기업이 선택을 강요받고 있다는 우려가 크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변압기 제조사인 A사는 최근 중국 상무부에서 “중국산 중희토류가 들어간 변압기 등 전력 설비를 미국 방산업체와 미군 등에 수출하지 않겠다는 점을 보증하고, 위반 사항이 적발될 경우 제재받을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하라”는 내용의 공문을 받았다.

제재의 구체적 내용은 명시하지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우회 수출 적발 시 중국산 중희토류를 팔지 않겠다’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이 같은 공문은 또 다른 변압기 제조사인 B사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변압기 업체뿐 아니라 2차전지, 디스플레이, 전기자동차, 항공우주, 의료장비 등 중국산 전략광물을 수입해 쓰는 다른 업종 기업도 대부분 같은 공문을 받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중국이 중국산 전략광물 전반의 제3국 수출 통제에 본격적으로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중국 상무부는 이달 초 사마륨, 가돌리늄 등 중희토류 7종과 이를 가공한 영구자석의 수출 통제 조치를 발표했다. 특히 미국 방산기업 27곳에는 중희토류를 ‘이중용도물품’(군수용과 민간용으로 모두 쓸 수 있는 물품)으로 지정해 아예 수출을 금지했다. 이번 공문은 이에 대한 후속 작업으로 풀이된다. 한아름 한국무역협회 통상연구실 수석연구원은 “중국이 수출 금지 미국 기업 리스트를 계속 추가해 국내 수출 대기업의 타격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의 1, 2위 수출국인 미국과 중국이 관세 전쟁 과정에서 제3자 수출 통제를 계속 확대하면 우리 기업의 수출이 크게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2286431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기업탐방 독립리서치 A.R.I.S avatar
기업탐방 독립리서치 A.R.I.S
16.05.202500:04
🔷 이재명이 지적한 PBR0.2배 퇴출 기업들 실적, 주가 끌어올리기 시작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저 PBR 기업에 대한 강한 문제의식을 드러낸 적이 있습니다.

민주당에서는 이미 법안 발의도 해 놓았습니다.
이런 가운데 저 PBR종목들의 이상한(???) 움직임들이 포착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탐방요청도 많이 했던 섹터인데
실적이 굉장히 우량한 회사인데,

관계자 曰
저희는 탐방 안받아요 했던 회사


이런 회사들이 주로 자동차 업종에 많이 포진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SJG세종
PER2배 PBR 0.2배

📌 25년 1분기 실적
매출액 4,535억원, 영업이익 221억원, 당기순이익 232억원 기록

24년 1분기 실적
매출액 4,648억원, 영업이익 156억원, 당기순이익 154억원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매출액은 감소했는데
영업이익 65억원, 당기순이익 78억원


갑자기 어디에서 이렇게 원가 절감이 되고, 비용관리가 잘 되었을까요?

참고로 6월에는 여의도에서 대규모 IR행사도 잡고 있다고 합니다.
무언가 주가를 올려야 한다는 내부적 판단이 섰나 봅니다.

현대/기아차 눈치 보느라 주가 관리 1도 관심 없던 회사들이
정부와 정치권, 금융당국으로부터 두들겨 맡게 생기니
움직이기 시작했다고 보이네요

(투자아이디어)
PBR 낮은기업들 중에서
실적 잘 나오고, 갑자기 IR/PR많아지면
주가 부양 의지가 있다고 판단되네요


지금부턴 그런 종목군을 한 번씩 찾아보세요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루팡 avatar
루팡
24.04.202514:24
궈밍치) 2025년 하반기 출시될 아이폰 17 모델 중 최소 세 가지, 12GB DRAM 탑재 예정 — 애플의 DRAM 업그레이드 전략 강화로 마이크론과 SK하이닉스 수혜 전망

최신 업계 조사에 따르면:

1. 2025년 하반기에 출시될 아이폰 17 시리즈 중 Pro Max, Pro, 울트라 슬림 모델은 모두 12GB DRAM을 탑재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전에는 Pro Max 모델에만 12GB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했음)

2. 애플은 아이폰 17 기본 모델에도 12GB를 적용할 계획이지만, 공급 부족 가능성이 여전히 우려됩니다. 애플은 이를 5월 중으로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3. 설령 올해(2025년) 아이폰 17 기본 모델이 8GB를 유지하더라도, 2026년 하반기 출시될 모든 아이폰 신제품은 12GB DRAM을 탑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4. 12GB DRAM의 평균 판매가격(ASP)은 8GB 대비 약 50% 높아, 주요 공급업체인 마이크론과 SK하이닉스에게 큰 수익 향상이 기대됩니다.

5. 애플의 이 같은 공격적인 DRAM 업그레이드 전략은 스마트폰 시장 내 경쟁 심화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6. AI용 HBM 출하 규모가 비교적 작은 마이크론이 SK하이닉스보다 더 높은 성장 잠재력을 보일 수 있습니다.

https://mingchikuo.craft.me/luXVWtplQ9Bokb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루팡 avatar
루팡
24.04.202522:46
아마존과 엔비디아: "AI 데이터센터 수요, 둔화 조짐 없다"

-아마존과 엔비디아 경영진은 인공지능으로 인한 전력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고 언급함.

-아마존 글로벌 데이터센터 부사장 케빈 밀러는 회사의 데이터센터 계획에 큰 변화가 없다고 밝힘.

-엔비디아의 지속가능성 담당 이사 조쉬 파커는 “수요 감소 조짐을 전혀 보지 못했다”고 말함.


경기 침체 우려로 일부 투자자들이 테크 기업들이 데이터센터 투자를 줄일 것이라 우려하고 있는 가운데, 아마존과 엔비디아 경영진은 AI 데이터센터 건설이 전혀 둔화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아마존의 글로벌 데이터센터 부문 부사장 케빈 밀러는 미국 에너지 햄 인스티튜트(Hamm Institute for American Energy)가 주최한 컨퍼런스에서 “실질적인 변화는 없다. 수요는 계속 강하며, 향후 몇 년간은 물론 장기적으로도 수치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러한 발언은 월가에서 퍼지고 있는 우려와는 상반된다. 웰스파고(Wells Fargo) 애널리스트들은 이번 주 초, 업계 소식통을 인용해 아마존웹서비스(AWS)가 일부 데이터센터 리스 계약을 일시 중단했다고 전했다. 그 규모는 명확하지 않지만, 마이크로소프트가 일부 초기 단계 프로젝트를 철회한 것과 유사한 조치가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다.

이에 대해 밀러는 “사람들이 너무 과도하게 해석해서 이상한 결론을 내리고 있다”고 반박했다.

엔비디아의 지속가능성 부문 수석 이사 조쉬 파커 역시 “수요 감소는 보지 못했다”고 밝혔다. 중국의 AI 스타트업 DeepSeek가 더 효율적인 AI 모델을 발표하면서 에너지 관련 주가가 하락했던 일에 대해 그는 “과도한 반응(kneejerk reaction)”이라고 평가했다.

파커는 “AI로 인해 컴퓨팅 수요와 에너지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이라며, 전력 수요 감소 우려에 선을 그었다.

AI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의 공동 창업자 잭 클락은 “AI를 지원하기 위해 2027년까지 50GW의 전력 용량이 추가로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약 50개의 원자력 발전소와 맞먹는 규모다.

앤트로픽을 포함한 AI 기업들이 보여주는 건 새로운 기저 전력(base load power)에 대한 엄청난 수요 증가다. 전례 없는 성장세”라고 클락은 설명했다.

이번 발언들은 오클라호마시티에서 열린 테크 및 에너지 기업들이 모인 컨퍼런스에서 나왔다. AI로 인한 미국의 전력 수요 증가에 어떻게 대응할지를 논의하기 위한 자리였으며, 이 자리에서는 천연가스가 전력 수요를 충족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의견도 다수 제시되었다.

https://www.cnbc.com/2025/04/24/amazon-and-nvidia-say-ai-data-center-demand-is-not-slowing-down-.html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KK Kontemporaries avatar
KK Kontemporaries
20.04.202523:49
JP

1. 우리는 한미반도체 공장 투어에 참석했으며, 핵심 부품 대부분을 내재화함으로써 장비 지식재산(IP)을 확보하고 있는 점에서 긍정적인 인상을 받음. 아직 SK하이닉스의 생산 차질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HBM의 중요성과 M15X 클린룸 증설 전까지 한정된 공간을 고려할 때 양측이 곧 합의할 것으로 예상함. 다만, 중장기적으로는 한미에 부정적 영향이 있을 수 있음. 이는 고객사 내 지갑 점유율(wallet-share) 감소 리스크 때문이며, 한미는 올해 들어 수요가 강한 마이크론(MU)/중국 쪽 옵션 가치를 우선시할 것으로 기대됨.

2. 시장에서는 NVIDIA의 GB300이 소켓 아키텍처로 인한 전송 문제로 인해 GB200과 동일한 설계로 되돌아갈 것이라고 보고 있음. 애널리스트들은 이 변경이 특히 수냉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으며, 퀵 커넥터(quick connector) 사용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설계 변경으로 인해 수냉 플레이트 모듈 및 관련 부품은 다시 검증 과정을 거쳐야 하며, GB300 출시 일정은 기존 3분기에서 4분기로 연기될 것으로 보임. 이는 AURAS(3324), FOSITEK(6805)에게 부정적임.
https://money.udn.com/money/story/5612/8686599?from=ednappsharing&secureweb=wintrv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팔칠사공스토너 실전투자 인사이트 avatar
팔칠사공스토너 실전투자 인사이트
13.05.202523:25
https://blog.naver.com/stoner0328/223864940506

[알테오젠]
1. 미국 정부(CMS)가 약가 인하 정책을 강화하고 있음.
① CMS(미국 보건복지부 산하 기관)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라 고가 약물의 약가 인하 협상 권한을 갖고 있음.
② 이번에 발표된 초안에서는 ‘약간의 변경’만으로 재출시된 약물도 원래 약물과 동일하게 간주하기로 함.
③ 즉, 약물에 전달기술(하이알루로니다아제 같은 것)만 추가해 피하주사(SC) 형태로 바꾼 경우에도, 새 약물이 아닌 기존 약물로 본다는 뜻.

2. CMS 약가 인하 정책이 바뀌면, 알테오젠 ALT-B4 기술 들어간 머크 키트루다 SC도 약가 인하 조기 대상 가능성 있음.
원래는 SC제형 새 약물로 간주돼 약가 협상 13년 유예였는데, 이번 초안대로면 원래 약물 출시일로 계산함.
키트루다 2034년까지 약가 인하 없이 팔 계획이었지만, 이르면 2029년부터 약가 인하 압박 가능.

3. 알테오젠은 키트루다에만 의존하는 회사는 아니지만, 현재 내러티브에는 세계에서 제일 많이 파는 약 키트루다가 차지하는 비중이 컸음.
따라서 약가인하 정책이 확정되는 25년 말까지는 지속적인 노이즈가 있을듯.

4. 알테오젠의 신규 계약들이 IV -> SC 전환이 아닌, 애초부터 SC제형으로 개발하는 대박 계약들이 나오면서 노이즈를 뚫어줘야 하는 상황.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루팡 avatar
루팡
22.04.202522:46
테슬라 2025년 1분기 실적 (시간외 +0.4%)

조정 EPS: 0.27달러 (예상치 0.43달러) / 전년 대비 40% 감소

매출: 193.4억 달러 (예상치 212.4억 달러) / 전년 대비 9% 감소

GAAP 기준 총이익률: 16.3% (예상치 16.4%) / 전년 대비 104bp 하락

영업이익률: 2.1% / 전년 대비 343bp 하락

조정 EBITDA: 28.1억 달러 (예상치 31.2억 달러) / 전년 대비 17% 감소

조정 EBITDA 마진: 14.6% (예상치 14.7%)

부문별 실적

자동차 부문 매출
: 139.7억 달러 (예상치 158.2억 달러) / 전년 대비 20% 감소
  • 자동차 판매: 129.3억 달러 (예상치 148.4억 달러)
  • 규제 크레딧: 5.95억 달러 (예상치 6.16억 달러)
  • 리스: 4.47억 달러 (예상치 4.52억 달러)

에너지 부문 매출: 27.3억 달러 (예상치 31.8억 달러) / 전년 대비 67% 증가

서비스 및 기타 매출: 26.4억 달러 (예상치 28.2억 달러) / 전년 대비 15% 증가


운영 지표

영업이익: 3.99억 달러 / 전년 대비 66% 감소

잉여현금흐름: 6.64억 달러 / 전년 대비 126% 증가

영업현금흐름: 21.6억 달러

설비투자(Capex): 14.9억 달러 / 전년 대비 46% 감소

글로벌 차량 인도량: 336,681대 / 전년 대비 13% 감소
  • 모델 3/Y: 323,800대 / 전년 대비 12% 감소
  • 기타 모델: 12,881대 / 전년 대비 24% 감소

생산량: 362,615대 / 전년 대비 16% 감소

규제 크레딧 매출: 5.95억 달러 / 전년 대비 20% 감소

차량 재고: 22일치 (이전 분기 12일치 대비 증가)


에너지 부문

Powerwall 설치량: 처음으로 1GWh 돌파

에너지 저장 설치량: 10.4GWh / 전년 대비 154% 증가

에너지 총이익률: 전 분기 대비 개선

상하이 메가팩토리에서 100개 이상의 메가팩 생산 (아직 미출고)

우리는 처음으로 1GWh를 넘어서며 Powerwall 배포에 대한 네 번째 연속 기록을 달성했으며 계속해서 공급 제약을 받고 있습니다. 에너지 사업의 총 마진이 순차적으로 개선


전략 / 기술 / AI 관련

새로운 모델 Y의 생산 확대가 전 세계 공장에서 완료됨

새로운 Model Y 램프가 과거의 모든 생산 램프를 능가

사이버트럭,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인도 시작 / 미국에서 롱레인지 모델 출시

자율주행(FSD, 감독형) 중국 출시 / 유럽 출시는 승인 대기 중

미국 공장에서 FSD 기반 생산 물류 도입

사이버캡(로보택시) 시범 운영, 오스틴에서 6월 시작 예정 / 생산은 2026년부터

Optimus 휴머노이드 로봇, 2025년 시범 생산


IRA 기준을 충족하는 4680 셀 출시 / 사이버트럭 7,500달러 세금 공제 대상

미국산 배터리 팩, 미국 내 모델 3/Y 전 차량에 사용 중

Tesla 운전자는 3월 말 현재 FSD(Supervised)로 누적 36억 마일 이상을 주행했으며, 이는 12월 말의 29억 마일에서 증가


정치 / 관세 관련

"자동차 및 에너지 시장의 불확실성이 계속해서 커지고 있으며, 급변하는 통상 정책이 Tesla 및 경쟁사들의 글로벌 공급망과 비용 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관세는 자동차보다 에너지 사업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전망

2025년 가이던스는 2분기에 재검토 예정

생산량 증가는 자율주행 기술 확산, 공장 가동률, 거시경제 여건에 따라 결정

저가 모델은 2025년 상반기 생산 시작 예정
( 신형 차량(더 저렴한 모델 포함)에 대한 생산 계획은 2025년 상반기 시작 일정대로 진행 중입니다. 이 차량들은 차세대 플랫폼의 일부 요소와 기존 플랫폼의 요소들을 함께 활용하며, 현재 차량 라인업과 동일한 제조 라인에서 생산될 예정
)

연간 차량 생산 능력은 약 300만 대로, 신규 라인 없이도 2024년 대비 60% 성장 가능


리튬 정제 및 양극재 생산 공장은 2025년에 생산을 시작하여 중요한 배터리 재료의 온쇼어링 생산을 미국으로 확대하는 궤도에 있습니다

미국 네바다와 텍사스에서 Tesla Semi와 Cybercab 생산 라인의 설치가 계속 진전되고 있습니다. 두 차량 모두 내년 대량 생산 일정대로 진행 중입니다.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강해령의 반도체탐구생활 avatar
강해령의 반도체탐구생활
우와.. 오피셜 보도자료입니다
Көбүрөөк функцияларды ачуу үчүн кириңи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