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신한 리서치 avatar

신한 리서치

신한투자증권 리서치본부
TGlist 评分
0
0
类型公开
验证
未验证
可信度
不可靠
位置
语言其他
频道创建日期Квіт 13, 2017
添加到 TGlist 的日期
Вер 19, 2024

Telegram频道 신한 리서치 统计数据

订阅者

16 647

24 小时
7
0%一周
32
0.2%一个月
167
1%

引用指数

0

提及0频道上的转发0频道上的提及0

每帖平均覆盖率

1 189

12 小时1 222
37.3%
24 小时1 1890%48 小时8930%

参与率 (ER)

1.01%

转发12评论0反应0

覆盖率参与率 (ERR)

7.15%

24 小时0%一周
1.43%
一个月
1.84%

每则广告帖子的平均覆盖率

1 263

1 小时1 319104.43%1 – 4 小时32325.57%4 - 24 小时31224.7%
将我们的机器人连接到频道以了解该频道的受众性别。
过去 24 小时内的帖子数
2
动态
8

"신한 리서치" 群组最新帖子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4월 22일
『Trump의 연준 흔들기에 sell USA』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486.64 (-0.07%), 코스닥 716.12 (+0.09%)

미국 주식·채권·달러 동반 약세 연출

금일 KOSPI, KOSDAQ 각각 -0.1%, +0.1% 등락했습니다. 최근 며칠 잠잠하던 Trump의 강성 발언이 재개됨에 따라 미국 자산에 대한 투매도 이어졌습니다. Trump는 7회 금리를 인하한 ECB와 비교하면서 Powell을 ‘중대 실패자(a major loser)’, ‘Mr. Too Late’ 등으로 표현했는데, 이처럼 연준 흔들기가 지속되면서 주식·채권· 달러에 전방위적 매도세가 나왔습니다. 달러 인덱스는 98p를 위협 하기도 하면서 2022년 3월 이후 3년만에 최저치를 보였고, 반대 급부로 안전자산인 금은 온스당 3,400$를 돌파하기도 했습니다. 위험 선호 후퇴에 외국인은 KOSPI를 최근 18일 중 17일 순매도 했지만 개인·연기금(18일 연속) 매수세에 지수는 선방했습니다.

빅테크 실적 발표 앞두고 하락 지속

NASDAQ은 재차 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해 약세장에 진입했 습니다. 대중국 수출 규제로 Nvidia(-4.5%)가 13일만에 100$를 이탈하며 반도체 투심을 흔들었고(삼성전자 -0.7%, SK하이닉스 1.6%), Tesla(-5.8%)도 내일 실적 발표를 앞두고 브랜드에 대한 우려 제기에 낙폭 확대됐습니다(LGES -0.2%, 엘앤에프 -0.7%).
#특징업종: 1)우크라 재건: Putin, 개전 후 처음으로 우크라와의 직접 대화 제안(대동기어 +18.3%, SG +8.0%) 2)해상풍력: 산업부, 신안에 국내 최대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지정(SK이터닉스 +17.3%, 대명에너지 +17.0%) 3)태양광: 미국, 6월부터 동남아산 중국 태양 광 제품에 고율 관세 부과(SDN +30.0%, 금양그린파워 +29.9%)

대선 앞두고 관심 증가하는 에너지 이슈

오늘 지구의 날을 맞아 대선 후보들은 환경·에너지 관련 메시지를 내보냈습니다. 이재명 전 당대표는 ‘탈플라스틱 로드맵’의 수립을 공약으로 내걸면서 탈플라스틱주(세림B&G +30.0%, 코오롱ENP +10.3%) 강세 보였습니다. 그 외에 해상풍력·태양광 등 이슈별로 재생에너지 강세 보이며 ESS(신성이엔지 +20.6%, HD현대에너지 솔루션 +6.1%) 상승했고, 탄소중립 이슈에 CCUS(에코바이오 +30.0%, 그린케미칼 +30.0%) 종목들도 오랜만에 반응했습니다.
#주요일정: 1)美 리치몬드연은 제조업지수(23:00) 2)Tesla·GE Aerospace 등 실적 발표 3)韓 4월 소비자신뢰지수(23일 06:00) 4)삼성바이오로직스·LG이노텍·유니드 등 실적 발표(23일)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34747
위 내용은 2025년 4월 22일 16시 4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5월 Econ Signal; 관세 충격에 차별적 정책 대응』
매크로팀 하건형 ☎ 02-3772-1946

- 글로벌 경제 동향 및 전망
- 5월 전체 이벤트 일정
- 국가별 동향 및 전망
- Key Chart
- Monthly Chart Book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746
위 내용은 2025년 4월 22일 14시 10분에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루어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마켓레이더(4월 21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관세 협상 기대에도 아시아 증시 약세에 강보합』
파생/패시브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0.1% 상승한 2,485p. 관세 협상 기대에도 아시아 주식시장 약세 연동되며 상승폭 제한
- 미국 주식시장은 성금요일로 휴장. 금주 테슬라(4/22), 보잉(4/23), 알파벳(4/24) 등 주요주 실적 발표 예정

- KOSPI는 한미 관세 협상 기대감에 2,500p 목전까지 상승한 이후 외국인 현물 매도세 확대되며 상승폭 축소
:금주 24~25일 중 한미 재무∙통상 장관 참여 한미 고위급 협상 추진. 한미 관세 조정 협상 기대감에 강세
:외국인 현물 1,347억 순매도, 선물 533계약 순매수. 상호관세 유예 발표(4/10) 이후 7거래일 연속 순매도
:조선 실적 발표(삼성중공업 4/24) 앞두고 차익 실현 매물 출회. 삼성중공업 -3.8%, HD현대중공업 -2.4%
:한국전력, 유가 등 에너지 가격 및 환율 하향 안정화에 따른 실적 개선 및 배당금 확대 기대에 +3.7%
:삼성전자∙SK하이닉스, DRAM, NAND 가격 인상 기대+공급 축소에 따른 메모리 수급 개선 기대에 강세
:실적 시즌 앞두고, 양호한 실적 및 주주환원 기대에 증권 업종 강세. 키움증권 +2.7%, 삼성증권 +1.6%
:대통령실 세종시 이전 공약에 관련주(씨아이테크 +19.4%, 계룡건설 상한가, 성신양회 상한가) 강세 지속

KOSDAQ은 0.1% 상승한 718p. 정책 기대감에 테마 장세 시현. AI 밸류체인 등 정책 수혜 관련주 강세
- 대선 앞두고 주요 정당 대선 후보들 대선 공약 제시되는 가운데 정책 수혜주 중심으로 테마 장세 시현
:퓨리오사AI 관련주, 정부 지원 수혜+유니콘 등극 기대감에 시세 분출. 엑스페릭스 3거래일 연속 상한가
:조기 대선 앞두고 STO 법제화 기대감에 아이티아이즈(상한가), 핑거(+7.2%) 등 관련주 연일 강세
:외국인 매도세에 대형주 약세 보이며 하방 압력으로 작용. 테마 장세에 따른 대형주 수급 공백도 비우호적
:브릿지바이오, 임상 2상 실패 소식에 5거래일 연속 하한가. 장중 한 때 하한가 벗어나며 거래량 폭증

원/달러 환율은 한미 관세 협상 기대감에 낙폭 확대되며 1,420원대 하회. 4.5원 하락한 1,419.1원
아시아 증시 혼조. 일본(니케이) -0.9%, 대만(가권) -1.1%, 홍콩(항셍) 휴장, 중국(상해) +0.3%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710
위 내용은 2025년 4월 21일 11시 18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 Global Daily - 2025년 4월 21일
리서치본부 글로벌주식팀

▶ Top Down
- 미국: 휴장
- 중국: 상해종합지수 -0.1%. 미중 협상 관망 속 혼조 마감
- 일본: Nikkei225 +1.4%. 미일 관세 협상 기대감에 상승

▶ Bottom Up
[마이크론(MU.US)] HBM 사업부 신설, CSP 위한 맞춤형 메모리 시장 공략
[애플(AAPL.US)] 브라질 폭스콘 공장서 아이폰 16e 생산
[팔란티어(PLTR.US)] 한 임원이 회사의 이민 감시 활동 옹호
[도이치 포스트(DHL.GR)] DHL, 미국 소비자에게 800달러 초과 글로벌 배송 일시 중단
[하얏트(H.US)] 크리스틴 올리버를 새 최고인사책임자로 임명하고 리더십 전환 발표
[머크(MRK.US)] 경구용 펩타이트 치료제 개발을 위한 플랫폼 딜 체결
[테슬라(TSLA.US)] 저가형 모델Y 출시 연기
[코디악가스서비스(KGS.US)] 미들랜드와 피코스에 최첨단 시설 착공
[보잉(BA.US)] 중국항공사 인도 예정 보잉 항공기, 미국으로 회항
[산업] 챗GPT의 o3 이미지 추론으로 새 트렌드 등장
[산업] 미국 상무부, 의약품 및 원료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 조사 착수
[산업] 미, 중 해운사·선박에 수수료 제재
[중국] 미국 투자자, 중국 주식 최대 8,000억 달러 매도 가능성
[중국] 신위안부동산, 두 번째 파산 신청

[ETF 포트폴리오: S&P500(SPY.US, RSP.US), 항셍테크 ETF(KTEC.US), 중국 AI ETF(159819.SZ), 방산 ETF(SHLD.US), 유전체 혁신 ETF(ARKG.US)]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705

위 내용은 2025년 4월 21일 08시 17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본 자료에 실린 포트폴리오는 당사 신한생각 자료에 기공표된 내용입니다.
[신한투자증권 IT팀 오강호, 김형태, 남궁현, 서지범, 여현석, 송혜수]

4/21(월)
🕗Daily IT 예습하기

반도체/장비

▶️ 美 의회 "엔비디아 GPU 중국 유출 여부 조사 착수"(ZDNet)
https://alie.kr/4xXK6Bq

▶️ 2분기 D램·낸드 가격, 3~8% 상승 전망…美 관세 영향(ZDNet)
https://alie.kr/H6hbmW1

▶️ JEDEC, HBM4 표준 발표: 2TB/s 메모리, AI와 HPC에 엄청난 활력 불어넣을 듯(Digitimes)
https://alie.kr/G3D3tdK

▶️ 한미, SK하이닉스 TCB 장비 가격 30% 가까이 인상…무상 유지보수 종료(Digitimes)
https://alie.kr/YeNZr4


디스플레이

▶️ 대만 디스플레이 제조업체, 미국 생산 전환 거부(Digitimes)
https://alie.kr/9iFmaJb

▶️ 또 국내 유기재료 공급망과 회동한 화웨이, 협력사들 셈법은 제각각(키포스트)
https://alie.kr/5JMq3uw

▶️ 도우인시스 상장 ‘초읽기’…최대주주 M&A 행보에도 관심(한국경제)
https://alie.kr/8pfzgEP

▶️ "中부자까지 사로잡았다"…LG디스플레이, 턴어라운드 '속도'(한국경제)
https://alie.kr/CsjQEza


전기전자/IT부품

▶️ 애플, 1분기 중국 아이폰 출하량 9% 감소…만리장성 넘기 힘드네(ZDNET)
https://alie.kr/7QLvpvK

▶️ 트럼프, 관세 유예에…EU, 메타·애플 제재연기 '화답’(ZDNET)
https://alie.kr/5fCM1lE

▶️ LG이노텍 "올해 PC CPU용 FC-BGA 진입...서버용 내년 양산"(디일렉)
https://alie.kr/6tbetT0

▶️ '비스포크 AI 콤보'에 힘 주는 삼성…전국 1000개 매장으로 판매 확대(ZDNET)


📈 반도체 Spot 가격(%, 1D, 1W, 1M)
DDR4 8Gb 1Gx8 2666MHz:
1.968 (0/0.72/7.54)

NAND 64Gb 8Gx8 MLC:
4.752 (0/1.15/5.11)
출처: DRAMeXchange

📈 국내외 주요 주가 추이
(%, 1D/1W/1M)
→ 반도체 대형주
삼성전자 0 / 0 / -10
SK하이닉스 0 / -3 / -19

Intel -2 / -5 / -21
AMD -1 / -1 / -18
Nvidia -3 / -6 / -14
Micron -1 / -2 / -33
TSMC 0 / -4 / -11


→ 반도체 중소형주
(상승/하락 상위 4개)
유니트론텍 9 / 16 / 9
엠케이전자 9 / 14 / -5
코세스 7 / 8 / -15
티에스이 5 / 6 / -17

메카로 -4 / 5 / 12
아이앤씨 -4 / 1 / 4
다믈멀티미디어 -3 / 4 / -22
바른전자 -3 / 10 / 7

AMAT -1 / -1 / -11
ASML -2 / -2 / -16
Lam Research -2 / -4 / -18
TEL -1 / -1 / -13


→ 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1 / 2 / -13

BOE 0 / 2 / -11
AUO 0 / 4 / -20
Innolux 4 / 7 / -13
JDI 0 / 0 / -6

UDC 0 / 5 / -25
Novatek 2 / -2 / -8
Magnachip 0 / 4 / -26
Ennostar 0 / 5 / -20
Sanan 1 / 0 / -6

→ IT부품/전기전자
LG전자 1 / 3 / -16
삼성전기 0 / 3 / -13
LG이노텍 1 / 1 / -15

Apple 1 / 3 / -8
Qualcomm 1 / 2 / -13
Whirlpool 2 / -3 / -16

Murata 1 / 5 / -16
TDK -2 / 4 / -13
Ibiden -2 / -2 / -17

Largan 0 / 6 / -15
MediaTek 2 / -1 / -7
Unimicron 1 / 9 / -18
Yageo 0 / 4 / -14

Xiaomi 2 / -3 / -28
Haier 0 / -2 / -11
Sunny Optical 0 / -2 / -31

→ 통신장비
(상승/하락 상위 3개)
CS 4 / -4 / 20
알에프텍 3 / 8 / 4
에치에프알 2 / 1 / -17

에프알텍 -4 / 8 / 12
텔레필드 -3 / -5 / -24
피피아이 -3 / 2 / -18

Ericsson 0 / 11 / -7
Nokia -1 / 4 / -8

출처. Bloomberg


▶️ 신한IT팀 공부방 텔레 채널:
https://buly.kr/8ToKRMB
<신한생각>
★ Daily 신한생각 4월 21일
신한투자증권 리서치본부

▶Top down
Weekly Guide Book; 자산배분: G2 빅딜은 시작될 수 있을까 [박석중]
해외 채권전략; 4월 ECB, 관세가 되살린 금리 인하 기대 [지백연]

▶Bottom up
[기업 분석]
한국전력 (015760/매수) 1Q25 Pre: 바위처럼 단단하게 [최규헌]
삼양식품 (003230/매수) 황제주 등극 초읽기 [조상훈]
범한퓨얼셀 (382900/Trading BUY) 1Q25 Pre: 수주로 믿음을 줘야 한다 [최규헌]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700

위 내용은 2025년 4월 21일 07시 4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자동차/철강금속 박광래, 한승훈]
☎️ 02-3772-1513

:: 신한 자동차/철강금속 뉴스 (250421) ::

🏎자동차

▶ 현대차 '제대로 이 갈았네'…42개 신차 '역대급' 출격 (한경)
- 현대차 21개·기아 14개·제네시스 7개 '역대 최대'
- 올해보다 14개 많아 … 대형 전기 SUV GV90 등판
- 신차 효과 앞세워 경기침체·전기차 캐즘 정면돌파

▶ 현대차 인도법인 주식 62% 보호예수 해제...100억 달러 물량 시장 유입 가능 (글로벌이코노믹)
- 100억 달러 상당 주식 거래 가능...발행주식 총수 62% 차지
- 인도 역대 최대 기업공개(IPO)... 주주 구성 변화 주목

▶ "1조4000억원 투자했는데..." 포티투닷 저성과에 현대차 내부 '부글부글' (디일렉)
- 상용화 실적 거의 없고 자율주행 준비 능력 외부 컨설팅 결과 최저 등급 받아
- 현대차는 22년 포티투닷 인수(지분 57.29%). 기아 지분 포함시 총 95.48% 보유

▶ 일본, 트럼프 관세 협상에서 자동차 안전 기준 완화 검토 (글로벌이코노믹)
- 美 "日이 美 자동차 충분히 수입하지 않는다" 불만 제기...비관세 장벽 해소 요구
- 충돌 테스트 기준 등 인증 과정 간소화 논의... "무역 불균형 해소 협상 카드로"

▶ "테슬라, 중국 공급망 없이 2만 달러 옵티머스 로봇 생산 불가능” (글로벌이코노믹)
- 미·중 무역전쟁 관세로 옵티머스 대량생산 계획 차질 예상
- 중국산 부품 비중 최소 3분의 2...액추에이터 등 하드웨어 비용의 60% 차지

▶ 로이터 “테슬라, 저가형 모델Y 생산 연기” (글로벌이코노믹)
- 당초
25년 상반기부터 미국에서 저가형 전기 SUV 모델Y(내부 코드명 E41) 생산할 계획이었으나 생산이 수개월 이상 지연될 것으로 보도됨
- 공식 지연 사유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출시 시점은 25년 3분기~26년 초로 연기될 가능성 있음
- 테슬라는 26년까지 미국에서 저가형 모델Y 연간 25만대 생산 목표
-
25년 1분기 실적 발표(4월 22일 예정) 앞두고 신차 출시 계획이 시장에 중대한 신호로 작용하고 있음

▶ 머스크, 자율주행차 ‘집착’에 테슬라 성장 기회 놓쳤나 (글로벌이코노믹)
- 저가형 소형 전기차 모델2(약 2.5만달러) 프로젝트 중단하고, 자율주행 로보택시 '사이버캡' 개발에 집중하기로 결정
- 내부 보고서에 따르면 모델2는 인도, 베트남, 중남미 등 신흥국 시장에서 수백만대 판매가 가능하다는 분석. 반면 사이버캡은 규제 장벽, 미완성 기술, 공급망 문제 등으로 미국 내 판매에 제한적

▶ 中 희토류 통제에 ‘전기차 생산 중단’ 우려 지구촌 확산 (글로벌이코노믹)
- 중국은 희토류 7종(디스프로슘, 터븀, 사마륨 등)과 자석류 제품의 수출 제한을 이달 초부터 시행
- 해당 희토류는 전기차 모터, 풍력 터빈, 미사일 등의 생산에 필수. 희토류 수출 통제로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생산 차질이 가시화될 수 있다는 경고
- 일본은 호주 라이너스(Lynas)와 말레이시아 희토류 정제 공장 확장 중. 디스프로슘·터븀 등의 자립적 생산을 연내 확보 목표
- 日 정부 관계자, "비축량 포함해도 3개월 버티기 힘들다"


🪨철강금속

▶ 제강사, H형강ㆍ철근 가격 인상 추진 (대한경제)
- 현대제철·동국제강, 5월부터 H형강(SS275 기준) 가격을 톤당 5만원 인상 계획(106만원 → 111만원). 4월에 두 차례 인상 시도했으나 완전 반영되지 못했음
- H형강 수급 조절 위해 강도 높은 감산 지속. 동국제강은 2월 H형강 생산 전면 중단. 현대제철은 5~7월 사이 포항·인천 공장에서 지붕 공사 및 대보수 일정으로 H형강 생산 중단 계획
- 25년 1~2월 국내 H형강 생산량은 전년대비 21.4% 감소
- 철근도 가격 인상 기조 강화. 와이케이스틸은 5월 철근(SD400·10mm 기준) 가격 톤당 3만원 인상. 현대제철도 철근 기준가격 톤당 3만원 인상 검토 중

▶ ‘中 성수기에도 시장 심리는 위축’ 철강價 하락 (철강금속신문)
- 4월 17일 기준, 중국 내 철강 주요 품목 가격은 전주 대비 하락
- 시장 심리 지표도 하락세. 4월 판매량 기대지수 전월 대비 9.73p↓, 판매가격 기대지수 8.8p↓. 시장 분위기는 3월보다 위축. 철강 가격 반등 기대 약화
- 4월에도 계절적 성수기 효과 누리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부동산 경기 침체와 수출 불확실성에 기인함

▶ 中 3월 조강 생산량 10개월 만에 최고치 (스틸데일리)
- 3월 조강 생산량 9,284만톤으로
24년 5월 이후 최고치. 제조업 회복과 수출 호조에 기인
- 일평균 생산량 299만톤(25년 1~2월 평균 282만톤, 24년 3월 285만톤)
- 1분기 누적 생산량 2.59억톤으로 전년동기대비 +0.6%
- 마이스틸 조사 결과 3월 중국 철강사 중 53%(전년동월에는 25%)가 흑자

▶ '첫 트럼프 관세' 철강 3월 수출 18.9% 감소 (연합)
- `25년 3월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18.9% 감소한 3.4억달러 기록
- 트럼프 행정부가 3월 12일부로 모든 수입 철강에 25% 관세 부과한 데 따른 직접적 여파로 분석됨
- 철강 수출은 수개월 전 선계약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3월 수출 감소가 관세의 직접 영향인지 단정하긴 어려워. 시장 심리에는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 향후 2분기부터 관세 효과가 본격적으로 반영될 가능성 있음

※ 해당 내용은 국내외 언론사 뉴스 등을 인용한 자료입니다.
[신한투자증권 유틸리티/신에너지 최규헌]

▶️한국전력(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32,000원' 상향)

◆1Q25 Pre: 바위처럼 단단하게
(원문 링크: https://buly.kr/3u2mDKg )

◇신한생각: 우호적인 매크로 변수…보다 선명해진 증익과 배당 확대
◇1Q25 Pre: 비용 부담 경감으로 연결 영업이익 컨센서스 부합 전망
◇Valuation & Risk: 증익과 배당 확대라는 과제는 해결에 가까워진 상황

신한 유틸리티/신에너지 텔레 채널: https://t.me/EnergyBibimbap
-------------------------------------------
위 내용은 2025년 04월 21일 07시 43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완료되었습니다.
[신한투자증권 유틸리티/신에너지 최규헌]

▶️범한퓨얼셀(투자의견 'Trading BUY' 유지, 목표주가 '16,000원' 상향)

◆1Q25 Pre: 수주로 믿음을 줘야 한다
(원문 링크: https://buly.kr/EI3U5SE )

◇신한생각: 수주 목표가 현실화돼야 강한 반등이 뒤따를 것이다
◇1Q25 Pre: 1Q24와 크게 다르지 않겠으나 2H25를 기다려 볼 필요 有
◇Valuation & Risk: 수주 확실시될 때마다 밸류 할인 요소 제거 가능

신한 유틸리티/신에너지 텔레 채널: https://t.me/EnergyBibimbap
-------------------------------------------
위 내용은 2025년 04월 21일 07시 43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완료되었습니다.
『삼양식품 (003230.KS) - 황제주 등극 초읽기』
기업분석부 조상훈 ☎02-3772-2578


▶ 관세 우려보다는 수출 모멘텀이 반영될 시기
- 5월말 밀양 2공장(Capa +39%), 장기적으로는 27년 1월말 중국 현지 공장(Capa +32%) 후 외형 성장 가속화 기대
- 양적 한계가 명확해진 국내 음식료 시장에서 모범

▶ 1Q25 Preview: 높아진 눈높이 충족 예상
- 1Q25 매출과 영업이익은 5,007억원(+29.8% YoY), 1,067억원(+33.1% YoY) 기록, 컨센서스 부합 전망
- 수출 판매량 증가, 지역 믹스, 투입 원가 개선의 3박자가 고루 맞아떨어져 높아진 시장 기대치 충족

▶ Valuation & Risk: 목표주가 상향, 해외 모멘텀 확대 구간의 초입
- 목표주가 1,100,000원(목표 주가수익비율 21배, 일본 동종업종 과거 5개년 평균)으로 28% 상향
- 밸류에이션(25F 주가수익비율 19.3배)은 다소 부담스러우나 해외 모멘텀 확대 구간의 초입으로 높은 성장성이 지속되는 점에 주목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694

위 내용은 2025년 4월 21일 7시 2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투자증권 금융팀 은경완/임희연]

금융데일리: 25/4/21
다운로드: https://alie.kr/4xXK66a

[은행/카드]

더존비즈온, 제주은행 지분 15% 확보…ERP뱅킹 추진 <연합뉴스>
https://alie.kr/5UHb2EN

토허제 후폭풍·증시 급등락…5대은행 가계대출 이달 2.5조원↑ <연합뉴스>
https://alie.kr/DPThAzP

신한은행 상생금융 실험…공공앱 가맹점 대출 지원 <매일경제>
https://alie.kr/74WPrew

부산은행, 은행권 최초로 M&A거래소와 업무협약 <매일경제>
https://alie.kr/FAdGzEO

[보험]

외국계 보험사 사라진 한국의 보험산업…"혁신도 사라졌다" <뉴스1>
https://alie.kr/ESyE7Qu

대형보험사도 안심 못해…'기본자본 킥스' 도입 앞두고 건전성 비상 <뉴시스>
https://alie.kr/ChoeJHG

기후위기시대, 보험사 역할 커진다 <파이낸셜뉴스>
https://alie.kr/7mBRlzR

개인 자동차보험료 평균 69만원…전년비 3.6% 감소 <뉴시스>
https://alie.kr/ESyF2zj

[증권]

키움증권, 350억 규모 자사주 취득·소각 결정…내년 3월 완료
https://alie.kr/CB4NMpf

올해가 골든타임 발행어음 인가 서두르는 증권사들 <미디어펜>
https://alie.kr/5JMp71C

증권사 1분기 퇴직연금 비보장형 수익률 최대 11%P 급락…iM증권, 나홀로 마이너스 수익률 <소비자신문>
https://alie.kr/74WPqje

금융사고ㆍ당국 제재 등이 관건…증권사 ‘긴장 모드’ <이투데이>
https://alie.kr/CoravC

*위 내용은 국내외 언론사 뉴스 등을 인용한 자료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신한 금융팀 채널: https://bit.ly/3QxU52E
『신한 건설 Weekly - 4월 4주차』
건설/리츠/부동산 이동헌
☎️ 02-3772-2675

▶️ 전 주 건설업종 주가 2.8%, KOSPI 대비 0.7%p 아웃퍼폼

▶️ 美-日 관세 협상 소식에 국내 증시 기대감 유입되며 동반 상승. HDC현산, 코오롱글로벌 4%대 상승. 삼성E&A, 태영건설을 제외한 주요 건설사 2~3%대 상승

▶️ 내주 주요 건설사 실적발표 예정. 컨센서스 기준 1분기 매출액 및 영업이익 기대치 부합 전망. 프리뷰 기간 주요 건설사 영업이익 추정치 2% 하향. 국내 주택 업황 개선 더딘 가운데 해외 원전 및 SMR 사업 순항 중인 현대건설의 상대 투자매력도 상승. 자회사 현대ENG 사고 관련 비용은 1분기 실적 미반영 확인


※ 원문 확인: https://alie.kr/6igtu8w

위 내용은 2025년 4월 21일 07시 2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투자증권 해외주식팀]해외주식 Weekly (4월 18일)

▶ Top Down
- 미국: 불확실성 떠안은 채 실적 시즌 진입
- 중국: 관세 이슈 소화하며 내수주 중심 반등

▶ Bottom Up
- IT H/W: TSMC의 근거 있는 자신감
- IT S/W: 빨라지는 모델 출시와 증가하는 빅테크 규제 소송
- 소비재: 가격 인상 및 광고 축소로 대응하는 Temu
- 에너지: 가스 파이프라인 기업의 자신감
- 헬스케어: 일라이 릴리, 경구비만약 임상3상 긍정적 발표
- 중국: 관세 전쟁 속 내수주 중심 차별화 장세
- 일본: 관세와 환율 이슈에 따라 높은 변동성 속 내수주 강세 지속

▶ Portfolio Review
- 미국 증시는 관세 불확실성과 국채 금리 급등 영향에 조정 지속. 반도체와 성장주 중심으로 낙폭 확대되며 엔비디아·TSMC·테슬라 약세, 메타·오라클도 부진. 개별 이벤트 있었던 일라이 릴리, 팔란티어, 로켓랩 반등이 포트 방어에 기여. 실적 시즌 앞두고 종목별 주가 변동성 확대에 대비, 가이던스 내용에 주목
- 중국은 관세 이슈 소화하며 반등 흐름 지속. 정부 소비 진작책 효과로 내수 소비재 강세, 동펑음료 신고가 경신. 기술주는 가격 조정 마무리 국면. 실적 발표 기점으로 종목별 차별적 반등 기대

[Top-picks: 엔비디아 (NVDA.US), 테슬라 (TSLA.US), 메타 플랫폼스 (META.US), 셰니어 에너지 (LNG.US), 리커전 파마슈티컬스 (RXRX.US), 일라이 릴리 (LLY.US), GE 에어로스페이스 (GE.US), 베이팡화창 (002371.SZ), 메이디그룹 (000333.SZ)]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34678

위 내용은 2025년 4월 18일 16시 19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한국 수출의 미래; 전환기 세계 통상질서, 한국 수출의 생존 조건』
매크로팀 하건형 ☎ 02-3772-1946

- 미국 무역정책과 세계 무역 지형도 변화
- 한국 수출 구조 국가별, 품목별 심층 분석
- 한국 수출 구조의 취약성과 산업별 충격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682
위 내용은 2025년 4월 18일 16시 50분에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루어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Shinhan Research Calendar 5월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02-3772-2329

 
안녕하십니까, 신한투자증권 리서치본부입니다. 
차월 주요 이벤트, 경제지표, 기업 실적 발표 일정을 담은 캘린더 공유드립니다. 
매월 셋째주 금요일에 차월 일정을 공유드릴 예정이니, 투자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680
위 내용은 2025년 4월 18일 16시 1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记录

22.04.202523:59
16.6K订阅者
09.09.202423:59
0引用指数
25.11.202423:59
4.8K每帖平均覆盖率
25.11.202423:59
5.6K广告帖子的平均覆盖率
18.03.202521:49
2.19%ER
21.03.202502:50
12.62%ERR
订阅者
引用指数
每篇帖子的浏览量
每个广告帖子的浏览量
ER
ERR
ЖОВТ '24СІЧ '25КВІТ '25

신한 리서치 热门帖子

25.03.202522:43
[신한투자증권 혁신성장 허성규, 최승환]

뷰노(338220.KQ) - 숫자로 말해요

▶️ 신한생각: 2025년 BEP, 2026년 영업레버리지 시작
- 25년 매출액 408억원(+58%) 추정, 대부분 성장 딥카스 343억원(+57%)에서 기대
- LungCT 양도금 30억원 6개월 일할계산 인식 예정으로 매월 5억원 이익 발생
- 25년 영업비용 5% 내외 증가 추정. 추가 채용 계획 없으며 미국 비용 24년에 인식
- 25년 8월 에이전트와 재협상 도입으로 이전 보다 지급수수료율 낮아질 전망

▶️ 1) 국내 침투율 6%대 추정, 2) 딥카스 미국 매출 시작
- 딥카스 침투율 병상수 기준 6.3%, 전체 시장 매출액 기준 7.2%로 파악
- 신기술의료평가 유예 최대 4년, 평가 1년 구조로 27년 7월 31일까지 비급여 인정
- 4Q25 미국 매출 인식 예정. 23년 BDD 지정으로 추가 요청 없는 경우 상반기 승인
- 25년 10월 메디케어 수가 코드 신청, 미국 진출 네트워크는 MGH 활용 예정

▶️ Valuation & Risk: PSR 5배 및 추가 자본조달 유인 낮은 편
- 26F PSR 5배로 24년초 13배에서 주가 하락, 매출 상승 지속
- 26년 당기순이익 90억원 추정으로 PER 34배, 의료 AI 회사 중 빠른 수익화 시작
- 24년 부채비율 63%, 10억원 미만 CapEx 및 연간 BEP로 추가 자본조달 유인 낮음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3938

위 내용은 2025년 3월 26일 7시 3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14.04.202522:45
[신한투자증권 혁신성장 허성규, 최승환]

티앤엘(340570.KQ) - 훌륭한 손익비

▶️ 신한생각: 수술용 고정재로 시작해 피부용 상처치료재로 성장
- '24년 미국 매출 비중 59%로 높은 관세율에 대한 우려로 주가 하락 지속
- 선적 시 매출 인식하는 구조로 대부분 관세 부담은 고객사에게 존재
- 1Q25 수출 데이터 추정치는 약 26백만달러로 최고치인 3Q24 27백만달러에 근접

▶️ 관세 타격은 크지 않은 반면 매출 관련 지표 최고치 달성
- '24년 Hero Cosmetics 매출 성장률 42%로 카테고리 성장률 8.6% 상회
- 미국 가구 침투율 8.7%로 낮은 편이며 압도적 리뷰수 17만건(vs 2위 7만건) 유지
- 관세 3Q25부터 적용되며 일부 가정 반영 시 매출원가율 59.1%로 0.5%p 증가 예상
- 1Q25 매출액 488억원(+96.5%) 추정. 1) 수주잔고, 2) 재고자산, 3) 수출 모두 최고치

▶️ Valuation & Risk: 이겨놓고 싸우는 법 
- '25F PER 9.5배, 26F 8.6배로 4개년 밴드 감안 시 8배 안팎에서 최저점 형성 
- 5년('20~'24년) 연평균 PER 13.8배로 최저치 평균 9.7배 감안해도 매력적인 수준
- '25년 EPS 7,678원에 5년 연평균 PER 13.8배를 적용해 목표주가 106,000원 상향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545

위 내용은 2025년 4월 15일 7시 4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13.04.202522:36
『코스맥스(192820.KS) 결국은 또 사게 될 걸』 
화장품 박현진 ☎️) 02-3772-1563

▶️ 중장기로 미국법인 가치 상승 기대
- 한국법인 성장률 견조. 2025년 관전포인트는 미국법인 적자 해소와 중국법인 실적 회복
- 미국 관세 인상 이슈에 중장기로 미국 생산법인에 대한 가치 증가 기대
- 미국법인의 이익 기여는 곧 밸류에이션 할증을 다시 가능케하는 투자포인트. 업종 내 최선호주 의견 유지
 
▶️ 1Q25 Preview: 전년 실적 베이스 부담 있으나, 견조
- 1Q25 연결매출 6,144억원, 영업이익 522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7%, 15% 성장했을 것으로 전망
- 법인별 매출은 한국과 중국(이스트), 인도네시아, 태국법인이 매출 (+)성장, 미국법인은 20% 이상 역성장했을 것으로 전망
- 1Q24 실적 베이스가 높은 게 단점이라면 단점
 
▶️ Valuation & Risk: 단기도 좋으나, 중장기로 매력 높일 것
- 미국, 중국 실적 증가가 하반기로 갈수록 강화될 전망, 확인하며 추정치 상향 여력 따질 것
- 부채비율 개선되어 건전성 확보해 나갈 것으로 기대
 
*원문 링크: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493
위 내용은 2025년 04월 14일 07시 30분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13.04.202522:35
[신한투자증권 화장품/섬유의복 박현진]
화장품; 1Q25 실적 양호, 버티면 기회일 수도
 
▶️ 불확실성 있지만, 다 지나갈 일
- 전주 화장품&의류&교육컨텐츠 1Q25 프리뷰 목적의 Corporate Day 진행
- 초청된 화장품사로는 코스맥스, 한국콜마, 씨앤씨인터내셔널, 펌텍코리아, 아이패밀리에스씨, 브이티 등으로 1Q25 실적 및 향후 성장 계획 공유
- 1Q25 실적은 현 컨센서스 부합하는 기업이 대다수. 미국 관세 인상 관련해 2Q25 공급계획에 변화가 생긴 것은 아니라는 게 업계 중론
 
▶️ 대다수 1Q25 실적은 컨센서스 부합 전망
- 미국 관세 이슈 부각. 미국 내 대체생산 관련 문의가 OEM사들에게 많아진 건 맞음. 그렇다고 2Q25 수주, 공급 계획에 변화가 있는 건 아니라는 게 공통의견
- 오히려 한국 화장품 가격 10% 이상 상승하더라도 구매 수요는 있을 것이라는 코멘트에 공감
- 중장기로 미국 생산기반 가지고 있는 OEM사들에 대한 관심 지속 필요. 코스맥스, 한국콜마, 코스메카코리아가 미국 생산법인 보유 중
 
▶️ 결론: 버티면 기회가 될 화장품 산업
- 화장품사 2025년 P/E는 평균 15배. 미국 향한 불확실성이 주가 변동성 키우지만, 시장 공포감 축소 시 화장품 섹터 주가 회복 기대
- 1Q25 실적 > 현 컨센서스 예상기업: 아모레퍼시픽, 한국콜마, 에이피알, 펌텍코리아
- 1Q25 실적 = 현 컨세서스 예상 혹은 하반기 성장 강화될 기업: 코스맥스, 씨앤씨인터내셔널, 아이패밀리에스씨, 클리오 등
 
*원문 링크: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496
위 내용은 2025년 04월 14일 07시 35분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31.03.202502:28
마켓레이더(3월 31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트럼프 관세 영향 경기 침체 우려, 아시아 주식시장 동반 하락』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2.6% 하락한 2,491p. 관세 영향에 대부분 업종 하락. Risk-off 심리에 아시아 주식시장 동반↓
- 미국 주식시장은 소비 감소, 물가 상승확인→ 경기와 관세에 대한 우려에 낙폭 확대. NASDAQ -2.7%
:미국 2월 개인 소비지출 예상치 하회. 2월 PCE 물가는 예상치 상회. 지출은 줄었는데, 물가는 오른다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확정치 57. 잠정치 발표(14일) 때보다 0.9p 더 하향. 소프트데이터 위축 지속
:메리 데일리 샌프란 연은 총재, 연내 금리 인하에 대한 자신감 감소(hurts confidence in rate cut outlook)

- KOSPI는 트럼프 관세 압박 커지며 4월 2일 관세 발효 이전 Risk-off 심리. 위험자산 선호 축소
:금일 공매도 재개일. 예상대로 대차잔고 비중 높던 2차전지, 전력기기 등 업종/종목 하락
:다만 공매도가 낙폭의 원인이라기엔 아시아 주식시장 동반 낙폭 확대(NIKKEI -3.8%, 가권 -2.8%)
:일본, 대만 대비 오히려 선방중인 한국 지수. 트럼프발 관세 우려 및 미 경기 침체 공포가 사유
:트럼프, 최대 20% 보편관세 방안 고려하고 있다는 보도(WSJ). 상호관세보다 더 파급력 막대한 보편관세
:외국인 오전 현선물 대량 순매도. 현물 7,000억원 선물 10,000계약 이상. 원/달러 환율 1,470원 돌파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소비 둔화, 경기 침체 시나리오는 최근 하드/소프트 데이터가 뒷받침
:음식료(삼양식품), 유틸리티(한국가스공사)등 경기방어주와 금융, 방산, 조선(낙폭 과대) 업종 강세
:KOSPI RSI 35.5, KOSDAQ RSI 27.8. KOSDAQ은 과매도 구간 진입. 4/2일 실제 관세 발효 어떻게 될지 확인 필요한 상황. 이전까지 음식료, 유틸리티 등 경기 방어 업종 지수 대비 굳건한 흐름 지속될 전망

KOSDAQ은 1.8% 하락한 681p. 아시아 주식시장 약세+공매도 재개에 하락. 알테오젠 지수 하단 방어
- 대차잔고비율 상위권 2차전지 밸류체인, 공매도 재개 첫날 약세. 에코프로 -10.0%, 에코프로비엠 -5.6%
:알테오젠, 머크의 키트루다 SC 9월 말 FDA 승인 후 10월 출시 예정 소식에 +4.3%. 지수 하단 방어
:보톡스(국내 보톡스 기업 미국 시장 진출 확대 기대), 석유(트럼프의 러시아 석유 관세 부과 발언) 등 강세

원/달러 환율은 주식시장 조정으로 인한 위험 선호 심리 후퇴에 1,470원 목전. 0.4원 하락한 1,469.5원
아시아 증시 하락. 일본(니케이) -3.7%, 대만(가권) -2.8%, 홍콩(항셍) -0.9%, 중국(상해) -0.2%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073
위 내용은 2025년 3월 31일 11시 26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13.04.202522:35
[신한투자증권 교육 주지은]
교육; 소비재 Corporate Day 5일차 후기
 
▶️ 3사 모두 주가 상승 모멘텀 보유
- 전주 신한 소비재 Corporate Day 5일차로 교육컨텐츠 내 주요 기업 SAMG엔터, 디지털대성, 메가스터디교육을 초청
- 최근 SM엔터, 현대차와의 콜라보로 가시적인 성과가 눈에 띄는 SAMG엔터에 투자자들의 관심 쏠렸음. 흥행 사업으로 실적 가늠 어려우나, 라이선스 매출뿐 아니라 해외, 용역 사업의 성장여력 충분
- 올해 고3(2007년생)이 황금돼지띠 영향으로 전년대비 4.5만명 늘어나는 상황으로 교육 기업들에게 간만에 센티멘트 개선세가 찾아왔음. 실제로 디지털대성, 메가스터디교육 모두 고3 Q 증가 체감 코멘트 있었음
 
▶️ SAMG엔터 주요 Point: 1분기도 좋지만 2, 3분기는 더 좋음 
- 흥행 사업으로 실적 추정 어려우나, 여전히 계절성 남아있음. 본래 4분기 > 2분기> 1분기 > 3분기 순
- 작년 영화 흥행으로 계절성 옅어졌지만, 1Q25 탑라인이 QoQ로 성장하기는 어려웠을 것으로 추정
- 다만 2Q25부터 SM엔터, 현대차와의 콜라보 컨텐츠 공개될 예정. 이밖에 매출규모 크지 않지만 용역 매출 성장 전망
 
▶️ 디지털대성 주요 Point: 교육 섹터 내 1Q25 실적 성장 우위
- 작년 8/30 인수했던 의대관 실적 본격적으로 반영되는 시기. 올해 2월 시대인재 기숙사 오픈했음에도 동사는 브랜드력 덕분에 기숙학원 실적 견조
- 고등 온라인 사업부는 19패스라는 저렴한 가격으로 마진율 저조했으나, 올해부터 정상가 전환 시점 앞당기면서 마진율 개선 전망되어 전사 영업이익률 개선 기대

▶️ 메가스터디교육 주요 Point: 주주환원에 진심, 곧 제거될 불확실성
- 지난 4/8 2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공시로 주가 8% 가량 상승한 바 있음. 올해도 주주환원에 적극적으로 임할 예정
- 4Q24 에스티유니타스 가치평가로 500억원 손실 발생했었음. 제3자 지분매각 검토 중이며, 매각 관련 추가 비용 발생 제한적일 전망
 
*원문 링크: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494
위 내용은 2025년 04월 14일 07시 30분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03.04.202504:59
[신한투자증권 화장품/섬유의복 박현진]
화장품; 미국 관세, 길게 보면 OEM사에게는 기회

▶️ 미국 관세 인상 → 장기적으로 OEM이 답
- 미국 정부가 2일(현지시간) 한국에서 생산되어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25% 상호관세 부과 공식 발표
- 미국을 중심으로 수출 모멘텀 키워왔던 화장품社들 직/간접적 영향 불가피. 미국 관세 인상이 화장품 섹터 주가 변동성 키울 수 있어 대응 필요
- 또 다른 측면에서는 금번 관세 인상이 브랜드사들의 브랜드 로열티를 점검할 수 있는 기회라는 판단

▶️ 관세 영향: 브랜드사 부정적, OEM사 중립적
- 중저가 화장품으로 미국시장 내 점유율 1% 남짓 올리고 있는 한국 화장품 브랜드사들이 미국 관세 인상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제품 가격 인상 불가피
- 다만 한국 화장품은 미국 시장에서 新카테고리 중심 성장으로 시장점유율 올리는 중. 제품가격 10% 내외 오른다는 전제로는 미국 내 한국 화장품 수요가 쉽게 무너지지 않을 것. 다만 관세율 25%로 시장 예상보다 높은 게 문제
- 브랜드사들의 가격 인상 가능여부가 중요. 중장기로 미국 생산 기반 갖는 OEM사들에 대한 관심 지속 필요. 코스맥스, 한국콜마, 코스메카코리아가 미국 생산법인 보유 중

▶️ 미국 기반 OEM사 조정 시 재매수 기회
- 미국 매출 높은 한국 브랜드사 혹은 동남아, 중국 생산 비중 높은 미국 브랜드사들의 미국 내 생산 니즈 증가할 것으로 기대
- 다만 한국 브랜드사들을 상대하는 한국 생산법인 매출이 부진해질 가능성도 공존
- 관세 인상은 결국 화장품사들에게 대체로 중립 혹은 부정적. 길게보면 코스맥스 주가 조정 시 재매수 기회라 판단

*원문 링크: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208
위 내용은 2025년 04월 03일 13시 50분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10.04.202522:33
『한국콜마(061890.KS) 썬이 만드는 안정적 성장』 
화장품 박현진 ☎️) 02-3772-1563

▶️ 분기 실적 컨센서스 우상향 중
- 썬제품 중심으로 한 중장기 성장매력 여전히 유효. 현 국내외 수주 상황이 동사에 호의적
- 1Q25 컨센서스가 부담없어 보이는 점에 주목. 한국, 중국, 미국법인 양호한 것으로 판단. 매수 유지
 
▶️ 1Q25 Preview: 국내법인 성장 견조, 썬의 활약 지속
- 1Q25 연결매출 6,304억원, 영업이익 498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0%, 54% 성장했을 것으로 전망
- 컨센서스 이익(495억원)이나 기존 추정이익(447억원) 대비 높은 수준. 미국 관세 이슈에도 ODM 본업 성장세 견조
- 1Q25 썬제품 수주 상황이 상당히 호의적. 고객사 중에 썬제품으로 유명해진 후, 이를 기반으로 스킨케어 주문 늘리는 것도 다수 확인
- 미국법인 매출은 4Q24와 유사한 수준으로 전망. 미국&캐나다법인 영업적자는 50억 내외 유지했을 것으로 전망
 
▶️ Valuation & Risk: 이보다 리스크 낮은 기업 있나
- 화장품사들 가운데 상대적으로 밸류에이션 저평가되어 보이는 기업
- 썬제품에서의 유명세를 매개로 품목 다각화 추세 긍정적
- 재무 건전성 우위 기업으로서 증시 불안할 때 선호도 올라간다는 점 참고
 
*원문 링크: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447
위 내용은 2025년 04월 11일 07시 30분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17.04.202522:51
『엔터; 분기 조절 중』
기업분석부 지인해 ☎02-3772-1562

▶ 신한생각: 대장주 역할은 다시 5월 이후부터
▶ 엔터업종 분기 컨센서스의 의미
▶ 1Q25 저점, 점진적 증익 사이클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640
위 내용은 2025년 04월 18일 07시 33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20.04.202522:37
『삼양식품 (003230.KS) - 황제주 등극 초읽기』
기업분석부 조상훈 ☎02-3772-2578


▶ 관세 우려보다는 수출 모멘텀이 반영될 시기
- 5월말 밀양 2공장(Capa +39%), 장기적으로는 27년 1월말 중국 현지 공장(Capa +32%) 후 외형 성장 가속화 기대
- 양적 한계가 명확해진 국내 음식료 시장에서 모범

▶ 1Q25 Preview: 높아진 눈높이 충족 예상
- 1Q25 매출과 영업이익은 5,007억원(+29.8% YoY), 1,067억원(+33.1% YoY) 기록, 컨센서스 부합 전망
- 수출 판매량 증가, 지역 믹스, 투입 원가 개선의 3박자가 고루 맞아떨어져 높아진 시장 기대치 충족

▶ Valuation & Risk: 목표주가 상향, 해외 모멘텀 확대 구간의 초입
- 목표주가 1,100,000원(목표 주가수익비율 21배, 일본 동종업종 과거 5개년 평균)으로 28% 상향
- 밸류에이션(25F 주가수익비율 19.3배)은 다소 부담스러우나 해외 모멘텀 확대 구간의 초입으로 높은 성장성이 지속되는 점에 주목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694

위 내용은 2025년 4월 21일 7시 2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30.03.202522:40
『세아베스틸지주(001430.KS) - 멀어지는 업황 회복, 가까워지는 신사업 기대감』
기업분석부 박광래 ☎️02-3772-1513

▶신한생각: 신사업에서의 매출 기여가 중장기 밸류에이션 개선의 key
- 밸류업 공시로 PBR 0.7배 달성을 중장기 목표로 제시
- 0.7배로의 주가 재평가 위해서는 신사업에서의 의미있는 매출 달성 시작 필요
- 24년과 동일한 DPS 기준 예상 배당수익률은 6.7%로 높은 배당 매력도가 주가 하방지지 요인

▶1분기 영업이익 183억원(흑자전환 QoQ) 전망. 시장 기대치 하회 예상
- 판매량 회복세로 세아베스틸 월 14만톤, 창원특수강은 월 4만톤 중반 수준으로 회복 추정
- 전방산업 부진 및 판매믹스 악화로 평균판매단가는 하락
- 2025년 매출 3.7조원(+1.0% YoY), 영업이익 1,201억원(+129.4% YoY)) 전망

Valuation & Risk: 신사업 지연과 관련한 모니터링 필요
-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23,000원(기존 24,000원)으로 하향
- CASK, 사우디 무계목강관, 미국 SST 등의 신사업 매출 발생은 2026년 시작
- 하반기부터 관련 기대감 주가에 반영 전망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invest.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055
위 내용은 2025년 3월 31일 07시 3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22.04.202507:52
국내 주식 마감 시황 - 4월 22일
『Trump의 연준 흔들기에 sell USA』
시황 강진혁 ☎️02-3772-2329

코스피 2,486.64 (-0.07%), 코스닥 716.12 (+0.09%)

미국 주식·채권·달러 동반 약세 연출

금일 KOSPI, KOSDAQ 각각 -0.1%, +0.1% 등락했습니다. 최근 며칠 잠잠하던 Trump의 강성 발언이 재개됨에 따라 미국 자산에 대한 투매도 이어졌습니다. Trump는 7회 금리를 인하한 ECB와 비교하면서 Powell을 ‘중대 실패자(a major loser)’, ‘Mr. Too Late’ 등으로 표현했는데, 이처럼 연준 흔들기가 지속되면서 주식·채권· 달러에 전방위적 매도세가 나왔습니다. 달러 인덱스는 98p를 위협 하기도 하면서 2022년 3월 이후 3년만에 최저치를 보였고, 반대 급부로 안전자산인 금은 온스당 3,400$를 돌파하기도 했습니다. 위험 선호 후퇴에 외국인은 KOSPI를 최근 18일 중 17일 순매도 했지만 개인·연기금(18일 연속) 매수세에 지수는 선방했습니다.

빅테크 실적 발표 앞두고 하락 지속

NASDAQ은 재차 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해 약세장에 진입했 습니다. 대중국 수출 규제로 Nvidia(-4.5%)가 13일만에 100$를 이탈하며 반도체 투심을 흔들었고(삼성전자 -0.7%, SK하이닉스 1.6%), Tesla(-5.8%)도 내일 실적 발표를 앞두고 브랜드에 대한 우려 제기에 낙폭 확대됐습니다(LGES -0.2%, 엘앤에프 -0.7%).
#특징업종: 1)우크라 재건: Putin, 개전 후 처음으로 우크라와의 직접 대화 제안(대동기어 +18.3%, SG +8.0%) 2)해상풍력: 산업부, 신안에 국내 최대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지정(SK이터닉스 +17.3%, 대명에너지 +17.0%) 3)태양광: 미국, 6월부터 동남아산 중국 태양 광 제품에 고율 관세 부과(SDN +30.0%, 금양그린파워 +29.9%)

대선 앞두고 관심 증가하는 에너지 이슈

오늘 지구의 날을 맞아 대선 후보들은 환경·에너지 관련 메시지를 내보냈습니다. 이재명 전 당대표는 ‘탈플라스틱 로드맵’의 수립을 공약으로 내걸면서 탈플라스틱주(세림B&G +30.0%, 코오롱ENP +10.3%) 강세 보였습니다. 그 외에 해상풍력·태양광 등 이슈별로 재생에너지 강세 보이며 ESS(신성이엔지 +20.6%, HD현대에너지 솔루션 +6.1%) 상승했고, 탄소중립 이슈에 CCUS(에코바이오 +30.0%, 그린케미칼 +30.0%) 종목들도 오랜만에 반응했습니다.
#주요일정: 1)美 리치몬드연은 제조업지수(23:00) 2)Tesla·GE Aerospace 등 실적 발표 3)韓 4월 소비자신뢰지수(23일 06:00) 4)삼성바이오로직스·LG이노텍·유니드 등 실적 발표(23일)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34747
위 내용은 2025년 4월 22일 16시 4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03.04.202502:51
마켓레이더(4월 3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예상보다 높은 관세, 우려보다 견조한 한국 주식시장』
주식전략 이재원 ☎02-3772-2328 / 패시브/파생 전략 조민규 ☎02-3772-2633

KOSPI는 1.2% 하락한 2,475p. 관세 발표 내용에 따른 업종별 차별화. 탄핵 심판 앞두고 외국인 이탈
- 미국 주식시장은 관세 부과 앞두고 베센트 재무장관의 관세 협상 발언에 기대감 속 상승 마감. S&P500 +0.7%
- (신한속보) 미국 상호 관세 발표 내용 요약
:①모든 수입품 기본 10% 보편 관세 부과 ②무역 적자 상위국 등 특정 국가 추가 관세율 개별 적용. 중국(34%), EU(20%), 베트남(46%), 한국(25%) ③캐나다, 멕시코는 금번 관세 조치 제외. 기존 마약 밀매 및 불법 이민으로 부과된 25% 관세 부과 적용. USMCA 적용 상품 0%, 미준수 25%(에너지 10%) ④자동차/부품, 의약품, 반도체, 핵심 광물 등은 개별 품목 관세로 대응 ⑤10% 보편 관세 4월 5일 발효, 개별국 고율 관세 4월 9일 발효 예정

KOSPI는 예상치 상회한 관세율에 업종별 차별화. 내일 탄핵 심판 선고 이벤트 앞두고 외국인 자금 이탈 지속
:외국인 오전 순매도 지속. 현물 7,000억원 선물 1,400계약 이상. 현물 선물 각 5, 6거래일 연속 순매도
:2,450p는 12개월 후행 PBR(LSEG) 기준 0.86배. 해당 구간 붕괴되며 출발했으나 저가매수세에 낙폭 축소
:업종별로 바이오, 방산, 조선, 인터넷/게임, 미디어/엔터 상승. 반도체, 2차전지, 금융, 자동차 하락
:바이오)위 속보 ④참고. 헬스케어 업종 상호관세 품목 면제에 부각. 삼성바이오로직스 장중 6% 이상 상승
:미디어/엔터, 인터넷/게임) 역시 관세 충격으로부터 영향력 적은 업종 상승. 문화 수출에 관세 장벽은 없음
:방산/조선)미국 협력 기대감 크고(조선), 미국향 (방산의 경우 유럽, 중동) 수출 아닌 호실적 수출주
:희토류)중국 상무부, 미국 상호관세에 단호히 반대한다는 의사 표명. 보복관세 예고에 유니온 등 상승
:예상치 상회한 관세율과 내일 탄핵심판 선고 불확실성이 지수 하방압력 부여. 밸류에이션은 하단 지지
:상법(거부권)→ 관세(관세율 확인) → 탄핵 결과(내일 11시). 불확실성 해소 주간. 탄핵 심판 결과 및 조기 대선 여부에 따른 정책 관련주 등락 가능. 관세 협상 및 추가 관세 여부에 따른 업종별 차별화 지속될 전망

KOSDAQ은 0.4% 하락한 682p. 미국 정부 상호 관세 발표에도 저가매수세 유입되며 낙폭 축소
- 관세 노이즈에 투자 심리 위축된 가운데 관세 영향 제한적인 엔터미디어는 양호한 주가흐름. 에스엠 +2.3%
:3월 수출 발표 이후 강세 보였던 화장품, 의료기기는 관세 부과에 투심 위축되며 차익실현 매물 출회
:정치테마(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내일 예정), 로봇(SK온 미국법인과 콜옵션 계약 체결 공시에 강세 지속)

원/달러 환율은 미국 정부의 상호 관세 부과에 따른 위험자산 선호 심리 후퇴에 4.2원 상승한 1,466.7원
아시아 증시 하락. 일본(니케이) -2.9%, 대만(가권) +0.1%, 홍콩(항셍) -1.1%, 중국(상해) +0.1%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205
위 내용은 2025년 4월 3일 11시 48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06.04.202522:51
[신한 자동차/철강금속 박광래, 한승훈]
☎️
02-3772-1513

:: 신한 자동차/철강금속 뉴스 (250407) ::

🏎자동차
▶️ 현대차 “일단 두 달은 가격 그대로”…‘25% 관세’에 자동차업계 눈치 작전 (매경)

- 현대차 미국법인은 `25년 6월 2일까지 모든 모델의 권장소매가격(MSRP) 동결 발표.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은 소비자 불안을 해소하고 구매력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
- 기아도 조만간 유사한 가격 동결 방침 내놓을 것으로 예상
- 도요타, GM, 혼다 등도 재고 및 미국 내 생산물량 기반으로 단기적인 가격 동결 유지 방침
- 프리미엄 브랜드들의 차별화 전략. 페라리는 미국 수출 차량 가격 10% 인상 발표. 재규어-랜드로버는 4월 한 달 간 미국 수출 일시 중단 결정

▶️ 현대차, 세계 1위 웨이모와 'AI 자율주행 기술' 개발 (서울경제)
- 로보택시 공급 더해 주행 데이터 '공유'
- 아이오닉5 '웨이모원' 주행 데이터 확보
- SDV 분야 테슬라·BYD 추격 본격화

▶️ 정의선, 美 보스턴 다이내믹스 방문…휴머노이드 로봇 HMGMA 투입 (뉴스1)
- 정 회장·장재훈 부회장, 보스턴 다이내믹스 타운홀 미팅 참석
- 현대차그룹, 로봇 수만대 구입 생산 거점 활용

▶️ 기아 EV3, 올 1분기 英 소매 전기차 판매 1위…글로벌 판매도 사상 최다 (글로벌이코노믹)
- 전체 전기차 판매(상용 포함) 기준으로는 4위. 1분기 기아 영국 전기차 판매량 전년동기대비 약 50% 증가
- EV, PHEV, HEV 등 전동화 차량이 기아 영국 판매의 55% 이상 차지
- EV5은 `25년 중 영국·한국·캐나다·멕시코 출시 예정(미국 제외). EV4은 `25년 하반기 글로벌 출시 예정.
EV3의 미국 시장 출시는 `26년 예정

▶️ “킹산직들이 다 챙겨가는 느낌”…현대차 연구직, 따로 노조 만드나 (매경)
- 기존 호봉제 폐지하고 성과 따라 기본급 인상
- 수당 일원화 추진에 일반 연구직 대거 반발
- “생산직 노조 못 믿어. 임금 낮아질 것” 우려

▶️ 트럼프發 관세 폭풍, 美 자동차 '빅2' 위협하나 (글로벌이코노믹)
- 포드와 GM 수익에 직격탄, 업계 전반 고용 감축 불가피
- 글로벌 공급망 붕괴 위기…부품 수입 차질, 생산 라인 셧다운 현실화

▶️ 美 중고 전기차 시장, 1년 새 62.6% 급증…테슬라, 2만5000달러 이하 구매 가능 (글로벌이코노믹)

- 미국 중고 EV 시장의 성장 배경은 1) 연방 세액공제 혜택(최대 $4,000) 적용 종료, 2) 전기차 리스 만료 차량 급증, 3) 배터리 가격 하락 등
- 중고 EV 시장은 저예산 소비자의 친환경차 진입 통로이자, EV 대중화의 핵심 축으로 부상 중

▶️ 닛산, 트럼프 관세 대응해 ‘로그’ 생산 미국으로 이전 검토 (글로벌이코노믹)

- 후쿠오카 공장 생산량 일부 빠르면 여름에 미국으로... 계획된 미국 감산 대신 증산 결정
- 일본 부품 공급망 타격 우려... 정부, 중소 부품업체 지원 조치 마련할 계획

▶️ '바퀴'에서 '궤도'로? 獨 자동차 산업, 전쟁 기계 논쟁 (글로벌이코노믹)
- 안보 위기 속 자동차 산업의 딜레마...방위 산업 참여 놓고 찬반 격돌
- "우린 자동차 회사" vs "국방 기여해야"...독일 내 논쟁 격화

▶️ 글로벌 자동차 업계, 가격 인상부터 생산 중단까지 ‘혼돈의 대응’ (글로벌모빌리티)
- 현대차·제네시스: 6월 2일까지 가격 동결(‘Customer Assurance’, ‘Genesis Cares’ 프로그램)
- 닛산: 미국산 인기 모델(로그·패스파인더) 가격 인하
- 아우디: 미국행 차량 선적 중단(4월 2일 이후)
- BMW: 멕시코 공장 생산 차량 관세 자사 부담(5월 1일까지 한정)
- 메르세데스-벤츠: GLC 등 베스트셀러 모델 미국 생산 고려. GLA·CLA 등 저가 수입 모델 판매 중단 가능성
- 포드·링컨: 6월 2일까지 ‘전 고객 직원 할인’ 프로모션 시행
- 크라이슬러·닷지·램(스텔란티스): 4월 30일까지 전 고객 대상 직원 가격 할인 제공

▶️ 관세 대상인지 아닌지… 외국산 부품에 골치 썩는 美 자동차 회사 (파이낸셜뉴스)
- 5월부터 車부품 관세 발표 예고. 美 행정부 가이드라인 제시 못해
- 미국산 인정 기준 모호한 데다 면세 신청 절차도 미비한 상태

▶️ 트럼프 자동차 관세로 일본 제조업체 240억 달러 타격 예상 (글로벌이코노믹)
- UBS "도요타 1조 8천억 엔 관세 비용 발생"...日 GDP 0.76% 하락 우려
- 현대차·기아, 미국 내 생산 확대로 대응..."한국산 수출 의존도 낮추기 위한 전략"


🪨철강금속
▶️ 현대제철, 노조에 9일 교섭 재개 요청...총파업 보류 논의 (스틸데일리)

- 4일 전 지회에 단재교섭 요청 공문 발송
- 노조, 교섭 요청에 8일 총파업 여부 논의

▶️ 중국산 후판에 최대 38% 잠정관세…4개월간 덤핑 차단 ‘선제 조치’ (철강금속신문)
- 정부가 중국산 열간압연 후판에 대해 최대 38.02%의 잠정 덤핑방지관세를 부과
- 기획재정부(이하 기재부)는 4월 24일부터 8월 23일까지 4개월간 긴급 조치 발동
- 4월 4일 기재부가 발표한 잠정덤핑방지관세는 지난 2월 무역위가 발표한 관세율과 동일

▶️ 베트남, 韓 아연도금강판에 반덤핑 관세…포스코·KG스틸·동국제강은 면제 (글로벌이코노믹)
- 한국산 일부 아연도금강판 제품에 최대 15.67%의 반덤핑 관세를 임시 부과
- 현대제철은 13.7% 적용, 포스코·KG스틸·동국제강은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

▶️ 中 화유, 아르헨티나 리튬 염호 인수 실패…'포스코 투자' 에너지X에 기회 가나 (더구루)
- 갈란 리튬, 화유·르노 인수 제안 거부…"자산 가치 저평가"
- 에너지X, 인수 경쟁 우위 확보할까…포스코와 협력 가능성

▶️ 제선원가 6개월래 최저…국산 열연강판 제조원가 4개월 만에 ‘60만 원대’ 회귀 (철강금속신문)
- 3월 기준 국내 철강업계의 제선원가는 톤당 277.3달러
- 3월 국산 열연강판 제조원가는 톤당 69만 원대로 추정

▶️ 중국, 美 상호관세 부과에 보복 대응..."10일부터 관세 34% 부과" (스틸데일리)
- 중국 관세세칙위, "10일 12시 1분부터 미국산 전 제품에 34% 추가 관세"
- 미국 방산기업 16곳 수출 통제 명단 포함…일부 희토류도 수출 통제

▶️ 배터리 핵심 광물 가격 바닥 다졌나…1분기 메탈 가격 하향 안정화 (전자신문)
- 1분기 탄산리튬 평균 가격은 ㎏당 72.5위안으로 지난해 4분기(평균가격 72.1위안)과 비슷한 흐름
- 니켈 가격 10월 이후 톤당 16,000달러 내외 유지
- 코발트, 콩고민주공화국의 수출 중단 조치로 가격이 상승해 파운드당 19.5달러 기록

▶️ 글로벌 원료탄 가격 하락세...주범은 공급과잉 (스틸데일리)
- 3월 한 달간 호주산 PHCC 톤당 20달러 하락
- 인도 반덤핑 조사 착수로 가격 하방압력 가중
- 중국 정부가 2022년까지 시행됐던 석탄 수입 제한 조치를 재도입할 수 있다는 전망도
- 최근 중국 내 석탄 공급과잉을 우려하는 목소리

▶️ 유럽연합 집행위, 핵심원자재법 지원 프로젝트 발표 (더구루)
- 핵심원자재법, 14개 전략원자재 대상
- 2030년까지 유럽연합의 전략원자재 역내 생산 역량을 확대하고, 단일 공급국에 대한 의존도 축소 목적
- 배터리·방산 관련 프로젝트 선정

※ 해당 내용은 국내외 언론사 뉴스 등을 인용한 자료입니다.
03.04.202522:54
[신한 자동차/철강금속 박광래, 한승훈]
☎️ 02-3772-1513

:: 신한 자동차/철강금속 뉴스 (250404) ::

🏎️자동차
▶ 25% 관세에 美서 가격 올리나?…현대차·기아 "인상 없다" 일축 (한경)
-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 "미국 내 가격 인상 계획 없다. 고객 가치와 가격 경쟁력 유지할 것."
- 송호성 기아 사장: "논의하기엔 이르다. 현지 생산 능력을 최대한 활용하겠다."

▶ 송호성 기아 사장 "HMGMA 생산량 40% 기아가 채울 것…내년 중반부터 생산 기대" (헤럴드경제)
- 현대차그룹 미국 조지아주 신공장(HMGMA) 에서 내년(2026년) 중반부터 생산 시작 예상
- 전체 생산량의 약 40%를 기아 차량이 차지할 예정.
- EV6, EV9은 기존 조지아 기아공장에서 생산, HMGMA에서는 하이브리드 모델 생산 가능성 언급.
- 멕시코 공장 생산량은 변경 계획 없음. 현재 보유 공장 최대 활용 방침 유지

▶ 현대위아, 국내 첫 후륜 기반 사륜구동 부품 개발 (동아)
- 주행 상황 맞게 구동력 제어 가능
- 기아 픽업트럭 타스만에 탑재 예정

▶ 트럼프發 5월 車부품 관세 '2차 쓰나미’…현대차·기아, 美 부품 현지화 비중 ‘취약’ (더구루)
- 미국 내 부품 현지화율 현대차 12.16%, 기아 19.8%
- GM와 포드 부품 현지화율은 각각 24.94%와 33.10%. 토요타 22.84%. 혼다 57.18%
- 모델별 부품 현지화율은 제네시스 GV70(25%), GV70 EV(17%) / 현대차 아이오닉5(29~63%), 싼타크루즈(60%), 싼타페(47%), 싼타페 HEV(39%), 투싼(55%) / 기아 EV6(80%), EV9(30~60%), 쏘렌토(55%), 스포티지(60%), 텔루라이드(60%)

▶ '관세 폭탄' 타이어업계 부담 '8300억'↑…북미 수요 40% 수출 (뉴스1)
- 한국타이어 40% 현지 생산…금호·넥센타이어 대부분 수출
- 한타 현지생산 확대, 금타 美 공장 활용, 넥타 물량 미리 보내기

▶ 트럼프 관세 하루 만에... 美 자동차 공장 멈추고 900명 일시 해고 (조선)
- 스텔란티스, 캐나다(윈저) 및 멕시코(톨루카) 공장 가동 중단 결정. 2주~한달간
- 이에 따라 미국 미시간주, 인디애나주 등 부품공장 5곳에서 약 900명 일시 해고
- UAW(전미자동차노조), 캐나다 유니포 노조는 회사와 트럼프 정책 모두 비판

▶ 캐나다, 美 자동차 관세에 25% 맞불 관세 발표...카니 총리 “상호존중 무역 끝나” (글로벌이코노믹)
- 캐나다 마크 카니 총리, 4월 3일(현지시간) 미국산 자동차에 25% 보복 관세 부과 발표
- USMCA 적용 품목을 예외로 두긴 했지만, 정치적 신뢰 붕괴와 경제적 보복 악순환이 본격화된 양상

▶ 테슬라 5.47%-리비안 7.69%, 전기차 일제 급락 (뉴스1)
- 테슬라는 부품을 캐나다, 멕시코 등지에서 수입. 부품에도 25%의 관세가 붙어 테슬라도 관세 폭탄에서 완전히 자유롭지는 않아
- 테슬라가 급락하자 다른 전기차도 일제히 급락

▶ 테슬라, 비야디에 ‘전기차 1위’ 내줬다…머스크 리스크 겹쳐 '최악의 분기' (글로벌이코노믹)
- 1분기 인도량: 테슬라 33.7만대(전년동기대비 13% 감소). BYD 41.6만대(38% 성장)로 세계 1위 BEV(순수 전기차) 판매업체 등극
- 테슬라 판매 부진 요인: 1) 모델Y 라인 전환(미국·독일·중국 공장에서 재설비 작업, 2) 제품 노후화, 3) 머스크의 정치 논란

▶ 볼보 CEO, 美 관세 대응…더 많은 자동차 생산 약속 (알파경제)
- 볼보는 CEO를 교체하고 주가 하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 개선 방안을 검토 중

▶ "印 정부, 전기차 업계의 '관세 인하' 연기 요청 거부" (뉴스핌)
- 인도 자동차업계, 전기차 수입 관세 인하를 `29년까지 연기하고 이후 단계적 인하(최대 30%) 요청
- 모디 정부는 이를 거부하고 미국과의 무역협정 체결을 위해 관세 인하 추진 강행
- 트럼프 행정부는 인도의 자동차 수입 관세(최대 110%)를 비판. 미국은 무역협정 체결 조건으로 인도의 수입차 관세 철폐 요구. 인도는 미국의 26% 상호 관세 폐지를 목표로 협상 중

▶ 루시드, '1.5조' 전환사채 발행…사우디 PIF 지원 가능성 (더구루)
- 30년 만기 전환선순위채권 발행
- 글로벌 전기차 시장 공략 박차


🪨철강금속
▶ 고려아연, 제련수수료 52% 인하…실적에 어떤 영향? (더구루)
- 텍 리소스 제련 수수료, 165달러→80달러 낮춰
- “글로벌 제련 능력 비해 광석 가용성 떨어져”
- 고려아연 실적 악영향 불가피…산업 전반 영향권

▶ 현대제철 노조 “8일 무기한 총파업…문 충분히 열었다” (동아)
- 8일 오전 7시부터 전면 총파업에 돌입
- 미국 제철소 투자에 “합리적인지 의문”

▶ 로이터 "BHP, 철광석·석탄 사업 분사 추진" (더구루)
- 탈탄소 전략 본격화…구리·칼륨 사업 집중
- 호주 증시 상장 가능성…사업 구조 재편 가속

▶ 철근 감산 확산, 성수기에 걸리는 ‘브레이크’ (스틸데일리)
- 현대제철 비롯해 철근 제강업계 전반 감산 기조
- 철근 공장 휴동률 증가···철 스크랩 수요도 둔화 전망
- 4월 휴동률은 지난달보다 4%p 높은 약 44.4% 내외로 추산

▶ 韓, 대미 철강 수출 3개월 연속 감소 (철강금속신문)
- 지난달 미국向 수출, 전년동월比 14.6%↓
- 대미 수출 양분 판재, 강관 단가 모두 하락
- 3월 전체 수출량도 3% 감소

▶ 칠레 코델코, 인도 최대 재벌 '아다니'와 구리 동맹 (더구루)
- 코델코, 올해부터 아다니 제련소에 구리 정광 공급
- 제련소는 작년 50만톤의 구리 생산
- 힌두스탄 코퍼와 협력도 추진…인도 시장 공략 가속

※ 해당 내용은 국내외 언론사 뉴스 등을 인용한 자료입니다.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