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머지노의 Stock-Pitch avatar

머지노의 Stock-Pitch

* Daily insight, Equity Research
** 본 채널의 게시물은 매수 매도 추천이 아닌 머지노 본인의 단순 개인 의견 및 기록 용도입니다. 투자 판단에 책임지지 않으며 매매에 따른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Blog: https://m.blog.naver.com/aplus0418
TGlist 评分
0
0
类型公开
验证
未验证
可信度
不可靠
位置
语言其他
频道创建日期Трав 10, 2021
添加到 TGlist 的日期
Вер 22, 2024

머지노의 Stock-Pitch 热门帖子

파마리서치 목표가 44만원으로 상향조정했습니다.
절대평가뿐 아니라 상대평가에서도 유리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02.04.202508:58
DRAM 월보입니다.

이번 내용은 분기 자료와 겹쳐서 내용은 평소보다 많은 편입니다.

결론부터 얘기하면 생각보다 빨리 좋아질 것 같다 정도입니다.

첫번째 주제는 수요/공급 전반적 내용인데 3가지 이슈입니다.

1. 중국정부의 이구환신 영향이 생각보다 좋아서 모바일 DRAM 수요를 자극 하고 재고 확보 수요도 발생하고 있다고 합니다.

2. DeepSeek의 긍정적 영향이 크다. 고가 GPU가 없어도 AI엔진 개발이 가능하고 Inference 모델 개발이 좀 더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고 합니다. 중국 AI 투자는 전년 대비 70%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3. 공급 이슈입니다. 몇 번 언급한 내용인데 생산 Bit Growth가 빠르게 하향 조정되고 있습니다. 특히 삼성전자의 생산 Bit Growth는 5% 수준으로 전망합니다.

두번째 이슈는 앞 서 언급한 공급 이슈를 좀 더 자세히 분석한 내용입니다. 최근 투자 대비 물량 증가는 과거 대비 상당히 낮은 수준이라는 점입니다.

구체적으로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웨이퍼 당 투자비는 $962, 2021년부터 2025년 웨이퍼당 투자비는 $1706입니다. 70% 증가한 수준입니다. 이에 비해 웨이퍼당 매출액은 $3637에서 $4502로 증가했습니다. 24% 증가했습니다.

공정 전환에 따른 물량 증가도 과거 10년은 평균 25%, 최근 5년은 7%에 불과합니다.

HBM 수율도 과거 DRAM에서는 찾아 보기 힘든 수준으로 낮은 상황이라 투자 대비 생산성은 갈수록 낮아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과거와는 다른 싸이클이 나타나고 있다고 봅니다. 주기는 짧아지고, 폭은 낮아지는 상황입니다.

이번 하락 싸이클도 조만간 마무리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전에 제가 썼던 Quantity to Quality오 같은 맥락입니다.

마지막 테마는 AI입니다. NVIDIA의 제품들은 LPDDR 수요도 크게 늘리고 있고, GPU 당 HBM 소요량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On-Device 영향으로 모바일, 노트북 모두 컨텐츠 증가도 진행 중인 상황입니다.

보고서에는 없지만 HBM 연간 시장 규모도 이전 전망 대비로는 증가했습니다. 2025년이 230억 Gb, 2026년이 340억 Gb으로 수정되었습니다. 이 숫자가 가능할 지에 대해서는 지켜볼 여지가 있다고 생각은 됩니다만 현재 수요 및 공급 상황을 고려해서 만든 숫자라고 합니다.

이러한 분위기로 이전 전망 대비 가격은 상향 조정되고 있습니다. 옴디아는 서버는 2분기에도 소폭 하락, 나머지는 플랫, 3분기에 반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최근 발표되는 숫자 대비 보수적인 숫자이긴 합니다. 저는 2분기에도 가격 반등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동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내용은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30.03.202509:55
#그냥생각
AI 시장의 변화. 그 속에서 한국 Legacy 반도체와 SoCAMM의 수혜

https://blog.naver.com/aplus0418/223815120454
31.03.202507:18
'대표 하우스' 타임폴리오 물만났다…'국장' 집중 모드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은 올해 국내 시장에 좀 더 집중할 계획이다. 지난해는 미국 대선 전 테슬라 등을 대규모로 편입하면서 해외주식 비중을 45%까지 늘렸으나, 올해는 국내주식이 60% 수준으로 메인이 된다.

외인 자금이 유입되는 국내 시장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으며 엔비디아를 매수하고 삼성전자를 매도하던 지난해와는 반대의 전략을 펼칠 계획이다.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은 지난해 이례적으로 미국을 중심으로 해외주식 롱숏 비중을 크게 늘렸다. 타임라인에 따라 다르지만, 해외 롱숏 비중을 최대 45%까지 확대하기도 했다.

올해는 국내 주식을 60~70% 비중으로 가져간다. 해외의 경우 미국 주식은 줄이고 중국이랑 유럽 시장 종목을 편입할 계획이다.

변화가 클 것으로 보는 섹터는 반도체다.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은 국내외 종목의 페어 트레이딩(Pair Trading)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동일 섹터 내 짝지어진 국내외 종목들의 주가 격차가 크게 벌어지면 저평가된 종목은 매수하고 급등한 종목은 매도하는 전략이다.

반도체 섹터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미국은 롱, 국내는 숏 포지션을 잡았으나, 공매도 재개 이후에는 반대가 될 것이라는 반응이다. 국내 반도체주에 외인 자금이 유입될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503261554383800103736&lcode=00&page=1&svccode=00
31.03.202507:19
저같은 애송이는 이러한 운용사 전략을 잘 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들의 고민을 기사 한편으로 볼 수 있네요

더벨에서 추가적으로 몇가지 기사를 더 읽어보니

1. 그간 공매도 금지로 숏 포지션을 선물매도로 대체하였는데, 파생 비중이 20%가 넘어가면 고난도 펀드로 지정돼 리테일 판매 불가하였음.

2. 하지만 공매도 재개로 롱숏펀드들은 숏상황에서 보다 과감한 베팅 가능. 지금 같은 하락장에서는 개별종목 헤지가 시장 전체를 활용한 헤지보다 수익성이 극대화 됨

3. 리테일센터의 고액자산가들의 경우, 변동성관리와 안정적인 수익 추구로 롱숏펀드의 관심이 커짐 (공매도 덕분에)

4. 하지만, 5년 가까이 전종목 공매도가 금지되면서 롱숏 경력을 끊김없이 이어진 매니저가 쇼티지. 롱숏 펀드가 많이 사라졌음.

5. 아... 롱숏 전략 공부해야겠다...

6. 추가적으로, 위 기사에서 국내주식 비중 올리고 미국 주식비중을 낮게 가져가는 전략을 확인할 수 있음. 그 대신 중국과 유럽시장 확대

7. 왜 그럴까 ? 조금 생각해보면 트럼프가 정말 악랄하게 관세와 방위비 분담으로 Non-US를 겁주고 패버리고 있음. 아마 관세를 통해 미국 내 감세 정책 시행 시, 발생한 적자를 메꾸려고 보이는데..

8. 이런식으로 자꾸 협박하면 US VS [Non-US 담합] 상황이 발생 할 수 있음. 결국 왕따들이 담합에서 일찐을 왕따시키는 상황이 출현 될 수도 있다고 봄.

9. 이렇게 되면 25년은 미국으로 쏠린 자금이 우리같은 이머징과 유럽으로 흘러갈 것이라고 봄. 한국의 경우 기사 처럼 반도체가 가장 변화가 클 것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 함. 그 이유는 아래 포스팅한 글과 같음
https://t.me/StockPitchPR/3114

10. 올해는 롱-숏 전략 글로벌 에셋 다 봐야겠구나..
13.04.202513:40
📌 4.14 ~ 4.18 Weekly 전략
섹터 정배열
화장품, 미용기기, 조선, 방산

52주 신고가 근접
미용기기
파마리서치, 바이오플러스, 휴젤

소비재
삼양식품, 에스앤디, 펌텍코리아,

조선

HD현대마린엔진, HD현대중공업, 동성화인텍, 삼성중공업

ㅁ 역시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은 있습니다. 트황상 발언으로 피로했던 한 주 였지만, 반도체 상호 관세 면제 대상으로 나스닥 선물도 상승 마감. 물론 그간 트럼프의 행보를 따져봤을 때 이것은 또 하나의 변화구일 가능성 존재

ㅁ 레거시 반도체의 경우 관세 이슈로 시장이 하락 할때도, 스팟 가격은 견조하게 올라오고 있었음. 하지만, 시장 참여자들이 반도체를 보는 뷰는 여전히 엔비디아와 데이터센터에 머물러있다고 생각. 그러한 상황에서 엔비디아 GPU 출하량은 25-26년 하향 조정되고 있고 MS 데이터센터 건설은 지연되므로 테크 난이도는 매우 어렵다고 생각.

ㅁ 디램 현물가격 및 수출 데이터 등 데이터상으로 레거시 반도체를 담는 것은 동의하지만, 내러티브 상으론 어떠한 명분이 부족함. 결국 DEEPSEEK 수준의 이벤트가 다시 한번 출현하길 기대. 월요일 상호관세 면제로 분명 갭이 뜰테지만 개인적으로 신규 매수는 자제하는 뷰. 천천히 관망해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 (핵심적으론 트럼프 말바꾸는 리스크가 제일 큼..)

ㅁ 그렇다면, 우리가 봐야할 건 여전히 관세 이슈에 있어서 견조했던 섹터. 3주째 언급하지만...ㅠㅠ 중국-일본인 인바운드 소비가 제일 대표적. 하단 포스팅 처럼 의료관광 3월 데이터는 ATH. 피부과 신용카드 결제 금액 또한 여전히 상승 추세. 개인적으론 글로벌텍스프리, 파마리서치, 휴젤이 탑픽.
https://blog.naver.com/jjangee1/223830567825?

ㅁ 그 외로 저번주, 시장은 바이오를 픽 하였음. 이벤트가 존재하는 개별 바이오 주식들은 바텀업으로 숫자의 꿈이 커지고 관세 피해에도 상대적으로 자유로움. 대표적으로 에이비엘바이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펩트론. 아마 차주에도 시세가 지속될 것으로 판단. 추가적으로 조선은 그냥 눌리면 눈감고 매수하는게 맞다고 봄.

ㅁ 시장이 빠질 때, 그나마 유동성을 공급해준 것은 정테주. 유력 대권주자인 이재명 후보의 주요 공약은 AI. 공약을 통해 국내 AI 성장이 될지 안될지는 사실 미지수이지만, 데이터센터는 많아지지 않을까...라는 생각. (실체 있는 곳은 몇 없다..)
15.04.202523:53
15.04.202523:53
눈을 비비면서 다시 봄

JP: 한국 중립으로 상향
22.04.202507:29
25년 1Q 실적 발표 Preview (4월)

1Q 컨센서스 및 레폿 요약 간단히 해놓았습니다. 4월 실적발표 예정 종목 중, 유동성 도는 섹터 위주로 정리했습니다.

저는 실적 나오면 Ctrl+F로 종목 검색하고 한번 읽어봅니다. 5월 발표 예정 종목들도 업데이트 해놓겠습니다.

https://blog.naver.com/aplus0418/223842788858
转发自:
돼지바 avatar
돼지바
코스닥 공매도 금액순
⚡️⚡️⚡️⚡️⚡️⚡️ 방금 한국 대통령 권한대행과 좋은 통화를 했습니다.

우리는 그들의 엄청난 지속 불가능한 잉여, 관세, 조선, 미국 LNG 대량 구매, 알래스카 파이프라인 합작 투자, 그리고 한국에 제공하는 대규모 군사 보호에 대한 지불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그들은 제 첫 임기인 수십억 달러 동안 이러한 군사적 지불을 시작했지만, 슬리피 조 바이든은 알 수 없는 이유로 계약을 해지했습니다. 모두에게 충격적이었습니다! 어쨌든 양국 모두에게 큰 대가를 치를 수 있는 기회와 확신이 있습니다.

최고 팀은 미국으로 향하는 비행기에 탑승해 있으며, 상황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우리도 미국과 거래를 하고 싶어하는 다른 많은 국가들과 거래하고 있습니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무역과 관세가 적용되지 않는 다른 주제들도 논의하고 있으며, 협상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원 스톱 쇼핑"은 아름답고 효율적인 과정입니다!!! 중국도 거래를 하고 싶어 하지만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릅니다. 우리는 그들의 요청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렇게 될 것입니다! 미국에 신의 축복이 있기를 바랍니다.
31.03.202500:28
현대건설 "에너지 매출 비중 21%까지 늘릴 것"

현대건설이 대형원전과 소형모듈원전(SMR) 등 에너지 분야 매출 비중을 21%까지 늘리기로 했다. 또 고부가가치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진출을 확대해 2030년 수주 및 매출을 40조 원까지 끌어올릴 방침이다.

인공지능(AI) 산업 확대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미국에 태양광, LNG 등 에너지 부문과 데이터센터 사업을 중점 추진하는 방안 등이 대표적이다.

현대건설은 이 같은 전략을 바탕으로 수주 규모를 현재 17조 5000억 원에서 2030년 25조 원까지 늘릴 계획이다. 또 수익성 기반 관리 체계를 구축해 영업이익률을 8% 이상으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67713?sid=101
30.03.202509:54
📌 3.31 ~ 4.4 Weekly 전략
섹터 정배열
미디어 컨텐츠, 미용기기

52주 신고가 근접
미용기기
바이오플러스, 휴젤

엔터
에스엠, 하이브, 와이지엔터, 스튜디오드래곤
#2024년 외국인 의료관광객 통계의 관전 포인트

1. 피부과 쏠림현상의 심화
- 전체 의료관광객: 23년 68만명으로 팬더믹(19년 59만명)을 넘어섰고, 24년엔 117만명으로 무려 93% 성장.
- 전체 외국인관광객 대비 의료관광객 비중: 19년 2.9% > 23년 5.5% > 24년 7.2%.
- 이중 피부과는 23년 24만건(전체의 35%)에서 24년 71만건(전체의 60%)로 상승.
- 즉, 피부과 진료환자가 나머지 진료과를 전체를 합친것보다도 많음.
- 전체 의료관광객에서 피부과를 제외하면 24년47만명으로 팬더믹이전(51만명)을 아직 넘어서지 못했다는

2. 피부과의 큰손으로 부상한 일본
- 일본인 의료관광객은 44만명으로 작년보다 135% 증가하며 전체 의료관광객의 38%(단일국가비중이 이렇게 높아진 것은 최초. 과거 중국이 2016년 35%를 기록). 그 중 피부과는 31만명으로 일본 진료수요의 70%.를 차지.
- 일본인들이 전체 피부과 진료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4%. 2등인 중국이 24% 수준임. 거의 2배.
- 우리나라에 입국하는 전체 일본인 숫자는 2024년 이제 팬더믹 이전 수준과 유사해짐. 그러나 의료관광/전체관광객 비중이 2023년 8.1%에서 13.7%로 증가함. 이제 환율이 일본에게 더 우호적으로 변하고 있어서 일본인 관광객은 더 늘어날지도.

3. 중국: 2위로 밀렸으나, 전체관광객수도 그 중 의료관광객 비중도 높아질 가능성 충분.
- 중국인 의료관광객은 17만명으로 작년보다 132% 증가하며 전체 의료관광객의 22%로 2위. 팬더믹 이전에는 부동의 1위였으나 팬더믹 기간동안은 미국에 밀렸고, 팬더믹이후에는 일본에 밀림. 그 중 피부과는 26만명으로 중국 진료수요의 66% 차지.
- 중국 외국인 입국자수는 작년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나 확실히 팬더믹 이전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음. 그러나 2024년 의료관광객수는 팬더믹이전보다 10만명이 증가함. 전체관광객대비 의료관광객 비율이 6%수준이라 평균보다 낮음.
- 즉, 전체관광객수와 그 중 의료관광객 비중 모두 높아질 가능성 충분.

4. 의료관광의 목적의 80%가 피부과인 대만과 싱가포르의 폭풍 성장
- 대만의 2024년 의료관광객은 전년대비 무려 551% 상승한 8만명으로 전체 4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함. 그 중에서도 피부과 진료 비중은 81%. 결국 대만의 의료관광객 수요는 사실상 피부과 때문.
- 전체입국자대비 의료관광객 비중은 2023년 1.3%에서 2024년 5.7%로 증가. 그러나 전체 평균인 7.2%에 비하면 아직 상승여력이 충분함.
- 대만이 반한 정서가 많다고 들었는데? 가성비앞에 장사없나..

- 싱가포르의 의료관광객도 전년대비 98% 상승한 3만명으로 전체 6위로 상승. 피부과 진료비중은 80%. 역시 대부분 의료관광 수요가 피부과 때문.
- 전체입국자대비 의료관광객 비중은 2023년 3.9%에서 2024년 7.1%로 증가.

5. 미국, 비행거리를 생각하면 절대평가보다 상대평가로 비교해야
- 중국과 일본, 태국, 대만 등 대한민국 근거리의 외국인 환자들이 늘어나며 전체 외국인 환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21년 20%에서 2024년 9%까지 하락.
- 의료관광객의 피부과 진료 비중이 팬더믹 이전인 19년 11%였으나 2024년 39%로 3배이상 증가.
- 12~15시간 넘는 거리를 미용때문에 온다고 생각하면 엄청나게 늘어난게 맞음.

6. 진짜 의료관광때문에 한국에 오는 태국인들
- 2024년 태국인 입국자수는 전년대비 15% 감소. 그러나 의료관광 목적 입국자는 24% 증가함.
- 그래서 전체입국자수 대비 의료관광객 비중은 2023년 8.1%에서 2024년 11.8%까지 증가

7. 전체입국자수 대비 의료관광객 비중이 압도적인 몽골과 카자흐스탄
- 몽골: 19년 15.8%> 23년 16.3%> 24년 18.1%
- 카자흐스탄: 19년 25.3% > 23년 25.2% > 24년 26.4%
15.04.202507:32
파마리서치 의료기기 수출데이터입니다 1q25는 달러기준 yoy 113% 원화기준 133% 성장했습니다

출처) learn님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