转发自:
루팡

06.05.202500:46
팔란티어 25년 1분기 어닝콜
라이언 테일러 (CRO 겸 CLO):
2025년 1분기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39% 증가하며 눈에 띄는 모멘텀을 보여줬습니다. 특히 미국 매출은 55% 증가, 전체 매출의 71%를 차지했습니다.
미국 상업 부문 매출: 전년 대비 71% 증가
미국 정부 부문 매출: 전년 대비 45% 증가
Rule of 40 점수: 81 → 83
특히 AI 플랫폼(AIP)에 대한 수요가 지속되며 실적 초과 달성을 견인했습니다. 미국 상업 매출은 연율 기준 10억 달러를 돌파했고, 100만 달러 이상 규모의 계약 수도 2배 증가했습니다.
고객 사례:
대형 헬스케어 기업: 5주 만에 5년간 2,600만 달러 계약 체결
글로벌 은행: 4개월 내에 1,900만 달러 계약 확장
Walgreens: 4,000개 매장에 AI 기반 워크플로우 도입 (하루 3,840억 건 의사결정 자동화)
AIG: 팔란티르 도입 후 5년 복합성장률(CAGR) 두 배 기대
정부 부문에서는 Maven Smart System을 미 국방부에 확대 공급했고,NATO 전역(32개국)에도 도입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샴 산카르 (CTO):
AIP는 이제 자율적 기업 운영을 지향하는 다음 단계에 돌입했습니다. 단순한 AI 코파일럿이 아니라, 50배 생산성을 높이는 AI 에이전트 개발이 핵심입니다.
AI 에이전트는 인간과 협업하며 실시간 의사결정 및 자동화를 수행
AIG: 보험 언더라이팅에 AI 에이전트 적용
국방부: 정찰 정보 분석, 목표 탐지 등 AI 에이전트가 인간을 보완
Tampa 병원: 패혈증 감시 업무 자동화
TITAN 프로그램은 미 육군에 최초 납품되었고, Maven 사용률은 9개월 간 두 배, 그 이후 5개월간 또 두 배 증가하며 빠르게 확산 중입니다. NATO 또한 Maven을 지휘통제(C2) 시스템으로 채택했습니다.
데이브 글레이저 (CFO):
총매출: $884M (전년 대비 +39%)
미국 매출: $628M (전년 대비 +55%)
조정 운영이익률: 44%
조정 잉여현금흐름: $370M (42% 마진)
상업 부문:
미국 상업 매출: $255M (전년 대비 +71%, 전분기 대비 +19%)
TCV(총계약가치): 미국 상업 부문 $810M (전년 대비 +183%)
미국 상업 고객 수: 432개사 (+65%)
국제 상업 매출: $141M (전년 대비 –5%) → 유럽 부진 영향
정부 부문:
총 정부 매출: $487M (+45%)
미국 정부 매출: $373M (+45%)
국제 정부 매출: $114M (+45%) → 영국 의료·국방, NATO 기여
전체 TCV: $1.5B (+66%)
RPO: $1.9B (+46%)
Rule of 40 점수: 83
GAAP 영업이익: $176M (20%)
GAAP 순이익: $214M (24%)
EPS: GAAP $0.08 / 조정 $0.13
가이던스 상향:
Q2 매출: $934M~$938M
FY2025 매출: $3.89B~$3.90B
미국 상업 매출: $1.178B+ (전년 대비 +68%)
조정 운영이익: $1.71B~$1.72B
조정 FCF: $1.6B~$1.8B
알렉스 카프 (CEO):
Palantir는 지금 “불타오르고 있다.” 미국 상업 매출 71% 성장, 정부 매출 45% 성장. AI의 본질적 가치는 Foundry 기반 Ontology 위에 구축되며, 여기에 AIP가 접목될 때 가치 창출이 폭발적으로 일어남.
Rule of 40 점수 83: 업계 황금 기준의 2배
90%가 유럽 외 시장에서 발생한 비즈니스 성장률: +49%
유럽은 아직 AI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음, 반면 미국은 실질적 AI 도입과 실행에 몰입
Palantir는 더 이상 “이질적인 존재(freak show)”가 아님. 고객 조직의 핵심 전 층과 협업 중
Q&A 주요 요약:
AI 경쟁우위: Ontology 기반 AI 수요 측면 우위
미국 국방 예산 삭감 영향: "이제는 성과 없는 프로젝트보다 실질적 가치 창출에 예산이 몰릴 것, Palantir에 유리"
정부기관 예산 압박: “압박이 있어야 진짜 가치 있는 기술을 선택하게 된다”
유럽 국방/제조 전환 지원 여부: “가능하지만, 고객 인식 변화가 선행돼야 함”
TITAN과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통합 기회: "앞으로 모든 전장은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전환될 것"
라이언 테일러 (CRO 겸 CLO):
2025년 1분기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39% 증가하며 눈에 띄는 모멘텀을 보여줬습니다. 특히 미국 매출은 55% 증가, 전체 매출의 71%를 차지했습니다.
미국 상업 부문 매출: 전년 대비 71% 증가
미국 정부 부문 매출: 전년 대비 45% 증가
Rule of 40 점수: 81 → 83
특히 AI 플랫폼(AIP)에 대한 수요가 지속되며 실적 초과 달성을 견인했습니다. 미국 상업 매출은 연율 기준 10억 달러를 돌파했고, 100만 달러 이상 규모의 계약 수도 2배 증가했습니다.
고객 사례:
대형 헬스케어 기업: 5주 만에 5년간 2,600만 달러 계약 체결
글로벌 은행: 4개월 내에 1,900만 달러 계약 확장
Walgreens: 4,000개 매장에 AI 기반 워크플로우 도입 (하루 3,840억 건 의사결정 자동화)
AIG: 팔란티르 도입 후 5년 복합성장률(CAGR) 두 배 기대
정부 부문에서는 Maven Smart System을 미 국방부에 확대 공급했고,NATO 전역(32개국)에도 도입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샴 산카르 (CTO):
AIP는 이제 자율적 기업 운영을 지향하는 다음 단계에 돌입했습니다. 단순한 AI 코파일럿이 아니라, 50배 생산성을 높이는 AI 에이전트 개발이 핵심입니다.
AI 에이전트는 인간과 협업하며 실시간 의사결정 및 자동화를 수행
AIG: 보험 언더라이팅에 AI 에이전트 적용
국방부: 정찰 정보 분석, 목표 탐지 등 AI 에이전트가 인간을 보완
Tampa 병원: 패혈증 감시 업무 자동화
TITAN 프로그램은 미 육군에 최초 납품되었고, Maven 사용률은 9개월 간 두 배, 그 이후 5개월간 또 두 배 증가하며 빠르게 확산 중입니다. NATO 또한 Maven을 지휘통제(C2) 시스템으로 채택했습니다.
데이브 글레이저 (CFO):
총매출: $884M (전년 대비 +39%)
미국 매출: $628M (전년 대비 +55%)
조정 운영이익률: 44%
조정 잉여현금흐름: $370M (42% 마진)
상업 부문:
미국 상업 매출: $255M (전년 대비 +71%, 전분기 대비 +19%)
TCV(총계약가치): 미국 상업 부문 $810M (전년 대비 +183%)
미국 상업 고객 수: 432개사 (+65%)
국제 상업 매출: $141M (전년 대비 –5%) → 유럽 부진 영향
정부 부문:
총 정부 매출: $487M (+45%)
미국 정부 매출: $373M (+45%)
국제 정부 매출: $114M (+45%) → 영국 의료·국방, NATO 기여
전체 TCV: $1.5B (+66%)
RPO: $1.9B (+46%)
Rule of 40 점수: 83
GAAP 영업이익: $176M (20%)
GAAP 순이익: $214M (24%)
EPS: GAAP $0.08 / 조정 $0.13
가이던스 상향:
Q2 매출: $934M~$938M
FY2025 매출: $3.89B~$3.90B
미국 상업 매출: $1.178B+ (전년 대비 +68%)
조정 운영이익: $1.71B~$1.72B
조정 FCF: $1.6B~$1.8B
알렉스 카프 (CEO):
Palantir는 지금 “불타오르고 있다.” 미국 상업 매출 71% 성장, 정부 매출 45% 성장. AI의 본질적 가치는 Foundry 기반 Ontology 위에 구축되며, 여기에 AIP가 접목될 때 가치 창출이 폭발적으로 일어남.
Rule of 40 점수 83: 업계 황금 기준의 2배
90%가 유럽 외 시장에서 발생한 비즈니스 성장률: +49%
유럽은 아직 AI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음, 반면 미국은 실질적 AI 도입과 실행에 몰입
Palantir는 더 이상 “이질적인 존재(freak show)”가 아님. 고객 조직의 핵심 전 층과 협업 중
Q&A 주요 요약:
AI 경쟁우위: Ontology 기반 AI 수요 측면 우위
미국 국방 예산 삭감 영향: "이제는 성과 없는 프로젝트보다 실질적 가치 창출에 예산이 몰릴 것, Palantir에 유리"
정부기관 예산 압박: “압박이 있어야 진짜 가치 있는 기술을 선택하게 된다”
유럽 국방/제조 전환 지원 여부: “가능하지만, 고객 인식 변화가 선행돼야 함”
TITAN과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통합 기회: "앞으로 모든 전장은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전환될 것"
转发自:
한화투자 중국/신흥국 정정영

02.05.202503:40
• 중국cctv: ’중국중앙방송총국 (CMG), 한국 아이돌 합작공연 준비‘ 뉴스 관련 CMG 아태 지역 담당은 ‘사실 아니며 관련 계획 없다’며 보도 부인
>> 오늘 아침 공유드린 [단독]보도 관련 내용입니다. 오후에 외교부 등 정부 브리핑 한번 더 확인해봐야겠네요
就近日有韩国媒体发布“中国中央广播电视总台(CMG)向韩国演出策划公司发送了关于邀请K-pop偶像团体联合演出项目的合作公函”的报道,中央广播电视总台亚太总站答复如下:经确认,此消息不实,中央广播电视总台(CMG)目前没有此类安排计划。(央视新闻)
>> 오늘 아침 공유드린 [단독]보도 관련 내용입니다. 오후에 외교부 등 정부 브리핑 한번 더 확인해봐야겠네요
就近日有韩国媒体发布“中国中央广播电视总台(CMG)向韩国演出策划公司发送了关于邀请K-pop偶像团体联合演出项目的合作公函”的报道,中央广播电视总台亚太总站答复如下:经确认,此消息不实,中央广播电视总台(CMG)目前没有此类安排计划。(央视新闻)


02.05.202500:14
역시나 셀온의 민족
转发自: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29.04.202523:46
중국
- 8개 분기 만에 흑자전환
- 2분기도 기조 지속
인센티브 충당금 있었는데
- 금액은 아직 미공유
북미
- 라네즈가 성장 주도, 최근 신제품도 굉장히 폭발적 성과 내면서, 미국 립 카테고리에서 리더십 공고히
- 지난 분기에 이어 1등 매출 지역으로 등극
- 3월에 에스트라 런칭, 성과 유의미
- 5월에 또 다른 브랜드가 공식 런칭 예정
- 앞으로도 미국이 중심 성장 시작
핵심 육성지역
- 미국/EMEA/일본
차세대 지역
- 인도/중동 등
COSRX는 1분기 35% 매출 하락
- 북미/동남아 부진 영향
- 아쉬우나, 지속가능한 브랜드로 하기 위해, 가격/유통 구조 건전화 중. 현재 가격은 잡은 상황(6개월째 진행 중)
- 1분기 보다는, 2분기~하반기 더 나아질 것
- 잔여지분 인수시기 변경(25년 -> 30년), 전상훈 대표이사 경영 지속
2분기 전망은
매출 10% 중반 성장, 영업이익률 한자릿수 후반 제시
- 계절적으로 2분기 비수기
- 내부 기준으로 6월 BY 마지막월 인센티브/충당금 관련 비용이 있어 이익 관점에서 보수적이나
전체적으로 봤을 때, 글로벌 리밸런싱 가속화 지속될 것
- 8개 분기 만에 흑자전환
- 2분기도 기조 지속
인센티브 충당금 있었는데
- 금액은 아직 미공유
북미
- 라네즈가 성장 주도, 최근 신제품도 굉장히 폭발적 성과 내면서, 미국 립 카테고리에서 리더십 공고히
- 지난 분기에 이어 1등 매출 지역으로 등극
- 3월에 에스트라 런칭, 성과 유의미
- 5월에 또 다른 브랜드가 공식 런칭 예정
- 앞으로도 미국이 중심 성장 시작
핵심 육성지역
- 미국/EMEA/일본
차세대 지역
- 인도/중동 등
COSRX는 1분기 35% 매출 하락
- 북미/동남아 부진 영향
- 아쉬우나, 지속가능한 브랜드로 하기 위해, 가격/유통 구조 건전화 중. 현재 가격은 잡은 상황(6개월째 진행 중)
- 1분기 보다는, 2분기~하반기 더 나아질 것
- 잔여지분 인수시기 변경(25년 -> 30년), 전상훈 대표이사 경영 지속
2분기 전망은
매출 10% 중반 성장, 영업이익률 한자릿수 후반 제시
- 계절적으로 2분기 비수기
- 내부 기준으로 6월 BY 마지막월 인센티브/충당금 관련 비용이 있어 이익 관점에서 보수적이나
전체적으로 봤을 때, 글로벌 리밸런싱 가속화 지속될 것
29.04.202523:14
존 펠란 美 해군성 장관 방한... HD현대·한화오션 찾는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5343351?sid=101
펠란 장관은 방한 전 지난 28일 일본을 방문해 현지 조선소를 둘러보고, 나카타니 겐 일본 방위상과 미군 함선의 공동 정비 등 방위산업 협력을 논의했다.
그는 방일 전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일본과 한국과 같은 조선업에 뛰어난 동맹국과의 협력은 불가결하다"며 "세계 조선업계 2위인 한국, 3위인 일본과 하나가 돼 미국 부활을 목표로 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5343351?sid=101
펠란 장관은 방한 전 지난 28일 일본을 방문해 현지 조선소를 둘러보고, 나카타니 겐 일본 방위상과 미군 함선의 공동 정비 등 방위산업 협력을 논의했다.
그는 방일 전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일본과 한국과 같은 조선업에 뛰어난 동맹국과의 협력은 불가결하다"며 "세계 조선업계 2위인 한국, 3위인 일본과 하나가 돼 미국 부활을 목표로 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29.04.202505:04
2025.04.29 14:04:16
기업명: 에스티팜(시가총액: 1조 5,921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524억(예상치 : 608억/ -14%)
영업익 : 10억(예상치 : 40억/ -75%)
순이익 : 10억(예상치 : 26억/ -62%)
**최근 실적 추이**
2025.1Q 524억/ 10억/ 10억
2024.4Q 1,157억/ 228억/ 124억
2024.3Q 617억/ 61억/ 137억
2024.2Q 446억/ -31억/ 9억
2024.1Q 517억/ 19억/ 54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90033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37690
기업명: 에스티팜(시가총액: 1조 5,921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524억(예상치 : 608억/ -14%)
영업익 : 10억(예상치 : 40억/ -75%)
순이익 : 10억(예상치 : 26억/ -62%)
**최근 실적 추이**
2025.1Q 524억/ 10억/ 10억
2024.4Q 1,157억/ 228억/ 124억
2024.3Q 617억/ 61억/ 137억
2024.2Q 446억/ -31억/ 9억
2024.1Q 517억/ 19억/ 54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90033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37690


02.05.202513:17
글로벌 호재 : 한국장 주말 포함 4일 연휴
화요일에 있을 글로벌 악재 : 한국장 수요일 오픈
화요일에 있을 글로벌 악재 : 한국장 수요일 오픈
02.05.202503:02
이재명 측, 'SMR 특별법' 공약 검토…'K에너지' 원천기술로 '수출'까지 겨냥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586/0000102606?rc=N&ntype=RANKING&sid=00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586/0000102606?rc=N&ntype=RANKING&sid=001
30.04.202507:34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이수페타시스 - 기업가치 제고계획 공시
목표 설정 및 계획수립 (~'29년)
1) 매출 및 수익성 증대
- 매출 CAGR(5개년) 13% 이상 달성
: 5공장 투자를 통한 CAPA 확대로 네트워크 800G 및 고부가 제품 매출 증대
- ROE 5개년 평균 15% 이상 유지
: 제품 MIX 개선으로 수익성 증가를 통한 기업가치 제고
2) 주주환원 확대
- '29년까지 주주환원률 25~30% 확대(별도기준)
: 주주환원율 점진적 확대 및 매출성장을 바탕으로 배당성향 확대
- 배당 예측가능성 제고
: 정관의 변경, 배당기준일설정 및 예고
3) ESG 경영
- ESG 등급상향
- 지배구조개선
: 사회적 책임 실천을 위해 지속적인 ESG등급 개선 확대
https://buly.kr/88119LC (Dart)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이수페타시스 - 기업가치 제고계획 공시
목표 설정 및 계획수립 (~'29년)
1) 매출 및 수익성 증대
- 매출 CAGR(5개년) 13% 이상 달성
: 5공장 투자를 통한 CAPA 확대로 네트워크 800G 및 고부가 제품 매출 증대
- ROE 5개년 평균 15% 이상 유지
: 제품 MIX 개선으로 수익성 증가를 통한 기업가치 제고
2) 주주환원 확대
- '29년까지 주주환원률 25~30% 확대(별도기준)
: 주주환원율 점진적 확대 및 매출성장을 바탕으로 배당성향 확대
- 배당 예측가능성 제고
: 정관의 변경, 배당기준일설정 및 예고
3) ESG 경영
- ESG 등급상향
- 지배구조개선
: 사회적 책임 실천을 위해 지속적인 ESG등급 개선 확대
https://buly.kr/88119LC (Dart)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29.04.202523:28
억..
29.04.202522:38
2025.04.30 07:36:52
기업명: 아모레퍼시픽(시가총액: 7조 2,005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0,675억(예상치 : 10,226억+/ 4%)
영업익 : 1,177억(예상치 : 985억/ +19%)
순이익 : 1,108억(예상치 : 811억+/ 37%)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0,675억/ 1,177억/ 1,108억
2024.4Q 10,917억/ 785억/ -462억
2024.3Q 9,772억/ 652억/ 372억
2024.2Q 9,048억/ 42억/ 5,306억
2024.1Q 9,115억/ 727억/ 801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00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90430
기업명: 아모레퍼시픽(시가총액: 7조 2,005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0,675억(예상치 : 10,226억+/ 4%)
영업익 : 1,177억(예상치 : 985억/ +19%)
순이익 : 1,108억(예상치 : 811억+/ 37%)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0,675억/ 1,177억/ 1,108억
2024.4Q 10,917억/ 785억/ -462억
2024.3Q 9,772억/ 652억/ 372억
2024.2Q 9,048억/ 42억/ 5,306억
2024.1Q 9,115억/ 727억/ 801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00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90430
29.04.202504:57
두산에너빌리티, 캐나다 캔두에너지와 원자력 사업 협력 강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87569?sid=101
캐나다 기업 앳킨스레알리스 자회사 캔두에너지는 캐나다 중수로 '캔두(CANDU)'의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관련 설계·공급·서비스를 전담하는 기업이다. 이번 협약은 캔두에너지가 약 2000여개의 협력사 중 먼저 9개 기업을 우선 공급자로 선정하며 추진됐다. 9개 우선 공급자 중 캐나다가 아닌 해외 기업은 두산에너빌리티가 유일하다.
협약으로 두산에너빌리티는 캔두에너지가 수행하는 전세계 중수로 원자력 발전소 사업의 설계, 제작, 설치, 시운전, 운영 등에 참여를 확대할 수 있게 됐다. 현재 '캔두'형 원자력발전소는 캐나다, 한국, 루마니아, 중국, 아르헨티나에서 총 31개 호기가 운전되고 있다. 또 캔두에너지는 2023년 1000㎿급 신형 원자로인 '캔두 모나크'를 공개하고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87569?sid=101
캐나다 기업 앳킨스레알리스 자회사 캔두에너지는 캐나다 중수로 '캔두(CANDU)'의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관련 설계·공급·서비스를 전담하는 기업이다. 이번 협약은 캔두에너지가 약 2000여개의 협력사 중 먼저 9개 기업을 우선 공급자로 선정하며 추진됐다. 9개 우선 공급자 중 캐나다가 아닌 해외 기업은 두산에너빌리티가 유일하다.
협약으로 두산에너빌리티는 캔두에너지가 수행하는 전세계 중수로 원자력 발전소 사업의 설계, 제작, 설치, 시운전, 운영 등에 참여를 확대할 수 있게 됐다. 현재 '캔두'형 원자력발전소는 캐나다, 한국, 루마니아, 중국, 아르헨티나에서 총 31개 호기가 운전되고 있다. 또 캔두에너지는 2023년 1000㎿급 신형 원자로인 '캔두 모나크'를 공개하고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转发自:
실시간 주식 뉴스

02.05.202501:14
[속보]SKT "T월드 전매장 오는 5일부터 신규·번호이동 중단"
https://v.daum.net/v/20250502101246778
https://v.daum.net/v/20250502101246778
30.04.202506:52
2025.04.30 15:51:45
기업명: 두산에너빌리티(시가총액: 18조 5,442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37,486억(예상치 : 39,158억/ -4%)
영업익 : 1,425억(예상치 : 2,535억/ -44%)
순이익 : -689억(예상치 : 1,292억/ -153%)
**최근 실적 추이**
2025.1Q 37,486억/ 1,425억/ -689억
2024.4Q 45,891억/ 2,349억/ -607억
2024.3Q 33,956억/ 1,148억/ -265억
2024.2Q 41,505억/ 3,098억/ 2,208억
2024.1Q 40,979억/ 3,581억/ 2,611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69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34020
기업명: 두산에너빌리티(시가총액: 18조 5,442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37,486억(예상치 : 39,158억/ -4%)
영업익 : 1,425억(예상치 : 2,535억/ -44%)
순이익 : -689억(예상치 : 1,292억/ -153%)
**최근 실적 추이**
2025.1Q 37,486억/ 1,425억/ -689억
2024.4Q 45,891억/ 2,349억/ -607억
2024.3Q 33,956억/ 1,148억/ -265억
2024.2Q 41,505억/ 3,098억/ 2,208억
2024.1Q 40,979억/ 3,581억/ 2,611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69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34020
转发自:
신한 리서치

29.04.202523:28
[신한 조선/방산/기계 이동헌]
한화시스템 (272210)
1Q25 Re 편안한 성장, 계열사 변수
▶️ 신한생각: 안정성과 성장성 겸비, 높아진 밸류에이션은 부담
- 수출 확대로 호실적 달성. 방산, 우주, 계열사 투자 등 성장성은 풍부. 다만 연초대비 주가는 74% 급등하며 높아진 밸류에이션은 부담 요인, 한화오션(지분 11.6% 보유) 오버행과 필리조선소(연결 반영) 안정화는 변수
▶️ 1Q25 Review: 방산 수출 비중 확대로 호실적 달성
- [1Q25 실적] 매출액 6,901억원(+27%, 이하 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 582억원(+28%), 영업이익률 8.4%(+0.1%p)를 기록. 컨센서스 대비 매출액은 부합, 영업이익은 +33%(컨센서스 438억원)의 어닝 서프라이즈. 일시적 방산 내수 감소 및 수출 비중 급증 영향, 이외 일회성 요인 부재
- [전망] 방산 수주잔고 8.4조원(+25%), 수출 증가로 안정적 성장. 필리조선은 증설, 미국 수주 기대. 오스탈 인수도 긍정적, 연내 성과 확인 필요
▶️ Valuation & Risk: 계열사 및 신사업 투자 추이 변수
- 목표주가를 4만원으로 상향(기존 3만원, +33.3%)하나 상승여력 축소로 투자의견을 Trading BUY로 하향(기존 매수). 그룹사 및 신사업 투자 시점 및 관련 자산 변동, 필리조선소 안정화는 변수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5020
위 내용은 2025년 4월 30일 7시 4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조선/방산/기계 채널: https://bit.ly/3pMTnTY
신한 리서치 채널: https://bit.ly/3AqbpSm
한화시스템 (272210)
1Q25 Re 편안한 성장, 계열사 변수
▶️ 신한생각: 안정성과 성장성 겸비, 높아진 밸류에이션은 부담
- 수출 확대로 호실적 달성. 방산, 우주, 계열사 투자 등 성장성은 풍부. 다만 연초대비 주가는 74% 급등하며 높아진 밸류에이션은 부담 요인, 한화오션(지분 11.6% 보유) 오버행과 필리조선소(연결 반영) 안정화는 변수
▶️ 1Q25 Review: 방산 수출 비중 확대로 호실적 달성
- [1Q25 실적] 매출액 6,901억원(+27%, 이하 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 582억원(+28%), 영업이익률 8.4%(+0.1%p)를 기록. 컨센서스 대비 매출액은 부합, 영업이익은 +33%(컨센서스 438억원)의 어닝 서프라이즈. 일시적 방산 내수 감소 및 수출 비중 급증 영향, 이외 일회성 요인 부재
- [전망] 방산 수주잔고 8.4조원(+25%), 수출 증가로 안정적 성장. 필리조선은 증설, 미국 수주 기대. 오스탈 인수도 긍정적, 연내 성과 확인 필요
▶️ Valuation & Risk: 계열사 및 신사업 투자 추이 변수
- 목표주가를 4만원으로 상향(기존 3만원, +33.3%)하나 상승여력 축소로 투자의견을 Trading BUY로 하향(기존 매수). 그룹사 및 신사업 투자 시점 및 관련 자산 변동, 필리조선소 안정화는 변수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5020
위 내용은 2025년 4월 30일 7시 45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조선/방산/기계 채널: https://bit.ly/3pMTnTY
신한 리서치 채널: https://bit.ly/3AqbpSm
转发自:
호그니엘

29.04.202522:25
[단독] 'TC본더' 분쟁 격화…한화, 한미반도체 임원 명예훼손 혐의 고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79899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79899
转发自:
더바이오 뉴스룸

29.04.202504:15
올릭스가 일라이릴리에 이어 또 다른 빅파마와 추가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할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힌트는 피부 및 모발 재생, 그리고 연구비를 지원받는 공동연구입니다.
올릭스는 앞으로 체결한 새로운 빅파마와의 파트너십 시점을 명확히 제시할 수 없지만, 계약 작업이 끝을 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른 시일 내 성과를 도출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이동기 올릭스 대표는 29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호텔에서 개최된 '올릭스 2025년 상반기 R&D DAY'에서 "시장에 약속한 리보핵산(RNA) 간섭 모발 재생 연구와 관련된 협상은 어떠한 문제없이 마무리 작업이 잘 진행되고 있다"며 "스탠스는 변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김켈리 올릭스 사업개발 이사는 딜과 관련한 내용을 더욱 구체화 했습니다. 김 이사는 "협상을 진행 중인 빅파마는 보수적인 성향이 강한 기업"이라며 "최근 다른 바이오기업 지분 인수 등을 투자를 지속하고 있으며, 많은 스크리닝을 거친 후 올릭스를 선택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딜의 협의점은 단순한 공동개발이 아닌 전략적 파트너십"이라며 "포괄적 협력을 이어가는 가운데 단계적인 연구개발비 지원도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720
힌트는 피부 및 모발 재생, 그리고 연구비를 지원받는 공동연구입니다.
올릭스는 앞으로 체결한 새로운 빅파마와의 파트너십 시점을 명확히 제시할 수 없지만, 계약 작업이 끝을 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른 시일 내 성과를 도출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이동기 올릭스 대표는 29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호텔에서 개최된 '올릭스 2025년 상반기 R&D DAY'에서 "시장에 약속한 리보핵산(RNA) 간섭 모발 재생 연구와 관련된 협상은 어떠한 문제없이 마무리 작업이 잘 진행되고 있다"며 "스탠스는 변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김켈리 올릭스 사업개발 이사는 딜과 관련한 내용을 더욱 구체화 했습니다. 김 이사는 "협상을 진행 중인 빅파마는 보수적인 성향이 강한 기업"이라며 "최근 다른 바이오기업 지분 인수 등을 투자를 지속하고 있으며, 많은 스크리닝을 거친 후 올릭스를 선택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딜의 협의점은 단순한 공동개발이 아닌 전략적 파트너십"이라며 "포괄적 협력을 이어가는 가운데 단계적인 연구개발비 지원도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720
转发自:
[한투증권 박상현] 전기전자📱


02.05.202501:10
이수페타시스 주가가 10% 넘게 급등하고 있습니다. 빅테크의 1분기 호실적에서 AI가 여전히 매출 성장 핵심 드라이버로 작용하고 있음이 확인되면서 시장에의 AI CAPEX 축소 우려가 완화되었기 때문으로 해석합니다.
MS는 Azure 클라우드 매출 중 16%가 AI 서비스에서 발생했으며, 수요가 예상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여전히 AI CAPEX 확대는 필요한 상황임을 의미합니다. 최근 일부 AI 데이터센터 임대 계약 철회 보도에 대해서는, 데이터센터 운영을 임대와 자체 구축 두 가지 방식으로 유연하게 병행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임대 철회가 곧 AI CAPEX 축소라고 단편적으로 해석할 수 업음을 시사합니다. Meta는 25년 CAPEX 가이던스를 기존보다 상향한 $64~72B로 제시했습니다. 이는 자사 AI 파운데이션 모델인 Llama의 학습 효율성 제고를 위한 인프라 투자를 반영한 것입니다. AWS는 AI 비즈니스가 전년 대비 세 자릿수 비율로 성장하고 있다고 밝히며, GPU 및 Trainium 등 AI 인프라 확충을 위해 하반기 CAPEX도 추가로 집행할 계획임을 언급했습니다.
MS, Meta, AWS 모두 공통적으로 AI 수요가 여전히 공급을 뛰어넘는 상황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AI 가속기, 백엔드 네트워크 스위치 등으로 대표되는 AI 인프라 수요는 연중 견조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들의 보드 PCB로 활용되는 MLB 수요 또한 강하게 유지될 것이라는 판단입니다.
이수페타시스는 2023년 4분기 실적 발표에서 수주액이 기존 캐파보다 20% 이상 많다고 밝혔으며, 이에 따라 생산 설비 증설을 진행 중입니다. 다만 이로 인한 매출 증가는 올해 4분기부터 가능할 전망입니다. 현재 수요가 유지된다는 전제 하에, 공급 부족(타이트한 수급)은 적어도 올해 10월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며, 빅테크의 하반기 CAPEX 확대까지 감안할 경우, 이러한 수급 타이트니스는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MS는 Azure 클라우드 매출 중 16%가 AI 서비스에서 발생했으며, 수요가 예상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여전히 AI CAPEX 확대는 필요한 상황임을 의미합니다. 최근 일부 AI 데이터센터 임대 계약 철회 보도에 대해서는, 데이터센터 운영을 임대와 자체 구축 두 가지 방식으로 유연하게 병행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임대 철회가 곧 AI CAPEX 축소라고 단편적으로 해석할 수 업음을 시사합니다. Meta는 25년 CAPEX 가이던스를 기존보다 상향한 $64~72B로 제시했습니다. 이는 자사 AI 파운데이션 모델인 Llama의 학습 효율성 제고를 위한 인프라 투자를 반영한 것입니다. AWS는 AI 비즈니스가 전년 대비 세 자릿수 비율로 성장하고 있다고 밝히며, GPU 및 Trainium 등 AI 인프라 확충을 위해 하반기 CAPEX도 추가로 집행할 계획임을 언급했습니다.
MS, Meta, AWS 모두 공통적으로 AI 수요가 여전히 공급을 뛰어넘는 상황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AI 가속기, 백엔드 네트워크 스위치 등으로 대표되는 AI 인프라 수요는 연중 견조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들의 보드 PCB로 활용되는 MLB 수요 또한 강하게 유지될 것이라는 판단입니다.
이수페타시스는 2023년 4분기 실적 발표에서 수주액이 기존 캐파보다 20% 이상 많다고 밝혔으며, 이에 따라 생산 설비 증설을 진행 중입니다. 다만 이로 인한 매출 증가는 올해 4분기부터 가능할 전망입니다. 현재 수요가 유지된다는 전제 하에, 공급 부족(타이트한 수급)은 적어도 올해 10월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며, 빅테크의 하반기 CAPEX 확대까지 감안할 경우, 이러한 수급 타이트니스는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30.04.202501:08
[단독] 한한령 사실상 전면 해제…中서 9월 '5만명' 규모 K팝 공연 열린다
https://m.newspim.com//news/view/20250430000195
https://m.newspim.com//news/view/20250430000195
转发自:
허혜민의 제약/바이오 소식통

29.04.202523:24
[키움 허혜민] 참고로 중국 기업 하나 소개
홍콩에 상장한 Ascletis가 저분자로 경구용 비만치료제 ASC30(GLP-1) 1b상 다회용량wmdfid(MAD) 시험 4주차 데이터 발표한 바 있는데
최대 6.5% 위약 대비 체중 감소 효과 확인
ASC30은 로슈의 CT-996, Viking의 VK2735 등과 효능면에서 동등 수준
Ascletis의 올해 YTD 주가 +106% 상승. 시가총액 약 1.1조 원
올해 3분기 2a 시작 예정
릴리의 경구 비만 치료제 orforglipron의 ACHIEVE-1(2형 당뇨병 3상)에서 HbA1c 최대 1.5% 감소 및 최대 6.3% 체중 감소 확인.
이제는 미국 바이오텍 데이터도 봐야하지만, 중국의 경쟁력이 올라오면서 중국 데이터도 확인해야하네요 ^^ 화이자가 결국 누굴 선택할지..?
홍콩에 상장한 Ascletis가 저분자로 경구용 비만치료제 ASC30(GLP-1) 1b상 다회용량wmdfid(MAD) 시험 4주차 데이터 발표한 바 있는데
최대 6.5% 위약 대비 체중 감소 효과 확인
ASC30은 로슈의 CT-996, Viking의 VK2735 등과 효능면에서 동등 수준
Ascletis의 올해 YTD 주가 +106% 상승. 시가총액 약 1.1조 원
올해 3분기 2a 시작 예정
릴리의 경구 비만 치료제 orforglipron의 ACHIEVE-1(2형 당뇨병 3상)에서 HbA1c 최대 1.5% 감소 및 최대 6.3% 체중 감소 확인.
이제는 미국 바이오텍 데이터도 봐야하지만, 중국의 경쟁력이 올라오면서 중국 데이터도 확인해야하네요 ^^ 화이자가 결국 누굴 선택할지..?
29.04.202506:37
2025.04.29 15:36:31
기업명: 하이브(시가총액: 10조 5,380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5,006억(예상치 : 4,764억+/ 5%)
영업익 : 216억(예상치 : 318억/ -32%)
순이익 : 589억(예상치 : 398억+/ 48%)
**최근 실적 추이**
2025.1Q 5,006억/ 216억/ 589억
2024.4Q 7,264억/ 646억/ -261억
2024.3Q 5,278억/ 542억/ 14억
2024.2Q 6,405억/ 509억/ 101억
2024.1Q 3,609억/ 144억/ 111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80049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52820
기업명: 하이브(시가총액: 10조 5,380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5,006억(예상치 : 4,764억+/ 5%)
영업익 : 216억(예상치 : 318억/ -32%)
순이익 : 589억(예상치 : 398억+/ 48%)
**최근 실적 추이**
2025.1Q 5,006억/ 216억/ 589억
2024.4Q 7,264억/ 646억/ -261억
2024.3Q 5,278억/ 542억/ 14억
2024.2Q 6,405억/ 509억/ 101억
2024.1Q 3,609억/ 144억/ 111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80049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52820
转发自:
DS 양형모의 중공업/미국

29.04.202503:44
# 미국 LNG 프로젝트 또 승인
# 총 36척 LNG선 필요 추정
# 전량 한국 조선소 수주 기대
# 한국 조선소 LNG선 캐파 증설 필요
Feed 전 단계인 Proposed 단계였던 프로젝트인데 투자 승인 났습니다 2029년 가동 예상이고, 16.5mtpa(5.5짜리 3개)입니다.
https://www.reuters.com/business/energy/woodside-energy-commits-175-billion-louisiana-lng-project-2025-04-28/
# 총 36척 LNG선 필요 추정
# 전량 한국 조선소 수주 기대
# 한국 조선소 LNG선 캐파 증설 필요
Feed 전 단계인 Proposed 단계였던 프로젝트인데 투자 승인 났습니다 2029년 가동 예상이고, 16.5mtpa(5.5짜리 3개)입니다.
https://www.reuters.com/business/energy/woodside-energy-commits-175-billion-louisiana-lng-project-2025-04-28/
显示 1 - 24 共 2 414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