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주린이 개소리하는 채널 avatar

주린이 개소리하는 채널

여의도에서 개 짖는 소리가 난다면 주개챈을 돌아보라
TGlist 评分
0
0
类型公开
验证
未验证
可信度
不可靠
位置
语言其他
频道创建日期Jun 11, 2022
添加到 TGlist 的日期
Sep 09, 2024

记录

05.04.202523:59
4.9K订阅者
09.09.202423:59
0引用指数
19.09.202423:59
1.5K每帖平均覆盖率
26.03.202523:59
1.6K广告帖子的平均覆盖率
20.11.202423:59
4.76%ER
19.09.202423:59
32.46%ERR

주린이 개소리하는 채널 热门帖子

지금 70개국 협상중이라 정신 없다. - 트럼프
■ 글로벌 친환경차/2차전지 - 2025년 2월 Data: EV +53%, HEV +16% (하나증권 송선재/김현수 위원)

[요약]
- 2월 글로벌 전기차 YoY +53%
: YoY 기준 지역별로 미국 +7% / 중국 +92% / 유럽 +19% 기록

- 2월 글로벌 하이브리드차(HEV) YoY +16%
: YoY 기준 지역별로 미국 +44% / 유럽 +15% / 일본 +5%

- 2월 글로벌 배터리 출하 YoY +57%
: YoY 기준 업체별로 CATL +56% / BYD +148% / LGES +6% / SK on +38% / 파나소닉 -1% / CALB +65% / 삼성SDI -20%

- 유럽 내 한국 배터리 기업들의 점유율 하락 지속
: 유럽 배터리 출하량은 1월 +37%, 2월 +27% 증가했으나, 국내 3사의 유럽 합산 출하량은 1월 -3%, 2월 -7%를 기록하며 점유율 하락 지속
: 유럽의 탄소 배출 규제 강화로 전기차 판매는 1~2월 각각 +22%, +19%로 회복되고 있으나 국내 3사 유럽 내 배터리 출하 점유율은 여전히 감소세
: 유럽의 전기차 배터리 성장률과 한국 배터리 기업들의 출하 증가율이 유사한 수준으로 회복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


[첨언]
글로벌 전기차 판매 증가율과 배터리 출하 증가율이 크게 반등을 시작하는 모습입니다. 다만 우니라나 배터리 밸류체인은 이러한 반등에서 빗겨나있는 듯한 데이터가 나오고 있습니다.

글로벌 전기차 판매 반등의 주역은 역시나 중국이고, 이에 맞춰 배터리 출하도 중국 기업들 위주로 크게 증가 중입니다. 중국에서는 우리 기업들이 끼어들 틈이 없어 보입니다.

미국은 트럼프 집권으로 주춤하고 있으며, 결국 유럽이 중요합니다. 유럽도 반등을 시작하는 모습이지만 우리 기업들의 출하는 오히려 감소하고 있고 이는 중국 기업들의 침투가 더 빠르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글로벌 전기차/배터리 시장 반등이 우리 기업들의 수혜로 당장 연결되지 않고 있습니다. 당장은 아니어도 추후 수혜가 연결될 여지도 충분히 존재하기에 지속적인 체크가 필요합니다.
08.04.202511:56
요약

🇨🇳 중국의 바이오 지배 전략과 미국의 위기
❗️ 가상의 경고 시나리오
중국이 획기적인 암 치료제를 개발하나, 대만 문제로 미중 갈등 격화 시 이를 무기화해 미국 공급을 중단
미국 내 치료제 부족, 여론 분열, 지정학과 공중보건 사이의 딜레마 발생

🧬 바이오 기술은 차세대 국가 경쟁력의 핵심
AI, CRISPR, 자동화 덕분에 생물학이 '설계 가능한 기술'**로 진화
생명공학은 국방, 농업, 에너지, 제조업까지 영향력 확대
21세기는
“바이오 기반 설계의 시대”**로 진입

🇨🇳 중국의 전략적 바이오 성장
20년간 국가 전략으로 바이오 산업 집중 육성
대표적 기업: WuXi AppTec, BioMap
WuXi는 미국 제약사 IP를 중국에 이전한 전력 보유, 2023년 매출 약 60억 달러
미국 바이오기업 중 79%가 중국 위탁생산 업체에 의존
“중국은 기술을 훔치고, 대규모로 생산하며, 시장을 장악한 뒤 목을 죄어온다”

⚠️ 미국의 현재 문제점
민간은 세계 최고 수준의 혁신력 보유
그러나 상업화·스케일업·규제 문제로 발목 잡힘
국방부는 바이오 기술 활용에 소극적이며, 공급망 취약성도 심각

🇺🇸 미국의 대응 전략: 6대 Pillars
1. 국가 차원의 전략 수립
대통령 직속 국가 바이오기술 조정 사무국 신설

2. 민간과의 공조 강화
규제 간소화, 공급망 리스크 공개 의무화
10억 달러 규모의 ‘Independence Investment Fund’ 조성

3. 국방 역량 강화
바이오 기반 물자 생산 및 ‘윤리적 병사 강화’ 기준 수립
중국 바이오 기술에 대한 해외 투자 제한

4. 혁신 역량 극대화
생물학 데이터 통합 플랫폼(Web of Biological Data) 구축
국립연구소 내 바이오 센터 설립

5. 바이오 인재 양성
연방 공무원 바이오 기술 교육 확대
민간 기술자 훈련 프로그램 투자 강화

6. 동맹과의 공조
동맹국과의 공동 연구·기술 표준·안보 연대 확대
외교기술혁신기금에 바이오 포함

🔮 미래 청사진: 미국 주도의 바이오 시대
✅ 가능성
2030년: 전 인류가 바이오 제품 사용
2040년대: 세포 치료·3D 장기 프린팅, 만성질환 감소
2050년대: 바이오 마이닝으로 달·화성 희귀광물 채굴

❌ 위험
치명적 질병 치료제 의존도가 중국에 쏠릴 경우, 공급 차단 시 국가 위기
유전자 조작 병사, 기반시설 생물학적 공격, 식량 및 의약품 무기화 가능성

🇺🇸 결론: “지금 행동하지 않으면 영원히 뒤처진다”
최소 150억 달러 투자 필요 (민간 자본 유입 유도 포함)
목표는 “중국 따라잡기”가 아니라 미국의 장점 강화
혁신의 자유와 안보 간 균형 확보
转发自:
루팡 avatar
루팡
06.04.202503:43
대만, '美 32%관세'에 증시 충격 대비…22조 안정기금 투입 검토

'블랙먼데이' 우려…대만 총통, 폭스콘·TSMC 대표 등 소집해 대미 협상 논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로부터 32%의 고율 상호관세를 부과받은 대만이 오는 7일 주식시장에서 주가 폭락 등 '블랙 먼데이'가 발생 가능성과 관련해 대응에 고심하고 있다.

6일 연합보·중시신문망 등 대만 매체들에 따르면 줘룽타이 대만 행정원장(한국의 총리 격)은 전날 중앙은행장과 재무부장(재무장관) 등이 참여하는 고위급 회의를 소집해 미국발 관세 충격 관련 조치를 보고받았다.

줘 원장은 글로벌 증시에 악영향을 준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가 7일 개장할 대만 증시도 흔들 수 있어 "마음의 준비를 하고 충격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만 증시는 청명절(淸明節) 연휴로 3∼4일 휴장했다.

연합보는 이날 회의에서 대만 국가금융안정기금이 시장에 개입해야 한다는 지시는 없었지만 대만 증시가 7일 폭락할 우려가 나온 만큼 기금의 증시 개입 조건은 갖춰진 상황이라고 짚었다.

이어 5천억대만달러(약 22조원) 규모의 국가금융안정기금은 언제든 임시 회의를 개최할 준비를 해둔 상태이며, 이르면 7일 즉시 회의를 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매체는 설명했다.

줘 원장은 지난 4일 기자회견에서는 미국 상호관세로 인해 전자·철강업계가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대만 기업들에 880억대만달러(약 3조8천800억원)를 지원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한편, 라이칭더 대만 총통은 지난 5일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대표들을 관저로 불러 좌담회를 열었다고 대만 총통부(대통령실 격)는 전했다.

이 자리에는 아이폰 제조업체 폭스콘의 류양웨이 회장과 노트북업체 컴팔의 쉬성슝 회장, 전자업체 위스트론의 린젠쉰 최고경영자(CEO), 리스친 대만전자협회(TEEMA) 이사장, 전자업체 페가트론의 퉁쯔셴 회장, 에이서 창립자 스전룽, 허우융칭 TSMC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연합보는 소식통을 인용, 대만 정부가 손에 든 협상 카드로 미국과 대화에 나서야 하지만 카드를 성급히 공개할 필요는 없다는 데 업계 대표들이 동의했다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대만 행정원은 미국에 행정원·경제무역판공실 당국자를 파견했으며 관세 인하와 대미 투자 증대, 비관세 투자 장벽 제거 등 조치를 검토 중이라고 매체는 덧붙였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지난 4일(현지시간) 대만(32%) 등 전 세계 교역국을 상대로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만 최대 수출품인 반도체에 대한 관세 부과도 예고하고 있다.

우다런 대만중앙대 경제학과 교수는 상호관세 32%의 부과로 대만 국내총생산(GDP) 15%가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313480?rc=N&ntype=RANKING&sid=001
오세훈 펀드
26.03.202511:30
특이점 왔네요
转发自:
루팡 avatar
루팡
08.04.202513:02
단독: 마이크론, 4월 9일부터 일부 제품에 관세 관련 할증 부과

미국 메모리 반도체 업체 마이크론 테크놀로지(Micron Technology)는 트럼프 대통령의 새 관세 조치에 따라, 오는 수요일(4월 9일)부터 일부 제품에 대해 미국 고객에게 할증을 부과할 예정이라고 복수의 소식통이 전했다.

마이크론은 중국, 대만, 일본,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 아시아 지역에 제조 거점을 두고 있으며, 트럼프의 조치가 반도체 칩 자체는 면제했지만, 메모리 모듈과 SSD에는 적용되어 이에 해당하는 제품 가격에 할증이 붙는다는 내용의 서신을 고객에게 보냈다.

이들 제품은 차량, 노트북, 데이터센터 서버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마이크론은 3월 말에도 “예상치 못한 수요 증가”를 이유로 가격 인상을 고객에게 통보한 바 있으며, 3월 21일 실적 발표 시 관세 부담을 고객에 전가하겠다는 방침을 밝히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는 글로벌 경제를 충격에 빠뜨렸고, 중국 등의 보복 조치를 유발하며 무역전쟁 및 경기침체 우려를 키우고 있다. 미국 세관은 이미 토요일부터 10%의 관세를 부과 중이며, 국가별로 최대 50%까지의 ‘상호주의’ 관세가 4월 9일 오전 12시 1분(미 동부 기준)부터 적용된다.

한 아시아 낸드 모듈 제조업체 임원은 “관세는 고객이 부담해야 한다”며, “정부의 결정에 우리가 책임질 수는 없다”고 말했다.

https://www.reuters.com/technology/micron-impose-tariff-related-surcharge-some-products-april-9-sources-say-2025-04-08/
24.03.202515:31
타율 확인용
다음 주 3월 26일 수요일 또는 3월 27일 목요일에 체결될 예정입니다.


https://defence24.pl/przemysl/wiemy-kiedy-mon-kupi-borsuki-news-defence24
07.04.202502:43
제목 : 트럼프, 비만약 보험 적용 중단 *연합인포맥스*
“트럼프 대통령은 노보 노디스크(NVO)의 위고비, 일라이 릴리(LLY)의 젭바운드를 메디케어가 보장하도록 하자는 바이든 행정부의 제안을 철회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해당 제안은 수백만 명의 미국인에게 해당 약물에 대한 접근성을 크게 확대했었다”고 전했다. 다만 “정부에는 수십억 달러의 비용이 들었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메디케어 및 메디케이드 서비스 센터는 “해당 약물에 대한 보장을 재고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转发自:
루팡 avatar
루팡
【DDR5 랠리가 DDR4 상승세로 확산, 향후 몇 주간 스팟 가격 강세 유지 전망】

스팟 가격이 계속 상승하고 있으며, 상승세는 DDR5에서 DDR4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소비자 전자제품 관련 수요는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지 않고 있지만, 고정 거래 가격은 가까운 시일 내에 상승 조짐을 뚜렷이 나타내고 있습니다. 더불어 스팟 거래상 및 모듈 업체들은 적극적으로 재고를 확보하고 있어, 스팟 가격의 상승세는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저가 재고를 보유한 공급업체들은 현재 대부분 공급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가격이 충분히 오르지 않은 경우, 공급업체들은 보유 재고를 매도하기보다는 공급을 미루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트렌드포스(TrendForce)는 단기적으로, 즉 향후 몇 주간 스팟 가격이 상당히 강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주력 칩인 DDR4 1Gx8 3200MT/s의 평균 스팟 가격은 지난주 미화 1.495달러에서 이번 주 미화 1.561달러로 4.41% 상승했습니다.
24.03.202515:11
얘한테만 물어봐도 안다 ㄷㄷㄷ


좋은 질문이에요. 요즘 한국 AI 기업들의 전략을 보면, **현실을 어느 정도 인식하고는 있지만, 근본적인 돌파구는 잘 못 찾고 있다**는 느낌이 강해요. 아래에 정리해볼게요:

---

### 🎯 한국 AI 기업들의 주요 전략 흐름 (2023~2025 기준)

1. **대형 LLM 개발보다 “경량 모델”에 집중**
- GPT-4 급의 초거대 모델은 포기하고, 중소형 LLM (1~13B 정도)을 개발하거나 오픈소스를 파인튜닝하는 전략.
- 예: HyperCLOVA X 경량화 버전, 베트남 VinAI처럼 7B 모델 수준 겨냥.

2. **한국어 특화 모델 개발**
- 글로벌 모델은 한국어 퍼포먼스가 떨어지므로, 한국어 데이터로 파인튜닝한 모델을 개발해 시장을 확보하려는 전략.
- 데이터셋 구축 및 언어적 정교화에 집중.

3. **B2B 서비스 연계에 집중**
- "LLM을 직접 만들기보단" 특정 산업(BFSI, 헬스케어 등)에 맞춘 AI 솔루션 구축에 집중.
- 예: 챗봇, 자동 문서 분석, 기업 내 검색 등.

4. **정부 주도 프로젝트에 편승**
- AI 바우처 사업, 국책과제, 산업통상자원부·NIA 등의 지원사업에 참여해 자금 확보 + 기술 데모 진행.

---

### 🤔 현실성은 있는가?

**부분적으로는 있다. 하지만 한계가 명확하다.**

#### ✔️ 현실적인 측면
- **GPU 자원 부족**, **AI 연구 인력의 글로벌 유출**, **초거대 자본 부족** 등 한국의 구조적 한계를 감안하면, “중간 전략”으로는 나쁘지 않아요.
- 특히 **한국어 특화**, **B2B 특화**, **오픈소스 활용** 등은 단기 생존 전략으로 꽤 실속 있는 접근이에요.

#### ✖️ 하지만 근본적으론…
- **자체 모델 설계나 혁신은 거의 없음** → 결국 글로벌 흐름을 따라가는 수준에 머물게 됨.
- **글로벌 경쟁력 부족** → 해외 기업들은 이미 수십~수백억 파라미터 LLM을 오픈하고 있고, 한국은 그걸 쓰는 정도.
- **전략이 ‘패스트 팔로워’에 머무름** → GPT-4가 나온 이후 GPT-3.5 수준의 모델을 만드는 게 전략이면, 의미 없는 늦장 대응이 될 수도 있어요.

---

### 🔥 좀 더 공격적인 전략이 필요한 시점

한국 기업들도 **다음과 같은 전략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어요:

- **국가 차원의 GPU 인프라 확보 (예: AI 반도체 클러스터)**
- **한두 개 기업만 키우는 게 아니라, 오픈소스 기반 생태계 육성**
- **“작지만 창의적인 LLM 구조” 연구 지원** (Mistral, Phi-2처럼)
- **국제 공동연구 또는 글로벌 인재 유치**

---

### 📌 결론

> 지금의 전략은 **현실을 고려한 생존형 전략**이지만,
> **세계 시장에서 뭔가를 선도하려는 전략은 거의 없다**는 게 핵심 문제예요.

지금처럼 가면 계속 **“카카오 챗봇 수준”에서 머무는 AI만 만들게 될 가능성**이 높고,
그건 곧 사용자들의 기대치를 채우지 못하는 기술로 평가받게 되겠죠.

---

혹시 구체적으로 어떤 회사(예: 네이버, 업스테이지, 뤼튼 등)에 대한 전략 분석이 궁금하신가요?
아니면 “어떻게 해야 한국도 DeepSeek 같은 걸 만들 수 있을까?” 쪽으로 더 파고들어볼까요?
경북 안동 근황(어제자)
转发自:
선수촌 avatar
선수촌
转发自:
선수촌 avatar
선수촌
07.04.202502:12
세계적인 개투께서,

이순신 장군 동상이라니 역시 뜬금없는 사차원이다.

윤석열은 급발진해서 사망했지만,

안철수는 사차원이라서 야당의 공격도 안 먹힐 것이다.

여당의 좋은 후보감이다.


라고 하시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4025576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