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올 의료기기/화장품 박종현
안녕하십니까. 다올 증권 의료기기/화장품 애널리스트 박종현입니다.
Рейтинг TGlist
0
0
ТипПубличный
Верификация
Не верифицированныйДоверенность
Не провернныйРасположение
ЯзыкДругой
Дата создания каналаЛип 12, 2022
Добавлено на TGlist
Вер 13, 2024Последние публикации в группе "다올 의료기기/화장품 박종현"
22.04.202506:47
안녕하세요, 다올투자증권 박종현 연구원입니다.
2번째 게시물은 일본 K뷰티 오프라인 채널 방문기입니다😎😎
일본 화장품 구매 채널의 92%가 여전히 오프라인이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일본 주요 오프라인 채널은 버라이어티샵(로프트)/드럭스토어(웰시아)/편의점 등이 있습니다.
2024년 국내 일본향 화장품 수출은 기초 YoY +37%, 색조 YoY +7% 성장했다고 하네요.
체감되는 K뷰티 점유율이 정말 높고 특히 방문한 가게마다 K마스크팩 코너는 문전성시였다는 점!!
영상 컨텐츠 문의 및 피드백 환영입니다~ 오늘 하루도 고생많으셨습니다!
영상 링크: https://youtube.com/shorts/iHtsliBToCU?si=oyh9ykZGppMAOcYe
2번째 게시물은 일본 K뷰티 오프라인 채널 방문기입니다😎😎
일본 화장품 구매 채널의 92%가 여전히 오프라인이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일본 주요 오프라인 채널은 버라이어티샵(로프트)/드럭스토어(웰시아)/편의점 등이 있습니다.
2024년 국내 일본향 화장품 수출은 기초 YoY +37%, 색조 YoY +7% 성장했다고 하네요.
체감되는 K뷰티 점유율이 정말 높고 특히 방문한 가게마다 K마스크팩 코너는 문전성시였다는 점!!
영상 컨텐츠 문의 및 피드백 환영입니다~ 오늘 하루도 고생많으셨습니다!
영상 링크: https://youtube.com/shorts/iHtsliBToCU?si=oyh9ykZGppMAOcYe
post.reposted:
더바이오 뉴스룸

21.04.202523:41
국내 바이오기업 한올바이오파마의 미국 파트너사인 이뮤노반트(Immunovant)는 어제밤 차세대 ‘신생아 Fc 수용체(FcRn)’ 억제제 후보물질인 ‘IMVT-1402(개발코드명)’의 적응증을 ‘쇼그렌병(Sjögren’s Disease, SjD)’과 ‘피부 홍반 루푸스(Cutaneous Lupus Erythematosus, CLE)’로 확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최근 ‘중증 근무력증(MG)’과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신경병증(CIDP)’ 등 기존 적응증에서 개념증명(PoC)에 성공한데 따른 전략적 조치인데요.
이뮤노반트는 이번 발표가 모회사인 로이반트(Roivant)의 조직 재편과 맞물려 진행된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올바이오파마는 이뮤노반트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FcRn 억제제 기반의 치료제인 IMVT-1402를 공동 개발 중입니다. IMVT-1402는 한올바이오파마가 자체 개발한 FcRn 억제제 기술을 바탕으로 하며, 2017년 이뮤노반트가 한올바이오파마로부터 도입한 FcRn 억제제 계열의 두 번째 파이프라인입니다. IMVT-1402는 기존 후보물질인 ‘바토클리맙(IMVT-1401)’과 함께 한올바이오파마로부터 이전된 물질이어서 ‘이란성 쌍둥이’로 불리기도 합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485
이는 최근 ‘중증 근무력증(MG)’과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신경병증(CIDP)’ 등 기존 적응증에서 개념증명(PoC)에 성공한데 따른 전략적 조치인데요.
이뮤노반트는 이번 발표가 모회사인 로이반트(Roivant)의 조직 재편과 맞물려 진행된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올바이오파마는 이뮤노반트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FcRn 억제제 기반의 치료제인 IMVT-1402를 공동 개발 중입니다. IMVT-1402는 한올바이오파마가 자체 개발한 FcRn 억제제 기술을 바탕으로 하며, 2017년 이뮤노반트가 한올바이오파마로부터 도입한 FcRn 억제제 계열의 두 번째 파이프라인입니다. IMVT-1402는 기존 후보물질인 ‘바토클리맙(IMVT-1401)’과 함께 한올바이오파마로부터 이전된 물질이어서 ‘이란성 쌍둥이’로 불리기도 합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485
21.04.202522:49
휴젤의 알짜 자회사 아크로스가 800억원 규모의 공개매수를 추진한다. 작년에 이어 또 진행하는 공개매수로 약 1년 만에 주당 취득가액을 2배 가까이 높였다. 이에 따른 아크로스의 추정 기업가치는 6600억원 수준이다.
휴젤은 3000억원 안팎의 현금을 보유한 핵심 자회사의 활용법을 고민하고 있다. 정관 내 이익배당 관련 내용을 개정하는 등 현금 회수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있다. 이에 앞서 공개매수를 통해 유통 물량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풀이된다.
아크로스는 최근 이사회 결의를 통해 공개매수를 통한 자기주식 취득을 결정했다. 보통주 38만2735주를 주당 20만8000원에 취득한다. 취득예상기간은 오는 6월 21일부터 6월 30일로 공개매수에 응하는 주주들을 대상으로 자기주식을 취득한다.
약 1년 만에 추진하는 공개매수로 주당 취득가액을 2배 가까이 높여 주목된다. 아크로스는 작년 7월 임시주주총회에서 휴젤 보유지분을 제외한 잔여 물량 전체인 보통주 41만2201주를 주당 11만9785원에 취득하는 자기주식 취득 건을 결의한 바 있다.
> 2024년 7.1%만 공개매수 참여. 2025년 현재 소액주주 지분율 10.6%
https://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504180551269300107092&page=6&sort=FREE_DTM&searchtxt=
휴젤은 3000억원 안팎의 현금을 보유한 핵심 자회사의 활용법을 고민하고 있다. 정관 내 이익배당 관련 내용을 개정하는 등 현금 회수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있다. 이에 앞서 공개매수를 통해 유통 물량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풀이된다.
아크로스는 최근 이사회 결의를 통해 공개매수를 통한 자기주식 취득을 결정했다. 보통주 38만2735주를 주당 20만8000원에 취득한다. 취득예상기간은 오는 6월 21일부터 6월 30일로 공개매수에 응하는 주주들을 대상으로 자기주식을 취득한다.
약 1년 만에 추진하는 공개매수로 주당 취득가액을 2배 가까이 높여 주목된다. 아크로스는 작년 7월 임시주주총회에서 휴젤 보유지분을 제외한 잔여 물량 전체인 보통주 41만2201주를 주당 11만9785원에 취득하는 자기주식 취득 건을 결의한 바 있다.
> 2024년 7.1%만 공개매수 참여. 2025년 현재 소액주주 지분율 10.6%
https://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504180551269300107092&page=6&sort=FREE_DTM&searchtxt=
21.04.202521:58
21.04.202501:48
[화장품(Overweight) 다올 박종현/이정우]
★ 2025.04월(1~20일) 수출데이터 잠정치
1. 기초 화장품 385.3백만달러 (YoY -2.4%, MoM -11.5%)
> 중국 88.4백만달러 (YoY -14.6%, MoM -17.9%)
> 미국 58.9백만달러 (YoY -31.8%, MoM -10.8%)
2. 색조 화장품 61.4백만달러 (YoY +3%, MoM -7.2%)
> 중국 15백만달러 (YoY -30.8%, MoM -2.8%)
> 일본 14.6백만달러 (YoY +19.7%, MoM -14.8%)
> 미국 5.9백만달러 (YoY -16.9%, MoM -3%)
3. 마스크팩 21.7백만달러 (YoY +14.4%, MoM +5.5%)
> 미국 7.2백만달러 (YoY -16.2%, MoM -1.3%)
> 일본 3.3백만달러 (YoY +0.5%, MoM +10.3%)
★ 2025.04월(1~20일) 수출데이터 잠정치
1. 기초 화장품 385.3백만달러 (YoY -2.4%, MoM -11.5%)
> 중국 88.4백만달러 (YoY -14.6%, MoM -17.9%)
> 미국 58.9백만달러 (YoY -31.8%, MoM -10.8%)
2. 색조 화장품 61.4백만달러 (YoY +3%, MoM -7.2%)
> 중국 15백만달러 (YoY -30.8%, MoM -2.8%)
> 일본 14.6백만달러 (YoY +19.7%, MoM -14.8%)
> 미국 5.9백만달러 (YoY -16.9%, MoM -3%)
3. 마스크팩 21.7백만달러 (YoY +14.4%, MoM +5.5%)
> 미국 7.2백만달러 (YoY -16.2%, MoM -1.3%)
> 일본 3.3백만달러 (YoY +0.5%, MoM +10.3%)


21.04.202501:48
[의료기기(Overweight) 다올 박종현/이정우]
★ 2025.04월(1~20일) 수출데이터 잠정치
1. 톡신 36.6백만달러 (YoY +40.3%, MoM +29.4%)
> 미국/캐나다 8.6백만달러 (YoY +50.4%, MoM -0.3%)
> 중국 9.4백만달러 (YoY +156%, MoM +141.7%)
2. 미용 의료기기 69.6백만달러 (YoY -11.4%, MoM -30.1%)
> 미국 23백만달러 (YoY +105.5%, MoM +46.3%)
> 일본 7.8백만달러 (YoY -23.9%, MoM -35.2%)
> 브라질 2백만달러 (YoY -55.9%, MoM -77.6%)
> 러시아 1.3백만달러 (YoY -56.7%, MoM -72.9%)
> 태국 1백만달러 (YoY -78.1%, MoM -83.5%)
> 대만 2.5백만달러 (YoY -37.7%, MoM -33%)
3. 홈뷰티 12백만달러 (YoY -31.3%, MoM +12.8%)
> 미국 0.6백만달러 (YoY -93.7%, MoM -81.5%)
4. 임플란트 51.4백만달러 (YoY -36.1%, MoM -19%)
> 중국 15.7백만달러 (YoY -56.6%, MoM -28.8%)
> 미국 3.6백만달러 (YoY -55.4%, MoM +19%)
> 러시아 8.7백만달러 (YoY -17.3%, MoM +24.9%)
5. 치과영상장비 16.2백만달러 (YoY -25.9%, MoM -45.3%)
> 미국 2.2백만달러 (YoY -67%, MoM -80.5%)
6. 필러(기타 화장품) 235.2백만달러 (YoY +22.4%, MoM 0%)
7. 스텐트 9.8백만달러 (YoY +1.4%, MoM -15%)
8. 지혈제 1.2백만달러 (YoY +13.2%, MoM +21.4%)
9. 콘택트렌즈 15.2백만달러 (YoY +0.4%, MoM -21.4%)
★ 2025.04월(1~20일) 수출데이터 잠정치
1. 톡신 36.6백만달러 (YoY +40.3%, MoM +29.4%)
> 미국/캐나다 8.6백만달러 (YoY +50.4%, MoM -0.3%)
> 중국 9.4백만달러 (YoY +156%, MoM +141.7%)
2. 미용 의료기기 69.6백만달러 (YoY -11.4%, MoM -30.1%)
> 미국 23백만달러 (YoY +105.5%, MoM +46.3%)
> 일본 7.8백만달러 (YoY -23.9%, MoM -35.2%)
> 브라질 2백만달러 (YoY -55.9%, MoM -77.6%)
> 러시아 1.3백만달러 (YoY -56.7%, MoM -72.9%)
> 태국 1백만달러 (YoY -78.1%, MoM -83.5%)
> 대만 2.5백만달러 (YoY -37.7%, MoM -33%)
3. 홈뷰티 12백만달러 (YoY -31.3%, MoM +12.8%)
> 미국 0.6백만달러 (YoY -93.7%, MoM -81.5%)
4. 임플란트 51.4백만달러 (YoY -36.1%, MoM -19%)
> 중국 15.7백만달러 (YoY -56.6%, MoM -28.8%)
> 미국 3.6백만달러 (YoY -55.4%, MoM +19%)
> 러시아 8.7백만달러 (YoY -17.3%, MoM +24.9%)
5. 치과영상장비 16.2백만달러 (YoY -25.9%, MoM -45.3%)
> 미국 2.2백만달러 (YoY -67%, MoM -80.5%)
6. 필러(기타 화장품) 235.2백만달러 (YoY +22.4%, MoM 0%)
7. 스텐트 9.8백만달러 (YoY +1.4%, MoM -15%)
8. 지혈제 1.2백만달러 (YoY +13.2%, MoM +21.4%)
9. 콘택트렌즈 15.2백만달러 (YoY +0.4%, MoM -21.4%)


20.04.202523:57
20.04.202523:06
20.04.202523:03
18.04.202501:08
혹시… 마가는
메잌 아미코젠 그레잇 어게인…?
메잌 아미코젠 그레잇 어게인…?
post.reposted:
더바이오 뉴스룸

18.04.202501:07
바이오 의약 및 헬스케어 소재 전문기업인 아미코젠은 최대주주가 창업주인 신용철 전 회장에서 마가파트너스투자조합으로 변경됐다고 공시했습니다. 해당 조합은 총 275만4541주(지분율 5.01%)를 확보하며 아미코젠의 최대주주에 올랐습니다.
기존 최대주주였던 신 전 회장은 아미코젠 주식 202만8603주(3.69%)를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신 전 회장은 지난 2월 열린 임시 주주총회에서 박성규 사외이사와 함께 해임됐습니다. 회사 경영방침과 부합하지 않은 이견으로 해임안이 상정된 데 따른 것입니다. 신 전 회장은 계열사인 비피도 등 투자 실패와 부산 금곡벤처밸리 개발과 관련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문제로 어려움을 겪은 바 있습니다.
회사는 기존 주주들이 공동 의결권 행사 목적의 조합을 설립하고, 주식을 양수함에 따라 최대주주가 변경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최대주주 변경일은 조합 출자가 완료된 4월 17일로 확정됐습니다. 조합은 총 83인의 출자자로 구성됐습니다. 출자 총액은 약 89억7980만원입니다.
대표 조합원 겸 업무집행조합원(GP)은 소지성 아미코젠 총괄부사장(사내이사)이 맡고 있습니다. 최다 출자자는 비상장기업인 비움의 박명수 대표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416
기존 최대주주였던 신 전 회장은 아미코젠 주식 202만8603주(3.69%)를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신 전 회장은 지난 2월 열린 임시 주주총회에서 박성규 사외이사와 함께 해임됐습니다. 회사 경영방침과 부합하지 않은 이견으로 해임안이 상정된 데 따른 것입니다. 신 전 회장은 계열사인 비피도 등 투자 실패와 부산 금곡벤처밸리 개발과 관련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문제로 어려움을 겪은 바 있습니다.
회사는 기존 주주들이 공동 의결권 행사 목적의 조합을 설립하고, 주식을 양수함에 따라 최대주주가 변경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최대주주 변경일은 조합 출자가 완료된 4월 17일로 확정됐습니다. 조합은 총 83인의 출자자로 구성됐습니다. 출자 총액은 약 89억7980만원입니다.
대표 조합원 겸 업무집행조합원(GP)은 소지성 아미코젠 총괄부사장(사내이사)이 맡고 있습니다. 최다 출자자는 비상장기업인 비움의 박명수 대표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416
18.04.202500:45
Рекорды
22.04.202523:59
5.2KПодписчиков09.01.202523:59
300Индекс цитирования19.10.202423:59
11KОхват одного поста19.10.202423:59
11KОхват рекламного поста07.02.202523:59
3.91%ER19.10.202423:59
270.79%ERRВойдите, чтобы разблокировать больше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