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2.202514:34
ㄴ 과거 테슬라는 '25년 조달 예산 전망에서 테슬라의 장갑전기차 4억달러 구매하는 걸 포함시켰으나 정부 효율성 부서 책임자가 되면서 테슬라 이름은 삭제된 이력, 해당 계획은 여전히 계획 단계 이나 '장갑 전기차'는 유지
10.02.202500:01
무역 전쟁에서 일본은 제외(납작 엎드린 일본)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2572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2572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한화 기계/우주/방산 배성조

09.02.202523:16
한화시스템 (272210)
[4Q24 Review] 필리조선소 잠재 가치 반영은 합리적
▶4Q24 Review: 영업이익 시장 기대치 하회
- 4분기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 -31% 하회
- 매출액 9,335억원(YoY +19%, 이하 YoY)
- 영업이익 291억원(YoY +60%, OPM 3.1%)
- 시장 기대치 하회 요인은 자체투자개발비 증가 및 성과급 지급, 필리조선소 인수에 따른 법무/컨설팅 비용 지급 등
- 4분기 순이익은 3,597억원으로 +1,729% 크게 증가
- 이는 한화오션의 회계처리를 단순투자주식으로 변경함에 따라 종속관계기업 투자주식손익이 반영된 영향으로 추정
▶올해도 기대해 볼만한 방산 수주
- 4분기 방산 부문은 매출액 7,561억원(+23%), 영업이익 278억원(+20%, OPM 3.7%) 기록
- 매출에는 TICN 4차 양산, TMMR 2차 양산, 폴란드 K2 전차 부품, UAE/사우디 M-SAM MFR 등이 반영(수출 비중 14% 추정)
- 4분기 말 수주잔고는 총 8.848조원으로, 이 중 8.63조원이 방산
- 올해도 방산 수주를 기대해 볼 만함
- 다양한 분야 수주를 통한 신규 수주 YoY 증가를 전망
- L-SAM MFR 양산, 군초소형SAR위성, 수상함 전투체계 PBL, 장사정포요격체계 다기능레이다 체계개발, K2 4차 양산, 접적지역 대드론통합체계 사업 등
▶필리조선소 잠재 가치 반영은 합리적
- 필리조선소가 올해부터 연결 인식됨에 따라 관련 잠재력을 기업가치에 반영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
- 동사는 필리의 ‘25년 실적 전망을 매출 과거 2개년과 유사, 적자 규모 대폭 감축으로 제시
- 필리 적자의 주된 원인인 NSMV, SRIV 신조에 따른 시행착오(공사손실충당금 등)가 ‘24년까지 대거 해소되었기 때문
- 올해부터는 상대적으로 마진이 양호한 컨테이너선 매출이 반영될 예정
- 동사는 국내 함정 탑사이드 분야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보유한 업체
- 필리를 통한 미 함정 시장 진출이 강력한 투자 포인트로 지속 작용할 전망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31,000원으로 상향
- 목표주가 31,000원으로 상향
- 목표주가는 필리가 BEP/흑자전환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되는 ‘26년 예상 EPS에 Target P/E 18.3배(글로벌 Peer의 ‘26E 평균)를 적용하여 산출
<보고서 원문 링크>
https://vo.la/yyMGKP
[4Q24 Review] 필리조선소 잠재 가치 반영은 합리적
▶4Q24 Review: 영업이익 시장 기대치 하회
- 4분기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 -31% 하회
- 매출액 9,335억원(YoY +19%, 이하 YoY)
- 영업이익 291억원(YoY +60%, OPM 3.1%)
- 시장 기대치 하회 요인은 자체투자개발비 증가 및 성과급 지급, 필리조선소 인수에 따른 법무/컨설팅 비용 지급 등
- 4분기 순이익은 3,597억원으로 +1,729% 크게 증가
- 이는 한화오션의 회계처리를 단순투자주식으로 변경함에 따라 종속관계기업 투자주식손익이 반영된 영향으로 추정
▶올해도 기대해 볼만한 방산 수주
- 4분기 방산 부문은 매출액 7,561억원(+23%), 영업이익 278억원(+20%, OPM 3.7%) 기록
- 매출에는 TICN 4차 양산, TMMR 2차 양산, 폴란드 K2 전차 부품, UAE/사우디 M-SAM MFR 등이 반영(수출 비중 14% 추정)
- 4분기 말 수주잔고는 총 8.848조원으로, 이 중 8.63조원이 방산
- 올해도 방산 수주를 기대해 볼 만함
- 다양한 분야 수주를 통한 신규 수주 YoY 증가를 전망
- L-SAM MFR 양산, 군초소형SAR위성, 수상함 전투체계 PBL, 장사정포요격체계 다기능레이다 체계개발, K2 4차 양산, 접적지역 대드론통합체계 사업 등
▶필리조선소 잠재 가치 반영은 합리적
- 필리조선소가 올해부터 연결 인식됨에 따라 관련 잠재력을 기업가치에 반영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
- 동사는 필리의 ‘25년 실적 전망을 매출 과거 2개년과 유사, 적자 규모 대폭 감축으로 제시
- 필리 적자의 주된 원인인 NSMV, SRIV 신조에 따른 시행착오(공사손실충당금 등)가 ‘24년까지 대거 해소되었기 때문
- 올해부터는 상대적으로 마진이 양호한 컨테이너선 매출이 반영될 예정
- 동사는 국내 함정 탑사이드 분야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보유한 업체
- 필리를 통한 미 함정 시장 진출이 강력한 투자 포인트로 지속 작용할 전망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31,000원으로 상향
- 목표주가 31,000원으로 상향
- 목표주가는 필리가 BEP/흑자전환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되는 ‘26년 예상 EPS에 Target P/E 18.3배(글로벌 Peer의 ‘26E 평균)를 적용하여 산출
<보고서 원문 링크>
https://vo.la/yyMGKP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하나 이준호] 인터넷/게임
![[하나 이준호] 인터넷/게임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63f1fdfe-2dba-49e1-9019-0c4e90b1af64.jpg%3Fw%3D24%26h%3D24&w=48&q=75)
09.02.202510:29
[하나증권 인터넷/게임 이준호, 3771-8049]
NAVER (035420.KS/매수)
: 광고 매출 5조원 시대. Top Pick 유지
리포트: https://bit.ly/4gxbh51
■4Q24 Re: LY 일회성 정산금 제외 시 컨센서스 소폭 하회
- 네이버는 4분기 연결 기준 영업수익 2조 8,856억원(+13.7%YoY, +6.3%QoQ), 영업이익 5,420억원(+33.7%YoY, +3.2%QoQ, OPM 18.8%)을 기록
- 다만 이는 LY 용역계약 종료에 따른 일회성 정산금(약 600억원)이 반영된 실적으로 제외 시 영업수익은 2조 8,270억원(+11.4%YoY, +4.1%QoQ), 영업이익 4,947억원(+22.0%YoY, -5.8%QoQ, OPM 17.5%)을 시현, 컨센서스를 소폭 하회
- 컨센서스 하회,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률 감소(-1.8%p)의 원인은 1) 커머스, 핀테크, 콘텐츠 부문 마케팅비 증가(+304억원QoQ), 2) 4분기 주가 상승으로 인한 주식보상비용 증가(+295억원QoQ)
- 4분기 서치플랫폼 매출액은 1조 647억원(+14.7%YoY, +6.7%QoQ)로 광고 전반의 타겟팅 고도화 효과가 SA(+11.0%YoY), DA(+9.7%YoY)의 성장으로 확인되는 모습이 지속
- 4분기 커머스 매출액은 7,751억원(+17.4%YoY, +6.9%QoQ)로 안정적인 실적을 기록. 특히 커머스 광고의 매출은 3,078억원(+10.0%YoY, +10.2%QoQ)으로 10월말 플러스스토어 출시 이후 진행한 UI 개편의 효과가 가시화
- 지난 1년간 서치솔루션에 피드형 광고/콘텐츠를 확대한 성공 방정식을 커머스에도 적용하여 확인한 성과로 2025년 역시 고성장을 예상
■연간 광고 매출 5조원 시대. 성장 가속화 전망
- 네이버는 2025년 연결 기준 영업수익 11조 6,529억원(+8.5%YoY), 영업이익 2조 3,443억원(+18.4%YoY, OPM 20.1%)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 2025년은 네이버의 광고 경쟁력이 빛을 발하는 해가 될 것으로 예상. 2024년 광고 매출은 5조원(+6.9%YoY, SA, DA, 커머스 광고 합산)이며 2025년 5조 4,750억원(+9.6%YoY)으로 성장 가속화될 것으로 추정
- ADvoost 점차 적용되며 전체 광고 효율성 증가 예상. 또한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별도 앱 출시는 피드형 광고 지면, 체류 시간 증가로 이어져 커머스 광고의 탄력적인 성장 가능
- 국내 온라인 광고 채널 내 경쟁력 강화되면서 50% 이상의 점유율 유지하는 모습을 전망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270,000원으로 상향
- 투자의견 Buy를 유지, 목표주가를 270,000원으로 상향하고 인터넷 산업 내 Top Pick 유지
- 2025년은 광고 부문의 효율적인 성장으로 커머스, AI 경쟁력 확보를 위한 비용 집행에도 수익성이 개선되는 구간
- ADVoost 효과,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별도 앱 활성화 확인에 따라 추정치 상향 가능하기에 매수 접근 유효
- 글로벌 AI 소프트웨어 밸류체인 내 빅테크(미국/중국)의 리레이팅에 동반한 주가 상승 역시 기대할 수 있음
- 네이버는 이번 실적 발표에서 서비스를 위해 외부 AI 모델을 접목할 수 있음을 공식화. 자체 모델과 외부 모델 병행으로 효율적인 AI 도입을 예상
- 3월 주주총회 이후 매니지먼트가 강화되면서 향후 AI 서비스 전략, 글로벌 성장 동력 확보에 대한 방향성 제시를 기대
채널링크: https://t.me/internetgameLJH
NAVER (035420.KS/매수)
: 광고 매출 5조원 시대. Top Pick 유지
리포트: https://bit.ly/4gxbh51
■4Q24 Re: LY 일회성 정산금 제외 시 컨센서스 소폭 하회
- 네이버는 4분기 연결 기준 영업수익 2조 8,856억원(+13.7%YoY, +6.3%QoQ), 영업이익 5,420억원(+33.7%YoY, +3.2%QoQ, OPM 18.8%)을 기록
- 다만 이는 LY 용역계약 종료에 따른 일회성 정산금(약 600억원)이 반영된 실적으로 제외 시 영업수익은 2조 8,270억원(+11.4%YoY, +4.1%QoQ), 영업이익 4,947억원(+22.0%YoY, -5.8%QoQ, OPM 17.5%)을 시현, 컨센서스를 소폭 하회
- 컨센서스 하회,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률 감소(-1.8%p)의 원인은 1) 커머스, 핀테크, 콘텐츠 부문 마케팅비 증가(+304억원QoQ), 2) 4분기 주가 상승으로 인한 주식보상비용 증가(+295억원QoQ)
- 4분기 서치플랫폼 매출액은 1조 647억원(+14.7%YoY, +6.7%QoQ)로 광고 전반의 타겟팅 고도화 효과가 SA(+11.0%YoY), DA(+9.7%YoY)의 성장으로 확인되는 모습이 지속
- 4분기 커머스 매출액은 7,751억원(+17.4%YoY, +6.9%QoQ)로 안정적인 실적을 기록. 특히 커머스 광고의 매출은 3,078억원(+10.0%YoY, +10.2%QoQ)으로 10월말 플러스스토어 출시 이후 진행한 UI 개편의 효과가 가시화
- 지난 1년간 서치솔루션에 피드형 광고/콘텐츠를 확대한 성공 방정식을 커머스에도 적용하여 확인한 성과로 2025년 역시 고성장을 예상
■연간 광고 매출 5조원 시대. 성장 가속화 전망
- 네이버는 2025년 연결 기준 영업수익 11조 6,529억원(+8.5%YoY), 영업이익 2조 3,443억원(+18.4%YoY, OPM 20.1%)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 2025년은 네이버의 광고 경쟁력이 빛을 발하는 해가 될 것으로 예상. 2024년 광고 매출은 5조원(+6.9%YoY, SA, DA, 커머스 광고 합산)이며 2025년 5조 4,750억원(+9.6%YoY)으로 성장 가속화될 것으로 추정
- ADvoost 점차 적용되며 전체 광고 효율성 증가 예상. 또한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별도 앱 출시는 피드형 광고 지면, 체류 시간 증가로 이어져 커머스 광고의 탄력적인 성장 가능
- 국내 온라인 광고 채널 내 경쟁력 강화되면서 50% 이상의 점유율 유지하는 모습을 전망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270,000원으로 상향
- 투자의견 Buy를 유지, 목표주가를 270,000원으로 상향하고 인터넷 산업 내 Top Pick 유지
- 2025년은 광고 부문의 효율적인 성장으로 커머스, AI 경쟁력 확보를 위한 비용 집행에도 수익성이 개선되는 구간
- ADVoost 효과,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별도 앱 활성화 확인에 따라 추정치 상향 가능하기에 매수 접근 유효
- 글로벌 AI 소프트웨어 밸류체인 내 빅테크(미국/중국)의 리레이팅에 동반한 주가 상승 역시 기대할 수 있음
- 네이버는 이번 실적 발표에서 서비스를 위해 외부 AI 모델을 접목할 수 있음을 공식화. 자체 모델과 외부 모델 병행으로 효율적인 AI 도입을 예상
- 3월 주주총회 이후 매니지먼트가 강화되면서 향후 AI 서비스 전략, 글로벌 성장 동력 확보에 대한 방향성 제시를 기대
채널링크: https://t.me/internetgameLJH
05.02.202501:12
05.02.202500:46
10.02.202513:00
🌈 What to Make of the Egg Shortage (미국에서 조류독감으로 인해 계란 부족과 가격 상승이 지속)
- 조류독감의 장기화로 계란 가격이 2023년 초 수준에 근접하며, 이는 과거와 달리 새로운 “정상 상태”로 여겨짐
- 조류독감 확산으로 수백만 마리의 닭이 도살되었고, 농장 복구와 닭의 산란 재개까지 수개월이 걸려 공급 회복이 지연
- USDA는 2025년 말까지 계란 가격이 최대 20% 더 오를 것으로 전망
- 소비자들은 높은 계란 가격에 어느 정도 적응했지만, 조류독감이 닭고기 가격에 영향을 미치면 더 큰 충격이 예상
https://www.thedailyupside.com/industries/consumer/what-to-make-of-the-egg-shortage/
- 조류독감의 장기화로 계란 가격이 2023년 초 수준에 근접하며, 이는 과거와 달리 새로운 “정상 상태”로 여겨짐
- 조류독감 확산으로 수백만 마리의 닭이 도살되었고, 농장 복구와 닭의 산란 재개까지 수개월이 걸려 공급 회복이 지연
- USDA는 2025년 말까지 계란 가격이 최대 20% 더 오를 것으로 전망
- 소비자들은 높은 계란 가격에 어느 정도 적응했지만, 조류독감이 닭고기 가격에 영향을 미치면 더 큰 충격이 예상
https://www.thedailyupside.com/industries/consumer/what-to-make-of-the-egg-shortage/


09.02.202523:33
사모펀드 주간 순매수대금순위 (250210용)
- KODEX200, Tiger200 (시장)
- 현대로템(방산), 삼양식품(라면)
- 삼천당제약, 보로노이(바이오)
- SOOP (플랫폼), 효성중공업(전력)
- KODEX200, Tiger200 (시장)
- 현대로템(방산), 삼양식품(라면)
- 삼천당제약, 보로노이(바이오)
- SOOP (플랫폼), 효성중공업(전력)
09.02.202522:37
[옆집부자형 ]
미중 관세전쟁 중에 미국이 일본을 방문한 이유 by Danny 250209
1) 네프콘 링크: https://studio.premium.naver.com/content/manage
2) 모바일앱전용 Link: https://umbrellaresearch.page.link/1bKP
미중 관세전쟁 중에 미국이 일본을 방문한 이유 by Danny 250209
★★ 결론 및 아이디어 ★★
① 트럼프는 가장 중요한 무역 분쟁 대상인 중국과의 관세전쟁, 신경전 지속 중, 중국은 광물자원, 미국은 반도체 HBM 규제 등 싸우는 중
→ 트럼프 취임 이전부터 미국은 중국관련 AI 인공지능 관련 반도체 HBM 규제 추가, 중국은 강점이 있는 광물자원을 활용하여 규제, 규제의 중심은 ‘희토류’가 될 전망
② 최근 트럼프가 일본과 방문하여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이유 중 하나도 일본은 희토류 중국 의존도 및 자립도를 낮췄기 때문
→ 희토류 등 단기에 생산시설 확장 (특히 선진국에서 환경 문제) 등이 쉽지 않기 때문에 미국은 그린란드 등을 통해 자원확보 및 교류 등의 방향으로 관세전쟁을 진행할 것으로 예상
→ 일본은 희토류 자립도를 낮추는 데 성공, 중국발 수입은 31% 수준으로 미국 등 여타국가들이 70~80% 수준의 의존도에 비해 성공적으로 낮춘 경험 , 러시아도 만나는 이유는 중국의 광물자원 규제 때문으로 추정
③ 미중 무역분쟁, 관세전쟁이 점점 심화될수록 중국이 희토류 수출 제한 카드를 꺼낼 가능성도 높아지는 중
→ 희토류는 통상 장기공급 계약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단기 스팟 가격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지만 가격상승이 추세적이면 원가에 부담
→ 주요 희토류인 네오디뮴, 테르븀은 1달간 소폭 상승세 전환, 업계는 2H25 공급관련 재고 감소와 수요 증가로 완만한 상승세 전환 예상
④ 미국은 희토류 공급망 중 업스트림에서 Mineral Processing 비중 15%로 밸류체인 중 가장 높은 비중, 단기로 생산량 확보는 어려워 중국외 다른 국가 (러시아, 그린란드)와 협업할 것으로 예상
1) 네프콘 링크: https://studio.premium.naver.com/content/manage
2) 모바일앱전용 Link: https://umbrellaresearch.page.link/1bKP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연수르 해외주식

09.02.202510:20
2025년 여섯 번째 주 Weekly 전해드립니다.
이번 주에는 1) 관세전쟁으로 인한 Macro/Micro단 변화, 2) Palantir 실적 발표 후 급등의 의미, 3) Google, Amazon의 실적발표 후 AI HW의 향방 등을 중심으로 다뤄보았습니다.
매 주 일요일 저녁마다 보내드리고 있는 Weekly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2. Micro Review: 주간으로 상승 상위 섹터, 하락 상위 섹터, 신고가, 신저가, 특징주를 정리하고 해당 모멘텀을 만들었던 주요 Micro 이슈들을 간략하게 분석
3. 주간 주요 일정: 이번 주 주요 일정들에 대해 매크로/산업/기업/실적으로 구분하여 파악하고 간략한 코멘트 제시
글 하나로 한 주간 미국 증시의 흐름을 파악하실 수 있도록 정리해 보았습니다. 참고하시어 다가오는 한 주를 준비하시는 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https://naver.me/502jFn3d
이번 주에는 1) 관세전쟁으로 인한 Macro/Micro단 변화, 2) Palantir 실적 발표 후 급등의 의미, 3) Google, Amazon의 실적발표 후 AI HW의 향방 등을 중심으로 다뤄보았습니다.
매 주 일요일 저녁마다 보내드리고 있는 Weekly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1. Macro Review:한 주간 증시에 있었던 Macro 이벤트들을 정리하고, 해당 내용들을 기반으로 현재 증시가 어떤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기본적/기술적 분석 제시
2. Micro Review: 주간으로 상승 상위 섹터, 하락 상위 섹터, 신고가, 신저가, 특징주를 정리하고 해당 모멘텀을 만들었던 주요 Micro 이슈들을 간략하게 분석
3. 주간 주요 일정: 이번 주 주요 일정들에 대해 매크로/산업/기업/실적으로 구분하여 파악하고 간략한 코멘트 제시
글 하나로 한 주간 미국 증시의 흐름을 파악하실 수 있도록 정리해 보았습니다. 참고하시어 다가오는 한 주를 준비하시는 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https://naver.me/502jFn3d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연수르 해외주식



05.02.202501:11
딥시크 사태 이후 형성된 LLM의 커머디티화 내러티브가 AI SW 업종을 주도섹터로 만들어주는 메인 트리거가 되고 있습니다.
전일 LLM의 커머디티화를 지난 23년 AIP를 발표하면서부터 계속해서 이야기해왔던 Palantir의 실적 서프라이즈 후 급등이 이러한 내러티브를 더욱 가속화시키고 있습니다.
중소형 SW 중 LLM의 커머디티화에 따른 AI 모델 비용 감소가 예상되는 또 하나의 업체가 바로 Duolingo입니다. Duolingo는 팔란티어 급등과 함께 전일 역사적 신고가를 돌파하는 데 성공했는데, 관련 내용 위의 글과 아래 영상 참고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youtu.be/IB9PmO8BrWU?si=fC2YT4jsq8QW6Njr
전일 LLM의 커머디티화를 지난 23년 AIP를 발표하면서부터 계속해서 이야기해왔던 Palantir의 실적 서프라이즈 후 급등이 이러한 내러티브를 더욱 가속화시키고 있습니다.
중소형 SW 중 LLM의 커머디티화에 따른 AI 모델 비용 감소가 예상되는 또 하나의 업체가 바로 Duolingo입니다. Duolingo는 팔란티어 급등과 함께 전일 역사적 신고가를 돌파하는 데 성공했는데, 관련 내용 위의 글과 아래 영상 참고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youtu.be/IB9PmO8BrWU?si=fC2YT4jsq8QW6Njr
05.02.202500:30
이런 스케줄도 있었군요..
https://www.perplexity.ai/?login-source=tryCopilot
https://www.perplexity.ai/?login-source=tryCopilot
10.02.202501:29
2025.02.10 10:13:49
기업명: 파미셀(시가총액: 5,732억)
보고서명: 매출액또는손익구조30%(대규모법인은15%)이상변경
재무제표 종류 : 개별
매출액 : 214억(예상치 : -)
영업익 : 32억(예상치 : -)
순이익 : 44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4.4Q 214억/ 32억/ 44억
2024.3Q 146억/ 13억/ 7억
2024.2Q 178억/ 22억/ 28억
2024.1Q 110억/ -20억/ -14억
2023.4Q 132억/ -1억/ 12억
* 변동요인
- AI 산업 성장으로 인한 저유전율소재 매출액 증가 및 영업이익 증가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0800192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5690
기업명: 파미셀(시가총액: 5,732억)
보고서명: 매출액또는손익구조30%(대규모법인은15%)이상변경
재무제표 종류 : 개별
매출액 : 214억(예상치 : -)
영업익 : 32억(예상치 : -)
순이익 : 44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4.4Q 214억/ 32억/ 44억
2024.3Q 146억/ 13억/ 7억
2024.2Q 178억/ 22억/ 28억
2024.1Q 110억/ -20억/ -14억
2023.4Q 132억/ -1억/ 12억
* 변동요인
- AI 산업 성장으로 인한 저유전율소재 매출액 증가 및 영업이익 증가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0800192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5690
09.02.202523:17
[Spot/올릭스] 2025년 국내 바이오텍 첫 대형 딜 주인공
▶ OLX702A 대형 기술수출 성공: Eli Lilly와 올릭스 입장 해석
[①기본 내용] 지난주 금요일 장 종료 이후 OLX702A 파이프라인 L/O 공시 발표. 계약 상대방은 일라이 릴리이며 총 계약규모는 6.3억달러(약 9,117억원), 상세 계약금과 마일스톤 미공개
OLX702A는 올릭스 대표 파이프라인으로 MASH 적응증(MARC1 유전자 타깃) 호주 1상 진행. 추가로 전임상에서 비만 치료제로서의 가능성도 탐색
[②Eli Lilly 입장] 경쟁사 노보 노디스크는 ’21년 Dicerna를 33억달러에 인수하며 주요 적응증에 siRNA 기술 적용 시도. 특히 MASH 적응증 공략을 위해 siRNA 기반한 1상 파이프라인 NN6581(MARC1) 개발
Eli Lilly도 siRNA 활용 MASH 1상도 진행 중. 다만 노보 노디스크 개발 중인 MARC1 타깃 잠재력 주목, 유일한 임상 단계의 MARC1 타깃 파이프라인인 올릭스 OLX702A 기술도입한 것으로 추정
[③올릭스 입장] 첫 빅파마와의 딜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 siRNA 플랫폼 가치 상승. 현재 올릭스 시가총액 3,800억원 수준으로 업사이드 충분, 중장기 릴리의 비만 적응증 확장 유무가 추가 업사이드 결정할 것
▶ 빅파마의 MASH 시장 관심 확대 국면: 국내 대표 MASH 3社 주목
작년 Mardigal이 처음 개화한 MASH(지방간염) 시장에 대한 최근 글로벌 빅파마 관심 매우 높음(Madrigal, Akero, 질랜드 파마 시가총액 급등 사례)
[국내 투자 아이디어] 기존 국내 대표 MASH 개발사 한미약품, 디앤디파마텍, 유한양행에도 주목 필요
1)한미약품의 Efinopegdutide(2b상)는 머크가 개발 중, JPM 헬스케어 2025에서 올해 주목해야할 머크 신규 데이터 3개 중 한 개로 지목(4Q25 발표). 2)디앤디는 올해 6월 DD01 MASH 2상 중간 데이터 예정. 1상에서 우수한 지방간 감소율과 당화혈색소 확인, 향후 글로벌 L/O 잠재력 보유. 3)유한양행은 베링거잉겔하임과 개발. 신규 이중 타깃 1상 마무리, 상반기 마일스톤 유입도 기대
▶ 보고서 링크 : https://m.nhqv.com/c/h1c1e
■ [NH/한승연, CFA(제약/바이오), 02-768-7802]
▶ OLX702A 대형 기술수출 성공: Eli Lilly와 올릭스 입장 해석
[①기본 내용] 지난주 금요일 장 종료 이후 OLX702A 파이프라인 L/O 공시 발표. 계약 상대방은 일라이 릴리이며 총 계약규모는 6.3억달러(약 9,117억원), 상세 계약금과 마일스톤 미공개
OLX702A는 올릭스 대표 파이프라인으로 MASH 적응증(MARC1 유전자 타깃) 호주 1상 진행. 추가로 전임상에서 비만 치료제로서의 가능성도 탐색
[②Eli Lilly 입장] 경쟁사 노보 노디스크는 ’21년 Dicerna를 33억달러에 인수하며 주요 적응증에 siRNA 기술 적용 시도. 특히 MASH 적응증 공략을 위해 siRNA 기반한 1상 파이프라인 NN6581(MARC1) 개발
Eli Lilly도 siRNA 활용 MASH 1상도 진행 중. 다만 노보 노디스크 개발 중인 MARC1 타깃 잠재력 주목, 유일한 임상 단계의 MARC1 타깃 파이프라인인 올릭스 OLX702A 기술도입한 것으로 추정
[③올릭스 입장] 첫 빅파마와의 딜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 siRNA 플랫폼 가치 상승. 현재 올릭스 시가총액 3,800억원 수준으로 업사이드 충분, 중장기 릴리의 비만 적응증 확장 유무가 추가 업사이드 결정할 것
▶ 빅파마의 MASH 시장 관심 확대 국면: 국내 대표 MASH 3社 주목
작년 Mardigal이 처음 개화한 MASH(지방간염) 시장에 대한 최근 글로벌 빅파마 관심 매우 높음(Madrigal, Akero, 질랜드 파마 시가총액 급등 사례)
[국내 투자 아이디어] 기존 국내 대표 MASH 개발사 한미약품, 디앤디파마텍, 유한양행에도 주목 필요
1)한미약품의 Efinopegdutide(2b상)는 머크가 개발 중, JPM 헬스케어 2025에서 올해 주목해야할 머크 신규 데이터 3개 중 한 개로 지목(4Q25 발표). 2)디앤디는 올해 6월 DD01 MASH 2상 중간 데이터 예정. 1상에서 우수한 지방간 감소율과 당화혈색소 확인, 향후 글로벌 L/O 잠재력 보유. 3)유한양행은 베링거잉겔하임과 개발. 신규 이중 타깃 1상 마무리, 상반기 마일스톤 유입도 기대
▶ 보고서 링크 : https://m.nhqv.com/c/h1c1e
■ [NH/한승연, CFA(제약/바이오), 02-768-7802]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메리츠 Tech 김선우, 양승수, 김동관]
![[메리츠 Tech 김선우, 양승수, 김동관]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cec00b3405abffe6ba3d1426a4670a4162ecf33ffa4e67b81867c10371515281%2F91b0e8ee-cb15-4fd1-9eb6-c9c180f14e8b.jpg%3Fw%3D24%26h%3D24&w=48&q=75)
09.02.202522:31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中렌즈 테크놀러지, 애플 폴더블 UTG 퍼스트벤더 유력
- 중국 렌즈 테크놀러지, 애플 폴더블 제품용 UTG 커버 윈도의 퍼스트벤더 유력
- UTG 원장은 미국 코닝이 공급할 것으로 예상
- 렌즈 테크놀러지는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에 UTG를 납품한 레퍼런스를 보유,
UTG 강화처리와 커팅 후 측면 균열 최소화 등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기술력 보유
- 또한 중앙 부위만 얇게 식각하는 애플 선호 기술 보유, 올해 UTG 생산라인을 증설할 계획
- 애플 폴더블 관련 렌즈 테크놀로지의 UTG 물량의 약 70% 전후를 전망
- 나머지 UTG 물량은 한국 도우인시스와 유티아이가 공급 가능성 존재
- 도우인시스는 삼성디스플레이 공급망에 포함돼 삼성전자 북 타입 폴더블폰 갤럭시Z폴드 시리즈 UTG를 생산한 경험이 있으나 애플에선 도우인시스를 통해 UTG 기술이 삼성전자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경계
- 유티아이는 UTG의 접히는 중앙 부분을 얇게 식각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나 양산 경험이 없는게 단점
- 애플 폴더블 제품 공급망에서 UTG와 힌지 업체가 주로 거론되는 이유는 폴더블 제품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부품이 사실상 두 부품에 그치기 때문
- 애플은 2026년 하반기 첫 폴더블 제품 출시 예정
https://buly.kr/2UiI3wS (TheElec)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中렌즈 테크놀러지, 애플 폴더블 UTG 퍼스트벤더 유력
- 중국 렌즈 테크놀러지, 애플 폴더블 제품용 UTG 커버 윈도의 퍼스트벤더 유력
- UTG 원장은 미국 코닝이 공급할 것으로 예상
- 렌즈 테크놀러지는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에 UTG를 납품한 레퍼런스를 보유,
UTG 강화처리와 커팅 후 측면 균열 최소화 등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기술력 보유
- 또한 중앙 부위만 얇게 식각하는 애플 선호 기술 보유, 올해 UTG 생산라인을 증설할 계획
- 애플 폴더블 관련 렌즈 테크놀로지의 UTG 물량의 약 70% 전후를 전망
- 나머지 UTG 물량은 한국 도우인시스와 유티아이가 공급 가능성 존재
- 도우인시스는 삼성디스플레이 공급망에 포함돼 삼성전자 북 타입 폴더블폰 갤럭시Z폴드 시리즈 UTG를 생산한 경험이 있으나 애플에선 도우인시스를 통해 UTG 기술이 삼성전자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경계
- 유티아이는 UTG의 접히는 중앙 부분을 얇게 식각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나 양산 경험이 없는게 단점
- 애플 폴더블 제품 공급망에서 UTG와 힌지 업체가 주로 거론되는 이유는 폴더블 제품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부품이 사실상 두 부품에 그치기 때문
- 애플은 2026년 하반기 첫 폴더블 제품 출시 예정
https://buly.kr/2UiI3wS (TheElec)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루팡



06.02.202503:30
테슬라 봇(Optimus) 관련 채용 공고
테슬라는 캘리포니아 프리몬트 공장에서 Optimus(테슬라 봇)의 대량 생산을 준비하기 위해 엔지니어를 공식적으로 채용하고 있습니다.
Tesla는 다양한 직무에 대한 채용을 시작했으며 현재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1. 제조 엔지니어링 기술자 (Manufacturing Engineering Technician, Tesla Bot)
2. 제조 품질 기술자 (Manufacturing Quality Technician, Tesla Bot)
3. 제조 공정 기술자 (Manufacturing Process Technician, Tesla Bot)
4. 생산 관리자 (Production Manager, Tesla Bot)
5. 공정 감독관 (Process Supervisor, Tesla Bot)
6. 부생산 관리자 (Associate Production Manager, Tesla Bot)
7. 제조 제어 개발 엔지니어 (Manufacturing Controls Development Engineer, Tesla Bot)
8. 생산 감독관 (Production Supervisor, Tesla Bot)
9. 공정 부관리자 (Process Associate Manager, Tesla Bot)
10. 공정 엔지니어 (Process Engineer, Tesla Bot)
11. 제조 장비 엔지니어 (Manufacturing Equipment Engineer, Tesla Bot)
12. 품질 엔지니어 (Quality Engineer, Tesla Bot)
이 직무들은 모두 테슬라 봇의 대량 생산 준비를 위한 채용입니다.
테슬라는 캘리포니아 프리몬트 공장에서 Optimus(테슬라 봇)의 대량 생산을 준비하기 위해 엔지니어를 공식적으로 채용하고 있습니다.
Tesla는 다양한 직무에 대한 채용을 시작했으며 현재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1. 제조 엔지니어링 기술자 (Manufacturing Engineering Technician, Tesla Bot)
2. 제조 품질 기술자 (Manufacturing Quality Technician, Tesla Bot)
3. 제조 공정 기술자 (Manufacturing Process Technician, Tesla Bot)
4. 생산 관리자 (Production Manager, Tesla Bot)
5. 공정 감독관 (Process Supervisor, Tesla Bot)
6. 부생산 관리자 (Associate Production Manager, Tesla Bot)
7. 제조 제어 개발 엔지니어 (Manufacturing Controls Development Engineer, Tesla Bot)
8. 생산 감독관 (Production Supervisor, Tesla Bot)
9. 공정 부관리자 (Process Associate Manager, Tesla Bot)
10. 공정 엔지니어 (Process Engineer, Tesla Bot)
11. 제조 장비 엔지니어 (Manufacturing Equipment Engineer, Tesla Bot)
12. 품질 엔지니어 (Quality Engineer, Tesla Bot)
이 직무들은 모두 테슬라 봇의 대량 생산 준비를 위한 채용입니다.
05.02.202501:08
NAVER : 퀀트수급모델 by Danny 250205용
https://t.me/c/1749454458/18888
https://t.me/c/1749454458/18888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연수르 해외주식



05.02.202500:27
🗺 Comments
- 나스닥 선물은 전일에도 미-중간 관세 이슈가 하나의 불확실성으로 자리잡음에 따라 큰 변동성을 보여주는 모습, 다만 본장 개장 후 빠르게 낙폭을 회복하면서 상승채널 내로 복귀에 성공. 나스닥 종합지수(위 차트)의 경우 전일 멕시코/캐나다 관세 이슈에 따른 하락분을 회복하고 12월 중순 이후 하락채널의 상단까지 상승하면서 분기점에 도달.
- 다행히 장 마감 후 Alphabet이 엄청난 규모의 올해 CapEx 가이던스를 발표함에 따라 현재 시장 하락을 주도하고 있는 AI HW 센티먼트에 추가적인 훼손을 가져오지는 않았으나, Microsoft에 이어 Alphabet까지 클라우드 매출 성장이 예상만큼 나와주지 못하고 있는 부분은 빅테크들의 AI 수익화라는 관점에서는 그리 긍정적이지는 않음.
- 관세 이슈 때문에 금리의 영향이 다소 후순위로 밀려있으나, 금주에는 아직 여러 중요한 매크로 이벤트들이 남아있으며 관세 이슈 역시 여전히 끝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지수가 분기점에 도달해있는 상황에서 시장의 급격한 방향 전환이나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대해서는 유의할 필요가 있음.
- 나스닥 선물은 전일에도 미-중간 관세 이슈가 하나의 불확실성으로 자리잡음에 따라 큰 변동성을 보여주는 모습, 다만 본장 개장 후 빠르게 낙폭을 회복하면서 상승채널 내로 복귀에 성공. 나스닥 종합지수(위 차트)의 경우 전일 멕시코/캐나다 관세 이슈에 따른 하락분을 회복하고 12월 중순 이후 하락채널의 상단까지 상승하면서 분기점에 도달.
- 다행히 장 마감 후 Alphabet이 엄청난 규모의 올해 CapEx 가이던스를 발표함에 따라 현재 시장 하락을 주도하고 있는 AI HW 센티먼트에 추가적인 훼손을 가져오지는 않았으나, Microsoft에 이어 Alphabet까지 클라우드 매출 성장이 예상만큼 나와주지 못하고 있는 부분은 빅테크들의 AI 수익화라는 관점에서는 그리 긍정적이지는 않음.
- 관세 이슈 때문에 금리의 영향이 다소 후순위로 밀려있으나, 금주에는 아직 여러 중요한 매크로 이벤트들이 남아있으며 관세 이슈 역시 여전히 끝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지수가 분기점에 도달해있는 상황에서 시장의 급격한 방향 전환이나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대해서는 유의할 필요가 있음.
10.02.202501:17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한화 기계/우주/방산 배성조

09.02.202523:16
한국항공우주 (047810)
[4Q24 Review] 결국 완제기 수출 수주가 관건
▶4Q24 Review: 영업이익 시장 기대치 하회
- 4분기 시장 기대치 대비 매출액은 부합했으나, 영업이익은 크게 하회
- 매출액 1조 948억원(YoY -27.5%, 이하 YoY)
- 영업이익 421억원(-72.7%, OPM 3.8%)
- 영업이익의 시장 기대치 하회 요인은 다음 등
①이라크 기지재건 사업(최종 마무리 단계)의 예정원가 증가로 인한 일회성 충당금 약 190억원 발생
②수익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사업 비중의 증가(관용헬기, 백두체계 사업 등)
▶일회성 요인을 제하면 무난했던 4분기
- 4분기 국내사업 매출은 7,274억원(+21.5%)을 기록하며 당사 추정치 상회
- KF-21 체계개발 1,597억원, 백두체계 1,508억원, LAH 최초양산 544억원, 관용헬기 1,162억원 등이 반영
- 4분기 완제기 수출 매출은 1,558억원(-76.2%)을 기록하며 당사 추정 대비 아쉬웠음
- 전년 동기에 폴란드 GF 8대 인도분을 매출 인식한 높은 기저로 인해 YoY 크게 감소
- 4분기 기체부품 매출은 2,041억원(-17.5%)을 기록
- 보잉 파업으로 인한 일시적 PO 감소로 인해 보잉 매출이 612억원에 그친 영향(에어버스 1,176억원, 기타 253억원)
▶결국 완제기 수출 수주가 관건
- 동사는 ‘25년 매출 가이던스를 4조 870억원(+12.5%)으로 제시
- 이는 기존 컨센서스 대비 소폭 낮은 수치로, 국내 매출을 1.72조원(-18%)으로 다소 보수적으로 제시한 영향
- 동사는 KF-21 체계개발 사업이 종료 임박함에 따라 ‘24년 대비 매출 감소(5,325억원→4,160억원)할 것으로 예상
- 그러나 주가 측면에서 관건은 결국 완제기 수출의 수주
- 동사는 ‘25년 연간 수주 가이던스를 8.46조원(+73%), 완제기 수출 수주 목표를 3.56조원(+1,900%)으로 제시
- 구체적인 국가 및 금액을 밝히지는 않았으나 작년에 계약을 기대했던 대부분의 파이프라인(중동/동남아/남미 FA-50/수리온)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69,000원 유지
- 추가 수출 계약이 확인된다면 ‘26년까지의 실적 개선세 지속을 기대하며 국내 Peer 대비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주가 수익률을 만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보고서 원문 링크>
https://vo.la/yfMeaD
[4Q24 Review] 결국 완제기 수출 수주가 관건
▶4Q24 Review: 영업이익 시장 기대치 하회
- 4분기 시장 기대치 대비 매출액은 부합했으나, 영업이익은 크게 하회
- 매출액 1조 948억원(YoY -27.5%, 이하 YoY)
- 영업이익 421억원(-72.7%, OPM 3.8%)
- 영업이익의 시장 기대치 하회 요인은 다음 등
①이라크 기지재건 사업(최종 마무리 단계)의 예정원가 증가로 인한 일회성 충당금 약 190억원 발생
②수익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사업 비중의 증가(관용헬기, 백두체계 사업 등)
▶일회성 요인을 제하면 무난했던 4분기
- 4분기 국내사업 매출은 7,274억원(+21.5%)을 기록하며 당사 추정치 상회
- KF-21 체계개발 1,597억원, 백두체계 1,508억원, LAH 최초양산 544억원, 관용헬기 1,162억원 등이 반영
- 4분기 완제기 수출 매출은 1,558억원(-76.2%)을 기록하며 당사 추정 대비 아쉬웠음
- 전년 동기에 폴란드 GF 8대 인도분을 매출 인식한 높은 기저로 인해 YoY 크게 감소
- 4분기 기체부품 매출은 2,041억원(-17.5%)을 기록
- 보잉 파업으로 인한 일시적 PO 감소로 인해 보잉 매출이 612억원에 그친 영향(에어버스 1,176억원, 기타 253억원)
▶결국 완제기 수출 수주가 관건
- 동사는 ‘25년 매출 가이던스를 4조 870억원(+12.5%)으로 제시
- 이는 기존 컨센서스 대비 소폭 낮은 수치로, 국내 매출을 1.72조원(-18%)으로 다소 보수적으로 제시한 영향
- 동사는 KF-21 체계개발 사업이 종료 임박함에 따라 ‘24년 대비 매출 감소(5,325억원→4,160억원)할 것으로 예상
- 그러나 주가 측면에서 관건은 결국 완제기 수출의 수주
- 동사는 ‘25년 연간 수주 가이던스를 8.46조원(+73%), 완제기 수출 수주 목표를 3.56조원(+1,900%)으로 제시
- 구체적인 국가 및 금액을 밝히지는 않았으나 작년에 계약을 기대했던 대부분의 파이프라인(중동/동남아/남미 FA-50/수리온)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69,000원 유지
- 추가 수출 계약이 확인된다면 ‘26년까지의 실적 개선세 지속을 기대하며 국내 Peer 대비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주가 수익률을 만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보고서 원문 링크>
https://vo.la/yfMeaD
09.02.202511:07
트럼프는 일전에 외신에서 펀드에게 맡긴다고 언급하긴 했습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305596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305596
05.02.202501:06
SOOP : 퀀트수급모델 by Danny 250205용
https://t.me/c/1749454458/18887
https://t.me/c/1749454458/18887
04.02.202523:55
▶️Palantir Technologies (PLTR US): N/R : 4Q24 Review: 실적 발표 후 주가 급등 코멘트 (Analyst 이동연)
• 팔란티어 주가는 2월 3일 after market에서 +22.8% 급등. 4Q24 호실적과 기대치를 뛰어넘는 2025년 가이던스를 제시한 영향이 반영됐기 때문
o 4Q24 매출액(8.3억달러, +36% YoY, 컨센 27% 상회), 조정 영업이익(3.7억달러, +78% YoY, 컨센 23% 상회), 조정 EPS(0.14달러, 컨센 27% 상회)는 모두 시장 예상치를 큰 폭으로 뛰어넘음. 분기 매출 성장률(이하 모두 YoY 기준)이 전분기보다 높아지는 트렌드가 4Q24(+36% vs. 3Q23 +30%)에도 이어진 점이 매우 고무적. 매출 비중이 67%에 달하는 미국 매출이 +52% 늘어난 덕분. 미국 매출을 구성하는 정부, 커머셜 매출은 각각 +45%, +64% 증가
• 1Q25 매출 가이던스 또한 8.58~8.62억달러(이하 모두 중간값 기준, +36% YoY)로 기존 예상치(7.99억달러)를 약 8% 상회. 조정 영업이익 가이던스도 기대치를 20% 상회하는 수준임. 2025년 가이던스도 매출액 37.41~37.57억달러(+22% YoY, 컨센 +7% 상회), 조정 영업이익 15.51~15.67억달러(+38% YoY, 컨센 +17% 상회)로 매우 견조한 수준으로 제시
o 팔란티어는 정부향 사업에서 쌓은 노하우를 민간 커머셜 부문에 적용하며 기대치를 뛰어넘는 실적을 연달아 기록하고 있음. 2025F PER이 176배로 상당히 높지만, 소프트웨어 기업 중 매출의 대부분이 AI에서 발생하는 희소성이 있는 기업
• 팔란티어는 AI 혁명이 초기 단계에 불과하고, 팔란티어가 AI 시대 경쟁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차지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음. 이를 실제 실적으로 증명하고 있기 때문에 주가는 센티먼트 개선에 따른 단기 상승 여력이 남아 있다고 판단
• 리포트 링크: https://vo.la/lXKywt
• 팔란티어 주가는 2월 3일 after market에서 +22.8% 급등. 4Q24 호실적과 기대치를 뛰어넘는 2025년 가이던스를 제시한 영향이 반영됐기 때문
o 4Q24 매출액(8.3억달러, +36% YoY, 컨센 27% 상회), 조정 영업이익(3.7억달러, +78% YoY, 컨센 23% 상회), 조정 EPS(0.14달러, 컨센 27% 상회)는 모두 시장 예상치를 큰 폭으로 뛰어넘음. 분기 매출 성장률(이하 모두 YoY 기준)이 전분기보다 높아지는 트렌드가 4Q24(+36% vs. 3Q23 +30%)에도 이어진 점이 매우 고무적. 매출 비중이 67%에 달하는 미국 매출이 +52% 늘어난 덕분. 미국 매출을 구성하는 정부, 커머셜 매출은 각각 +45%, +64% 증가
• 1Q25 매출 가이던스 또한 8.58~8.62억달러(이하 모두 중간값 기준, +36% YoY)로 기존 예상치(7.99억달러)를 약 8% 상회. 조정 영업이익 가이던스도 기대치를 20% 상회하는 수준임. 2025년 가이던스도 매출액 37.41~37.57억달러(+22% YoY, 컨센 +7% 상회), 조정 영업이익 15.51~15.67억달러(+38% YoY, 컨센 +17% 상회)로 매우 견조한 수준으로 제시
o 팔란티어는 정부향 사업에서 쌓은 노하우를 민간 커머셜 부문에 적용하며 기대치를 뛰어넘는 실적을 연달아 기록하고 있음. 2025F PER이 176배로 상당히 높지만, 소프트웨어 기업 중 매출의 대부분이 AI에서 발생하는 희소성이 있는 기업
• 팔란티어는 AI 혁명이 초기 단계에 불과하고, 팔란티어가 AI 시대 경쟁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차지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음. 이를 실제 실적으로 증명하고 있기 때문에 주가는 센티먼트 개선에 따른 단기 상승 여력이 남아 있다고 판단
• 리포트 링크: https://vo.la/lXKywt
Көрсөтүлдү 1 - 24 ичинде 1114
Көбүрөөк функцияларды ачуу үчүн кириңи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