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ачен пише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Реальна Війна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ачен пише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Реальна Війна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우산 X NNN의 아이디어
열정 넘치는 두 명의 PB가 변화하는 섹터와 기업에 대한 아이디어를 공유합니다.
* 언급한 섹터/종목에 대해 매수/매도를 제안하지 않고, 작성 시점 관련 종목 보유 여부를 확인해드릴 수 없습니다.
* 작성된 자료는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했으나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언급한 섹터/종목에 대해 매수/매도를 제안하지 않고, 작성 시점 관련 종목 보유 여부를 확인해드릴 수 없습니다.
* 작성된 자료는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했으나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TGlist रेटिंग
0
0
प्रकारसार्वजनिक
सत्यापन
असत्यापितविश्वसनीयता
अविश्वसनीयस्थान
भाषाअन्य
चैनल निर्माण की तिथिJan 05, 2025
TGlist में जोड़ा गया
Jan 08, 2025रिकॉर्ड
20.04.202523:59
6.1Kसदस्य28.02.202523:59
400उद्धरण सूचकांक19.02.202523:59
10.1Kप्रति पोस्ट औसत दृश्य02.02.202506:41
10.2Kप्रति विज्ञापन पोस्ट औसत दृश्य08.03.202523:59
4.55%ER01.01.202523:40
263.77%ERR29.03.202506:29
20.03.202503:36
<제닉> 빨라지는 전방위 확장 (Operation CWAL)
https://m.blog.naver.com/s1kkw/223803417191
https://m.blog.naver.com/s1kkw/223803417191


18.04.202506:07
■ 지엔씨에너지_데이터센터 신축(증축) 인허가 및 착공 스케줄 월간으로 트레킹 가능
* 다양한 차트는 첨부된 블로그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포스팅한 관심섹터와 관심종목에 대해 매수/매도 의견을 제안하지 않습니다.
*** 포스팅 작성 시점 관련 종목 보유여부를 확인해 드릴 수 없습니다.
지엔씨에너지는 데이터센터 등에 비상용발전기를 납품합니다. 따라서 데이터센터 신축(증축) 인허가 및 착공 스케줄 파악 중요한데 이를 국토교통부 건축물 생애이력 관리시스템에서 체크 가능할 것 같습니다.
지엔씨에너지 매출액 7~80% 발전기 사업 부문에서 나옵니다. 그리고 발전기 사업 부문의 약 5~60%는 데이터입니다. 따라서 지엔씨에너지 실적 추정에 있어 데이터센터 인허가 및 착공 스케줄 파악이 중요합니다.
데이터센터 현황 파악을 위해 Cushman & Wakefield KOREA 등이 발간하는 시장조사 보고서를 읽었는데 단점은 업데이트 주기가 길다는 점입니다. 그런데 국토교통부 건축물 생애이력 관리시스템 데이터 통해 이를 보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월 단위 확인할 수 있는 전국 건축, 주택 인허가 현황 및 전국 건축, 주택 착공 현황으로 우리나라 데이터센터 인허가 및 착공 스케줄 트레킹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데이터센터 신축 연면적 크게 증가하는 것은 아니지만 증축 포함 계속 인허가 나고 있습니다. 특히 착공 연면적 보면 작년 11월부터 매월 진행되고 있음 확인됩니다. 데이터센터가 혐오시설로 인식되어 인허가 및 착공에 어려움을 많이 겪는다 이야기 들었는데 그래도 계속 설립되고 있긴 합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도 있습니다. 데이터센터 인허가가 난 곳 중 미착공 사이트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24년 이후 데이터센터 인허가 난 곳 중 아직 미착공 사이트 15곳으로 파악됩니다. 언론 기사 등 통해 구체적인 사업내용 파악된 사이트 8곳입니다.
* 단순 언론 기사 등 만 파악한 것이라 자료 신뢰성 떨어질 수 있습니다.
과거 데이터 보면 안산 글로벌 클라우드 센터 착공처리일 25.01.23 이후 지엔씨에너지 해당 사업장 수주 공시 약 3개월 조금 안된 시점에 냈습니다. 미착공 사업장들이 건설삽 뜨기 시작하며 지엔씨에너지 수주일정 등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지엔씨에너지 비상용발전기 설치 시 70%, 시운전 실행 후 30% 매출액 인식합니다.
수주 베이스 산업 영위하는 기업의 투자난이도는 높습니다. 투자의 마디를 잡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지엔씨에너지도 데이터센터 들어가는 비상용발전기 수주 일정 쫓기 힘들기 때문에 투자 난이도 높은 기업이라 생각됩니다. 그런데 국토교통부 데이터 통해 데이터센터 인허가 및 착공 스케줄을 트레킹 할 수 있다면 난이도 일정 부분 낮출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리서치해 볼 가치 있어 보입니다.
https://blog.naver.com/beatthemkt/223838776292
* 다양한 차트는 첨부된 블로그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포스팅한 관심섹터와 관심종목에 대해 매수/매도 의견을 제안하지 않습니다.
*** 포스팅 작성 시점 관련 종목 보유여부를 확인해 드릴 수 없습니다.
지엔씨에너지는 데이터센터 등에 비상용발전기를 납품합니다. 따라서 데이터센터 신축(증축) 인허가 및 착공 스케줄 파악 중요한데 이를 국토교통부 건축물 생애이력 관리시스템에서 체크 가능할 것 같습니다.
지엔씨에너지 매출액 7~80% 발전기 사업 부문에서 나옵니다. 그리고 발전기 사업 부문의 약 5~60%는 데이터입니다. 따라서 지엔씨에너지 실적 추정에 있어 데이터센터 인허가 및 착공 스케줄 파악이 중요합니다.
데이터센터 현황 파악을 위해 Cushman & Wakefield KOREA 등이 발간하는 시장조사 보고서를 읽었는데 단점은 업데이트 주기가 길다는 점입니다. 그런데 국토교통부 건축물 생애이력 관리시스템 데이터 통해 이를 보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월 단위 확인할 수 있는 전국 건축, 주택 인허가 현황 및 전국 건축, 주택 착공 현황으로 우리나라 데이터센터 인허가 및 착공 스케줄 트레킹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데이터센터 신축 연면적 크게 증가하는 것은 아니지만 증축 포함 계속 인허가 나고 있습니다. 특히 착공 연면적 보면 작년 11월부터 매월 진행되고 있음 확인됩니다. 데이터센터가 혐오시설로 인식되어 인허가 및 착공에 어려움을 많이 겪는다 이야기 들었는데 그래도 계속 설립되고 있긴 합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도 있습니다. 데이터센터 인허가가 난 곳 중 미착공 사이트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24년 이후 데이터센터 인허가 난 곳 중 아직 미착공 사이트 15곳으로 파악됩니다. 언론 기사 등 통해 구체적인 사업내용 파악된 사이트 8곳입니다.
* 단순 언론 기사 등 만 파악한 것이라 자료 신뢰성 떨어질 수 있습니다.
과거 데이터 보면 안산 글로벌 클라우드 센터 착공처리일 25.01.23 이후 지엔씨에너지 해당 사업장 수주 공시 약 3개월 조금 안된 시점에 냈습니다. 미착공 사업장들이 건설삽 뜨기 시작하며 지엔씨에너지 수주일정 등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지엔씨에너지 비상용발전기 설치 시 70%, 시운전 실행 후 30% 매출액 인식합니다.
수주 베이스 산업 영위하는 기업의 투자난이도는 높습니다. 투자의 마디를 잡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지엔씨에너지도 데이터센터 들어가는 비상용발전기 수주 일정 쫓기 힘들기 때문에 투자 난이도 높은 기업이라 생각됩니다. 그런데 국토교통부 데이터 통해 데이터센터 인허가 및 착공 스케줄을 트레킹 할 수 있다면 난이도 일정 부분 낮출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리서치해 볼 가치 있어 보입니다.
https://blog.naver.com/beatthemkt/223838776292
से पुनः पोस्ट किया:
선진짱 주식공부방

10.04.202507:26
[이그전] 트럼프 관세 유예 ‘90일’+베센트로 주도권 변화, 모두 1기 때와 똑같다
안녕하세요. KB증권 주식전략 이은택 입니다.
1) 트럼프는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의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한다고 밝혔습니다.
2) 이는 1기 때와 똑같습니다. 2018년의 관세 유예도 90일이었고, 협상으로 가면서 므누신 장관으로 주도권이 이동한 것도 같습니다.
3) 당시와 같다면, 트럼프는 당분간은 조용할 것입니다. 하지만 90일을 채우기 전에 ‘미국을 존경하지 않는다’며 관세를 다시 꺼내들 수 있습니다.
- URL: https://bit.ly/4jklP9y
안녕하세요. KB증권 주식전략 이은택 입니다.
1) 트럼프는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의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한다고 밝혔습니다.
2) 이는 1기 때와 똑같습니다. 2018년의 관세 유예도 90일이었고, 협상으로 가면서 므누신 장관으로 주도권이 이동한 것도 같습니다.
3) 당시와 같다면, 트럼프는 당분간은 조용할 것입니다. 하지만 90일을 채우기 전에 ‘미국을 존경하지 않는다’며 관세를 다시 꺼내들 수 있습니다.
- URL: https://bit.ly/4jklP9y
20.04.202502:36
■ 우산 X NNN Pick 일주일을 돌아보는 리포트 정리(4월 3주차)
1. 조선 - 호재 만발: 선가, 트럼프, MOU, LNG, FLNG (다올 최광식)
2. 2차전지 Weekly: 주가 하방 리스크 제한적 (하나 김현수)
3. 반도체: 4월부터 메모리 가격 반등 기대 (KB 김동원)
4. 화장품 Weekly: 용기 산업은 유리로 확장 중 (메리츠 박종대)
5. 화장품: 선(SUN)수기가 온다 (유안타 이승은)
6. 네오위즈: 다시 비상할 때 (NH 안재민)
7. 더존비즈온: 국가대표 AI 소프트웨어 (신영 정원석)
8. F&F: 이익 사이클 저점 통과 판단 (대신 유정현)
9. 엔터: K-pop은 기세다 (KB 이선화)
10. 동국제약: 낙폭과대, 성장성 더 높아질 듯 (LS 정홍식)
11. 실리콘투: 미국 조정은 끝, 구조적 성장은 계속된다 (유안타 이승은)
12. 효성중공업: 호황 지속기간을 더 길게 보고 있다 (BNK 이상현)
13. 글로벌 반도체 -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의 Besi 지분 인수: 하이브리드 본딩 가시화 (한국투자 문승환)
14. 코미코 - 1Q25 Pre: 미코세라믹스 가치 희석 제한적 (LS 차용호)
15. 현대그린푸드: 주주 친화적 기업으로 변신 (흥국 박종렬)
16. 한화솔루션: AD/CVD 관세 부과 최대 수혜주 (미래에셋 이진호)
17. 2차전지: 북미 ESS길 열리나? (IBK 이현욱)
18. IT - NEXT Cycle: IT 신기술 이해 및 점검 (신한 오강호 외)
19. 솔브레인 - 감산: 역사가 보증하는 바닥 시그널 (NH 양정현)
20. 게임 - 서브컬처: 우리는 오늘도 지갑을 연다 (신한 강석오)
21. 우주: 아마존의 카이퍼 프로젝트도 국내 상륙 (유진 정의훈)
22. 스몰캡 - OTT 광고요금제 확대 -> 미디어랩사 역할 확대 (유안타 권명준)
23. 태양광 - ESG Report: 한국 태양광 기업, 미국 공급망 핵심 기업으로 성장 전망 (현대차 강동진)
24. 이수페타시스: MLB는 미중분쟁 환경에서 쇼티지 심화 (SK 박형우)
25. 보로노이: 표적 항암제의 G.O.A.T를 향해 (현대차 여노래)
(요약 정리는 아래 블로그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https://blog.naver.com/s1kkw/223840298554
1. 조선 - 호재 만발: 선가, 트럼프, MOU, LNG, FLNG (다올 최광식)
2. 2차전지 Weekly: 주가 하방 리스크 제한적 (하나 김현수)
3. 반도체: 4월부터 메모리 가격 반등 기대 (KB 김동원)
4. 화장품 Weekly: 용기 산업은 유리로 확장 중 (메리츠 박종대)
5. 화장품: 선(SUN)수기가 온다 (유안타 이승은)
6. 네오위즈: 다시 비상할 때 (NH 안재민)
7. 더존비즈온: 국가대표 AI 소프트웨어 (신영 정원석)
8. F&F: 이익 사이클 저점 통과 판단 (대신 유정현)
9. 엔터: K-pop은 기세다 (KB 이선화)
10. 동국제약: 낙폭과대, 성장성 더 높아질 듯 (LS 정홍식)
11. 실리콘투: 미국 조정은 끝, 구조적 성장은 계속된다 (유안타 이승은)
12. 효성중공업: 호황 지속기간을 더 길게 보고 있다 (BNK 이상현)
13. 글로벌 반도체 -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의 Besi 지분 인수: 하이브리드 본딩 가시화 (한국투자 문승환)
14. 코미코 - 1Q25 Pre: 미코세라믹스 가치 희석 제한적 (LS 차용호)
15. 현대그린푸드: 주주 친화적 기업으로 변신 (흥국 박종렬)
16. 한화솔루션: AD/CVD 관세 부과 최대 수혜주 (미래에셋 이진호)
17. 2차전지: 북미 ESS길 열리나? (IBK 이현욱)
18. IT - NEXT Cycle: IT 신기술 이해 및 점검 (신한 오강호 외)
19. 솔브레인 - 감산: 역사가 보증하는 바닥 시그널 (NH 양정현)
20. 게임 - 서브컬처: 우리는 오늘도 지갑을 연다 (신한 강석오)
21. 우주: 아마존의 카이퍼 프로젝트도 국내 상륙 (유진 정의훈)
22. 스몰캡 - OTT 광고요금제 확대 -> 미디어랩사 역할 확대 (유안타 권명준)
23. 태양광 - ESG Report: 한국 태양광 기업, 미국 공급망 핵심 기업으로 성장 전망 (현대차 강동진)
24. 이수페타시스: MLB는 미중분쟁 환경에서 쇼티지 심화 (SK 박형우)
25. 보로노이: 표적 항암제의 G.O.A.T를 향해 (현대차 여노래)
(요약 정리는 아래 블로그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https://blog.naver.com/s1kkw/223840298554
से पुनः पोस्ट किया: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02.04.202514:24
일론머스크
몇 년 전 내가 말했듯이, AI 확장의 병목은 칩에서 변압기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전력 생산으로 옮겨갈 것이다.
이는 미국의 AI 주도권에 있어 장기적으로 우려스러운 일이다.
몇 년 전 내가 말했듯이, AI 확장의 병목은 칩에서 변압기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전력 생산으로 옮겨갈 것이다.
이는 미국의 AI 주도권에 있어 장기적으로 우려스러운 일이다.
22.03.202503:04
■ 마이크론(MU)의 호실적 발표 이후 급락에 대한 생각 정리
마이크론이 20일 장 마감 후 컨센을 비트하는 실적을 발표하고 가이던스도 컨센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상향 발표하며 시간외 주가가 급등했었지만 21일 본장에서는 -8% 급락 마감했습니다. 마이크론의 호실적을 바탕으로 어제 한국장에서도 메모리 관련 종목들의 퍼포먼스가 좋았기에 해당 이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해 보입니다.
급락의 주요인은 Citi의 리포트 때문으로 보입니다. 목표가 하향 리포트를 작성했는데, 내용을 보면 전반적으로는 좋은 내용으로 파악됩니다. 이를 요약하면,
1) DRAM 가격 회복 조짐이 뚜렷
2) HBM 매출 비중이 커지고 있으며, FY3Q에는 DRAM 및 HBM 출하량이 모두 증가할 것
3) NAND 수요도 주춤했으나, 향후 출하 증가로 반등을 예상
4) 삼성전자의 엔비디아향 퀄 테스트 통과가 최소한 26년 상반기까지는 어렵기에 마이크론의 HBM 시장 점유율이 25년 4Q까지 20% 확보 예상
5) 마진이 과거 업사이클보다 낮은 수준에서 정점에 이를 가능성이 높아 목표주가를 120달러로 하향
결국 1)~4)까지는 모두 좋은 내용이지만 5) 하나 때문에 주가가 급락한 것으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Citi 리포트 전문을 확보하지 못하여 마진이 과거 업사이클보다 낮은 수준에서 정점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는 이유에 대해 적시되어 있는 지는 모르겠으나 이는 마이크론의 개별적인 이유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판단입니다.
마이크론의 마진 이슈는 기존에도 약간은 이야기가 나왔었지만 HBM 수율 이슈와 연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수율이 아직 낮은 수준에서 물량을 밀어내고 있으며, 성능을 위해 칩사이즈를 키우면서 웨이퍼당 생산 가능한 칩 수도 경쟁사 대비 적은 것으로 보입니다. 이로 인해 HBM 출하가 크게 성장하고 시장 내 점유율을 마이크론이 높인다고 하더라도 마진은 과거 정점 대비 낮을 수 있고 이는 마이크론의 개별적인 수율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추가적인 힌트도 있는데, 같은 Citi 그룹에서 이틀 전에는 엔비디아의 Rubin Ultra 발표를 계기로 1TB HBM4E 도입 수혜주로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를 지목하며 목표 주가를 상향하는 모습도 있었습니다.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작년에 그랬듯이 이번에도 메모리 3사의 주가도 차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물론 나스닥이 반등하는 국면에서 일단 마이크론의 주가 급락이 나왔으며 당장 월요일 시장에서는 이에 대한 우려가 반영될 가능성도 높습니다. 또한 삼성전자의 엔비디아향 HBM 퀄 통과에 대해서도 Citi가 최근 뉴스 플로우에 비하면 매우 보수적으로 언급한 점도 부정적으로 반영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다만 중요한 점은 마이크론의 주가 급락 요인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도 직결되는 이슈가 아닐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이들의 밸류레이션도 차이가 꽤나 있는 구간입니다. 때문에 이번 이슈로 인한 변동성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 지에 대한 고민도 더욱 필요해 보입니다.
(작성: 우산 X NNN의 아이디어 https://t.me/WoosanXNNN)
마이크론이 20일 장 마감 후 컨센을 비트하는 실적을 발표하고 가이던스도 컨센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상향 발표하며 시간외 주가가 급등했었지만 21일 본장에서는 -8% 급락 마감했습니다. 마이크론의 호실적을 바탕으로 어제 한국장에서도 메모리 관련 종목들의 퍼포먼스가 좋았기에 해당 이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해 보입니다.
급락의 주요인은 Citi의 리포트 때문으로 보입니다. 목표가 하향 리포트를 작성했는데, 내용을 보면 전반적으로는 좋은 내용으로 파악됩니다. 이를 요약하면,
1) DRAM 가격 회복 조짐이 뚜렷
2) HBM 매출 비중이 커지고 있으며, FY3Q에는 DRAM 및 HBM 출하량이 모두 증가할 것
3) NAND 수요도 주춤했으나, 향후 출하 증가로 반등을 예상
4) 삼성전자의 엔비디아향 퀄 테스트 통과가 최소한 26년 상반기까지는 어렵기에 마이크론의 HBM 시장 점유율이 25년 4Q까지 20% 확보 예상
5) 마진이 과거 업사이클보다 낮은 수준에서 정점에 이를 가능성이 높아 목표주가를 120달러로 하향
결국 1)~4)까지는 모두 좋은 내용이지만 5) 하나 때문에 주가가 급락한 것으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Citi 리포트 전문을 확보하지 못하여 마진이 과거 업사이클보다 낮은 수준에서 정점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는 이유에 대해 적시되어 있는 지는 모르겠으나 이는 마이크론의 개별적인 이유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판단입니다.
마이크론의 마진 이슈는 기존에도 약간은 이야기가 나왔었지만 HBM 수율 이슈와 연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수율이 아직 낮은 수준에서 물량을 밀어내고 있으며, 성능을 위해 칩사이즈를 키우면서 웨이퍼당 생산 가능한 칩 수도 경쟁사 대비 적은 것으로 보입니다. 이로 인해 HBM 출하가 크게 성장하고 시장 내 점유율을 마이크론이 높인다고 하더라도 마진은 과거 정점 대비 낮을 수 있고 이는 마이크론의 개별적인 수율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추가적인 힌트도 있는데, 같은 Citi 그룹에서 이틀 전에는 엔비디아의 Rubin Ultra 발표를 계기로 1TB HBM4E 도입 수혜주로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를 지목하며 목표 주가를 상향하는 모습도 있었습니다.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작년에 그랬듯이 이번에도 메모리 3사의 주가도 차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물론 나스닥이 반등하는 국면에서 일단 마이크론의 주가 급락이 나왔으며 당장 월요일 시장에서는 이에 대한 우려가 반영될 가능성도 높습니다. 또한 삼성전자의 엔비디아향 HBM 퀄 통과에 대해서도 Citi가 최근 뉴스 플로우에 비하면 매우 보수적으로 언급한 점도 부정적으로 반영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다만 중요한 점은 마이크론의 주가 급락 요인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도 직결되는 이슈가 아닐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이들의 밸류레이션도 차이가 꽤나 있는 구간입니다. 때문에 이번 이슈로 인한 변동성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 지에 대한 고민도 더욱 필요해 보입니다.
(작성: 우산 X NNN의 아이디어 https://t.me/WoosanXNNN)


01.04.202510:53
■ 에스앤디_[수출데이터(기타소스)] 25.03월 잠정치 2,218만 달러(YoY +37.4%, 원화 환산 약 310억 원), 불닭소스 성공에 Conviction 크기 키우는 중
* 다양한 차트는 첨부된 블로그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포스팅한 관심섹터와 관심종목에 대해 매수/매도 의견을 제안하지 않습니다.
*** 포스팅 작성 시점 관련 종목 보유여부를 확인해 드릴 수 없습니다.
불닭소스 포함되어있는 기타소스 25.03월 수출액 잠정치 2,218만 달러로 YoY +37.4% 성장합니다. 과거 우리나라 전체 라면 수출액 점검하며 불닭볶음면 성공을 점검했는데 우리나라 전체 기타소스 수출액 점검하며 불닭소스 성공의 Conviction 크기를 키울 수 있을것 같습니다.
기타소스 수출액 1~10일 환산치 1,234만 달러(YoY -16%), 1~20일 환산치 2,115만 달러(YoY +31%)입니다. 1~말일 잠정치 2,218만 달러로 YoY +37.4% 성장하며 수출 추세 더 좋아졌습니다.
이런 분위기이면 매달 15일 확인할 수 있는 불닭소스 추정 서울 성북구, 강원 원주 기타소스 수출액도 자연스럽게 커지겠음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25.03월 불닭소스 수출액 292 ~ 315만 달러로 추정해보며 YoY Growth +365 ~ 402% 입니다.
불닭소스 성공의 Conviction 키워가는 초입 같습니다. 삼양식품 24년 사업보고서 보면 소스/조미소재 매출액 431억 원으로 전사 매출 비중 2.5% 차지합니다. 절대금액 YoY +12.9% 성장하였습니다. 특이한건 수출비중 처음으로 내수비중 넘어섰습니다. 수출 60%, 내수 40% 입니다. 내수 역성장하였지만 수출 YoY +60% 성장하였습니다. 강압적인 내수 영업 아니라 수출 수요 본격 증가하는 시점 아닌가 싶습니다. 연속적인 불닭소스 해외 수요가 있을지 점검해가겠습니다.
https://blog.naver.com/beatthemkt/223817898156
* 다양한 차트는 첨부된 블로그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포스팅한 관심섹터와 관심종목에 대해 매수/매도 의견을 제안하지 않습니다.
*** 포스팅 작성 시점 관련 종목 보유여부를 확인해 드릴 수 없습니다.
불닭소스 포함되어있는 기타소스 25.03월 수출액 잠정치 2,218만 달러로 YoY +37.4% 성장합니다. 과거 우리나라 전체 라면 수출액 점검하며 불닭볶음면 성공을 점검했는데 우리나라 전체 기타소스 수출액 점검하며 불닭소스 성공의 Conviction 크기를 키울 수 있을것 같습니다.
기타소스 수출액 1~10일 환산치 1,234만 달러(YoY -16%), 1~20일 환산치 2,115만 달러(YoY +31%)입니다. 1~말일 잠정치 2,218만 달러로 YoY +37.4% 성장하며 수출 추세 더 좋아졌습니다.
이런 분위기이면 매달 15일 확인할 수 있는 불닭소스 추정 서울 성북구, 강원 원주 기타소스 수출액도 자연스럽게 커지겠음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25.03월 불닭소스 수출액 292 ~ 315만 달러로 추정해보며 YoY Growth +365 ~ 402% 입니다.
불닭소스 성공의 Conviction 키워가는 초입 같습니다. 삼양식품 24년 사업보고서 보면 소스/조미소재 매출액 431억 원으로 전사 매출 비중 2.5% 차지합니다. 절대금액 YoY +12.9% 성장하였습니다. 특이한건 수출비중 처음으로 내수비중 넘어섰습니다. 수출 60%, 내수 40% 입니다. 내수 역성장하였지만 수출 YoY +60% 성장하였습니다. 강압적인 내수 영업 아니라 수출 수요 본격 증가하는 시점 아닌가 싶습니다. 연속적인 불닭소스 해외 수요가 있을지 점검해가겠습니다.
https://blog.naver.com/beatthemkt/223817898156
26.03.202502:48
주주총회 후기 모음 - 실시간 업데이트 중 (비나인 님)
https://m.blog.naver.com/benine-/223810175091
https://m.blog.naver.com/benine-/223810175091


02.04.202506:27
■ 티앤엘_못한건 아닌데 아쉬움 남는 1Q25 수출데이터
* 다양한 차트는 첨부된 블로그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포스팅한 관심섹터와 관심종목에 대해 매수/매도 의견을 제안하지 않습니다.
*** 포스팅 작성 시점 관련 종목 보유여부를 확인해 드릴 수 없습니다.
티앤엘 수출 실적 추정할 수 있는 조제 드레싱과 습포제 수출액 1Q25 3,045만 달러로 YoY +66% 크게 성장하였습니다. 그런데 아쉬움 남습니다.
조제 드레싱과 습포제 수출액 지난 25.01월 YoY +252% 굉장한 성장률 보였습니다. Growth도 Growth 이지만 절대금액 자체가 굉장히 컸기 때문에 기대도 많이 했습니다. 그런데 이후 25.02월 수출액 YoY +53% 성장, 25.03월 수출액 YoY -15% 역성장 움직임 보이며 드라마틱한 성장 이어가진 못했습니다. +252%, +53% 성장률을 놓고도 아쉽다는 게 무슨 소리냐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도 종목을 관찰하는 입장에선 들쑥 날쑥한 움직임보단 연속적인 흐름 보여야 불확실성 덜 하기 때문에 아쉽다는 표현해봅니다.
조제 드레싱과 습포제 수출액 과거 추이 보면 2Q > 3Q > 1Q > 4Q 순 데이터 좋은 계절성 보입니다. 과거와 유사한 패턴이라면 2Q25, 3Q25 높은 확률로 1Q25 보다 우수한 실적 보이겠습니다. 호흡이 긴 투자자라면 편히 지켜봐도 될 것 같습니다. 대신 신중한 투자자라면 확인 한번 하고 가는 전략도 좋겠습니다. 티앤엘 상대적으로 낮은 멀티플에 대한 답답함은 이런 포인트가 원인이라 보입니다.
퐁당퐁당 느낌으로 영국과 독일 수출액 데이터 잘 나오며 마이티패치 유럽 순조롭게 침투합니다. 워낙 마이티패치 아이템 막강해서 큰 이슈 없을텐데 일단 티앤엘 가격이 잘 움직이지 않으니 점검 더 하고 액션 하는 게 합리적이지 않나 싶은 생각 듭니다.
https://blog.naver.com/beatthemkt/223819419398
* 다양한 차트는 첨부된 블로그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포스팅한 관심섹터와 관심종목에 대해 매수/매도 의견을 제안하지 않습니다.
*** 포스팅 작성 시점 관련 종목 보유여부를 확인해 드릴 수 없습니다.
티앤엘 수출 실적 추정할 수 있는 조제 드레싱과 습포제 수출액 1Q25 3,045만 달러로 YoY +66% 크게 성장하였습니다. 그런데 아쉬움 남습니다.
조제 드레싱과 습포제 수출액 지난 25.01월 YoY +252% 굉장한 성장률 보였습니다. Growth도 Growth 이지만 절대금액 자체가 굉장히 컸기 때문에 기대도 많이 했습니다. 그런데 이후 25.02월 수출액 YoY +53% 성장, 25.03월 수출액 YoY -15% 역성장 움직임 보이며 드라마틱한 성장 이어가진 못했습니다. +252%, +53% 성장률을 놓고도 아쉽다는 게 무슨 소리냐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도 종목을 관찰하는 입장에선 들쑥 날쑥한 움직임보단 연속적인 흐름 보여야 불확실성 덜 하기 때문에 아쉽다는 표현해봅니다.
조제 드레싱과 습포제 수출액 과거 추이 보면 2Q > 3Q > 1Q > 4Q 순 데이터 좋은 계절성 보입니다. 과거와 유사한 패턴이라면 2Q25, 3Q25 높은 확률로 1Q25 보다 우수한 실적 보이겠습니다. 호흡이 긴 투자자라면 편히 지켜봐도 될 것 같습니다. 대신 신중한 투자자라면 확인 한번 하고 가는 전략도 좋겠습니다. 티앤엘 상대적으로 낮은 멀티플에 대한 답답함은 이런 포인트가 원인이라 보입니다.
퐁당퐁당 느낌으로 영국과 독일 수출액 데이터 잘 나오며 마이티패치 유럽 순조롭게 침투합니다. 워낙 마이티패치 아이템 막강해서 큰 이슈 없을텐데 일단 티앤엘 가격이 잘 움직이지 않으니 점검 더 하고 액션 하는 게 합리적이지 않나 싶은 생각 듭니다.
https://blog.naver.com/beatthemkt/223819419398


05.04.202503:18
■ 주간 회사별 지분보고서 제출 상황 (25.04.04)
* 5% 이상 신규보고(증감률 순)
1) 덴티움, 얼라인파트너스자산운용, +7.71%
2) 이노스페이스, 아이엠엠인베스트먼트, +6.50%
3) 세아제강, 국민연금공단, +1.63%
4) 테스, 국민연금공단, +1.20%
5) 빙그레, 국민연금공단, +1.09%
6) 이녹스첨단소재, 국민연금공단, +1.06%
7) DI동일, 국민연금공단, +0.49%
8) 포스코DX, 국민연금공단, +0.22%
9) HD현대마린엔진, 국민연금공단, +0.14%
10) 대주전자재료, 국민연금공단, +0.12%
11) 비나텍, 미래에셋자산운용, +0.08%
12) 에스앤에스텍, 국민연금공단, +0.07%
13) 동성화인텍, 국민연금공단, +0.05%
14) 코스모신소재, 국민연금공단, +0.04%
15) 대웅, 국민연금공단, +0.01%
16) 두산로보틱스, 국민연금공단, +0.01%
17) SK리츠, 국민연금공단, +0.00%
18) TCC스틸, 국민연금공단, +0.00%
19) 매도, 비에이치아이, 국민연금공단, -0.87%
20) 매도, 실리콘투, 국민연금공단, -1.01%
21) 매도, 디아이, 국민연금공단, -1.15%
https://blog.naver.com/beatthemkt/223822938855
* 5% 이상 신규보고(증감률 순)
1) 덴티움, 얼라인파트너스자산운용, +7.71%
2) 이노스페이스, 아이엠엠인베스트먼트, +6.50%
3) 세아제강, 국민연금공단, +1.63%
4) 테스, 국민연금공단, +1.20%
5) 빙그레, 국민연금공단, +1.09%
6) 이녹스첨단소재, 국민연금공단, +1.06%
7) DI동일, 국민연금공단, +0.49%
8) 포스코DX, 국민연금공단, +0.22%
9) HD현대마린엔진, 국민연금공단, +0.14%
10) 대주전자재료, 국민연금공단, +0.12%
11) 비나텍, 미래에셋자산운용, +0.08%
12) 에스앤에스텍, 국민연금공단, +0.07%
13) 동성화인텍, 국민연금공단, +0.05%
14) 코스모신소재, 국민연금공단, +0.04%
15) 대웅, 국민연금공단, +0.01%
16) 두산로보틱스, 국민연금공단, +0.01%
17) SK리츠, 국민연금공단, +0.00%
18) TCC스틸, 국민연금공단, +0.00%
19) 매도, 비에이치아이, 국민연금공단, -0.87%
20) 매도, 실리콘투, 국민연금공단, -1.01%
21) 매도, 디아이, 국민연금공단, -1.15%
https://blog.naver.com/beatthemkt/223822938855
से पुनः पोस्ट किया:
재야의 고수들

26.03.202505:28
✅한한령 해제 시뮬레이션 (Renova)
① 음반은 YG를 제외 평균 +20% 회복
② 공연은 SM > CUBE > HYBE > JYP > YG
(*SM 미표기 IP 6합산시 CUBE보다 높음)
③ 편차는 있겠지만, KPOP 전체 수혜
④ 콘서트 풀어주면 매우 강한 수혜
⑤ 매번 열어준다고 하고 연적이 없음
(*자료 노가다 그만하고 싶다 열어줘라)
#엔터 #하이브 #SM #YG #JYP
#음반판매 #콘서트
① 음반은 YG를 제외 평균 +20% 회복
② 공연은 SM > CUBE > HYBE > JYP > YG
(*SM 미표기 IP 6합산시 CUBE보다 높음)
③ 편차는 있겠지만, KPOP 전체 수혜
④ 콘서트 풀어주면 매우 강한 수혜
⑤ 매번 열어준다고 하고 연적이 없음
(*자료 노가다 그만하고 싶다 열어줘라)
#엔터 #하이브 #SM #YG #JYP
#음반판매 #콘서트
30.03.202511:50
■ 우산 X NNN Pick 일주일을 돌아보는 리포트 정리(3월 5주차)
1. KB SMR Trilogy - [에피소드 II] SMR의 심장, 미국을 가다: SMR 4대장 탐방기 (KB 장문준)
2. 화장품 Weekly: 하이난 면세의 객단가 상승이 지니는 의미 (한국투자 김명주)
3. KX - 탐방 리포트: 개화의 시기 도래 (유진 박종선)
4. 한화비전: 세미텍 가치를 적극 반영할 시기 (한화 김광진)
5. 화장품: 마켓 메이커 K-뷰티, 미국을 넘어 유럽과 중동으로 (삼성 이가영)
6. 의료기기 - 미용백서(美容白書): 25년 시장 트렌드와 기회 (대신 한송협)
7. 글로벌텍스프리: 봄 성수기 진입과 하반기 중국 모멘텀 (DS 김수현)
8. 스몰캡: 2025년 K-사이버 보안 주목받을 수 있을까? (유안타 권명준)
9. 티씨케이: NAND 가격이 가장 중요한 지표 (IBK 이건재)
10. 레이: 반가운 턴어라운드 (DS 안주원)
11. 이그전 - 정말 트럼프가 의도한 '경기침체'인가? : ①그럴 리가 있을까? / ②미국 부채를 다 갚고도 남는 방법 / ③감세 정책은 왜 안 나올까?
12. 삼영 - 탐방노트: 정리한 만큼, 이익의 가시성은 올라간다 (하나 권태우)
13. 뷰노: 숫자로 말해요 (신한 허성규)
14.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아티스트 파이프라인 풀가동 (iM 황지원)
15. 하나마이크론: 한국 1등 OSAT (신한 남궁현)
16. 반도체: 봄이 오나 봄 (키움 박유악)
17. 파마리서치: 레벨업 트리거, 다수 대기 중 (한국투자 강시온)
18. HD현대일렉트릭: 밸류에이션 매력이 발생한 시점 (NH 이민재)
19. 레뷰코퍼레이션: 성장 방향성은 유효 (삼성 최민하)
20. [25년 2월] 스마트폰 판매량 잠정치: 인도 외 역성장하며 글로벌 판매량 1억대 하회 (하나 김록호)
(요약 정리는 아래 블로그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https://blog.naver.com/s1kkw/223815231560
1. KB SMR Trilogy - [에피소드 II] SMR의 심장, 미국을 가다: SMR 4대장 탐방기 (KB 장문준)
2. 화장품 Weekly: 하이난 면세의 객단가 상승이 지니는 의미 (한국투자 김명주)
3. KX - 탐방 리포트: 개화의 시기 도래 (유진 박종선)
4. 한화비전: 세미텍 가치를 적극 반영할 시기 (한화 김광진)
5. 화장품: 마켓 메이커 K-뷰티, 미국을 넘어 유럽과 중동으로 (삼성 이가영)
6. 의료기기 - 미용백서(美容白書): 25년 시장 트렌드와 기회 (대신 한송협)
7. 글로벌텍스프리: 봄 성수기 진입과 하반기 중국 모멘텀 (DS 김수현)
8. 스몰캡: 2025년 K-사이버 보안 주목받을 수 있을까? (유안타 권명준)
9. 티씨케이: NAND 가격이 가장 중요한 지표 (IBK 이건재)
10. 레이: 반가운 턴어라운드 (DS 안주원)
11. 이그전 - 정말 트럼프가 의도한 '경기침체'인가? : ①그럴 리가 있을까? / ②미국 부채를 다 갚고도 남는 방법 / ③감세 정책은 왜 안 나올까?
12. 삼영 - 탐방노트: 정리한 만큼, 이익의 가시성은 올라간다 (하나 권태우)
13. 뷰노: 숫자로 말해요 (신한 허성규)
14.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아티스트 파이프라인 풀가동 (iM 황지원)
15. 하나마이크론: 한국 1등 OSAT (신한 남궁현)
16. 반도체: 봄이 오나 봄 (키움 박유악)
17. 파마리서치: 레벨업 트리거, 다수 대기 중 (한국투자 강시온)
18. HD현대일렉트릭: 밸류에이션 매력이 발생한 시점 (NH 이민재)
19. 레뷰코퍼레이션: 성장 방향성은 유효 (삼성 최민하)
20. [25년 2월] 스마트폰 판매량 잠정치: 인도 외 역성장하며 글로벌 판매량 1억대 하회 (하나 김록호)
(요약 정리는 아래 블로그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https://blog.naver.com/s1kkw/223815231560


29.03.202506:29
■ 1개월간 상장주식대비 대차잔고 크게 늘어난 종목
* 25.02.28 ~ 25.03.28 기준
** 대차잔고비율 = 1개월 대차잔고증감 / 상장주식수
1) 이수페타시스, +5.95%
2) 한미반도체, +5.78%
3) 에코프로, +5.12%
4) 나인테크, +4.13%
5) 포스코퓨처엠, +4.12%
6) 에코프로머티, +3.41%
7) 루닛, +3.28%
8) 에이직랜드, +3.23%
9) 넥써쓰, +3.03%
10) 티로보틱스, +2.99%
11) 랩지노믹스, +2.97%
12) 엘앤에프, +2.96%
13) HD현대미포, +2.93%
14) 심텍, +2.91%
15) MDS테크, +2.87%
16) 에코프로비엠, +2.86%
17) 아모레퍼시픽, +2.81%
18) 덱스터, +2.81%
19) 티엘비, +2.69%
20) 삼성SDI, +2.69%
21) 바이넥스, +2.69%
22) 유한양행, +2.66%
23) 에이텍, +2.66%
24) 알에스오토메이션, +2.59%
25) 이스트소프트, +2.59%
26) 제이에스코퍼레이션, +2.50%
27) 신테카바이오, +2.49%
28) M83, +2.46%
29) 한화에어로스페이스, +2.46%
30) 케이알엠, +2.46%
* 25.02.28 ~ 25.03.28 기준
** 대차잔고비율 = 1개월 대차잔고증감 / 상장주식수
1) 이수페타시스, +5.95%
2) 한미반도체, +5.78%
3) 에코프로, +5.12%
4) 나인테크, +4.13%
5) 포스코퓨처엠, +4.12%
6) 에코프로머티, +3.41%
7) 루닛, +3.28%
8) 에이직랜드, +3.23%
9) 넥써쓰, +3.03%
10) 티로보틱스, +2.99%
11) 랩지노믹스, +2.97%
12) 엘앤에프, +2.96%
13) HD현대미포, +2.93%
14) 심텍, +2.91%
15) MDS테크, +2.87%
16) 에코프로비엠, +2.86%
17) 아모레퍼시픽, +2.81%
18) 덱스터, +2.81%
19) 티엘비, +2.69%
20) 삼성SDI, +2.69%
21) 바이넥스, +2.69%
22) 유한양행, +2.66%
23) 에이텍, +2.66%
24) 알에스오토메이션, +2.59%
25) 이스트소프트, +2.59%
26) 제이에스코퍼레이션, +2.50%
27) 신테카바이오, +2.49%
28) M83, +2.46%
29) 한화에어로스페이스, +2.46%
30) 케이알엠, +2.46%
अधिक कार्यक्षमता अनलॉक करने के लिए लॉगिन क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