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Україна Сейчас | УС: новини, політи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Реальна Війна | Україна | Новини

Лачен пише

Nairaland Pulse | News

Анатолий Шарий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Україна Сейчас | УС: новини, політи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Реальна Війна | Україна | Новини

Лачен пише

Nairaland Pulse | News

Анатолий Шарий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Україна Сейчас | УС: новини, політика

기업탐방 독립리서치 A.R.I.S
독립리서치 ARIS
TGlist rating
0
0
TypePublic
Verification
Not verifiedTrust
Not trustedLocation
LanguageOther
Channel creation dateApr 04, 2022
Added to TGlist
Mar 05, 2025Records
19.05.202523:59
1.3KSubscribers12.04.202523:59
100Citation index31.03.202500:32
7KAverage views per post31.03.202500:32
7KAverage views per ad post14.03.202505:14
133.33%ER01.03.202500:32
6432.88%ERRGrowth
Subscribers
Citation index
Avg views per post
Avg views per ad post
ER
ERR
12.05.202522:13
12년이 걸렸습니다
여의도바닥까지 오는데 12년이 걸렸습니다
남들보다 가진것도 배운것도
없어서 오래 걸렸습니다
그래도
죽지 않고 살아 남았습니다
그렇다고 동정
따위는 받지 않습니다
ARIS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시작합니다
원래 한던대로
탐방다니면서 좋은 기업 발굴하는
본연의 역할 그대로입니다
5월부터 탐방보고서가
업로드 됩니다
항상 그렇 듯 많은 성원 부탁드립니다
여의도바닥까지 오는데 12년이 걸렸습니다
남들보다 가진것도 배운것도
없어서 오래 걸렸습니다
그래도
죽지 않고 살아 남았습니다
그렇다고 동정
따위는 받지 않습니다
ARIS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시작합니다
원래 한던대로
탐방다니면서 좋은 기업 발굴하는
본연의 역할 그대로입니다
5월부터 탐방보고서가
업로드 됩니다
항상 그렇 듯 많은 성원 부탁드립니다
13.05.202521:50
🔷 2025년 5월 MSCI 정기 리뷰 요약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MSCI 개요 및 지수 리뷰 요약
① MSCI 지수란?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이 발표하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주가지수
글로벌 패시브 자금이 추종 → 편입 시 수급 유입, 편출 시 자금 이탈 가능성
② MSCI 정기 리뷰 시점
매년 2월, 5월, 8월, 11월 총 연 4회
③ 편입/편출 기준
시가총액 및 유동 시가총액 등 정량적 기준으로 판단
📌 MSCI 스탠다드 지수 변경 내역 (대형·중형주)
① 신규 편입
한화시스템
방산업 호황, 주가 +80% 급등
삼양식품
수출 호조, 주가 최고가 경신
② 편출 종목
에코프로머티
이차전지 업황 부진 → 주가 18% 하락 → 유동 시총 기준 미달
엔씨소프트
주가 17% 하락 → 시총 기준 미달
③ 총 종목 수
81개 유지 (2월 대비 큰 변화 없음)
📌 MSCI 스몰캡(소형주) 지수 변경 내역
① 신규 편입
(스탠다드에서 하향):
에코프로머티, 엔씨소프트
신규 포함:
디어유,한국카본,HD현대마린엔진,
HDC,현대오토에버,올릭스
② 편출 종목
(스탠다드로 상향):
한화시스템, 삼양식품
지수 제외:
제룡전기, 코스모화학, 동원시스템
덕산테코피아, 에코프로에이치엔, 파두
현대바이오, 중앙첨단소재, 케이씨텍
KG모빌리티, TCC스틸, 티웨이항공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MSCI 개요 및 지수 리뷰 요약
① MSCI 지수란?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이 발표하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주가지수
글로벌 패시브 자금이 추종 → 편입 시 수급 유입, 편출 시 자금 이탈 가능성
② MSCI 정기 리뷰 시점
매년 2월, 5월, 8월, 11월 총 연 4회
③ 편입/편출 기준
시가총액 및 유동 시가총액 등 정량적 기준으로 판단
📌 MSCI 스탠다드 지수 변경 내역 (대형·중형주)
① 신규 편입
한화시스템
방산업 호황, 주가 +80% 급등
삼양식품
수출 호조, 주가 최고가 경신
② 편출 종목
에코프로머티
이차전지 업황 부진 → 주가 18% 하락 → 유동 시총 기준 미달
엔씨소프트
주가 17% 하락 → 시총 기준 미달
③ 총 종목 수
81개 유지 (2월 대비 큰 변화 없음)
📌 MSCI 스몰캡(소형주) 지수 변경 내역
① 신규 편입
(스탠다드에서 하향):
에코프로머티, 엔씨소프트
신규 포함:
디어유,한국카본,HD현대마린엔진,
HDC,현대오토에버,올릭스
② 편출 종목
(스탠다드로 상향):
한화시스템, 삼양식품
지수 제외:
제룡전기, 코스모화학, 동원시스템
덕산테코피아, 에코프로에이치엔, 파두
현대바이오, 중앙첨단소재, 케이씨텍
KG모빌리티, TCC스틸, 티웨이항공
08.05.202509:35
🔷 메가박스-롯데컬처웍스 합병 추진…극장·콘텐츠 빅딜 성사 임박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요약
• 5월 8일, 메가박스중앙-롯데컬처웍스 합병 위한 MOU 체결
• 메가박스: 콘텐트리중앙(036420) 지분 95.98%
• 롯데컬처웍스: 롯데쇼핑(023530) 지분 86.37%
• 합작법인 공동경영…공정위 기업결합 심사 예정
✅ 사업 및 시너지 구조
① 메가박스중앙
• 메가박스(극장), 플러스엠(배급), 플레이타임(테마파크)
② 롯데컬처웍스
• 롯데시네마(극장), 롯데엔터(배급), 샤롯데씨어터(공연)
➤ 통합 효과
• 중복 인프라 제거, 상영관 운영 효율성 개선
• VIP·특별관 집중 투자 통한 차별화
• 콘텐츠 투자·배급 통합으로 IP 활용도 확대
• 코로나 이후 침체된 극장 수요 회복 기대
✅ 관련 상장사 요약 (5/8 기준)
• 콘텐트리중앙(036420): 시총 약 3,400억 원 / 2023년 매출 4,029억 원
• 롯데쇼핑(023530): 시총 약 1.8조 원 / 2023년 매출 15.7조 원
→ 콘텐츠 및 유통 내수 복합 테마로 재평가 가능성
👉 멀티플렉스 통합은 구조조정 이상의 의미. 광고, 콘텐츠, 리테일 연계 효과에 주목.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요약
• 5월 8일, 메가박스중앙-롯데컬처웍스 합병 위한 MOU 체결
• 메가박스: 콘텐트리중앙(036420) 지분 95.98%
• 롯데컬처웍스: 롯데쇼핑(023530) 지분 86.37%
• 합작법인 공동경영…공정위 기업결합 심사 예정
✅ 사업 및 시너지 구조
① 메가박스중앙
• 메가박스(극장), 플러스엠(배급), 플레이타임(테마파크)
② 롯데컬처웍스
• 롯데시네마(극장), 롯데엔터(배급), 샤롯데씨어터(공연)
➤ 통합 효과
• 중복 인프라 제거, 상영관 운영 효율성 개선
• VIP·특별관 집중 투자 통한 차별화
• 콘텐츠 투자·배급 통합으로 IP 활용도 확대
• 코로나 이후 침체된 극장 수요 회복 기대
✅ 관련 상장사 요약 (5/8 기준)
• 콘텐트리중앙(036420): 시총 약 3,400억 원 / 2023년 매출 4,029억 원
• 롯데쇼핑(023530): 시총 약 1.8조 원 / 2023년 매출 15.7조 원
→ 콘텐츠 및 유통 내수 복합 테마로 재평가 가능성
👉 멀티플렉스 통합은 구조조정 이상의 의미. 광고, 콘텐츠, 리테일 연계 효과에 주목.
Reposted from:
유진투자증권 코스닥벤처팀

13.05.202513:57
글로벌 태양광 풍력주 주가 강세 지속
-미국 재생에너지 보조금 축소 강도 예상보다 훨씬 낮았기 때문
-특히 2028년까지 제안된 100% PTC, ITC를 받기위해 풍력, 태양광 개발업체들의 내년부터의 단기 수요 증가 커질 가능성 높아
-First Solar 등 태양광 기자재 업체들은 AMPC의 2031년까지 적용과 FEOC 규정 도입으로 긍정 효과 가장 크고
-Vestas 등 풍력 기자재 업체들은 AMPC는 2027년까지만 적용 제안되었으나 고객들의 PTC,ITC는 태양광과 동일하게 적용되어 역시 2028년까지 단기 수요 증가 폭 커지는 것에 기대감
-국내 태양광, 풍력주 전반에 긍정적
-미국 재생에너지 보조금 축소 강도 예상보다 훨씬 낮았기 때문
-특히 2028년까지 제안된 100% PTC, ITC를 받기위해 풍력, 태양광 개발업체들의 내년부터의 단기 수요 증가 커질 가능성 높아
-First Solar 등 태양광 기자재 업체들은 AMPC의 2031년까지 적용과 FEOC 규정 도입으로 긍정 효과 가장 크고
-Vestas 등 풍력 기자재 업체들은 AMPC는 2027년까지만 적용 제안되었으나 고객들의 PTC,ITC는 태양광과 동일하게 적용되어 역시 2028년까지 단기 수요 증가 폭 커지는 것에 기대감
-국내 태양광, 풍력주 전반에 긍정적
12.05.202501:39
🔷 美 관세·약가 인하 이슈 따른 단기 수혜주 vs 피해주 분석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결론 요약
① 수혜주: 미국 의존도 낮고, 제형변경·위탁생산(CMO) 중심 또는 단기 수출보다는 R&D 기반 바이오텍.
② 피해주: 미국 수출 비중 높거나, 고가 약품 위주·직접 진출 모델의 제약사들.
📌 ① 단기 수혜주 리스트 및 근거
① HK이노엔
위장약 '케이캡' 중심 내수형 모델.
미국 직접 수출 비중 낮고, 동남아·중국 진출 중심.
② 대웅제약
‘펙수프라잔’ 중심으로 신흥국 위주 진출.
미국 비중 낮아 단기 관세 리스크 적음.
제형 변경/라이선스 아웃 전략 유효.
③ 레고켐바이오
직접 수출보다는 기술이전 중심 수익 모델.
미국 정책에 직접 노출되지 않아 정책 리스크 적음.
글로벌 빅파마와의 기술수출 다수 보유.
④ 에이비엘바이오 / 알테오젠 등 바이오텍
직접 수출보다는 플랫폼 기술 기반.
제형 변경, 병용투여 플랫폼 보유 시 단기 기술이전 가능성↑.
장기 R&D 중심 구조.
⑤ 삼성바이오로직스 💊
미국에 생산시설 있지만, CMO(위탁생산) 중심.
고객사 영향은 있으나 직접적인 매출 감소 리스크 낮음.
오히려 리쇼어링 수요에 따른 위탁 확대 가능성도 있음.
📌 ② 단기 피해주 리스트 및 근거
① 셀트리온
미국 중심 직접 판매 비중↑.
고가 바이오시밀러 제품 다수.
관세·약가 인하에 동시 노출되어 마진 압박 우려.
② 한미약품
R&D는 강점이지만, 미국 시장 수출 품목 보유.
파트너사(사노피 등)와 협업 구조에서 수익 배분 영향 가능.
③ 유한양행
렉라자 등 미국 임상·허가 중심 전략 진행 중.
향후 미국 매출이 확대될수록 관세 리스크 커질 수 있음.
④ 종근당
미국 수출 품목 보유(특히 전문의약품).
약가 인하 압력에 가격 경쟁력 약화 우려.
⑤ HLB
미국 중심으로 항암제 상업화 진행 중.
고가 신약군으로 약가인하 직접 타격 가능성 존재.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결론 요약
① 수혜주: 미국 의존도 낮고, 제형변경·위탁생산(CMO) 중심 또는 단기 수출보다는 R&D 기반 바이오텍.
② 피해주: 미국 수출 비중 높거나, 고가 약품 위주·직접 진출 모델의 제약사들.
📌 ① 단기 수혜주 리스트 및 근거
① HK이노엔
위장약 '케이캡' 중심 내수형 모델.
미국 직접 수출 비중 낮고, 동남아·중국 진출 중심.
② 대웅제약
‘펙수프라잔’ 중심으로 신흥국 위주 진출.
미국 비중 낮아 단기 관세 리스크 적음.
제형 변경/라이선스 아웃 전략 유효.
③ 레고켐바이오
직접 수출보다는 기술이전 중심 수익 모델.
미국 정책에 직접 노출되지 않아 정책 리스크 적음.
글로벌 빅파마와의 기술수출 다수 보유.
④ 에이비엘바이오 / 알테오젠 등 바이오텍
직접 수출보다는 플랫폼 기술 기반.
제형 변경, 병용투여 플랫폼 보유 시 단기 기술이전 가능성↑.
장기 R&D 중심 구조.
⑤ 삼성바이오로직스 💊
미국에 생산시설 있지만, CMO(위탁생산) 중심.
고객사 영향은 있으나 직접적인 매출 감소 리스크 낮음.
오히려 리쇼어링 수요에 따른 위탁 확대 가능성도 있음.
📌 ② 단기 피해주 리스트 및 근거
① 셀트리온
미국 중심 직접 판매 비중↑.
고가 바이오시밀러 제품 다수.
관세·약가 인하에 동시 노출되어 마진 압박 우려.
② 한미약품
R&D는 강점이지만, 미국 시장 수출 품목 보유.
파트너사(사노피 등)와 협업 구조에서 수익 배분 영향 가능.
③ 유한양행
렉라자 등 미국 임상·허가 중심 전략 진행 중.
향후 미국 매출이 확대될수록 관세 리스크 커질 수 있음.
④ 종근당
미국 수출 품목 보유(특히 전문의약품).
약가 인하 압력에 가격 경쟁력 약화 우려.
⑤ HLB
미국 중심으로 항암제 상업화 진행 중.
고가 신약군으로 약가인하 직접 타격 가능성 존재.


01.05.202503:30
🔷 K-휴머노이드 연합 본격화…국내 로봇기업, 글로벌 밸류체인 진입 노린다
산업부 5년간 10개 이상 R&D 과제 지원선언, 휴머노이드 산업에 대한 전방위 지원 본격화. 연합 출범 3주 만에 4건의 MOU 체결, 로봇 기업-수요기업-AI 그룹 간 협력 빠르게 확산 중.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요약
• 산업부, 5년간 R&D 협력과제 10건 이상 지원 계획
• AI·부품·수요기업 포함 40개사 연합 참여…연내 휴머노이드 펀드 출시
• AI 기반 파운데이션 모델·핵심 부품(센서, 액추에이터 등) 공동 개발 착수
• 연합 참여 로봇 기업, 글로벌 빅테크와 유사한 사업 구조 확보 시도
✅ 기업별 협력 구도와 비교
① 레인보우로보틱스 × CJ대한통운
• 물류 로봇 상용화 MOU 체결
• 테슬라의 옵티머스 생산현장 적용 모델과 유사한 형태
② 에이로봇 × 포스코이앤씨, HD현대미포
• 건설·조선용 로봇 개발…AI와 연계된 작업 로봇 특화
③ 로보티즈 × 통합물류협회
• AI 워커 공개, 로봇 플랫폼과 부품 경쟁력 모두 확보
④ 서울대 AI연구원 등
• 연합 내 로봇 제공받아 행동 데이터 기반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 시장 파급력과 전망
• 고사양 로봇 개발 가이드라인 제시 (60kg↓, 50자유도↑, 20kg 페이로드↑)
• 리벨리온·딥엑스 등 국내 반도체 업체, 로봇 AI 칩 공동개발 참여
• AI 반도체·배터리·시뮬레이터까지 밸류체인 확장
👉 테슬라·MS·엔비디아 중심의 글로벌 로봇 경쟁 구도 속, K-연합은 AI·HW 분업 구조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최초 사례. 국내 로봇 상장사 및 부품주에 장기 테마 가능성 열림.
산업부 5년간 10개 이상 R&D 과제 지원선언, 휴머노이드 산업에 대한 전방위 지원 본격화. 연합 출범 3주 만에 4건의 MOU 체결, 로봇 기업-수요기업-AI 그룹 간 협력 빠르게 확산 중.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요약
• 산업부, 5년간 R&D 협력과제 10건 이상 지원 계획
• AI·부품·수요기업 포함 40개사 연합 참여…연내 휴머노이드 펀드 출시
• AI 기반 파운데이션 모델·핵심 부품(센서, 액추에이터 등) 공동 개발 착수
• 연합 참여 로봇 기업, 글로벌 빅테크와 유사한 사업 구조 확보 시도
✅ 기업별 협력 구도와 비교
① 레인보우로보틱스 × CJ대한통운
• 물류 로봇 상용화 MOU 체결
• 테슬라의 옵티머스 생산현장 적용 모델과 유사한 형태
② 에이로봇 × 포스코이앤씨, HD현대미포
• 건설·조선용 로봇 개발…AI와 연계된 작업 로봇 특화
③ 로보티즈 × 통합물류협회
• AI 워커 공개, 로봇 플랫폼과 부품 경쟁력 모두 확보
④ 서울대 AI연구원 등
• 연합 내 로봇 제공받아 행동 데이터 기반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 시장 파급력과 전망
• 고사양 로봇 개발 가이드라인 제시 (60kg↓, 50자유도↑, 20kg 페이로드↑)
• 리벨리온·딥엑스 등 국내 반도체 업체, 로봇 AI 칩 공동개발 참여
• AI 반도체·배터리·시뮬레이터까지 밸류체인 확장
👉 테슬라·MS·엔비디아 중심의 글로벌 로봇 경쟁 구도 속, K-연합은 AI·HW 분업 구조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최초 사례. 국내 로봇 상장사 및 부품주에 장기 테마 가능성 열림.
20.04.202523:46
🔷 이재명, 증권사 리서치센터장 간담회 & STO(토큰증권)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내용
① 이재명, 증권사 리서치센터장들과 증시 활성화 논의
② 자본시장 제도 개편(상법 개정 등) 추진 의지 재확인
③ STO(토큰증권) 등 디지털 자산 시장 제도화 의지 강조
📌 세부 내용
① 간담회 개요
일시: 2025년 4월 21일 오전
장소: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
참석: 이재명 민주당 후보, 서유석 금투협 회장, 주요 증권사 리서치센터장, 윤후덕 정책본부장 등
② 논의 주제 및 배경
한국 증시 부진 원인 진단 및 대응 방안
자본시장 신뢰 회복을 위한 제도적 보완책
상법 개정 관련 재추진 의지 (이사 충실의무, 전자주총, 집중투표제 등)
③ 이재명 후보 발언 및 과거 행보
"지수가 너무 낮다, 증시 활성화 필요"
코스피 3000 회복 언급
금투세 폐지 필요성 인정 (시장 상황 고려)
④ STO(토큰증권) 정책 관련 입장
이재명은 블록체인 기반 자산 혁신,
특히 STO 제도화에 대해 명확히 찬성 입장
2022년부터 디지털 자산 제도화 및 STO 인프라 구축 언급
"부동산, 미술품, 음악 등 실물자산을 블록체인 기반 증권으로 전환해 자금 유통과 참여 폭을 넓혀야 한다"고 주장
STO 산업을 금융 민주화 + 자산 유동화의 핵심 수단으로 인식
기존 금융기관, 핀테크, 블록체인 기업 간 제도권 연계 필요성 강조
📌 정책 수혜 포인트
① 자본시장 개혁 수혜
집중투표제·감사 분리선출 등 통과 시 지배구조 개편 테마주
증시 신뢰 회복 → 증권사, 자산운용사, 거래소 플랫폼 등 수혜
② STO 제도화 수혜기업
STO 관련 인프라 구축 기업: 카카오페이증권, 두나무, 코스콤, 블로코, 카사, 핀다, 한화투자증권
증권형 토큰 거래 플랫폼 개발 중인 업체들: NH투자증권, SK증권, 신한투자증권, KB증권
블록체인·핀테크 기술 보유 기업: 더존비즈온, 갤럭시아머니트리, 지란지교시큐리티, 에이치피오(카사 지분 보유)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내용
① 이재명, 증권사 리서치센터장들과 증시 활성화 논의
② 자본시장 제도 개편(상법 개정 등) 추진 의지 재확인
③ STO(토큰증권) 등 디지털 자산 시장 제도화 의지 강조
📌 세부 내용
① 간담회 개요
일시: 2025년 4월 21일 오전
장소: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
참석: 이재명 민주당 후보, 서유석 금투협 회장, 주요 증권사 리서치센터장, 윤후덕 정책본부장 등
② 논의 주제 및 배경
한국 증시 부진 원인 진단 및 대응 방안
자본시장 신뢰 회복을 위한 제도적 보완책
상법 개정 관련 재추진 의지 (이사 충실의무, 전자주총, 집중투표제 등)
③ 이재명 후보 발언 및 과거 행보
"지수가 너무 낮다, 증시 활성화 필요"
코스피 3000 회복 언급
금투세 폐지 필요성 인정 (시장 상황 고려)
④ STO(토큰증권) 정책 관련 입장
이재명은 블록체인 기반 자산 혁신,
특히 STO 제도화에 대해 명확히 찬성 입장
2022년부터 디지털 자산 제도화 및 STO 인프라 구축 언급
"부동산, 미술품, 음악 등 실물자산을 블록체인 기반 증권으로 전환해 자금 유통과 참여 폭을 넓혀야 한다"고 주장
STO 산업을 금융 민주화 + 자산 유동화의 핵심 수단으로 인식
기존 금융기관, 핀테크, 블록체인 기업 간 제도권 연계 필요성 강조
📌 정책 수혜 포인트
① 자본시장 개혁 수혜
집중투표제·감사 분리선출 등 통과 시 지배구조 개편 테마주
증시 신뢰 회복 → 증권사, 자산운용사, 거래소 플랫폼 등 수혜
② STO 제도화 수혜기업
STO 관련 인프라 구축 기업: 카카오페이증권, 두나무, 코스콤, 블로코, 카사, 핀다, 한화투자증권
증권형 토큰 거래 플랫폼 개발 중인 업체들: NH투자증권, SK증권, 신한투자증권, KB증권
블록체인·핀테크 기술 보유 기업: 더존비즈온, 갤럭시아머니트리, 지란지교시큐리티, 에이치피오(카사 지분 보유)
12.05.202505:47
🔷제21대_대통령선거_정당정책_더불어민주당_250512
https://theminjoo.kr/main/sub/news/view.php?sno=0&brd=188&post=1211237&search=
<더불어민주당 10대 정책공약>
1. 세계를 선도하는 경제강국을 만들겠습니다.
2. 내란극복과 K-민주주의 위상 회복으로 민주주의 강국을 만들겠습니다.
3. 가계‧소상공인의 활력을 증진하고, 공정경제를 실현하겠습니다.
4. 세계질서 변화에 실용적으로 대처하는 외교안보 강국을 만들겠습니다.
5.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나라를 만들겠습니다.
6. 세종 행정수도와 ‘5극 3특’ 추진으로 국토균형발전을 이루겠습니다.
7. 노동이 존중받고 모든 사람의 권리가 보장되는 사회를 만들겠습니다.
8. 생활안정으로 아동‧청년‧어르신 등 모두가
잘사는 나라를 만들겠습니다.
9. 저출생‧고령화 위기를 극복하고 아이부터 어르신까지 함께 돌보는 국가를 만들겠습니다.
10. 미래세대를 위해 기후위기에 적극 대응하겠습니다.
https://theminjoo.kr/main/sub/news/view.php?sno=0&brd=188&post=1211237&search=
<더불어민주당 10대 정책공약>
1. 세계를 선도하는 경제강국을 만들겠습니다.
2. 내란극복과 K-민주주의 위상 회복으로 민주주의 강국을 만들겠습니다.
3. 가계‧소상공인의 활력을 증진하고, 공정경제를 실현하겠습니다.
4. 세계질서 변화에 실용적으로 대처하는 외교안보 강국을 만들겠습니다.
5.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나라를 만들겠습니다.
6. 세종 행정수도와 ‘5극 3특’ 추진으로 국토균형발전을 이루겠습니다.
7. 노동이 존중받고 모든 사람의 권리가 보장되는 사회를 만들겠습니다.
8. 생활안정으로 아동‧청년‧어르신 등 모두가
잘사는 나라를 만들겠습니다.
9. 저출생‧고령화 위기를 극복하고 아이부터 어르신까지 함께 돌보는 국가를 만들겠습니다.
10. 미래세대를 위해 기후위기에 적극 대응하겠습니다.


16.05.202505:09
🔷 알래스카 LNG 콘퍼런스, 수소·LNG 전방 확대… 원일티엔아이 핵심 수혜주 부각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 핵심 요약
① 美 에너지부 주최 ‘알래스카 LNG·에너지 콘퍼런스’, 6월 2~5일 개최
② LNG, 수소, CCUS, ESS 등 원일티엔아이 주력 기술과 완전 일치
③ 북극 에너지 개발·저탄소 연료·수소 활용 등은 향후 기자재 공급 확대와 연결
④ 수소개질기·저장합금·기화설비 모두 실제 상용화 기술로 국내 독점 공급
⸻
📌 콘퍼런스 주요 이슈 & 원일티엔아이 연결 포인트
✅ Day 0: 북극지역 에너지 파트너십
• 알래스카 북극권 가스 개발 및 액화 → 기화설비 필요
• → 원일티엔아이의 SCV(고압연소식기화기), BOG 재액화기 등 LNG 설비 기술 직결
✅ Day 1: 수소·암모니아 등 친환경 연료
• 육·해상 수소 연료 인프라 확대 논의
• → 당사의 수소개질기(블루수소 생산)와 수소저장합금 솔루션과 맞물림
✅ Day 2: CCUS 및 석유·가스의 미래 전력화
• 탄소포집 연계형 개질기 및 LNG 수요 지속 전망
• → 원일티엔아이, 탄소포집 가능 개질기 실증 완료 (평택)
• → 당진시 6월 수주 예정… 블루수소 인프라 확대 수혜
✅ Day 3: 에너지저장(ESS)
• 배터리 외 대체 기술로 수소기반 H-ESS 주목
• → 원일티엔아이, 수소저장합금을 활용한 군용 H-ESS 개발 진행 중
⸻
📌 결론: 방향성 일치 + 실적 가시성
• 원일티엔아이는 단순 컨셉주가 아니라, 이미 실증 및 납품 실적을 보유한 ‘실체 기업’
• 수소 및 LNG 기반 글로벌 인프라 확장 흐름과 완벽히 궤를 같이함
• IPO 이후 설비 증설 통해 수소 CAPEX 구간 진입 → 정책+실적 동시 수혜 기대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 핵심 요약
① 美 에너지부 주최 ‘알래스카 LNG·에너지 콘퍼런스’, 6월 2~5일 개최
② LNG, 수소, CCUS, ESS 등 원일티엔아이 주력 기술과 완전 일치
③ 북극 에너지 개발·저탄소 연료·수소 활용 등은 향후 기자재 공급 확대와 연결
④ 수소개질기·저장합금·기화설비 모두 실제 상용화 기술로 국내 독점 공급
⸻
📌 콘퍼런스 주요 이슈 & 원일티엔아이 연결 포인트
✅ Day 0: 북극지역 에너지 파트너십
• 알래스카 북극권 가스 개발 및 액화 → 기화설비 필요
• → 원일티엔아이의 SCV(고압연소식기화기), BOG 재액화기 등 LNG 설비 기술 직결
✅ Day 1: 수소·암모니아 등 친환경 연료
• 육·해상 수소 연료 인프라 확대 논의
• → 당사의 수소개질기(블루수소 생산)와 수소저장합금 솔루션과 맞물림
✅ Day 2: CCUS 및 석유·가스의 미래 전력화
• 탄소포집 연계형 개질기 및 LNG 수요 지속 전망
• → 원일티엔아이, 탄소포집 가능 개질기 실증 완료 (평택)
• → 당진시 6월 수주 예정… 블루수소 인프라 확대 수혜
✅ Day 3: 에너지저장(ESS)
• 배터리 외 대체 기술로 수소기반 H-ESS 주목
• → 원일티엔아이, 수소저장합금을 활용한 군용 H-ESS 개발 진행 중
⸻
📌 결론: 방향성 일치 + 실적 가시성
• 원일티엔아이는 단순 컨셉주가 아니라, 이미 실증 및 납품 실적을 보유한 ‘실체 기업’
• 수소 및 LNG 기반 글로벌 인프라 확장 흐름과 완벽히 궤를 같이함
• IPO 이후 설비 증설 통해 수소 CAPEX 구간 진입 → 정책+실적 동시 수혜 기대
17.05.202504:34
🔷 딥엑스, GPU 대체할 초저전력 AI칩 공개
https://naver.me/GhSC6bum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요약
① 딥엑스가 ‘2025 국제인공지능대전’에서 초저전력 AI 반도체 전략 발표
② GPU 대비 60분의 1 전력으로 동급 이상의 AI 추론 성능 구현 가능
③ 25TOPS 성능을 단 4.5W 소비 전력으로 실현, 팬리스 환경에서도 작동
④ 온디바이스 AI 필요성 7가지 제시: 자율화, 무인화, 개인화, 프라이버시 등
⑤ 자율주행차, CCTV, 로봇 등 실장된 상용 데모 공개
⑥ LG유플러스와 스몰 LLM 협력 사례 소개, 클라우드 대비 효율 강조
⑦ 발열은 35도 수준으로 유지, 산업·군사 등 적용 가능성 큼
⑧ 현대차·삼성·포스코·LG전자 등과 협력 중, 특허 340건 보유
⑨ CES 혁신상·대통령 표창 수상, 글로벌 300여 개 기업과 파트너십
⑩ 관련주: 아이텍, 아주IB투자 딥엑스 관련 투자·수혜 기대
https://naver.me/GhSC6bum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요약
① 딥엑스가 ‘2025 국제인공지능대전’에서 초저전력 AI 반도체 전략 발표
② GPU 대비 60분의 1 전력으로 동급 이상의 AI 추론 성능 구현 가능
③ 25TOPS 성능을 단 4.5W 소비 전력으로 실현, 팬리스 환경에서도 작동
④ 온디바이스 AI 필요성 7가지 제시: 자율화, 무인화, 개인화, 프라이버시 등
⑤ 자율주행차, CCTV, 로봇 등 실장된 상용 데모 공개
⑥ LG유플러스와 스몰 LLM 협력 사례 소개, 클라우드 대비 효율 강조
⑦ 발열은 35도 수준으로 유지, 산업·군사 등 적용 가능성 큼
⑧ 현대차·삼성·포스코·LG전자 등과 협력 중, 특허 340건 보유
⑨ CES 혁신상·대통령 표창 수상, 글로벌 300여 개 기업과 파트너십
⑩ 관련주: 아이텍, 아주IB투자 딥엑스 관련 투자·수혜 기대
10.05.202500:39
🔷 K-조선, 세계 최고 액화수소 운반선 개발 착수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결론 요약
① 한국이 세계 최대 규모의 액화수소 운반선 실증선 개발에 착수하며 조선산업의 새로운 초격차 경쟁력을 확보하려 함.
② 정부는 2027년까지 실증선 건조 목표, 총 555억 원 투자.
③ 관련 기술 및 기자재 기업들에 중장기 수혜 가능성.
📌 핵심 내용 요약
① 사업 개요 및 배경
산업통상자원부는 2025년 5월 9일 부산 벡스코에서 ‘액화수소 운반선 민관 합동 추진단’을 공식 출범.
액화수소 운반선은 영하 253도에서 수소를 액화시켜 운송하는 고난도 기술 선박으로, 현재까지 상용화된 대형 선박은 없음.
수소 부피를 800분의 1로 줄여 기존보다 10배 이상 운송 효율을 높일 수 있음.
② 산업부 전략 및 계획
2023년 발표된 ‘액화수소 운반선 초격차 선도전략’에 따라 3대 전략 추진:
① 핵심 소재·부품·장비 원천기술 확보
② 실증 및 대형화 추진
③ 민관 협업체계 구축
총 555억 원 투입해 2027년까지 세계 최대 규모 실증선 건조 목표.
101개 기관 참여, 43개 R&D 과제 동시 진행 중.
③ 기술 중요성 및 기대효과
LNG선 이후 한국 조선업의 차세대 먹거리로 평가.
기술 난이도 매우 높지만, 글로벌 선도 기술력 확보 시 ‘글로벌 스탠다드’로 자리 잡을 가능성.
📌 관련 수혜 기업 및 업종
① 조선 3사 (대형 선박 건조)
현대중공업 (한국조선해양, 현대미포조선)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한화오션)
→ 대형 액화가스 운반선 건조 경험과 인프라 보유.
② 액화수소 저장 및 운송 관련 기자재
한온시스템: 초저온 냉각 기술 관련 가능성.
에스퓨얼셀, 두산퓨얼셀: 수소 기반 기자재 및 인프라 경험 보유.
효성중공업, 일진하이솔루스: 수소 저장용기, 튜브트레일러 등 제조.
③ 특수강·소재·밸브 기업
세아제강, 티에스아이, 대양전기공업 등
→ 초저온용 특수강·배관 시스템 수혜 가능성.
④ 엔지니어링·R&D 서비스
현대글로비스, 선박 설계 전문업체들: 기술 실증, 운송로 구축 등 관련.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결론 요약
① 한국이 세계 최대 규모의 액화수소 운반선 실증선 개발에 착수하며 조선산업의 새로운 초격차 경쟁력을 확보하려 함.
② 정부는 2027년까지 실증선 건조 목표, 총 555억 원 투자.
③ 관련 기술 및 기자재 기업들에 중장기 수혜 가능성.
📌 핵심 내용 요약
① 사업 개요 및 배경
산업통상자원부는 2025년 5월 9일 부산 벡스코에서 ‘액화수소 운반선 민관 합동 추진단’을 공식 출범.
액화수소 운반선은 영하 253도에서 수소를 액화시켜 운송하는 고난도 기술 선박으로, 현재까지 상용화된 대형 선박은 없음.
수소 부피를 800분의 1로 줄여 기존보다 10배 이상 운송 효율을 높일 수 있음.
② 산업부 전략 및 계획
2023년 발표된 ‘액화수소 운반선 초격차 선도전략’에 따라 3대 전략 추진:
① 핵심 소재·부품·장비 원천기술 확보
② 실증 및 대형화 추진
③ 민관 협업체계 구축
총 555억 원 투입해 2027년까지 세계 최대 규모 실증선 건조 목표.
101개 기관 참여, 43개 R&D 과제 동시 진행 중.
③ 기술 중요성 및 기대효과
LNG선 이후 한국 조선업의 차세대 먹거리로 평가.
기술 난이도 매우 높지만, 글로벌 선도 기술력 확보 시 ‘글로벌 스탠다드’로 자리 잡을 가능성.
📌 관련 수혜 기업 및 업종
① 조선 3사 (대형 선박 건조)
현대중공업 (한국조선해양, 현대미포조선)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한화오션)
→ 대형 액화가스 운반선 건조 경험과 인프라 보유.
② 액화수소 저장 및 운송 관련 기자재
한온시스템: 초저온 냉각 기술 관련 가능성.
에스퓨얼셀, 두산퓨얼셀: 수소 기반 기자재 및 인프라 경험 보유.
효성중공업, 일진하이솔루스: 수소 저장용기, 튜브트레일러 등 제조.
③ 특수강·소재·밸브 기업
세아제강, 티에스아이, 대양전기공업 등
→ 초저온용 특수강·배관 시스템 수혜 가능성.
④ 엔지니어링·R&D 서비스
현대글로비스, 선박 설계 전문업체들: 기술 실증, 운송로 구축 등 관련.
19.05.202508:43
🔷 프로텍 기업탐방
10 년전에도 탐방 다녀왔고
작년에도 탐방
올해도 다시 탐방
벌써 3번째 방문하는 회사
올해는 신규장비 납품과 수주가 있습니다
잘하면 제2의 한미반도체와 같은
본딩장비를 공급하는 업체가 나타날 수도 있어 보이네요
물론 이쪽은 비메모리반도체
향이라서 약간 결은 달라요
여튼 신규 레이저본딩장비에
주목 하라는 것
자세한 내용은
탐방보고서 업로드 됩니다
10 년전에도 탐방 다녀왔고
작년에도 탐방
올해도 다시 탐방
벌써 3번째 방문하는 회사
올해는 신규장비 납품과 수주가 있습니다
잘하면 제2의 한미반도체와 같은
본딩장비를 공급하는 업체가 나타날 수도 있어 보이네요
물론 이쪽은 비메모리반도체
향이라서 약간 결은 달라요
여튼 신규 레이저본딩장비에
주목 하라는 것
자세한 내용은
탐방보고서 업로드 됩니다
19.05.202501:18
🔷 엠플러스, 건식 공정 도입으로 기술 고도화… 연매출 50% 이상 성장 목표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요약
① 엠플러스는 건식 전극 공정 및 초고속 노칭 장비 등 기술 고도화를 기반으로 수익성 중심 경영 전략 강화
② 연간 수주액 4개월 만에 전년도 수준 달성하며 실적 회복 기대
③ 2028년까지 연평균 매출 50% 이상 성장, 매출 7000억원 달성 목표
📌 기술 및 사업 전략
① 엠플러스는 기존의 고온·고압 습식 공정을 대체하는 건식 전극 공정용 롤프레스 장비를 자체 개발
② 초고속 노칭 장비는 분당 600매(ppm) 속도로 생산성을 높이고, CAPEX 70%·OPEX 30% 절감 효과
③ 전극 자동 공급 장치는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감소
④ 자율이동로봇(AMR) 기반 스마트 팩토리 도입 예정. 턴키 수주 시 AMR 포함 공급 계획
📌 시장 수요 회복 및 실적 동향
① 전기차 수요 둔화로 2024년 매출 1,287억(-62%), 영업익 101억(-58%) 급감
② 그러나 2025년 1분기 매출 232억(+7.6%), 영업익 24억(-17%)로 반등 조짐
③ 2025년 4월 말 기준 누적 수주 744억원, 전년도 전체 수주액을 이미 달성
📌 중장기 성장 전략
① 2027년 청주 신공장 완공 목표 → 본사 및 기존 공장 통합, 생산능력 2배 확대
② 기술 장벽 높은 탭웰딩·패키징 강화, 고속 노칭·스태킹 장비 점유율 확대
③ 2028년까지 연매출 7000억원, 연평균 50% 성장 계획
📌 재무 전략 및 주주환원정책
① 2027년까지 배당성향 최소 10% 유지, 2024년 상반기 내 자사주 10억원 소각 예정
② 남은 자사주 33.5만 주도 추가 매입 및 소각 계획
③ 2023년 10월 발행한 전환사채(CB) 전환가 1만656원 → 현재 주가 대비 30% 이상 높은 상황
④ CB 풋옵션 리스크 존재, 그러나 현금성 자산 569억원 보유로 자금 유동성 방어 중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요약
① 엠플러스는 건식 전극 공정 및 초고속 노칭 장비 등 기술 고도화를 기반으로 수익성 중심 경영 전략 강화
② 연간 수주액 4개월 만에 전년도 수준 달성하며 실적 회복 기대
③ 2028년까지 연평균 매출 50% 이상 성장, 매출 7000억원 달성 목표
📌 기술 및 사업 전략
① 엠플러스는 기존의 고온·고압 습식 공정을 대체하는 건식 전극 공정용 롤프레스 장비를 자체 개발
② 초고속 노칭 장비는 분당 600매(ppm) 속도로 생산성을 높이고, CAPEX 70%·OPEX 30% 절감 효과
③ 전극 자동 공급 장치는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감소
④ 자율이동로봇(AMR) 기반 스마트 팩토리 도입 예정. 턴키 수주 시 AMR 포함 공급 계획
📌 시장 수요 회복 및 실적 동향
① 전기차 수요 둔화로 2024년 매출 1,287억(-62%), 영업익 101억(-58%) 급감
② 그러나 2025년 1분기 매출 232억(+7.6%), 영업익 24억(-17%)로 반등 조짐
③ 2025년 4월 말 기준 누적 수주 744억원, 전년도 전체 수주액을 이미 달성
📌 중장기 성장 전략
① 2027년 청주 신공장 완공 목표 → 본사 및 기존 공장 통합, 생산능력 2배 확대
② 기술 장벽 높은 탭웰딩·패키징 강화, 고속 노칭·스태킹 장비 점유율 확대
③ 2028년까지 연매출 7000억원, 연평균 50% 성장 계획
📌 재무 전략 및 주주환원정책
① 2027년까지 배당성향 최소 10% 유지, 2024년 상반기 내 자사주 10억원 소각 예정
② 남은 자사주 33.5만 주도 추가 매입 및 소각 계획
③ 2023년 10월 발행한 전환사채(CB) 전환가 1만656원 → 현재 주가 대비 30% 이상 높은 상황
④ CB 풋옵션 리스크 존재, 그러나 현금성 자산 569억원 보유로 자금 유동성 방어 중
09.05.202504:32
🔷 더블유에스아이 자회사 이지메디봇, '바이오 코리아 2025' 피칭 참가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요약
① 더블유에스아이 자회사 이지메디봇, ‘바이오 코리아 2025’에서 자궁거상기 ‘유봇(U-BOT)’ 개발 현황 발표.
② 행사에는 초격차 스타트업으로 선정된 기업들이 투자자 대상 피칭 진행.
③ 글로벌 제약사와 국내외 200여 바이오기업 참여, 투자 및 협업 기회 모색의 장.
📌 발표 내용 및 제품 특징
① *유봇(U-BOT)*은 자궁거상기 의료로봇으로, 이지메디봇이 독자 개발 중인 제품.
② 김수영 연구소장이 개발 진행 상황과 출시 계획 소개.
③ 국내외 투자자들로부터 주목받으며 초기 시장 관심 확인.
📌 행사 개요 및 의미
① '바이오 코리아 2025'는 국내 최대 바이오산업 교류 행사로, 충청북도와 보건산업진흥원이 공동 주최.
② 올해 20회째 개최, 존슨앤존슨, 화이자 등 다수 글로벌 기업 참가.
③ 총 118개 초격차 바이오 스타트업이 참가하여 피칭 및 네트워킹 진행.
📌 향후 계획 및 입장
① 회사는 유봇을 앞세워 의료 로봇 중심의 글로벌 시장 공략을 예고.
② 관계자 “유봇에 대한 시장 관심 확인…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 입지 확대하겠다”는 입장 밝혀.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요약
① 더블유에스아이 자회사 이지메디봇, ‘바이오 코리아 2025’에서 자궁거상기 ‘유봇(U-BOT)’ 개발 현황 발표.
② 행사에는 초격차 스타트업으로 선정된 기업들이 투자자 대상 피칭 진행.
③ 글로벌 제약사와 국내외 200여 바이오기업 참여, 투자 및 협업 기회 모색의 장.
📌 발표 내용 및 제품 특징
① *유봇(U-BOT)*은 자궁거상기 의료로봇으로, 이지메디봇이 독자 개발 중인 제품.
② 김수영 연구소장이 개발 진행 상황과 출시 계획 소개.
③ 국내외 투자자들로부터 주목받으며 초기 시장 관심 확인.
📌 행사 개요 및 의미
① '바이오 코리아 2025'는 국내 최대 바이오산업 교류 행사로, 충청북도와 보건산업진흥원이 공동 주최.
② 올해 20회째 개최, 존슨앤존슨, 화이자 등 다수 글로벌 기업 참가.
③ 총 118개 초격차 바이오 스타트업이 참가하여 피칭 및 네트워킹 진행.
📌 향후 계획 및 입장
① 회사는 유봇을 앞세워 의료 로봇 중심의 글로벌 시장 공략을 예고.
② 관계자 “유봇에 대한 시장 관심 확인…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 입지 확대하겠다”는 입장 밝혀.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