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
Brain and Body Research
TGlist rating
0
0
TypePublic
Verification
Not verifiedTrust
Not trustedLocation
LanguageOther
Channel creation dateMar 21, 2023
Added to TGlist
Sep 09, 2024Subscribers
33 044
24 hours
20%Week
420.1%Month
3351%
Citation index
0
Mentions1Shares on channels0Mentions on channels1
Average views per post
6 032
12 hours2 5100%24 hours6 032
198.3%48 hours2 022
27.7%
Engagement rate (ER)
1.43%
Reposts34Comments0Reactions33
Engagement rate by reach (ERR)
7.6%
24 hours
1.48%Week
0.02%Month
1.82%
Average views per ad post
2 073
1 hour1 63578.87%1 – 4 hours21510.37%4 - 24 hours3 557171.59%
Total posts in 24 hours
19
Dynamic
18
Latest posts in group "Brain and Body Research"
25.04.202505:29
신약개발에서의 AI 활용 (한국바이오협회)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25.04.202505:28
신약개발에서의 AI 활용 (한국바이오협회)
최근 AI는 사회 전 분야에 걸쳐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며, 주목할 점은 신약 개발 분야에서 활용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신약개발은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으로, 신약 개발자의 경험과 시행착오 실험에 의존해 왔으나, 머신러닝(ML)을 통한 인공지능(AI) 적용은 신약개발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 질병 표적 식별, 신약 개발, 전임상 및 임상 연구, 시판 후 안전관리까지 AI 기술의 용도가 확대되고 있다.
신약개발에서 AI 활용 시장현황 및 역할
MARKETSANDMARKETS에 따르면, 신약개발에서 AI 활용에 대한 글로벌 시장은 2024년 18억 6,000만 달러에서 연평균 29.9% 성장률로 2029년 68억 9,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북미, 유럽, 아시아 태평양, 라틴 아메리아, 중동 및 아프리카의 5개 주요 지역에서 연구되고 있으며, 특히 북미에서 2023년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AI를 포함한 의료기술에 대한 투자 증가, 환자 중심의 맞춤형 의약품 수요 증가, 신약 개발 비용 및 시간절감, 희귀질환 연구에 대한 집중 중요성 증가와 같은 요인으로 신약개발 시장에서 AI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최근 실사용데이터(Real World Data, RWD)*를 기반으로 한 실사용증거(Real-World Evidence, RWE)**와 AI 융합이 신약 개발의 모든 단계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여러 제약사와 RWE 기업이 협력하여 더 효과적인 임상시험 설계, 시험 등록 개선, 신약 시장 진입 시간 단축을 목표로 새로운 플랫폼을 도입하고 있다. 전 세계 규제 기관들은 RWE의 규제 제출을 적극 지원하고 있으며, 시장 진입과 정밀의료의 상용화를 추진하는데 RWE 통합은 필수적이다. RWE는 치료 효과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 환자의 장기적 평가, 제품의 가치 제안 검증을 가능하게 하여 규제 승인 및 시장 진입과 대규모 상업화를 추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미국 FDA는 23년 1월에 '의약품 및 생물학적 제제에 대한 규제 의사 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RWD·RWE 사용 시 고려 사항' 지침을 마련하고 데이터 접근 및 안전성 모니터링에 대한 권장 사항을 발표했으며, 유럽 의약품청(EMA)은 RWE의 규제 제출 시 RWE 활용에 대한 연구리뷰를 발표하였다.
*RWD : 다양한 출처에서 정기적으로 수집되는 환자의 건강 상태 및/또는 의료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데이터로, RWD의 예로는 전자 건강 기록에서 파생된 데이터, 의료 청구 데이터, 제품 또는 질병 레지스트리의 데이터, 건강 상태를 알 수 있는 기타 소스(예: 디지털 건강 기술)에서 수집된 데이터 등이 있음.
**RWE : RWD 분석에서 파생된 의료 제품의 사용 및 잠재적 이점 또는 위험에 대한 임상 증거임.
글로벌 현황
AI 기반의 신약개발을 위해 일라이 릴리, 화이자, 머크 등 대형 제약사들 뿐만 아니라 스타트업에서도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에는 LinkedIn(링크드인) 공동 창립자이자 벤처 캐피털리스트인 리드 호프만(Reid Hoffman)은 저명한 종양 전문의이자 퓰리처상 수상 작가인 싯다르타 무케르지(Siddhartha Mukherjee) 박사와 함께 2025년 1월 신약개발 스타트업 Manas AI를 출범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에서 AI 리더십 계획을 발표하며, AI 2.0은 경제 및 전략 성장의 초석으로 우선시되고 있다. 미국 제조업 활성화, 국가 안보 강화 뿐 아니라 의료혁신에 대한 계획을 발표하였다. AI를 사용하여 약물 개발을 가속화하고, 진단을 개선하고, 의료 비용을 절감하겠다는 계획이다.
국내 동향
국내 제약사 중에는 JW중외제약·대웅제약 등이 자체적으로 인공지능 관련 플랫폼·시스템을 구축하며 신약 연구개발에 나서고 있다1. JW중외제약은 인공지능 기반 신약 R&D 통합 플랫폼 '제이웨이브(JWave)'를 본격적으로 가동했다. 제이웨이브는 빅데이터 기반 약물 탐색 시스템 '주얼리'와 '클로버'를 통합해, AI 모델 적용 범위를 확장한 플랫폼이며, 그 주요 역할은 질병을 일으키는 단백질에 작용하는 유효 약물 탐색, 선도물질 최적화를 통한 신약 후보물질 발굴 등이다. 대웅제약은 AI 신약 R&D 시스템 '데이지(DAISY)'를 구축했다. 데이지는 주요 화합물 8억종 분자 모델을 전처리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신약 후보물질 발굴 과정을 돕고, 후보물질 최적화 단계까지 걸리는 기간을 줄이는 시스템이다. DAISY에서 주목할 도구는 신약 후보물질을 탐색하는 AIVS(AI based Virtual Screening)다. 대웅제약은 AIVS를 활용해 표적 단백질에 작용하는 활성물질을 찾을 수 있으며, 3D 모델링으로 동일한 화학적 특성을 보인 새로운 활성물질을 발굴한다고 밝혔다.
국가바이오위원회가 출범하면서, 신약 개발 인공지능(AI) 구축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AI를 활용한 의약품 개발 및 제품화를 지원하기 위해, 규제과학 전문성을 바탕으로 '의약품 개발 시 인공지능 활용 안내서'와 '인공지능 활용 의약품 개발 사례집'을 2024년 상·하반기에 각각 발간했다.
M&A 현황
5년간(‘20~’24) 헬스케어 AI M&A 거래 가치는 600억 달러를 돌파했으며, 선두 기업들은 AI 협력을 위해 적어도 1개 이상의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거래 건수 및 가치는 ▲2020년 41건·50억 달러 ▲2021년 54건·164억 달러 ▲2022년 77건·155억 달러 ▲2023년 55건·139억 달러 ▲2024년 87건·136억 달러 등이다. ‘24년에 AI M&A 거래 건수가 가장 많았으며, 가장 큰 관련 M&A는 ‘24년 8월 Recursion Pharmaceuticals가 Exscientia를 7억 1,200만 달러에 인수한 사례이다.
맺음말
2024년 노벨 화학상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예측하고 설계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한 과학자 3명에게 돌아갔다.
그러나, AI로 신약개발을 하기까지 아직 남은 과제는 있다. 신약은 보통 단백질 하나로 이뤄져 있지 않고, 단백질을 비롯한 여러 물질이 뭉친 화합물이다. 신약을 개발하려면 AI가 설계한 단백질이 다른 물질과 어떤 상호작용을 하는지, 화합물이 신체에 들어갔을 때 어떤 효과를 내는지 등에 대해서도 예측하기 어려운 한계점이 있는 것이다. 현재 바이오 분야에서 AI를 활발하게 활용하고 있는 분야는 인공지능의 장점을 살릴 수 있도록, 인공지능의 주요 프로세스인 데이터 학습을 위한 데이터 input과 output이 빠른 이미지, 영상으로 진단하는 의료제품 등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즉, 학습 데이터를 통해 인공지능이 도출한 결과(예컨대, 신약 후보물질이 될 수 있는 화합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 real 세계에서의 실험이 필요하며, 해당 화합물 합성, 세포 실험, 동물 실험 등에 많은 시간이 필요한 신약개발에서의 AI 적용은 아직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들이 있는 것이다.
최근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NVIDIA)는 인체 데이터 셋을 활용해 신약 개발용 AI 파운데이션 모델 ‘바이오니모(BioNEMO)’를 공개하였다. 제공된 클라우드 서비스로 제약기업들은 자체 데이터로 파인튜닝(미세조정)을 하여 목적에 맞는 AI 모델을 개발하고 도움을 얻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파운데이션 모델을 통해 각 기업에서 각자 상황과 목적에 맞는 신약개발 AI 모델을 구축해 나아가면, 신약개발 AI 활용 변화가 가속화되지 않을까 기대한다.
최근 AI는 사회 전 분야에 걸쳐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며, 주목할 점은 신약 개발 분야에서 활용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신약개발은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으로, 신약 개발자의 경험과 시행착오 실험에 의존해 왔으나, 머신러닝(ML)을 통한 인공지능(AI) 적용은 신약개발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 질병 표적 식별, 신약 개발, 전임상 및 임상 연구, 시판 후 안전관리까지 AI 기술의 용도가 확대되고 있다.
신약개발에서 AI 활용 시장현황 및 역할
MARKETSANDMARKETS에 따르면, 신약개발에서 AI 활용에 대한 글로벌 시장은 2024년 18억 6,000만 달러에서 연평균 29.9% 성장률로 2029년 68억 9,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북미, 유럽, 아시아 태평양, 라틴 아메리아, 중동 및 아프리카의 5개 주요 지역에서 연구되고 있으며, 특히 북미에서 2023년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AI를 포함한 의료기술에 대한 투자 증가, 환자 중심의 맞춤형 의약품 수요 증가, 신약 개발 비용 및 시간절감, 희귀질환 연구에 대한 집중 중요성 증가와 같은 요인으로 신약개발 시장에서 AI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최근 실사용데이터(Real World Data, RWD)*를 기반으로 한 실사용증거(Real-World Evidence, RWE)**와 AI 융합이 신약 개발의 모든 단계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여러 제약사와 RWE 기업이 협력하여 더 효과적인 임상시험 설계, 시험 등록 개선, 신약 시장 진입 시간 단축을 목표로 새로운 플랫폼을 도입하고 있다. 전 세계 규제 기관들은 RWE의 규제 제출을 적극 지원하고 있으며, 시장 진입과 정밀의료의 상용화를 추진하는데 RWE 통합은 필수적이다. RWE는 치료 효과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 환자의 장기적 평가, 제품의 가치 제안 검증을 가능하게 하여 규제 승인 및 시장 진입과 대규모 상업화를 추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미국 FDA는 23년 1월에 '의약품 및 생물학적 제제에 대한 규제 의사 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RWD·RWE 사용 시 고려 사항' 지침을 마련하고 데이터 접근 및 안전성 모니터링에 대한 권장 사항을 발표했으며, 유럽 의약품청(EMA)은 RWE의 규제 제출 시 RWE 활용에 대한 연구리뷰를 발표하였다.
*RWD : 다양한 출처에서 정기적으로 수집되는 환자의 건강 상태 및/또는 의료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데이터로, RWD의 예로는 전자 건강 기록에서 파생된 데이터, 의료 청구 데이터, 제품 또는 질병 레지스트리의 데이터, 건강 상태를 알 수 있는 기타 소스(예: 디지털 건강 기술)에서 수집된 데이터 등이 있음.
**RWE : RWD 분석에서 파생된 의료 제품의 사용 및 잠재적 이점 또는 위험에 대한 임상 증거임.
글로벌 현황
AI 기반의 신약개발을 위해 일라이 릴리, 화이자, 머크 등 대형 제약사들 뿐만 아니라 스타트업에서도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에는 LinkedIn(링크드인) 공동 창립자이자 벤처 캐피털리스트인 리드 호프만(Reid Hoffman)은 저명한 종양 전문의이자 퓰리처상 수상 작가인 싯다르타 무케르지(Siddhartha Mukherjee) 박사와 함께 2025년 1월 신약개발 스타트업 Manas AI를 출범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에서 AI 리더십 계획을 발표하며, AI 2.0은 경제 및 전략 성장의 초석으로 우선시되고 있다. 미국 제조업 활성화, 국가 안보 강화 뿐 아니라 의료혁신에 대한 계획을 발표하였다. AI를 사용하여 약물 개발을 가속화하고, 진단을 개선하고, 의료 비용을 절감하겠다는 계획이다.
국내 동향
국내 제약사 중에는 JW중외제약·대웅제약 등이 자체적으로 인공지능 관련 플랫폼·시스템을 구축하며 신약 연구개발에 나서고 있다1. JW중외제약은 인공지능 기반 신약 R&D 통합 플랫폼 '제이웨이브(JWave)'를 본격적으로 가동했다. 제이웨이브는 빅데이터 기반 약물 탐색 시스템 '주얼리'와 '클로버'를 통합해, AI 모델 적용 범위를 확장한 플랫폼이며, 그 주요 역할은 질병을 일으키는 단백질에 작용하는 유효 약물 탐색, 선도물질 최적화를 통한 신약 후보물질 발굴 등이다. 대웅제약은 AI 신약 R&D 시스템 '데이지(DAISY)'를 구축했다. 데이지는 주요 화합물 8억종 분자 모델을 전처리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신약 후보물질 발굴 과정을 돕고, 후보물질 최적화 단계까지 걸리는 기간을 줄이는 시스템이다. DAISY에서 주목할 도구는 신약 후보물질을 탐색하는 AIVS(AI based Virtual Screening)다. 대웅제약은 AIVS를 활용해 표적 단백질에 작용하는 활성물질을 찾을 수 있으며, 3D 모델링으로 동일한 화학적 특성을 보인 새로운 활성물질을 발굴한다고 밝혔다.
국가바이오위원회가 출범하면서, 신약 개발 인공지능(AI) 구축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AI를 활용한 의약품 개발 및 제품화를 지원하기 위해, 규제과학 전문성을 바탕으로 '의약품 개발 시 인공지능 활용 안내서'와 '인공지능 활용 의약품 개발 사례집'을 2024년 상·하반기에 각각 발간했다.
M&A 현황
5년간(‘20~’24) 헬스케어 AI M&A 거래 가치는 600억 달러를 돌파했으며, 선두 기업들은 AI 협력을 위해 적어도 1개 이상의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거래 건수 및 가치는 ▲2020년 41건·50억 달러 ▲2021년 54건·164억 달러 ▲2022년 77건·155억 달러 ▲2023년 55건·139억 달러 ▲2024년 87건·136억 달러 등이다. ‘24년에 AI M&A 거래 건수가 가장 많았으며, 가장 큰 관련 M&A는 ‘24년 8월 Recursion Pharmaceuticals가 Exscientia를 7억 1,200만 달러에 인수한 사례이다.
맺음말
2024년 노벨 화학상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예측하고 설계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한 과학자 3명에게 돌아갔다.
그러나, AI로 신약개발을 하기까지 아직 남은 과제는 있다. 신약은 보통 단백질 하나로 이뤄져 있지 않고, 단백질을 비롯한 여러 물질이 뭉친 화합물이다. 신약을 개발하려면 AI가 설계한 단백질이 다른 물질과 어떤 상호작용을 하는지, 화합물이 신체에 들어갔을 때 어떤 효과를 내는지 등에 대해서도 예측하기 어려운 한계점이 있는 것이다. 현재 바이오 분야에서 AI를 활발하게 활용하고 있는 분야는 인공지능의 장점을 살릴 수 있도록, 인공지능의 주요 프로세스인 데이터 학습을 위한 데이터 input과 output이 빠른 이미지, 영상으로 진단하는 의료제품 등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즉, 학습 데이터를 통해 인공지능이 도출한 결과(예컨대, 신약 후보물질이 될 수 있는 화합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 real 세계에서의 실험이 필요하며, 해당 화합물 합성, 세포 실험, 동물 실험 등에 많은 시간이 필요한 신약개발에서의 AI 적용은 아직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들이 있는 것이다.
최근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NVIDIA)는 인체 데이터 셋을 활용해 신약 개발용 AI 파운데이션 모델 ‘바이오니모(BioNEMO)’를 공개하였다. 제공된 클라우드 서비스로 제약기업들은 자체 데이터로 파인튜닝(미세조정)을 하여 목적에 맞는 AI 모델을 개발하고 도움을 얻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파운데이션 모델을 통해 각 기업에서 각자 상황과 목적에 맞는 신약개발 AI 모델을 구축해 나아가면, 신약개발 AI 활용 변화가 가속화되지 않을까 기대한다.
25.04.202505:05
🔠 아이쓰리시스템 🔠
시가총액 : 3,873억 (54,100원)
매출액/영업이익/지배주주순이익
22년 838억 / 57억 / 62억
23년 1,215억 / 122억 / 126억
24년 1,207억 / 148억 / 150억
25년F 1,319억 / 166억 / 157억
26년F 1,870억 / 350억 / 330억
2025년 4월 25일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수주잔고 업데이트
금일 아이쓰리시스템은 엘아이지넥스원으로부터 175억원 규모 보병용 중거리 유도무기(현궁) 체계 공급계약을 수주했으며, 이를 반영한 현재 수주잔고는 983억원입니다.
24년 사업보고서 기준 수주잔고는 808억원이며 이후 공시된 단일판매 공급계약은 1건입니다.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5900266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시가총액 : 3,873억 (54,100원)
매출액/영업이익/지배주주순이익
22년 838억 / 57억 / 62억
23년 1,215억 / 122억 / 126억
24년 1,207억 / 148억 / 150억
25년F 1,319억 / 166억 / 157억
26년F 1,870억 / 350억 / 330억
2025년 4월 25일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수주잔고 업데이트
금일 아이쓰리시스템은 엘아이지넥스원으로부터 175억원 규모 보병용 중거리 유도무기(현궁) 체계 공급계약을 수주했으며, 이를 반영한 현재 수주잔고는 983억원입니다.
24년 사업보고서 기준 수주잔고는 808억원이며 이후 공시된 단일판매 공급계약은 1건입니다.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5900266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Reposted from:
AWAKE 플러스

25.04.202504:30
📌 아이쓰리시스템(시가총액: 3,788억)
📁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2025.04.25 13:26:57 (현재가 : 53,300원, 0%)
계약상대 : 엘아이지넥스원(주)
계약내용 : 보병용 중거리 유도무기(현궁) 체계 공급계약
공급지역 : 대한민국
계약금액 : 175억
계약시작 : 2025-02-25
계약종료 : 2026-08-28
계약기간 : 1년 6개월
매출대비 : 14.5%
기간감안 : 9.67%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5900266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14430
📁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2025.04.25 13:26:57 (현재가 : 53,300원, 0%)
계약상대 : 엘아이지넥스원(주)
계약내용 : 보병용 중거리 유도무기(현궁) 체계 공급계약
공급지역 : 대한민국
계약금액 : 175억
계약시작 : 2025-02-25
계약종료 : 2026-08-28
계약기간 : 1년 6개월
매출대비 : 14.5%
기간감안 : 9.67%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5900266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14430
25.04.202502:06
🪖 빅텍 🪖
시가총액 : 1,162억 (4,050원)
매출액/영업이익/지배주주순이익
22년 744억 / 17억 / -2억
23년 549억 / -43억 / -42억
24년 715억 / 18억 / 38억
기관 추정치 없음
2025년 4월 25일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수주잔고 업데이트
금일 빅텍은 한화시스템으로부터 326억원 규모 L-SAM MFR 초도양산(전원공급장치 등)을 수주했으며, 이를 반영한 현재 수주잔고는 1,845억원입니다.
24년 사업보고서 기준 수주잔고는 1,268억원이며 이후 공시된 단일판매 공급계약은 4건입니다.
역대 최대 수주잔고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5900155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시가총액 : 1,162억 (4,050원)
매출액/영업이익/지배주주순이익
22년 744억 / 17억 / -2억
23년 549억 / -43억 / -42억
24년 715억 / 18억 / 38억
기관 추정치 없음
2025년 4월 25일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수주잔고 업데이트
금일 빅텍은 한화시스템으로부터 326억원 규모 L-SAM MFR 초도양산(전원공급장치 등)을 수주했으며, 이를 반영한 현재 수주잔고는 1,845억원입니다.
24년 사업보고서 기준 수주잔고는 1,268억원이며 이후 공시된 단일판매 공급계약은 4건입니다.
역대 최대 수주잔고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5900155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Reposted from:
AWAKE 플러스

25.04.202501:50
📌 빅텍(시가총액: 1,145억)
📁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2025.04.25 10:42:35 (현재가 : 3,995원, 0%)
계약상대 :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계약내용 : L-SAM MFR 초도양산(전원공급장치 등)
공급지역 : 한화시스템 주식회사(구미)
계약금액 : 326억
계약시작 : 2025-04-24
계약종료 : 2028-01-03
계약기간 : 2년 8개월
매출대비 : 45.62%
기간감안 : 16.9%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5900155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65450
📁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2025.04.25 10:42:35 (현재가 : 3,995원, 0%)
계약상대 :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계약내용 : L-SAM MFR 초도양산(전원공급장치 등)
공급지역 : 한화시스템 주식회사(구미)
계약금액 : 326억
계약시작 : 2025-04-24
계약종료 : 2028-01-03
계약기간 : 2년 8개월
매출대비 : 45.62%
기간감안 : 16.9%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5900155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65450
25.04.202501:50
미국에서 제2의 전성기 맞은 K-뷰티
BB크림, 달팽이크림으로 미국서 붐 일으켰던 K-뷰티
온라인 중심 유통망 확대와 소셜미디어 마케팅으로 '24년 미 최대 화장품 수입국으로 부상
지난해 K-뷰티는 미국 시장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뤄냈다. 2024년 한국은 미국 화장품 수입 시장에서 오랜 기간 1위를 지켜온 프랑스를 제치고 선두에 올랐다. 미국 시장에서 K-뷰티 붐을 일으킨 지 10여 년 만이다. 한국 화장품 대미 수출은 2416만 달러를 기록한 2006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세를 이어왔다. 마스크팩과 BB크림, 달팽이 크림 같은 특정 제품이 미국 시장에서 크게 주목을 받으며 미 소비자들에게 존재감을 알린 K-뷰티는 새롭고 혁신적인 제품을 찾는 MZ 세대를 공략하며 입지를 넓혀 나갔다.
한국, 미국으로의 화장품 최대 수출국으로 도약
지난해 한국의 화장품 대미 수출 규모는 전년 대비 54.3% 증가한 17억1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미국 화장품 수입시장 점유율은 전년보다 5.9%포인트 상승한 22.4%로 나타났다. 한국 화장품이 미 수입시장에서 1위에 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오랜 라이벌인 프랑스는 수출액이 전년 대비 9.6% 증가하는 데 그쳐 12억6300만 달러를 기록, 한국에 1위 자리를 내줬다.
K-뷰티, 온라인 유통 채널 강화 전략의 성공
최근 몇 년간 K-뷰티가 미국 시장에서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인 배경에는, 온라인 유통 채널을 통한 진출 확대가 핵심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 시장 조사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2020년 미국의 뷰티∙퍼스널케어 제품의 온라인 판매 비중은 전년 대비 9%포인트 넘게 증가한 26.2%를 기록했다. 이후 온라인 매출 비중은 꾸준히 늘어 지난 2023년 29%까지 성장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K-뷰티 브랜드들이 아마존 플랫폼을 효과적으로 이용해 미국 시장에 진출한 것이 중요한 성공전략이 됐다고 전했다.
모건스탠리는 오는 2025년까지 뷰티 부분에서 아마존의 시장 점유율은 14.5%로 증가해 월마트를 따라잡을 것으로 예상했다. 연회비 지불 고객에게 최저 주문금액 없이 이틀 만에 배송을 완료하는 편리성과 오픈마켓 방식을 통한 선택의 다양성, 실제 사용자의 리뷰 확인이 가능하다는 점은 뷰티 소비자에게 큰 매력으로 작용한다. CIRP의 아마존 프라임 회원 수 추정치는 2024년 현재 1억8010만 명으로 미국 소비자의 75%에 이른다.
아마존 플랫폼에서 성공한 대표적인 K-뷰티 브랜드로는 코스알엑스(COSRX)와 조선미녀를 꼽을 수 있다. 두 브랜드 모두 아마존에서 큰 화제를 모으며 일부 제품이 매진되기도 했다. 높은 품질과 합리적인 가격이 소비자 만족도로 이어진 덕분이다. 아마존에서 성공은 미국 시장에서 유통망을 넓히고, 브랜드 입지를 다지는 밑거름이 될 수 있다.
이밖에 올리브영 글로벌, 예스스타일 등 직구 플랫폼과 오롤리(Ohlolly), 스킨 큐피드(Skin Cupid) 같은 K-뷰티 전문 온라인 쇼핑몰, 코스트코, 타겟 등 미 대형 소매업체들도 온라인 채널을 통해 한국 화장품을 판매 중이다. 온라인을 중심으로 과거보다 K-뷰티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채널이 더욱 다양해지고 강화되고 있는 양상이다.
인디 뷰티 브랜드 트렌드와 소셜미디어의 파워
인디 뷰티(Indie Beauty) 브랜드는 인지도가 높은 메이저 브랜드가 아닌 독립적으로 태생해 독특한 브랜드 스토리와 철학, 개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브랜드 인지도보다 새롭고 혁신적인 제품을 찾는MZ세대를 중심으로 인디 뷰티 시장은 최근 수년간 빠른 속도로 성장했다. 닐슨IQ가 지난 2023년 발표한 보고서에서 인디 뷰티 브랜드는 가파른 성장을 기반으로 뷰티 시장의 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며, 시장 규모는 305억 달러로 전체 뷰티 카테고리의 32%를 차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또 인디 뷰티 매출의 연간 성장률이 15.7%로, 같은 기간 전체 뷰티 매출 증가율 9.9%을 상회했다고 전했다.
인디 뷰티 브랜드에 대한 높은 관심도는 미국 시장 내에서 K-뷰티가 주목받는 또 다른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간 뷰티 시장에서 보지 못했던 참신한 제품이 미국 소비자들의 니즈에 부합했다는 분석이다.
소셜미디어도 K-뷰티 성공 전략의 큰 축이다. 한국 화장품은 틱톡이나 인스타그램, 레딧 등에서 자주 언급되는 단골 소재다. 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은 대중의 눈길을 끌 만한 새로운 제품을 소개하거나 사용 후기 등을 비디오나 사진을 통해 공개하며 유저들과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일반인의 제품 사용 후기가 입소문을 타면서 구매로 이어지고 있다. 또 미국 내에서도 소셜미디어와 쇼핑 플랫폼을 결합한 소셜 쇼핑 시장도 성장하고 있어 미국 내 K-뷰티 시장의 성장에 있어 소셜미디어의 영향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전망 및 시사점
미국은 세계 최대 규모의 뷰티 시장으로 꼽힌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지난 2023년 미국 뷰티∙퍼스널케어 제품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7.7% 성장한 1191억5970만 달러에 이른다. 시장이 큰 만큼 전 세계 뷰티 브랜드의 치열한 각축장으로 여겨지는 미국에서 한국 화장품이 지속적인 성장을 통해 미 최대 수입국으로 부상한 것은 의미 있는 성과다. 특히 중소브랜드가 주도했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할 만하다.
미국 내 화장품 유통업계의 한 관계자는 KOTRA 뉴욕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 발표한 상호관세 조치가 90일 유예 되었으나 90일 이후에는 상황이 어떻게 바뀔지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25%의 상호관세는 확실히 화장품 유통업계에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한국뿐 아니라 주요 화장품 수입국 대부분이 상호관세 부과 대상국이라 한국 화장품이 현 위치에서 가격 경쟁력이 크게 흔들릴 것으로 우려되지는 않는다”면서도 “관세 부과로 전반적인 미국 내 물가 상승 압박이 더욱 커지고 이는 소비 위축으로 이어져 화장품 시장의 수요 약화로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국 수출 기업들은 온라인 플랫폼과 소셜미디어 등을 적극 활용한 진출 전략을 모색함과 동시에 현 관세 부과 상황 등을 면밀히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가격 정책 등을 수립할 수 있어야 한다.
[본문 링크]
BB크림, 달팽이크림으로 미국서 붐 일으켰던 K-뷰티
온라인 중심 유통망 확대와 소셜미디어 마케팅으로 '24년 미 최대 화장품 수입국으로 부상
지난해 K-뷰티는 미국 시장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뤄냈다. 2024년 한국은 미국 화장품 수입 시장에서 오랜 기간 1위를 지켜온 프랑스를 제치고 선두에 올랐다. 미국 시장에서 K-뷰티 붐을 일으킨 지 10여 년 만이다. 한국 화장품 대미 수출은 2416만 달러를 기록한 2006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세를 이어왔다. 마스크팩과 BB크림, 달팽이 크림 같은 특정 제품이 미국 시장에서 크게 주목을 받으며 미 소비자들에게 존재감을 알린 K-뷰티는 새롭고 혁신적인 제품을 찾는 MZ 세대를 공략하며 입지를 넓혀 나갔다.
한국, 미국으로의 화장품 최대 수출국으로 도약
지난해 한국의 화장품 대미 수출 규모는 전년 대비 54.3% 증가한 17억1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미국 화장품 수입시장 점유율은 전년보다 5.9%포인트 상승한 22.4%로 나타났다. 한국 화장품이 미 수입시장에서 1위에 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오랜 라이벌인 프랑스는 수출액이 전년 대비 9.6% 증가하는 데 그쳐 12억6300만 달러를 기록, 한국에 1위 자리를 내줬다.
K-뷰티, 온라인 유통 채널 강화 전략의 성공
최근 몇 년간 K-뷰티가 미국 시장에서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인 배경에는, 온라인 유통 채널을 통한 진출 확대가 핵심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 시장 조사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2020년 미국의 뷰티∙퍼스널케어 제품의 온라인 판매 비중은 전년 대비 9%포인트 넘게 증가한 26.2%를 기록했다. 이후 온라인 매출 비중은 꾸준히 늘어 지난 2023년 29%까지 성장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K-뷰티 브랜드들이 아마존 플랫폼을 효과적으로 이용해 미국 시장에 진출한 것이 중요한 성공전략이 됐다고 전했다.
모건스탠리는 오는 2025년까지 뷰티 부분에서 아마존의 시장 점유율은 14.5%로 증가해 월마트를 따라잡을 것으로 예상했다. 연회비 지불 고객에게 최저 주문금액 없이 이틀 만에 배송을 완료하는 편리성과 오픈마켓 방식을 통한 선택의 다양성, 실제 사용자의 리뷰 확인이 가능하다는 점은 뷰티 소비자에게 큰 매력으로 작용한다. CIRP의 아마존 프라임 회원 수 추정치는 2024년 현재 1억8010만 명으로 미국 소비자의 75%에 이른다.
아마존 플랫폼에서 성공한 대표적인 K-뷰티 브랜드로는 코스알엑스(COSRX)와 조선미녀를 꼽을 수 있다. 두 브랜드 모두 아마존에서 큰 화제를 모으며 일부 제품이 매진되기도 했다. 높은 품질과 합리적인 가격이 소비자 만족도로 이어진 덕분이다. 아마존에서 성공은 미국 시장에서 유통망을 넓히고, 브랜드 입지를 다지는 밑거름이 될 수 있다.
이밖에 올리브영 글로벌, 예스스타일 등 직구 플랫폼과 오롤리(Ohlolly), 스킨 큐피드(Skin Cupid) 같은 K-뷰티 전문 온라인 쇼핑몰, 코스트코, 타겟 등 미 대형 소매업체들도 온라인 채널을 통해 한국 화장품을 판매 중이다. 온라인을 중심으로 과거보다 K-뷰티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채널이 더욱 다양해지고 강화되고 있는 양상이다.
인디 뷰티 브랜드 트렌드와 소셜미디어의 파워
인디 뷰티(Indie Beauty) 브랜드는 인지도가 높은 메이저 브랜드가 아닌 독립적으로 태생해 독특한 브랜드 스토리와 철학, 개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브랜드 인지도보다 새롭고 혁신적인 제품을 찾는MZ세대를 중심으로 인디 뷰티 시장은 최근 수년간 빠른 속도로 성장했다. 닐슨IQ가 지난 2023년 발표한 보고서에서 인디 뷰티 브랜드는 가파른 성장을 기반으로 뷰티 시장의 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며, 시장 규모는 305억 달러로 전체 뷰티 카테고리의 32%를 차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또 인디 뷰티 매출의 연간 성장률이 15.7%로, 같은 기간 전체 뷰티 매출 증가율 9.9%을 상회했다고 전했다.
인디 뷰티 브랜드에 대한 높은 관심도는 미국 시장 내에서 K-뷰티가 주목받는 또 다른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간 뷰티 시장에서 보지 못했던 참신한 제품이 미국 소비자들의 니즈에 부합했다는 분석이다.
소셜미디어도 K-뷰티 성공 전략의 큰 축이다. 한국 화장품은 틱톡이나 인스타그램, 레딧 등에서 자주 언급되는 단골 소재다. 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은 대중의 눈길을 끌 만한 새로운 제품을 소개하거나 사용 후기 등을 비디오나 사진을 통해 공개하며 유저들과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일반인의 제품 사용 후기가 입소문을 타면서 구매로 이어지고 있다. 또 미국 내에서도 소셜미디어와 쇼핑 플랫폼을 결합한 소셜 쇼핑 시장도 성장하고 있어 미국 내 K-뷰티 시장의 성장에 있어 소셜미디어의 영향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전망 및 시사점
미국은 세계 최대 규모의 뷰티 시장으로 꼽힌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지난 2023년 미국 뷰티∙퍼스널케어 제품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7.7% 성장한 1191억5970만 달러에 이른다. 시장이 큰 만큼 전 세계 뷰티 브랜드의 치열한 각축장으로 여겨지는 미국에서 한국 화장품이 지속적인 성장을 통해 미 최대 수입국으로 부상한 것은 의미 있는 성과다. 특히 중소브랜드가 주도했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할 만하다.
미국 내 화장품 유통업계의 한 관계자는 KOTRA 뉴욕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 발표한 상호관세 조치가 90일 유예 되었으나 90일 이후에는 상황이 어떻게 바뀔지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25%의 상호관세는 확실히 화장품 유통업계에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한국뿐 아니라 주요 화장품 수입국 대부분이 상호관세 부과 대상국이라 한국 화장품이 현 위치에서 가격 경쟁력이 크게 흔들릴 것으로 우려되지는 않는다”면서도 “관세 부과로 전반적인 미국 내 물가 상승 압박이 더욱 커지고 이는 소비 위축으로 이어져 화장품 시장의 수요 약화로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국 수출 기업들은 온라인 플랫폼과 소셜미디어 등을 적극 활용한 진출 전략을 모색함과 동시에 현 관세 부과 상황 등을 면밀히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가격 정책 등을 수립할 수 있어야 한다.
[본문 링크]
24.04.202523:19
오늘의 주요 이슈
(엑셀파일을 꼭 열어보세요. 아래 내용보다 훨씬 더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4월 24일 (목) ~ 4월 30일 (수)
- 미국암학회(AACR) 개최 : 미국암학회(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AACR Annual Meeting 2025)가 현지시간으로 4월25일부터 30일까지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개최될 예정
실적발표
- 기업은행
- 기아
- 현대모비스
- 신한지주
- 삼성SDI
- 삼성카드
- 에스원
- 우리금융지주
- 하나금융지주
- BNK금융지주
- LX세미콘
- HL만도
- LX하우시스
- 제일기획
- 한미사이언스
- 호텔신라
- 나우로보틱스 : 24, 25일 이틀간 공모청약을 진행, 기업개요 로봇 자동화시스템 전문업체. 직교로봇, 스카라로봇, 다관절로봇 등 산업용 로봇과 서비스 로봇인 제조공정용 자율주행 물류로봇, 로봇을 활용한 로봇 자동화시스템을 개발 및 생산하고 있으며, 제조업 공정 산업 전 분야의 산업용 로봇 및 물류로봇, 로봇 자동화 시스템 등 제조자동화의 토탈 솔루션을 제공. 주요 제품 라인업은 산업용 로봇, 물류 로봇, 로봇 자동화 시스템, 그리고 로봇의 핸드 역할을 수행하는 EOAT(End of Arm Tooling)으로 구성.
- 원일티엔아이 : 24, 25일 이틀간 공모청약을 진행, 기업개요 수소(수소저장 및 생산) 및 천연가스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수소 산업에서 수소저장을 위한 수소저장합금, 수소생산을 위한 수소개질기를 개발하여 제조/판매하고 있으며, 천연가스 분야에서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SCV(고압연소식 기화기), 재액화기, 연료주입시스템, 가스히터 등을 연이어 국산화하는데 성공하면서 국내뿐 아니라 해외 천연가스, 발전, 원자력, 조선해양플랜트 시장에 제품을 공급. 최대주주는 제이케이인
- 오가노이드사이언스 공모청약 : 25, 28일 이틀간 공모청약을 진행, 기업개요 오가노이드 기반 재생치료제 개발 업체. 오가노이드 원천기술을 보유한 기업으로 손상뒨 부위에 생착하여 직접적으로 조직을 재생시키는 치료제인 '오가노이드 기반의 재생치료제'를 개발하고있으며, 인체의 조직의 특성을 잘 모사하는 오가노이드의 특성을 활용하여 개발중인 약물의 효능을 평가하는 '오가노이드 기반 신소재평가솔루션' 사업을 영위. 주요 제품으로는 장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ATORM-C), 침샘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ATORM-S), 오가노이드 신소재 평가 솔루션(ODISEI) 등이 있음.
- DH오토넥스 보호예수 해제 : 55,000,000주(67.52%)
- 에이치엔에스하이텍 보호예수 해제 : 398,224주(4.95%)
- 美) 4월 미시건대 소비심리 평가지수 확정치 : 한국시간 : 25일 오후 11시
- 美) 주간 원유 채굴장비 수 : 한국시간 : 26일 오전 2시
전체 스케줄을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엑셀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일정을 업데이트하시길 바랍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엑셀파일을 꼭 열어보세요. 아래 내용보다 훨씬 더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4월 24일 (목) ~ 4월 30일 (수)
- 미국암학회(AACR) 개최 : 미국암학회(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AACR Annual Meeting 2025)가 현지시간으로 4월25일부터 30일까지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개최될 예정
실적발표
- 기업은행
- 기아
- 현대모비스
- 신한지주
- 삼성SDI
- 삼성카드
- 에스원
- 우리금융지주
- 하나금융지주
- BNK금융지주
- LX세미콘
- HL만도
- LX하우시스
- 제일기획
- 한미사이언스
- 호텔신라
- 나우로보틱스 : 24, 25일 이틀간 공모청약을 진행, 기업개요 로봇 자동화시스템 전문업체. 직교로봇, 스카라로봇, 다관절로봇 등 산업용 로봇과 서비스 로봇인 제조공정용 자율주행 물류로봇, 로봇을 활용한 로봇 자동화시스템을 개발 및 생산하고 있으며, 제조업 공정 산업 전 분야의 산업용 로봇 및 물류로봇, 로봇 자동화 시스템 등 제조자동화의 토탈 솔루션을 제공. 주요 제품 라인업은 산업용 로봇, 물류 로봇, 로봇 자동화 시스템, 그리고 로봇의 핸드 역할을 수행하는 EOAT(End of Arm Tooling)으로 구성.
- 원일티엔아이 : 24, 25일 이틀간 공모청약을 진행, 기업개요 수소(수소저장 및 생산) 및 천연가스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수소 산업에서 수소저장을 위한 수소저장합금, 수소생산을 위한 수소개질기를 개발하여 제조/판매하고 있으며, 천연가스 분야에서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SCV(고압연소식 기화기), 재액화기, 연료주입시스템, 가스히터 등을 연이어 국산화하는데 성공하면서 국내뿐 아니라 해외 천연가스, 발전, 원자력, 조선해양플랜트 시장에 제품을 공급. 최대주주는 제이케이인
- 오가노이드사이언스 공모청약 : 25, 28일 이틀간 공모청약을 진행, 기업개요 오가노이드 기반 재생치료제 개발 업체. 오가노이드 원천기술을 보유한 기업으로 손상뒨 부위에 생착하여 직접적으로 조직을 재생시키는 치료제인 '오가노이드 기반의 재생치료제'를 개발하고있으며, 인체의 조직의 특성을 잘 모사하는 오가노이드의 특성을 활용하여 개발중인 약물의 효능을 평가하는 '오가노이드 기반 신소재평가솔루션' 사업을 영위. 주요 제품으로는 장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ATORM-C), 침샘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ATORM-S), 오가노이드 신소재 평가 솔루션(ODISEI) 등이 있음.
- DH오토넥스 보호예수 해제 : 55,000,000주(67.52%)
- 에이치엔에스하이텍 보호예수 해제 : 398,224주(4.95%)
- 美) 4월 미시건대 소비심리 평가지수 확정치 : 한국시간 : 25일 오후 11시
- 美) 주간 원유 채굴장비 수 : 한국시간 : 26일 오전 2시
전체 스케줄을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엑셀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일정을 업데이트하시길 바랍니다.)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24.04.202523:14
🌟 시지트로닉스(429270) -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179,211주(9.99억원) 규모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발행가:5,580원,청약예정:2025-04-28~2025-04-29(일반공모),상장예정:2025-05-27)
🌟 CNH(023460) - 상장폐지관련 이의신청서 접수 및 개선기간 부여
🌟 두산퓨얼셀(336260) - PAFC 기술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전용실시권 취득
🌟 블랙야크아이앤씨(478560) - 종속회사 에스티베타제일차, 45.00억원 규모 주주배정증자 결정
🌟 한화오션(042660) - 풍문 또는 보도(어드밴티지 탱커스 VLCC 2척 수주)에 대한 해명으로 해당 기사 관련계약 협의를 진행 중에 있으나, 아직 확정된 바는 없다고 밝힘
🌟 퓨처코어(151910) - 개선계획 이행내역서 제출
🌟 DI동일(001530) - 회계처리기준 위반에 따른 검찰고발 등 조치결과, 회사, 前대표이사, 前담당임원 2인 혐의없음(증거불충분)
🌟 네이처셀(007390) - 공매도 과열종목 연장
🌟 테크윙(08903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제룡전기(03310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HLB이노베이션(02485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CJ프레시웨이(05150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성광벤드(01462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엑스페릭스(317770) - 공매도 과열종목 연장
🌟 휴온스글로벌(08411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플레이디(23782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태광(02316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LS마린솔루션(06037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제주반도체(08022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진성티이씨(03689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덕산테코피아(31733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코미팜(04196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와이씨(23214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코미코(18330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큐렉소(06028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제이앤티씨(20427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전일 장마감 주요종목 공시
🌟 CNH(023460) - 상장폐지관련 이의신청서 접수 및 개선기간 부여
🌟 두산퓨얼셀(336260) - PAFC 기술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전용실시권 취득
🌟 블랙야크아이앤씨(478560) - 종속회사 에스티베타제일차, 45.00억원 규모 주주배정증자 결정
🌟 한화오션(042660) - 풍문 또는 보도(어드밴티지 탱커스 VLCC 2척 수주)에 대한 해명으로 해당 기사 관련계약 협의를 진행 중에 있으나, 아직 확정된 바는 없다고 밝힘
🌟 퓨처코어(151910) - 개선계획 이행내역서 제출
🌟 DI동일(001530) - 회계처리기준 위반에 따른 검찰고발 등 조치결과, 회사, 前대표이사, 前담당임원 2인 혐의없음(증거불충분)
🌟 네이처셀(007390) - 공매도 과열종목 연장
🌟 테크윙(08903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제룡전기(03310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HLB이노베이션(02485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CJ프레시웨이(05150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성광벤드(01462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엑스페릭스(317770) - 공매도 과열종목 연장
🌟 휴온스글로벌(08411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플레이디(23782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태광(02316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LS마린솔루션(06037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제주반도체(08022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진성티이씨(03689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덕산테코피아(31733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코미팜(04196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와이씨(23214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코미코(18330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큐렉소(06028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제이앤티씨(204270) -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전일 장마감 주요종목 공시
24.04.202523:14
전일 장마감 주요종목 공시
[전일 장마감 주요종목 공시]
🌟 KB금융(105560) - 보통주 3,529,411주(3,00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5-04-25~2025-07-24). 보통주 1주당 912원(시가배당율 1.1%) 현금배당(분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5-05-12). 보통주 3,529,411주 소각 결정. 기업가치 제고 계획(주주환원강화 등)
🌟 삼성중공업(01014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49조원(전년동기대비 +6.23%), 영업이익 1,231.00억원(전년동기대비 +58.02%), 순이익 901.00억원(전년동기대비 +1,055.12%)
🌟 현대차증권(00150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254.47억원(전년동기대비 -10.22%), 영업이익 271.00억원(전년동기대비 +106.24%), 순이익 192.86억원(전년동기대비 +89.33%)
🌟 DN오토모티브(00734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8,787.13억원(전년동기대비 +12.52%), 영업이익 1,376.76억원(전년동기대비 +11.33%), 순이익 865.44억원(전년동기대비 +12.58%)
🌟 두산밥캣(241560) - 보통주 1주당 400원(시가배당율 0.8%) 현금배당(분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5-05-09)
🌟 SK스퀘어(402340) - 보통주 2,336주(1.99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25-04-25~2025-05-24)
🌟 이녹스첨단소재(272290) - 경영권 지분 추가확보, 시설투자금 지원 목적으로 ㈜이녹스리튬(대한민국) 주식 300,000주를 600.00억원에 추가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93.3%, 취득예정일:2025-04-28)
🌟 JB금융지주(17533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12조원(전년동기대비 -1.51%), 영업이익 2,174.72억원(전년동기대비 -4.60%), 순이익 1,668.94억원(전년동기대비 -5.19%). 자회사 (주)전북은행,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927.35억원(전년동기대비 -0.42%), 영업이익 667.46억원(전년동기대비 -9.37%), 순이익 514.85억원(전년동기대비 -8.58%). 자회사 (주)광주은행,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350.43억원(전년동기대비 -4.68%), 영업이익 867.70억원(전년동기대비 -8.91%), 순이익 669.58억원(전년동기대비 -8.70%). 자회사 JB우리캐피탈(주),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819.96억원(전년동기대비 +4.43%), 영업이익 729.70억원(전년동기대비 -0.97%), 순이익 585.02억원(전년동기대비 +3.53%). 보통주 1주당 160원(시가배당율 0.9%) 현금배당(분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5-05-09)
🌟 풍산홀딩스(005810) - 보통주 150,000주(40.87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5-04-25~2025-07-24)
🌟 신라젠(215600) - (주)우성제약을 흡수합병키로 결정(합병비율:1.0000000 대 0.0000000, 합병기일:2025-07-01).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NH투자증권(00594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35조원(전년동기대비 +5.19%), 영업이익 2,890.44억원(전년동기대비 +4.39%), 순이익 2,081.72억원(전년동기대비 -7.66%)
🌟 HLB제약(047920) -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에이치엘비생명과학(주)(최대주주) 대상으로 976,362주(190.0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19,460원, 상장예정:2025-05-29). 산업다각화 및 신성장 동력 확보 목적으로 주식회사 신화어드밴스 주식 266,546주를 190.00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100%, 취득예정일:2025-05-08)
🌟 제주은행(00622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911.29억원(전년동기대비 -4.74%), 영업이익 12.67억원(전년동기대비 -76.05%), 순이익 29.04억원(전년동기대비 -33.22%)
🌟 인스코비(006490) - 운영자금 확보를 위해 주식회사 애드알엔 대상으로 5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1,640원, 전환청구일:2026-05-13 ~ 2028-04-13)
🌟 서한(011370) - 대구대명 LH참여형 가로주택정비사업조합, 한국토지주택공사 대구경북지역본부와 882.0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1.77%) 규모 공급계약(대구대명 LH참여형 가로주택정비사업) 체결(계약기간:2025-07-30~2028-02-17)
🌟 호전실업(111110) - 자기 전환사채 만기전 취득 결정(총 전환사채금액:225.00억원, 만기전 취득 결정 전환사채 금액:10.00억원)
🌟 STX그린로지스(465770) - 185.45억원 규모(자산총액대비 7.76%) 유형자산(선박) 처분 결정(처분예정일:2025-06-10)
🌟 GRT(900290) - 공시번복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결정시한:2025-05-22)
🌟 한화손해보험(000370) - 지분 취득에 따른 지배력 강화 목적으로 캐롯손해보험(주) 주식 25,864,084주를 2,056.39억원에 추가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98.3%, 취득예정일:2025-04-29)
🌟 스피어(347700) - 미국 글로벌 우주항공 발사업체와 192.4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752.33%) 규모 공급계약(특수합금) 체결(계약기간:2025-04-24~2025-12-07)
🌟 웅진(016880) - 종속회사의 타법인지분취득 재원 마련을 위한 유상증자 참여 목적으로 ㈜더블유제이라이프홀딩스 주식 20,000주를 1,000.00억원에 추가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100%, 취득예정일:2025-04-24)
🌟 DGP(060900) -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그로우스앤밸류 14호 투자조합 대상으로 865,800주(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1,155원, 상장예정:2025-05-27)
🌟 풀무원(017810) - 보통주 29,908주(4.62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25-04-24~2025-05-30)
🌟 지놈앤컴퍼니(314130) -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확보를 위해 티에스 2020-13 M&A 성장조합 등 대상으로 270.66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3,025원, 전환청구일:2026-04-28 ~ 2055-03-28).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확보 목적으로 티에스 2020-13 M&A 성장조합 등 대상으로 우선주 8,946,866주(270.64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3,025원, 상장예정:-). 제13회 전환우선주 인수대금의 상계 목적으로 List Biotherapeutics, Inc. 주식 74,829주를 270.64억원에 추가로 양수하기로 결정(양수후지분율:87.88%, 양수예정일:2025-09-05)
🌟 동성제약(002210) - 운영자금 확보를 위해 (주)딥랩코리아 대상으로 70.00억원 규모의 사모 교환사채권 발행 결정(교환가액:3,985원, 교환청구일:2025-05-26 ~ 2028-04-23). 보통주 1,756,587주(70.00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25-05-23~)
🌟 이지스레지던스리츠(350520) - 당사의 100% 자회사인 (주)이지스글로벌레지던스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이하 "자회사") 추가 출자를 통해 자회사가 보유한 이지스USCore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458호 추가 투자 목적으로 (주)이지스글로벌레지던스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주식 2,000,000주를 100.00억원에 추가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100%, 취득예정일:2025-04-25)
🌟 세토피아(222810) -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결정으로 관리종목 지정사유추가.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결정 안내
🌟 전진바이오팜(110020) - 정○○ 외 2명이 제기한 주주총회소집허가 소송 각하 판결. 정○○ 외 1명이 주주총회소집허가 소송 제기
[전일 장마감 주요종목 공시]
🌟 KB금융(105560) - 보통주 3,529,411주(3,00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5-04-25~2025-07-24). 보통주 1주당 912원(시가배당율 1.1%) 현금배당(분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5-05-12). 보통주 3,529,411주 소각 결정. 기업가치 제고 계획(주주환원강화 등)
🌟 삼성중공업(01014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49조원(전년동기대비 +6.23%), 영업이익 1,231.00억원(전년동기대비 +58.02%), 순이익 901.00억원(전년동기대비 +1,055.12%)
🌟 현대차증권(00150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254.47억원(전년동기대비 -10.22%), 영업이익 271.00억원(전년동기대비 +106.24%), 순이익 192.86억원(전년동기대비 +89.33%)
🌟 DN오토모티브(00734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8,787.13억원(전년동기대비 +12.52%), 영업이익 1,376.76억원(전년동기대비 +11.33%), 순이익 865.44억원(전년동기대비 +12.58%)
🌟 두산밥캣(241560) - 보통주 1주당 400원(시가배당율 0.8%) 현금배당(분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5-05-09)
🌟 SK스퀘어(402340) - 보통주 2,336주(1.99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25-04-25~2025-05-24)
🌟 이녹스첨단소재(272290) - 경영권 지분 추가확보, 시설투자금 지원 목적으로 ㈜이녹스리튬(대한민국) 주식 300,000주를 600.00억원에 추가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93.3%, 취득예정일:2025-04-28)
🌟 JB금융지주(17533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12조원(전년동기대비 -1.51%), 영업이익 2,174.72억원(전년동기대비 -4.60%), 순이익 1,668.94억원(전년동기대비 -5.19%). 자회사 (주)전북은행,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927.35억원(전년동기대비 -0.42%), 영업이익 667.46억원(전년동기대비 -9.37%), 순이익 514.85억원(전년동기대비 -8.58%). 자회사 (주)광주은행,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350.43억원(전년동기대비 -4.68%), 영업이익 867.70억원(전년동기대비 -8.91%), 순이익 669.58억원(전년동기대비 -8.70%). 자회사 JB우리캐피탈(주),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819.96억원(전년동기대비 +4.43%), 영업이익 729.70억원(전년동기대비 -0.97%), 순이익 585.02억원(전년동기대비 +3.53%). 보통주 1주당 160원(시가배당율 0.9%) 현금배당(분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5-05-09)
🌟 풍산홀딩스(005810) - 보통주 150,000주(40.87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5-04-25~2025-07-24)
🌟 신라젠(215600) - (주)우성제약을 흡수합병키로 결정(합병비율:1.0000000 대 0.0000000, 합병기일:2025-07-01).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NH투자증권(00594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35조원(전년동기대비 +5.19%), 영업이익 2,890.44억원(전년동기대비 +4.39%), 순이익 2,081.72억원(전년동기대비 -7.66%)
🌟 HLB제약(047920) -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에이치엘비생명과학(주)(최대주주) 대상으로 976,362주(190.0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19,460원, 상장예정:2025-05-29). 산업다각화 및 신성장 동력 확보 목적으로 주식회사 신화어드밴스 주식 266,546주를 190.00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100%, 취득예정일:2025-05-08)
🌟 제주은행(006220) - 25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911.29억원(전년동기대비 -4.74%), 영업이익 12.67억원(전년동기대비 -76.05%), 순이익 29.04억원(전년동기대비 -33.22%)
🌟 인스코비(006490) - 운영자금 확보를 위해 주식회사 애드알엔 대상으로 5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1,640원, 전환청구일:2026-05-13 ~ 2028-04-13)
🌟 서한(011370) - 대구대명 LH참여형 가로주택정비사업조합, 한국토지주택공사 대구경북지역본부와 882.0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1.77%) 규모 공급계약(대구대명 LH참여형 가로주택정비사업) 체결(계약기간:2025-07-30~2028-02-17)
🌟 호전실업(111110) - 자기 전환사채 만기전 취득 결정(총 전환사채금액:225.00억원, 만기전 취득 결정 전환사채 금액:10.00억원)
🌟 STX그린로지스(465770) - 185.45억원 규모(자산총액대비 7.76%) 유형자산(선박) 처분 결정(처분예정일:2025-06-10)
🌟 GRT(900290) - 공시번복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결정시한:2025-05-22)
🌟 한화손해보험(000370) - 지분 취득에 따른 지배력 강화 목적으로 캐롯손해보험(주) 주식 25,864,084주를 2,056.39억원에 추가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98.3%, 취득예정일:2025-04-29)
🌟 스피어(347700) - 미국 글로벌 우주항공 발사업체와 192.4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752.33%) 규모 공급계약(특수합금) 체결(계약기간:2025-04-24~2025-12-07)
🌟 웅진(016880) - 종속회사의 타법인지분취득 재원 마련을 위한 유상증자 참여 목적으로 ㈜더블유제이라이프홀딩스 주식 20,000주를 1,000.00억원에 추가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100%, 취득예정일:2025-04-24)
🌟 DGP(060900) -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그로우스앤밸류 14호 투자조합 대상으로 865,800주(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1,155원, 상장예정:2025-05-27)
🌟 풀무원(017810) - 보통주 29,908주(4.62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25-04-24~2025-05-30)
🌟 지놈앤컴퍼니(314130) -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확보를 위해 티에스 2020-13 M&A 성장조합 등 대상으로 270.66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3,025원, 전환청구일:2026-04-28 ~ 2055-03-28).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확보 목적으로 티에스 2020-13 M&A 성장조합 등 대상으로 우선주 8,946,866주(270.64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3,025원, 상장예정:-). 제13회 전환우선주 인수대금의 상계 목적으로 List Biotherapeutics, Inc. 주식 74,829주를 270.64억원에 추가로 양수하기로 결정(양수후지분율:87.88%, 양수예정일:2025-09-05)
🌟 동성제약(002210) - 운영자금 확보를 위해 (주)딥랩코리아 대상으로 70.00억원 규모의 사모 교환사채권 발행 결정(교환가액:3,985원, 교환청구일:2025-05-26 ~ 2028-04-23). 보통주 1,756,587주(70.00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25-05-23~)
🌟 이지스레지던스리츠(350520) - 당사의 100% 자회사인 (주)이지스글로벌레지던스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이하 "자회사") 추가 출자를 통해 자회사가 보유한 이지스USCore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458호 추가 투자 목적으로 (주)이지스글로벌레지던스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주식 2,000,000주를 100.00억원에 추가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100%, 취득예정일:2025-04-25)
🌟 세토피아(222810) -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결정으로 관리종목 지정사유추가.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결정 안내
🌟 전진바이오팜(110020) - 정○○ 외 2명이 제기한 주주총회소집허가 소송 각하 판결. 정○○ 외 1명이 주주총회소집허가 소송 제기
24.04.202523:09
국내외 주요 마감지수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비비리서치)


24.04.202522:54
지난밤 한국 관련 지수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24.04.202522:33
지난밤 미국 주요 종목 동향 (시간외 반영)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24.04.202522:30
지난밤 글로벌 주요 ETF 동향 (비비리서치)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24.04.202522:28
신용비율 상위종목 (최신_비비리서치)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https://t.me/Brain_And_Body_Research


Records
23.04.202516:20
33KSubscribers01.02.202523:59
2000Citation index20.10.202423:59
8.8KAverage views per post08.12.202423:59
9.6KAverage views per ad post22.04.202523:59
13.11%ER15.04.202500:51
24.20%ERRGrowth
Subscribers
Citation index
Avg views per post
Avg views per ad post
ER
ERR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