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5.202512:00
🔷 WHO, 비만약 사용 공식 권고 예정…위고비·젭바운드 시장 확대 주목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결론 요약
① WHO가 비만치료제로 GLP-1 계열 약물(위고비, 젭바운드) 사용을 공식 권고할 예정
② 고가 약값 문제로 제네릭 개발·가격경쟁 본격화 전망
③ 내년 특허 만료(세마글루타이드) 앞두고 글로벌·국내 제약사 제네릭 개발 속도
📌 WHO 권고 예정 사항
① 2025년 8월 발표 예정인 WHO 새 권고안에 비만 치료 옵션으로 GLP-1 계열 약물 포함
② 기존 '생활습관 개선' 중심에서 '약물 치료 병행'으로 치료 전략 변화
③ 필수의약품 목록 등재 여부도 별도 회의 예정 → 보험 확대·공공조달 근거 마련
📌 대표 약물: 위고비(노보노디스크)·젭바운드(일라이릴리)
① 공통점: GLP-1 수용체 작용제, 식욕 억제·포만감 유도
② 체중 감량 효과: 임상서 평균 15~20%
③ 고비용(월 약 140만 원 수준) 및 장기복용 필요성 → 접근성 한계
📌 글로벌 확산 전략 및 제네릭 활용 검토
① WHO: 저소득국 대상 차등가격제·공동조달·제네릭 도입 방안 검토
② 제네릭 사례: 리라글루타이드(삭센다) 이미 미국·유럽서 제네릭 출시
📌 제네릭 개발 현황
① 인도: 바이오콘, 선파마 등 개발 중
② 중국: 최소 15개 제약사 개발 중, 지우위안유전자는 시판 신청
③ 한국:
삼천당제약: 경구용 제네릭 개발 중, 생동성 시험 단계
대웅제약: 월 1회 장기지속형 주사제 개발
대원제약: 미세바늘 패치 형태 개발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결론 요약
① WHO가 비만치료제로 GLP-1 계열 약물(위고비, 젭바운드) 사용을 공식 권고할 예정
② 고가 약값 문제로 제네릭 개발·가격경쟁 본격화 전망
③ 내년 특허 만료(세마글루타이드) 앞두고 글로벌·국내 제약사 제네릭 개발 속도
📌 WHO 권고 예정 사항
① 2025년 8월 발표 예정인 WHO 새 권고안에 비만 치료 옵션으로 GLP-1 계열 약물 포함
② 기존 '생활습관 개선' 중심에서 '약물 치료 병행'으로 치료 전략 변화
③ 필수의약품 목록 등재 여부도 별도 회의 예정 → 보험 확대·공공조달 근거 마련
📌 대표 약물: 위고비(노보노디스크)·젭바운드(일라이릴리)
① 공통점: GLP-1 수용체 작용제, 식욕 억제·포만감 유도
② 체중 감량 효과: 임상서 평균 15~20%
③ 고비용(월 약 140만 원 수준) 및 장기복용 필요성 → 접근성 한계
📌 글로벌 확산 전략 및 제네릭 활용 검토
① WHO: 저소득국 대상 차등가격제·공동조달·제네릭 도입 방안 검토
② 제네릭 사례: 리라글루타이드(삭센다) 이미 미국·유럽서 제네릭 출시
📌 제네릭 개발 현황
① 인도: 바이오콘, 선파마 등 개발 중
② 중국: 최소 15개 제약사 개발 중, 지우위안유전자는 시판 신청
③ 한국:
삼천당제약: 경구용 제네릭 개발 중, 생동성 시험 단계
대웅제약: 월 1회 장기지속형 주사제 개발
대원제약: 미세바늘 패치 형태 개발
02.05.202506:09
🔷더블유에스아이 박정섭 전 대표 무죄 판결 관련 요약
오늘 주가 상승에는 여러모로 호재가 반영되고 있습니다>
불확실성 제거까지 더 해지니 향후 주가 탄력성 더 높아지겠네요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요약
① 더블유에스아이 박정섭 전 대표, 항소심에서 1심 유죄 뒤집고 무죄 판결
② 회사 측은 이번 판결로 오너 리스크 해소 및 경영 신뢰 회복 기대
③ 자회사 AI 의료로봇·제약사업 포함한 미래 전략에 탄력 예상
📌 판결 및 배경 요약
① 2025년 5월 1일, 서울중앙지방법원 항소심에서 무죄 판결
② 재판부는 “정황과 증거로는 혐의 인정 어렵다”며 법리 재검토 후 판단
③ 박 전 대표는 재판 과정에서 줄곧 무혐의 주장
④ 1심 유죄 판결이 항소심에서 뒤집힌 상황
📌 관련 사건 현황
① 이 사건의 원고는 셀루메드 전 대표 심영복
② 그는 별도로 ‘Buechel-Pappas Trust’ 및 ‘Biomedical Engineering Trust’ 상대 손해배상 소송(총 239억 원)에서 패소, 3월 4일 지급 판결 받음
📌 회사 및 사업 영향
① 더블유에스아이, 코스닥 상장 의약품·의료기기 유통기업
② 자회사:
이지메디봇 (AI 의료로봇 개발)
인트로바이오파마 (제약사업)
③ 이번 무죄 판결로 중단됐던 국내외 파트너십 및 사업 확대 재개 기대
④ 회사 측 “사업 본연의 가치 집중 및 미래 성장 전략 지속 추진”
오늘 주가 상승에는 여러모로 호재가 반영되고 있습니다>
불확실성 제거까지 더 해지니 향후 주가 탄력성 더 높아지겠네요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요약
① 더블유에스아이 박정섭 전 대표, 항소심에서 1심 유죄 뒤집고 무죄 판결
② 회사 측은 이번 판결로 오너 리스크 해소 및 경영 신뢰 회복 기대
③ 자회사 AI 의료로봇·제약사업 포함한 미래 전략에 탄력 예상
📌 판결 및 배경 요약
① 2025년 5월 1일, 서울중앙지방법원 항소심에서 무죄 판결
② 재판부는 “정황과 증거로는 혐의 인정 어렵다”며 법리 재검토 후 판단
③ 박 전 대표는 재판 과정에서 줄곧 무혐의 주장
④ 1심 유죄 판결이 항소심에서 뒤집힌 상황
📌 관련 사건 현황
① 이 사건의 원고는 셀루메드 전 대표 심영복
② 그는 별도로 ‘Buechel-Pappas Trust’ 및 ‘Biomedical Engineering Trust’ 상대 손해배상 소송(총 239억 원)에서 패소, 3월 4일 지급 판결 받음
📌 회사 및 사업 영향
① 더블유에스아이, 코스닥 상장 의약품·의료기기 유통기업
② 자회사:
이지메디봇 (AI 의료로봇 개발)
인트로바이오파마 (제약사업)
③ 이번 무죄 판결로 중단됐던 국내외 파트너십 및 사업 확대 재개 기대
④ 회사 측 “사업 본연의 가치 집중 및 미래 성장 전략 지속 추진”
01.05.202523:08
🔷일라이릴리 1분기 실적 요약: 당뇨병ㆍ비만 치료제 덕에 매출 급증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결론
① 릴리는 2025년 1분기에 당뇨병 치료제 마운자로와 비만 치료제 젭바운드의 판매 호조로 45% 매출 성장을 기록함.
② 실적은 시장 예상을 상회했으나, 젭바운드의 보험 급여 제외(7월 예정) 소식으로 주가는 하락.
③ 연간 매출 가이던스는 유지, 그러나 R&D 지출 증가로 EPS 가이던스는 하향 조정됨.
📌 1분기 실적 주요 내용
① 총매출: 127억 3000만 달러 (YoY +45%, 월가 예상치 126.7억 상회)
② 마운자로 매출: 38억 4000만 달러 (YoY +113%, 예상치 38억 상회)
③ 젭바운드 매출: 23억 1000만 달러 (전년 5.17억 → 급증, 예상치 23.3억은 소폭 하회)
④ 버제니오(유방암 치료제) 매출: 11억 6000만 달러 (YoY +10%)
📌 이익 지표
① GAAP EPS: 3.06달러 (YoY +23%)
② 비-GAAP EPS: 3.34달러 (YoY +29%, 예상치 3.02달러 상회)
📌 2025년 가이던스
① 연간 매출: 580억~610억 달러 (유지)
② 주당순이익(EPS)
GAAP: 20.17~21.67달러 (기존 22.05~23.55에서 하향)
비-GAAP: 20.78~22.28달러 (기존 22.50~24.00에서 하향)
📌 기타 사항
① R&D 증가 요인: 스콜피온 테라퓨틱스의 STX-478 프로그램 인수 (25억 달러 규모)
② CEO 언급: “마운자로ㆍ젭바운드 판매 호조, 인크레틴 오포글리프론 임상 성공, 생산시설 4곳 신설 계획 중”
③ 부정적 요인: CVS 케어마크가 7월부터 젭바운드 보험 목록 제외 발표 → 주가 하락 압력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결론
① 릴리는 2025년 1분기에 당뇨병 치료제 마운자로와 비만 치료제 젭바운드의 판매 호조로 45% 매출 성장을 기록함.
② 실적은 시장 예상을 상회했으나, 젭바운드의 보험 급여 제외(7월 예정) 소식으로 주가는 하락.
③ 연간 매출 가이던스는 유지, 그러나 R&D 지출 증가로 EPS 가이던스는 하향 조정됨.
📌 1분기 실적 주요 내용
① 총매출: 127억 3000만 달러 (YoY +45%, 월가 예상치 126.7억 상회)
② 마운자로 매출: 38억 4000만 달러 (YoY +113%, 예상치 38억 상회)
③ 젭바운드 매출: 23억 1000만 달러 (전년 5.17억 → 급증, 예상치 23.3억은 소폭 하회)
④ 버제니오(유방암 치료제) 매출: 11억 6000만 달러 (YoY +10%)
📌 이익 지표
① GAAP EPS: 3.06달러 (YoY +23%)
② 비-GAAP EPS: 3.34달러 (YoY +29%, 예상치 3.02달러 상회)
📌 2025년 가이던스
① 연간 매출: 580억~610억 달러 (유지)
② 주당순이익(EPS)
GAAP: 20.17~21.67달러 (기존 22.05~23.55에서 하향)
비-GAAP: 20.78~22.28달러 (기존 22.50~24.00에서 하향)
📌 기타 사항
① R&D 증가 요인: 스콜피온 테라퓨틱스의 STX-478 프로그램 인수 (25억 달러 규모)
② CEO 언급: “마운자로ㆍ젭바운드 판매 호조, 인크레틴 오포글리프론 임상 성공, 생산시설 4곳 신설 계획 중”
③ 부정적 요인: CVS 케어마크가 7월부터 젭바운드 보험 목록 제외 발표 → 주가 하락 압력


01.05.202505:35
🔷 미국-우크라이나, 광물 협정 체결 요약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요약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희토류 등 자원 개발 협력을 위한 광물 협정을 체결했으며, 이는 경제 회복과 안보 강화 목적의 전략적 파트너십이다.
📌 주요 내용 정리
① 이번 협정은 2월 미국-우크라이나 정상회담 결렬 이후 두 달 만에 체결됨.
② 미국 재무부는 협정을 통해 우크라이나 경제 회복을 촉진하겠다고 발표.
③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협정을 통해 자유롭고 주권 있는 우크라이나를 지지하는 의지를 표명.
④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협정이 러시아에 대한 강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강조.
⑤ 협정 내용에는 희토류 등 광물자원, 석유, 가스에 대한 공동 투자와 개발 협력이 포함됨.
⑥ 미국의 향후 군사원조 기여금도 협정 관련 기금에 포함될 수 있음.
⑦ 우크라이나의 EU 가입을 저해할 수 있는 조항과 자포리자 원전 통제 관련 내용은 제외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요약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희토류 등 자원 개발 협력을 위한 광물 협정을 체결했으며, 이는 경제 회복과 안보 강화 목적의 전략적 파트너십이다.
📌 주요 내용 정리
① 이번 협정은 2월 미국-우크라이나 정상회담 결렬 이후 두 달 만에 체결됨.
② 미국 재무부는 협정을 통해 우크라이나 경제 회복을 촉진하겠다고 발표.
③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협정을 통해 자유롭고 주권 있는 우크라이나를 지지하는 의지를 표명.
④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협정이 러시아에 대한 강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강조.
⑤ 협정 내용에는 희토류 등 광물자원, 석유, 가스에 대한 공동 투자와 개발 협력이 포함됨.
⑥ 미국의 향후 군사원조 기여금도 협정 관련 기금에 포함될 수 있음.
⑦ 우크라이나의 EU 가입을 저해할 수 있는 조항과 자포리자 원전 통제 관련 내용은 제외


30.04.202511:28
🔷 더블유에스아이 NDR 진행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오늘은 사무실에서 더블유에스아이
기업IR을 진행했습니다.
예상보다 많은 9분이 참석하셨습니다.
증권사, 독립리서치 연구원님들과
기관 매니저 분들이 다수 참석하셨습니다.
WSI가 최근 일론머스크의 수술용로봇과 관련한 발언 등으로 시장에서 조금씩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올해 실적 증가와 수술용 로봇 제품 상용화 등의 성장성 기대감이 어느때 보다 높은 시점입니다.
중요 내용은 기업탐방보고서를 통해서
전달드리겠습니다.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오늘은 사무실에서 더블유에스아이
기업IR을 진행했습니다.
예상보다 많은 9분이 참석하셨습니다.
증권사, 독립리서치 연구원님들과
기관 매니저 분들이 다수 참석하셨습니다.
WSI가 최근 일론머스크의 수술용로봇과 관련한 발언 등으로 시장에서 조금씩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올해 실적 증가와 수술용 로봇 제품 상용화 등의 성장성 기대감이 어느때 보다 높은 시점입니다.
중요 내용은 기업탐방보고서를 통해서
전달드리겠습니다.
29.04.202521:45
🔷 미국 자동차 부품 관세 2년 한시 완화 요약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360294?rc=N&ntype=RANKING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요약
미국은 자동차 부품에 부과하는 25% 관세를 2년간 한시적으로 완화함.
미국 내에서 생산된 차량에 한해 MSRP(권장소비자가격)의 일정 비율만큼 부품 수입 관세를 '크레딧'으로 상쇄할 수 있도록 허용.
1년차 15%, 2년차 10% 적용 → 실질적인 관세 부담 경감.
국내외 기업 모두 대상이며, 중복 관세도 방지됨.
📌 세부 내용
① 시행 기간 및 대상
2025년 5월 3일부터 2년간 시행.
미국 내에서 생산된 자동차에만 적용.
미국 기업뿐만 아니라 외국 자동차 업체도 포함됨.
② 관세 크레딧 제도
완성차 가격의 15%(1년차), 10%(2년차)에 해당하는 금액만큼 수입 부품 관세에서 차감 가능.
15% 크레딧은 25% 관세 기준으로 3.75%p 관세 인하 효과.
2년 후 크레딧 제도는 종료 예정.
③ 적용 조건
미국 내 조립된 차량이어야 함.
차량 부품의 85% 이상이 미국산일 경우, 나머지 15%는 무관세 적용.
④ 중복 관세 방지
부품이 철강·알루미늄 등 다른 고율 관세 품목에 해당할 경우, 둘 중 높은 관세만 부과.
예: 철강 부품은 철강(25%) 또는 부품(25%) 중 하나만 적용됨.
⑤ 정책 배경
미국 내 공급망 강화 및 고용 창출을 위한 정책.
자동차 기업들로부터 미국 내 투자와 생산 확대, 일자리 창출 약속을 받아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360294?rc=N&ntype=RANKING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요약
미국은 자동차 부품에 부과하는 25% 관세를 2년간 한시적으로 완화함.
미국 내에서 생산된 차량에 한해 MSRP(권장소비자가격)의 일정 비율만큼 부품 수입 관세를 '크레딧'으로 상쇄할 수 있도록 허용.
1년차 15%, 2년차 10% 적용 → 실질적인 관세 부담 경감.
국내외 기업 모두 대상이며, 중복 관세도 방지됨.
📌 세부 내용
① 시행 기간 및 대상
2025년 5월 3일부터 2년간 시행.
미국 내에서 생산된 자동차에만 적용.
미국 기업뿐만 아니라 외국 자동차 업체도 포함됨.
② 관세 크레딧 제도
완성차 가격의 15%(1년차), 10%(2년차)에 해당하는 금액만큼 수입 부품 관세에서 차감 가능.
15% 크레딧은 25% 관세 기준으로 3.75%p 관세 인하 효과.
2년 후 크레딧 제도는 종료 예정.
③ 적용 조건
미국 내 조립된 차량이어야 함.
차량 부품의 85% 이상이 미국산일 경우, 나머지 15%는 무관세 적용.
④ 중복 관세 방지
부품이 철강·알루미늄 등 다른 고율 관세 품목에 해당할 경우, 둘 중 높은 관세만 부과.
예: 철강 부품은 철강(25%) 또는 부품(25%) 중 하나만 적용됨.
⑤ 정책 배경
미국 내 공급망 강화 및 고용 창출을 위한 정책.
자동차 기업들로부터 미국 내 투자와 생산 확대, 일자리 창출 약속을 받아냄.
02.05.202507:07
손가락과 하트는 항상 글쓰는데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되요~
항상 꾸욱 눌러주세요~
항상 꾸욱 눌러주세요~
02.05.202501:42
🔷 젬백스, PSP 치료제 美 FDA 희귀의약품 지정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결론 요약
젬백스가 개발 중인 진행성핵상마비(PSP) 치료제 GV1001이 미국 FDA로부터 희귀의약품(Orphan Drug) 지정을 받아, 세계 최초 PSP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높였음. 향후 글로벌 3상 진행 및 상업화에 속도가 붙을 전망.
📌 주요 내용 정리
① FDA 희귀의약품 지정 일자: 2025년 5월 1일부로 지정됨 (FDA 공식 홈페이지 기준)
② 적응증: 진행성핵상마비 (PSP,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③ 후속 계획: 현재 글로벌 3상 임상시험 준비 중
④ 혜택 기대: 희귀의약품 지정에 따라 향후 임상 비용 지원, 세제 혜택, 독점권 부여 등 다양한 인센티브 가능
⑤ 기존 임상 결과: 최근 완료된 2상 임상시험에서 질환 중증도 개선 가능성 및 안전성 확인
⑥ 신약 후보물질: GV1001 – 알츠하이머, 전립선암 등에도 적용된 펩타이드 기반 물질
📌 의미 및 시사점
① PSP는 아직 승인된 치료제가 없는 미충족 의료수요가 높은 질환임
② GV1001이 FDA로부터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되며 상업화 가능성과 기술수출 기대감이 상승
③ 세계 최초 PSP 치료제 상용화 가능성에 한걸음 접근한 상황
📌 기타 참고사항
희귀의약품 지정은 FDA가 개발 장려를 위해 소수 질환 치료제에 부여하는 제도
GV1001은 다양한 적응증에 대해 병용 연구 중이며,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제로도 주목받는 중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결론 요약
젬백스가 개발 중인 진행성핵상마비(PSP) 치료제 GV1001이 미국 FDA로부터 희귀의약품(Orphan Drug) 지정을 받아, 세계 최초 PSP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높였음. 향후 글로벌 3상 진행 및 상업화에 속도가 붙을 전망.
📌 주요 내용 정리
① FDA 희귀의약품 지정 일자: 2025년 5월 1일부로 지정됨 (FDA 공식 홈페이지 기준)
② 적응증: 진행성핵상마비 (PSP,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③ 후속 계획: 현재 글로벌 3상 임상시험 준비 중
④ 혜택 기대: 희귀의약품 지정에 따라 향후 임상 비용 지원, 세제 혜택, 독점권 부여 등 다양한 인센티브 가능
⑤ 기존 임상 결과: 최근 완료된 2상 임상시험에서 질환 중증도 개선 가능성 및 안전성 확인
⑥ 신약 후보물질: GV1001 – 알츠하이머, 전립선암 등에도 적용된 펩타이드 기반 물질
📌 의미 및 시사점
① PSP는 아직 승인된 치료제가 없는 미충족 의료수요가 높은 질환임
② GV1001이 FDA로부터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되며 상업화 가능성과 기술수출 기대감이 상승
③ 세계 최초 PSP 치료제 상용화 가능성에 한걸음 접근한 상황
📌 기타 참고사항
희귀의약품 지정은 FDA가 개발 장려를 위해 소수 질환 치료제에 부여하는 제도
GV1001은 다양한 적응증에 대해 병용 연구 중이며,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제로도 주목받는 중
01.05.202515:50
🔷 2025년 1차 추가경정예산(추경) 주요 내용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5344450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결론
① 2025년 1차 추경 13조8000억 원 규모로 국회 통과
② 국회 심의 과정에서 1조6000억 원 증액, 총 13.8조 확정
③ 지역화폐(지역사랑상품권)·SOC·농축수산물 등 민생 분야 중심 증액
④ 국채 발행 9.5조로 재정 부담 확대, 재정건전성 악화 우려
⑤ 경기부양 효과는 기대되나 대선 이후 2차 추경 가능성도 대두
📌 세부 예산 항목 증액 내역
지역화폐 예산 4,000억원
사회간접자본 8,000억원
농축수산물 할일 지원 1,000억원
총 증액 합계 1조 6,000억원
📌 재원 조달 방식 및 재정 영향
① 총 13.8조 중 9.5조 원은 국채 발행으로 조달
② 당초 정부안보다 국채 1.4조 원 추가 발행
③ 연간 국채 발행 총액 207조 원 돌파
④ 관리재정수지 적자폭: 73.9조 → 86.4조 원 확대
⑤ 국가채무: 1280조 원 예상, GDP 대비 48.4% 수준
📌 경기·정치적 파장
① 경기보강 효과는 기대, 정부는 신속 집행 방침
② 영남권 산불피해 복구, 전통시장·관세 피해 기업 지원 등 긴급 예산 집행
③ 민주당이 요구한 15조 원 하한선보다 적은 규모로 통과 → 대선 이후 2차 추경 가능성 커짐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5344450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결론
① 2025년 1차 추경 13조8000억 원 규모로 국회 통과
② 국회 심의 과정에서 1조6000억 원 증액, 총 13.8조 확정
③ 지역화폐(지역사랑상품권)·SOC·농축수산물 등 민생 분야 중심 증액
④ 국채 발행 9.5조로 재정 부담 확대, 재정건전성 악화 우려
⑤ 경기부양 효과는 기대되나 대선 이후 2차 추경 가능성도 대두
📌 세부 예산 항목 증액 내역
지역화폐 예산 4,000억원
사회간접자본 8,000억원
농축수산물 할일 지원 1,000억원
총 증액 합계 1조 6,000억원
📌 재원 조달 방식 및 재정 영향
① 총 13.8조 중 9.5조 원은 국채 발행으로 조달
② 당초 정부안보다 국채 1.4조 원 추가 발행
③ 연간 국채 발행 총액 207조 원 돌파
④ 관리재정수지 적자폭: 73.9조 → 86.4조 원 확대
⑤ 국가채무: 1280조 원 예상, GDP 대비 48.4% 수준
📌 경기·정치적 파장
① 경기보강 효과는 기대, 정부는 신속 집행 방침
② 영남권 산불피해 복구, 전통시장·관세 피해 기업 지원 등 긴급 예산 집행
③ 민주당이 요구한 15조 원 하한선보다 적은 규모로 통과 → 대선 이후 2차 추경 가능성 커짐


01.05.202503:30
🔷 K-휴머노이드 연합 본격화…국내 로봇기업, 글로벌 밸류체인 진입 노린다
산업부 5년간 10개 이상 R&D 과제 지원선언, 휴머노이드 산업에 대한 전방위 지원 본격화. 연합 출범 3주 만에 4건의 MOU 체결, 로봇 기업-수요기업-AI 그룹 간 협력 빠르게 확산 중.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요약
• 산업부, 5년간 R&D 협력과제 10건 이상 지원 계획
• AI·부품·수요기업 포함 40개사 연합 참여…연내 휴머노이드 펀드 출시
• AI 기반 파운데이션 모델·핵심 부품(센서, 액추에이터 등) 공동 개발 착수
• 연합 참여 로봇 기업, 글로벌 빅테크와 유사한 사업 구조 확보 시도
✅ 기업별 협력 구도와 비교
① 레인보우로보틱스 × CJ대한통운
• 물류 로봇 상용화 MOU 체결
• 테슬라의 옵티머스 생산현장 적용 모델과 유사한 형태
② 에이로봇 × 포스코이앤씨, HD현대미포
• 건설·조선용 로봇 개발…AI와 연계된 작업 로봇 특화
③ 로보티즈 × 통합물류협회
• AI 워커 공개, 로봇 플랫폼과 부품 경쟁력 모두 확보
④ 서울대 AI연구원 등
• 연합 내 로봇 제공받아 행동 데이터 기반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 시장 파급력과 전망
• 고사양 로봇 개발 가이드라인 제시 (60kg↓, 50자유도↑, 20kg 페이로드↑)
• 리벨리온·딥엑스 등 국내 반도체 업체, 로봇 AI 칩 공동개발 참여
• AI 반도체·배터리·시뮬레이터까지 밸류체인 확장
👉 테슬라·MS·엔비디아 중심의 글로벌 로봇 경쟁 구도 속, K-연합은 AI·HW 분업 구조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최초 사례. 국내 로봇 상장사 및 부품주에 장기 테마 가능성 열림.
산업부 5년간 10개 이상 R&D 과제 지원선언, 휴머노이드 산업에 대한 전방위 지원 본격화. 연합 출범 3주 만에 4건의 MOU 체결, 로봇 기업-수요기업-AI 그룹 간 협력 빠르게 확산 중.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요약
• 산업부, 5년간 R&D 협력과제 10건 이상 지원 계획
• AI·부품·수요기업 포함 40개사 연합 참여…연내 휴머노이드 펀드 출시
• AI 기반 파운데이션 모델·핵심 부품(센서, 액추에이터 등) 공동 개발 착수
• 연합 참여 로봇 기업, 글로벌 빅테크와 유사한 사업 구조 확보 시도
✅ 기업별 협력 구도와 비교
① 레인보우로보틱스 × CJ대한통운
• 물류 로봇 상용화 MOU 체결
• 테슬라의 옵티머스 생산현장 적용 모델과 유사한 형태
② 에이로봇 × 포스코이앤씨, HD현대미포
• 건설·조선용 로봇 개발…AI와 연계된 작업 로봇 특화
③ 로보티즈 × 통합물류협회
• AI 워커 공개, 로봇 플랫폼과 부품 경쟁력 모두 확보
④ 서울대 AI연구원 등
• 연합 내 로봇 제공받아 행동 데이터 기반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 시장 파급력과 전망
• 고사양 로봇 개발 가이드라인 제시 (60kg↓, 50자유도↑, 20kg 페이로드↑)
• 리벨리온·딥엑스 등 국내 반도체 업체, 로봇 AI 칩 공동개발 참여
• AI 반도체·배터리·시뮬레이터까지 밸류체인 확장
👉 테슬라·MS·엔비디아 중심의 글로벌 로봇 경쟁 구도 속, K-연합은 AI·HW 분업 구조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최초 사례. 국내 로봇 상장사 및 부품주에 장기 테마 가능성 열림.


29.04.202515:53
🔷 공매도 재개 한 달… 이차전지·반도체 소부장에 집중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902413?sid=101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결론 요약
① 공매도 재개 후 하루 평균 거래대금 6852억 원으로 이전보다 27% 증가
② 외국인의 공매도 집중 현상이 두드러지며, 개인 비중은 오히려 감소
③ 이차전지·반도체 소부장 종목에 공매도 물량 집중
④ 외국인 순매도는 지속되고 있으며, 공매도 재개가 외국인 복귀로는 이어지지 않음
📌 공매도 거래 동향 요약
① 재개 기간(3/314/28) 총 공매도 대금: 14조3903억 원
② 하루 평균: 6852억 원 → 금지 직전(2023.1011)보다 27.1% 증가
③ 외국인 공매도 비중: 74.6% → 85.6%로 확대
④ 개인 투자자 공매도 비중: 1.79% → 1.14%로 오히려 감소
📌 개인 투자자 참여 저조 배경
① 제도 개편으로 형평성은 개선됐지만
② 개인의 시장 관심 저하와 투자 매력 감소가 주 원인
③ 공매도보다는 국내 시장 자체에 대한 관심 위축
📌 공매도 집중 종목 (유동주 대비 비중 기준)
① 포스코퓨처엠 – 8.23%
② 에코프로비엠 – 7.78%
③ 대상홀딩스 – 6.76%
④ 에코프로 – 5.66%
⑤ 한미반도체 – 5.39%
👉 대부분 이차전지 및 반도체 소부장 종목 중심
※ 숏커버링 가능성 언급: 공매도 과도한 종목은 반등 시 주가 급등 여지도 있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902413?sid=101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결론 요약
① 공매도 재개 후 하루 평균 거래대금 6852억 원으로 이전보다 27% 증가
② 외국인의 공매도 집중 현상이 두드러지며, 개인 비중은 오히려 감소
③ 이차전지·반도체 소부장 종목에 공매도 물량 집중
④ 외국인 순매도는 지속되고 있으며, 공매도 재개가 외국인 복귀로는 이어지지 않음
📌 공매도 거래 동향 요약
① 재개 기간(3/314/28) 총 공매도 대금: 14조3903억 원
② 하루 평균: 6852억 원 → 금지 직전(2023.1011)보다 27.1% 증가
③ 외국인 공매도 비중: 74.6% → 85.6%로 확대
④ 개인 투자자 공매도 비중: 1.79% → 1.14%로 오히려 감소
📌 개인 투자자 참여 저조 배경
① 제도 개편으로 형평성은 개선됐지만
② 개인의 시장 관심 저하와 투자 매력 감소가 주 원인
③ 공매도보다는 국내 시장 자체에 대한 관심 위축
📌 공매도 집중 종목 (유동주 대비 비중 기준)
① 포스코퓨처엠 – 8.23%
② 에코프로비엠 – 7.78%
③ 대상홀딩스 – 6.76%
④ 에코프로 – 5.66%
⑤ 한미반도체 – 5.39%
👉 대부분 이차전지 및 반도체 소부장 종목 중심
※ 숏커버링 가능성 언급: 공매도 과도한 종목은 반등 시 주가 급등 여지도 있음
02.05.202507:06
🔷씨티그룹, 한국 주식시장 투자의견 '중립'으로 상향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요약
① 씨티그룹, 한국·브라질 증시 투자의견 '중립' 상향
② 대만은 '중립'으로 하향, 멕시코·사우디는 '매도'로 하향
③ 트럼프 관세 충격에 한국이 상대적으로 견조, 이익 성장 기대 반영
📌 상향 조정 배경
① 트럼프의 상호 관세 조치로 글로벌 증시 혼란
② 씨티 “한국은 아시아 국가 중 가장 먼저 증시 회복”
③ 한국 코스피 편입 기업, 다른 아시아 기업 대비 이익 성장 우위 예상
④ GDP 대비 수출 비중이 대만·동남아보다 낮아 관세 영향 완충
📌 지역별 투자전략 조정 현황 (씨티 기준)
① 한국: 투자의견 '중립' 상향
② 브라질: '중립' 상향
③ 대만: 기존보다 하향 조정 → '중립'
④ 멕시코·사우디아라비아: *'매도'*로 하향
📌 시장 해석 포인트
① 한국 시장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완화됐음을 시사
② 무역 민감도, 실적 회복력, 대외 환경 대응력 등을 고려한 상대적 우위 평가
③ 단기적으로 한국 증시에 대한 외국인 자금 유입 가능성 확대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요약
① 씨티그룹, 한국·브라질 증시 투자의견 '중립' 상향
② 대만은 '중립'으로 하향, 멕시코·사우디는 '매도'로 하향
③ 트럼프 관세 충격에 한국이 상대적으로 견조, 이익 성장 기대 반영
📌 상향 조정 배경
① 트럼프의 상호 관세 조치로 글로벌 증시 혼란
② 씨티 “한국은 아시아 국가 중 가장 먼저 증시 회복”
③ 한국 코스피 편입 기업, 다른 아시아 기업 대비 이익 성장 우위 예상
④ GDP 대비 수출 비중이 대만·동남아보다 낮아 관세 영향 완충
📌 지역별 투자전략 조정 현황 (씨티 기준)
① 한국: 투자의견 '중립' 상향
② 브라질: '중립' 상향
③ 대만: 기존보다 하향 조정 → '중립'
④ 멕시코·사우디아라비아: *'매도'*로 하향
📌 시장 해석 포인트
① 한국 시장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완화됐음을 시사
② 무역 민감도, 실적 회복력, 대외 환경 대응력 등을 고려한 상대적 우위 평가
③ 단기적으로 한국 증시에 대한 외국인 자금 유입 가능성 확대
02.05.202500:55
🔷 금융자산 토큰화: 기대 효과와 향후 과제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요약
① 금융자산 토큰화는 블록체인 기반 거래를 통해 거래비용 절감, 결제기간 단축, 투명성 향상 가능
② 프로그래머블 기능(programmability) 활용 시 조건 충족 시 자동 거래 실행 가능
③ 국제기구(BIS, FSB)는 토큰화 확산에 따른 네 가지 주요 리스크를 제시
④ 토큰화 확산을 위한 과제로는 기존 금융인프라와의 상호운용성, 법규 정비, 유동성 관리, 거버넌스 구축 등이 요구됨
📌 금융자산 토큰화의 주요 사례
① 예금토큰: 은행 예금 기반
② 스테이블코인: 민간 발행 화폐
③ 토큰증권: 주식, 채권, MMF, REIT 등
④ 기타 토큰: 사모대출, 실물자산(금 등)
📌 기대 효과
① 결제/청산 신속화 및 비용 절감
② 투명성 제고 및 중개자 생략 가능
③ 다양한 금융자산을 단일 플랫폼에서 통합 거래 가능
📌 향후 과제
① 금융기관과 인프라사업자는 거래 효율화 및 시장 경쟁력 제고 관점에서 대응 필요
② 비금융 사업자 이해 제고 위한 정보 공유 및 참여 유도 필요
③ 감독당국은 인재 육성, 제도 정비, 지식 축적 통해 디지털 금융 환경에 선제 대응 필요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요약
① 금융자산 토큰화는 블록체인 기반 거래를 통해 거래비용 절감, 결제기간 단축, 투명성 향상 가능
② 프로그래머블 기능(programmability) 활용 시 조건 충족 시 자동 거래 실행 가능
③ 국제기구(BIS, FSB)는 토큰화 확산에 따른 네 가지 주요 리스크를 제시
④ 토큰화 확산을 위한 과제로는 기존 금융인프라와의 상호운용성, 법규 정비, 유동성 관리, 거버넌스 구축 등이 요구됨
📌 금융자산 토큰화의 주요 사례
① 예금토큰: 은행 예금 기반
② 스테이블코인: 민간 발행 화폐
③ 토큰증권: 주식, 채권, MMF, REIT 등
④ 기타 토큰: 사모대출, 실물자산(금 등)
📌 기대 효과
① 결제/청산 신속화 및 비용 절감
② 투명성 제고 및 중개자 생략 가능
③ 다양한 금융자산을 단일 플랫폼에서 통합 거래 가능
📌 향후 과제
① 금융기관과 인프라사업자는 거래 효율화 및 시장 경쟁력 제고 관점에서 대응 필요
② 비금융 사업자 이해 제고 위한 정보 공유 및 참여 유도 필요
③ 감독당국은 인재 육성, 제도 정비, 지식 축적 통해 디지털 금융 환경에 선제 대응 필요
01.05.202512:34
🔷 4월 D램 가격 급등: 美 관세 전 재고 확보 수요 급증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결론 요약
① 미국의 對중국 반도체 관세 가능성 및 90일 유예 조치로 인해 IT 기업들이 반도체 선재고 확보에 나섰음.
② 이로 인해 4월 PC용 D램(DRR4) 가격이 22% 급등, 4년 만의 최대폭 상승을 기록.
③ 낸드플래시도 11% 상승하며 재고 비축 수요 반영.
④ 하반기 관세 불확실성으로 가격 추가 상승 여력은 제한적일 수 있음.
📌 세부 정리
① D램 가격 동향
PC용 DDR4 8Gb 제품: 4월 고정거래가 1.65달러, 전월 대비 +22.2%
4개월 보합세 이후 반등, 2021년 4월 이후 최대 상승폭
DDR5 제품도 품목별로 6~8.2% 상승
② 수요 급증 배경
美 전자제품·반도체에 대한 관세 검토 및 90일 유예 발표
이에 따라 IT기업 및 OEM업체들이 관세 전에 부품 확보 나섬
DDR4 SODIMM 단종 예고 → 현물시장 매입 및 대체 공급처 확보
③ 공급 측 움직임
DDR4 제품 출하 종료 일정:
삼성전자: 2024년 12월
마이크론: 2025년 1월
SK하이닉스: 2025년 4월
중국 CXMT는 DDR4 물량 공세 → 글로벌 3사, 고부가 제품 위주로 전환
④ 낸드플래시 동향
낸드 128Gb MLC 평균가: 2.79달러 (+11.06%)
지난해 12월 이후 4개월 연속 상승
⑤ 전망 및 우려
2분기 가격 반등에도 하반기 수요 약세 우려
관세율 불확실성 및 글로벌 무역장벽 가능성으로 가격 상승세 제약 우려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결론 요약
① 미국의 對중국 반도체 관세 가능성 및 90일 유예 조치로 인해 IT 기업들이 반도체 선재고 확보에 나섰음.
② 이로 인해 4월 PC용 D램(DRR4) 가격이 22% 급등, 4년 만의 최대폭 상승을 기록.
③ 낸드플래시도 11% 상승하며 재고 비축 수요 반영.
④ 하반기 관세 불확실성으로 가격 추가 상승 여력은 제한적일 수 있음.
📌 세부 정리
① D램 가격 동향
PC용 DDR4 8Gb 제품: 4월 고정거래가 1.65달러, 전월 대비 +22.2%
4개월 보합세 이후 반등, 2021년 4월 이후 최대 상승폭
DDR5 제품도 품목별로 6~8.2% 상승
② 수요 급증 배경
美 전자제품·반도체에 대한 관세 검토 및 90일 유예 발표
이에 따라 IT기업 및 OEM업체들이 관세 전에 부품 확보 나섬
DDR4 SODIMM 단종 예고 → 현물시장 매입 및 대체 공급처 확보
③ 공급 측 움직임
DDR4 제품 출하 종료 일정:
삼성전자: 2024년 12월
마이크론: 2025년 1월
SK하이닉스: 2025년 4월
중국 CXMT는 DDR4 물량 공세 → 글로벌 3사, 고부가 제품 위주로 전환
④ 낸드플래시 동향
낸드 128Gb MLC 평균가: 2.79달러 (+11.06%)
지난해 12월 이후 4개월 연속 상승
⑤ 전망 및 우려
2분기 가격 반등에도 하반기 수요 약세 우려
관세율 불확실성 및 글로벌 무역장벽 가능성으로 가격 상승세 제약 우려


30.04.202516:02
🔷 한수원, 체코 두코바니 원전 2기 수주 확정 (26.2조 원 규모)
🔋 유럽 원전 시장 진입, K-원전 글로벌 포지셔닝 전환점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 핵심 데이터
• 계약 대상: 체코 두코바니 5·6호기 신규 원전 EPC 수주
• 발주처: 체코전력공사(CEZ) 산하 EDUⅡ
• 총사업비: 4천억 코루나 (한화 약 26조 2천억 원)
• 계약 일정: 2024년 5월 7일 본계약 체결 예정
• 추가 옵션: 테멜린 3·4호기 사업 시 우선협상권 확보
✅ 전략적 의미
• 16년 만의 수출: UAE 바라카(2009년) 이후 최초 해외 원전 EPC 수주
• 선진시장 진출: 중동→유럽, 기술력·신뢰 기반 시장 다변화
• EDF 제압: 프랑스 전력공사의 ‘홈그라운드’ 유럽에서 경쟁력 입증
• On-time, Within-budget 신뢰: 일정+비용 준수 이력 → 발주국 신뢰 요인
• 글로벌 ESG 흐름 내 저탄소·기저전원 니즈 부합
✅ 산업 및 수출 확장성
• WNA 전망: 2050년까지 원전 용량 3배 확대 필요
⤷ 매년 대형원전 20기, SMR 70기 건설 필요
• 수출 파이프라인: 사우디, 베트남, 폴란드, 불가리아 등
• 에너지 지정학: AI·국방·전기차 전력 수요 급등 → 원전의 전략자산화 진행 중
✅ 비판 및 수익성 리스크
• 현지화율 60% 요구: 국내 밸류체인 수혜 제한 가능성
• 웨스팅하우스 로열티 변수: 지재권 분쟁 타결, 기술료 조단위 전가 관측
• UAE 사례 교훈: 초기 기대 이익률 10% → 공기 지연으로 누적 수익률 마이너스권
📌 종합 해석
“단가 기준 UAE(4기 약20조) 대비 약 2배, 물가 감안해도 유리한 계약”이라는 정부 입장 존재.
다만, 진입이 어려운 선진시장 확보란 상징성 이면에, 로열티·현지화율·정치 리스크 등
중장기 이익 실현 여부는 여전히 관찰 필요.
📊 Bottom line:
단기 모멘텀보다 수주 파이프라인, 실제 수익성, 정책 후속 기조에 주목할 시점.
🔋 유럽 원전 시장 진입, K-원전 글로벌 포지셔닝 전환점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 핵심 데이터
• 계약 대상: 체코 두코바니 5·6호기 신규 원전 EPC 수주
• 발주처: 체코전력공사(CEZ) 산하 EDUⅡ
• 총사업비: 4천억 코루나 (한화 약 26조 2천억 원)
• 계약 일정: 2024년 5월 7일 본계약 체결 예정
• 추가 옵션: 테멜린 3·4호기 사업 시 우선협상권 확보
✅ 전략적 의미
• 16년 만의 수출: UAE 바라카(2009년) 이후 최초 해외 원전 EPC 수주
• 선진시장 진출: 중동→유럽, 기술력·신뢰 기반 시장 다변화
• EDF 제압: 프랑스 전력공사의 ‘홈그라운드’ 유럽에서 경쟁력 입증
• On-time, Within-budget 신뢰: 일정+비용 준수 이력 → 발주국 신뢰 요인
• 글로벌 ESG 흐름 내 저탄소·기저전원 니즈 부합
✅ 산업 및 수출 확장성
• WNA 전망: 2050년까지 원전 용량 3배 확대 필요
⤷ 매년 대형원전 20기, SMR 70기 건설 필요
• 수출 파이프라인: 사우디, 베트남, 폴란드, 불가리아 등
• 에너지 지정학: AI·국방·전기차 전력 수요 급등 → 원전의 전략자산화 진행 중
✅ 비판 및 수익성 리스크
• 현지화율 60% 요구: 국내 밸류체인 수혜 제한 가능성
• 웨스팅하우스 로열티 변수: 지재권 분쟁 타결, 기술료 조단위 전가 관측
• UAE 사례 교훈: 초기 기대 이익률 10% → 공기 지연으로 누적 수익률 마이너스권
📌 종합 해석
“단가 기준 UAE(4기 약20조) 대비 약 2배, 물가 감안해도 유리한 계약”이라는 정부 입장 존재.
다만, 진입이 어려운 선진시장 확보란 상징성 이면에, 로열티·현지화율·정치 리스크 등
중장기 이익 실현 여부는 여전히 관찰 필요.
📊 Bottom line:
단기 모멘텀보다 수주 파이프라인, 실제 수익성, 정책 후속 기조에 주목할 시점.


30.04.202502:45
🔷 美 에너지 저장 업계, 1천억 달러 투자 선언
미국 ESS 시장 확장을 위한 대규모 투자, 배터리 제조업체들의 생산 확대 계획 발표.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요약
• 투자 규모: 미국 에너지 저장 산업, 향후 10년간 1천억 달러 투자 계획 발표
• 목표: 미국산 배터리로 전력망용 ESS 수요 100% 충족 목표 (2030년까지)
• 일자리 창출: 약 35만 개의 일자리 창출 예상
• 정책 의존성: 미국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투자 실현의 핵심 조건
⸻
✅ 기업별 투자 계획 및 CEO 발언 요약
① LG에너지솔루션 (CEO 박재홍)
• 투자 규모: 미시간주 홀랜드 공장에 14억 달러 투자, 2025년부터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생산 시작 예정
• 생산 계획: 2025년 16.5GWh 생산, 2026년 11GWh 추가 예정
• 전략적 입장: “미국 ESS 시장의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내 생산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② Fluence (CEO John Zahurancik)
• 투자 계획: 유타, 텍사스, 테네시, 애리조나 등지에 배터리 셀, 모듈, 인클로저, 열 관리, 제어 시스템 제조 시설 확장
• 발언 요약: “미국 내 에너지 저장 제품을 올해부터 생산하며, 미국 경제 성장에 기여할 것이다”
③ Form Energy (CEO Mateo Jaramillo)
• 투자 계획: 웨스트버지니아주 위어턴에 3일 이상의 에너지 저장이 가능한 배터리 생산 시설 구축
• 발언 요약: “미국의 전력망 강화를 위해 미국산 배터리 제조를 확대하고 있다”
④ Tesla Energy (CEO Elon Musk)
• 투자 계획: 네바다주 스파크스에 메가팩(Megapack) 배터리 셀 생산 시설 구축
• 발언 요약: “AI 시대에는 에너지 저장이 반도체만큼 중요해질 것이다”
미국 ESS 시장 확장을 위한 대규모 투자, 배터리 제조업체들의 생산 확대 계획 발표.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요약
• 투자 규모: 미국 에너지 저장 산업, 향후 10년간 1천억 달러 투자 계획 발표
• 목표: 미국산 배터리로 전력망용 ESS 수요 100% 충족 목표 (2030년까지)
• 일자리 창출: 약 35만 개의 일자리 창출 예상
• 정책 의존성: 미국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투자 실현의 핵심 조건
⸻
✅ 기업별 투자 계획 및 CEO 발언 요약
① LG에너지솔루션 (CEO 박재홍)
• 투자 규모: 미시간주 홀랜드 공장에 14억 달러 투자, 2025년부터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생산 시작 예정
• 생산 계획: 2025년 16.5GWh 생산, 2026년 11GWh 추가 예정
• 전략적 입장: “미국 ESS 시장의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내 생산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② Fluence (CEO John Zahurancik)
• 투자 계획: 유타, 텍사스, 테네시, 애리조나 등지에 배터리 셀, 모듈, 인클로저, 열 관리, 제어 시스템 제조 시설 확장
• 발언 요약: “미국 내 에너지 저장 제품을 올해부터 생산하며, 미국 경제 성장에 기여할 것이다”
③ Form Energy (CEO Mateo Jaramillo)
• 투자 계획: 웨스트버지니아주 위어턴에 3일 이상의 에너지 저장이 가능한 배터리 생산 시설 구축
• 발언 요약: “미국의 전력망 강화를 위해 미국산 배터리 제조를 확대하고 있다”
④ Tesla Energy (CEO Elon Musk)
• 투자 계획: 네바다주 스파크스에 메가팩(Megapack) 배터리 셀 생산 시설 구축
• 발언 요약: “AI 시대에는 에너지 저장이 반도체만큼 중요해질 것이다”
29.04.202515:35
🔷 [단독]삼성 파운드리, 퀄컴 2나노칩 생산 협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79960?sid=101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결론
① 퀄컴이 삼성 파운드리의 2나노 공정 스마트폰 칩 생산을 검토 중이며, 내년 갤럭시 탑재 가능성도 있음
② 과거 이탈했던 퀄컴이 다시 협력 논의에 나섰다는 점에서, 삼성에게는 신뢰 회복과 반전의 전환점
③ 수주량은 크지 않지만 글로벌 빅테크 수주 확대의 ‘신호탄’ 가능성
📌 협의 중인 내용 및 배경
① 삼성 파운드리와 퀄컴은 2나노 모바일 AP ‘스냅드래곤 8 엘리트 2세대’ 생산 조율 중
② 이 제품은 원래 TSMC가 3나노로 맡을 예정이나, 삼성은 더 앞선 2나노 공정 제안
③ 완성 칩은 내년 하반기 갤럭시에 탑재될 가능성 높음
④ 양산은 화성 S3 공장에서 월 1000장(12인치 웨이퍼 기준) 수준으로 시작
📌 삼성과 퀄컴의 과거 관계 회복 신호
① 삼성은 2020~2022년 퀄컴의 5나노·4나노 스마트폰 칩 생산 맡았으나, 수율 문제로 이탈
② 이후 퀄컴은 3나노 제품도 TSMC에 전량 의뢰
③ 이번 협의는 약 3년 만의 관계 회복 움직임
📌 시장 반응 및 향후 기대감
① 현재 삼성의 2나노 생산 능력은 월 7000장, 이번 수주는 일부만 활용
② 이번 퀄컴 수주는 실적 회복보다 ‘신뢰 회복’과 마케팅 효과가 핵심
③ 향후 자율주행칩 등 빅테크 수주로 연결될 가능성 언급
④ 내부적으로는 XR 헤드셋용 4나노 칩도 삼성이 맡아 협력 확대 중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79960?sid=101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결론
① 퀄컴이 삼성 파운드리의 2나노 공정 스마트폰 칩 생산을 검토 중이며, 내년 갤럭시 탑재 가능성도 있음
② 과거 이탈했던 퀄컴이 다시 협력 논의에 나섰다는 점에서, 삼성에게는 신뢰 회복과 반전의 전환점
③ 수주량은 크지 않지만 글로벌 빅테크 수주 확대의 ‘신호탄’ 가능성
📌 협의 중인 내용 및 배경
① 삼성 파운드리와 퀄컴은 2나노 모바일 AP ‘스냅드래곤 8 엘리트 2세대’ 생산 조율 중
② 이 제품은 원래 TSMC가 3나노로 맡을 예정이나, 삼성은 더 앞선 2나노 공정 제안
③ 완성 칩은 내년 하반기 갤럭시에 탑재될 가능성 높음
④ 양산은 화성 S3 공장에서 월 1000장(12인치 웨이퍼 기준) 수준으로 시작
📌 삼성과 퀄컴의 과거 관계 회복 신호
① 삼성은 2020~2022년 퀄컴의 5나노·4나노 스마트폰 칩 생산 맡았으나, 수율 문제로 이탈
② 이후 퀄컴은 3나노 제품도 TSMC에 전량 의뢰
③ 이번 협의는 약 3년 만의 관계 회복 움직임
📌 시장 반응 및 향후 기대감
① 현재 삼성의 2나노 생산 능력은 월 7000장, 이번 수주는 일부만 활용
② 이번 퀄컴 수주는 실적 회복보다 ‘신뢰 회복’과 마케팅 효과가 핵심
③ 향후 자율주행칩 등 빅테크 수주로 연결될 가능성 언급
④ 내부적으로는 XR 헤드셋용 4나노 칩도 삼성이 맡아 협력 확대 중
02.05.202506:16
🔷젬백스, GV1001로 세계 최초 PSP 치료제 도전…FDA 희귀의약품 지정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요약
① 젬백스, 진행성핵상마비(PSP) 치료제 GV1001이 美 FDA로부터 희귀의약품 지정(ODD)
② 희귀의약품 지정으로 임상 세액공제, 수수료 면제, 7년 독점권 등 혜택
③ GV1001은 다중기전 작용 기반 신경퇴행성질환 후보약물
④ 국내 2상 완료 및 18개월 장기투여 임상 진행 중
⑤ 글로벌 3상 추진 기반 마련…세계 최초 PSP 치료제 상용화 도전
📌 GV1001 주요 특성 및 개발 현황
① 기전: 텔로머라제 기반 다중기전 (항노화, 항염, 항산화 등)
② 효과: 타우 단백 억제, 공간인지·운동 기능 회복, 염증 완화
③ 적응증: 알츠하이머병, PSP 등 신경퇴행성 질환
④ 국내 최초 PSP 2상 완료 → 내약성 및 질환 진행 억제 경향성 확인
⑤ 현재 국내서 12개월 연장 임상 진행 중 (18개월 투약 효과 분석 예정)
📌 희귀의약품 지정 혜택 및 시장 규모
① FDA 희귀의약품 지정 시 혜택
임상 비용 25% 세액공제
신약허가 수수료 면제
시판 후 7년간 시장 독점권
② 젬백스는 2024년 국내에서도 개발단계 희귀의약품 지정 완료
③ 글로벌 희귀의약품 시장, 2026년까지 404조원 규모 전망 (Evaluate Pharma 기준)
📌 PSP(진행성핵상마비) 질환 개요
① 파킨슨병의 비정형 유형, 뇌간 부위 신경세포 퇴화
② 증상: 균형감각 상실, 근육 강직, 인지 기능 저하
③ 현재까지 근본적 치료제 전무, 미충족 수요 높은 희귀질환
이 이슈는 GV1001의 글로벌 상용화 가능성, 그리고 젬백스의 신경질환 치료제 파이프라인 확장성이라는 두 측면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요약
① 젬백스, 진행성핵상마비(PSP) 치료제 GV1001이 美 FDA로부터 희귀의약품 지정(ODD)
② 희귀의약품 지정으로 임상 세액공제, 수수료 면제, 7년 독점권 등 혜택
③ GV1001은 다중기전 작용 기반 신경퇴행성질환 후보약물
④ 국내 2상 완료 및 18개월 장기투여 임상 진행 중
⑤ 글로벌 3상 추진 기반 마련…세계 최초 PSP 치료제 상용화 도전
📌 GV1001 주요 특성 및 개발 현황
① 기전: 텔로머라제 기반 다중기전 (항노화, 항염, 항산화 등)
② 효과: 타우 단백 억제, 공간인지·운동 기능 회복, 염증 완화
③ 적응증: 알츠하이머병, PSP 등 신경퇴행성 질환
④ 국내 최초 PSP 2상 완료 → 내약성 및 질환 진행 억제 경향성 확인
⑤ 현재 국내서 12개월 연장 임상 진행 중 (18개월 투약 효과 분석 예정)
📌 희귀의약품 지정 혜택 및 시장 규모
① FDA 희귀의약품 지정 시 혜택
임상 비용 25% 세액공제
신약허가 수수료 면제
시판 후 7년간 시장 독점권
② 젬백스는 2024년 국내에서도 개발단계 희귀의약품 지정 완료
③ 글로벌 희귀의약품 시장, 2026년까지 404조원 규모 전망 (Evaluate Pharma 기준)
📌 PSP(진행성핵상마비) 질환 개요
① 파킨슨병의 비정형 유형, 뇌간 부위 신경세포 퇴화
② 증상: 균형감각 상실, 근육 강직, 인지 기능 저하
③ 현재까지 근본적 치료제 전무, 미충족 수요 높은 희귀질환
이 이슈는 GV1001의 글로벌 상용화 가능성, 그리고 젬백스의 신경질환 치료제 파이프라인 확장성이라는 두 측면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01.05.202523:26
🔷 아이텍 (119830.KQ) 탐방노트 요약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결론 요약
① 아이텍은 고신뢰성이 요구되는 자율주행 및 AI 반도체 테스트 수요 확대의 수혜 기업으로, 테스트 난이도 상승에 따른 단가 상승(P)과 물량 증가(Q)가 동반됨.
② 첨단 장비 보유 및 재무적 여력 기반으로 고사양 반도체 테스트 역량 확보, 국내 주요 차량용 반도체 고객사 테스트 점유율도 90% 이상 확보 중.
③ 자회사 정리 후 본업 집중으로 실적 안정성 및 수익성 개선 기대.
📌 1. 시스템 반도체 테스트 전문 기업
① 아이텍은 2005년 설립된 시스템 반도체 테스트 전문 기업으로, 반도체 후공정의 테스트를 전담.
② 제공 서비스는 웨이퍼 테스트, 패키지 테스트, 시스템 레벨 테스트(SLT), 번인 테스트 등 전방위.
③ 고객은 팹리스 및 디자인 하우스로, 자율주행 및 AI 반도체는 열 발생률이 높은 고사양 칩이기에 정밀한 성능 검증 필요.
④ 이에 따라 2024년부터 능동형 열 제어 기능을 탑재한 ATC 핸들러 번인 테스트 장비 도입해 대응.
📌 2. AI·자율주행 반도체 수요 확대에 따른 성장성
① 누적 176개 고객사 확보, 해외(미국·대만·일본) 세일즈 오피스를 통해 글로벌 대응.
② 기존 모바일·레거시 중심에서 AI·자율주행 반도체로 포트폴리오 전환 중.
③ ‘딥엑스’의 AI 반도체 DX-M1 테스트, 국내 R사 NPU 테스트, 다수 고객사의 자율주행 반도체 테스트 수행.
④ 자율주행차 반도체 수요는 지속 증가
⑤ 이에 따라 전장 반도체 테스트 매출 비중 2023년 37% → 2024년 45%로 증가 전망.
⑥ 차량용 팹리스 T사, N사 기준 테스트 점유율 약 90%.
⑦ 테스트 난이도 및 요구 수준 상승 → 테스트 시간(P) 증가 + 물량(Q) 증가로 동반 성장.
📌 3. 재무 안정성과 첨단 장비 확보로 경쟁력 확보
① 자회사 매각으로 약 1,100억 원 현금 확보, Capex 대응 여력 충분.
② 국내 최초로 V93K-PS5000 장비 2대 운영 중, 2026년까지 5대 이상 추가 예정.
③ 차량용 반도체는 10년 이상 공급 지속 → 고객사는 장기적 안정성 갖춘 업체 선호.
④ 2024년 연결 기준 가이던스: 매출 750억 원, 영업이익 BEP 수준.
⑤ 자회사 제외한 2025년 별도 기준 가이던스: 매출 410억 원, OPM 10%.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결론 요약
① 아이텍은 고신뢰성이 요구되는 자율주행 및 AI 반도체 테스트 수요 확대의 수혜 기업으로, 테스트 난이도 상승에 따른 단가 상승(P)과 물량 증가(Q)가 동반됨.
② 첨단 장비 보유 및 재무적 여력 기반으로 고사양 반도체 테스트 역량 확보, 국내 주요 차량용 반도체 고객사 테스트 점유율도 90% 이상 확보 중.
③ 자회사 정리 후 본업 집중으로 실적 안정성 및 수익성 개선 기대.
📌 1. 시스템 반도체 테스트 전문 기업
① 아이텍은 2005년 설립된 시스템 반도체 테스트 전문 기업으로, 반도체 후공정의 테스트를 전담.
② 제공 서비스는 웨이퍼 테스트, 패키지 테스트, 시스템 레벨 테스트(SLT), 번인 테스트 등 전방위.
③ 고객은 팹리스 및 디자인 하우스로, 자율주행 및 AI 반도체는 열 발생률이 높은 고사양 칩이기에 정밀한 성능 검증 필요.
④ 이에 따라 2024년부터 능동형 열 제어 기능을 탑재한 ATC 핸들러 번인 테스트 장비 도입해 대응.
📌 2. AI·자율주행 반도체 수요 확대에 따른 성장성
① 누적 176개 고객사 확보, 해외(미국·대만·일본) 세일즈 오피스를 통해 글로벌 대응.
② 기존 모바일·레거시 중심에서 AI·자율주행 반도체로 포트폴리오 전환 중.
③ ‘딥엑스’의 AI 반도체 DX-M1 테스트, 국내 R사 NPU 테스트, 다수 고객사의 자율주행 반도체 테스트 수행.
④ 자율주행차 반도체 수요는 지속 증가
⑤ 이에 따라 전장 반도체 테스트 매출 비중 2023년 37% → 2024년 45%로 증가 전망.
⑥ 차량용 팹리스 T사, N사 기준 테스트 점유율 약 90%.
⑦ 테스트 난이도 및 요구 수준 상승 → 테스트 시간(P) 증가 + 물량(Q) 증가로 동반 성장.
📌 3. 재무 안정성과 첨단 장비 확보로 경쟁력 확보
① 자회사 매각으로 약 1,100억 원 현금 확보, Capex 대응 여력 충분.
② 국내 최초로 V93K-PS5000 장비 2대 운영 중, 2026년까지 5대 이상 추가 예정.
③ 차량용 반도체는 10년 이상 공급 지속 → 고객사는 장기적 안정성 갖춘 업체 선호.
④ 2024년 연결 기준 가이던스: 매출 750억 원, 영업이익 BEP 수준.
⑤ 자회사 제외한 2025년 별도 기준 가이던스: 매출 410억 원, OPM 10%.


01.05.202509:27
🔷 LIG넥스원, ‘천리안위성 5호’ 개발 본격화 – 3,207억 원 규모 협약 체결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929247?sid=101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개발 개요 및 사업 규모
① LIG넥스원이 기상청, 우주항공청, 한국기상산업기술원과 ‘천리안위성 5호’ 개발 협약 체결
② 협약 금액은 총 3,207억 원, 개발 기간은 2031년까지
③ 국내 최초 민간 주도 정지궤도 위성 개발 사업
📌 천리안위성 5호 특징 및 목표
① 발사 시점은 2031년 예정, 적도 상공 약 3만 6,000km 고도에 위치
② 기상·우주기상 관측 전용 위성, 24시간 실시간 관측 가능
③ 세계 최고 수준의 차세대 기상위성으로 활용 기대
📌 LIG넥스원의 역할 및 계획
① 시스템 및 본체 개발의 총괄주관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
② 기상청·우주항공청·항우연·협력사들과 긴밀한 공조
③ 위성 탑재체·본체·지상체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통합 개발 역량 강화
📌 향후 전략 및 산업적 파급효과
① 위성 활용 분야로의 사업 영역 확장 추진
② K-우주산업의 해외 진출 기반 마련
③ 민간 주도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 기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929247?sid=101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개발 개요 및 사업 규모
① LIG넥스원이 기상청, 우주항공청, 한국기상산업기술원과 ‘천리안위성 5호’ 개발 협약 체결
② 협약 금액은 총 3,207억 원, 개발 기간은 2031년까지
③ 국내 최초 민간 주도 정지궤도 위성 개발 사업
📌 천리안위성 5호 특징 및 목표
① 발사 시점은 2031년 예정, 적도 상공 약 3만 6,000km 고도에 위치
② 기상·우주기상 관측 전용 위성, 24시간 실시간 관측 가능
③ 세계 최고 수준의 차세대 기상위성으로 활용 기대
📌 LIG넥스원의 역할 및 계획
① 시스템 및 본체 개발의 총괄주관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
② 기상청·우주항공청·항우연·협력사들과 긴밀한 공조
③ 위성 탑재체·본체·지상체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통합 개발 역량 강화
📌 향후 전략 및 산업적 파급효과
① 위성 활용 분야로의 사업 영역 확장 추진
② K-우주산업의 해외 진출 기반 마련
③ 민간 주도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 기여
30.04.202515:52
🔷 한국의 원전 수출 관련 일지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 2009년 5월 = 한전 등 팀코리아, UAE 바라카 원전 건설 프로젝트 입찰 자격 획득
▲ 2009년 12월 = UAE 바라카 원전 4기 건설 계약 체결(약 20조원 규모)
▲ 2012년 7월 = UAE 바라카 원전 1호기 착공
▲ 2020년 8월 = 바라카 원전 1호기 가동 후 첫 송전
▲ 2022년 8월 = 한수원, 이집트 엘다바 원전 기자재 공급 및 터빈 건물 시공 등 건설 계약 체결(약 3조원 규모)
▲ 2022년 10월 = 美 웨스팅하우스, 미국 법원에 한수원 상대 지식재산권 소송
▲ 2023년 6월 = 한수원, 루마니아 체르나보다 원전 삼중수소제거설비 건설사업 수주(약 2천600억원)
▲ 2024년 6월 = 한수원,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2+α기' 건설사업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 2024년 8월 = 美 웨스팅하우스, 한수원의 체코 두코바니 원전 사업 수주 결정 항의, 체코 반독점사무소에 진정
▲ 2024년 10월 = 체코 반독점사무소, 원전 신규 건설 사업 계약 일시 보류 조치
▲ 2024년 11월 = 체코 반독점사무소, 美 웨스팅하우스·佛 EDF의 체코 원전 신규 건설 사업 우선협상대상자 한수원 선정 관련 이의제기 기각
▲ 2024년 11월 = 한미, 원자력 수출 및 협력 원칙에 관한 업무협약(MOU) 가서명
▲ 2024년 11월 = 현대건설·美 웨스팅하우스 컨소시엄, 불가리아 코즐로듀이 원전 설계 계약 체결
▲ 2024년 12월 = 한수원·캐나다 캔두 에너지, 이탈리아 안살도 뉴클리어 컨소시엄, 루마니아 체르나보다 원전 1호기 설비 개선 사업 수주(총사업 2조8천억원·한수원 역무 약 1조2천억원)
▲ 2025년 1월 = 한미, 원자력 수출 및 협력 원칙에 관한 기관 간 약정(MOU) 정식 서명
▲ 2025년 1월 = 한전·한수원, 美 웨스팅하우스와 지식재산권 분쟁 종결 합의
▲ 2025년 4월 = 체코 반독점사무소, 한수원의 체코 원전 건설사업 우선협상 대상자 선정 관련 佛 EDF 이의 제기 항소 기각, 계약 일시 보류 조치 해제
▲ 2025년 4월 = 한수원·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수주 확정
https://www.koreancenter.or.kr/news/curationView.html?idxno=1179030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 2009년 5월 = 한전 등 팀코리아, UAE 바라카 원전 건설 프로젝트 입찰 자격 획득
▲ 2009년 12월 = UAE 바라카 원전 4기 건설 계약 체결(약 20조원 규모)
▲ 2012년 7월 = UAE 바라카 원전 1호기 착공
▲ 2020년 8월 = 바라카 원전 1호기 가동 후 첫 송전
▲ 2022년 8월 = 한수원, 이집트 엘다바 원전 기자재 공급 및 터빈 건물 시공 등 건설 계약 체결(약 3조원 규모)
▲ 2022년 10월 = 美 웨스팅하우스, 미국 법원에 한수원 상대 지식재산권 소송
▲ 2023년 6월 = 한수원, 루마니아 체르나보다 원전 삼중수소제거설비 건설사업 수주(약 2천600억원)
▲ 2024년 6월 = 한수원,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2+α기' 건설사업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 2024년 8월 = 美 웨스팅하우스, 한수원의 체코 두코바니 원전 사업 수주 결정 항의, 체코 반독점사무소에 진정
▲ 2024년 10월 = 체코 반독점사무소, 원전 신규 건설 사업 계약 일시 보류 조치
▲ 2024년 11월 = 체코 반독점사무소, 美 웨스팅하우스·佛 EDF의 체코 원전 신규 건설 사업 우선협상대상자 한수원 선정 관련 이의제기 기각
▲ 2024년 11월 = 한미, 원자력 수출 및 협력 원칙에 관한 업무협약(MOU) 가서명
▲ 2024년 11월 = 현대건설·美 웨스팅하우스 컨소시엄, 불가리아 코즐로듀이 원전 설계 계약 체결
▲ 2024년 12월 = 한수원·캐나다 캔두 에너지, 이탈리아 안살도 뉴클리어 컨소시엄, 루마니아 체르나보다 원전 1호기 설비 개선 사업 수주(총사업 2조8천억원·한수원 역무 약 1조2천억원)
▲ 2025년 1월 = 한미, 원자력 수출 및 협력 원칙에 관한 기관 간 약정(MOU) 정식 서명
▲ 2025년 1월 = 한전·한수원, 美 웨스팅하우스와 지식재산권 분쟁 종결 합의
▲ 2025년 4월 = 체코 반독점사무소, 한수원의 체코 원전 건설사업 우선협상 대상자 선정 관련 佛 EDF 이의 제기 항소 기각, 계약 일시 보류 조치 해제
▲ 2025년 4월 = 한수원·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수주 확정
https://www.koreancenter.or.kr/news/curationView.html?idxno=1179030


29.04.202522:05
🔷 최근 임상 중단 사례
불필요한 비용 지출을 막고
가능성 높은 파이프라인에 집중하는 전략이
최근 바이오 업계 트렌드라 판단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요약
오름테라퓨틱이 유방암 치료제 후보 ‘ORM-5029’ 임상을 자진 중단하고, 혈액암 치료제 ‘ORM-1153’에 집중하는 전략적 피봇 단행.
시장성 부족 판단 시 빠른 임상 중단은 비용 효율성과 기업 신뢰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됨.
LG화학·지놈앤컴퍼니 등도 유사한 결정 진행 중이며, 업계 전반에 걸쳐 파이프라인 재정비 추세 확대.
📌 세부 내용
① 오름테라퓨틱 임상 중단 배경
ORM-5029 임상 중단 후, TPD² 기술 기반 혈액암 치료제 ORM-1153을 핵심 파이프라인으로 전환.
전임상 결과에서 강력한 항종양 효과 및 안전성 확보.
② 시장 반응과 투자자 평가
임상 중단 직후 주가는 급락했지만, 정확한 정보 제공과 신속한 전략 전환으로 긍정적 평가 등장.
과거 실패도 정직한 공개와 전환을 통해 투자 유치에 성공한 전례 있음.
③ 업계 전반 사례
LG화학: 통풍 치료제 임상 중단, 항암제 집중을 위한 자원 재배분.
지놈앤컴퍼니: GEN-001 임상 철회, ADC 분야로 전략 전환.
한국유나이티드제약: UI028 (기능성 소화불량 치료제) 임상 3상 자진 중단
불필요한 비용 지출을 막고
가능성 높은 파이프라인에 집중하는 전략이
최근 바이오 업계 트렌드라 판단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핵심 요약
오름테라퓨틱이 유방암 치료제 후보 ‘ORM-5029’ 임상을 자진 중단하고, 혈액암 치료제 ‘ORM-1153’에 집중하는 전략적 피봇 단행.
시장성 부족 판단 시 빠른 임상 중단은 비용 효율성과 기업 신뢰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됨.
LG화학·지놈앤컴퍼니 등도 유사한 결정 진행 중이며, 업계 전반에 걸쳐 파이프라인 재정비 추세 확대.
📌 세부 내용
① 오름테라퓨틱 임상 중단 배경
ORM-5029 임상 중단 후, TPD² 기술 기반 혈액암 치료제 ORM-1153을 핵심 파이프라인으로 전환.
전임상 결과에서 강력한 항종양 효과 및 안전성 확보.
② 시장 반응과 투자자 평가
임상 중단 직후 주가는 급락했지만, 정확한 정보 제공과 신속한 전략 전환으로 긍정적 평가 등장.
과거 실패도 정직한 공개와 전환을 통해 투자 유치에 성공한 전례 있음.
③ 업계 전반 사례
LG화학: 통풍 치료제 임상 중단, 항암제 집중을 위한 자원 재배분.
지놈앤컴퍼니: GEN-001 임상 철회, ADC 분야로 전략 전환.
한국유나이티드제약: UI028 (기능성 소화불량 치료제) 임상 3상 자진 중단
Reposted from:
한양증권 제약/바이오 오병용

29.04.202511:55
#바이오솔루션
정식 품목허가
(코스닥)바이오솔루션 -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카티라이프(바솔자가연골유래연골세포)의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 품목 변경허가 획득)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50429900977
2025.04.29
정식 품목허가
(코스닥)바이오솔루션 -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카티라이프(바솔자가연골유래연골세포)의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 품목 변경허가 획득)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50429900977
2025.04.29
Shown 1 - 24 of 218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