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Инсайдер UA
Инсайдер UA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Инсайдер UA
Инсайдер UA
캬오의 공부방 avatar

캬오의 공부방

아이투자에서 캬오라는 필명으로 활동했고, 밸류스타에서 기획/운영으로 잠깐 일하다가 생업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이 채널은 자료를 스크랩하기 위한 채널입니다. 열심이 할때도 있고 슬슬 할때도 있습니다. 비정기적 방학이 있습니다만, 채널은 닫지 않습니다. 댓글달아주시면 투자와 관련되거나 관련되지 않은 인생고민도 상담해드립니다 :)
블로그:https://coconx.tistory.com
TGlist rating
0
0
TypePublic
Verification
Not verified
Trust
Not trusted
Location
LanguageOther
Channel creation dateMay 19, 2019
Added to TGlist
Sep 22, 2024
Linked chat

Records

12.05.202523:59
15.2KSubscribers
04.09.202423:59
0Citation index
30.11.202423:59
9.6KAverage views per post
08.12.202423:59
10.4KAverage views per ad post
12.02.202500:32
21.84%ER
30.11.202423:59
64.72%ERR
Subscribers
Citation index
Avg views per post
Avg views per ad post
ER
ERR
OCT '24JAN '25APR '25

Popular posts 캬오의 공부방

Reposted from:
Buff avatar
Buff
12.05.202505:52
서울대 투자동아리 SMIC 리포트
Reposted from:
Buff avatar
Buff
12.05.202505:52
Reposted from:
BI (Be Independent) avatar
BI (Be Independent)
05.05.202513:47
비교과서적인 솔직한 얘기를 하자면..

경제적 자유를 이루기 전까지는

1. 몇 년을 고3처럼 공부해서

2. 종목을 고르고 골라서 성장의 기울기가 가장 큰 종목에

3. 6개월에서 1년 6개월 단위로 집중투자를 반복

하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솔직히 너무 늙어서 경제적 자유를 이루면 인생이 좀 재미없잖아요..

근데 1번이 자신 없거나 자기는 공부랑은 안 맞다 싶으면 연 수익률 10%를 목표로 안전하게 투자하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
[고려대학교 가치투자동아리 KUVIC] 두산에너빌리티 (BUY) – 두에빌은 뭐든지 두어블(Do-able)
▶️ 보고서 원문: https://www.kuvic.com/_files/ugd/5ec6f7_ab5636e41be3412faad8a589a4b1c08f.pdf
▶️ KUVIC 홈페이지: https://www.kuvic.com/research

▶️ 투자의견 ‘Buy’, 28년 목표주가 64,200원
• SOTP Valuation 기반으로 2028년 목표주가 64,200원(Bull case 기준) 제시.
• 현재 주가 대비 상승여력 123% 존재 (3년 CAGR 30%)
• 2028년까지 매출액, 영업이익 각각 11조원, 2조원으로 전망

▶️ 투자포인트 1. 중단기에 튼튼한 가스터빈
• 올해부터 자체 제작 H급 초대형 가스터빈(380MW)의 매출 본격 증명
• 기존 수주 중 25년 인식 매출 2.0조원
• 가스 터빈 관련 매출 25년 3.7조원 → 28년 5.9조원(Bull case 기준) 성장 전망

▶️ 투자포인트 2. 장기에는 대형 원전이 Lead
• 2028년까지 총 10개의 대형 원전 수주 성공 기대
• 매해 대형 원전 신규 수주 규모 약 6조원 이상 전망(25년 6.6조원 → 28년 10.8조원)

▶️ 투자포인트 3. 미래 먹거리 SMR
• 2030년까지 총 60기의 SMR 공급 계획 수립 중
• 올해 루마니아향 6기 납품 예정 (NuScale 프로젝트)
• SMR 내에 들어가는 주기기를 제작할 수 있는 회사는 동사와 북미 기업 1개뿐
Reposted from:
投資, 아레테 avatar
投資, 아레테
15.05.202506:08
안녕하세요 아레테입니다. 방산 대형4사의 실적발표가 모두 마무리 되었습니다. 전반적으로 모두 우수한 서프라이즈를 기록했으며, 미달한 기업의 경우에도 향후 개선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실적 컨콜, 실적발표 후 대면/비대면 업데이트 내용 중 주요 내용 간략히 공유드립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지상방산 매출액이 무난하게 나와줬고 마진으 소폭 상회하면서 생산성 개선에 따른 효과를 보여주고 있음.
- 지상방산 25년 인도 가이던스가 25년 초 K9 70문, 천무 50대 이상>1Q25 K70문 이상, 천무 K9 이상으로 상향 가능하다고 소통. 자세한 부분은 2Q25 실적발표 즈음에 공유할 것.
- 25년 역시 1Q25를 바닥으로 QoQ로 실적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안내하고 있으며 연간 가이던스는 3조원인 것을 보여줌.

#LIG넥스원
- 1Q25 실적을 통해 1) 양산 사업이 본격적으로 성장 궤도에 올라왔다는 것을 본격적으로 얘기하고, 2) 가이던스 유지는 비용 측면에서 보수적으로 유지했지만 상반기 변동이 있으면 소통하겠다고 했고, 3) 향후 천궁 사업의 성장 프로세스 등을 공유했다는 점 긍정적.
- 내수 양산 사업의 성장궤도가 회사 안내 대비 빠르게 다가와고 수출 물량이 늘어나고 있고 UAE 천궁이 유의미하게 찍히고 있음. 내수 물량은 후속양산과 함께 차세대 초기 양산 시작되면서 무난한 상승 롤링 기대.

#한국항공우주
- 수출 주요 폴란드/말레이 사업 정상적으로 납품 진행 중. 하반기로 갈수록 더욱 인식이 확대될 것. 다만, 미래사업을 위한 무인기, AAM, AI 파일럿 등의 투자가 지속되면서 비용적인 요인은 연간으로 어느정도 계속 증가할 듯.
- 실적 자체는 1H25는 비어보일 수 있으나 2H25를 기대하고 있음. 실제 완제기 등의 매출도 4Q에 몰릴 것.
- 필리핀 FA-50 12대 추가 도입 사업의 경우 막바지 단계에 들어간 만큼 조만간 계약 체결이 되도록 노력할 것. 해당 수주는 현재 전사 마진보다 높은 OPM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
- KF-21 UAE 장선 탑승은 이례적인 사항. 성능 및 신뢰를 방증한다고 생각하고 홍보 열심히 하고 있음.
- 페루 사업은 탈락 뉴스는 오보. 일시적으로 제외되었던 것은 맞지만 이후 열심히 마케팅 및 영업활동 추진하고 있음.

#현대로템
- 동사의 레일솔루션 소폭 흑자 및 에코플랜드 기존 수익성을 고려할 때 디펜스 솔루션 OPM은 20% 중후반이 합리적으로 생각됨.
- 디펜스 솔루션 1Q 휴일이 많아서 일시적인 매출 감소 발생. 2Q부터는 회복될 것이고 연말까지 일정 이상 유지될 것으로 전망.
- 레일솔루션 비용 대부분 처리해서 플러스. 향후에도 플러스일 것으로 전망.
- 폴란드 관련 계약 지연 요인은 해소됨. 매출에 대한 공백은 없을 것. 폴란드 외 슬로바키아, 루마니아. 페루, 중동, 아시아 등에서 K2 및 장갑차 관련 협상 진행 중.
- 향후 수주 상황에 따라 증설도 고려해봐야 할 듯. 현재 열심히 공장 돌리고 있고 생산 확충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29.04.202510:42
29.04.202521:55
상당한 장문의 인터뷰지만...
진지하게 투자를 임하는 분이라면
시간을 내어서 한번쯤 읽어볼 가치가
충분히 있습니다.

https://m.blog.naver.com/thingschange_/223845113523
Reposted from:
루팡 avatar
루팡
21.04.202500:19
[속보]이재명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주가지수 5000' 시대 열겠다"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504213831b

[속보]이재명 "경제 성장 로드맵 발표…민간 전략에 예측가능성 더할 것"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42109105324723

[속보] 이재명 “상법 개정 재추진…코스피 5000시대 열겠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21일 “주주 이익 보호를 위한 상법 개정을 재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이 같은 주식시장 활성화 정책을 통해 코스피 지수 5000시대를 실현하겠다고도 강조했다.

이 후보는 이날 SNS에 “주식시장의 활성화가 국민의 건전한 자산 증식을 위한 가장 쉽고 빠른 길”이라며 이런 내용의 정책들을 발표했다.

이 후보는 “불투명한 기업지배구조는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고질적인 원인 중 하나”라며 “주주 이익 보호를 위한 상법 개정을 재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 소액주주를 대표하는 이사도 선임될 수 있도록 집중투표제를 활성화하고, 감사위원 분리 선출도 단계적으로 확대해 경영 감시 기능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쪼개기 상장’ 시 모회사의 일반주주에게 신주를 우선 배정하도록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또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도입해 한 번이라도 주가조작에 가담하면, 다시는 주식시장에 발을 들일 수 없게 하겠다”고도 적었다.

그는 “(이 같은 정책을 통해) ‘코리아 디스카운트’ 시대를 끝내고, ‘코리아 프리미엄’ 시대를 열겠다”라며 “공정하고 합리적인 기업경영과 시장 질서가 확립되면, 우리 주식시장은 획기적인 도약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대한민국의 회복과 성장으로 코스피 5000시대를 실현하겠다”고도 덧붙였다.

https://www.khan.co.kr/article/202504210910001
Reposted from:
소중한추억 avatar
소중한추억
11.05.202512:15
SMR_First_Mover_Fast_Follower_하나금융투자_250511.pdf
Reposted from:
BI (Be Independent) avatar
BI (Be Independent)
10.05.202505:13
한 번 이 생각을 해 본 적이 있습니다.

“내가 비중있게 가져갔던 종목들 바닥에서 고점까지 먹었으면 지금 내 자산이 얼마나 되어 있을까?”

- 파라다이스
- 엔씨소프트
- 티씨케이
- 대한약품
- 쌍용양회
- F&F
- 파마리서치 등등

제가 주식투자를 5백만원으로 시작했는데 저 종목들을 다 바닥에서 꼭지까지 먹고 갈아타고 갈아탔다면 지금 제 자산이 1조 원이 넘더라고요. ㅋㅋㅋ

여기서 깨달은 점은요:

1. 1조 돌파가 허황된 목표는 아니구나.
그것도 한국 주식 시장에서.

2. 바닥에서 꼭지까지 다 먹는 게 쉬운 게 아니구나.
그게 쉬웠다면 모든 사람이 주식으로 부자가 되어 있을 것이다.
주식은 원래 어려운 거다.
이 정도면 나 잘하고 있다.
자기 위로…ㅠㅠㅋㅋㅋ

3. 저 종목들을 관통하는 개념이 하나 있습니다.
그건 바로 경제적 해자!!!

경제적 해자는
(1) 무형자산 - 브랜드, 특허, 법적 라이센스
(2) 고객 전환 비용
(3) 네트워크 효과
(4) 원가우위

(반대로, 경제적 해자로 착각할 가능성이 높은 네가지
(1) 뛰어난 제품
(2) 높은 시장점유율
(3) 운영 효율성
(4) 우수한 경영진)

경제적 해자가 강할수록
수익금 = 비중 x (매도가 - 매수가) 공식에서,
비중을 많이 실을 수 있고,
주가가 빠져도 더 살 수 있어 매수가가 낮아지며,
장기간 동업하며 보유할 수 있어 매도가가 높아진다!!!

그래서 항상 종목을 볼 때, 뭔가 법적으로 진입하기 어려운 사업, 강력한 브랜드, 강력한 네트워크 구축, 가성비가 너무 좋은 제품은 깊이 살펴봐야 하는 것 같습니다!😀😀😀
08.05.202502:12
에이피알 퀵 업데이트 드립니다. 2분기 톤도 자신감 있으시네요 😊 맛점하세요!

⚡️에이피알 1Q25 Re 컨퍼런스콜

[연결 기준]
매출액 2,660억원 (YoY +78.6%)
영업이익 546억원 (YoY +96.5%)
OPM 20.5%(YoY 1.9%p)

성수기 4분기 매출을 넘어서 압도적 실적 성장세
브랜드 인지도 상승하며 글로벌 성장에서 성장

[화장품/뷰티 부문]
매출액 1,650억원 (YoY +152.3%)

메디큐브 화장품 매출은 YoY 203% 폭발적인 성장

[뷰티 디바이스 부문]
매출액 909억원 (YoY +36.2%)

부스터프로 미니 미국, 일본 글로벌 런칭

[지역별 매출]
해외 전체 1,893억원 (YoY 186%)
한국: 매출액 767억원 (YoY -7.3%)
미국: 매출액 709억원 (YoY +186.5%)
일본: 매출액 293억원 (YoY +198.3%)
중화권: 매출액 284억원 (YoY +39.4%)
기타: 매출액 607억원 (YoY +441.9%)

해외 비중은1Q24 44% -> 1Q25 71%

한국은 뷰티 시장이 성숙해 안정적인 사업이 유지되고 있으며, 패션 부문은 역성장 중임.
미국은 분기 기준 최대 매출을 경신했으며, 진출 이후 제품 효과가 입증되면서 소비자 중심의 자발적 바이럴이 확산되고 있음.
일본은 3월 메가와리 기간 중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하며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함.
중화권은 중국, 홍콩, 대만 전 지역에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기타 지역은 글로벌 수요 확대에 따라 고성장세를 지속 중이며, 전년 대비 442%의 폭발적인 성장 기록

#QnA
Q. 패션 부문 손실 금액 / 뷰티와 디바이스 각각 수익성
패션 부문에서는 약 30억 원 중반대 손실이 발생함.
올해부터는 발주량과 스타일 수를 줄이고 있어, 앞으로 패션 부문 매출은 감소하겠지만 손실액도 전체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됨.
뷰티와 디바이스의 상세 수익성은 잠정 공시 기준이어서 별도로 준비되어 있지 않음.

Q. 마케팅비 및 운반비 비중. 미국 & 일본 상세 비용
전사 기준 마케팅비는 매출의 18%, 운반비는 9%를 차지함. 마케팅비는 전년 대비 2%p 감소했고, 운반비는 전 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함.
미국 및 일본의 상세 비중은 공유가 어려움.

Q. 기타 내 유럽 / B2B 성장 비중
기타 부문 내 B2B 비중은 90% 이상임.
유럽향 B2B 매출은 증가 중이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확대 전망

Q. 미국) 월별 1/2/3월 매출 트렌드 및 관세 앞두고 사재기 트렌드 여부
월별 수치는 제공이 어렵지만, 미국 트렌드는 관세 발표 전후 모두 견조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음.
1분기 기준으로는 3월이 프로모션 영향으로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함.
관세로 인한 사재기 효과는 아님. 2분기 역시 견조한 매출 흐름이 이어지고 있음.

Q. 일본) 오프라인 3천 개 입점 목표 중 달성 정도
정확한 수치는 어렵지만, 일본 오프라인 입점은 아직 매우 초기 단계로, 현재 목표 대비 1천 개 미만 매장에 입점된 상태임. 2분기부터 B2B 오프라인 입점을 시도 중임.
매장 수가 늘지 않는 이유는 일본 전략이 느려서가 아니라, 글로벌 전체 수요 급증으로 인해 SKU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
매장 입점 수는 충분히 달성 가능한 목표임.

Q. B2B 매출 셀스루 데이터 업데이트
현재 셀스루 데이터는 별도로 준비된 것이 없음.
다만, B2B 매출은 글로벌 전역에서 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100개국 이상 다양한 오프라인 및 홀세일 채널에서 매출이 증가 중임.

Q. 물류비 감소 원인 – 물류 효율화인지, 선제적 출하 때문인지?
1분기 물류비는 기존 9.5%에서 9.0%로 소폭 감소했으나, 유의미한 개선으로 보기는 어려움.
매출이 많이 올라가는 만큼 해외에 대량 선적 보내는 중
에어 비용은 1분기에는 많이 없었을 것으로 판단 중

Q. B2B) 마케팅 비중 감소에 영향 주었는지? 2분기 마케팅 비용 계획
전체 판관비가 레버리지 효과로 감소하면서 마케팅 비중도 낮아진 것으로 보임. 글로벌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광고 집행을 지속하고 있음. 마케팅비 비중은 유사하거나 다소 줄어들 가능성이 있음

Q. B2B) 4~5월 매출 추이
1분기와 유사하게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B2B 외 다른 부문들도 대부분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음.

Q. 달러 노출도 및 금융수익 증가의 달러 영향 여부
미국 매출은 전체의 약 27%를 차지함.
지역별 매출은 대부분 현지 통화 기준으로 발생하며, 환효과는 미국 손익 기준 0.5% 미만으로 추산됨.
매출원가는 한국 기준이지만, 기타 비용은 대부분 달러로 집행되기 때문에 환율에 연동되는 구조임.기타 국가들은 현지 통화로 인식. 금융수익은 환효과 보다는 다양한 금융상품 운용에 따른 금리 수익이며, 1분기 기타 금융수익은 약 40억 원 발생함.

Q. 연간 가이던스 OPM 17~18%에서 상향 계획

이전 컨콜에서 매출 1조 원, 영업이익 1,700~1,800억 원 수준의 가이던스를 제시함.
현재 시점에서 공식적인 변경은 없지만, 하반기 사업 계획을 감안하면 초과 달성 가능성이 높음.
내부적으로는 더 높은 목표를 추진 중임.

Q. 디바이스 판매량 지역별 브레이크다운 및 2분기 전망

1Q25 디바이스 판매량은 59만 대로 분기 기준 최대치 기록.
지역별 상세 판매 데이터는 현재 컨콜에서 제공 어려움.
화장품 수요가 늘고 있으며 브랜드 인지도 상승이 디바이스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음.
하반기에는 디바이스 신제품 출시 예정이며, 신제품 중심으로 마케팅 진행 예정.

Q. 주요국 일본/미국/한국 전반적인 2분기 전망
2분기 및 3분기는 일반적으로 비수기이지만, 월별 매출 흐름이 양호해 2분기 전망도 긍정적으로 보고 있음.

Q. 중화권) 매출 성장 배경 및 도우인 샵 메디큐브 판매 관련 소비 트렌드 변화 여부

중국 전역에서 브랜드 인지도가 많이 상승했고, 소비 트렌드도 개선 중임.
다만, 중화권에서 미국·일본처럼 효과가 나타나는지는 좀 더 추이를 지켜볼 필요 있음.
03.05.202500:09
윤센 의견

- 기준은 단순합니다. 싼 거 사세요.

- 우리가 내수 다 망하는 줄 알고 있었는데 어느 날 이마트가 올라와있고 건설주 같은 경우 현대건설을 올 연초에 샀다면 가장 좋은 수익률을 보였을 거예요. 모든 곳에서 PF로 떠들고 있을 때가 제일 저렴했어요. 얼마 전까지 자동차를 사는 게 좋은 선택일 수 있었던 거예요.

- 방송에서 몇 군데 이야기를 했더니 댓글이 굉장히 안 좋게 달리더라구요. 기본적인 분석을 못하는 사람 같다까지 있더라.

- 우리가 대형주를 사서 한 20% 수익날 기회가 보이는 종목들이 넘쳐난다면 이런 빅찬스가 어디 있을까요? 꼭 100% 수익이 나야 할까요?

- 최근 리서치 센터장 간담회가 있었어요. 갔다 온 분들 중에 아는 분들이 많이 있으니까 제가 물어봤어요. 그 날 나왔던 이야기예요. 여기에 무서운 말이 들어갔어요. "솎아낸다"

- 한국이 왜 못 올라가는 거냐면 너무 상장돼서는 안 될 기업들이 너무 많이 상장돼 있죠. 그리고 폐지를 잘 안 시키고. 이것도 굉장히 중요한 변화가 생긴 거예요. 최근 나오는 강도를 보면 놀랄 정도예요. 혹시 압니까? 2분기만 놓고 본다면 0.9배 정도 가질 수 있는데 한 3, 4년 놓고 봤더니 정말 1.5배 가는 장이 시작된 거라면 이 대형주를 이렇게 싸게 살 수 있는 기회가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거죠.

- 이런 가능성을 본다면 투자자들이 이제 점점 주식을 사서 파는 사람들이 줄어들겠죠. 주식이 올라간다는 거는 사서 내가 들고 가는 사람들이 늘어나면 주식이 올라가는 거예요. 이제는 한국 주식을 사서 모아가는 사람들이 늘어나지 않을까요?

- 많은 분들이 1570원 정도는 열어둬야 된다 뭐 이런 얘기도 했지만 조용히 1400원대 초반이 왔어요. 저는 올해 안에 1300원대 들어간다고 봅니다. 이런 얘기 좀 하지 말라고 저희 역시나 이코노미스트가 얘기하는데...

**하나의 의견일 뿐입니다. 판단은 각자 하는 거죠.

https://youtu.be/jqdQLqQtapg?si=iZ6SjszVPyaCbQtr
📌 굉장히 중요한 파월 발언이 나왔습니다. 필독👇

💥 파월 “장기 실질금리 상향 조정 불가피”… 공급충격 시대 경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워싱턴 D.C.에서 열린 연구 컨퍼런스에서 “경제 체질 변화와 정책 불확실성 속에 장기 실질금리는 과거보다 높게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고 발언. 특히 공급충격이 더 빈번하고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음을 지적하며, 2010년대와 같은 저금리 시대는 재현되기 어렵다고 언급.

결론: 파월 의장의 발언은 중립금리 수준 자체가 구조적으로 높아졌음을 시사. 이는 통화정책의 기조 변화로 금리 인하 기대에 제동을 걸 수 있음.

연준의 장기금리 상향 발언은 현재의 시장 낙관론에 경고 신호. 정책 기조 변화가 가시화되면 금리 리스크가 다시 재발할 가능성이 있음.

파월의 공급충격 언급은 구조적 리스크로 금리인하 사이클이 순조롭게 진행될 것이라고 기대하는 시장에는 향후 큰 충격을 줄 가능성이 있음.

ITK / 미주투
09.05.202523:06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