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Инсайдер UA
Инсайдер UA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Инсайдер UA
Инсайдер UA
미국주식과 투자이야기 avatar

미국주식과 투자이야기

트위터 -> https://twitter.com/itechkoreallc
스레드 -> https://www.threads.net/@itechkorea
미주투 카톡 단톡방 -> https://open.kakao.com/o/g3e8yxBc
비번: usitk095
TGlist rating
0
0
TypePublic
Verification
Not verified
Trust
Not trusted
Location
LanguageOther
Channel creation dateMay 06, 2020
Added to TGlist
Sep 09, 2024

Statistic of Telegram Channel 미국주식과 투자이야기

Subscribers

10 986

24 hours00%Week
185
1.7%Month
269
2.5%

Citation index

0

Mentions0Shares on channels0Mentions on channels0

Average views per post

1 604

12 hours1 3160%24 hours1 6040%48 hours1 6180%

Engagement rate (ER)

2.29%

Reposts25Comments0Reactions15

Engagement rate by reach (ERR)

12.71%

24 hours
1.89%
Week
12.07%
Month
1.98%

Average views per ad post

1 733

1 hour20611.89%1 – 4 hours32318.64%4 - 24 hours87150.26%
Connect our bot to the channel to find out the gender distribution of this channel's audience.
Total posts in 24 hours
2
Dynamic
2

Latest posts in group "미국주식과 투자이야기"

🖋ITK 오늘의 한마디

지난 금요일 무디스가 글로벌 신평사로는 마지막으로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을 결정했습니다. 이로써 미국은 국채의 가장 높은 신용등급인 AAA 등급을 모두 잃게 되었습니다.

일단 시장의 반응은 "그래서 뭐?"라는 반응입니다. 월가의 대부분의 전략가들도 이미 알려진 높은 부채 리스크를 다시 끄집어 낸 것에 불과하다는 분석입니다.

모건스탠리를 비롯한 대부분의 전략가들이 신용등급으로 인한 하락세를 매수 기회로 여길것을 권했는데요, 실제 시장은 오전 하락 시작 후 곧바로 매수세가 유입되며 빠르게 상승하며 마감했습니다.

하지만 과열된 시장에서 신용등급 하락은 과연 매수기회가 될까요? 시장은 오름세로 마감했지만 여전히 헬스케어와 유틸리티 등의 경기 방어주가 주도하며 시장에 방어적인 기재가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기술주와 자유소비재는 약세로 마감하며 뜨거웠던 열기를 여전히 식히고 있는 모습입니다. 다만 이번 무디스의 신용등급 강등은 주식시장이 아닌 채권시장의 '뉴스'로 봐야 합니다.

실제 무디스의 신용등급 강등은 미국의 부채 문제이고 이를 반영하고 있는 것은 미 국채입니다. 다만 미국채는 이미 역사적 저점에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디스의 신용등급 강등 '뉴스'는 지금까지의 하락세를 마무리하는 '매수' 시그널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제 오는 미 증시가 올랐지만 안전자산인 금과 미 국채가 상당히 인상적인 반등세를 보였다는 점은 주목해야 할 부분입니다.

https://themiilk.com/articles/a977352a7?u=3e083717&t=a07065047&from=
📆 이번 주 증시 핵심 일정(Market Watch)

🔻 미 신용등급 강등: 무디스가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Aaa에서 Aa1으로 한 단계 하향 조정하며 36조 달러를 넘어서고 재정 적자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상황을 우려.

🏛️ 감세 법안: 미 하원에서 대규모 감세 법안이 논의되고 있으나 예산위원회에서 일부 법안이 부결되며 불확실성 확대. 감세가 통화될 경우 단기적으로 증시에 호재, 하지만 재정적자 확대 우려도 증가.

🛍️ 소매업체 실적: 홈디포와 로우스, 타겟, TJX, 로스 스토어, 랄프 로렌 등 주요 소매업체들의 실적 발표가 예정. 소비자 지출 동향과 관세 영향 등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될 것.

🚀 기술주: 지난주 나스닥이 7.2% 상승하며 불마켓으로의 재진입을 성공한 가운데 AI 종목들이 주도. 이번 주에도 스노우플레이크와 팔로알토 등 실적 발표가 예정.

🎤 연준 발언: 연방준비제도의 미셸 보우만 이사와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등의 발언이 예정. 이들의 발언은 향후 금리 정책 방향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형성하는데 영향.

https://themiilk.com/articles/a06c2770e?u=3e083717&t=a6bdf6aa7&from=
🖋ITK 오늘의 한마디

뉴욕증시는 올해 들어 두 번째로 강력한 주간 상승세를 보이며 관세완화 호재를 맘껏 즐기는 모습입니다. 특히 오늘은 미시건대 소비자심리지수가 역대급으로 악화되고 인플레이션 기대는 급등하며 소비자들의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까지 보여줬지만 이 마저도 철저히 무시됐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조사가 관세유예가 발표되기 전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다음 조사때는 소비심리가 급등할 것으로 보았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그동안 지연됐던 유럽연합과의 무역협상에 돌파구가 마련됐다는 파이낸셜타임즈의 보도로 인해 관세협상에 대한 긍정론이 다시 시장을 밀어올렸죠.

이제 S&P500은 다시 불마켓으로의 진입을 앞에 두고 있고 전고점에서 고작 3% 이내로 접근하며 '관세전쟁 어디?' 수준의 강력한 상승장을 연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주 말부터 시장에서의 모멘텀은 빠르게 약해지고 있고 최근 이틀동안 시장을 주도했던 세력이 기술주나 경기순환주가 아닌 헬스케어나 유틸리티, 필수소비재와 같은 경기방어주라는 부분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시그널은 2월의 최고점에서 나타났던 시그널이고 저도 계속해서 경고했던 투자심리의 전환 시그널입니다.

S&P500은 이제 중요한 저항선인 6000레벨을 앞두고 있습니다. 솔직히 현재 주가 상승세는 그동안의 관세정책을 모두 잠깐 반짝했다 사라지는 일회용 이벤트성으로 여기는 수준의 V자 반등세입니다.

하지만 관세전쟁은 이제 시작이라는 점. 관세로 인한 영향이 상당히 광범위하게 나타날 것이라는 점을 고려할때 현재 주가 상승세는 지속될 가능성이 없다고 봅니다.

악시오스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가 130개국이 넘는 국가들과의 개별협상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평가하며 2~3주 내에 관세를 개별적으로 통보하겠다고 전한 점을 고려할때 시장에 상당한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올 가능성에 대비해야 할 것으로 판단합니다.

https://themiilk.com/articles/a6ccd27b6?u=3e083717&t=a7b8d0c5c&from=
미 장기채 금리(30년물)가 지난 2년간 시장의 발작을 초래했던 위험레벨인 5% 수준까지 근접함.
미시건대 소비자심리지수가 아주 기가 막히게 나왔네요.

1. 5년 기대 인플레이션 4.6%로 1991년 이후 최고치.

2. 소비자심리지수 50.8로 2022년을 제외하면 1953년 이후 역대 최저치.

이런 수치면 주가는 기본적으로 기업 이익(E)에 대한 평가를 내려야 하는데 주가(P)는 계속 펌핑중.

지금 랠리가 이벤트성 모멘텀 랠리에 불과할 수 있다는 의심이 점점 확신으로 변해가는 중.

이번 수치가 관세유예 전에 조사한 데이터이긴 하지만 소비심리 위축의 추세는 이미 하단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

ITK / 미주투
🔔 모닝 브리핑 (2025년 5월 16일)

1. 미·중 관세 일시 중단과 인플레 완화로 증시 랠리 지속
미국과 중국의 90일간 관세 휴전 합의와 낮은 생산자물가 발표로 인해 S&P 500은 이번 주 4.5% 상승하며 연중 최고 주간 상승률 중 하나를 기록.

2.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 재점화
UBS는 연준이 9월부터 100bp의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전망. 이는 고용시장 약화와 성장 둔화 신호에 기반.

3. 월마트, 관세 인상에 따른 가격 인상 경고
소비재 대기업 월마트는 5월 말부터 일부 상품 가격 인상을 예고하며 기업들의 비용 전가 움직임이 가시화.

4. 옵션 만기일로 인한 단기 변동성 증가 가능성
골드만삭스는 2.8조 달러 규모의 옵션 계약이 오늘 만기 도래함에 따라 시장 변동성 확대를 경고.

5.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중국 수출 제약 여파로 실적 부진
반도체 장비업체 AMAT는 중국향 매출 비중이 43%에서 25%로 급감하며 주요 사업 부문 실적이 예상치 하회.

🔚 오늘의 결론

미·중 무역 갈등 완화와 연준의 통화완화 기대는 현재 시장을 지지하고 있으나 실물경제의 비용 전가와 규제 리스크는 하반기 투자 전략의 핵심 변수로 부상하고 있음. 지금은 리스크온이 유효하나 6~7월 실적 및 지표 확인 후 포지션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

특히 월마트 등 대기업의 가격 인상 경고는 소비자 물가에 후행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 시사하는 만큼 실물 경제에 미칠 충격 가능성도 염두하고 소비 위축 신호 전환 시그널을 파악해야 할 것.

ITK / 미주투
[이슈N투자] 파월의 경고: 장기 금리 상승과 공급망 충격의 시대

📌 핵심 인사이트 요약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공급망의 지속적인 충격으로 인해 장기 실질금리가 과거보다 높게 형성될 가능성을 경고했습니다.

📊 데이터 중심 핵심 포인트

연준의 기준금리는 현재 4.25~4.50%로 유지 중입니다.

10년물 국채 실질금리는 2.20%에 근접하며, 이는 10년 만에 최고 수준입니다.

⚠️ 위기 or 기회 포인트

탈세계화와 공급망 재편으로 인플레이션 변동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연준의 정책 대응이 지연될 경우, 시장의 금리인하 기대가 무너질 수 있습니다.

🔍 더밀크 시각 요약

금리 민감주보다 금융주, 자본재, 원자재 섹터에 주목해야 합니다.

정책 불확실성에 대비하여 금의 비중을 확대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 전문 보기: https://themiilk.com/articles/a1b9675a5?u=3e083717&t=a8ee20fe3&from=
🖋ITK 오늘의 한마디

오늘 증시는 복잡한 시그널속에 자산들이 서로 엇갈리며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일단 데이터 측면에서 생산자가격이 전월 대비 -0.5%나 하락하며 수년내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성장의 둔화와 함께 가격의 상승이라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를 씻는 결과였다고 할 수 있는데요. 문제는 그 폭이 조금 심각하게 컸다는 겁니다.

지금까지 미국의 물가 상승세는 상품가격의 하락세에도 서비스 물가의 지속적인 상승세때문에 계속됐는데요. 이번에 나타난 서비스 물가는 무려 16년 만에 최대폭의 하락세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그만큼 소비 지출의 추세가 무너지기 시작했음을 시사합니다. 실제 이 외에도 제조업 지수와 산업생산이 모두 부진하면서 미국의 성장둔화세가 가속화되고 있음을 보여줬죠.

이정도라면 시장에서 연준의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는 폭발했어야 하는 것이 맞겠죠. 물론 10년물 금리가 하락하고 연방기금 금리 선물시장도 미래 금리에 대한 기대를 소폭 낮췄습니다.

문제는 제롬 파월 연준의장이 연준의 통화정책 프레임워크가 바뀌고 있음을 시사한점입니다. 파월은 정책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공급망이 불규칙하게 흔들리면서 물가가 흔들릴 것으로 예고했습니다.

결과적으로 공급망의 지속적인 불안정이 인플레이션을 구조적으로 높게 이끌면서 고금리가 장기화될 것이란 선언을 한 것이죠. 문제는 이겁니다. 연준이 들쑥날쑥한 물가 데이터를 못믿고 있다가 고용시장이 망가진 후에나 대응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이죠.

https://themiilk.com/articles/a91448ecf?u=3e083717&t=a2a1cccdd&from=
📌 굉장히 중요한 파월 발언이 나왔습니다. 필독👇

💥 파월 “장기 실질금리 상향 조정 불가피”… 공급충격 시대 경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워싱턴 D.C.에서 열린 연구 컨퍼런스에서 “경제 체질 변화와 정책 불확실성 속에 장기 실질금리는 과거보다 높게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고 발언. 특히 공급충격이 더 빈번하고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음을 지적하며, 2010년대와 같은 저금리 시대는 재현되기 어렵다고 언급.

결론: 파월 의장의 발언은 중립금리 수준 자체가 구조적으로 높아졌음을 시사. 이는 통화정책의 기조 변화로 금리 인하 기대에 제동을 걸 수 있음.

연준의 장기금리 상향 발언은 현재의 시장 낙관론에 경고 신호. 정책 기조 변화가 가시화되면 금리 리스크가 다시 재발할 가능성이 있음.

파월의 공급충격 언급은 구조적 리스크로 금리인하 사이클이 순조롭게 진행될 것이라고 기대하는 시장에는 향후 큰 충격을 줄 가능성이 있음.

ITK / 미주투
🔔 모닝 브리핑 (2025년 5월 15일)

1. 미·중 무역전쟁 휴전, 시장은 반등 후 조정
트럼프 행정부와 중국 간의 관세 중단 합의 이후 시장은 3거래일 연속 상승했으나, 목요일 선물시장에서 S&P 500은 -0.4%, 나스닥 -0.5%, 다우 -0.3% 하락. 기술주 중심의 상승에도 차익실현 압력 존재.

2. 생산자물가(PPI) -0.5%, 서비스 물가 16년래 최대 하락
4월 PPI가 예상(0.3% 상승)과 달리 -0.5%로 급감, 특히 서비스 부문은 -0.7% 하락하며 2009년 이후 최저치. 이는 디스인플레이션 압력 강화 시사.

3. 월마트 호실적 불구, 소비자 가격 인상 경고
예상보다 나은 이익(주당 61센트) 발표 후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상승했으나, CFO는 “관세 부담이 너무 커서 가격 인상 불가피” 경고. 6월 인플레 상승 가능성 대두.

4. 소매판매 0.1% 증가, 소비 둔화 신호
4월 소매판매는 전월(1.7%) 대비 급감한 0.1% 상승에 그쳐 소비 모멘텀 둔화. 자재 및 외식 부문은 강세, 스포츠 및 기타 소매는 급감.

5. 트럼프, 이란 핵협상 발언에 유가 -3% 급락
트럼프 대통령의 “이란과의 평화적 핵 협상 진행 중” 발언 이후 유가는 WTI 기준 -3.55% 하락. 중동 리스크 프리미엄 축소 반영.

📌 오늘의 결론

PPI로 나타난 공급 측 인플레 완화와 이란 리스크 완화는 금리 인하 기대를 자극. 다만 소비 둔화 및 월마트의 가격 인상 경고는 하반기 경기에 혼선을 주고있음.

특히 서비스 중심의 PPI 급락은 연준이 주시하는 ‘서비스 디스인플레이션’ 가능성을 반영. 이는 하반기 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이는 만큼 장기채 매수 및 성장주에 호재.

ITK / 미주투
💥 비트코인 ETF에 지금 50억 달러가 몰리고 있습니다.

단순한 코인 열풍이 아닙니다.

지금은 ‘비트코인 시즌2’, 제도권과 구조적 투자로의 전환이 시작된 시점입니다.

📈 그 중심에는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IBIT가 있습니다.

IBIT는 단순 ETF가 아닌 **기관 자금이 믿고 들어오는 '비트코인 포털'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그리고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이제는 금과 비트코인에 동시에 투자할 수 있는 복합 ETF까지 등장했습니다!

📉 그리고 변동성이 무서운 투자자들을 위한 하방 방어형 ETF도 있습니다.

https://themiilk.com/articles/a28e6c33d?u=3e083717&t=ab57ec897&from=
🖋ITK 오늘의 한마디

S&P500이 단 한 달만에 22% 이상 급등하며 시장에 과열 징후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뉴욕증시는 해방의 날을 기준으로 중국에 대한 관세전쟁을 선포한 이후 저점에서 반등하기 시작했는데요.

이제 투자자들은 시장을 끌어올렸던 관세전쟁에 대한 우려 완화와 연준의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가 과연 합당한지에 대한 테스트에 준비해야 합니다.

저점에서조차 S&P500은 예상 이익 20배 수준으로 역사적 평균보다 높은 수준에서 거래됐는데 이제 공포와 탐욕 지수는 탐욕 수준으로 진입했고 RSI 지표는 과열 신호를 발산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여전히 130여개국과 관세협상을 진행해야 하고 역사적으로 한 국가와 합의에 도출하기까지 18개월이 걸렸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황은 예상보다 더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특히 가장 난이도가 낮았던 영국과의 결과에서 합의가 도출된 이후에도 기본적인 관세율이 10%로 유지될 것이란 점을 감안하면 과연 시장이 이를 충분히 인지하고 있는지 의심이 들 정도입니다.

이번 상승 반등장이 대부분 개인들이 주도하고 기관들은 빠져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랠리를 기관들이 매도의 기회로 이용할 것이란 점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미국은 수면 아래에서 광범위한 소비 위축의 징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누구보다 여기에서 살고있는 제가 느끼고 있고 시장과는 다르게 소비자 심리에서 긍정적인 부분은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도 개인적으로 여전히 시장을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이유입니다.

https://themiilk.com/articles/a540d6358?u=3e083717&t=aa47015a3&from=
🔔 모닝 브리핑 (2025년 5월 14일)

1. S&P 500, 나스닥 반등세 유지

S&P 500은 0.2%, 나스닥은 0.5% 상승하며 주 초반 랠리를 이어감. 연초 이후 S&P 500 수익률은 플러스로 전환.

기술주 중심으로 반등 주도. Nvidia는 사우디에 AI칩 1.8만 개 수출 소식에 2% 상승, AMD는 60억 달러 자사주 매입 발표로 7% 급등.

2. 미중 관세 완화, 90일간 휴전 합의

미국은 대중 관세를 30%로, 중국은 대미 관세를 10%로 낮춤. 이전에는 100% 이상 관세 위협.

아직 구체적인 무역합의는 없으나 시장은 “최악은 피했다”는 안도감 확산.

3. 기관 전략가들, 기술주 및 낙폭 과대 종목 매수 강조

UBS: 글로벌 기술주 밸류에이션 여전히 매력적, AI 품질주 중심의 반등 가능성 높음.

Citi, JPMorgan: 단기적으로 중소형주, 반도체 하드웨어, 주택건설업종 강세 전망.

4. 10년물 국채금리 상승, 달러 약세

10년물 수익률 4.48%로 2bp 상승. 무역 긴장 완화에 따른 위험자산 선호로 달러 약세(0.3% 하락).

5. 종목 이슈

Super Micro: 사우디 데이터센터 DataVolt와 장기계약 체결로 급등

Lucid Group: 사우디, 자국 전기차 산업 보호 위해 수입차 관세 주장

Novo Nordisk: 비만 치료제 관련 美 바이오 기업과 최대 22억 달러 규모 공동개발 계약

📌 오늘의 결론

무역긴장 완화와 AI 주도 기술주의 반등이 단기 랠리의 중심축. 그러나 구조적 리스크는 여전하므로 중기적으론 우량 성장주 중심의 셀렉티브 전략이 유효. 단기 과열에 따른 변동성 확대 구간엔 지지선 확인 후 분할 접근이 바람직.

채권금리 상승 → 성장주 밸류에이션 부담 가능성 → FOMC 발언 민감도 증가

달러 약세 → 원자재 및 이머징마켓 자산 강세 가능성

ITK / 미주투
🔔 모닝 브리핑 (2025년 5월 13일 화요일)

1. 미 CPI, 예상 하회하며 연준 완화 기대 부각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대비 2.3% 상승하며 예상치(2.4%)를 하회. 근원물가(CPI Ex-Food & Energy)는 전월과 동일한 2.8%로 안정적. 항공료, 호텔, 의류, 중고차 등의 하락이 물가 상승 억제.

2. 미-중 무역협상, 90일 간 관세 일부 철회
미국과 중국이 상호 관세를 10%로 낮추는 90일간 임시 합의 도출. 펜타닐 관련 수입품엔 기존 20% 유지. 이로 인해 S&P500은 전일 3% 급등, 나스닥 4.4% 상승.

3. 다우지수는 약세… 유나이티드헬스(-11%) 충격
유나이티드헬스의 급락으로 다우지수는 186포인트(0.4%) 하락. 반면, S&P500과 나스닥은 소폭 상승.

4. 중국, 보잉 항공기 인도 재개 허용
미-중 무역협상 이후 중국이 보잉 항공기에 대한 인도 금지를 해제. 이는 항공우주 및 운송 섹터의 단기 상승 요인으로 작용.

5. 시장, 무역+물가 안정 조합에 '안도 랠리'… 그러나 구조적 리스크 여전
시장은 물가 안도감과 무역 긴장 완화에 반응했으나, Wells Fargo는 "추가 변동성 예상… 탄력적인 포트폴리오 조정 필요" 경고.

📌오늘의 결론

"CPI 둔화 + 무역 완화"는 강력한 단기 리스크 해소 요인. 그러나 렌트나 서비스 부문 중심의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어 구조적 인플레이션 요인이 되고 있음. 또한 불확실한 관세 전개로 인해 중기 변동성 대응 전략 필수. VIX가 급락하고 콜옵션 수요 증가도 과열된 시장 징후로 주의 요인.

ITK / 미주투
🖋ITK 오늘의 한마디

미중 양국이 관세전쟁에 '일시정지' 버튼을 누르기로 합의했습니다. 미국은 중국의 관세를 기존의 145%에서 일부 펜타닐 제품을 포함해 30%로 완화했고 중국은 미국산 수입품을 125%에서 10%로 완화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미국의 대중국 수입품도 펜타닐 제품을 제외하면 10% 수준으로 사실상 월가의 기대치였던 60% 수준보다 훨씬 낮게 떨어뜨린 것입니다.

주식시장은 뜻밖의 긍정적 서프라이즈에 다우가 1100포인트 이상 오르고 나스닥은 다시 불마켓으로 진입하는 등 놀라운 반등세를 연출했습니다.

특히 테슬라와 애플같은 중국에 제품을 판매하는 빅테크 기업들의 초강세가 눈에 띄었는데요. 테슬라는 정말 오랜만에 다시 1조 달러 클럽으로 조인하는 등 개인 투자자들에게는 정말 오랜만에 즐거운 하루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다만 시장의 낙관론이 너무 과도하게 나타나는 것은 경계해야 할 부분입니다. 현재 미국은 약 130개국과 무역협상을 해야하고 일반적으로 한 국가와 무엽협상을 합의에 도출하는데 평균 18개월이 걸린바 있습니다.

이미 관세는 이전과 비교해 몇 배나 오른 상태고 그 충격은 시작됐습니다. 앞으로 많은 불확실성이 있을 것이란 점을 감안하면 투자자들은 지금부터 조심스럽게 시장에 접근해야 할 것입니다.

일단 이번 협상 소식으로 금리가 튀어오르고 달러가 초강세를 보였다는 점은 반대로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가 후퇴했다는 의미입니다. 당장 이번주 소비자물가지수와 제롬 파월 의장의 매파적 발언은 시장을 흔들 수 있는 촉매가 될 수 있는 만큼 주시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https://themiilk.com/articles/ae0e23374

Records

19.05.202507:28
11KSubscribers
04.09.202423:59
0Citation index
16.05.202519:27
8.7KAverage views per post
11.09.202423:59
2.5KAverage views per ad post
01.05.202523:59
5.58%ER
17.05.202510:10
78.97%ERR
Subscribers
Citation index
Avg views per post
Avg views per ad post
ER
ERR
OCT '24JAN '25APR '25

Popular posts 미국주식과 투자이야기

19.05.202521:17
🖋ITK 오늘의 한마디

지난 금요일 무디스가 글로벌 신평사로는 마지막으로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을 결정했습니다. 이로써 미국은 국채의 가장 높은 신용등급인 AAA 등급을 모두 잃게 되었습니다.

일단 시장의 반응은 "그래서 뭐?"라는 반응입니다. 월가의 대부분의 전략가들도 이미 알려진 높은 부채 리스크를 다시 끄집어 낸 것에 불과하다는 분석입니다.

모건스탠리를 비롯한 대부분의 전략가들이 신용등급으로 인한 하락세를 매수 기회로 여길것을 권했는데요, 실제 시장은 오전 하락 시작 후 곧바로 매수세가 유입되며 빠르게 상승하며 마감했습니다.

하지만 과열된 시장에서 신용등급 하락은 과연 매수기회가 될까요? 시장은 오름세로 마감했지만 여전히 헬스케어와 유틸리티 등의 경기 방어주가 주도하며 시장에 방어적인 기재가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기술주와 자유소비재는 약세로 마감하며 뜨거웠던 열기를 여전히 식히고 있는 모습입니다. 다만 이번 무디스의 신용등급 강등은 주식시장이 아닌 채권시장의 '뉴스'로 봐야 합니다.

실제 무디스의 신용등급 강등은 미국의 부채 문제이고 이를 반영하고 있는 것은 미 국채입니다. 다만 미국채는 이미 역사적 저점에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디스의 신용등급 강등 '뉴스'는 지금까지의 하락세를 마무리하는 '매수' 시그널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제 오는 미 증시가 올랐지만 안전자산인 금과 미 국채가 상당히 인상적인 반등세를 보였다는 점은 주목해야 할 부분입니다.

https://themiilk.com/articles/a977352a7?u=3e083717&t=a07065047&from=
16.05.202514:12
미시건대 소비자심리지수가 아주 기가 막히게 나왔네요.

1. 5년 기대 인플레이션 4.6%로 1991년 이후 최고치.

2. 소비자심리지수 50.8로 2022년을 제외하면 1953년 이후 역대 최저치.

이런 수치면 주가는 기본적으로 기업 이익(E)에 대한 평가를 내려야 하는데 주가(P)는 계속 펌핑중.

지금 랠리가 이벤트성 모멘텀 랠리에 불과할 수 있다는 의심이 점점 확신으로 변해가는 중.

이번 수치가 관세유예 전에 조사한 데이터이긴 하지만 소비심리 위축의 추세는 이미 하단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

ITK / 미주투
📈 비트코인의 추세가 S&P500을 역전.

1. 오늘 금융시장은 미국 주식과 채권, 그리고 달러가 모두 동시다발로 무너지는 현상이 목격됨.

2. 특히 채권의 붕괴는 미국 부채에 대한 글로벌 시장의 신뢰가 빠르게 약해지고 있음을 시사.

3. 실제 도이치뱅크는 중국이 미국채를 포함해 미국 채권을 팔고 유럽 채권을 매수하고 있다고 발표.

4. 달러의 하락세는 시장의 불안정함에 달러가 안전자산으로써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가볍게 넘기지 못할 사안.

5. 반대로 스위스 프랑과 일본 엔화 등의 다른 기축통화들이 초강세를 보이면서 탈달러화 가속화 시사.

6. 특히 비트코인은 4월 10일 이후 미국 증시와 디커플링 되는 조짐이 더 뚜렷해지며 오늘 결국 완전히 강세로 전환.

결론: 관세전쟁에 트럼프의 파월 해임 위협 등 통화정책 불확실성이 커지며 글로벌 투자자들의 미국 자산에 대한 믿음이 극도로 옅어지고 있음.

4월 4일 비트코인이 S&P500과의 움직임에 괴리가 생기고 있음을 포스팅한바 있는데 이는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으로써 금융시장의 '탈달러화'에 수혜를 받고 있음을 시사.
30.04.202500:03
1. S&P500 6일 연속 상승하며 +7% 기록. 역사적인 관점은?

S&P500이 6일 연속 상승하며 7% 이상 상승한 경우는 역사적으로 흔하지 않은 매우 강력한 모멘텀.

역사적으로 1957년 이후 단 8번 밖에 없는 수준의 기록으로 대부분 시장의 저점에서나 나올 수 있는 수준의 모멘텀.

실제 3~6개월 수준의 단기적 변동성은 어느정도 있을 수 있지만 1년 후의 결과를 보면 상당히 놀라움.

100%의 확률로 평균 약 19.60%의 수익률을 기록한 바 있음. 그만큼 현재 상승 모멘텀은 매우 레어하고 강함.

2. 이제 S&P500은 단기적인 저항을 만날 가능성이 높은 지점에 안착.

올해 초의 저점과 만나는 거래량이 모여있는 저항 레벨을 만나는 지점.

이 상황에서 주요 촉매제로는 빅테크 실적, GDP 성장률, PCE 데이터, 고용보고서 등 묵직묵직한 데이터들이 쏟아져 나옴.

ITK / 미주투
🤔 기술 혁신에만 투자할 수 있다면?
📊 미국 전체 시장에 단 0.03% 수수료로 투자 가능하다면?

🌍 글로벌 9000개 기업에 자동 분산이 가능하다면?

💵 매달 배당이 들어오고, 성장률도 챙긴다면?

https://themiilk.com/articles/ad39b8957?u=3e083717&t=af176a3a5&from=
미 장기채 금리(30년물)가 지난 2년간 시장의 발작을 초래했던 위험레벨인 5% 수준까지 근접함.
📍 테슬라 2025년 1분기 실적 브리핑

1. 테슬라가 예상대로 '끔찍한' 수준의 어닝 쇼크를 기록.

2. 매출은 전년 대비 9%, 순이익은 무려 71% 감소하며 월가 추정치를 크게 하회. (EPS 30% 예상 하회, 매출 9% 예상 하회)

3. 머스크의 "DOGE 행보 줄일 것"이란 발언에 주가는 장외 거래에서 5% 급등.

4. 테슬라의 1분기 실적은 관세전쟁 및 소비위축으로 인한 판매 둔화에 머스크의 정치적 행보가 역풍을 맞으며 큰 충격.

5. 테슬라 주가는 충격적인 수준의 '어닝 쇼크'에도 머스크의 DOGE 발언과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전쟁 우려 완화 소식에 강세로 전환.

6. 그럼에도 테슬라는 관세전쟁으로 인한 공급망의 붕괴와 소비 수요의 위축, 그리고 기술 경쟁력의 약화와 같은 리스크에 시달릴 것으로 전망.

https://themiilk.com/articles/af2909d09?u=3e083717&t=a9649483e&from=
19.05.202516:46
📆 이번 주 증시 핵심 일정(Market Watch)

🔻 미 신용등급 강등: 무디스가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Aaa에서 Aa1으로 한 단계 하향 조정하며 36조 달러를 넘어서고 재정 적자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상황을 우려.

🏛️ 감세 법안: 미 하원에서 대규모 감세 법안이 논의되고 있으나 예산위원회에서 일부 법안이 부결되며 불확실성 확대. 감세가 통화될 경우 단기적으로 증시에 호재, 하지만 재정적자 확대 우려도 증가.

🛍️ 소매업체 실적: 홈디포와 로우스, 타겟, TJX, 로스 스토어, 랄프 로렌 등 주요 소매업체들의 실적 발표가 예정. 소비자 지출 동향과 관세 영향 등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될 것.

🚀 기술주: 지난주 나스닥이 7.2% 상승하며 불마켓으로의 재진입을 성공한 가운데 AI 종목들이 주도. 이번 주에도 스노우플레이크와 팔로알토 등 실적 발표가 예정.

🎤 연준 발언: 연방준비제도의 미셸 보우만 이사와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등의 발언이 예정. 이들의 발언은 향후 금리 정책 방향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형성하는데 영향.

https://themiilk.com/articles/a06c2770e?u=3e083717&t=a6bdf6aa7&from=
21.04.202522:34
🖋ITK 오늘의 한마디

'Total Disaster, 완전한 재앙'

오늘 주식시장을 한마디로 정의하면 위와 같지 않을까 싶습니다. 안에서는 트럼프가 제롬 파월의 해임을 시사하며 연준의 독립성에 심각한 위협을 가했습니다. 이는 통화정책의 불확실성이라는 거대한 잠재적 악재로 시장을 흔들었습니다.

밖에서는 중국이 이전과는 글로벌 파워를 기반으로 모든 국가들에게 "중국의 이익에 반하는 무역합의를 미국과 할 경우 보복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이는 베이징이 미국과의 무역전쟁에서 더이상 미국에게 끌려다니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것임과 동시에 세력을 규합해 미국에 대응하겠다는 선전포고와 다름 없는 선언이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도이치뱅크는 "중국 투자자들이 미국 채권을 버리고 유럽 채권으로 갈아타고 있다"며 사실상 중국이 '경제 핵폭탄'으로 평가되는 미국채를 포함한 채권 매도세를 가속화하고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오늘 증시는 결과적으로 투자자들이 미국 주식과 채권을 모두 내던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시장이었다는 평입니다. 압도적으로 대다수의 기업들이 매도세를 보였고 채권시장에서의 신용 위험지표는 다시 급등하고 있습니다.

주목할만한 점은 그동안 나스닥과 동조되며 함께 하락했던 비트코인이 4월 중순부터 디커플링되며 초강세를 보이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달러가 무너지고 그 자리에 디지털 통화가 투자자들의 선택을 받았다는 점이 장기적으로 의미하는 바가 있을지 고민해야 할 것 같습니다.

https://themiilk.com/articles/a6d878aee?u=3e083717&t=aaeb8e8d0&from=
16.05.202522:40
🖋ITK 오늘의 한마디

뉴욕증시는 올해 들어 두 번째로 강력한 주간 상승세를 보이며 관세완화 호재를 맘껏 즐기는 모습입니다. 특히 오늘은 미시건대 소비자심리지수가 역대급으로 악화되고 인플레이션 기대는 급등하며 소비자들의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까지 보여줬지만 이 마저도 철저히 무시됐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조사가 관세유예가 발표되기 전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다음 조사때는 소비심리가 급등할 것으로 보았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그동안 지연됐던 유럽연합과의 무역협상에 돌파구가 마련됐다는 파이낸셜타임즈의 보도로 인해 관세협상에 대한 긍정론이 다시 시장을 밀어올렸죠.

이제 S&P500은 다시 불마켓으로의 진입을 앞에 두고 있고 전고점에서 고작 3% 이내로 접근하며 '관세전쟁 어디?' 수준의 강력한 상승장을 연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주 말부터 시장에서의 모멘텀은 빠르게 약해지고 있고 최근 이틀동안 시장을 주도했던 세력이 기술주나 경기순환주가 아닌 헬스케어나 유틸리티, 필수소비재와 같은 경기방어주라는 부분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시그널은 2월의 최고점에서 나타났던 시그널이고 저도 계속해서 경고했던 투자심리의 전환 시그널입니다.

S&P500은 이제 중요한 저항선인 6000레벨을 앞두고 있습니다. 솔직히 현재 주가 상승세는 그동안의 관세정책을 모두 잠깐 반짝했다 사라지는 일회용 이벤트성으로 여기는 수준의 V자 반등세입니다.

하지만 관세전쟁은 이제 시작이라는 점. 관세로 인한 영향이 상당히 광범위하게 나타날 것이라는 점을 고려할때 현재 주가 상승세는 지속될 가능성이 없다고 봅니다.

악시오스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가 130개국이 넘는 국가들과의 개별협상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평가하며 2~3주 내에 관세를 개별적으로 통보하겠다고 전한 점을 고려할때 시장에 상당한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올 가능성에 대비해야 할 것으로 판단합니다.

https://themiilk.com/articles/a6ccd27b6?u=3e083717&t=a7b8d0c5c&from=
[미국 상업용 부동산 위기 신호]

CMBS 연체율 급등, 2008년 금융위기 수준 근접

1. 핵심 포인트 요약

오피스 부문 CMBS 연체율: 4월 기준 10.3%로 급등. 이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10.7%)에 거의 근접한 수치.

멀티패밀리(다세대 주택) 연체율: 113bp(1.13%p) 급등하며 6.57% 기록. 2015년 이후 최고 수준.

전체 미국 CMBS 연체율: 7.03%, 이는 2021년 1월 이후 최고치.

2. 결론 및 시사점

CMBS(상업용 모기지 담보 증권)는 상업용 부동산의 대출을 유동화한 상품으로, 연체율 상승은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구조적 위기를 시사함.

오피스 수요 감소, 금리 상승, 부동산 가치 하락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

특히 코로나 이후 원격 근무 확산으로 오피스 수익성 악화가 주요 요인.

경기둔화 심화 시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디폴트 리스크 확대 가능성이 커지고 있음.

관련 부문의 부동산 관련 금융기관 및 리츠(REITs) 투자에 신중한 접근 필요.

ITK / 미주투
01.05.202512:22
📌 데일리 트렌드

1. 미국 GDP 1분기 0.3% 감소, 경기 침체 우려 증대
미국 경제가 1분기에 0.3% 감소하며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는 2022년 이후 처음으로 경제가 위축된 것으로, 무역 전쟁과 금리 인상의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2. Nvidia, '매도' 평가로 주가 하락
Nvidia가 희귀한 '매도' 평가를 받으며 주가가 하락했습니다. 이는 AI 수요 둔화 우려와 관련이 있습니다.

3. 미국 기업들, 무역 불확실성으로 지출 축소
미국 기업들이 무역 불확실성으로 인해 지출을 축소하고 있습니다. 이는 투자와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4. 금리 인하 기대감에 채권 수익률 하락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인해 미국 국채 수익률이 하락하고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의 안전자산 선호를 반영한 것입니다.

5. 유로존, 예상보다 빠른 성장 기록
유로존 경제가 예상보다 빠른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미국의 무역 정책 영향은 아직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 오늘의 투자 포인트

기술주: Nvidia와 Tesla의 주가 하락과 부정적인 투자의견은 기술주 섹터의 변동성이 계속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투자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제조업: 미국 제조업체들의 금리 인하 요구 및 지출 축소는 경기 침체 우려를 반영합니다. 관련 종목에 대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국채: 채권 수익률 하락은 안전자산 선호 &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를 나타냅니다.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 유로존과 금리를 인하한 태국의 경제 동향은 글로벌 투자 전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ITK / 미주투
14.05.202521:39
🖋ITK 오늘의 한마디

S&P500이 단 한 달만에 22% 이상 급등하며 시장에 과열 징후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뉴욕증시는 해방의 날을 기준으로 중국에 대한 관세전쟁을 선포한 이후 저점에서 반등하기 시작했는데요.

이제 투자자들은 시장을 끌어올렸던 관세전쟁에 대한 우려 완화와 연준의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가 과연 합당한지에 대한 테스트에 준비해야 합니다.

저점에서조차 S&P500은 예상 이익 20배 수준으로 역사적 평균보다 높은 수준에서 거래됐는데 이제 공포와 탐욕 지수는 탐욕 수준으로 진입했고 RSI 지표는 과열 신호를 발산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여전히 130여개국과 관세협상을 진행해야 하고 역사적으로 한 국가와 합의에 도출하기까지 18개월이 걸렸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황은 예상보다 더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특히 가장 난이도가 낮았던 영국과의 결과에서 합의가 도출된 이후에도 기본적인 관세율이 10%로 유지될 것이란 점을 감안하면 과연 시장이 이를 충분히 인지하고 있는지 의심이 들 정도입니다.

이번 상승 반등장이 대부분 개인들이 주도하고 기관들은 빠져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랠리를 기관들이 매도의 기회로 이용할 것이란 점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미국은 수면 아래에서 광범위한 소비 위축의 징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누구보다 여기에서 살고있는 제가 느끼고 있고 시장과는 다르게 소비자 심리에서 긍정적인 부분은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도 개인적으로 여전히 시장을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이유입니다.

https://themiilk.com/articles/a540d6358?u=3e083717&t=aa47015a3&from=
📌 굉장히 중요한 파월 발언이 나왔습니다. 필독👇

💥 파월 “장기 실질금리 상향 조정 불가피”… 공급충격 시대 경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워싱턴 D.C.에서 열린 연구 컨퍼런스에서 “경제 체질 변화와 정책 불확실성 속에 장기 실질금리는 과거보다 높게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고 발언. 특히 공급충격이 더 빈번하고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음을 지적하며, 2010년대와 같은 저금리 시대는 재현되기 어렵다고 언급.

결론: 파월 의장의 발언은 중립금리 수준 자체가 구조적으로 높아졌음을 시사. 이는 통화정책의 기조 변화로 금리 인하 기대에 제동을 걸 수 있음.

연준의 장기금리 상향 발언은 현재의 시장 낙관론에 경고 신호. 정책 기조 변화가 가시화되면 금리 리스크가 다시 재발할 가능성이 있음.

파월의 공급충격 언급은 구조적 리스크로 금리인하 사이클이 순조롭게 진행될 것이라고 기대하는 시장에는 향후 큰 충격을 줄 가능성이 있음.

ITK / 미주투
23.04.202521:16
🖋ITK 오늘의 한마디

트럼프의 세치 혀에 휘둘리는 시장입니다. 트럼프는 오늘 "대중국 관세가 너무 높다"며 대폭 낮출 예정이라고 언급하며 시장의 강세를 유도했습니다.

특히 전일 파월 해임건을 없던 얘기로 치부하며 시장의 안정을 도모하는 모습입니다. 이로 인해 S&P500은 장중 한때 3.5%가 넘게 급등했습니다.

하지만 시장은 중반부터 급격히 모멘텀을 잃기 시작했는데요. 이유는 스캇 베센트 재무장관이 "중국과 일방적인 협상은 없다"며 빅딜을 기대하고 있지만 협상까지 2~3년은 걸릴 것이라 말해 시장의 기대를 쏙 빼놓았기 때문입니다.

그만큼 현재 시장은 정책 입안자들의 발언에 완전히 휘말리고 있습니다. 시장은 무역전쟁 완화 시그널에 관세 부과 이후 처음으로 이틀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여전히 저점이 지켜지고 있고 긍정적인 모멘텀이 유지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입니다. 다만 오늘 시장의 장중 움직임이 그다지 긍정적이라고 보기는 어려운 만큼 좀 더 주시를 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20일 이평선이 다시 침범을 당하며 이평선 아래에서 마감을 했다는 점에서 시장의 변동성이 가라앉았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또한 최근 매수세가 순전히 개인 투자자들이 주도하고 있다는 점 역시 그다지 긍정적으로 보이지 않는 것이 사실입니다.

https://themiilk.com/articles/ad897fa06?u=3e083717&t=aad731fd6&from=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