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하나 Global ETF] 박승진 avatar

[하나 Global ETF] 박승진

[하나증권 리서치센터 해외주식분석실] 글로벌 ETF 애널리스트 박승진입니다. 국내외 금융시장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들을 전해 드리고자 합니다.
Рэйтынг TGlist
0
0
ТыпПублічны
Вертыфікацыя
Не вертыфікаваны
Надзейнасць
Не надзейны
Размяшчэнне
МоваІншая
Дата стварэння каналаSep 24, 2020
Дадана ў TGlist
May 14, 2024

Рэкорды

25.04.202523:59
10KПадпісчыкаў
28.02.202523:59
300Індэкс цытавання
06.03.202502:28
6.7KАхоп 1 паста
06.03.202502:28
12.5KАхоп рэкламнага паста
08.10.202423:59
4.62%ER
29.12.202411:29
66.81%ERR

Папулярныя публікацыі [하나 Global ETF] 박승진

» S&P500지수, Magnificent7 종목들의 주가 등락률과 지수 내 순위

» 주가 상승을 주도했던 2024년과 조정 국면에서 더 크게 하락했던 2025년
» 연초 이후 Magnificent7 종목들의 주가 추이
» 달러 약세 기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엔화의 강세 흐름 나타나면서 달러대비 140엔대까지 하락
» S&P500 지수 기준으로 역대 최악의 임기 초반 성적을 기록 중인 트럼프 대통령(4/22 현재 취임 이후 93일차). 반전이 필요한 상황
03.04.202510:58
🔹Microsft,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의 중단 혹은 보류 결정
- Microsoft Pulls Back on Data Centers From Chicago to Jakarta[Bloomberg]

» Microsoft가 최근 인도네시아, 영국, 호주, 일리노이, 노스다코타, 위스콘신 등 여러 지역의 데이터 센터 프로젝트를 중단하거나 보류 중

» 당초 예상보다 낮아진 수요 전망을 재검토하고 있을 가능성. 전력 및 자재 부족 등의 공급망 문제 또는 AI 및 클라우드 수요 예측 하향에 따른 조정 가능성 존재

» Microsoft는 OpenAI와의 긴밀한 파트너십을 구축한 AI 선두주자로 평가받아 왔으나, 최근 OpenAI의 인프라 수요 일부가 Oracle과 SoftBank와의 JV로 전환

» 최근 약 2GW 규모의 데이터 센터 프로젝트를 철회했는데, 이 역시 공급 과잉 우려 및 OpenAI 수요 전환 이슈가 원인일 수 있다고 분석이 함께 나오고 있는 상황

» 산업 내 포지션을 고려시 Microsoft의 전략 변화는 동종 기업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의사결정


🔹미국 주식, ETF 투자 관점에서 살펴봐야할 내용

» MSFT (Microsoft Corp)
- 데이터 센터 투자 조정은 단기적으로 AI 성장 기대에 대한 신중한 시그널. 여전히 연간 수십억 달러 규모의 투자 지속 예정이며, 기존 자산 최적화 전략이 반영된 것일 수 가능성

» NVDA (Nvidia Corp)
- 데이터 센터 지출은 Nvidia GPU 수요와 직결되므로, Microsoft의 투자 축소는 단기적 수요 둔화 우려를 야기. 실제로 AI 인프라 지연 우려가 최근 반도체주 조정 요인으로 연결

» SMH / SOXX (반도체 ETF), CLOU / WCLD (클라우드 ETF)
- 데이터 센터 지연과 AI 수요 재조정은 해당 ETF 구성 종목들의 실적 가이던스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음. 반면, Oracle 등으로의 수요 이동이 지속된다면 섹터 내 매출 분산 가능성 존재

» ORCL (Oracle Corp)
- OpenAI JV를 통한 수혜 기대. Microsoft의 수요 일부가 Oracle로 이전될 경우, 데이터 센터 호스팅 수익 및 AI 워크로드 유입 가능성 확대
» 미국 정부는 Nvidia의 H20 칩에 대해 중국 수출을 제한하기로 했으며(4/14 통보), 이로 인해 Nvidia는 약 55억 달러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

» H20는 이전의 수출 규제를 우회하기 위해 설계된 제품이었으나, 이제 이 칩도 수출 시 별도의 허가가 필요한 상황

» 미국 정부는 해당 조치가 중국 내 슈퍼컴퓨터 등에 해당 제품이 사용될 가능성을 우려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고, 엔비디아는 정부의 수출 제한 조치로 인해 중국의 기술 독립이 강화될 것이라고 주장
» 미시건대 소비자심리지수의 기대인플레이션 추이. 경제 충격이 확실하게 확인된 상황이 아니라면, 관세 영향 확인 이전에 선제적으로 정책금리를 내리기엔 연준의 고민이 클 수 밖에 없는 모습
🔹미국의 주요 디지털 광고 기업들

» 구글과 Meta가 여전히 미국 디지털 광고 시장의 양대 축. 특히 메타는 매출의 97%를 광고가 차지

» 아마존은 전체 매출 대비 광고 비중은 낮지만 높은 광고 매출 성장률(+18%)을 기록

» 월마트도 리테일 미디어 광고(자사 플랫폼 기반 광고)로 11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올리고 있으며, 29%의 광고 매출 성장률을 기록 중

» AppLovin, The Trade Desk, Reddit처럼 전적으로 광고에 의존하는 소규모 기업들도 고성장세 확인

» 데이터 프라이버시 규제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광고 시장은 여전히 빠르게 성장 중

» AI 기술은 사용자 데이터를 활용하여 더 고도화된 모델과 정밀화된 타겟 광고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기업들의 실적에 기여
» Alphabet의 매출 증가 추이
  - Search +10%
  - YouTube Ads +10%
  - Google Cloud +28%
  - Subscriptions +19%
  - Network -2%
20.04.202513:02
🔹팔란티어(Palntir)와 AI소프트웨어 ETF

» 미국 AI소프트웨어 ETF: 국내 증시에는 'SOL 미국 AI소프트웨어 ETF'가 기상장되어 있으며, 오는 22일에 10개 종목으로 압축된 포트폴리오의 'KODEX 미국AI소프트웨어 TOP10 ETF'가 상장될 예정입니다.

» 팔란티어(Palntir) ETF: 'KIWOOM 팔란티어 미국30년 국채 혼합 액티브(H) ETF'가 기상장되어 있으며 역시 오는 22일에 'SOL 팔란티어 커버드콜OTM채권혼합 ETF'와 'SOL 팔란티어 미국채커버드콜혼합 ETF'가 상장될 예정입니다.
» Alphabet의 Cloud 부문 매출, 영업이익 추이
🔹트럼프의 관세 정책 결정 과정의 우선순위에서 밀려난 베센트 재무장관

»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계획 발표 이후, 월가 금융회사들은 경제적 충격을 우려하며 헤지펀드 출신인 베센트 재무장관에게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베센트 장관은 실질적인 정책 결정 과정에서 배제된 가운데 관세의 경제적 영향 분석 역할만 수행한 것으로 알려짐

» 상호관세 정책의 주요 관여자는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과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이들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핵심적인 '책사' 역할을 수행하며 월가와 시장의 우려 반영 X

» 켄 그리핀, 워렌 버핏 등의 인사들이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분노를 우려하여 대부분 공개적인 비판보다는 로비스트를 통해 우회적으로 의견을 전달

» 베센트 장관은 관세 정책 발표 이후 사임을 고려하고 있다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 베센트 사퇴가 현실화되고 과잉 충성 논란 가운데 놓여있는 나바로, 러트닉만 내각에 남게될 경우 정책 불확실성 우려의 추가 반영 가능성 존재
06.04.202504:59
[Web발신]
4/7일 하나증권 전략 이재만
[화수분전략] 어떻게 하면 위기를 탈출할 수 있을까요
▶자료: https://bit.ly/4iTwcRL
*S&P500 4/3~4일 2일간 -10.5%(나스닥 -11.8%) 급락. 87년 10월 블랙먼데이, 20년 3월 코로나19 펜데믹, 08년 11월 글로벌 금융위기 다음으로 큼. 나스닥은 00년 4월 Tech 버블 붕괴 초기만큼 급락

*현재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은 취임 이후 최저치 기록. 그러나 트럼프 집권 1기 1년차는 지금보다 더 낮은 지지율 기록, 12월 지지율은 본격적으로 반등하기 시작. 당시 감세 및 일자리 법안(세제 개편)에 서명하면서 지지율은 반등

*미국 국가별 수입액과 발표된 관세를 기준으로 단순하게 계산하면, 관세 수입액은 연간 6,000억 달러. 트럼프 대통령 2기 감세 목표액은 향후 10년간 4.5조 달러(1기 10년간 1.5조 달러). 재원 마련을 위해 먼저 관세를 발표, 시기를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감세 정책이 다음 수순일 수 있음

*연준은 앞서 언급한 주식시장의 위기 때마다 기준금리 인하, 당시 지수 반등의 트리거 역할. 다만 Tech 버블 붕괴 시기에는 기준금리를 인상 했었고, 01년 들어서 인하를 시작

*지금까지의 파월 의장은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신중한 태도 유지. 아직은 미국 경제지표가 크게 악화됐다고 판단할만한 근거가 없을 수 있음. 씨티 미국 경기서프라이즈지수는 08년과 20년 기준금리 인하 당시 -100p 수준, 현재는 -3p 수준에 불과

*87년 이후 기준금리 인하 시점의 ISM 제조업지수 평균치 47.3p, 현재 49.0p. 경제지표들이 지금보다악화될 경우 연준이 기준금리 인하 시기 앞당길 가능성 있음. 25년 연준 기준금리 인하 횟수는 4회(100bp 인하)로 증가, 첫 인하 시기 6월 꼽고 있음

*지수 반등을 위해서는 트럼프와 연준의 정책 전환 확인 필요. 현재 상황에서는 두가지 정도의 전략적 시사점: ① 현재 글로벌 유동성은 증가, S&P500 기업 이익 사상 최고치 경신 중. 그러나 최근 3개월 동안 S&P500 PER -18% 급락(PER 18.3배), 2000년 이후 위기 국면들 최대 하락률과 비슷. 유동성 축소와 이익 감소 우려를 밸류에이션은 선반영

*②08년, 20년, 22년 등의 위기 탈출 국면에서 매출 성장을 주도했던 업종의 주가 수익률이 가장 높았음. 25년 매출 증가율 전망치가 높은 미국(반도체, 소프트웨어, 헬스케어/장비)과 국내(조선, 반도체, 헬스케어) 업종 관심 필요

(컴플라이언스 승인 득함)
🔹미국 주요 IB들의 1분기 실적 증가율(YoY)

» JPMorgan Chase
- 매출: +8%, 순이익: +9%

» Bank of America
- 매출: +6%, 순이익: +11%

» Wells Fargo
- 매출: -3%, 순이익: +4%
- 마이너스(-) 매출 증가율 기록

» Morgan Stanley
- 매출: +17%, 순이익: +26%
- 가장 높은 증가율 기록

» Goldman Sachs
- 매출: +6%, 순이익: +15%

» Citigroup
- 매출: +3%, 순이익: +21%
🔹 베트남 럼 서기장, 미국에 관세 인하 협정 제안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럼 흥 떤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의 통화에서 베트남이 미국과의 협정을 통해 대미 관세를 0%로 인하할 의사가 있다고 전했다고 언급

» 베트남 정부는 미국산 수입품 관세 인하 약속과 함께 미국이 베트남에서 수입하는 상품에도 유사한 세율을 적용할 것을 제안했으며, 미국산 상품 수입 확대 및 미국 기업의 베트남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할 의향을 표명

» 양국은 관세 문제에 대한 양자 협정을 체결하기 위해 지속적인 논의를 진행하기로 하였으며, 베트남은 46%의 상호 관세 부과 예정일을 협상이 진행되는 1~3개월의 기간동안 연기해 줄 것을 미국에 요청하는 한편, 항공기, LNG 등 미국산 상품 수입 확대 및 관련 조치를 취할 계획
Увайдзіце, каб разблакаваць больш функцы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