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Tesla) 2025년 1분기 실적 주요 내용
🔹 EPS: $0.27 🔴
• 예상치: $0.43, 전년대비 -40%
🔹 매출: $193.4억 🔴
• 예상치: $212.4억, 전년대비 -9%
🔹 총이익률: 16.3% 🟡
• 예상치: 16.4%, 전년대비 -104bps
🔹 영업이익률: 2.1%
• 전년대비 -343bps
🔹 조정 EBITDA: $28.1억 🔴
• 예상치: $31.2억, 전년대비 -17%
🔹 조정 EBITDA 마진: 14.6% 🟡
• 예상치: 14.7%
▪️사업 부문별 성과
🔹 자동차 부문 매출: $139.7억 🔴
• 예상치 $158.2억, 전년대비 -20%
» 자동차 판매: $129.3억 (예상치: $148.4억) 🔴
» 규제 크레딧: $5.95억 (예상치: $6.16억) 🟡
» 리스: $4.47억 (예상치: $4.52억) 🟡
🔹 에너지 생성 및 저장 부문 매출: $27.3억 🔴
추정치 $31.8억, 전년대비 + 67%
🔹 서비스 및 기타 부문 매출: $26.4억 🔴
추정치 $28.2억, 전년대비 +15%
▪️주요 운영 지표
🔹 영업이익: $3.99억, 전년대비 -66%
🔹 자유현금흐름(FCF): $6.64억, 전년대비 + 126%
🔹 영업현금흐름: $21.6억
🔹 자본적 지출(Capex): $14.9억. 전년대비 -46%
🔹 글로벌 인도량: 336,681대, 전년대비 -13%
• 모델 3/Y: 323,800대, 전년대비 -12%
• 기타 모델: 12,881대, 전년대비 -24%
🔹 생산량: 362,615대, 전년대비 -16%
🔹 규제 크레딧 매출: $5.95억, 전년대비 -20%
🔹 차량 재고 일수: 22일
• 지난 분기의 12일 대비 증가
▪️에너지 부문 주요 내용
🔹 파워월(Powerwall) 설치: 최초로 1GWh 초과 달성
🔹 에너지 저장 장치 설치: 10.4GWh, 전년대비 +154%
🔹 에너지 부문 총이익률: 분기 대비 개선
🔹 상하이 메가팩토리: 100개 이상의 메가팩 생산 (아직 설치 전)
▪️전략 / 기술 / AI 업데이트
🔸 전 세계 모든 공장에서 신형 모델 Y 생산 본격화 완료
🔸 사이버트럭 사우디아라비아 첫 인도 시작. 미국에서는 롱레인지(Long Range) 버전 출시
🔸 중국에서 FSD(감독형) 출시; 유럽은 승인 대기 중
🔸 미국 공장에서 FSD 기반 생산물류 시스템 가동 시작
🔸 오스틴에서 사이버캡(Cybercab, 로보택시) 파일럿 6월 예정. 양산은 2026년 시작
🔸 옵티머스(Optimus) 휴머노이드 로봇, 2025년 파일럿 제작 예정
🔸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기준 충족한 4680 배터리 셀 출시. 사이버트럭 $7,500 세액 공제 자격 획득
🔸 미국 내 생산 배터리팩, 모든 미국 내 모델 3/Y 출고 차량에 적용
▪️향후 전망
🔸 2025년 가이던스는 2분기에 재검토 예정
🔸 향후 물량 증가는 자율주행 스케일링, 공장 가동률, 거시경제 상황에 따라 달라질 것
🔸 저가 신모델은 2025년 상반기 생산 예정대로 진행 중
🔸 완성차 연간 생산 능력은 약 300만 대로 확대되어, 2024년 대비 60% 성장 가능
▪️연준 / 정치 / 관세 관련 언급
🔸 자동차 및 에너지 시장에서 불확실성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급변하는 무역 정책이 테슬라 및 동종 업계의 글로벌 공급망과 비용 구조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
🔸 관세는 자동차 부문보다 에너지 부문에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