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Анатолий Шарий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Инсайдер UA

Реальна Війна | Україна | Новини

Лачен пише

Nairaland Pulse | News

Анатолий Шарий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Инсайдер UA

Реальна Війна | Україна | Новини

Лачен пише

Nairaland Pulse | News

Анатолий Шарий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 IT는 SK ] avatar](https://static-storm.tglist.com/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652ede3b-d53c-4561-9555-7b8279da64ae.jpg?w=240&h=240)
[ IT는 SK ]
记录
19.05.202523:59
4.4K订阅者05.03.202516:02
500引用指数24.03.202523:59
7.9K每帖平均覆盖率18.10.202423:59
9K广告帖子的平均覆盖率21.03.202511:53
5.49%ER09.10.202423:59
201.76%ERR01.05.202505:22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META FY1Q25 컨퍼런스 콜
▶️ FY1Q25 주요 코멘트
광고 전환율, 체류 시간, 이용자 수 증가 모두 긍정적
6개월 동안 추천 시스템의 개선을 통해 체류 시간 증가
1) Facebook +7% 2) Instagram +6% 3) Threads +35%
Llama 모델을 Threads의 추천 시스템에 테스트 도입, 효과가 잘 나타나는 중
META AI 전세계 사용자 수 10억명 기록
Advantage+ AI 기반 솔루션 제품군에 지속적 모멘텀 관찰
Advantage+ Creative 제품도 강한 도입세, 생성형 AI 활용 가상 모델 착용 제품 출시
이번 1분기에 GEM(Generative Ads Recommendation Model) 도입 시작, 생성형 AI 활용
Capex 가이던스 중간값 $62.5B 에서 $68B 로 8.8% 상향
Capex의 대부분은 여전히 핵심 비즈니스에 집중될 예정
▶️ FY1Q25 주요 QnA
Q CapEx 지출이 일부 대형 하이퍼스케일러들과 비슷한 수준에 도달 중, 직접적인 엔터프라이즈 매출 없이도 ROI가 성립된다고 보는가?
A 최고 수준 인프라 구축으로 경쟁 우위 확보에 대한 자신감이 큼. 2025년에 도입 예정인 인프라 용량만으로도 회사 내부 각 팀의 컴퓨트 수요를 다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할 수 있을 정도. 계속해서 이 분야에 대규모 투자를 이어갈 계획
Q CapEx 상단 전망이 상향된 배경이 투자 증가에 기인한 것인가, 비용 증가에 기인한 것인가? 비용 증가의 주요 원인은 어디에 있는가? 최근 보도된 데이터센터 투자 파트너 협업 모색은 어떤 맥락인가?
A CapEx 전망 상향은 투자 증가와 비용 증가 두 가지 요인을 모두 반영한 것. 현재 진행 중인 무역 논의 등으로 인해 이러한 공급망에는 많은 불확실성이 존재. 공급망 최적화 등의 방법을 통해 이를 완화하기 위한 작업을 병행 중. 가이던스는 이러한 노력을 모두 종합적으로 반영한 것.
AWS와 Azure와 같은 파트너들과 Llama 모델을 공동 호스팅하는 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시장에 Llama를 제공하는 데 투자하고 있는 점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판단 중
Q 이번 CapEx 가이던스 상향이 향후 Capex의 새로운 기준점인가? 아니면 향후 필요와 기술 발전에 따라 매번 재조정 된다고 보아야하는가?
A 인프라 계획은 AI의 빠른 기술 발전과 내부 수요 변화에 따라 매우 역동적으로 계획되는 영역
Q Llama 후속 버전을 고려할 때, 가장 집중하고 계시고 기대하고 계신 발전 영역은 어떤 것인가?
A LLM 개발 이유는 1) 주도권 확보 2) 인프라와 목표에 맞추어 AI 모델 조정을 하기 위함. Llama 4가 저지연, 음성 위주로 최적화된 모델인 이유. 대형 모델인 Behemoth를 통해 더 효율적인 파생 모델 생성 가능
Q Meta AI 사용 상황과 사용 사례에서 나타나는 소비자 행동은 어떤 것?
A 주요 사용 사례는 정보 탐색과 이해, 분석 부분. 사용자들은 여러 진입 지점(entry point)을 통해 Meta AI를 사용. 현재로서는 WhatsApp, Facebook을 통해 META AI 활용 사례가 가장 흔한 상황. 독립적인 META app에 대한 기대도 큼
Q Meta AI의 현재 사용 사례와 향후 독립형 앱이 이러한 사례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이라고 보는가? META AI 독립형 앱을 현재 소비자용 AI 앱들과 경쟁에서 어떻게 포지셔닝할 것인가?
A Family of Apps 내에서의 통합을 계속 추진하는 동시에, 독립형 경험 구축에도 주력할 계획. 플랫폼의 지역적 특성상 확장에 한계를 느끼고 독립형 앱을 출시한 부분 존재
Q 2분기 가이던스는 관세로인한 공급 이슈를 반영한 수치인가?
A 불확실성을 반영하여서 가이던스 범위를 넓혀 제시. 2분기 가이던스는 4월에 관측된 트렌드를 반영, 현재까지는 건전한 흐름을 보이는 중
Q 내부적으로 코드 작성을 보조하는 AI 는 어느정도로 수준이 올라왔는가?
A 올해 중반쯤이면 중급 엔지니어 수준의 AI 구현이 현실화되기 시작하고, 내년으로 넘어가면서 점차 확장될 것으로 보는 중. 내년 중반에서 말쯤이 되면, AI 코딩 에이전트가 연구개발(R&D)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게 될 것으로 기대
Q 광고 순위팀을 포함한 여러 팀들이 실행하고 싶어 하는 프로젝트들이 AI 컴퓨팅 용량 부족으로 인해 병목현상이 발생 중이라고 하였다, 올해 또는 내년에 이러한 병목이 어느 정도 완화될 것이라고 보는가?
A 모든 부서에서 역동적으로 수요가 올라오고 있는 상황. 병목이 언제 해결될 것이라고 얘기하기 어려움. Capex 투자를 통해 컴퓨팅을 최대한 더 확보하려고 노력 중
Q IDFA(=ATT, 애플 쿠키 제공 금지. GPU 도입의 계기) 도입 이후 현재 광고 순위 시스템의 개선과 ROI 향상은 어느 정도 진전되었고, 이를 야구 경기로 비유하자면 지금 어느 이닝에 와 있다고 생각하는가?
A 전환율(Conversion Rate)은 전년 대비 여전히 강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실제로 1분기에는 광고 노출수보다 전환수가 더 빠르게 증가. 1분기에 GEM 도입, 과거에 관련 엔진 구조 공개하였음. 과거 투자들이 성과로 나타나고 있으며 앞으로도 광고 순위 및 추천 성능 향상을 위한 투자는 지속할 것
Q WhatsApp 비즈니스 확산과 관련해, 고임금 국가들에서 해당 모델이 확장되기 위해 필요한 AI 역량은 어느 시점에 도달할 것으로 보는가? 이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META는 어떤 노력 중인가?
A 비즈니스가 원하는 결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AI 에이전트를 커스터마이즈하고 제어할 수 있는 기능 제공. Facebook과 Instagram 광고 내에서 제품 반품 정책이나 구매 관련 질문을 처리할 수 있는 비즈니스 AI도 시험 중. 기술적으로 항상 동일한 AI 에이전트가 그 사람의 과거 대화 및 선호를 기억하면서 응답할 수 있어야하므로 장기 기억 기능 필요
Q META AI를 포함하여 챗봇 시장에 거의 동일한 기능을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5~10개 존재. 향후 시장이 Search 처럼 독점 시장 구조가 될 것으로 보는가 아니면 더 분산된 생태계가 될 것으로 보는가? META AI 가 해당 경쟁 시장에서 가지고 있는 우위는 무엇인가?
A 사람들이 서로 다른 목적에 따라 다양한 AI 에이전트를 사용하게 될 것. 기업용 생산성에 최적화된 AI, 개인용 업무 효율화에 최적화된 AI, 엔터테인먼트나 소셜 상호작용에 특화된 AI가 서로 다를 수 있다고 생각. 동일한 용도로 여러 AI를 사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겠지만, 목적별로 다른 에이전트를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러움. 현재는 대부분의 AI가 개인화되지 않은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 상황, 기억 기반 개인화가 이루어질 경우 이가 큰 차별점이 될 것으로 생각. 텍스트뿐 아니라 음성,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모달리티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는 능력도 필수 요소가 될 것
Q 중국 기반 이커머스 리테일러들이 광고 지출을 줄이고 있다는 점 외에, 다른 업종에서 눈에 띄는 약세가 관찰된 것이 있는가?
A 1분기 전반적으로는 대부분 업종에서 견조한 성장세. 게임 업종과 정치 관련 광고에서 약세 나타났으나 작년 높은 기저가 있던 카테고리. 그러나 정치 부문은 META 매출 내 비중이 매우 작은 상황
Q Reality Labs 부문의 분기당 손실이 대체로 40억 달러 내외로 유지되고 있는데, 언제쯤 손실이 축소될 수 있는가?
A AI 안경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는 만큼, 그에 따라 더 많은 투자를 감행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 현재 저희가 집중하는 것은 우선 배포 및 생산을 빠르게 확장하는 것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META FY1Q25 컨퍼런스 콜
▶️ FY1Q25 주요 코멘트
광고 전환율, 체류 시간, 이용자 수 증가 모두 긍정적
6개월 동안 추천 시스템의 개선을 통해 체류 시간 증가
1) Facebook +7% 2) Instagram +6% 3) Threads +35%
Llama 모델을 Threads의 추천 시스템에 테스트 도입, 효과가 잘 나타나는 중
META AI 전세계 사용자 수 10억명 기록
Advantage+ AI 기반 솔루션 제품군에 지속적 모멘텀 관찰
Advantage+ Creative 제품도 강한 도입세, 생성형 AI 활용 가상 모델 착용 제품 출시
이번 1분기에 GEM(Generative Ads Recommendation Model) 도입 시작, 생성형 AI 활용
Capex 가이던스 중간값 $62.5B 에서 $68B 로 8.8% 상향
Capex의 대부분은 여전히 핵심 비즈니스에 집중될 예정
▶️ FY1Q25 주요 QnA
Q CapEx 지출이 일부 대형 하이퍼스케일러들과 비슷한 수준에 도달 중, 직접적인 엔터프라이즈 매출 없이도 ROI가 성립된다고 보는가?
A 최고 수준 인프라 구축으로 경쟁 우위 확보에 대한 자신감이 큼. 2025년에 도입 예정인 인프라 용량만으로도 회사 내부 각 팀의 컴퓨트 수요를 다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할 수 있을 정도. 계속해서 이 분야에 대규모 투자를 이어갈 계획
Q CapEx 상단 전망이 상향된 배경이 투자 증가에 기인한 것인가, 비용 증가에 기인한 것인가? 비용 증가의 주요 원인은 어디에 있는가? 최근 보도된 데이터센터 투자 파트너 협업 모색은 어떤 맥락인가?
A CapEx 전망 상향은 투자 증가와 비용 증가 두 가지 요인을 모두 반영한 것. 현재 진행 중인 무역 논의 등으로 인해 이러한 공급망에는 많은 불확실성이 존재. 공급망 최적화 등의 방법을 통해 이를 완화하기 위한 작업을 병행 중. 가이던스는 이러한 노력을 모두 종합적으로 반영한 것.
AWS와 Azure와 같은 파트너들과 Llama 모델을 공동 호스팅하는 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시장에 Llama를 제공하는 데 투자하고 있는 점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판단 중
Q 이번 CapEx 가이던스 상향이 향후 Capex의 새로운 기준점인가? 아니면 향후 필요와 기술 발전에 따라 매번 재조정 된다고 보아야하는가?
A 인프라 계획은 AI의 빠른 기술 발전과 내부 수요 변화에 따라 매우 역동적으로 계획되는 영역
Q Llama 후속 버전을 고려할 때, 가장 집중하고 계시고 기대하고 계신 발전 영역은 어떤 것인가?
A LLM 개발 이유는 1) 주도권 확보 2) 인프라와 목표에 맞추어 AI 모델 조정을 하기 위함. Llama 4가 저지연, 음성 위주로 최적화된 모델인 이유. 대형 모델인 Behemoth를 통해 더 효율적인 파생 모델 생성 가능
Q Meta AI 사용 상황과 사용 사례에서 나타나는 소비자 행동은 어떤 것?
A 주요 사용 사례는 정보 탐색과 이해, 분석 부분. 사용자들은 여러 진입 지점(entry point)을 통해 Meta AI를 사용. 현재로서는 WhatsApp, Facebook을 통해 META AI 활용 사례가 가장 흔한 상황. 독립적인 META app에 대한 기대도 큼
Q Meta AI의 현재 사용 사례와 향후 독립형 앱이 이러한 사례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이라고 보는가? META AI 독립형 앱을 현재 소비자용 AI 앱들과 경쟁에서 어떻게 포지셔닝할 것인가?
A Family of Apps 내에서의 통합을 계속 추진하는 동시에, 독립형 경험 구축에도 주력할 계획. 플랫폼의 지역적 특성상 확장에 한계를 느끼고 독립형 앱을 출시한 부분 존재
Q 2분기 가이던스는 관세로인한 공급 이슈를 반영한 수치인가?
A 불확실성을 반영하여서 가이던스 범위를 넓혀 제시. 2분기 가이던스는 4월에 관측된 트렌드를 반영, 현재까지는 건전한 흐름을 보이는 중
Q 내부적으로 코드 작성을 보조하는 AI 는 어느정도로 수준이 올라왔는가?
A 올해 중반쯤이면 중급 엔지니어 수준의 AI 구현이 현실화되기 시작하고, 내년으로 넘어가면서 점차 확장될 것으로 보는 중. 내년 중반에서 말쯤이 되면, AI 코딩 에이전트가 연구개발(R&D)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게 될 것으로 기대
Q 광고 순위팀을 포함한 여러 팀들이 실행하고 싶어 하는 프로젝트들이 AI 컴퓨팅 용량 부족으로 인해 병목현상이 발생 중이라고 하였다, 올해 또는 내년에 이러한 병목이 어느 정도 완화될 것이라고 보는가?
A 모든 부서에서 역동적으로 수요가 올라오고 있는 상황. 병목이 언제 해결될 것이라고 얘기하기 어려움. Capex 투자를 통해 컴퓨팅을 최대한 더 확보하려고 노력 중
Q IDFA(=ATT, 애플 쿠키 제공 금지. GPU 도입의 계기) 도입 이후 현재 광고 순위 시스템의 개선과 ROI 향상은 어느 정도 진전되었고, 이를 야구 경기로 비유하자면 지금 어느 이닝에 와 있다고 생각하는가?
A 전환율(Conversion Rate)은 전년 대비 여전히 강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실제로 1분기에는 광고 노출수보다 전환수가 더 빠르게 증가. 1분기에 GEM 도입, 과거에 관련 엔진 구조 공개하였음. 과거 투자들이 성과로 나타나고 있으며 앞으로도 광고 순위 및 추천 성능 향상을 위한 투자는 지속할 것
Q WhatsApp 비즈니스 확산과 관련해, 고임금 국가들에서 해당 모델이 확장되기 위해 필요한 AI 역량은 어느 시점에 도달할 것으로 보는가? 이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META는 어떤 노력 중인가?
A 비즈니스가 원하는 결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AI 에이전트를 커스터마이즈하고 제어할 수 있는 기능 제공. Facebook과 Instagram 광고 내에서 제품 반품 정책이나 구매 관련 질문을 처리할 수 있는 비즈니스 AI도 시험 중. 기술적으로 항상 동일한 AI 에이전트가 그 사람의 과거 대화 및 선호를 기억하면서 응답할 수 있어야하므로 장기 기억 기능 필요
Q META AI를 포함하여 챗봇 시장에 거의 동일한 기능을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5~10개 존재. 향후 시장이 Search 처럼 독점 시장 구조가 될 것으로 보는가 아니면 더 분산된 생태계가 될 것으로 보는가? META AI 가 해당 경쟁 시장에서 가지고 있는 우위는 무엇인가?
A 사람들이 서로 다른 목적에 따라 다양한 AI 에이전트를 사용하게 될 것. 기업용 생산성에 최적화된 AI, 개인용 업무 효율화에 최적화된 AI, 엔터테인먼트나 소셜 상호작용에 특화된 AI가 서로 다를 수 있다고 생각. 동일한 용도로 여러 AI를 사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겠지만, 목적별로 다른 에이전트를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러움. 현재는 대부분의 AI가 개인화되지 않은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 상황, 기억 기반 개인화가 이루어질 경우 이가 큰 차별점이 될 것으로 생각. 텍스트뿐 아니라 음성,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모달리티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는 능력도 필수 요소가 될 것
Q 중국 기반 이커머스 리테일러들이 광고 지출을 줄이고 있다는 점 외에, 다른 업종에서 눈에 띄는 약세가 관찰된 것이 있는가?
A 1분기 전반적으로는 대부분 업종에서 견조한 성장세. 게임 업종과 정치 관련 광고에서 약세 나타났으나 작년 높은 기저가 있던 카테고리. 그러나 정치 부문은 META 매출 내 비중이 매우 작은 상황
Q Reality Labs 부문의 분기당 손실이 대체로 40억 달러 내외로 유지되고 있는데, 언제쯤 손실이 축소될 수 있는가?
A AI 안경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는 만큼, 그에 따라 더 많은 투자를 감행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 현재 저희가 집중하는 것은 우선 배포 및 생산을 빠르게 확장하는 것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25.04.202501:49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Intel Corporation FY1Q25 컨퍼런스 콜
▶️ FY1Q25 주요 코멘트
핵심 사업에 집중하여 동급 최고의 제품을 다시 구축하는 데 최우선 순위를 둘 것
AI 에이전트 및 추론 모델로 정의되는 새로운 컴퓨팅 시대에 맞춰 제품 포트폴리오를 재정의, 로드맵을 조정, 경쟁력 있는 제품을 적기에 제공
고객의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제품 및 플랫폼 설계를 개선할 것
추론 모델, 에이전트 AI 및 물리적 AI로 정의되는 차세대 컴퓨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함
자본 집약적인 사업 특성을 고려하여 재무 성과가 개선될 때까지 신중한 자본 관리를 시행
OpEx 및 CapEx 목표 감축 외에도 비핵심 자산 매각을 추진하고 Altera에 대한 Silver Lake 투자를 환영하며, Intel Capital 스핀오프 계획을 철회하고 기존 포트폴리오를 활용하면서 전략적 투자에 집중할 것
올해부터 부채 축소를 시작하여 재무 상태를 건전하게 만들 것
Silver Lake Partners에 Altera 지분 51%를 약 90억 달러 가치로 매각하는 계약 발표. Intel은 순 현금 44억 달러를 수령할 예정
#Foundry
Intel 18A 램프업 및 연말 Pentium Lake SKU 출시, 2026년 상반기 추가 SKU 출시 등 중요한 기반을 마련했음
파운드리 사업 성공은 단순한 기술 및 제조 역량 이상으로 고객 서비스 중심의 신뢰 구축이 중요, 고객 서비스 마인드를 전사적으로 심어넣을 것
다양한 고객의 설계 도구 및 방식에 맞춰 프로세스 기술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EDA 도구 및 설계 방식을 개선하고, 고객과의 약속을 이행하기 위해 로드맵을 조정하며, 고객 만족을 최우선으로 고려
Intel 18A뿐만 아니라 Intel 14A의 적기 제공을 위한 KPI를 고객과 긴밀히 정의하고 있음
▶️ FY1Q25 주요 QnA
Q 내부 제품 로드맵과 파운드리 측면에서의 균형을 어떻게 이룰 것인가?
A 조직을 평평하게 만들어 제품에 집중하고 고객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할 것
Q 전략 변화, 비용 절감, CapEx 축소 등을 고려할 때 2025년 및 2026년 총 마진에 대한 목표와 영향 요인은 무엇?
A 올해 클라이언트 제품 믹스 변화(Lunar Lake), 18A 양산 초기 비용 등으로 총 마진에 압박이 있을 수 있으나, 2026년 Panther Lake 양산 확대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 관세 등 외부 요인에 따라 변동성이 클 수 있음
Q 새로운 제3자 파운드리 고객 확보 전략은 무엇이며, Tier 1 고객 확보 가능성은 있는가?
A 내부 고객(Panther Lake) 성공과 파운드리 고객과의 신뢰 구축이 우선,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통해 점진적으로 사업을 확대할 것
Q Intel 7 생산 능력 제약의 이유는 무엇이며,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A Raptor Lake 판매 호조로 Intel 7 생산 능력이 일시적으로 제약된 것, 이는 공장 가동률 향상에는 긍정적이지만, 시장 수요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필요 있음
Q AI 전략에서 x86 재창조 또는 ARM 포함 가능성을 고려하는가? 엣지 AI에 더 집중하는 것인가?
A 워크로드에 맞춰 최적화된 컴퓨팅 플랫폼을 지향하며, 업계 리더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맞춤형 실리콘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것, 엣지 및 추론 분야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새로운 아키텍처 및 플랫폼을 탐색 중
Q 올해 하반기 데이터 센터 사업 전망은 어떠한가?
A 1분기에는 일부 하이퍼스케일러의 수요 증가로 예상보다 좋은 성과를 보였음, Granite Rapids 출시 및 AI 서버용 CPU 수요 증가 등으로 긍정적인 전망을 하고 있지만, 거시 경제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 시장 점유율 확대에 집중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Intel Corporation FY1Q25 컨퍼런스 콜
▶️ FY1Q25 주요 코멘트
핵심 사업에 집중하여 동급 최고의 제품을 다시 구축하는 데 최우선 순위를 둘 것
AI 에이전트 및 추론 모델로 정의되는 새로운 컴퓨팅 시대에 맞춰 제품 포트폴리오를 재정의, 로드맵을 조정, 경쟁력 있는 제품을 적기에 제공
고객의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제품 및 플랫폼 설계를 개선할 것
추론 모델, 에이전트 AI 및 물리적 AI로 정의되는 차세대 컴퓨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함
자본 집약적인 사업 특성을 고려하여 재무 성과가 개선될 때까지 신중한 자본 관리를 시행
OpEx 및 CapEx 목표 감축 외에도 비핵심 자산 매각을 추진하고 Altera에 대한 Silver Lake 투자를 환영하며, Intel Capital 스핀오프 계획을 철회하고 기존 포트폴리오를 활용하면서 전략적 투자에 집중할 것
올해부터 부채 축소를 시작하여 재무 상태를 건전하게 만들 것
Silver Lake Partners에 Altera 지분 51%를 약 90억 달러 가치로 매각하는 계약 발표. Intel은 순 현금 44억 달러를 수령할 예정
#Foundry
Intel 18A 램프업 및 연말 Pentium Lake SKU 출시, 2026년 상반기 추가 SKU 출시 등 중요한 기반을 마련했음
파운드리 사업 성공은 단순한 기술 및 제조 역량 이상으로 고객 서비스 중심의 신뢰 구축이 중요, 고객 서비스 마인드를 전사적으로 심어넣을 것
다양한 고객의 설계 도구 및 방식에 맞춰 프로세스 기술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EDA 도구 및 설계 방식을 개선하고, 고객과의 약속을 이행하기 위해 로드맵을 조정하며, 고객 만족을 최우선으로 고려
Intel 18A뿐만 아니라 Intel 14A의 적기 제공을 위한 KPI를 고객과 긴밀히 정의하고 있음
▶️ FY1Q25 주요 QnA
Q 내부 제품 로드맵과 파운드리 측면에서의 균형을 어떻게 이룰 것인가?
A 조직을 평평하게 만들어 제품에 집중하고 고객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할 것
Q 전략 변화, 비용 절감, CapEx 축소 등을 고려할 때 2025년 및 2026년 총 마진에 대한 목표와 영향 요인은 무엇?
A 올해 클라이언트 제품 믹스 변화(Lunar Lake), 18A 양산 초기 비용 등으로 총 마진에 압박이 있을 수 있으나, 2026년 Panther Lake 양산 확대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 관세 등 외부 요인에 따라 변동성이 클 수 있음
Q 새로운 제3자 파운드리 고객 확보 전략은 무엇이며, Tier 1 고객 확보 가능성은 있는가?
A 내부 고객(Panther Lake) 성공과 파운드리 고객과의 신뢰 구축이 우선,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통해 점진적으로 사업을 확대할 것
Q Intel 7 생산 능력 제약의 이유는 무엇이며,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A Raptor Lake 판매 호조로 Intel 7 생산 능력이 일시적으로 제약된 것, 이는 공장 가동률 향상에는 긍정적이지만, 시장 수요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필요 있음
Q AI 전략에서 x86 재창조 또는 ARM 포함 가능성을 고려하는가? 엣지 AI에 더 집중하는 것인가?
A 워크로드에 맞춰 최적화된 컴퓨팅 플랫폼을 지향하며, 업계 리더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맞춤형 실리콘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것, 엣지 및 추론 분야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새로운 아키텍처 및 플랫폼을 탐색 중
Q 올해 하반기 데이터 센터 사업 전망은 어떠한가?
A 1분기에는 일부 하이퍼스케일러의 수요 증가로 예상보다 좋은 성과를 보였음, Granite Rapids 출시 및 AI 서버용 CPU 수요 증가 등으로 긍정적인 전망을 하고 있지만, 거시 경제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 시장 점유율 확대에 집중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07.05.202522:42
# 와이씨켐
- 변곡점 임박!
[ SK증권 권민규, 박형우 ]
디스플레이/IT중소형
▶️ 결론:
- 1분기 실적 저점, 2분기부터 턴어라운드 기대
- 유리기판향 소재 매출 본격화, EUV 린스 진입 기대감, 하반기 Poly-Si 슬러리 매출 발생
- 소재 신규 진입에 따른 모멘텀 다수 보유
- 고부가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따른 이익률 우상향
▶️ 목차:
투자포인트 1. 유리기판 소재 핵심 기업, ‘25년부터 매출 본격화
- 1) 유리기판 핵심 소재 납품, 레퍼런스 기반 고객사 확대 기대
- 2) 유리 기판 수율 개선 핵심 요소, 코팅제 공급 기대감
- 3) 모두가 선단공정을 바라볼 때, 비어버린 시장에서의 기회 포착
투자포인트 2. EUV 린스로 중장기 성장동력 확보
- EUV 린스, 소재 포트폴리오 확대 & 기술력 재평가의 발판
▶️ 링크:
https://buly.kr/6Bwj7xy
- 변곡점 임박!
[ SK증권 권민규, 박형우 ]
디스플레이/IT중소형
▶️ 결론:
- 1분기 실적 저점, 2분기부터 턴어라운드 기대
- 유리기판향 소재 매출 본격화, EUV 린스 진입 기대감, 하반기 Poly-Si 슬러리 매출 발생
- 소재 신규 진입에 따른 모멘텀 다수 보유
- 고부가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따른 이익률 우상향
▶️ 목차:
투자포인트 1. 유리기판 소재 핵심 기업, ‘25년부터 매출 본격화
- 1) 유리기판 핵심 소재 납품, 레퍼런스 기반 고객사 확대 기대
- 2) 유리 기판 수율 개선 핵심 요소, 코팅제 공급 기대감
- 3) 모두가 선단공정을 바라볼 때, 비어버린 시장에서의 기회 포착
투자포인트 2. EUV 린스로 중장기 성장동력 확보
- EUV 린스, 소재 포트폴리오 확대 & 기술력 재평가의 발판
▶️ 링크:
https://buly.kr/6Bwj7xy
23.04.202522:53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Texas Instrument (TXN US EQUITY) FY1Q25 실적발표
▶️ FY1Q25 주요 코멘트
#업황 코멘트
반도체 사이클의 저점에 있으며, 고객 재고가 모든 시장에서 낮은 수준
고객들은 불확실한 환경 속에서 재고를 늘리려는 경향이 존재
2분기에는 여전히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고객의 요구를 이해하고 지원하는 데 집중할 것
하반기와 2026년 전망에 대해서는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비하고 있음
#관세 관련 코멘트
관세에 관련해서는 세 가지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
1. 여전히 많은 것들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으며 고객의 필요를 이해하고 지원하기 위해 협력 중에 있음
2.현재로서는 2분기에 대한 단기적인 영향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임
3. 하반기와 2026년에 대해서는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여러 시나리오를 마련하고 면밀히 지켜볼 것
▶️ FY1Q25 주요 QnA
Q. 2분기 가이던스가 상당히 좋은 수치로 보이는데 관세 이전에 고객들의 많은 재고 축적이 있었는지?
A. 두 가지 변화 범주를 염두에 두고 있음. 하나는 산업 시장의 사이클 회복과 관련 있으며 다른 하나는 고객들의 재고임. 고객들의 재고가 부족하다는 증거가 많음 적어도 1분기에는 사이클의 변화에 초점을 두었음
Q. 중국의 보복 관세에 대한 노출도는 어느정도이며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A. 중국 시장에서의 고객과의 관계가 중요하며 고객의 요구에 맞춰서 재고를 관리하고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Q. 1분기 매출 증가의 주요 원인은 무엇? 관세 영향이 있었고 있었다면 수치화 할 수 있는가?
A. 관세 영향에 대해 수치화 할 수 없음. 사이클 회복을 통해 고객들에게 더 많은 제품을 배송한 것이 매출의 주된 요인
Q. 고객들이 미리 구매하는 현상이 보이지 않는다고 언급했지만 고객들이 더 많이 보유하고자 하는 모습은 보인다고 언급, 하반기에 대한 우려가 있는지?
A. 첫 분기 동안 산업 회복이 일관되게 나타났으며 고객들은 재고를 쌓고 싶어하는 경향이 존재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Texas Instrument (TXN US EQUITY) FY1Q25 실적발표
▶️ FY1Q25 주요 코멘트
#업황 코멘트
반도체 사이클의 저점에 있으며, 고객 재고가 모든 시장에서 낮은 수준
고객들은 불확실한 환경 속에서 재고를 늘리려는 경향이 존재
2분기에는 여전히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고객의 요구를 이해하고 지원하는 데 집중할 것
하반기와 2026년 전망에 대해서는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비하고 있음
#관세 관련 코멘트
관세에 관련해서는 세 가지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
1. 여전히 많은 것들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으며 고객의 필요를 이해하고 지원하기 위해 협력 중에 있음
2.현재로서는 2분기에 대한 단기적인 영향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임
3. 하반기와 2026년에 대해서는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여러 시나리오를 마련하고 면밀히 지켜볼 것
▶️ FY1Q25 주요 QnA
Q. 2분기 가이던스가 상당히 좋은 수치로 보이는데 관세 이전에 고객들의 많은 재고 축적이 있었는지?
A. 두 가지 변화 범주를 염두에 두고 있음. 하나는 산업 시장의 사이클 회복과 관련 있으며 다른 하나는 고객들의 재고임. 고객들의 재고가 부족하다는 증거가 많음 적어도 1분기에는 사이클의 변화에 초점을 두었음
Q. 중국의 보복 관세에 대한 노출도는 어느정도이며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A. 중국 시장에서의 고객과의 관계가 중요하며 고객의 요구에 맞춰서 재고를 관리하고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Q. 1분기 매출 증가의 주요 원인은 무엇? 관세 영향이 있었고 있었다면 수치화 할 수 있는가?
A. 관세 영향에 대해 수치화 할 수 없음. 사이클 회복을 통해 고객들에게 더 많은 제품을 배송한 것이 매출의 주된 요인
Q. 고객들이 미리 구매하는 현상이 보이지 않는다고 언급했지만 고객들이 더 많이 보유하고자 하는 모습은 보인다고 언급, 하반기에 대한 우려가 있는지?
A. 첫 분기 동안 산업 회복이 일관되게 나타났으며 고객들은 재고를 쌓고 싶어하는 경향이 존재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30.04.202507:33
07.05.202523:30
[SK증권 IT 장비/소재 이동주]
엠씨넥스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3.1만원으로 상향)
살아남는 자가 강자
▶️ 1Q25 Review
- 1Q25 매출액 3,479억원(QoQ +17%, YoY +21%), 영업이익 209억원(QoQ +13%, YoY +38%)로 시장 컨센서스(영업이익 164억원) 크게 상회
- S25 점유율 확대 효과와 중가 매스 모델향 구동계 양산이 배경
- 특히 경쟁 강도가 높은 부품군임에도 일궈낸 고무적인 성과. 향후 신제품에서도 안정적인 입지
▶️ 기대 이상의 모바일, rerating은 전장으로
- 불모지에서도 기대 이상의 성과 시현 중. 다만, 전방 산업은 여전히 녹록치 않고 추가 실적 개선의 공은 고객사에 달림
- 전장 부품을 통한 멀티플 확장 우선시. 전장 부품도 순조로움. 수주잔고 2조원대 유지. 고부가 수주 건에 대한 것들이 명확해지면 동사에 대한 rerating도 점차 나타날 것
▶️ 보고서 url: https://buly.kr/DEZ2MwS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엠씨넥스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3.1만원으로 상향)
살아남는 자가 강자
▶️ 1Q25 Review
- 1Q25 매출액 3,479억원(QoQ +17%, YoY +21%), 영업이익 209억원(QoQ +13%, YoY +38%)로 시장 컨센서스(영업이익 164억원) 크게 상회
- S25 점유율 확대 효과와 중가 매스 모델향 구동계 양산이 배경
- 특히 경쟁 강도가 높은 부품군임에도 일궈낸 고무적인 성과. 향후 신제품에서도 안정적인 입지
▶️ 기대 이상의 모바일, rerating은 전장으로
- 불모지에서도 기대 이상의 성과 시현 중. 다만, 전방 산업은 여전히 녹록치 않고 추가 실적 개선의 공은 고객사에 달림
- 전장 부품을 통한 멀티플 확장 우선시. 전장 부품도 순조로움. 수주잔고 2조원대 유지. 고부가 수주 건에 대한 것들이 명확해지면 동사에 대한 rerating도 점차 나타날 것
▶️ 보고서 url: https://buly.kr/DEZ2MwS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11.05.202502:49
[SK증권 반도체 한동희, 박제민]
5월 1~10일 반도체 수출액 잠정치
DRAM 7.24억달러 (+16% MoM, +26% QoQ)
DRAM 모듈 1.59억달러 (-35% MoM, -38% QoQ)
NAND 7.72억달러 (+12% MoM, +143% QoQ)
MCP 7.07 억달러 (-14% MoM, +70% QoQ)
SSD 1.5억달러 (+36% MoM, -1% QoQ)
[5월 1~10일/4월 1~30일] 전월 대비 비중
DRAM 34%
DRAM 모듈 14%
NAND 40%
MCP 25%
SSD 32%
* 위 내용은 공개 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5월 1~10일 반도체 수출액 잠정치
DRAM 7.24억달러 (+16% MoM, +26% QoQ)
DRAM 모듈 1.59억달러 (-35% MoM, -38% QoQ)
NAND 7.72억달러 (+12% MoM, +143% QoQ)
MCP 7.07 억달러 (-14% MoM, +70% QoQ)
SSD 1.5억달러 (+36% MoM, -1% QoQ)
[5월 1~10일/4월 1~30일] 전월 대비 비중
DRAM 34%
DRAM 모듈 14%
NAND 40%
MCP 25%
SSD 32%
* 위 내용은 공개 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23.04.202522:57
[SK증권 IT 장비/소재 이동주]
중국의 자립화 수혜, 장비에서 소재/부품으로
▶️ 중국의 반도체 자립화
- 미중 관세 및 제재 강도 완화 여부와는 별개로 중국의 반도체 기술 독립 노력 지속
- Naura, AMEC 등 로컬 업체가 필수 공정 장비 상당 부분 대체
▶️ 중국 수혜 소재/부품까지 확장
- 중국의 칩메이커 지난 2년간 대규모 투자 강행. 본격적인 가동 램프업이 시작되는 구간
- 중국 칩메이커향 소재/부품 공급할 수 있는 업체 주목. 블랭크마스크, 세정/코팅, 세라믹 히터, 식각 부품 등 실적 개선 목격 시작
- 이 중에서도 에프터마켓을 영위하거나 중국 로컬 OEM 공급이 가능한 업체의 실적 사이클이 길어질 것
- 대중 제재 대상 품목 지정 가능성도 낮음 1) 범용적 성격 2) 수만가지의 부품 가짓수
▶️ 주요 소재/부품 중국 노출도 및 해당 품목
에스앤에스텍: 30-40% / DUV Blankmask
코미코: 32% / 세정 및 코팅, 세라믹 히터
월덱스: 31% / Si, Quartz
티씨케이: 23% / SiC Ring
케이엔제이: 20% / SiC Ring
에프에스티: 20% / DUV Pellicle, SiC Ring
한솔케미칼: 10% / BDS 프리커서, 2차전지 바인더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GvmrtC7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중국의 자립화 수혜, 장비에서 소재/부품으로
▶️ 중국의 반도체 자립화
- 미중 관세 및 제재 강도 완화 여부와는 별개로 중국의 반도체 기술 독립 노력 지속
- Naura, AMEC 등 로컬 업체가 필수 공정 장비 상당 부분 대체
▶️ 중국 수혜 소재/부품까지 확장
- 중국의 칩메이커 지난 2년간 대규모 투자 강행. 본격적인 가동 램프업이 시작되는 구간
- 중국 칩메이커향 소재/부품 공급할 수 있는 업체 주목. 블랭크마스크, 세정/코팅, 세라믹 히터, 식각 부품 등 실적 개선 목격 시작
- 이 중에서도 에프터마켓을 영위하거나 중국 로컬 OEM 공급이 가능한 업체의 실적 사이클이 길어질 것
- 대중 제재 대상 품목 지정 가능성도 낮음 1) 범용적 성격 2) 수만가지의 부품 가짓수
▶️ 주요 소재/부품 중국 노출도 및 해당 품목
에스앤에스텍: 30-40% / DUV Blankmask
코미코: 32% / 세정 및 코팅, 세라믹 히터
월덱스: 31% / Si, Quartz
티씨케이: 23% / SiC Ring
케이엔제이: 20% / SiC Ring
에프에스티: 20% / DUV Pellicle, SiC Ring
한솔케미칼: 10% / BDS 프리커서, 2차전지 바인더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GvmrtC7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16.05.202506:59


30.04.202504:29
# 코미코 (시총: 6,151억원)
기업가치 제고 계획 (자율공시)
[ SK증권 이동주 ]
IT장비/소재
▶️ 주요 목표:
1) 2027년 매출액 7,000억원 달성
- 글로벌 공급망을 기반으로 지속성장 도모
- 세정, 코팅 및 부품 제조 기술의 고도화를 통한
성장 가속화
2) 2027년 EBITDA 2,500억원 이상
- 기술혁신을 통한 고수익 사업모델 추구
- 고객 및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한 수익성 확대
3) 2025년 ~ 2027년 배당 성향 25% 이상 / 주주소통 강화
- 배당성향 확대로 주주 수익 극대화
- 소통 강화를 통한 주주친화정책 실현
- 자기주식 매입 확대를 통한 책임 있는 주주환원 실현
▶️ 기대 효과(공시내용):
1) 중장기 전략 수립을 통한 기업 성과 극대화
2) 명확한 메세지 전달을 통한 자본시장 신뢰 확보
3) 투명한 정보 공유로 주주 및 투자자와의 소통 강화
4) 시장의 긍정적 평가를 바탕으로 기업 가치에 대한
재평가 및 투자 유인 확대
▶️ 소통
1) 중복 상장에 대한 불확실성 해소와 함께
주주가치 보존 및 신뢰 경영 실현
2) 지배구조 투명성 강화를 통해 기업가치 제고
- 투자자와 소통 강화
- 투자자 의견 반영
- 투명한 공시
▶️ URL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900323
기업가치 제고 계획 (자율공시)
[ SK증권 이동주 ]
IT장비/소재
▶️ 주요 목표:
1) 2027년 매출액 7,000억원 달성
- 글로벌 공급망을 기반으로 지속성장 도모
- 세정, 코팅 및 부품 제조 기술의 고도화를 통한
성장 가속화
2) 2027년 EBITDA 2,500억원 이상
- 기술혁신을 통한 고수익 사업모델 추구
- 고객 및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한 수익성 확대
3) 2025년 ~ 2027년 배당 성향 25% 이상 / 주주소통 강화
- 배당성향 확대로 주주 수익 극대화
- 소통 강화를 통한 주주친화정책 실현
- 자기주식 매입 확대를 통한 책임 있는 주주환원 실현
▶️ 기대 효과(공시내용):
1) 중장기 전략 수립을 통한 기업 성과 극대화
2) 명확한 메세지 전달을 통한 자본시장 신뢰 확보
3) 투명한 정보 공유로 주주 및 투자자와의 소통 강화
4) 시장의 긍정적 평가를 바탕으로 기업 가치에 대한
재평가 및 투자 유인 확대
▶️ 소통
1) 중복 상장에 대한 불확실성 해소와 함께
주주가치 보존 및 신뢰 경영 실현
2) 지배구조 투명성 강화를 통해 기업가치 제고
- 투자자와 소통 강화
- 투자자 의견 반영
- 투명한 공시
▶️ URL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900323
07.05.202521:22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ARM FY4Q25 실적발표
▶️ FY4Q25 실적 (Non-GAAP)
매출액 $1.24B (+26% QoQ, +34% YoY): 컨센서스 +1%
OPM 52.8% (+6%p QoQ, +11%p YoY): 컨센서스 +4.8%p
EPS $0.55 (+41% QoQ, +53% YoY): 컨센서스 +6%
▶️ FY4Q25 부문별 실적
License and other revenue $0.63B (+57% QoQ, +53% YoY)
Royalty revenue $0.61B (+5% QoQ, +18% YoY)
▶️ FY1Q26 가이던스
매출액 $1.05B (-15% QoQ, +13% YoY): 컨센서스 -14%
OPM 41.0% (-12%p QoQ, -7%p YoY): 컨센서스 -7.0%p
▶️ URL: https://buly.kr/8TqZrM8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ARM FY4Q25 실적발표
▶️ FY4Q25 실적 (Non-GAAP)
매출액 $1.24B (+26% QoQ, +34% YoY): 컨센서스 +1%
OPM 52.8% (+6%p QoQ, +11%p YoY): 컨센서스 +4.8%p
EPS $0.55 (+41% QoQ, +53% YoY): 컨센서스 +6%
▶️ FY4Q25 부문별 실적
License and other revenue $0.63B (+57% QoQ, +53% YoY)
Royalty revenue $0.61B (+5% QoQ, +18% YoY)
▶️ FY1Q26 가이던스
매출액 $1.05B (-15% QoQ, +13% YoY): 컨센서스 -14%
OPM 41.0% (-12%p QoQ, -7%p YoY): 컨센서스 -7.0%p
▶️ URL: https://buly.kr/8TqZrM8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12.05.202523:04
[SK증권 IT 장비/소재 이동주]
테스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2.9만원 커버리지 개시)
낸드 전환 가속화와 신규 장비
▶️ 1Q25 Review
- 1Q25 매출액 845억원(QoQ -2%, YoY +100%), 영업이익 163억원(QoQ -26%, YoY +582%)로 시장 컨센서스(영업이익 129억원) 크게 상회
- 24년말 이연 수주잔고 244억원 + SK하이닉스 m16 신규 수주건 매출 인식 / NAND도 전환 투자 재개로 실적 반등
▶️ 전환 투자 가속 + 신규 장비 + TEL의 positive outlook
- NAND 업황 부진으로 감산 기조 상반기까지 지속. 제조사들은 이를 전환 투자의 계기로 활용, 고단화 투자에 적극 대응
- 삼성전자 시안 팹 V6에서 V8로 전환, 화성 및 평택 라인도 V8, V9 전환 추세. P4 V10 하반기 투자 예상
- 200단 이상의 고다층에서는 장비 및 소재의 상당한 기술 변화 수반. 웨이퍼 stress management 관련 bsd 장비는 동사가 대응 준비 영역으로, 연내 가시적인 성과 기대
- TEL의 NAND 매출은 FY2025 1,300억엔에서 FY2026 2,840억엔을 제시. 근거는 낸드 전환과 고단화에 따른 신규 장비 매출 기여. 동사 역시 동일한 관점에서 낙수 효과를 기대
▶️ 보고서 url: https://buly.kr/8815jb4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테스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2.9만원 커버리지 개시)
낸드 전환 가속화와 신규 장비
▶️ 1Q25 Review
- 1Q25 매출액 845억원(QoQ -2%, YoY +100%), 영업이익 163억원(QoQ -26%, YoY +582%)로 시장 컨센서스(영업이익 129억원) 크게 상회
- 24년말 이연 수주잔고 244억원 + SK하이닉스 m16 신규 수주건 매출 인식 / NAND도 전환 투자 재개로 실적 반등
▶️ 전환 투자 가속 + 신규 장비 + TEL의 positive outlook
- NAND 업황 부진으로 감산 기조 상반기까지 지속. 제조사들은 이를 전환 투자의 계기로 활용, 고단화 투자에 적극 대응
- 삼성전자 시안 팹 V6에서 V8로 전환, 화성 및 평택 라인도 V8, V9 전환 추세. P4 V10 하반기 투자 예상
- 200단 이상의 고다층에서는 장비 및 소재의 상당한 기술 변화 수반. 웨이퍼 stress management 관련 bsd 장비는 동사가 대응 준비 영역으로, 연내 가시적인 성과 기대
- TEL의 NAND 매출은 FY2025 1,300억엔에서 FY2026 2,840억엔을 제시. 근거는 낸드 전환과 고단화에 따른 신규 장비 매출 기여. 동사 역시 동일한 관점에서 낙수 효과를 기대
▶️ 보고서 url: https://buly.kr/8815jb4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16.05.202506:59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SK하이닉스향 TC 본더 수주공시 (5/16)
한미반도체 428억원 (VAT 포함)
한화비전 385억원 (VAT 미포함)
SK하이닉스향 TC 본더 수주공시 (5/16)
한미반도체 428억원 (VAT 포함)
한화비전 385억원 (VAT 미포함)
24.04.202500:20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 FY3Q25 주요 코멘트
Lam Research Corporation 1Q25 실적발표
#업황 코멘트
2025년 캘린더 연도 WFE 지출은 약 $100B 범위에서 예상
현재의 관세 및 글로벌 경제 환경은 역동적이지만 고객의 계획에 의미있는 변화는 포착하기 어려움
고객의 기술 로드맵에 따라 LAM은 반도체 제조의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기술 혁신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
반도체 복잡도 증가로 증착 및 식각 공정의 중요성이 커지며 시장자체가 성장
#관세 관련 코멘트
현재의 관세 및 글로벌 경제 환경은 역동적이지만 고객의 계획에 의미있는 변화는 포착하기 어려움
고객사 및 밸류체인 파트너와 함께 상황을 면밀히 주시
우리가 지난 몇 년간 구축한 민첩한 제조 및 공급망 역량은,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을 줄이는 데 있어 유연성을 제공한다고 믿음
단기적으로는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장기적인 수요 변화의 신호도 면밀히 관찰
우리의 최우선 과제는 고객들이 반도체 제조를 더 빠르고 생산적이며 비용 효율적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 혁신과 세계적 수준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
▶️ FY3Q25 주요 QnA
Q 2관세 영향을 줄이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언급했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조치를 취했나?
A 구체적인 조치에 대해 모두 말할 수는 없지만, 확실한 건 우리가 지난 수년간 미국과 아시아 등지에 민첩한 제조 및 공급망 역량을 구축해왔다는 점임
Q 관세 관련 영향이 장기화되거나 일부 관세가 계속 유지된다면 Lam이 미국 내 고객 대응을 위한 제조 역량이 충분한지?
A 앞서 언급했듯 각 지역에 대한 최적화 전략을 구축하고 있으며, 각 지역의 수요가 커질수록 그에 맞는 현지 제조 역량을 재평가하여 대응할 계획, 계획 조정은 어렵지 않음
Q 관세 관련 영향이 이번 분기 가이던스의 GPM (49.5%에) 반영돼 있나?
A 확실한 영향을 반영한 상태,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사항을 반영한 상태에서 가이던스를 제시
Q 중국 제재로 인해 서비스나 부품 공급이 제한된 영향도 존재?
A 중국에게는 이제 서비스나 부품 공급이 제한적. 한편, 현재 업그레이드 비즈니스는 NAND에서 특히 강세를 보이고 있고, 다른 분야도 있지만 NAND에서 두드러지는 추세, 그래서 전체적으로 보면, 한쪽이 빠지고 다른 쪽이 채워지는 구조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 FY3Q25 주요 코멘트
Lam Research Corporation 1Q25 실적발표
#업황 코멘트
2025년 캘린더 연도 WFE 지출은 약 $100B 범위에서 예상
현재의 관세 및 글로벌 경제 환경은 역동적이지만 고객의 계획에 의미있는 변화는 포착하기 어려움
고객의 기술 로드맵에 따라 LAM은 반도체 제조의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기술 혁신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
반도체 복잡도 증가로 증착 및 식각 공정의 중요성이 커지며 시장자체가 성장
#관세 관련 코멘트
현재의 관세 및 글로벌 경제 환경은 역동적이지만 고객의 계획에 의미있는 변화는 포착하기 어려움
고객사 및 밸류체인 파트너와 함께 상황을 면밀히 주시
우리가 지난 몇 년간 구축한 민첩한 제조 및 공급망 역량은,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을 줄이는 데 있어 유연성을 제공한다고 믿음
단기적으로는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장기적인 수요 변화의 신호도 면밀히 관찰
우리의 최우선 과제는 고객들이 반도체 제조를 더 빠르고 생산적이며 비용 효율적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 혁신과 세계적 수준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
▶️ FY3Q25 주요 QnA
Q 2관세 영향을 줄이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언급했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조치를 취했나?
A 구체적인 조치에 대해 모두 말할 수는 없지만, 확실한 건 우리가 지난 수년간 미국과 아시아 등지에 민첩한 제조 및 공급망 역량을 구축해왔다는 점임
Q 관세 관련 영향이 장기화되거나 일부 관세가 계속 유지된다면 Lam이 미국 내 고객 대응을 위한 제조 역량이 충분한지?
A 앞서 언급했듯 각 지역에 대한 최적화 전략을 구축하고 있으며, 각 지역의 수요가 커질수록 그에 맞는 현지 제조 역량을 재평가하여 대응할 계획, 계획 조정은 어렵지 않음
Q 관세 관련 영향이 이번 분기 가이던스의 GPM (49.5%에) 반영돼 있나?
A 확실한 영향을 반영한 상태,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사항을 반영한 상태에서 가이던스를 제시
Q 중국 제재로 인해 서비스나 부품 공급이 제한된 영향도 존재?
A 중국에게는 이제 서비스나 부품 공급이 제한적. 한편, 현재 업그레이드 비즈니스는 NAND에서 특히 강세를 보이고 있고, 다른 분야도 있지만 NAND에서 두드러지는 추세, 그래서 전체적으로 보면, 한쪽이 빠지고 다른 쪽이 채워지는 구조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01.05.202521:57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Amazon FY1Q25 실적발표
▶️ FY1Q25 실적 (Non-GAAP)
매출액 $155.67B (-17% QoQ, +9% YoY): 컨센서스 +0%
OPM 11.8% (+1%p QoQ, +1%p YoY): 컨센서스 +1.6%p
EPS $1.59 (-15% QoQ, +62% YoY): 컨센서스 +16%
▶️ FY1Q25 부문별 실적
North America $92.89B (-20% QoQ, +8% YoY)
International $33.51B (-23% QoQ, +5% YoY)
AWS $29.27B (+2% QoQ, +17% YoY)
▶️ FY2Q25 가이던스
매출액 $153.25B (-18% QoQ, +7% YoY): 컨센서스 -1%
OPM 10.4% (-0.9%p QoQ, FLAT YoY): 컨센서스 +0.2%p
▶️ FY1Q25 CapEx 관련 코멘트
1분기 CapEx, TTM 기준 $88B 상회
전년 동기 $49B 대비 약 2배에 해당하는 수치
25년 전체 CapEx는 $100B 상회할 것 (기존 가이던스와 동일)
▶️ URL: https://buly.kr/8811jNf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Amazon FY1Q25 실적발표
▶️ FY1Q25 실적 (Non-GAAP)
매출액 $155.67B (-17% QoQ, +9% YoY): 컨센서스 +0%
OPM 11.8% (+1%p QoQ, +1%p YoY): 컨센서스 +1.6%p
EPS $1.59 (-15% QoQ, +62% YoY): 컨센서스 +16%
▶️ FY1Q25 부문별 실적
North America $92.89B (-20% QoQ, +8% YoY)
International $33.51B (-23% QoQ, +5% YoY)
AWS $29.27B (+2% QoQ, +17% YoY)
▶️ FY2Q25 가이던스
매출액 $153.25B (-18% QoQ, +7% YoY): 컨센서스 -1%
OPM 10.4% (-0.9%p QoQ, FLAT YoY): 컨센서스 +0.2%p
▶️ FY1Q25 CapEx 관련 코멘트
1분기 CapEx, TTM 기준 $88B 상회
전년 동기 $49B 대비 약 2배에 해당하는 수치
25년 전체 CapEx는 $100B 상회할 것 (기존 가이던스와 동일)
▶️ URL: https://buly.kr/8811jNf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