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5.202500:38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사이클 신뢰를 위한 체크 포인트 (4/18)
관세 영향: B2B보다 B2C. 생산 전략 하향으로 대응
관세에 따른 하반기 B2C 수요 하향 불가피
다만, 시장은 반도체 관세 우려로 B2B 둔화 역시 반영
Section 232 기반 조사는 결정까지 최대 270일 소요,
단시일 반도체 관세 단정은 이른 우려
AI 투자비용 부담->AI 경쟁 내 미국 입지 약화 가능
H20 규제로 Blackwell과의 H/W 성능 격차 확대를 최대한 활용하려면 AI CapEx 지속 필요
B2C 수요 둔화 대응: 공급자들 생산 전략 하향 예상
불확실성 속 수요 낙관을 통한 선제적 Capa 확장 불가
1Q25 말 DRAM 3사 재고 6주 수준의 정상 범위,
D5는 여전히 극심한 공급 부족
생산 대응을 통한 가격 방어, 이후 회복 탄력성 유효
메모리 이익은 출하보다는 가격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실적발표에서 Commodity에 대한 보수적 생산 및 투자 기조 확인 예상
AI CapEx 기준: 하향 및 유지보다는 상향 필요
관세 부과로 반도체 제외 AI 인프라 비용 상승
CapEx 하향 및 유지의 경우 반도체 비용 축소 해석
다만, TSMC 가이던스 유지는 AI 수요 강세를 암시
빅테크 AI CapEx 확인에 무게
경기 침체를 가정한 주가,
Fundamental을 바라보기 시작할 조건
D5 현물가 상승, HBM 공급 부족 속 Commodity 보수적 생산 기조, 긍정적 AI CapEx 확인?
-> Fundamental을 바라보기 시작할 것
반도체 비중 확대 유지, 최선호주 여전히 SK하이닉스
견조한 AI, HBM 경쟁력 기반 실적 차별화 지속 예상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7FRAsgl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사이클 신뢰를 위한 체크 포인트 (4/18)
관세 영향: B2B보다 B2C. 생산 전략 하향으로 대응
관세에 따른 하반기 B2C 수요 하향 불가피
다만, 시장은 반도체 관세 우려로 B2B 둔화 역시 반영
Section 232 기반 조사는 결정까지 최대 270일 소요,
단시일 반도체 관세 단정은 이른 우려
AI 투자비용 부담->AI 경쟁 내 미국 입지 약화 가능
H20 규제로 Blackwell과의 H/W 성능 격차 확대를 최대한 활용하려면 AI CapEx 지속 필요
B2C 수요 둔화 대응: 공급자들 생산 전략 하향 예상
불확실성 속 수요 낙관을 통한 선제적 Capa 확장 불가
1Q25 말 DRAM 3사 재고 6주 수준의 정상 범위,
D5는 여전히 극심한 공급 부족
생산 대응을 통한 가격 방어, 이후 회복 탄력성 유효
메모리 이익은 출하보다는 가격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실적발표에서 Commodity에 대한 보수적 생산 및 투자 기조 확인 예상
AI CapEx 기준: 하향 및 유지보다는 상향 필요
관세 부과로 반도체 제외 AI 인프라 비용 상승
CapEx 하향 및 유지의 경우 반도체 비용 축소 해석
다만, TSMC 가이던스 유지는 AI 수요 강세를 암시
빅테크 AI CapEx 확인에 무게
경기 침체를 가정한 주가,
Fundamental을 바라보기 시작할 조건
D5 현물가 상승, HBM 공급 부족 속 Commodity 보수적 생산 기조, 긍정적 AI CapEx 확인?
-> Fundamental을 바라보기 시작할 것
반도체 비중 확대 유지, 최선호주 여전히 SK하이닉스
견조한 AI, HBM 경쟁력 기반 실적 차별화 지속 예상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7FRAsgl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01.05.202522:16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2025.05.02. 주요 뉴스
엔비디아, 화웨이의 AI 능력 성장에 대한 우려를 미국 의회에 전달
- 엔비디아 CEO 젠슨황,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와의 비공개 회의에서 화웨이의 빠르게 성장하는 인공지능 기술력에 대한 우려를 표명
https://buly.kr/9tAbXij
삼성, 관세 위협 속 프리미엄 판매 집중 및 생산지 전환 검토, 하반기 메모리 수요 신중
- 삼성전자는 관세 위협에 대응하여 플래그십 판매 확대 및 생산지 이전을 고려 중, 하반기 메모리 수요에 대해서는 신중
https://buly.kr/DwE26WK
메모리 현물 가격 업데이트, 주요 DRAM 업체 DDR3/DDR4 생산 중단 발표, 가격 급등세 주도
- NAND 플래시는 높은 현물 가격과 불확실한 관세 정책으로 인해 관망세
https://buly.kr/8TqXglQ
"몇 년 만에 온 기회인데"… 관세 폭탄에 노트북 시장 출하 멈추고 전망 하향
- 미국의 대중국 관세 부과로 노트북 업계는 미국 출하를 잠정 중단, 수요 둔화와 가격 상승 우려로 올해 노트북 시장 성장 전망 하향 조정 및 역성장 가능성 제기
https://buly.kr/7FREpc0
SK하이닉스, 올해 반도체 공장 건설비 삼성전자 추월 전망
- SK하이닉스의 반도체 공장 건설비, 전년 대비 80.6% 증가한 28억 달러로 예상, 반면 삼성전자는 투자 속도 조절로 64.6% 감소한 23억 5천만 달러로 전망
https://buly.kr/EziZzW4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2025.05.02. 주요 뉴스
엔비디아, 화웨이의 AI 능력 성장에 대한 우려를 미국 의회에 전달
- 엔비디아 CEO 젠슨황,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와의 비공개 회의에서 화웨이의 빠르게 성장하는 인공지능 기술력에 대한 우려를 표명
https://buly.kr/9tAbXij
삼성, 관세 위협 속 프리미엄 판매 집중 및 생산지 전환 검토, 하반기 메모리 수요 신중
- 삼성전자는 관세 위협에 대응하여 플래그십 판매 확대 및 생산지 이전을 고려 중, 하반기 메모리 수요에 대해서는 신중
https://buly.kr/DwE26WK
메모리 현물 가격 업데이트, 주요 DRAM 업체 DDR3/DDR4 생산 중단 발표, 가격 급등세 주도
- NAND 플래시는 높은 현물 가격과 불확실한 관세 정책으로 인해 관망세
https://buly.kr/8TqXglQ
"몇 년 만에 온 기회인데"… 관세 폭탄에 노트북 시장 출하 멈추고 전망 하향
- 미국의 대중국 관세 부과로 노트북 업계는 미국 출하를 잠정 중단, 수요 둔화와 가격 상승 우려로 올해 노트북 시장 성장 전망 하향 조정 및 역성장 가능성 제기
https://buly.kr/7FREpc0
SK하이닉스, 올해 반도체 공장 건설비 삼성전자 추월 전망
- SK하이닉스의 반도체 공장 건설비, 전년 대비 80.6% 증가한 28억 달러로 예상, 반면 삼성전자는 투자 속도 조절로 64.6% 감소한 23억 5천만 달러로 전망
https://buly.kr/EziZzW4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30.04.202507:09
# SK온 (시총: 비상장)
1Q25 실적발표 (잠정)
[ SK증권 박형우, 권민규 ]
2차전지, IT부품/전기전자
▶️ 실적 공시:
- 매출액 : 1조 6,054 억원 (-5% YoY)
(컨센 매출: -)
- 영업이익 : -2,993 억원 (적자지속 YoY)
(컨센 OP: -)
- OPM : 적자지속
(컨센 OPM: -)
▶️ URL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728
1Q25 실적발표 (잠정)
[ SK증권 박형우, 권민규 ]
2차전지, IT부품/전기전자
▶️ 실적 공시:
- 매출액 : 1조 6,054 억원 (-5% YoY)
(컨센 매출: -)
- 영업이익 : -2,993 억원 (적자지속 YoY)
(컨센 OP: -)
- OPM : 적자지속
(컨센 OPM: -)
▶️ URL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728
30.04.202500:29
29.04.202522:10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2025.04.30. 주요 뉴스
트럼프 행정부, 바이든 AI 칩 수출 규제 변경 검토…‘3단계 국가 분류’ 폐지 가능성
- 트럼프 행정부, AI 칩 수출 규제에 관한 국가별 3단계 분류 폐지 및 양자 간 협정 기반 통제로 전환을 검토 중
https://buly.kr/CsjTU62
슈퍼마이크로, AI 서버 수요 둔화로 분기 실적 전망 하향…주가 16% 급락
- 슈퍼마이크로가 고객 지출 지연과 재고 부담, 관세 전쟁 등을 이유로 3분기 실적 전망을 대폭 하향 조정
https://buly.kr/DPTkQe8
TSMC, A14 공정에 차세대 고정밀 EUV 리소그래피 도입 보류…인텔에 기술 우위 허용 가능성
- TSMC, 비용 문제로 A14 공정에 고-NA EUV 도입을 미루고 기존 0.33-NA EUV를 유지하기로 결정
https://buly.kr/4mccMjk
화웨이 DeepSeek 올인원 머신 분석: 매력적인 가격에 엔비디아 H100 성능의 60-70% 제공
- 화웨이, DeepSeek와 협력하여 엔비디아 H100 대비 60-70% 저렴한 가격에 유사한 성능을 제공하는 Ascend 910B/C 기반의 올인원 AI 머신을 출시
https://buly.kr/1GJSkT9
인텔, TSMC, UMC 및 대만 IP 파트너와 함께 파운드리 생태계 확장
- 인텔, 차세대 CPU 노바 레이크 생산에 TSMC 아웃소싱 및 자체생산 병행
https://buly.kr/2qYHZrO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2025.04.30. 주요 뉴스
트럼프 행정부, 바이든 AI 칩 수출 규제 변경 검토…‘3단계 국가 분류’ 폐지 가능성
- 트럼프 행정부, AI 칩 수출 규제에 관한 국가별 3단계 분류 폐지 및 양자 간 협정 기반 통제로 전환을 검토 중
https://buly.kr/CsjTU62
슈퍼마이크로, AI 서버 수요 둔화로 분기 실적 전망 하향…주가 16% 급락
- 슈퍼마이크로가 고객 지출 지연과 재고 부담, 관세 전쟁 등을 이유로 3분기 실적 전망을 대폭 하향 조정
https://buly.kr/DPTkQe8
TSMC, A14 공정에 차세대 고정밀 EUV 리소그래피 도입 보류…인텔에 기술 우위 허용 가능성
- TSMC, 비용 문제로 A14 공정에 고-NA EUV 도입을 미루고 기존 0.33-NA EUV를 유지하기로 결정
https://buly.kr/4mccMjk
화웨이 DeepSeek 올인원 머신 분석: 매력적인 가격에 엔비디아 H100 성능의 60-70% 제공
- 화웨이, DeepSeek와 협력하여 엔비디아 H100 대비 60-70% 저렴한 가격에 유사한 성능을 제공하는 Ascend 910B/C 기반의 올인원 AI 머신을 출시
https://buly.kr/1GJSkT9
인텔, TSMC, UMC 및 대만 IP 파트너와 함께 파운드리 생태계 확장
- 인텔, 차세대 CPU 노바 레이크 생산에 TSMC 아웃소싱 및 자체생산 병행
https://buly.kr/2qYHZrO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25.04.202507:09
'26년에 인도에서 아이폰 6,000만대 생산'은
애플의 기존 계획대비 20% 늘어난 수치입니다.
애플의 기존 계획대비 20% 늘어난 수치입니다.
01.05.202523:48
[SK증권 해외주식 박제민]
META; 차세대 AI 대장주의 면모
▶️ AI 수익화로 관세, 경기 우려 타파
차분기 매출액 가이던스가 컨센서스 6% 상회하며 우려 불식
대외 불확실성, 소액 수입품 관세로 인한 공급 차질 모두 고려한 가이던스
▶️ GPU로 돈 벌 줄 아는 기업
서프라이즈의 배경은 광고 노출량(impression)과 광고 단가(CPM)의 성장
LLM을 피드 엔진에 결합한 Threads의 체류 시간 급증 (6개월 전 대비 +35%)
Reels를 위한 새로운 광고 추천 모델로 구매 전환율이 5% 증가
▶️ Consumer Tech 대장으로 도약 준비
META AI의 MAU를 10억명, Ray-Ban Meta 활성 사용자 수 4배 증가
차후 강화된 광고 엔진에 데이터 공급원으로 사용될 것으로 전망
올해 Capex 가이던스 8% 상향에도 자신감
저커버그의 2022년 GPU 투자 베팅이 현재 성과를 내고 있듯, 그가 다시 한번 미래 설계에 성공할 것으로 기대
▶️ URL: https://buly.kr/2UimMwK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META; 차세대 AI 대장주의 면모
▶️ AI 수익화로 관세, 경기 우려 타파
차분기 매출액 가이던스가 컨센서스 6% 상회하며 우려 불식
대외 불확실성, 소액 수입품 관세로 인한 공급 차질 모두 고려한 가이던스
▶️ GPU로 돈 벌 줄 아는 기업
서프라이즈의 배경은 광고 노출량(impression)과 광고 단가(CPM)의 성장
LLM을 피드 엔진에 결합한 Threads의 체류 시간 급증 (6개월 전 대비 +35%)
Reels를 위한 새로운 광고 추천 모델로 구매 전환율이 5% 증가
▶️ Consumer Tech 대장으로 도약 준비
META AI의 MAU를 10억명, Ray-Ban Meta 활성 사용자 수 4배 증가
차후 강화된 광고 엔진에 데이터 공급원으로 사용될 것으로 전망
올해 Capex 가이던스 8% 상향에도 자신감
저커버그의 2022년 GPU 투자 베팅이 현재 성과를 내고 있듯, 그가 다시 한번 미래 설계에 성공할 것으로 기대
▶️ URL: https://buly.kr/2UimMwK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01.05.202521:57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Amazon FY1Q25 실적발표
▶️ FY1Q25 실적 (Non-GAAP)
매출액 $155.67B (-17% QoQ, +9% YoY): 컨센서스 +0%
OPM 11.8% (+1%p QoQ, +1%p YoY): 컨센서스 +1.6%p
EPS $1.59 (-15% QoQ, +62% YoY): 컨센서스 +16%
▶️ FY1Q25 부문별 실적
North America $92.89B (-20% QoQ, +8% YoY)
International $33.51B (-23% QoQ, +5% YoY)
AWS $29.27B (+2% QoQ, +17% YoY)
▶️ FY2Q25 가이던스
매출액 $153.25B (-18% QoQ, +7% YoY): 컨센서스 -1%
OPM 10.4% (-0.9%p QoQ, FLAT YoY): 컨센서스 +0.2%p
▶️ FY1Q25 CapEx 관련 코멘트
1분기 CapEx, TTM 기준 $88B 상회
전년 동기 $49B 대비 약 2배에 해당하는 수치
25년 전체 CapEx는 $100B 상회할 것 (기존 가이던스와 동일)
▶️ URL: https://buly.kr/8811jNf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Amazon FY1Q25 실적발표
▶️ FY1Q25 실적 (Non-GAAP)
매출액 $155.67B (-17% QoQ, +9% YoY): 컨센서스 +0%
OPM 11.8% (+1%p QoQ, +1%p YoY): 컨센서스 +1.6%p
EPS $1.59 (-15% QoQ, +62% YoY): 컨센서스 +16%
▶️ FY1Q25 부문별 실적
North America $92.89B (-20% QoQ, +8% YoY)
International $33.51B (-23% QoQ, +5% YoY)
AWS $29.27B (+2% QoQ, +17% YoY)
▶️ FY2Q25 가이던스
매출액 $153.25B (-18% QoQ, +7% YoY): 컨센서스 -1%
OPM 10.4% (-0.9%p QoQ, FLAT YoY): 컨센서스 +0.2%p
▶️ FY1Q25 CapEx 관련 코멘트
1분기 CapEx, TTM 기준 $88B 상회
전년 동기 $49B 대비 약 2배에 해당하는 수치
25년 전체 CapEx는 $100B 상회할 것 (기존 가이던스와 동일)
▶️ URL: https://buly.kr/8811jNf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30.04.202507:01
30.04.202500:06


29.04.202507:58
# 대덕전자 (시총: 7,264억원)
1Q25 실적발표 (잠정)
[ SK증권 박형우, 권민규 ]
IT부품/전기전자, 2차전지
▶️ 실적 공시:
- 매출액 : 2,154억원 (+0.3% YoY)
(컨센 매출: 2,161 억원)
- 영업이익 : -62 억원 (적자전환 YoY)
(컨센 OP: -38 억원)
- OPM : 적자
(컨센 OPM: 적자)
▶️ URL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800710
1Q25 실적발표 (잠정)
[ SK증권 박형우, 권민규 ]
IT부품/전기전자, 2차전지
▶️ 실적 공시:
- 매출액 : 2,154억원 (+0.3% YoY)
(컨센 매출: 2,161 억원)
- 영업이익 : -62 억원 (적자전환 YoY)
(컨센 OP: -38 억원)
- OPM : 적자
(컨센 OPM: 적자)
▶️ URL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800710
25.04.202501:49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Intel Corporation FY1Q25 컨퍼런스 콜
▶️ FY1Q25 주요 코멘트
핵심 사업에 집중하여 동급 최고의 제품을 다시 구축하는 데 최우선 순위를 둘 것
AI 에이전트 및 추론 모델로 정의되는 새로운 컴퓨팅 시대에 맞춰 제품 포트폴리오를 재정의, 로드맵을 조정, 경쟁력 있는 제품을 적기에 제공
고객의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제품 및 플랫폼 설계를 개선할 것
추론 모델, 에이전트 AI 및 물리적 AI로 정의되는 차세대 컴퓨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함
자본 집약적인 사업 특성을 고려하여 재무 성과가 개선될 때까지 신중한 자본 관리를 시행
OpEx 및 CapEx 목표 감축 외에도 비핵심 자산 매각을 추진하고 Altera에 대한 Silver Lake 투자를 환영하며, Intel Capital 스핀오프 계획을 철회하고 기존 포트폴리오를 활용하면서 전략적 투자에 집중할 것
올해부터 부채 축소를 시작하여 재무 상태를 건전하게 만들 것
Silver Lake Partners에 Altera 지분 51%를 약 90억 달러 가치로 매각하는 계약 발표. Intel은 순 현금 44억 달러를 수령할 예정
#Foundry
Intel 18A 램프업 및 연말 Pentium Lake SKU 출시, 2026년 상반기 추가 SKU 출시 등 중요한 기반을 마련했음
파운드리 사업 성공은 단순한 기술 및 제조 역량 이상으로 고객 서비스 중심의 신뢰 구축이 중요, 고객 서비스 마인드를 전사적으로 심어넣을 것
다양한 고객의 설계 도구 및 방식에 맞춰 프로세스 기술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EDA 도구 및 설계 방식을 개선하고, 고객과의 약속을 이행하기 위해 로드맵을 조정하며, 고객 만족을 최우선으로 고려
Intel 18A뿐만 아니라 Intel 14A의 적기 제공을 위한 KPI를 고객과 긴밀히 정의하고 있음
▶️ FY1Q25 주요 QnA
Q 내부 제품 로드맵과 파운드리 측면에서의 균형을 어떻게 이룰 것인가?
A 조직을 평평하게 만들어 제품에 집중하고 고객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할 것
Q 전략 변화, 비용 절감, CapEx 축소 등을 고려할 때 2025년 및 2026년 총 마진에 대한 목표와 영향 요인은 무엇?
A 올해 클라이언트 제품 믹스 변화(Lunar Lake), 18A 양산 초기 비용 등으로 총 마진에 압박이 있을 수 있으나, 2026년 Panther Lake 양산 확대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 관세 등 외부 요인에 따라 변동성이 클 수 있음
Q 새로운 제3자 파운드리 고객 확보 전략은 무엇이며, Tier 1 고객 확보 가능성은 있는가?
A 내부 고객(Panther Lake) 성공과 파운드리 고객과의 신뢰 구축이 우선,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통해 점진적으로 사업을 확대할 것
Q Intel 7 생산 능력 제약의 이유는 무엇이며,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A Raptor Lake 판매 호조로 Intel 7 생산 능력이 일시적으로 제약된 것, 이는 공장 가동률 향상에는 긍정적이지만, 시장 수요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필요 있음
Q AI 전략에서 x86 재창조 또는 ARM 포함 가능성을 고려하는가? 엣지 AI에 더 집중하는 것인가?
A 워크로드에 맞춰 최적화된 컴퓨팅 플랫폼을 지향하며, 업계 리더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맞춤형 실리콘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것, 엣지 및 추론 분야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새로운 아키텍처 및 플랫폼을 탐색 중
Q 올해 하반기 데이터 센터 사업 전망은 어떠한가?
A 1분기에는 일부 하이퍼스케일러의 수요 증가로 예상보다 좋은 성과를 보였음, Granite Rapids 출시 및 AI 서버용 CPU 수요 증가 등으로 긍정적인 전망을 하고 있지만, 거시 경제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 시장 점유율 확대에 집중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Intel Corporation FY1Q25 컨퍼런스 콜
▶️ FY1Q25 주요 코멘트
핵심 사업에 집중하여 동급 최고의 제품을 다시 구축하는 데 최우선 순위를 둘 것
AI 에이전트 및 추론 모델로 정의되는 새로운 컴퓨팅 시대에 맞춰 제품 포트폴리오를 재정의, 로드맵을 조정, 경쟁력 있는 제품을 적기에 제공
고객의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제품 및 플랫폼 설계를 개선할 것
추론 모델, 에이전트 AI 및 물리적 AI로 정의되는 차세대 컴퓨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함
자본 집약적인 사업 특성을 고려하여 재무 성과가 개선될 때까지 신중한 자본 관리를 시행
OpEx 및 CapEx 목표 감축 외에도 비핵심 자산 매각을 추진하고 Altera에 대한 Silver Lake 투자를 환영하며, Intel Capital 스핀오프 계획을 철회하고 기존 포트폴리오를 활용하면서 전략적 투자에 집중할 것
올해부터 부채 축소를 시작하여 재무 상태를 건전하게 만들 것
Silver Lake Partners에 Altera 지분 51%를 약 90억 달러 가치로 매각하는 계약 발표. Intel은 순 현금 44억 달러를 수령할 예정
#Foundry
Intel 18A 램프업 및 연말 Pentium Lake SKU 출시, 2026년 상반기 추가 SKU 출시 등 중요한 기반을 마련했음
파운드리 사업 성공은 단순한 기술 및 제조 역량 이상으로 고객 서비스 중심의 신뢰 구축이 중요, 고객 서비스 마인드를 전사적으로 심어넣을 것
다양한 고객의 설계 도구 및 방식에 맞춰 프로세스 기술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EDA 도구 및 설계 방식을 개선하고, 고객과의 약속을 이행하기 위해 로드맵을 조정하며, 고객 만족을 최우선으로 고려
Intel 18A뿐만 아니라 Intel 14A의 적기 제공을 위한 KPI를 고객과 긴밀히 정의하고 있음
▶️ FY1Q25 주요 QnA
Q 내부 제품 로드맵과 파운드리 측면에서의 균형을 어떻게 이룰 것인가?
A 조직을 평평하게 만들어 제품에 집중하고 고객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할 것
Q 전략 변화, 비용 절감, CapEx 축소 등을 고려할 때 2025년 및 2026년 총 마진에 대한 목표와 영향 요인은 무엇?
A 올해 클라이언트 제품 믹스 변화(Lunar Lake), 18A 양산 초기 비용 등으로 총 마진에 압박이 있을 수 있으나, 2026년 Panther Lake 양산 확대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 관세 등 외부 요인에 따라 변동성이 클 수 있음
Q 새로운 제3자 파운드리 고객 확보 전략은 무엇이며, Tier 1 고객 확보 가능성은 있는가?
A 내부 고객(Panther Lake) 성공과 파운드리 고객과의 신뢰 구축이 우선,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통해 점진적으로 사업을 확대할 것
Q Intel 7 생산 능력 제약의 이유는 무엇이며,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A Raptor Lake 판매 호조로 Intel 7 생산 능력이 일시적으로 제약된 것, 이는 공장 가동률 향상에는 긍정적이지만, 시장 수요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필요 있음
Q AI 전략에서 x86 재창조 또는 ARM 포함 가능성을 고려하는가? 엣지 AI에 더 집중하는 것인가?
A 워크로드에 맞춰 최적화된 컴퓨팅 플랫폼을 지향하며, 업계 리더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맞춤형 실리콘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것, 엣지 및 추론 분야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새로운 아키텍처 및 플랫폼을 탐색 중
Q 올해 하반기 데이터 센터 사업 전망은 어떠한가?
A 1분기에는 일부 하이퍼스케일러의 수요 증가로 예상보다 좋은 성과를 보였음, Granite Rapids 출시 및 AI 서버용 CPU 수요 증가 등으로 긍정적인 전망을 하고 있지만, 거시 경제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 시장 점유율 확대에 집중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01.05.202523:48
[SK증권 해외주식 박제민]
Microsoft; AI 시대에도 하이퍼스케일러 할래요
▶️ 견조한 매출 성장세 지속
AWS, GCP, Azure 중 유일하게 매출액 성장률 반등
차분기 가이던스 컨센서스 2% 상회하며 매출 흐름 안정적
▶️ Azure All In, AI 하이퍼스케일러에 집중
Azure 성장의 절반은 AI가 견인, 비AI 워크로드 역시 강한 성장
자체 SLM(Phi 시리즈), ASIC 확보를 통한 추론 비용 절감은 향후 수익성 제고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
M365 Copilot의 침투율이 여전히 2% 미만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성장률 둔화 코멘트는 아쉬움
▶️ Azure가 어떻게 Azure가 되었나
과거 Microsoft의 핵심 경쟁력은 Office를 중심으로 한 B2B 업무 소프트웨어
Azure는 Office에 저장된 기업 데이터를 기반으로 성장해온 PaaS/SaaS 기반 클라우드
독점에 가까웠던 Office 시절과 달리 다양한 layer에서 경쟁 구도가 강한 상황
상위 서비스 레이어에서의 경쟁력 확보가 지배력 유지의 핵심이될 예정
▶️ URL: https://buly.kr/DPTlBWC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Microsoft; AI 시대에도 하이퍼스케일러 할래요
▶️ 견조한 매출 성장세 지속
AWS, GCP, Azure 중 유일하게 매출액 성장률 반등
차분기 가이던스 컨센서스 2% 상회하며 매출 흐름 안정적
▶️ Azure All In, AI 하이퍼스케일러에 집중
Azure 성장의 절반은 AI가 견인, 비AI 워크로드 역시 강한 성장
자체 SLM(Phi 시리즈), ASIC 확보를 통한 추론 비용 절감은 향후 수익성 제고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
M365 Copilot의 침투율이 여전히 2% 미만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성장률 둔화 코멘트는 아쉬움
▶️ Azure가 어떻게 Azure가 되었나
과거 Microsoft의 핵심 경쟁력은 Office를 중심으로 한 B2B 업무 소프트웨어
Azure는 Office에 저장된 기업 데이터를 기반으로 성장해온 PaaS/SaaS 기반 클라우드
독점에 가까웠던 Office 시절과 달리 다양한 layer에서 경쟁 구도가 강한 상황
상위 서비스 레이어에서의 경쟁력 확보가 지배력 유지의 핵심이될 예정
▶️ URL: https://buly.kr/DPTlBWC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01.05.202505:22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META FY1Q25 컨퍼런스 콜
▶️ FY1Q25 주요 코멘트
광고 전환율, 체류 시간, 이용자 수 증가 모두 긍정적
6개월 동안 추천 시스템의 개선을 통해 체류 시간 증가
1) Facebook +7% 2) Instagram +6% 3) Threads +35%
Llama 모델을 Threads의 추천 시스템에 테스트 도입, 효과가 잘 나타나는 중
META AI 전세계 사용자 수 10억명 기록
Advantage+ AI 기반 솔루션 제품군에 지속적 모멘텀 관찰
Advantage+ Creative 제품도 강한 도입세, 생성형 AI 활용 가상 모델 착용 제품 출시
이번 1분기에 GEM(Generative Ads Recommendation Model) 도입 시작, 생성형 AI 활용
Capex 가이던스 중간값 $62.5B 에서 $68B 로 8.8% 상향
Capex의 대부분은 여전히 핵심 비즈니스에 집중될 예정
▶️ FY1Q25 주요 QnA
Q CapEx 지출이 일부 대형 하이퍼스케일러들과 비슷한 수준에 도달 중, 직접적인 엔터프라이즈 매출 없이도 ROI가 성립된다고 보는가?
A 최고 수준 인프라 구축으로 경쟁 우위 확보에 대한 자신감이 큼. 2025년에 도입 예정인 인프라 용량만으로도 회사 내부 각 팀의 컴퓨트 수요를 다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할 수 있을 정도. 계속해서 이 분야에 대규모 투자를 이어갈 계획
Q CapEx 상단 전망이 상향된 배경이 투자 증가에 기인한 것인가, 비용 증가에 기인한 것인가? 비용 증가의 주요 원인은 어디에 있는가? 최근 보도된 데이터센터 투자 파트너 협업 모색은 어떤 맥락인가?
A CapEx 전망 상향은 투자 증가와 비용 증가 두 가지 요인을 모두 반영한 것. 현재 진행 중인 무역 논의 등으로 인해 이러한 공급망에는 많은 불확실성이 존재. 공급망 최적화 등의 방법을 통해 이를 완화하기 위한 작업을 병행 중. 가이던스는 이러한 노력을 모두 종합적으로 반영한 것.
AWS와 Azure와 같은 파트너들과 Llama 모델을 공동 호스팅하는 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시장에 Llama를 제공하는 데 투자하고 있는 점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판단 중
Q 이번 CapEx 가이던스 상향이 향후 Capex의 새로운 기준점인가? 아니면 향후 필요와 기술 발전에 따라 매번 재조정 된다고 보아야하는가?
A 인프라 계획은 AI의 빠른 기술 발전과 내부 수요 변화에 따라 매우 역동적으로 계획되는 영역
Q Llama 후속 버전을 고려할 때, 가장 집중하고 계시고 기대하고 계신 발전 영역은 어떤 것인가?
A LLM 개발 이유는 1) 주도권 확보 2) 인프라와 목표에 맞추어 AI 모델 조정을 하기 위함. Llama 4가 저지연, 음성 위주로 최적화된 모델인 이유. 대형 모델인 Behemoth를 통해 더 효율적인 파생 모델 생성 가능
Q Meta AI 사용 상황과 사용 사례에서 나타나는 소비자 행동은 어떤 것?
A 주요 사용 사례는 정보 탐색과 이해, 분석 부분. 사용자들은 여러 진입 지점(entry point)을 통해 Meta AI를 사용. 현재로서는 WhatsApp, Facebook을 통해 META AI 활용 사례가 가장 흔한 상황. 독립적인 META app에 대한 기대도 큼
Q Meta AI의 현재 사용 사례와 향후 독립형 앱이 이러한 사례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이라고 보는가? META AI 독립형 앱을 현재 소비자용 AI 앱들과 경쟁에서 어떻게 포지셔닝할 것인가?
A Family of Apps 내에서의 통합을 계속 추진하는 동시에, 독립형 경험 구축에도 주력할 계획. 플랫폼의 지역적 특성상 확장에 한계를 느끼고 독립형 앱을 출시한 부분 존재
Q 2분기 가이던스는 관세로인한 공급 이슈를 반영한 수치인가?
A 불확실성을 반영하여서 가이던스 범위를 넓혀 제시. 2분기 가이던스는 4월에 관측된 트렌드를 반영, 현재까지는 건전한 흐름을 보이는 중
Q 내부적으로 코드 작성을 보조하는 AI 는 어느정도로 수준이 올라왔는가?
A 올해 중반쯤이면 중급 엔지니어 수준의 AI 구현이 현실화되기 시작하고, 내년으로 넘어가면서 점차 확장될 것으로 보는 중. 내년 중반에서 말쯤이 되면, AI 코딩 에이전트가 연구개발(R&D)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게 될 것으로 기대
Q 광고 순위팀을 포함한 여러 팀들이 실행하고 싶어 하는 프로젝트들이 AI 컴퓨팅 용량 부족으로 인해 병목현상이 발생 중이라고 하였다, 올해 또는 내년에 이러한 병목이 어느 정도 완화될 것이라고 보는가?
A 모든 부서에서 역동적으로 수요가 올라오고 있는 상황. 병목이 언제 해결될 것이라고 얘기하기 어려움. Capex 투자를 통해 컴퓨팅을 최대한 더 확보하려고 노력 중
Q IDFA(=ATT, 애플 쿠키 제공 금지. GPU 도입의 계기) 도입 이후 현재 광고 순위 시스템의 개선과 ROI 향상은 어느 정도 진전되었고, 이를 야구 경기로 비유하자면 지금 어느 이닝에 와 있다고 생각하는가?
A 전환율(Conversion Rate)은 전년 대비 여전히 강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실제로 1분기에는 광고 노출수보다 전환수가 더 빠르게 증가. 1분기에 GEM 도입, 과거에 관련 엔진 구조 공개하였음. 과거 투자들이 성과로 나타나고 있으며 앞으로도 광고 순위 및 추천 성능 향상을 위한 투자는 지속할 것
Q WhatsApp 비즈니스 확산과 관련해, 고임금 국가들에서 해당 모델이 확장되기 위해 필요한 AI 역량은 어느 시점에 도달할 것으로 보는가? 이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META는 어떤 노력 중인가?
A 비즈니스가 원하는 결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AI 에이전트를 커스터마이즈하고 제어할 수 있는 기능 제공. Facebook과 Instagram 광고 내에서 제품 반품 정책이나 구매 관련 질문을 처리할 수 있는 비즈니스 AI도 시험 중. 기술적으로 항상 동일한 AI 에이전트가 그 사람의 과거 대화 및 선호를 기억하면서 응답할 수 있어야하므로 장기 기억 기능 필요
Q META AI를 포함하여 챗봇 시장에 거의 동일한 기능을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5~10개 존재. 향후 시장이 Search 처럼 독점 시장 구조가 될 것으로 보는가 아니면 더 분산된 생태계가 될 것으로 보는가? META AI 가 해당 경쟁 시장에서 가지고 있는 우위는 무엇인가?
A 사람들이 서로 다른 목적에 따라 다양한 AI 에이전트를 사용하게 될 것. 기업용 생산성에 최적화된 AI, 개인용 업무 효율화에 최적화된 AI, 엔터테인먼트나 소셜 상호작용에 특화된 AI가 서로 다를 수 있다고 생각. 동일한 용도로 여러 AI를 사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겠지만, 목적별로 다른 에이전트를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러움. 현재는 대부분의 AI가 개인화되지 않은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 상황, 기억 기반 개인화가 이루어질 경우 이가 큰 차별점이 될 것으로 생각. 텍스트뿐 아니라 음성,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모달리티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는 능력도 필수 요소가 될 것
Q 중국 기반 이커머스 리테일러들이 광고 지출을 줄이고 있다는 점 외에, 다른 업종에서 눈에 띄는 약세가 관찰된 것이 있는가?
A 1분기 전반적으로는 대부분 업종에서 견조한 성장세. 게임 업종과 정치 관련 광고에서 약세 나타났으나 작년 높은 기저가 있던 카테고리. 그러나 정치 부문은 META 매출 내 비중이 매우 작은 상황
Q Reality Labs 부문의 분기당 손실이 대체로 40억 달러 내외로 유지되고 있는데, 언제쯤 손실이 축소될 수 있는가?
A AI 안경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는 만큼, 그에 따라 더 많은 투자를 감행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 현재 저희가 집중하는 것은 우선 배포 및 생산을 빠르게 확장하는 것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META FY1Q25 컨퍼런스 콜
▶️ FY1Q25 주요 코멘트
광고 전환율, 체류 시간, 이용자 수 증가 모두 긍정적
6개월 동안 추천 시스템의 개선을 통해 체류 시간 증가
1) Facebook +7% 2) Instagram +6% 3) Threads +35%
Llama 모델을 Threads의 추천 시스템에 테스트 도입, 효과가 잘 나타나는 중
META AI 전세계 사용자 수 10억명 기록
Advantage+ AI 기반 솔루션 제품군에 지속적 모멘텀 관찰
Advantage+ Creative 제품도 강한 도입세, 생성형 AI 활용 가상 모델 착용 제품 출시
이번 1분기에 GEM(Generative Ads Recommendation Model) 도입 시작, 생성형 AI 활용
Capex 가이던스 중간값 $62.5B 에서 $68B 로 8.8% 상향
Capex의 대부분은 여전히 핵심 비즈니스에 집중될 예정
▶️ FY1Q25 주요 QnA
Q CapEx 지출이 일부 대형 하이퍼스케일러들과 비슷한 수준에 도달 중, 직접적인 엔터프라이즈 매출 없이도 ROI가 성립된다고 보는가?
A 최고 수준 인프라 구축으로 경쟁 우위 확보에 대한 자신감이 큼. 2025년에 도입 예정인 인프라 용량만으로도 회사 내부 각 팀의 컴퓨트 수요를 다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할 수 있을 정도. 계속해서 이 분야에 대규모 투자를 이어갈 계획
Q CapEx 상단 전망이 상향된 배경이 투자 증가에 기인한 것인가, 비용 증가에 기인한 것인가? 비용 증가의 주요 원인은 어디에 있는가? 최근 보도된 데이터센터 투자 파트너 협업 모색은 어떤 맥락인가?
A CapEx 전망 상향은 투자 증가와 비용 증가 두 가지 요인을 모두 반영한 것. 현재 진행 중인 무역 논의 등으로 인해 이러한 공급망에는 많은 불확실성이 존재. 공급망 최적화 등의 방법을 통해 이를 완화하기 위한 작업을 병행 중. 가이던스는 이러한 노력을 모두 종합적으로 반영한 것.
AWS와 Azure와 같은 파트너들과 Llama 모델을 공동 호스팅하는 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시장에 Llama를 제공하는 데 투자하고 있는 점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판단 중
Q 이번 CapEx 가이던스 상향이 향후 Capex의 새로운 기준점인가? 아니면 향후 필요와 기술 발전에 따라 매번 재조정 된다고 보아야하는가?
A 인프라 계획은 AI의 빠른 기술 발전과 내부 수요 변화에 따라 매우 역동적으로 계획되는 영역
Q Llama 후속 버전을 고려할 때, 가장 집중하고 계시고 기대하고 계신 발전 영역은 어떤 것인가?
A LLM 개발 이유는 1) 주도권 확보 2) 인프라와 목표에 맞추어 AI 모델 조정을 하기 위함. Llama 4가 저지연, 음성 위주로 최적화된 모델인 이유. 대형 모델인 Behemoth를 통해 더 효율적인 파생 모델 생성 가능
Q Meta AI 사용 상황과 사용 사례에서 나타나는 소비자 행동은 어떤 것?
A 주요 사용 사례는 정보 탐색과 이해, 분석 부분. 사용자들은 여러 진입 지점(entry point)을 통해 Meta AI를 사용. 현재로서는 WhatsApp, Facebook을 통해 META AI 활용 사례가 가장 흔한 상황. 독립적인 META app에 대한 기대도 큼
Q Meta AI의 현재 사용 사례와 향후 독립형 앱이 이러한 사례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이라고 보는가? META AI 독립형 앱을 현재 소비자용 AI 앱들과 경쟁에서 어떻게 포지셔닝할 것인가?
A Family of Apps 내에서의 통합을 계속 추진하는 동시에, 독립형 경험 구축에도 주력할 계획. 플랫폼의 지역적 특성상 확장에 한계를 느끼고 독립형 앱을 출시한 부분 존재
Q 2분기 가이던스는 관세로인한 공급 이슈를 반영한 수치인가?
A 불확실성을 반영하여서 가이던스 범위를 넓혀 제시. 2분기 가이던스는 4월에 관측된 트렌드를 반영, 현재까지는 건전한 흐름을 보이는 중
Q 내부적으로 코드 작성을 보조하는 AI 는 어느정도로 수준이 올라왔는가?
A 올해 중반쯤이면 중급 엔지니어 수준의 AI 구현이 현실화되기 시작하고, 내년으로 넘어가면서 점차 확장될 것으로 보는 중. 내년 중반에서 말쯤이 되면, AI 코딩 에이전트가 연구개발(R&D)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게 될 것으로 기대
Q 광고 순위팀을 포함한 여러 팀들이 실행하고 싶어 하는 프로젝트들이 AI 컴퓨팅 용량 부족으로 인해 병목현상이 발생 중이라고 하였다, 올해 또는 내년에 이러한 병목이 어느 정도 완화될 것이라고 보는가?
A 모든 부서에서 역동적으로 수요가 올라오고 있는 상황. 병목이 언제 해결될 것이라고 얘기하기 어려움. Capex 투자를 통해 컴퓨팅을 최대한 더 확보하려고 노력 중
Q IDFA(=ATT, 애플 쿠키 제공 금지. GPU 도입의 계기) 도입 이후 현재 광고 순위 시스템의 개선과 ROI 향상은 어느 정도 진전되었고, 이를 야구 경기로 비유하자면 지금 어느 이닝에 와 있다고 생각하는가?
A 전환율(Conversion Rate)은 전년 대비 여전히 강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실제로 1분기에는 광고 노출수보다 전환수가 더 빠르게 증가. 1분기에 GEM 도입, 과거에 관련 엔진 구조 공개하였음. 과거 투자들이 성과로 나타나고 있으며 앞으로도 광고 순위 및 추천 성능 향상을 위한 투자는 지속할 것
Q WhatsApp 비즈니스 확산과 관련해, 고임금 국가들에서 해당 모델이 확장되기 위해 필요한 AI 역량은 어느 시점에 도달할 것으로 보는가? 이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META는 어떤 노력 중인가?
A 비즈니스가 원하는 결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AI 에이전트를 커스터마이즈하고 제어할 수 있는 기능 제공. Facebook과 Instagram 광고 내에서 제품 반품 정책이나 구매 관련 질문을 처리할 수 있는 비즈니스 AI도 시험 중. 기술적으로 항상 동일한 AI 에이전트가 그 사람의 과거 대화 및 선호를 기억하면서 응답할 수 있어야하므로 장기 기억 기능 필요
Q META AI를 포함하여 챗봇 시장에 거의 동일한 기능을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5~10개 존재. 향후 시장이 Search 처럼 독점 시장 구조가 될 것으로 보는가 아니면 더 분산된 생태계가 될 것으로 보는가? META AI 가 해당 경쟁 시장에서 가지고 있는 우위는 무엇인가?
A 사람들이 서로 다른 목적에 따라 다양한 AI 에이전트를 사용하게 될 것. 기업용 생산성에 최적화된 AI, 개인용 업무 효율화에 최적화된 AI, 엔터테인먼트나 소셜 상호작용에 특화된 AI가 서로 다를 수 있다고 생각. 동일한 용도로 여러 AI를 사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겠지만, 목적별로 다른 에이전트를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러움. 현재는 대부분의 AI가 개인화되지 않은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 상황, 기억 기반 개인화가 이루어질 경우 이가 큰 차별점이 될 것으로 생각. 텍스트뿐 아니라 음성,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모달리티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는 능력도 필수 요소가 될 것
Q 중국 기반 이커머스 리테일러들이 광고 지출을 줄이고 있다는 점 외에, 다른 업종에서 눈에 띄는 약세가 관찰된 것이 있는가?
A 1분기 전반적으로는 대부분 업종에서 견조한 성장세. 게임 업종과 정치 관련 광고에서 약세 나타났으나 작년 높은 기저가 있던 카테고리. 그러나 정치 부문은 META 매출 내 비중이 매우 작은 상황
Q Reality Labs 부문의 분기당 손실이 대체로 40억 달러 내외로 유지되고 있는데, 언제쯤 손실이 축소될 수 있는가?
A AI 안경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는 만큼, 그에 따라 더 많은 투자를 감행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 현재 저희가 집중하는 것은 우선 배포 및 생산을 빠르게 확장하는 것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30.04.202505:59
# ISC (시총: 1조원)
1Q25 실적발표 (잠정)
[ SK증권 이동주 ]
IT장비/소재
▶️ 실적 공시:
- 매출액 : 317 억원 (-10% YoY)
(컨센 매출: 425 억원)
- 영업이익 : 70 억원 (-18% YoY)
(컨센 OP: 110 억원)
- OPM : 22%
(컨센 OPM: 26%)
▶️ URL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900502
1Q25 실적발표 (잠정)
[ SK증권 이동주 ]
IT장비/소재
▶️ 실적 공시:
- 매출액 : 317 억원 (-10% YoY)
(컨센 매출: 425 억원)
- 영업이익 : 70 억원 (-18% YoY)
(컨센 OP: 110 억원)
- OPM : 22%
(컨센 OPM: 26%)
▶️ URL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900502
29.04.202522:55
# 코스모신소재
- 불황을 버티는 힘: 현금흐름, 부채비율, 보유부지
[ SK증권 박형우, 권민규 ]
2차전지, IT부품/전기전자
▶️ 1분기 리뷰
- 관세/무역분쟁 영향으로 실적 감소
▶️ 2분기 전망
- 2분기도 부진 전망
- 매출 회복은 6월부터
- 분기기준으로는 3분기 반등 예상
▶️ 증설 (CAPEX) 계획 중간점검
- 2년 전 증설 목표, 예정대로 진행 중
▶️ 목표주가 50,000원으로 커버리지 재개
- 중장기 투자포인트
① 불황에서도 양호한 현금흐름
② 건전한 부채비율, 순차입금비율(35%)
③ 투자부담을 완화시키는 보유부지
▶️ URL:
https://buly.kr/ESyIKjy
- 불황을 버티는 힘: 현금흐름, 부채비율, 보유부지
[ SK증권 박형우, 권민규 ]
2차전지, IT부품/전기전자
▶️ 1분기 리뷰
- 관세/무역분쟁 영향으로 실적 감소
▶️ 2분기 전망
- 2분기도 부진 전망
- 매출 회복은 6월부터
- 분기기준으로는 3분기 반등 예상
▶️ 증설 (CAPEX) 계획 중간점검
- 2년 전 증설 목표, 예정대로 진행 중
▶️ 목표주가 50,000원으로 커버리지 재개
- 중장기 투자포인트
① 불황에서도 양호한 현금흐름
② 건전한 부채비율, 순차입금비율(35%)
③ 투자부담을 완화시키는 보유부지
▶️ URL:
https://buly.kr/ESyIKjy
29.04.202501:16
24.04.202501:53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SK하이닉스 1Q25 컨퍼런스 콜
1Q25 B/G, ASP Chg. 추정
(B/G) DRAM -8%, NAND -19%
(ASP) DRAM 0%, NAND -20%
매출액 감소에도 수익성 제고 달성
견조한 AI에 따른 고부가 DRAM 비중 증가
불확실성 상존하나 AI 수요 견조
2Q25 B/G 가이던스:
DRAM +10% 초반, NAND +20% 이상
신규 Fab 업데이트
용인 1기: 1Q25 착공 시작. 2Q27 준공 목표, M15X 4Q25 Fab 오픈 목표
25년 HBM 매출 2배 이상 성장, 2Q25 HBM3e 내 12단 Cross-over 등 관련 전망 모두 유지
상반기 Pull-in 수요 존재하나 하반기 재고 조정 우려할 수준 아님
공급자 역시 불확실성 반영해 투자 및 생산 운영할 것, Discipline 사이클 지속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CB4PS1u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SK하이닉스 1Q25 컨퍼런스 콜
1Q25 B/G, ASP Chg. 추정
(B/G) DRAM -8%, NAND -19%
(ASP) DRAM 0%, NAND -20%
매출액 감소에도 수익성 제고 달성
견조한 AI에 따른 고부가 DRAM 비중 증가
불확실성 상존하나 AI 수요 견조
2Q25 B/G 가이던스:
DRAM +10% 초반, NAND +20% 이상
신규 Fab 업데이트
용인 1기: 1Q25 착공 시작. 2Q27 준공 목표, M15X 4Q25 Fab 오픈 목표
25년 HBM 매출 2배 이상 성장, 2Q25 HBM3e 내 12단 Cross-over 등 관련 전망 모두 유지
상반기 Pull-in 수요 존재하나 하반기 재고 조정 우려할 수준 아님
공급자 역시 불확실성 반영해 투자 및 생산 운영할 것, Discipline 사이클 지속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CB4PS1u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01.05.202523:42
[SK증권 IT 장비/소재 이동주]
ISC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8.5만원 유지)
2분기 반등과 볼트온 전략 가동
▶️ 1Q25 매출 이연
- 1Q25 매출액 317억원(QoQ -19.3%, YoY -9.7%), 영업이익 70억원(QoQ -6.8%, YoY -18.3%)로 컨센서스 하회
- 2Q25 매출액 578억원, 영업이익 145억원 추정(1분기 매출 이연 효과)
▶️ AI라는 방향성에 부합
- 1Q25 ai 매출 비중 40%. 전분기 대비 절대 금액은 크게 감소했으나 구조적 증가세 전망은 유지
- 하반기 고사양 제품 대응에 따른 수익성 개선 여부에 주목
- 볼트온 전략 본격 실행(아이세미, 테크드림 인수). 후공정 테스트 관련 턴키 솔루션 제공 가능. 볼트온 재원이 남아 있는 만큼 하반기 추가적인 M&A도 기대
▶️ 보고서 url: https://buly.kr/DlJH97j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ISC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8.5만원 유지)
2분기 반등과 볼트온 전략 가동
▶️ 1Q25 매출 이연
- 1Q25 매출액 317억원(QoQ -19.3%, YoY -9.7%), 영업이익 70억원(QoQ -6.8%, YoY -18.3%)로 컨센서스 하회
- 2Q25 매출액 578억원, 영업이익 145억원 추정(1분기 매출 이연 효과)
▶️ AI라는 방향성에 부합
- 1Q25 ai 매출 비중 40%. 전분기 대비 절대 금액은 크게 감소했으나 구조적 증가세 전망은 유지
- 하반기 고사양 제품 대응에 따른 수익성 개선 여부에 주목
- 볼트온 전략 본격 실행(아이세미, 테크드림 인수). 후공정 테스트 관련 턴키 솔루션 제공 가능. 볼트온 재원이 남아 있는 만큼 하반기 추가적인 M&A도 기대
▶️ 보고서 url: https://buly.kr/DlJH97j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30.04.202507:33


30.04.202504:29
# 코미코 (시총: 6,151억원)
기업가치 제고 계획 (자율공시)
[ SK증권 이동주 ]
IT장비/소재
▶️ 주요 목표:
1) 2027년 매출액 7,000억원 달성
- 글로벌 공급망을 기반으로 지속성장 도모
- 세정, 코팅 및 부품 제조 기술의 고도화를 통한
성장 가속화
2) 2027년 EBITDA 2,500억원 이상
- 기술혁신을 통한 고수익 사업모델 추구
- 고객 및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한 수익성 확대
3) 2025년 ~ 2027년 배당 성향 25% 이상 / 주주소통 강화
- 배당성향 확대로 주주 수익 극대화
- 소통 강화를 통한 주주친화정책 실현
- 자기주식 매입 확대를 통한 책임 있는 주주환원 실현
▶️ 기대 효과(공시내용):
1) 중장기 전략 수립을 통한 기업 성과 극대화
2) 명확한 메세지 전달을 통한 자본시장 신뢰 확보
3) 투명한 정보 공유로 주주 및 투자자와의 소통 강화
4) 시장의 긍정적 평가를 바탕으로 기업 가치에 대한
재평가 및 투자 유인 확대
▶️ 소통
1) 중복 상장에 대한 불확실성 해소와 함께
주주가치 보존 및 신뢰 경영 실현
2) 지배구조 투명성 강화를 통해 기업가치 제고
- 투자자와 소통 강화
- 투자자 의견 반영
- 투명한 공시
▶️ URL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900323
기업가치 제고 계획 (자율공시)
[ SK증권 이동주 ]
IT장비/소재
▶️ 주요 목표:
1) 2027년 매출액 7,000억원 달성
- 글로벌 공급망을 기반으로 지속성장 도모
- 세정, 코팅 및 부품 제조 기술의 고도화를 통한
성장 가속화
2) 2027년 EBITDA 2,500억원 이상
- 기술혁신을 통한 고수익 사업모델 추구
- 고객 및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한 수익성 확대
3) 2025년 ~ 2027년 배당 성향 25% 이상 / 주주소통 강화
- 배당성향 확대로 주주 수익 극대화
- 소통 강화를 통한 주주친화정책 실현
- 자기주식 매입 확대를 통한 책임 있는 주주환원 실현
▶️ 기대 효과(공시내용):
1) 중장기 전략 수립을 통한 기업 성과 극대화
2) 명확한 메세지 전달을 통한 자본시장 신뢰 확보
3) 투명한 정보 공유로 주주 및 투자자와의 소통 강화
4) 시장의 긍정적 평가를 바탕으로 기업 가치에 대한
재평가 및 투자 유인 확대
▶️ 소통
1) 중복 상장에 대한 불확실성 해소와 함께
주주가치 보존 및 신뢰 경영 실현
2) 지배구조 투명성 강화를 통해 기업가치 제고
- 투자자와 소통 강화
- 투자자 의견 반영
- 투명한 공시
▶️ URL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900323
29.04.202522:55
# 삼성전기
- MLCC, 완만한 회복세 지속
[ SK증권 박형우, 권민규 ]
IT부품/전기전자, 2차전지
▶️ 결론
- MLCC : 양호한 재고, 가동률, 출하량, 가격 동향
- 2분기 OP, QoQ 소폭 개선 예상
- AI & 자율주행, 성장부품군 보유
▶️ 1분기 리뷰: MLCC & 카메라 견조, 기판 부진
▶️ 2분기 전망: 완만한 개선세 지속
▶️ AI & 자율주행 부품주
① MLCC
② 자율주행/ADAS 카메라
③ FCBGA : AI서버 & ASIC
④ 실리콘캐패시터
⑤ 유리기판
▶️ URL:
https://buly.kr/8pg2wd6
- MLCC, 완만한 회복세 지속
[ SK증권 박형우, 권민규 ]
IT부품/전기전자, 2차전지
▶️ 결론
- MLCC : 양호한 재고, 가동률, 출하량, 가격 동향
- 2분기 OP, QoQ 소폭 개선 예상
- AI & 자율주행, 성장부품군 보유
▶️ 1분기 리뷰: MLCC & 카메라 견조, 기판 부진
▶️ 2분기 전망: 완만한 개선세 지속
▶️ AI & 자율주행 부품주
① MLCC
② 자율주행/ADAS 카메라
③ FCBGA : AI서버 & ASIC
④ 실리콘캐패시터
⑤ 유리기판
▶️ URL:
https://buly.kr/8pg2wd6


29.04.202501:15
# 삼성전기 (시총: 9.1조원)
1Q25 실적발표 (잠정)
[ SK증권 박형우, 권민규 ]
IT부품/전기전자, 2차전지
▶️ 실적 공시:
- 매출액 : 27,386억원 (+5% YoY)
(컨센 매출: 26,952 억원)
- 영업이익 : 2,006 억원 (+9% YoY)
(컨센 OP: 2,004 억원)
- OPM : 7.3%
(컨센 OPM: 7.4%)
▶️ URL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800117
1Q25 실적발표 (잠정)
[ SK증권 박형우, 권민규 ]
IT부품/전기전자, 2차전지
▶️ 실적 공시:
- 매출액 : 27,386억원 (+5% YoY)
(컨센 매출: 26,952 억원)
- 영업이익 : 2,006 억원 (+9% YoY)
(컨센 OP: 2,004 억원)
- OPM : 7.3%
(컨센 OPM: 7.4%)
▶️ URL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800117
24.04.202500:20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 FY3Q25 주요 코멘트
Lam Research Corporation 1Q25 실적발표
#업황 코멘트
2025년 캘린더 연도 WFE 지출은 약 $100B 범위에서 예상
현재의 관세 및 글로벌 경제 환경은 역동적이지만 고객의 계획에 의미있는 변화는 포착하기 어려움
고객의 기술 로드맵에 따라 LAM은 반도체 제조의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기술 혁신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
반도체 복잡도 증가로 증착 및 식각 공정의 중요성이 커지며 시장자체가 성장
#관세 관련 코멘트
현재의 관세 및 글로벌 경제 환경은 역동적이지만 고객의 계획에 의미있는 변화는 포착하기 어려움
고객사 및 밸류체인 파트너와 함께 상황을 면밀히 주시
우리가 지난 몇 년간 구축한 민첩한 제조 및 공급망 역량은,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을 줄이는 데 있어 유연성을 제공한다고 믿음
단기적으로는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장기적인 수요 변화의 신호도 면밀히 관찰
우리의 최우선 과제는 고객들이 반도체 제조를 더 빠르고 생산적이며 비용 효율적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 혁신과 세계적 수준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
▶️ FY3Q25 주요 QnA
Q 2관세 영향을 줄이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언급했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조치를 취했나?
A 구체적인 조치에 대해 모두 말할 수는 없지만, 확실한 건 우리가 지난 수년간 미국과 아시아 등지에 민첩한 제조 및 공급망 역량을 구축해왔다는 점임
Q 관세 관련 영향이 장기화되거나 일부 관세가 계속 유지된다면 Lam이 미국 내 고객 대응을 위한 제조 역량이 충분한지?
A 앞서 언급했듯 각 지역에 대한 최적화 전략을 구축하고 있으며, 각 지역의 수요가 커질수록 그에 맞는 현지 제조 역량을 재평가하여 대응할 계획, 계획 조정은 어렵지 않음
Q 관세 관련 영향이 이번 분기 가이던스의 GPM (49.5%에) 반영돼 있나?
A 확실한 영향을 반영한 상태,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사항을 반영한 상태에서 가이던스를 제시
Q 중국 제재로 인해 서비스나 부품 공급이 제한된 영향도 존재?
A 중국에게는 이제 서비스나 부품 공급이 제한적. 한편, 현재 업그레이드 비즈니스는 NAND에서 특히 강세를 보이고 있고, 다른 분야도 있지만 NAND에서 두드러지는 추세, 그래서 전체적으로 보면, 한쪽이 빠지고 다른 쪽이 채워지는 구조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 FY3Q25 주요 코멘트
Lam Research Corporation 1Q25 실적발표
#업황 코멘트
2025년 캘린더 연도 WFE 지출은 약 $100B 범위에서 예상
현재의 관세 및 글로벌 경제 환경은 역동적이지만 고객의 계획에 의미있는 변화는 포착하기 어려움
고객의 기술 로드맵에 따라 LAM은 반도체 제조의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기술 혁신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
반도체 복잡도 증가로 증착 및 식각 공정의 중요성이 커지며 시장자체가 성장
#관세 관련 코멘트
현재의 관세 및 글로벌 경제 환경은 역동적이지만 고객의 계획에 의미있는 변화는 포착하기 어려움
고객사 및 밸류체인 파트너와 함께 상황을 면밀히 주시
우리가 지난 몇 년간 구축한 민첩한 제조 및 공급망 역량은,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을 줄이는 데 있어 유연성을 제공한다고 믿음
단기적으로는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장기적인 수요 변화의 신호도 면밀히 관찰
우리의 최우선 과제는 고객들이 반도체 제조를 더 빠르고 생산적이며 비용 효율적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 혁신과 세계적 수준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
▶️ FY3Q25 주요 QnA
Q 2관세 영향을 줄이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언급했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조치를 취했나?
A 구체적인 조치에 대해 모두 말할 수는 없지만, 확실한 건 우리가 지난 수년간 미국과 아시아 등지에 민첩한 제조 및 공급망 역량을 구축해왔다는 점임
Q 관세 관련 영향이 장기화되거나 일부 관세가 계속 유지된다면 Lam이 미국 내 고객 대응을 위한 제조 역량이 충분한지?
A 앞서 언급했듯 각 지역에 대한 최적화 전략을 구축하고 있으며, 각 지역의 수요가 커질수록 그에 맞는 현지 제조 역량을 재평가하여 대응할 계획, 계획 조정은 어렵지 않음
Q 관세 관련 영향이 이번 분기 가이던스의 GPM (49.5%에) 반영돼 있나?
A 확실한 영향을 반영한 상태,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사항을 반영한 상태에서 가이던스를 제시
Q 중국 제재로 인해 서비스나 부품 공급이 제한된 영향도 존재?
A 중국에게는 이제 서비스나 부품 공급이 제한적. 한편, 현재 업그레이드 비즈니스는 NAND에서 특히 강세를 보이고 있고, 다른 분야도 있지만 NAND에서 두드러지는 추세, 그래서 전체적으로 보면, 한쪽이 빠지고 다른 쪽이 채워지는 구조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显示 1 - 24 共 520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