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 미국주식 퍼스트콜(FirstCall) avatar

🇺🇸 미국주식 퍼스트콜(FirstCall)

미국주식 콘텐츠를 가장 빠르게 전달하는,
미국주식 퍼스트콜 텔레그램 채널입니다.
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 채널:
https://contents.premium.naver.com/valuefinder/valueinsight
TGlist 评分
0
0
类型公开
验证
未验证
可信度
不可靠
位置
语言其他
频道创建日期Квіт 18, 2024
添加到 TGlist 的日期
Лист 11, 2024

记录

18.04.202523:59
2.5K订阅者
11.11.202423:59
0引用指数
11.04.202514:42
945每帖平均覆盖率
19.03.202516:21
673广告帖子的平均覆盖率
16.04.202523:59
4.32%ER
11.04.202504:45
29.02%ERR

🇺🇸 미국주식 퍼스트콜(FirstCall) 热门帖子

17.04.202523:11
中 CXMT, 올해 D램 생산량 68% 확대… “SK하이닉스 절반 근접”

중국 메모리 반도체 대표 주자인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스(CXMT)가 올해 D램 생산능력을 당초 전망보다 크게 늘릴 것이라는 관측

CXMT의 D램 생산량은 미국 마이크론을 바짝 추격할 것으로 보이며, SK하이닉스의 절반 수준까지 도달할 것이라는 분석

1~2년 내 D램 시장이 3강 구도에서 4강 구도로 재편될 뿐 아니라 공급과잉이 본격화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

옴디아 최신 통계에 따르면 중국 CXMT는 올해 D램 생산량 규모가 273만장(웨이퍼 기준)으로 지난해(162만장) 대비 68% 늘어날 것으로 관측

앞서 시장에서는 올해 CXMT의 D램 생산능력이 20% 수준에서 증가할 것이라는 분석을 제기한 바 있으나 이보다 3배 이상 빠른 확대가 예상되는 것

지난해 1분기까지만 해도 CXMT의 월 평균 D램 생산량은 10만장 수준에 불과했다. 이는 SK하이닉스 대비 4분의 1 규모다. 게다가 대부분의 제품이 DDR4 D램이었다. 하지만 올해 1분기에는 전년 대비 물량이 2배 증가한 월 평균 20만장을 생산하고 있으며, 내년에는 30만장 수준으로 확대될 전망

https://v.daum.net/v/20250418060041837
转发自:
루팡 avatar
루팡
중국이 특정 희토류 광물 및 자석의 미국 및 전 세계 수출을 중단했습니다.
중국은 이러한 광물이 미국 기업에 도달하지 않도록 새로운 규제 체계를 마련 중입니다.

중국은 자동차 제조업체, 항공우주 산업, 반도체 업체 및 군수 계약업체 등에 필수적인 다양한 핵심 광물 및 자석의 수출을 중단하였습니다.

자석은 자동차, 드론, 로봇, 미사일 등 모든 것을 조립하는 데 필수적이며, 현재 중국 항구에서의 선적이 중단된 상태입니다. 이는 중국 정부가 새로운 규제 시스템을 설계 중이기 때문입니다.

이 시스템이 시행되면 특정 기업들, 특히 미국 군수 업체들에 대한 공급을 영구적으로 차단할 수도 있습니다.

이번 조치는 4월 2일부터 시작된 트럼프 대통령의 대규모 관세 인상에 대한 중국의 보복 조치의 일부입니다.



일론 머스크

중요한 점은 희토류 원소를 정제하고 전기 모터에 사용할 자석을 제조하는 능력이라는 것입니다.
(희토류 원소는 이름과 달리 실제로는 크게 희귀하지 않습니다.)

사람들은 이름 때문에 희토류 광물 매장량이 매우 희소하다고 오해하지만,
그건 사실이 아닙니다. 희토류는 어디에나 있습니다.

리튬과 마찬가지로, 중국이 가진 진짜 강점은 이 광물을 정제할 수 있는 중공업 능력입니다.
转发自:
루팡 avatar
루팡
23.03.202523:10
<<테슬라 IR Investor Relation 초청세미나>>

한국 기관투자자 대상으로 테슬라 미국 현지 IR담당자와 진행하였습니다. ‘25년 3/21일
-----------------------------
Tesla IR 컨퍼런스 요약
[1] 차량 수요 및 신모델 출시
Q1. 새로운 Model Y에 대한 시장 반응과 수요는 어떤가요?

A. 기존 Model Y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차였으며, 새로운 Model Y는 향상된 기능(통풍 시트, 정숙성, 후방 디스플레이, 더 나은 서스펜션 등)을 갖췄습니다. 수요는 긍정적이며, 아직 공급량은 리프레시 작업으로 제한적입니다.

Q2. 중국 시장에서 Model Y에 보조금과 무이자 금융을 제공하는 이유는? 수요가 약해서인가요?

A. 그렇지 않습니다. 이는 중국 시장의 관행이며, 시장별 전략으로 진행하는 금융 상품일 뿐, 수요 부족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Q3. 보급형 모델인 Model Q 또는 Model 2의 출시 일정은?

A. 내부 명칭은 아니며, 외부에서 붙인 이름입니다. 출시 예정 시점은 2025년 6월 말이며, 가격은 미국 IRA 세제 혜택 포함 3만 달러 이하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 FSD 및 Robotaxi 전략
Q4. 북미 시장에서 FSD 탑재율(attach rate)은 증가하고 있나요?

A. 네, 최근 FSD v12가 적용되면서 탑재율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가격 인하($12,000 → $8,000, 구독 $200 → $99), 무료 체험 제공 등의 전략이 효과적이었습니다.

Q5. 중국에서 FSD 반응은 어떤가요?

A. 초기 반응은 매우 긍정적입니다. 자연스러운 운전 스타일과 넓은 사용 가능 지역이 강점이며, 경쟁사들도 Tesla의 end-to-end 비전 기반 AI 방식으로 전환을 모색 중입니다.

Q6. 중국 정부의 데이터 제한이 FSD 성능에 영향을 주나요?

A. 실제 차량 데이터 전송은 제한되지만, 유사한 대체 데이터셋과 시뮬레이션으로 기능을 유지 중이며, 장기적으로는 중국 내 데이터 접근이 목표입니다.

Q7. 타 OEM들이 FSD 기술을 사용할 계획이 있나요?

A. 관심은 많지만, 동일한 하드웨어 플랫폼 설계가 선행되어야 하므로 아직 구체적인 협업은 없음.

Q8. Robotaxi 사업의 첫 출시는 언제이며 어떻게 진행되나요?

A. 2025년 6월 텍사스 오스틴에서 첫 서비스 시작. 초기에는 Model Y를 활용하며, 자율주행 기반 라이드셰어 네트워크 구축이 목표입니다. 미국 내 주요 도시로 확장 예정.

[3] Optimus 휴머노이드 로봇
Q9. Optimus 로봇의 생산 및 상용화 계획은?

A. 2024년 수십 대 생산에서 2025년 수천 대로 증가 예정. 장기적으로는 제조 원가 2만 달러 이하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산업→상업→가정용 순으로 시장 확장 예정.

[4] 중국 및 글로벌 전략
Q10. 상하이 공장에서 생산된 차량은 미국이나 유럽에 수출되나요?

A. Model 3는 유럽으로 수출되며, Model Y는 유럽 현지 생산. 미국 수출은 없음.

Q11. 멕시코 내 중국 밸류체인에 대한 미국의 관세 영향은?

A. 테슬라는 미국 내 현지화율이 높아 다른 OEM보다 영향 적음. 하지만 멕시코산 부품에 대한 관세가 현실화되면 영향은 있을 수 있음.

[5] 재무 및 회계 이슈
Q12. Financial Times의 14억 달러 회계 누락 보도에 대한 입장은?

A. 현금 회계(CapEx)와 발생주의 회계(PP&E)의 차이에 대한 오해이며, 시점 차이와 외화 환산, 리스 자산 처리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설명 가능. 사기 아님.

Q13. ROE 하락과 30% 수준의 현금 비중 이유는?

A. 대규모 AI, 로보택시, Optimus 등 미래 가치 창출 사업에 투자하기 위한 준비. 과거 Model 3 생산 위기를 경험했기에 안정성 확보를 중시함.

[6] 서비스 및 기타 사업
Q14. 서비스 부문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 중인 사업은?

A. 중고차 판매가 가장 큰 비중. 그 외 충돌 수리용 부품, 보험, 슈퍼차저 사용 수익 등이 있으며, 본질적으로는 신차 판매 지원용 인프라 역할을 함.

Q15. Model Y 리프레시로 인해 중고차 가격이 하락하면 수익성에 영향이 있나요?

A. 가능성 있음. 그러나 중고차는 신규 차량보다 관세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수요가 유지될 수도 있음.

[7] 정치적 이슈 및 브랜드 이미지
Q16. Elon Musk의 개인 활동이 Tesla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나요?

A. 설문조사 결과가 상충되며, 일부는 브랜드 호감 증가를 보임. 고객과 직원 보호를 최우선으로 하며, 과도한 반응보다는 핵심 가치 전달에 집중.

Q17. 유럽, 미국 내 반Tesla 시위와 공격이 매출에 영향을 미치나요?

A. 직접적인 인과관계 파악은 어려우나, 매장 파괴 및 차량 공격에 대해 법적 대응 중이며, 고객 안전 및 브랜드 신뢰 회복에 집중하고 있음.

https://x.com/jeong_uchang/status/1903787773993316789?t=id7CiVu66TRYBHsNJ-DueA&s=19
转发自:
루팡 avatar
루팡
24.03.202500:57
백악관, 4월 2일 발표 예정이던 관세 조정 범위 축소

워싱턴발 – 백악관은 4월 2일 시행 예정인 관세 부과 계획의 범위를 축소하고 있다.
자동차나 반도체, 제약 산업 같은 산업별 관세는 제외될 가능성이 높아진 반면, 미국과의 무역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특정 국가들에 대해서는 '상호적 관세'(reciprocal tariffs)가 적용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을 "해방의 날(Liberation Day)"이라고 선언하며,
해외 무역 상대국들이 미국에 부과하는 관세 수준에 맞춰 미국도 동일한 수준의 관세를 부과하는 상호적 관세 정책을 도입하겠다고 밝혀왔다.

애초에는 자동차, 제약, 반도체 분야 등에 대한 폭넓은 관세 부과를 시사했지만,
이번 조정으로 인해 업종별 관세 도입은 보류되고, 특정 국가에 한한 맞대응 관세 중심의 전략으로 전환되는 모양새다.



https://www.wsj.com/politics/policy/trump-tariff-reciprocal-deadline-industrial-delay-97508838
23.03.202523:17
UAE, 미국에 ‘스타게이트 3배 규모’ 투자보따리 푼다

아랍에미리트(UAE)가 10년 간 미국에 1조4000억 달러(약 2045조원)에 이르는 대규모 투자를 하기로 했다고 로이터통신과 블룸버그통신이 백악관 관계자를 인용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익명의 백악관 관계자는 해당 투자가 인공지능(AI)인프라스트럭처와 반도체, 에너지, 미국 제조업 등의 분야에서 미국에 대한 투자를 막대하게(substantially) 늘리는 프레임워크라고 설명

이번 투자 규모는 앞서 오픈AI와 소프트뱅크, 오라클이 밝힌 미국 내 AI투자 프로젝트 스타게이트의 3배에 가까운 규모

오픈AI 등은 앞으로 4년 동안 5000억달러(약 730조원)을 투자해 텍사스 주를 시작으로 총 16개의 대규모 데이터센터와 발전소를 짓는 AI 인프라 확충 프로젝트를 발표

https://www.sedaily.com/NewsView/2GQCDJQ8XR
상호관세 전체 리스트
15.04.202523:10
미국 10대 청소년 뷰티제품 구입액 한해 374달러

10대 청소년 여아(女兒)들이 가장 선호하는 화장품 브랜드는 ‘e.l.f. 코스메틱스’

가장 선호하는 뷰티제품 쇼핑장소로는 ‘세포라’가 1위를 차지한 가운데 ‘얼타 뷰티’, ‘배스 앤 바디 웍스’(Bath & Body Works)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배스 앤 바디 웍스’가 최상위 10위 이내에 이름을 올린 것은 지난 2018년 이래 처음

2025년 춘계 청소년 소비실태 조사결과를 보면 10대 청소년들이 연간 2,388달러를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난해 춘계 뿐 아니라 같은 해 추계 설문조사 때보다 지출규모가 부쩍 높아진 것으로 드러났다”

‘나이키’가 10대 청소년들이 가장 선호하는 의류 브랜드로 자리매김한 가운데 ‘홀리스터’(Hollister)가 2위를, ‘아메리칸 이글’(American Eagle)이 3위를 각각 차지

신발류의 경우 ‘UGG’가 ‘룰루레몬’을 제치고 상류층 청소년 여아들에게서 1위를 차지

상류층 청소년 여아들이 가장 선호하는 쇼핑 웹사이트의 자리에는 ‘아마존’이 이름을 올렸다

테크놀로지 및 소셜 미디어와 관련해서는 ‘인스타그램’이 청소년들의 최애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인 것으로 나타나 87%의 10대 청소년들이 매월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틱톡’이 79%로 2위, ‘스냅챗’이 72%로 3위에 각각 랭크됐다.

10대 청소년들이 매일 영상을 시청하고 있는 1위 매체로는 ‘넷플릭스’가 꼽혔다.

또한 88%의 10대 청소년들은 현재 아이폰(iPhone)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이 중 25%는 올해 가을/겨울에 아이폰 업그레이드를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가장 선호하는 외식업소 체인업체로는 ‘칙필레’(Chick-fil-A)가 1위 자리에 선정된 가운데 ‘맥도날드’와 ‘치폴레 멕시칸 그릴’(Chipotle Mexican Grill)이 2위와 3위 자리를 나눠 가졌다.

여전히 10대 청소년들이 커피, 탄산음료보다 에너지 드링크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선호하는 음료 브랜드로는 ‘닥터 페퍼’(Dr. Pepper), ‘코카콜라’ 및 ‘게토레이’의 순으로 선정

http://m.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nid=308856
23.03.202523:26
China enters new era of ‘Dark Factories’ with no lights, no workers

중국은 인간 노동자나 전통 조명 없이도 운영되는 완전 자동화 시설인 '암흑 공장'의 등장으로 제조업 혁명의 정점

인공지능(AI), 로봇 공학, 첨단 센서를 기반으로 한 이 공장은 중국이 산업 자동화를 향한 공격적인 추진의 다음 단계로, 중국을 기술 혁신의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

'암흑 공장'은 기계가 조립, 검사, 물류 등 모든 작업을 처리하여 인간 존재의 필요성을 없애는 생산 현장

작업자가 없으면 조명, 난방, 휴식이 필요 없어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중국은 2022년에 290,367대의 산업용 로봇을 설치하여 전 세계 전체의 52%를 차지하며 미국과 일본을 합친 것보다 앞서

2023년까지 중국의 로봇 밀도(제조업 근로자 10,000명당 로봇)는 392대에 달해 전 세계 평균인 141대를 넘어섰습니다

폭스콘은 2016년 쿤산 공장에서 6만 명의 근로자를 로봇으로 교체하고 2021년 테리 구 회장이 밝힌 바와 같이 2025년까지 운영의 30%를 자동화할 계획

일부 중국 공장에서는 적외선 센서, 라이다, 머신 비전을 사용하여 거의 어두운 곳에서 정밀 제조를 수행하여 전통적인 조명의 필요성을 없애는 '라이트 아웃' 작업을 시범 운영

이러한 자동화가 인간 중심의 인프라 요구를 제거함으로써 산업 에너지 사용을 15~20% 줄일 수 있다고 추정

세계은행 데이터에 따르면 제조업은 중국에서 1억 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으며, 자동화는 광범위한 일자리 감소를 위협

2025년 3월 현재 중국의 다크 팩토리는 특히 전자 및 전기 자동차와 같은 첨단 기술 분야에서 시범 운영 단계에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밀 기계와 인력 없이 24시간 연중무휴로 운영되는 이러한 시설은 AI와 로봇 공학에 의해 거의 어둠 속에서 생산이 이루어지는 미래로의 전환을 의미

https://www.texspacetoday.com/china-enters-new-era-of-dark-factories-with-no-lights-no-workers/
10.04.202504:34
더 크게, 편리하게, 특별하게! 미국 식료품점 최근 트렌드

지난 5년간 미국 식료품점 매출은 인플레이션과 기술결합 투자 등으로 연평균 성장률 0.1%의 하락세를 보여왔으나, 2025년부터는 상승세

올해 매출 증가율은 1.1%의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며, 총매출 8억 831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IBISWorld)

미국에는 지역별로 다양한 이름의 식료품점이 있다. 크로거(Kroger), 랄프스(Ralphs), 딜런즈(Dillions), 씨티 마켓(City Market) 등 각기 다른 주에서 다른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는 이들 유명 식료품점은 모두 크로거사가 소유하고 있는 가게들로, 전미에 28개의 다른 이름의 식료품점이 모두 크로거 소유

플라노(Plano), 파빌리온스(Pavillions), 돌체스터(Dorchester) 등 24개의 브랜드를 소유한 알버슨(Albertsons) 등 미국의 대형 슈퍼마켓 기업들은 지역의 소규모 식료품점들을 인수하면서 점차 거대해지고 있다

월마트(Walmart), 크로거, 알디(Aldi) 알버슨 등 4개의 기업이 미 전체 식료품점의 3분의 1을 소유

미국 최대 식품점 월마트는 미국 중부를 장악하고 있으며, 미국인의 약 90%가 월마트 매장에서 10마일 이내 거주하고 있을 정도로 많은 매장을 소유

2023년 미국 식료품 전체 매출은 1조 달러 규모였는데, 월마트(30%), 크로거(10%), 코스코(9%), 알버슨(6%), 아마존(6%) 등 5개 주요 기업이 전체 매출의 60%를 점유

최근 미국의 온라인 식료품시장은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올해 1월, 온라인 식료품 판매액은 100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6.5% 증가

6개월 연속 온라인 식료품 매출이 95억 달러를 초과한 것으로, 미 소비자들의 온라인 식료품 쇼핑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대규모 식품 기업들이 자체 이커머스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반면, 소규모 식품점들은 인스타카트(Instacart)와 같은 배송 플랫폼을 활용해 온라인 식료품 시장에서 경쟁

미국에서는 한국 및 인도, 중국 등의 식료품을 전문으로 판매하는 아시아계 에스닉 상점들의 확장 움직임도 활발하다. 글로벌 에스닉 푸드 시장은 2024년 기준 869억 달러 규모였으며, 향후 연평균 성장률 7.43%로 증가해 2032년에는 1532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pageNo=4&pagePerCnt=10&SITE_NO=3&MENU_ID=170&CONTENTS_NO=1&bbsGbn=01&bbsSn=243%2C254%2C403%2C257&pNttSn=227562&recordCountPerPage=10&viewType=&pNewsGbn=&pStartDt=&pEndDt=&sSearchVal=&pRegnCd=&pNatCd=&pKbcCd=&pIndustCd=&pHsCode=&pHsCodeNm=&pHsCdType=&sSearchVal=
02.04.202522:59
백악관 Fact Sheet 요약

미국 경제 재건 및 국가 안보 강화를 위한 상호주의 관세 도입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불공정한 외국의 무역 및 경제 관행이 국가 비상사태를 초래했다고 선언하고, 이에 대응하여 미국 경제를 보호하기 위해 새로운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관세 부과 조건
모든 국가에 대해 10% 기본 관세 부과 (2025년 4월 5일 12:01 a.m. EDT 발효)
미국과의 무역 적자가 큰 국가에는 개별적으로 더 높은 상호 관세 부과 (2025년 4월 9일 12:01 a.m. EDT 발효)

관세 조정 가능
무역 상대국이 보복하면 관세 인상
상호 공정 무역 조치 시행 시 관세 감면 가능

예외 품목
특정 법률(50 USC 1702(b)) 적용 품목
이미 섹션 232 관세 적용받는 철강·알루미늄·자동차 및 부품
구리, 의약품, 반도체, 목재
향후 섹션 232 관세 대상 가능성이 있는 품목
금괴, 미국 내 생산이 어려운 에너지 및 특정 광물
캐나다·멕시코 대상 조치
기존 펜타닐·이민 관련 IEEPA 조치 유지
USMCA(북미자유무역협정) 준수 상품: 0% 관세
비준수 상품: 25% 관세, 에너지·칼륨(포타시) 비준수 상품: 10% 관세
기존 IEEPA 조치 종료 시, 비준수 상품 12% 상호 관세 적용

관세 부과 목적
불공정 무역 관행 시정 및 미국 무역 적자 감소
해외 생산 의존도 축소 및 미국 내 제조업 활성화
중국 등 비시장경제 국가에 대한 의존도 줄이고 경제·국가 안보 강화
미국 내 필수 군수물자 및 핵심 산업 보호

미국 무역 불균형 문제
미국의 2024년 상품 무역 적자: 1.2조 달러 초과
미국 평균 MFN(최혜국) 관세율: 3.3%, 주요국보다 낮음
브라질: 11.2%, 중국: 7.5%, EU: 5%, 인도: 17%, 베트남: 9.4%
주요국의 미국산 제품에 대한 높은 관세 및 비관세 장벽 존재
유럽연합(EU) 승용차 관세 10% vs. 미국 2.5%
인도 승용차 관세 70%, 네트워크 장비 관세 10~20%
브라질 에탄올 관세 18%, 인도 30% vs. 미국 2.5%
터키 사과 관세 60.3%, 인도 50% vs. 미국 0%
비관세 장벽 사례
중국: 보조금 및 국가 주도 산업 정책으로 미국 제조업 경쟁력 약화
일본·한국: 미국산 자동차에 대한 이중 인증 및 표준화 문제
인도: 통신, 화학, 의료기기 등에 중복 인증 요구
영국: 미국산 쇠고기·가금류 제품에 대한 비과학적 규제
인도네시아: 천연자원 수출대금 국내 보관 의무화
아르헨티나: 2002년 이후 미국산 소 수입 금지
남아프리카공화국: 미국산 돼지고기·가금류 수입 규제

트럼프 행정부의 기대 효과
미국 내 제조업 성장, 일자리 창출 및 경제 회복
10% 글로벌 관세 도입 시 GDP 7,280억 달러 증가, 280만 개 일자리 창출 예상
무역 불균형 해소 및 공정 무역 환경 조성
“Made in America” 정책 강화, 미국 경제 및 국가 안보 보호
결론: "황금시대를 위한 황금률"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다른 국가를 대하는 것처럼 우리도 대우받아야 한다"는 원칙을 강조하며, 미국 경제 주권을 되찾기 위한 강력한 무역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24.03.202504:19
[핵심쏙쏙] UAM 시장의 확대와 시작되는 상용화 조비 에비에이션 기업분석

[1] 2025년은 UAM(Urban Air Mobility, 도심 항공 모빌리티)이 본격적으로 도약하는 중요한 시기가 될 예정

[2] UAM 시장의 성장을 촉진하는 요인은 1) 도시 교통 문제 해결, 2) 기술 발전, 3) 규제 지원

[3] 도심 내 지상 교통체증이 10% 감소 시 얻게 되는 사회적 이익은 $87억 달러, 50% 감소 시 $435억 달러로 추정되는 만큼 UAM의 발전으로 인한 교통 체증의 완화는 큰 경제적 가치가 있음

[4] UAM 산업은 ’29년까지 연평균 18.9% 성장해 100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

https://contents.premium.naver.com/valuefinder/valueinsight/contents/250324131744538iw
14.04.202523:26
LVMH sales fall sharply in warning sign for the luxury industry

LVMH의 1분기 매출은 예상보다 크게 감소하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로 인한 여파에 대비하면서 럭셔리 업계에 실망스러운 전망

루이비통과 크리스찬 디올을 포함한 LVMH의 패션 및 가죽 제품 부문의 오가닉 매출은 올해 첫 3개월 동안 전년 동기 대비 5% 감소한 101억 유로를 기록

LVMH는 트럼프가 이번 달 미국의 무역 파트너에 대한 포괄적 관세를 발표한 이후 업계 최초로 분기 실적을 발표한 기업

LVMH의 그룹 매출은 3% 감소한 203억 유로로, 보합세를 보일 것이라는 컨센서스 추정치에 비해 크게 감소

럭셔리 시장의 어려움의 중심 원인인 중국 소비자들의 수요 둔화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LVMH의 1분기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지역 매출은 11% 감소

LVMH의 최고 재무 책임자인 세실 카바니스는 "중국 내 내수에는 변화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맥킨지는 2024년 중국 본토 럭셔리 시장의 수요가 18~20% 감소할 것으로 예상

LVMH는 1분기 미국 매출이 3% 감소, 매출은 일본에서는 1% 감소했지만, 유럽에서는 2% 증가

애널리스트들은 트럼프의 관세가 예상치 못하게 심각해지면서 미국이 주도하는 소비자 지출 반등에 대한 기대치를 하향 조정

https://www.ft.com/content/93908081-df05-4b42-85a0-9d583f2307c6
인도 생산이 마음에 들지 않는 트럼프
25.03.202523:37
Contractors WuXi Bio, WuXi XDC eye continued growth after logging solid performances in 2024

WuXi AppTec이 2025년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은 직후, 다른 여러 WuXi 형제 회사들도 2024년 성공 사례와 내년에 대한 포부를 발표

가장 먼저 보고된 기업은 2023년에 우시 바이오로직스에서 분사한 바이오컨쥬게이트 CRDMO 우시 XDC입니다. 2024년 동안 총 매출은 약 40억 5천만 중국 위안(5억 5천 9백만 달러)으로, 2023년에 창출한 21억 2천만 위안보다 90.8%나 급증

WuXi XDC는 항체-약물 접합체(ADC)와 광범위한 생물 접합 분야에서 고객 프로젝트가 급증했으며, 개발 후반 단계로 프로젝트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고 평가

우시 XDC는 회사의 성공을 알리는 신호로 2023년 매출 기준 상위 20개 글로벌 제약사 중 13개 회사가 계약업체와 다양한 단계의 프로젝트에서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언급

작년에 통합 ADC 프로젝트의 총 수는 177개에 달했으며, 우시(WuXi)가 XDC 프로젝트라고 부르는 광범위한 생물 접합 프로젝트는 17개로 증가

2025년과 2027년에 가동할 계획인 용량 확장과 함께 싱가포르에 새로운 제조 공장을 연말까지 완공할 예정

작년에 공개된 싱가포르 공장에는 단일 클론 항체 중간체, 약물 물질 및 의약품 제조 라인이 포함될 예정입니다. 또한 품질 관리 실험실과 창고 공간도 들어설 예정

우시 XDC 외에도 이 회사의 계약 형제인 우시 바이오로직스는 이번 주에 전년 대비 9.6% 성장한 187억 위안(26억 달러)에 가까운 매출을 기록하며 2024년 견조한 실적을 발표

우시바이오는 작년에 거둔 여러 성과 중 ADC 및 이중특이적 항체와 같은 포트폴리오의 특정 기술 플랫폼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최근 유럽에서의 생산 능력 확장과 생산량 증가를 언급

2024년에 이중특이 및 다중특이 약물, ADC, 융합 단백질 및 백신을 포함한 148개의 신규 개발 프로젝트를 추가했습니다. 제조 분야에서는 작년에 66개의 후기 단계 프로젝트와 코로나19와 무관한 21개의 상업용 생산 프로젝트에 참여

우시바이오는 16개의 프로세스 성과 자격(PPQ) 프로젝트를 완료했으며 2025년까지 24개의 프로젝트가 추가로 예정

우시 바이오와 우시 XDC의 업데이트는 지난주 우시 앱텍이 이 거대 CRDMO 기업의 2024년 총 매출이 392억 5,000만 위안(54억 달러)으로 소폭 감소했다고 발표한 데 따른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회사는 올해 매출 성장률이 10%에서 15%, 즉 약 415억 위안(57억 달러)에서 430억 위안(59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

https://www.fiercepharma.com/pharma/contractors-wuxi-bio-wuxi-xdc-eye-continued-growth-year-after-logging-solid-performances
03.04.202523:18
[25.04.04 관세 폭탄]

테크
엔비디아 -8%
TSMC -8%
마이크론 -16%

클라우드
마이크로소프트 -2%
아마존 -9%
알파벳 -4%

AI
팔란티어 -4%
테슬라 -5%

플랫폼
넷플릭스 -2%
스포티파이 -1%
메타 -9%
듀오링고 -7%
우버 -6%

의류
태피스트리 -13%
랄프로렌 -16%
갭 -20%

신발
온홀딩 -16%
데커 -14%
스케쳐스 -17%
나이키 -14%

마트
코스트코 0%
월마트 -3%

비만
릴리 -4%
노보 -2%

프렌차이즈
치폴레 -4%
더치브로스 -9%
스위트그린 -12%
CAVA -7%
윙스톱 +3%
스타벅스 -11%
맥도날드 +2%

방산
록히드마틴 0%
RTX -2%
노스롭 그루만 +1%

굴삭기/농기계
캐터필러 -9%
디어 -5%

은행/증권
제이피모건 체이스 -7%
뱅크오브아메리카 -11%
웰스파고 -9%
블랙록 -8%
파이퍼샌들러 -11%

화장품
엘프뷰티 -19%
울타뷰티 -4%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