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Реальна Війна | Україна | Новини
Реальна Війна | Україна | Новини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Реальна Війна | Україна | Новини
Реальна Війна | Україна | Новини
SK증권 Research avatar

SK증권 Research

SK증권 지식서비스 부문 Telegram 채널
TGlist 评分
0
0
类型公开
验证
未验证
可信度
不可靠
位置
语言其他
频道创建日期Nov 19, 2021
添加到 TGlist 的日期
Oct 16, 2024

Telegram频道 SK증권 Research 统计数据

订阅者

6 373

24 小时00%一周
17
0.3%一个月
100
1.6%

引用指数

0

提及1频道上的转发0频道上的提及1

每帖平均覆盖率

248

12 小时2480%24 小时2480%48 小时5450%

参与率 (ER)

2.02%

转发5评论0反应0

覆盖率参与率 (ERR)

3.89%

24 小时0%一周
1.47%
一个月
0.42%

每则广告帖子的平均覆盖率

248

1 小时268108.06%1 – 4 小时22691.13%4 - 24 小时332133.87%
将我们的机器人连接到频道以了解该频道的受众性别。
过去 24 小时内的帖子数
7
动态
6

"SK증권 Research" 群组最新帖子

SK 증권 아침에 슥_2025.05.19.

미국 - 경기지표 부진에도 미중 무역협상 낙관론에 상승 마감

ㆍ 소비심리지수 및 단기 기대 인플레이션 부진에도 미중 관세 협상 낙관론에 매수세 지속

유럽 - 기업실적 호조 및 무역협상 낙관론에 상승 마감
ㆍ 러·우크라 협상 기대감 및 미국의 무역협상 낙관론에 상승, 기업실적 호조에 투자심리 개선

중국 - 미중 기술 분쟁 및 기업실적 부진에 혼조 마감
ㆍ 미국의 중국 반도체 기업 블랙리스트 등재 가능성, 실적 발표한 기술/인터넷 주 중심 매도세에 혼조세

국내 - 외국인, 기관 동반 순매수에 강보합 마감
ㆍ 관세 관망세에 방향성 부재 속 미 경제지표 양호, 달러인덱스 안정에 외인 매수세

보고서 원문 : https://buly.kr/2UisWlb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SK증권 금융(은행/보험/증권) 설용진]

▶️ 코리안리(A003690) 매수/11,000원
고액 사고에도 양호한 실적 기록

- 1Q25 순이익 906억원(+43% YoY) 기록. L&H 부문은 보수적 부채 적립 기조 마무리되며 예실차 손익 개선되며 흑자 전환 달성. 공동재보험 및 공동개발상품 수재에 따라 CSM 증가된 점도 긍정적
- P&C 부문은 LA산불, 미얀마 지진, 영남 산불 등 대형 사고에도 다른 보험 손익이 양호하여 견조한 실적 기록
- 투자 부문 전년 동기 충당금 기저효과 소멸로 이익 큰 폭 개선
- 원수사 둘러싼 실적/자본 불확실성 높아진 가운데 동사는 긍정적 업황 지속 중. 경기 방어주 관점에서 가장 편안한 선택지라고 판단

▶️보고서 원문: https://buly.kr/DEZ6M3g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SK증권 제약/바이오] Analyst 이선경
(
seonkyoung.lee@sks.co.kr/3773-9089)

▶️ 유한양행(A000100) 매수/140,000원

25년 레이저티닙 및 길리어드향 수주 매출 본격화
동사의 주가를 견인하는 주요 요인은 J&J로 기술이전한 레이저티닙의 임상 3상 OS(전체 생존율)연구결과 발표에 따른 미래 매출 증대 기대감 및 라이선스 수익 인식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감이라 할 수 있다. 우수한 효능으로 최종 OS 발표 시점이 늦어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 1분기 J&J가 발표한 미국 레이저티닙+아미반타맙 매출액은 1억 1,300만 달러(+12.3% QoQ, 약 1,600억원)로 견조했음에도 불구하고 1분기 유한양행에 인식된 라이선스 수익은 40억원에 불과, 현재 시장에서는 실망과 우려가 공존하고 있다. 특히 미국 내 의약품 약가 인하, 관세 등 정책적 불확실성까지 더해져 최근 동사의 주가는 부진한 상황이나 유한양행의 실적 개선 및 향후 이벤트를 고려한다면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지금이 매수 기회라 판단된다.

유한양행의 연결기준 25년 매출액은 2조 2,653억원(+9.6% YoY), 영업이익은 766억원(+39.6% YoY, OPM 3.4%)를 전망한다. 2분기 레이저티닙+아미반타맙 병용요법의 일본 출시, 3분기 유럽 출시가 예상되는 가운데 이에 따라 인식될 마일스톤, 권역 확장 및 미국내 처방(205% 성장 가정) 증가 등을 고려 25년 라이선스 수익은 총 869억원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지난 1분기 고성장한 API 수출(874억원, +17.9%YoY, +34.1%QoQ)은 2분기부터 본격화될 길리어드 계약을 고려 25년 41.8% 성장이 기대된다. 참고로 지난 9월 공시한 계약금 8,089만 달러(공시 환율1,331원 기준, 약 1,077억원) 길리어드 HIV API 공급 계약은 고위험 HIV 예방 요법의 FDA 승인(승인 기일 6월 19일)을 앞두고 선제적 대응을 위한 공급 계약으로 파악된다. 해당 계약은 2분기부터 본격화될 것으로 판단되며 상업화 물량인 만큼 이전 매출 대비 수익성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4만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 보고서 원문 : https://buly.kr/YeXjH8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SK증권 조준기] [Market Nowcast] 잠깐 조심할 시간


[Week Ahead]

- 지난 주도 강세 지속. 미중 실무진 관세 협상 결과(미국은 대중 관세를 145%에서 30%로, 중국은 대미 관세를 125%에서 10%로 90일간 유예)에 시장이 환호하며 나스닥 중심의 강세 시현. 미국 소비자물가지수와 생산자물가지수 모두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는 등 관세 노이즈가 아직까지 실제 하드 데이터까지는 영향 미치지 못하고는 있으나 지난 주 금요일 밤 발표되었던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추가 급락 및 기대인플레이션 급등(1Y 6.5%에서 7.3%으로 상승, 5Y 4.4%에서 4.6%로 상승)하며 소프트 데이터 부진 지속

- 당분간 상승 여력 제한 혹은 소강 상태 돌입 전망. 이번주 주요 일정 제한적인 가운데 1) 미국 신용등급 소식이 최근 강한 증시상승에 따른 단기 기술적 부담(미국 RSI 70, 코스피도 60 중후반)속에서 단기 조정 빌미로 작용할 가능성 높음. 2) 반도체주 가격 이미 많이 오른 가운데(KODEX 반도체 4월 초 저점 대비 16.6% 상승, 1M수익률 +11%) 다음 주 엔비디아 실적 앞두고 경계감 유입될 가능성 높다는 판단. 중장기적 방향성과 별개로 단기적으로는 손익비 좋지 않은 구간에 위치

- 미국 신용등급 강등: Moody’s는 미국 신용등급을 Aaa에서 Aa1로 하향 조정해 3대 신평사 모두 미국에게 최고등급을 부여하지 않게 됨. 전망은 기존 부정적에서 안정적(Aa1이 안정적이라는 것)으로 변경. 주요 골자는 경제는 강력하지만 비슷한 신용등급 국가 대비 정부 부채와 이자 지급비율이 상당히 높은 점, 심각한 재정 적자와 향후 심화 가능성 등이 주를 이룸

- 무디스의 보도 자료에서는 정부 수입을 실질적으로 늘리거나 지출을 줄이는 등의 방법으로 부채 감당 능력과 재정 적자의 악화를 상당히 늦추고 결국 역전시키기 위한 재정 개혁을 시행하면 향후 신용등급 상향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적혀 있는데, 트럼프가 바이든 정권 탓을 하며 현재 소강상태에 놓여 있던 정책 드라이브를 다시 세게 걸 빌미로도 작용할 수 있다는 의견

- 2011년 S&P의 첫 신용등급 강등 당시만큼 낙폭이 크지는 않을 것. 또한 재작년 Fitch의 미국 신용등급까지 겪으며 시장의 경험치는 축적되어 있다는 생각. 그럼에도 2023년 당시에도 증시가 잠시 부진했고 현재는 가격 부담이 있다는 점에서 기간 조정이든 가격 조정이든 단기적으로는 염두에 두어야 할 것. 다행히 가상 자산 시장에서는 뚜렷한 위험 회피 심리가 관측되고 있지는 않음

- 국내 증시는 외국인이 3주 연속 코스피 현물 순매수 지속하고 있으며 그 규모가 확대되는 추세(2700억원->5500억원->1.1조원). 외국인의 코스피 매도는 작년 하반기부터 올해 3월 초까지는 삼성전자에 집중된 매도, 3월 초부터 5월 초까지는 인덱스 전체 매도, 최근 매수 구간 동안에서는 다시 인덱스 전체 매수로 변화. 작년 하반기 고점 대비 외국인 누적 순매도가 -45조원에 달할 정도로 외국인 수급은 여전히 크게 비어 있는 상황으로 외국인 순매수의 지속성만 담보된다면 크게 불편하지 않은 구간 이어질 가능성 높음








보고서 원문: https://buly.kr/HSXHtTq

* SK증권 자산전략부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Research_Asset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SK증권 ESG/통신서비스/지주 최관순]
(ks1.choi@sks.co.kr/3773-8812)

▶️ SK증권 Global Carbon Market Daily_0519

NEWS

[뉴욕유가] 이란 핵합의 의구심에 사흘만에 반등…WTI, 1.4%↑
https://buly.kr/6MrY5z7
코앞으로 다가온 '아파트 제로에너지 의무화' …건설업계 기술경쟁 각축전
https://buly.kr/5UHlBuS
EU, 데이터 센터 물 사용량 제한 논의…농업용수도 해당
https://buly.kr/1xybZb8

▶️ 보고서 원문 : https://buly.kr/D3eLN2P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SK증권 ESG/통신서비스/지주 최관순] (ks1.choi@sks.co.kr/3773-8812)

▶️SK(A034730) 매수/190,000원
재무구조 개선 통한 디스카운트 해소

1Q25: 순차입금 크게 감소
SK 1Q25 실적은 매출액 31.2조원(-3.7% 이하 YoY), 영업이익 3,998억원(-72.8%, OPM: 1.3%)이다. SK E&S와 SK이노베이션 합병 이후 배당금 수입 감소로 별도 영업이익이 70.5% 감소하였으며, SK이노베이션이 적자전환 하면서 연결 실적은 대체로 부진했다. 다만 비상장사인 SK에코플랜트와 SK실트론 영업이익이 전년 수준을 유지한 가운데 SK팜테코 영업손실은 300억원 가량 축소되었다. 별도 기준 순차입금은 SK스페셜티 매각에 따라 8.1조원으로 전기 대비 2.4조원 감소하며 재무구조 개선이 확인되었다.

리밸런싱 통한 재무구조 개선
SK는 사업 간 시너지 극대화 및 미래성장기반 강화를 위한 그룹 내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을 추진하고 있다. SK가 보유하던 SK트리켐, SK레조낙, SK머티리얼즈제이엔씨 주식을 SK에코플랜트로 현물출자하고,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 주식은 SK에코플랜트 와 포괄적 주식교환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SK에코플랜트 기업가치는 5조원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며 SK의 SK에코플랜트 지분율은 기준 62.2%에서 65.9%로 상승하게 된다. 또한 C&C가 보유하던 판교 데이터센터를 SK브로드밴드에 매각할 예정이다. 매각금액은 5,068억원 2분기말까지 거래가 종료될 예정이다. SK는 SK스페셜티 매각에 이어 다양한 리밸런싱 추진하고 있는데 사업부문 단순화 및 재무구조 개선 측면에서 긍정적 요인이다.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90,000원(유지)
SK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한다. 리밸런싱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이 확인됨에 따른 주가 디스카운트 요인이 해소될 시점이라 판단하기 때문이다. SK는 기본배당 5,000원에 시가총액의 1~2%의 추가 주주환원 정책을 보유하고 있는데 리밸런싱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을 고려한다면 지난해 추가 배당 2,000원(시가총액의 1.1%)을 넘는 기말 주주환원을 기대해 볼만하다.

▶️보고서 원문 : https://buly.kr/58SFEEw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SK증권 금융(은행/보험/증권) 설용진]

▶️ 삼성생명(A032830) 매수/114,000원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펀더멘털

- 1Q25 지배순이익 6,353억원(+2.1% YoY) 기록
- 신계약은 손보 절판효과 등 영향으로 감소. 다만 4월 판매 추세 등 감안하면 연간 CSM 신규 타겟인 3조원 규모 달성에 어려움 없을 전망
- CSM 가정 조정은 1) 연령별 손해율 가정 적용에 따른 2,700~2,800억원 개선 효과 및 2) 경상 해지차 -2천억원, 3) 할인율 제도 강화에 따른 VFA 영향 -900억원 등 발생
- 전년 동기 IBNR 780억원 전입 기저효과 소멸했으나 손실계약비용 확대로 보험손익 소폭 개선
- 투자손익은 자회사 배당 증가 영향으로 개선되었으며 K-ICS비율은 할인율 제도 강화로 5%p 하락한 180% 수준 예상
- 견조한 이익체력과 배당가능이익 추세 지속 중. 전자 주식 처분에 따른 추가 DPS 기대 가능하며 향후 전자 자사주 추가 소각 등 나타날 경우 특별배당 더욱 확대될 전망. 생명보험 업종 내 유일하게 배당 가능한 회사인 만큼 제한적 선택지 내 유일한 대안이라고 판단

▶️보고서 원문: https://buly.kr/2Jo7X7R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SK증권 조선 한승한] (shane.han@sks.co.kr/3773-9992)

▶️한수위: 국내 조선업체들 북미 조선&함정&기자재 시장 노린다


▪️신조선가지수 186.80pt(-0.03pt), 중고선가지수 177.32pt(+0.92pt) 기록

▪️지난 16일,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인 제이미슨 그리어는 HD현대 정기선 수석부회장과 한화오션 김희철 대표와 제주에서 만나 양국 간의 조선업 협력방안에 대해서 논의

▪️한화오션은 거제 사업장의 스마트 생산 시스템을 미국 필리조선소에 적용할 계획이며, 다양한 수요와 장기적인 생산 역량 확보를 고려해 미국 내 추가 생산 거점 설립을 검토 중. 이를 통해 실질적인 협력 성과를 만들어 낼 계획임을 밝힘

▪️HD현대는 HD현대중공업과 미국 헌팅턴 잉걸스 간의 협력 사례를 소개하며 공동 기술개발, 선박 건조 협력, 기술 인력 양성 등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제시했으며, 미국 내 중국산 항만 크레인의 독점적 공금 문제 해결을 위해 HD현대삼호의 크레인 제조 역량을 소개

▪️미국은 지난 ‘24년에 5년 간 200억 달러를 투입해 항만 크레인 교체 추진을 발표했음. 지난 ‘24년 9월에 이와 관련해 USTR은 ‘24년 5월 14일 이전에 주문되고 ‘26년 5월 14일 이전에 인도되는 STS 크레인에 대해 25%의 관세를 면제하기로 결정한 바 있음. 하지만 올해 4월 USTR이 발표한 새로운 조치로 인해 중국산 STS 크레인에 대한 관세 면제 조치가 변경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 미 현지시간으로 5월 19일에 중국산 항만 크레인 관세 관련 공청회 예정

▪️미국은 일본 Mitsui E&S와 PACECO Corp(Mitsui E&S의 100% 자회사), 캐나다 Brookfield 간의 협력을 통해 미국 캘리포니아 항만의 중국산 크레인을 교체하는 프로젝트를 이미 진행 중. Mitsui E&S는 미국 연방 자금 지원을 받기 위해 ‘BABA(Build America, Buy America)’ 법안을 준수하고 있으며, 해당 정책에 따르면 크레인 부품의 55% 이상을 미국산으로 조달하고, 최종 조립 또한 미국 내에서 수행해야 함

▪️국내 선박용 크레인 업체들이 미국 항만 크레인 시장에 진출하려면 ‘BABA’ 정책을 충족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중국산 부품 사용 비중 감축 뿐만 아니라 인수 혹은 투자를 통해 미 현지 생산 거점을 확보해야 함. 향후 국내 조선/기자재 업체들의 미국 항만 크레인 시장 진출 관련한 움직임 모니터링 필요

▪️지난 15~16일, 방위사업청장은 캐나다를 방문해 캐나다 정부의 국방/안보 전문 싱크탱크인 ‘캐나다 국제문제연구소(CGAI)’와 국방방산 분야 교류 및 협력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 국방부, 산업부 고위급 관계자 및 해군 사령관 등의 군 관계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다양한 방산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으며, 해당 면담에는 캐나다 차세대 잠수함 사업(CPSP) 수주를 타겟하고 있는 팀 코리아(HD현대중공업&한화오션)가 함께 참여

▪️지난 16일, SK오션플랜트는 미 해군 함정 MRO 시장 진출을 위한 입찰 참여 및 MSRA 취득 등 본격적인 준비에 나섰다고 밝힘. 조기 시장진입이 가능한 군수지원함 MRO 사업에 올해 말부터 입찰 참여한다는 계획이며, 이에 필요한 MSRA 취득을 위해 TF 구성 및 관련 준비에 착수. ‘26년 말까지 협약을 체결해 ‘27년부터 연간 4~5척 수주를 목표

▪️SK오션플랜트는 (구)삼강엠앤티 시절, 대한민국 해군과 해양경찰청에 30여척 이상의 함정을 건조하여 성공적으로 인도한 경험이 있으며, 현재 대한민국 해군의 최신형 호위함인 울산급 Batch-III 2, 3, 4번함을 동시 건조 중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 뿐만 아니라 국내 조선/기자재 업체들의 미국 조선업 시장 진출 가능성은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중. 특히 단기적 관점에서 미국의 조선/해운업 재건과 해군력 강화를 위한 과정에서 부족한 공급망 확보를 위해 조선 동맹국가(한국&일본)의 기자재 업체들의 도움 또한 필요할 것으로 전망. 조선업 비중확대(Overweight) 의견 유지

▶️보고서 원문: https://buly.kr/AF0DRtE

SK증권 조선 한승한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Cyclical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转发自:
[ IT는 SK ] avatar
[ IT는 SK ]
# 덕산네오룩스
- 우려했던 1분기 이후 모멘텀 구간 임박


[ SK증권 권민규, 박형우 ]
디스플레이/IT중소형

▶️ 결론
- 연간 매출액은 소폭 하향, 이익률은 상향되어 유지 흐름
- 다변화된 아이템 포트폴리오로 높은 이익률 지속
- 모멘텀 개화 본격화에 따른 상승여력 충분 판단

▶️ 1Q25 Review: 매출 하락에도 이익 체력 향상
매출액 하회 요인
①중국 패널 업체들의 공급 과잉
②주요 고객사의 4Q24 조기 생산으로 인한 재고 소진
OP 상회 요인
①믹스 개선
②주요 개발과제 수행으로 개발매출(샘플) 확대
③퇴직급여 감소
④고환율 지속

▶️ 1분기가 지나고 본격적인 성장 시작, 모멘텀 요소도 실현 중
- 2분기부터 고부가 개발매출(샘플) 크게 확대
(신소재, IT OLED, 차세대 북미 고객사 스마트폰향 소재구조)
- 2분기 말부터 북미 고객사 스마트폰향 소재 공급 시작
- 모멘텀 요소 개화
① 폴더블 아이폰
② 중국 패널업체 소재 퀄
③ Black PDL 신규 아이템
④ 신소재(블루)

▶️ 목표주가 43,000원 유지, 투자의견 매수 제시
- 연간 매출액 목표치 하향에도 목표주가 유지
- 향상된 이익 체력, 모멘텀, 하반기 실적성장 감안시 여전히 주가 업사이드 여력 多

▶️ URL:
https://buly.kr/61213VH
[SK증권 금융(은행/보험/증권) 설용진]

▶️ 한화생명(A088350) 매수/3,300원
약점 보완 및 제도 개선 필요한 상황

- 1Q25 순이익 1,221억원(-30.5% YoY) 기록. 손실계약비용(VFA 280억, 유배당 확정형 보험 120억, 간병 특약 180억) 및 해외투자 변동성 관련 평가처분손익 감소 등 일회성 요인 반영된데 기인
- 신계약 APE 6,881억원(-15.9% QoQ) 기록. 보장성보험 수익성 개선으로 CSM 4,882억원(-5.3% YoY)으로 가이던스 부합
- CSM 가정 조정 영향은 실적 효과로 3,300억원 마이너스 발생
- 보험금 예실차 계절적 부진 및 손실계약비용 대거 반영에도 세칙개정안 기저효과로 보험손익 1,043억원(+14.8% YoY) 기록
- K-ICS는 할인율 제도 강화 영향으로 155% 예상
- 신계약 강점에도 지속적인 CSM 가정 조정으로 인한 감소, 금리로 인한 자본 변동성 발생 중. CSM 잔액 증가 제한적이며 K-ICS도 하락추세 지속. 신계약 강점 지속되기 위해서는 약점 보완 필요할 전망
- 배당가능이익 확보를 위한 해약환급금준비금 제도 개편이 필요하며 제도적 이슈 및 시장 금리 감안하면 주주환원에 대해 보수적인 접근 요구될 전망

▶️보고서 원문: https://buly.kr/Edt97ay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Analyst 형권훈 (kh.hyung@sks.co.kr/3773-9997)

미스토홀딩스(A081660) 매수/47,000원
모멘텀을 기다리자


- 매출액 1조 2,375억 원(+4.6%), 영업이익 1,627억 원(-0.4%, OPM 13.1%) 기록
- 미스토 부문 매출액 11.1% 감소, 아쿠쉬네트 부문 매출액 +8.7% 성장
- 올해 미스토 부문의 영업이익 흑자전환을 전망. 휠라 USA 법인의 사업 축소에 따른 적자 축소 영향
- 주가 업사이드를 위해서는 미스토 부문의 성장 모멘텀 가시화가 필요한 상황
- 단기적으로는 높은 주주환원율에 따른 방어주로서의 접근 정도 유효

▶️보고서 원문: https://buly.kr/44xgGHm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SK 증권 아침에 슥_2025.05.16.

미국 - 양호한 경제 상태 확인으로 주가 상승 확산

ㆍ 4월 생산자 물가지수, 소매판매 데이터, 주간 신규 실업수당 등 경제 데이터들 양호하게 나오면서 다우 위주 상승

유럽 - 미국 PPI 둔화, 영국 GDP 호조 등 긍정적 매크로 상황에서 기업 실적 양호
ㆍ 미국 PPI 둔화, 영국 GDP 호조, 기업 실적 서프라이즈로 양호. 특히 통신, 방산 섹터가 추세 견인

중국 - 4월 신규 대출 부진 우려로 유동성 우려 부각
ㆍ IT 성장주에 쏠렸던 자금이 방어주 위주로 이동, 농업 및 음식료 산업 강세, 차이신 넥스트 2% 하락

국내 - 3거래일간 상승 이후 차익실현 위주 개별 종목 장세

ㆍ 중국 펜타닐 관세 보복 발언에 반도체 약세. 테마주, 개별주 강세, 실적에 따른 주가 변동폭 확대

보고서 원문 : https://buly.kr/3j8AIdQ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Analyst 형권훈 (kh.hyung@sks.co.kr/3773-9997)

영원무역(A111770) 매수/62,000원
OEM 견조, SCOTT 부진


- 1분기 매출액 8,113억 원(+14.3%), 영업이익 823억 원(+15.9%, OPM 10.1%) 기록
- OEM 부문 매출액 5,385억 원(+15.2%), 영업이익 1,061억 원(+27.5%) 기록
- SCOTT 부문 매출액 2,262억 원(+15.3%), 영업적자 281억 원(적자지속) 기록
- 2분기에도 OEM 부문 매출 성장, SCOTT 부문 영업적자 지속할 것
- 관세가 실적에 미칠 영향이 불확실한 상황이나, 보편관세만 가정할 경우 타 기업 대비 실적 방어력 보유

▶️보고서 원문: https://buly.kr/HSXGoFR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SK증권 미래산업/미드스몰캡] Analyst 허선재/02-3773-8197

▶️에스엠씨지 (460870/KQ) / 매수 (유지) / TP 7,500원 (유지)

★2분기 성수기 진입에 주목할 시점

[1Q25 Review: 영업이익 전년대비 21.6% 성장한 10억원]
- 1Q25 실적은 매출액 132억원 (+21.5% YoY), 영업이익 10억원 (+21.6% YoY, OPM 7.6%), 당기순이익 -16억원 (적자전환, YoY)을 시현하며 당사 추정치 부합
- 주요 고객사중 하나인 비나우의 브랜드 리뉴얼에 따른 실적 공백에도 불구하고 로레알, 더파운더즈(아누아), 에이피알(메디큐브), 달바글로벌 향으로 꾸준한 물량 확대가 이뤄지며 유의미한 실적 성장 기록. 당기순이익은 약 20억원 수준의 일회성 상장(합병)비용이 반영되며 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 2Q25 예상 실적은 매출액 176억원 (+15.1% YoY)과 영업이익 25억원 (+151.7% YoY, OPM 14.3%)으로 전망. 2분기에는 ①봄/여름 시즌 ②가정의 달 ③중국 6.18 쇼핑 시즌 대응 등을 위해 주요 브랜드사들의 신제품 출시가 시작되며 계절적 성수기 진입
- 실제로 4월부터 주요 고객사향 출하 물량이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며 매출 성장에 따른 본격적인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나타날 전망. 더불어 2H25에는 로레알의 립 신제품 출시 및 비나우의 리뉴얼 제품 출시 예정

[화장품 유리용기 수요 확대에 따른 영업레버리지 효과 지속될 것]
- 글로벌 화장품 산업에서의 유리 용기 시장은 ①국내외 플라스틱 규제 강화/친환경 브랜딩 확산 ②K-뷰티의 경쟁심화/고급화 트렌드에 따라 향후 구조적 성장 흐름을 이어갈 전망
- 한편, 동사는 지난 5월 7~8일 미국에서 열린 ‘LUXE PACK New York’ 패키징 박람회에 참석했으며, 행사 기간 동안 상당수의 글로벌 화장품 업체들이 대중국 관세 부담으로 인해 기존 중국 생산 유리 용기 물량을 한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파악. 동사의 직접적 수혜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
- 유리 용기 제조업은 유리물을 녹이는 용해로를 24시간 가동해야 되기 때문에 영업 레버리지가 크게 나타나는 전형적인 장치산업. 24년 기준 동사의 고정비 비중은 약 80%에 달하며 향후 본격적인 매출 성장에 따른 유의미한 영업이익률 상승이 동반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유지’, 목표주가 7,500원]
- 에스엠씨지 25년 예상 실적은 매출액 732억원 (+34.2% YoY)과 영업이익 101억원 (+127.9% YoY, OPM 13.8%)으로 추정
- 25년 주요 실적 성장 요인은 ①글로우레시피, 비나우, 달바 등 매출 상위 고객사의 기존 제품 재발주 확대 및 신규 제품 출시 ②색조 및 향수 제품으로의 매출 포트폴리오 다각화 등에 기인
- 향후 분기별로 기대 이상의 영업 레버리지가 확인되는 시점에는 추가적인 멀티플 리레이팅이 가능할 전망


▶️보고서 원문: https://buly.kr/6tbnwuN

▶️ SK증권 미드스몰캡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smallcap
▶️ SK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SK증권 ESG/통신서비스/지주 최관순]
(ks1.choi@sks.co.kr/3773-8812)

▶️ SK증권 Global Carbon Market Daily_0516

NEWS

[뉴욕유가] 美·이란 핵 합의 기대감에 급락…WTI 2.4%↓
https://buly.kr/5q7G4Cr
원자력학회, 차기 정부에 원자력 정책 제안
https://buly.kr/AlkTX3O
대만, 원전 20년 연장 허용…‘탈원전’ 정책에 제동
https://buly.kr/8816oot


▶️ 보고서 원문 : https://buly.kr/3YDPJc4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记录

16.05.202523:59
6.4K订阅者
05.02.202523:05
3800引用指数
27.03.202515:45
3.3K每帖平均覆盖率
27.03.202515:39
3.3K广告帖子的平均覆盖率
27.11.202423:59
2.13%ER
26.03.202523:59
53.16%ERR
订阅者
引用指数
每篇帖子的浏览量
每个广告帖子的浏览量
ER
ERR
OCT '24JAN '25APR '25

SK증권 Research 热门帖子

15.05.202522:37
[SK증권 조선 한승한] (shane.han@sks.co.kr/3773-9992)

한국카본(A017960) 매수/30,000원

▶️수주와 실적 모두 장밋빛


▪️1Q25 Review: 연결매출액 2,246억원(+22.9% YoY, +15.7% QoQ), 영업이익 311억원(+1091.9% YoY, + 79.1% QoQ) 기록하며 시장예상치(224억원)를 약 39% 상회

▪️일회성 요인으로 1) 경쟁사와의 보냉재 스왑 계약 물량과 2) 작년 4분기에서 올해 1분기로 이연된 국내 조선사향 보냉재 물량 반영. 2척 분량으로 가정 시 경상이익으로 봐도 컨센서스 큰 폭 상회

▪️MDI 및 유리섬유를 포함한 대부분의 원자재 가격 안정화 지속 중. 올해 말까지 원자재 가격 안정화 지속과 더불어 1400원대 환율 유지 시 '25년 연간 매출액 8,957억원, 영업이익 1,140억원, OPM 12.7% 달성 전망

▪️글로벌 LNG 프로젝트들의 FID 승인 기조 확대 및 북미향 LNGC 보냉재 고려 시 동사의 수주잔고 레벨 증가는 이미 가시화 된 상황. 올해 및 내년 점진적인 수주 실적 확대를 예상

▪️중국향 SB 납품은 이미 작년부터 시작됐으며, 중국 Mark-3 타입 채택한 조선소향 납품 물량 수주 시 국내 조선사향 물량으로 제한됐던 동사의 Q의 성장을 통한 리레이팅 충분히 기대할 수 있다는 판단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기존 24,000원에서 30,000원으로 상향

▶️보고서 원문:
https://buly.kr/FWSw0xg

SK증권 조선 한승한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Cyclical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01.05.202523:20
Analyst 나승두 (nsdoo@sks.co.kr/3773-8891)

▶️ 서진시스템(A178320) 매수/41,000원

하나하나 찬찬히 다시 생각해보았습니다

연휴 동안 곱씹어 봐야 할 부분들
서진시스템은 다이캐스팅 공법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메탈 플랫폼 전문 업체다. 다이캐스팅은 특수 금속을 녹인 후 금형에 고압으로 주입하며 제품을 만들어내는 주조 방식을 의미한다. Tesla가 차체 생산을 위해 도입한 기가캐스팅이 바로 다이캐스팅 장비이다. 서진시스템은 세계 최고 수준(고압)의 다이캐스팅 장비와 가장 많은 수의 부품 가공 머신센터, 오랜 시간 금속 가공 노하우와 저렴한 인건비 등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2017년 상장 이후 7배 이상 외형 성장하며 매출액 1조 클럽에 가입했다. 같은 기간 10배 가까이 증가한 자산 규모는 적극적인 선제 투자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시현함으로써 막강한 진입 장벽을 구축했음을 의미한다. 과거 통신장비 함체(Case) 또는 스마트폰 메탈케이스를 만드는 회사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현재는 ESS 완제품 및 반도체 장비 부품, 전기차 관련 부품 및 차체, AI 데이터센터, 지능형 로봇, 우주항공 부품 등 사업 영역이 다각화 되는 중이다. 핵심은 다양한 분야로 사업 영역을 넓혔지만 사업 방식에 대한 본질은 동일하나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다이캐스팅 메탈 플랫폼 업체의 장점이다. 해마다 쉼 없이 성장해 온 서진시스템의 발자취와 나아갈 길에 대해 판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각 사업부별 현황과 방향성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마지막 할인 기간이 끝나갑니다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41,000원을 유지한다. 연초 개장 이후 서진시스템의 주가는 상대적으로 부진한 흐름을 보인 것이 사실이다. 분기 실적 전환 및 대규모 유상증자 가능성에 대한 악성 루머, 글로벌 주요 고객사의 주가 부진, 우리나라 공매도의 전면 재개,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등이 악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다이캐스팅 관련 사업을 영위 중인 여타 국가의 기업들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의 수혜 가능성에 더욱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올해 예상 EPS 기준 PER 8.4배에 불과한 현재 주가 수준은 과도한 저평가 구간이라고 판단된다. 특히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던 악성 루머의 경우 모두 사실 무근임을 증명하고 있기에 더 이상의 주가 하방 압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 보고서 원문: https://buly.kr/FhNbvjo

SK증권 미드스몰캡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smallcap
SK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20.04.202508:34
[SK증권 조선 한승한] (shane.han@sks.co.kr/3773-9992)

▶️한수위: USTR의 중국 조선업 제재 결과 및 분석


▪️신조선가지수 187.33pt(-0.09pt), 중고선가지수 177.20pt(+0.21pt) 기록

▪️지난 4월 17일(현지시간), 미국 무역대표부(USTR)은 중국 조선/해운업 불공정 관행에 대한 최종 제재 조치 결과문을 발표. 조치 적용 범위는 지난 2월 발표된 공고문 내용 보다 대폭 완화됨. 이번 결과 내용은 크게 총 4개의 제재 조치 및 의무화(Annex 1~4)와 중국산 항만 하역 장비에 대한 관세 조치로 나눌 수 있음

▪️이전 제안이었던 ‘1회 입항 당’ 수수료 부과 및 각 제재 조치들의 중복 적용 내용은 사라짐. 또한 수주잔고 중 인도될 중국 조선소 건조 비중에 따른 수수료 조치가 제거됐으며, 기항(Port Call) 당이 아닌 항차(Voyage) 당 부과라는 점과 일부 소형 및 중형 선박에 대해 수수료 면제를 부여하면서 이전 대비 적용 범위가 대폭 축소

▪️이번 결과 중 제재 조치는 Annex 1) 중국 선사 소유 및 운영 선박에 대한 수수료, Annex 2) 중국 조선소 건조 선박, Annex 3) 비 미국산 차량운반선, 그리고 의무화 내용인 Annex 4) 미국산 LNGC 사용 의무화로 나뉨(표 1. 참고)

▪️제재 조치 (Annex1~3)는 서로 중복 부과되지 않으며, Annex 1 > Annex 3 > Annex 2의 우선순위를 가짐. 또한 수수료 부과 횟수는 선박 1척 기준으로 연 최대 5회로 제한. 3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수수료 강도가 확대될 예정(표 1. 참고)

▪️이번 완화된 조치에 대해 적용 범위와 강도가 이전 대비 완화된 것은 명백한 사실. 하지만 중국 선주 및 선사가 소유한 선박과 중국 조선소 건조 선박에 적용되는 수수료에 대해서는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음

▪️현재 아시아-휴스턴 항로 수에즈막스급 탱커 기준으로 NT(순 톤수) 당 약 $75의 스팟 운임을 지불하는 중. Annex 1 기준으로 ‘28년 4월 17일부터 NT당 $140의 수수료가 추가되면 이는 거의 2배 가까운 운임을 추가로 지불하게 되는 강한 강도. Annex 2 기준으로 $33/NT의 수수료가 추가로 붙게 되며 현재 운임 보다 약 45%의 높은 운임+수수료가 발생하게 됨. 기존 미 항로에 주로 입항했던 중국 선주 및 선사 및 중국 조선소 건조 선박은 이번 제재로 이전 대비 큰 타격이 발생한다는 점은 달라진 바 없음

▪️글로벌 선주 및 선사들의 선대 재편이 있을 수 있으나,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님. 무작정 선대 재편을 할 경우 선대 스펙 미스매치에 따른 운항 효율성 감소, 특정 항로 선대 공급 부족&과잉 효과, 그리고 재편 기회비용 등이 발생

▪️또한 기존 운용 선대 기준이 아닌 신조 발주를 계획 중인 글로벌 선주 및 선사들은 약 3.5년 이상의 글로벌 백로그 레벨을 고려하면 결국 ‘28년 4월부터 적용되는 최대 요율 기준으로 계산할 수밖에 없음

▪️선주들에게 180일간의 유예와 점진적인 강도 확대로 현실적인 준비 시간을 부여한 것일 뿐, 앞으로 중국 조선소에 발주하기 꺼려지게 된다는 점은 달라지지 않을 것. 더군다나 IMO의 중기조치(탄소세)에 따른 GFI 측정이 ‘28년부터 시작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친환경 및 노후선대 교체 수요 확대에 따른 신조 발주 수요 증가를 지연시키기 쉽지 않을 전망

▪️이에 따른 반사수혜는 한국과 일본 조선소가 누리게 될 것으로 전망되며, 조선업 비중확대(Overweight) 의견 유지

▶️보고서 원문: https://buly.kr/1u6Q1W

SK증권 조선 한승한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Cyclical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15.05.202522:49
[SK증권 미래산업/미드스몰캡] Analyst 허선재/02-3773-8197

▶️에스엠씨지 (460870/KQ) / 매수 (유지) / TP 7,500원 (유지)

★2분기 성수기 진입에 주목할 시점

[1Q25 Review: 영업이익 전년대비 21.6% 성장한 10억원]
- 1Q25 실적은 매출액 132억원 (+21.5% YoY), 영업이익 10억원 (+21.6% YoY, OPM 7.6%), 당기순이익 -16억원 (적자전환, YoY)을 시현하며 당사 추정치 부합
- 주요 고객사중 하나인 비나우의 브랜드 리뉴얼에 따른 실적 공백에도 불구하고 로레알, 더파운더즈(아누아), 에이피알(메디큐브), 달바글로벌 향으로 꾸준한 물량 확대가 이뤄지며 유의미한 실적 성장 기록. 당기순이익은 약 20억원 수준의 일회성 상장(합병)비용이 반영되며 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 2Q25 예상 실적은 매출액 176억원 (+15.1% YoY)과 영업이익 25억원 (+151.7% YoY, OPM 14.3%)으로 전망. 2분기에는 ①봄/여름 시즌 ②가정의 달 ③중국 6.18 쇼핑 시즌 대응 등을 위해 주요 브랜드사들의 신제품 출시가 시작되며 계절적 성수기 진입
- 실제로 4월부터 주요 고객사향 출하 물량이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며 매출 성장에 따른 본격적인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나타날 전망. 더불어 2H25에는 로레알의 립 신제품 출시 및 비나우의 리뉴얼 제품 출시 예정

[화장품 유리용기 수요 확대에 따른 영업레버리지 효과 지속될 것]
- 글로벌 화장품 산업에서의 유리 용기 시장은 ①국내외 플라스틱 규제 강화/친환경 브랜딩 확산 ②K-뷰티의 경쟁심화/고급화 트렌드에 따라 향후 구조적 성장 흐름을 이어갈 전망
- 한편, 동사는 지난 5월 7~8일 미국에서 열린 ‘LUXE PACK New York’ 패키징 박람회에 참석했으며, 행사 기간 동안 상당수의 글로벌 화장품 업체들이 대중국 관세 부담으로 인해 기존 중국 생산 유리 용기 물량을 한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파악. 동사의 직접적 수혜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
- 유리 용기 제조업은 유리물을 녹이는 용해로를 24시간 가동해야 되기 때문에 영업 레버리지가 크게 나타나는 전형적인 장치산업. 24년 기준 동사의 고정비 비중은 약 80%에 달하며 향후 본격적인 매출 성장에 따른 유의미한 영업이익률 상승이 동반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유지’, 목표주가 7,500원]
- 에스엠씨지 25년 예상 실적은 매출액 732억원 (+34.2% YoY)과 영업이익 101억원 (+127.9% YoY, OPM 13.8%)으로 추정
- 25년 주요 실적 성장 요인은 ①글로우레시피, 비나우, 달바 등 매출 상위 고객사의 기존 제품 재발주 확대 및 신규 제품 출시 ②색조 및 향수 제품으로의 매출 포트폴리오 다각화 등에 기인
- 향후 분기별로 기대 이상의 영업 레버리지가 확인되는 시점에는 추가적인 멀티플 리레이팅이 가능할 전망


▶️보고서 원문: https://buly.kr/6tbnwuN

▶️ SK증권 미드스몰캡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smallcap
▶️ SK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01.05.202522:39
[SK증권 조선 한승한] (shane.han@sks.co.kr/3773-9992)

▶️SHIPS Act 재발의와 국내 조선업 수혜


지난 4월 30일, 민주당 상원의원 마크캘리(Mark Kelly) 주도 하에 민주당과 공화당 일부 의원들이 SHIPS for America Act(이하 SHIPS Act)를 공동 재발의 했다. 이번 SHIPS Act의 주요 내용은 미국 조선선해운업의 재건 및 부흥이며, 이를 성공시키기 위한 핵심 기구 설립, 펀드 기금 조성, 전략상선단(SCF) 신설, 지원 프로그램, 인력 개발, 세제 혜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일부 조항들은 올해 4월 미 무역대표부(USTR)이 발표한 중국 조선선해운업 제재와 일맥상통하는 내용이며, 해당 제재를 입법화하여 제도적으로 고정하는 조치라고 보면 된다. 아직 법안의 의회 승인 이전 단계이지만, 공화당과 민주당의 공동발의라는 점을 고려하면 여야의 의견이 갈리지 않는 초당적 법안이기 때문에 추후 승인될 가능성은 상당히 높다는 판단이다.

SHIPS Act 승인 시 단기적으로는 전략상선단(SCF) 선종 특성을 고려하면 해당 물량 수주를 통해 가장 강한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종목은 HD현대미포다. 다만 중/장기적 관점에서 ‘31년부터 SCF의 외국 조선소 건조 선박 편입 불가’라는 조항과 미국의 LNG운반선 건조 역량 부재와 더불어 ‘미국산 LNGC비율 의무화’ 조항’, 그리고 무엇보다 각종 세제 혜택 및 보조금 지급이 ‘미국 내 건조(US-Built)’ 조건으로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필리조선소를 보유한 한화그룹(한화시스템&한화오션)이라는 판단이다. 다만 한화오션의 경우 산업은행 보유 지분에 대한 오버행 이슈가 해소되기 전까지는 주가 상승여력 제한적일 수 있다. 미국의 조선업 역량을 고려했을 때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성이 낮은 조항들도 분명 존재하기 때문에 향후 법안 개정 혹은 추가적인 법안 발의를 통해 다른 국내 조선사들의 미국 시장 진출을 통한 원조 및 수혜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다는 판단이다. 조선업 비중확대(Overweight) 의견 유지와 함께 조선주 최선호주(Top-Pick)로 HD현대미포를 제시한다.

▶️보고서 원문:
https://buly.kr/NjgaA5

SK증권 조선 한승한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Cyclical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06.05.202522:58
[SK증권 제약/바이오] Analyst 이선경
(
seonkyoung.lee@sks.co.kr/3773-9089)

▶️ 제약/바이오 Monthly

이제는 개화를 기다릴 때

1. AACR에서 찾은 Game changer Top 3 : Zongertinib(HER2 TKI), Zoldonrasib(KRAS-G12D), LCB39(STING)
2. 미국 내 생산 시설 투자 확대로 의약품 관세 협상 가능성 존재
3. FDA의 동물실험 축소 계획 발표, 중장기적 접근 필요
4. 4월에도 지속된 글로벌 기술이전의 열기, 선택이 아닌 필수
5. Ivonescimab OS 결과 발표, 시장의 과도한 우려
6. Orforglipron 결과 발표, 경구용 비만 치료제 관심 집중
7. EASL(5/7~5/10) : 주요 발표 내용
8. ASCO(5/30~6/3) : 국내 참여 기업 현황
9. 주목해야 할 국내 제약/바이오 주요 일정


▶️ 보고서 원문 : https://buly.kr/2fdZ9PI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11.05.202522:29
Analyst 나승두 (nsdoo@sks.co.kr/3773-8891)

▶️ 먹고, 자고, 노는 것들에 대한 이야기


우리나라 많이 놀러오네요 (월 외국인 입국자 수 기록 경신)

- 4월소비자심리지수소폭반등성공, 여행비지출및교양/오락/문화생활비지출전망반등
- 단기적큰고비였던정치적불확실성해소되었고, 오히려정책적경쟁을통한정책기대감기대할수있는국
- 1월이후연휴효과사라지며출국자줄었지만, 우리나라찾는외국인은기록경신중
- 우리나라국민, 동남아보다중국및일본찾는비중증가중
- 올해1분기중국향출국자+48.8% 증가, 같은기간일본은+6.7%, 태국및필리핀등은오히려감소
- 3월외국인입국자167만명, 코로나19 팬데믹이후최고수준, 중국/일본/동남아입국자고른성장
- 올해1분기중국출발우리나라입국자YoY +11.4% 증가, 일본은+19.1% 증가, 동남아도평균+10% 이상증가, 인바운드여행객호텔실적반등주목
- 제주도내국인입도객빠르게반등중이고, 외국인입도객도최고치경신임박
- 이제는코로나19 팬데믹기간이아닌, THAAD 배치로인한영향있었던2016년수준으로눈높이높여야할시점


▶️ 5월먹.자.놀.Top pick - 하나투어, 롯데관광개발, 서부T&D, JTC

▶️ 보고서 원문: https://buly.kr/YeVBb8

SK증권 미드스몰캡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smallcap
SK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07.05.202523:00
SK 증권 아침에 슥_2025.05.08.

미국 - FOMC 경제 견고 코멘트, 수출 규제 완화 가능성에 상승

ㆍ 연준 시장이 관세 협상 기다릴 정도로 견고하다는 발언에 안심, 반도체 수출 완화 기대감에 장막판 상승

유럽 - 4월말 이후 상승랠리에 대한 단기 차익 실현 매물
ㆍ 방어주 위주 상승, 연준 발표 이후에도 큰 움직임 안보여. 소매, 헬스케어 부문 약세

중국 - 무역 협상 재개, 부양책 기대감에 소폭 상승

ㆍ 인민은행 리포금리 10bp, RRR 50bp 하향 조정, 1조위안 유동성 공급 예고. 보험 및 부동산 섹터 강세

국내 - 미중 무역협상 기대감으로 기술주 위주 상승
ㆍ 국제 유가 하향 안정화 및 환율 약세로 한전 및 항공주 강세. 이재명 파기환송심 연기로 정치주 강한 변동성

보고서 원문 : https://buly.kr/31T5TcT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29.04.202523:27
[SK 증권 황지우][퀀트전략] 이길 수 없다면 합류하라


- 2020년 이후 개인투자자들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그 이전과는 사뭇 다름. 단순히 규모면에서 폭증한 것이 아니라 달라진 정보 전달 속도와 투자자 편의에 맞춘 MTS 및 ETF로 무장한 그들의 영향은 매우 강화된 군집 행동(Herding Behavior)으로 발현 중

- 과거의 밸류에이션을 참고하여 비싸다고 판단되는 종목들을 매도하거나, 남들도 다 안다는 이유로 주도주를 외면하는 과거의 투자 방식은 리스크가 훨씬 높아짐. 다만 모멘텀 투자는 필연적으로 가격 반전의 위험을 감수할 수 밖에 없으며, 그동안 상승을 지지해왔던 완화적 통화정책 수단이 묘연해지고 있는 만큼 모멘텀 전략의 위험은 확대되었다고 판단. 이에 따른 잠재적인 위험 관리가 필요한 시점

- 우선 모멘텀을 지탱해준 정책이 억제되는 가장 큰 이유가 가격 상승 압력이라는 가정 하에선 자산군 중 물가연동채권(TIPS) 등의 헷지 자산에 비중을 배부하는 것이 합리적. 한편 모멘텀 포트폴리오 내 위험을 절감하기 위해 Hierarchical Risk Parity 모델을 적용해본 결과, HRP 기반 비중 조절 전략이 동일 비중 전략에 비해서 고유위험(Idiosyncratic risk)을 더 효과적으로 분산시킨 것으로 관찰됨


보고서 원문 : https://buly.kr/D3eEUjL

* SK증권 자산전략부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Research_Asset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13.05.202523:28
[SK증권 제약/바이오] Analyst 이선경
(
seonkyoung.lee@sks.co.kr/3773-9089)

▶️ AACR 2025: 참관후기

글로벌 연구개발 Trend
① HER 2 변이 NSCLC에서 최초 TKI 가능성 확인
② Undruggable 타겟의 대표 주자 KRAS 확장 가능성 확인
③ 3세대 EGFR의 강력한 신규 주자 등장
④ 두경부암에서 새로운 표준 치료법의 등장
⑤ 차세대 ADC를 향한 도전 : 듀얼 페이로드, 이중항체 ADC
⑥ 고형암을 향한 T cell Engager의 도전
⑦ 예견된 anti-TIGIT의 실패
⑧ 이변은 없었던 CAR-NK
⑨ 가능성을 확인한 고형암 CAR-T
⑩ CD40의 부활 가능성 확인

기업분석
리가켐바이오(141080/KQ/매수(유지)) / 160,000원
와이바이오로직스(338840/KQ/Not Rated)

▶️ 보고서 원문 : https://buly.kr/DEZ4YCr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18.05.202507:39
[SK증권 조선 한승한] (shane.han@sks.co.kr/3773-9992)

▶️한수위: 국내 조선업체들 북미 조선&함정&기자재 시장 노린다


▪️신조선가지수 186.80pt(-0.03pt), 중고선가지수 177.32pt(+0.92pt) 기록

▪️지난 16일,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인 제이미슨 그리어는 HD현대 정기선 수석부회장과 한화오션 김희철 대표와 제주에서 만나 양국 간의 조선업 협력방안에 대해서 논의

▪️한화오션은 거제 사업장의 스마트 생산 시스템을 미국 필리조선소에 적용할 계획이며, 다양한 수요와 장기적인 생산 역량 확보를 고려해 미국 내 추가 생산 거점 설립을 검토 중. 이를 통해 실질적인 협력 성과를 만들어 낼 계획임을 밝힘

▪️HD현대는 HD현대중공업과 미국 헌팅턴 잉걸스 간의 협력 사례를 소개하며 공동 기술개발, 선박 건조 협력, 기술 인력 양성 등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제시했으며, 미국 내 중국산 항만 크레인의 독점적 공금 문제 해결을 위해 HD현대삼호의 크레인 제조 역량을 소개

▪️미국은 지난 ‘24년에 5년 간 200억 달러를 투입해 항만 크레인 교체 추진을 발표했음. 지난 ‘24년 9월에 이와 관련해 USTR은 ‘24년 5월 14일 이전에 주문되고 ‘26년 5월 14일 이전에 인도되는 STS 크레인에 대해 25%의 관세를 면제하기로 결정한 바 있음. 하지만 올해 4월 USTR이 발표한 새로운 조치로 인해 중국산 STS 크레인에 대한 관세 면제 조치가 변경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 미 현지시간으로 5월 19일에 중국산 항만 크레인 관세 관련 공청회 예정

▪️미국은 일본 Mitsui E&S와 PACECO Corp(Mitsui E&S의 100% 자회사), 캐나다 Brookfield 간의 협력을 통해 미국 캘리포니아 항만의 중국산 크레인을 교체하는 프로젝트를 이미 진행 중. Mitsui E&S는 미국 연방 자금 지원을 받기 위해 ‘BABA(Build America, Buy America)’ 법안을 준수하고 있으며, 해당 정책에 따르면 크레인 부품의 55% 이상을 미국산으로 조달하고, 최종 조립 또한 미국 내에서 수행해야 함

▪️국내 선박용 크레인 업체들이 미국 항만 크레인 시장에 진출하려면 ‘BABA’ 정책을 충족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중국산 부품 사용 비중 감축 뿐만 아니라 인수 혹은 투자를 통해 미 현지 생산 거점을 확보해야 함. 향후 국내 조선/기자재 업체들의 미국 항만 크레인 시장 진출 관련한 움직임 모니터링 필요

▪️지난 15~16일, 방위사업청장은 캐나다를 방문해 캐나다 정부의 국방/안보 전문 싱크탱크인 ‘캐나다 국제문제연구소(CGAI)’와 국방방산 분야 교류 및 협력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 국방부, 산업부 고위급 관계자 및 해군 사령관 등의 군 관계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다양한 방산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으며, 해당 면담에는 캐나다 차세대 잠수함 사업(CPSP) 수주를 타겟하고 있는 팀 코리아(HD현대중공업&한화오션)가 함께 참여

▪️지난 16일, SK오션플랜트는 미 해군 함정 MRO 시장 진출을 위한 입찰 참여 및 MSRA 취득 등 본격적인 준비에 나섰다고 밝힘. 조기 시장진입이 가능한 군수지원함 MRO 사업에 올해 말부터 입찰 참여한다는 계획이며, 이에 필요한 MSRA 취득을 위해 TF 구성 및 관련 준비에 착수. ‘26년 말까지 협약을 체결해 ‘27년부터 연간 4~5척 수주를 목표

▪️SK오션플랜트는 (구)삼강엠앤티 시절, 대한민국 해군과 해양경찰청에 30여척 이상의 함정을 건조하여 성공적으로 인도한 경험이 있으며, 현재 대한민국 해군의 최신형 호위함인 울산급 Batch-III 2, 3, 4번함을 동시 건조 중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 뿐만 아니라 국내 조선/기자재 업체들의 미국 조선업 시장 진출 가능성은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중. 특히 단기적 관점에서 미국의 조선/해운업 재건과 해군력 강화를 위한 과정에서 부족한 공급망 확보를 위해 조선 동맹국가(한국&일본)의 기자재 업체들의 도움 또한 필요할 것으로 전망. 조선업 비중확대(Overweight) 의견 유지

▶️보고서 원문: https://buly.kr/AF0DRtE

SK증권 조선 한승한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Cyclical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18.05.202522:44
[SK증권 조준기] [Market Nowcast] 잠깐 조심할 시간


[Week Ahead]

- 지난 주도 강세 지속. 미중 실무진 관세 협상 결과(미국은 대중 관세를 145%에서 30%로, 중국은 대미 관세를 125%에서 10%로 90일간 유예)에 시장이 환호하며 나스닥 중심의 강세 시현. 미국 소비자물가지수와 생산자물가지수 모두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는 등 관세 노이즈가 아직까지 실제 하드 데이터까지는 영향 미치지 못하고는 있으나 지난 주 금요일 밤 발표되었던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추가 급락 및 기대인플레이션 급등(1Y 6.5%에서 7.3%으로 상승, 5Y 4.4%에서 4.6%로 상승)하며 소프트 데이터 부진 지속

- 당분간 상승 여력 제한 혹은 소강 상태 돌입 전망. 이번주 주요 일정 제한적인 가운데 1) 미국 신용등급 소식이 최근 강한 증시상승에 따른 단기 기술적 부담(미국 RSI 70, 코스피도 60 중후반)속에서 단기 조정 빌미로 작용할 가능성 높음. 2) 반도체주 가격 이미 많이 오른 가운데(KODEX 반도체 4월 초 저점 대비 16.6% 상승, 1M수익률 +11%) 다음 주 엔비디아 실적 앞두고 경계감 유입될 가능성 높다는 판단. 중장기적 방향성과 별개로 단기적으로는 손익비 좋지 않은 구간에 위치

- 미국 신용등급 강등: Moody’s는 미국 신용등급을 Aaa에서 Aa1로 하향 조정해 3대 신평사 모두 미국에게 최고등급을 부여하지 않게 됨. 전망은 기존 부정적에서 안정적(Aa1이 안정적이라는 것)으로 변경. 주요 골자는 경제는 강력하지만 비슷한 신용등급 국가 대비 정부 부채와 이자 지급비율이 상당히 높은 점, 심각한 재정 적자와 향후 심화 가능성 등이 주를 이룸

- 무디스의 보도 자료에서는 정부 수입을 실질적으로 늘리거나 지출을 줄이는 등의 방법으로 부채 감당 능력과 재정 적자의 악화를 상당히 늦추고 결국 역전시키기 위한 재정 개혁을 시행하면 향후 신용등급 상향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적혀 있는데, 트럼프가 바이든 정권 탓을 하며 현재 소강상태에 놓여 있던 정책 드라이브를 다시 세게 걸 빌미로도 작용할 수 있다는 의견

- 2011년 S&P의 첫 신용등급 강등 당시만큼 낙폭이 크지는 않을 것. 또한 재작년 Fitch의 미국 신용등급까지 겪으며 시장의 경험치는 축적되어 있다는 생각. 그럼에도 2023년 당시에도 증시가 잠시 부진했고 현재는 가격 부담이 있다는 점에서 기간 조정이든 가격 조정이든 단기적으로는 염두에 두어야 할 것. 다행히 가상 자산 시장에서는 뚜렷한 위험 회피 심리가 관측되고 있지는 않음

- 국내 증시는 외국인이 3주 연속 코스피 현물 순매수 지속하고 있으며 그 규모가 확대되는 추세(2700억원->5500억원->1.1조원). 외국인의 코스피 매도는 작년 하반기부터 올해 3월 초까지는 삼성전자에 집중된 매도, 3월 초부터 5월 초까지는 인덱스 전체 매도, 최근 매수 구간 동안에서는 다시 인덱스 전체 매수로 변화. 작년 하반기 고점 대비 외국인 누적 순매도가 -45조원에 달할 정도로 외국인 수급은 여전히 크게 비어 있는 상황으로 외국인 순매수의 지속성만 담보된다면 크게 불편하지 않은 구간 이어질 가능성 높음








보고서 원문: https://buly.kr/HSXHtTq

* SK증권 자산전략부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Research_Asset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转发自:
[ IT는 SK ] avatar
[ IT는 SK ]
15.05.202523:24
# 덕산네오룩스
- 우려했던 1분기 이후 모멘텀 구간 임박


[ SK증권 권민규, 박형우 ]
디스플레이/IT중소형

▶️ 결론
- 연간 매출액은 소폭 하향, 이익률은 상향되어 유지 흐름
- 다변화된 아이템 포트폴리오로 높은 이익률 지속
- 모멘텀 개화 본격화에 따른 상승여력 충분 판단

▶️ 1Q25 Review: 매출 하락에도 이익 체력 향상
매출액 하회 요인
①중국 패널 업체들의 공급 과잉
②주요 고객사의 4Q24 조기 생산으로 인한 재고 소진
OP 상회 요인
①믹스 개선
②주요 개발과제 수행으로 개발매출(샘플) 확대
③퇴직급여 감소
④고환율 지속

▶️ 1분기가 지나고 본격적인 성장 시작, 모멘텀 요소도 실현 중
- 2분기부터 고부가 개발매출(샘플) 크게 확대
(신소재, IT OLED, 차세대 북미 고객사 스마트폰향 소재구조)
- 2분기 말부터 북미 고객사 스마트폰향 소재 공급 시작
- 모멘텀 요소 개화
① 폴더블 아이폰
② 중국 패널업체 소재 퀄
③ Black PDL 신규 아이템
④ 신소재(블루)

▶️ 목표주가 43,000원 유지, 투자의견 매수 제시
- 연간 매출액 목표치 하향에도 목표주가 유지
- 향상된 이익 체력, 모멘텀, 하반기 실적성장 감안시 여전히 주가 업사이드 여력 多

▶️ URL:
https://buly.kr/61213VH
18.05.202522:34
[SK증권 ESG/통신서비스/지주 최관순] (ks1.choi@sks.co.kr/3773-8812)

▶️SK(A034730) 매수/190,000원
재무구조 개선 통한 디스카운트 해소

1Q25: 순차입금 크게 감소
SK 1Q25 실적은 매출액 31.2조원(-3.7% 이하 YoY), 영업이익 3,998억원(-72.8%, OPM: 1.3%)이다. SK E&S와 SK이노베이션 합병 이후 배당금 수입 감소로 별도 영업이익이 70.5% 감소하였으며, SK이노베이션이 적자전환 하면서 연결 실적은 대체로 부진했다. 다만 비상장사인 SK에코플랜트와 SK실트론 영업이익이 전년 수준을 유지한 가운데 SK팜테코 영업손실은 300억원 가량 축소되었다. 별도 기준 순차입금은 SK스페셜티 매각에 따라 8.1조원으로 전기 대비 2.4조원 감소하며 재무구조 개선이 확인되었다.

리밸런싱 통한 재무구조 개선
SK는 사업 간 시너지 극대화 및 미래성장기반 강화를 위한 그룹 내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을 추진하고 있다. SK가 보유하던 SK트리켐, SK레조낙, SK머티리얼즈제이엔씨 주식을 SK에코플랜트로 현물출자하고,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 주식은 SK에코플랜트 와 포괄적 주식교환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SK에코플랜트 기업가치는 5조원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며 SK의 SK에코플랜트 지분율은 기준 62.2%에서 65.9%로 상승하게 된다. 또한 C&C가 보유하던 판교 데이터센터를 SK브로드밴드에 매각할 예정이다. 매각금액은 5,068억원 2분기말까지 거래가 종료될 예정이다. SK는 SK스페셜티 매각에 이어 다양한 리밸런싱 추진하고 있는데 사업부문 단순화 및 재무구조 개선 측면에서 긍정적 요인이다.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90,000원(유지)
SK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한다. 리밸런싱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이 확인됨에 따른 주가 디스카운트 요인이 해소될 시점이라 판단하기 때문이다. SK는 기본배당 5,000원에 시가총액의 1~2%의 추가 주주환원 정책을 보유하고 있는데 리밸런싱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을 고려한다면 지난해 추가 배당 2,000원(시가총액의 1.1%)을 넘는 기말 주주환원을 기대해 볼만하다.

▶️보고서 원문 : https://buly.kr/58SFEEw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转发自:
[ IT는 SK ] avatar
[ IT는 SK ]
29.04.202522:56
# 코스모신소재
- 불황을 버티는 힘: 현금흐름, 부채비율, 보유부지


[ SK증권 박형우, 권민규 ]
2차전지, IT부품/전기전자

▶️ 1분기 리뷰
- 관세/무역분쟁 영향으로 실적 감소

▶️ 2분기 전망
- 2분기도 부진 전망
- 매출 회복은 6월부터
- 분기기준으로는 3분기 반등 예상

▶️ 증설 (CAPEX) 계획 중간점검
- 2년 전 증설 목표, 예정대로 진행 중

▶️ 목표주가 50,000원으로 커버리지 재개
- 중장기 투자포인트
① 불황에서도 양호한 현금흐름
② 건전한 부채비율, 순차입금비율(35%)
③ 투자부담을 완화시키는 보유부지

▶️ URL:
https://buly.kr/ESyIKjy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