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Анатолий Шарий

Україна Сейчас | УС: новини, політика, війна

Всевидящее ОКО: Україна | Новини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Лачен пише

Инсайдер UA | Україна | Новини

Анатолий Шарий

Україна Сейчас | УС: новини, політика, війна

Всевидящее ОКО: Україна | Новини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Лачен пише

Инсайдер UA | Україна | Новини

Анатолий Шарий

Україна Сейчас | УС: новини, політика, війна

Всевидящее ОКО: Україна | Новини

알파카 주식 목장
기업들의 투자아이디어 정리
해당 텔레그램에 게재되는 모든 게시물에 대한 매수매도 의견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동 텔레그램은 모든 기업에 대해 매수/매도 추천을 하지 않습니다. 본 채널은 단지 투자아이디어만을 제시할 뿐, 투자에 대한 모든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각자에게 있습니다.
해당 텔레그램에 게재되는 모든 게시물에 대한 매수매도 의견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동 텔레그램은 모든 기업에 대해 매수/매도 추천을 하지 않습니다. 본 채널은 단지 투자아이디어만을 제시할 뿐, 투자에 대한 모든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각자에게 있습니다.
Рейтинг TGlist
0
0
ТипПубличный
Верификация
Не верифицированныйДоверенность
Не провернныйРасположение
ЯзыкДругой
Дата создания каналаСерп 15, 2023
Добавлено на TGlist
Вер 13, 2024Прикрепленная группа

알파카 주식 목장
37
03.02.202501:31
리가켐의 시총은 4.5조로 평가받고 있는 반면, 에이비엘의 시총은 약 1.7조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에이비엘은 이중항체&ADC라는 글로벌 빅트렌드 수혜를 동시에 누릴 수 있는 기업임에도 불구하고 리가켐바이오 대비 저평가를 받고 있는 것인데요.
그 이유로는 ① 리가켐x얀센처럼 '미국' 빅파마 대상 LO가 없고, ② 플랫폼 딜이 나오고 있지 않으며, ③ 상업화된 품목이 없기 때문입니다. 위 세 가지 요인에서 에이비엘바이오가 모두 리가켐바이오 대비 열위이기에 양사 간 밸류 갭이 정당화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이러한 밸류 갭이 축소될 여러가지 단서가 제시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힌트들은 충분히 주가적으로 긍정적이게 반영될 가능성이 있기에 꼭 공부해야 할 요소입니다.
[ ① ABL001 토베시미그 임상 3상 성공 ]
컴퍼스 테라퓨틱스가 예상하고 있는 담도암 2차 치료제에서의 토베시미그 예상 매출액은 $1B(한화 1.4조 원)으로, 로열티 8% 감안시 에이비엘바이오가 수취할 로열티 금액은 1,000억 원을 상회합니다.
에이비엘바이오가 기술이전한 토베시미그는 중국보다도 시장 규모가 큰 미국에서 항암제 상업화를 시도합니다, 리가켐의 LCB14가 중국에서의 상업화라면, 에이비엘은 미국 상업화이기에 더 큰 밸류 프리미엄이 가능할 전망입니다.
★ 따라서 토베시미그의 상업화에 성공하면 리가켐바이오의 시총 50%까지는 충분히 인정받을 여력이 되지 않을까..? 가 핵심포인트.
[ ② 사노피 딜보다 더 큰 LO 예고 ]
에이비엘바이오 대표님이 진행하신 IR에서 아래와 같이 코멘트했습니다
지난 하반기 당시 수령했던 텀싯보다도 좋은 계약 조건을 제시한 제약사가 등장했다고도 첨언했습니다.
리가켐은 얀센과 23년 12월 22일 LO 계약을 계약금 1,300억원을 포함한 총 2.25조에 달하는 규모의 딜을 맺은 이후 기업가치가 3배 가까이 급등했습니다. 즉, 에이비엘의 가장 큰 밸류 할인 요소는 빅파마와 LO이며, 만약 사노피급 미국 빅파마와 LO를 성사시킬 수만 있다면 리가켐의 23년도 12월처럼 기업가치가 꾸준히 상승할 수 있는 논리적 타당성이 됩니다.
★ 따라서 토베시미그의 상업화에 대형 LO까지 나와준다면 리가켐바이오의 시총 7~80%까지는 충분히 인정받을 여력이 되지 않을까..? 가 두번째 포인트.
작성 : 알파카 이코노미아
자세한 내용은 네프콘 참조
https://contents.premium.naver.com/startale0517/startale/contents/250129181248183hm
그 이유로는 ① 리가켐x얀센처럼 '미국' 빅파마 대상 LO가 없고, ② 플랫폼 딜이 나오고 있지 않으며, ③ 상업화된 품목이 없기 때문입니다. 위 세 가지 요인에서 에이비엘바이오가 모두 리가켐바이오 대비 열위이기에 양사 간 밸류 갭이 정당화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이러한 밸류 갭이 축소될 여러가지 단서가 제시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힌트들은 충분히 주가적으로 긍정적이게 반영될 가능성이 있기에 꼭 공부해야 할 요소입니다.
[ ① ABL001 토베시미그 임상 3상 성공 ]
컴퍼스 테라퓨틱스가 예상하고 있는 담도암 2차 치료제에서의 토베시미그 예상 매출액은 $1B(한화 1.4조 원)으로, 로열티 8% 감안시 에이비엘바이오가 수취할 로열티 금액은 1,000억 원을 상회합니다.
에이비엘바이오가 기술이전한 토베시미그는 중국보다도 시장 규모가 큰 미국에서 항암제 상업화를 시도합니다, 리가켐의 LCB14가 중국에서의 상업화라면, 에이비엘은 미국 상업화이기에 더 큰 밸류 프리미엄이 가능할 전망입니다.
★ 따라서 토베시미그의 상업화에 성공하면 리가켐바이오의 시총 50%까지는 충분히 인정받을 여력이 되지 않을까..? 가 핵심포인트.
[ ② 사노피 딜보다 더 큰 LO 예고 ]
에이비엘바이오 대표님이 진행하신 IR에서 아래와 같이 코멘트했습니다
"사노피보다 더 좋은 딜을 기대할 수 있을 것"
지난 하반기 당시 수령했던 텀싯보다도 좋은 계약 조건을 제시한 제약사가 등장했다고도 첨언했습니다.
리가켐은 얀센과 23년 12월 22일 LO 계약을 계약금 1,300억원을 포함한 총 2.25조에 달하는 규모의 딜을 맺은 이후 기업가치가 3배 가까이 급등했습니다. 즉, 에이비엘의 가장 큰 밸류 할인 요소는 빅파마와 LO이며, 만약 사노피급 미국 빅파마와 LO를 성사시킬 수만 있다면 리가켐의 23년도 12월처럼 기업가치가 꾸준히 상승할 수 있는 논리적 타당성이 됩니다.
★ 따라서 토베시미그의 상업화에 대형 LO까지 나와준다면 리가켐바이오의 시총 7~80%까지는 충분히 인정받을 여력이 되지 않을까..? 가 두번째 포인트.
작성 : 알파카 이코노미아
자세한 내용은 네프콘 참조
https://contents.premium.naver.com/startale0517/startale/contents/250129181248183hm
25.02.202500:36
📊 엠오티 : 전고체+4680+ESS용 LFP 진출 with 삼성SDI
동사는 삼성SDI향 유일 텝 웰딩 및 패키징 조립 공정 설비 독점 기업
🔋삼성SDI 전고체 27년 상용화 드라이브
- 삼성SDI가 가장 빠른 전고체 상업화 일정(27년), 스케쥴대로라면 올해 내로 전고체 양산 설비 수주 시작
- 전고체는 양극과 음극을 완전 밀착시켜 에너지 정밀도 높여야하는데, 동사는 고압력·초정밀 제어 용접 기술을 적용한 전고체 조립설비 파일럿 라인 3종을 개발 완료
- 삼성SDI향 전고체 이차전지 Pilot 라인에 전고체 조립 설비 납품까지 완료, 23년 포드에 전고체 배터리 반자동 조립 라인 납품도 완료
💰 삼성SDI 신규 사업 4680 원통형+ESS용 LFP 배터리도 함께
- 삼성SDI의 '50A급 초고출력 원통형 배터리'와 'LFP+ 플랫폼 소재/극판 기술'이 인터배터리 어워즈 2025 수상작으로 선정
- 현재 삼성SDI는 원통형 배터리와 ESS용 LFP를 신규 먹거리로 삼고 있는데, 엠오티도 4680 원통형 배터리에 특화된 비딩 방식을 적용한 조립 라인 개발 성공, 최종 테스트 완료 후 양산 절차 협의중
https://view.asiae.co.kr/article/2025022414015583872
- ESS용으로 필요한 초대면적 배터리 조립 라인 개발 완료, 삼성SDI와 퀄테스트까지 마치고 마더라인에 납품 완료
📈 실적 나오는 2차전지 장비주
- 동사 매출 22년 633억 → 23년 737억 → 24년 848억에, 영익 22년 12억→23년 43억→24년 65억으로 전기차 캐즘에도 불구하고 실적 성장중
- 최근 삼성SDI와 GM 합작사 현장설명회가 열렸는데, 1.3조 규모의 설비투자에서 동사는 텝 웰딩 조립공정 독점 수주 예상
- 상장 이후 60억+96억+124억 수주계약 3건 공시했는데, GM 합작사+전고체+4680원통+ESS용LFP 수주가 역대급으로 증가할 가능성 상당하지 않을까
📖 기타 수급적 요인
- 공모가 10,000원으로 아직까지 업사이드 많이 남았고, 유통금액도 적어 품절주 대열
- 지금까지 보호예수 물량이 풀리면서 하락했는데, 최근 3개월 보호예수 물량 풀리면서 오버행 물량 상당수 해소 완료
- 또한 전기차 섹터가 반도체나 로봇 대비 수급이 거의 빈집이라서, 큰 돈을 운영하는 주체 입장에선 조금만 매수해도 상승이 엄청 나오는 매우 매력적인 섹터
- 많은 사례에서 확인됐듯, 오버행 해소+좋은 모멘텀+수급 빈집 = 주가 상승
리스크 : 경쟁사의 등장, 품절주에 따른 주가 변동성, 전고체 일정 지연 등
동사는 삼성SDI향 유일 텝 웰딩 및 패키징 조립 공정 설비 독점 기업
🔋삼성SDI 전고체 27년 상용화 드라이브
- 삼성SDI가 가장 빠른 전고체 상업화 일정(27년), 스케쥴대로라면 올해 내로 전고체 양산 설비 수주 시작
- 전고체는 양극과 음극을 완전 밀착시켜 에너지 정밀도 높여야하는데, 동사는 고압력·초정밀 제어 용접 기술을 적용한 전고체 조립설비 파일럿 라인 3종을 개발 완료
- 삼성SDI향 전고체 이차전지 Pilot 라인에 전고체 조립 설비 납품까지 완료, 23년 포드에 전고체 배터리 반자동 조립 라인 납품도 완료
💰 삼성SDI 신규 사업 4680 원통형+ESS용 LFP 배터리도 함께
- 삼성SDI의 '50A급 초고출력 원통형 배터리'와 'LFP+ 플랫폼 소재/극판 기술'이 인터배터리 어워즈 2025 수상작으로 선정
- 현재 삼성SDI는 원통형 배터리와 ESS용 LFP를 신규 먹거리로 삼고 있는데, 엠오티도 4680 원통형 배터리에 특화된 비딩 방식을 적용한 조립 라인 개발 성공, 최종 테스트 완료 후 양산 절차 협의중
https://view.asiae.co.kr/article/2025022414015583872
- ESS용으로 필요한 초대면적 배터리 조립 라인 개발 완료, 삼성SDI와 퀄테스트까지 마치고 마더라인에 납품 완료
📈 실적 나오는 2차전지 장비주
- 동사 매출 22년 633억 → 23년 737억 → 24년 848억에, 영익 22년 12억→23년 43억→24년 65억으로 전기차 캐즘에도 불구하고 실적 성장중
- 최근 삼성SDI와 GM 합작사 현장설명회가 열렸는데, 1.3조 규모의 설비투자에서 동사는 텝 웰딩 조립공정 독점 수주 예상
- 상장 이후 60억+96억+124억 수주계약 3건 공시했는데, GM 합작사+전고체+4680원통+ESS용LFP 수주가 역대급으로 증가할 가능성 상당하지 않을까
📖 기타 수급적 요인
- 공모가 10,000원으로 아직까지 업사이드 많이 남았고, 유통금액도 적어 품절주 대열
- 지금까지 보호예수 물량이 풀리면서 하락했는데, 최근 3개월 보호예수 물량 풀리면서 오버행 물량 상당수 해소 완료
- 또한 전기차 섹터가 반도체나 로봇 대비 수급이 거의 빈집이라서, 큰 돈을 운영하는 주체 입장에선 조금만 매수해도 상승이 엄청 나오는 매우 매력적인 섹터
- 많은 사례에서 확인됐듯, 오버행 해소+좋은 모멘텀+수급 빈집 = 주가 상승
리스크 : 경쟁사의 등장, 품절주에 따른 주가 변동성, 전고체 일정 지연 등
31.01.202500:43
📈 온코크로스 : 바이오 + AI SW
- 딥시크의 출현은 결국 AI 대중화로 간다는 측면에서 AI SW의 비용절감으로 이어질 가능성 多
- 실제로 딥시크 쇼크 이후 AI CAPEX 위주의 반도체, 전력, 에너지는 하락했지만, AI CAPEX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빅테크(메타, 구글 등)나 AI SW(슈뢰딩거, Tempus AI, 나테라 등)은 오히려 급등
- 미장에서 AI SW 띰이 불붙고 있는만큼 이에 대응할만한 국장 AI SW 기업은 어디일까 고민할 필요
★ 국장의 슈뢰딩거를 꿈꾸다
온코크로스는 세포의 RNA 전사체 증감을 AI로 분석해 신규 적응증을 발견하거나 병용 약제를 발굴하는 BM
- 자체 개발한 RAPTOR AI 플랫폼으로 약물의 병용/신규 적응증을 찾아내는 서비스를 제공 or 제약바이오사와 공동개발
- 미국의 슈뢰딩거와 비슷한 BM
- 에스티팜, 동화약품, 보령, JW중외제약 등 국내제약사 뿐만 아니라 프랑스 4P파마와 피부경화증, 스위스 알파몰과 간경화 치료제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계약 체결하며 레퍼런스 다수 확보
▶️ 미장의 바이오+AI SW라는 띰에 정확히 부합하지 않나 싶음. 엔비디아 바이오니모 사용한다는 이야기 나오면 급등할텐데...
★ 미장 거물들의 AI 신약 개발 기업 매수
- 최근 OpenAI 샘 올트먼이 스타게이트 발표자리에서 AI 신약개발의 중요성을 피력한 바 있으며, 이에 슈뢰딩거/TEMPUS AI 등 의료AI/AI 신약개발 급등
- 펠로시의 포트폴리오에 TEMPUS AI 신규 매수,드라켄밀러의 포트폴리오에 AI 진단 기업 나테라 매수(비중 1위), 아크 유전자 바이오 ETF에 AI 신약개발 기업 리커전이 비중 2위
- 현재 미국은 AI SW를 활용한 AI 신약개발 기업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만큼 온코크로스도 공부할 필요가 있을 듯
★ 회사 가이던스
- 회사는 가이던스로 24년도 매출 12억 영익 -57억 / 25년도 매출 37억 영익 -44억 / 26년도 매출 85억 BEP / 27년도 매출 177억 영익 94억 제시(현재 fPOR 9.5배)
- 동사는 24년도 말에 상장했기에 24년도 매출 가이던스는 충분한 숫자 베이스로 했을 듯
- AI 신약 개발기업은 우리나라에서 신테카바이오와 파로스아이바이오 정도이지만, 모두 매출이 발생하지 않음에도 1,100억대로 평가
- 온코크로스가 가이던스대로 24년도에 매출 12억 기록한다면 적어도 이들 기업보단 시총이 높아질 필요가 있지 않을까(현재 시총 900억)
- 1개월 락업물량 해제로 하락했지만, 많이들 경험했다시피 일시적 수급이슈로 인한 주가 하락은 큰 기회. 동사는 1개월 락업 해제 이후 3개월 해제물량 소액만 남아있는 상황이라 오버행 물량 해소 완료.
▶️ 물론 우리나라 AI 신약개발이 지난 몇년동안 보여준 게 없지만, AI SW 띰에 정확히 부합하고 신규상장주라는 점에서 하이젠알앤엠 느낌이 나긴 하네요
- 딥시크의 출현은 결국 AI 대중화로 간다는 측면에서 AI SW의 비용절감으로 이어질 가능성 多
- 실제로 딥시크 쇼크 이후 AI CAPEX 위주의 반도체, 전력, 에너지는 하락했지만, AI CAPEX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빅테크(메타, 구글 등)나 AI SW(슈뢰딩거, Tempus AI, 나테라 등)은 오히려 급등
- 미장에서 AI SW 띰이 불붙고 있는만큼 이에 대응할만한 국장 AI SW 기업은 어디일까 고민할 필요
★ 국장의 슈뢰딩거를 꿈꾸다
온코크로스는 세포의 RNA 전사체 증감을 AI로 분석해 신규 적응증을 발견하거나 병용 약제를 발굴하는 BM
- 자체 개발한 RAPTOR AI 플랫폼으로 약물의 병용/신규 적응증을 찾아내는 서비스를 제공 or 제약바이오사와 공동개발
- 미국의 슈뢰딩거와 비슷한 BM
- 에스티팜, 동화약품, 보령, JW중외제약 등 국내제약사 뿐만 아니라 프랑스 4P파마와 피부경화증, 스위스 알파몰과 간경화 치료제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계약 체결하며 레퍼런스 다수 확보
▶️ 미장의 바이오+AI SW라는 띰에 정확히 부합하지 않나 싶음. 엔비디아 바이오니모 사용한다는 이야기 나오면 급등할텐데...
★ 미장 거물들의 AI 신약 개발 기업 매수
- 최근 OpenAI 샘 올트먼이 스타게이트 발표자리에서 AI 신약개발의 중요성을 피력한 바 있으며, 이에 슈뢰딩거/TEMPUS AI 등 의료AI/AI 신약개발 급등
- 펠로시의 포트폴리오에 TEMPUS AI 신규 매수,드라켄밀러의 포트폴리오에 AI 진단 기업 나테라 매수(비중 1위), 아크 유전자 바이오 ETF에 AI 신약개발 기업 리커전이 비중 2위
- 현재 미국은 AI SW를 활용한 AI 신약개발 기업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만큼 온코크로스도 공부할 필요가 있을 듯
★ 회사 가이던스
- 회사는 가이던스로 24년도 매출 12억 영익 -57억 / 25년도 매출 37억 영익 -44억 / 26년도 매출 85억 BEP / 27년도 매출 177억 영익 94억 제시(현재 fPOR 9.5배)
- 동사는 24년도 말에 상장했기에 24년도 매출 가이던스는 충분한 숫자 베이스로 했을 듯
- AI 신약 개발기업은 우리나라에서 신테카바이오와 파로스아이바이오 정도이지만, 모두 매출이 발생하지 않음에도 1,100억대로 평가
- 온코크로스가 가이던스대로 24년도에 매출 12억 기록한다면 적어도 이들 기업보단 시총이 높아질 필요가 있지 않을까(현재 시총 900억)
- 1개월 락업물량 해제로 하락했지만, 많이들 경험했다시피 일시적 수급이슈로 인한 주가 하락은 큰 기회. 동사는 1개월 락업 해제 이후 3개월 해제물량 소액만 남아있는 상황이라 오버행 물량 해소 완료.
▶️ 물론 우리나라 AI 신약개발이 지난 몇년동안 보여준 게 없지만, AI SW 띰에 정확히 부합하고 신규상장주라는 점에서 하이젠알앤엠 느낌이 나긴 하네요


05.02.202515:27
미장은 10년채 금리 하락에 따라 바이오 섹터가 강세입니다. 섹터 ETF로 보면 XBI +2%, IBB +2%네요. #알보리펩에이비엘
그중에서도 AI가 붙은 AI 진단과 AI 신약개발이 특히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확실히 ai가 글로벌 띰이 맞긴 한가봅니다.
AI 진단 : 템퍼스AI +12% #쓰리빌리언 #루닛뷰노
AI 신약개발 : 리커전 슈뢰딩거 +4~6% #온코크로스 #신테카파로스
바붐온 가보자고~~
그중에서도 AI가 붙은 AI 진단과 AI 신약개발이 특히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확실히 ai가 글로벌 띰이 맞긴 한가봅니다.
AI 진단 : 템퍼스AI +12% #쓰리빌리언 #루닛뷰노
AI 신약개발 : 리커전 슈뢰딩거 +4~6% #온코크로스 #신테카파로스
바붐온 가보자고~~
Переслал из:
탐방봇

11.02.202504:33
🤖 탐방봇 탐방노트 : 듀켐바이오
[배경]
1. 알츠하이머 치료제인 레켐비와 키순라는 기존 치료제와는 달리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을 직접 제거하는 기전으로 알츠하이머 진행을 늦추는 최초의 치료제
2. 2024년 11월 레켐비 국내 출시하였으며, 2026년 키순라 국내 출시 예정
3. 알츠하이머 진단/투약/경과를 지켜보기 위해서는 PET/CT를 통해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촬영이 필요
4. PET/CT 촬영시 Fluorine-18(방사성동위원소)로 만들어진 조영제가 사용되는데, 반감기 110분으로 매우 짧아 생산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각 병원 내 생산시설 필요
6. 듀켐바이오는 신촌세브란스 / 삼성서울 / 강남세브란스 / 아주대 / 대전성모 / 강원대 / 한양대 / 영남대 / 경북대 / 인제대 / 동아대 등 다수 병원에 생산시설 확보하여 국내 PET/CT 촬영용 알츠하이머 진단제(조영제) 시장 94% 독점
[P*Q]
1. 판매가격 : 듀켐바이오는 현재 알츠하이머 진단제(조영제)를 1dose 당 50만원에 판매하고 있으며, 중기적으로 레켐비 판매호조 및 키순라 출시시 가격 인상 가능(독점 및 신규진입 불가로 P 인상 가능)
2. 환자수요 : 대한치매학회 조사 결과 국내 알츠하이머 환자 338만명 중 21만명(7%)은 레켐비를 보험 적용되지 않더라도 사용하겠다고 응답
3. PET/CT 캐파 : 국내 PET/CT는 121개 병원이 141대를 보유, 日 15회 촬영 캐파 중 8.3회 촬영되고 있어, 日 6.7회의 여유가 있음
141대 * 日 6.7회 * 264일(月 22일) = 22.7만회 촬영 가능
4. 듀켐바이오 캐파 : 2025년 알츠하이머 진단제(조영제) 年 9만dose 캐파
2H25 다른 제품 라인을 알츠하이머 진단제 라인으로 생산 전환 후 2H26 20만dose 추가
2027년 6만dose 추가 증설 완료
2028년 6만dose 추가 증설 완료
2028년 이후 유휴시설에 20만dose 추가 증설 가능
[성장성]
1. 듀켐바이오는 레켐비 출시 이전에도 암진단제/파킨슨진단제 등 방사성의약품을 판매하며 연 매출액 350억/영업이익 50억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2. 알츠하이머 진단제 매출은 2025년 450억(9만dose * 50만원), 2026년 950억(2H26 증설분 반영하여 19만dose * 50만원), 2027년 1750억(증설분 반영 35만dose * 50만원) 매출 add
3. 동사 BEP는 2025년 300억/2026년 350억 정도이며, 고정비가 83% 차지하여 매출 증가시 강력한 영업 레버리지 발생
4. 당장 2025년만 보더라도 동사의 알츠하이머 진단제 풀캐파 9만dose가 다 팔려도, 전국 PET/CT 잔여 캐파의 1/3, 전국 치매환자의 2.6% 밖에 되지 않음
5. 반면 기존 사업 350억 + 알츠하이머 진단제 9만dose 450억 = 2025년 매출액 800억, BEP 300억의 실적 기대 가능
6. 현재 시총은 3200억
[요약]
- 블록버스터 급으로 성장 기대되는 알츠하이머 치료제 레켐비가 작년 말 출시 됨
- 알츠하이머 진단/투약을 위해서는 동사의 진단제(조영제) 필요
- 진단제는 방사성의약품이라 신규 진입이 제한되며 동사는 국내 알츠하이머 진단제 94% 독점
- 레켐비의 약진과 경쟁 약물인 키순라의 내년 출시시 치료제를 맞고 싶어도 진단제가 부족해 못 맞는 상황 발생(국내 치매환자 수의 2.7% 캐파)
- 타임라인 2024년 11월 레켐비 국내 출시 -> 2025년 1월 전국 43개 병원 레켐비 사용 승인 후 환자들 PET/CT 예약 -> 2025년 3월부터 예약된 PET/CT 촬영 시작(동사 본격적인 매출 발생 시작) -> 이후 각 대학병원에 PET/CT 예약 대기기간 문의시 대기기간이 얼마나 늘어나느냐에 따라 레켐비 투약을 위한 PET/CT 촬영이 늘어난다고 보면 됨
🤖탐방봇 텔레그램 : https://t.me/TambangVot
[배경]
1. 알츠하이머 치료제인 레켐비와 키순라는 기존 치료제와는 달리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을 직접 제거하는 기전으로 알츠하이머 진행을 늦추는 최초의 치료제
2. 2024년 11월 레켐비 국내 출시하였으며, 2026년 키순라 국내 출시 예정
3. 알츠하이머 진단/투약/경과를 지켜보기 위해서는 PET/CT를 통해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촬영이 필요
4. PET/CT 촬영시 Fluorine-18(방사성동위원소)로 만들어진 조영제가 사용되는데, 반감기 110분으로 매우 짧아 생산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각 병원 내 생산시설 필요
6. 듀켐바이오는 신촌세브란스 / 삼성서울 / 강남세브란스 / 아주대 / 대전성모 / 강원대 / 한양대 / 영남대 / 경북대 / 인제대 / 동아대 등 다수 병원에 생산시설 확보하여 국내 PET/CT 촬영용 알츠하이머 진단제(조영제) 시장 94% 독점
[P*Q]
1. 판매가격 : 듀켐바이오는 현재 알츠하이머 진단제(조영제)를 1dose 당 50만원에 판매하고 있으며, 중기적으로 레켐비 판매호조 및 키순라 출시시 가격 인상 가능(독점 및 신규진입 불가로 P 인상 가능)
2. 환자수요 : 대한치매학회 조사 결과 국내 알츠하이머 환자 338만명 중 21만명(7%)은 레켐비를 보험 적용되지 않더라도 사용하겠다고 응답
3. PET/CT 캐파 : 국내 PET/CT는 121개 병원이 141대를 보유, 日 15회 촬영 캐파 중 8.3회 촬영되고 있어, 日 6.7회의 여유가 있음
141대 * 日 6.7회 * 264일(月 22일) = 22.7만회 촬영 가능
4. 듀켐바이오 캐파 : 2025년 알츠하이머 진단제(조영제) 年 9만dose 캐파
2H25 다른 제품 라인을 알츠하이머 진단제 라인으로 생산 전환 후 2H26 20만dose 추가
2027년 6만dose 추가 증설 완료
2028년 6만dose 추가 증설 완료
2028년 이후 유휴시설에 20만dose 추가 증설 가능
[성장성]
1. 듀켐바이오는 레켐비 출시 이전에도 암진단제/파킨슨진단제 등 방사성의약품을 판매하며 연 매출액 350억/영업이익 50억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2. 알츠하이머 진단제 매출은 2025년 450억(9만dose * 50만원), 2026년 950억(2H26 증설분 반영하여 19만dose * 50만원), 2027년 1750억(증설분 반영 35만dose * 50만원) 매출 add
3. 동사 BEP는 2025년 300억/2026년 350억 정도이며, 고정비가 83% 차지하여 매출 증가시 강력한 영업 레버리지 발생
4. 당장 2025년만 보더라도 동사의 알츠하이머 진단제 풀캐파 9만dose가 다 팔려도, 전국 PET/CT 잔여 캐파의 1/3, 전국 치매환자의 2.6% 밖에 되지 않음
5. 반면 기존 사업 350억 + 알츠하이머 진단제 9만dose 450억 = 2025년 매출액 800억, BEP 300억의 실적 기대 가능
6. 현재 시총은 3200억
[요약]
- 블록버스터 급으로 성장 기대되는 알츠하이머 치료제 레켐비가 작년 말 출시 됨
- 알츠하이머 진단/투약을 위해서는 동사의 진단제(조영제) 필요
- 진단제는 방사성의약품이라 신규 진입이 제한되며 동사는 국내 알츠하이머 진단제 94% 독점
- 레켐비의 약진과 경쟁 약물인 키순라의 내년 출시시 치료제를 맞고 싶어도 진단제가 부족해 못 맞는 상황 발생(국내 치매환자 수의 2.7% 캐파)
- 타임라인 2024년 11월 레켐비 국내 출시 -> 2025년 1월 전국 43개 병원 레켐비 사용 승인 후 환자들 PET/CT 예약 -> 2025년 3월부터 예약된 PET/CT 촬영 시작(동사 본격적인 매출 발생 시작) -> 이후 각 대학병원에 PET/CT 예약 대기기간 문의시 대기기간이 얼마나 늘어나느냐에 따라 레켐비 투약을 위한 PET/CT 촬영이 늘어난다고 보면 됨
🤖탐방봇 텔레그램 : https://t.me/TambangVot
10.02.202503:13
알테오젠이 계약맺은 제약사 : 다이이찌산쿄(이름공개), 머크(이름공개), 산도즈(이름공개), 인타스(이름공개), 19년 사노피 추정(이름 미공개)
저 기사 말이 사실이라면, Top10 제약사이자 기업명을 밝히지 않은 계약사는 사노피밖에 없습니다. 그럼 듀피젠트 고용량일 가능성이 높겠죠?
저 기사 말이 사실이라면, Top10 제약사이자 기업명을 밝히지 않은 계약사는 사노피밖에 없습니다. 그럼 듀피젠트 고용량일 가능성이 높겠죠?
24.02.202501:25
삼성SDI가 전고체 상용화 타임라인도 가장 빠르기도 하고, GM과 합작사 투자도 본격적으로 진행하는만큼 여러모로 선도적인 행보를 최근 보이고 있습니다.
사실 삼성SDI 밸류체인이야 많이 알려져있는데요. 그런데 삼성SDI향 밸류체인 중에서 신규상장주이기도 하고 스몰캡이라서 많이 알려지지 않은 엠오티란 기업이 있네요.
신규상장주인 엠오티가 삼성SDI향 국내 유일의 탭 웰딩 및 패키징 조립 공정을 독점하고 있고, 최근에는 삼성SDI에 전고체 개발라인을 납품했고 ESS용 LFP 배터리 조립 공정에도 설비를 납품한만큼 주목할 필요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여기에 이번 삼성SDI와 GM합작사에 조립공정을 동사가 맡을 전망인만큼, 기존 사업에서 실적이 증가하는것은 덤인것 같고요. 실적 추이도 매출액 22년 633억 → 23년 737억 → 24년 848억에, 영업이익 22년 12억→23년 43억→24년 65억으로 전기차 캐즘에도 꾸준히 실적이 증가하는 기업이기에 스터디할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33181
사실 삼성SDI 밸류체인이야 많이 알려져있는데요. 그런데 삼성SDI향 밸류체인 중에서 신규상장주이기도 하고 스몰캡이라서 많이 알려지지 않은 엠오티란 기업이 있네요.
신규상장주인 엠오티가 삼성SDI향 국내 유일의 탭 웰딩 및 패키징 조립 공정을 독점하고 있고, 최근에는 삼성SDI에 전고체 개발라인을 납품했고 ESS용 LFP 배터리 조립 공정에도 설비를 납품한만큼 주목할 필요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여기에 이번 삼성SDI와 GM합작사에 조립공정을 동사가 맡을 전망인만큼, 기존 사업에서 실적이 증가하는것은 덤인것 같고요. 실적 추이도 매출액 22년 633억 → 23년 737억 → 24년 848억에, 영업이익 22년 12억→23년 43억→24년 65억으로 전기차 캐즘에도 꾸준히 실적이 증가하는 기업이기에 스터디할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일반적으로 장비 투자 규모는 전체 투자액의 20~30%를 차지한다. 1조3000억원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합작사 공장은 5개 생산 라인으로 기획됐다.
(중략)
양극, 음극, 분리막을 적층한 소재 조합물인 젤리롤(Jelly roll)을 각형 배터리 캔(CAN)에 넣고 캡(CAP)을 용접하는 조립공정은 엠오티가 맡을 전망이다.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33181
23.02.202506:26
혹시 그거 아시나요..?
오늘(2025년 2월 23일)은 알테오젠이 머크와의 독점 계약을 체결한 24년 2월 22일에서 딱 1년하고 만 하루가 지난 날입니다.
그 날을 기억하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제까지의 1년을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1년을 프리뷰해보았습니다.
https://blog.naver.com/foreconomy/223770572498
오늘(2025년 2월 23일)은 알테오젠이 머크와의 독점 계약을 체결한 24년 2월 22일에서 딱 1년하고 만 하루가 지난 날입니다.
그 날을 기억하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제까지의 1년을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1년을 프리뷰해보았습니다.
https://blog.naver.com/foreconomy/223770572498
31.01.202504:34
📈트럼프/오픈AI/오라클 CEO가 강조한 AI 활용 백신(신약) 개발
트럼프 대통령이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발표하면서 국내에서는 AI 위주로 수급이 붙어줬지만, 해당 기자회견의 마지막에는 AI를 활용한 신약/백신 개발에 관한 이야기가 주를 이뤘습니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 : 저는 기술이 발전하면 질병이 유레없는 속도로 치유되리라고 믿습니다. 얼마나 빨리 (AI가) 암이나 심장병과 같은 질병을 치유하는 지 놀랄 것입니다. 앞으로 질병을 신속하게 치료하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고품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능력이 이 기술(스타게이트)이 성취할 가장 중요한 업적일 것입니다.
래리 엘리슨 오라클 회장 : 샘과 마사가 제공한 기술로 우리가 가장 흥분하고 있는 것 중 하나는 '암 백신'입니다. 우리의 몸에는 작은 종양들이 우리의 혈관을 타고 이동합니다. 우리는 AI를 통한 피검사로 조기 암 진단을 가능케합니다. 암은 인간을 심각하게 위협하는데, AI를 활용한 암 진단은 이를 간단하게 만듭니다. 유전자 검사 이후 모든 개개인에 적합하게 설계된 백신을 암과 싸우도록 투여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AI로 48시간 이내로 mRNA 백신을 만들 수 있게 됩니다. AI로 조기 진단하고 개개인에게 특화된 암 백신을 48시간 내로 개발하는 미래를 상상해보세요. 이것이 바로 AI로 그릴 미래입니다.
새해부터 제가 하이젠알앤엠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던 이유는 일론 머스크라는 글로벌 리더가 액추에이터가 핵심이라고 언급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스타게이트가 발전할 경우 궁극적으로는 AI 신약개발로 이어질 것이라고 트럼프 대통령, 오픈AI CEO, 오라클 회장이 모두 인정한만큼, AI 신약개발 기업에 관해 스터디가 꼭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됩니다. 실제로 미장에서는 AI신약 개발기업 슈뢰딩거나 TempusAI는 급등하기도 했고요.
오늘 공부한 온코크로스도 자체 Raptor AI를 통해 백신을 빠르게 개발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백신에서 길리어드의 치료제 렘데시비르보다 우수한 물질을 3개 발굴하여 논문으로 발표할 정도로 레퍼런스가 우수한 상황입니다. 이는 트럼프/오픈AI/오라클 CEO가 강조한 AI 활용 백신(신약) 개발과 일맥상통한 부분이라고 보여집니다.
온코크로스 AI 백신개발 : https://www.fnnews.com/news/202501081047486850
트럼프/오픈AI/오라클 CEO AI 신약개발 발표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IYUoANr3cMo
트럼프 대통령이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발표하면서 국내에서는 AI 위주로 수급이 붙어줬지만, 해당 기자회견의 마지막에는 AI를 활용한 신약/백신 개발에 관한 이야기가 주를 이뤘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AI가 의학 연구와 암 극복과 같은 정말 많은 긍정적인 이야기를 들었는데, 어떻게 AI가 질병과 같은 여러 문제들과 싸우는데 도움이 되나?
샘 올트먼 오픈AI CEO : 저는 기술이 발전하면 질병이 유레없는 속도로 치유되리라고 믿습니다. 얼마나 빨리 (AI가) 암이나 심장병과 같은 질병을 치유하는 지 놀랄 것입니다. 앞으로 질병을 신속하게 치료하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고품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능력이 이 기술(스타게이트)이 성취할 가장 중요한 업적일 것입니다.
래리 엘리슨 오라클 회장 : 샘과 마사가 제공한 기술로 우리가 가장 흥분하고 있는 것 중 하나는 '암 백신'입니다. 우리의 몸에는 작은 종양들이 우리의 혈관을 타고 이동합니다. 우리는 AI를 통한 피검사로 조기 암 진단을 가능케합니다. 암은 인간을 심각하게 위협하는데, AI를 활용한 암 진단은 이를 간단하게 만듭니다. 유전자 검사 이후 모든 개개인에 적합하게 설계된 백신을 암과 싸우도록 투여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AI로 48시간 이내로 mRNA 백신을 만들 수 있게 됩니다. AI로 조기 진단하고 개개인에게 특화된 암 백신을 48시간 내로 개발하는 미래를 상상해보세요. 이것이 바로 AI로 그릴 미래입니다.
새해부터 제가 하이젠알앤엠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던 이유는 일론 머스크라는 글로벌 리더가 액추에이터가 핵심이라고 언급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스타게이트가 발전할 경우 궁극적으로는 AI 신약개발로 이어질 것이라고 트럼프 대통령, 오픈AI CEO, 오라클 회장이 모두 인정한만큼, AI 신약개발 기업에 관해 스터디가 꼭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됩니다. 실제로 미장에서는 AI신약 개발기업 슈뢰딩거나 TempusAI는 급등하기도 했고요.
오늘 공부한 온코크로스도 자체 Raptor AI를 통해 백신을 빠르게 개발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백신에서 길리어드의 치료제 렘데시비르보다 우수한 물질을 3개 발굴하여 논문으로 발표할 정도로 레퍼런스가 우수한 상황입니다. 이는 트럼프/오픈AI/오라클 CEO가 강조한 AI 활용 백신(신약) 개발과 일맥상통한 부분이라고 보여집니다.
온코크로스 AI 백신개발 : https://www.fnnews.com/news/202501081047486850
트럼프/오픈AI/오라클 CEO AI 신약개발 발표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IYUoANr3cMo
10.02.202505:34
📊 올릭스x일라이릴리 공동개발 포인트 & 펩트론 악재? & 바붐온
💊 #올릭스 는 일라이릴리와 OLX702A의 공동개발을 발표했습니다. OLX702A는 회사에서 MASH(대사이상 지방간염)과 비만치료제로 임상 1상 개발중인 품목입니다.
먼저 이번 계약은 당연히 회사 자체의 펀더멘탈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는 요소입니다. 동사는 지금까지 글로벌 빅파마와 협업이 없었는데, 이번 공동개발을 통해 글로벌 빅파마와 함께 협업하는 바이오텍으로 변모하게 됐습니다.
다만 업프론트가 오픈되지 않았기에 아쉽고, 최근 며칠간 주가가 급등한 점으로 미뤄볼 때 내부정보가 유출됐을 가능성 정도는 고려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나 논리적으로는 계약상대방이 엄중하기에 비만/MASH 테마의 대장으로 등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일각에선 이번 공동개발이 비만치료제까지 타겟할 수 있기에 펩트론의 LO가 사실상 실패한것이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됩니다. 다만 개인적으로 살펴보건데 올릭스의 품목은 펩트론과 연관될 가능성은 낮아보입니다.
가장 큰 이유로는 올릭스의 품목이 Rna간섭제이기 때문입니다. RNA치료제는 고도의 기술력이 들어가 대량양산이 쉽지않습니다(= 높은 생산단가) 올릭스의 품목이 비만치료제에서 병용투여되면 비용이 상당히 많이 필요한 셈입니다.
RNA치료제의 블록버스터 렉비오도 1년에 1,300만원의 비용이 지출됩니다.비만치료제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에 RNA치료제 병용요법은 환자 부담을 늘려 경쟁력을 하락시킵니다. 올릭스의 품목이 비만치료제 병용보다는 MASH에서만 처방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오히려 릴리가 MASH에서 병용요법을 위해 우리나라 소형 바이오텍과 계약할 정도로 진심인만큼, 펩트론의 서방형 제재를 통해 투약주기를 늘려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내러티브가 더 강화되지 않을까 합니다. 펩트론과 올릭스를 대체적 관계로 보기보다는, 시장 자체가 성장하는 보완적 관계로 보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 연초부터 릴리라는 거물을 우리나라 바이오텍이 잡는데 성공했습니다. 이외에도 이번 한 주간 알테오젠의 RCPS, 지투지바이오의 베링거 계약, 에이비엘바이오의 증여 등 다양한 호재가 발생했습니다.
통상 이러한 호재는 바이오텍의 신뢰성을 높입니다. 작년에도 알테오젠x머크 계약, 리가켐의 얀센(23년말) 계약, 레이저티닙의 FDA 승인이 중요한 모멘텀이 됐습니다. 이번 올릭스의 공동개발을 계기로 우리나라 제약바이오 섹터에 다시한번 훈풍이 불지 않을까 보입니다.
💊 #올릭스 는 일라이릴리와 OLX702A의 공동개발을 발표했습니다. OLX702A는 회사에서 MASH(대사이상 지방간염)과 비만치료제로 임상 1상 개발중인 품목입니다.
먼저 이번 계약은 당연히 회사 자체의 펀더멘탈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는 요소입니다. 동사는 지금까지 글로벌 빅파마와 협업이 없었는데, 이번 공동개발을 통해 글로벌 빅파마와 함께 협업하는 바이오텍으로 변모하게 됐습니다.
다만 업프론트가 오픈되지 않았기에 아쉽고, 최근 며칠간 주가가 급등한 점으로 미뤄볼 때 내부정보가 유출됐을 가능성 정도는 고려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나 논리적으로는 계약상대방이 엄중하기에 비만/MASH 테마의 대장으로 등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일각에선 이번 공동개발이 비만치료제까지 타겟할 수 있기에 펩트론의 LO가 사실상 실패한것이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됩니다. 다만 개인적으로 살펴보건데 올릭스의 품목은 펩트론과 연관될 가능성은 낮아보입니다.
가장 큰 이유로는 올릭스의 품목이 Rna간섭제이기 때문입니다. RNA치료제는 고도의 기술력이 들어가 대량양산이 쉽지않습니다(= 높은 생산단가) 올릭스의 품목이 비만치료제에서 병용투여되면 비용이 상당히 많이 필요한 셈입니다.
RNA치료제의 블록버스터 렉비오도 1년에 1,300만원의 비용이 지출됩니다.비만치료제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에 RNA치료제 병용요법은 환자 부담을 늘려 경쟁력을 하락시킵니다. 올릭스의 품목이 비만치료제 병용보다는 MASH에서만 처방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오히려 릴리가 MASH에서 병용요법을 위해 우리나라 소형 바이오텍과 계약할 정도로 진심인만큼, 펩트론의 서방형 제재를 통해 투약주기를 늘려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내러티브가 더 강화되지 않을까 합니다. 펩트론과 올릭스를 대체적 관계로 보기보다는, 시장 자체가 성장하는 보완적 관계로 보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 연초부터 릴리라는 거물을 우리나라 바이오텍이 잡는데 성공했습니다. 이외에도 이번 한 주간 알테오젠의 RCPS, 지투지바이오의 베링거 계약, 에이비엘바이오의 증여 등 다양한 호재가 발생했습니다.
통상 이러한 호재는 바이오텍의 신뢰성을 높입니다. 작년에도 알테오젠x머크 계약, 리가켐의 얀센(23년말) 계약, 레이저티닙의 FDA 승인이 중요한 모멘텀이 됐습니다. 이번 올릭스의 공동개발을 계기로 우리나라 제약바이오 섹터에 다시한번 훈풍이 불지 않을까 보입니다.
07.02.202508:36
일반적으로 대표이사가 배우자와 자녀에게 증여하는 이유는 '주가가 높아질 것 같아서'가 큽니다. 주가가 쌀 때 증여를 해야 증여세가 덜 나오거든요.
대표이사 말씀처럼 사노피급 빅딜이 나오면 지금 당장이 엄청 싼 가격일테니, 빨리 증여해주고 LO나오는게 대표이사 입장에선 베스트인 거죠..!
대표이사 말씀처럼 사노피급 빅딜이 나오면 지금 당장이 엄청 싼 가격일테니, 빨리 증여해주고 LO나오는게 대표이사 입장에선 베스트인 거죠..!
07.02.202508:12
자기가 내부자를 아는데, 한화정밀은 절대 안될거다와 같이 말이 참 많았는데 결국 되네요ㅎㅎ
계약 내용은 참 좋은데 걸리는 건 어제오늘 뉴스가 샌 것 같아서, 셀온이 나올지 안 나올지 판단하기가 참 애매하네영..
여튼 회사 밸류에 있어서 정말 좋은 계약이긴 합니다..!!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32746
계약 내용은 참 좋은데 걸리는 건 어제오늘 뉴스가 샌 것 같아서, 셀온이 나올지 안 나올지 판단하기가 참 애매하네영..
여튼 회사 밸류에 있어서 정말 좋은 계약이긴 합니다..!!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32746
18.02.202511:45
오늘 완전 뜬금포로 +21%까지 상승한 에이비엘바이오입니다. 관련된 뉴스나 공시가 없어서 좀 의아하긴 한데, 일단은 시장에서는 심포지움 학회에서 BBB 셔틀 플랫폼과 관련된 좋은 데이터를 발표했거나 BBB 플랫폼을 이용한 파킨슨병 치료제 ABL301에 대한 긍정적인 코멘트가 있지 않았나 추정하고 있습니다.
에이비엘바이오가 상승하니 덩달아서 퓨쳐켐과 듀켐바이오가 상승했습니다. 이 두 기업은 파킨슨 병에서 진단제를 생산하고 있는 기업인데, 퓨쳐켐은 많이들 아실테고 새로운 내용이 없습니다.
다만 듀켐바이오는 최근 이전상장한 기업이기도 하고, 파킨슨병+치매치료제 진단제로 신선한 내용이 많고 소위 "끼"가 넘치는 기업이라 스터디 내용을 공유합니다.
https://m.blog.naver.com/foreconomy/223765186642
에이비엘바이오가 상승하니 덩달아서 퓨쳐켐과 듀켐바이오가 상승했습니다. 이 두 기업은 파킨슨 병에서 진단제를 생산하고 있는 기업인데, 퓨쳐켐은 많이들 아실테고 새로운 내용이 없습니다.
다만 듀켐바이오는 최근 이전상장한 기업이기도 하고, 파킨슨병+치매치료제 진단제로 신선한 내용이 많고 소위 "끼"가 넘치는 기업이라 스터디 내용을 공유합니다.
https://m.blog.naver.com/foreconomy/223765186642
Переслал из:
AWAKE 플러스

07.02.202507:36
📌 올릭스(시가총액: 3,793억)
📁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OLX75016(OLX702A) 공동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 체결)
2025.02.07 16:17:31 (현재가 : 20,550원, +18.17%)
제목 : OLX75016(OLX702A) 공동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 체결(Collaboration and license agreement)
* 주요내용
※ 투자유의사항
동 계약은 의약품 규제기관의 허가가 완료되어야 이행되는 조건부 계약으로서, 본 계약을 통한 수익 인식은 임상시험과 품목허가 등의 성공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계약 조건에 따라, 규제기관에 의한 연구, 개발의 중단, 품목허가 실패 등 발생시 계약이 해지될 수 있습니다.
1) 계약상대방 : Eli lilly and company (이하 릴리)
- 국적 : 미국
- 설립일자 : 1876.05.10
- 최근사업연도(2023) 매출액 : USD 34,124M
2) 계약의 내용
- 올릭스는 OLX75016에 대한 임상 1상 활동을 계속하여 완료하고 릴리는 기타 연구, 개발, 상업화를 수행함.
- 계약체결 후 올릭스는 릴리에게 독점적 라이선스를 부여함.
3) 계약체결일 : 2025년 2월 7일
4) 계약기간 : 계약체결일 ~ 제품 로열티 기간 만료일
5) 계약지역 : 전 세계
6) 계약금액 : 총 USD 630,000,000 (911,673,000,000원)
- 계약체결로 인해 받는 선급금 및 이후 라이선스 계약에서 발생하는 개발 마일스톤 금액과 상업화 마일스톤 금액을 합한 금액임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0790092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26950
📁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OLX75016(OLX702A) 공동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 체결)
2025.02.07 16:17:31 (현재가 : 20,550원, +18.17%)
제목 : OLX75016(OLX702A) 공동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 체결(Collaboration and license agreement)
* 주요내용
※ 투자유의사항
동 계약은 의약품 규제기관의 허가가 완료되어야 이행되는 조건부 계약으로서, 본 계약을 통한 수익 인식은 임상시험과 품목허가 등의 성공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계약 조건에 따라, 규제기관에 의한 연구, 개발의 중단, 품목허가 실패 등 발생시 계약이 해지될 수 있습니다.
1) 계약상대방 : Eli lilly and company (이하 릴리)
- 국적 : 미국
- 설립일자 : 1876.05.10
- 최근사업연도(2023) 매출액 : USD 34,124M
2) 계약의 내용
- 올릭스는 OLX75016에 대한 임상 1상 활동을 계속하여 완료하고 릴리는 기타 연구, 개발, 상업화를 수행함.
- 계약체결 후 올릭스는 릴리에게 독점적 라이선스를 부여함.
3) 계약체결일 : 2025년 2월 7일
4) 계약기간 : 계약체결일 ~ 제품 로열티 기간 만료일
5) 계약지역 : 전 세계
6) 계약금액 : 총 USD 630,000,000 (911,673,000,000원)
- 계약체결로 인해 받는 선급금 및 이후 라이선스 계약에서 발생하는 개발 마일스톤 금액과 상업화 마일스톤 금액을 합한 금액임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0790092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26950
06.02.202500:15
[ 알테오젠 3자배정 RCPS 투자포인트 ]
① 본건 우선주에 대한 우선배당률은 액면금액의 [1.0]%로 한다.
→ 액면금액은 1주당 500원임. 사실상 배당을 거의 주지 않겠다는 건데, RCPS 참여한 기관들을 상대로 얼마나 알테오젠이 높은 협상력을 가졌는지 알 수 있는 대목.
② 기준주가에 대한 할증율 : 2.3145%(발행가액 356,433원)
→ 일반적인 제3자배정에서의 할증율이 나온다는 것 자체가 마찬가지로 알테오젠의 높은 위상을 드러내는 대목. 발행가액 356.000원대가 앞으로 락바텀이지 않을까.
③ 제3자배정 증자 목적 시설자금 550억
→ 20년도에 발행하고 남은 75억과 이번 550억을 더해서 총 625억 원으로 히알 원료 공장 건설할듯. 박순재 대표가 앞으로 히알 원료(제품) 매출만 전사 매출에서 30% 비중을 차지할 것이라고 코멘트한 바 있죠.
대략적으로 키트루다만 28년에 1조원 매출이 들어온다고 치면, 히알 원료 매출만 3,000억이라는 셈. 여기에 이제 각종 파이프라인까지 더해지면 당연히 히알 원료 매출도 수천억원이 더 증가하겠죠.
④ 알테 특허에 문제가 있다고?
가장 중요한 부분인데 이걸 까먹었네요. 지난 11월 알테를 폭락시키고 많은 분들이 조롱하신 배경이 된 '특허문제'가 이번 RCPS로 완벽히 해결됐다는 데에도 큰 의의가 있습니다.
3자배정으로 RCPS를 가져간 주체들을 보시면 우리나라 거의 모든 증권회사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가장 정보획득에 빠르고 기민하게 대응하는 증권계가 알테오젠 특허가 문제있다고 판단했다면 1,550억이라는 거금을 투자했을까요.
① 본건 우선주에 대한 우선배당률은 액면금액의 [1.0]%로 한다.
→ 액면금액은 1주당 500원임. 사실상 배당을 거의 주지 않겠다는 건데, RCPS 참여한 기관들을 상대로 얼마나 알테오젠이 높은 협상력을 가졌는지 알 수 있는 대목.
② 기준주가에 대한 할증율 : 2.3145%(발행가액 356,433원)
→ 일반적인 제3자배정에서의 할증율이 나온다는 것 자체가 마찬가지로 알테오젠의 높은 위상을 드러내는 대목. 발행가액 356.000원대가 앞으로 락바텀이지 않을까.
③ 제3자배정 증자 목적 시설자금 550억
→ 20년도에 발행하고 남은 75억과 이번 550억을 더해서 총 625억 원으로 히알 원료 공장 건설할듯. 박순재 대표가 앞으로 히알 원료(제품) 매출만 전사 매출에서 30% 비중을 차지할 것이라고 코멘트한 바 있죠.
대략적으로 키트루다만 28년에 1조원 매출이 들어온다고 치면, 히알 원료 매출만 3,000억이라는 셈. 여기에 이제 각종 파이프라인까지 더해지면 당연히 히알 원료 매출도 수천억원이 더 증가하겠죠.
④ 알테 특허에 문제가 있다고?
가장 중요한 부분인데 이걸 까먹었네요. 지난 11월 알테를 폭락시키고 많은 분들이 조롱하신 배경이 된 '특허문제'가 이번 RCPS로 완벽히 해결됐다는 데에도 큰 의의가 있습니다.
3자배정으로 RCPS를 가져간 주체들을 보시면 우리나라 거의 모든 증권회사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가장 정보획득에 빠르고 기민하게 대응하는 증권계가 알테오젠 특허가 문제있다고 판단했다면 1,550억이라는 거금을 투자했을까요.
Войдите, чтобы разблокировать больше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