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쩜상리서치 avatar

쩜상리서치

*본 채널은 주식 리딩 및 종목 추천하는 방이 아닙니다. 본 채널 운영에 영리를 추구하지 않으며 시장자료 및 공시, 재무제표, 뉴스 중심으로 분석한 내용을 공유합니다. 잘못된 정보가 있을수 있으며,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본 채널의 게시물은 어떠한 법적 처벌의 근거로 사용될 수 없음을 말씀드립니다.
TGlist rating
0
0
TypePublic
Verification
Not verified
Trust
Not trusted
Location
LanguageOther
Channel creation dateJul 14, 2023
Added to TGlist
Sep 13, 2024

Records

24.04.202523:59
6.7KSubscribers
16.04.202523:59
100Citation index
26.04.202523:59
13.2KAverage views per post
23.12.202402:19
3.2KAverage views per ad post
26.02.202523:59
7.28%ER
23.04.202502:42
201.86%ERR

Popular posts 쩜상리서치

08.04.202511:19
#지누스

협상 결과가 어찌 될지는 모르겠지만 인니 관세가 줄어든다면 지누스가 기사회생 할 수 있겠네요 ..

사실 어떤 방식으로든 협상이 이루어지긴 할 거라고 생각하는 뷰가 합리적인 상황이라 최근 기관들이 계속 줍줍해주는 듯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318252?sid=104
08.04.202512:12
[전일 대비 거래량 100% 이상 증가 종목 (상승률 5% 이상)]

종목명 등락률 내용


에르코스 30.00% 식가공품 공급업체, 이재명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엑시온그룹 29.96% 전자상거래업 영위업체, 감사보고서 지연 제출 후 적정 보고서 제출로 강세

벡트 29.95% 영상콘텐츠 및 전자칠판 공급업체,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옵티시스 29.91% 광전송장치 공급업체, 김문수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사조씨푸드 29.90% 수산물 가공제품 공급업체, 김문수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엑셀세라퓨틱스 29.88% 세포유전자치료제 배양 배지 공급업체, 중국 블루메이지바이오테크놀로지와 중국 내 독점 유통 판매 본계약 체결 소식에 강세

고바이오랩 29.86%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바이오업체, 간 손상 치료 소재 미국 특허 등록 완료 소식

노바텍 25.97% 자석 관련 제품 공급업체, 비희토류 영구자석 세계 최초 대량생산, 중국 트럼프 보편관세에 대항해 희토류 수출 규제 검토 소식

코퍼스코리아 24.53% 한류 콘텐츠 해외 배급업체, 시총 449억

카티스 22.24% 산업인프라 보안 관련 AI 공급업체, 이재명 AI강국위원회 정책 관련주

수산아이앤티 22.24% 인터넷 필터링 소프트웨어 등 AI 공급업체, 이재명 AI강국위원회 정책 관련주

와이즈넛 22.13% 검색엔진, 챗봇 등 AI 공급업체, 이재명 AI강국위원회 정책 관련주

알서포트 22.12% 원격지원, 제어 관련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이재명 AI강국위원회 정책 관련주

진영 20.74% 가구용 시트 공급업체, 김문수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우원개발 20.26% 토목, 상하수도 등 엔지니어링 업체, 김문수 한일해저터널, 이재명 북한 친화정책 등 소형 건설업체 수혜 기대감 상승

이노룰스 20.12% AI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이재명 AI 강국위원회 정책 관련주

성신양회 19.05% 시멘트 및 레미콘 제조업체, 민주당 22년 숙원 세종시 이전 기대감, 세종시 관련주

데이원컴퍼니 18.73% 평생교육 등 교육업 영위업체, 이재명 일자리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대신정보통신 18.64% 금융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대권 주자 STO 법제화 공통 공약으로 예상되어 관련주 강세

케일럼 18.52% 지열 발전기 등 공급업체, 시총 514억

한솔홈데코 17.41% 목재 관련 제품 공급업체, 김문수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진양산업 17.32% 폴리우레탄 폼 공급업체, 오세훈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정원엔시스 15.97% IT 인프라 등 공급업체, 시총 297억원

에이비엘바이오 15.48% 바이오업체, 4.1조원 규모 기술이전 소식에 연일 강세

아센디오 15.20% 연예기획업 및 자원개발업 영위업체, 시총 487억원

화신정공 14.97%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 김문수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국영지앤엠 14.52% 방화, 방탄유리 공급업체, 김부겸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휴먼테크놀로지 14.11% 통신기기 및 안티드론 공급업체, 개별 이유 없음

모티브링크 13.13% 전기차 변환관련 부품 공급업체, 현대 기아차 미국 현지 판매 호조 속 관련 수혜 기대감 상승

드림인사이트 12.87% 광고 대행업 영위업체, X 공식 광고 대행사 선정 소식에 강세

옵트론텍 12.40% 광학 부품 및 반도체 소자 공급업체, 시총 433억원, 개별 이유 없음

글로본 12.31% 신재생 에너지 관련 부품 공급업체, 투자주의 환기종목 해제 소식에 강세

삼익악기 11.85% 피아노 공급업체, 스페코 대량 지분 매수로 동사의 2대주주 등극 소식

신신제약 11.69% 파스 등 의약품 공급업체, 민주당 22년 숙원 세종 행정수도 이전 법안 추진 소식, 세종시 관련주

백금T&A 10.79% 블랙박스 제조업체, 시총 405억원

인터지스 10.68% 물류운송업 영위업체, 이재명 북극항로 개척 관련 수혜주

바이넥스 10.55% 바이오 CDMO 업체, 중국 우시앱텍 급락 속 생물보안법 반사 수혜 기대감 상승

JW신약 10.49% 제약 바이오업체, 이재명 탈모 정책 관련주

에이팩트 10.25% 반도체 OSAT 업체, 시총 934억원, 개별 이유 없음

유니온 10.17% 시멘트 공급업체, 자회사 유니온머티리얼 희토류 관련주, 중국 희토류 수출 규제 검토 속 반사수혜 기대감 상승

누리플랜 9.75% 펜스 및 방음벽 공급업체, 오세훈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아이스크림에듀 9.70% 교육업 영위업체, 이재명 일자리 및 교육 개혁 관련주

사조오양 9.49% 해산물 및 수산물 가공식품 공급업체, 김문수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에이텍모빌리티 9.22% 교통카드 단말기 공급업체, 이재명 정책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체리부로 9.15% 닭고기 공급업체, 김문수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스틱인베스트먼트 8.98% 사모. 일자리 정책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삼일기업공사 8.92% 건축 및 토목 엔지니어링 업체, 유승민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페이퍼코리아 8.90% 신문지 등 제지 생산업체, 홍준표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코미팜 8.22% 동물의약품 공급업체, ASF 백신 필리핀 정부 야외 임상시험 계획 승인 소식

세원정공 8.02%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 상법 개정 수혜주, 이재명 상법 개정 강력 추진 소식

CJ씨푸드 8.01% 수산물 가공제품 공급업체, 미국 중국산 김 관세 폭탄 소식

엑스큐어 7.77% 스마트카드 공급업체, 이재명 정책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진양폴리 7.63% 폴리우레탄 폼 공급업체, 오세훈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갤럭시아에스엠 7.61% 스포츠마케팅 업체, 대권 주자 STO 법제화 공약 예상되며 관련주 강세

구영테크 7.48%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 김문수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현우산업 7.34% PCB 기판 및 반도체 소자 공급업체, 시총 519억원

신송홀딩스 7.16% 식품사업 영위업체, 중국 미국의 대두 등 농산품 관세 대폭 인상 검토 소식에 반사이익 기대감 상승

RF머트리얼즈 7.02% 광통신 및 RF 통신 패키지 제조업체, 시총 437억원, 개별 이유 없음

주연테크 6.82%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시총 218억원

에코바이오 6.65% 신재생에너지 유지관리 용역 제공업체, 시총 472억원,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린드먼아시아 6.64% 벤처투자업 영위업체, 일자리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진양제약 6.57% 의약품 제조업체, 오세훈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휴맥스홀딩스 6.50% 방송, 통신용 게이트웨이 공급업체, 홍준표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하츠 6.24% 공기 청정설비 공급업체, 이준석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밸로프 5.80% 게임업 영위업체, 김문수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케이바이오 5.51% CRO 임상관리 및 FDA 인허가 컨설팅업체, 시총 310억원

대성창투 5.35% 창업컨설팅 업체, 일자리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23.04.202502:02
💥💥💥💥인벤티지랩 4/23일 IR 정리💥💥💥💥

-GLP-1은 본래의 반감기가 체내에서 2분정도이고, 고분자이기 때문에 경구용 제형으로 변경시키기 어려움.

-동사는 DDS(마이크로스피어) 기술 + GLP-1(변형없음)의 형태로 반감기를 늘림.

-리벨서스(노보노디스크) = 세마글루타이드 + SANC 기술로 생체 이용률을 증가 시켰으나 흡수율은 여전히 1% 미만임.

-대부분은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서 펩타이드보다 저분자를 사용하는데, 독성/부작용 등의 한계점은 여전히 높음.

-동사는 펩타이드 방식을 유지하고, 자체적인 DDS 기술을 통해서 흡수율을 높이는 방식을 채택함.

-비글에 투여한 경구용 비만치료제의 데이터를 살펴보면, 최저용량인 3mg 기준으로 1주일간 안정적으로 유지가 되었고, 기존 리벨서스 대비 4배~70배까지 흡수율을 나타냄.(ㄷㄷㄷㄷㄷ)

-노보노디스크의 리벨서스와 1일 단순 데이터 비교 시, 흡수율 차이는 12배 수준.

-또한, 리벨서스는 1일 1회 투여인 반면, 인벤티지랩의 경구용 치료제는 1주일 1회 투여에도 효능이 지속됨.

-6월 ADA에서 발표 할수도 있음

출처- 쩜상리서치
01.04.202508:15
04.01일 화요일 시장 주체별 매수 동향

사모/연기금/투신 공통 순매수 상위 종목
: X


사모/연기금/투신 공통 순매도 상위 종목
: X

1. 시총대비 사모펀드 순매수 상위 섹터

- 제닉은 공매도와 매수 세력 동시에 존재하는 구간인가봄. 어제는 공매도 들어오고 오늘은 사모 순매수
- HD현대미포 BoFA TP 150,000 레포트 나오면서 이틀 연속 큰 폭으로 증가
- 파마리서치 수출 ATH 기록하면서 주가도 ATH 기록 중임
- 메디톡스도 수출입 데이터 괜찮게 나왔고, 1분기 바닥 찍고 2분기부터 턴할 수 있는 그림으로 최근 주가 흐름 괜찮은 모습
- 공매도 재개 이후 조선/LNG쪽 주가 회복세가 가파른 상황에서 관련 기업 중 4Q24 기준 수주잔고가 가장 가파르게 오른 동성화인텍이 주목받음
- 개인적으로 조선/LNG 섹터는 작년 초중순 정도의 전력기기 같은 상황이 아닐까 싶어서 룸이 남아있다고 생각함
- 건기식 수출입데이터가 3개월 연속 MoM 상승하며 우상향 추세 (절대적으로 높은 수준은 아님). 다만, 주가도 낮은 레벨이었기 때문에 최근 꾸준한 증가세 이어가고 있음
- SNT에너지도 어제 정정 공시에 이어서 지속적인 수급 들어옴
- 화장품 수출입 데이터가 그럭저럭 괜찮은 상황에서 섹터 반등하였고, 실리콘투가 사모 수급 강세
- 화장품 강세에 힘입어 기존에도 계속 사들였던 한국화장품제조 역시 강세 이어감
- 특이수급: 대성미생물, 삼일기업공사, 알체라, 옵티시스 등

2. 시총대비 연기금 순매수 상위 섹터
- 보로노이를 연기금이 대량 매수함. 최근 기관 수급 비어있던 상황에서 턴할 수 있는지 지켜볼 필요
- SOOP 별풍선이 월간 ATH 기록하며 주목받음
- 화장품 센티 회복 영향으로 금일 글로벌텍스프리 주가도 반사적으로 좋아진 느낌. 오늘 수출입과 별개로 중국 관련으로 최근 연기금 수급은 꾸준히 들어오고 있었음
- 이외에도 실리콘투, 아이팸, 원텍, 선뷰사, 브이티 등 화장품/미용의료기기 등 수출입 데이터 괜찮은 종목들 가져감. 원텍은 수출입 데이터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모습이라 트래킹해보면 좋을 것 같음
- 한화엔진이 최근 증설 + 지속적인 수주 공시 등과 더불어 중국 물량까지 받을 수 있는 업종이기 때문에 조선섹터보다 향후에 더 폭발력 있게 갈 수 있지 않을까 싶음. P와 Q 동시 증가할 수 있는 구간이 아직 많이 남아있을 수 있음. 조금 다르지만 HD현대마린엔진쪽도 함께 보면 좋을 듯
- LNG쪽도 연이틀 동성화인텍을 매수하면서 지분 신고 나오는 모습. 한국카본도 오늘 함께 매수함

3. 시총대비 투신 순매수 상위 섹터

- 챗지피티 지브리 영향인지 뭔지 SW 업체들 괜찮았음. 그 중 유라클이 최근 의문의 상승을 이어가고 있는 중이고, 솔트룩스도 금일 강세
- 디아이는 HBM4향 테스트 장비 샘플 납품 소식에 강세
- 레이는 최근 주가와 수급이 꿈틀꿈틀 거리는 중. 수출입데이터도 좋은 상황이라 업데이트 해볼 필요 있음
- 화장품/미용쪽에서는 코스메카코리아, 메디톡스 정도
- 투신/연기금과는 달리 코어라인소프트, 신테카바이오 등 AI 묻은 바이오 기업들 매수하는 모습
- 그리고 MLCC가 턴어라운드 하는 기색을 보이긴 하지만 아모텍을 매수하는 것이 특이함. 최근 주가가 굉장히 좋은 상황

4. 기타 시장 관련 코멘트
- 외국인들이 코스피/코스닥/선물 모두 순매도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큰 폭으로 상승하였음
- 이는 그래도 현재 국내 증시를 바닥으로 인지하고 있는 듯한 시그널이라 생각이 듦
- 이번 주에는 굵직굵직한 이벤트들이 많은 관계로 어느 정도 주의를 가지고 접근해야겠지만 불확실성 해소 시 큰 상승을 할 수 있는 기반은 다져진 모습
- 4.3 관세 / 4.4 탄핵 선고 등과 금일 ISM 제조업지수 (23:00) 와 JOLTS 보고서 (23:00) 정도 따라가야 할 듯
- 시장 거래대금은 여전히 도합 12조 수준으로 좋지는 않은 상황임
- 그렇지만 예탁금 증가 & 신용 잔고 감소 추세가 계속 이어지는 상황이라 상승장 시작할 때 받쳐줄 총알이 시장에 많아지고 있음
- 이것저것 해보려기 보다는 차분하게 때를 기다리는 것이 좋아보임..
- 오늘로써 1분기 수출입 확정치가 다 나왔는데 삼앙식품, 파마리서치, 원텍, 대상, 두산 등등 숫자가 괜찮아보임 (주가와는 무관하게 ..)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두산 #CCL

섹터 센티는 안 좋으나 데이터는 순항중
08.04.202511:17
04.08일 화요일 시장 주체별 매수 동향

사모/연기금/투신 공통 순매수 상위 종목
: 바이넥스


사모/연기금/투신 공통 순매도 상위 종목
: X

1. 시총대비 사모펀드 순매수 상위 섹터

- 에이비엘은 사모가 세게 사는 모습 (연기금은 쌍끌이 매도 중). 내일 오후 2시에 기업설명회가 예정되어 있는 상황인데 무슨 얘기를 해줄지 기대됨
- 한국카본은 추정치 상향 & 장내매수 등 긍정적인 소스들이 겹치면서 최근 모든 기관들이 사모으고 있음
- 넥스트바이오메디컬은 어제 하루 잠시 쉬었다가 사모 매수세 다시 들어오기 시작함. 지혈제 수출입 데이터는 아직 초기인지라 계속해서 우상향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수출입 데이터 발표 날짜 언저리에는 트레이딩 관점으로 매번 주목받는 듯함
- 중국의 우시앱택이 미국 리스크로 인해 급락하면서 우리나라 CDMO들의 반사수혜 기대감으로 바이넥스 강세였음
- 역시 기존 좋은 섹터였던 조선/LNG쪽에서 세진중공업, 태광, 우양에이치씨 등 종목들이 강세를 보임
- 그 외에는 글로벌 침체 속 내수 반사이익 기대감?으로 이마트도 좋은 모습이고, 기타 섹터에서 롯데관광개발, 에이피알 정도 매수함

2. 시총대비 연기금 순매수 상위 섹터
- 연기금답게 조선/LNG 관련 섹터를 다양하게 담았음 ex. 한텍, HJ중공업, 한화엔진, STX엔진, HD현대미포, 세진중공업 등
- 그리고 이마트, 글로벌텍스프리, 현대건설도 지속적으로 사고 있으며, 최근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관세 관련으로 급락했던 지누스를 저점에서 모아가는 중
- 의료 AI 스몰캡인 쓰리빌리언을 최근에 꽤 산 게 특이함

3. 시총대비 투신 순매수 상위 섹터

- 사모와 색깔이 비슷함. 한국카본, 에이비엘바이오, 우양에이치씨, 원티드랩, 바이넥스 등
- 올릭스 권리공매도 물량을 받아주는 모습
- 역시 다른 주체 대비 테크 업종을 자주 가져감 ex 에치에프알, 이엔에프테크놀로지, 브이엠, 심텍 등
- 투신쪽에서는 이마트가 아닌 신세계, CJ프레시웨이 등을 매수하는 것이 특징임
- 엑셀세라퓨틱스 시총 500억짜리 회사를 상한가 만들었는데 내용은 잘 모르지만 특이수급
- 롯데관광개발이 최근 기관들 수급으로 주가가 좋은 상황인데 방문객, 매출액, 드랍액 모두 늘어나고 있는 추세임

4. 기타 시장 관련 코멘트
- 일단 내일과 모레까지는 어지러운 시장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 어제 미국 증시 움직임을 보니 악재반응성/호재반응성이 혼재되어 있는 상황인 것 같음
- 그러나 최근 조정폭이 컸던 만큼 호재에 대한 역치가 낮은 상황으로 보임. 불확실성만 해소시켜줘도 괜찮은 상황
- 좋은 트리거만 있으면 상승할 수 있다는 걸 어제 확인시켜주었기 때문에 4월 중순 정도 이후에는 미국 증시 반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뷰를 유지하고 있음
- 그리고 국내시장에서는 아직까지는 배트를 짧게 잡으면서 대응해야하는 상황인 것 같고. 기존 주도 섹터들이 여전히 타 섹터 대비 반등 탄력이나 거래대금 등이 좋기 때문에 방산/조선/LNG/엔터/일부 바이오 정도에서 플레이 하는 것이 유효해보임
- 국내증시 예수금과 신용잔고는 큰 이슈없이 각각 상승, 하락 추세 이어가고 있으며, 외국인이 언제까지 팔지는 여전히 갈피를 못잡겠지만 큰 문제가 없으면 선물 기준 누적 순매도 -3.5조를 넘어가지는 않지 않을까 싶음 .. (희망사항)
- 장 마치고 퓨쳐켐 임상 결과가 발표되었는데 기존 플루빅토 대비 좋은 임상 결과가 나옴. 이는 당연히 퓨쳐켐의 밸류를 높임과 동시에 셀비온 파이프라인의 가치 또한 높아줄 수 있는 결과라고 생각함
- 또한 최근 플루빅토가 기존 전립선암보다 더욱 초기에 있는 환자까지 대응하는 것에 대한 FDA 승인이 떨어졌기 때문에 관련 시장이 이전보다 더욱 커진 상황이라 방사성의약품 기업들의 가치가 더욱 높아질 수 있는 판이 깔림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10.04.202504:35
미국 액화천연가스(LNG) 회사 '벤처 글로벌'이 HD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한화오션을 방문하고 최대 12척 발주를 협의했다. 2분기 입찰을 종료한 후 계약을 체결할 전망이다. 미국의 제재로 중국 조선소가 배제되며, 약 4조5000억원 상당의 발주를 따내기 위한 'K-조선 3사'의 경쟁이 예상된다.

6일 노르웨이 해운전문지 '트레이드윈즈(Trade Winds)'에 따르면 벤처 글로벌은 최근 방한해 HD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조선소를 시찰했다. 18만 ㎥급 LNG운반선 4척에 옵션 8척을 더해 최대 12척 발주에 대한 협상을 진행했다. 이르면 2분기 말까지 입찰을 마무리하고 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알려졌다.

벤처 글로벌은 이번 입찰에서 중국 조선소를 제외했다. 카타르 에너지와 중국 내 발주로 도크(dock·배를 만드는 작업장)가 꽉 차있어 중국 조선소는 주문을 소화하기 힘들다고 봤다. 미국의 대(對)중국 규제도 부담이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자국 항구에 들어오는 중국산 선박에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오는 17일 공청회를 연 후 이르면 이달 안으로 구체화된 정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중국 선사 소속인 선박에 100만 달러(약 15억원), 중국에서 건조된 선박일 경우 150만 달러(약 22억원) 수수료를 매기는 방안이 유력하다.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85703
30.03.202511:00
03.28일 금요일 시장 주체별 매수 동향

사모/연기금/투신 공통 순매수 상위 종목
: X


사모/연기금/투신 공통 순매도 상위 종목
: X

1. 시총대비 사모펀드 순매수 상위 섹터

- 큐브엔터를 이틀 연속 꽤 큰 비중으로 가져가는 모습. 아이들 원맨 엔터사이지만 중국 내 우기의 파워가 강하기 때문에 향후 중국 관련 수혜주로 분류되는 모습. + 이재명 관련주 편입 ..
- 넥스트바이오메디컬도 4일 연속 유의미한 사모 수급 지속됨. 차트 모양 잡아가는 중
- 마찬가지로 한국화장품제조도 최근 2주간 계속 사모 수급 유입. 금요일 주총 내용을 토대로 트래킹 해보면 좋을 듯
- 최근 다이와의 내용과 투자의견이 맞지 않는 레포트 영향으로 조정을 세게 받았던 삼양식품 오랜만에 사모수급 강하게 들어오면서 반등. 60일선 지켜줌
- 디와이파워 최근 수출입 데이터 수출금액과 단가 모두 상승 추세였는데. 금요일에 사모 + 투신 수급 동시 들어옴
- 바디텍메드도 사모에서 주구장창 팔다가 목요일부터 순매수 전환. 차트도 완전히 돌아선 모습
- 코리아에프티도 지속적인 사모 매수세 들어오고 있으나 이유는 잘 모르겠음

2. 시총대비 연기금 순매수 상위 섹터
- 최근 공매도 우려로 인해 조선과 함께 조정 빡세게 받은 LNG 관련주 태광를 다시 순매수로 돌림
- 코스메카코리아, 마이크로컨텍솔은 지속적인 매수세 들어오고 있음
- 현대백화점, 이마트, 한솔로지스틱스 등 유통 관련 업체들도 지속적인 매수
- 글텍프도 중국쪽 수혜로 가져가고 있는 모습이고, 화승엔터는 오랜만에 차트 봤는데 완전 나락 .. 그잡채 ..
- 현대건설, DL이앤씨 등 건설주들도 모아가는 모습이고, 전체적으로 묵직한 주식들을 가져가려는 듯함

3. 시총대비 투신 순매수 상위 섹터

- 사모와 마찬가지로 큐브엔터가 최상위 위치함
- 그리고 신규 상장된 우양에이치씨를 사모와 투신이 같이 담은 것이 특이함
- 그 외 디와이파워도 비슷한 사모와 비슷한 수급 동향
- 넥바메, 브릿바이오, 에이프릴바이오, 셀비온, 오스테오닉 등 바이오/헬스케어 쪽 종목들이 다수 보임

4. 기타 시장 관련 코멘트
- 차주에는 4.1 ISM 제조업지수 (23:00) 와 JOLTS 보고서 (23:00) 등 굵직한 매크로 발표가 예정되어 있음
- 제조업 지수는 악화되는 가운데 JOLTS 보고서는 괜찮지 않을까 싶음
- 현재 미국은 스태그플레이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사실 미국의 매크로가 한국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정도는 제한적인 시기가 되었다고 생각함
- 다만, 시기상으로 정치적인 불확실성과 공매도 재개에 대한 대응책이 갈리면서 서로 다른 영역에서의 불확실성이 양시장을 하락시키고 있다고 생각함 (관세는 공통의 문제)
- 그렇기 때문에 국내 시장에서의 불확실성이 해소된다면 나름 글로벌 시장 대비 아웃퍼폼 하는 시장으로 다시금 돌아갈 수 있을 듯함
- 공매도 관련해서는 당분간 시장에 혼란을 가져오긴 하겠지만, 최근 조정폭이 컸던 섹터 (방산, 조선)과 그 외 시장 전체적으로 하락을 부추기며 하락시킨 기존 주도 종목들 가운데 1) 증익이 나오며, 2) fwd P/E가 낮은 종목들 위주로 피킹해나가야 함
- 그리고 일단 공매도 재개 이후 거래대금이 회복세에 접어들 수 있는가가 꽤 중요해 보임
- 최근 신용잔고가 5조 가까이 줄어든 상황에다 예수금은 들었기 때문에 시장 회복 시그널 보여주면 신용잔고도 급속도로 늘어나며 유동성 펌핑에 도움이 될 수 있을 듯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16.04.202509:56
04.16일 수요일 시장 주체별 매수 동향

사모/연기금/투신 공통 순매수 상위 종목
: 마이크로컨텍솔


사모/연기금/투신 공통 순매도 상위 종목
: X


1. 시총대비 사모펀드 순매수 상위 20 종목
- 유리 용기 적용 제품 확장에 따른 수혜 기대로 에스엠씨지 매수. 최근 지속적인 사모 매수세
-에스앤디 불닭 소스 수출입 데이터가 밀양쪽에서 크게 증가하며 수급 지속
- 동원F&B는 자회사 편입 이후 상승 추 세 지속
- SAMG엔터는 장중 신고가 기록했다가 장 밀리면서 신고가 언저리에서 마감. 기관은 계속 사주는 중임
- 원전 및 전력 관련 센티가 개선되는 가운데 비에이치아이, 일진전기 매수함
- 오늘 센티가 좋지 않았던 테크와 바이오 종목들을 꽤 많이 사는 모습 ex. 엠디바이스, 티엘비, 에이비엘바이오, 오스코텍, 마이크로컨텍솔, 지아이이노베이션 등
- 사모특이수급: 제일연마, 비츠로셀, 에프알텍, 엠디바이스

2. 시총대비 연기금 순매수 상위 20 종목
- 음식료 바스켓으로 담아감 ex. 빙그레, 삼양식품, 농심. 이 중 삼양식품은 최근 연일 매수하고 있음
- 전체적으로 경기방어 성격의 종목들이나 주가가 바닥에 깔려있는 종목들을 많이 가져가는 모습. 증시 자체를 좋게 보고 있지는 않는 듯한 움직임 ex. LG유플러스, 애경산업, 롯데케미칼, GKL 등
- 그 외 엔터 종목 강세. 에스엠, 와이지엔터
- 마이크로컨텍솔도 오랜만에 다시 매수 시작

3. 시총대비 투신 순매수 상위 20 종목
- 비아이매트릭스는 AI 테마로 움직이는 감이 있지만 본격적인 성장 구간에 돌입할 수 있는 상황이어서 주목해볼 필요가 있는 스몰캡이라고 생각함
- 그동안 테크를 좋아하던 투신인데 종목단에서 큰 손바꿈 추세가 보임. 케이씨텍, GST, ISC, 하나머티, 주성엔지니어링 등 순매도 20위 안에 반도체 종목만 10개에 달함
- 그러면서 마이크로컨텍솔, 엠디바이스 등 스몰캡 매수. 다만, 이둘은 너무 작아서 조금만 사도 상위권이기 때문에 큰 틀에서는 테크를 모두가 버리는 첫 날이라고 보여짐
- 테크를 버리고 다가오는 1분기 실적 시즌이 연간으로 꽤 중요한 분기이기 때문에 실적이 잘 나올 수 있는 화장품/미용의료 섹터로 옮겨가는 모습 ex. 아이패밀리에스씨, 아스테라시스, 에스엠씨지, 코스메카코리아, 제닉, 에이피알 등

4. 기타 시장 코멘트
- 테크 약세로 연일 코스피 거래대금이 올라오지 못하는 상황임. 코스피 6조대는 심각한 유동성. 코스피 + 코스닥 도합 13조 언저리
- 코스피는 그마저도 조선, 방산 등에 쏠림 현상이 강함에 따라 선순환이 되지 못하는 모습임
- 코스닥은 그나마 회전되는 모습이지만 최근 AI 관련 테마주들 거래대금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만큼 실질적인 거래대금이 매우 말라있는 상황
- 규모는 줄어들었지만 오늘도 결국 외국인은 선물 순매도로 마감하였고, 현물 기준으로는 코스닥/코스피 모두 꽤 큰 규모로 순매도 마감함
- 예수금과 신용잔고는 살짝 바닥 찍고 올라오는 모습. 리테일 수급은 시장이 바닥을 지났다고 판단하는 것 같으나. 아직까지는 녹록지 못한 모습임
- 다만, JPM에서 한국에 대한 과매도 및 투자의견 상향 (중립)한 점은 그나마 위안거리인 듯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Reposted from:
쩜상리서치 avatar
쩜상리서치
06.04.202523:54
[25.02 에이비엘바이오 컨콜 내용 (1)]
#에이비엘바이오

[Update]
- 작년 7월 IR 행사에서 기존 사노피를 비롯한 기술 이전 성과들에서 마일스톤 내지는 상용화 제품들이 나온다 라는 말씀을 드림
- 또한 작년 7월부터 신규 기술 이전이 있을 거다 라고 말씀드렸는데 당시 BBB 셔틀 관련이었는데 해당 딜보다 더 좋은 조건들로 저희에게 앞으로 더 유리하게 갈 수 있는 딜들을 진행하게 되어서 작년 하반기에 고려한 딜은 진행하지 않고 있고, 신규로 1+a 딜을 진행하고 있다고 1월에 소통드렸음
- 이중항체 ADC도 그대로 연구 개발 진행하고 있음
- ABL001 관련해서 3월 말에 담도암 치료제 신약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2/3상 탑라인 데이터가 발표됨. 일정은 3월 말로 그대로 예상하고 있음
- 경쟁할 만한 기존 경쟁사가 폴폭스인데 폴폭스의 ORR이 5%대임. 저희가 2차 치료, 3차 치료에서 나온 평균 ORR도 30% 이상이고, 2차에서는 60% 이상 나왔었기 때문에 충분히 기존 약물 이상의 데이터 확보 후 상용화는 무난할 것으로 보고 있음
- 3월 말 데이터 발표 이후 가속 승인 절차로 컴패스가 진행할 것으로 알고 있고, 6개월-9개월 사이에 가속승인 답변을 받기 때문에 26년에는 무리없이 승인이 될 거다라고 생각하고 있음
- 올해 중순쯤에는 ABL111 파이프라인에 대한 최초 병용 데이터가 나올 예정임
- 그동안 41bb 기반 항암제의 데이터들이 임상 데이터에서 단일 항체들이나 비슷한 이중 항체들과 비교했을 때 우수한 데이터임은 확인했는데, 작년까지는 모두 단독 데이터였고, 올해 최초로 병용 데이터가 나옴
- 또한 하반기 정도에 그랩바디 B의 최초 임상 데이터가 예상됨. 데이터 발표와 더불어 후속 임상도 진입할 것이기 때문에 ABL-301도 진척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
- 작년 소통했을 때는 25년에 이중항체 ADC에 대한 3개의 IND를 계획했었는데. 일단 올해는 하반기에 2건, 내년 상반기 1건 추가해서 총 3개의 이중항체 ADC 파이프라인의 IND를 계획하고 있음
- 참고로 단일항체 ADC는 임상 단계에 대략 300건 정도의 약물이 있지만, 이중항체 ADC는 1상 10개 내외. 그리고 2상 3상은 글로벌 임상이 없는 상황임
- 그래서 저희가 임상 3개 정도 확보하게 된다면 글로벌 기준으로도 굉장히 빠른 단계에 있는 이중항체 ADC 개발 기업이 될 수 있으므로 해당 이벤트는 임상 자체도 중요하다고 판단됨
- 그리고 실제로 이중항체 ADC 시장이 굉장히 초기에 있기 때문에 비임상이나 임상 초기 단계에서도 충분히 딜을 추진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유한양행한테 기술이전했던 ABL105 & ABL104 두 개 파이프라인의 경우 105는 올해 임상 1상 중간 데이터 발표가 있을 거고, 104는 임상 1상 들어가면 마일스톤 수취를 예상하고 있음
- 그 외에 ABL103과 ABL503도 병용 임상 들어갈 예정
- 리가켐에서 잘 소통해주고 있는 ABL202 같은 경우에는 연말 정도에 임상 1상 중간 데이터 발표와 더불어서 후속 임상에 들어갈 경우에 저희가 마일스톤 수취함
- 올해는 주요 이벤트들과 더불어서 마일스톤 또한 ABL301, 001, 그리고 202나 104까지 합쳐서 600억 내외의 마일스톤도 수령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음

#Grabody-B
- ABL301 하나의 밸류가 있고, 그랩바디 플랫폼의 밸류가 지속적으로 올라갈 것으로 전망함
- 현재까지 사노피에 기술 이전한 이후 업프론트 계약금 + 마일스톤까지 한 1,700억 원 정도 현금 수취했고, 작년에 가장 중요했던 이벤트는 제조 기술 이전이었음
- 작년 10월에 테크트랜스퍼라고 해서 제조 기술을 사노피에 이전했고, 사노피 같은 경우에는 임상 2상부터는 본인들이 단독으로 진행을 하려고 하므로 제조 기술을 이전 받아야함
- 이쪽 시장 기존 약물은 아두헬름, 레켐비, 키순라 등 상용화된 파이프라인의 경우 모두 단일 항체 기반임
- 이 치료제들은 병의 악화를 늦출 수는 있어도, 근본적인 치료가 어렵고 치료 효과 대비했을 때 ARIA 라는 부작용도 굉장히 높게 나와서 반쪽짜리 승인으로 보고 있음 (그 외 대안이 없어서 승인)
- 다만, 저희 TFR 기반의 BBB 셔틀의 경우에는 로슈가 재작년 말부터 기존에 본인들이 실패한 간테네루맙에 TFR 셔틀을 붙여서 개발한 트론티네맙 임상 성과를 발표하고 있음
- 이 임상에서 증명했던 것은 단일 항체에 셔틀을 붙였더니 투과율이 올라갈 뿐만 아니라 안전성도 좋아졌다는 것. 즉 셔틀이 어느 정도 필수적인 부분으로 가고 있다라는 점을 밝혀냄
- 다만, TFR 기반 셔틀은 혈관 위주로 가기 때문에 뇌 뿐만 아니라 신체 전반적인 부분에 발현된다는 점이 있어서 다른 쪽에서 부작용이 나올 수 있고, 혈액 독성도 확인되고 있음
- 반면에 우리는 IGFR 수용체가 뇌에만 많이 분포해있음. 그렇기 때문에 뇌질환 타겟으로 했을 때 보다 안전하게 전달을 할 수가 있음 (TFR은 철분 관련, IGFR은 인슐린 관련 타깃)
- 또한 TFR과 IGFR은 발현도 이외에 경로적인 차이가 존재함. 비교되는 경로가 크게 3가지가 있음. TFR은 CME 경로 사용 / IGFR은 Caveolae, FEME 두 개의 경로 추가로 사용함
- CME 경로의 경우 노화 정도에 따라서 투과율이 떨어지는 결과들을 보여줌 (네이처 논문). 반면, Caveolae의 경우 노화가 있어도 투과율이 조금 올라가는 데이터가 존재함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10.04.202513:43
04.10일 목요일 시장 주체별 매수 동향

사모/연기금/투신 공통 순매수 상위 종목
: X


사모/연기금/투신 공통 순매도 상위 종목
: X

오늘은 관세 부과 연기로 인하여 공통적인 느낌 없이 중구난방으로 수급이 확 들어오는 모습이었음
때문에 참고만 하시면 될듯


1. 시총대비 사모펀드 순매수 상위 20 종목
: 파마리서치, SAMG엔터, 에스엠씨지, 넥스틸, 새론오토모티브, 솔트룩스, 대성창투, 펨트론, 젬백스, 메디톡스, DSC인베스트먼트, ISC, 휴젤, 엠아이텍, 롯데관광개발, 대한유화, 비에이치아이, 대호에이엘, 산일전기 한화시스템
=> 이것저것 다양함

2. 시총대비 연기금 순매수 상위 20 종목
: 한국카본, 성광벤드, 에이치브이엠, 아모텍, 싸이맥스, 이수페타시스, 산일전기, 경동나비엔, 디아이, 지누스, 유니드, 휴메딕스, 두산, 가온전선, 선진뷰티사이언스, LS ELECTRIC, HD현대일렉트릭, 해성디에스, 파마리서치, 퓨쳐켐
=> LNG, 전력기기, 테크 등 산업재 강세

3. 시총대비 투신 순매수 상위 20 종목
: SAMG엔터, 코스메카코리아, 아이패밀리에스씨, 지누스, 브이티, 토니모리, 마녀공장, 펌텍코리아, 이수페타시스, 실리콘투, 글로벌텍스프리, 나노신소재, 에코앤드림, 와이씨켐, 트루엔, 지아이이노베이션, 제이에스코퍼레이션, 한국카본, SK이노베이션, 씨앤씨인터내셔널
=> 전체적으로 화장품쪽이 두드러졌음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Reposted from:
신한 리서치 avatar
신한 리서치
20.04.202522:42
『삼양식품 (003230.KS) - 황제주 등극 초읽기』
기업분석부 조상훈 ☎02-3772-2578


▶ 관세 우려보다는 수출 모멘텀이 반영될 시기
- 5월말 밀양 2공장(Capa +39%), 장기적으로는 27년 1월말 중국 현지 공장(Capa +32%) 후 외형 성장 가속화 기대
- 양적 한계가 명확해진 국내 음식료 시장에서 모범

▶ 1Q25 Preview: 높아진 눈높이 충족 예상
- 1Q25 매출과 영업이익은 5,007억원(+29.8% YoY), 1,067억원(+33.1% YoY) 기록, 컨센서스 부합 전망
- 수출 판매량 증가, 지역 믹스, 투입 원가 개선의 3박자가 고루 맞아떨어져 높아진 시장 기대치 충족

▶ Valuation & Risk: 목표주가 상향, 해외 모멘텀 확대 구간의 초입
- 목표주가 1,100,000원(목표 주가수익비율 21배, 일본 동종업종 과거 5개년 평균)으로 28% 상향
- 밸류에이션(25F 주가수익비율 19.3배)은 다소 부담스러우나 해외 모멘텀 확대 구간의 초입으로 높은 성장성이 지속되는 점에 주목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694

위 내용은 2025년 4월 21일 7시 2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17.04.202500:22
2025.04.17 09:21:24
기업명: HD현대마린엔진(시가총액: 1조 1,618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 삼성중공업㈜ (Samsung Heavy Industries Co., Ltd.)
계약내용 : ( 기타 판매ㆍ공급계약 ) 선박엔진 공급계약
공급지역 : 국내
계약금액 : 803억

계약시작 : 2025-04-17
계약종료 : 2028-03-13
계약기간 : 2년 11개월
매출대비 : 25.4%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17800159
최근계약 : https://www.awakeplus.co.kr/board/contract/07197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71970
#EMC

두산의 경쟁사(?) 및 동종 업계 EMC의 매출 추이. 아직 업황 이상무.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