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4.202502:02
💥💥💥💥인벤티지랩 4/23일 IR 정리💥💥💥💥
-GLP-1은 본래의 반감기가 체내에서 2분정도이고, 고분자이기 때문에 경구용 제형으로 변경시키기 어려움.
-동사는 DDS(마이크로스피어) 기술 + GLP-1(변형없음)의 형태로 반감기를 늘림.
-리벨서스(노보노디스크) = 세마글루타이드 + SANC 기술로 생체 이용률을 증가 시켰으나 흡수율은 여전히 1% 미만임.
-대부분은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서 펩타이드보다 저분자를 사용하는데, 독성/부작용 등의 한계점은 여전히 높음.
-동사는 펩타이드 방식을 유지하고, 자체적인 DDS 기술을 통해서 흡수율을 높이는 방식을 채택함.
-비글에 투여한 경구용 비만치료제의 데이터를 살펴보면, 최저용량인 3mg 기준으로 1주일간 안정적으로 유지가 되었고, 기존 리벨서스 대비 4배~70배까지 흡수율을 나타냄.(ㄷㄷㄷㄷㄷ)
-노보노디스크의 리벨서스와 1일 단순 데이터 비교 시, 흡수율 차이는 12배 수준.
-또한, 리벨서스는 1일 1회 투여인 반면, 인벤티지랩의 경구용 치료제는 1주일 1회 투여에도 효능이 지속됨.
-6월 ADA에서 발표 할수도 있음
출처- 쩜상리서치
-GLP-1은 본래의 반감기가 체내에서 2분정도이고, 고분자이기 때문에 경구용 제형으로 변경시키기 어려움.
-동사는 DDS(마이크로스피어) 기술 + GLP-1(변형없음)의 형태로 반감기를 늘림.
-리벨서스(노보노디스크) = 세마글루타이드 + SANC 기술로 생체 이용률을 증가 시켰으나 흡수율은 여전히 1% 미만임.
-대부분은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서 펩타이드보다 저분자를 사용하는데, 독성/부작용 등의 한계점은 여전히 높음.
-동사는 펩타이드 방식을 유지하고, 자체적인 DDS 기술을 통해서 흡수율을 높이는 방식을 채택함.
-비글에 투여한 경구용 비만치료제의 데이터를 살펴보면, 최저용량인 3mg 기준으로 1주일간 안정적으로 유지가 되었고, 기존 리벨서스 대비 4배~70배까지 흡수율을 나타냄.(ㄷㄷㄷㄷㄷ)
-노보노디스크의 리벨서스와 1일 단순 데이터 비교 시, 흡수율 차이는 12배 수준.
-또한, 리벨서스는 1일 1회 투여인 반면, 인벤티지랩의 경구용 치료제는 1주일 1회 투여에도 효능이 지속됨.
-6월 ADA에서 발표 할수도 있음
출처- 쩜상리서치
16.04.202509:56
04.16일 수요일 시장 주체별 매수 동향
사모/연기금/투신 공통 순매수 상위 종목
: 마이크로컨텍솔
사모/연기금/투신 공통 순매도 상위 종목
: X
1. 시총대비 사모펀드 순매수 상위 20 종목
- 유리 용기 적용 제품 확장에 따른 수혜 기대로 에스엠씨지 매수. 최근 지속적인 사모 매수세
-에스앤디 불닭 소스 수출입 데이터가 밀양쪽에서 크게 증가하며 수급 지속
- 동원F&B는 자회사 편입 이후 상승 추 세 지속
- SAMG엔터는 장중 신고가 기록했다가 장 밀리면서 신고가 언저리에서 마감. 기관은 계속 사주는 중임
- 원전 및 전력 관련 센티가 개선되는 가운데 비에이치아이, 일진전기 매수함
- 오늘 센티가 좋지 않았던 테크와 바이오 종목들을 꽤 많이 사는 모습 ex. 엠디바이스, 티엘비, 에이비엘바이오, 오스코텍, 마이크로컨텍솔, 지아이이노베이션 등
- 사모특이수급: 제일연마, 비츠로셀, 에프알텍, 엠디바이스
2. 시총대비 연기금 순매수 상위 20 종목
- 음식료 바스켓으로 담아감 ex. 빙그레, 삼양식품, 농심. 이 중 삼양식품은 최근 연일 매수하고 있음
- 전체적으로 경기방어 성격의 종목들이나 주가가 바닥에 깔려있는 종목들을 많이 가져가는 모습. 증시 자체를 좋게 보고 있지는 않는 듯한 움직임 ex. LG유플러스, 애경산업, 롯데케미칼, GKL 등
- 그 외 엔터 종목 강세. 에스엠, 와이지엔터
- 마이크로컨텍솔도 오랜만에 다시 매수 시작
3. 시총대비 투신 순매수 상위 20 종목
- 비아이매트릭스는 AI 테마로 움직이는 감이 있지만 본격적인 성장 구간에 돌입할 수 있는 상황이어서 주목해볼 필요가 있는 스몰캡이라고 생각함
- 그동안 테크를 좋아하던 투신인데 종목단에서 큰 손바꿈 추세가 보임. 케이씨텍, GST, ISC, 하나머티, 주성엔지니어링 등 순매도 20위 안에 반도체 종목만 10개에 달함
- 그러면서 마이크로컨텍솔, 엠디바이스 등 스몰캡 매수. 다만, 이둘은 너무 작아서 조금만 사도 상위권이기 때문에 큰 틀에서는 테크를 모두가 버리는 첫 날이라고 보여짐
- 테크를 버리고 다가오는 1분기 실적 시즌이 연간으로 꽤 중요한 분기이기 때문에 실적이 잘 나올 수 있는 화장품/미용의료 섹터로 옮겨가는 모습 ex. 아이패밀리에스씨, 아스테라시스, 에스엠씨지, 코스메카코리아, 제닉, 에이피알 등
4. 기타 시장 코멘트
- 테크 약세로 연일 코스피 거래대금이 올라오지 못하는 상황임. 코스피 6조대는 심각한 유동성. 코스피 + 코스닥 도합 13조 언저리
- 코스피는 그마저도 조선, 방산 등에 쏠림 현상이 강함에 따라 선순환이 되지 못하는 모습임
- 코스닥은 그나마 회전되는 모습이지만 최근 AI 관련 테마주들 거래대금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만큼 실질적인 거래대금이 매우 말라있는 상황
- 규모는 줄어들었지만 오늘도 결국 외국인은 선물 순매도로 마감하였고, 현물 기준으로는 코스닥/코스피 모두 꽤 큰 규모로 순매도 마감함
- 예수금과 신용잔고는 살짝 바닥 찍고 올라오는 모습. 리테일 수급은 시장이 바닥을 지났다고 판단하는 것 같으나. 아직까지는 녹록지 못한 모습임
- 다만, JPM에서 한국에 대한 과매도 및 투자의견 상향 (중립)한 점은 그나마 위안거리인 듯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사모/연기금/투신 공통 순매수 상위 종목
: 마이크로컨텍솔
사모/연기금/투신 공통 순매도 상위 종목
: X
1. 시총대비 사모펀드 순매수 상위 20 종목
- 유리 용기 적용 제품 확장에 따른 수혜 기대로 에스엠씨지 매수. 최근 지속적인 사모 매수세
-에스앤디 불닭 소스 수출입 데이터가 밀양쪽에서 크게 증가하며 수급 지속
- 동원F&B는 자회사 편입 이후 상승 추 세 지속
- SAMG엔터는 장중 신고가 기록했다가 장 밀리면서 신고가 언저리에서 마감. 기관은 계속 사주는 중임
- 원전 및 전력 관련 센티가 개선되는 가운데 비에이치아이, 일진전기 매수함
- 오늘 센티가 좋지 않았던 테크와 바이오 종목들을 꽤 많이 사는 모습 ex. 엠디바이스, 티엘비, 에이비엘바이오, 오스코텍, 마이크로컨텍솔, 지아이이노베이션 등
- 사모특이수급: 제일연마, 비츠로셀, 에프알텍, 엠디바이스
2. 시총대비 연기금 순매수 상위 20 종목
- 음식료 바스켓으로 담아감 ex. 빙그레, 삼양식품, 농심. 이 중 삼양식품은 최근 연일 매수하고 있음
- 전체적으로 경기방어 성격의 종목들이나 주가가 바닥에 깔려있는 종목들을 많이 가져가는 모습. 증시 자체를 좋게 보고 있지는 않는 듯한 움직임 ex. LG유플러스, 애경산업, 롯데케미칼, GKL 등
- 그 외 엔터 종목 강세. 에스엠, 와이지엔터
- 마이크로컨텍솔도 오랜만에 다시 매수 시작
3. 시총대비 투신 순매수 상위 20 종목
- 비아이매트릭스는 AI 테마로 움직이는 감이 있지만 본격적인 성장 구간에 돌입할 수 있는 상황이어서 주목해볼 필요가 있는 스몰캡이라고 생각함
- 그동안 테크를 좋아하던 투신인데 종목단에서 큰 손바꿈 추세가 보임. 케이씨텍, GST, ISC, 하나머티, 주성엔지니어링 등 순매도 20위 안에 반도체 종목만 10개에 달함
- 그러면서 마이크로컨텍솔, 엠디바이스 등 스몰캡 매수. 다만, 이둘은 너무 작아서 조금만 사도 상위권이기 때문에 큰 틀에서는 테크를 모두가 버리는 첫 날이라고 보여짐
- 테크를 버리고 다가오는 1분기 실적 시즌이 연간으로 꽤 중요한 분기이기 때문에 실적이 잘 나올 수 있는 화장품/미용의료 섹터로 옮겨가는 모습 ex. 아이패밀리에스씨, 아스테라시스, 에스엠씨지, 코스메카코리아, 제닉, 에이피알 등
4. 기타 시장 코멘트
- 테크 약세로 연일 코스피 거래대금이 올라오지 못하는 상황임. 코스피 6조대는 심각한 유동성. 코스피 + 코스닥 도합 13조 언저리
- 코스피는 그마저도 조선, 방산 등에 쏠림 현상이 강함에 따라 선순환이 되지 못하는 모습임
- 코스닥은 그나마 회전되는 모습이지만 최근 AI 관련 테마주들 거래대금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만큼 실질적인 거래대금이 매우 말라있는 상황
- 규모는 줄어들었지만 오늘도 결국 외국인은 선물 순매도로 마감하였고, 현물 기준으로는 코스닥/코스피 모두 꽤 큰 규모로 순매도 마감함
- 예수금과 신용잔고는 살짝 바닥 찍고 올라오는 모습. 리테일 수급은 시장이 바닥을 지났다고 판단하는 것 같으나. 아직까지는 녹록지 못한 모습임
- 다만, JPM에서 한국에 대한 과매도 및 투자의견 상향 (중립)한 점은 그나마 위안거리인 듯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10.04.202513:43
04.10일 목요일 시장 주체별 매수 동향
사모/연기금/투신 공통 순매수 상위 종목
: X
사모/연기금/투신 공통 순매도 상위 종목
: X
오늘은 관세 부과 연기로 인하여 공통적인 느낌 없이 중구난방으로 수급이 확 들어오는 모습이었음
때문에 참고만 하시면 될듯
1. 시총대비 사모펀드 순매수 상위 20 종목
: 파마리서치, SAMG엔터, 에스엠씨지, 넥스틸, 새론오토모티브, 솔트룩스, 대성창투, 펨트론, 젬백스, 메디톡스, DSC인베스트먼트, ISC, 휴젤, 엠아이텍, 롯데관광개발, 대한유화, 비에이치아이, 대호에이엘, 산일전기 한화시스템
=> 이것저것 다양함
2. 시총대비 연기금 순매수 상위 20 종목
: 한국카본, 성광벤드, 에이치브이엠, 아모텍, 싸이맥스, 이수페타시스, 산일전기, 경동나비엔, 디아이, 지누스, 유니드, 휴메딕스, 두산, 가온전선, 선진뷰티사이언스, LS ELECTRIC, HD현대일렉트릭, 해성디에스, 파마리서치, 퓨쳐켐
=> LNG, 전력기기, 테크 등 산업재 강세
3. 시총대비 투신 순매수 상위 20 종목
: SAMG엔터, 코스메카코리아, 아이패밀리에스씨, 지누스, 브이티, 토니모리, 마녀공장, 펌텍코리아, 이수페타시스, 실리콘투, 글로벌텍스프리, 나노신소재, 에코앤드림, 와이씨켐, 트루엔, 지아이이노베이션, 제이에스코퍼레이션, 한국카본, SK이노베이션, 씨앤씨인터내셔널
=> 전체적으로 화장품쪽이 두드러졌음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사모/연기금/투신 공통 순매수 상위 종목
: X
사모/연기금/투신 공통 순매도 상위 종목
: X
오늘은 관세 부과 연기로 인하여 공통적인 느낌 없이 중구난방으로 수급이 확 들어오는 모습이었음
때문에 참고만 하시면 될듯
1. 시총대비 사모펀드 순매수 상위 20 종목
: 파마리서치, SAMG엔터, 에스엠씨지, 넥스틸, 새론오토모티브, 솔트룩스, 대성창투, 펨트론, 젬백스, 메디톡스, DSC인베스트먼트, ISC, 휴젤, 엠아이텍, 롯데관광개발, 대한유화, 비에이치아이, 대호에이엘, 산일전기 한화시스템
=> 이것저것 다양함
2. 시총대비 연기금 순매수 상위 20 종목
: 한국카본, 성광벤드, 에이치브이엠, 아모텍, 싸이맥스, 이수페타시스, 산일전기, 경동나비엔, 디아이, 지누스, 유니드, 휴메딕스, 두산, 가온전선, 선진뷰티사이언스, LS ELECTRIC, HD현대일렉트릭, 해성디에스, 파마리서치, 퓨쳐켐
=> LNG, 전력기기, 테크 등 산업재 강세
3. 시총대비 투신 순매수 상위 20 종목
: SAMG엔터, 코스메카코리아, 아이패밀리에스씨, 지누스, 브이티, 토니모리, 마녀공장, 펌텍코리아, 이수페타시스, 실리콘투, 글로벌텍스프리, 나노신소재, 에코앤드림, 와이씨켐, 트루엔, 지아이이노베이션, 제이에스코퍼레이션, 한국카본, SK이노베이션, 씨앤씨인터내셔널
=> 전체적으로 화장품쪽이 두드러졌음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08.04.202512:12
08.04.202511:14
Reposted from:
우리는 트윗충



07.04.202514:56
트럼프, 중국 제외한 모든 국가에 대한 관세 90일 일시 중단 고려
https://x.com/DeItaone/status/1909248236142866827
UPDATE: 백악관은 이 사실에 대해서 모른다는 추가 트윗, 그러나 CNBC는 언급
https://x.com/deitaone/status/1909251526024904891?s=46
UPDATE 2:
백악관: 90일 관세 유예는 '가짜 뉴스' (source: DB)
https://x.com/dbnewswire/status/1909253434093564024?s=46
※“우리는 트윗충의 모든 게시글은 매수, 매도 등 권유를 구성하지 아니하며 내용의 그 어느 부분도 투자 결정을 위한 기초 또는 근거가 될 수 없습니다.”
https://x.com/DeItaone/status/1909248236142866827
UPDATE: 백악관은 이 사실에 대해서 모른다는 추가 트윗, 그러나 CNBC는 언급
https://x.com/deitaone/status/1909251526024904891?s=46
UPDATE 2:
백악관: 90일 관세 유예는 '가짜 뉴스' (source: DB)
https://x.com/dbnewswire/status/1909253434093564024?s=46
※“우리는 트윗충의 모든 게시글은 매수, 매도 등 권유를 구성하지 아니하며 내용의 그 어느 부분도 투자 결정을 위한 기초 또는 근거가 될 수 없습니다.”
Reposted from:
신한 리서치

20.04.202522:42
『삼양식품 (003230.KS) - 황제주 등극 초읽기』
기업분석부 조상훈 ☎02-3772-2578
▶ 관세 우려보다는 수출 모멘텀이 반영될 시기
- 5월말 밀양 2공장(Capa +39%), 장기적으로는 27년 1월말 중국 현지 공장(Capa +32%) 후 외형 성장 가속화 기대
- 양적 한계가 명확해진 국내 음식료 시장에서 모범
▶ 1Q25 Preview: 높아진 눈높이 충족 예상
- 1Q25 매출과 영업이익은 5,007억원(+29.8% YoY), 1,067억원(+33.1% YoY) 기록, 컨센서스 부합 전망
- 수출 판매량 증가, 지역 믹스, 투입 원가 개선의 3박자가 고루 맞아떨어져 높아진 시장 기대치 충족
▶ Valuation & Risk: 목표주가 상향, 해외 모멘텀 확대 구간의 초입
- 목표주가 1,100,000원(목표 주가수익비율 21배, 일본 동종업종 과거 5개년 평균)으로 28% 상향
- 밸류에이션(25F 주가수익비율 19.3배)은 다소 부담스러우나 해외 모멘텀 확대 구간의 초입으로 높은 성장성이 지속되는 점에 주목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694
위 내용은 2025년 4월 21일 7시 2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기업분석부 조상훈 ☎02-3772-2578
▶ 관세 우려보다는 수출 모멘텀이 반영될 시기
- 5월말 밀양 2공장(Capa +39%), 장기적으로는 27년 1월말 중국 현지 공장(Capa +32%) 후 외형 성장 가속화 기대
- 양적 한계가 명확해진 국내 음식료 시장에서 모범
▶ 1Q25 Preview: 높아진 눈높이 충족 예상
- 1Q25 매출과 영업이익은 5,007억원(+29.8% YoY), 1,067억원(+33.1% YoY) 기록, 컨센서스 부합 전망
- 수출 판매량 증가, 지역 믹스, 투입 원가 개선의 3박자가 고루 맞아떨어져 높아진 시장 기대치 충족
▶ Valuation & Risk: 목표주가 상향, 해외 모멘텀 확대 구간의 초입
- 목표주가 1,100,000원(목표 주가수익비율 21배, 일본 동종업종 과거 5개년 평균)으로 28% 상향
- 밸류에이션(25F 주가수익비율 19.3배)은 다소 부담스러우나 해외 모멘텀 확대 구간의 초입으로 높은 성장성이 지속되는 점에 주목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694
위 내용은 2025년 4월 21일 7시 2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11.04.202503:43
#EMC
두산의 경쟁사(?) 및 동종 업계 EMC의 매출 추이. 아직 업황 이상무.
두산의 경쟁사(?) 및 동종 업계 EMC의 매출 추이. 아직 업황 이상무.
10.04.202513:43
08.04.202512:12
[전일 대비 거래량 100% 이상 증가 종목 (상승률 5% 이상)]
종목명 등락률 내용
에르코스 30.00% 식가공품 공급업체, 이재명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엑시온그룹 29.96% 전자상거래업 영위업체, 감사보고서 지연 제출 후 적정 보고서 제출로 강세
벡트 29.95% 영상콘텐츠 및 전자칠판 공급업체,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옵티시스 29.91% 광전송장치 공급업체, 김문수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사조씨푸드 29.90% 수산물 가공제품 공급업체, 김문수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엑셀세라퓨틱스 29.88% 세포유전자치료제 배양 배지 공급업체, 중국 블루메이지바이오테크놀로지와 중국 내 독점 유통 판매 본계약 체결 소식에 강세
고바이오랩 29.86%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바이오업체, 간 손상 치료 소재 미국 특허 등록 완료 소식
노바텍 25.97% 자석 관련 제품 공급업체, 비희토류 영구자석 세계 최초 대량생산, 중국 트럼프 보편관세에 대항해 희토류 수출 규제 검토 소식
코퍼스코리아 24.53% 한류 콘텐츠 해외 배급업체, 시총 449억
카티스 22.24% 산업인프라 보안 관련 AI 공급업체, 이재명 AI강국위원회 정책 관련주
수산아이앤티 22.24% 인터넷 필터링 소프트웨어 등 AI 공급업체, 이재명 AI강국위원회 정책 관련주
와이즈넛 22.13% 검색엔진, 챗봇 등 AI 공급업체, 이재명 AI강국위원회 정책 관련주
알서포트 22.12% 원격지원, 제어 관련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이재명 AI강국위원회 정책 관련주
진영 20.74% 가구용 시트 공급업체, 김문수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우원개발 20.26% 토목, 상하수도 등 엔지니어링 업체, 김문수 한일해저터널, 이재명 북한 친화정책 등 소형 건설업체 수혜 기대감 상승
이노룰스 20.12% AI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이재명 AI 강국위원회 정책 관련주
성신양회 19.05% 시멘트 및 레미콘 제조업체, 민주당 22년 숙원 세종시 이전 기대감, 세종시 관련주
데이원컴퍼니 18.73% 평생교육 등 교육업 영위업체, 이재명 일자리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대신정보통신 18.64% 금융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대권 주자 STO 법제화 공통 공약으로 예상되어 관련주 강세
케일럼 18.52% 지열 발전기 등 공급업체, 시총 514억
한솔홈데코 17.41% 목재 관련 제품 공급업체, 김문수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진양산업 17.32% 폴리우레탄 폼 공급업체, 오세훈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정원엔시스 15.97% IT 인프라 등 공급업체, 시총 297억원
에이비엘바이오 15.48% 바이오업체, 4.1조원 규모 기술이전 소식에 연일 강세
아센디오 15.20% 연예기획업 및 자원개발업 영위업체, 시총 487억원
화신정공 14.97%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 김문수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국영지앤엠 14.52% 방화, 방탄유리 공급업체, 김부겸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휴먼테크놀로지 14.11% 통신기기 및 안티드론 공급업체, 개별 이유 없음
모티브링크 13.13% 전기차 변환관련 부품 공급업체, 현대 기아차 미국 현지 판매 호조 속 관련 수혜 기대감 상승
드림인사이트 12.87% 광고 대행업 영위업체, X 공식 광고 대행사 선정 소식에 강세
옵트론텍 12.40% 광학 부품 및 반도체 소자 공급업체, 시총 433억원, 개별 이유 없음
글로본 12.31% 신재생 에너지 관련 부품 공급업체, 투자주의 환기종목 해제 소식에 강세
삼익악기 11.85% 피아노 공급업체, 스페코 대량 지분 매수로 동사의 2대주주 등극 소식
신신제약 11.69% 파스 등 의약품 공급업체, 민주당 22년 숙원 세종 행정수도 이전 법안 추진 소식, 세종시 관련주
백금T&A 10.79% 블랙박스 제조업체, 시총 405억원
인터지스 10.68% 물류운송업 영위업체, 이재명 북극항로 개척 관련 수혜주
바이넥스 10.55% 바이오 CDMO 업체, 중국 우시앱텍 급락 속 생물보안법 반사 수혜 기대감 상승
JW신약 10.49% 제약 바이오업체, 이재명 탈모 정책 관련주
에이팩트 10.25% 반도체 OSAT 업체, 시총 934억원, 개별 이유 없음
유니온 10.17% 시멘트 공급업체, 자회사 유니온머티리얼 희토류 관련주, 중국 희토류 수출 규제 검토 속 반사수혜 기대감 상승
누리플랜 9.75% 펜스 및 방음벽 공급업체, 오세훈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아이스크림에듀 9.70% 교육업 영위업체, 이재명 일자리 및 교육 개혁 관련주
사조오양 9.49% 해산물 및 수산물 가공식품 공급업체, 김문수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에이텍모빌리티 9.22% 교통카드 단말기 공급업체, 이재명 정책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체리부로 9.15% 닭고기 공급업체, 김문수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스틱인베스트먼트 8.98% 사모. 일자리 정책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삼일기업공사 8.92% 건축 및 토목 엔지니어링 업체, 유승민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페이퍼코리아 8.90% 신문지 등 제지 생산업체, 홍준표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코미팜 8.22% 동물의약품 공급업체, ASF 백신 필리핀 정부 야외 임상시험 계획 승인 소식
세원정공 8.02%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 상법 개정 수혜주, 이재명 상법 개정 강력 추진 소식
CJ씨푸드 8.01% 수산물 가공제품 공급업체, 미국 중국산 김 관세 폭탄 소식
엑스큐어 7.77% 스마트카드 공급업체, 이재명 정책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진양폴리 7.63% 폴리우레탄 폼 공급업체, 오세훈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갤럭시아에스엠 7.61% 스포츠마케팅 업체, 대권 주자 STO 법제화 공약 예상되며 관련주 강세
구영테크 7.48%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 김문수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현우산업 7.34% PCB 기판 및 반도체 소자 공급업체, 시총 519억원
신송홀딩스 7.16% 식품사업 영위업체, 중국 미국의 대두 등 농산품 관세 대폭 인상 검토 소식에 반사이익 기대감 상승
RF머트리얼즈 7.02% 광통신 및 RF 통신 패키지 제조업체, 시총 437억원, 개별 이유 없음
주연테크 6.82%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시총 218억원
에코바이오 6.65% 신재생에너지 유지관리 용역 제공업체, 시총 472억원,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린드먼아시아 6.64% 벤처투자업 영위업체, 일자리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진양제약 6.57% 의약품 제조업체, 오세훈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휴맥스홀딩스 6.50% 방송, 통신용 게이트웨이 공급업체, 홍준표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하츠 6.24% 공기 청정설비 공급업체, 이준석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밸로프 5.80% 게임업 영위업체, 김문수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케이바이오 5.51% CRO 임상관리 및 FDA 인허가 컨설팅업체, 시총 310억원
대성창투 5.35% 창업컨설팅 업체, 일자리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종목명 등락률 내용
에르코스 30.00% 식가공품 공급업체, 이재명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엑시온그룹 29.96% 전자상거래업 영위업체, 감사보고서 지연 제출 후 적정 보고서 제출로 강세
벡트 29.95% 영상콘텐츠 및 전자칠판 공급업체,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옵티시스 29.91% 광전송장치 공급업체, 김문수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사조씨푸드 29.90% 수산물 가공제품 공급업체, 김문수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엑셀세라퓨틱스 29.88% 세포유전자치료제 배양 배지 공급업체, 중국 블루메이지바이오테크놀로지와 중국 내 독점 유통 판매 본계약 체결 소식에 강세
고바이오랩 29.86%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바이오업체, 간 손상 치료 소재 미국 특허 등록 완료 소식
노바텍 25.97% 자석 관련 제품 공급업체, 비희토류 영구자석 세계 최초 대량생산, 중국 트럼프 보편관세에 대항해 희토류 수출 규제 검토 소식
코퍼스코리아 24.53% 한류 콘텐츠 해외 배급업체, 시총 449억
카티스 22.24% 산업인프라 보안 관련 AI 공급업체, 이재명 AI강국위원회 정책 관련주
수산아이앤티 22.24% 인터넷 필터링 소프트웨어 등 AI 공급업체, 이재명 AI강국위원회 정책 관련주
와이즈넛 22.13% 검색엔진, 챗봇 등 AI 공급업체, 이재명 AI강국위원회 정책 관련주
알서포트 22.12% 원격지원, 제어 관련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이재명 AI강국위원회 정책 관련주
진영 20.74% 가구용 시트 공급업체, 김문수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우원개발 20.26% 토목, 상하수도 등 엔지니어링 업체, 김문수 한일해저터널, 이재명 북한 친화정책 등 소형 건설업체 수혜 기대감 상승
이노룰스 20.12% AI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이재명 AI 강국위원회 정책 관련주
성신양회 19.05% 시멘트 및 레미콘 제조업체, 민주당 22년 숙원 세종시 이전 기대감, 세종시 관련주
데이원컴퍼니 18.73% 평생교육 등 교육업 영위업체, 이재명 일자리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대신정보통신 18.64% 금융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대권 주자 STO 법제화 공통 공약으로 예상되어 관련주 강세
케일럼 18.52% 지열 발전기 등 공급업체, 시총 514억
한솔홈데코 17.41% 목재 관련 제품 공급업체, 김문수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진양산업 17.32% 폴리우레탄 폼 공급업체, 오세훈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정원엔시스 15.97% IT 인프라 등 공급업체, 시총 297억원
에이비엘바이오 15.48% 바이오업체, 4.1조원 규모 기술이전 소식에 연일 강세
아센디오 15.20% 연예기획업 및 자원개발업 영위업체, 시총 487억원
화신정공 14.97%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 김문수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국영지앤엠 14.52% 방화, 방탄유리 공급업체, 김부겸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휴먼테크놀로지 14.11% 통신기기 및 안티드론 공급업체, 개별 이유 없음
모티브링크 13.13% 전기차 변환관련 부품 공급업체, 현대 기아차 미국 현지 판매 호조 속 관련 수혜 기대감 상승
드림인사이트 12.87% 광고 대행업 영위업체, X 공식 광고 대행사 선정 소식에 강세
옵트론텍 12.40% 광학 부품 및 반도체 소자 공급업체, 시총 433억원, 개별 이유 없음
글로본 12.31% 신재생 에너지 관련 부품 공급업체, 투자주의 환기종목 해제 소식에 강세
삼익악기 11.85% 피아노 공급업체, 스페코 대량 지분 매수로 동사의 2대주주 등극 소식
신신제약 11.69% 파스 등 의약품 공급업체, 민주당 22년 숙원 세종 행정수도 이전 법안 추진 소식, 세종시 관련주
백금T&A 10.79% 블랙박스 제조업체, 시총 405억원
인터지스 10.68% 물류운송업 영위업체, 이재명 북극항로 개척 관련 수혜주
바이넥스 10.55% 바이오 CDMO 업체, 중국 우시앱텍 급락 속 생물보안법 반사 수혜 기대감 상승
JW신약 10.49% 제약 바이오업체, 이재명 탈모 정책 관련주
에이팩트 10.25% 반도체 OSAT 업체, 시총 934억원, 개별 이유 없음
유니온 10.17% 시멘트 공급업체, 자회사 유니온머티리얼 희토류 관련주, 중국 희토류 수출 규제 검토 속 반사수혜 기대감 상승
누리플랜 9.75% 펜스 및 방음벽 공급업체, 오세훈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아이스크림에듀 9.70% 교육업 영위업체, 이재명 일자리 및 교육 개혁 관련주
사조오양 9.49% 해산물 및 수산물 가공식품 공급업체, 김문수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에이텍모빌리티 9.22% 교통카드 단말기 공급업체, 이재명 정책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체리부로 9.15% 닭고기 공급업체, 김문수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스틱인베스트먼트 8.98% 사모. 일자리 정책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삼일기업공사 8.92% 건축 및 토목 엔지니어링 업체, 유승민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페이퍼코리아 8.90% 신문지 등 제지 생산업체, 홍준표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코미팜 8.22% 동물의약품 공급업체, ASF 백신 필리핀 정부 야외 임상시험 계획 승인 소식
세원정공 8.02%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 상법 개정 수혜주, 이재명 상법 개정 강력 추진 소식
CJ씨푸드 8.01% 수산물 가공제품 공급업체, 미국 중국산 김 관세 폭탄 소식
엑스큐어 7.77% 스마트카드 공급업체, 이재명 정책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진양폴리 7.63% 폴리우레탄 폼 공급업체, 오세훈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갤럭시아에스엠 7.61% 스포츠마케팅 업체, 대권 주자 STO 법제화 공약 예상되며 관련주 강세
구영테크 7.48%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 김문수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현우산업 7.34% PCB 기판 및 반도체 소자 공급업체, 시총 519억원
신송홀딩스 7.16% 식품사업 영위업체, 중국 미국의 대두 등 농산품 관세 대폭 인상 검토 소식에 반사이익 기대감 상승
RF머트리얼즈 7.02% 광통신 및 RF 통신 패키지 제조업체, 시총 437억원, 개별 이유 없음
주연테크 6.82%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시총 218억원
에코바이오 6.65% 신재생에너지 유지관리 용역 제공업체, 시총 472억원,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린드먼아시아 6.64% 벤처투자업 영위업체, 일자리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진양제약 6.57% 의약품 제조업체, 오세훈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휴맥스홀딩스 6.50% 방송, 통신용 게이트웨이 공급업체, 홍준표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하츠 6.24% 공기 청정설비 공급업체, 이준석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밸로프 5.80% 게임업 영위업체, 김문수 테마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케이바이오 5.51% CRO 임상관리 및 FDA 인허가 컨설팅업체, 시총 310억원
대성창투 5.35% 창업컨설팅 업체, 일자리 관련주, 조기대선 국면으로 정치 및 정책 테마주 강세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17.04.202500:22
풍년이네요


11.04.202501:27
#두산 #CCL
섹터 센티는 안 좋으나 데이터는 순항중
섹터 센티는 안 좋으나 데이터는 순항중
10.04.202504:35
미국 액화천연가스(LNG) 회사 '벤처 글로벌'이 HD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한화오션을 방문하고 최대 12척 발주를 협의했다. 2분기 입찰을 종료한 후 계약을 체결할 전망이다. 미국의 제재로 중국 조선소가 배제되며, 약 4조5000억원 상당의 발주를 따내기 위한 'K-조선 3사'의 경쟁이 예상된다.
6일 노르웨이 해운전문지 '트레이드윈즈(Trade Winds)'에 따르면 벤처 글로벌은 최근 방한해 HD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조선소를 시찰했다. 18만 ㎥급 LNG운반선 4척에 옵션 8척을 더해 최대 12척 발주에 대한 협상을 진행했다. 이르면 2분기 말까지 입찰을 마무리하고 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알려졌다.
벤처 글로벌은 이번 입찰에서 중국 조선소를 제외했다. 카타르 에너지와 중국 내 발주로 도크(dock·배를 만드는 작업장)가 꽉 차있어 중국 조선소는 주문을 소화하기 힘들다고 봤다. 미국의 대(對)중국 규제도 부담이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자국 항구에 들어오는 중국산 선박에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오는 17일 공청회를 연 후 이르면 이달 안으로 구체화된 정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중국 선사 소속인 선박에 100만 달러(약 15억원), 중국에서 건조된 선박일 경우 150만 달러(약 22억원) 수수료를 매기는 방안이 유력하다.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85703
6일 노르웨이 해운전문지 '트레이드윈즈(Trade Winds)'에 따르면 벤처 글로벌은 최근 방한해 HD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조선소를 시찰했다. 18만 ㎥급 LNG운반선 4척에 옵션 8척을 더해 최대 12척 발주에 대한 협상을 진행했다. 이르면 2분기 말까지 입찰을 마무리하고 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알려졌다.
벤처 글로벌은 이번 입찰에서 중국 조선소를 제외했다. 카타르 에너지와 중국 내 발주로 도크(dock·배를 만드는 작업장)가 꽉 차있어 중국 조선소는 주문을 소화하기 힘들다고 봤다. 미국의 대(對)중국 규제도 부담이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자국 항구에 들어오는 중국산 선박에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오는 17일 공청회를 연 후 이르면 이달 안으로 구체화된 정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중국 선사 소속인 선박에 100만 달러(약 15억원), 중국에서 건조된 선박일 경우 150만 달러(약 22억원) 수수료를 매기는 방안이 유력하다.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85703
08.04.202511:19
#지누스
협상 결과가 어찌 될지는 모르겠지만 인니 관세가 줄어든다면 지누스가 기사회생 할 수 있겠네요 ..
사실 어떤 방식으로든 협상이 이루어지긴 할 거라고 생각하는 뷰가 합리적인 상황이라 최근 기관들이 계속 줍줍해주는 듯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318252?sid=104
협상 결과가 어찌 될지는 모르겠지만 인니 관세가 줄어든다면 지누스가 기사회생 할 수 있겠네요 ..
사실 어떤 방식으로든 협상이 이루어지긴 할 거라고 생각하는 뷰가 합리적인 상황이라 최근 기관들이 계속 줍줍해주는 듯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318252?sid=104
Reposted from:
💯똥밭에 굴러도 주식판



07.04.202515:03
지금 시장이 얼마나 심리가 취약한지 보여주는 대목이란 생각임.
뭐 하나 트리거만 있다면 시장은 미친듯이 상승 할 수 있고.
반대로 빅스가 45이거 60이건 반대 트리거가 터지면 언제든 하락 할 수 있음.
지금 시장의 컨디션 체크 하신 것으로 위안 삼으십시요.
뭐 하나 트리거만 있다면 시장은 미친듯이 상승 할 수 있고.
반대로 빅스가 45이거 60이건 반대 트리거가 터지면 언제든 하락 할 수 있음.
지금 시장의 컨디션 체크 하신 것으로 위안 삼으십시요.
Reposted from:
루팡

07.04.202500:10
[단독]정부, 美 상호관세 협상 개시…통상본부장, 8일 USTR 대표 긴급 면담차 방미
통상본부장 8~11일 방미...USTR 대표와 면담
9일 상호관세 발효 앞두고 각국 미국과 후속 협상
韓 리더십 부재 속 미국과 협상 불리하다는 부정적 시각도
도널드 트럼프 2기 미국 행정부가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상대국 중 우리나라에 가장 높은 25% 관세율을 부과한 가운데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8일 미국을 방문해 미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관세율 인하를 위한 첫 협상에 나선다.
7일 정부에 따르면 정 본부장은 8일부터 나흘간 일정으로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해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와 긴급 면담을 가질 예정이다. 정 본부장의 이번 방미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총리의 긴급 지시로 이뤄졌다.
산업부 고위 관계자는 “카운터파트너인 그리어 USTR 대표과 면담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면서 “본부장이 지난달 미국 출장을 통해 그리어 USTR 대표 뿐만 아니라 미국측 인사들과 친분을 쌓았기 때문에 관세율 인하를 위한 분위기를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전세계 수입품에 기본관세 10%를 5일부터 집행한 뒤 9일부터 2단계로 국가별 상호관세(10%+알파)를 발효한다. 한국산 제품에는 25%가 부과될 예정이다. 이제 각국은 미국과 관세율 인하 또는 면제를 위한 후속 협상에 사활을 걸고 있다. 10%의 기본관세는 ‘상수’지만 10% 넘는 국가별 상호관세가 부과된 나라들과는 USTR 보고서에서 언급한 무역장벽을 없애는 정도를 감안해 세율 인하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최근 방송에서 ‘다음 주 중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 협의를 하고 싶다’며 ‘최종 결정은 트럼프 대통령밖에 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일본의 상호 관세율은 24%로 예정돼 있다.
46% 고율의 관세가 매겨진 베트남도 권력 서열 1위인 또 럼 공산당 서기장은 대미 관세 제로 계획을 담은 파격적인 대안을 제시하며 직접 협상에 나섰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4일 본인의 소셜미디어(SNS)에 통해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생산적인 통화를 했다”면서 “만약 미국과 협정을 맺을 수 있다면 베트남의 관세를 ‘0’으로 낮추고 싶다”고 밝혔다.
베트남은 항공기·액화천연가스(LNG) 등 미국산 상품을 더 많이 수입하고 미국 기업의 베트남 투자를 촉진하는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앞서 지난달 말 베트남 정부는 미국산 LNG·자동차·에탄올·에탄에 대한 관세를 낮추거나 없애고 닭다리살·사과·아몬드 등 농산물 관세도 인하키로 했다. 베트남 저비용항공사(LCC) 비엣젯은 보잉 787 제트기 20대 주문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는 트럼프 2기 정부의 상호관세 부과에 앞서 대한항공(약 48조원)과 현대차(약 30조원)가 대규모 대미 투자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대한항공은 지난달 21일 안덕근 산업부 장관의 방미 일정에 맞춰서 미국 워싱턴D.C에서 보잉과 GE에어로스페이스를 합해 총 327억달러의 ‘3사 협력 강화 서명식’을 가졌다. 베트남 비엣젯보다 2배가 많은 투자계획을 발표했지만 트럼프 미 대통령은 한국 투자와 관련해 아무 언급도 하지 않았다. 이에 전략 부재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결국 협상 과정에서 미국이 주장하는 무역장벽 문제가 언급될 것으로 전망된다. USTR는 지난 1일 공개한 ‘2025 국가별 무역장벽보고서(NTE 보고서)’에서 한국과 관련해 디지털 무역, 정부 조달, 농산물 시장 접근, 서비스, 약가 등을 ‘비관세무역장벽’으로 간주하며 개선 필요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통상전문가들은 일부 비관세 장벽을 우리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개선하고, 대신 정부가 비관세 장벽을 개선하는 업계 지원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실제로 트럼프 1기 때인 2019년 10월 우리나라는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이후 24년만에 개도국 지위 포기 여부 결정한 후 공익형 직불제 도입과 1조원 농어촌상생협력기금 등을 통해 대책을 내놓았다.
일각에서는 현 정부의 잦은 장차관급 방미가 협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다. 정상 간 소통을 중시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스타일을 고려하면 리더십 부재 상황에서 미국을 상대하기보다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알래스카산 액화천연가스(LNG) 구입’ 등 굵직한 카드를 꺼내 협상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정부는 한미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 가능성에 대해 아직 공식적으로 미국 측으로부터 어떤 제안이나 언질도 받지 못했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박종원 산업부 통상차관보는 “미국이 우리나라에 한미 FTA를 딱 찍어서 (재협상해야 한다고) 얘기한 적은 한 번도 없었다”며 “한미 FTA 재협상 수순 수준까지 이야기하는 것은 아직 급한 것 같다”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453416?rc=N&ntype=RANKING&sid=001
통상본부장 8~11일 방미...USTR 대표와 면담
9일 상호관세 발효 앞두고 각국 미국과 후속 협상
韓 리더십 부재 속 미국과 협상 불리하다는 부정적 시각도
도널드 트럼프 2기 미국 행정부가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상대국 중 우리나라에 가장 높은 25% 관세율을 부과한 가운데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8일 미국을 방문해 미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관세율 인하를 위한 첫 협상에 나선다.
7일 정부에 따르면 정 본부장은 8일부터 나흘간 일정으로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해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와 긴급 면담을 가질 예정이다. 정 본부장의 이번 방미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총리의 긴급 지시로 이뤄졌다.
산업부 고위 관계자는 “카운터파트너인 그리어 USTR 대표과 면담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면서 “본부장이 지난달 미국 출장을 통해 그리어 USTR 대표 뿐만 아니라 미국측 인사들과 친분을 쌓았기 때문에 관세율 인하를 위한 분위기를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전세계 수입품에 기본관세 10%를 5일부터 집행한 뒤 9일부터 2단계로 국가별 상호관세(10%+알파)를 발효한다. 한국산 제품에는 25%가 부과될 예정이다. 이제 각국은 미국과 관세율 인하 또는 면제를 위한 후속 협상에 사활을 걸고 있다. 10%의 기본관세는 ‘상수’지만 10% 넘는 국가별 상호관세가 부과된 나라들과는 USTR 보고서에서 언급한 무역장벽을 없애는 정도를 감안해 세율 인하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최근 방송에서 ‘다음 주 중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 협의를 하고 싶다’며 ‘최종 결정은 트럼프 대통령밖에 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일본의 상호 관세율은 24%로 예정돼 있다.
46% 고율의 관세가 매겨진 베트남도 권력 서열 1위인 또 럼 공산당 서기장은 대미 관세 제로 계획을 담은 파격적인 대안을 제시하며 직접 협상에 나섰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4일 본인의 소셜미디어(SNS)에 통해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생산적인 통화를 했다”면서 “만약 미국과 협정을 맺을 수 있다면 베트남의 관세를 ‘0’으로 낮추고 싶다”고 밝혔다.
베트남은 항공기·액화천연가스(LNG) 등 미국산 상품을 더 많이 수입하고 미국 기업의 베트남 투자를 촉진하는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앞서 지난달 말 베트남 정부는 미국산 LNG·자동차·에탄올·에탄에 대한 관세를 낮추거나 없애고 닭다리살·사과·아몬드 등 농산물 관세도 인하키로 했다. 베트남 저비용항공사(LCC) 비엣젯은 보잉 787 제트기 20대 주문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는 트럼프 2기 정부의 상호관세 부과에 앞서 대한항공(약 48조원)과 현대차(약 30조원)가 대규모 대미 투자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대한항공은 지난달 21일 안덕근 산업부 장관의 방미 일정에 맞춰서 미국 워싱턴D.C에서 보잉과 GE에어로스페이스를 합해 총 327억달러의 ‘3사 협력 강화 서명식’을 가졌다. 베트남 비엣젯보다 2배가 많은 투자계획을 발표했지만 트럼프 미 대통령은 한국 투자와 관련해 아무 언급도 하지 않았다. 이에 전략 부재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결국 협상 과정에서 미국이 주장하는 무역장벽 문제가 언급될 것으로 전망된다. USTR는 지난 1일 공개한 ‘2025 국가별 무역장벽보고서(NTE 보고서)’에서 한국과 관련해 디지털 무역, 정부 조달, 농산물 시장 접근, 서비스, 약가 등을 ‘비관세무역장벽’으로 간주하며 개선 필요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통상전문가들은 일부 비관세 장벽을 우리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개선하고, 대신 정부가 비관세 장벽을 개선하는 업계 지원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실제로 트럼프 1기 때인 2019년 10월 우리나라는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이후 24년만에 개도국 지위 포기 여부 결정한 후 공익형 직불제 도입과 1조원 농어촌상생협력기금 등을 통해 대책을 내놓았다.
일각에서는 현 정부의 잦은 장차관급 방미가 협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다. 정상 간 소통을 중시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스타일을 고려하면 리더십 부재 상황에서 미국을 상대하기보다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알래스카산 액화천연가스(LNG) 구입’ 등 굵직한 카드를 꺼내 협상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정부는 한미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 가능성에 대해 아직 공식적으로 미국 측으로부터 어떤 제안이나 언질도 받지 못했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박종원 산업부 통상차관보는 “미국이 우리나라에 한미 FTA를 딱 찍어서 (재협상해야 한다고) 얘기한 적은 한 번도 없었다”며 “한미 FTA 재협상 수순 수준까지 이야기하는 것은 아직 급한 것 같다”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453416?rc=N&ntype=RANKING&sid=001
Reposted from: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17.04.202500:22
2025.04.17 09:21:24
기업명: HD현대마린엔진(시가총액: 1조 1,618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 삼성중공업㈜ (Samsung Heavy Industries Co., Ltd.)
계약내용 : ( 기타 판매ㆍ공급계약 ) 선박엔진 공급계약
공급지역 : 국내
계약금액 : 803억
계약시작 : 2025-04-17
계약종료 : 2028-03-13
계약기간 : 2년 11개월
매출대비 : 25.4%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17800159
최근계약 : https://www.awakeplus.co.kr/board/contract/07197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71970
기업명: HD현대마린엔진(시가총액: 1조 1,618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 삼성중공업㈜ (Samsung Heavy Industries Co., Ltd.)
계약내용 : ( 기타 판매ㆍ공급계약 ) 선박엔진 공급계약
공급지역 : 국내
계약금액 : 803억
계약시작 : 2025-04-17
계약종료 : 2028-03-13
계약기간 : 2년 11개월
매출대비 : 25.4%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17800159
최근계약 : https://www.awakeplus.co.kr/board/contract/07197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71970
Reposted from:
Yeouido Lab_여의도 톺아보기

10.04.202522:55
트럼프 "최첨단 선박, 타국에 발주해야 할 수도"…韓 조선업 기회오나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1145727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1145727
Reposted from:
@아무자료 아무노래(2025년, 계급사회 진입1단계)

09.04.202505:35
민주 "국부펀드로 AI·청정에너지 육성"... 이재명 'K-엔비디아' 구체화
https://v.daum.net/v/20250409143034068
https://v.daum.net/v/20250409143034068
08.04.202511:17
04.08일 화요일 시장 주체별 매수 동향
사모/연기금/투신 공통 순매수 상위 종목
: 바이넥스
사모/연기금/투신 공통 순매도 상위 종목
: X
1. 시총대비 사모펀드 순매수 상위 섹터
- 에이비엘은 사모가 세게 사는 모습 (연기금은 쌍끌이 매도 중). 내일 오후 2시에 기업설명회가 예정되어 있는 상황인데 무슨 얘기를 해줄지 기대됨
- 한국카본은 추정치 상향 & 장내매수 등 긍정적인 소스들이 겹치면서 최근 모든 기관들이 사모으고 있음
- 넥스트바이오메디컬은 어제 하루 잠시 쉬었다가 사모 매수세 다시 들어오기 시작함. 지혈제 수출입 데이터는 아직 초기인지라 계속해서 우상향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수출입 데이터 발표 날짜 언저리에는 트레이딩 관점으로 매번 주목받는 듯함
- 중국의 우시앱택이 미국 리스크로 인해 급락하면서 우리나라 CDMO들의 반사수혜 기대감으로 바이넥스 강세였음
- 역시 기존 좋은 섹터였던 조선/LNG쪽에서 세진중공업, 태광, 우양에이치씨 등 종목들이 강세를 보임
- 그 외에는 글로벌 침체 속 내수 반사이익 기대감?으로 이마트도 좋은 모습이고, 기타 섹터에서 롯데관광개발, 에이피알 정도 매수함
2. 시총대비 연기금 순매수 상위 섹터
- 연기금답게 조선/LNG 관련 섹터를 다양하게 담았음 ex. 한텍, HJ중공업, 한화엔진, STX엔진, HD현대미포, 세진중공업 등
- 그리고 이마트, 글로벌텍스프리, 현대건설도 지속적으로 사고 있으며, 최근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관세 관련으로 급락했던 지누스를 저점에서 모아가는 중
- 의료 AI 스몰캡인 쓰리빌리언을 최근에 꽤 산 게 특이함
3. 시총대비 투신 순매수 상위 섹터
- 사모와 색깔이 비슷함. 한국카본, 에이비엘바이오, 우양에이치씨, 원티드랩, 바이넥스 등
- 올릭스 권리공매도 물량을 받아주는 모습
- 역시 다른 주체 대비 테크 업종을 자주 가져감 ex 에치에프알, 이엔에프테크놀로지, 브이엠, 심텍 등
- 투신쪽에서는 이마트가 아닌 신세계, CJ프레시웨이 등을 매수하는 것이 특징임
- 엑셀세라퓨틱스 시총 500억짜리 회사를 상한가 만들었는데 내용은 잘 모르지만 특이수급
- 롯데관광개발이 최근 기관들 수급으로 주가가 좋은 상황인데 방문객, 매출액, 드랍액 모두 늘어나고 있는 추세임
4. 기타 시장 관련 코멘트
- 일단 내일과 모레까지는 어지러운 시장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 어제 미국 증시 움직임을 보니 악재반응성/호재반응성이 혼재되어 있는 상황인 것 같음
- 그러나 최근 조정폭이 컸던 만큼 호재에 대한 역치가 낮은 상황으로 보임. 불확실성만 해소시켜줘도 괜찮은 상황
- 좋은 트리거만 있으면 상승할 수 있다는 걸 어제 확인시켜주었기 때문에 4월 중순 정도 이후에는 미국 증시 반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뷰를 유지하고 있음
- 그리고 국내시장에서는 아직까지는 배트를 짧게 잡으면서 대응해야하는 상황인 것 같고. 기존 주도 섹터들이 여전히 타 섹터 대비 반등 탄력이나 거래대금 등이 좋기 때문에 방산/조선/LNG/엔터/일부 바이오 정도에서 플레이 하는 것이 유효해보임
- 국내증시 예수금과 신용잔고는 큰 이슈없이 각각 상승, 하락 추세 이어가고 있으며, 외국인이 언제까지 팔지는 여전히 갈피를 못잡겠지만 큰 문제가 없으면 선물 기준 누적 순매도 -3.5조를 넘어가지는 않지 않을까 싶음 .. (희망사항)
- 장 마치고 퓨쳐켐 임상 결과가 발표되었는데 기존 플루빅토 대비 좋은 임상 결과가 나옴. 이는 당연히 퓨쳐켐의 밸류를 높임과 동시에 셀비온 파이프라인의 가치 또한 높아줄 수 있는 결과라고 생각함
- 또한 최근 플루빅토가 기존 전립선암보다 더욱 초기에 있는 환자까지 대응하는 것에 대한 FDA 승인이 떨어졌기 때문에 관련 시장이 이전보다 더욱 커진 상황이라 방사성의약품 기업들의 가치가 더욱 높아질 수 있는 판이 깔림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사모/연기금/투신 공통 순매수 상위 종목
: 바이넥스
사모/연기금/투신 공통 순매도 상위 종목
: X
1. 시총대비 사모펀드 순매수 상위 섹터
- 에이비엘은 사모가 세게 사는 모습 (연기금은 쌍끌이 매도 중). 내일 오후 2시에 기업설명회가 예정되어 있는 상황인데 무슨 얘기를 해줄지 기대됨
- 한국카본은 추정치 상향 & 장내매수 등 긍정적인 소스들이 겹치면서 최근 모든 기관들이 사모으고 있음
- 넥스트바이오메디컬은 어제 하루 잠시 쉬었다가 사모 매수세 다시 들어오기 시작함. 지혈제 수출입 데이터는 아직 초기인지라 계속해서 우상향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수출입 데이터 발표 날짜 언저리에는 트레이딩 관점으로 매번 주목받는 듯함
- 중국의 우시앱택이 미국 리스크로 인해 급락하면서 우리나라 CDMO들의 반사수혜 기대감으로 바이넥스 강세였음
- 역시 기존 좋은 섹터였던 조선/LNG쪽에서 세진중공업, 태광, 우양에이치씨 등 종목들이 강세를 보임
- 그 외에는 글로벌 침체 속 내수 반사이익 기대감?으로 이마트도 좋은 모습이고, 기타 섹터에서 롯데관광개발, 에이피알 정도 매수함
2. 시총대비 연기금 순매수 상위 섹터
- 연기금답게 조선/LNG 관련 섹터를 다양하게 담았음 ex. 한텍, HJ중공업, 한화엔진, STX엔진, HD현대미포, 세진중공업 등
- 그리고 이마트, 글로벌텍스프리, 현대건설도 지속적으로 사고 있으며, 최근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관세 관련으로 급락했던 지누스를 저점에서 모아가는 중
- 의료 AI 스몰캡인 쓰리빌리언을 최근에 꽤 산 게 특이함
3. 시총대비 투신 순매수 상위 섹터
- 사모와 색깔이 비슷함. 한국카본, 에이비엘바이오, 우양에이치씨, 원티드랩, 바이넥스 등
- 올릭스 권리공매도 물량을 받아주는 모습
- 역시 다른 주체 대비 테크 업종을 자주 가져감 ex 에치에프알, 이엔에프테크놀로지, 브이엠, 심텍 등
- 투신쪽에서는 이마트가 아닌 신세계, CJ프레시웨이 등을 매수하는 것이 특징임
- 엑셀세라퓨틱스 시총 500억짜리 회사를 상한가 만들었는데 내용은 잘 모르지만 특이수급
- 롯데관광개발이 최근 기관들 수급으로 주가가 좋은 상황인데 방문객, 매출액, 드랍액 모두 늘어나고 있는 추세임
4. 기타 시장 관련 코멘트
- 일단 내일과 모레까지는 어지러운 시장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 어제 미국 증시 움직임을 보니 악재반응성/호재반응성이 혼재되어 있는 상황인 것 같음
- 그러나 최근 조정폭이 컸던 만큼 호재에 대한 역치가 낮은 상황으로 보임. 불확실성만 해소시켜줘도 괜찮은 상황
- 좋은 트리거만 있으면 상승할 수 있다는 걸 어제 확인시켜주었기 때문에 4월 중순 정도 이후에는 미국 증시 반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뷰를 유지하고 있음
- 그리고 국내시장에서는 아직까지는 배트를 짧게 잡으면서 대응해야하는 상황인 것 같고. 기존 주도 섹터들이 여전히 타 섹터 대비 반등 탄력이나 거래대금 등이 좋기 때문에 방산/조선/LNG/엔터/일부 바이오 정도에서 플레이 하는 것이 유효해보임
- 국내증시 예수금과 신용잔고는 큰 이슈없이 각각 상승, 하락 추세 이어가고 있으며, 외국인이 언제까지 팔지는 여전히 갈피를 못잡겠지만 큰 문제가 없으면 선물 기준 누적 순매도 -3.5조를 넘어가지는 않지 않을까 싶음 .. (희망사항)
- 장 마치고 퓨쳐켐 임상 결과가 발표되었는데 기존 플루빅토 대비 좋은 임상 결과가 나옴. 이는 당연히 퓨쳐켐의 밸류를 높임과 동시에 셀비온 파이프라인의 가치 또한 높아줄 수 있는 결과라고 생각함
- 또한 최근 플루빅토가 기존 전립선암보다 더욱 초기에 있는 환자까지 대응하는 것에 대한 FDA 승인이 떨어졌기 때문에 관련 시장이 이전보다 더욱 커진 상황이라 방사성의약품 기업들의 가치가 더욱 높아질 수 있는 판이 깔림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07.04.202514:56
기존 트럼프 와리가리 등을 고려했을 때 아니 뗀 굴뚝에 연기날까 싶긴 한데 ,, 예측은 무의미하니까 ,,
06.04.202523:54
찐이었구료 ..
Shown 1 - 24 of 326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