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2.202508:48
[25년 2월 중순 넥스트바이오메디컬 탐방 내용 (2)]
#넥스트바이오메디컬
[QnA]
Q. 수출 국가별 브레이크다운 ?
- 유럽과 미국 50%씩 차지함
Q. 넥스피어F 관련 품목 허가 일정 ?
- 임상 진행 후 27년 정도에 품목 허가 예상됨
- 26년에 글로벌 판권 계약 체결될 것 같음
- 지금도 논의는 하고 있으나 어느 정도 임상이 진행되어야 유리한 조건으로 진행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간단한 조건만 설정함
Q. 26년까지는 파우더 매출만 증가한다고 보면 될지 ?
- 90% 이상은 그렇다고 보면 됨
Q. 미국과 유럽의 시장 파이를 어느 정도로 추산하고 계신지 ?
- 파우더형 지혈재가 시장의 15-20% 정도이고, 그 외 지혈재가 80% 이상 차지하고 있음
- 그 안에서 우리의 점유율이 파우더 시장 내에서 15% 정도로 추정하고 있고, 궁극적으로 50% 정도 목표로 하고 있음
Q. TAM?
- 글로벌로 지혈시장 1조, 예방시장 4조인데 예방시장인데. 향후 메드트로닉의 마케팅과 영업 이후의 M/S 확인할 필요가 있을 듯함함
Q. BEP 수준 ?
- 연간 150억 수준으로 보고 있음 (임상 비용 제외)
- 임상 비용이 올해 70억. 내년에 70억 정도 쓸 것으로 예상되어 220억 BEP 수준으로 예상함
- 올해 임상 비용 포함 BEP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음
Q. 현금 보유 상황 ?
- 420억 보유
Q. 우리가 표준 치료제로 인정 받기 위해서 노력한다고 하는데 그게 이번 GDW에서 기대할 수 있나?
- 그건 학회가 아닌 협회에서 정하는 것. 그거는 임상이 어느 정도 완료되고 논문이 나와 줘야함.
- 그 시점을 26년으로 보고 있음. 임상 올해안에끝나서 논문이 나아주길 기다리고 있고, 해당 임상 관련 비용은 메드트로닉이 대고 있음.
Q. 가동률 90% 나오는데, 추가 CAPA 관련? 사업보고서에는 비용 효율화 project 한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설명 가능하신지 ?
- 우리 Full CAPA 기준 20~30만개 수준임. 근데 사업 보고서상 90%로 기재된 이유가 있는데 제품 중에 스프레이 바디가 있음
- 이게 플라스틱이고 조립 제품인데, 사람이 직접 하고 있음
- 필요한 수만큼 채용을 하기 때문에 가동률이 90%로 기재된 것. 이게 더 늘어나면 Full CAPA 30만개 까지 나옴
- 연말쯤에는 공장 새로 짓거나 할 계획을 논의 중에 있기는 함. 그러나 바로 한다는 건 아니고, 구체적인 계획이 필요해서 논의 중에 있는 것
- 만약 공장을 짓는다고 하면, 메드트로닉이랑 5:5 비용 쓰거나 하는 방법도 있음. 근데 우리가 미리 짓는 이유가 공장 짓고 설비하고 나서 GMP 인증까지 받아야 돼서. 우리가 27년에 품목 허가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 논의를 하고 있는 것
Q. 공장 관련해서 급하게 우리 매출 올라가게 되면 조립 때문에 공장 증설을 하게 되는 경우인 건지?
- 그 부분도 있음. 우리 지금 한 공장에서 2제품 다 만들고 있음. 근데 조립 부분이 문제가 되어서 오히려 조립 부분만 외주를 주는 방법도 있긴 함
- 그래서 CAPA에 대한 이슈는 딱히 없음. 그것보다는 자동화라던가 사이즈업 그런거를 고려해서 지을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
Q. 외주 관련해서 외주 맡기기면 마진 얼마나 깎일지?
- 근데 우선 GMP 설비를 갖춘 사출 업체를 국내에서 찾는 게 쉽지가 않음
- 그래서 외주를 다 주지는 못할 거고, 그래서 힘들게 외주 줄 바에 그냥 우리가 공장 짓는 게 더 편할 수도 있겠다고 생각함
Q. 작년 기준 미국 위내시경 하는 병원 중에 몇 % 정도 진입했는지?
- 작년 기준은 미국은 회계 연도 기준 마감 4월인데 아직 나오진 않음. 웬만한 주별 대학 병원 큰 쪽에는 대부분 들어가고 있음
- 근데 아직까지 지혈 클립 선호하는 곳도 있어서 그 부분이 우리가 풀어야할 숙제임. 임상 결과가 더 나와주면 좋지 않을까 싶음
Q. 일본 초도 물량은 3분기 쯤 나가게 될지 ?
- 아마 그 전에 나갈 것 같음. 먼저 제품 들여와서 보험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임
Q. 메드트로닉 판권계약이 국내, 일본, 중국 제외한 글로벌인데, 우리 중국은 얘기는 없는지 ?
- 중국은 가격이 너무 낮음. 카피 문제도 있고, 미국하고 중국하고 사이가 안 좋아서 적성국가에 납품하려면 협의를 하게 되어 있음
- 생각하고는 있는데 보수적으로 봐주시면 좋을 듯함
Q. 우리 신제품 넥스피어 S는 정확히 뭔지?
- 궤양에서 치료를 촉진하는 역할. 아주 옛날에 아무 것도 없는 밴드만 상처에 붙이다가, 약물이 붙어있는 밴드가 나오듯이. 초기 밴드가 그 다음에 약물이 함유되어 있는 게 신제품임
- 산이 높은데 산이 분해가 되기 때문에 위산을 통해서 위산을 통해서 제품이 녹는 것은 분해되는 것을 겔이 부착되게 도와주는 상처를 파우더형 지혈재가 확대되는 역할인데 지혈 및 보호 기능도 있음
- 나머지 지금 지혈 기기들은 보호 기능이 없음
Q. 경쟁사 경쟁제품 이름 ? 자체적으로 판매하는지 ? 파트너사 껴서 하는지 ?
- 올림푸스가 대표적임 (엔도클랏 제품을 올림푸스가 파트너사로 판매하며 판가는 1,000불 정도)
- 쿡메디컬은 자체적으로 판매하며 2,000 불 정도에 판매함
Q. 매출 인식 시점은 ?
- 출하 기준임
Q. 메드트로닉 계약 조건 ?
- 5+3년 계약 (한국, 일본, 중화권 제외한 모든 글로벌 지역) => 별문제 없으면 연장하는 조건이고 연간으로 연장함
- TP는 한 유닛당 230불. 아까 말씀드린 3개를 체결한 유닛이 230불임
- 특이조건으로는 메드트로닉이 FDA 승인과 같은 모든 제반 비용을 부담하면서도 등록에 대한 모든 권한은 우리에게 있음
- 물류비용 또한 우리가 출하하는 순간부터 모든 비용을 메드트로닉에서 부담하고 있음
- 또한 메드트로닉 주도 하에 진행 중인 시판 후 글로벌 임상들도 메드트로닉이 비용 부담하고 있음
- 리베이트 조항도 있음
- 메드트로닉이 판매하는 평균 가격이 $657불 이상이면 그 차이만큼의 비율을 리베이트로 소급해서 우리가 수취함
- 메드트로닉과 판권 계약 체결할 때 글로벌 수준의 퀄리티가 요구되기 때문에 메드트로닉이 저희 회사에 품질 보증 전문가를 1년 간 파견하면서 미팅한 끝에 글로벌 수준의 품질 시스템이 구축이 완료가 됨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넥스트바이오메디컬
[QnA]
Q. 수출 국가별 브레이크다운 ?
- 유럽과 미국 50%씩 차지함
Q. 넥스피어F 관련 품목 허가 일정 ?
- 임상 진행 후 27년 정도에 품목 허가 예상됨
- 26년에 글로벌 판권 계약 체결될 것 같음
- 지금도 논의는 하고 있으나 어느 정도 임상이 진행되어야 유리한 조건으로 진행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간단한 조건만 설정함
Q. 26년까지는 파우더 매출만 증가한다고 보면 될지 ?
- 90% 이상은 그렇다고 보면 됨
Q. 미국과 유럽의 시장 파이를 어느 정도로 추산하고 계신지 ?
- 파우더형 지혈재가 시장의 15-20% 정도이고, 그 외 지혈재가 80% 이상 차지하고 있음
- 그 안에서 우리의 점유율이 파우더 시장 내에서 15% 정도로 추정하고 있고, 궁극적으로 50% 정도 목표로 하고 있음
Q. TAM?
- 글로벌로 지혈시장 1조, 예방시장 4조인데 예방시장인데. 향후 메드트로닉의 마케팅과 영업 이후의 M/S 확인할 필요가 있을 듯함함
Q. BEP 수준 ?
- 연간 150억 수준으로 보고 있음 (임상 비용 제외)
- 임상 비용이 올해 70억. 내년에 70억 정도 쓸 것으로 예상되어 220억 BEP 수준으로 예상함
- 올해 임상 비용 포함 BEP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음
Q. 현금 보유 상황 ?
- 420억 보유
Q. 우리가 표준 치료제로 인정 받기 위해서 노력한다고 하는데 그게 이번 GDW에서 기대할 수 있나?
- 그건 학회가 아닌 협회에서 정하는 것. 그거는 임상이 어느 정도 완료되고 논문이 나와 줘야함.
- 그 시점을 26년으로 보고 있음. 임상 올해안에끝나서 논문이 나아주길 기다리고 있고, 해당 임상 관련 비용은 메드트로닉이 대고 있음.
Q. 가동률 90% 나오는데, 추가 CAPA 관련? 사업보고서에는 비용 효율화 project 한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설명 가능하신지 ?
- 우리 Full CAPA 기준 20~30만개 수준임. 근데 사업 보고서상 90%로 기재된 이유가 있는데 제품 중에 스프레이 바디가 있음
- 이게 플라스틱이고 조립 제품인데, 사람이 직접 하고 있음
- 필요한 수만큼 채용을 하기 때문에 가동률이 90%로 기재된 것. 이게 더 늘어나면 Full CAPA 30만개 까지 나옴
- 연말쯤에는 공장 새로 짓거나 할 계획을 논의 중에 있기는 함. 그러나 바로 한다는 건 아니고, 구체적인 계획이 필요해서 논의 중에 있는 것
- 만약 공장을 짓는다고 하면, 메드트로닉이랑 5:5 비용 쓰거나 하는 방법도 있음. 근데 우리가 미리 짓는 이유가 공장 짓고 설비하고 나서 GMP 인증까지 받아야 돼서. 우리가 27년에 품목 허가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 논의를 하고 있는 것
Q. 공장 관련해서 급하게 우리 매출 올라가게 되면 조립 때문에 공장 증설을 하게 되는 경우인 건지?
- 그 부분도 있음. 우리 지금 한 공장에서 2제품 다 만들고 있음. 근데 조립 부분이 문제가 되어서 오히려 조립 부분만 외주를 주는 방법도 있긴 함
- 그래서 CAPA에 대한 이슈는 딱히 없음. 그것보다는 자동화라던가 사이즈업 그런거를 고려해서 지을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
Q. 외주 관련해서 외주 맡기기면 마진 얼마나 깎일지?
- 근데 우선 GMP 설비를 갖춘 사출 업체를 국내에서 찾는 게 쉽지가 않음
- 그래서 외주를 다 주지는 못할 거고, 그래서 힘들게 외주 줄 바에 그냥 우리가 공장 짓는 게 더 편할 수도 있겠다고 생각함
Q. 작년 기준 미국 위내시경 하는 병원 중에 몇 % 정도 진입했는지?
- 작년 기준은 미국은 회계 연도 기준 마감 4월인데 아직 나오진 않음. 웬만한 주별 대학 병원 큰 쪽에는 대부분 들어가고 있음
- 근데 아직까지 지혈 클립 선호하는 곳도 있어서 그 부분이 우리가 풀어야할 숙제임. 임상 결과가 더 나와주면 좋지 않을까 싶음
Q. 일본 초도 물량은 3분기 쯤 나가게 될지 ?
- 아마 그 전에 나갈 것 같음. 먼저 제품 들여와서 보험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임
Q. 메드트로닉 판권계약이 국내, 일본, 중국 제외한 글로벌인데, 우리 중국은 얘기는 없는지 ?
- 중국은 가격이 너무 낮음. 카피 문제도 있고, 미국하고 중국하고 사이가 안 좋아서 적성국가에 납품하려면 협의를 하게 되어 있음
- 생각하고는 있는데 보수적으로 봐주시면 좋을 듯함
Q. 우리 신제품 넥스피어 S는 정확히 뭔지?
- 궤양에서 치료를 촉진하는 역할. 아주 옛날에 아무 것도 없는 밴드만 상처에 붙이다가, 약물이 붙어있는 밴드가 나오듯이. 초기 밴드가 그 다음에 약물이 함유되어 있는 게 신제품임
- 산이 높은데 산이 분해가 되기 때문에 위산을 통해서 위산을 통해서 제품이 녹는 것은 분해되는 것을 겔이 부착되게 도와주는 상처를 파우더형 지혈재가 확대되는 역할인데 지혈 및 보호 기능도 있음
- 나머지 지금 지혈 기기들은 보호 기능이 없음
Q. 경쟁사 경쟁제품 이름 ? 자체적으로 판매하는지 ? 파트너사 껴서 하는지 ?
- 올림푸스가 대표적임 (엔도클랏 제품을 올림푸스가 파트너사로 판매하며 판가는 1,000불 정도)
- 쿡메디컬은 자체적으로 판매하며 2,000 불 정도에 판매함
Q. 매출 인식 시점은 ?
- 출하 기준임
Q. 메드트로닉 계약 조건 ?
- 5+3년 계약 (한국, 일본, 중화권 제외한 모든 글로벌 지역) => 별문제 없으면 연장하는 조건이고 연간으로 연장함
- TP는 한 유닛당 230불. 아까 말씀드린 3개를 체결한 유닛이 230불임
- 특이조건으로는 메드트로닉이 FDA 승인과 같은 모든 제반 비용을 부담하면서도 등록에 대한 모든 권한은 우리에게 있음
- 물류비용 또한 우리가 출하하는 순간부터 모든 비용을 메드트로닉에서 부담하고 있음
- 또한 메드트로닉 주도 하에 진행 중인 시판 후 글로벌 임상들도 메드트로닉이 비용 부담하고 있음
- 리베이트 조항도 있음
- 메드트로닉이 판매하는 평균 가격이 $657불 이상이면 그 차이만큼의 비율을 리베이트로 소급해서 우리가 수취함
- 메드트로닉과 판권 계약 체결할 때 글로벌 수준의 퀄리티가 요구되기 때문에 메드트로닉이 저희 회사에 품질 보증 전문가를 1년 간 파견하면서 미팅한 끝에 글로벌 수준의 품질 시스템이 구축이 완료가 됨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21.02.202508:16
Reposted from:
주식 다람이



21.02.202500:59
🔅2025년 2월 20일치 라면 잠정 수출 데이터
작성 : 주식 다람이(t.me/stockDaram2)
HS CODE 1902301010
$81,038,435
참고)
1월 20일치 $71,686,161
12월 20일치 $76,330,764
11월 20일치 $80,554,247
10월 20일치 $70,635,797
9월 20일치 $69,235,386
8월 20일치 $57,290,208
7월 20일치 $76,403,463
6월 20일치 $74,188,670
5월 20일치 $63,494,990
4월 20일치 $76,526,764
작성 : 주식 다람이(t.me/stockDaram2)
HS CODE 1902301010
$81,038,435
참고)
1월 20일치 $71,686,161
12월 20일치 $76,330,764
11월 20일치 $80,554,247
10월 20일치 $70,635,797
9월 20일치 $69,235,386
8월 20일치 $57,290,208
7월 20일치 $76,403,463
6월 20일치 $74,188,670
5월 20일치 $63,494,990
4월 20일치 $76,526,764


18.02.202506:56
#거래대금
코스피: 12.3조
코스닥: 9.9조
예탁금 (2/17 기준): 53.5조 (- 1.0조)
신용잔고 (2/17 기준): 17.4조 (+ 0.03조)
- 거래대금 강세 지속
- 외국인 선물 순매수 지속. 극초반 제외하고 오늘 장 내내 지속적인 매수세 이어지다가 장 막판에 약간의 매도 나옴
- 외국인 현물은 거래량 많지 않고, 개인 코스피 매도 / 기관 코스피 매수세가 컸음
- 어제 코스피 거래대금이 살짝 꺾였었는데 그 영향으로 전일 예탁금 감소
- 최근 코스피 거래대금 상위 종목 집중도가 높은 수준에서 횡보하는 중
코스피: 12.3조
코스닥: 9.9조
예탁금 (2/17 기준): 53.5조 (- 1.0조)
신용잔고 (2/17 기준): 17.4조 (+ 0.03조)
- 거래대금 강세 지속
- 외국인 선물 순매수 지속. 극초반 제외하고 오늘 장 내내 지속적인 매수세 이어지다가 장 막판에 약간의 매도 나옴
- 외국인 현물은 거래량 많지 않고, 개인 코스피 매도 / 기관 코스피 매수세가 컸음
- 어제 코스피 거래대금이 살짝 꺾였었는데 그 영향으로 전일 예탁금 감소
- 최근 코스피 거래대금 상위 종목 집중도가 높은 수준에서 횡보하는 중
25.02.202501:57
24.02.202508:46
[25년 2월 중순 넥스트바이오메디컬 탐방 내용 (1)]
#넥스트바이오메디컬
[요약]
- 24년 매출 95억. 내년 가이던스 YoY 100% 이상 성장. BEP 도달 목표 (220억 수준)
- 24년 11월 하부 FDA 승인. 올해 5월부터 메드트로닉이 학회에서 홍보할 예정이며, 3분기부터 매출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 또한 일본 PMDA 인증 완료했으며, 보험 등재 과정 밟고 3-4분기 중에 매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
[Update]
- 24년 11월 하부 인증 완료. 예방 시장은 올해 5월 샌디에이고 학회를 통해서 메드트로닉이 홍보할 예정
- 하부 매출을 올해 3분기부터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 차세대 넥스파우더 제품인 넥스파우더 S의 경우 국내 MFDS 허가 완료되었고, 시장 출시 관련해서 논의 중임
- 일본 시장의 경우 이토츠 상사의 자회사인 팬트리메디컬인 CMI랑 일본 판권 계약을 했고 PMDA 인증 기다리고 있음 (2.20 완료됨)
- 인증 나오면 보험 등재까지 해서 매출은 3-4분기 중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
- 추가적으로 중동, 라틴아메리카는 메드트로닉이 인허가 작업 진행하고 있음
- 인허가 이후 보험 등재까지 해야하기 때문에 올해 연말 정도 되면 시장 진입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함
#주요파이프라인
- 이미 상용화된 것은 넥스파우더와 혈관 색전 치료제 두 제품임
- 넥스파우더와 넥스피어는 분해시간이 1주에서 한 달 정도가 됨. 이 제품도 한국과 유럽 CE 획득해서 국가별로 개별 영업 진행 중에 있음
- 넥스피어 F는 2-8시간 이내 분해가 되는 속분해성 통증 색전 치료제로 관절염 통증에 사용할 수 있음
- 유럽은 현재 개발 작업 중이며 미국은 글로벌 판권 협의 중에 있음
- 넥스GCM은 미립구에 스테로이드가 탑재되어 서방형으로 방출되는 미립구인데 현재 연구 개발 중에 있음
#Nexsphere-F
- FDA 허가용 임상 실험인 IDE 인증 24.08 완료됨
- 메인 PI는 동사 CMO가 선정이 되었고, 현재 병원 셀렉 중에 있고, 올해 3분기에 임상 실험 개시될 예정임
- 동사 제품이 관절염 통증쪽에서는 유일하게 CE를 획득한 제품이기 때문에 유럽 Big 5 국가 대리점 계약 체결을 완료함
- 이러한 Big 5 대리점 중심으로 하반기부터 조금씩 매출 증가하고 있지만, 현재 보험 등록이 되지 않은 국가들이 있어서 보험 등재 작업을 진행하고 있음
- 독일의 경우 보험 커버가 가능해서 1월 파리에서 열린 GEST MSK에서 2025 유럽 임상 결과 약 60케이스 발표를 완료하였음
- 이와 관련하여 글로벌 의료기기 업체과 미국 판권 논의 중에 있음
- 유럽 판권의 경우 일부 유럽 국가 대리점 단기 계약을 체결했기 때문에 이쪽 회사랑도 향후 유럽까지 묶어서 계약 세부 사항 논의가 필요함
- 일본은 일본 의료기기 회사와 계약을 논의하고 있고, 어느 정도 조건은 얘기하고 있음. 상반기 정도면 판권 체결 완료될 것으로 예상됨
#경영성과
- 23년 제품 매출 48억. 24년 95억 (수출 93%). 대부분 매출은 넥스파우더
- 25년 매출은 YoY 100% 이상 성장 가이던스 (표준치료제 등록이 앞당겨질 경우 더 높은 매출 성장 가능)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넥스트바이오메디컬
[요약]
- 24년 매출 95억. 내년 가이던스 YoY 100% 이상 성장. BEP 도달 목표 (220억 수준)
- 24년 11월 하부 FDA 승인. 올해 5월부터 메드트로닉이 학회에서 홍보할 예정이며, 3분기부터 매출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 또한 일본 PMDA 인증 완료했으며, 보험 등재 과정 밟고 3-4분기 중에 매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
[Update]
- 24년 11월 하부 인증 완료. 예방 시장은 올해 5월 샌디에이고 학회를 통해서 메드트로닉이 홍보할 예정
- 하부 매출을 올해 3분기부터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 차세대 넥스파우더 제품인 넥스파우더 S의 경우 국내 MFDS 허가 완료되었고, 시장 출시 관련해서 논의 중임
- 일본 시장의 경우 이토츠 상사의 자회사인 팬트리메디컬인 CMI랑 일본 판권 계약을 했고 PMDA 인증 기다리고 있음 (2.20 완료됨)
- 인증 나오면 보험 등재까지 해서 매출은 3-4분기 중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
- 추가적으로 중동, 라틴아메리카는 메드트로닉이 인허가 작업 진행하고 있음
- 인허가 이후 보험 등재까지 해야하기 때문에 올해 연말 정도 되면 시장 진입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함
#주요파이프라인
- 이미 상용화된 것은 넥스파우더와 혈관 색전 치료제 두 제품임
- 넥스파우더와 넥스피어는 분해시간이 1주에서 한 달 정도가 됨. 이 제품도 한국과 유럽 CE 획득해서 국가별로 개별 영업 진행 중에 있음
- 넥스피어 F는 2-8시간 이내 분해가 되는 속분해성 통증 색전 치료제로 관절염 통증에 사용할 수 있음
- 유럽은 현재 개발 작업 중이며 미국은 글로벌 판권 협의 중에 있음
- 넥스GCM은 미립구에 스테로이드가 탑재되어 서방형으로 방출되는 미립구인데 현재 연구 개발 중에 있음
#Nexsphere-F
- FDA 허가용 임상 실험인 IDE 인증 24.08 완료됨
- 메인 PI는 동사 CMO가 선정이 되었고, 현재 병원 셀렉 중에 있고, 올해 3분기에 임상 실험 개시될 예정임
- 동사 제품이 관절염 통증쪽에서는 유일하게 CE를 획득한 제품이기 때문에 유럽 Big 5 국가 대리점 계약 체결을 완료함
- 이러한 Big 5 대리점 중심으로 하반기부터 조금씩 매출 증가하고 있지만, 현재 보험 등록이 되지 않은 국가들이 있어서 보험 등재 작업을 진행하고 있음
- 독일의 경우 보험 커버가 가능해서 1월 파리에서 열린 GEST MSK에서 2025 유럽 임상 결과 약 60케이스 발표를 완료하였음
- 이와 관련하여 글로벌 의료기기 업체과 미국 판권 논의 중에 있음
- 유럽 판권의 경우 일부 유럽 국가 대리점 단기 계약을 체결했기 때문에 이쪽 회사랑도 향후 유럽까지 묶어서 계약 세부 사항 논의가 필요함
- 일본은 일본 의료기기 회사와 계약을 논의하고 있고, 어느 정도 조건은 얘기하고 있음. 상반기 정도면 판권 체결 완료될 것으로 예상됨
#경영성과
- 23년 제품 매출 48억. 24년 95억 (수출 93%). 대부분 매출은 넥스파우더
- 25년 매출은 YoY 100% 이상 성장 가이던스 (표준치료제 등록이 앞당겨질 경우 더 높은 매출 성장 가능)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21.02.202508:16
국내에서 액체 냉각 시스템 관련 사업을 하는 에이알시스템, 삼화에이스, 피케이아이(PKI), 귀뚜라미범양 등이 유력한 후보로 물망에 오르고 있다.
https://www.goodkyung.com/news/articleView.html?idxno=258482
https://www.goodkyung.com/news/articleView.html?idxno=258482
20.02.202509:35
이르면 내달 '생산동맹' 체결
글로벌 생산시설·공급망 등 공유
GM 美 공장서 반조립 형태 생산
트럼프發 관세폭탄 피해 최소화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52930?type=main
글로벌 생산시설·공급망 등 공유
GM 美 공장서 반조립 형태 생산
트럼프發 관세폭탄 피해 최소화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52930?type=main
Reposted from:
DS투자증권 리서치

18.02.202505:47
주 두산 급등 관련
DS투자증권 김수현
- 전자 BG 대규모 캐파 증설 루머 확인 중
-상반기말까지 라인 전환을 통해
900억원 증설은 확인됨
- 향후 엔비디아향 뿐만 아니라
- ASIC향 발주 본격화될 경우 추가 증설은 필요
- 시장조달 없이 캐파증설할 경우 목표가 추가 상향 요인임
DS투자증권 김수현
- 전자 BG 대규모 캐파 증설 루머 확인 중
-상반기말까지 라인 전환을 통해
900억원 증설은 확인됨
- 향후 엔비디아향 뿐만 아니라
- ASIC향 발주 본격화될 경우 추가 증설은 필요
- 시장조달 없이 캐파증설할 경우 목표가 추가 상향 요인임
Reposted from:
Brain and Body Research

25.02.202501:55
디엔에이링크, 충남 예산군 영구자석 생산공장 인허가 완료
디엔에이링크는 전일 충남 예산군청 환경과 및 관련 부서와의 협의를 통해 영구자석 생산공장에 대한 제조 시설 설치를 승인받았다고 25일 밝혔다. 디엔에이링크는 지난해 11월부터 제조 시설 설치 승인을 추진해왔으며 영구자석 생산공장 가동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
디엔에이링크 관계자는 “이번 제조 시설 설치 승인을 통해 당사의 영구자석 제조 사업준비가 본격적인 궤도에 올랐다”며 “사업 적합성,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자체의 철저한 법적 절차를 거쳐 검증받았으며, 국가적으로도 중요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산업인 희토류 영구자석 제조업을 예산군에서 추진하게 돼 매우 기쁘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앞으로도 친환경으로의 대변환을 주도하고, 영구자석 재활용을 포함한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제조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디엔에이링크는 현재 예산군에 소재한 연산 1000t 규모의 영구자석 제조공장에서 올해 7월부터 네오디뮴 영구자석을 생산할 예정이다. 이미 영구자석 생산을 위한 핵심 공정인 'SC Alloy', 미분쇄 공정' 등을 진행하는 장비들에 대한 발주는 마무리된 상황이다. 해당 장비들은 올해 6~7월에 예산공장에 설치된다. 디엔에이링크는 이번 제조 시설 설치 승인을 통해 영구자석 시생산 계획을 진행할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현재 관련 인허가를 득하는 것 외에도 설비 구동을 위한 전력 확보, 공정용 가스 조달 등 공장 가동을 위한 준비 전반을 계획대로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수의 고객사로부터 납품문의가 계속되고 있으며, 협의 중인 고객사들은 유럽 등 해외 기업부터 국내 전기차 기업, 자동차 부품 업체, 로봇업체 대형 선박용 축발전기 기업, 대형 자석 유통업체 등 다양하다"고 덧붙였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312908?sid=101
디엔에이링크는 전일 충남 예산군청 환경과 및 관련 부서와의 협의를 통해 영구자석 생산공장에 대한 제조 시설 설치를 승인받았다고 25일 밝혔다. 디엔에이링크는 지난해 11월부터 제조 시설 설치 승인을 추진해왔으며 영구자석 생산공장 가동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
디엔에이링크 관계자는 “이번 제조 시설 설치 승인을 통해 당사의 영구자석 제조 사업준비가 본격적인 궤도에 올랐다”며 “사업 적합성,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자체의 철저한 법적 절차를 거쳐 검증받았으며, 국가적으로도 중요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산업인 희토류 영구자석 제조업을 예산군에서 추진하게 돼 매우 기쁘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앞으로도 친환경으로의 대변환을 주도하고, 영구자석 재활용을 포함한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제조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디엔에이링크는 현재 예산군에 소재한 연산 1000t 규모의 영구자석 제조공장에서 올해 7월부터 네오디뮴 영구자석을 생산할 예정이다. 이미 영구자석 생산을 위한 핵심 공정인 'SC Alloy', 미분쇄 공정' 등을 진행하는 장비들에 대한 발주는 마무리된 상황이다. 해당 장비들은 올해 6~7월에 예산공장에 설치된다. 디엔에이링크는 이번 제조 시설 설치 승인을 통해 영구자석 시생산 계획을 진행할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현재 관련 인허가를 득하는 것 외에도 설비 구동을 위한 전력 확보, 공정용 가스 조달 등 공장 가동을 위한 준비 전반을 계획대로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수의 고객사로부터 납품문의가 계속되고 있으며, 협의 중인 고객사들은 유럽 등 해외 기업부터 국내 전기차 기업, 자동차 부품 업체, 로봇업체 대형 선박용 축발전기 기업, 대형 자석 유통업체 등 다양하다"고 덧붙였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312908?sid=101


24.02.202507:53
#거래대금
코스피: 10.4조
코스닥: 7.8조
(2/21 기준)
예탁금: 55.0조 (전일 대비 + 0.3조)
신용잔고: 17.8조 (전일 대비 +0.02조)
외국인, 기관 양지수 쌍끌이 매도
외국인 선물 순매도 지속.
다만 누적으로는 아직 플러스 유지하고 있으며, 장 막판에 소폭 매수하면서 마감
거래대금 축소 흐름 계속되는 중.
매크로 불확실성과 한국 시간으로 목요일 새벽에 있을 엔비디아 실적 발표에 대한 우려감
일정상의 불확실성 해소 전까지는 당분간 소강상태이지 않을까 싶음
+ MS 데이터센터 노이즈로 인한 기존 주도 섹터들의 매도세가 강했음
코스피: 10.4조
코스닥: 7.8조
(2/21 기준)
예탁금: 55.0조 (전일 대비 + 0.3조)
신용잔고: 17.8조 (전일 대비 +0.02조)
외국인, 기관 양지수 쌍끌이 매도
외국인 선물 순매도 지속.
다만 누적으로는 아직 플러스 유지하고 있으며, 장 막판에 소폭 매수하면서 마감
거래대금 축소 흐름 계속되는 중.
매크로 불확실성과 한국 시간으로 목요일 새벽에 있을 엔비디아 실적 발표에 대한 우려감
일정상의 불확실성 해소 전까지는 당분간 소강상태이지 않을까 싶음
+ MS 데이터센터 노이즈로 인한 기존 주도 섹터들의 매도세가 강했음


21.02.202506:52
#거래대금
코스피: 11.0조
코스닥: 8.0조
(2/20 기준)
예탁금: 54.6조 (전일 대비 -0.5조)
신용잔고: 17.8조 (전일 대비 +0.3조)
- 외국인 코스피 매도 & 선물 매도세 지속
- 반면, 코스닥 매수 (상위 종목: 알테, 레인보우, 휴젤, 리가켐, 지아이, 디앤디파마텍, 와이지, 엔켐, 보로노이 등 바이오 강세)
- 금요일인 관계로 거래대금 다소 주춤했으나 아직 살아있음
- 상위 종목 거래대금 집중도는 코스피는 많이 떨어지면서 여러 섹터 분산된 상황
- 추세적으로는 다시 주도 종목군으로 몰려갈 수 있는 상황
코스피: 11.0조
코스닥: 8.0조
(2/20 기준)
예탁금: 54.6조 (전일 대비 -0.5조)
신용잔고: 17.8조 (전일 대비 +0.3조)
- 외국인 코스피 매도 & 선물 매도세 지속
- 반면, 코스닥 매수 (상위 종목: 알테, 레인보우, 휴젤, 리가켐, 지아이, 디앤디파마텍, 와이지, 엔켐, 보로노이 등 바이오 강세)
- 금요일인 관계로 거래대금 다소 주춤했으나 아직 살아있음
- 상위 종목 거래대금 집중도는 코스피는 많이 떨어지면서 여러 섹터 분산된 상황
- 추세적으로는 다시 주도 종목군으로 몰려갈 수 있는 상황
Reposted from: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0.02.202508:25
2025.02.20 17:24:49
기업명: 지누스(시가총액: 4,384억)
보고서명: 기타경영사항(자율공시)
제목 : 미국 상무부의 반덤핑 관세율 재판정에 대한 미국국제무역법원(CIT)의 인용 결정
* 주요 내용
- 결정 내용 : 미국행 당사 인도네시아 매트리스 수출품에 대해 반덤핑 관세율을 0.00%로 최종 재판정한다는 미국상무부(DOC)의 제출 의견을 미국국제무역법원(CIT)이 인용함
- 당사에 미치는 영향 : 이와 관련하여 미국행 당사 인도네시아 매트리스 제품에 대한 반덤핑 관세율은 0.00%로 적용될 예정임
* 기타 사항 :
- 현재 해당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행정절차가 발생할 예정임. - 관련한 구체적인 사항은 2024년 5월 21일 자율공시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2080079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13890
기업명: 지누스(시가총액: 4,384억)
보고서명: 기타경영사항(자율공시)
제목 : 미국 상무부의 반덤핑 관세율 재판정에 대한 미국국제무역법원(CIT)의 인용 결정
* 주요 내용
- 결정 내용 : 미국행 당사 인도네시아 매트리스 수출품에 대해 반덤핑 관세율을 0.00%로 최종 재판정한다는 미국상무부(DOC)의 제출 의견을 미국국제무역법원(CIT)이 인용함
- 당사에 미치는 영향 : 이와 관련하여 미국행 당사 인도네시아 매트리스 제품에 대한 반덤핑 관세율은 0.00%로 적용될 예정임
* 기타 사항 :
- 현재 해당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행정절차가 발생할 예정임. - 관련한 구체적인 사항은 2024년 5월 21일 자율공시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2080079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13890


19.02.202502:22
AMD 부사장님도 전력 부족 + 원전 샤라웃하심
근데 자기가 말하는 거 투자하진 말라고 하심 ㅋㅋ
근데 자기가 말하는 거 투자하진 말라고 하심 ㅋㅋ
18.02.202501:11
Reposted from:
에테르의 일본&미국 리서치



24.02.202512:51
Jefferies에 의하면 마이크로소프트는 TD코웬의 리포트에 대해서 강하게 부정했으며, 그들의 데이터센터 전략에 대해 변한점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21.02.202508:22
Reposted from:
DS투자증권 리서치

21.02.202505:52
두산 주가 상승 관련Comment
DS투자증권 김수현
1. CCL 2월 수출 데이터 일평균 55% YoY 기록
2. 1분기 엔비디아향 소재 매출 4분기보다 강도 높을 것으로 추정
3. ASIC 신규 고객 확보 가시화 구간
4. ASIC 시장 진출은 멀티플 확장 요인
5. 자본 조달 없이 캐파 증설 (간접 혹은 직접적 증설)이 진행될 경우 이 역시도 멀티플 상향 요인
6. MSCI 편입 가능성 높아짐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김수현
1. CCL 2월 수출 데이터 일평균 55% YoY 기록
2. 1분기 엔비디아향 소재 매출 4분기보다 강도 높을 것으로 추정
3. ASIC 신규 고객 확보 가시화 구간
4. ASIC 시장 진출은 멀티플 확장 요인
5. 자본 조달 없이 캐파 증설 (간접 혹은 직접적 증설)이 진행될 경우 이 역시도 멀티플 상향 요인
6. MSCI 편입 가능성 높아짐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20.02.202507:52
#거래대금
코스피: 14.1조
코스닥: 10.2조
(2/19 기준)
예탁금: 55.1조 (전일 대비 + 1.2조)
신용잔고: 17.6조 (전일 대비 + 0.1조)
그동안 받쳐주던 외국인 형님들이 한순간에 다 패대기 쳐버리심
선현물/코스피/코스닥 할 것 없이 다 매도함
외국인 순매수 보면 전자, 닉스,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등 그동안 좋았던 기업들은 매수했으나 섹터로 봤을 때 테크 전체적으로 좋았던 것은 아님
국내 기관들은 화학, 전자, 금융 등 코스피 대형주들 위주로 가져가는 모습
코스닥은 외국인 기관 모두 그동안 지수 상승에 따른 차익실현이 꽤 나온 것 같고, 개인이 해당 물량 받아감
코스피: 14.1조
코스닥: 10.2조
(2/19 기준)
예탁금: 55.1조 (전일 대비 + 1.2조)
신용잔고: 17.6조 (전일 대비 + 0.1조)
그동안 받쳐주던 외국인 형님들이 한순간에 다 패대기 쳐버리심
선현물/코스피/코스닥 할 것 없이 다 매도함
외국인 순매수 보면 전자, 닉스,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등 그동안 좋았던 기업들은 매수했으나 섹터로 봤을 때 테크 전체적으로 좋았던 것은 아님
국내 기관들은 화학, 전자, 금융 등 코스피 대형주들 위주로 가져가는 모습
코스닥은 외국인 기관 모두 그동안 지수 상승에 따른 차익실현이 꽤 나온 것 같고, 개인이 해당 물량 받아감


19.02.202501:31
반붐온 ?
Reposted from:
Yeouido Lab_여의도 톺아보기

17.02.202523:49
"SMR 추진"…트럼프, 원전도 러브콜 보낼까?
https://news.bizwatch.co.kr/article/industry/2025/02/17/0038
트럼프 행정부는 2025년 원전 정책 로드맵을 통해 2030년까지 최소 10기의 SMR 발전소를 신규 건설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미 에너지부 (DOE)의 '미래 원자력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2035년까지 미국 신규 원전 발전량의 30% 이상이 SMR로 대체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지난 2019년과 2021년 두 차례에 걸쳐 뉴스케일에 1억400만 달러(약 1502억원)를 투자해 미국 내 SMR 공급망 구축에 참여하고 있다. 뉴스케일은 미국 에너지부(DOE) 산하에서 출발한 원자력 기술 기업이다.
최근 두산에너빌리티는 빌 게이츠가 설립한 테라파워(TerraPower)의 '나트륨(Natrium)' 원자로 프로젝트에 원자재를 일부 공급하고 있다. 아이다호 국립연구소(INL)에선 총 30억 달러(약 4조4000억원) 규모의 뉴스케일 첫 번째 SMR 발전소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https://news.bizwatch.co.kr/article/industry/2025/02/17/0038
트럼프 행정부는 2025년 원전 정책 로드맵을 통해 2030년까지 최소 10기의 SMR 발전소를 신규 건설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미 에너지부 (DOE)의 '미래 원자력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2035년까지 미국 신규 원전 발전량의 30% 이상이 SMR로 대체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지난 2019년과 2021년 두 차례에 걸쳐 뉴스케일에 1억400만 달러(약 1502억원)를 투자해 미국 내 SMR 공급망 구축에 참여하고 있다. 뉴스케일은 미국 에너지부(DOE) 산하에서 출발한 원자력 기술 기업이다.
최근 두산에너빌리티는 빌 게이츠가 설립한 테라파워(TerraPower)의 '나트륨(Natrium)' 원자로 프로젝트에 원자재를 일부 공급하고 있다. 아이다호 국립연구소(INL)에선 총 30억 달러(약 4조4000억원) 규모의 뉴스케일 첫 번째 SMR 발전소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Shown 1 - 24 of 154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