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Ro Proxy | پروکسی

خبرفوری

آهنگیفای

tapswap community

Notcoin Community

Whale Chanel

Proxy MTProto

Binance Announcements

Proxy MTProto | پروکسی

iRo Proxy | پروکسی

خبرفوری

آهنگیفای

tapswap community

Notcoin Community

Whale Chanel

Proxy MTProto

Binance Announcements

Proxy MTProto | پروکسی

iRo Proxy | پروکسی

خبرفوری

آهنگیفای

안지영- 소비재 이슈 점검
TGlist rating
0
0
TypePublic
Verification
Not verifiedTrust
Not trustedLocation
LanguageOther
Channel creation dateJan 23, 2017
Added to TGlist
Nov 11, 2024Records
14.05.202523:59
2.4KSubscribers30.09.202423:59
0Citation index12.04.202523:59
5.4KAverage views per post13.04.202500:16
5.4KAverage views per ad post14.04.202523:48
4.05%ER13.04.202500:16
229.35%ERRGrowth
Subscribers
Citation index
Avg views per post
Avg views per ad post
ER
ERR
Reposted from:
신한 리서치

13.05.202523:12
『코스맥스(192820.KS) 썬이 만드는 극강의 레버리지』
화장품 박현진 ☎️) 02-3772-1563
▶️ 태국 이익 기여 급증, 미국과 중국은 회복 기대
- 한국법인은 내수와 수출 모두 견조한 성장세 유지
- 태국과 인도네시아 매출 증대 지속되어 동남아법인에 대한 실적 추정치 상향
- 미국법인은 영업적자 감소, 중국법인은 이익 개선된 게 포인트. 하반기 실적 컨센서스 상향 예상
▶️ 1Q25 Review: 베이스 부담에도 견조했던 실적
- 1Q25 연결매출 5,886억원, 영업이익 513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2%, 13% 성장. 컨센서스와 당사 추정치 대비로는 부합
- 법인벌 매출성장률은 한국 +15%, 중국 +3%, 인도네시아 +23%, 태국 +152%, 미국 -26%로 한국과 동남아가 매출 성장 견인
- 한국법인 증설로 2024년 말 대비 30% 캐파 확보되어 증가하는 수주플로우에 충분히 대응. 2Q25 한국 매출 +25% 전망
- 중국은 신규 고객사 유입과 이센 JV법인에서의 공급량 증대되어 2Q25 매출 +6% 기대
▶️ Valuation & Risk: 단기, 장기 매력 Up, Up
- 실적 추정치 상향, Target PER 16배에서 18배로 상향(업종 밸류에이션 감안)
- 목표주가는 기존 19만원에서 23만원으로 상향 제시
*원문 링크: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5399
위 내용은 2025년 05월 14일 07시 30분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화장품 박현진 ☎️) 02-3772-1563
▶️ 태국 이익 기여 급증, 미국과 중국은 회복 기대
- 한국법인은 내수와 수출 모두 견조한 성장세 유지
- 태국과 인도네시아 매출 증대 지속되어 동남아법인에 대한 실적 추정치 상향
- 미국법인은 영업적자 감소, 중국법인은 이익 개선된 게 포인트. 하반기 실적 컨센서스 상향 예상
▶️ 1Q25 Review: 베이스 부담에도 견조했던 실적
- 1Q25 연결매출 5,886억원, 영업이익 513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2%, 13% 성장. 컨센서스와 당사 추정치 대비로는 부합
- 법인벌 매출성장률은 한국 +15%, 중국 +3%, 인도네시아 +23%, 태국 +152%, 미국 -26%로 한국과 동남아가 매출 성장 견인
- 한국법인 증설로 2024년 말 대비 30% 캐파 확보되어 증가하는 수주플로우에 충분히 대응. 2Q25 한국 매출 +25% 전망
- 중국은 신규 고객사 유입과 이센 JV법인에서의 공급량 증대되어 2Q25 매출 +6% 기대
▶️ Valuation & Risk: 단기, 장기 매력 Up, Up
- 실적 추정치 상향, Target PER 16배에서 18배로 상향(업종 밸류에이션 감안)
- 목표주가는 기존 19만원에서 23만원으로 상향 제시
*원문 링크: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5399
위 내용은 2025년 05월 14일 07시 30분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17.04.202501:29
-IM증권 리시치센터장 고태봉 전무-
<지금은 戦時>
미국 트럼프가 일방적으로 욕을 먹고 있지만, 예고됐던 전쟁이다.
전략적 인내로 장기전을 치루겠다는 시진핑에 비해 48개월이란 시간 밖에 없는 트럼프에겐 속전속결 말고는 해법이 없다.
기본관세 10%로 기존 평균 2.5% 관세에 4배를 거두게 된 상황이다. 이는 세입을 위한 조치다. 전쟁 상대인 중국에겐 145% 관세에 반도체 수출통제라는 공격을 가하고 있다. 이는 적을 꺾겠다는 행위다.
원치 않는 전쟁이라 해도, 국가원수가 전쟁을 선언했으면, 좋건 싫건 기업들도 전시에 준하는 행동을 해야 한다. 사회주의는 일방향으로 따르게 마련이지만, 자본주의+민주주의는 각기 생각이 다르다. 그래서 트럼프는 미국내에 혼란을 각오하고라도 전쟁을 일으킨 것이다.
이제 미국도 이 상황이 전쟁이라는 인식을 슬슬 하게 될 것이다. 145%라는 관세에 미국민도 감래해야 할 고통이 크겠지만, 중국의 Cashcow(=전쟁수행 능력)인 수출을 꺾어야 중국의 힘이 꺾인다. 총투자와 소비는 이미 어렵게 된 상황이기에 그렇다.
미국도 화염이 피어오르고 있지만, 2분기부터 중국이 맞이해야 할 고통도 만만치 않을 것이다.
<지금은 戦時>
미국 트럼프가 일방적으로 욕을 먹고 있지만, 예고됐던 전쟁이다.
전략적 인내로 장기전을 치루겠다는 시진핑에 비해 48개월이란 시간 밖에 없는 트럼프에겐 속전속결 말고는 해법이 없다.
기본관세 10%로 기존 평균 2.5% 관세에 4배를 거두게 된 상황이다. 이는 세입을 위한 조치다. 전쟁 상대인 중국에겐 145% 관세에 반도체 수출통제라는 공격을 가하고 있다. 이는 적을 꺾겠다는 행위다.
원치 않는 전쟁이라 해도, 국가원수가 전쟁을 선언했으면, 좋건 싫건 기업들도 전시에 준하는 행동을 해야 한다. 사회주의는 일방향으로 따르게 마련이지만, 자본주의+민주주의는 각기 생각이 다르다. 그래서 트럼프는 미국내에 혼란을 각오하고라도 전쟁을 일으킨 것이다.
이제 미국도 이 상황이 전쟁이라는 인식을 슬슬 하게 될 것이다. 145%라는 관세에 미국민도 감래해야 할 고통이 크겠지만, 중국의 Cashcow(=전쟁수행 능력)인 수출을 꺾어야 중국의 힘이 꺾인다. 총투자와 소비는 이미 어렵게 된 상황이기에 그렇다.
미국도 화염이 피어오르고 있지만, 2분기부터 중국이 맞이해야 할 고통도 만만치 않을 것이다.
12.05.202508:05
신한투자증권 화장품/의복 담당 박현진 입니다. 금일(5/12일) 특징주 실리콘투와 씨앤씨인터내셔널로 보입니다. 실리콘투는 컨센대비 25년 1분기 호실적 달성했는데 주가는 보합이고, 씨앤씨인터내셔널은 25년 1분기 실적이 부진했는데 금일 주가가 18% 튀었습니다. 2분기 혹은 하반기 실적 톤이 어떠냐에 따라 주가도 달리 반영하는거 같습니다.
씨앤씨인터내셔널은 지난 3월 신한 프리미어 콥데이부터 지금까지 하반기 실적에 대한 자신감을 비춰왔었던 기업입니다. 2024년 하반기 R브랜드 매출이 이탈하면서 그 자리에 해외 바이어 오더로 채워 넣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코멘트가 있었고, 관련 매출은 빠르면 25년 2분기, 늦어도 3분기부터는 반영되어 하반기 실적 회복 여력을 높게 볼수 있는 기업이라 판단 됩니다.
오늘 주가도 지금까지의 악재보단 앞으로의 호재를 더 반영하려고 한게 아닐까 싶기는 합니다. 생각보다 좀 빠르게 반영한 감이 있어보이긴 하지만요.
실리콘투는 1분기 영업이익이 477억원으로 컨센서스 영업이익 390억원 대비 22% 상회했습니다만.. 영업이익률은 작년 수준보다 0.2%pt 낮은 19.4% 발표했네요. 보니 재고자산이 1,815억원으로 전분기대비 24% 늘어 2분기 매출 기대감도 높게 유지해도 될듯 합니다. 다만 영업이익률이 낮아진건 미국의 gpm이 낮아진 영향이란 ir 코멘트가 있습니다.
1분기말 기준 실리콘투의 국가별 매출 비중은 유럽 30~40%로 작년 말대비 10%pt 이상 상승했고, 미국이 15%로 낮아졌습니다. 예상대로 유럽향 매출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는게 장점입니다. 중동쪽 창고 계약으로 3분기부터 중동향 매출 인식이 커질수 있다는 코멘트가 있구요. 다만 올해 연간으로 영업이익률은 작년보다 더 높게 나오긴 만만치 않다는게 제 개인적 판단입니다. 자세한 내용 필요하시면 문의 주세요
씨앤씨인터내셔널은 지난 3월 신한 프리미어 콥데이부터 지금까지 하반기 실적에 대한 자신감을 비춰왔었던 기업입니다. 2024년 하반기 R브랜드 매출이 이탈하면서 그 자리에 해외 바이어 오더로 채워 넣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코멘트가 있었고, 관련 매출은 빠르면 25년 2분기, 늦어도 3분기부터는 반영되어 하반기 실적 회복 여력을 높게 볼수 있는 기업이라 판단 됩니다.
오늘 주가도 지금까지의 악재보단 앞으로의 호재를 더 반영하려고 한게 아닐까 싶기는 합니다. 생각보다 좀 빠르게 반영한 감이 있어보이긴 하지만요.
실리콘투는 1분기 영업이익이 477억원으로 컨센서스 영업이익 390억원 대비 22% 상회했습니다만.. 영업이익률은 작년 수준보다 0.2%pt 낮은 19.4% 발표했네요. 보니 재고자산이 1,815억원으로 전분기대비 24% 늘어 2분기 매출 기대감도 높게 유지해도 될듯 합니다. 다만 영업이익률이 낮아진건 미국의 gpm이 낮아진 영향이란 ir 코멘트가 있습니다.
1분기말 기준 실리콘투의 국가별 매출 비중은 유럽 30~40%로 작년 말대비 10%pt 이상 상승했고, 미국이 15%로 낮아졌습니다. 예상대로 유럽향 매출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는게 장점입니다. 중동쪽 창고 계약으로 3분기부터 중동향 매출 인식이 커질수 있다는 코멘트가 있구요. 다만 올해 연간으로 영업이익률은 작년보다 더 높게 나오긴 만만치 않다는게 제 개인적 판단입니다. 자세한 내용 필요하시면 문의 주세요
Reposted from: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13.05.202507:01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브이티 1Q25 잠정실적 발표
<1Q25 실적(연결)>
- 매출액 1,004억원(YoY-1%)
- 영업이익 290억원(YoY+21%, OPM 28.9%)
- 지배주주순이익 223억원(YoY+39%)
<1Q25 컨센서스(연결)>
- 매출액 1,069억원, -6% 하회
- 영업이익 254억원, 14% 상회
- 지배주주순이익 197억원, 13% 상회
***
브이티 1Q25 잠정실적 발표
<1Q25 실적(연결)>
- 매출액 1,004억원(YoY-1%)
- 영업이익 290억원(YoY+21%, OPM 28.9%)
- 지배주주순이익 223억원(YoY+39%)
<1Q25 컨센서스(연결)>
- 매출액 1,069억원, -6% 하회
- 영업이익 254억원, 14% 상회
- 지배주주순이익 197억원, 13% 상회
***
08.05.202523:44
KDI가 시의적절한 발표했네요. “경제구조개혁 하지 않으면 15년 후 잠재성장률 제로” 임금체계 등 문제점 지적했지만 대기업 회장들의 선단식 경영이 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효율적 자원 배분 왜곡시키는. 앞으론 이사회에서 주주 관점에서 자본배치 제대로 논의해 자본효율성 올려야 합니다.
Reposted from: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17.04.202501:51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잉글우드랩 주가 상승 코멘트
- 1Q25 실적 까지는 기저 부담 존재하나, 2Q25 부터 점진적 회복 기대
- 법인별로
- 잉글우드랩코리아는
1) 굿몰레큘 기저부담 축소,
2) 티르티르/퓨리토 선크림 신규 발주(현재 아마존에서 판매 중)
- 잉글우드랩미국(토토와)은
1) 엘리자베스아덴, 로던앤필즈 수주는 감소 예상되나,
2) 지난해 없던 토니모리, 믹순 선크림 신규 제조 중(믹순 아마존, 토니모리 얼타 판매 중)
- 그 외 수출 주도 브랜드 2개사의 OTC도 완료한 것으로 파악
***
잉글우드랩 주가 상승 코멘트
- 1Q25 실적 까지는 기저 부담 존재하나, 2Q25 부터 점진적 회복 기대
- 법인별로
- 잉글우드랩코리아는
1) 굿몰레큘 기저부담 축소,
2) 티르티르/퓨리토 선크림 신규 발주(현재 아마존에서 판매 중)
- 잉글우드랩미국(토토와)은
1) 엘리자베스아덴, 로던앤필즈 수주는 감소 예상되나,
2) 지난해 없던 토니모리, 믹순 선크림 신규 제조 중(믹순 아마존, 토니모리 얼타 판매 중)
- 그 외 수출 주도 브랜드 2개사의 OTC도 완료한 것으로 파악
***
13.05.202523:46
Reposted from: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12.05.202504:06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실리콘투 Quick Comment
- 아이허브 매출 감소 등이 더해지며 미국 매출 감소
- 미국 매출 감소로 gpm 전년동기비 소폭 하락
- 관세 영향으로 인한 물량이나 단가 협의 관련해서는 1분기 영향 미미
- 매입 가격 조정 또는 최근 수요 상황은 2분기에 반영될 전망
- 주요 지역 비중(대략): 유럽 비중 20~30% 수준 예상(IR자료 체크 필요), 미국 16%, UAE 7%, 아시아 대륙권도 꽤나 매출 늘어났을 것. 유럽이 미국을 바로 상회, UAE는 분기 매출 100억원 바로 돌파
- 주요 브랜드 비중(대략, 별도기준): 조선미녀 20%, 메디큐브 10%, 바이오던스 8%, 닥터엘시아 7%, 그 외 아누아, 스킨천사 모두 QoQ (+) 추세
-> 고객군 다변화 뚜렷
- 판관비 단은 특이사항 없으며, 운반비 비중 2% 수준으로 유지, 풀필먼트 매출 감소로 지급수수료 비중 3%로 하락
- 1분기 재고자산은 전분기 대비 +356억원 증가 (4분기는 +229억원 증가한바 있음)
***
실리콘투 Quick Comment
- 아이허브 매출 감소 등이 더해지며 미국 매출 감소
- 미국 매출 감소로 gpm 전년동기비 소폭 하락
- 관세 영향으로 인한 물량이나 단가 협의 관련해서는 1분기 영향 미미
- 매입 가격 조정 또는 최근 수요 상황은 2분기에 반영될 전망
- 주요 지역 비중(대략): 유럽 비중 20~30% 수준 예상(IR자료 체크 필요), 미국 16%, UAE 7%, 아시아 대륙권도 꽤나 매출 늘어났을 것. 유럽이 미국을 바로 상회, UAE는 분기 매출 100억원 바로 돌파
- 주요 브랜드 비중(대략, 별도기준): 조선미녀 20%, 메디큐브 10%, 바이오던스 8%, 닥터엘시아 7%, 그 외 아누아, 스킨천사 모두 QoQ (+) 추세
-> 고객군 다변화 뚜렷
- 판관비 단은 특이사항 없으며, 운반비 비중 2% 수준으로 유지, 풀필먼트 매출 감소로 지급수수료 비중 3%로 하락
- 1분기 재고자산은 전분기 대비 +356억원 증가 (4분기는 +229억원 증가한바 있음)
***
17.04.202503:12
신한투자증권 화장품/의복 담당 박현진 입니다. 금일 화장품/의류주들 주가 창이 대체로 빨강빨강하네요, 미국 관세 상승에 대한 노이즈, 시장 우려를 좋게 해석하고자 하는 분위기가 생겨나는거 같기도 합니다.
🔜 금일 주가 상승 이유는
☑️ 1) 미국 관세 인상으로 한국 화장품의 미국/서구권 수요가 낮아지지 않을 것이다란 뷰가 공감대를 형성하고
☑️ 2) 미국-중국 관세 폭등으로 중국산 제품 대비 한국산 제품이 가격 경쟁력 확보에 유리할 전망이며
☑️ 3) 각국의 추경 확대 기조로 내수 소비가 좋아질 것이란 뷰 확산으로 요약됩니다.
화장품사들의 2025년 1분기 실적은 컨센서스 부합하는 기업들이 상당수고, 일부는 1분기 실적이 에프엔가이드 컨센서스를 상회할 것이라 보기도 합니다. 대표적으로 한국콜마, 아모레퍼시픽, 펌텍코리아, 에이피알, 실리콘투 등이죠.
1분기가 아니라도, 2~4분기 실적 회복 기대감을 높이는 경우가 다수 입니다. 관련기업으로 코스메카코리아, 씨앤씨인터내셔널, 아이패밀리에스씨 등이 있지요.
지난번 자료에서도 언급 드렸지만, 미국 관세 인상으로 인해 2분기 화장품 공급 계획에 변화가 있는건 아니라는게 업계 중론이다 말씀 드렸습니다.
또한 3)에 관심이 필요하다 생각됩니다. 미국이 관세를 올리는 만큼 소비자가격에 전가될 가능성과 그로 인해 소비 경기가 나빠질 우려가 커지면서 각국이 추경확대에 집중하는 양상으로 가고 있어 보입니다. 일본, 한국, 중국 다 마찬가지 입니다.
내수 실적이 회복될 가능성이 있고, 화장품/의류브랜드사에 대해 재평가 기회가 생기지 않을까해요, 물론 화장품을 수출산업이 되어 내수 의미가 크진 않지만, 의류는 아직 내수 비중이 높습니다.
제 지갑에 현금이 생긴다면, 지역화폐를 받는다면 외식비, 교육비에 먼저 지출할 것으로 보이며, 그렇게 쓰고도 돈이 남으면 저가 화장품, 저가 의류 소비도 늘리지 싶어요, 그 점에서 내수소비가 하나의 테마가 될수 있다 생각합니다. 참고하세요!
🔜 금일 주가 상승 이유는
☑️ 1) 미국 관세 인상으로 한국 화장품의 미국/서구권 수요가 낮아지지 않을 것이다란 뷰가 공감대를 형성하고
☑️ 2) 미국-중국 관세 폭등으로 중국산 제품 대비 한국산 제품이 가격 경쟁력 확보에 유리할 전망이며
☑️ 3) 각국의 추경 확대 기조로 내수 소비가 좋아질 것이란 뷰 확산으로 요약됩니다.
화장품사들의 2025년 1분기 실적은 컨센서스 부합하는 기업들이 상당수고, 일부는 1분기 실적이 에프엔가이드 컨센서스를 상회할 것이라 보기도 합니다. 대표적으로 한국콜마, 아모레퍼시픽, 펌텍코리아, 에이피알, 실리콘투 등이죠.
1분기가 아니라도, 2~4분기 실적 회복 기대감을 높이는 경우가 다수 입니다. 관련기업으로 코스메카코리아, 씨앤씨인터내셔널, 아이패밀리에스씨 등이 있지요.
지난번 자료에서도 언급 드렸지만, 미국 관세 인상으로 인해 2분기 화장품 공급 계획에 변화가 있는건 아니라는게 업계 중론이다 말씀 드렸습니다.
또한 3)에 관심이 필요하다 생각됩니다. 미국이 관세를 올리는 만큼 소비자가격에 전가될 가능성과 그로 인해 소비 경기가 나빠질 우려가 커지면서 각국이 추경확대에 집중하는 양상으로 가고 있어 보입니다. 일본, 한국, 중국 다 마찬가지 입니다.
내수 실적이 회복될 가능성이 있고, 화장품/의류브랜드사에 대해 재평가 기회가 생기지 않을까해요, 물론 화장품을 수출산업이 되어 내수 의미가 크진 않지만, 의류는 아직 내수 비중이 높습니다.
제 지갑에 현금이 생긴다면, 지역화폐를 받는다면 외식비, 교육비에 먼저 지출할 것으로 보이며, 그렇게 쓰고도 돈이 남으면 저가 화장품, 저가 의류 소비도 늘리지 싶어요, 그 점에서 내수소비가 하나의 테마가 될수 있다 생각합니다. 참고하세요!
Reposted from: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12.05.202503:17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실리콘투 1Q25 잠정실적 발표
<1Q25 실적(연결)>
- 매출액 2,457억원(YoY+132%)
- 영업이익 477억원(YoY+221%, OPM 19.4%)
- 지배주주순이익 388억원(YoY+289%)
<1Q25 컨센서스(연결)>
- 매출액 1,736억원, 42% 상회
- 영업이익 266억원, 79% 상회
- 지배주주순이익 320억원, 21% 상회
***
실리콘투 1Q25 잠정실적 발표
<1Q25 실적(연결)>
- 매출액 2,457억원(YoY+132%)
- 영업이익 477억원(YoY+221%, OPM 19.4%)
- 지배주주순이익 388억원(YoY+289%)
<1Q25 컨센서스(연결)>
- 매출액 1,736억원, 42% 상회
- 영업이익 266억원, 79% 상회
- 지배주주순이익 320억원, 21% 상회
***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