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Инсайдер UA
Инсайдер UA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Инсайдер UA
Инсайдер UA
PE, M&A, 리츠, 대체투자 뉴스 avatar

PE, M&A, 리츠, 대체투자 뉴스

PE, M&A, 리츠, 대체투자, 거버넌스, 행동주의, 기금운용 등에 대한 소식을 전하겠습니다.
TGlist rating
0
0
TypePublic
Verification
Not verified
Trust
Not trusted
Location
LanguageOther
Channel creation dateJul 16, 2024
Added to TGlist
Nov 11, 2024

Latest posts in group "PE, M&A, 리츠, 대체투자 뉴스"

«'강성부 펀드'로 알려진 KCGI가 국내 연기금·공제회로부터 처음으로 출자금을 받는다. 올해 가장 큰 출자사업으로 꼽히는 교직원공제회 컨테스트에서 최종 운용사로 선정되면서다. KCGI는 강성부 대표가 직접 나서서 "앞으로 행동주의 투자는 안하고 PEF 본연의 투자에 집중하겠다"는 확약 끝에 최종 낙점된 것으로 알려졌다.»

#KCGI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31180
이 기사를 쓴 매체(EBN) 대주주는 호반그룹. 인수 의지가 있는 모양

###

«조기대선 정국과 높아진 몸값 탓에 HMM 민영화 작업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호반그룹이 유력한 인수 후보로 급부상하고 있다.

충분한 자금력을 보유한 데다 과거 해운업 진출 시도를 통해 이 분야 진출에 관심을 보여왔다는 점이 시장의 주목을 받는 이유다.»

https://www.eb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62508
«13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교직원공제회는 이날부터 블라인드 PEF 출자사업에 최종 선정된 운용사들에게 개별 통보했다. △JKL파트너스 △IMM크레딧앤솔루션(ICS) △프랙시스캐피탈 △H&Q코리아 △프리미어파트너스 △제네시스PE △이음프라이빗에쿼티(PE) △LB인베스트먼트 △다올PE 등 10곳의 운용사가 최종 낙점됐다.

각 운용사들은 교공 측과 조율해 최소 400억원에서 1000억원에 달하는 출자금을 받게 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31131
«크레센도에쿼티파트너스가 반도체 장비회사 HPSP 매각을 연기하기로 했다. 미국발 관세 리스크에 따라 거시 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된 영향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12일 HPSP는 '프레스토제6호사모투자합자회사'가 보유중인 보통주 3280만주(39.42%)를 '히트2025홀딩스 유한회사'에 현물출자했다고 공시했다. 히트2025홀딩스 유한회사는 크레센도 측이 새롭게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이다. 크레센도는 HPSP 주식을 담보로 인수금융 대출을 일으키는 리캡(Recap, 자본재조정) 등을 통해 기존 펀드 투자금 일부를 회수할 계획이다.»

#크레센도PE

https://www.sedaily.com/NewsView/2GSS4W4F0V
«얼라인파트너스가 올 초 열린 스틱 정기주총에서 부의된 안건 7건 가운데 채진호 사내이사 선임 의안에만 찬성하고 나머지는 모두 반대표를 행사한 사례는 주주행동 개시 가능성에 힘을 싣는 모양새다. 재무제표 승인 건은 장기간 과다 보유 중인 자기주식 소각 계획이 명확하지 않다며 반대표를 던졌다. 이사 보수한도 승인 의안에도 반대했다. 주식 보상 도입 등 주가와 연계된 임원 보수 체계 도입 요구가 인용되지 않았다는 이유다. 사외이사들 선임과 관련해서는 글로벌 경영 역량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
다만 스틱이 자사주를 소각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자사주는 최대주주 측의 경영권 방어, 자금 확보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스틱 입장에서는 포기하기 어려운 카드다. 그간 자사주를 성장 자금으로 활용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해온 이유다. 추후 M&A를 통해 회사를 키워야 하는데, 그간 보유 현금들은 펀드 결성 시 위탁운용사(GP) 출자금으로 투입해왔다는 점에서 자사주를 활용해 볼트온 등을 추진하겠다는 설명이다.»

#스틱인베스트먼트 #얼라인파트너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505121527506560102611
«삼성전자가 하만(Harman)을 통해 세계적인 오디오 브랜드를 다수 보유한 미국 마시모(Masimo)사의 오디오 사업부(이하 사운드유나이티드, Sound united)를 인수한다. 2017년 80억달러를 들여 하만의 경영권을 확보한 이후, 8년만에 처음으로 성사시킨 나름 대형(?) M&A로 기록될 전망이다.

삼성전자 최고경영진들은 지난 수년 동안 공식 석상에서 대규모 M&A를 검토하고 있고, 또 손에 잡히는 결과물을 보여줄 것을 자신해 왔다. 이를 통해 투자자들은 점차 동력을 잃어가는 삼성전자의 새로운 미래 먹거리가 될, 또는 과거의 지위를 회복할 수 있는 대규모 M&A를 기대했지만 정작 내놓은 결과물은 3억5000만달러짜리 오디오 브랜드 인수였다. 글로벌 빅테크들이 앞다퉈 수십조원 규모의 M&A(Ex. 시놉시스(Synopsys)의 앤시스(Ansys) 인수, 2024년 325억 달러)를 성사하고 또 언제든 대규모 거래가 등장할 것이란 기대감을 키우고 있는 모습과는 거리가 멀다.
...
이번 거래는 삼성의 '빅딜 DNA'를 깨웠다고 보긴 어렵고, 그렇다고 하만 산하의 오디오 사업이 미래의 삼성을 책임질 중심축이 될 것이란 기대감도 갖기 힘들다. 어찌보면 삼성그룹 경영진들이 생각하는 빅딜의 수준이 딱 이정도 수준에 불과하단 것을 증명한 거래가 된 듯하다.»

#삼성

https://www.invest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5/12/2025051280277.html
«호반건설이 대한항공을 거느린 한진그룹 지주사인 한진칼 지분율을 18% 이상으로 끌어올렸다.

호반건설은 한진칼 2대 주주로, 단순 투자 목적으로 지분을 매입했다고 밝혔으나 업계 안팎에서는 호반건설이 향후 경영권 참여에 나설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512142300003?input=1195m
2025.05.12 18:08:05
기업명: 롯데지주(시가총액: 2조 5,440억)
보고서명: 타법인주식및출자증권취득결정

취득회사 : 롯데글로벌로지스㈜(대한민국)
주요사업 : 종합물류서비스

취득금액 : 3,074억
자본대비 : 3.3%
- 취득 후 지분율 : 63.73%

예정일자 : 2025-06-11
취득목적 : 엘엘에이치(유)의 풋옵션 행사에 따른 주식 취득

* 취득방법
현금 취득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12800741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4990
«롯데그룹 물류 계열사 롯데글로벌로지스의 재무적투자자(FI)가 대규모 주식매도청구권(풋옵션)을 행사해 롯데그룹으로부터 약 4000억 원을 받기로 결정했다. FI가 기업공개(IPO) 불발로 풋옵션을 단행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롯데 #에이치PE

https://www.sedaily.com/NewsView/2GSRPG84A9
ESR켄달스퀘어리츠
"4년만의 유상증자, 주식수 증가에도 배당 유지 계획"

리포트) bit.ly/3GJwAEy
«국세청이 글로벌 사모펀드(PEF) 운용사들의 한국 사무소를 대상으로 전방위 세무조사를 준비하고 있다. PEF 운용사들이 한국에서 진행한 인수합병(M&A) 딜로 막대한 차익을 거두면서도 정작 국내에는 세금을 내지 않는 문제를 바로잡겠다는 취지다.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국세청은 글로벌 PEF 운용사들이 한국에서 벌어들인 소득에 과세하는 방안을 최근 중점 과제로 삼았다. 국세청은 올초 어피너티 등 일부 해외 PEF의 한국 사무소에 대한 집중 조사에 들어간 상태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51152551
«MBK파트너스가 롯데카드의 본격적인 공개매각 절차에 돌입했다. 홈플러스 기습 회생 사태로 MBK파트너스가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잠재 인수 후보인 금융지주들의 물밑 관심이 이어지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
MBK파트너스는 2019년 우리은행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롯데카드 지분 79.83%를 약 1조3800억원에 인수했다. 전체 기업가치는 약 1조7000억원으로 평가됐다. 이후 인수 3년 만인 2022년 첫 매각을 시도했지만 무산됐다. 롯데카드의 기업가치로 3조원 이상을 요구해 매수자가 나타나지 않은 것이다.

이번 재매각에선 매각 측의 눈높이가 2조원대까지 낮아진 것으로 알려졌다. 홈플러스 사태 등으로 국내외 출자자(LP)들의 우려가 커지면서 높은 가격에 투자금을 회수하기보다 적기에 매각을 완료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MBK파트너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29940
«특별히 자본생산성을 높이는 전략으로 주주 행동주의 활성화를 강조하고 싶다. 경영자는 다양한 이유로 자본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할 수 있는데 이들을 설득해 자본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로 주주 행동주의의 핵심 전략이기 때문이다.»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1196876.html
«"국민연금은, 자사주 매입을 주주환원으로 보지 않습니다. 경영권 방어에 잠재적으로 이용된다거나 어떤 초과 이익을 내부에 유보할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어 소각을 전제로 해야만 주주 환원이라고 보는 것이 저희들의 시각입니다. 이런 시각이 널리 확산되기를 바랍니다."

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동섭 국민연금공단 수탁자책임실장은 전일 자본시장연구원 주최로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 추진성과와 향후 과제' 세미나에서 토론자로 나서 이같이 강조했다.»

https://www.asiatime.co.kr/article/20250509500387

Records

13.05.202523:59
387Subscribers
27.09.202423:59
0Citation index
17.04.202523:59
355Average views per post
18.02.202512:05
215Average views per ad post
07.02.202523:59
7.14%ER
17.04.202523:59
100.57%ERR
Subscribers
Citation index
Avg views per post
Avg views per ad post
ER
ERR
OCT '24JAN '25APR '25

Popular posts PE, M&A, 리츠, 대체투자 뉴스

04.05.202504:48
(위) 워렌 버핏 같은 사람이 다시 나오기 힘든 세 가지 이유 (WSJ)

이미 많은 언론이 보도했지만, 워렌 버핏이 오늘 주총 마지막에 사실상 은퇴 선언을 했습니다.

그리고 3,400억달러나 되는 버크셔의 막대한 현금이 후계자인 그렉 아벨의 가장 큰 무기가 될 것이라는 말을 남겼습니다.

WSJ에서 버핏을 기리는 통찰력 높은 기사가 실려서 한 번 요약해 봤습니다. 투자자 분들께 감히 강력 추천드려 봅니다.

=======================

워렌 버핏은 실로 불세출의 투자자. 이런 사람이 다시 나오기 힘든 세 가지 이유가 있음

첫째, 버핏의 성향(person)임. 버핏은 똑똑한 사람이지만 모든 시간을 전적으로 주식시장에 쏟아 붓다시피 한 "주식에 미친 사람(the stock-intoxicated man)"임.


버핏의 성공은 일반적인 사회생활이나 가정생활을 포기하다시피 해서 얻은 희생의 결과물임. 연례보고서를 읽으며 코를 박고 집안을 돌아다니다가 가구에 부딪힐 뻔한 것은 다반사요, 가족과 친구들이 왔는지 가는지도 몰랐음.

아이들을 공원에 데리고 나가도 버핏은 벤치에 앉아 재무제표를 읽었음. 육체적으로는 공원에 있었는지 모르겠지만 사실은 자기만의 세계에 갖혀 손실 이월 공제나 상각에 대해 집착하고 있었음.

하지만 그것을 고통스러워한 것이 아니라 너무나도 즐겼음. 그것이 버핏의 가장 독특한 점임.

그의 기억력은 거의 초자연적 수준인데, 기자가 몇년전 전화 인터뷰에서 어떤 책에 대해 언급하자, 자기도 50년 전에 그 책을 읽었다면서 어떤 구절을 인용했는데, 정말 찾아보니 버핏이 말했던 그대로의 문장이 써 있어 소름 끼쳤던 적이 있었음. 아마도 70년간 10만개가 넘는 재무제표를 읽었을 것으로 추정됨.

그러다보니 그는 거의 인간 AI라 할 정도로 모든 정보를 받아들였고, 그것을 패턴화해서 인식하는 능력이 있음.

둘째, 시기적 행운(period)임. 대공황이 발생한 1930년 경제와 시장이 바닥이었을 때 태어났고, 우연히도 그곳이 자본시장의 첨병인 미국이었음. 그리고 우연히도 가치투자의 선구자인 벤저민 그레이엄의 지도를 받았음.

본인도 자기는 "난소복권"에 당첨된 사람이라고 이야기하긴 하지만 ETF도 없고 퇴직연금도 없었던 시기, 아무도 주식시장에 주목하지 않았을 때 숨겨진 중소형주들을 발굴해 초과 성과를 냈음.

그러나 셋째,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남의 돈을 받지 않고 내부 현금흐름을 묶어 가두리 양식장(package)을 만들었다는 것임.

대부분의 유명한 펀드들은 "경기순응적 (Procyclicality)" 저주에서 벗어나기 힘듬.

시장이 좋을 때 돈이 들어오다보니 그 돈이 주식을 비싸게 사 고점을 만들고, 시장이 하락할 때 환매가 들어오니 쌀 때 주식을 팔아 제끼게 되는 저주임.

그러나 버크셔의 현금은 유일하게 "내부"에서 창출됨. 새로운 투자자에게 돈을 받는 것도 아니고, 누군가 버크셔 주식을 판다해도 그 것은 투자자들끼리 주고 받는 것임. 계열사들의 현금은 흘러흘러 지주사인 버크셔로 고이게 됨

이런 독특한 구조는 그 어떤 전문 투자자도 누리지 못하는 강력한 이점임. 버크셔가 보유한 3,300억달러의 보유 현금은 다시 보기 힘든 강력한 무기가 될 것

**당사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https://www.wsj.com/finance/investing/why-there-will-never-be-another-warren-buffett-2b5fa268?mod=WSJ_home_mediumtopper_pos_2
09.05.202500:13
«잇몸 질환 치료제 ‘이가탄’으로 유명한 명인제약이 설립 약 40년 만에 유가증권시장 상장에 도전한다. 명인제약의 곳간은 넉넉하다. 자금 조달이 상장 목적은 아닌 것이다.

시장에서는 이번 IPO 목적이 승계 문제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명인제약은 1949년생인 이 회장과 두 딸 이선영·이자영씨를 포함한 특수관계인이 지분 95.3%(1067만6000주)를 보유하고 있는 사실상 가족 회사다.

상장사든 비상장사든 상속증여세율은 최대 60%(최대 주주 할증과세 적용)로 같다. 그런데도 상장 목적이 승계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는 명인제약을 비롯한 제약사들이 증시에서 비인기 업종이기 때문이다.

IPO를 통해 자산가치보다 낮은 시가총액을 형성하게 되면, 가격 괴리를 활용해 과세표준을 낮출 수 있다. 또 상장주식은 장내에서 바로 유동화가 가능하다. 주식 담보 대출과 회사 배당 등을 활용해 증여세를 납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https://biz.chosun.com/stock/market_trend/2025/05/09/3SYED6IIOZBIPGXDDHIDRR32GA/
21.04.202523:32
«국민연금이 대규모 유상증자 시도로 물의를 빚고 있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비공개 대화 대상기업으로 지정하는 안을 검토 중이다. 이달 중 수탁자책임전문원회를 열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주주가치 훼손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국민연금은 5% 이상 지분을 보유한 국내 기업이 연금의 중점관리사안상 문제가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경우 검토를 거쳐 비공개 대화 대상 기업으로 지정한다. 이후 1년간 비공개 대화를 거쳐 개선점을 전달한 뒤에도 개선되지 않으면 ‘공개중점관리기업’으로 정한다. 이후에는 공개서한을 통한 기업 입장 표명, 사실관계 확인 등을 요청할 수 있다.»

#한화 #국민연금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368566642138416
13.05.202500:21
«얼라인파트너스가 올 초 열린 스틱 정기주총에서 부의된 안건 7건 가운데 채진호 사내이사 선임 의안에만 찬성하고 나머지는 모두 반대표를 행사한 사례는 주주행동 개시 가능성에 힘을 싣는 모양새다. 재무제표 승인 건은 장기간 과다 보유 중인 자기주식 소각 계획이 명확하지 않다며 반대표를 던졌다. 이사 보수한도 승인 의안에도 반대했다. 주식 보상 도입 등 주가와 연계된 임원 보수 체계 도입 요구가 인용되지 않았다는 이유다. 사외이사들 선임과 관련해서는 글로벌 경영 역량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
다만 스틱이 자사주를 소각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자사주는 최대주주 측의 경영권 방어, 자금 확보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스틱 입장에서는 포기하기 어려운 카드다. 그간 자사주를 성장 자금으로 활용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해온 이유다. 추후 M&A를 통해 회사를 키워야 하는데, 그간 보유 현금들은 펀드 결성 시 위탁운용사(GP) 출자금으로 투입해왔다는 점에서 자사주를 활용해 볼트온 등을 추진하겠다는 설명이다.»

#스틱인베스트먼트 #얼라인파트너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505121527506560102611
29.04.202523:57
«글랜우드프라이빗에쿼티(이하 글랜우드PE)가 기업의 일부 사업부를 매각하는 '카브아웃' 딜에서 존재감을 뽐내고 있다. 대기업의 카브아웃 딜마다 등장해 굵직한 인수를 연달아 해온 글랜우드PE가 이번엔 LG화학의 워터솔루션 부문 인수에 나선다.

2014년 설립돼 어느덧 11년 차를 맞이한 글랜우드PE는 굵직한 카브아웃 딜을 성사시키며 차별화된 경쟁력을 쌓아왔다.»

#글랜우드PE

https://view.asiae.co.kr/article/2025042916574143678
11.05.202523:43
«특별히 자본생산성을 높이는 전략으로 주주 행동주의 활성화를 강조하고 싶다. 경영자는 다양한 이유로 자본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할 수 있는데 이들을 설득해 자본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로 주주 행동주의의 핵심 전략이기 때문이다.»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1196876.html
18.04.202501:28
손대는 기업마다 큰 성공을 거둬 ‘신의 손’으로 불린 전설의 투자자. 일본 주식 투자금만 4,000억 엔(약 4조 원) 넘게 운용한 무라카미펀드의 창립자 무라카미 요시아키(村上世彰)를 가리키는 말이다. 통상산업성(현 경제산업성) 관료 출신으로, 성공한 투자자일 뿐만 아니라 기업 거버넌스와 주주 가치 실현의 최일선에서 일본 경제와 주식시장의 판을 바꾼 이가 바로 무라카미 요시아키다.

《평생 투자자》는 그가 왜 관료에서 ‘플레이어’인 투자자로 변신하게 되었는지부터 시작해 투자자로서 그의 전략과 목표 그리고 그 성공과 실패를 여실하게 담았다. ‘행동주의자’, ‘할 말 하는 주주’로서 철도, 방송, IT 등 일본 경제의 굵직한 기업들과 경합한 그의 면모를 상세히 담은 이 책은 그 자체로 흥미진진한 ‘큰손’의 비망록이다.

이 책은 또 그의 실전 경험으로 채운 살아 있는 투자 교과서다. 투자란 무엇이고 무엇을 추구해야 하는지, 주식 투자에서 주주와 기업의 관계는 어떠해야 하는지, 왜 일본 경제에서는 이런 원칙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는지, 그리고 그렇기에 왜 이렇게 기업 거버넌스가 중요한지 등을 담아 자본시장이라는 세계, 투자의 본질을 이해하는 큰 그림과 디테일을 입체적으로 그려냈다.

http://aladin.kr/p/pRZ2p
15.04.202500:27
«14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SK에코플랜트는 이달 초 말레이시아 최대 폐기물 처리 업체 센바이로의 지분 30%를 매각하기 위한 입찰을 실시했다. 수처리·폐기물 분야 세계 1위인 프랑스 베올리아와 맥쿼리한국인프라펀드, 아이스퀘어 등의 사모펀드가 인수의향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장에서는 SK그룹이 국내외 폐기물 사업에서 사실상 손을 떼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SK는 2020년 1조500억 원을 들여 인수한 수처리·폐기물 자회사 리뉴어스, 폐기물 매립 회사 8곳을 8256억 원에 인수한 뒤 합병시키며 탄생한 리뉴원의 매각도 추진 중이다. IB 업계 고위 관계자는 “단순한 폐기물 소각, 매입 업체들을 모두 정리하려는 수순”이라며 “인공지능(AI) 반도체, 데이터센터 등을 중심으로 재편하고 환경 관련 사업은 리사이클링(재활용)만 남겨두는 방향으로 진행 중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SK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50414/131412751/2
29.04.202508:47
«금융당국이 해외 자산운용사에 대한 국내 판매 규제를 풀겠다고 예고하자 기존 위탁 판매사인 증권사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2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최근 해외 자산운용사의 국내 펀드중개업 인가 신청 접수를 개시했다. 지금까지는 해외 운용사가 국내 투자자에게 해외 자산을 담은 역외 펀드를 판매하려면 펀드 중개업 자격을 갖춘 국내 증권사를 거쳐야 했다. 앞으로는 해외 운용사가 국내 자회사를 설립하는 방식으로 직접 영업·판매에 나설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추겠다는 게 당국 복안이다. 사실상 해외 대형 운용사의 국내 직접 진출을 허용하는 정책이다.

현재 증권사를 통해 위탁판매하는 해외 운용사의 펀드 규모는 연간 2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증권사들이 해외 운용사에서 받는 위탁판매 수수료는 연간 1500억원 수준이다. 시장 규모가 작지 않은 만큼 증권업계에선 블랙스톤, 블랙록, KKR 등 약 10곳의 대형 해외 운용사가 중개업 인가 신청을 할 것으로 보고 있다. 향후 개인투자자 등 리테일로까지 펀드 판매 범위를 넓혀갈 가능성도 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2941111
09.05.202505:10
«업계에선 이번 금감원-롯데손보 갈등이 PEF의 금융사 경영에 내재된 구조적 한계를 보여준다고 분석한다. 금융업은 본질적으로 충분한 자본 여력이 필수적이나, PEF의 운용 특성상 추가 증자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PE는 출자자(LP)로부터 조달한 자금을 정해진 한도 내에서 운용하는 것이 기본 원칙이다. 증자를 진행하려면 다수의 출자자 동의를 얻어야 하는데, 이는 단순히 숫자의 문제를 넘어 투자자들이 이를 경영상 문제가 있다는 신호로 해석할 가능성이 높아 동의 확보가 쉽지 않다.

...

금융당국 내부에서는 과거부터 PEF의 금융사 인수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존재해왔다. 사모펀드는 본질적으로 투자금 회수를 위해 일정 시점에 경영권을 매각해야 하는 구조인 반면, 금융업은 경영의 연속성과 안정성이 핵심 가치로 작용하는 산업이라는 점에서 근본적인 충돌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또한 고객 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자본적 여력이 상대적으로 충분하지 않은 점도 당국의 우려를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이번 사태는 금융당국이 평소 가지고 있던 사모펀드의 금융사 소유에 대한 문제의식이 현실화된 사례로 볼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JKL파트너스

https://www.invest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5/09/2025050980137.html
21.04.202523:53
«2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솔루엠은 전날 이사회를 열어 보유한 자사주 118만9천315주(발행주식수의 2.43%)를 전 대표에게 처분하기로 결정했다.

처분단가는 주당 1만7천750원, 총처분 규모는 211억원이다.

솔루엠이 자사주를 소각하지 않고 전 대표에게 처분하자 주주가치를 훼손하면서 최대주주가 지배력을 강화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오는 6월 거래가 마무리되면 전 대표의 솔루엠 지분율은 14.60%에서 17.03%가 된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52274
16.04.202523:47
«대형 사모펀드(PEF) 운용사들은 작년에도 M&A 시장 침체 여파로 투자회수에 애를 먹었다. 2023년 좋은 성과를 냈던 일부 운용사는 수입이 수백억원 줄어들기도 했다. 대규모 성과보수를 챙기기 어려워진 가운데 부족한 살림 자금은 PEF에서 나오는 관리보수로 충당하는 경향이 짙어졌다. 올해도 경기회복 전망이 불투명한 터라 관리보수를 챙기기 위한 자금 조달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질 전망이다.

한 PEF 업계 관계자는 "경제가 침체하고 포트폴리오 기업들의 실적도 부진해지면서 성과보수로 큰 돈을 버는 사례는 찾기 어려워졌다"며 "불확실한 회수 성과에 목을 매느니 PEF 규모를 키워 안정적으로 관리보수를 챙기려는 경향이 더 강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https://www.invest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4/16/2025041680237.html
18.04.202508:44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8일 오후 이사회를 개최하고 한화에너지 등을 상대로 한 1조3천억원 규모의 제삼자 배정 유증을 결의했다.

한화에너지와 한화임팩트파트너스, 한화에너지싱가포르 등 3개 사도 곧바로 이사회를 열고 해당 유증 참여를 결정했다. 한화에너지가 1천236억원, 한화임팩트파트너스가 8천881억원, 한화에너지싱가포르가 2천883억원이다.

이는 앞서 3사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한화오션 지분을 넘기며 받은 금액과 동일하다. 실제 받은 만큼 그대로 돌려주겠다는 취지다.

이에 대해 한화그룹은 "1조3천억원의 매각대금이 한화에너지 대주주(한화그룹 김승연 회장의 세 아들)의 승계 자금으로 쓰이는 것 아니냐는 논란이 원천적으로 해소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화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52023
11.05.202523:47
«MBK파트너스가 롯데카드의 본격적인 공개매각 절차에 돌입했다. 홈플러스 기습 회생 사태로 MBK파트너스가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잠재 인수 후보인 금융지주들의 물밑 관심이 이어지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
MBK파트너스는 2019년 우리은행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롯데카드 지분 79.83%를 약 1조3800억원에 인수했다. 전체 기업가치는 약 1조7000억원으로 평가됐다. 이후 인수 3년 만인 2022년 첫 매각을 시도했지만 무산됐다. 롯데카드의 기업가치로 3조원 이상을 요구해 매수자가 나타나지 않은 것이다.

이번 재매각에선 매각 측의 눈높이가 2조원대까지 낮아진 것으로 알려졌다. 홈플러스 사태 등으로 국내외 출자자(LP)들의 우려가 커지면서 높은 가격에 투자금을 회수하기보다 적기에 매각을 완료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MBK파트너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29940
21.04.202505:22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가 21일 자본시장 활성화 간담회에 참석해 코스피 지수 5000을 강조하면서 개인 투자자 표심을 잡기 위한 행보를 보였다. 이 대표는 이사의 주주 충실 의무를 신설하는 상법 개정안을 재추진하겠다는 의지와 함께 주가순자산비율(PBR) 0.1배 등 저평가 기업에 대해선 적대적 인수합병(M&A) 등으로 시장에서 퇴출시켜야 한다는 등 강도 높은 발언을 이어갔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GRLVQ16W1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