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미래에셋증권 전략/퀀트 유명간] avatar

[미래에셋증권 전략/퀀트 유명간]

미래에셋증권 투자전략/퀀트 텔레그램
TGlist rating
0
0
TypePublic
Verification
Not verified
Trust
Not trusted
Location
LanguageOther
Channel creation dateOct 04, 2020
Added to TGlist
Sep 24, 2024

Records

07.04.202523:59
18.9KSubscribers
24.09.202423:59
0Citation index
30.10.202423:59
6.8KAverage views per post
05.04.202523:59
7.9KAverage views per ad post
25.09.202423:59
2.49%ER
30.10.202423:59
36.00%ERR

Popular posts [미래에셋증권 전략/퀀트 유명간]

27.03.202505:19
[미래에셋증권 유명간] 4월, 수급 + 실적= 그린라이트

*안녕하세요 유명간입니다. 4월 주식전략 보고서 공유드립니다.

*3/31 공매도 재개를 앞두고 외국인 순매수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3/17~3/26 외국인은 코스피를 3.0조원 순매수했습니다. 특히, 코스피 중형주나 코스닥이 아닌 코스피 대형주에 순매수가 집중됐습니다.

*과거 공매도 재개 사례에서 주가와 외국인 수급은 당시 매크로 환경이나 기업 실적에 동조화되는 모습이었습니다. 올해 상반기 기업 실적과 환율 수준을 감안하면 공매도 재개 이후에도 외국인 수급은 양호할 전망입니다.

*지난 3월 자료에서 말씀드린대로 외국인 수급 개선 시 주가 민감도가 크고, 밸류에이션 매력이 높은 대형주가 유리한 환경입니다.

*한편, 공매도 잔고 증가에 따른 시장 전체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전망입니다. 현재 코스피, 코스닥 공매도 잔고는 공매도 금지 전 대비 각각 8.3조원, 4.2조원 감소했는데, 공매도 재개 이후 공매도 잔고의 일평균 증가 규모는 코스피 약 400억원, 200억원으로 부담스러운 수준은 아닙니다(정상화 기간을 6~8개월로 가정).

*기업별로는 영향이 다를 수 있습니다. 최근 대차잔고비율이 상승 폭이 크고, 밸류에이션이 부담이 높은 기업은 공매도 재개 이후 주가 변동성 확대에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 코스피 대차잔고금액은 51조원으로 연초 36조원에서 15조원 증가했습니다(대차잔고비율 1.9%→2.4%). 코스닥 대차잔고금액은 11.7조원(+3조원), 대차잔고 비율은 3.2%(+0.6%p) 수준입니다.

*최근 1개월 간 대차잔고비율 상승률이 큰 업종은 2차전지(+1.6%p), 조선(+1.3%p), 철강(+0.9%p), 화학(+0.9%p), 상사/자본재(방산, +0.7%p), IT하드웨어(+0.7%p), 필수소비재(+0.7%p), 기계(+0.7%p) 업종입니다. 상대적으로 반도체, 자동차를 포함해 헬스케어, 미디어, 호텔/레저, 은행, 통신, 증권 등은 대차잔고가 크게 늘어나지 않았습니다(관련 기업은 본문 내 표1, 표2 참조)

*4월 초 삼성전자를 시작으로 1분기 실적 시즌이 개막합니다. 국내 기업들의 1분기~3분기 합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65조원→69조원→79조원으로 하반기로 갈수록 높아집니다. 1분기 실적이 컨센서스를 상회한다면 국내 증시의 긍정적인 흐름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

*1분기 실적은 예상보다 양호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물가, 환율, 금리의 방향성이 기업 마진에 우호적입니다. 또한, 국내 기업들은 하반기로 갈수록 실적 서프라이즈 비율이 떨어지는 계절성을 보이지만 1분기는 다른 분기에 비해 컨센서스에 대한 신뢰가 높습니다.

*최근 국내 기업들의 1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도 상향 조정 흐름입니다. 1분기 합산 영업이익은 1개월간 1.1% 상향 조정됐습니다. 유틸리티, 지주, ITHW, 화학, 정유, 조선, 화장품, 게임, 유통, 반도체의 1개월간 영업이익 변화율이 (+)입니다.

*한편, 코스피 상승 여부는 반도체 업종에 달려있다고 해도 무방합니다. 그런데 SK하이닉스와 달리 삼성전자의 이익모멘텀이 부진합니다(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1Q25 영업이익 변화율 각각 -2.6%, +3.0%).
*그러나 삼성전자의 실적 부진은 주가에 충분히 반영되어 있다고 판단됩니다. 우선 애널리스트들의 컨센서스 분포가 축소되는 흐름은 실적에 대한 불확실성이 낮아졌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실적보다 주가가 선행하는 반도체 업종의 특성을 감안할 필요가 있습니다.

*과거 공매도 금지 기간에는 밸류에이션이 높더라도 이익 성장이 기대되는 업종이나 기업들이 프리미엄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공매도 재개 이후에는 밸류에이션 지표의 중요성이 높아질 전망입니다.

*밸류에이션, 이익모멘텀 지표를 활용해 선호 업종을 선정했습니다. 밸류에이션 매력은 1) 3년 평균 PBR 대비 현재 PBR 수준, 2) 과거 3년 PBR-ROE 분포 기준의 적정 PBR 대비 현재 PBR 수준으로 계산했습니다. 이익모멘텀은 1) 1Q25 영업이익 변화율(1M), 2) 2025F ROE 변화 폭(1M)을 활용했습니다.

*4월 선호 업종은 반도체, ITHW, 자동차, 운송, 소프트웨어, 화장품/의류, 필수소비재입니다. 선호 업종 내에서 위와 같은 기준으로 관심 기업을 <표 4>에 선정했습니다.

▶ [주식전략] 4월, 수급 + 실적 = 그린라이트
https://han.gl/vopwF

▶ 대차잔고 관련 차트(업종, 기업)
https://han.gl/Qu0uP

*미래에셋증권 투자전략/퀀트
t.me/eqmirae

감사합니다.
14.04.202508:24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에서는 2주마다 애널리스트 회의록인 "Mirae Asset Minutes"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섹터 아이디어와 하우스 탑픽, 회의록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번 발간 자료 Top Stories는 1)태양광(한화솔루션), 2)조선(HD현대중공업), 3)IT하드웨어(삼성전기) 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Mirae Asset Minutes(2025년 7호, 4/14)
https://han.gl/nZm4k

*미래에셋증권 전략/퀀트
t.me/eqmirae

감사합니다.
19.04.202502:46
어제 발간한 Week ahead snapshot에서 큰 착오가 있었습니다. 다음주 실적 발표 예정기업을 다다음주로 착각해 혼란을 드렸습니다.

다음주 4/21~4/25 실적발표 예정인 기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LS ELECTRIC, 한화엔진(월), HD현대일렉트릭(화), LG이노텍, 삼성바이오로직스(수), SK하이닉스, 포스코퓨처엠, 현대제철, 현대차, POSCO홀딩스, HD한국조선해양, 한화솔루션, 삼성중공업, HD현대미포, HD현대중공업, LG디스플레이, KB금융(목), 기아, 삼성SDI, 현대모비스, 기업은행,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 효성중공업, HL만도(금)이 예정되어있습니다.

▶ 1Q25 실적 캘린더(4/18)
https://han.gl/UkOQU

*미래에셋증권 전략/퀀트
t.me/eqmirae

감사합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무역확장법 232조에 의거해 반도체, 의약품 관세 부과를 위한 조사를 개시

-해당 조사는 일반적으로 270일 정도가 소요. 조사가 마무리된 후 관세 부과 가능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는 트럼프 1기 당시 조사된 내용을 바탕으로 관세가 즉각적으로 부과

-구리와 목재(lumber)에 대해서는 232조 조사가 3월 10일부터 개시된 상태

-트럼프 행정부는 270일보다는 빠르게 마무리하겠다는 입장. 그러나 트럼프의 최근 발언과는 달리 반도체, 의약품 관세 부과까지는 시간이 다소 소요될 수 있음을 시사

-반도체 관련해서는 반도체, 반도체 장비 및 반도체를 활용하는 전자제품(derivative products)이 조사 대상

-의약품은 의약품(generic and non-generic), 의약 재료(API 등) 및 이를 활용하는 제품(derivative products)이 조사 대상
<상호 관세에 대한 각국 대응 정리>
07.04.202505:52
<상호 관세에 대한 각국 대응 정리 (4.6기준) >
-볼드체는 새로 업데이트된 내용
-텔레그램 링크: https://t.me/mirae_dm
19.04.202503:46
[미래에셋증권 전략/퀀트 유명간] 주간 이익동향(4월 4주차)

★ Summary ★


[글로벌] 실적 하향 조정 폭 확대. 미국/유럽/중국↓

[한국] 업종별 이익모멘텀 차별화. 유통/화학/방산/조선/반도체↑

■ 글로벌 이익동향(MSCI, 12MF EPS)

* 전세계 EPS 변화율(1M)
: -0.7%(DM: -0.7%, EM: -0.3%)

* 컨센서스 상향 국가(1M)
: 한국(+1.6%), 홍콩(+0.4%),

* 컨센서스 하향 국가(1M)
: 독일(-1.4%), 대만(-0.9%), 중국(-0.8%), 미국(-0.8%)

* 컨센서스 상향 업종(1M, DM+EM)
: 헬스케어(+0.1%), 금융(+0.1%)

* 컨센서스 하향 업종(1M, DM+EM)
: 에너지(-1.3%), 경기소비재(-1.0%), 필수소비재(-0.7%)

■ 국내 이익동향 및 밸류에이션

* 1Q25 영업이익 컨센서스 변화
: -0.7%(1W), -2.0%(1M)

* 2025년 영업이익 컨센서스 변화
: -0.6%(1W), -0.1%(1M)

* KOSPI 12M Fwd. PER, 12M Trail. PBR
: 8.6배, 0.84배

■ 국내 업종별 이익동향(25F 영업이익 1W 변화율)

▶컨센서스 상향 업종(1W): 유통(+1.2%), 화학(+0.9%), 방산(+0.4%), 반도체(+0.3%), 증권(+0.3%), 조선(+0.1%)

*컨센서스 상향 기업
: 이마트, 실리콘투, LG화학, 한솔케미칼, 유니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SK하이닉스, 한국금융지주, 키움증권, 한화오션, 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컨센서스 하향 업종(1W): 운송(-4.1%), 에너지(-3.8%), 철강(-2.0%), 호텔/레저(-1.3%), 자동차(-1.2%), SW(-0.8%), 유틸리티(-1.1%)

*컨센서스 하향 기업
: 대한항공, 티웨이항공, 진에어, CJ대한통운, SK이노베이션, S-Oil, POSCO홀딩스, 현대제철, 동국제강, 세아제강, GKL, 파라다이스, 강원랜드, 하나투어, 현대차, 기아, 한온시스템, HL만도, 에스엘, 현대위아, 한국전력, 롯데하이마트, BGF리테일, 한화시스템, 한미반도체, 솔브레인, 원익IPS, 피에스케이

■ Weekly Commentary
선진국, 신흥국의 실적 하향 조정 폭이 확대됐습니다(각각 -0.7%, -0.3%, 12MF EPS 1개월 변화율). 선진국 내 미국(-0.8%), 유럽(-0.8%) 모두 1% 가까이 하향 조정됐고, 신흥국 내 중국(-0.8%), 대만(-0.9%), 인도네시아(-1.3)% 모두 이익모멘텀이 부진했습니다. 상대적으로 한국과 홍콩의 이익모멘텀은 양호한 모습입니다. 업종별로도 대부분 하향 조정이 진행됐는데, 에너지, 경기소비재, 소재, 산업재, 필수소비재, IT의 하향 조정 폭이 컸습니다.

지난 1주일 간 국내 기업들의 이익모멘텀은 둔화됐습니다. 2025년, 1Q25 합산 영업이익 컨센서스 변화율(1W)는 각각 -0.6%, -0.7%를 기록했습니다. 실적이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들의 1분기 프리뷰 리포트들이 발간되면서 전체 영업이익 컨센서스가 하향 조정됐습니다. 업종별로는 이익모멘텀 차별화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운송, 정유, 철강, 2차전지, 호텔/레저, 자동차 업종의 실적 변화가 부진했습니다. 운송 업종 내 대한항공은 1분기 견조한 항공 수요에도 비용 부담으로 부진한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티웨이항공, 진에어의 이익전망치도 하향 조정됐습니다. CJ대한통운은 경기부진에 따른 택배물동량 감소 영향입니다. 상대적으로 HMM의 이익전망치가 양호한 모습입니다.

정유 업종의 SK이노베이션, S-Oil은 1주일 전 대비 25년 영업이익 전망치가 4,700억원, 1,600억원 하향 조정됐습니다. 1분기 부진한 실적이 전망됐고, 2분기 실적도 유가 하락에 따른 재고 관련 손실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철강(POSCO홀딩스, 현대제철, 세아제강, 동국제강)의 이익전망치 하향 조정도 지속되고 있습니다.

2차전지는 삼성SDI의 영업이익 전망치가 36% 하향 조정됐고, 호텔/레저 내 GKL, 하나투어의 실적 하향 조정 영향이 컸습니다. 패키지 송출객수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현대차, 기아는 긍정적인 환율에도 물량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국면이고, 관세 영향이 반영되면서 이익전망치가 하향 조정됐습니다. 한온시스템, HL만도, 에스엘, 현대위아 등 자동차 부품의 이익모멘텀도 둔화됐습니다.

상대적으로 유통, 화학, 반도체, 방산, 조선 업종의 실적 변화가 양호했습니다. 이마트는 1분기 무난한 실적과 구조조정 효과에 따라 올해 수익성 개선이 전망됐습니다. 실리콘투도 긍정적인 실적이 기대됐습니다. 화학 내에선 LG화학이, 반도체는 SK하이닉스(4/24 실적발표 예정)의 영업이익 전망치가 상향 조정됐습니다.

주도주라고 볼 수 있는 방산, 조선의 이익모멘텀도 개선됐습니다. 조선은 다음주 목요일에 1Q25 실적 발표가 집중 되어있습니다. 조선 내에선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의 이익모멘텀이 긍정적인 모습입니다. 방산(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은 4월 마지막주에 실적 발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관세 불확실성 완화되며 코스피, 코스닥은 한주간 +2.1%, 3.2% 상승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 일본, 인도, 영국, 호주를 최우선 협상국으로 지정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관세 부과를 최대한 지연시키는 것을 목표입니다. 미-중 간 갈등으로 변동성은 지속되겠지만 국내 증시는 상대적으로 이익모멘텀이 양호하고 밸류에이션 매력이 있습니다. 현재 코스피 12MF PER 8.6배, PBR(TTM) 0.84배 수준입니다.

다음주 기업들의 1Q25 실적 발표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이익 변화와 주가가 민감한 국면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다. 이익모멘텀이 긍정적인 업종, 종목이 유리한 선택입니다.

다음주(4/21~4/25)에는 LS ELECTRIC, 한화엔진(월), HD현대일렉트릭(화), LG이노텍, 삼성바이오로직스(수), SK하이닉스, 포스코퓨처엠, 현대제철, 현대차, POSCO홀딩스, HD한국조선해양, 한화솔루션, 삼성중공업, HD현대미포, HD현대중공업, LG디스플레이, KB금융(목), 기아, 삼성SDI, 현대모비스, 기업은행,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 효성중공업, HL만도(금)의 실적 발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아래 실적 캘린더 참고).

▶ Earnings Revision(4월 4주차)
https://han.gl/lrN3C

▶ 1Q25 실적발표 일정(4/18 Update)
https://han.gl/UkOQU

*미래에셋증권 전략/퀀트
t.me/eqmirae

편안한 주말 보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02.04.202521:28
상호관세 전체 리스트
27.03.202523:07
[3/28 (금), 미래에셋증권 퀀트 Daily] 기술적 지표를 활용한 과매수/과매도 기업

1. 과매수/과매도 기업 리스트

(과매수 업종: RSI 70↑)
반도체

(과매도 업종: RSI 30↓)
조선, 운송

(과매수 기업: RSI 70↑, B% 80↑)
에스엘, 삼성전자, 신한지주, 피에스케이, 키움증권, 웹젠, 넥센타이어, 에이피알, 덴티움, 데브시스터즈, 지누스, 하나마이크론 등

(과매도 기업: RSI 25↓, B% 20↓)
아모레퍼시픽, CJ CGV, F&F, 티웨이항공, HD현대건설기계, SK오션플랜트, OCI홀딩스, 대한항공, LIG넥스원, CJ대한통운, 팬오션, 한전기술, HD한국조선해양, LS ELECTRIC, 쎄트렉아이 등

2. 52주 신고가/낙폭과대 기업 리스트

(한국 52주 신고가)
에스엠, 인카금융서비스, 대진첨단소재, 코웨이, 미래에셋증권, 와이지엔터테인먼트, 파마리서치, 휴젤, 현대모비스, SNT모티브, 오리온, HL홀딩스, SNT홀딩스, 주성엔지니어링, 동원산업 등

(한국 낙폭과대)
코스모신소재, 더블유씨피, 씨앤씨인터내셔널, 고려아연, 넥스트칩 등

자세한 데이터는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퀀트 Daily (2025/3/28, 금요일)
https://han.gl/dJXqE (과매수/과매도)
https://han.gl/tZMW7 (신고가/낙폭과대)

*미래에셋증권 전략/퀀트
t.me/eqmirae

감사합니다.
03.04.202511:05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발언(4/3)

- 미 상호관세, 국내 정치 상황으로 인해 금융과 경기상황이 우리 예상보다 나빠지는 방향으로 가고 있어 경기를 부양할 필요가 있다

- 다만 경기를 부양하더라도 (가계부채 비율 축소)성과가 너무 악화되지 않도록 다짐할 필요가 있다

- 미 상호관세 강도는 예상보다 강하며, 조사국에서 미 상호관세 효과를 살펴보고 있다. 내일 (탄핵 선고) 결과를 합해 점검할 것

- 한국 경제가 금리 인하 사이클에 진입한 상황에서 구조개혁의 성과가 훼손되지 않도록 해야. 그동안 미루어 왔던 가계부채의 GDP 비율 하락 등 구조 개혁이 계속돼야

-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80% 밑으로 내려가도록 노력해야

- 부동산 금융의 큰틀이 바뀌어야 함. 현 제도 하에서 주택 수요는 줄기 어렵고 주택 가격이 떨어져야 줄어들텐데, 이는 수도권에서는 오랜 세월이 걸리는 일

- 거시적으로 보면 신혼부부와 저소득층 등을 (정책금융으로) 도와주는 것은 집값을 올리는 쪽으로 더 많이 작용. 당분간 부채 비율이 낮아질 때까지는 HUG 등 보증 제도가 공급자 중심으로, 주택 공급이 늘어나는 방향으로 전환해야

- 장기 성장률도 낮아지고 있어 통화정책을 설계하기 점점 어려워지고 있음
01.04.202500:04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에서는 2주마다 애널리스트 회의록인 "Mirae Asset Minutes"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섹터 아이디어와 하우스 탑픽, 회의록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번 발간 자료 Top Stories는 1)인터넷(네이버), 2)의료기기(파마리서치), 3)제약/바이오(삼성바이오로직스) 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Mirae Asset Minutes(2025년 6호, 3/31)
https://han.gl/gTBlY

*미래에셋증권 전략/퀀트
t.me/eqmirae

감사합니다.
29.03.202502:22
[미래에셋증권 전략/퀀트 유명간] 주간 이익동향(4월 1주차)

★ Summary ★


[글로벌] 이익모멘텀 둔화(유럽/미국). 시클리컬/경기소비재↓

[한국] 실적 변화 제한적. 유틸리티/화학/ITHW↑

■ 글로벌 이익동향(MSCI, 12MF EPS)

* 전세계 EPS 변화율(1M)
: -0.2%(DM: -0.1%, EM: -0.8%)

* 컨센서스 상향 국가(1M)
: 홍콩(+1.2%), 한국(+0.8%), 일본(+0.5%)

* 컨센서스 하향 국가(1M)
: 독일(-1.1%), 대만(-0.9%), 호주(-0.7%), 중국(-0.3%), 미국(-0.2%)

* 컨센서스 상향 업종(1M, DM+EM)
: 금융(+0.5%), IT(+0.3%)

* 컨센서스 하향 업종(1M, DM+EM)
: 에너지(-1.3%), 산업재(-1.3%), 소재(-0.9%), 경기소비재(-0.7%)

■ 국내 이익동향 및 밸류에이션

* 1Q25 영업이익 컨센서스 변화
: +0.0%(1W), +1.3%(1M)

* 2025년 영업이익 컨센서스 변화
: +0.1%(1W), +0.1%(1M)

* KOSPI 12M Fwd. PER, 12M Trail. PBR
: 8.9배, 0.89배

■ 국내 업종별 이익동향(1Q25 영업이익 1W 변화율)

▶컨센서스 상향 업종(1W): 유틸리티(+2.0%), 화학(+2.0%), ITHW(+1.3%), 2차전지(+0.2%), 조선/기계(+0.2%)

*컨센서스 상향 기업

: 한국전력, LG화학, 금호석유, LG이노텍, 이수페타시스, KH바텍,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HD현대미포, 한화엔진, 일진전기, LG에너지솔루션

▶컨센서스 하향 업종(1W): 철강(-1.5%), 미디어/엔터(-1.0%), 건설(-0.8%), 반도체(-0.7%), 의류(-0.2%)

*컨센서스 하향 기업
: 현대제철, POSCO홀딩스, JYP Ent., 하이브, 와이지엔터테인먼트, 현대건설, 삼성전자, 하나마이크론, 휠라홀딩스, 화승엔터프라이즈, HD현대마린솔루션, 효성중공업, LS ELECTRIC, 에코프로비엠

■ Weekly Commentary
선진국, 신흥국의 실적 둔화가 지속됐습니다(각각 -0.1%, -0.9%, 12MF EPS 1개월 변화율). 국가별로는 지난주와 유사한 모습입니다. 홍콩(+1.2%), 한국(+0.8%), 일본(+0.5%)의 이익모멘텀이 양호했습니다. 반면, 독일(-1.1%)의 하향 조정 폭이 컸고, 대만(-0.9%), 호주(-0.7%), 중국(-0.3%), 미국(-0.2%)도 부진했습니다. 업종별로는 금융, IT의 실적 변화율이 긍정적이었지만 경기소비재와 에너지, 산업재, 소재 등 시클리컬 섹터의 실적 하향 조정이 컸습니다.

국내 기업들의 2025년, 1Q25 합산 영업이익 컨센서스의 큰 변화는 없었습니다(각각 +0.1%, +0.0%, 1W). 4월부터 본격적으로 1분기 프리뷰 리포트들이 발간되면서 컨센서스의 변화가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1분기 합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63.9조원(+13%YoY) 수준입니다.

지난 1주일 간 유틸리티, 화학, ITHW, 2차전지, 조선 업종의 실적 변화가 양호했습니다. 한국전력은 발전연료단가 하락, 원전 이용률 상승으로 전력조달단가가 하락하면서 마진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화학 내에선 LG화학, 금호석유, ITHW 내에선 LG이노텍, 이수페타시스, KH바텍의 1Q25 영업이익이 상향 조정됐습니다. LG이노텍은 고객사의 고부가 제품 판매 확대와 환율 효과로 양호한 실적이 전망됐습니다. 2차전지 내에선 LG에너지솔루션을 제외하면 이익모멘텀 부진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HD현대미포, 한화엔진, 일진전기의 이익모멘텀이 양호했습니다.

반면, 철강, 미디어/엔터, 건설, 반도체, 의류 업종의 실적 하향 조정이 진행됐습니다. 현대제철은 파업 및 봉형강류 수요 부진 영향으로 1분기 영업이익이 12% 하향 됐습니다. 하반기 회복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엔터 업종의 JYP Ent., 하이브, 와이지엔터테인먼트의 이익모멘텀도 부진했습니다. 현대건설은 현대엔지니어링 사고로 인한 비용 발생으로 1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약 4% 하향 조정됐지만 25~27년 이익 증가가 전망됐습니다.

반도체는 삼성전자의 1Q25 영업이익이 -1.6% 하향 조정됐습니다. 이번주 하향 조정 리포트에서 5.1조원으로 제시됐습니다. 현재 1Q25 영업이익 3개월 컨센서스는 5.2조원, 1개월 컨센서스는 4.7조원으로 주가와 컨센서스에는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하나마이크론, 휠라홀딩스, 화승엔터프라이즈, HD현대마린솔루션, 효성중공업, LS ELECTRIC, 에코프로비엠의 실적이 하향 조정됐습니다.

다음주 월요일 공매도 재개(3/31)를 앞두고 주식 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는 모습입니다. 또한, 대차잔고가 크게 늘어났고, 밸류에이션 부담이 높은 기업은 공매도 재개 이후에도 주가 변동성 확대에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과거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공매도 재개 이후 외국인 수급이나 주가 흐름은 그 당시 매크로 상황이나 펀더멘탈과 동조화됐습니다. 1분기 실적 시즌에서 컨센서스 대비 양호한 실적이 확인된다면 시장 변동성은 완화될 수 있습니다.

과거 공매도 금지 기간에는 밸류에이션이 높더라도 이익 성장이 기대되는 업종이나 기업들이 프리미엄을 받았습니다. 쏠림도 많았습니다. 그러나 공매도 재개 이후에는 밸류에이션 지표의 중요성이 높아질 전망입니다.

▶ Earnings Revision(4월 1주차)
https://han.gl/U8v3U

▶ 4월 주식전략 보고서(3/27)
https://t.me/eqmirae/2102

*미래에셋증권 전략/퀀트
t.me/eqmirae

편안한 주말 보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4.04.202522:45
[4/15 (화), 미래에셋증권 퀀트 Daily] 실적 컨센서스 변화 및 속도로 본 이익모멘텀

(상향 전환)
HD현대미포, HK이노엔, 현대지에프홀딩스

(상향 가속)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오션, 크래프톤, LG화학, 포스코퓨처엠, 휴젤, CJ, 금호석유, 롯데케미칼, 에스엠, 이마트, 대웅제약, 현대백화점, 유니드, KH바텍

(상향 둔화)
SK하이닉스, 삼성바이오로직스, 한국전력, 현대로템, 삼성전기, 한화시스템, 삼양식품, LS ELECTRIC, 삼성증권, JB금융지주, 한화, 에이피알, 제일기획, 롯데쇼핑, 풍산, 와이지엔터테인먼트, 더블유게임즈, 빙그레, 넥스틴, 스카이라이프

(하향 전환)
SK가스, HDC현대산업개발, HD현대건설기계, 대덕전자, 해성디에스, LX하우시스

(하향 가속)
POSCO홀딩스, SK이노베이션, 삼성SDI, SK, S-Oil, 엔씨소프트, 현대제철, 엘앤에프, 한온시스템, 휠라홀딩스, JYP Ent., 영원무역, 한올바이오파마, CJ ENM, GS리테일, 현대위아, 카카오게임즈, 위메이드, 롯데칠성, 한샘, 에코마케팅

(하향 둔화)
셀트리온, 신세계

자세한 데이터는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퀀트 Daily (2025/4/15, 화요일)
https://han.gl/NVhAP

*미래에셋증권 전략/퀀트
t.me/eqmirae

감사합니다.
31.03.202522:50
[4/1 (화), 미래에셋증권 퀀트 Daily] 실적 컨센서스 변화 및 속도로 본 이익모멘텀

(상향 전환)
두산, HDC현대산업개발

(상향 가속)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오션, 크래프톤, 한국전력, LG전자, 현대로템, 삼양식품, 에이피알, 에스엠, 이수페타시스, 현대백화점, 빙그레, 유니드

(상향 둔화)
SK하이닉스, NAVER, HD현대중공업, KT, 포스코인터내셔널, 대한항공, 한화시스템, LG생활건강, 오리온, LG이노텍, 클래시스, 금호석유, 한화, 코스맥스, 씨에스윈드, 와이지엔터테인먼트, 파라다이스, 풀무원, CJ프레시웨이

(하향 전환)
현대제철

(하향 가속)
SK이노베이션, 삼성SDI, 휠라홀딩스, JYP Ent., 주성엔지니어링, 한올바이오파마, 녹십자,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한샘, 롯데정밀화학, GKL, 컴투스, 인텔리안테크, 에코마케팅

(하향 둔화)
삼성전자, 셀트리온, LG화학, 에코프로비엠, 포스코퓨처엠, 한화솔루션, 롯데케미칼, 농심, 대웅제약

자세한 데이터는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퀀트 Daily (2025/4/1, 화요일)
https://han.gl/F75sw

*미래에셋증권 전략/퀀트
t.me/eqmirae

감사합니다.
28.03.202504:24
[Week Ahead Snapshot]
다음 주 주목할 금융시장 이슈(3/31~4/4)

팀 위클리 공유드립니다. 다음 주에 주목할 이슈와 연준인사 발언 등 다양한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Week Ahead(3/31~4/4)
https://han.gl/iM3JE

*미래에셋증권 전략/퀀트
t.me/eqmirae

감사합니다.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