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3b3313a4-3d84-4983-93e3-8104cbb0d743.jpg%3Fw%3D240%26h%3D240&w=640&q=75)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TGlist rating
0
0
TypePublic
Verification
Not verifiedTrust
Not trustedLocation
LanguageOther
Channel creation dateFeb 12, 2018
Added to TGlist
Sep 10, 2024Latest posts in group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17.04.202521:59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Apr 18 2025)
● Daily News Clipping
▶ TSMC, 미국 관세 불확실성에도 AI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견고한 수요로부터 낙관적인 전망 제시 (Reuters) < https://vo.la/YYNRFR >
▶ 젠슨 황, 중국은 엔비디아에게 중요한 시장이며 중국과 계속 협력하기를 바란다고 언급 (Reuters) < https://vo.la/szgBR >
▶ 화웨이, 미국 엔비디아 H20 수출 금지 하루 만에 차세대 신규 AI 칩 Ascend 920 공개 (Digitimes) < https://vo.la/uayYtu >
▶ "엔비디아 H20 中 수출 통제로 웃는 건 화웨이" (조선일보) < https://vo.la/RZTten >
▶ 인텔, 가우디와 같은 하이엔드 AI 가속기에 대한 미국 수출 규제에 직면. 엔비디아와 AMD도 해당 규제에 영향 (Trendforce) < https://vo.la/bqZNTU >
▶ AMD, 트럼프 행정부의 수출 규제로 8억달러 규모의 비용을 부담해야 할 것으로 예상 (Digitimes) < https://vo.la/NAmlDu >
▶ 딥시크 돌풍 비결은…"더 큰 AI보다는 더 오래 생각하는 AI" (Zdnet) < https://vo.la/ZLoolP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 Daily News Clipping
▶ TSMC, 미국 관세 불확실성에도 AI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견고한 수요로부터 낙관적인 전망 제시 (Reuters) < https://vo.la/YYNRFR >
▶ 젠슨 황, 중국은 엔비디아에게 중요한 시장이며 중국과 계속 협력하기를 바란다고 언급 (Reuters) < https://vo.la/szgBR >
▶ 화웨이, 미국 엔비디아 H20 수출 금지 하루 만에 차세대 신규 AI 칩 Ascend 920 공개 (Digitimes) < https://vo.la/uayYtu >
▶ "엔비디아 H20 中 수출 통제로 웃는 건 화웨이" (조선일보) < https://vo.la/RZTten >
▶ 인텔, 가우디와 같은 하이엔드 AI 가속기에 대한 미국 수출 규제에 직면. 엔비디아와 AMD도 해당 규제에 영향 (Trendforce) < https://vo.la/bqZNTU >
▶ AMD, 트럼프 행정부의 수출 규제로 8억달러 규모의 비용을 부담해야 할 것으로 예상 (Digitimes) < https://vo.la/NAmlDu >
▶ 딥시크 돌풍 비결은…"더 큰 AI보다는 더 오래 생각하는 AI" (Zdnet) < https://vo.la/ZLoolP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17.04.202506:20
[한투증권 문승환] TSMC 1Q25 실적 Quick Comment
▶ 1Q25 실적
※ 매출액: 255억달러 (부합 vs 컨센서스 257억달러) -5.1% QoQ / +35.3% YoY
※ GPM: 58.8% (0.7%p 상회 vs 컨센서스 58.1%) -0.2%p QoQ / +5.7%p YoY
※ OPM 48.5% -0.5%p QoQ / +6.5%p YoY
▶ 공정별 매출 비중
※ 3nm: 22% (-4%p QoQ)
※ 5nm: 36% (+2%p QoQ)
※ 7nm: 15% (+1%p QoQ)
-7nm 이하 선단 공정 비중은 73%(-1%p QoQ)
▶ 응용처별 매출 비중 및 매출액 성장률
※ HPC: 59% (+7% QoQ)
※ Smartphone: 28% (-22% QoQ)
※ IoT: 5% (-9% QoQ)
※ Automotive: 5% (+14% QoQ)
※ DCE: 1% (+8% QoQ)
※ Others: 2% (+20% QoQ)
▶ 지역별 매출
※ 북미: 77% (+2%p QoQ)
※ 중국: 7% (-2%p QoQ)
※ 아시아태평양: 9% (+0%p QoQ)
※ 일본: 4% (+0%p QoQ)
※ EMEA: 3% (+0%p QoQ)
▶ 2Q25 가이던스
※ 매출액 284~292억달러(중간값 5.7% 상회 vs 컨센서스 271억달러)
※ GPM 57~59%(컨센서스 58.2%)
※ OPM 47~49%(컨센서스 47.9%)
실적발표 자료: https://bit.ly/4lAQqBM
▶ 1Q25 실적
※ 매출액: 255억달러 (부합 vs 컨센서스 257억달러) -5.1% QoQ / +35.3% YoY
※ GPM: 58.8% (0.7%p 상회 vs 컨센서스 58.1%) -0.2%p QoQ / +5.7%p YoY
※ OPM 48.5% -0.5%p QoQ / +6.5%p YoY
▶ 공정별 매출 비중
※ 3nm: 22% (-4%p QoQ)
※ 5nm: 36% (+2%p QoQ)
※ 7nm: 15% (+1%p QoQ)
-7nm 이하 선단 공정 비중은 73%(-1%p QoQ)
▶ 응용처별 매출 비중 및 매출액 성장률
※ HPC: 59% (+7% QoQ)
※ Smartphone: 28% (-22% QoQ)
※ IoT: 5% (-9% QoQ)
※ Automotive: 5% (+14% QoQ)
※ DCE: 1% (+8% QoQ)
※ Others: 2% (+20% QoQ)
▶ 지역별 매출
※ 북미: 77% (+2%p QoQ)
※ 중국: 7% (-2%p QoQ)
※ 아시아태평양: 9% (+0%p QoQ)
※ 일본: 4% (+0%p QoQ)
※ EMEA: 3% (+0%p QoQ)
▶ 2Q25 가이던스
※ 매출액 284~292억달러(중간값 5.7% 상회 vs 컨센서스 271억달러)
※ GPM 57~59%(컨센서스 58.2%)
※ OPM 47~49%(컨센서스 47.9%)
실적발표 자료: https://bit.ly/4lAQqBM
17.04.202505:49
16.04.202523:31
https://www.reuters.com/technology/intel-will-need-license-export-ai-chips-chinese-clients-ft-reports-2025-04-16/
인텔 대중 수출 제한은 AI칩 한정인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인텔 가우디 칩은 24년도 기준 내부 매출 목표 5백만달러를 달성하지 못했습니다. 시장 점유율은 1% 미만으로 실제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입니다.
인텔 대중 수출 제한은 AI칩 한정인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인텔 가우디 칩은 24년도 기준 내부 매출 목표 5백만달러를 달성하지 못했습니다. 시장 점유율은 1% 미만으로 실제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입니다.
16.04.202522:03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Apr 17 2025)
● Daily News Clipping
▶ Trendforce,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해 주간 디램 매수세 감소. 낸드 플래시는 관세 부과 유예 이후에 거래 재개 (Trendforce) < https://vo.la/PgTRVv >
▶ 화웨이, 미국의 금지 조치 이후에도 TSMC로부터 대량으로 칩을 조달하고 있어 미국 수출 통제 효과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 (wccftech) < https://vo.la/yVcJIq >
▶ TSMC, 미국 애리조나 팹의 높은 비용으로 인해 가격 인상 30% 계획 (Digitimes) < https://vo.la/QTsSgW >
▶ 중국, 희토류 수출 제한 및 고순도 실리콘 개발을 발표하며 미국과의 무역 전쟁에 대응 (Digitimes) < https://vo.la/VYFyPp >
▶ 美 마이크론, HBM용 '플럭스리스 본딩' 도입 준비…TC본더 업계 격돌 예고 (Zdnet) < https://vo.la/syGRaK >
▶ 주성엔지니어링 “금속 박막 형성 난제, 원자층증착이 해법” (전자신문) < https://vo.la/uZeMnE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 Daily News Clipping
▶ Trendforce,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해 주간 디램 매수세 감소. 낸드 플래시는 관세 부과 유예 이후에 거래 재개 (Trendforce) < https://vo.la/PgTRVv >
▶ 화웨이, 미국의 금지 조치 이후에도 TSMC로부터 대량으로 칩을 조달하고 있어 미국 수출 통제 효과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 (wccftech) < https://vo.la/yVcJIq >
▶ TSMC, 미국 애리조나 팹의 높은 비용으로 인해 가격 인상 30% 계획 (Digitimes) < https://vo.la/QTsSgW >
▶ 중국, 희토류 수출 제한 및 고순도 실리콘 개발을 발표하며 미국과의 무역 전쟁에 대응 (Digitimes) < https://vo.la/VYFyPp >
▶ 美 마이크론, HBM용 '플럭스리스 본딩' 도입 준비…TC본더 업계 격돌 예고 (Zdnet) < https://vo.la/syGRaK >
▶ 주성엔지니어링 “금속 박막 형성 난제, 원자층증착이 해법” (전자신문) < https://vo.la/uZeMnE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15.04.202522:48
https://www.reuters.com/technology/nvidia-expects-up-55-billion-charge-first-quarter-2025-04-15/?utm_source=chatgpt.com
삼성전자는 아직 H20용으로 HBM 판매가 없고, SK하이닉스는 H20용 HBM3e 3월 추가 판매 완료해 엔비디아처럼 재고 손실처리 등의 비용 반영은 없을 것입니다.
SK하이닉스는 1분기부터 12Hi 위주로 엔비디아에 판매하고 있고, H20은 기존 계획 대비 추가된 물량이므로 H20 제재로 인한 연간 HBM 계획 변동 및 실적 추정치 변경은 없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다만 해당 이슈로 엔비디아가 시간외 6% 하락 중이기 때문에 국내 반도체주 투자 심리가 좋을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삼성전자는 아직 H20용으로 HBM 판매가 없고, SK하이닉스는 H20용 HBM3e 3월 추가 판매 완료해 엔비디아처럼 재고 손실처리 등의 비용 반영은 없을 것입니다.
SK하이닉스는 1분기부터 12Hi 위주로 엔비디아에 판매하고 있고, H20은 기존 계획 대비 추가된 물량이므로 H20 제재로 인한 연간 HBM 계획 변동 및 실적 추정치 변경은 없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다만 해당 이슈로 엔비디아가 시간외 6% 하락 중이기 때문에 국내 반도체주 투자 심리가 좋을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15.04.202521:59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Apr 16 2025)
● Daily News Clipping
▶ AMD, 미국 내 생산을 두배로 증가시킬 것. AMD 최신 칩은 TSMC 애리조나 팹에서 생산될 예정 (Trendforce) < https://vo.la/RZUDFH >
▶ 인텔, Altera 지분 51%를 사모펀드인 Siver Lake에 44.6억달러로 매각 (Trendforce) < https://vo.la/XagLuk >
▶ SK하이닉스 HBM3E, 엔비디아 HGX B200 탑재 확인 (Techworld) < https://vo.la/xFwdzz >
▶ 난야, 10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 1b 공정으로의 전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2분기 말에는 긍정적인 효과를 낼 것으로 예상 (Digitimes) < https://vo.la/doKkwJ >
▶ 마이크론, HBM3E 12단 엔비디아 퀄테스트 통과. 곧 출시될 엔비디아 GB300에 메모리를 공급할 것 (Digitimes) < https://vo.la/iGvbX >
▶ 美어플라이드, 네덜란드 베시 최대주주로… 하이브리드본딩 시장 대비 (디일렉) < https://vo.la/wkQmhH >
▶ 램리서치, 베벨 에처 특허 1건 정정 실패...PSK와 특허분쟁 '빨간불' (디일렉) < https://vo.la/XVWCYt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 Daily News Clipping
▶ AMD, 미국 내 생산을 두배로 증가시킬 것. AMD 최신 칩은 TSMC 애리조나 팹에서 생산될 예정 (Trendforce) < https://vo.la/RZUDFH >
▶ 인텔, Altera 지분 51%를 사모펀드인 Siver Lake에 44.6억달러로 매각 (Trendforce) < https://vo.la/XagLuk >
▶ SK하이닉스 HBM3E, 엔비디아 HGX B200 탑재 확인 (Techworld) < https://vo.la/xFwdzz >
▶ 난야, 10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 1b 공정으로의 전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2분기 말에는 긍정적인 효과를 낼 것으로 예상 (Digitimes) < https://vo.la/doKkwJ >
▶ 마이크론, HBM3E 12단 엔비디아 퀄테스트 통과. 곧 출시될 엔비디아 GB300에 메모리를 공급할 것 (Digitimes) < https://vo.la/iGvbX >
▶ 美어플라이드, 네덜란드 베시 최대주주로… 하이브리드본딩 시장 대비 (디일렉) < https://vo.la/wkQmhH >
▶ 램리서치, 베벨 에처 특허 1건 정정 실패...PSK와 특허분쟁 '빨간불' (디일렉) < https://vo.la/XVWCYt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15.04.202508:52
[한투증권 조수헌] 테크윙 1Q25 잠정실적 코멘트
▶ 1Q25 실적
※ 매출액: 346억원 (vs. 당사 추정치 393억원) -27% QoQ / -14% YoY
※ 영업이익: 18억원 (vs. 당사 추정치 31억원) -60% QoQ / -68% YoY
※ 매출액, 영업이익 모두 당사 추정치를 각각 12%, 43% 하회
▶ 실적 코멘트
※ 본업인 메모리/SoC 핸들러 수주가 예상보다 더 부진
※ COK, 인터페이스 보드 등 부품 매출은 QoQ 증가
▶ 큐브 프로버 코멘트
※ 큐브 프로버 매출인식 시작. 지금까지 첫번째 고객사향 수주했던 물량 중 일부분만 먼저 인식
※ 나머지 부분은 2분기부터 본격적으로 인식될 에정
※ 현재 두번째 고객사향 퀄 테스트 진행중
※ 두번째 고객사향 PO 수주 인식은 2분기말 일부, 3분기부터 본격적으로 반영될 것으로 전망
▶ 1Q25 실적
※ 매출액: 346억원 (vs. 당사 추정치 393억원) -27% QoQ / -14% YoY
※ 영업이익: 18억원 (vs. 당사 추정치 31억원) -60% QoQ / -68% YoY
※ 매출액, 영업이익 모두 당사 추정치를 각각 12%, 43% 하회
▶ 실적 코멘트
※ 본업인 메모리/SoC 핸들러 수주가 예상보다 더 부진
※ COK, 인터페이스 보드 등 부품 매출은 QoQ 증가
▶ 큐브 프로버 코멘트
※ 큐브 프로버 매출인식 시작. 지금까지 첫번째 고객사향 수주했던 물량 중 일부분만 먼저 인식
※ 나머지 부분은 2분기부터 본격적으로 인식될 에정
※ 현재 두번째 고객사향 퀄 테스트 진행중
※ 두번째 고객사향 PO 수주 인식은 2분기말 일부, 3분기부터 본격적으로 반영될 것으로 전망
14.04.202522:32
[한투증권 조수헌] 넥스틴(348210): HBM 밸류체인 진입 성공
● HBM 검사장비 크로키 첫 PO 수주
- 지난 4월 13일(일) 언론을 통해 크로키 첫 PO 수주를 발표. 실제 PO는 4월 11일(금)에 수주한 것으로 확인
- 관련 수주 물량은 4월 15~17일사이 고객사에 납품 예정(고객사 납품 시 매출 인식)
- 납품 대수는 첫 PO인 만큼 수량은 적지만 4월 안으로 2차 추가 PO 수주 전망
- 2차 PO 수주 형식은 연간 물량 일괄 수주 혹은 매월 2~3대 부분 수주 방식
- 연간 납품 대수 가이던스는 기존 10대에서 15~17까지 상향 조정
- 당사는 1분기 Preview 자료를 통해 연간 15대로 추정(https://vo.la/KzglkX)
●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필요
- 그동안 높은 중국향 매출 비중(2024년 88%) 및 단일 장비(BF장비, 이지스) 의존은 밸류에이션 디스카운트 요인으로 작용
- 2025년 중국향 매출 비중은 63%까지 하락할 전망. 크로키(HBM), IRIS(낸드) 검사장비 납품으로 장비 다변화에도 성공
- 특히 하반기 ResQ(정전기 제거 장비) 및 BF 검사장비 출시로 product mix는 한 층 더 다변화될 것
- 현재 주가는 12MF PER 10.5배로 밴드 하단에 근접
- Peer 업체인 Camtek, Onto, KLA가 받은 멀티플이 30~40배인 점을 감안하면 저평가 판단
본문: https://vo.la/jtHdp
● HBM 검사장비 크로키 첫 PO 수주
- 지난 4월 13일(일) 언론을 통해 크로키 첫 PO 수주를 발표. 실제 PO는 4월 11일(금)에 수주한 것으로 확인
- 관련 수주 물량은 4월 15~17일사이 고객사에 납품 예정(고객사 납품 시 매출 인식)
- 납품 대수는 첫 PO인 만큼 수량은 적지만 4월 안으로 2차 추가 PO 수주 전망
- 2차 PO 수주 형식은 연간 물량 일괄 수주 혹은 매월 2~3대 부분 수주 방식
- 연간 납품 대수 가이던스는 기존 10대에서 15~17까지 상향 조정
- 당사는 1분기 Preview 자료를 통해 연간 15대로 추정(https://vo.la/KzglkX)
●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필요
- 그동안 높은 중국향 매출 비중(2024년 88%) 및 단일 장비(BF장비, 이지스) 의존은 밸류에이션 디스카운트 요인으로 작용
- 2025년 중국향 매출 비중은 63%까지 하락할 전망. 크로키(HBM), IRIS(낸드) 검사장비 납품으로 장비 다변화에도 성공
- 특히 하반기 ResQ(정전기 제거 장비) 및 BF 검사장비 출시로 product mix는 한 층 더 다변화될 것
- 현재 주가는 12MF PER 10.5배로 밴드 하단에 근접
- Peer 업체인 Camtek, Onto, KLA가 받은 멀티플이 30~40배인 점을 감안하면 저평가 판단
본문: https://vo.la/jtHdp
14.04.202521:57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Apr 15 2025)
● Daily News Clipping
▶ 엔비디아, 4년 내 5,000억달러 규모의 ai 서버 생산 시설을 미국에 구축 (Reuters) < https://vo.la/pxjbmK >
▶ 트럼프, 다음주에 수입 반도체에 대한 관세율을 발표할 것. 섹터 내 몇몇 기업들에게 유연성을가질 것이라 언급 (Reuters) < https://vo.la/fnnwUw >
▶ 트럼프 반도체 관세 부과의 세가지 시나리오 (Trendforce) < https://vo.la/qRClyM >
▶ 美 반도체 추가 관세 '초읽기'...年 23조원 수출 타격 (Zdnet) < https://vo.la/WaYEln >
▶ 중국의 새로운 원산지 규정으로 퀄컴과 AMD가 수혜를 입을 수 있음. 주로 TSMC에 생산을 아웃소싱하기 때문. 역으로 미국 내에서 생산하는 인텔, TI 등의 기업은 타격을 받을 것 (Trendforce) < https://vo.la/DvWKrH >
▶ TSMC·마이크론은 치고 나가는데…삼성·SK 반도체 투자는 '뒷걸음' (전자신문) < https://vo.la/SpNaaMw >
▶ 중국 내 AI 수요는 관세 영향을 능가. 딥시크 이후 GPU 조달 증가가 나타났으며, 2분기까지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 (Digitimes) < https://vo.la/rGOSTG >
▶ 바이든과 트럼프 행정부는 2024년부터 2025년까지 중국을 대상으로 네 차례의 신규 관세 부과. 관세가 계속 쌓이면서 중국산 전기차는 최대 245%의 관세가 부과되고 있음 (Digitimes) < https://vo.la/NWIXPW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 Daily News Clipping
▶ 엔비디아, 4년 내 5,000억달러 규모의 ai 서버 생산 시설을 미국에 구축 (Reuters) < https://vo.la/pxjbmK >
▶ 트럼프, 다음주에 수입 반도체에 대한 관세율을 발표할 것. 섹터 내 몇몇 기업들에게 유연성을가질 것이라 언급 (Reuters) < https://vo.la/fnnwUw >
▶ 트럼프 반도체 관세 부과의 세가지 시나리오 (Trendforce) < https://vo.la/qRClyM >
▶ 美 반도체 추가 관세 '초읽기'...年 23조원 수출 타격 (Zdnet) < https://vo.la/WaYEln >
▶ 중국의 새로운 원산지 규정으로 퀄컴과 AMD가 수혜를 입을 수 있음. 주로 TSMC에 생산을 아웃소싱하기 때문. 역으로 미국 내에서 생산하는 인텔, TI 등의 기업은 타격을 받을 것 (Trendforce) < https://vo.la/DvWKrH >
▶ TSMC·마이크론은 치고 나가는데…삼성·SK 반도체 투자는 '뒷걸음' (전자신문) < https://vo.la/SpNaaMw >
▶ 중국 내 AI 수요는 관세 영향을 능가. 딥시크 이후 GPU 조달 증가가 나타났으며, 2분기까지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 (Digitimes) < https://vo.la/rGOSTG >
▶ 바이든과 트럼프 행정부는 2024년부터 2025년까지 중국을 대상으로 네 차례의 신규 관세 부과. 관세가 계속 쌓이면서 중국산 전기차는 최대 245%의 관세가 부과되고 있음 (Digitimes) < https://vo.la/NWIXPW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13.04.202522:09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Apr 14 2025)
● Daily News Clipping
▶ 美상무 "반도체 관세 한 달 내, 의약품은 한두 달 내 발표" (한국경제) < https://vo.la/kUrqjE >
▶ 트럼프, 면제된 전자제품에 별도 관세 부과할 것 (Rueters) < https://vo.la/WJhGRx >
▶ 트럼프발 관세 폭탄에 반도체 장비 업계 부담 전가될까 전전긍긍 (디일렉) < https://vo.la/LCuGrq >
▶ SK하이닉스, 올 설비투자액 30% 늘린다 (디일렉) < https://vo.la/ClglgM >
▶ SK하이닉스, 인텔 낸드 인수 완료에도 '제2공장' 투자 장고 (Zdnet) < https://vo.la/UVJIEX >
▶ SK하이닉스, 넥스틴에 HBM3E 검사장비 양산 발주…수율 확보 주력 (Zdnet) < https://vo.la/dDhOlJ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 Daily News Clipping
▶ 美상무 "반도체 관세 한 달 내, 의약품은 한두 달 내 발표" (한국경제) < https://vo.la/kUrqjE >
▶ 트럼프, 면제된 전자제품에 별도 관세 부과할 것 (Rueters) < https://vo.la/WJhGRx >
▶ 트럼프발 관세 폭탄에 반도체 장비 업계 부담 전가될까 전전긍긍 (디일렉) < https://vo.la/LCuGrq >
▶ SK하이닉스, 올 설비투자액 30% 늘린다 (디일렉) < https://vo.la/ClglgM >
▶ SK하이닉스, 인텔 낸드 인수 완료에도 '제2공장' 투자 장고 (Zdnet) < https://vo.la/UVJIEX >
▶ SK하이닉스, 넥스틴에 HBM3E 검사장비 양산 발주…수율 확보 주력 (Zdnet) < https://vo.la/dDhOlJ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13.04.202513:44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118629?sid=104
월요일에 구체적으로 발표한다더니 아직 생각해둔 게 없나 보군요.
월요일에 구체적으로 발표한다더니 아직 생각해둔 게 없나 보군요.
13.04.202501:00
2025년 4월 5일부터 미국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 적용에서 제외된 품목들의 미국 통일관세표(HTSUS) 코드와 해당 품목명입니다. 기존 무역확장법 232조 기반 면제 대상에서는 제외됐던 디램 모듈과 SSD도 포함돼, 사실상 메모리 반도체는 현 시점으로는 모두 상호관세 면제 대상입니다.
HTSUS 코드 품목명
8471 자동자료처리기기(컴퓨터) 및 그 유닛(노트북, 데스크탑, 서버 등)
8473.30 자동자료처리기기의 부품 및 액세서리(메인보드, 메모리 모듈 등)
8486 반도체 및 전자집적회로 제조용 기계 및 장치
8517.13.00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기타 무선 네트워크용 전화기(스마트폰 등)
8517.62.00 음성, 이미지 또는 데이터의 수신, 변환 및 전송용 기기(모뎀, 라우터 등)
8523.51.00 반도체 미디어(USB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카드 등)
8524 오디오, 비디오 또는 소프트웨어 콘텐츠가 기록된 미디어(CD, DVD 등)
8528.52.00 자동자료처리기기와 직접 연결 가능한 모니터 및 프로젝터(컴퓨터 모니터 등)
8541.10.00 다이오드(광감응성 또는 발광 다이오드 제외)
8541.21.00 트랜지스터(광감응성 제외, 소비전력 1W 미만)
8541.29.00 트랜지스터(광감응성 제외, 소비전력 1W 이상)
8541.30.00 사이리스터, 다이악, 트라이악 등 전류 제어용 반도체 장치
8541.49.10 광감응성 다이오드(포토다이오드)
8541.49.70 광감응성 트랜지스터(포토트랜지스터)
8541.49.80 기타 광감응성 반도체 장치(광전지 제외)
8541.49.95 기타 광감응성 반도체 장치(기타 분류되지 않은 것)
8541.51.00 발광 다이오드(LED)
8541.59.00 기타 반도체 장치(광감응성 및 LED 제외)
8541.90.00 반도체 장치 및 기타 전자 반도체 부품의 부품
8542 전자집적회로(IC)(프로세서, 메모리 칩, 마이크로칩 등)
HTSUS 코드 품목명
8471 자동자료처리기기(컴퓨터) 및 그 유닛(노트북, 데스크탑, 서버 등)
8473.30 자동자료처리기기의 부품 및 액세서리(메인보드, 메모리 모듈 등)
8486 반도체 및 전자집적회로 제조용 기계 및 장치
8517.13.00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기타 무선 네트워크용 전화기(스마트폰 등)
8517.62.00 음성, 이미지 또는 데이터의 수신, 변환 및 전송용 기기(모뎀, 라우터 등)
8523.51.00 반도체 미디어(USB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카드 등)
8524 오디오, 비디오 또는 소프트웨어 콘텐츠가 기록된 미디어(CD, DVD 등)
8528.52.00 자동자료처리기기와 직접 연결 가능한 모니터 및 프로젝터(컴퓨터 모니터 등)
8541.10.00 다이오드(광감응성 또는 발광 다이오드 제외)
8541.21.00 트랜지스터(광감응성 제외, 소비전력 1W 미만)
8541.29.00 트랜지스터(광감응성 제외, 소비전력 1W 이상)
8541.30.00 사이리스터, 다이악, 트라이악 등 전류 제어용 반도체 장치
8541.49.10 광감응성 다이오드(포토다이오드)
8541.49.70 광감응성 트랜지스터(포토트랜지스터)
8541.49.80 기타 광감응성 반도체 장치(광전지 제외)
8541.49.95 기타 광감응성 반도체 장치(기타 분류되지 않은 것)
8541.51.00 발광 다이오드(LED)
8541.59.00 기타 반도체 장치(광감응성 및 LED 제외)
8541.90.00 반도체 장치 및 기타 전자 반도체 부품의 부품
8542 전자집적회로(IC)(프로세서, 메모리 칩, 마이크로칩 등)
13.04.202500:49
https://content.govdelivery.com/bulletins/gd/USDHSCBP-3db9e55?wgt_ref=USDHSCBP_WIDGET_2
위 기사에서 언급한 관세국경보호국(CBP)에 올라온 규정 원문입니다.
위 기사에서 언급한 관세국경보호국(CBP)에 올라온 규정 원문입니다.


Records
17.04.202509:51
9.5KSubscribers22.03.202523:59
400Citation index11.04.202518:32
22KAverage views per post24.09.202423:59
14.8KAverage views per ad post22.10.202423:59
3.27%ER12.04.202500:06
232.17%ERRGrowth
Subscribers
Citation index
Avg views per post
Avg views per ad post
ER
ERR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