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기주식회 공부방
평범한 직장인 투자자의 조기은퇴 도전기
by 벤저민규, 리아멍거, 학봉이, 성공을바라본다
by 벤저민규, 리아멍거, 학봉이, 성공을바라본다
TGlist rating
0
0
TypePublic
Verification
Not verifiedTrust
Not trustedLocation
LanguageOther
Channel creation dateApr 22, 2023
Added to TGlist
Sep 09, 2024Latest posts in group "조기주식회 공부방"
04.05.202504:18
결국 AI 는 안보 경쟁으로 귀결된다
Reposted from:
한화투자 중국/신흥국 정정영

04.05.202504:16
~ 중국이 최첨단 전투기 개발에 자국산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하고 있다. 선양 항공기 설계 연구소의 수석 디자이너 왕 융칭은 전투기 기술 개발에 딥시크(DeepSeek) AI 플랫폼을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고 4일(현지시각) 홍콩에서 발행되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http://m.g-enews.com/view.php?ud=2025050410074146550c8c1c064d_1#_PA
http://m.g-enews.com/view.php?ud=2025050410074146550c8c1c064d_1#_PA
02.05.202511:52
환율 갑자기 왜 이리 떨어지나요?
이유 아시는 분 설명 좀 부탁드려요~
이유 아시는 분 설명 좀 부탁드려요~


Reposted from:
강해령의 반도체탐구생활

02.05.202509:37
✍️[단독]'연휴 반납' 삼성반도체 수뇌부, 美빅테크 연쇄 미팅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81199?sid=105
-전영현 삼성전자 부회장, 한진만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 사장이 지금 미국 출장을 수행 중입니다.
-애플, 엔비디아와 HBM, LPDDR D램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입니다.
-파운드리 수장이 미국으로 간 만큼 2나노 파운드리 영업에 총력을 기울일 가능성도 큽니다. 지난번 보도했던 퀄컴, 테슬라 등이 삼성 파운드리가 공들이고 있는 2나노 잠재 고객사입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81199?sid=105
-전영현 삼성전자 부회장, 한진만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 사장이 지금 미국 출장을 수행 중입니다.
-애플, 엔비디아와 HBM, LPDDR D램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입니다.
-파운드리 수장이 미국으로 간 만큼 2나노 파운드리 영업에 총력을 기울일 가능성도 큽니다. 지난번 보도했던 퀄컴, 테슬라 등이 삼성 파운드리가 공들이고 있는 2나노 잠재 고객사입니다.
01.05.202523:16
https://www.youtube.com/live/aBg10lRqyRA?si=MBIOhRWwWaDv76Up
아이들 컴백 일정
5월 2일 오후 6시 스페셜미니앨범
5월 19일 오후 6시 8번째 미니앨범
https://youtu.be/8AN66zZYLw8?si=kzsIqHHLSmbrvmDY
아이들 컴백 일정
5월 2일 오후 6시 스페셜미니앨범
5월 19일 오후 6시 8번째 미니앨범
https://youtu.be/8AN66zZYLw8?si=kzsIqHHLSmbrvmDY


01.05.202522:45
연초부터 시진핑 APEC 방문 일정들을 꾸준히 소개해드리면서 한한령 해제 과정을 계속 올려드렸는데 이제 현실로 이뤄지는거 같네요.
올해 3월부터 주변에서 어디섹터가 좋을꺼 같냐고 물어보면 저는 중국에 배팅한다고 말했습니다.
엔터가 가장 빠르게 이익을 올리고 미디어가 이익의 기울기는 가장 크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올해 3월부터 주변에서 어디섹터가 좋을꺼 같냐고 물어보면 저는 중국에 배팅한다고 말했습니다.
엔터가 가장 빠르게 이익을 올리고 미디어가 이익의 기울기는 가장 크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01.05.202522:41
https://n.news.naver.com/article/079/0004020080
중국 관영방송 중국중앙(CC)TV가 올해 하반기 케이(K)팝 아이돌 그룹을 대거 초청해 베이징과 상하이, 광저우 등 중국 대도시 6곳에서 대규모 한중 합작 공연을 기획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일부 한국 국적 대중가수들이 중국에서 공연한 적은 있지만 중국 관영방송이 직접 나서 K팝 아이돌 그룹을 대거 초청해 대규모 순회 공연을 펼치는 것은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사태 이후 9년 만이다.
CCTV 관계자는 1차적으로 해당 공연 출연을 원하는 K팝 남성 아이돌 그룹 명단도 제시했는데 BTS, 세븐틴, 스트레이키즈, 트레저, 엑소 등 국내 정상급 10여개 그룹이 포함됐다.
공연기획사 관계자는 "관객 3만명 규모의 대규모 공연인 것도 의미가 있지만, 수권서에도 방송권이 명시된 만큼 CCTV를 통해 해당 공연의 생중계, 혹은 녹화방송 등이 이뤄질 것이 확실시 돼 더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합동 공연 프로젝트가 성사된다면 이는 사실상 한한령(한류 금지령) 해제를 의미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파급효과가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 관영방송 중국중앙(CC)TV가 올해 하반기 케이(K)팝 아이돌 그룹을 대거 초청해 베이징과 상하이, 광저우 등 중국 대도시 6곳에서 대규모 한중 합작 공연을 기획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일부 한국 국적 대중가수들이 중국에서 공연한 적은 있지만 중국 관영방송이 직접 나서 K팝 아이돌 그룹을 대거 초청해 대규모 순회 공연을 펼치는 것은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사태 이후 9년 만이다.
CCTV 관계자는 1차적으로 해당 공연 출연을 원하는 K팝 남성 아이돌 그룹 명단도 제시했는데 BTS, 세븐틴, 스트레이키즈, 트레저, 엑소 등 국내 정상급 10여개 그룹이 포함됐다.
공연기획사 관계자는 "관객 3만명 규모의 대규모 공연인 것도 의미가 있지만, 수권서에도 방송권이 명시된 만큼 CCTV를 통해 해당 공연의 생중계, 혹은 녹화방송 등이 이뤄질 것이 확실시 돼 더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합동 공연 프로젝트가 성사된다면 이는 사실상 한한령(한류 금지령) 해제를 의미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파급효과가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01.05.202507:11


Reposted from:
한화투자 중국/신흥국 정정영

01.05.202502:45
* 중국 외교부 언급. 속도감
Q) 한국 EPEX그룹이 중국 푸저우에서 단독공연한다는 뉴스. 중국 측에서 확인해줄수 있는지? 9년간 한국 국적 아티스트의 공연이 없었던 이유는?
A) 공연에 대해 구체적으로 아는바는 없음. 우리가 강조하고 싶은 건 한국과의 문화교류 협력에 개방된 태도 유지. 향후 양국이 함께 노력해 각 분야 교류협력 발전하기를 희망
据韩联社报道,全体成员为韩国人的K-POP男团EPEX将于下月31日在中国福州举行单独演唱会。EPEX东家C9娱乐29日发布上述消息。这将是全员均为韩国人的K-POP组合自2016年后时隔9年在华举行单独演唱会。 对于上述消息,在4月29日举行的中国外交部例行记者会上,外交部发言人郭嘉昆在回应外媒记者“中方能否证实?以及能否解释9年来都没有这样演唱会的原因?”的提问时表示,我不了解你提到的有关演出的具体情况,我想强调的是,我们对同韩方开展有益的文化交流合作持开放的态度,希望韩方与中方共同努力,推动双方各领域交流合作向前发展。
=========================
~ 지난 29일 오후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한 외신 매체의 한한령 해제 관련 질문에 "중국은 한국과의 유익한 문화 교류와 협력에 대해 항상 열려있다. 한국이 중국과 협력해 다양한 분야에서 양국 간 교류와 협력을 발전해나가기를 바란다"라고 대답했다
~ 이와 관련해 중국 측 방송 관계자는 스타뉴스에 "중국 측이 한한령을 언급한 것 자체가 '사실상 해제'도 맞지만, '공식 해제'라고 봐도 무방하다"면서 "현재 K콘텐츠의 중국 정식 진출이 임박한 상황"이라고 내다봤다
https://m.entertain.naver.com/article/108/0003324748
Q) 한국 EPEX그룹이 중국 푸저우에서 단독공연한다는 뉴스. 중국 측에서 확인해줄수 있는지? 9년간 한국 국적 아티스트의 공연이 없었던 이유는?
A) 공연에 대해 구체적으로 아는바는 없음. 우리가 강조하고 싶은 건 한국과의 문화교류 협력에 개방된 태도 유지. 향후 양국이 함께 노력해 각 분야 교류협력 발전하기를 희망
据韩联社报道,全体成员为韩国人的K-POP男团EPEX将于下月31日在中国福州举行单独演唱会。EPEX东家C9娱乐29日发布上述消息。这将是全员均为韩国人的K-POP组合自2016年后时隔9年在华举行单独演唱会。 对于上述消息,在4月29日举行的中国外交部例行记者会上,外交部发言人郭嘉昆在回应外媒记者“中方能否证实?以及能否解释9年来都没有这样演唱会的原因?”的提问时表示,我不了解你提到的有关演出的具体情况,我想强调的是,我们对同韩方开展有益的文化交流合作持开放的态度,希望韩方与中方共同努力,推动双方各领域交流合作向前发展。
=========================
~ 지난 29일 오후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한 외신 매체의 한한령 해제 관련 질문에 "중국은 한국과의 유익한 문화 교류와 협력에 대해 항상 열려있다. 한국이 중국과 협력해 다양한 분야에서 양국 간 교류와 협력을 발전해나가기를 바란다"라고 대답했다
~ 이와 관련해 중국 측 방송 관계자는 스타뉴스에 "중국 측이 한한령을 언급한 것 자체가 '사실상 해제'도 맞지만, '공식 해제'라고 봐도 무방하다"면서 "현재 K콘텐츠의 중국 정식 진출이 임박한 상황"이라고 내다봤다
https://m.entertain.naver.com/article/108/0003324748
Reposted from:
재야의 고수들

30.04.202514:14
☑️ StrayKids Youtube (Renova)
① 2,000만 구독자 달성 (04-30)
② KPOP 전체로는 3번째 기록
② 2,000만 구독자까지 소요기간
🥇BlackPink 데뷔후 31개월
🥈BTS 데뷔후 67개월
🥉StrayKids 데뷔후 85개월
#엔터 #하이브 #SM #YG #JYP
#DATA #Youtube
① 2,000만 구독자 달성 (04-30)
② KPOP 전체로는 3번째 기록
② 2,000만 구독자까지 소요기간
🥇BlackPink 데뷔후 31개월
🥈BTS 데뷔후 67개월
🥉StrayKids 데뷔후 85개월
#엔터 #하이브 #SM #YG #JYP
#DATA #Youtube


30.04.202511:13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8223758?sid=101
파운드리 사업은 2나노미터(㎚) 1세대 공정의 신뢰성 평가를 완료해 2분기 양산 투입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했다.
또한 "2나노 2세대와 4나노 전력 최적화 공정은 고객사 설계를 지원할 기술 인프라를 적기에 구축하고 있다"며 "2나노 1세대 게이트 올 어라운드(GAA) 공정 양산을 시작하고 2나노 2세대 고객사 수주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강조했다.
파운드리 사업은 2나노미터(㎚) 1세대 공정의 신뢰성 평가를 완료해 2분기 양산 투입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했다.
또한 "2나노 2세대와 4나노 전력 최적화 공정은 고객사 설계를 지원할 기술 인프라를 적기에 구축하고 있다"며 "2나노 1세대 게이트 올 어라운드(GAA) 공정 양산을 시작하고 2나노 2세대 고객사 수주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강조했다.
Reposted from: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30.04.202510:07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아모레퍼시픽(090430.KS/매수):
1Q25 Review: 백점 만점의 백점
■ 1Q25 Review: 백점 만점의 백점
아모레퍼시픽의 1분기 실적은 연결 매출 1조 675억원(YoY+17%), 영업이익 1.2천억원(YoY+62%, 영업이익률 11%)를 시현, 컨센서스(995억원)을 18% 상회했다. 국내 호실적에 기반한 PS/인센티브 충당금 250억원*이 반영된 실적으로 이익 체력이 상당히 상승했다. 상회 요인은 선택과 집중의 일환으로, 자체 브랜드 호조로 ①북미/EMEA 지역의 높은 수익성, ②국내 성장 채널 집중에 따른 내수 수익성 상승과 ③중국 흑자 전환으로 인한 해외 이익 체력 개선 등으로 전사 수익성이 11%에 안착한 점이다. 특히 핵심 브랜드의 글로벌 확장이 본격화되면서 국내 생산기지의 가동률이 상승하였고, 이에 따라 매출총이익률은 15개 분기 만에 72%에 도달했다. 중국의 흑자 전환 또한 주목할 만하다. 고정비 축소와 선택적 비용 집행에 기반해 일회성 비용(약 20억원) 반영되었음에도 50억원에 육박하는 이익을 기록했다. ‘국내 성장 채널로의 점유율 확대 + 전방위적인 글로벌 확장 + 중국 체질 개선’ 등 백점 만점의 실적이었다. COSRX 실적은 매출 996억원, 영업이익 279억원 추산하며, COSRX 제외 본업의 실적은 매출 6% 성장, 영업이익 24% 성장한 것으로 파악된다. 영업 외적으로는 구딸 상표권 매각 무형자산 처분이익이 반영되며, 지배주주순이익은 1.1천억원(YoY+41%)을 기록했다.
■ 국내 +2%, 해외 +40% 성장 달성
▶국내는 매출 5.7천억원(YoY+2%), 영업이익 494억원(YoY+1%, 이익률 9%) 기록했다. 면세는 감소했으나, MBS/이커머스 등이 성장, 손익이 개선되었다(충당금 250억원 반영). 채널별 매출 성장률(% YoY)은 MBS +20% 이상/순수 이커머스 +10% 이상/백화점 하이싱글 성장/면세 -21% 기록했다.
▶해외는 매출 4.7천억원(YoY+40%), 영업이익 696억원(YoY+120%, 이익률 15%) 달성했다. 북미/EMEA의 호실적과 중국의 흑자전환으로 해외 이익이 전체 이익의 59% 도달, 체력 상승이 주목된다. [북미]는 매출 1.6천억원(YoY+79%), 영업이익은 434억원(YoY+77%, 이익률 28%) 추산한다. COSRX 제외하더라도 30% 고성장했다. 라네즈의 신제품 효과가 폭발적인 가운데, 에스트라의 세포라 입점 효과도 더해졌다. 마케팅 비용이 확대되었음에도 매출 확대에 기인 높은 이익률 달성했다.
[유럽]은 매출 553억원(YoY+220%), 영업이익은 148억원(YoY+227%, 이익률 27%) 시현했다. 라네즈가 80% 이상 성장한 가운데, 본업이 70% 이상 성장했다.
[중국]은 매출 18% 감소하나, 효율적 비용 집행 등에 기인 흑자전환(YoY+125억원) 달성했다.
■ 2025년: 전방위적인 글로벌 확장 본격화
아모레퍼시픽은 ‘중국 부담 축소 + 글로벌 확장 가속화’ 등으로 2025년 이익 모멘텀 본격화 기대한다. 중국의 체질 개선과 전방위적인 글로벌 확장(2025년은 미국/EMEA/일본 중심, 이후 인도/중동으로 확장)이 본격화 되면서 2025년에는 해외 이익 중심의 뚜렷한 증익 사이클이 전개될 전망이다. 2025년은 처음으로 해외 이익이 처음으로 국내 이익을 상회하는 전환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아모레퍼시픽의 2025년 실적은 연결 매출 4.4조원(YoY+13%), 영업이익 4.3천억원(YoY+95%) 전망하며,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0만원으로 상향한다.
전문: https://vo.la/efZjMF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텔레그램 채널
https://bit.ly/3iuQwik
아모레퍼시픽(090430.KS/매수):
1Q25 Review: 백점 만점의 백점
■ 1Q25 Review: 백점 만점의 백점
아모레퍼시픽의 1분기 실적은 연결 매출 1조 675억원(YoY+17%), 영업이익 1.2천억원(YoY+62%, 영업이익률 11%)를 시현, 컨센서스(995억원)을 18% 상회했다. 국내 호실적에 기반한 PS/인센티브 충당금 250억원*이 반영된 실적으로 이익 체력이 상당히 상승했다. 상회 요인은 선택과 집중의 일환으로, 자체 브랜드 호조로 ①북미/EMEA 지역의 높은 수익성, ②국내 성장 채널 집중에 따른 내수 수익성 상승과 ③중국 흑자 전환으로 인한 해외 이익 체력 개선 등으로 전사 수익성이 11%에 안착한 점이다. 특히 핵심 브랜드의 글로벌 확장이 본격화되면서 국내 생산기지의 가동률이 상승하였고, 이에 따라 매출총이익률은 15개 분기 만에 72%에 도달했다. 중국의 흑자 전환 또한 주목할 만하다. 고정비 축소와 선택적 비용 집행에 기반해 일회성 비용(약 20억원) 반영되었음에도 50억원에 육박하는 이익을 기록했다. ‘국내 성장 채널로의 점유율 확대 + 전방위적인 글로벌 확장 + 중국 체질 개선’ 등 백점 만점의 실적이었다. COSRX 실적은 매출 996억원, 영업이익 279억원 추산하며, COSRX 제외 본업의 실적은 매출 6% 성장, 영업이익 24% 성장한 것으로 파악된다. 영업 외적으로는 구딸 상표권 매각 무형자산 처분이익이 반영되며, 지배주주순이익은 1.1천억원(YoY+41%)을 기록했다.
■ 국내 +2%, 해외 +40% 성장 달성
▶국내는 매출 5.7천억원(YoY+2%), 영업이익 494억원(YoY+1%, 이익률 9%) 기록했다. 면세는 감소했으나, MBS/이커머스 등이 성장, 손익이 개선되었다(충당금 250억원 반영). 채널별 매출 성장률(% YoY)은 MBS +20% 이상/순수 이커머스 +10% 이상/백화점 하이싱글 성장/면세 -21% 기록했다.
▶해외는 매출 4.7천억원(YoY+40%), 영업이익 696억원(YoY+120%, 이익률 15%) 달성했다. 북미/EMEA의 호실적과 중국의 흑자전환으로 해외 이익이 전체 이익의 59% 도달, 체력 상승이 주목된다. [북미]는 매출 1.6천억원(YoY+79%), 영업이익은 434억원(YoY+77%, 이익률 28%) 추산한다. COSRX 제외하더라도 30% 고성장했다. 라네즈의 신제품 효과가 폭발적인 가운데, 에스트라의 세포라 입점 효과도 더해졌다. 마케팅 비용이 확대되었음에도 매출 확대에 기인 높은 이익률 달성했다.
[유럽]은 매출 553억원(YoY+220%), 영업이익은 148억원(YoY+227%, 이익률 27%) 시현했다. 라네즈가 80% 이상 성장한 가운데, 본업이 70% 이상 성장했다.
[중국]은 매출 18% 감소하나, 효율적 비용 집행 등에 기인 흑자전환(YoY+125억원) 달성했다.
■ 2025년: 전방위적인 글로벌 확장 본격화
아모레퍼시픽은 ‘중국 부담 축소 + 글로벌 확장 가속화’ 등으로 2025년 이익 모멘텀 본격화 기대한다. 중국의 체질 개선과 전방위적인 글로벌 확장(2025년은 미국/EMEA/일본 중심, 이후 인도/중동으로 확장)이 본격화 되면서 2025년에는 해외 이익 중심의 뚜렷한 증익 사이클이 전개될 전망이다. 2025년은 처음으로 해외 이익이 처음으로 국내 이익을 상회하는 전환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아모레퍼시픽의 2025년 실적은 연결 매출 4.4조원(YoY+13%), 영업이익 4.3천억원(YoY+95%) 전망하며,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0만원으로 상향한다.
전문: https://vo.la/efZjMF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텔레그램 채널
https://bit.ly/3iuQwik
30.04.202501:05
✅ [단독] 한한령 사실상 전면 해제…中서 9월 '5만명' 규모 K팝 공연 열린다
https://m.newspim.com//news/view/20250430000195
https://m.newspim.com//news/view/20250430000195
30.04.202500:50
끌올
30.04.202500:49
큐브엔터테인먼트 소속 걸그룹 (여자)아이들 우기(YUQI)와 미연(MIYEON)이 중국 음원차트에서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우기의 디지털 싱글 ‘Radio (Dum-Dum)’은 최근 중국 최대 음악 사이트 QQ뮤직에서 ‘트리플 골드’ 인증을 받았다. 트리플 골드 인증은 디지털 앨범 기준 판매액 75만 위안 초과 시 부여되는 인증으로, 우기를 향한 현지 팬들의 열렬한 관심을 증명했다. 이 외에도 중국 TME(텐센트 뮤직 엔터테인먼트) 한국 차트(21일~27일 기준)에서 1위에 오르며 6주 연속 정상을 차지했다. QQ뮤직 주간 디지털 베스트셀러 싱글 차트(18일~24일)에서는 3위에 오르며 6주 연속 TOP3에 진입하는 성적을 거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485046
우기의 디지털 싱글 ‘Radio (Dum-Dum)’은 최근 중국 최대 음악 사이트 QQ뮤직에서 ‘트리플 골드’ 인증을 받았다. 트리플 골드 인증은 디지털 앨범 기준 판매액 75만 위안 초과 시 부여되는 인증으로, 우기를 향한 현지 팬들의 열렬한 관심을 증명했다. 이 외에도 중국 TME(텐센트 뮤직 엔터테인먼트) 한국 차트(21일~27일 기준)에서 1위에 오르며 6주 연속 정상을 차지했다. QQ뮤직 주간 디지털 베스트셀러 싱글 차트(18일~24일)에서는 3위에 오르며 6주 연속 TOP3에 진입하는 성적을 거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485046
Records
11.03.202506:37
17.2KSubscribers09.09.202423:59
0Citation index26.11.202423:59
7.8KAverage views per post10.01.202523:59
11.6KAverage views per ad post28.01.202523:59
5.83%ER26.11.202423:59
45.35%ERRGrowth
Subscribers
Citation index
Avg views per post
Avg views per ad post
ER
ERR
History of channel changes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