Пераслаў з:
키움 반도체,이차전지 PRIME☀️

18.02.202504:47
안녕하세요 키움 이차전지 권준수입니다.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NDR 후기: 하반기 실적 회복 기대감 + 신사업 모멘텀에 주목
♠ 투자 포인트
1. 동사는 최근 주요 고객사인 삼성SDI/LG에너지솔루션(매출 기준 합산 80% 추정)의 재고조정 영향으로 4분기 출하량이 감소했고, 재고조정 여파가 1분기까지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 그러나 재고 수준을 저율 가동을 통해 1분기내에 적정 수준(4분기 말 2.5개월 > 1분기 말 1.5개월 목표)으로 줄일 것으로 예상되는 바, 2분기부터는 가동률 상승에 따른 실적 턴어라운드 기대
동사의 경우 원가 경쟁력(수력발전 99%/낮은 인건비)을 확보한 말레이시아 공장에서 범용 동박을, 국내 익산 공장에서는 고부가 제품을 생산함으로써 수익성을 제고할 계획
특히 RISE 1000 프로젝트를 추진으로 말레이시아 공장의 원가 절감 역량을 한층 강화할 예정
2. 최근 EV 수요 둔화에 따른 전지박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동사는 1) 북미 N사향 AI 가속기용 HVLP4급 초저조도 동박 판매 확대, 2) 북미 OEM사향 범용 동박/하이실리콘용 동박 채택 전망 등 고부가 제품으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는 중
올해도 부진한 업황으로 범용 제품에 대한 판가 압박은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AI용 하이엔드 제품의 경우 T값이 범용 제품 대비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추정. 현재 익산 공장 내 AI 가속기 동박 CAPA는 1,800톤을 기 확보해 놓았으며, 납품 일정에 따라 추후 기존 하이엔드 라인 전환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1만톤까지 늘릴 계획 중. 동사는 HVLP5 제품도 이미 개발 완료했으며, 연내 승인을 기대하고 있어 AI 가속기 동박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
한편, 북미 OEM향 4680 원통형 배터리의 경우 하이실리콘(7~8% 추정) 적용에 발맞춰 건식 공정에 최적화된 고밀착 동박(박리현상 방지 및 배터리 생산성 향상에 초점)은 연내 퀄테스트 완료 후 26년부터 납품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올해는 범용 동박부터 납품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
3. 최근 이차전지 업종 내 속도조절 및 실적 추정치 하향 조정이 진행되는 가운데, 동사는 기존 사업의 실적 회복과 신사업(AI 가속기용 동박/하이실리콘 음극재용 동박(건식 공정)/LFP 양극재/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추진 본격화로 올해 주가 차별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
최근 포트폴리오 다각화에서 나타나듯이, 동사는 회로박 및 하이엔드 동박 기술 경쟁력을 기반으로 신규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어 부진한 업황에도 수주 모멘텀 지속될 전망
단기 실적은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나, 1Q25 실적 발표 이후 실적 턴어라운드가 기대되는 동사 주가에 주목할 필요
♠ 리포트: bbn.kiwoom.com/rfSN3568
[키움 이차전지 권준수]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NDR 후기: 하반기 실적 회복 기대감 + 신사업 모멘텀에 주목
♠ 투자 포인트
1. 동사는 최근 주요 고객사인 삼성SDI/LG에너지솔루션(매출 기준 합산 80% 추정)의 재고조정 영향으로 4분기 출하량이 감소했고, 재고조정 여파가 1분기까지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 그러나 재고 수준을 저율 가동을 통해 1분기내에 적정 수준(4분기 말 2.5개월 > 1분기 말 1.5개월 목표)으로 줄일 것으로 예상되는 바, 2분기부터는 가동률 상승에 따른 실적 턴어라운드 기대
동사의 경우 원가 경쟁력(수력발전 99%/낮은 인건비)을 확보한 말레이시아 공장에서 범용 동박을, 국내 익산 공장에서는 고부가 제품을 생산함으로써 수익성을 제고할 계획
특히 RISE 1000 프로젝트를 추진으로 말레이시아 공장의 원가 절감 역량을 한층 강화할 예정
2. 최근 EV 수요 둔화에 따른 전지박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동사는 1) 북미 N사향 AI 가속기용 HVLP4급 초저조도 동박 판매 확대, 2) 북미 OEM사향 범용 동박/하이실리콘용 동박 채택 전망 등 고부가 제품으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는 중
올해도 부진한 업황으로 범용 제품에 대한 판가 압박은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AI용 하이엔드 제품의 경우 T값이 범용 제품 대비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추정. 현재 익산 공장 내 AI 가속기 동박 CAPA는 1,800톤을 기 확보해 놓았으며, 납품 일정에 따라 추후 기존 하이엔드 라인 전환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1만톤까지 늘릴 계획 중. 동사는 HVLP5 제품도 이미 개발 완료했으며, 연내 승인을 기대하고 있어 AI 가속기 동박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
한편, 북미 OEM향 4680 원통형 배터리의 경우 하이실리콘(7~8% 추정) 적용에 발맞춰 건식 공정에 최적화된 고밀착 동박(박리현상 방지 및 배터리 생산성 향상에 초점)은 연내 퀄테스트 완료 후 26년부터 납품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올해는 범용 동박부터 납품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
3. 최근 이차전지 업종 내 속도조절 및 실적 추정치 하향 조정이 진행되는 가운데, 동사는 기존 사업의 실적 회복과 신사업(AI 가속기용 동박/하이실리콘 음극재용 동박(건식 공정)/LFP 양극재/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추진 본격화로 올해 주가 차별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
최근 포트폴리오 다각화에서 나타나듯이, 동사는 회로박 및 하이엔드 동박 기술 경쟁력을 기반으로 신규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어 부진한 업황에도 수주 모멘텀 지속될 전망
단기 실적은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나, 1Q25 실적 발표 이후 실적 턴어라운드가 기대되는 동사 주가에 주목할 필요
♠ 리포트: bbn.kiwoom.com/rfSN3568
[키움 이차전지 권준수]
Пераслаў з:
🇺🇸 US 실적속보 by TNBfolio

08.01.202502:26
엔비디아 CEO, 유용한 양자컴퓨터는 수십 년 후에 가능하다고 발언하며 양자컴퓨팅 관련 주가 하락
1. 엔비디아 CEO 발언
-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은 "유용한 양자컴퓨터는 15년이 지나야 가능할 수 있으며, 30년은 늦은 쪽에 속한다"고 말했다.
- 양자컴퓨터가 실질적으로 활용되기까지 약 20년 정도가 소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2. 양자컴퓨팅 관련 주식 반응
- IonQ와 Quantum Computing Inc. 주가는 장외 거래에서 16% 이상 하락했다.
- D-Wave Quantum Inc.와 Rigetti Computing Inc.는 14% 이상 하락했다.
- 양자컴퓨팅 기술의 잠재력으로 최근 몇 달간 급등했던 주가가 엔비디아 CEO 발언 이후 급락했다.
3. 기술과 시장 동향
- 양자컴퓨팅 관련 주식은 지난 12개월 동안 큰 상승을 기록했다.
- IonQ는 300% 이상 상승해 49.59달러로 마감했으며, Rigetti는 1,500% 이상 올라 18.39달러에 거래됐다.
- D-Wave는 1,000% 상승해 9.55달러에 마감했고, Quantum Computing Inc.는 1,800% 이상 상승해 17.49달러를 기록했다.
https://finance.yahoo.com/news/quantum-computing-stocks-drop-nvidia-005300972.html
1. 엔비디아 CEO 발언
-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은 "유용한 양자컴퓨터는 15년이 지나야 가능할 수 있으며, 30년은 늦은 쪽에 속한다"고 말했다.
- 양자컴퓨터가 실질적으로 활용되기까지 약 20년 정도가 소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2. 양자컴퓨팅 관련 주식 반응
- IonQ와 Quantum Computing Inc. 주가는 장외 거래에서 16% 이상 하락했다.
- D-Wave Quantum Inc.와 Rigetti Computing Inc.는 14% 이상 하락했다.
- 양자컴퓨팅 기술의 잠재력으로 최근 몇 달간 급등했던 주가가 엔비디아 CEO 발언 이후 급락했다.
3. 기술과 시장 동향
- 양자컴퓨팅 관련 주식은 지난 12개월 동안 큰 상승을 기록했다.
- IonQ는 300% 이상 상승해 49.59달러로 마감했으며, Rigetti는 1,500% 이상 올라 18.39달러에 거래됐다.
- D-Wave는 1,000% 상승해 9.55달러에 마감했고, Quantum Computing Inc.는 1,800% 이상 상승해 17.49달러를 기록했다.
https://finance.yahoo.com/news/quantum-computing-stocks-drop-nvidia-005300972.html
Не змаглі атрымаць доступ
да медыяконтэнту
да медыяконтэнту
07.01.202523:57
경쟁력이 없다는,...얘기
Пераслаў з:
이지스 리서치 & 모멘텀투자클럽

07.01.202522:45
JYP 신인 보이그룹 킥플립, 美그래미 선정 ‘주목할 K팝 루키 8’ 선정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29211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292110
Пераслаў з:
허혜민, 신민수의 제약/바이오/의료기기 소식통

07.01.202520:56
[키움 허혜민] J&J, 렉라자 병용 전체 생존율(OS) 결과 발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임상적 의미있는 개선!!
전체 생존율 개선 중앙값 1년 초과 예상
https://www.jnj.com/media-center/press-releases/rybrevant-amivantamab-vmjw-plus-lazcluze-lazertinib-shows-statistically-significant-and-clinically-meaningful-improvement-in-overall-survival-versus-osimertinib
와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임상적 의미있는 개선!!
전체 생존율 개선 중앙값 1년 초과 예상
https://www.jnj.com/media-center/press-releases/rybrevant-amivantamab-vmjw-plus-lazcluze-lazertinib-shows-statistically-significant-and-clinically-meaningful-improvement-in-overall-survival-versus-osimertinib
와우!!
Пераслаў з:
제약/바이오/미용 원리버 Oneriver

Не змаглі атрымаць доступ
да медыяконтэнту
да медыяконтэнту
07.01.202505:22
에이비엘바이오 파트너사Givastomig(CLDN18.2x4-1BB) 를 포트폴리오 우선순위로 지정 발표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i-mab-announces-portfolio-prioritization-of-givastomig-cldn18-2-x-4-1bb-bispecific-antibody-as-lead-clinical-program-302342671.html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i-mab-announces-portfolio-prioritization-of-givastomig-cldn18-2-x-4-1bb-bispecific-antibody-as-lead-clinical-program-302342671.html
Пераслаў з:
CTT Research

11.01.202504:03
73조 -> 88조 하루만에 15조 증가...
LA 산불 나흘째 서울시 ¼ 크기 면적 태워…88조원 손실 추정
미국 서부 최대 도시 로스앤젤레스(LA)에서 동시 다발한 산불이 나흘째 확산하면서 서울시 면적의 ¼가량에 해당하는 규모를 태우는 등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당국은 연방정부의 지원을 받아 진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주요 화재의 진압이 아직 초기 수준에 머물며 난항을 겪고 있다.
서부 해변의 퍼시픽 팰리세이즈에서 발생한 최대 규모의 '팰리세이즈 산불' 피해 면적이 2만438에이커(82.7㎢)로, 24시간 전보다 13㎢가량 더 커졌다.
한인들의 주요 거주지 인근인 동부 내륙 알타데나에서 발생한 '이튼 산불'의 피해 지역도 1만3천690에이커(55.4㎢)로, 하루 전보다 12㎢가량 더 늘었다.
현재 진행 중인 5건의 산불 피해 면적을 모두 합하면 약 148㎢로, 서울시 면적(약 605㎢)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규모다.
미 CNN 방송은 이런 피해 규모가 플로리다주의 대도시 마이애미와 같은 크기이고, 뉴욕 맨해튼(59㎢)의 2.5배, 샌프란시스코와 보스턴 면적보다 크다고 비교했다.
이들 산불은 캘리포니아 역사상 화재 피해 규모로 각각 3번째와 4번째 순위에 올랐다고 CNN 방송은 전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미국의 대형 금융사 웰스파고는 이번 재난으로 인한 경제적 타격이 총 600억달러(약 88조4천160억원)를 훨씬 넘을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https://m.yna.co.kr/view/AKR20250111006300075
LA 산불 나흘째 서울시 ¼ 크기 면적 태워…88조원 손실 추정
미국 서부 최대 도시 로스앤젤레스(LA)에서 동시 다발한 산불이 나흘째 확산하면서 서울시 면적의 ¼가량에 해당하는 규모를 태우는 등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당국은 연방정부의 지원을 받아 진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주요 화재의 진압이 아직 초기 수준에 머물며 난항을 겪고 있다.
서부 해변의 퍼시픽 팰리세이즈에서 발생한 최대 규모의 '팰리세이즈 산불' 피해 면적이 2만438에이커(82.7㎢)로, 24시간 전보다 13㎢가량 더 커졌다.
한인들의 주요 거주지 인근인 동부 내륙 알타데나에서 발생한 '이튼 산불'의 피해 지역도 1만3천690에이커(55.4㎢)로, 하루 전보다 12㎢가량 더 늘었다.
현재 진행 중인 5건의 산불 피해 면적을 모두 합하면 약 148㎢로, 서울시 면적(약 605㎢)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규모다.
미 CNN 방송은 이런 피해 규모가 플로리다주의 대도시 마이애미와 같은 크기이고, 뉴욕 맨해튼(59㎢)의 2.5배, 샌프란시스코와 보스턴 면적보다 크다고 비교했다.
이들 산불은 캘리포니아 역사상 화재 피해 규모로 각각 3번째와 4번째 순위에 올랐다고 CNN 방송은 전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미국의 대형 금융사 웰스파고는 이번 재난으로 인한 경제적 타격이 총 600억달러(약 88조4천160억원)를 훨씬 넘을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https://m.yna.co.kr/view/AKR20250111006300075
Пераслаў з:
DS투자증권 리서치

08.01.202501:30
DS투자증권 중공업/미드스몰캡/미국 Analyst 양형모, RA 강태호
[조선/방산] 트럼프와 자율전쟁: 무인무기의 시대
1. 트럼프의 협상 테이블, 그리고 변화가 필요한 미국 군수산업
- 러우전쟁은 종전을 앞두고 있으며 NATO의 방위비 증액이 현실화
- 미국은 EU 방산 자립화를 비판하지만 미 군수산업은 수요를 따라잡지 못함
- 병사 모집난으로 무인 무기 시대 도래
2. 러우전쟁을 통해 분석한 모던 워페어
- 러우전쟁으로 드론 AI 등 미래전의 모습을 자세히 분석
3. 미국이 준비하는 미래 전쟁
- 미국의 2025년 총 투자 규모는 3,107억 달러
- 투자 규모가 큰 순서는 Aircraft, Shipbuilding, Missiles&Munitions, Space, C4I
4. 한국이 준비하는 미래 전쟁
- 미 해군 시장 침투 가속화 예상: 한화오션, HD현대중공업
- 무인 무기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기업: LIG넥스원
- 무인 전쟁 시대에도 여전히 중요한 클래식 무기 제작 기업: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불안한 중동 정세는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 추가 수출 가능성을 견인
기업분석
한화오션, HD현대중공업, LIG넥스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SInvResearch
[조선/방산] 트럼프와 자율전쟁: 무인무기의 시대
1. 트럼프의 협상 테이블, 그리고 변화가 필요한 미국 군수산업
- 러우전쟁은 종전을 앞두고 있으며 NATO의 방위비 증액이 현실화
- 미국은 EU 방산 자립화를 비판하지만 미 군수산업은 수요를 따라잡지 못함
- 병사 모집난으로 무인 무기 시대 도래
2. 러우전쟁을 통해 분석한 모던 워페어
- 러우전쟁으로 드론 AI 등 미래전의 모습을 자세히 분석
3. 미국이 준비하는 미래 전쟁
- 미국의 2025년 총 투자 규모는 3,107억 달러
- 투자 규모가 큰 순서는 Aircraft, Shipbuilding, Missiles&Munitions, Space, C4I
4. 한국이 준비하는 미래 전쟁
- 미 해군 시장 침투 가속화 예상: 한화오션, HD현대중공업
- 무인 무기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기업: LIG넥스원
- 무인 전쟁 시대에도 여전히 중요한 클래식 무기 제작 기업: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불안한 중동 정세는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 추가 수출 가능성을 견인
기업분석
한화오션, HD현대중공업, LIG넥스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SInvResearch
07.01.202523:37
2025.01.08 08:36:20
기업명: 삼성전자(시가총액: 330조 7,260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750,000억(예상치 : 772,407억)
영업익 : 65,000억(예상치 : 81,694억)
순이익 : -(예상치 : 76,789억)
최근 실적 추이
2024.4Q 750,000억/ 65,000억/ -
2024.3Q 790,987억/ 91,834억/ 101,009억
2024.2Q 740,683억/ 104,439억/ 98,413억
2024.1Q 719,156억/ 66,060억/ 67,547억
2023.4Q 677,799억/ 28,247억/ 63,448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0880002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5930
기업명: 삼성전자(시가총액: 330조 7,260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750,000억(예상치 : 772,407억)
영업익 : 65,000억(예상치 : 81,694억)
순이익 : -(예상치 : 76,789억)
최근 실적 추이
2024.4Q 750,000억/ 65,000억/ -
2024.3Q 790,987억/ 91,834억/ 101,009억
2024.2Q 740,683억/ 104,439억/ 98,413억
2024.1Q 719,156억/ 66,060억/ 67,547억
2023.4Q 677,799억/ 28,247억/ 63,448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0880002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5930
Пераслаў з:
허혜민, 신민수의 제약/바이오/의료기기 소식통

07.01.202522:43
★ [키움 허혜민] ★ 유한양행, 전체 생존기간 발표로 드러난 J&J의 확신
[키움 제약/바이오 / 허혜민]
◆ 애널리스트 코멘트
- 다국적제약사들이 임상 탑라인 결과를 발표할 때, 사용하는 가장 좋은 표현은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임상적 의미 있는 개선”을 함께 쓰는 것임.
- 이는 곧 상업화 성공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 국산 신약을 도입한 다국적 제약사가 이러한 표현을 쓴 것은 이번이 최초.
- 학회에서 세부 데이터 공개 될 것으로 보임. mOS는 4년 이상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J&J 언급. (vs 타그리소는 약 3년)
- CRL 실망감은 주가에 이미 반영. 최선호주 추천
키움 제약/바이오 소식통 → https://t.me/huhpharm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SN3553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키움 제약/바이오 / 허혜민]
◆ 애널리스트 코멘트
- 다국적제약사들이 임상 탑라인 결과를 발표할 때, 사용하는 가장 좋은 표현은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임상적 의미 있는 개선”을 함께 쓰는 것임.
- 이는 곧 상업화 성공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 국산 신약을 도입한 다국적 제약사가 이러한 표현을 쓴 것은 이번이 최초.
- 학회에서 세부 데이터 공개 될 것으로 보임. mOS는 4년 이상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J&J 언급. (vs 타그리소는 약 3년)
- CRL 실망감은 주가에 이미 반영. 최선호주 추천
키움 제약/바이오 소식통 → https://t.me/huhpharm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SN3553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Пераслаў з:
루팡

07.01.202508:54
엔비디아 젠슨 황 CES 발표! 5대 주요 포인트
1. 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GeForce RTX 50 시리즈 GPU 공개
젠슨 황은 CES에서 NVIDIA의 최신 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GeForce RTX 50 시리즈 GPU를 발표했습니다. 제품군에는 RTX 5090, RTX 5080, RTX 5070 Ti 및 RTX 5070이 포함됩니다.
- RTX 5090: 920억 개 트랜지스터, 3,400 TOPS 연산 성능
- RTX 5070: 1,000 TOPS AI 성능 제공
가격도 공개되었습니다:
- RTX 5090: 1,999달러
- RTX 5080: 999달러
- RTX 5070 Ti: 749달러
- RTX 5070: 549달러 (성능은 RTX 4090과 동등)
젠슨 황은 Blackwell GPU를 활용한 NVLink72 기반의 대규모 칩 설계 목표를 언급했으며, 이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슈퍼컴퓨터의 능력을 초과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2. 세계 기초 모델 Cosmos 출시
Cosmos는 이미지를 텍스트로 변환하거나 텍스트를 작업으로 전환하는 능력을 가진 AI 모델입니다.
- 특징: 비전 및 언어 이해의 통합을 통해 복잡한 작업 수행
- 적용 사례: 자율주행차 및 로봇 훈련
- Cosmos는 오픈소스 모델로 GitHub에서 다운로드 가능
젠슨 황은 이 모델이 "ChatGPT와 같은 발전 단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방대한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3. 차세대 자동차 프로세서 Thor 출시
Thor는 대량의 센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혁신적인 자동차용 로봇 컴퓨터입니다.
4.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과의 협력 강화
NVIDIA는 자동차 분야에서 BYD, 리샹(Li Auto), 샤오미, 극지커(Zeekr) 등 중국 주요 제조사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 도요타: NVIDIA의 자동차 칩 및 운영 체제를 도입 예정
- Omniverse 생태계를 확장해 글로벌 GDP 내 낭비와 자동화 기회를 해결할 계획
5. 미디어텍과 협력하여 개인용 AI 슈퍼컴퓨터 출시
젠슨 황은 Project DIGITS라는 새 데스크톱 컴퓨터를 공식 발표했습니다.
- 특징: NVIDIA 데이터센터 핵심 칩과 미디어텍의 CPU 결합
- 용도: AI 시스템 개발 및 테스트 가속화
- 가격: 3,000달러부터 시작, 전문 시장 대상
- 응용: 자율주행차, 로봇, 물리적 AI 영역에서 높은 가치를 제공
https://www.ctee.com.tw/news/20250107701161-430502
1. 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GeForce RTX 50 시리즈 GPU 공개
젠슨 황은 CES에서 NVIDIA의 최신 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GeForce RTX 50 시리즈 GPU를 발표했습니다. 제품군에는 RTX 5090, RTX 5080, RTX 5070 Ti 및 RTX 5070이 포함됩니다.
- RTX 5090: 920억 개 트랜지스터, 3,400 TOPS 연산 성능
- RTX 5070: 1,000 TOPS AI 성능 제공
가격도 공개되었습니다:
- RTX 5090: 1,999달러
- RTX 5080: 999달러
- RTX 5070 Ti: 749달러
- RTX 5070: 549달러 (성능은 RTX 4090과 동등)
젠슨 황은 Blackwell GPU를 활용한 NVLink72 기반의 대규모 칩 설계 목표를 언급했으며, 이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슈퍼컴퓨터의 능력을 초과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2. 세계 기초 모델 Cosmos 출시
Cosmos는 이미지를 텍스트로 변환하거나 텍스트를 작업으로 전환하는 능력을 가진 AI 모델입니다.
- 특징: 비전 및 언어 이해의 통합을 통해 복잡한 작업 수행
- 적용 사례: 자율주행차 및 로봇 훈련
- Cosmos는 오픈소스 모델로 GitHub에서 다운로드 가능
젠슨 황은 이 모델이 "ChatGPT와 같은 발전 단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방대한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3. 차세대 자동차 프로세서 Thor 출시
Thor는 대량의 센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혁신적인 자동차용 로봇 컴퓨터입니다.
4.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과의 협력 강화
NVIDIA는 자동차 분야에서 BYD, 리샹(Li Auto), 샤오미, 극지커(Zeekr) 등 중국 주요 제조사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 도요타: NVIDIA의 자동차 칩 및 운영 체제를 도입 예정
- Omniverse 생태계를 확장해 글로벌 GDP 내 낭비와 자동화 기회를 해결할 계획
5. 미디어텍과 협력하여 개인용 AI 슈퍼컴퓨터 출시
젠슨 황은 Project DIGITS라는 새 데스크톱 컴퓨터를 공식 발표했습니다.
- 특징: NVIDIA 데이터센터 핵심 칩과 미디어텍의 CPU 결합
- 용도: AI 시스템 개발 및 테스트 가속화
- 가격: 3,000달러부터 시작, 전문 시장 대상
- 응용: 자율주행차, 로봇, 물리적 AI 영역에서 높은 가치를 제공
https://www.ctee.com.tw/news/20250107701161-430502
07.01.202505:04
Пераслаў з:
한화투자 중국/신흥국 정정영

08.01.202504:24
• 다수 공급망 관계자에 따르면 2026년 3분기 애플 폴더블폰 출시 예정. 디스플레이 공급사는 삼성디스플레이로 약 1600-2200만대
华尔街见闻从供应链独家获悉,苹果将于2026年三季度推出小折叠机型,屏幕供应商是三星显示,供应量约1600万-2200万,包括部分容错供应量。(作者 周源)
华尔街见闻从供应链独家获悉,苹果将于2026年三季度推出小折叠机型,屏幕供应商是三星显示,供应量约1600万-2200万,包括部分容错供应量。(作者 周源)
Пераслаў з:
이효석 - 고슴도치 같은 여우

08.01.202501:27
하워드막스는
버블에 대해서
어떤 이야기를 하셨을까요?
하워드막스, 지금이 버블일까? 버블이 올까?
https://youtu.be/8BioWXm6EB4
버블에 대해서
어떤 이야기를 하셨을까요?
하워드막스, 지금이 버블일까? 버블이 올까?
https://youtu.be/8BioWXm6EB4
Пераслаў з:
投資, 아레테

07.01.202522:53
https://insiderpaper.com/trump-says-nato-members-should-raise-defense-spending-to-5-of-gdp/
#방산
트럼프는 NATO 회원국이 GDP의 5%로 방어 지출을 인상해야 한다고 지속적으로 주장.
NATO GDP 대비 국방비 지출이 증가할수록 다양한 방위전력 준비가 진행될 것. 이 과정 속에서 한국 기업의 모습도 주목해볼만
#방산
트럼프는 NATO 회원국이 GDP의 5%로 방어 지출을 인상해야 한다고 지속적으로 주장.
NATO GDP 대비 국방비 지출이 증가할수록 다양한 방위전력 준비가 진행될 것. 이 과정 속에서 한국 기업의 모습도 주목해볼만
Пераслаў з:
사제콩이_서상영

07.01.202522:38
07/08 미 증시, 물가에 대한 우려로 금리와 달러 강세 확대하자 기술주 중심 하락
미 증시는 반도체 업종의 강세로 상승 출발했지만, 주요 경제지표가 견고하자 달러 강세와 금리 상승 여파로 매물 출회되며 하락 전환. 특히 젠슨 황 발언에 기대 2% 넘게 상승 출발했던 엔비디아(-6.22%)가 큰 폭으로 하락 전환하는 등 일부 개별 종목의 부진도 영향. 결국 지표 결과 10년물 금리가 4.7% 가까이 상승하자 기술주 중심으로 매물이 출회된 점이 오늘 시장 하락 요인(다우 -0.42%, 나스닥 -1.89%, S&P500 -1.11%, 러셀2000 -0.74%,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1.84%)
*변화 요인: 경제지표 결과 고용둔화, 물가 상승 진행
제조업지수에 이어 ISM 서비스업지수가 지난달 발표된 52.1에서 54.1로 개선. 세부 항목을 보면 관세 인상 앞두고 생산지수가 제조업(+3.5p)에 이어 서비스업지수에서도 4.5p 상승하는 등 활발한 모습. 물론 고용지수는 제조업(-2.8p)에 이어 서비스업지수도 0.1p 둔화된 가운데 물가지수가 제조업(+2.2p)에 이어 서비스업지수에서 6.2p나 급증한 64.4로 발표된 점도 특징.
한편, 채용공고는 지난달 발표된 783.9만 건은 물론 시장 예상(765만 건)을 상회한 809.8만 건으로 6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 세부적으로 보면 전문 및 비즈니스(+27.3만 건), 금융 및 보험(+10.5만 건), 교육 서비스(+3.8만 건) 등이 증가한 반면 IT(-8.9만 건), 레저 및 접객업(-8.3만 건) 부문은 감소. 다만, 채용 공고는 증가했지만, 고용자수는 오히려 12.5만 건, 이직자도 18.0만 건 감소.
결국 경제지표를 종합하면 미국은 관세 인상을 앞두고 고용이 둔화되고 있지만 생산 활동과 물가 상승 압력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줌. 이 결과 물가 상승 압력에 대한 우려로 더 느린 속도의 금리인하, 또는 금리 동결 가능성이 부각되며 달러화의 강세가 확대. 국채 금리도 10년물 기준 4.7% 가까이 상승. 이에 주식시장은 기술주 중심으로 매물이 확대. 실제 CME FedWatch에서는 올해 6월 금리 동결 확률이 32%, 12월까지 금리 동결/1회 금리인하 확률이 53%를 기록
다만, 연말 물가 상승 압력이 상승은 이미 시장에 알려져 있던 내용이라는 점에서 금리와 달러 강세폭은 큰 폭으로 높아지지는 않음. 그럼에도 주식시장 하락이 확대된 점은 높아진 벨류에이션 우려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이를 빌미로 매물 출회된 것으로 추정. 실제 그동안 강세를 보여왔던 기술주가 부진하고 금리 상승 피해 업종 일부는 오히려 강세를 보이는 차별화 진행.
*특징 종목: 엔비디아, 테슬라, 양자, 드론 관련주 하락 Vs. 라이다, 태양광 관련주 강세
엔비디아(-6.22%)는 젠슨 황이 CES 기조연설에서 장기적 전망에 대한 긍정적인 내용을 제공하며 2% 넘게 상승 출발. 그러나 대부분이 언급된 내용들이 AI 인프라 지출이 둔화되기 시작할 때 새로운 먹거리라는 점에서 장기적인 전망이고, 최근 기대를 반영하며 상승을 확대했던 점, 그리고 더 많은 것을 바랬던 상황이라는 점에서 매물이 확대. 특히 금리 급등하자 본격적으로 매물 출회. TSMC(-3.90%), 브로드컴(-3.29%), AMD(-1.71%)도 하락 전환. 반면, 마이크론(+2.67%)은 젠슨 황이 GeForce RTX 50 칩 라인에 포함될 것이라는 소식에 강세를 보인 후 상승 반납. 인텔(+0.70%), AMAT(+0.19%) 등도 상승 반납.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84% 하락
오로라 이노베이션(+29.08%)는 젠슨 황이 오로라의 하이엔드 라이다를 사용하여 무인 트럭의 기능을 발전시킬 예정이라고 언급하자 한 때 50% 넘게 급등. 루미나 테크놀로지(+4.25%), 이노비즈 테크(+10.55%), 에이아이(+28.33%)등 라이다 관련주는 관련 발언에 급등. 시놉시스(-2.68%), 사운드하운드 AI(-9.63%), 세렌스(-6.00%), 리커젼 제약(-5.79%), 스파이어 글로벌(-8.82%), 서비스나우(-2.13%) 등 엔비디아가 투자하거나 협력하고 있는 개별 기업들의 경우 젠슨 황 CEO의 기조연설에서 언급이 없었다는 부분이 부각되며 하락. 슈퍼마이크로컴퓨터(-5.68%)는 전일 MS의 발표에 기대 급등 후 오늘은 매물 출회되며 하락. 아리스타네트웍(-3.10%), 델(-2.72%)도 오늘은 하락.
테슬라(-4.01%)는 규제 기관이 스마트 소환 기능과 관련이 있을 수 있는 충돌 사고에 대한 조사를 시작한다는 소식에 하락. 여기에 BOA가 높은 밸류에이션과 전략에 대한 우려를 반영하며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을 하향 조정한 점도 하락 요인. 국채 금리 상승 여파와 테슬라 부진으로 리비안(-4.87%), 루시드(-4.50%) 등 전기차 관련주와 퀀텀스케이프(-4.41%)도 부진. 그러나 중국 시장에서 탄산리튬가격 상승에 리튬 아메리카(+0.59%) 등은 강세를 보이는 차별화가 진행. 샤오펑(+9.45%)은 이스라엘 라이다 관련 기업인 이노비즈가 샤오펑에 판매 중인 점을 반영하며 젠슨 황 발언에 힘입어 상승. 반면, 니오(-4.25%)는 하락하는 중국 전기차 업종도 차별화 진행
메타 플랫폼(-1.95%)은 팩트 체커를 종료하고 일론 머스크의 ‘X’ 시스템을 따를 것이라고 발표하자 한 때 3% 넘게 하락. 여기에 연방거래위원회 위원장이 트럼프 행정부 후임자가 메타와 아마존(-2.42%)과 ‘달콤한’ 거래를 하지 않기를 바란다며 반독점 소송에 대해 언급하자 하락. 애플(-1.13%)은 독립 리서치 회사인 모펫나다슨이 연방 판사가 구글의 검색 관련 지불 금액 불법 판결, 중국에서의 입지 약화, 비전프로의 낮은 기대 등을 이유로 매도로 투자의견을 하향 조정하자 하락. MS(-1.29%)는 인도에 30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 발표에도 하락. 알파벳(-0.63%)도 부진
모더나(+11.65%)는 전일에 이어 첫 조류독감 사망자 발생 후 강세. 여기에 CDC가 2주간 코로나 급증을 발표한 점도 상승 요인. 이에 화이자(+0.89%), 바이오엔텍(+5.55%), 노바백스(+10.86%) 등 관련주도 상승 지속. J&J(+1.79%)은 페암에 대한 아스트라제네카(-0.30%)와의 약물 비교 연구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였다고 발표하자 상승. 머크(+1.30%), 암젠(+1.34%) 등 여타 제약업종은 금리 급등에도 다음주 개최되는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 대한 기대로 상승
금리 상승 여파는 아이온큐(-2.90%), 리게티컴퓨팅(-5.74%), 디웨이브 퀀텀(-6.46%), 퀀텀 컴퓨팅(-3.32%), 씰SQ(-7.50%) 등 양자 컴퓨터 업종은 물론, 언유주얼 머신(-10.81%), 팔라다인 AI(-13.90%) 등 드론 관련 기업들, 로켓랩(-2.95%), 인튜이티브 머신(-8.69%), 플래넷 랩(-5.73%) 등 우주 개발 회사들 등 최근 상승을 보였던 테마 관련주가 매물 출회되며 하락. 물론 일부 기업들은 강세를 보이는 등 차별화가 진행된 점도 있지만, 대체로 매물 소화 과정이 진행. 팔란티어(-7.81%)는 전일 모건스탠리가 밸류에이션이 부담스럽다고 경고한 후 전일에 이어 오늘도 하락 지속.
선런(+3.65%)는 골드만삭스가 구조조정등으로 현금흐름이 상승세를 창출할 것이라며 목표주가 상향 조정한 데 힘입어 상승. 퍼스트솔라(+3.38%), 진코솔라(+5.96%), 솔라엣지(+7.98%) 등 태양광 관련주도 동반 상승세가 지속. 최근 구조조정 등으로 향후 실적에 대한 기대 심리를 반영한 데 따른 것으로 추정. 비트코인이 큰 폭으로 하락하자 코인베이스(-8.14%), 마이크로스트레티지(-9.94%), 라이엇 플랫폼(-3.72%) 등 관련주도 하락.
*한국 증시 관련 수치
MSCI 한국 증시 ETF는 1.25%, MSCI 신흥 지수 ETF는 0.71% 하락.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84% 하락한 가운데 러셀2000 지수는 0.74% 하락. 반면, 다우 운송지수는 0.24% 상승. KOSPI 야간 선물은 0.66% 하락. 전일 서울 환시에서 달러/원 환율은 1,453.50원을 기록. 야간시장에서는 1,453.00원을 기록.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453.00원을 기록
*FICC: 금리 상승, 달러 강세
미 증시는 반도체 업종의 강세로 상승 출발했지만, 주요 경제지표가 견고하자 달러 강세와 금리 상승 여파로 매물 출회되며 하락 전환. 특히 젠슨 황 발언에 기대 2% 넘게 상승 출발했던 엔비디아(-6.22%)가 큰 폭으로 하락 전환하는 등 일부 개별 종목의 부진도 영향. 결국 지표 결과 10년물 금리가 4.7% 가까이 상승하자 기술주 중심으로 매물이 출회된 점이 오늘 시장 하락 요인(다우 -0.42%, 나스닥 -1.89%, S&P500 -1.11%, 러셀2000 -0.74%,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1.84%)
*변화 요인: 경제지표 결과 고용둔화, 물가 상승 진행
제조업지수에 이어 ISM 서비스업지수가 지난달 발표된 52.1에서 54.1로 개선. 세부 항목을 보면 관세 인상 앞두고 생산지수가 제조업(+3.5p)에 이어 서비스업지수에서도 4.5p 상승하는 등 활발한 모습. 물론 고용지수는 제조업(-2.8p)에 이어 서비스업지수도 0.1p 둔화된 가운데 물가지수가 제조업(+2.2p)에 이어 서비스업지수에서 6.2p나 급증한 64.4로 발표된 점도 특징.
한편, 채용공고는 지난달 발표된 783.9만 건은 물론 시장 예상(765만 건)을 상회한 809.8만 건으로 6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 세부적으로 보면 전문 및 비즈니스(+27.3만 건), 금융 및 보험(+10.5만 건), 교육 서비스(+3.8만 건) 등이 증가한 반면 IT(-8.9만 건), 레저 및 접객업(-8.3만 건) 부문은 감소. 다만, 채용 공고는 증가했지만, 고용자수는 오히려 12.5만 건, 이직자도 18.0만 건 감소.
결국 경제지표를 종합하면 미국은 관세 인상을 앞두고 고용이 둔화되고 있지만 생산 활동과 물가 상승 압력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줌. 이 결과 물가 상승 압력에 대한 우려로 더 느린 속도의 금리인하, 또는 금리 동결 가능성이 부각되며 달러화의 강세가 확대. 국채 금리도 10년물 기준 4.7% 가까이 상승. 이에 주식시장은 기술주 중심으로 매물이 확대. 실제 CME FedWatch에서는 올해 6월 금리 동결 확률이 32%, 12월까지 금리 동결/1회 금리인하 확률이 53%를 기록
다만, 연말 물가 상승 압력이 상승은 이미 시장에 알려져 있던 내용이라는 점에서 금리와 달러 강세폭은 큰 폭으로 높아지지는 않음. 그럼에도 주식시장 하락이 확대된 점은 높아진 벨류에이션 우려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이를 빌미로 매물 출회된 것으로 추정. 실제 그동안 강세를 보여왔던 기술주가 부진하고 금리 상승 피해 업종 일부는 오히려 강세를 보이는 차별화 진행.
*특징 종목: 엔비디아, 테슬라, 양자, 드론 관련주 하락 Vs. 라이다, 태양광 관련주 강세
엔비디아(-6.22%)는 젠슨 황이 CES 기조연설에서 장기적 전망에 대한 긍정적인 내용을 제공하며 2% 넘게 상승 출발. 그러나 대부분이 언급된 내용들이 AI 인프라 지출이 둔화되기 시작할 때 새로운 먹거리라는 점에서 장기적인 전망이고, 최근 기대를 반영하며 상승을 확대했던 점, 그리고 더 많은 것을 바랬던 상황이라는 점에서 매물이 확대. 특히 금리 급등하자 본격적으로 매물 출회. TSMC(-3.90%), 브로드컴(-3.29%), AMD(-1.71%)도 하락 전환. 반면, 마이크론(+2.67%)은 젠슨 황이 GeForce RTX 50 칩 라인에 포함될 것이라는 소식에 강세를 보인 후 상승 반납. 인텔(+0.70%), AMAT(+0.19%) 등도 상승 반납.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84% 하락
오로라 이노베이션(+29.08%)는 젠슨 황이 오로라의 하이엔드 라이다를 사용하여 무인 트럭의 기능을 발전시킬 예정이라고 언급하자 한 때 50% 넘게 급등. 루미나 테크놀로지(+4.25%), 이노비즈 테크(+10.55%), 에이아이(+28.33%)등 라이다 관련주는 관련 발언에 급등. 시놉시스(-2.68%), 사운드하운드 AI(-9.63%), 세렌스(-6.00%), 리커젼 제약(-5.79%), 스파이어 글로벌(-8.82%), 서비스나우(-2.13%) 등 엔비디아가 투자하거나 협력하고 있는 개별 기업들의 경우 젠슨 황 CEO의 기조연설에서 언급이 없었다는 부분이 부각되며 하락. 슈퍼마이크로컴퓨터(-5.68%)는 전일 MS의 발표에 기대 급등 후 오늘은 매물 출회되며 하락. 아리스타네트웍(-3.10%), 델(-2.72%)도 오늘은 하락.
테슬라(-4.01%)는 규제 기관이 스마트 소환 기능과 관련이 있을 수 있는 충돌 사고에 대한 조사를 시작한다는 소식에 하락. 여기에 BOA가 높은 밸류에이션과 전략에 대한 우려를 반영하며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을 하향 조정한 점도 하락 요인. 국채 금리 상승 여파와 테슬라 부진으로 리비안(-4.87%), 루시드(-4.50%) 등 전기차 관련주와 퀀텀스케이프(-4.41%)도 부진. 그러나 중국 시장에서 탄산리튬가격 상승에 리튬 아메리카(+0.59%) 등은 강세를 보이는 차별화가 진행. 샤오펑(+9.45%)은 이스라엘 라이다 관련 기업인 이노비즈가 샤오펑에 판매 중인 점을 반영하며 젠슨 황 발언에 힘입어 상승. 반면, 니오(-4.25%)는 하락하는 중국 전기차 업종도 차별화 진행
메타 플랫폼(-1.95%)은 팩트 체커를 종료하고 일론 머스크의 ‘X’ 시스템을 따를 것이라고 발표하자 한 때 3% 넘게 하락. 여기에 연방거래위원회 위원장이 트럼프 행정부 후임자가 메타와 아마존(-2.42%)과 ‘달콤한’ 거래를 하지 않기를 바란다며 반독점 소송에 대해 언급하자 하락. 애플(-1.13%)은 독립 리서치 회사인 모펫나다슨이 연방 판사가 구글의 검색 관련 지불 금액 불법 판결, 중국에서의 입지 약화, 비전프로의 낮은 기대 등을 이유로 매도로 투자의견을 하향 조정하자 하락. MS(-1.29%)는 인도에 30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 발표에도 하락. 알파벳(-0.63%)도 부진
모더나(+11.65%)는 전일에 이어 첫 조류독감 사망자 발생 후 강세. 여기에 CDC가 2주간 코로나 급증을 발표한 점도 상승 요인. 이에 화이자(+0.89%), 바이오엔텍(+5.55%), 노바백스(+10.86%) 등 관련주도 상승 지속. J&J(+1.79%)은 페암에 대한 아스트라제네카(-0.30%)와의 약물 비교 연구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였다고 발표하자 상승. 머크(+1.30%), 암젠(+1.34%) 등 여타 제약업종은 금리 급등에도 다음주 개최되는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 대한 기대로 상승
금리 상승 여파는 아이온큐(-2.90%), 리게티컴퓨팅(-5.74%), 디웨이브 퀀텀(-6.46%), 퀀텀 컴퓨팅(-3.32%), 씰SQ(-7.50%) 등 양자 컴퓨터 업종은 물론, 언유주얼 머신(-10.81%), 팔라다인 AI(-13.90%) 등 드론 관련 기업들, 로켓랩(-2.95%), 인튜이티브 머신(-8.69%), 플래넷 랩(-5.73%) 등 우주 개발 회사들 등 최근 상승을 보였던 테마 관련주가 매물 출회되며 하락. 물론 일부 기업들은 강세를 보이는 등 차별화가 진행된 점도 있지만, 대체로 매물 소화 과정이 진행. 팔란티어(-7.81%)는 전일 모건스탠리가 밸류에이션이 부담스럽다고 경고한 후 전일에 이어 오늘도 하락 지속.
선런(+3.65%)는 골드만삭스가 구조조정등으로 현금흐름이 상승세를 창출할 것이라며 목표주가 상향 조정한 데 힘입어 상승. 퍼스트솔라(+3.38%), 진코솔라(+5.96%), 솔라엣지(+7.98%) 등 태양광 관련주도 동반 상승세가 지속. 최근 구조조정 등으로 향후 실적에 대한 기대 심리를 반영한 데 따른 것으로 추정. 비트코인이 큰 폭으로 하락하자 코인베이스(-8.14%), 마이크로스트레티지(-9.94%), 라이엇 플랫폼(-3.72%) 등 관련주도 하락.
*한국 증시 관련 수치
MSCI 한국 증시 ETF는 1.25%, MSCI 신흥 지수 ETF는 0.71% 하락.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84% 하락한 가운데 러셀2000 지수는 0.74% 하락. 반면, 다우 운송지수는 0.24% 상승. KOSPI 야간 선물은 0.66% 하락. 전일 서울 환시에서 달러/원 환율은 1,453.50원을 기록. 야간시장에서는 1,453.00원을 기록.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453.00원을 기록
*FICC: 금리 상승, 달러 강세
Пераслаў з:
[삼성리서치] 테크는 역시 삼성증권
![[삼성리서치] 테크는 역시 삼성증권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ff746fb6-ebf1-498f-8f2a-15dfdafa1dbe.jpg%3Fw%3D24%26h%3D24&w=48&q=75)
07.01.202506:36
엔비디아 CES 키노트 첫인상
[삼성증권/이종욱, 문준호]
안녕하세요. 이종욱, 문준호입니다.
키노트의 메시지와 의미가 한 번의 짧은 메시지로 다루기에 너무 무겁습니다.
우선은 첫인상을 공유하는 것으로 하겠습니다.
1. 3개의 추가적인 블랙웰 제품 출시
- 현재 양산 중인 GB200나 NVL-72이외에 세 개의 블랙웰 반도체를 생산할 계획입니다.
- RTX 블랙웰(PC GPU), 젯슨 토르(로봇)에 들어가는 토르 블랙웰 프로세서, GB10(수퍼컴퓨터)가 그것입니다.
- RTX시리즈는 예상된 범위에서 전작 대비 훌륭한 성능개선으로 1월부터 출시합니다.
- 젯슨 토르는 휴머노이드에 들어가는 두뇌 플랫폼입니다. 내년 상반기 중 출시를 기대합니다.
- GB10이 탑재된 Project DIGITS이라는 개인용 수퍼 컴퓨터는 5월 출시 예정입니다.
2. 휴머노이드 로봇: 젯슨 토르와 Isaac GR00T 모델
- 엔비디아가 휴머노이드 로봇 알고리즘의 해결책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 Physics AI는 옴니버스와 새로 발표한 코스모스를 결합한 것인데요, 코스모스는 인간의 행동 데이터 몇백개를 바탕으로 학습용 합성데이터 수백만 개를 찍어 주는 모델입니다. 기존 옴니버스 모델이 합성 데이터의 물리법칙 근거를 보강할 것입니다.
- 로봇의 움직임을 데이터센터에서 학습 → Physics AI에서 합성 데이터 무한 증식 → 디바이스에서 행동의 세 가지 컴퓨터로 나눠 계산합니다.
- 문제는 엔비디아의 로봇 모델을 구현하는 휴머노이드의 두뇌에 젯슨 토르 외 대안이 없다는 점입니다.
- 젯슨 토르는 Nvidia Physics AI에 가장 최적화된 로봇 반도체일 것입니다. 마치 딥러닝 초창기에 엔비디아 GPGPU가 쿠다의 가장 최적화된 AI반도체로 독점적 지위를 얻게 될 가능성이 큽니다. 로봇 시대에서 다른 프로세서와의 경쟁의 문이 열려 있는지가 앞으로 최대 관건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3. Project Digit: PC CPU의 첫발자국
- 그동안 루머가 돌았던 미디어텍과의 협업을 최초 공개했습니다. 그것은 개인용 AI 컴퓨터의 CPU+GPU 통합 SOC를 만든 것입니다.
- 마치 ARM SOC와 LPDDR Unified memory를 사용했다는 측면에서 M1반도체와 구조가 흡사합니다.
- 이 구조의 비즈니스상 큰 특징은 마치 스마트폰처럼 CPU+GPU+DRAM가 단단히 묶여서 소비자의 선택권이 없다는 것입니다. CPU와 GPU, 네트워크의 최적화 솔루션을 세트 형태로 제공한다는 점에서 NVL-72의 PC버전과 다를 바 없는 묶어 팔기 구조입니다.
4. 단상
- 반도체 업체지만 소프트웨어가 항상 비즈니스의 시작입니다. 새로운 접근법입니다. 예를 들면 펜티엄 만드는 업체가 윈도까지는 몰라도 MS-DOS 정도는 같이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CUDA에서의 성공 사례를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계속 적용 시도하고 있습니다.
- 세 개의 스케일링 법칙이 돌고 있다는 이야기를 이번에 다시 설명해 주었습니다. Capex 사이클은 언제까지갈까요? 가까이에서 보면 데이터센터의 capex 성장률이 24년 52%에서 25년 26%로 둔화되는데, MS를 필두로 25년 성장률이 50%까지 상향될 수 있는지를 지켜보는 것입니다. 만약 가능하다면 이것이야 말로 초유의 수퍼사이클입니다. 일단 이것을 보려면 1월 중 빅테크의 발언에 귀를 기울여야겠습니다.
- 파트너 업체들 중에 한국 업체가 없습니다. 심각한 위기입니다. 젠슨황과 나란히 서서 휴머노이드 로봇의 미래를 선보인 14개의 로봇 중 중국 업체가 7곳입니다.
감사합니다.
(2025/01/07 공표자료)
[삼성증권/이종욱, 문준호]
안녕하세요. 이종욱, 문준호입니다.
키노트의 메시지와 의미가 한 번의 짧은 메시지로 다루기에 너무 무겁습니다.
우선은 첫인상을 공유하는 것으로 하겠습니다.
1. 3개의 추가적인 블랙웰 제품 출시
- 현재 양산 중인 GB200나 NVL-72이외에 세 개의 블랙웰 반도체를 생산할 계획입니다.
- RTX 블랙웰(PC GPU), 젯슨 토르(로봇)에 들어가는 토르 블랙웰 프로세서, GB10(수퍼컴퓨터)가 그것입니다.
- RTX시리즈는 예상된 범위에서 전작 대비 훌륭한 성능개선으로 1월부터 출시합니다.
- 젯슨 토르는 휴머노이드에 들어가는 두뇌 플랫폼입니다. 내년 상반기 중 출시를 기대합니다.
- GB10이 탑재된 Project DIGITS이라는 개인용 수퍼 컴퓨터는 5월 출시 예정입니다.
2. 휴머노이드 로봇: 젯슨 토르와 Isaac GR00T 모델
- 엔비디아가 휴머노이드 로봇 알고리즘의 해결책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 Physics AI는 옴니버스와 새로 발표한 코스모스를 결합한 것인데요, 코스모스는 인간의 행동 데이터 몇백개를 바탕으로 학습용 합성데이터 수백만 개를 찍어 주는 모델입니다. 기존 옴니버스 모델이 합성 데이터의 물리법칙 근거를 보강할 것입니다.
- 로봇의 움직임을 데이터센터에서 학습 → Physics AI에서 합성 데이터 무한 증식 → 디바이스에서 행동의 세 가지 컴퓨터로 나눠 계산합니다.
- 문제는 엔비디아의 로봇 모델을 구현하는 휴머노이드의 두뇌에 젯슨 토르 외 대안이 없다는 점입니다.
- 젯슨 토르는 Nvidia Physics AI에 가장 최적화된 로봇 반도체일 것입니다. 마치 딥러닝 초창기에 엔비디아 GPGPU가 쿠다의 가장 최적화된 AI반도체로 독점적 지위를 얻게 될 가능성이 큽니다. 로봇 시대에서 다른 프로세서와의 경쟁의 문이 열려 있는지가 앞으로 최대 관건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3. Project Digit: PC CPU의 첫발자국
- 그동안 루머가 돌았던 미디어텍과의 협업을 최초 공개했습니다. 그것은 개인용 AI 컴퓨터의 CPU+GPU 통합 SOC를 만든 것입니다.
- 마치 ARM SOC와 LPDDR Unified memory를 사용했다는 측면에서 M1반도체와 구조가 흡사합니다.
- 이 구조의 비즈니스상 큰 특징은 마치 스마트폰처럼 CPU+GPU+DRAM가 단단히 묶여서 소비자의 선택권이 없다는 것입니다. CPU와 GPU, 네트워크의 최적화 솔루션을 세트 형태로 제공한다는 점에서 NVL-72의 PC버전과 다를 바 없는 묶어 팔기 구조입니다.
4. 단상
- 반도체 업체지만 소프트웨어가 항상 비즈니스의 시작입니다. 새로운 접근법입니다. 예를 들면 펜티엄 만드는 업체가 윈도까지는 몰라도 MS-DOS 정도는 같이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CUDA에서의 성공 사례를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계속 적용 시도하고 있습니다.
- 세 개의 스케일링 법칙이 돌고 있다는 이야기를 이번에 다시 설명해 주었습니다. Capex 사이클은 언제까지갈까요? 가까이에서 보면 데이터센터의 capex 성장률이 24년 52%에서 25년 26%로 둔화되는데, MS를 필두로 25년 성장률이 50%까지 상향될 수 있는지를 지켜보는 것입니다. 만약 가능하다면 이것이야 말로 초유의 수퍼사이클입니다. 일단 이것을 보려면 1월 중 빅테크의 발언에 귀를 기울여야겠습니다.
- 파트너 업체들 중에 한국 업체가 없습니다. 심각한 위기입니다. 젠슨황과 나란히 서서 휴머노이드 로봇의 미래를 선보인 14개의 로봇 중 중국 업체가 7곳입니다.
감사합니다.
(2025/01/07 공표자료)
07.01.202504:03
대가리는 장식인가
Пераслаў з:
에테르의 일본&미국 리서치

Не змаглі атрымаць доступ
да медыяконтэнту
да медыяконтэнту
08.01.202504:05
모건스탠리) 삼성전자 목표가 ₩65,000
주요 요약
• 매출 증가율은 전년 대비 11% 감소하며 75조 원(-5% QoQ)으로 둔화되었으며, 이는 최근 Bloomberg 컨센서스 예상치(77조 원)를 하회.
• 영업이익은 6.5조 원(+131% YoY, -29% QoQ)으로 시장 기대치(7.8조 원)를 크게 밑돌았으며, 주요 원인은 비용 증가.
• 메모리 부문에서 비트 출하량 감소와 평균판매가격(ASP) 하락 가능성, 연구개발(R&D) 테스트 웨이퍼 비용 초과, 신규 P4 공정 초기 가동으로 인해 이익 감소.
• 비메모리 파운드리 및 LSI 부문의 손실이 낮은 가동률과 테스트 웨이퍼로 인해 2조 원 이상의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
• 모바일 부문의 이익은 약 2조 원 수준으로 계절적으로 약한 4분기임에도 불구하고 예상 범위 내.
• 메모리 및 파운드리를 포함한 최종 시장 수요 약세와 대규모 R&D 웨이퍼 실행 비용이 이익 감소의 주요 원인.
• 현재 반도체 다운사이클이 진행 중이며, 4분기 실적은 이미 과거 데이터로 반영됨. 그러나 주가는 이미 이러한 요소를 상당 부분 반영(NTM 주가순자산비율 0.9x)하였으며, 단기 실적 전망은 위험이 감소한 상태. 비중확대(OW) 의견 유지.
주요 요약
• 매출 증가율은 전년 대비 11% 감소하며 75조 원(-5% QoQ)으로 둔화되었으며, 이는 최근 Bloomberg 컨센서스 예상치(77조 원)를 하회.
• 영업이익은 6.5조 원(+131% YoY, -29% QoQ)으로 시장 기대치(7.8조 원)를 크게 밑돌았으며, 주요 원인은 비용 증가.
• 메모리 부문에서 비트 출하량 감소와 평균판매가격(ASP) 하락 가능성, 연구개발(R&D) 테스트 웨이퍼 비용 초과, 신규 P4 공정 초기 가동으로 인해 이익 감소.
• 비메모리 파운드리 및 LSI 부문의 손실이 낮은 가동률과 테스트 웨이퍼로 인해 2조 원 이상의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
• 모바일 부문의 이익은 약 2조 원 수준으로 계절적으로 약한 4분기임에도 불구하고 예상 범위 내.
• 메모리 및 파운드리를 포함한 최종 시장 수요 약세와 대규모 R&D 웨이퍼 실행 비용이 이익 감소의 주요 원인.
• 현재 반도체 다운사이클이 진행 중이며, 4분기 실적은 이미 과거 데이터로 반영됨. 그러나 주가는 이미 이러한 요소를 상당 부분 반영(NTM 주가순자산비율 0.9x)하였으며, 단기 실적 전망은 위험이 감소한 상태. 비중확대(OW) 의견 유지.
08.01.202500:54
한국투자증권 반도체 채민숙애널
전자 CY4Q24 잠정실적
영업이익 6.5조
부문별 breakdown 한투추정치
DS 2.7조
DRAM 4.6조, NAND 0.5조 LSI/파운드리 -2.4조
SDC 0.9조
MX 2.2조
CE 0.4조
Harman 0.3조
전자 CY4Q24 잠정실적
영업이익 6.5조
부문별 breakdown 한투추정치
DS 2.7조
DRAM 4.6조, NAND 0.5조 LSI/파운드리 -2.4조
SDC 0.9조
MX 2.2조
CE 0.4조
Harman 0.3조
07.01.202521:08
Не змаглі атрымаць доступ
да медыяконтэнту
да медыяконтэнту
07.01.202505:33
Пераслаў з:
Risk & Return

Не змаглі атрымаць доступ
да медыяконтэнту
да медыяконтэнту
07.01.202504:01
엣지 컴퓨팅 플랫폼 젯슨(Jetson) 5세대 토르(Thor) 공개
기존 자율주행차, AMR과 같은 엣지 단을 넘어 휴머노이드 로봇과 뇌 등에도 활용 가능한 범용적인 프로세서
4세대 오린(Orin)보다 처리량 20배 높음. 코스모스 + 옴니버스와 같은 SW와 더불어 DGX, AGX를 이은 추론 컴퓨터라는 점을 강조
결국 젠슨 황은 추론 시장에서의 답은 물리적 AI, 디지털 트윈이라고 더 확실히 강조한 것
기존 자율주행차, AMR과 같은 엣지 단을 넘어 휴머노이드 로봇과 뇌 등에도 활용 가능한 범용적인 프로세서
4세대 오린(Orin)보다 처리량 20배 높음. 코스모스 + 옴니버스와 같은 SW와 더불어 DGX, AGX를 이은 추론 컴퓨터라는 점을 강조
결국 젠슨 황은 추론 시장에서의 답은 물리적 AI, 디지털 트윈이라고 더 확실히 강조한 것
Паказана 1 - 24 з 41
Увайдзіце, каб разблакаваць больш функцы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