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02.202503:49
항상 느끼는건데 빅테크 4사 중 가장 재밋는 컨콜은 메타고 가장 노잼인 컨콜은 구글임.
낼모레 아마존 컨콜을 봐야겠으나, 이번 CY4Q24의 컨콜을 봐도 AI관련해서 구글의 컨콜이 가장 특색없고 재미가 없다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
뭐랄까 전선이 너무 넓고 각 전장에서 애매한 위치에 있는 기업이기 때문일까
낼모레 아마존 컨콜을 봐야겠으나, 이번 CY4Q24의 컨콜을 봐도 AI관련해서 구글의 컨콜이 가장 특색없고 재미가 없다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
뭐랄까 전선이 너무 넓고 각 전장에서 애매한 위치에 있는 기업이기 때문일까
转发自: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05.02.202505:11
제목 : 알파벳, ‘25년 자본지출 가이던스 $750억…컨센 대폭 상회 *연합인포맥스*
CNBC는 “알파벳(GOOGL)의 순다르 피차이 CEO는 인공지능 서비스 확장을 계속하면서 또 한 번의 대규모 지출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고보도했다. 4일(화) ‘24년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피차이 CEO는 “앞으로의 기회에 대해 확신하고 있으며, 발전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해 ‘25년에 약 750억 달러의 자본 지출을 투자할 것이다”고 예상했다. 이는 컨센서스인 597.3억 달러를 상회하는 것이다. 이어 매체는 “’24년 4분기 실적 발표에서 알파벳은 ‘25년 자본지출 계획 중 160억~180억 달러가 1분기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전반적으로 이는 서버용 기술 인프라, 데이터 센터, 네트워킹에 주로 사용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한편 “알파벳과 대형 기술 기업들은 엔비디아의 GPU가 탑재된 차세대 인공지능 인프라를 갖춘 데이터센터를 신속하게 구축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지난달 메타 플랫폼스(META)는 인공지능 투자 강화를 위해 올해 600억~65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발표했으며, 마이크로소프트(MSFT) 는 FY25(’24년 7월~’25년 6월)에 인공지능 관련 자본 지출로 8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약속했다”고 전했다.
CNBC는 “알파벳(GOOGL)의 순다르 피차이 CEO는 인공지능 서비스 확장을 계속하면서 또 한 번의 대규모 지출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고보도했다. 4일(화) ‘24년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피차이 CEO는 “앞으로의 기회에 대해 확신하고 있으며, 발전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해 ‘25년에 약 750억 달러의 자본 지출을 투자할 것이다”고 예상했다. 이는 컨센서스인 597.3억 달러를 상회하는 것이다. 이어 매체는 “’24년 4분기 실적 발표에서 알파벳은 ‘25년 자본지출 계획 중 160억~180억 달러가 1분기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전반적으로 이는 서버용 기술 인프라, 데이터 센터, 네트워킹에 주로 사용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한편 “알파벳과 대형 기술 기업들은 엔비디아의 GPU가 탑재된 차세대 인공지능 인프라를 갖춘 데이터센터를 신속하게 구축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지난달 메타 플랫폼스(META)는 인공지능 투자 강화를 위해 올해 600억~65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발표했으며, 마이크로소프트(MSFT) 는 FY25(’24년 7월~’25년 6월)에 인공지능 관련 자본 지출로 8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약속했다”고 전했다.


04.02.202509:31
• 모건스탠리: 주요 고객사인 마이크로소프트의 자본 지출 둔화로 인해 2025년 엔비디아 GB200 칩 출하량 예측을 3-3.5만 개에서 2-2.5만 개로 하향 조정, 최악의 경우 2만 개 미만으로 하락할 수 있다고 언급. 이로 인해 공급망에 300억~350억 달러 규모의 타격받을 것으로 추정
•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의 성장 사이클이 2025년 상반기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높지만, 이후 4분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이 한 자릿수로 둔화될 수 있다고 예측
>摩根士丹利称,随着大客户微软资本支出放缓,2025年英伟达GB200芯片出货量预测从3-3.5万件下调至2-2.5万件,最差低于2万,或对供应链造成300亿至350亿美元冲击。大摩预测,云计算市场增长周期或持续至2025年上半年,随后第四季度同比增速可能降至个位数。
•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의 성장 사이클이 2025년 상반기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높지만, 이후 4분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이 한 자릿수로 둔화될 수 있다고 예측
>摩根士丹利称,随着大客户微软资本支出放缓,2025年英伟达GB200芯片出货量预测从3-3.5万件下调至2-2.5万件,最差低于2万,或对供应链造成300亿至350亿美元冲击。大摩预测,云计算市场增长周期或持续至2025年上半年,随后第四季度同比增速可能降至个位数。
02.02.202503:51
https://blog.naver.com/onion_asset/223745030709
투자레터 형식의 월말결산 시작합니다
투자레터 형식의 월말결산 시작합니다
转发自: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3.01.202513:24
제목 : GE 베르노바(GEV), 우수한 실적 가시성 긍정적 씨티 외 *연합인포맥스*
씨티의 애널리스트는 전력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하면서, GEV 베르노바의 실적 가시성이 밝다고 정리했다. “GE 베르노바는 전력 수요 증가로부터 매출과 수익을 확대하기에 유리한 기업으로, 견고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25년 이후의 가시성이 밝다”고 발언했다. “다만 GE 베르노바의 밸류에이션은 이미 강력한 성장 전망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시점에서 리스크 대비 보상 비율은 균형잡혀있다”고 판단했다. 투자의견 중립을 유지했지만, 목표주가는 361달러에서 437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바클레이즈의 애널리스트는 “우수한 실행력과 제한적인 경쟁 환경을 고려했을 때, GE 베르노바는 매력적인 영업 레버리지를 누리면서 실적성장세를 보여줄 것이다. 유틸리티 인프라 구축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도 GE 베르노바의 매력적인 지위를 지지한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 비중확대를 유지했고, 목표주가를 420달러에서 487달러로 상향했다.
씨티의 애널리스트는 전력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하면서, GEV 베르노바의 실적 가시성이 밝다고 정리했다. “GE 베르노바는 전력 수요 증가로부터 매출과 수익을 확대하기에 유리한 기업으로, 견고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25년 이후의 가시성이 밝다”고 발언했다. “다만 GE 베르노바의 밸류에이션은 이미 강력한 성장 전망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시점에서 리스크 대비 보상 비율은 균형잡혀있다”고 판단했다. 투자의견 중립을 유지했지만, 목표주가는 361달러에서 437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바클레이즈의 애널리스트는 “우수한 실행력과 제한적인 경쟁 환경을 고려했을 때, GE 베르노바는 매력적인 영업 레버리지를 누리면서 실적성장세를 보여줄 것이다. 유틸리티 인프라 구축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도 GE 베르노바의 매력적인 지위를 지지한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 비중확대를 유지했고, 목표주가를 420달러에서 487달러로 상향했다.
转发自:
루팡

06.02.202503:00
실리콘 포토닉스 진행 상황, TSMC 예상 초과? 광통신 CPO 본격 준비 돌입
실리콘 포토닉스 기반의 광학 공패키징(CPO) 기술 개발이 가속화되며, 2025년 시장 준비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TSMC는 실리콘 포토닉스 CPO 기술이 양산되기까지 1년에서 1년 반 이상이 걸릴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지만, 광통신 업계는 최근 CPO 개발 속도가 빨라지고 있으며, 2025년 시범 생산 라인이 소량 출하를 시작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2026년 하반기 CPO 출하가 중요한 이정표를 달성할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AI와 광통신 기술의 결합
AI가 데이터 계산 및 전송량의 폭발적인 증가를 촉진하면서 광통신 업계는 실리콘 포토닉스 CPO 핵심 기술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존 구리 선로가 가진 전송 속도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함입니다.
업계는 CPO 개발이 공급망 통합과 관련된 다양한 변수를 가지고 있다고 언급했으며, TSMC가 이 기술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2025년 말에서 2026년 초, 1.6T CPO 모듈이 소량 출하를 시작할 가능성이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이는 산업적 선언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입니다.
주요 기술 및 산업 영향
전통적인 신호 전송 방식은 200G를 초과할 경우 신호 손실이 발생하고, 구리 케이블 수요가 증가하며 전력 소모 및 열 방출 문제가 심화됩니다. NVIDIA의 차세대 플랫폼 Rubin이 NVLink 6.0 사양 단계에 진입하면 데이터 전송량이 증가할 것이며, CPO 모듈 도입이 필수적으로 필요해질 것입니다.
업계는 2027년 Rubin Ultra가 처음으로 CPO 기술을 탑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CPO 양산이 2027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TSMC는 고급 패키징 SoIC 기술을 활용해 EIC(전자 집적회로)와 PIC(광 집적회로)를 실리콘 중개층을 통해 연결할 계획입니다. 이 기술이 검증을 성공적으로 마치면 생산 공정 문제가 대부분 해결될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FAU(광섬유 배열 장치)는 외부 광섬유 연결과 관련된 미세 광학 시스템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며, TSMC는 협력 업체와 함께 이를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주요 공급망 파트너 및 미래 전망
- 상천(AccuTech): TSMC와 CPO 개발에 긴밀히 협력하며, 2025년 CPO 관련 제품의 소량 출하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2025년 17.7억 대만달러(약 7,000만 달러)를 투자해 설비 및 차세대 기술 연구 개발에 사용할 계획입니다.
- 합성(Helios Tech): 일본 광섬유 모듈 대기업과 협력해 PIC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2025년 FAU 제품의 소량 출하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연아(Uniwafer): 실리콘 포토닉스 강세로 2025년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56% 증가한 약 4.5억 대만달러(약 1,8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광통신 산업의 주요 업체들은 CPO 기술 도입이 데이터센터 및 AI 서버의 병목 현상을 해결하고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https://www.digitimes.com.tw/tech/dt/n/shwnws.asp?CnlID=1&Cat=40&id=0000713605_W7G739VBL74ZAL6BQEG6U
실리콘 포토닉스 기반의 광학 공패키징(CPO) 기술 개발이 가속화되며, 2025년 시장 준비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TSMC는 실리콘 포토닉스 CPO 기술이 양산되기까지 1년에서 1년 반 이상이 걸릴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지만, 광통신 업계는 최근 CPO 개발 속도가 빨라지고 있으며, 2025년 시범 생산 라인이 소량 출하를 시작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2026년 하반기 CPO 출하가 중요한 이정표를 달성할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AI와 광통신 기술의 결합
AI가 데이터 계산 및 전송량의 폭발적인 증가를 촉진하면서 광통신 업계는 실리콘 포토닉스 CPO 핵심 기술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존 구리 선로가 가진 전송 속도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함입니다.
업계는 CPO 개발이 공급망 통합과 관련된 다양한 변수를 가지고 있다고 언급했으며, TSMC가 이 기술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2025년 말에서 2026년 초, 1.6T CPO 모듈이 소량 출하를 시작할 가능성이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이는 산업적 선언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입니다.
주요 기술 및 산업 영향
전통적인 신호 전송 방식은 200G를 초과할 경우 신호 손실이 발생하고, 구리 케이블 수요가 증가하며 전력 소모 및 열 방출 문제가 심화됩니다. NVIDIA의 차세대 플랫폼 Rubin이 NVLink 6.0 사양 단계에 진입하면 데이터 전송량이 증가할 것이며, CPO 모듈 도입이 필수적으로 필요해질 것입니다.
업계는 2027년 Rubin Ultra가 처음으로 CPO 기술을 탑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CPO 양산이 2027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TSMC는 고급 패키징 SoIC 기술을 활용해 EIC(전자 집적회로)와 PIC(광 집적회로)를 실리콘 중개층을 통해 연결할 계획입니다. 이 기술이 검증을 성공적으로 마치면 생산 공정 문제가 대부분 해결될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FAU(광섬유 배열 장치)는 외부 광섬유 연결과 관련된 미세 광학 시스템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며, TSMC는 협력 업체와 함께 이를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주요 공급망 파트너 및 미래 전망
- 상천(AccuTech): TSMC와 CPO 개발에 긴밀히 협력하며, 2025년 CPO 관련 제품의 소량 출하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2025년 17.7억 대만달러(약 7,000만 달러)를 투자해 설비 및 차세대 기술 연구 개발에 사용할 계획입니다.
- 합성(Helios Tech): 일본 광섬유 모듈 대기업과 협력해 PIC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2025년 FAU 제품의 소량 출하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연아(Uniwafer): 실리콘 포토닉스 강세로 2025년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56% 증가한 약 4.5억 대만달러(약 1,8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광통신 산업의 주요 업체들은 CPO 기술 도입이 데이터센터 및 AI 서버의 병목 현상을 해결하고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https://www.digitimes.com.tw/tech/dt/n/shwnws.asp?CnlID=1&Cat=40&id=0000713605_W7G739VBL74ZAL6BQEG6U
转发自:
하나증권/에너지소재/윤재성

05.02.202502:30
*중동-중국 간 유조선(VLCC) 해상운임 재차 급등
- 중동-중국 간 VLCC 운임 가격 DoD + 2.1%, WoW +25.2%
- 1)2022년 이후 Dark Fleet의 운항 기간 연장으로 제재를 준수하는 유조선 공급 증가는 제한적인 상황에서
- 2)Dark Fleet 제재로 인한 러시아 원유를 주로 운반해온 수프라막스/아프라막스급 수요가 VLCC로 이동하는 수요가 발생하고
- 3)미국에 대한 중국의 보복 관세(2/10일부터 미국 원유에 대해 10% 관세 부과)로 미국 원유를 대체하기 위한 중동산 수입 수요 증가 때문. 참고로, 중국의 미국산 원유 수입 비중은 2% 미만에 불과하긴 함
- 4)트럼프의 이란 원유 수출을 Zero로 만드는 최대 압박 캠페인 복원에 대한 행정명령 서명도 중국의 대체선 모색의 필요성을 강화
- 캐나다 원유의 아시아 유입, 사우디 원유의 미국향 수출 확대 가능성, 이란/러시아를 대체하기 위한 중국의 대체선 모색 등으로 중동-중국 VLCC 운임은 당분간 강세 가능성 농후
- 투자 아이디어는 1) VLCC 선대를 많이 보유한 글로벌 업체 수혜 2) 중국 Teapot 원가구조 악화에 따른 아시아 정유업체 반사수혜
- 중동-중국 간 VLCC 운임 가격 DoD + 2.1%, WoW +25.2%
- 1)2022년 이후 Dark Fleet의 운항 기간 연장으로 제재를 준수하는 유조선 공급 증가는 제한적인 상황에서
- 2)Dark Fleet 제재로 인한 러시아 원유를 주로 운반해온 수프라막스/아프라막스급 수요가 VLCC로 이동하는 수요가 발생하고
- 3)미국에 대한 중국의 보복 관세(2/10일부터 미국 원유에 대해 10% 관세 부과)로 미국 원유를 대체하기 위한 중동산 수입 수요 증가 때문. 참고로, 중국의 미국산 원유 수입 비중은 2% 미만에 불과하긴 함
- 4)트럼프의 이란 원유 수출을 Zero로 만드는 최대 압박 캠페인 복원에 대한 행정명령 서명도 중국의 대체선 모색의 필요성을 강화
- 캐나다 원유의 아시아 유입, 사우디 원유의 미국향 수출 확대 가능성, 이란/러시아를 대체하기 위한 중국의 대체선 모색 등으로 중동-중국 VLCC 운임은 당분간 강세 가능성 농후
- 투자 아이디어는 1) VLCC 선대를 많이 보유한 글로벌 업체 수혜 2) 중국 Teapot 원가구조 악화에 따른 아시아 정유업체 반사수혜


03.02.202512:25
스타게이트, AI 규제 해제, 딥시크…. 2025년 미국 데이터센터 시장 조망
AI 상용화에 따라 폭발적으로 증가한 데이터 처리량을 수용하기 위해 미국을 비롯, 전세계 데이터센터 수요는 2030년까지 3배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이 중 51%는 미국이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이 형성되어 있다. 현재 미국의 4대 데이터센터 시장은 북부 버지니아, 댈러스-포트워스, 시카고, 그리고 실리콘밸리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2024년 1분기 미국 데이터센터 용량은 807.5MW 증가해 전년 동기 대비 24.4%의 증가율을 기록했음에도 공실률이 역대 최저치인 2.4%를 기록할 정도로 공급 부족 단계에 임박해 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AI 규제 해제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가 의미하는 것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출범 직후 기존 바이든 행정부가 발표한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의 개발 및 활용에 관한 행정명령’을 폐지했다. 이와 더불어 트럼프 대통령은 데이터센터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언했다. 이 선언을 통해 연방 정부는 데이터센터와 관련된 에너지 인프라 개발에 대해 환경 허가 검토 요구를 면제하고, 필요한 인가 절차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게 됐다.
스타게이트 합작 투자의 초기 자본 투자는 소프트뱅크, 오픈AI, 오라클, MGX이며, 주요 초기 기술 파트너는 Arm,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오라클, 오픈AI인 것으로 알려졌다.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미국 내에서 최대 20개의 대규모 AI 데이터센터를 건설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며, 첫 투자금은 1000억 달러에 이르고, 2029년까지 5000억 달러까지 늘어날 계획이다.
이 중 10개 데이터센터는 이미 건설 중이다. 특히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첫번째 데이터센터로 거론되고 있는 텍사스주 에이블린의 데이터센터는 이미 1년 전에 오라클과 오픈AI가 협력해 건설에 착공한 것으로 수만 개의 A100 GPU를 갖춘 규모라고 보도된 바 있다. 현장 평가가 완료되면 프로젝트는 다른 위치로 확장될 예정이며, 초기 목표는 각각 50만 평방피트 크기의 10개 데이터센터를 건설한 후, 미국 전역에 추가로 10개의 데이터센터를 확장하는 것이다.
미국 데이터센터 시장의 도전과제는?
데이터센터 건설에는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다. 실제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만 해도 2029년까지 5000억 달러를 확보해야 하지만,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가 초기 자금 조달에 의문을 제기하는 등 자금 마련 자체에 불확실성이 크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고, 정부의 개입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또한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운영에 필요한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지 불확실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에너지 부족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및 기타 데이터센터 건설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미국은 문제 해결을 위해 핵 에너지나 수소 같은 대체 에너지원 활용을 적극 고려할 가능성도 있다.
한편, 앞으로 개발될 ‘저비용 고성능 AI 모델’이 향후 미국의 데이터센터 산업에 미칠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 딥시크는 메모리 사용량을 기존 대비 75%까지 감소시켰고, 멀티 토큰 시스템을 도입해 데이터 처리 효율을 높였으며, 모든 정보를 하나의 모델이 처리하는 대신 필요에 따라 전문가 시스템을 호출하는 방식으로 설계해 AI 모델의 개발 비용을 크게 절감하면서도 높은 성능을 유지했다는 점에서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 AI 업계를 놀라게 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딥시크 측의 주장에 과장된 마케팅 요소가 포함되었을 수 있으며, 구체적이고 검증된 자료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엔비디아, AMD 등이 주도하는 AI 서버 시장에서 한국의 관련 기업들은 AI용 메모리 반도체, SSD, 전력반도체, 냉각 솔루션 등의 미국 공급을 확대할 수 있다. 에너지 및 인프라 기업들이라면 데이터센터 내 전력 공급 및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도 있다. 미국 데이터센터 시장의 가장 큰 도전과제는 전력 수급 문제로, 태양광, 수소 에너지 등의 신재생 에너지 및 냉각 솔루션을 보유한 기업들이라면 미국 데이터센터와 협력해 시장 진출을 모색할 수도 있다.
[본문 링크]
AI 상용화에 따라 폭발적으로 증가한 데이터 처리량을 수용하기 위해 미국을 비롯, 전세계 데이터센터 수요는 2030년까지 3배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이 중 51%는 미국이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이 형성되어 있다. 현재 미국의 4대 데이터센터 시장은 북부 버지니아, 댈러스-포트워스, 시카고, 그리고 실리콘밸리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2024년 1분기 미국 데이터센터 용량은 807.5MW 증가해 전년 동기 대비 24.4%의 증가율을 기록했음에도 공실률이 역대 최저치인 2.4%를 기록할 정도로 공급 부족 단계에 임박해 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AI 규제 해제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가 의미하는 것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출범 직후 기존 바이든 행정부가 발표한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의 개발 및 활용에 관한 행정명령’을 폐지했다. 이와 더불어 트럼프 대통령은 데이터센터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언했다. 이 선언을 통해 연방 정부는 데이터센터와 관련된 에너지 인프라 개발에 대해 환경 허가 검토 요구를 면제하고, 필요한 인가 절차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게 됐다.
스타게이트 합작 투자의 초기 자본 투자는 소프트뱅크, 오픈AI, 오라클, MGX이며, 주요 초기 기술 파트너는 Arm,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오라클, 오픈AI인 것으로 알려졌다.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미국 내에서 최대 20개의 대규모 AI 데이터센터를 건설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며, 첫 투자금은 1000억 달러에 이르고, 2029년까지 5000억 달러까지 늘어날 계획이다.
이 중 10개 데이터센터는 이미 건설 중이다. 특히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첫번째 데이터센터로 거론되고 있는 텍사스주 에이블린의 데이터센터는 이미 1년 전에 오라클과 오픈AI가 협력해 건설에 착공한 것으로 수만 개의 A100 GPU를 갖춘 규모라고 보도된 바 있다. 현장 평가가 완료되면 프로젝트는 다른 위치로 확장될 예정이며, 초기 목표는 각각 50만 평방피트 크기의 10개 데이터센터를 건설한 후, 미국 전역에 추가로 10개의 데이터센터를 확장하는 것이다.
미국 데이터센터 시장의 도전과제는?
데이터센터 건설에는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다. 실제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만 해도 2029년까지 5000억 달러를 확보해야 하지만,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가 초기 자금 조달에 의문을 제기하는 등 자금 마련 자체에 불확실성이 크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고, 정부의 개입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또한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운영에 필요한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지 불확실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에너지 부족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및 기타 데이터센터 건설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미국은 문제 해결을 위해 핵 에너지나 수소 같은 대체 에너지원 활용을 적극 고려할 가능성도 있다.
한편, 앞으로 개발될 ‘저비용 고성능 AI 모델’이 향후 미국의 데이터센터 산업에 미칠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 딥시크는 메모리 사용량을 기존 대비 75%까지 감소시켰고, 멀티 토큰 시스템을 도입해 데이터 처리 효율을 높였으며, 모든 정보를 하나의 모델이 처리하는 대신 필요에 따라 전문가 시스템을 호출하는 방식으로 설계해 AI 모델의 개발 비용을 크게 절감하면서도 높은 성능을 유지했다는 점에서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 AI 업계를 놀라게 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딥시크 측의 주장에 과장된 마케팅 요소가 포함되었을 수 있으며, 구체적이고 검증된 자료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엔비디아, AMD 등이 주도하는 AI 서버 시장에서 한국의 관련 기업들은 AI용 메모리 반도체, SSD, 전력반도체, 냉각 솔루션 등의 미국 공급을 확대할 수 있다. 에너지 및 인프라 기업들이라면 데이터센터 내 전력 공급 및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도 있다. 미국 데이터센터 시장의 가장 큰 도전과제는 전력 수급 문제로, 태양광, 수소 에너지 등의 신재생 에너지 및 냉각 솔루션을 보유한 기업들이라면 미국 데이터센터와 협력해 시장 진출을 모색할 수도 있다.
[본문 링크]
31.01.202516:30
https://www.eaton.com/us/en-us/company/investor-relations/financial-presentations-webcasts.html
#ETN #전력기기
이튼 24.4Q실적발표
Diluted eps : 2.45 (2.54, Miss)
adjusted eps : 2.83 (2.81, In-Line)
매출 : 6,240M (6,337.6M, Miss)
25.1Q가이던스
EPS Normalized Estimate : 2.65~2.75(2.70, In-Line)
25년 가이던스
매출 : 7~9%
adjusted eps : 11.8~12.2(컨센 : 12.00)
FCF : 3.7B~4.1B(컨센 : 4B)
#ETN #전력기기
이튼 24.4Q실적발표
Diluted eps : 2.45 (2.54, Miss)
adjusted eps : 2.83 (2.81, In-Line)
매출 : 6,240M (6,337.6M, Miss)
25.1Q가이던스
EPS Normalized Estimate : 2.65~2.75(2.70, In-Line)
25년 가이던스
매출 : 7~9%
adjusted eps : 11.8~12.2(컨센 : 12.00)
FCF : 3.7B~4.1B(컨센 : 4B)
转发自:
키움증권 미국주식 톡톡

24.01.202516:48
제목 : 메타(META), '25년 자본지출 600억~650억 달러 예고 *연합인포맥스*
메타 플랫폼스가 '25년에 걸쳐 600억~650억 달러의 자본지출을 집행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는 월가에서 500억 달러 초반대 자본지출을 예상했던 것보다 큰 규모이다. 메타의 저커버그 CEO는 Facebook 게시글에서, 이러한 자본지출을 통해 R&D에 기여할 수 있는 인공지능 엔지니어를 개발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메타 플랫폼스가 '25년에 걸쳐 600억~650억 달러의 자본지출을 집행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는 월가에서 500억 달러 초반대 자본지출을 예상했던 것보다 큰 규모이다. 메타의 저커버그 CEO는 Facebook 게시글에서, 이러한 자본지출을 통해 R&D에 기여할 수 있는 인공지능 엔지니어를 개발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23.01.202509:21
转发自:
Fundeasy_최이지

06.02.202502:29
신한투자증권
2월 6일(목)부터 온라인에서 일본주식 단주 주문이 가능합니다.
※ 단주란 매매단위(일반적으로 100주)보다 낮은 수량 단주 주문은 HTS/MTS 주문화면에서 주문유형을 ‘단주’로 변경하여 매매단위와 관계없이 1주 단위로 쉽게 주문할 수 있습니다. 아래 세부 내용을 확인하시고 매매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문 세부 내용
- 주문 시간: 오전장: 09:00 ~ 11:20 / 오후장: 12:30 ~ 15:20
- 주문 가격: 매수의 경우 당일 상한가 기준
- 체결 시간: 오전장: 11:30 / 오후장: 15:30
- 체결 가격: 오전, 오후 장 마감 가격 - 주문 유형: MOC(Market on Close) : MOC주문은 종가 체결 방식으로 일본 단주주문의 경우 주문시간에 따라 오전장과 오후장 종가로 체결됩니다.
※ 단주 주문 체결의 경우 현지에서 순차적 체결에 따라 체결값이 1~10분 지연되어 들어올 수 있습니다.
◎ 유의사항
- 신규 상장 종목을 매수 할 경우 시세급등으로 인하여 미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주문 수량이 단주 수량을 초과하는 경우 주문이 불가합니다. ex) 매매단위가 100주인 주식을 단주 주문으로 101주 주문 넣는 경우 주문 거부
감사합니다.
转发自:
루팡



05.02.202502:28
구글 2025년 자본 지출 가이던스는 $75B로 컨센서스 $58B 대비 크게 상회하며, 전년 대비 4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구글 클라우드 매출이 예상치를 하회함. $11.96B로 컨센서스 $12.2B 대비 미달했으며, 연간 성장률도 32~33% 예상치 대비 30%로 둔화됨.
4분기 자본 지출은 $14.3B로 컨센서스 $13.2B보다 높았으며, 분기별 가이던스는 거의 변동이 없음.
2025년 자본 지출 가이던스는 분기 평균 약 $17.5B로, 4분기 $14.3B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구글 클라우드 매출이 예상치를 하회함. $11.96B로 컨센서스 $12.2B 대비 미달했으며, 연간 성장률도 32~33% 예상치 대비 30%로 둔화됨.
4분기 자본 지출은 $14.3B로 컨센서스 $13.2B보다 높았으며, 분기별 가이던스는 거의 변동이 없음.
2025년 자본 지출 가이던스는 분기 평균 약 $17.5B로, 4분기 $14.3B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03.02.202501:51
31.01.202508:40
[삼성 문준호의 반.전] 4분기 실적 발표 일정 업데이트
남은 업체들의 실적 발표 일정(확정)을 공유 드립니다. 한국 시간 기준으로,
■ 반도체/하드웨어
- 2/4 (화) 오후: 인피니언, NXP세미콘덕터
- 2/5 (수) 오전: AMD
- 2/6 (목) 오전: 퀄컴, Arm Holdings, 코히런트
- 2/7 (금) 오후: 미디어텍
- 2/10 (월) 오후: 온 세미컨덕터
- 2/11 (화) 오후: 글로벌 파운드리
- 2/14 (금) 오전: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 2/19 (수) 오전: 아리스타 네트웍스, 케이던스
- 2/20 (목) 오전: 아날로그 디바이시스
- 2/26 (수) 오전: Dell
- 2/27 (목) 오전: 엔비디아, 시놉시스
■ 빅테크
- 2/5 (수) 오전: 알파벳
- 2/7 (금): 아마존
계속 업데이트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남은 업체들의 실적 발표 일정(확정)을 공유 드립니다. 한국 시간 기준으로,
■ 반도체/하드웨어
- 2/4 (화) 오후: 인피니언, NXP세미콘덕터
- 2/5 (수) 오전: AMD
- 2/6 (목) 오전: 퀄컴, Arm Holdings, 코히런트
- 2/7 (금) 오후: 미디어텍
- 2/10 (월) 오후: 온 세미컨덕터
- 2/11 (화) 오후: 글로벌 파운드리
- 2/14 (금) 오전: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 2/19 (수) 오전: 아리스타 네트웍스, 케이던스
- 2/20 (목) 오전: 아날로그 디바이시스
- 2/26 (수) 오전: Dell
- 2/27 (목) 오전: 엔비디아, 시놉시스
■ 빅테크
- 2/5 (수) 오전: 알파벳
- 2/7 (금): 아마존
계속 업데이트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3.01.202509:08
https://m.blog.naver.com/onion_asset/223456644768
아이디어가 진짜 실행될 시간
아이디어가 진짜 실행될 시간
05.02.202508:25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1월 대만 EMC(엔비디아향 CCL 공급업체, 두산전자 Peer) 매출액 6,986.2백만대만달러(+9.0% MoM, +55.8% YoY) 발표
- EMC의 4Q24 ~ 1월 매출 성장은 미국 ASIC AI 고객향 소재를 M8로 업그레이드하고 대량 출하한 효과로, Nvidia H100 물량 감소와 Apple의 성수기 종료로 인한 계절적 감소를 상쇄
- M8 등급 소재가 작년 4분기에 처음으로 대량으로 출하됨에 따라 평균 ASP 또한 상당히 상승한 것으로 추정
- 2025년 EMC는 현재의 M8 등급 소재보다 사양이 높은 소재를 사용하는 Nvidia GB200 및 GB300 NVL 스위치 패널의 주요 공급업체가 될 것으로 기대
- 또한 CSP 제조업체로부터 대부분의 ASIC AI 주문을 수주했으며, 스위치 400G → 800G로 업그레이드 과정 속에서의 시장 점유율 추가 확대 예상
(자료: EMC ir)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1월 대만 EMC(엔비디아향 CCL 공급업체, 두산전자 Peer) 매출액 6,986.2백만대만달러(+9.0% MoM, +55.8% YoY) 발표
- EMC의 4Q24 ~ 1월 매출 성장은 미국 ASIC AI 고객향 소재를 M8로 업그레이드하고 대량 출하한 효과로, Nvidia H100 물량 감소와 Apple의 성수기 종료로 인한 계절적 감소를 상쇄
- M8 등급 소재가 작년 4분기에 처음으로 대량으로 출하됨에 따라 평균 ASP 또한 상당히 상승한 것으로 추정
- 2025년 EMC는 현재의 M8 등급 소재보다 사양이 높은 소재를 사용하는 Nvidia GB200 및 GB300 NVL 스위치 패널의 주요 공급업체가 될 것으로 기대
- 또한 CSP 제조업체로부터 대부분의 ASIC AI 주문을 수주했으며, 스위치 400G → 800G로 업그레이드 과정 속에서의 시장 점유율 추가 확대 예상
(자료: EMC ir)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转发自:
카이에 de market



31.01.202505:41
"시장이 가장 크게 오해하고 있는 것은 기업들이 DeepSeek의 방법을 사용하면 GPU를 덜 사용해도 된다는 점이다. 하지만 사실, DeepSeek의 저비용 훈련은 확장가능('scalable')하다. 기본적으로 GPU를 더 추가하면 성능이 개선된다. 이것은 스케일링 법칙의 진보이다. (위 그림) DeepSeek 출현 이전, 스케일링 법칙은 둔화되고 있었다. 하지만 DeepSeek는 스케일링 법칙을 다시 되돌려놓았다"
by @JundeMorsenWu, 옥스포드 공학박사, 이전 바이두 수석 과학자
by @JundeMorsenWu, 옥스포드 공학박사, 이전 바이두 수석 과학자
23.01.202523:50
[신한투자증권 통신서비스/SW 김아람]
통신장비; 미국 광통신 투자와 BEAD 프로그램
▶️ 미국 광통신 투자는 향후 수 십년간 일어날 변화
- 트럼프 2기 정부에서 투자가 늘어날 또 하나의 분야가 인터넷. 미국 광통신 인프라 투자 확대 수혜를 누릴 수 있는 기업들에 훈풍 기대
▶️ 이미 시작된 광통신 인터넷 전환
- 미국 인터넷 시장은 향후 몇 년간 케이블 → 광통신 전환이 활발할 것. 한국 광통신 침투율이 03년 8% → 10년 55% → 24년 90%로 빠르게 상승한 점을 참고하면 현재 20% 수준인 미국 침투율도 빠르게 올라올 전망
- 시장성을 확인한 회사들의 투자도 빨라지고 있음. 인터넷 시장에 진출하려는 통신사와 기존 가입자를 지키려는 케이블TV사가 경쟁적으로 투자를 확대. 특히 통신사는 24년에만 250억달러(35조원) 규모의 M&A를 발표할 정도로 투자 의지 강력
▶️ BEAD 프로그램로 전환 속도는 더욱 빨라질 전망
- 25년에는 BEAD 프로그램 자금 집행도 시작. 바이든 정부는 BEAD 프로그램을 통해 인터넷 인프라 구축에 424억달러(60조원)를 지원하기로 약속. 21~24년에는 서류 작업만이 이뤄졌지만 이제는 실질적인 예산 집행을 앞둠. 현재까지 3개 주가 Final Proposal을 제출했으며, 루이지아나 주는 향후 100일내 자금 집행을 시작할 예정
- 일각에서는 트럼프 행정부가 예산 효율화를 이유로 BEAD 프로그램을 중단할 수 있음을 우려. 그러나 불확실성은 점차 줄어들고 있음. 1/22 트럼프는 IRA 자금 집행 중단을 요구하면서 그린 뉴딜 분야만을 한정(산하 법안인 BEAD 집행은 막지 않음). 현지 전문지들 역시 예산을 그대로 집행하되, 일부를 광통신 → 위성/FWA에 할당하는 안이 유력하다고 평가. 대규모 예산이 풀리는 시점은 25년 하반기~26년 예상
▶️ 관심주: 대한광통신, 오이솔루션, 자람테크놀로지
- 미국 광통신 장비/부품 회사 중심으로 수혜가 예상되나 국내 기업 중 기대 재료가 있는 기업을 정리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353
위 내용은 2025년 1월 24일 8시 0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통신장비; 미국 광통신 투자와 BEAD 프로그램
▶️ 미국 광통신 투자는 향후 수 십년간 일어날 변화
- 트럼프 2기 정부에서 투자가 늘어날 또 하나의 분야가 인터넷. 미국 광통신 인프라 투자 확대 수혜를 누릴 수 있는 기업들에 훈풍 기대
▶️ 이미 시작된 광통신 인터넷 전환
- 미국 인터넷 시장은 향후 몇 년간 케이블 → 광통신 전환이 활발할 것. 한국 광통신 침투율이 03년 8% → 10년 55% → 24년 90%로 빠르게 상승한 점을 참고하면 현재 20% 수준인 미국 침투율도 빠르게 올라올 전망
- 시장성을 확인한 회사들의 투자도 빨라지고 있음. 인터넷 시장에 진출하려는 통신사와 기존 가입자를 지키려는 케이블TV사가 경쟁적으로 투자를 확대. 특히 통신사는 24년에만 250억달러(35조원) 규모의 M&A를 발표할 정도로 투자 의지 강력
▶️ BEAD 프로그램로 전환 속도는 더욱 빨라질 전망
- 25년에는 BEAD 프로그램 자금 집행도 시작. 바이든 정부는 BEAD 프로그램을 통해 인터넷 인프라 구축에 424억달러(60조원)를 지원하기로 약속. 21~24년에는 서류 작업만이 이뤄졌지만 이제는 실질적인 예산 집행을 앞둠. 현재까지 3개 주가 Final Proposal을 제출했으며, 루이지아나 주는 향후 100일내 자금 집행을 시작할 예정
- 일각에서는 트럼프 행정부가 예산 효율화를 이유로 BEAD 프로그램을 중단할 수 있음을 우려. 그러나 불확실성은 점차 줄어들고 있음. 1/22 트럼프는 IRA 자금 집행 중단을 요구하면서 그린 뉴딜 분야만을 한정(산하 법안인 BEAD 집행은 막지 않음). 현지 전문지들 역시 예산을 그대로 집행하되, 일부를 광통신 → 위성/FWA에 할당하는 안이 유력하다고 평가. 대규모 예산이 풀리는 시점은 25년 하반기~26년 예상
▶️ 관심주: 대한광통신, 오이솔루션, 자람테크놀로지
- 미국 광통신 장비/부품 회사 중심으로 수혜가 예상되나 국내 기업 중 기대 재료가 있는 기업을 정리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2353
위 내용은 2025년 1월 24일 8시 0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转发自:
Buff

23.01.202509:07
미국 백악관, '대규모 통신망 투자 프로그램은 안전하다'
- 백악관에서 발송한 메모를 통해,
"IRA에 관련된 지출 삭감에는 그린 에너지 관련만 해당된다."고 명확히 함
- 425억달러 규모의 미국 전역 대규모 통신망 투자 프로그램 "BEAD"에 대한 투자 지속여부 혼선이 있자, 백악관 예산 및 관리 부서가 직접 공식 발표
BREAKING: BEAD Spending Safe from Energy Executive Order, White House Says
https://broadbandbreakfast.com/breaking-bead-spending-safe-from-energy-executive-order-white-house-says/
백악관 발송 메모 전문
https://www.whitehouse.gov/briefings-statements/2025/01/omb-memo-m-25-11/?ref=broadbandbreakfast.com
- 백악관에서 발송한 메모를 통해,
"IRA에 관련된 지출 삭감에는 그린 에너지 관련만 해당된다."고 명확히 함
- 425억달러 규모의 미국 전역 대규모 통신망 투자 프로그램 "BEAD"에 대한 투자 지속여부 혼선이 있자, 백악관 예산 및 관리 부서가 직접 공식 발표
BREAKING: BEAD Spending Safe from Energy Executive Order, White House Says
https://broadbandbreakfast.com/breaking-bead-spending-safe-from-energy-executive-order-white-house-says/
백악관 발송 메모 전문
https://www.whitehouse.gov/briefings-statements/2025/01/omb-memo-m-25-11/?ref=broadbandbreakfast.com
显示 1 - 24 共 138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