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김희제입니다. Tesla 및 간략한 연내, 중장기 EV 시장 전망 리포트 업데이트 드립니다. 본 리포트는 매수 혹은 매도 추천 리포트가 아님을 밝힙니다. 감사합니다.
[Investment Point]
-Model Y Juniper & Q 출시 2025년 02월 18일부로 상하이 공장에서 새로운 버전의 Model Y Juniper를 대량 양산하기 시작했고 5seats, 7seats 등 다양한 옵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동시에 저가형 모델인 Model Q(2)를 상반기 내로 출시할 예정이다. Model Q는 약 3만 달러 미만의 합리적인 가격으로 출시될 예정이며 미국 현지 세액공제를 받을 경우 실제 구매 가격이 3만 달러를 하회하게 된다. 이는 2024년 북미 내 평균 전기차 판매 가격 대비 -46.0% 하락한 수치로 내연기관과 비교해도 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예상된다.
-Energy 사업부 매출액 및 수익성 증가 기대감 존재 에너지 사업부의 급격한 성장이 기대된다. 동사의 주력 제품인 Powerwall 및 Megapack을 중심으로 한 에너지 저장 솔루션이 글로벌 시장에서 호응을 얻으며 매출과 수익성 모두 크게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Powerwall은 가정용 에너지 저장 솔루션으로, 13.5kWh의 용량을 갖추고 있으며 태양광 패널과 연계하여 가정의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는 제품이다. 전기차 충전이나 가정용 전력 공급에 활용되며,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25년 Powerwall 3 출시를 계획하고 있어 경쟁력 강화 및 매출액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2024년 Powerwall과 Megapack의 합계 설치량은 +113.6% 증가한 바 있다. 특히 주목할만한 점은 에너지 사업의 마진이 15.1%에 달했다는 점으로 높은 매출액 증가율을 기록하는 동시에 고수익 사업으로 현금흐름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추정된 동 사업부의 2025년 및 026년 매출액은 각 +18.5% YoY, +30.6% YoY 증가할 전망이다.
-FSD 중국 출시 및 Robotaxi, Optimus 등 본격적인 시장 진입 예정 FSD 허가 및 Robotaxi 진출에 따른 1) 기존 모델 판매량 증가, 2) FSD 구독료 수입 증가가 기대된다. Tesla는 FSD를 연내 1분기 중 중국과 유럽에서 판매할 계획을 밝혔는데, 규제 승인 절차 등의 문제 해결이 관건이다. FSD의 월 구독료는 $99으로 북미 시장 운행 수 약 255만 명, 추정 가입자 수 37.5만 명 기준 구독률은 약 15%로 추정된다. 때문에 중국과 유럽 내 판매가 개시된다면 구독료 수입과 FSD 활용을 위한 모델 판매가 두드러지게 증가할 전망이다. Robotaxi에 따른 부가적인 수입 또한 예상되며 UBS는 2030년 Robotaxi 시장 규모를 최대 2조 달러로 예상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인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본 기업가치 평가 시 기관들의 자율주행 사업 가치 최저치인 $800,000M을 반영해 주었다.
엘앤에프가 1분기부터 4분기 누적 순손실을 기록했음에도 불구 영업활동현금이 (+)개선된 이유는 매출채권과 기타채권 그리고 재고자산이 두드러지게 감소했기 때문입니다. 비현금 항목 조정과 운전자본 변화로 현금 관리 능력이 개선된 것은 사실이나 '긍정적 현금 Trend 지속 유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입장입니다.
본래 특정 시장에 대한 구조 서술 중심의 책은 인공지능 발달로 인기가 없어지는 추세이나 불필요한 설명 없이 깔끔하게 서술되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었다.
아쉬웠던 점은 막바지 특례 상장 조건을 초석으로 일부 IT 기업 내지 콘텐츠 시장에 대해 설명하는 대목이 있는데 조금 부자연스러웠다. 오히려 시장이나 개별 기업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닌 소수의 기업을 기반으로 대체투자 구조를 보다 세세히 설명해 줬다면 더 만족스러웠을 것 같다.
05.02.202502:54
📩폴스타4, SK온 배터리 탑재 유력
올 하반기 르노코리아 부산공장에서 생산될 폴스타4의 배터리셀 제조사에 대한 관심이 커질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상품 전체에 대한 10% 추가 관세를 시행한 만큼 폴스타4 국내 생산분 배터리셀 제조사는 중국이 아닌 우리나라 업체가 될 가능성이 높다. 업계에 따르면 폴스타4 국내 생산분의 배터리셀 제조사는 5일 기준으로 SK온이 유력하다.
안녕하세요, 김희제입니다. Tesla 및 간략한 연내, 중장기 EV 시장 전망 리포트 업데이트 드립니다. 본 리포트는 매수 혹은 매도 추천 리포트가 아님을 밝힙니다. 감사합니다.
[Investment Point]
-Model Y Juniper & Q 출시 2025년 02월 18일부로 상하이 공장에서 새로운 버전의 Model Y Juniper를 대량 양산하기 시작했고 5seats, 7seats 등 다양한 옵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동시에 저가형 모델인 Model Q(2)를 상반기 내로 출시할 예정이다. Model Q는 약 3만 달러 미만의 합리적인 가격으로 출시될 예정이며 미국 현지 세액공제를 받을 경우 실제 구매 가격이 3만 달러를 하회하게 된다. 이는 2024년 북미 내 평균 전기차 판매 가격 대비 -46.0% 하락한 수치로 내연기관과 비교해도 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예상된다.
-Energy 사업부 매출액 및 수익성 증가 기대감 존재 에너지 사업부의 급격한 성장이 기대된다. 동사의 주력 제품인 Powerwall 및 Megapack을 중심으로 한 에너지 저장 솔루션이 글로벌 시장에서 호응을 얻으며 매출과 수익성 모두 크게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Powerwall은 가정용 에너지 저장 솔루션으로, 13.5kWh의 용량을 갖추고 있으며 태양광 패널과 연계하여 가정의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는 제품이다. 전기차 충전이나 가정용 전력 공급에 활용되며,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25년 Powerwall 3 출시를 계획하고 있어 경쟁력 강화 및 매출액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2024년 Powerwall과 Megapack의 합계 설치량은 +113.6% 증가한 바 있다. 특히 주목할만한 점은 에너지 사업의 마진이 15.1%에 달했다는 점으로 높은 매출액 증가율을 기록하는 동시에 고수익 사업으로 현금흐름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추정된 동 사업부의 2025년 및 026년 매출액은 각 +18.5% YoY, +30.6% YoY 증가할 전망이다.
-FSD 중국 출시 및 Robotaxi, Optimus 등 본격적인 시장 진입 예정 FSD 허가 및 Robotaxi 진출에 따른 1) 기존 모델 판매량 증가, 2) FSD 구독료 수입 증가가 기대된다. Tesla는 FSD를 연내 1분기 중 중국과 유럽에서 판매할 계획을 밝혔는데, 규제 승인 절차 등의 문제 해결이 관건이다. FSD의 월 구독료는 $99으로 북미 시장 운행 수 약 255만 명, 추정 가입자 수 37.5만 명 기준 구독률은 약 15%로 추정된다. 때문에 중국과 유럽 내 판매가 개시된다면 구독료 수입과 FSD 활용을 위한 모델 판매가 두드러지게 증가할 전망이다. Robotaxi에 따른 부가적인 수입 또한 예상되며 UBS는 2030년 Robotaxi 시장 규모를 최대 2조 달러로 예상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인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본 기업가치 평가 시 기관들의 자율주행 사업 가치 최저치인 $800,000M을 반영해 주었다.
17일 산업계에 따르면 미국은 내년부터 ESS용을 포함한 중국산 리튬이온 배터리에 최대 38.4%의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이는 기존에 예고했던 대중국 관세 인상과 추가 관세가 더해진 결과다. 지난해 5월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7.5%인 비(非) 전기차용 리튬이온 배터리에 대한 대중국 관세를 내년부터 25%로 인상하겠다고 발표했다.
여기에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지난 4일 중국산 전 품목에 대해 10%의 추가 관세 부과를 결정하면서 리튬이온 배터리 관세는 일반 관세 3.4%를 더해 최대 38.4%까지 오를 예정이다.
본래 특정 시장에 대한 구조 서술 중심의 책은 인공지능 발달로 인기가 없어지는 추세이나 불필요한 설명 없이 깔끔하게 서술되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었다.
아쉬웠던 점은 막바지 특례 상장 조건을 초석으로 일부 IT 기업 내지 콘텐츠 시장에 대해 설명하는 대목이 있는데 조금 부자연스러웠다. 오히려 시장이나 개별 기업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닌 소수의 기업을 기반으로 대체투자 구조를 보다 세세히 설명해 줬다면 더 만족스러웠을 것 같다.
15.02.202505:12
BYD, 브라질 리튬 밸리 광산권 보유. 2023년 후반의 광물 채굴권 인수는 그 해 5월에 설립된 BYD 자회사인 Exploracao Mineral do Brasil이 수행했다고 문서에 기록돼 있어
또한 브라질에서 연간 15만 대 전기차 생산 가능 공장 건설 중으로 남미 시장 진출 가속화 계획
📩中, 인도네시아 니켈 정제시설 75% 장악...공급망 통제 우려. C4AD는 최근 펴낸 보고서에서 “지난 2023년 기준 인도네시아의 니켈 정제 용량은 총 800만t으로 이는 33개 기업에 분포돼 있다”면서 “그러나 주주 구조를 추적한 결과 상당수 기업이 중국 기업과 연결돼 있어 중국 기업들이 전체 정제 능력의 75%를 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엘앤에프가 1분기부터 4분기 누적 순손실을 기록했음에도 불구 영업활동현금이 (+)개선된 이유는 매출채권과 기타채권 그리고 재고자산이 두드러지게 감소했기 때문입니다. 비현금 항목 조정과 운전자본 변화로 현금 관리 능력이 개선된 것은 사실이나 '긍정적 현금 Trend 지속 유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입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