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일 공시를 통해 글로벌 제약사 GSK(시가총액 약 108조원)와의 Grabody-B(IGF1R 기반 뇌혈관장벽 투과도 개선 플랫폼) 기술이전 소식을 알리게 되었습니다.
본 계약은 당사의 계속될 플랫폼 계약의 시작으로서,
1. 글로벌에서도 손꼽히는 규모의 플랫폼 기술이전이며 2. IGF1R 기반 BBB 셔틀로서는 글로벌 최초의 플랫폼 기술이전 입니다. 3. 또한, 플랫폼 기술이전인 만큼 무한한 확장성(모달리티 X 타깃(에피톱 단위) 확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술이전의 총 계약규모는 약 4.1조원 (GBP 2,140,100,000)이며 계약금 및 단기 마일스톤으로 약 1,480억원 (GBP 77,100,000)을 수령하게 될 예정입니다. - 계약금 : 약 739억원 (GBP 38,500,000원) - 단기 마일스톤: 약 741억원 (GBP 38,600,000원) 또한, 로열티 역시 순매출에 따라 합의된 비율로 수령하게 됩니다.
이번 기술이전을 통해 GSK는
1. GSK가 보유하고 있는 복수의 신규 타깃(Novel Target)에 에이비엘바이오의 BBB셔틀(Grabody-B) 플랫폼을 적용하여 후보물질 개발 및 상업화를 진행할 수 있는 독점적 권리를 이전 받게 되며, 2. 항체 뿐만 아니라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Oligonucleotide) 또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Polynucleotide) 등의 모달리티(Modality)로의 확장된 연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Nucleotide의 대표적인 기술에는 siRNA, ASO 등이 있습니다.
지난 1월 IR행사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현재 글로벌 퇴행성뇌질환 시장에서 BBB 셔틀 기술 도입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으며, 이러한 흐름에 맞춰 당사도 지속적인 성과를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또한, 이번 주 4월 9일 수요일에 개최되는 IR행사에서 본 계약의 의미를 포함하여, 연초 제시한 에이비엘바이오 성장의 네 가지 축 등에 대해 이상훈 대표님께서 직접 설명하는 자리가 마련되어 있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네 가지 성장 축] 1)신약(ABL001) 2)Grabody-B(IGF1R 기반 뇌혈관장벽 투과도 개선 플랫폼) 3)Grabody-T(4-1BB 기반 면역항암제 플랫폼) 4)이중항체 ADC
S-PASS는 먹는 비만/당뇨 치료제 제형 기술로서 임상 성공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요 구성 성분(라브라솔)은 미국 약전에 등록된 물질로 이미 투과 촉진제로서의 효능은 입증됐습니다. S-PASS는 라브라솔과 부수적인 물질들의 조합으로 흡수율과 안정성을 높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S-PASS는 현재 투트랙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리벨서스 제네릭으로는 SNAC 세마글루타이드와의 생동성 입증을 목표로 임상 중이며 3분기 중 결과 발표 전망입니다. 먹는 비만/당뇨 치료제 그리고 인슐린도 개발하고 있으며, 만약 S-PASS의 약동학적 특성이 SNAC보다 빠른 흡수를 나타낸다면 먹는 인슐린 개발에도 유리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1Q25 매출 929억원(+25.0% YoY), 영업이익 411억원(+71.7%, OPM 44.3%)으로 컨센서스에 부합할 전망입니다. 전년대비 중국과 유럽향 수출 데이터가 좋았습니다.
FY25 매출은 4,570억원(+22.5%) 영업이익은 2,275억원(+36.8%, OPM 49.8%)으로 EBITDA 35% 성장 가이던스를 달성할 것입니다. 중국 톡신 침투율 상승하고 있고, 베네브 미국 상용화도 3월 초 시작됐습니다. 미국 톡신은 3Q24 선적 물량 소진되고 있어 2Q 미국 출하 기대감 높아질 것입니다.
25.03.202507:39
자가 줄기세포치료제 무릎 OA 환자 대상 임상 케이스 많음. 심지어 효능이 있는 경우도 있음. 근데 자가 줄기세포치료제의 상업성에 대해서는 각자 고민해 보시길
1Q25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를 32% 하회할 전망입니다. 매출 8,631억원(+17% YoY), 영업이익 1,706억원(+1,005%, OPM 20%) 기록할 것입니다. 기존 추정치 대비 매출, 이익률을 하향했는데, 기존 제품 매출 하향, 일시적 원가율 상승 가능성 반영했기 때문입니다. 단 전년동기 합병에 따른 기저로 영업이익 성장률은 큰 폭의 성장 나타날 것입니다.
1Q25 실적은 컨센을 8% 상회할 전망입니다. 4공장 램프업으로 탑라인 성장을 이어가는 가운데 달러 강세 수혜를 받고 있습니다. 연간 이익 추정치도 5.4% 상향 조정했습니다.
4월 중 예정된 대로 5공장 가동될 예정인데 매출 인식보다 비용 인식이 빨라서 2Q 일시적 영업이익 하락 나타날 수 있으나 3Q 부터 정상화될 것입니다. 한편 당연하게 여겨지고 있는 5공장 건설 속도는 사실 경쟁사 대비 두 배 이상 빠른 수준입니다. 이는 결국 고객 선점 측면에서 경쟁력을 강화하는 요인입니다.
17.04.202513:09
올포글리프론, 당뇨 환자 대상 40주차 체중 최대 7.9% 감소. 위약 보정하면 6.3%
새로운 안전성 이슈 없었고, 임상 중단율은 8%
당뇨 환자는 인슐린 민감도 떨어져 체중 감소 효능 덜한 게 일반적. 이전 비만 환자 대상 임상 2상에서는 36주차 14.7% 체중 감소 유도했음
1분기 별도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를 2.4% 상회할 전망입니다. 매출 3,124억원(+5.3% YoY), 영업이익 423억원(+35.4%, OPM 13.5%) 전망합니다. 핵심 제품 매출 성장으로 원가 감소, 매출총이익률 개선 효과가 지속될 것입니다. 시장이 기대하는 중국 품목허가 및 파트너 선정은 하반기에 가능할 전망입니다.
목표주가 22만원(EV/EBITDA 14배)을 유지합니다. 1분기 양호한 실적이 전망되는 가운데 2분기에는 톡신 수출 및 펙수클루 저용량 출하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미국향 톡신 완제 수출로 이익 개선 이어가고 있으며 매분기 양호한 실적을 발표하는데 12MF PER은 12배 수준으로 밸류에이션 부담도 없습니다.
1분기 연결 매출은 584억원(+7.0% YoY), 영업이익 72억원(흑전, OPM 12.3%)을 전망합니다. 톡신 및 필러 수출 정상화 시작된 가운데 법무비 감소 나타날 전망입니다만, 관계회사였던 리비옴 연결 편입으로 추정치 대비 관리비를 상향했습니다.
수출 성장과 법무비 감소로 실적 정상화가 시작될 것입니다. FY25 매출은 2,570억원(+12.4%), 영업이익은 498억원(+144.9%)을 전망합니다. 다만, 피어기업과 동일 멀티플인 EV/EBITDA 14배 적용 시 상승 여력은 제한적입니다. 투자의견 중립을 유지합니다.
S-PASS는 먹는 비만/당뇨 치료제 제형 기술로서 임상 성공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요 구성 성분(라브라솔)은 미국 약전에 등록된 물질로 이미 투과 촉진제로서의 효능은 입증됐습니다. S-PASS는 라브라솔과 부수적인 물질들의 조합으로 흡수율과 안정성을 높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S-PASS는 현재 투트랙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리벨서스 제네릭으로는 SNAC 세마글루타이드와의 생동성 입증을 목표로 임상 중이며 3분기 중 결과 발표 전망입니다. 먹는 비만/당뇨 치료제 그리고 인슐린도 개발하고 있으며, 만약 S-PASS의 약동학적 특성이 SNAC보다 빠른 흡수를 나타낸다면 먹는 인슐린 개발에도 유리할 것으로 전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