转发自:
루팡



04.05.202504:17
일론 머스크: "감독 없는 FSD, 미국 전역으로 빠르게 확대될 것"
“몇 달 안에 테슬라는 감독이 필요 없는 완전 자율주행(FSD)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차량은 사람 없이 스스로 주행하게 될 것입니다.
우리는 6월에 오스틴에서 먼저 시작할 것이고, 이후 미국 전역으로 빠르게 확대할 예정입니다.
사실 지금 테슬라를 소유하고 있는 누구라도 자율주행 기능을 시도해보면 아주 잘 작동하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겁니다. 사람의 개입이 필요한 경우는 매우 드물어야 합니다.
앞으로는 사람이 직접 운전하는 차를 보는 것이 매우 드문 일이 될 것입니다. 말 타는 사람을 보는 것처럼 말이죠.
테슬라는 또한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Optimus)’를 개발 중입니다. 저는 모든 사람이 이 로봇을 원하게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누구나 자신만의 R2D2-C3PO 같은 친구를 갖고 싶어할 테니까요. 무엇이든 당신이 원하는 일을 도와줄 수 있으니까요.
저는 이 제품이 엄청난 성공을 거둘 것이라고 봅니다.
스페이스X는 로켓 발사와 스타링크 위성 인터넷 서비스를 진행 중이며, 인류를 다행성 생명체로 만드는 기술, 즉 화성에 자립 가능한 도시를 건설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몇 달 안에 테슬라는 감독이 필요 없는 완전 자율주행(FSD)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차량은 사람 없이 스스로 주행하게 될 것입니다.
우리는 6월에 오스틴에서 먼저 시작할 것이고, 이후 미국 전역으로 빠르게 확대할 예정입니다.
사실 지금 테슬라를 소유하고 있는 누구라도 자율주행 기능을 시도해보면 아주 잘 작동하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겁니다. 사람의 개입이 필요한 경우는 매우 드물어야 합니다.
앞으로는 사람이 직접 운전하는 차를 보는 것이 매우 드문 일이 될 것입니다. 말 타는 사람을 보는 것처럼 말이죠.
테슬라는 또한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Optimus)’를 개발 중입니다. 저는 모든 사람이 이 로봇을 원하게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누구나 자신만의 R2D2-C3PO 같은 친구를 갖고 싶어할 테니까요. 무엇이든 당신이 원하는 일을 도와줄 수 있으니까요.
저는 이 제품이 엄청난 성공을 거둘 것이라고 봅니다.
스페이스X는 로켓 발사와 스타링크 위성 인터넷 서비스를 진행 중이며, 인류를 다행성 생명체로 만드는 기술, 즉 화성에 자립 가능한 도시를 건설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转发自:
한화 기계/우주/방산 배성조

02.05.202506:24
한화에어로스페이스 (012450)
[1Q25 Review] 폴란드향 무기체계 인도 순항 중
▶1Q25 Review: 영업이익 시장 기대치 상회
-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분기 영업이익 기준 당사 추정치는 부합, 컨센서스는 약 12% 상회
- 매출액 5조 4,842억원(YoY +278.4%, 이하 YoY)
- 영업이익 5,608억원(+3,059.8%, OPM 10.2%)
- 시장 기대치 상회 요인은 연결 자회사들의 호실적 및 예상 대비 높은 지상방산 영업이익률(26.1%)
- 1분기에도 방산 수출 마진은 30% 중후반대를 기록하며 YoY 증익에 크게 기여했을 것으로 추정
- 이번 분기에도 4분기에 이어 영업이익 단에는 환 효과가 약 10%, 반복제작에 의한 생산성 향상 효과가 10% 이상 있었던 것으로 파악
▶폴란드향 무기체계 인도 순항 중
- 1분기 지상방산 부문 매출액 1조 1,575억원(+76.6%), 영업이익 3,019억원(흑자전환, OPM 26.1%), 수주잔고 3.14조원(수출 65%)
- 국내 매출 4,050억원(+15.0%), 해외 매출 7,525억원(+148.3%)
- 1분기 폴란드향 K9, 천무는 각각 20문, 24대가 인도 기준 매출인식됨
- 수출 매출에는 폴란드 외에도 이집트 진행매출(부품 매출 및 조립+커스터마이제이션 개발 매출로 구성)이 일부 반영된 것으로 파악
- 분기를 거듭할수록 폴란드 외 수출 매출이 가세되고 하반기에 내수 매출이 집중됨에 따른 QoQ 증익을 예상
- 한편, 연초 폴란드향 K9, 천무의 연간 인도 가이던스는 각각 70문 이상, 50대 이상이었음
- 현재 천무의 인도 가이던스 상향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
- 천무의 연간 인도대수가 80대 내외로 K9의 인도대수를 넘어설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며 이를 추정치에 반영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940,000원 유지
- 1.3조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는 4/28 3개 계열사가 납입을 완료, 5/15 신주 상장 예정
- 4/30에는 2.3조원 규모 주주배정 유상증자 관련 2차 정정 증권신고서가 공시됨
- 증자 배경 및 자금 사용 목적에 대한 상세 설명이 포함된 것으로 파악되며, 증자가 진행될 경우 7/21 신주 상장 예정
- 동사의 자금조달을 통한 글로벌 생산거점 확보 등의 경과를 지속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며, 업종 내 최선호주 의견 유지
<보고서 원문 링크>
https://bit.ly/44ghgZL
[1Q25 Review] 폴란드향 무기체계 인도 순항 중
▶1Q25 Review: 영업이익 시장 기대치 상회
-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분기 영업이익 기준 당사 추정치는 부합, 컨센서스는 약 12% 상회
- 매출액 5조 4,842억원(YoY +278.4%, 이하 YoY)
- 영업이익 5,608억원(+3,059.8%, OPM 10.2%)
- 시장 기대치 상회 요인은 연결 자회사들의 호실적 및 예상 대비 높은 지상방산 영업이익률(26.1%)
- 1분기에도 방산 수출 마진은 30% 중후반대를 기록하며 YoY 증익에 크게 기여했을 것으로 추정
- 이번 분기에도 4분기에 이어 영업이익 단에는 환 효과가 약 10%, 반복제작에 의한 생산성 향상 효과가 10% 이상 있었던 것으로 파악
▶폴란드향 무기체계 인도 순항 중
- 1분기 지상방산 부문 매출액 1조 1,575억원(+76.6%), 영업이익 3,019억원(흑자전환, OPM 26.1%), 수주잔고 3.14조원(수출 65%)
- 국내 매출 4,050억원(+15.0%), 해외 매출 7,525억원(+148.3%)
- 1분기 폴란드향 K9, 천무는 각각 20문, 24대가 인도 기준 매출인식됨
- 수출 매출에는 폴란드 외에도 이집트 진행매출(부품 매출 및 조립+커스터마이제이션 개발 매출로 구성)이 일부 반영된 것으로 파악
- 분기를 거듭할수록 폴란드 외 수출 매출이 가세되고 하반기에 내수 매출이 집중됨에 따른 QoQ 증익을 예상
- 한편, 연초 폴란드향 K9, 천무의 연간 인도 가이던스는 각각 70문 이상, 50대 이상이었음
- 현재 천무의 인도 가이던스 상향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
- 천무의 연간 인도대수가 80대 내외로 K9의 인도대수를 넘어설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며 이를 추정치에 반영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940,000원 유지
- 1.3조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는 4/28 3개 계열사가 납입을 완료, 5/15 신주 상장 예정
- 4/30에는 2.3조원 규모 주주배정 유상증자 관련 2차 정정 증권신고서가 공시됨
- 증자 배경 및 자금 사용 목적에 대한 상세 설명이 포함된 것으로 파악되며, 증자가 진행될 경우 7/21 신주 상장 예정
- 동사의 자금조달을 통한 글로벌 생산거점 확보 등의 경과를 지속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며, 업종 내 최선호주 의견 유지
<보고서 원문 링크>
https://bit.ly/44ghgZL
转发自:
한화 기계/우주/방산 배성조

02.05.202502:39
한화 방산 3사, 칠레 방산 전시회 참가…지역 맞춤형 무기 공개
https://vo.la/bNjGxO
칠레 육군의 차륜형 장갑차 사업(Cromo 프로젝트) 참여를 준비 중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독자 개발한 '타이곤 차륜형 장갑차'를 전시해 우수한 성능과 품질, 빠른 납기와 안정적인 후속 군수지원 등을 강조했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8x8, 6x6, 4x4 등 다양한 차륜형 장갑차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어 칠레 내의 치안 이슈에 대응하고, 군의 장갑차 대체 요구도 충족시킬 수 있는 솔루션을 선보였습니다. 칠레 군은 K9 자주포, K10 탄약운반장갑차, 천무 다연장로켓 등 지상 무기체계에도 큰 관심을 나타냈습니다.
한화시스템도 소형 SAR(Synthetic Aperture Radar, 합성개구레이더) 위성체, 위성영상 및 분석 솔루션 등을 소개하며, 칠레 공군의 국가 우주 프로그램(SNSAT) 분야에서 협력 가능성을 모색했습니다.
한화오션은 장보고-III급 기반 수출형 잠수함 및 첨단 기술이 집약된 차세대 호위함 등을 선보이며, 칠레 해군이 진행하는 차세대 함정 도입 사업에 적극적인 참여 의사를 밝혔습니다.
한화 관계자는 "방산 3사가 칠레를 전략적 거점으로 삼아 중남미 지역의 다양한 니즈를 만족시키는 토탈 디펜스 솔루션 프로바이더(Total Defense Solution Provider)로서 전략적 파트너십 기회를 모색했다"며 "유럽과 중동, 동남아시아 등을 넘어 칠레를 교두보로 중남미 지역에서도 신시장을 개척해 글로벌 시장 확대에 나설 방침이다"고 말했습니다.
https://vo.la/bNjGxO
30.04.202507:06
2025.04.30 15:39:59
기업명: 한국항공우주(시가총액: 8조 709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6,993억(예상치 : 8,347억/ -16%)
영업익 : 468억(예상치 : 599억/ -22%)
순이익 : 301억(예상치 : 430억/ -30%)
**최근 실적 추이**
2025.1Q 6,993억/ 468억/ 301억
2024.4Q 10,948억/ 421억/ 124억
2024.3Q 9,072억/ 763억/ 679억
2024.2Q 8,918억/ 743억/ 554억
2024.1Q 7,399억/ 480억/ 352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619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47810
기업명: 한국항공우주(시가총액: 8조 709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6,993억(예상치 : 8,347억/ -16%)
영업익 : 468억(예상치 : 599억/ -22%)
순이익 : 301억(예상치 : 430억/ -30%)
**최근 실적 추이**
2025.1Q 6,993억/ 468억/ 301억
2024.4Q 10,948억/ 421억/ 124억
2024.3Q 9,072억/ 763억/ 679억
2024.2Q 8,918억/ 743억/ 554억
2024.1Q 7,399억/ 480억/ 352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619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47810
转发自:
BUYagra



30.04.202505:31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지상방산 매출액이 1.1조원 vs. consensus 1.2조 - 1.7조원 사이보다 안나왔음
-OPM 26.1%로 QoQ +0.2%p으로 3Q24 이후 26%대 유지
-지상방산 매출액이 1.1조원 vs. consensus 1.2조 - 1.7조원 사이보다 안나왔음
-OPM 26.1%로 QoQ +0.2%p으로 3Q24 이후 26%대 유지
转发自:
한화 기계/우주/방산 배성조

29.04.202509:53
[단독] 美국방부, 한화에어로 창원공장 극비 방문…MRO 사업자 선정 가능성↑
▶美 RFS 청사진 동참 의지
▶'기종별 월 4대' 창원 공장 정비 역량 확대 검토
▶美 함정 이어 전투기 MRO 시장 진출
https://vo.la/CNxCdK
▶美 RFS 청사진 동참 의지
▶'기종별 월 4대' 창원 공장 정비 역량 확대 검토
▶美 함정 이어 전투기 MRO 시장 진출
한화가 미 공군의 항공기 유지보수(MRO) 사업 참여를 추진한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미래 핵심 먹거리로 점찍은 MRO 분야에서 입지를 확장하기 위해 미국 시장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현지 국방부의 '지역거점운영유지체계(RSF)' 구상에 발맞춰 군수 정비 허브 구축에 기여하겠다는 포부를 밝히며 바다에 이어 상공에서도 글로벌 MRO 공급망 중심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전략이다.
29일 항공우주 전문지 에비에이션 위크(Aviaiton Week Network)에 따르면 조상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MRO사업부장은 "RSF에 참여함으로써 엔진 제조사로부터 인정받고 기술 이전 기회를 얻으며 공급망에 보다 깊이 통합될 수 있다"고 밝혔다.
RSF는 동맹국의 산업 역량을 활용해 항공기와 선박 정비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협력 체계다. 미 국방부는 작년 5월 RSF의 일환으로 인도-태평양 지역 5개국에 군수 정비 허브를 구축한다고 발표했다. 한국과 일본, 호주, 필리핀, 싱가포르를 시범 국가로 선정했다. 한국에서는 주한미군 제7공군 소속 F-16C/D 전투기 3대 비행대대의 지원을 초기 사업에 포함시켰고 향후 다른 부대로 확대할 전망이다.
RSF가 구체화되면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참여 의향을 내비쳤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세계 3대 항공엔진 제조사인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 프랫앤휘트니(P&W), 영국 롤스로이스로부터 기술 이전을 받아 한국 공군의 주력 전투기 엔진을 제조하고 MRO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최초의 국산 초음속 전투기 'KF-21' 보라매에 탑재되는 F414 엔진 △T-50 계열 항공기에 탑재되는 F404 엔진 △최초의 국산 헬기 'KUH' 수리온의 T700 계열 엔진 △F-15K의 F110·F100 엔진 등 다양한 엔진을 생산했다. 이들 엔진은 모두 미국 공군의 주력 전투기에 쓰인다. 대표적으로 F414 엔진은 보잉이 개발한 4.5세대 다목적 전투기 '슈퍼호넷'에 장착된다. 양국 전투기에 동일한 엔진이 사용되는 만큼, 한국 공군과 협력 경험이 있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미군의 전투기 MRO도 지원할 수 있다는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미 공군의 MRO 수요 증가에 대응해 창원 공장 증설도 검토한다. 엔진 생산 거점인 창원1공장은 기종별 엔진 4대의 창정비 생산 역량을 갖추고 있다. 지난 1979년 생산을 시작한 이후 작년 4월 누적 출하량이 1만대를 돌파했다.
한화는 미국 정부와 군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전방위적인 세일즈를 벌이고 있다. 앞서 미 국방부 소속으로 RSF 인도-태평양 이니셔티브를 총괄하는 넬슨 윌리엄스를 한화 사업장에 초청했고, 미 국방부 주관 정비 심포지엄에도 참가했다. 미 공군 대표단의 창원 공장 방문도 예정돼 있다.
MRO 사업은 한화의 미래 먹거리다. 한화는 단순 정비를 넘어 현지화 전략으로 MRO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작년 11월 K9 자주포 운용국인 루마니아에 MRO 시설을 짓겠다고 밝혔다. 미국에서는 필리조선소를 인수한 후 함정 MRO와 생산 허브로 키우고 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시기를 맞아 한국의 조선·방산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한화는 현지에서 사업 기회를 적극 살피고 있다. 김 부회장은 오는 30일 방한하는 트럼프 주니어와 면담을 갖고 협력을 논의할 예정이다. 한화오션 거제조선소를 함께 찾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화오션은 작년 8월 미국 해군 군수지원함 '월리 쉬라'의 MRO 사업을 수주한 데 이어 11월 급유함인 '유콘'의 정기수리 사업도 따냈다. 윌리 쉬라함은 지난달 정비를 완료하고 성공적으로 출항했다.
https://vo.la/CNxCdK
04.05.202503:05
➕객관적으로 보면 인도의 피나카가 더 확률이 높은건 사실이지만.. 🇫🇷프랑스에서도 K방산의 무기체계가 도입 후보로 언급되는건 의미가 있어보이네요.
‘바이유로피안’을 앞장서서 외치던게 마크롱인걸 감안하면 인도 혹은 K방산의 무기가 언급되는건,🇪🇺유럽의 무기 수요를 유럽내에서 모두 해결이 불가능하다는 반증입니다.
그리고, 하이마스의 대안으로 천무가 언급되는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 이전에도 🇪🇪에스토니아 등 나토 국가에서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는 이슈... 아직 K방산 무기를 사줄 곳은 많은 것 같습니다.
➡️ 납기 늦은 美 로켓… 에스토니아, 한화 ‘천무’에 눈길
“우린 시간 없다” 늦은 생산 속도에 불만
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5/02/25/RBS3GNFZA5GINL7QFBQWISZOEU/
➡️ 나토 국가들, HIMARS 계약해놓고 '천무'에 눈길
https://news.nate.com/view/20250422n04018
‘바이유로피안’을 앞장서서 외치던게 마크롱인걸 감안하면 인도 혹은 K방산의 무기가 언급되는건,🇪🇺유럽의 무기 수요를 유럽내에서 모두 해결이 불가능하다는 반증입니다.
그리고, 하이마스의 대안으로 천무가 언급되는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 이전에도 🇪🇪에스토니아 등 나토 국가에서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는 이슈... 아직 K방산 무기를 사줄 곳은 많은 것 같습니다.
➡️ 납기 늦은 美 로켓… 에스토니아, 한화 ‘천무’에 눈길
“우린 시간 없다” 늦은 생산 속도에 불만
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5/02/25/RBS3GNFZA5GINL7QFBQWISZOEU/
➡️ 나토 국가들, HIMARS 계약해놓고 '천무'에 눈길
https://news.nate.com/view/20250422n04018
转发自:
▩발간자료PDF.저장



02.05.202506:24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지상도 바다도 좋았다, 다음은 미국 장약」
☞ https://bit.ly/HA1Q25REV
▶️ Issue: 1Q25 리뷰
- 유상증자 변동(3자배정)을 반영(증자비율 3.8%)하지만,
- 적정PER 30배로 상향하면서 적정주가 95만원으로 올림
▶️ Pitch:
- 지상방산의 폴란드 납품이 계획보다 빠르며 수출비중에 따른 호조 계속
: K9 20문(연간 70문 이상 안내), 천무 24대(연간 50대 이상)으로 더 빠름. 올해 천무는 K9보다 많이 나감
: 1Q보다 2~4Q, 특히 하반기가 좋음. 폴란드 외 지역 납품 늠
- 연결로 처음 잡힌 한화오션도 기대 이상
- 즉, 지상과 바다의 실적 턴어라운드는 올해 하반기에 또 2027년까지 계속
- 선호주 의견 유지
▶️ Rationale: 보고서 참조
---------------------------------------------------------------
🎴 조선/기계/방산 | 최광식 | DAOL투자증권
📈 텔레그램 공개 채널 https://t.me/HI_GS
✅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한 보고서입니다.
---------------------------------------------------------------
☞ https://bit.ly/HA1Q25REV
▶️ Issue: 1Q25 리뷰
- 유상증자 변동(3자배정)을 반영(증자비율 3.8%)하지만,
- 적정PER 30배로 상향하면서 적정주가 95만원으로 올림
▶️ Pitch:
- 지상방산의 폴란드 납품이 계획보다 빠르며 수출비중에 따른 호조 계속
: K9 20문(연간 70문 이상 안내), 천무 24대(연간 50대 이상)으로 더 빠름. 올해 천무는 K9보다 많이 나감
: 1Q보다 2~4Q, 특히 하반기가 좋음. 폴란드 외 지역 납품 늠
- 연결로 처음 잡힌 한화오션도 기대 이상
- 즉, 지상과 바다의 실적 턴어라운드는 올해 하반기에 또 2027년까지 계속
- 선호주 의견 유지
▶️ Rationale: 보고서 참조
---------------------------------------------------------------
🎴 조선/기계/방산 | 최광식 | DAOL투자증권
📈 텔레그램 공개 채널 https://t.me/HI_GS
✅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한 보고서입니다.
---------------------------------------------------------------


01.05.202522:06
转发自:
서화백의 그림놀이 🚀



29.04.202507:03
"Global Insight: Humanoids"
1. 시장 전망
-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규모: 2050년까지 연간 5조 달러(약 6,800조 원)에 이를 전망. 2030/2040/2050년 예상 매출은 각각 200억/1.2조/4.7조 달러.
- 전 세계 보급량: 2050년까지 누적 10억 대 도달 예상.
- 시장 성장률: 2025~2035년 연평균 성장률(CAGR) 54%, 이후 2035~2050년은 23%.
---
2. 주요 사업 모델과 가치 사슬 분석
- 가장 가치 있는 비즈니스 모델:
- 로봇 통합업체: Tesla처럼 ‘브레인+바디+생태계’ 통합 능력이 있는 기업.
- 브레인 개발자: Nvidia, Google 등 대규모 모델 보유 및 제조 역량 있는 기업.
- 핵심 부품사: 센서, 행성 롤러 스크류, 하모닉 리듀서 분야가 기술 장벽과 확장성 측면에서 매력적.
- 로봇 브레인(VLA 모델):
- 범용성 확보가 핵심 경쟁력.
- 데이터 확보 및 GPU 컴퓨팅이 병목 요소.
- 대표 주자: Nvidia ISAAC GR00T, Google Gemini Robotics, Huawei Pangu 5.0 등.
---
3. 공급망과 중국의 역할
- 중국 공급망의 중요성:
- 중국산 BoM(물류 기준): 2025년 기준 약 4.6만 달러, 비중국산 대비 1/3 수준.
- 향후 2034년까지 BoM 비용은 약 1.6만 달러**까지 하락할 전망.
- 고정밀도 및 신뢰성 측면에서 개선 중이나 가격 경쟁력 우위 유지.
- **주요 부품 고부가가치 영역:
- 행성 롤러 스크류, 6축 포스/토크 센서, 하모닉 리듀서, 모터 등.
---
4. 국가/소득 수준별 도입 전망
- 2050년 누적 도입 비중:
- 고소득 국가: 29%
- 중상위 소득 국가 (중국 포함): 50%
- 중하위 소득 국가: 20%
- 저소득 국가: 1%
- 용도별 비중 (2050년):
- 상업·산업용: 92%
- 가정용: 8% (약 8천만 대, 안전성과 가격 등의 이유로 제한적)
---
5. 주요 수혜 기업 요약
- 통합업체 (Integrator): Tesla, Amazon, Tencent, Alibaba 등.
- 브레인 개발자 (Brain): Nvidia, Alphabet, Meta, Baidu, TSMC 등.
- 바디/부품 업체 (Body):
- 중국: Inovance, Hengli, Will Semi, Tuopu, Sanhua
- 일본: HDS (Harmonic Drive Systems)
- 대만: Hiwin
- 유럽: Siemens, Infineon
---
6. 투자 인사이트
- Humanoid 100 지수: 모건스탠리가 선정한 휴머노이드 관련 글로벌 상장사 100개 리스트.
- 2025년 YTD 기준 S&P500 대비 10.5%p 초과 수익률.
- 상위 10개 중 7개는 중국 기업으로 부품(바디) 관련사 중심.
1. 시장 전망
-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규모: 2050년까지 연간 5조 달러(약 6,800조 원)에 이를 전망. 2030/2040/2050년 예상 매출은 각각 200억/1.2조/4.7조 달러.
- 전 세계 보급량: 2050년까지 누적 10억 대 도달 예상.
- 시장 성장률: 2025~2035년 연평균 성장률(CAGR) 54%, 이후 2035~2050년은 23%.
---
2. 주요 사업 모델과 가치 사슬 분석
- 가장 가치 있는 비즈니스 모델:
- 로봇 통합업체: Tesla처럼 ‘브레인+바디+생태계’ 통합 능력이 있는 기업.
- 브레인 개발자: Nvidia, Google 등 대규모 모델 보유 및 제조 역량 있는 기업.
- 핵심 부품사: 센서, 행성 롤러 스크류, 하모닉 리듀서 분야가 기술 장벽과 확장성 측면에서 매력적.
- 로봇 브레인(VLA 모델):
- 범용성 확보가 핵심 경쟁력.
- 데이터 확보 및 GPU 컴퓨팅이 병목 요소.
- 대표 주자: Nvidia ISAAC GR00T, Google Gemini Robotics, Huawei Pangu 5.0 등.
---
3. 공급망과 중국의 역할
- 중국 공급망의 중요성:
- 중국산 BoM(물류 기준): 2025년 기준 약 4.6만 달러, 비중국산 대비 1/3 수준.
- 향후 2034년까지 BoM 비용은 약 1.6만 달러**까지 하락할 전망.
- 고정밀도 및 신뢰성 측면에서 개선 중이나 가격 경쟁력 우위 유지.
- **주요 부품 고부가가치 영역:
- 행성 롤러 스크류, 6축 포스/토크 센서, 하모닉 리듀서, 모터 등.
---
4. 국가/소득 수준별 도입 전망
- 2050년 누적 도입 비중:
- 고소득 국가: 29%
- 중상위 소득 국가 (중국 포함): 50%
- 중하위 소득 국가: 20%
- 저소득 국가: 1%
- 용도별 비중 (2050년):
- 상업·산업용: 92%
- 가정용: 8% (약 8천만 대, 안전성과 가격 등의 이유로 제한적)
---
5. 주요 수혜 기업 요약
- 통합업체 (Integrator): Tesla, Amazon, Tencent, Alibaba 등.
- 브레인 개발자 (Brain): Nvidia, Alphabet, Meta, Baidu, TSMC 등.
- 바디/부품 업체 (Body):
- 중국: Inovance, Hengli, Will Semi, Tuopu, Sanhua
- 일본: HDS (Harmonic Drive Systems)
- 대만: Hiwin
- 유럽: Siemens, Infineon
---
6. 투자 인사이트
- Humanoid 100 지수: 모건스탠리가 선정한 휴머노이드 관련 글로벌 상장사 100개 리스트.
- 2025년 YTD 기준 S&P500 대비 10.5%p 초과 수익률.
- 상위 10개 중 7개는 중국 기업으로 부품(바디) 관련사 중심.
04.05.202503:01
[초점] 佛, M270 후속 로켓에 K239 천무·피나카 주목...美 하이마스 도입 '배제'
- 프랑스가 노후한 M270 다연장로켓(MLRS) 시스템의 후속 모델로 한국의 K239 천무 또는 인도의 피나카(Pinaka) 시스템 도입과 현지 생산을 유력 검토 중
- 유력 후보로 거론되던 미국산 하이마스(HIMARS) 도입은 "위험하다"는 내부 평가에 따라 사실상 배제
https://m.g-enews.com/article/Global-Biz/2025/05/202505040620163772fbbec65dfb_1
- 프랑스가 노후한 M270 다연장로켓(MLRS) 시스템의 후속 모델로 한국의 K239 천무 또는 인도의 피나카(Pinaka) 시스템 도입과 현지 생산을 유력 검토 중
- 유력 후보로 거론되던 미국산 하이마스(HIMARS) 도입은 "위험하다"는 내부 평가에 따라 사실상 배제
https://m.g-enews.com/article/Global-Biz/2025/05/202505040620163772fbbec65dfb_1
02.05.202505:02
30.04.202509:40
로보티즈, LG전자에 휴머노이드 'AI 워커' 1차 납품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72827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72827
30.04.202505:32
2025.04.30 14:16:15
기업명: 한화엔진(시가총액: 2조 2,364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 한화오션(주) (Hanwha Ocean Co., Ltd)
계약내용 : ( 기타 판매ㆍ공급계약 ) 선박용 엔진
공급지역 : 국내
계약금액 : 4,050억
계약시작 : 2025-04-30
계약종료 : 2028-02-21
계약기간 : 2년 9개월
매출대비 : 33.7%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430
최근계약 : https://www.awakeplus.co.kr/board/contract/08274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82740
기업명: 한화엔진(시가총액: 2조 2,364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 한화오션(주) (Hanwha Ocean Co., Ltd)
계약내용 : ( 기타 판매ㆍ공급계약 ) 선박용 엔진
공급지역 : 국내
계약금액 : 4,050억
계약시작 : 2025-04-30
계약종료 : 2028-02-21
계약기간 : 2년 9개월
매출대비 : 33.7%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430
최근계약 : https://www.awakeplus.co.kr/board/contract/08274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82740
29.04.202506:44
한화에어로 "사우디와 무기 협력 연내 발표 가능성"
-마이클 쿨터 글로벌 방산 총괄 블룸버그 인터뷰
-중동 방산 시장 본격 공략…사우디·UAE와 논의 중
-사우디와 현지 시설·합작법인 등 다양한 형태 검토
-유증 축소엔 "책임 조치" 장기적 긍정 효과 기대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6000682
-마이클 쿨터 글로벌 방산 총괄 블룸버그 인터뷰
-중동 방산 시장 본격 공략…사우디·UAE와 논의 중
-사우디와 현지 시설·합작법인 등 다양한 형태 검토
-유증 축소엔 "책임 조치" 장기적 긍정 효과 기대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6000682
转发自:
캬오의 공부방

04.05.202502:36
#버핏 #은퇴선언 #변동성
미국의 전설적인 투자자인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이하 버크셔)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60년간 이끌어온 버크셔에서 올해 말 은퇴한다고 발표했다.
그는 오는 4일 예정된 이사회에서 그레그 아벨 버크셔 비(非)보험 부문 부회장이 올해 말부터 최고경영자 자리에 오르도록 추천하겠다고 밝혔다.
버핏 회장은 지난달 증시에서 나타난 기록적인 급락에 관해서는 본인이 버크셔를 인수한 뒤로 회사에 근본적인 문제가 없는데도 주가가 매우 짧은 기간에 반토막 난 일이 세 번이나 있었다면서 "지금은 극적인 베어마켓(약세장)이나 그런 게 아니다"라고 진단했다.
그는 "이건 그냥 주식시장의 한 부분"이라면서 "시장이 하락할 경우 겁먹고, 시장이 오를 때 흥분하는 사람이라면 주식시장은 참여하기에 끔찍한 곳이다. 특별히 비판하려는 의도는 아니고 사람들이 감정이 있다는 걸 알지만, 감정이 투자를 좌우하도록 해서는 안 된다"고 당부했다.
버핏 회장은 정부의 재정 적자가 "지속 가능하지 않다"면서 재정 적자 축소 조치를 두고 "내가 하고 싶은 일은 아니지만, 해야만 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의회는 그 일을 안 하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503057152071
미국의 전설적인 투자자인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이하 버크셔)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60년간 이끌어온 버크셔에서 올해 말 은퇴한다고 발표했다.
그는 오는 4일 예정된 이사회에서 그레그 아벨 버크셔 비(非)보험 부문 부회장이 올해 말부터 최고경영자 자리에 오르도록 추천하겠다고 밝혔다.
버핏 회장은 지난달 증시에서 나타난 기록적인 급락에 관해서는 본인이 버크셔를 인수한 뒤로 회사에 근본적인 문제가 없는데도 주가가 매우 짧은 기간에 반토막 난 일이 세 번이나 있었다면서 "지금은 극적인 베어마켓(약세장)이나 그런 게 아니다"라고 진단했다.
그는 "이건 그냥 주식시장의 한 부분"이라면서 "시장이 하락할 경우 겁먹고, 시장이 오를 때 흥분하는 사람이라면 주식시장은 참여하기에 끔찍한 곳이다. 특별히 비판하려는 의도는 아니고 사람들이 감정이 있다는 걸 알지만, 감정이 투자를 좌우하도록 해서는 안 된다"고 당부했다.
버핏 회장은 정부의 재정 적자가 "지속 가능하지 않다"면서 재정 적자 축소 조치를 두고 "내가 하고 싶은 일은 아니지만, 해야만 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의회는 그 일을 안 하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503057152071
02.05.202504:20
✅트럼프의 ‘2026 예산안’
📌 핵심 제안 내용
- 국내 지출 23% 감축, 국방예산 13% 증액
- 비국방 지출: 2025년 대비 1,630억 달러 삭감, 총 5,570억 달러
🔥국방 및 국가안보 예산: 기존 8,923억 달러 → 1조 100억 달러, 사상 최대 규모
📌국방 지출 주요 항목
- 아이언 돔 미사일 방어체계
- 핵무기 현대화, 함정 건조, 국경 보안
- 군인 급여 3.8% 인상
📌국내 지출 대폭 삭감 항목
환경보호청(EPA) 및 에너지부(재생에너지 관련) 예산 대폭 감축
인종 격차 해소, 다양성과 포용(D&I) 프로그램 축소 또는 폐지
📌완전 폐지 대상
- 미국 평화연구소(USIP)
- 소수기업개발청(MBDA)
- 지역금융지원기금(CDFI Fund)
복지 예산 관련
사회보장 및 메디케이드 등 복지제도는 직접 삭감하지 않겠다고 공언
다만 부정 수급 단속과 낭비 제거 명목으로 일부 정비 예상
📌일론 머스크의 정부 구조조정 역할
수천 건의 계약 해지, 연방 공무원 정리, 기관 통합 및 폐지
초기 2조 달러 감축 계획 → 1,500억 달러 감축 목표로 조정
일부 조치는 의회 승인 없이 단행, 법적 소송 진행 중
🔥국방·안보 예산 사상 최고로 증액🔥
📌 핵심 제안 내용
- 국내 지출 23% 감축, 국방예산 13% 증액
- 비국방 지출: 2025년 대비 1,630억 달러 삭감, 총 5,570억 달러
🔥국방 및 국가안보 예산: 기존 8,923억 달러 → 1조 100억 달러, 사상 최대 규모
📌국방 지출 주요 항목
- 아이언 돔 미사일 방어체계
- 핵무기 현대화, 함정 건조, 국경 보안
- 군인 급여 3.8% 인상
📌국내 지출 대폭 삭감 항목
환경보호청(EPA) 및 에너지부(재생에너지 관련) 예산 대폭 감축
인종 격차 해소, 다양성과 포용(D&I) 프로그램 축소 또는 폐지
📌완전 폐지 대상
- 미국 평화연구소(USIP)
- 소수기업개발청(MBDA)
- 지역금융지원기금(CDFI Fund)
복지 예산 관련
사회보장 및 메디케이드 등 복지제도는 직접 삭감하지 않겠다고 공언
다만 부정 수급 단속과 낭비 제거 명목으로 일부 정비 예상
📌일론 머스크의 정부 구조조정 역할
수천 건의 계약 해지, 연방 공무원 정리, 기관 통합 및 폐지
초기 2조 달러 감축 계획 → 1,500억 달러 감축 목표로 조정
일부 조치는 의회 승인 없이 단행, 법적 소송 진행 중
🔥국방·안보 예산 사상 최고로 증액🔥
30.04.202509:14
한화에어로, 금감원에 '1천243쪽 분량' 유상증자 2차 정정신고서 제출
7월 1∼2일 구주주 청약, 7월 4∼7일 일반 공모를 진행하며 7월 21일 신주를 상장
https://www.yna.co.kr/view/AKR20250430165800003?input=1195m
7월 1∼2일 구주주 청약, 7월 4∼7일 일반 공모를 진행하며 7월 21일 신주를 상장
https://www.yna.co.kr/view/AKR20250430165800003?input=1195m
30.04.202505:31
2025.04.30 14:07:58
기업명: 한화비전(시가총액: 2조 9,334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4,518억(예상치 : 4,297억+/ 5%)
영업익 : 443억(예상치 : 368억/ +20%)
순이익 : -24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5.1Q 4,518억/ 443억/ -24억
2024.4Q 3,538억/ -55억/ 163억
2024.3Q 1,395억/ 54억/ -131억
2024.2Q 0억/ 0억/ 0억
2024.1Q 0억/ 0억/ 0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42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489790
기업명: 한화비전(시가총액: 2조 9,334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4,518억(예상치 : 4,297억+/ 5%)
영업익 : 443억(예상치 : 368억/ +20%)
순이익 : -24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5.1Q 4,518억/ 443억/ -24억
2024.4Q 3,538억/ -55억/ 163억
2024.3Q 1,395억/ 54억/ -131억
2024.2Q 0억/ 0억/ 0억
2024.1Q 0억/ 0억/ 0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42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489790
转发自:
요가하는증권맨

29.04.202510:10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무기가 너무나도 잘 팔리는 요즈음]
1분기 영업이익, 전년대비 10배 급증, 어닝 서프라이즈 예상.
유럽 재무장 움직임 + 중동 및 동남아 국가의 k-방산 수요로 인한 실적 수혜. 스테디셀러인 K9 자주포부터 시작해서 중동 중심으로 '천무' 수요는 꾸준히 증가중.
25.04.29.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428000797
1분기 영업이익, 전년대비 10배 급증, 어닝 서프라이즈 예상.
유럽 재무장 움직임 + 중동 및 동남아 국가의 k-방산 수요로 인한 실적 수혜. 스테디셀러인 K9 자주포부터 시작해서 중동 중심으로 '천무' 수요는 꾸준히 증가중.
25.04.29.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428000797
转发自:
루팡

29.04.202504:05
모건스탠리, ‘글로벌 휴머노이드 모델’ 발표
2050년까지 휴머노이드 로봇 10억 대 보급, 휴머노이드 관련 매출 5조 달러 전망
“글로벌 제조업, 공급망, 지정학에 미칠 영향은 아직 과소평가되고 있다”
2050년까지 휴머노이드 로봇 10억 대 보급, 휴머노이드 관련 매출 5조 달러 전망
“글로벌 제조업, 공급망, 지정학에 미칠 영향은 아직 과소평가되고 있다”
显示 1 - 24 共 514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