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خبرفوری

آهنگیفای

TrueCaller

Notcoin Community

Whale Chanel

Proxy MTProto | پروکسی

iRo Proxy | پروکسی

Findo Lucky

My Proxy | مای پروکسی

خبرفوری

آهنگیفای

TrueCaller

Notcoin Community

Whale Chanel

Proxy MTProto | پروکسی

iRo Proxy | پروکسی

Findo Lucky

My Proxy | مای پروکسی

خبرفوری

آهنگیفای

TrueCaller

기억보단 기록을
하루하루 쌓아간다는 마인드로 주식/가상화폐/매크로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을 공유합니다
[Blog]
https://blog.naver.com/aaaehgus
/>(반박시 님 말이 다맞음)
- 매수/매도 추천아님
- 보유자 편향이 있을 수 있음
- 텔레그램 및 블로그에 게재되는 내용은 단순 기록용이며, 어떠한 경우에도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음
- 투자에 대한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Blog]
https://blog.naver.com/aaaehgus
/>(반박시 님 말이 다맞음)
- 매수/매도 추천아님
- 보유자 편향이 있을 수 있음
- 텔레그램 및 블로그에 게재되는 내용은 단순 기록용이며, 어떠한 경우에도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음
- 투자에 대한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关联群组
기억보단 기록을
3
19.02.202511:31
[한투증권 강경태] 조선
텔레그램: http://t.me/enc210406
보고서 링크: https://vo.la/OjekkV
하선(下船)
■ 향후 30년간 한국 조선사가 확보가능한 시장(SOM)은 총 시장(TAM) 대비 16.1%
- 미국 함정 신조 시장에서 한국 조선사들이 향후 30년 간 실질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시장(Serviceable Obtainable Market, 이하 SOM)은 1,934억달러로 추정. 접근 가능한 총 시장 규모(Total Addressable Market, 이하 TAM) 대비 16.1%에 불과
- 추진 체계와 건조 capa 문제 때문에 한국 조선사들이 수주하기 어려운 항공모함과 잠수함을 제외하면 TAM의 53.9%가 없어짐. 남은 함종 안에서도 소형 수상함과 지원함 위주로 수주 기회가 열려있음
■ 국내 조선사는 미국 7,000톤급 호위함 시장에 강점 가질 것
- 미국 해군이 함정 건조 시장을 우방국에 개방한 것은 소형 수상함을 속도감 있게 확보하기 위함
- FFG-62 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기 때문인데, 2020년 4월에 시작된 이 프로젝트에서 미국 해군은 아직 초도함도 확보하지 못한 상황
- 건조 이력 상 한국 양 사의 수상함 건조 capa가 10,000톤급 이지스 구축함까지 수용 가능한 점을 감안하면, 7,000톤급 호위함 시장 위주로 점유율을 높여갈 것
■ DCF를 통해 미국 시장 진출에 따른 기업가치 증대 효과 추정
- 미국 시장 진출에 따른 양 사의 기업가치 증대 효과는 한화오션 4.7조원, HD현대중공업 4.3조원으로 추정
- 양 사의 미국 시장 진출 가치는 현금흐름할인모형(이하 DCF) 방식으로 산출. SOM(30년 간 1,934억달러) 기준 양 사 점유율 30%를 Base case로 설정. 2054년까지 30년 간 미국 군함 신조를 통해, 한화오션은 약 5.1조원, HD현대중공업은 약 5.6조원의 FCF를 창출할 것
- 매 해 FCF 추정치를 가중평균자본비용으로 할인해 NPV를 구했고, 2054년 FCF 추정치에 영구성장률 1.1%를 적용
■ 한화오션(042660), HD현대중공업(329180) 투자의견 중립으로 하향
- 밸류에이션 문제. 핵심 변수를 조절하면서 Best Case를 설정해도, 현재 가치는 고평가
- 실적 추정치 상향 없이 밸류에이션 멀티플을 할증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뉴스 플로우에 따른 주가 추가 상승 가능성을 감안해도 조정에 대한 불안은 지울 수 없을 것
텔레그램: http://t.me/enc210406
보고서 링크: https://vo.la/OjekkV
하선(下船)
■ 향후 30년간 한국 조선사가 확보가능한 시장(SOM)은 총 시장(TAM) 대비 16.1%
- 미국 함정 신조 시장에서 한국 조선사들이 향후 30년 간 실질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시장(Serviceable Obtainable Market, 이하 SOM)은 1,934억달러로 추정. 접근 가능한 총 시장 규모(Total Addressable Market, 이하 TAM) 대비 16.1%에 불과
- 추진 체계와 건조 capa 문제 때문에 한국 조선사들이 수주하기 어려운 항공모함과 잠수함을 제외하면 TAM의 53.9%가 없어짐. 남은 함종 안에서도 소형 수상함과 지원함 위주로 수주 기회가 열려있음
■ 국내 조선사는 미국 7,000톤급 호위함 시장에 강점 가질 것
- 미국 해군이 함정 건조 시장을 우방국에 개방한 것은 소형 수상함을 속도감 있게 확보하기 위함
- FFG-62 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기 때문인데, 2020년 4월에 시작된 이 프로젝트에서 미국 해군은 아직 초도함도 확보하지 못한 상황
- 건조 이력 상 한국 양 사의 수상함 건조 capa가 10,000톤급 이지스 구축함까지 수용 가능한 점을 감안하면, 7,000톤급 호위함 시장 위주로 점유율을 높여갈 것
■ DCF를 통해 미국 시장 진출에 따른 기업가치 증대 효과 추정
- 미국 시장 진출에 따른 양 사의 기업가치 증대 효과는 한화오션 4.7조원, HD현대중공업 4.3조원으로 추정
- 양 사의 미국 시장 진출 가치는 현금흐름할인모형(이하 DCF) 방식으로 산출. SOM(30년 간 1,934억달러) 기준 양 사 점유율 30%를 Base case로 설정. 2054년까지 30년 간 미국 군함 신조를 통해, 한화오션은 약 5.1조원, HD현대중공업은 약 5.6조원의 FCF를 창출할 것
- 매 해 FCF 추정치를 가중평균자본비용으로 할인해 NPV를 구했고, 2054년 FCF 추정치에 영구성장률 1.1%를 적용
■ 한화오션(042660), HD현대중공업(329180) 투자의견 중립으로 하향
- 밸류에이션 문제. 핵심 변수를 조절하면서 Best Case를 설정해도, 현재 가치는 고평가
- 실적 추정치 상향 없이 밸류에이션 멀티플을 할증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뉴스 플로우에 따른 주가 추가 상승 가능성을 감안해도 조정에 대한 불안은 지울 수 없을 것
23.02.202503:02
#PLTR
팔란티어 입문 영상으로 추천합니다. 근래 본 영상 중에 제일 정리 잘 했네요.
https://youtu.be/cz9GVlZXRNU?si=eYz_ESBgdGglqvHy
팔란티어 입문 영상으로 추천합니다. 근래 본 영상 중에 제일 정리 잘 했네요.
https://youtu.be/cz9GVlZXRNU?si=eYz_ESBgdGglqvHy
转发自:
서화백의 그림놀이 🚀



25.02.202500:37
#조선
### 아시아 조선업 시장 요약 (J.P. Morgan 보고서)
#### 1. 조선업 주요 동향
- **미국의 중국 조선업 관행 조사**가 글로벌 무역 구조를 변화시킬 가능성.
- 컨테이너선 발주 정점 도달, 벌크선 및 탱커선은 이제 막 투자 사이클 시작.
- LNG 운반선 투자 증가 전망, 미국 에너지 투자 확대가 주요 동력.
- 조선 가격 상승 지속, 조선소 용량 부족으로 공급 제약.
#### 2. 미국의 중국 조선업 제재 가능성
- 미국이 중국 조선업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며, 중국 조선소에서 건조된 선박에 대해 **최대 150만 달러의 입항 수수료 부과 가능.
- 중국은 글로벌 조선 시장 점유율 70% 차지, 컨테이너선 건조의 70%를 담당.
- 한국 조선소 수주 비중 증가, 2025년 초 글로벌 신규 수주의 62%를 차지.
#### 3. 조선업 발주 및 가격 동향
- 글로벌 조선 수주잔량 1억 5400만 CGT, 선박 노후화로 인한 갱신 수요 증가.
- 컨테이너선 발주량 정점 도달, 벌크선 및 탱커선은 성장 초기 단계.
- LNG 운반선 수요 증가, 친환경 에너지 전환 가속화.
- 선가 상승 지속, 조선소 용량 제한으로 인해 신조선 가격 지수 전년 대비 4% 상승.
#### 4. 주요 기업 평가
##### 1) 양쯔강 조선 (YZJ)
- 컨테이너선 의존도 높아 향후 성장 둔화 예상, 투자 의견 "중립(Neutral)"으로 하향.
- 신규 발주 정점 도달, 수주잔량 감소 가능성.
- 2024년 주가 100% 상승, 차익 실현 권고.
##### 2) 현대중공업 (HD Hyundai Heavy)
- 한국 조선업 성장 주도, LNG 운반선과 친환경 선박 주문 증가.
-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 증가, 한국 조선소의 경쟁력 강화.
##### 3) COSCO SHIPPING
- 아시아 최대 컨테이너 해운사, 트랜스퍼시픽 및 아시아-유럽 항로에서 시장 점유율 확대.
- 친환경 선박 투자, 선단 갱신과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 추진.
#### 5. 친환경 선박 및 연료 전환
- 대체 연료 선박 비중 증가, 2025년 2월 기준 전체 선박 중 8%가 친환경 연료 대응 가능.
- LNG와 메탄올 선박 확대, 글로벌 선사들이 신조 발주 시 친환경 연료 대응 선박을 우선 고려.
- IMO(국제해사기구) 목표에 따라 탄소 배출 감축 압박 증가, 2030년까지 20%, 2040년까지 80% 감축 목표.
#### 6. 향후 전망 및 리스크 요인
- 미국의 중국 조선업 제재 가능성, 글로벌 해운 및 조선업 비용 상승 예상.
- 벌크선 및 탱커선 발주 증가, 조선업체들의 새로운 성장 기회.
- 조선 가격 상승 지속, 조선소 용량 부족으로 공급 조절 예상.
- 친환경 선박 및 LNG 운반선 투자 증가, 한국 조선소의 경쟁력 강화 요인.
- 세계 경제 둔화 시 조선업 수요 위축 가능성, 선박 발주 감소 및 조선업체 실적 악화 가능성.
### 결론
- 컨테이너선 발주 정점 도달, 벌크선과 탱커선 시장이 새로운 성장 사이클 진입.
- LNG 운반선 및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 한국 조선소에 유리한 시장 환경 조성.
- 미국의 중국 조선업 규제 강화 가능성, 한국 조선업체들의 시장 점유율 확대 기회.
- 조선 가격 상승 지속 전망, 제한된 조선소 용량으로 인해 가격 강세 유지 가능.
### 아시아 조선업 시장 요약 (J.P. Morgan 보고서)
#### 1. 조선업 주요 동향
- **미국의 중국 조선업 관행 조사**가 글로벌 무역 구조를 변화시킬 가능성.
- 컨테이너선 발주 정점 도달, 벌크선 및 탱커선은 이제 막 투자 사이클 시작.
- LNG 운반선 투자 증가 전망, 미국 에너지 투자 확대가 주요 동력.
- 조선 가격 상승 지속, 조선소 용량 부족으로 공급 제약.
#### 2. 미국의 중국 조선업 제재 가능성
- 미국이 중국 조선업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며, 중국 조선소에서 건조된 선박에 대해 **최대 150만 달러의 입항 수수료 부과 가능.
- 중국은 글로벌 조선 시장 점유율 70% 차지, 컨테이너선 건조의 70%를 담당.
- 한국 조선소 수주 비중 증가, 2025년 초 글로벌 신규 수주의 62%를 차지.
#### 3. 조선업 발주 및 가격 동향
- 글로벌 조선 수주잔량 1억 5400만 CGT, 선박 노후화로 인한 갱신 수요 증가.
- 컨테이너선 발주량 정점 도달, 벌크선 및 탱커선은 성장 초기 단계.
- LNG 운반선 수요 증가, 친환경 에너지 전환 가속화.
- 선가 상승 지속, 조선소 용량 제한으로 인해 신조선 가격 지수 전년 대비 4% 상승.
#### 4. 주요 기업 평가
##### 1) 양쯔강 조선 (YZJ)
- 컨테이너선 의존도 높아 향후 성장 둔화 예상, 투자 의견 "중립(Neutral)"으로 하향.
- 신규 발주 정점 도달, 수주잔량 감소 가능성.
- 2024년 주가 100% 상승, 차익 실현 권고.
##### 2) 현대중공업 (HD Hyundai Heavy)
- 한국 조선업 성장 주도, LNG 운반선과 친환경 선박 주문 증가.
-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 증가, 한국 조선소의 경쟁력 강화.
##### 3) COSCO SHIPPING
- 아시아 최대 컨테이너 해운사, 트랜스퍼시픽 및 아시아-유럽 항로에서 시장 점유율 확대.
- 친환경 선박 투자, 선단 갱신과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 추진.
#### 5. 친환경 선박 및 연료 전환
- 대체 연료 선박 비중 증가, 2025년 2월 기준 전체 선박 중 8%가 친환경 연료 대응 가능.
- LNG와 메탄올 선박 확대, 글로벌 선사들이 신조 발주 시 친환경 연료 대응 선박을 우선 고려.
- IMO(국제해사기구) 목표에 따라 탄소 배출 감축 압박 증가, 2030년까지 20%, 2040년까지 80% 감축 목표.
#### 6. 향후 전망 및 리스크 요인
- 미국의 중국 조선업 제재 가능성, 글로벌 해운 및 조선업 비용 상승 예상.
- 벌크선 및 탱커선 발주 증가, 조선업체들의 새로운 성장 기회.
- 조선 가격 상승 지속, 조선소 용량 부족으로 공급 조절 예상.
- 친환경 선박 및 LNG 운반선 투자 증가, 한국 조선소의 경쟁력 강화 요인.
- 세계 경제 둔화 시 조선업 수요 위축 가능성, 선박 발주 감소 및 조선업체 실적 악화 가능성.
### 결론
- 컨테이너선 발주 정점 도달, 벌크선과 탱커선 시장이 새로운 성장 사이클 진입.
- LNG 운반선 및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 한국 조선소에 유리한 시장 환경 조성.
- 미국의 중국 조선업 규제 강화 가능성, 한국 조선업체들의 시장 점유율 확대 기회.
- 조선 가격 상승 지속 전망, 제한된 조선소 용량으로 인해 가격 강세 유지 가능.


01.02.202501:19
#PLTR #HD현대중공업
🔥팔란티어 공식 유튜브에 HD 현대의 조선업 등장
-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위해 팔란티어 Foundry 사용 → 조선업 특성을 반영한 온톨로지를 구성 → 작업인원, 시간의 효율화 및 비용 최적화 → 전체 공정의 안정화 및 생산성 극대화
- 작년 4월부터 팔란티어 x HD현대 협업 기사 나왔음
https://www.youtube.com/watch?v=NWRiiAs3fn4
**참고: 온톨로지란 무엇인가?
🔥팔란티어 공식 유튜브에 HD 현대의 조선업 등장
-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위해 팔란티어 Foundry 사용 → 조선업 특성을 반영한 온톨로지를 구성 → 작업인원, 시간의 효율화 및 비용 최적화 → 전체 공정의 안정화 및 생산성 극대화
- 작년 4월부터 팔란티어 x HD현대 협업 기사 나왔음
https://www.youtube.com/watch?v=NWRiiAs3fn4
**참고: 온톨로지란 무엇인가?
19.02.202512:49
#PLTR
삼성전자 반도체 MIS 상무의 팔란티어 샤라웃
현재 팔란티어 코리아 지사장님과 링크드인 1촌이라고 합니다.
삼성전자도 고객사로 올 날이 그리 멀진 않나봅니다!
출처: 빅데이터닥터님
삼성전자 반도체 MIS 상무의 팔란티어 샤라웃
“올해는 Salesforce EinsteinGPT, Palantir AIP, o9 Composite Agents, MS Power BI 등 다양한 솔루션 공급업체의 LLM 통합 서비스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AI 에이전트 관점에서 우리 팀은 Palantir AIP를 가장 진보된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현재 팔란티어 코리아 지사장님과 링크드인 1촌이라고 합니다.
삼성전자도 고객사로 올 날이 그리 멀진 않나봅니다!
출처: 빅데이터닥터님
转发自:
에테르의 일본&미국 리서치



23.02.202514:59
TD COWEN 채널 조사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가 미국 데이터 센터 임대를 취소 – 잠재적 공급 과잉 가능성 언급
애널리스트 코멘트:
"우리의 채널 조사에 따르면, MSFT(마이크로소프트)가 다음과 같은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1) 미국 내에서 두 개 이상의 민간 데이터 센터 운영자와의 계약을 통해 '수백 메가와트(MW)'에 달하는 임대를 취소,
2) 500’s(Statement of Qualification, 임대 전 단계 SOQ)를 임대로 전환하는 절차를 축소,
3) 국제 비용의 상당 부분을 미국으로 재배정.
이와 같은 움직임은 이전에 진행된 채널 조사에서 우리가 발견했던 내용을 종합했을 때 마이크로소프트의 잠재적 공급 과잉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데이터 센터 계약 취소:
최근 채널 조사 결과, 마이크로소프트는 미국 내 여러 시장에서 두 개 이상의 민간 데이터 센터 운영자와 체결된 임대 계약(여러 건의 수백 MW 규모)을 취소했습니다. 일부 사례에서, 마이크로소프트는 전력 및 시설 지연을 임대 계약 취소의 근거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비슷한 이력이 있는데요, 2022년 PTC 컨퍼런스의 요약 내용에서 우리는 메타(Meta)가 같은 이유로 여러 데이터 센터 임대를 취소했음을 확인했습니다. 당시 메타는 메타버스 관련 480억 달러 규모의 자본 지출(caped)을 취소했고, 2주 뒤에는 자본 지출 가이던스를 54억 달러 줄였습니다.
SOQ 전환의 축소:
또한, 마이크로소프트는 현재 협상 및 서명된 Statement of Qualification(SOQ, 500’s)을 임대 계약으로 전환하는 절차를 축소하고 있습니다. 현재 이 상황이 단순히 500-to-임대 전환의 지연인지, 아니면 임대 전환 없이 SOQ 자체를 종료할 가능성인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배경으로 말씀드리면, SOQ는 임대 계약을 위한 조건을 사전에 정의하지만, 임대 계약은 아니며 500-to-임대 전환 비율은 거의 100%에 가깝습니다. 이는 데이터 센터 운영자들이 이 신호를 통해 데이터 센터 건설을 시작하는 주요 지표로 삼기 때문입니다.
국제 지출 축소:
마이크로소프트는 또한 예상된 국제 지출의 상당 부분을 미국으로 재배정한다고 합니다. 이는 국제 임대 활동의 물리적 둔화를 시사합니다.
이러한 움직임의 이유는 무엇인가?
왜 이러한 일이 발생했는지에 대해 구체적인 답을 얻지는 못했지만, 초기 해석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잠재적으로 공급 과잉 상태에 처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큽니다.
PTC 컨퍼런스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했습니다:
1) 마이크로소프트가 초기/중기 협상 단계에 있던 여러 시장의 100MW 이상의 계약을 철회.
2) +1GW 규모의 LOI(Letter of Intent)를 만료.
3) Tier I 시장에서 계약 중이던 5개 이상의 부지 포기를 포함해 여러 토지 계약 철회.
이러한 움직임은 마이크로소프트가 과거에 대응하던 주요 수요 신호가 사라졌음을 나타냅니다. 우리는 이 변화가 OpenAI와 관련 있다고 해석했으며, 최근 보도된 자료들이 이를 입증한다고 믿고 있습니다.
OpenAI와의 연관성:
한 가지 중요한 점은 마이크로소프트가 2023년과 2024년 상반기에 가장 활발하게 데이터 센터 용량을 임대하던 시점에서, 이는 OpenAI 작업량을 추가적으로 포함한 용량 예측에 따라 이루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이전 조사에서 확인했듯이, 위스콘신에서 건설을 중단한 데이터 센터(이는 OpenAI 지원용으로 계획되었음)가 보여주듯, 특정 지역에서 확보한 용량이 마이크로소프트의 새로운 전망 대비 과잉 상태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결론:
현재 상황에 대한 우리의 해석은 이와 같지만, 추후 채널 조사를 통해 새로운 정보를 확보하면서 우리의 관점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애널리스트 코멘트:
"우리의 채널 조사에 따르면, MSFT(마이크로소프트)가 다음과 같은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1) 미국 내에서 두 개 이상의 민간 데이터 센터 운영자와의 계약을 통해 '수백 메가와트(MW)'에 달하는 임대를 취소,
2) 500’s(Statement of Qualification, 임대 전 단계 SOQ)를 임대로 전환하는 절차를 축소,
3) 국제 비용의 상당 부분을 미국으로 재배정.
이와 같은 움직임은 이전에 진행된 채널 조사에서 우리가 발견했던 내용을 종합했을 때 마이크로소프트의 잠재적 공급 과잉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데이터 센터 계약 취소:
최근 채널 조사 결과, 마이크로소프트는 미국 내 여러 시장에서 두 개 이상의 민간 데이터 센터 운영자와 체결된 임대 계약(여러 건의 수백 MW 규모)을 취소했습니다. 일부 사례에서, 마이크로소프트는 전력 및 시설 지연을 임대 계약 취소의 근거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비슷한 이력이 있는데요, 2022년 PTC 컨퍼런스의 요약 내용에서 우리는 메타(Meta)가 같은 이유로 여러 데이터 센터 임대를 취소했음을 확인했습니다. 당시 메타는 메타버스 관련 480억 달러 규모의 자본 지출(caped)을 취소했고, 2주 뒤에는 자본 지출 가이던스를 54억 달러 줄였습니다.
SOQ 전환의 축소:
또한, 마이크로소프트는 현재 협상 및 서명된 Statement of Qualification(SOQ, 500’s)을 임대 계약으로 전환하는 절차를 축소하고 있습니다. 현재 이 상황이 단순히 500-to-임대 전환의 지연인지, 아니면 임대 전환 없이 SOQ 자체를 종료할 가능성인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배경으로 말씀드리면, SOQ는 임대 계약을 위한 조건을 사전에 정의하지만, 임대 계약은 아니며 500-to-임대 전환 비율은 거의 100%에 가깝습니다. 이는 데이터 센터 운영자들이 이 신호를 통해 데이터 센터 건설을 시작하는 주요 지표로 삼기 때문입니다.
국제 지출 축소:
마이크로소프트는 또한 예상된 국제 지출의 상당 부분을 미국으로 재배정한다고 합니다. 이는 국제 임대 활동의 물리적 둔화를 시사합니다.
이러한 움직임의 이유는 무엇인가?
왜 이러한 일이 발생했는지에 대해 구체적인 답을 얻지는 못했지만, 초기 해석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잠재적으로 공급 과잉 상태에 처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큽니다.
PTC 컨퍼런스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했습니다:
1) 마이크로소프트가 초기/중기 협상 단계에 있던 여러 시장의 100MW 이상의 계약을 철회.
2) +1GW 규모의 LOI(Letter of Intent)를 만료.
3) Tier I 시장에서 계약 중이던 5개 이상의 부지 포기를 포함해 여러 토지 계약 철회.
이러한 움직임은 마이크로소프트가 과거에 대응하던 주요 수요 신호가 사라졌음을 나타냅니다. 우리는 이 변화가 OpenAI와 관련 있다고 해석했으며, 최근 보도된 자료들이 이를 입증한다고 믿고 있습니다.
OpenAI와의 연관성:
한 가지 중요한 점은 마이크로소프트가 2023년과 2024년 상반기에 가장 활발하게 데이터 센터 용량을 임대하던 시점에서, 이는 OpenAI 작업량을 추가적으로 포함한 용량 예측에 따라 이루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이전 조사에서 확인했듯이, 위스콘신에서 건설을 중단한 데이터 센터(이는 OpenAI 지원용으로 계획되었음)가 보여주듯, 특정 지역에서 확보한 용량이 마이크로소프트의 새로운 전망 대비 과잉 상태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결론:
현재 상황에 대한 우리의 해석은 이와 같지만, 추후 채널 조사를 통해 새로운 정보를 확보하면서 우리의 관점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31.01.202502:37
1. EU가 러시아 PNG를 다시 수입하게 된다면, 미국 LNG 수출 업체 뿐만 아니라 한국 조선 LNG 밸류체인도 타격을 받게 되기 때문에 향후 논의에 대한 모니터링 필요함. 아직은 시장에서 심각하게 받아들이진 않고 있지만, 나중에 악재가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
2. EU는 현재 높은 에너지 비용 vs 트럼프라는 진퇴양난에 빠진 상황. 기본적으로 잘못된 에너지 정책 + 러시아 PNG 공급 감소로 에너지 비용이 만성적으로 높아 제조업 쇠퇴가 급속하게 이루어지는 중. 미국의 LNG는 러시아 PNG 대비 일반적으로 3-4배 비싼 에너지원이기 때문에 EU 입장에서는 당연히 PNG 쓰는게 더 좋음. 러시아 제재를 번복할 가능성은 꽤나 높다고 생각
3. 하지만 트럼프도 Drill baby Drill 공약을 달성하려면 EU에 대한 LNG 수출 파이프라인을 지켜야하는 상황. EU에게 쓸 수 있는 카드는 관세, NATO 방위비 상승 등 여러가지가 있음. 트럼프라면 물불 안가리고 EU의 러시아 PNG 재개를 막을듯. 어쩌면 러우전쟁 종전 협상하는거 자체가 미국에게 별로 유리한 구석이 없기 때문에, 이대로 방치하는 시나리오도 생각해볼 순 있을듯
4. 구도를 정리하면, EU(독일, 헝가리 등 찬성 국가) + 우크라이나 +러시아 vs 미국 + EU (러시아 가스 재개 반대 국가)
2. EU는 현재 높은 에너지 비용 vs 트럼프라는 진퇴양난에 빠진 상황. 기본적으로 잘못된 에너지 정책 + 러시아 PNG 공급 감소로 에너지 비용이 만성적으로 높아 제조업 쇠퇴가 급속하게 이루어지는 중. 미국의 LNG는 러시아 PNG 대비 일반적으로 3-4배 비싼 에너지원이기 때문에 EU 입장에서는 당연히 PNG 쓰는게 더 좋음. 러시아 제재를 번복할 가능성은 꽤나 높다고 생각
3. 하지만 트럼프도 Drill baby Drill 공약을 달성하려면 EU에 대한 LNG 수출 파이프라인을 지켜야하는 상황. EU에게 쓸 수 있는 카드는 관세, NATO 방위비 상승 등 여러가지가 있음. 트럼프라면 물불 안가리고 EU의 러시아 PNG 재개를 막을듯. 어쩌면 러우전쟁 종전 협상하는거 자체가 미국에게 별로 유리한 구석이 없기 때문에, 이대로 방치하는 시나리오도 생각해볼 순 있을듯
4. 구도를 정리하면, EU(독일, 헝가리 등 찬성 국가) + 우크라이나 +러시아 vs 미국 + EU (러시아 가스 재개 반대 국가)
17.02.202500:09
#조선
글로벌 해운사들이 탱커(유조선)를 한국 조선사에 맡기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탱커는 기술 격차가 크지 않은 선종이어서 그동안 해운사들은 값이 싼 중국 조선소에 주로 발주했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 조선업을 제재하겠다는 의지를 보이자 탱커 주문도 한국으로 돌리고 있는 것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94352?sid=101
글로벌 해운사들이 탱커(유조선)를 한국 조선사에 맡기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탱커는 기술 격차가 크지 않은 선종이어서 그동안 해운사들은 값이 싼 중국 조선소에 주로 발주했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 조선업을 제재하겠다는 의지를 보이자 탱커 주문도 한국으로 돌리고 있는 것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94352?sid=101
转发自:
에테르의 일본&미국 리서치

24.02.202513:27
Jefferies에 의하면 마이크로소프트는 TD코웬의 리포트에 대해서 강하게 부정했으며, 그들의 데이터센터 전략에 대해 변한점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12.02.202509:11
[한투증권 강경태] 조선 산업 comment
텔레그램: http://t.me/enc210406
보고서 링크: https://vo.la/mEzzYm
해군 준비태세 보장법 발의 관련 코멘트: 본 게임 힌트
■ 반스-톨레프슨법 개정을 골자로 한 해군 준비태세 보장법 발의
- 지난 2월 5일, 미국 119대 의회 공화당 소속 상원 의원 2명(Mike Lee, John Curtis)이 Ensuring Naval Readiness Act(해군 준비태세 보장법)를 발의
- ‘해군 준비태세 보장법’의 골자는 United States Code, Section 8679에 성문화된 Byrnes-Tollefson Act(반스-톨레프슨법)을 개정하는 것
- 관련 법에 따라, 지금까지 미국 해군의 함정은 미국령에 있는 조선소에서만 건조할 수 있었음. 해군 준비태세 보장법을 발의해서, 적격한 외국 조선소에서도 미군의 함정을 건조할 수 있도록 관련법을 개정할 준비 착수
- 적격한 외국 조선소의 조건은 지역, 비용, 운영/지분 구조 등 세 가지 기준으로 구분. 지역적으로 북대서양 조약 기구 회원 국가이거나 미국과 상호 방위 조약을 맺은 인도-태평양 지역 국가만 해당되고, 비용적으로 미국 야드에서 건조하는 총량에 비해 낮아야 하며, 운영 및 지분 구조적으로 중국 회사나 중국령에 있는 다국적 기업에 의해 운영되거나 소유된 기업은 불가능
■ 상선 시장에 준하는 규모의 특수선 수출 시장이 열린 것
- 발의된 법안과 관련한 한국 조선업 영향은 총 두 가지
- 첫째, 미국 해군의 함정 신조 시장이 당초 예상보다 빠르게 열리게 됐다는 것. 미국 의회 예산처에 따르면, 미국 해군은 2054년까지 함정 390척을 확보하려는 목표를 수립. 2024년 기준 보유 함정은 총 297척. 퇴역하는 함정을 감안해 향후 30년 간 360척을 신규 구매해서 2054년까지 93척 순증 계획
- 360척을 구매하기 위한 예산은 미국 의회 예산처 추산 1.07조달러. 미 해군은 향후 30년 간 연평균 358억달러를 지출하게 되는데, 이 시장이 동맹국에 열린 것
- 한국 조선소들이 현재 접근할 수 있는 상선 시장이 하나 더 열린 것과 같은 개념. 2024년 기준 전세계 상선 신조 시장 규모는 2,073억달러이며, 이 중 한국이 364억달러(M/S 17.6%)를 수주. 한국 조선소 전체의 연간 신조 시장 규모에 준하는 시장이 특수선 분야에서 생성
- 둘째, 한국 야드의 가치가 향상됐다는 것. 이탈리아의 핀칸티에리나 호주의 오스탈과 같이 미국에 야드를 두고 현지에서 호위함(콘스텔레이션급)과 연안전투함(인디펜던스급)을 건조하는 것과 다른 양상. 수상함 기준으로 가장 큰 생산 capa를 가진 HD현대중공업이나 2028년까지 단계별로 옥포조선소의 특수선 야드를 증설 중인 한화오션 모두, 시설과 인력 면에서 최적화된 한국 야드를 활용해 미군 함정을 건조할 수 있게 됐다는 것
텔레그램: http://t.me/enc210406
보고서 링크: https://vo.la/mEzzYm
해군 준비태세 보장법 발의 관련 코멘트: 본 게임 힌트
■ 반스-톨레프슨법 개정을 골자로 한 해군 준비태세 보장법 발의
- 지난 2월 5일, 미국 119대 의회 공화당 소속 상원 의원 2명(Mike Lee, John Curtis)이 Ensuring Naval Readiness Act(해군 준비태세 보장법)를 발의
- ‘해군 준비태세 보장법’의 골자는 United States Code, Section 8679에 성문화된 Byrnes-Tollefson Act(반스-톨레프슨법)을 개정하는 것
- 관련 법에 따라, 지금까지 미국 해군의 함정은 미국령에 있는 조선소에서만 건조할 수 있었음. 해군 준비태세 보장법을 발의해서, 적격한 외국 조선소에서도 미군의 함정을 건조할 수 있도록 관련법을 개정할 준비 착수
- 적격한 외국 조선소의 조건은 지역, 비용, 운영/지분 구조 등 세 가지 기준으로 구분. 지역적으로 북대서양 조약 기구 회원 국가이거나 미국과 상호 방위 조약을 맺은 인도-태평양 지역 국가만 해당되고, 비용적으로 미국 야드에서 건조하는 총량에 비해 낮아야 하며, 운영 및 지분 구조적으로 중국 회사나 중국령에 있는 다국적 기업에 의해 운영되거나 소유된 기업은 불가능
■ 상선 시장에 준하는 규모의 특수선 수출 시장이 열린 것
- 발의된 법안과 관련한 한국 조선업 영향은 총 두 가지
- 첫째, 미국 해군의 함정 신조 시장이 당초 예상보다 빠르게 열리게 됐다는 것. 미국 의회 예산처에 따르면, 미국 해군은 2054년까지 함정 390척을 확보하려는 목표를 수립. 2024년 기준 보유 함정은 총 297척. 퇴역하는 함정을 감안해 향후 30년 간 360척을 신규 구매해서 2054년까지 93척 순증 계획
- 360척을 구매하기 위한 예산은 미국 의회 예산처 추산 1.07조달러. 미 해군은 향후 30년 간 연평균 358억달러를 지출하게 되는데, 이 시장이 동맹국에 열린 것
- 한국 조선소들이 현재 접근할 수 있는 상선 시장이 하나 더 열린 것과 같은 개념. 2024년 기준 전세계 상선 신조 시장 규모는 2,073억달러이며, 이 중 한국이 364억달러(M/S 17.6%)를 수주. 한국 조선소 전체의 연간 신조 시장 규모에 준하는 시장이 특수선 분야에서 생성
- 둘째, 한국 야드의 가치가 향상됐다는 것. 이탈리아의 핀칸티에리나 호주의 오스탈과 같이 미국에 야드를 두고 현지에서 호위함(콘스텔레이션급)과 연안전투함(인디펜던스급)을 건조하는 것과 다른 양상. 수상함 기준으로 가장 큰 생산 capa를 가진 HD현대중공업이나 2028년까지 단계별로 옥포조선소의 특수선 야드를 증설 중인 한화오션 모두, 시설과 인력 면에서 최적화된 한국 야드를 활용해 미군 함정을 건조할 수 있게 됐다는 것
10.02.202515:20
국민연금 4분기에 엔비디아 팔고, 팔란티어 200만주 -> 500만주로 불타기 중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40381?sid=101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40381?sid=101
22.02.202512:28
- 2010년 이후부터 중국에서 만들어진 선박은 40-50%에 달함
- 23년도 국가별 국제해운 선박 소유 비중은 그리스 18%, 중국 11%, 일본 11%, 싱가포르 7%, 홍콩 5%, 독일 4%, 한국 4%, 기타 40% 순
미국 물가 오르는 소리 들리네요
- 23년도 국가별 국제해운 선박 소유 비중은 그리스 18%, 중국 11%, 일본 11%, 싱가포르 7%, 홍콩 5%, 독일 4%, 한국 4%, 기타 40% 순
미국 물가 오르는 소리 들리네요
22.02.202512:12
#조선 #매크로
- 시행된다면 국내 조선업에는 긍정적
- 중국 해운이 당장 대체될 수 있는게 아니기 때문에, 지속적인 인플레 상방 요소가 될 것
https://v.daum.net/v/20250222184712174
USTR의 추진안은 중국 선사의 어떤 선박이 미국 항구에 입항할 때마다 선박당 최대 100만 달러(약 14억 원), 또는 선박의 용적물에 t당 최대 1천 달러(약 144만 원)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
아울러 중국산 선박을 포함한 복수의 선박을 운영하는 선사의 경우, 미국 항구에 입항하는 중국산 선박에 조건에 따라 최대 150만 달러(약 21억5천만 원)의 수수료 등을 부과하는 내용도 포함한다.
...해당 정책의 시행 직후부터 해상 운송되는 미국 제품의 최소 1%는 미국 선사의 미국 선적 선박을 통해 수출돼야 한다.
- 시행된다면 국내 조선업에는 긍정적
- 중국 해운이 당장 대체될 수 있는게 아니기 때문에, 지속적인 인플레 상방 요소가 될 것
https://v.daum.net/v/20250222184712174
转发自:
YM리서치

31.01.202515:31
[조선업에 드리운 비관(1탄)] 해운운임 무너지는데 선가가 너무 비싸지 않습미까
https://blog.naver.com/ubermensch815/223721699982
[조선업에 드리운 비관(2탄)] 중국의 기세가 너무 무섭지 않슴미까
https://blog.naver.com/ubermensch815/223743124252
https://blog.naver.com/ubermensch815/223721699982
[조선업에 드리운 비관(2탄)] 중국의 기세가 너무 무섭지 않슴미까
https://blog.naver.com/ubermensch815/223743124252
18.02.202512:03
#조선
조선 3사 미래 먹거리: 원자력 추진선 현황
1) HD한국조선해양: 미국선급(ABS)으로부터 SMR 기술을 적용한 1만5,000TEU급 컨테이너선 설계모델에 대한 기본인증(AIP)을 획득 → 나중에 HD현대중공업이 건조할 예정
2) 삼성중공업: 2021년 한국원자력연구원과 MSR 개발 및 공동 연구 협약을 체결하고 ‘바다 위 소형 원전’으로 불리는 부유식 MSR 해양플랜트를 개발 중
3) 한화오션: 2020년 한국전력기술과 해양 원전 기술 공동 개발 장기협력 업무협약(MOU)를 맺고, 관련 기술을 연구 중
4)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KRISO)는 2028년까지 SMR 추진 선박 핵심기술을 개발 목표
https://www.ulsanpress.net/news/articleView.html?idxno=544965
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4/10/25/DVRX5YMIAZDI5NIA6DMI3UUY2Y/
조선 3사 미래 먹거리: 원자력 추진선 현황
1) HD한국조선해양: 미국선급(ABS)으로부터 SMR 기술을 적용한 1만5,000TEU급 컨테이너선 설계모델에 대한 기본인증(AIP)을 획득 → 나중에 HD현대중공업이 건조할 예정
2) 삼성중공업: 2021년 한국원자력연구원과 MSR 개발 및 공동 연구 협약을 체결하고 ‘바다 위 소형 원전’으로 불리는 부유식 MSR 해양플랜트를 개발 중
3) 한화오션: 2020년 한국전력기술과 해양 원전 기술 공동 개발 장기협력 업무협약(MOU)를 맺고, 관련 기술을 연구 중
4)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KRISO)는 2028년까지 SMR 추진 선박 핵심기술을 개발 목표
https://www.ulsanpress.net/news/articleView.html?idxno=544965
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4/10/25/DVRX5YMIAZDI5NIA6DMI3UUY2Y/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