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ачен пише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Реальна Війна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ачен пише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Реальна Війна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여의도스토리 Ver2.0
볼만한 뉴스와 증권사리포트, 글로벌경제뉴스. 와신 등을 공유합니다. 내용은 매도/매수의 의견이 아닙니다.매매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있습니다
●/ ●/
《 | 《 |
/〉 제보.문의 /〉
제보/각종 문의 받습니다.
@yeouidooppa
●/ ●/
《 | 《 |
/〉 제보.문의 /〉
제보/각종 문의 받습니다.
@yeouidooppa
Рейтинг TGlist
0
0
ТипПублічний
Верифікація
Не верифікованийДовіреність
Не надійнийРозташування
МоваІнша
Дата створення каналуЖовт 19, 2016
Додано до TGlist
Трав 27, 2024Прикріплена група

여의도스토리 Ver2.0 Chat
247
Рекорди
20.04.202523:59
53.8KПідписників27.05.202423:59
0Індекс цитування08.12.202423:59
7.3KОхоплення 1 допису08.12.202423:59
7.1KОхоп рекл. допису12.10.202423:59
4.40%ER08.12.202423:59
13.85%ERR

16.04.202511:43
12.04.202513:52
21.04.202502:06
[이재명 – 리서치센터장 간담회 요약]
일시: 오전 10시 08분 입장 / 10시 09분 기념촬영
주제: 자본시장 활성화 간담회
참석자: 이재명, 강유정 의원, 윤후덕 의원, 이해식 의원, 김태석 의원, 리서치센터장들 외
1. 서유석 (금융투자협회 회장)
2025년은 불확실성의 시대이며, 미중 경쟁, 경기 둔화로 인한 위기감이 있음
한국 자본시장은 시총 세계 15위, 투자자 1,400만명까지 확대됐지만, 코리아 디스카운트로 박스권
주식시장은 자본시장의 꽃. 대통령 직속의 특별기구 설립을 통한 강력한 정책 추진 필요
주주 환원정책, 세제 혜택, 신뢰 회복, 투명성 강화가 핵심
시장 정상화로 애플, 테슬라, 엔비디아 같은 혁신기업 성장 가능
2. A (애널리스트 회장)
현장 의견을 직접 전달하고 예비후보 의견을 청취하는 소중한 기회
기업 저평가 심각. 단순한 증시 문제가 아닌 국가 경쟁력의 문제
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우량주도 장기 투자 어렵다는 인식 팽배 → 신뢰 위기
주가 지수 2500에서 4000~5000으로 상승 시 국민 자산 증식, 기업 가치 증가
공시 조작, 지배권 남용 등 시장 불공정성 제거
PBR 0.1 수준 기업 청산 필요, 적대적 M&A 문제 제기
종목 수 세계 5위 → “상장 심사 및 퇴출 기준 강화 필요”
4. B(리서치센터장)
자본 유출: 해외주식, 부동산, 코인 등으로 분산
한국 시장은 "구멍 난 파이프"
주주환원율 개선, 지배구조 투명화, 미래에 대한 꿈 제시 강조
5. C (KB증권 상무)
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민간 협력 필요 (일본 소프트뱅크 사례 참고)
하드웨어 인프라 투자는 정부, 소프트웨어는 기업 주도
사외이사 제도 글로벌화 필요: 임기 제한·겸직 규정 완화
6. D (한화)
밸류업 공시와 이사회 책임이 연결되지 않음
기업 미래 전략 공시에 대한 제도적 가이드 필요
미국처럼 장기투자 기반 마련 위해 신뢰 회복 필수
7. 주요 정책 이슈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한 상법 개정과 제도 개선
배당성향 낮은 원인은 대주주 종합과세 부담 (49.5%)
배당소득세 완화를 통한 배당 활성화 → 노후소득 확보 가능
단, 세수 감소와 실제 배당 증가 여부 간의 상관관계는 검토 필요
일시: 오전 10시 08분 입장 / 10시 09분 기념촬영
주제: 자본시장 활성화 간담회
참석자: 이재명, 강유정 의원, 윤후덕 의원, 이해식 의원, 김태석 의원, 리서치센터장들 외
1. 서유석 (금융투자협회 회장)
2025년은 불확실성의 시대이며, 미중 경쟁, 경기 둔화로 인한 위기감이 있음
한국 자본시장은 시총 세계 15위, 투자자 1,400만명까지 확대됐지만, 코리아 디스카운트로 박스권
주식시장은 자본시장의 꽃. 대통령 직속의 특별기구 설립을 통한 강력한 정책 추진 필요
주주 환원정책, 세제 혜택, 신뢰 회복, 투명성 강화가 핵심
시장 정상화로 애플, 테슬라, 엔비디아 같은 혁신기업 성장 가능
2. A (애널리스트 회장)
현장 의견을 직접 전달하고 예비후보 의견을 청취하는 소중한 기회
기업 저평가 심각. 단순한 증시 문제가 아닌 국가 경쟁력의 문제
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우량주도 장기 투자 어렵다는 인식 팽배 → 신뢰 위기
주가 지수 2500에서 4000~5000으로 상승 시 국민 자산 증식, 기업 가치 증가
공시 조작, 지배권 남용 등 시장 불공정성 제거
PBR 0.1 수준 기업 청산 필요, 적대적 M&A 문제 제기
종목 수 세계 5위 → “상장 심사 및 퇴출 기준 강화 필요”
4. B(리서치센터장)
자본 유출: 해외주식, 부동산, 코인 등으로 분산
한국 시장은 "구멍 난 파이프"
주주환원율 개선, 지배구조 투명화, 미래에 대한 꿈 제시 강조
5. C (KB증권 상무)
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민간 협력 필요 (일본 소프트뱅크 사례 참고)
하드웨어 인프라 투자는 정부, 소프트웨어는 기업 주도
사외이사 제도 글로벌화 필요: 임기 제한·겸직 규정 완화
6. D (한화)
밸류업 공시와 이사회 책임이 연결되지 않음
기업 미래 전략 공시에 대한 제도적 가이드 필요
미국처럼 장기투자 기반 마련 위해 신뢰 회복 필수
7. 주요 정책 이슈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한 상법 개정과 제도 개선
배당성향 낮은 원인은 대주주 종합과세 부담 (49.5%)
배당소득세 완화를 통한 배당 활성화 → 노후소득 확보 가능
단, 세수 감소와 실제 배당 증가 여부 간의 상관관계는 검토 필요
07.04.202522:46
<04/08> LS-Sec Tech Daily News
▶️ 주요뉴스
■ SK하이닉스 또 일낸다…HBM4 이어 'HBM4E' 적기 공급 약속
https://buly.kr/880t1xc
■ 삼성전자 TV사업부, 멕시코 공장으로 관세 영향 경쟁사 대비 적어
https://buly.kr/CsjLVup
■ 삼성전자, 파운드리 제조 인력 일부 전환 배치… HBM 사업 강화 차원
https://buly.kr/ComtEi
■ 세메스, 차세대 반도체 KrF 스피너 '오메가 프라임' 국산화 성공
https://buly.kr/A45Dou9
■ 브로드컴, $10Bil 규모의 자사주 계획 발표
https://buly.kr/EdsvK3O
■ 트럼프, 中에 50% 추가관세 위협…"다른 나라와는 즉시 협상"
https://buly.kr/DwDtOpr
■ 애플, 관세 부과에 앞서 제품 출하 서둘러
https://buly.kr/880t1yx
■ 中, 딥시크 앞세워 美 AI 맹추격…1년 만에 격차 9.3→1.7%
https://buly.kr/DwDtOpr
▶️ 주요뉴스
■ SK하이닉스 또 일낸다…HBM4 이어 'HBM4E' 적기 공급 약속
https://buly.kr/880t1xc
■ 삼성전자 TV사업부, 멕시코 공장으로 관세 영향 경쟁사 대비 적어
https://buly.kr/CsjLVup
■ 삼성전자, 파운드리 제조 인력 일부 전환 배치… HBM 사업 강화 차원
https://buly.kr/ComtEi
■ 세메스, 차세대 반도체 KrF 스피너 '오메가 프라임' 국산화 성공
https://buly.kr/A45Dou9
■ 브로드컴, $10Bil 규모의 자사주 계획 발표
https://buly.kr/EdsvK3O
■ 트럼프, 中에 50% 추가관세 위협…"다른 나라와는 즉시 협상"
https://buly.kr/DwDtOpr
■ 애플, 관세 부과에 앞서 제품 출하 서둘러
https://buly.kr/880t1yx
■ 中, 딥시크 앞세워 美 AI 맹추격…1년 만에 격차 9.3→1.7%
https://buly.kr/DwDtOpr
03.04.202500:12
키움 먹통?
15.04.202523:06
📮[메리츠 화장품/생활소비재 박종대]
한국 화장품 산업의 세 가지 확장
▶ 본문 Summary
2025년 한국 화장품 산업의 경계는 확장 중에 있다. 첫째, 지역적 경계를 유럽과 중동으로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유럽 수출은 곧 일본을 넘어설 태세다. 유럽 매출 비중이 큰 업체로 아모레퍼시픽, 에이피알, 실리콘투의 실적 모멘텀을 유심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 둘째, 용기의 경계가 유리로 확장하고 있다. 그동안 가격과 안정성 문제로 소외돼 왔던 유리 용기가 립스틱과 마스카라까지 카테고리를 넓히고 있다. 환경 요인에 더해 차별적 소구점을 찾기 위함이다. 유리 용기 업체는 세개 밖에 남지 않았다. 에스엠씨지는 본격적인 투자 회수기로 접어들었다. 셋째, 많은 이종산업에서 화장품을 출시하고 있다. 제약사/미용 및 의료기기/연예기획사/마케팅/플랫폼 업체들의 화장품 사업 진출은 한국이 세계 최고의 화장품 제조 인프라를 갖추고 있기에 가능한 현상이다. ODM/용기 등 화장품 제조 업체들에게 우호적인 환경이다.
1분기 실적의 특징을 종합해보면, 첫째, 각 밸류체인별 대기업들의 실적 모멘텀이 좋다. 코스맥스/한국콜마/에이피알/펌텍코리아는 펀더멘탈 개선의 맨 앞에 있다. 둘째, 중저가 브랜드 업체들의 실적은 상저하고를 이룰 가능성이 크다. 브이티/클리오/아이패밀리에스씨 모두 미국과 유럽, 중국에서 새로운 성장 여력을 찾고 있는데, 실적 가시화 시기가 모두 하반기다. 셋째, ODM 업체들의 편차가 크다. Top 2 코스맥스/한국콜마의 확연한 펀더멘탈 개선세와 달리 상대적으로 코스메카코리아와 씨앤씨인터내셔널은 전년도 상반기 높은 베이스를 극복하지 못하는 분위기다. 이런 현상은 2분기까지 이어질 공산이 크다.
실적 모멘텀 Top 4 코스맥스/한국콜마/에이피알/펌텍코리아 주가가 추세적으로 하락 전환할 이유는 없다. 조정이 있을 때마다 비중을 늘리는 전략이 타당하다. 코스맥스와 한국콜마는 앞서거니 뒷서거니하면서 한국 화장품 제조 클러스터를 이끌어가고 있는 글로벌 기업이다.
1분기 실적 발표 후에 가장 주가가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기업은 아모레퍼시픽과 실리콘투다. 두 회사의 투자 포인트가 달라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아모레퍼시픽은 지난 1년 동안 코스알엑스가 핵심이었고, 실리콘투는 그동안 미국이 핵심이었다. 하지만, 아모레퍼시픽은 브랜드/카테고리/지역 포트폴리오를 맞추며 한국 최초의 브랜드 대기업으로서 길을 가는 중이고, 실리콘투는 여전히 한국 인디 브랜드 업체들의 최대 글로벌 파이프라인이다. 아모레퍼시픽은 '코스알엑스'가 아니고, 실리콘투는 '미국'이 아니다. 이런 기존 관념이 깨지게 된다면 투자 포인트가 달라지면서 주가 모멘텀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 기업분석
Top-Pick: 아모레퍼시픽(090430)
미국을 넘어 유럽과 중동으로
- 유럽 매출 9배 성장
- 진정한 브랜드 대기업으로 나아가는 중
- 1분기 영업이익 YoY 33% 증가 전망
Top-Pick: 에이피알(278470)
압도적인 기세
- 유럽 중심 B2B 확대
- 1분기 영업이익 415억원 예상
- 기세가 밸류에이션 부담을 누를 듯
관심종목: 실리콘투(257720)
이제 유럽으로 성장과 투자 포인트 전환
- 유럽/중동 가파른 성장세
- 1분기 영업이익 YoY 36% 증가 예상
- 적정주가 3.7만원 → 4.2만원 상향 조정, 투자의견 매수 유지
요약본 링크: https://buly.kr/APumhMZ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한국 화장품 산업의 세 가지 확장
▶ 본문 Summary
2025년 한국 화장품 산업의 경계는 확장 중에 있다. 첫째, 지역적 경계를 유럽과 중동으로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유럽 수출은 곧 일본을 넘어설 태세다. 유럽 매출 비중이 큰 업체로 아모레퍼시픽, 에이피알, 실리콘투의 실적 모멘텀을 유심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 둘째, 용기의 경계가 유리로 확장하고 있다. 그동안 가격과 안정성 문제로 소외돼 왔던 유리 용기가 립스틱과 마스카라까지 카테고리를 넓히고 있다. 환경 요인에 더해 차별적 소구점을 찾기 위함이다. 유리 용기 업체는 세개 밖에 남지 않았다. 에스엠씨지는 본격적인 투자 회수기로 접어들었다. 셋째, 많은 이종산업에서 화장품을 출시하고 있다. 제약사/미용 및 의료기기/연예기획사/마케팅/플랫폼 업체들의 화장품 사업 진출은 한국이 세계 최고의 화장품 제조 인프라를 갖추고 있기에 가능한 현상이다. ODM/용기 등 화장품 제조 업체들에게 우호적인 환경이다.
1분기 실적의 특징을 종합해보면, 첫째, 각 밸류체인별 대기업들의 실적 모멘텀이 좋다. 코스맥스/한국콜마/에이피알/펌텍코리아는 펀더멘탈 개선의 맨 앞에 있다. 둘째, 중저가 브랜드 업체들의 실적은 상저하고를 이룰 가능성이 크다. 브이티/클리오/아이패밀리에스씨 모두 미국과 유럽, 중국에서 새로운 성장 여력을 찾고 있는데, 실적 가시화 시기가 모두 하반기다. 셋째, ODM 업체들의 편차가 크다. Top 2 코스맥스/한국콜마의 확연한 펀더멘탈 개선세와 달리 상대적으로 코스메카코리아와 씨앤씨인터내셔널은 전년도 상반기 높은 베이스를 극복하지 못하는 분위기다. 이런 현상은 2분기까지 이어질 공산이 크다.
실적 모멘텀 Top 4 코스맥스/한국콜마/에이피알/펌텍코리아 주가가 추세적으로 하락 전환할 이유는 없다. 조정이 있을 때마다 비중을 늘리는 전략이 타당하다. 코스맥스와 한국콜마는 앞서거니 뒷서거니하면서 한국 화장품 제조 클러스터를 이끌어가고 있는 글로벌 기업이다.
1분기 실적 발표 후에 가장 주가가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기업은 아모레퍼시픽과 실리콘투다. 두 회사의 투자 포인트가 달라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아모레퍼시픽은 지난 1년 동안 코스알엑스가 핵심이었고, 실리콘투는 그동안 미국이 핵심이었다. 하지만, 아모레퍼시픽은 브랜드/카테고리/지역 포트폴리오를 맞추며 한국 최초의 브랜드 대기업으로서 길을 가는 중이고, 실리콘투는 여전히 한국 인디 브랜드 업체들의 최대 글로벌 파이프라인이다. 아모레퍼시픽은 '코스알엑스'가 아니고, 실리콘투는 '미국'이 아니다. 이런 기존 관념이 깨지게 된다면 투자 포인트가 달라지면서 주가 모멘텀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 기업분석
Top-Pick: 아모레퍼시픽(090430)
미국을 넘어 유럽과 중동으로
- 유럽 매출 9배 성장
- 진정한 브랜드 대기업으로 나아가는 중
- 1분기 영업이익 YoY 33% 증가 전망
Top-Pick: 에이피알(278470)
압도적인 기세
- 유럽 중심 B2B 확대
- 1분기 영업이익 415억원 예상
- 기세가 밸류에이션 부담을 누를 듯
관심종목: 실리콘투(257720)
이제 유럽으로 성장과 투자 포인트 전환
- 유럽/중동 가파른 성장세
- 1분기 영업이익 YoY 36% 증가 예상
- 적정주가 3.7만원 → 4.2만원 상향 조정, 투자의견 매수 유지
요약본 링크: https://buly.kr/APumhMZ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3.03.202522:53
📮[메리츠 화장품/생활소비재 박종대]
Weekly Cosmetics Letter: 상반기는 유럽, 하반기는 중국 (25.03.24)
▶️주가 분석과 투자전략
1. 확실히, 떠오르고 있는 유럽과 중동
- 최근 유럽/중동향 수출 지표가 두드러짐, 1~2월 화장품 수출: 유럽 YoY 30%, 중동 YoY 50%
- 유럽 수출 비중 9%, 중동 수출 비중 3%, 두 지역 합산 시 일본(10%) 수준 규모. 상반기 내 일본 넘어설 것
- 이에 따라 4Q24 실리콘투 유럽 매출은 미국 매출을, 중동 지역 매출은 국내 매출을 넘어섬
- 중국에 대한 기대, 중국 소비 회복 + 한한령 해제/한중 문화 교류 재개 논의 구체화
- 1~2월 중국 소매판매 4%, 화장품 소비 4.4% 증가, but 실질적인 한한령 해제 수혜는 하반기 이후 가시화될 가능성
2. 기업 업데이트: 브이티/올리브영
1) 브이티: 2025년 실적 규모와 방향성은 2분기에 잡힐 듯
- 1분기 실적은 YoY 증가, QoQ 감소, 주요 지역 다소 부진한 흐름
- 국내: 회복세 빠르지 않음, 다이소 → 올리브영 마케팅 전환, 온라인 채널 재정비
- 일본: 환율 상승 긍정적, 오프라인 비중 확대 전략으로 메가와리 등 온라인 할인 폭 크지 않았음
- 중국: 리들샷 중국 전용 클렌저/파우치 중심으로 본격 진출 계획, 가시화는 4분기 이후 전망
- 미국: 올해 가장 공들이는 시장, 틱톡 마케팅 확대/오프라인 행사 예정
- 기타 지역: 동남아/중동/인도/영국 등 기타 지역 매출 빠르게 증가
- 미국 관세/중국 한한령 등 변수 많은 시기, 4월 이후 구체적인 내용 가시화될 전망
- 현재 시장 컨센서스(매출 1,069억원, 영업이익 256억원)는 보수적인 수치
2) 올리브영: 향후 기업가치 제고는 해외사업으로 바통터치
- 4분기 매출 1조 2,690억원(YoY 19%), 점포 수 1,371개, 온라인 매출 비중 29.3%
- 연간 매출 4조 7,900억원(YoY 24%), 영업이익 6,077억원(YoY 30%)
- 외국인 매출 비중 2023년 14% → 2024년 20%까지 상승 추정
- 점포당 매출 월 2.16억원으로 하락, 2022년 이후 최초로 QoQ 점포당 매출 감소
- 현재 매출은 온/오프라인 모두 해외 고객이 견인, 향후 기업가치 제고는 해외사업에 초점 맞춰질 듯
3. 관세 영향 추가/세부 분석: 무역 형태별 차이
- 미국 국경선을 넘어갈 때 가격이 핵심
- 제품 판매 가격 15달러(부가세 제외), ODM 공급 가격 3달러(원가율 20%), 실리콘투 공급률 50%, 관세율 10% 가정
1) 브랜드 업체가 직접 미국에 판매법인을 두고 사업하는 경우
- 실리콘투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전개하는 국내 중대형 인디브랜드
- 국경을 넘을 때=ODM에서 납품받을 때
- 관세는 원가 3달러의 10%인 30센트, 판매가격의 2% 수준으로 미미
2) 미국에 사업 법인 없이 실리콘투 같은 직매입 무역 벤더 이용
- 실리콘투 활용하는 매출 200억원 이상의 국내 대부분 중소형 인디 브랜드
- 국경을 넘을 때 = 브랜드 업체가 실리콘투에 납품할 때
- 관세는 실리콘투 공급가 7.5달러의 10%인 75센트, 판매가격의 5% 수준
3) 해외 법인 없이 아마존 FBA 이용 역직구 사업
- 실리콘투 활용하지 못하는 매출 규모 100억원 이하 영세 브랜드
- 국경을 넘을 때 = 소비자에게 판매될 때 가격
- 관세는 판매가 15달러의 10%인 1.5달러, 판매가격의 10%
- 규모가 작은 인디 브랜드일수록 마진 부담이 큼
- 역직구 형태로 FBA 서비스 이용하는 경우: 미국에 ‘고정사업장’을 두는 것과 유사하다고 간주 → 세금 이슈 가능성
4. 수익성보다는 외형 성장에 초점을 맞출 때
- 산업이 성장할 때는 단기적인 이익보다 매출 성장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
- 실제 산업에서는 매출이 회사의 시장 점유율/브랜드력/협상력 대변
- 에이피알의 마진율 하락, 매출 중점 전략 주목할 만함
▶️ 기업 업데이트
- 브이티, 에이블씨엔씨
보고서링크: https://buly.kr/3YD66Qq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Weekly Cosmetics Letter: 상반기는 유럽, 하반기는 중국 (25.03.24)
▶️주가 분석과 투자전략
1. 확실히, 떠오르고 있는 유럽과 중동
- 최근 유럽/중동향 수출 지표가 두드러짐, 1~2월 화장품 수출: 유럽 YoY 30%, 중동 YoY 50%
- 유럽 수출 비중 9%, 중동 수출 비중 3%, 두 지역 합산 시 일본(10%) 수준 규모. 상반기 내 일본 넘어설 것
- 이에 따라 4Q24 실리콘투 유럽 매출은 미국 매출을, 중동 지역 매출은 국내 매출을 넘어섬
- 중국에 대한 기대, 중국 소비 회복 + 한한령 해제/한중 문화 교류 재개 논의 구체화
- 1~2월 중국 소매판매 4%, 화장품 소비 4.4% 증가, but 실질적인 한한령 해제 수혜는 하반기 이후 가시화될 가능성
2. 기업 업데이트: 브이티/올리브영
1) 브이티: 2025년 실적 규모와 방향성은 2분기에 잡힐 듯
- 1분기 실적은 YoY 증가, QoQ 감소, 주요 지역 다소 부진한 흐름
- 국내: 회복세 빠르지 않음, 다이소 → 올리브영 마케팅 전환, 온라인 채널 재정비
- 일본: 환율 상승 긍정적, 오프라인 비중 확대 전략으로 메가와리 등 온라인 할인 폭 크지 않았음
- 중국: 리들샷 중국 전용 클렌저/파우치 중심으로 본격 진출 계획, 가시화는 4분기 이후 전망
- 미국: 올해 가장 공들이는 시장, 틱톡 마케팅 확대/오프라인 행사 예정
- 기타 지역: 동남아/중동/인도/영국 등 기타 지역 매출 빠르게 증가
- 미국 관세/중국 한한령 등 변수 많은 시기, 4월 이후 구체적인 내용 가시화될 전망
- 현재 시장 컨센서스(매출 1,069억원, 영업이익 256억원)는 보수적인 수치
2) 올리브영: 향후 기업가치 제고는 해외사업으로 바통터치
- 4분기 매출 1조 2,690억원(YoY 19%), 점포 수 1,371개, 온라인 매출 비중 29.3%
- 연간 매출 4조 7,900억원(YoY 24%), 영업이익 6,077억원(YoY 30%)
- 외국인 매출 비중 2023년 14% → 2024년 20%까지 상승 추정
- 점포당 매출 월 2.16억원으로 하락, 2022년 이후 최초로 QoQ 점포당 매출 감소
- 현재 매출은 온/오프라인 모두 해외 고객이 견인, 향후 기업가치 제고는 해외사업에 초점 맞춰질 듯
3. 관세 영향 추가/세부 분석: 무역 형태별 차이
- 미국 국경선을 넘어갈 때 가격이 핵심
- 제품 판매 가격 15달러(부가세 제외), ODM 공급 가격 3달러(원가율 20%), 실리콘투 공급률 50%, 관세율 10% 가정
1) 브랜드 업체가 직접 미국에 판매법인을 두고 사업하는 경우
- 실리콘투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전개하는 국내 중대형 인디브랜드
- 국경을 넘을 때=ODM에서 납품받을 때
- 관세는 원가 3달러의 10%인 30센트, 판매가격의 2% 수준으로 미미
2) 미국에 사업 법인 없이 실리콘투 같은 직매입 무역 벤더 이용
- 실리콘투 활용하는 매출 200억원 이상의 국내 대부분 중소형 인디 브랜드
- 국경을 넘을 때 = 브랜드 업체가 실리콘투에 납품할 때
- 관세는 실리콘투 공급가 7.5달러의 10%인 75센트, 판매가격의 5% 수준
3) 해외 법인 없이 아마존 FBA 이용 역직구 사업
- 실리콘투 활용하지 못하는 매출 규모 100억원 이하 영세 브랜드
- 국경을 넘을 때 = 소비자에게 판매될 때 가격
- 관세는 판매가 15달러의 10%인 1.5달러, 판매가격의 10%
- 규모가 작은 인디 브랜드일수록 마진 부담이 큼
- 역직구 형태로 FBA 서비스 이용하는 경우: 미국에 ‘고정사업장’을 두는 것과 유사하다고 간주 → 세금 이슈 가능성
4. 수익성보다는 외형 성장에 초점을 맞출 때
- 산업이 성장할 때는 단기적인 이익보다 매출 성장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
- 실제 산업에서는 매출이 회사의 시장 점유율/브랜드력/협상력 대변
- 에이피알의 마진율 하락, 매출 중점 전략 주목할 만함
▶️ 기업 업데이트
- 브이티, 에이블씨엔씨
보고서링크: https://buly.kr/3YD66Qq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07.04.202522:46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2025.04.08. 주요 뉴스
Apple, 관세 대응 차원에서 인도산 아이폰 비중 확대 계획
https://buly.kr/AapUlMB
미국, 반도체 25% 관세 부과 시 한국 반도체업계 매출 4.3% 감소 예상
https://buly.kr/15OZnJ8
삼성, 메모리 가격 최대 5% 인상 예정
- DRAM 및 NAND 플래시 가격을 3~5% 인상할 계획, 고객사 협의 진행 중
https://buly.kr/FsIEBq1
OpenAI, 조니 아이브의 AI 하드웨어 스타트업 인수 고려 – 최대 5억 달러
- 애플의 아이폰·Siri와 경쟁하는 새로운 AI 디바이스 생태계 구축 고려
https://buly.kr/4QmyQoP
2025.04.08. 주요 뉴스
Apple, 관세 대응 차원에서 인도산 아이폰 비중 확대 계획
https://buly.kr/AapUlMB
미국, 반도체 25% 관세 부과 시 한국 반도체업계 매출 4.3% 감소 예상
https://buly.kr/15OZnJ8
삼성, 메모리 가격 최대 5% 인상 예정
- DRAM 및 NAND 플래시 가격을 3~5% 인상할 계획, 고객사 협의 진행 중
https://buly.kr/FsIEBq1
OpenAI, 조니 아이브의 AI 하드웨어 스타트업 인수 고려 – 최대 5억 달러
- 애플의 아이폰·Siri와 경쟁하는 새로운 AI 디바이스 생태계 구축 고려
https://buly.kr/4QmyQoP
26.03.202501:34
*안녕하십니까? 신한 이병화입니다.
AI 생태계 확장편 자료를 지난 20일 발간했습니다. 시장 환경이 따라주지 못하다보니 발간 당일 보다 이번주 들어 부쩍 문의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결론은 제2의 루닛 찾기 입니다. 잠재력이 높은 기업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글로벌 Peer는 국내 주식 선택하실 때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글로벌 주요 시장에서 가치가 증명되는 기업과 동등한 재료를 보유한 기업들이 국장에 있습니다. 로봇 역시 1차 상승기와 그 이후 상승기에 종목 성격이 변했습니다. 의료AI도 비슷한 흐름을 전망합니다.
세미나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말씀주십시오! 힘든 시장 화이팅입니다! 감사합니다!
[신한투자증권 혁신성장 & 투자전략]
의료AI:
한미 의료AI 혁명의 게임 체인저들
안녕하세요, 혁신성장팀과 투자전략팀의 콜라보 자료로 의료AI 산업 보고서를 작성했습니다.
의료 산업과 AI의 만남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시점입니다. 모델 비용의 하락으로 신약개발부터 진단 및 치료까지 의료 밸류체인 전반으로 AI 채택이 가속화되는 동안 의료산업은 고질적인 인력 부족, 고령화, 비용 상승 등으로 해결해야할 다양한 문제들이 쌓여왔습니다. 앞으로 의료AI의 역할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이며, 1) 신약 개발, 2) 의료 데이터, 3) 진단, 4) SaaS 영역에서 주목할 만한 기업들을 분석했습니다.
Top Picks
1) 신약 개발: 리커젼파마(RXRX), 온코크로스, 파로스아이바이오, 토모큐브
2) 데이터 분석: 탬퍼스AI(TEM), GeneDX(WGS), 쓰리빌리언
3) AI 진단: 루닛, 씨어스테크놀로지
4) SaaS: 독시미티(DOCS)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3784
AI 생태계 확장편 자료를 지난 20일 발간했습니다. 시장 환경이 따라주지 못하다보니 발간 당일 보다 이번주 들어 부쩍 문의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결론은 제2의 루닛 찾기 입니다. 잠재력이 높은 기업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글로벌 Peer는 국내 주식 선택하실 때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글로벌 주요 시장에서 가치가 증명되는 기업과 동등한 재료를 보유한 기업들이 국장에 있습니다. 로봇 역시 1차 상승기와 그 이후 상승기에 종목 성격이 변했습니다. 의료AI도 비슷한 흐름을 전망합니다.
세미나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말씀주십시오! 힘든 시장 화이팅입니다! 감사합니다!
[신한투자증권 혁신성장 & 투자전략]
의료AI:
한미 의료AI 혁명의 게임 체인저들
안녕하세요, 혁신성장팀과 투자전략팀의 콜라보 자료로 의료AI 산업 보고서를 작성했습니다.
의료 산업과 AI의 만남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시점입니다. 모델 비용의 하락으로 신약개발부터 진단 및 치료까지 의료 밸류체인 전반으로 AI 채택이 가속화되는 동안 의료산업은 고질적인 인력 부족, 고령화, 비용 상승 등으로 해결해야할 다양한 문제들이 쌓여왔습니다. 앞으로 의료AI의 역할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이며, 1) 신약 개발, 2) 의료 데이터, 3) 진단, 4) SaaS 영역에서 주목할 만한 기업들을 분석했습니다.
Top Picks
1) 신약 개발: 리커젼파마(RXRX), 온코크로스, 파로스아이바이오, 토모큐브
2) 데이터 분석: 탬퍼스AI(TEM), GeneDX(WGS), 쓰리빌리언
3) AI 진단: 루닛, 씨어스테크놀로지
4) SaaS: 독시미티(DOCS)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3784
03.04.202507:06
[4월3일 특징주 모음]
[특징주] 미트박스 급등, "美 소고기 수입 규제 완화될까" 트럼프 관세 압박 '눈치'
[특징주]미트박스, 육류 유통플랫폼에 AI 구독서비스 '혁신'…소고기 수입 완화로 활성화
[특징주] 한화에어로, 인도 K9 수출 소식에 70만원대 회복
[특징주] 삼양엔씨켐, 日 독점 EUV 포토레지스트 시장 국산화 선도…글로벌 공급망 진출↑
[특징주] SK그룹이 인수할까…유일로보틱스, 나흘째 상승세
에스엠코어, SK그룹 스마트팩토리 시너지 기대감에 3%↑[특징주]
[특징주] 동화기업 , 美 전기차 200만대 전해액 생산기지서 3500억 규모 수주…無관세 적용
[특징주] 미트박스 급등, "美 소고기 수입 규제 완화될까" 트럼프 관세 압박 '눈치'
[특징주] 잉글우드랩, 관세 피한 미 FDA 인증 현지 화장품 공장 기대감에 상승세
알루코, 알루미늄 美 상호관세 제외·현지 공장 설립 ‘더블 수혜’[특징주]
[특징주] 에이유브랜즈, 코스닥 상장 첫날 '강세'
[특징주] 유일로보틱스, SK온 美 법인과 콜옵션 계약에 25% 강세
관세 폭풍'에도 엔터주 동반 강세…노머스, 5%대↑[특징주]
[특징주]동화기업, 子 동화일렉트로 美공장 3500억 수주에 무관세 부각↑
[특징주] 금강공업, 당정 산불 피해 지원 3조·조립주택 2700동 설치… 모듈러 건축 기술 '부각'
[특징주] 넥스틸, 관세 無… 미국 현지서 '12만톤 규모 철강관 생산공장' 정상 가동 소식에↑
[특징주] STX그린로직스, 트럼프 "중국발 소형 화물에도 관세 부과"… 미 관세폭탄 반사이익 '부각'
[특징주] 스톤브릿지벤처스, 리브스메드 '미국 최대' 의료기기 그룹 업고 '80조원 잭팟'…2대주주 '찐수혜'
[특징주]'락피쉬' 운영 에이유브랜즈, 상장 첫날 50% 급등
[특징주] 관세 무풍지대 기대감에… 엔터株 동반 강세
[특징주] 美 관세 여파에 '삼성전자·SK하이닉스' 약세...반도체株 '울상'
[특징주] 삼성전자·SK하이닉스, 美 관세 발표에 ↓
[한경유레카 특징주] 삼성바이오로직스, 높은 환율 수혜 기대
[특징주]'미국 매출 80%' 지누스, 관세 여파에 20%↓
[특징주] '美 관세' 후폭풍 속 정치테마株 나홀로 '급등'
[특징주] 미트박스, 미국산 소고기 관세철폐ㆍ월령제한 해제 요구 우려…최대수혜 부각↑
(특징주)트럼프 관세 폭탄에 현대차·기아, '털썩'
[특징주] “미국 매출이 80%인데”… 지누스, 관세 여파에 18%대 하락
[특징주] 트럼프 관세 여파에… 삼성전자·SK하닉, 2%대 약세
[특징주] ‘락피쉬’ 패션사 에이유브랜즈, 코스닥 상장 첫날 60%대 강세
[특징주] '美 상호관세' 직격탄…'현대차·기아' 등 자동차株 일제히 하락
[특징주] 엔터주, 관세 위협 회피에 상승세…디어유 5%↑
[특징주] ‘美 상호관세 발효’에도 정치테마주만 上
[특징주]'관세 안전지대' 삼성바이오로직스, 5%대 강세
"539억원 규모 유상증자" 스맥 12%대 급락 [특징주]
[특징주] 삼성바이오로직스, '관세 안전지대' 분석에 4%대↑
[특징주] 트럼프 관세 폭탄 속 반도체주 급락…'19만닉스' 내줘
하이브, ‘관세 무풍지대’ 부각 2%대 강세[특징주]
[특징주] 강원랜드, 배당락 영향에 '급락'
[특징주] THE E&M, 전세계 바이러스 ‘해결사’ 등극…관계사 루카 차세대 항바이러스 기술 이전에 ‘폭등’
[특징주] 기아, 美 상호관세 정책에 '신저가'
[특징주] 현대차·기아, 美 관세 부과에 52주 신저가 경신
[특징주]유일로보틱스, 연일 강세…SK그룹 후광 효과
고환율+관세 안전지대' 삼성바이오로직스 4%대 급등[특징주]
[특징주] 탄핵심판 하루 앞두고 이재명 테마주 급등
[특징주]尹 탄핵심판 D-1…iMBC, 3.16%↑
[특징주] 상호관세 예외에도 불확실성↑ 반도체株 급락
[특징주] 삼성바이오로직스, 상호관세 면제 대상 포함 소식에 '강세'
SK온 美법인과 콜옵션 계약' 유일로보틱스, 연이틀 강세…20%대↑[특징주]
두산퓨얼셀, 연료전지 시스템 공급 계약 두 건 해지에 3%대 약세[특징주]
[특징주]'배당락' 강원랜드 급락
[특징주] 패션기업 에이유브랜즈, 코스닥 상장 첫날 50%대 강세
락피쉬웨더웨어' 에이유브랜즈, 공모가 대비 50% 상승 [특징주]
[특징주] 스맥, 540억원 유상증자 결정에 12% 급락
[특징주]스맥, 540억원 규모 유상증자 소식에 12%↓
삼성전자, 트럼프 관세 쇼크에 2% 급락…SK하이닉스 4%↓[특징주]
[특징주] 삼성바이오로직스, "관세 영향 제한적" 분석에 4% 강세
희토류 관련주 강세…트럼프발 '상호관세' 영향[특징주]
[특징주] 에이유브랜즈, 코스닥 상장 첫날 60% 강세
[특징주] 디모아, 100억 자금조달 결정…사업 확대 기대감에 상승세
에이유브랜즈, 코스닥 상장 첫날 공모가 대비 60%↑[특징주]
트럼프 “韓 수입차 규제 ‘최악의 무역장벽”…기아, 신저가[특징주]
[특징주] 와이즈버즈, 아마존의 틱톡 인수 최종 제안서 제출에 유일 파트너사 '주목'
[특징주] 미트박스 급등, "美 소고기 수입 규제 완화될까" 트럼프 관세 압박 '눈치'
[특징주]미트박스, 육류 유통플랫폼에 AI 구독서비스 '혁신'…소고기 수입 완화로 활성화
[특징주] 한화에어로, 인도 K9 수출 소식에 70만원대 회복
[특징주] 삼양엔씨켐, 日 독점 EUV 포토레지스트 시장 국산화 선도…글로벌 공급망 진출↑
[특징주] SK그룹이 인수할까…유일로보틱스, 나흘째 상승세
에스엠코어, SK그룹 스마트팩토리 시너지 기대감에 3%↑[특징주]
[특징주] 동화기업 , 美 전기차 200만대 전해액 생산기지서 3500억 규모 수주…無관세 적용
[특징주] 미트박스 급등, "美 소고기 수입 규제 완화될까" 트럼프 관세 압박 '눈치'
[특징주] 잉글우드랩, 관세 피한 미 FDA 인증 현지 화장품 공장 기대감에 상승세
알루코, 알루미늄 美 상호관세 제외·현지 공장 설립 ‘더블 수혜’[특징주]
[특징주] 에이유브랜즈, 코스닥 상장 첫날 '강세'
[특징주] 유일로보틱스, SK온 美 법인과 콜옵션 계약에 25% 강세
관세 폭풍'에도 엔터주 동반 강세…노머스, 5%대↑[특징주]
[특징주]동화기업, 子 동화일렉트로 美공장 3500억 수주에 무관세 부각↑
[특징주] 금강공업, 당정 산불 피해 지원 3조·조립주택 2700동 설치… 모듈러 건축 기술 '부각'
[특징주] 넥스틸, 관세 無… 미국 현지서 '12만톤 규모 철강관 생산공장' 정상 가동 소식에↑
[특징주] STX그린로직스, 트럼프 "중국발 소형 화물에도 관세 부과"… 미 관세폭탄 반사이익 '부각'
[특징주] 스톤브릿지벤처스, 리브스메드 '미국 최대' 의료기기 그룹 업고 '80조원 잭팟'…2대주주 '찐수혜'
[특징주]'락피쉬' 운영 에이유브랜즈, 상장 첫날 50% 급등
[특징주] 관세 무풍지대 기대감에… 엔터株 동반 강세
[특징주] 美 관세 여파에 '삼성전자·SK하이닉스' 약세...반도체株 '울상'
[특징주] 삼성전자·SK하이닉스, 美 관세 발표에 ↓
[한경유레카 특징주] 삼성바이오로직스, 높은 환율 수혜 기대
[특징주]'미국 매출 80%' 지누스, 관세 여파에 20%↓
[특징주] '美 관세' 후폭풍 속 정치테마株 나홀로 '급등'
[특징주] 미트박스, 미국산 소고기 관세철폐ㆍ월령제한 해제 요구 우려…최대수혜 부각↑
(특징주)트럼프 관세 폭탄에 현대차·기아, '털썩'
[특징주] “미국 매출이 80%인데”… 지누스, 관세 여파에 18%대 하락
[특징주] 트럼프 관세 여파에… 삼성전자·SK하닉, 2%대 약세
[특징주] ‘락피쉬’ 패션사 에이유브랜즈, 코스닥 상장 첫날 60%대 강세
[특징주] '美 상호관세' 직격탄…'현대차·기아' 등 자동차株 일제히 하락
[특징주] 엔터주, 관세 위협 회피에 상승세…디어유 5%↑
[특징주] ‘美 상호관세 발효’에도 정치테마주만 上
[특징주]'관세 안전지대' 삼성바이오로직스, 5%대 강세
"539억원 규모 유상증자" 스맥 12%대 급락 [특징주]
[특징주] 삼성바이오로직스, '관세 안전지대' 분석에 4%대↑
[특징주] 트럼프 관세 폭탄 속 반도체주 급락…'19만닉스' 내줘
하이브, ‘관세 무풍지대’ 부각 2%대 강세[특징주]
[특징주] 강원랜드, 배당락 영향에 '급락'
[특징주] THE E&M, 전세계 바이러스 ‘해결사’ 등극…관계사 루카 차세대 항바이러스 기술 이전에 ‘폭등’
[특징주] 기아, 美 상호관세 정책에 '신저가'
[특징주] 현대차·기아, 美 관세 부과에 52주 신저가 경신
[특징주]유일로보틱스, 연일 강세…SK그룹 후광 효과
고환율+관세 안전지대' 삼성바이오로직스 4%대 급등[특징주]
[특징주] 탄핵심판 하루 앞두고 이재명 테마주 급등
[특징주]尹 탄핵심판 D-1…iMBC, 3.16%↑
[특징주] 상호관세 예외에도 불확실성↑ 반도체株 급락
[특징주] 삼성바이오로직스, 상호관세 면제 대상 포함 소식에 '강세'
SK온 美법인과 콜옵션 계약' 유일로보틱스, 연이틀 강세…20%대↑[특징주]
두산퓨얼셀, 연료전지 시스템 공급 계약 두 건 해지에 3%대 약세[특징주]
[특징주]'배당락' 강원랜드 급락
[특징주] 패션기업 에이유브랜즈, 코스닥 상장 첫날 50%대 강세
락피쉬웨더웨어' 에이유브랜즈, 공모가 대비 50% 상승 [특징주]
[특징주] 스맥, 540억원 유상증자 결정에 12% 급락
[특징주]스맥, 540억원 규모 유상증자 소식에 12%↓
삼성전자, 트럼프 관세 쇼크에 2% 급락…SK하이닉스 4%↓[특징주]
[특징주] 삼성바이오로직스, "관세 영향 제한적" 분석에 4% 강세
희토류 관련주 강세…트럼프발 '상호관세' 영향[특징주]
[특징주] 에이유브랜즈, 코스닥 상장 첫날 60% 강세
[특징주] 디모아, 100억 자금조달 결정…사업 확대 기대감에 상승세
에이유브랜즈, 코스닥 상장 첫날 공모가 대비 60%↑[특징주]
트럼프 “韓 수입차 규제 ‘최악의 무역장벽”…기아, 신저가[특징주]
[특징주] 와이즈버즈, 아마존의 틱톡 인수 최종 제안서 제출에 유일 파트너사 '주목'
21.04.202505:07
퓨리오사 관련주 날라 가는데..유진투자증권도 했음다
유진투자증권, 퓨리오사AI 150억 베팅…프로젝트 펀드로 시리즈D 첫 투자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50682
유진투자증권, 퓨리오사AI 150억 베팅…프로젝트 펀드로 시리즈D 첫 투자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50682
25.03.202522:58
한양증권 스몰캡 Analyst 이준석
[엑시콘] CXL의 아이콘, 엑시콘
투자의견: N.R
목표주가 : -
현재주가(03/25): 12,440원
Upside : -
Overview, 2025년은 턴어라운드의 해
동사는 메모리 테스터, 번인 테스터, SSD 테스터, SoC 테스터 등 메모리 및 시스템 반도체 테스트 장비를 개발·제조하는 기업으로, 2015년 10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다. 2024년 기준 매출 비중은 메모리 테스터 38.3%, SSD 테스터 51.4%, SoC 테스터 10.3%로 구성된다. 2024년 연결 실적은 매출액 316.1억 원(-61.6%, YoY), 영업적자 -159억 원(적자전환, YoY)을 기록하였다. 이는 동사의 주요 고객사의 HBM 투자 집중으로 DDR5 메모리 테스터 수요가 급감하고, 신규 장비 투자(Capex) 집행이 지연된 영향이 컸다. 여기에 차세대 테스트 장비 개발을 위한 연구 개발(R&D) 비용 증가가 수익성 악화로 이어졌다. 그러나 2025년부터는 고객사의 메모리 테스터 장비 교체 수요 증가와 신규 투자 재개가 예상되어 실적 턴어라운드가 기대된다. 특히, 신규 개발한 CLT(Chambered Low Frequency Memory Tester)의 본격적인 공급이 예정되어 있어 실적 개선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기대되는 CLT, 신성장 축으로 부상
동사가 새롭게 개발한 CLT는 기존 메모리 테스터의 공간·속도 한계를 개선한 차세대 고효율 테스트 장비로, DRAM 공정 강화 및 품질 확보를 위한 핵심 설비로 평가받고 있다. CLT는 -20℃부터 150℃까지 극한 환경에서 테스트가 가능하며, 최대 11,520 para(동시 처리 채널)를 지원해 대용량 고성능 테스트 수요를 충족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에는 어드반테스트 장비로 DDR5 테스트까지 진행해 왔으나, 고객사는 최근 DRAM 공정 고도화와 생산 효율성 개선을 위해 신규 장비 교체 투자를 추진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2분기부터 DRAM 및 NAND 등 메모리 반도체 가격 반등이 예상되며, 고객사의 투자 방향 역시 HBM 중심에서 메모리 반도체 전반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동사는 작년 하반기 고객사 퀄 테스트를 통과해 최종 단독 벤더로 선정되었으며, 노후화된 기존 장비의 교체 수요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장비당 40~50억 원 수준의 고가 장비로 2분기 첫 납품을 시작해 하반기부터 실적 반등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CXL 모멘텀 지속
동사는 CXL 시장 성장에 따른 수혜가 기대된다. CXL은 CPU와 외부 메모리 및 가속기 등을 고속으로 연결하는 차세대 인터페이스로, PCIe 기반에서 확장성과 효율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HBM은 비용과 용량 한계로 대규모 확장이 어려워, 서버·AI·클라우드 환경에서 CXL의 활용도가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2026년 CXL 3.1 DRAM 양산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CXL과 HBM 기술이 고도화될수록 테스트 난이도도 증가하고 있다. CXL은 CPU가 외부 메모리에 직접 접근하기 때문에 기존 DRAM 테스터로는 한계가 있다. 다만 CXL 테스트는 PCIe 기반 서버용 SSD 테스터와 기술적 유사성이 크다. 동사는 삼성전자 향 PCIe 5.0 기반 SSD Gen5 테스터 대량 공급 레퍼런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PCIe 6.0 기반 SSD Gen6 테스터를 개발 중이다. 이에 따라 향후 CXL 3.1 테스트 장비 시장 확대 시 동사의 기술력과 사업 경험이 직접적인 수혜로 연결될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 바로가기: http://bit.ly/4hNIOsm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엑시콘] CXL의 아이콘, 엑시콘
투자의견: N.R
목표주가 : -
현재주가(03/25): 12,440원
Upside : -
Overview, 2025년은 턴어라운드의 해
동사는 메모리 테스터, 번인 테스터, SSD 테스터, SoC 테스터 등 메모리 및 시스템 반도체 테스트 장비를 개발·제조하는 기업으로, 2015년 10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다. 2024년 기준 매출 비중은 메모리 테스터 38.3%, SSD 테스터 51.4%, SoC 테스터 10.3%로 구성된다. 2024년 연결 실적은 매출액 316.1억 원(-61.6%, YoY), 영업적자 -159억 원(적자전환, YoY)을 기록하였다. 이는 동사의 주요 고객사의 HBM 투자 집중으로 DDR5 메모리 테스터 수요가 급감하고, 신규 장비 투자(Capex) 집행이 지연된 영향이 컸다. 여기에 차세대 테스트 장비 개발을 위한 연구 개발(R&D) 비용 증가가 수익성 악화로 이어졌다. 그러나 2025년부터는 고객사의 메모리 테스터 장비 교체 수요 증가와 신규 투자 재개가 예상되어 실적 턴어라운드가 기대된다. 특히, 신규 개발한 CLT(Chambered Low Frequency Memory Tester)의 본격적인 공급이 예정되어 있어 실적 개선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기대되는 CLT, 신성장 축으로 부상
동사가 새롭게 개발한 CLT는 기존 메모리 테스터의 공간·속도 한계를 개선한 차세대 고효율 테스트 장비로, DRAM 공정 강화 및 품질 확보를 위한 핵심 설비로 평가받고 있다. CLT는 -20℃부터 150℃까지 극한 환경에서 테스트가 가능하며, 최대 11,520 para(동시 처리 채널)를 지원해 대용량 고성능 테스트 수요를 충족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에는 어드반테스트 장비로 DDR5 테스트까지 진행해 왔으나, 고객사는 최근 DRAM 공정 고도화와 생산 효율성 개선을 위해 신규 장비 교체 투자를 추진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2분기부터 DRAM 및 NAND 등 메모리 반도체 가격 반등이 예상되며, 고객사의 투자 방향 역시 HBM 중심에서 메모리 반도체 전반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동사는 작년 하반기 고객사 퀄 테스트를 통과해 최종 단독 벤더로 선정되었으며, 노후화된 기존 장비의 교체 수요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장비당 40~50억 원 수준의 고가 장비로 2분기 첫 납품을 시작해 하반기부터 실적 반등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CXL 모멘텀 지속
동사는 CXL 시장 성장에 따른 수혜가 기대된다. CXL은 CPU와 외부 메모리 및 가속기 등을 고속으로 연결하는 차세대 인터페이스로, PCIe 기반에서 확장성과 효율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HBM은 비용과 용량 한계로 대규모 확장이 어려워, 서버·AI·클라우드 환경에서 CXL의 활용도가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2026년 CXL 3.1 DRAM 양산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CXL과 HBM 기술이 고도화될수록 테스트 난이도도 증가하고 있다. CXL은 CPU가 외부 메모리에 직접 접근하기 때문에 기존 DRAM 테스터로는 한계가 있다. 다만 CXL 테스트는 PCIe 기반 서버용 SSD 테스터와 기술적 유사성이 크다. 동사는 삼성전자 향 PCIe 5.0 기반 SSD Gen5 테스터 대량 공급 레퍼런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PCIe 6.0 기반 SSD Gen6 테스터를 개발 중이다. 이에 따라 향후 CXL 3.1 테스트 장비 시장 확대 시 동사의 기술력과 사업 경험이 직접적인 수혜로 연결될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 바로가기: http://bit.ly/4hNIOsm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25.03.202522:53
[차용호/반도체, 이병근/자동차, 조은애/신성장] Strong Physical, Strong AI
안녕하세요 LS증권 차용호 연구원입니다.
금번 자료에서는 Physical AI를 주제로 반도체, 자율주행, 로봇의 관점에 저희 기업분석팀 동료 직원들과 함께 자료 작성을 했습니다.
시스템 반도체에서는 ASIC과 Nvidia의 Jetson 시리즈에 대해 다뤄보았습니다.
메모리 반도체에서는 LLW/LPW, VFO/VCS/HBF, LPCAMM/SOCAMM, PiM, AiM 등 Physical AI 도입을 위한 차세대 기술들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자율주행과 로봇 산업의 세부 내용은 자료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도체: Micron, Nvidia
- 자율주행: Tesla, BYD, Horizon Robotics
- 휴머노이드: 로보티즈
감사합니다.
URL: https://buly.kr/EonbbZG
안녕하세요 LS증권 차용호 연구원입니다.
금번 자료에서는 Physical AI를 주제로 반도체, 자율주행, 로봇의 관점에 저희 기업분석팀 동료 직원들과 함께 자료 작성을 했습니다.
시스템 반도체에서는 ASIC과 Nvidia의 Jetson 시리즈에 대해 다뤄보았습니다.
메모리 반도체에서는 LLW/LPW, VFO/VCS/HBF, LPCAMM/SOCAMM, PiM, AiM 등 Physical AI 도입을 위한 차세대 기술들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자율주행과 로봇 산업의 세부 내용은 자료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도체: Micron, Nvidia
- 자율주행: Tesla, BYD, Horizon Robotics
- 휴머노이드: 로보티즈
감사합니다.
URL: https://buly.kr/EonbbZG
04.04.202503:42
더불어 민주당
✿ 김동연 관련주
PN풍년
신신제약
SG글로벌
대성산업
코메론
신진에스엠
대현
대성산업
유진로봇
보해양조
코리아나
✿ 이재명 관련주
오리엔트정공
상지건설
오리엔트바이오
형지I&C
형지엘리으
에이텍
에이텍모빌리티
CS
프리엠스
지엘팜텍
수산이이앤
이스타코
동신건설
일성건설
코이즈
비바안
✿ 김부겸 관련주
티에이치엔
시그네틱스
국영지앤엠
세중
고려아연
영풍정밀
✿ 김경수 관련주
국영지앤엠
유니크
디케이락
한국컴퓨터
동아화성
대창단조
디케이이앤디
동방선기
원풍
삼보산업
✿ 김동연 관련주
PN풍년
신신제약
SG글로벌
대성산업
코메론
신진에스엠
대현
대성산업
유진로봇
보해양조
코리아나
✿ 이재명 관련주
오리엔트정공
상지건설
오리엔트바이오
형지I&C
형지엘리으
에이텍
에이텍모빌리티
CS
프리엠스
지엘팜텍
수산이이앤
이스타코
동신건설
일성건설
코이즈
비바안
✿ 김부겸 관련주
티에이치엔
시그네틱스
국영지앤엠
세중
고려아연
영풍정밀
✿ 김경수 관련주
국영지앤엠
유니크
디케이락
한국컴퓨터
동아화성
대창단조
디케이이앤디
동방선기
원풍
삼보산업
Увійдіть, щоб розблокувати більше функціональност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