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2.202502:37
#알테오젠
계약 상대방: Sandoz AG (스위스, 2023년 Novartis사로부터 독립 상장회사로 분사, 2023년 매출액 $9.6 billion)
2. 계약의 내용: ALT-B4와는 다른 히알루로니다제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본 공동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
왜??? 이유는 뭔지 생각함 답이 나온다
피봇탈 할려고 그런다
출처 - 금융 그리고 투자님 블로그
계약 상대방: Sandoz AG (스위스, 2023년 Novartis사로부터 독립 상장회사로 분사, 2023년 매출액 $9.6 billion)
2. 계약의 내용: ALT-B4와는 다른 히알루로니다제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본 공동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
왜??? 이유는 뭔지 생각함 답이 나온다
피봇탈 할려고 그런다
출처 - 금융 그리고 투자님 블로그
Переслав з: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7.02.202503:52
알테오젠 IR 자료 해석 (25.02.17)
https://blog.naver.com/kimcharger/223763366625
https://blog.naver.com/kimcharger/223763366625
14.02.202514:20
드루와 드루와!!!
Переслав з: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14.02.202508:17
2025.02.14 16:36:56
기업명: 알테오젠(시가총액: 21조 76억)
보고서명: 기업설명회(IR)개최
개최일자 : 2025-02-17
개최시각 : 09:00
*IR 목적
해외투자자 대상 회사의 주요 연구개발 및 사업현황 소개
*IR 내용
- 라이선스 체결품목 진행현황 소개 - 중장기 성장전략 소개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4901158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96170
기업명: 알테오젠(시가총액: 21조 76억)
보고서명: 기업설명회(IR)개최
개최일자 : 2025-02-17
개최시각 : 09:00
*IR 목적
해외투자자 대상 회사의 주요 연구개발 및 사업현황 소개
*IR 내용
- 라이선스 체결품목 진행현황 소개 - 중장기 성장전략 소개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4901158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96170
11.02.202501:03
키트루다 말하는거네요
07.02.202501:54
#알테오젠
좋은 뉴스인건 다 알고. 블로버스터 약물들 매출, 로열티 % 등등도 중요하겠지만. 사실 Valuation multiple 에 더 중요한 포인트들은, 특히나 장기투자를 하는 분들을 위해 몇가지 첨언을 하자면..
1. 임상 비용 및 기간을 고려시, 블록버스터 아니면 알테오젠한테 LO 해가는건 힘들다. Up to 천억에 가까운 비용과 4-5년의 임상기간을 감당하기엔. 앞으로 나올 딜들은 블록버스터급일 가능성이 높다.
2. 기존 IV 주사의 체형변경도 중요하지만, implication 측면에서는 일반 SC -> 알테 SC 가 더 게임체임저 일수도 있다. 그래서 사노피가 듀피젠트가 매우 매우 매우 중요함.
3. 길리어드 트로델비라면? 성장이 안나오는 반쪽의 블록버스터를 회생시키는 rescue 느낌이 되버림. 아주 상당히 의미있음
https://m.blog.naver.com/innocent_man/223748674065
좋은 뉴스인건 다 알고. 블로버스터 약물들 매출, 로열티 % 등등도 중요하겠지만. 사실 Valuation multiple 에 더 중요한 포인트들은, 특히나 장기투자를 하는 분들을 위해 몇가지 첨언을 하자면..
1. 임상 비용 및 기간을 고려시, 블록버스터 아니면 알테오젠한테 LO 해가는건 힘들다. Up to 천억에 가까운 비용과 4-5년의 임상기간을 감당하기엔. 앞으로 나올 딜들은 블록버스터급일 가능성이 높다.
2. 기존 IV 주사의 체형변경도 중요하지만, implication 측면에서는 일반 SC -> 알테 SC 가 더 게임체임저 일수도 있다. 그래서 사노피가 듀피젠트가 매우 매우 매우 중요함.
3. 길리어드 트로델비라면? 성장이 안나오는 반쪽의 블록버스터를 회생시키는 rescue 느낌이 되버림. 아주 상당히 의미있음
https://m.blog.naver.com/innocent_man/223748674065
Переслав з:
신한투자증권 제약/바이오/의료기기 엄민용, 정희령

19.02.202500:40
[속보]트럼프 “자동차 관세 25% 정도…의약품은 그 이상”
https://n.news.naver.com/article/020/0003616238?sid=104
바이오텍들은 직접 제품을 수출하는 것이 아니라 빅파마 기술이전을 통해 계약금, 임상 마일스톤, 매출 로열티를 인식하는 사업 구조이기 때문에 관세와 무관합니다.
의약품은 국민의 삶과 직결되어 관세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보이지만 만약 결정된다면
관세 청정지역은 정확하게는 의약품 영역이 아니라 기술이전 기반 바이오텍들입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0/0003616238?sid=104
바이오텍들은 직접 제품을 수출하는 것이 아니라 빅파마 기술이전을 통해 계약금, 임상 마일스톤, 매출 로열티를 인식하는 사업 구조이기 때문에 관세와 무관합니다.
의약품은 국민의 삶과 직결되어 관세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보이지만 만약 결정된다면
관세 청정지역은 정확하게는 의약품 영역이 아니라 기술이전 기반 바이오텍들입니다.
17.02.202502:39
#알테오젠
이번 IR에서 눈의 띄는건 지표의 개선 가능성 여부를 언급한것
IRR(주사 후 반응) 감소 : 면역 반응이 낮아져 부작용 최소화
DCR, mPFS, OS 개선 기대 : 치료 반응률(DCR), 무진행 생존기간(mPFS), 전체 생존율(OS) 향상 기대
https://m.blog.naver.com/plantist_/223763277518
이번 IR에서 눈의 띄는건 지표의 개선 가능성 여부를 언급한것
IRR(주사 후 반응) 감소 : 면역 반응이 낮아져 부작용 최소화
DCR, mPFS, OS 개선 기대 : 치료 반응률(DCR), 무진행 생존기간(mPFS), 전체 생존율(OS) 향상 기대
https://m.blog.naver.com/plantist_/223763277518
11.02.202510:55
#알테오젠
리제네론, 고농도 피하주사제형을 복합제 포함하여 준비중!
결국 알테오젠으로 오게 되어있음!
아마도 우선순위는 리브타요, 피안리맙 복합제일듯?
펩타이드, 단일클론 항체(mAb), 항체-약물 접합체(ADC), 고정 용량 조합 및 조합 제품 개발에서 입증된 실적.
피하 투여를 위한 고농도 제형이나 전달 기술을 개발한 경험이 있으면 좋습니다.
https://m.blog.naver.com/alteking/223757011102
리제네론, 고농도 피하주사제형을 복합제 포함하여 준비중!
결국 알테오젠으로 오게 되어있음!
아마도 우선순위는 리브타요, 피안리맙 복합제일듯?
펩타이드, 단일클론 항체(mAb), 항체-약물 접합체(ADC), 고정 용량 조합 및 조합 제품 개발에서 입증된 실적.
피하 투여를 위한 고농도 제형이나 전달 기술을 개발한 경험이 있으면 좋습니다.
https://m.blog.naver.com/alteking/223757011102
11.02.202501:03
어제 기사와 관련해 회사에 문의해봤는데 사실이 아니라네요
Переслав з:
더바이오 뉴스룸

06.02.202503:03
[인터뷰] 올해 미국에서 '생물보안법'이 통과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요?
<더바이오>는 미국 로펌 ‘아이스밀러(Ice Miller LLP)’와 서면 인터뷰를 진행하고 미국 생물보안법이 한국 제약·바이오업계에 미칠 영향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미국 의회가 중국 바이오기업을 견제하기 위해 발의한 ‘생물보안법(BIOSECURE Act)’이 올해 다시 추진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한국 제약·바이오업계도 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해당 법안이 통과되면 중국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과의 협력을 제한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될 전망입니다. 이 법안에는 베이징유전체연구소(BGI), MGI테크(MGI Tech), 컴플리트지노믹스(Complete Genomics), 우시앱텍(WuXi AppTec) 및 우시바이오로직스(WuXi Biologics) 등 5곳이 ‘적대적 기업’ 명단에 포함됐습니다.
마이 지마리스(Mai Zymaris) 아이스밀러 파트너 변호사는 올해 생물보안법 통과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습니다. 특히 새로 취임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제조업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생명공학 분야에서 미국과 중국의 협력을 제한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는 만큼 중국에 대해 더욱 강경한 입장을 취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해당 법안이 통과될 경우, 한국 기업들이 미국 기업들의 ‘대체 제조 파트너’로 떠오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습니다. 중국 기업들의 미국 내 제조 제한이 현실화되면, 삼성바이오로직스 같은 한국 CDMO 기업이 대체 생산기지로 부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중국의 대형 CDMO 기업인 우시바이오로직스의 물량을 국내 기업들이 대체할 가능성도 충분하다는 설명입니다.
김태수(TaeSoo Sean Kim) 아이스밀러 파트너 변호사는 생물보안법이 통과되면 국내 CDMO 기업들이 혜택을 볼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이 법안이 통과되면 바이오테크 공급망, 특히 중국 CDMO 기업에 의존하는 공급망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에 따라 미국 기업들이 대체 제조 파트너를 찾으면서 삼성바이오로직스와 같은 한국 기업들이 혜택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95
<더바이오>는 미국 로펌 ‘아이스밀러(Ice Miller LLP)’와 서면 인터뷰를 진행하고 미국 생물보안법이 한국 제약·바이오업계에 미칠 영향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미국 의회가 중국 바이오기업을 견제하기 위해 발의한 ‘생물보안법(BIOSECURE Act)’이 올해 다시 추진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한국 제약·바이오업계도 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해당 법안이 통과되면 중국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과의 협력을 제한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될 전망입니다. 이 법안에는 베이징유전체연구소(BGI), MGI테크(MGI Tech), 컴플리트지노믹스(Complete Genomics), 우시앱텍(WuXi AppTec) 및 우시바이오로직스(WuXi Biologics) 등 5곳이 ‘적대적 기업’ 명단에 포함됐습니다.
마이 지마리스(Mai Zymaris) 아이스밀러 파트너 변호사는 올해 생물보안법 통과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습니다. 특히 새로 취임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제조업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생명공학 분야에서 미국과 중국의 협력을 제한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는 만큼 중국에 대해 더욱 강경한 입장을 취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해당 법안이 통과될 경우, 한국 기업들이 미국 기업들의 ‘대체 제조 파트너’로 떠오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습니다. 중국 기업들의 미국 내 제조 제한이 현실화되면, 삼성바이오로직스 같은 한국 CDMO 기업이 대체 생산기지로 부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중국의 대형 CDMO 기업인 우시바이오로직스의 물량을 국내 기업들이 대체할 가능성도 충분하다는 설명입니다.
김태수(TaeSoo Sean Kim) 아이스밀러 파트너 변호사는 생물보안법이 통과되면 국내 CDMO 기업들이 혜택을 볼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이 법안이 통과되면 바이오테크 공급망, 특히 중국 CDMO 기업에 의존하는 공급망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에 따라 미국 기업들이 대체 제조 파트너를 찾으면서 삼성바이오로직스와 같은 한국 기업들이 혜택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95
Переслав з:
김찰저의 관심과 생각 저장소

18.02.202502:09
알테오젠 홍콩/싱가폴 IR (ft. 자신감, 로드맵)
https://blog.naver.com/innocent_man/223764441604
https://blog.naver.com/innocent_man/223764441604
14.02.202508:49
그나저나 17일 IR때문에
오늘 계약 나온다는 찌라시가 돌았구만.. 지난번 IR전에 다이찌 계약이 나와서 이번에도 그럴거라 생각하고 소문이 돈 듯.
오늘 계약 나온다는 찌라시가 돌았구만.. 지난번 IR전에 다이찌 계약이 나와서 이번에도 그럴거라 생각하고 소문이 돈 듯.
09.02.202504:32
#알테오젠 #리써처티비
면역항암제 2가지 종류
PD-1 = 키트루다와 옵디보(할로자임)
PD-L1 = 임핀지와 티센트릭(할로자임)
임핀지 대안이 알테오젠 밖에 없다.
sc가 iv 보다 좋은건 다 안다. 근데 왜 다 안하냐? 경제성이 있어야 한다.
(매출액이 일정 부분 이상 나와야 한다)
ADC가 지금 가장 핫하다 -> 빅파마 다 뛰어듬 - 면역항암제 + ADC
아스트라제네카 임핀지(매출액 6조 1500억 23년)는 엔허투와 + TROP2 가지고 있다.
아스트라제니카는 임핀지를 무조건 살려야 한다.
엔허투는 알테오젠 sc와 계약 나옴.
그래서 임핀지도 sc를 해야 한다.
TROP2 ADC에서 제일 앞서는게 트로델비 -> 유방암 기대매출액이 49억달러
임핀지 트로델비 계약 2개다 나올거다.
임핀지 23년 매출액 6조 1500억
트로델비 매출액 1조 3000억
지금 당장 돈 측면에서는 임핀지가 좋아보이지만 미래 성장성을 보면 트로델비가 더 메리트가 있다.
TROP2 ADC는 HER2 ADC 이후로 가장 핫한 임상이 이뤄지고 있음
트로델비 TROP2 ADC SC 계약이 나오면 TROP2 ADC 후발주자들한테 SC 안하면 안돼!! 라는 압박이 생긴다.
임핀지 + 트로델비 계약이 나오면 + 듀피젠트 => 고점 뚫을것 50만원 이상
꿈의 100만원 PD-1*VEGF 이중항체 기술수출 나오면 게임끝 넘사벽
이중항체 PD-1*VEGF vs PD-L1*VEGF = 둘 다 알테오젠만 가능하다.
이중항체 계약이 나오는 시점은 이중항체 3상 끝나고 시판되는 그때부터 기대가능함 27년 쯤
그런데 박순재 대표는 임상단계부터 우리꺼 쓰면 좋다 -> 이렇게 계약이 나와도 새로운 역사를 쓰는거다.
알테오젠 은행예금 할바엔 알테오젠을 사는게 낫다.
할로자임 27년도 특허 끝 -> 앞으로 2~3년은 알테오젠 쇼타임이다.
https://www.youtube.com/live/Gfg3BcPi-hc?si=WKp5sRT0f_y-apG8
면역항암제 2가지 종류
PD-1 = 키트루다와 옵디보(할로자임)
PD-L1 = 임핀지와 티센트릭(할로자임)
임핀지 대안이 알테오젠 밖에 없다.
sc가 iv 보다 좋은건 다 안다. 근데 왜 다 안하냐? 경제성이 있어야 한다.
(매출액이 일정 부분 이상 나와야 한다)
ADC가 지금 가장 핫하다 -> 빅파마 다 뛰어듬 - 면역항암제 + ADC
아스트라제네카 임핀지(매출액 6조 1500억 23년)는 엔허투와 + TROP2 가지고 있다.
아스트라제니카는 임핀지를 무조건 살려야 한다.
엔허투는 알테오젠 sc와 계약 나옴.
그래서 임핀지도 sc를 해야 한다.
TROP2 ADC에서 제일 앞서는게 트로델비 -> 유방암 기대매출액이 49억달러
임핀지 트로델비 계약 2개다 나올거다.
임핀지 23년 매출액 6조 1500억
트로델비 매출액 1조 3000억
지금 당장 돈 측면에서는 임핀지가 좋아보이지만 미래 성장성을 보면 트로델비가 더 메리트가 있다.
TROP2 ADC는 HER2 ADC 이후로 가장 핫한 임상이 이뤄지고 있음
트로델비 TROP2 ADC SC 계약이 나오면 TROP2 ADC 후발주자들한테 SC 안하면 안돼!! 라는 압박이 생긴다.
임핀지 + 트로델비 계약이 나오면 + 듀피젠트 => 고점 뚫을것 50만원 이상
꿈의 100만원 PD-1*VEGF 이중항체 기술수출 나오면 게임끝 넘사벽
이중항체 PD-1*VEGF vs PD-L1*VEGF = 둘 다 알테오젠만 가능하다.
이중항체 계약이 나오는 시점은 이중항체 3상 끝나고 시판되는 그때부터 기대가능함 27년 쯤
그런데 박순재 대표는 임상단계부터 우리꺼 쓰면 좋다 -> 이렇게 계약이 나와도 새로운 역사를 쓰는거다.
알테오젠 은행예금 할바엔 알테오젠을 사는게 낫다.
할로자임 27년도 특허 끝 -> 앞으로 2~3년은 알테오젠 쇼타임이다.
https://www.youtube.com/live/Gfg3BcPi-hc?si=WKp5sRT0f_y-apG8
17.02.202503:54
박대표님이 전환율 80%를 이야기한 이유라 생각되어 짐
15.02.202505:46
알테오젠은 오는 17일 한국거래소 홈페이지에 해당 설명회에서 사용할 IR 자료를 게시한다.
출처 : 스마트투데이(https://www.smarttoday.co.kr)
출처 : 스마트투데이(https://www.smarttoday.co.kr)
14.02.202508:17
어차피 나올 계약 그냥 기다리면 됩니다!!
11.02.202501:04
오보가 맞았네요 ㅋㅋㅋ
도대체 기사를 어떻게 쓰는거야..
도대체 기사를 어떻게 쓰는거야..
Переслав з:
[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86d721d5-9bf7-4d9d-937e-53415eaa6d00.jpg%3Fw%3D24%26h%3D24&w=48&q=75)
07.02.202515:36
금감원, 공매도 가이드라인 최종안 발표
▲공매도 법인 내부통제기준
▲공매도 주문 수탁 증권사 확인 의무
▲대규모 공매도 거래법인 등록번호 발급
▲대규모 공매도 거래법인 잔고 등 정보 제출 등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11913354585662
▲공매도 법인 내부통제기준
▲공매도 주문 수탁 증권사 확인 의무
▲대규모 공매도 거래법인 등록번호 발급
▲대규모 공매도 거래법인 잔고 등 정보 제출 등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11913354585662
05.02.202506:48
임핀지일 가능성이 높은 이유
Показано 1 - 24 із 437
Увійдіть, щоб розблокувати більше функціональност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