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바이오 투자의 정석 avatar

바이오 투자의 정석

어려운 바이오 집단지성으로 가보자구
Рейтинг TGlist
0
0
ТипПублічний
Верифікація
Не верифікований
Довіреність
Не надійний
Розташування
МоваІнша
Дата створення каналуСерп 14, 2024
Додано до TGlist
Бер 18, 2025

Популярні публікації 바이오 투자의 정석

Переслав з:
서초동 투자머신 avatar
서초동 투자머신
01.04.202512:50
#엔솔바이오사이언스

1. 엔솔 p2k는 퇴행성 디스크 치료제로 개발된 신약물질
2. p2k를 유한양행이 사감
3. 임상 2b까지 진행하였으나 임상디자인 설계 오류로 위약(가짜약)대비 데이터 유효성 입증 못함.
4. 미국의 스파인바이오파마가 데이터 분석 후 이거 우리가 사가서 임상할게 하고 p2k 사감
5. 임상디자인 재설계후 임상 2상 건너뛰고 FDA로부터 sb-01 임상 3상 진입 승인 받음.(p2k=sb-01)
6. 24년 9월 환자모집과 투약 마무리 되었고 이는 예상한 시기보다 빨리 마무리 됐음.
7. 400명 모집에 7만명 넘게 지원
8. 현재 임상 3상 데이터 정리 중. 스파인바이오파마 대표 마크는 5월중 데이터 발표할거 같다고 말함.
9. 기존엔 7월1일날 탑라인 발표한다고 했었음.
10. 늦어도 7월엔 발표할 것으로 추정
11. 임상 3상 데이터 유효성 입증 후 FDA 승인 신청후 26년 판매 예상
12. 유한양행과 엔솔이 마일스톤과 로열티를 수취하는 구조. 엔솔의 로열티 1.75%
13. 임상성공 후 판매시 연간 수천억원의 로열티 수취 가능
14. 자 그럼 지금 제일 중요한것은 임상3상 결과인데 최근의 스토리를 보면 성공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음
15. Sb-01 임상3상 진행 중 24년 7월4일 스파인바이오파마 엔솔바이오에 적응증 확대 계약 체결. 골관절염,섬유증,종양 등 다양한 질환 치료제로 개발될 예정.
16. 임상3상중 추가계약을 엔솔과 다이렉트로 했다는건 임상데이터가 좋을 가능성이 높다는 뜻으로 해석가능.
17. 어느정도 데이터를 확인하고 확신이 있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추측 가능.
18. 24년9월 임상종료 후 마크(스파인 대표)는 각종 학회에 참여하여 투자자 미팅도 진행하는등 의미있는 행보를 보임.
19. 특히 최근 학회에서 ‘we are excited about our data’ 라는 발언을 함.
20. 최근 26일 엔솔 주총에서 대표님은 임상이 실패할 가능성이 아예 없다고 함. 5가지 이유가 있는데 자세한건 5월에 있을 ir에서 말한다고 함.
21. P2k 성공시 3개의 셰계최초 타이틀이 생긴다고 함. ‘세계최초 퇴행성 디스크 치료제’ ‘세계최초 TGF-B 타켓 약물 치료제’ ‘세계최초 made in korea 블록버스터‘
22. 3월26일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행사가격 25,150(보통 큰일 앞두고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하는 경우들이 있음)
23. 최근 기술평가 탈락으로 코스닥 상장실패. 고점 부근에서 쩜하 3번 맞음. 3번째 쩜하 18,450에 형인우 30억 추가매수
24. 형인우 지분율 15%
25. 유한양행 6% 80만주 정도 들고 있음.
26. 임상 실패시 리스크 있지만 p2k외에 파이프라인 다양함. P2k 이후 가장 앞서있는게 H1k 국내 임상3상 준비중.
27. 임상 실패해도 다른 파이프 라인 가치로 2천억 정도는 받을만하지 않나?? - 개인적인 판단
28. 임상 성공시 상방은 어마어마하게 열릴 수 있음.
29. 하반기 코스닥 상장 다시 도전
30. 임상3상 데이터 좋으면 이번에는 통과 가능성 높음.
31. 알테오젠의 끼가 보이는 종목.
32. 다른 파이프라인은 생략했지만 e1k, h1k, c1k 모두 포텐셜있음.
33. P2k, e1k는 펩타이드 물질이라 타 경쟁사 줄기세포, 연골세포 대비 강점이 많음.
34. 자세한 내용은 꼭 직접 확인해보세요
35. 위에 기재된 내용은 사실과 다르거나 오류가 있을수 있음. 주관적인 판단의 오류가 있을수 있음

리스크
1. P2k 임상 3상 실패 리스크.
2. 코넥스 상장기업이라 매매가 쉽지 않음
3. 임상실패시 코스닥 상장 지연 가능성
4. 현재 시총 3천억. 임상 3상 파이프라이 보유한 기업치고는 저평가라 생각하지만 차트로는 바닥에서 10배 정도 올랐음. 임상 실패시 최소 반토막에서 1/3토막은 각오해야함.
5. 더 큰 문제는 코넥스 특성상 악재 발생시 빠져나오는게 쉽지 않음. 거래량이 너무 적음.
6. 스파인바이오파마는 빅팜이 아닌 비상장 기업이고 이번 임상 3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나스닥 상장 도전 예정.
7. 사실상 임상실패 리스크가 가장 큰 리스크 이고 그게 회사의 운명을 가를수 있는 단기적 빅이슈.
8. 개인적 의문은 임상이 성공하면 시총1조 이상 받아도 이상할게 없는데 코넥스에서 그것이 가능한 것인가? 코넥스에서 시총 1조를 넘었던 사례가 있나?시총 5천억도 넘었던 사례도 없었던거 같은데(엔솔바이오가 최근 시총 4500억까지 갔었음) 코넥스와는 상관없이 기업가치 평가가 가능한건가??

8번의 개인적인 의문을 찾아보니
일정 규모 이상으로 성장하면 코스닥으로 이전상장을 유도하는 제도가 있다고 합니다. 시가총액,매출,영업이익 등의 기준을 충족한 기업은 코스닥으로 이전할 수 있다고 함.

리스크를 상쇄할만한 것은 역시 갓인우님이 투자했다는 사실. 형인우님이 왜 투자를 결정했는지 블로그를 통해 확인 가능.

단기 바닥은 형인우님이 18,250으로 잡아주신거 같고 임상성공 가정하에 주식매수선택권 발행가격 부근은 매력적인 찬스로 보이나 문제는 역시 임상결과는 아무도 장담 못함. 실패시 바닥은 안보임.

매수를 떠나서 공부해볼만한 가치가 있는 기업이다. 지금 당장이 아니더라도 코스닥에 상장했을때 추후 관심을 가져볼만한 기업.
엔솔바이오의 성장을 지켜봐야 할 듯.

매수추천 아닙니다!!!
공부한 내용 기록용 입니다.
10.04.202522:55
FDA, 동물실험을 단계적으로 폐지할 것으로 밝힌 뒤 ai헬스케어주 급등

FDA는 독성 및 세포주 및 유기체 독성 테스트에 대한 AI 기반 계산 모델을 선호하여 동물 실험을 단계적으로 중단할 것

https://www.benzinga.com/government/regulations/25/04/44752313/health-care-technology-stocks-surge-after-fda-announces-plans-to-phase-out-animal-testing-requirements
07.04.202522:58
『에이비엘바이오(298380.KQ) - GSK와 뇌투과 플랫폼 4조원 규모 기술이전』
기업분석부 엄민용 ☎️02-3772-1546


▶️
신한생각: GSK와 L/O 체결로 검증된 플랫폼의 가치
이번 GSK와의 기술이전 계약은 사노피에 L/O한 파킨슨병 치료제 ABL301 임상 1상 성공의 근거이자 Grabody-B 플랫폼이 빅파마에 검증되었다는 점에서 의미있음. 뇌투과 플랫폼 피어그룹 드날리(Denali)는 지속된 임상 중단에도 시가총액 약 2.5조원으로 피어그룹 대비 동사 저평가

▶️ 드날리 주가를 살펴보자. 자세한 내용은 수요일에 공개
GSK와 뇌투과플랫폼 Grabody-B에 대해 4.1조원 계약 체결하며 계약금및 단기 마일스톤 합산 약 1,480억원 수령 예정. GSK는 알츠하이머 치료제 라토지네맙 임상 3상 진행 중으로 해당 물질에 뇌투과 플랫폼(Grabody-B) 적용해 신규 임상 진행할 계획인지를 4월 9일(수요일) 예정된 에이비엘바이오 기업설명회 통해 확인 필요

글로벌 뇌투과 플랫폼 피어그룹 드날리는 과거 ‘18년 다케다와 2.4억달러, ‘18년 10월 사노피와 12.2억달러, ‘20년 10월 바이오젠과 16.8억달러 규모 L/O 체결하고 당시 환율 1,095원 기준 시가총액 10조원까지 상승

그러나 바이오젠과 ‘24년 7월에 TV 플랫폼 ATV:Abeta 임상 및 라이선스계약 중단, 사노피와 ‘25년 2월 DNL788 개발 중단, 다케다와 ATV:TREM2 전임상 개발 중단. 최근 주가 지속 하락으로 시가총액 2.5조원까지 하락했으나 여전히 동사 대비 높은 시가총액 유지 중

▶️ Valuation & Risk
아밀로이드-베타 또는 타우를 타깃하는 신규 L/O 계약도 새로운 빅파마와 추가 논의 중으로 기대감 지속. 에이비엘바이오 Grabody-B 관련 L/O 총 계약규모는 5.4조원으로 드날리의 5.2조원을 넘어섰으며 드날리는 대부분 개발이 중단되었으나 시가총액 2.5조원 수준이므로 동사 저평가 판단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308

위 내용은 2025년 4월 8일 07시 29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08.04.202521:58
유루루님 알테오젠 NDR자료
정리가 잘 되어 있네요

https://m.blog.naver.com/youlooloo/223826811978
Переслав з:
글로벌바이오아저씨 avatar
글로벌바이오아저씨
08.04.202509:13
[퓨쳐켐 플루빅토 비교]

1라운드: PSA 반응률 – 누가 PSA를 더 확 줄이나?

FC705: 46.67%

Pluvicto: 46%

거의 동점!
두 약물 모두 PSA를 절반 이상 줄인 환자 비율이 비슷합니다.
→ “이 정도면 FC705, 글로벌 형님이랑 맞짱 가능!”


2라운드: 최고 PSA 반응률 – 진짜 잘 듣는 환자는 몇 %?

FC705: 무려 73.33%

Pluvicto: 약 40%

완승!
“진짜 효과 본 환자 비율이 70% 넘는다?”
→ FC705, 확실히 때릴 땐 제대로 때립니다.

3라운드: 종양 반응률 – 영상으로도 줄었는지 확인!

FC705: 60%

Pluvicto: 30~40%


또 한 번의 승리!
영상 찍어보면 FC705가 종양을 ‘확실히’ 줄인 경우가 더 많아요.
→ “눈에 보이는 효과도 FC705가 한 수 위!”

4라운드: 부작용 – 누가 덜 괴로울까?

FC705: 메스꺼움, 혈소판 감소 (10%)

Pluvicto: 위장장애, 빈혈 등 다양

접전!
부작용은 둘 다 있지만, FC705는 상대적으로 깔끔한 편.
→ “이 정도면 몸에 무리도 덜 간다~

[결과]

퓨쳐켐 완승 ~ 짝짝 ㅋㅋㅋ
09.04.202501:06
받) ㅋㅋㅋㅋㅋㅋ
Переслав з:
서초동 투자머신 avatar
서초동 투자머신
01.04.202512:50
#엔솔바이오사이언스

형인우님의 개인적인 의견

## 개인적인 의견 : 일반적으로 신약개발은 그 성공가능성이 매우 낮으며 그만큼 신약개발에 대한 투자는 위험함. 게다가 이미 기존에 다른 경쟁 약물이 판매되고 있는 상황이면 임상 성공후 상업화된다 하더라도 투자한 임상 자금 대비 좋은 결과를 기대하기 어려움. 하지만 P2K의 임상 2b상의 결과나, 현재 진행중인 미국 FDA 3상의 임상 설계, 임상 방법 등을 볼때 P2K의 미국FDA 3상성공 가능성을 상당히 높게 보며, 기존에 마약성 진통제에 의존하는 시장에서 First-in-class 최초 신약으로의 지위를 충분히 누릴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투자를 결정함. 엔솔바이오사이언스의 펩타이드 약물은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으며,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보관 및 유통이 비교적 용이하여, 이는 비용 절감과 더불어 치료제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음. 또한 펩타이드 약물은 작은 분자로서 면역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낮고, 그 특성상 정확한 용량 조절이 가능하여 치료강도에 따라 용량을 조절하는것이 쉬움. 이런 펩타이드 약물의 이러한 강점들은 P2K나 E1K의 타 경쟁 약물이 줄기전구세포, 지방유래 줄기세포, 연골세포 등으로 대부분 개발되고 있는데 이들의 단점들을 해결해 주어, 이들 타 경쟁약물이 차후에 승인되어 판매된다고 하더라도 충분히 P2K나 E1K의 경쟁력이 높다고 판단됨. P2K나 E1K가 임상3상에 성공하여 판매된다면 수년 안에 로열티로만 연간 수천억 이상의 영업이익이 가능할 전망. 그 외의 파이프라인의 가치들도 이에 뒤지지 않을 거라 판단하며 이러한 가치들에 비해 시가총액 1천억 대는 저평가라 판단되어 장기 투자 예정임.

https://blog.naver.com/smartngrowth/223716468132
06.04.202523:26
국내 플랫폼 바이오텍 2025년 들어 3개월 연속 빅파마 L/O 성과

02/07 올릭스-릴리 9,116억원
03/17 알테오젠-AstraZeneka 2조원
04/07 에이비엘바이오-GSK 4.1조원
08.04.202505:56
미 의회 보고서 “중국 바이오테크 부상, 미국 지배력 위협”

1. 중국의 급속한 추격
- 의회 산하 ‘신흥 바이오기술 국가안보위원회’는 중국이 바이오테크 분야에서 빠르게 미국을 추월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 중국은 20년간 바이오를 전략산업으로 지정해 집중 육성해왔으며, 미국은 향후 3년 내 대응하지 않으면 회복 불가능한 격차가 생길 수 있다고 진단했다.

2. 주요 권고 사항
- 향후 5년간 최소 150억 달러를 바이오 연구에 투자할 것을 권고했다.
- 미국 보건부 및 국가안보 기관과 협력하는 기업이 중국 기업과 거래하는 것을 금지하는 조치를 촉구했다.
- 대통령 직속 ‘국가 바이오기술 조정실’을 신설하고, 바이오 전략 수립 전담기관 설립을 제안했다.

3. 바이오 분야 대중 의존 심화
- 중국은 의약품 원료와 제네릭 의약품 공급의 주요 국가로 자리 잡았다.
- 최근에는 자체 신약 개발과 임상시험을 바탕으로 서방 제약사들과의 라이선스 계약도 활발히 체결하고 있다.
- Merck는 2024년 말 중국 Hansoh Pharma와 비만 치료제 공동 개발 계약을 체결하며 1억 1,200만 달러를 선지급했다.

4. 미국 내 우려와 대응 논의
- 위원회는 중국이 희토류처럼 첨단 바이오 기술을 무기화하거나 수출을 제한할 경우, 미국 안보에 직접 위협이 된다고 지적했다.
- 이에 따라, 국방 관련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민간-정부 공동 생산시설 구축과 스타트업 투자 전용 펀드(약 10억 달러) 신설을 제안했다.
- 바이오 연구 전용 센터 설립과 고품질 데이터 접근이 가능한 통합 플랫폼 구축도 포함됐다.

5. 정책 실현 과제
- 하원은 지난해 중국 기업과의 협력을 제한하는 ‘Biosecure 법안’을 통과시켰지만, 상원 문턱은 넘지 못했다.
- 위원회는 초당적 협력을 바탕으로 바이오 산업을 안보 전략 산업으로 전환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공공보건 예산이 삭감되는 상황에서 수십억 달러의 새로운 투자를 이끌어내는 것은 정치적 설득력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6. 상호협력 필요성 강조
- 보고서는 미국이 과거에도 단독이 아닌 동맹과 협력을 통해 바이오 선도국 지위를 유지해왔다고 설명했다.
- 미국이 세계 바이오 연구의 ‘선호 파트너’가 되기 위해, 개방성과 책임성을 갖춘 글로벌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7. 결론
- “중국을 따라잡는 것이 목표가 아니다”라며, 미국의 혁신 생태계와 자본력을 활용해 기술 주도권을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 바이오 분야에서의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은 이제 단순한 산업 문제가 아니라 국가 안보의 핵심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https://www.wsj.com/tech/biotech/china-biotech-industry-research-threat-e91dddd6?mod=rss_Technology

WSJ
Переслав з:
알파카 주식 목장 avatar
알파카 주식 목장
에이비엘바이오 파트너사 컴패스 테라퓨틱스(CMPX)의 토베시미그(ABL001)
ORR 17.1% vs 파클리탁셀 5.3%

ORR 17%면 아예 임상 실패라고 볼 수는 없기에 신약 신청은 예정대로 진행될 것 같습니다. 다만 국내 임상2상 대비 아쉬운 결과네요.
Переслав з:
더바이오 뉴스룸 avatar
더바이오 뉴스룸
07.04.202523:25
글로벌 기업들로부터 국내 바이오텍들의 '신약 플랫폼'이 주목도가 높아지는 양상입니다.

암세포를 정밀 타격하거나 파괴력을 극대화하고, 약물 투약을 간편화하는 등 기존 신약의 한계를 극복하는 플랫폼 기술입니다.

특히 알테오젠, 리가켐바이오, 에이비엘바이오, 오름테라퓨틱은 조(兆) 단위 규모의 기술수출에 잇따라 성공하며 높아진 몸값과 인기를 입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국내 바이오 4대장의 기술을 묶어봤습니다.

- 에이비엘바이오, IGF1R 이중항체 ‘그랩바디-B’ 플랫폼 GSK에 4.1조 수출
- 알테오젠,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 ‘ABT-B4’ 글로벌 제약사 6곳에 총 9.3조 수출
- 리가켐바이오, ADC 콘쥬올 플랫폼 글로벌 제약사 5곳에 총 4.5조 수출
- 오름테라퓨틱, ‘TPD² 플랫폼’ 버텍스에 최대 1.4조 수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127
06.04.202523:18
2025.04.07 07:49:31
기업명: 에이비엘바이오(시가총액: 1조 6,524억)
보고서명: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IGF1R 기반 BBB 셔틀 플랫폼 GrabodyB(뇌혈관장벽 투과 기술) 기술이전 계약 체결)

제목 : IGF1R 기반 BBB 셔틀 플랫폼 Grabody-B(뇌혈관장벽 투과 기술) 기술이전 계약 체결

* 주요내용
*투자유의사항
본 계약을 통한 수익 인식은 개발 및 임상시험과 품목허가 등의 성공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계약 조건에 따라, 규제기관에 의한 연구ㆍ개발의 중단, 품목허가 실패 등 발생시 계약이 해지될 수 있습니다.



1. 계약상대방 : GSK (GlaxoSmithKline)

- 국적 : 영국

- 최근 사업연도(2024년) 매출액 : 60조 2,629억원 (GBP 31,376,000,000)

2. 계약의 내용 :

- GSK가 당사의 BBB 셔틀 플랫폼 기술(Grabody-B)을 적용한 복수의 신규 타깃(Novel Target) 후보물질을 개발 및 상업화할 수 있는 독점적 권리 이전

- GSK가 적용하는 모달리티(Modality) : siRNA(small interfering RNA), ASO(Antisense Oligonucleotide) 등을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Oligonucleotide) 또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Polynucleotide) 및 항체(Antibody) 등

3. 계약체결일 : 2025년 4월 5일

4. 계약기간 : 2025년 4월 7일 ~ 로열티 기간 종료일까지

5. 계약금액


1) 총 기술이전 금액 : 4,110,425,867,000원 (GBP 2,140,100,000)

- 2024년 매출액(연결 기준) 334억원 대비 12,306%에 해당


① 계약금 및 단기 마일스톤 : 148,083,657,000원 (GBP 77,100,000)

- 계약금(Upfront) : 73,945,795,000원 (GBP 38,500,000)

- 단기 마일스톤(Near-term Milestones) : 74,137,862,000원 (GBP 38,600,000)


② 기타 마일스톤(Milestones) : 3,962,342,210,000원 (GBP 2,063,000,000)

(임상, 허가, 상업화 등의 성공에 따라 단계별 수령)


2) 경상기술료(Royalty) : 순매출액에 따라 합의된 비율로 수령


3) 계약지역 : 전세계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790000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98380
Увійдіть, щоб розблокувати більше функціональност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