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coin Community
Notcoin Community
Proxy MTProto | پروکسی
Proxy MTProto | پروکسی
Proxy MTProto | پروکسی
Proxy MTProto | پروکسی
iRo Proxy | پروکسی
iRo Proxy | پروکسی
Korean Capitalist Magazine. avatar

Korean Capitalist Magazine.

한국 자본시장과 사회의 민 낯을 봅니다.
해당 채널의 게시물은 단순 의견 및 기록용도이고 매수/매도 등 투자권유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어떤 경우에도 법적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투자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며 한순간에 나락됨 알립니다. 필자도 깡통 2번 찼던 엄혹한 역사가 있음을 주지하십시오.
문의 @koreancapitalist
Рейтинг TGlist
0
0
ТипПубличный
Верификация
Не верифицированный
Доверенность
Не провернный
Расположение
ЯзыкДругой
Дата создания каналаFeb 07, 2025
Добавлено на TGlist
Sep 23, 2024

Популярные публикации Korean Capitalist Magazine.

21.02.202502:58
- JP Morgan의 BYD 판매량 전망

2025년 550만대

2026년 650만대

2026년은 BYD의 글로벌 확장 원년: 동남아시아(태국, 인도네시아), 남미(브라질), 유럽(헝가리). 아프리카를 제외한 사실상 전세계 모든 곳에 생산 기지 구축

세계 2차 전지 시장이 4:3:2:1 체제로라도 유지되어야, 한국업체들이 미래를 도모할 '최소한의 공간'이라도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

4:3:2:1은 40%(CATL), 30%(한국 3사), 20%(BYD), 10%(기타/소형 배터리 등)로 세계 시장이 굴러가야된다는 얘기다.

전세계 국가들이 쓰는 국방비 총액의 40%를 미국이 지출한다.

미국은 세계 국방비 지출 2위부터 11위, 10개 국가의 국방비를 합친 것보다 많은 국방비를 쓰고 있다.

세계 2차 전지 산업도 비슷하다.

2024년 CATL이 세계 시장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세계 2차 전지 시장 점유율 2위-10위 업체들이 지출하는 것보다 CATL이 더 많은 금액을 R&D에 투자한다.

이번주 중국 시진핑 국가 주석이 중국 주요 첨단 기업(IT, EV 등) CEO들을 만났다.

시진핑과 악수하려고 기다리는 중국 CEO들을 보면서 많은 생각이 들었다.

중국은 국가에서 '명령 또는 압박'을 하면 첨단 산업 기업들끼리 R&D 등에서 어느 정도 공유/협력이 충분히 가능한 상황일 것 같다.

Huawei를 포함해서 BYD, Xiaomi, NIO, XPENG 등과 CATL이 세계 최고 성능의 전기차를 만들기 위해 일정 부분 기술 공유를 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국가 총력 집중 전략)

이것이 가능하다면, CATL과 다른 나라 배터리 기업 간의 R&D 투자 격차는 지금보다 5배, 10배로 벌어질 수도 있다.

이는 생산 원가 절감, 성능 향상으로 바로 연결된다.

BYD 역시 같은 방식으로 자율주행 부문의 경쟁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렇게 CATL, BYD와 다른 나라 업체 간 격차가 점점 벌어지면, 세계 2차 전지 산업도 세계 태양광 발전 산업이 겪었던 길을 그대로 밟게 될 지도 모른다.

제조 원가, 품질 측면에서 중국 배터리/EV 업체를 따라갈 수 있는 업체가 존재할 기반 자체가 사라지게 된다는 얘기다.

JP모건이 말한 BYD의 글로벌 확장 원년이 2026년이다.

CATL은 현재 빚 한 푼 없는 순현금 상태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 업체들은 판매 부진에 따른 실적 악화 등으로 투자 여력이 점점 약화되고 있다. 실제로 투자 축소를 말하고 있다.

2025-2026년은 세계 2차 전지/전기차 산업, 더 나아가 세계 자동차 산업의 중요한 변곡점으로 기록될 것 같다.

어떻게 해야 우리나라 업체들이 세계 2차 전지 시장 점유율 30%를 지켜나갈 수 있을까?

자칫 잘못하면, 2030년에는 세계 2차 전지 시장이 6:3:1 체제로 바뀌어 있을지도 모른다.


https://www.scmp.com/business/china-evs/article/3299504/jpmorgan-boosts-byd-share-price-target-60-strong-growth-projections?module=perpetual_scroll_0&pgtype=article&fbclid=IwY2xjawIkyfRleHRuA2FlbQIxMQABHYhQNlD9q0YDgm5UxO4qzCqt4dWrcmp4Fr3eXTG0pHp0pSfkYzQmJEF56A_aem_B6AMakkaHKYEHP3eeKC_Aw
10.02.202500:50
●테슬라 FSD와 두산테스나

t.me/triple_stock

•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봐야할 건, 모빌리티 정책에서 전기차 관련 정책은 약화되고 로보택시 및 자율주행 관련 정책은 강화되는 것

• 로보택시는 자율주행에 대한 호감도를 올릴 것. 2024년 4월 한달 간 FSD 무료 체험 행사 및 월구독료를 199달러에서 99달러로 인하하면서 FSD 구독률이 2%에서 12%로 급증함

• 2025년은 테슬라에게 전기차 판매량보다는 FSD의 수익화가 중요함. FSD의 구독률 상승과 채택률의 증가는 전기차 판매량 연동이 아닌 FSD 자체의 Q 상승 효과에 주목해야 함

• 두산테스나는 전체 매출비중 45~50%가 SoC이고 이중 45~50%가 다시 오토 부문. 오토에서 테슬라 FSD향이 대부분을 차지함

• 현재 삼성전자 파운드리의 테슬라 FSD 솔벤더로 향후 FSD 물량이 늘어날수록 큰 실적 성장 전망. 2024년은 테슬라향으로 연매출이 600억원 정도 달성되었는데, 2025년부터 FSD 물량이 크게 증가할 가능성

• 테슬라는 FSD를 2025년 1분기에 유럽에 배포하고 2분기에 중국에 배포할 계획

• 테슬라 FSD칩은 HW 4.0의 경우 삼성전자 파운드리 7나노 공정에서 생산 중이며, HW 5.0의 경우 삼성전자 파운드리 4나노 공정에서 생산하는 걸 2023년 7월에 확정함. 최근 삼성전자 파운드리 4나노 수율이 70%를 넘어섬에 따라 HW 4.0처럼 HW 5.0도 삼성전자 단독으로 생산할 가능성이 생김

• 옵티머스에도 현재 FSD칩 HW 4.0이 탑재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며, 향후 자율주행처럼 HW 5.0으로 탑재될 가능성을 본다면, 옵티머스가 본격적으로 대량양산되는 시점에는 FSD칩 물량이 더욱 크게 늘어날 것

• 두산테스나의 리스크는 4분기 실적의 부진 가능성인데 어느 정도 선반영된 상황에서 FSD의 글로벌 배포를 앞두고 있는 시점이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될 듯
21.02.202500:07
종합지수를 보기전에

코스피 현물지수와 코스피 선물지수의 차이를 봐야하며

선물지수 차트를 보기전에

갭 제거된 중심값대비 조정률의 현재위치를 파악하고

중심값 100의 위치까지의 갭차이를 보면서 향후 임계수치를 추정하는게 중요하다.

코스피200 선물지수 갭 제거차트를 보면 현재 작년 10월 일별 급락최고 구간밑자락에 다은 상태이다.

흔히 매물구간, 저항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

크게 기술적차트로 보면 갈매기 형태의 하단 둥근 쓰리바닥형태가 완성된 모습으로 추정된다.

추가적 상승이 나올려면 현재 구간에서 일부 선물매매벽을 소화하고 난 후

특정 시점에 앞단의 큰 음봉을 뚫는 거래대금을 동반한 하루짜리 큰 양봉이 나와야 할 것이다.

앞으로 다가올 이벤트를 봤을 때 엔비디아 실발 전후로 큰 변동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만일 엔비디아 실발 이벤트가 지수를 무너트리면 갭 제거 차트의 상단은 엄청난 저항이 될 것이나

반대로 지수를 올려 버리면 당분간 최근 몇주간 벌어진 종목게임보다 더 화끈한 코스피 도박장이 벌어질 가능성이 높다.
Переслал из:
우산 X NNN의 아이디어 avatar
우산 X NNN의 아이디어
23.02.202503:59
■ 디어유_에스엠 디어유 연결자회사 편입, 팬 플랫폼 돈이 되는 비즈니스 맞는 것 같음

​- 에스엠 디어유 지분 11.4% 확보하며 연결자회사 편입(에스앰 등 최대주주 지분율 45.19%)
- 연예인 좋아하는 마음은 인간 본성이기에 팬 플랫폼 돈 되는 비즈니스라 생각
- 베리즈(출시 예정, 카카오엔터) 포함 기존 위버스, 프롬 등 팬 플랫폼 시장 경쟁강도 심화 예상​

* 다양한 차트는 첨부된 블로그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포스팅한 관심섹터와 관심종목에 대해 매수/매도 의견을 제안하지 않습니다.
*** 포스팅 작성 시점 관련 종목 보유여부를 확인해 드릴 수 없습니다.

에스엠 디어유 지분 11.4% 추가 확보하며 연결자회사로 편입합니다. 공시에 따르면 SM 3.0 IP 비즈니스 가속화가 지분 취득목적인데 팬 플랫폼 돈 되는 비즈니스가 맞다는 것을 증명한 것 아닌가 싶습니다. ​

디어유는 연예인과 1:1 소통할 수 있는 버블(Bubble)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언론 기사에 따르면 3Q24 기준 유료 구독수 200만 명이고 157개 소속사 600여 명 아티스트가 팬 플랫폼 버블에서 활동한다 합니다. ​

멋있게 노래 부르고 춤추고 또 연기하는 연예인을 좋아하는 것은 남녀노소 가릴 것 없는 인간의 본능입니다. 몇 년 사이 큰 인기를 끌고 있는 트로트 열풍을 보면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10~20대가 좋아하는 아이돌 그룹에 열광하듯 60~80대 시니어 세대도 좋아하는 트로트 가수에 열광합니다. AI가 발전하고 로봇이 길거리를 다녀도 연예인을 좋아하는 감정은 사라지지 않을 것입니다. 팬 플랫폼, 돈이 되는 비즈니스 맞는 것 같습니다. 이에 따라 에스엠도 디어유 지분을 늘리며 영향력 강화시킨 것 같습니다. 실적 추정치 및 Valuation에 대한 여러 의견도 있지만 충분히 검토해 볼 투자 아이디어 같습니다.

다만 디어유 신경 쓰이는 부분도 있습니다. 에스엠의 최대 주주인 카카오 쪽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팬 플랫폼 베리즈를 출시 예정입니다. 언론 기사에 따르면 디어유와 베리즈가 카니발라이제이션(Cannibalization)이 아니라 시너지가 날 것이라 하는데 베리즈 방향이 아직 명확히 파악되지 않아 감이 잡히지 않습니다. ​팬 플랫폼은 위버스(하이브), 프롬(노머스) 뿐만 아니라 비스테이지 등 다양한 형태가 생겨나고 있습니다. 경쟁 강도가 심해지는지, 추가 IP 확보에는 어려움이 없는지, IP 이탈은 없는지 등에 대한 점검도 분명 필요하겠습니다.

https://blog.naver.com/beatthemkt/223770059227
23.02.202509:25
최근에 엔화가 급격히 강세로 되면서 149엔까지 내려가고 있는데

일본 노린추킨 은행이 채권손실 120억 달러 경고가 나와 CEO 교체.

작년부터 미국 금융가에선 노린추킨 은행이 파산하면 일본에서 금융위기가 시작되 세계 경제를 무너트릴 수 있는 와일드카드가 될 거라는 이야기가 많은 상황.

최근에 일본 인플레이션 4%발표후 BOJ에서 채권수익률 급등시 채권매입 준비중이라고 언급.

BOJ 금리 결정은 3월 18일.

외환시장에선 관심이 커지는 상황.

#Norinchukin


https://finance.yahoo.com/news/norinchukin-warns-12-billion-loss-071130731.html
11.02.202513:21
21.02.202501:59
- 한국은행 연간 RP매입 역사

2008년 18.5조(글로벌 금융 쇼크)

2020년 42.3조(코로나 락다운)

2021년 4조

2022년 26.8조

2023년 50.9조

2024년 106조

24년 12월 47.6조(한은 무제한RP매입 발표)

25년 1월 45.5조

25년 2월 약 10조

불법 비상계엄 이후 한은 무제한 RP매입 유동성 공급 발표(참고로 비상입법기구 자금 추정)후 25년 2월 현재까지 100조 이상이 시장에 공급 중인 상황.

한국 증권시장에 해외 자금 유입보다는 채권담보 유동성자금이 일부 국내 증시로 흘러들어와 자산 손실을 메꾸려는 기획이 진행중이며

25년 다른 나라대비 높은 지수 상승률이 나오는 것. 한국 밸류 싸다고 일부 장기 펀드 매수가 있긴하나 큰 물줄기는 국내 유동성 확대 정책으로 벌어지는 것.

틈틈이 매크로 마켓 돌아보면서 이야기 하겠지만 현재 한국 노름판 증시로 만들어 엑시트 전략 진행되는 것으로 추정.

겉으로는 밸류 바텀, 무역경기 개선 기대, 신정부 재정정책확대 기대, 특정산업 장미빛 미래 등등등 많은 화려하고 그럴듯한 포장지로 둘러싸서 보이겠지만 이면의 큰 물줄기는 알고 있어야하는 것.
Переслал из:
🌸Crypto Judy🐰🌸 avatar
🌸Crypto Judy🐰🌸
25.02.202503:08
[속보] 서울세종고속도로 안성 구간 교각 붕괴... 인명피해 확인중
Переслал из:
CTT Research avatar
CTT Research
21.02.202523:17
넥스트바이오메디컬, '넥스피어에프' FDA 혁신형 의료기기 신청

치료재 개발 및 수출 기업 넥스트바이오메디컬(389650)은 근골격계 통증 색전 치료재 ‘Nexsphere-F™(이하 넥스피어에프)’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혁신의료기기 지정(Breakthrough Device Designation, 이하 혁신의료기기)을 신청했다고 10일 밝혔다.

FDA 혁신의료기기 지정은 기존 치료법 대비 혁신성과 중요성을 인정받은 의료기기에 대해 신속한 승인을 지원하는 제도로 지정될 경우, FDA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우선적인 심사 및 신속한 인허가 절차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메디케어(Medicare) 보험 적용 가능성이 높아지고, 임상시험 설계의 유연성이 증가하는 등의 혜택을 누릴 수 있어 혁신적 의료기기의 시장 진입 속도를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558006642069208&mediaCodeNo=257&OutLnkChk=Y
23.02.202505:41
# TGA

# 금



미국 재무부 TGA 계정에 7800억 달러를 이제부터 풀거라 이야기가 나옴.

유동성을 늘려서 달러 약세를 유도할 려고 하는 의도 인듯.

역레포 계좌랑 TGA 계좌 추이를 지켜봐야할 구간.

미국 재무부에서 돈을 풀면 유동성이 늘어나는 상황인데, 작년에 옐런이 사용한 방식.

트럼프는 연준이 금리 인하하도록 분위기 조성할 것으로 보이며, 3월 미국 소득세 납부시작되면 4월중에 TGA 계좌에 돈이 들어올 것을 예상하고 트럼프는 시중에 돈을 풀 생각인 것 .

미국 연준이 보유한 금의 서류상 자산가격이 1KG에 44달러인데, 의회에서 법안을 변경하거나 대통령령으로 시가로 평가해 현재 가격인 2900달러로 변경하면,

다시 서류상 현금이 만들어지며 미국 재무부 TGA 계좌로 유입되게 됩니다.

만일 물가가 상승하는 모습이거나 계속 고물가 상태가 유지되 연준이 금리 인하 할 여건이 안되면, 트럼프는 보유금의 시가평가 방식을 이용할 것으로 보이는 상황.

연준은 서류상으로만 금을 보유하고 있고, 실물은 Fort Knox에 있죠.

간단히 말하면 연준이 서류상 보유한 금을 재평가하면 그 차액만큼 미국 재무부 TGA 계정이 늘어난다는 것.

결국 트럼프는 달러 강세를 용인할 생각이 없는 것이고 온갖 방법을 사용해 돈 풀 구녕을 다 만들어 놀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렇게되면 올해까진 미국증시 엄청난 폭락은 없다는 것이니 S&P500 MA200에 다가가면 좋은 기회가 될 것 같다고 생각하면 될 듯하네요.

오히려 경기 냉각으로 연준이 금리 내리는 케이스가되면 증시가 플런지되고 트럼프는 이걸 이용해서 큰 상승을 만들 수 있습니다.

내년에 선거가 있으니까요.

모기지 금리가 8%나 되서 미국 선민들 칼날이 예사롭지 않은 상황입니다. 바이든 정부가 모기지 금리를 하향 시켰으면 선거는 바뀔수도 있었죠.

미국에서도 TGA계정에서 나온 유동성은 미국시장보단 유럽과 이머징으로 가는 형국으로 추정합니다.

5월 전까지는 마켓을 하방보단 상방으로 추정하는게 좋아 보이네요.
10.02.202501:56
# 엔케리 청산과 일본 금리 인상의 영향

- 일본 기준금리 인상이 엔케리 청산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며, 24년 8월 비슷한 상황이 발행.

- 일본 금리를 선제적으로 조정하는 방식으로 시장 불안을 줄이려하고 있으며, 시장에선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시사.

- 일본과 미국의 금리차이가 줄어들면서 엔화가 강세를 보이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어, 세계 주요 통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미국 연준은 일본 금리 인하와 관련하여 인플레이션과 엔케리 청산을 동시에 주시해야하며, 이는 금리 정책의 신중한 결정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번주 파월의장의 의회 발언을 주목해야한다.

- 한국은행은 외환변동에 관해 대내균형과 대외균형을 동시에 고려하여 금리 동결을 결정했으며 불안정한 환율 상황에서 자본 유출을 방지하려는 의도로 추정.

- 1월 17일 미국 재무장관이 해외 재무장관 첫 대화가 일본 재무장관이었고, 트럼프는 2월 7일에 후미오 총리와 첫 정상회담을 했다.

- 트럼프 정부는 엔케리청산에 크게 우려하고 있으며 일본관 긴밀하게 통화정책을 관리하려고 하고 있다. 관세 프레임은 결국 각국의 통화전쟁을 불러 일으킬 것이므로 첫번째 파트너쉽 강화 전략을 진행하고 있다.

- 일본은 현재 금리 인상 구간이며 향후 시장에 금리 인상에 대한 언급을 지속적으로 오픈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일본이 금리 인상하는 구간에서 미국이 금리 인하를 빨리하면 시장에 변동성을 유발할 수 있기에, 트럼프 관세 정책은 대외 협상을 위한 수단이며 동시에 자국내 소득세 감소 상쇄를 위한 수단이다.

- 트럼프 관세는 엘리베이트 to 디엘리베이트 전략이다.
23.02.202504:36
2월 25일 금리인하 거의 확실.

건설주에 슬슬 봄이 오는구나.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5311935?sid=101
23.02.202509:30
미국 개미들이 나스닥100주식을 올해들어서 너무 많이 매수하고 있는데

레버리지 펀드에 엄청난 돈이 몰리고 있습니다.

펀드매니저들이 현금보유수준이 최저 바닥까지 왔구요.


성층권 오로라장세가 진행되는데 섹터 로테이션만 즐기면서 글로벌 매크로 계속 지켜봐야겠죠.

2008년 금융쇼크 나오기 전에 08년 상반기에 종목장세가 엄청 났습니다.


#성층권오로라
Переслал из:
BUYagra avatar
BUYagra
25.02.202501:49
#동진쎄미켐 - 회장님 사망설로 지분 경쟁 구도 가능성이 부각되나 그로인한 주가 플레이는 부담스러울 수 있음

지분율 현황
-동진쎄미켐 아들들 지분율: 이준혁 둘째아들 명부산업 (개인회사) 1.23% 보유 + 와이프 안상희 0.41% vs. 이준규 큰아들 지분율 0.43% 직접보유 + 와이프 옥연수 0.4%

-동진홀딩스, 동진쎄미켐의 지분 32.49% 보유중
-동진홀딩스의 지분율 이부섭회장 55.7% vs. 이준혁 둘째아들 총 36.62% (직접 17.77% + 명부산업 7% + 미세테크 11.59% (미세테크 지분율 52%)) + 안상희(와이프) 0.26% vs. 이준규 첫째아들 직접 3.22% -> 동진홀딩스의 둘째와 첫째의 지분율 차이는 33.4%p

-만약 법적 효력이 없는 동진홀딩스 이부섭 회장님 부인이 50% 상속 받는다는 가정을 하면 지분 27.85%가 큰아들 이준규 우호 지분이 될 수도?
-다만 상속은 단순 홀딩스 지분을 1/n로 나눠서상속하는것이 아니라 전체 자산을 allocation하는것으로 둘째아들의 지분율이 월등히 놓아서 당장 동진쎄미켐의 지분싸움이 있다고 보긴 어려운것 같은데..

🙋‍♀️주가에 대한 의견
-장기적으로 지분 경쟁을 떠나서 회장님 사망으로 인해 보수적이었던 IR 스탠스 등이 바뀐다면 기업 가치는 올라갈 수 있는 여지 있으나 단기적으로는 상속세 이슈로 주가 상승이 우호적이지 않을 수 있어서 단기적인 IR스탠스 변화 부재 가능성

https://t.me/psychotherapy101
Войдите, чтобы разблокировать больше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