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Macquarie의 전략 보고서 「Rights, Wrongs & Returns: Investing in the Revolutionary Maelstrom (2025.4.20)」**의 한글 요약입니다:
**1. 보고서 핵심 인식: 세상은 이제 '제한된 혼란'이 아니라 '구조적 혁명기'에 접어들었다
- 기존 경제, 정치, 사회 질서가 붕괴되고 있으며 단기적인 교란이 아닌 근본적인 체제 전환**이 진행 중이다.
- 이 변화는 **정보화 시대 + 금융화(Fujiwara 효과)**라는 구조적 충돌에서 비롯되며, 이는 노동, 자본, 화폐의 본질적 역할 변화로 이어진다.
**2. 4가지 핵심 전략 아이디어
① Fujiwara 효과: 정보 혁명과 과도한 금융화가 결합되어 사회적 양극화, 지정학적 단절, 산업 붕괴를 초래
② 주기 소멸 + 금융 팽창: 실물 대비 5배 이상 팽창한 '금융의 구름'이 시장 신호 왜곡 및 리스크 확대 유발
③ 모든 산업이 하나로 수렴: 산업 간 경계 붕괴 → 승자 독식 심화
④ 신자유주의 붕괴: 기존 정치·경제·사회 시스템에 대한 합의 소멸 → 새로운 합의 도출까지 장기 혼란 예상
3. 미국은 이제 '질서 수호자' 아닌 '체제 붕괴자'로 전환
- 트럼프 2.0 시대의 미국은 전통적 제도·규제 파괴, 고립주의 강화, 글로벌 공공재 공급 거부**를 통해 세계 질서 교란
- 보호무역 강화 → 전세계 공급망 붕괴 위험 증가
- 미국의 **불확실성 프리미엄 상승 → 글로벌 자산 전반에 리프라이싱 압력 가중
4. 혼란기에서 투자 전략은?
- 안정성·예측 가능성은 환상: 더 이상 ‘안전 자산’은 존재하지 않음
- 주식 투자전략은 ‘종목 선별’ 중심으로: 구조적 성장, 생산성, 리쇼어링 수혜 업종에 집중
- 시장 시그널은 고수익 회사채(HY), 변동성 지표, 유동성 흐름 등에서 확인
5. 주요 리스크 및 시사점
- 정책·무역·지정학 불확실성: GFC, COVID 수준으로 상승
- 소프트 지표 급락: 소비자·기업 신뢰지수 하락, 자산 가격 상승 기대 후퇴
- 자본시장 균열: 그림자 금융, 고위험 채권, 레버리지 시장 중심으로 붕괴 신호 감지
6. 미국 중심 세계체제의 균열과 USD 지위
- USD 지배력은 여전히 강력하나 디지털 통화(CBDC) 및 지역화**가 서서히 위협
- 달러 비중 감소하더라도, **유로·엔화·위안화가 이를 대체하기엔 역부족
- 그러나 글로벌 공공재 공급 거부 지속 시 달러 패권 약화 가능
7. 결론
> "혼돈은 버그가 아니라 핵심 기능이다."
> 기존 체제 붕괴와 새로운 질서로의 이행은 필연적이며, 단기 교란에 흔들리지 말고 구조적 변화를 중심으로 투자 전략을 세워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