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avatar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avatar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24.04.202523:52
안녕하세요? 바이오헬스케어협회입니다.
오늘 11시부터 BioHA 교류회가 열립니다.
많은 참여 바랍니다~!

< Zoom 온라인 참여링크 >

https://us02web.zoom.us/j/81455336335?pwd=QvIbi4ftuhfanQbbWypIWB8XUZgAfV.1

회의 ID: 814 5533 6335
암호: bioha
24.04.202523:19
“바이오 비즈니스에서 라이선스 계약은 ‘타이밍’입니다. 협상도 중요하지만, 딜의 속도가 붙었을 때 ‘빠르게 클로징’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상훈 에이비엘바이오 대표가 어제 저녁 판교 코리아바이오파크에서 열린 ‘혁신신약살롱 판교’에서 강연자로 나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올해 GSK와 4조1000억원 규모의 ‘뇌혈관장벽(BBB) 셔틀’의 기술수출 그리고 지난 2022년 사노피와의 1조4700억원 규모의 파킨슨병 후보물질인 ‘ABL301’의 빅딜까지, 2건의 대형 기술이전 경험을 풀어낸 그의 결론은 명확했습니다.

에이비엘바이오의 두 글로벌 빅파마와의 딜 협상 방식은 극명히 달랐다는 게 이 대표의 설명입니다.

이 대표는 “사노피는 보고서 280개를 요구하는 등 실사를 진행했고, 물질이전계약(MTA)를 체결한 뒤 1차례 기술도입을 거절하는 등 진을 뺐지만, 계약 이후에는 우호적으로 바뀌었다”고 소회했습니다. 반면 GSK는 “올해 1월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처음 악수한 뒤, 정확히 3개월 만에 계약을 마무리했다”고 말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618
से पुनः पोस्ट किया: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avatar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4.04.202522:16
2025.04.25 07:00:28
기업명: 지놈앤컴퍼니(시가총액: 934억)
보고서명: 주요사항보고서(타법인주식및출자증권양수결정)

양수회사 : List Biotherapeutics, Inc.(미국)
주요사업 : 제조업
양수금액 : 271억
자본대비 : 27.32%

거래상대 : 대원제약 주식회사 외 14
양수목적 : 제13회 전환우선주 인수대금의 상계

양수후 지분 : 87.88%
양수 예정일 : 2025-09-05

* 대금지급
1) 지급형태 : (주)지놈앤컴퍼니 신주 발행(제3자배정 유상증자)
- (주)지놈앤컴퍼니 전환우선주 74,829주 지급
2) 대금 지급시기
- (주
)지놈앤컴퍼니 전환우선주 납입일 : 2025년 09월 05일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400059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14130
24.04.202522:07
데일리팜 모닝뉴스 04월 25일(금)
[Web발신]
[데일리팜 모닝뉴스 04월 25일(금)]

[FREE] 내 영업지역 의원ㆍ약국 매출 및 입지를 지도로 검색하는 <데일리팜맵> 모바일 버전 출시.. 대표님! 영업본부와 공유하세요.

※ 데일리팜맵 바로가기
https://dpmap.dailypharm.com

1. "클릭 몇번으로 사후통보 끝"…대체조제 새길 열린다
http://m.dailypharm.com/News/322567

2. "강남 안 부럽네"...광주상무지구 병의원 매출 1억 훌쩍
http://m.dailypharm.com/News/322558

3. 삼바·셀트 연구인력 최다…한미·종근당 석박사 비중 최고
http://m.dailypharm.com/News/322527

4. 베타히스틴 불순물 우려 현실화...4개 업체 회수 명령
http://m.dailypharm.com/News/322556

5. 특례상장 바이오 17곳 중 '목표 실적 달성' 3곳뿐
http://m.dailypharm.com/News/322562

6.
http://m.dailypharm.com/News/322550

※ 안드로이드 어플 다운받기
https://url.kr/5lqs4b

※ 아이폰 어플 다운받기
https://url.kr/tjceud
से पुनः पोस्ट किया:
신한투자증권 제약/바이오 엄민용 avatar
신한투자증권 제약/바이오 엄민용
से पुनः पोस्ट किया:
사제콩이_서상영 avatar
사제콩이_서상영
24.04.202521:23
04/25 미 증시, 무역 협상 진전 및 연준 정책 변화 기대 등으로 강세

미 증시는 개별 기업 실적 발표와 무역 분쟁과 관련된 불안 등으로 보합권 등락을 보이며 출발. 그러나 트럼프가 2~3주내에 국가별 관세율 재조정할 계획이라고 발표하는 등 무역분쟁의 진전 가능성에 본격적인 상승이 진행. 특히 중국과 회의가 진행 중이라고 주장하자 상승 확대. 여기에 해맥 총재와 월러 연준 이사의 발언으로 연준의 통화정책 변화 기대도 긍정적. 반도체 및 대형 기술주가 상승을 주도한 가운데 기업 실적 결과에 따른 종목 차별화도 특징(다우 +1,23%, 나스닥 +2.74%, S&P500 +2.03%, 러셀2000 +2.00%,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5.63%)


*변화요인: 트럼프의 무역 협상, 연준 통화정책 변화 기대

트럼프가 전일 중국산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 면제를 언급한 가운데 오늘은 향후 2~3주 내에 국가별 관세율을 재조정할 계획이라고 발표하자 주식시장의 상승이 진행. 베센트 재무장관도 협상 진전을 위해 미-중 간 고율 관세가 철회되어야 한다고 주장. 특히 트럼프가 장 중 기자들과의 질의 응답에서 중국 무역 회담에 대한 질문에 “누구인지 중요하지 않지만, 아침에 중국과 회의가 있었다”라고 답변해 미-중 협상이 진행 중임을 시사. 협상이 없었다는 중국 정부와 다른 이야기지만 시장은 긍정적인 영향 속 주식시장 상승, 국채 금리 하락 확대

한편, 기업들이 실적 발표에서 견조한 실적 발표 등에도 불구하고 관세로 인한 비용 증가 등으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주장. 월러 연준 이사도 “관세로 기업들의 심리가 얼어 붙어 있다” 라고 언급. 전일 서비스업 PMI가 둔화되고 오늘 발표된 기존 주택 판매건수가 연율 426만 건에서 402만 건으로, 시카고 연은 국가활동지수도 +0.18에서 -0.03으로 전환하는 등 경기 둔화도 진행. 대체로 관세로 인한 불안과 경기 둔화가 진행. 그러나 ‘협상의 시기’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은 시장 심리에 우호적

이런 가운데 해맥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가 여러 데이터를 통해 5월 FOMC에서 금리 조정을 고려하기에는 이르지만, 경제 상황이 명확할 경우 6월에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주장. 월러 연준 이사도 금리 인하 조건으로 실업률 수준 보다는 급격한 변화를 중시한다고 언급. 더불어 높은 관세가 7월 이후 유지 시 고용이 빠르게 악화될 것이라고 주장. 최근 파월 연준 의장도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을 언급한 가운데 고용시장을 더 집중하고 있다고 언급해 대체로 연준 위원들은 물가보다는 고용 지표에 더 주목하고 있음을 보여줌. 연준 위원들의 발언으로 완화적인 통화 정책 변화 기대되자 주식시장 상승과 금리 하락, 달러 약세가 진행
से पुनः पोस्ट किया:
신한투자증권 제약/바이오 엄민용 avatar
신한투자증권 제약/바이오 엄민용
24.04.202522:55
2025.04.25(금)
머크 입장: 이 소송은 법적 근거가 없으며 ‘무의미한 소송’ 일축, 특허적으로 출시 일정 변동 없고 강력 대응
https://firstwordpharma.com/story/5952473

할로자임, 머크의 키트루다SC에 관련한 특허 침해 소송 제기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halozyme-sues-merck-for-patent-infringement-over-subcutaneous-keytruda-formulation-302437331.html

관세 불확실성이 빅파마 1분기 실적에 영향, 머크는 관세로 인한 피해 2억 달러로 추산
https://www.biospace.com/business/tariff-uncertainty-reigns-over-q1-earnings-with-merck-taking-200m-blow-so-far

HK이노엔, '케이캡' 美3상 "1·2차 종결점 모두 도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927

사노피의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치료제 듀피젠트, CSU 승인 및 유천포창 승인 기대에 더해 1분기 매출 전년 대비 20% 상승
https://www.fiercepharma.com/pharma/sanofi-and-regenerons-dupixent-course-inflection-year-copd

로슈, Phesgo·Vabysmo 등의 매출 성장으로 1분기 매출 7% 증가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roche-says-q1-sales-up-7-confirms-guidance-2025-04-24/

머크, 의약품 가격의 미국-국제 가격 격차 해소를 위해 트럼프 행정부와 협력할 수 있음
https://www.fiercepharma.com/pharma/merck-willing-work-trump-administration-price-gap-between-us-international-medicines

사노피 릴자브루티닙,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에서도 '성과'
https://www.newsmp.com/news/articleView.html?idxno=246357

사노피의 경구형 TNF 억제제 발리나툰힙, 건선 환자 대상 임상 2상에서 목표 미달
https://www.fiercebiotech.com/biotech/sanofis-oral-tnf-inhibitor-misses-mark-phase-2-psoriasis-trial-prompting-focus-combos

질랜드 파마, 2형 당뇨병 환자 대상 비만 치료제 후보물질 페트렐린타이드 중간 단계 임상 시작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zealand-pharma-begins-mid-stage-trial-obesity-drug-candidate-people-with-type-2-2025-04-24/

셀트리온 "짐펜트라, 크론병·궤양성 대장염 약 2년 장기 투여 처방 근거 확보"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576

BMS 코벤티, 조현병 3상 임상 실패에도 불구하고 7차 임상 시작 계획
https://www.fiercepharma.com/pharma/bms-shrugs-cobenfys-phase-3-schizophrenia-hit-it-steers-towards-alzheimers-psychosis-data

[어제 주요 뉴스]
미국 의약품 전문가, 공급망 회복력 없는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관세 인상이 '모두에게 역효과'임을 경고
https://www.fiercepharma.com/manufacturing/tariff-hits-generic-drugs-could-blow-back-everybody-says-usp-chief-call-increased

[단독] 인벤티지랩, '세계 최초' 릴리·노보도 못한 '7일 지속' 해냈다…'먹는 비만약 핵심' 흡수율 70배↑
https://www.newsprime.co.kr/news/article/?no=685352

에이비엘바이오 파트너 美컴퍼스, '담도암 1차 치료' 연구자 임상 첫 환자 투여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535

中 아스클레티스, 먹는 GLP-1 ‘ASC30’, 美 임상1b상서 체중 최대 9.1%↓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551

SK바이오사이언스, '모더나 mRNA 특허 소송' 최종 승소…"백신 주권 확보 '탄력'"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547

‘4공장에 환율까지 겹경사’ 삼성바이오로직스, 1Q 실적 역대 ‘최대’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552

Akeso의 이보네시맙,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를 위한 임상 3상에서 PFS 1차 충족점 달성
https://www.fiercepharma.com/pharma/new-trial-akesos-ivonescimab-shows-success-vs-keytruda-no-fluke

로슈 제넨틱, 자가면역질환 플랫폼 기업인 Repertorie와 최대 7억 6,500만 달러 약물 개발 계약
https://www.fiercebiotech.com/biotech/roches-genentech-builds-autoimmune-repertoire-deal-worth-765m

사노피, Innate와 계약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 대상 NK 세포 치료제 반환 결정
https://www.fiercebiotech.com/biotech/sanofi-hands-back-cancer-nk-cell-engager-innate-pivots-another-autoimmune

스위스 ADC 바이오텍 Veraxa, SPAC으로 나스닥 상장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veraxa-biotech-merge-with-spac-voyager-164-billion-deal-2025-04-23/

덩치 키우는 오름테라퓨틱, R&D·경영지원 인력 늘렸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504210946522920108937&lcode=00&page=5&svccode=00
से पुनः पोस्ट किया:
미래에셋 제약/바이오 김승민 avatar
미래에셋 제약/바이오 김승민
24.04.202522:16
[미래에셋 제약/바이오 김승민·조세은]
4/25 Daily


https://t.me/bioksm

<미국/유럽>
Merck(MRK.US): 1Q25 매출액 $15.5bn(+1% YoY on CER) 및 Non-GAAP EPS $2.22(+7% YoY) 기록. Keytruda 및 Winrevair의 성장으로 Gardasil 중국 감소를 일부 상쇄. 연간 가이던스 Non-GAAP EPS $8.88~9.03에서 $8.82~8.97로 업데이트.
https://han.gl/Zx5ib

▶ Halozyme, Merck가 Keytruda SC를 알테오젠 기술로 개발하는 과정에서 자사 특허 15건을 침해했다고 주장하며 소송 제기. Halozyme은 고의적 침해에 따른 상업화 금지 명령과 함께 손해배상을 청구. 한편, Keytruda SC는 FDA 우선심사 중(PDUFA 9/23).
https://han.gl/UMonq

Gilead(GILD.US): 1Q25 매출액 $6.7bn(flat YoY) 및 Non-GAAP EPS $1.81(흑전 YoY) 기록하며 매출 컨센서스($6.8bn) 하회. HIV 및 간질환 치료제 매출 증가와 비용 절감으로 암 치료제(Trodelvy) 부진을 상쇄. 연간 가이던스(Non-GAAP EPS $7.70~8.10) 유지.
https://han.gl/12MwZ

Roche(ROG.SW): 1Q25 매출액 CHF 15.4bn(+6% YoY on CER)으로, 제약부문 CHF 11.9bn(+8% YoY) 및 진단부문 CHF 3.5bn(flat YoY) 기록. 연간 가이던스(매출 +mid single digit 및 Core EPS +high single digit) 유지.
https://han.gl/lBxai

▶ Roche, 미국으로 수출하는 제품에 대한 관세 면제를 받기 위해 트럼프 행정부와 직접 협상 중이라고 밝혔음. 미국향 수출 제품과 동일한 규모의 의약품 및 진단제품을 미국 내에서 생산해 역수출하고 있다는 점에 근거함.
https://han.gl/nsltP

Sanofi(SNY.US): 1Q25 매출액 €9.9bn(+9.7% YoY on CER) 및 Business EPS €1.79(+15.7% YoY) 기록. 실적 견인 요인은 Dupixent €3.5bn(+20.3% YoY)와 신규 제품 €0.8bn(+43.8%). 연간 가이던스(EPS +low double digit) 유지.
https://han.gl/O4MTa

▶ Sanofi, 경구용 TNF 억제제 balinatunfib이 건선 임상2상에서 유의미한 효능을 입증하지 못하면서 단독요법 개발 중단을 발표. 추후 류마티스 관절염(RA), 염증성장질환(IBD) 등 병용 치료 적응증에 주력할 계획. 2H25 RA 임상2상 결과 발표 예정.
https://han.gl/P3NVY

▶ 소식통에 따르면, Merck KGaA가 미국의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사 SpringWorks를 약 $3.5bn에 인수할 예정이며 이르면 다음주 거래가 완료될 수 있음. SpringWorks는 Ogsiveo, Geomekli 등을 주요 파이프라인으로 보유.
https://han.gl/XONQQ

▶ Thermo Fisher, 미국 내 제조 및 R&D 기반 확장을 위해 4년간 $2bn 추가 투자 계획 발표. 전체 투자 중 75%는 제조 설비 확충, 25%는 R&D 강화에 사용할 계획. 현재 미국 전역에 걸쳐 64개 시설 보유 중.
https://han.gl/CEAkl

<한국>
셀트리온(068270.KS): 셀트리온, 짐펜트라 글로벌 3상 102주 연장 연구 결과 발표
https://han.gl/DrPpA

▶ 인벤티지랩, 경쟁사 대비 흡수율 73배 높인 경구용 비만약 전임상 결과 공개
https://han.gl/vrHx9

▶ 美 '4조' 식도염약 시장 정조준…HK이노엔, 케이캡 3상 성공
https://han.gl/SUDR9

▶ 에이비엘바이오, 이중항체 면역항암제 1b·2상 임상시험계획 승인
https://han.gl/MIAoK

▶ 롯데바이오, 아시아 바이오 기업과 ADC 임상 후보물질 생산계약
https://han.gl/4C223
से पुनः पोस्ट किया:
시장 이야기 by 제이슨 avatar
시장 이야기 by 제이슨
से पुनः पोस्ट किया:
신한투자증권 제약/바이오 엄민용 avatar
신한투자증권 제약/바이오 엄민용
24.04.202521:23
할로자임과 머크의 PGR(특허무효심판청구)이 진행 여부가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소송이 제기되었습니다.

중요한 것은 할로자임은 머크 키트루다SC에 소송을 걸게 아니라 알테오젠 ALT-B4 자체에 특허 침해 소송을 하면 그만입니다. 직접 부딛히지 않고 한 발 뒤로 빼고 있는 이유가 있겠죠.

Enhanze특허는 알테오젠과 소송해봤자 100% 질 것이 뻔하기 때문입니다. 본인들 원천특허인 Enhanze특허침해가 아니라 MDASE를 침해했다고 하는 것도 웃긴 일입니다.

할로자임은 주주들의 요청에 의해 어쩔수없이 최종 발악 중이라고 보입니다. 이미 머크, 다이이찌산쿄 그리고 지난달 아스트라제네카 신규 계약으로 특허 이슈가 없다는 것이 증명된 상태입니다.

None of the MDASE patent rights which Halozyme is seeking to enforce in this suit relate to the Company's ENHANZE® licensing program. The MDASE patents are not licensed to any of Halozyme's licensees. Therefore, the outcome of this dispute will not impact ENHANZE®, the ability of any licensee to use ENHANZE®, or revenues Halozyme receives from ENHANZE® licensees.

MDASE로는 실질적 발명이 존재하지 않아 침해 자체도 불가능합니다. 위 문장을 보면 할로자임 스스로가 Enhanze 특허로 개발한 SC제품들과 MDASE 특허는 전혀 무관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말인즉슨 MDASE로는 제품 개발 이력이 없고 Enhanze의 후속특허도 아니란 뜻이고… 결국 뭔가 만들어본 적이 없으므로 ‘실질적’ 발명으로 인정되지 못한단 뜻입니다.

MDASE는 페이퍼로만 존재하는 특허라는 것을 스스로 고백하는 모순을 일으키고 있죠.

최근 할로자임은 PGR 중인 MDASE 특허의 activity(활성도)와 관련해 disclaim(청구항 삭제)를 해 스스로 계속 특허 범위를 ‘축소’시키고 있습니다.

특허가 억지였음을 스스로 인정 중입니다. 그에따라 주가 또한 지속 하락 중입니다.

참고 부탁 드립니다.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halozyme-sues-merck-for-patent-infringement-over-subcutaneous-keytruda-formulation-302437331.html
24.04.202521:22
안녕하세요, 주주 여러분

알테오젠입니다.

 

미국 시간 4월 24일, Halozyme이 당사 파트너인 MSD를 상대로 특허 소송을 제기했다고 공지하였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당사의 입장을 안내하고자 합니다.

잘 아시는 바와 같이, MSD는 Halozyme의 Mdase 관련 특허 10건에 대해 작년 11월부터 이번 달까지 PGR(Post-Grant Review, 특허 무효 심사)을 제기한 상태입니다.

현재 Halozyme이 제출한 소장의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으나, 공개된 정보와 그간의 경과로 볼 때 PGR에 제기된 특허들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미 다양한 방식으로 Mdase 특허에 대한 광범위한 분석을 완료하였으며, 이 내용은 MSD가 PGR을 제기하며 주장한 내용과 상당 부분 일치합니다. 이에 따라 Halozyme의 Mdase 특허는 무효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가 여러 차례 밝혀온 바와 같이 ALT-B4와 Mdase는 특허적으로 명확히 구분되는 별개의 물질이라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지난 3월 WSJ 보도 이후에도 당사는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와의 파트너십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변동 사항이 있을 경우 신속하게 안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www.alteogen.com/ir_1/
24.04.202523:25
브리스톨마이어스스퀴브(BMS)는 올 1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6% 감소한 112억100만달러(약 16조533억원)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BMS에 따르면, 이번 매출 감소는 ‘레블리미드(Revlimid, 성분 레날리도마이드)’와 ‘포말리스트(Pomalyst, 성분 포말리도마이드)’, ‘스프라이셀(Sprycel, 성분 다사티닙)’, ‘아브락산(Abraxane, 성분 파클리탁셀)’ 등 기존 제품들의 제네릭(복제약) 경쟁 여파와 미국 ‘메디케어 파트 D’ 구조 개편 등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들 치료제는 전년 동기 대비 20% 하락한 56억달러(약 8조259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다만 일부 제품의 매출 감소에도 △면역항암제인 ‘옵디보(Opdivo, 성분 니볼루맙)’ △키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CAR-T) 치료제인 ‘브레얀지(Breyanzi, 성분 리소캅타진 마라류셀)’ △빈혈 치료제 ‘레블로질(Reblozyl, 성분 루스파터셉트)’ △심부전 치료제 ‘캄지오스(Camzyos, 성분 마바캄텐)’ 등 성장 포트폴리오 제품군은 성과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다. 이들 제품군은 56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 증가했습니다.

특히 성장 포트폴리오 제품군 중 가장 많은 매출을 기록한 치료제는 ‘옵디보’로, 전년 동기 대비 9% 늘어난 총 22억6500만달러(약 3조2471억원)의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617
से पुनः पोस्ट किया:
허혜민의 제약/바이오 소식통 avatar
허혜민의 제약/바이오 소식통
24.04.202522:48
로슈 CEO, 관세로 인해 제약사 M&A가 더 어려워 질 것이라고 언급

Tariffs will make financial case for pharma M&A 'more difficult,' says Roche CEO

https://www.fiercebiotech.com/biotech/tariffs-will-make-financial-case-pharma-ma-more-difficult-says-roche-ceo

지난 3/27일 발간 자료 참고
से पुनः पोस्ट किया:
바이오스펙테이터 avatar
바이오스펙테이터
24.04.202522:16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4/24, THU) #전체기사

▶ 비아이케이, TOP1 기반 '인테그린 PDC' AACR서 "공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907

▶ HK이노엔, '케이캡' 美3상 "1·2차 종결점 모두 도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927

▶ 로슈, 美생산·R&D에 500억弗 투자.."비만 등 新시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917

▶ 루닛, 日NCCE와 'AI' 엔허투 효능 등 “ASCO 12건 발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928

▶ 셀트리온, '짐펜트라' 3상 102주 연장연구 "논문 게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926

▶ 서밋, 'PD-1xVEGF' 폐암 中3상 "PD-1 또 이겨"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931

▶ 롯데바이오로직스, 아시아 기업과 "ADC 생산계약"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933

▶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934

▶ 中 'IGF1R 이중항체' L/I 美스타트업 "안과질환 타깃"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887

▶ HLB제약, 의약품유통 '신화어드밴스' 100% 자회사 편입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935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4/24, THU) #전체기사
से पुनः पोस्ट किया:
미래에셋증권 매크로/시황 김석환 avatar
미래에셋증권 매크로/시황 김석환
24.04.202521:55
(4/25) AI 데일리 글로벌 마켓 브리핑
알파벳과 무역갈등 완화, 나스닥 상승 견인

# Key Takeaways
- 주요 지수 상승: 나스닥 +2.7%, S&P500 +2.0%
- 구글 실적 예상치 상회, 광고 매출 성장 주도
- 미중 무역 갈등 완화 기대, 시장 투자 심리 개선

# Summary
미국 증시는 강세로 마감함. 나스닥 지수는 2.74% 상승해 대형 기술주의 매수에 힘입어 17,166.04 포인트에 거래를 마감함. S&P 500 지수는 2.03% 올라 5,484.77 포인트에,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1.23% 상승한 40,093.40 포인트에 각각 장을 마쳤으며, 중소형주 중심의 러셀2000 지수도 2.0% 오른 1,957.59 포인트에 마감함.
대형 기술주들의 상승은 미중 무역갈등 완화 기대감과 구글 모회사 알파벳의 1분기 실적 발표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한 영향으로 보임. 구글은 광고 사업의 안정적인 성장이 클라우드 부문의 성장 둔화를 상쇄하고 있으며, 시장 평균 예상치를 넘는 실적을 기록함. 클라우드 매출은 전년 대비 28% 증가했지만 성장세가 둔화되었음. AI 기술에 대한 투자도 언급되며 자사주 매입 계획을 발표, 주가 상승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
한편, 미국의 초기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전주 대비 6,000건 증가한 222,000건을 기록했으며, 내구재 주문은 9.2% 증가하여 상당한 상승폭을 보임. 이는 항공기 수주량 급증에 따른 결과로 보임. 시장에서는 미중 무역 협상이 진전될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사흘 연속 증시 상승을 이끌고 있으며, 경제 전반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하나 투자 심리는 개선되고 있음. (다우 +1.23%, 나스닥 +2.74%, S&P500 +2.03%, 러셀2000 +2.00%)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50425064743270_3533

# 특징종목
애플 (+1.8%)은 긍정적인 아이폰 수요 전망과 새로운 아이폰 모델에 대한 높은 기대감이 주가 상승을 이끌었음. 여기에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면제 조치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가 강조되면서 더 큰 상승을 보였음. 알파벳 (+2.4%/시간 외 +4.5%)은 예상보다 높은 실적 발표와 광고 시장의 성장으로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았으며, 로봇택시 사업 Waymo의 긍정적인 전망이 추가적인 상승 요인으로 작용함. 아마존 (+3.3%)은 시장 점유율 확대와 새로운 사업 부문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었으며, 근무 정책 변화에도 주가는 오름세를 기록함. 마이크로소프트 (+3.5%)는 새로운 AI 모델 출시와 AI 에이전트 강화 전망으로 매출 성장이 기대되어 주가가 상승함. 엔비디아 (+3.6%)는 소프트웨어 플랫폼 발표와 반도체 시장의 긍정적 흐름이 주가를 견인했으며, 트럼프 전 대통령의 중국 관세 인하 가능성이 반영됨. 테슬라 (+3.5%)는 일론 머스크의 집중 선언과 저가형 전기차 모델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가 큰 반등을 보임. 서비스나우 (+15.5%)는 AI 수요 증가로 1분기 실적 초과 발표 후 급등했으며, 해즈브로 (+14.6%)는 강력한 실적 발표 덕분에 높은 상승률을 기록함. 유나이티드 렌털스 (+9.9%)는 뛰어난 1분기 실적과 주식 매입 계획으로 상승함.

반면, 프록터앤갬블(+3.7%)은 소비자 상품의 가격 인상을 발표하면서 주가가 상승함. 이는 원자재 비용의 상승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전략이 소비자 시장에서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진 결과임. 펩시코(-4.9%)는 분기 실적이 애널리스트의 기대치를 밑돌고, 관세 부담과 소비자 지출 둔화로 인해 매출이 부진하며 주가가 하락함. IBM(-7%)은 정부 계약 취소 및 비용 절감 조치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받으며 주가가 큰 폭으로 떨어졌음. 투자가들은 기술 영업 환경의 불확실성에 대해 우려를 나타내고 있음. 유니온퍼시픽(-2%)은 연료비 증가와 비즈니스 믹스의 변화로 인해 실적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며 주가 하락을 초래함.

# 채권, 외환 및 상품 동향(6시 10분, KST 기준)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4.33%로 소폭 하락했음. 이는 미-중 무역전쟁에 대한 우려와 경제전망의 불확실성이 투자자들의 심리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임. 주 초반 발표된 긍정적인 비즈니스 지출 지표에도 불구하고, 정책 불확실성은 여전히 비즈니스 투자를 저해하고 있는 상황임. 한국의 10년물 채권 금리는 2.62%로 마감하며 약간의 상승을 기록했음. 외환시장에서는 달러인덱스(DXY)가 99.38로 0.47% 하락하며 지난 세션의 반등을 상쇄했음. 이는 미-중 무역 논의에 대한 회의론이 형성됨에 따라 달러의 강세를 억제하고 있는 상황임. EUR/USD는 1.14로 0.64% 상승하며 유로화 강세를 보였음. 상품시장에서는 금이 1.01% 상승하여 3349.7달러로 거래를 마감, 안전자산 선호가 이어지고 있음. WTI로 알려진 원유는 하루 동안 0.8% 상승했지만 여전히 주간 낙폭을 유지하고 있음. 커피는 일일 5.03% 급등해 405.43달러로 거래됨. 이는 최근 상품 시장에서의 가격 변동성이 커진 상황을 반영한 것임. 한편, 비트코인은 93610.0으로 0.01% 소폭 상승했으며 주간 기준으로는 10.25%의 큰 상승을 보였음. 이는 디지털 자산에 대한 투자 관심이 계속되고 있음을 나타냄.

* 본 조사분석자료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사용하여 생성되었으며, 금융투자분석사의 감수를 받았습니다. 본 자료 마지막에 안내된 중요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से पुनः पोस्ट किया:
사제콩이_서상영 avatar
사제콩이_서상영
24.04.202521:23
*한국 증시 관련 수치: 반도체 업종 강세와 구글 영향 Vs. 인텔 영향

MSCI 한국 증시 ETF는 0.63% 상승한 가운데 MSCI 신흥지수 ETF는 1.16% 강세.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5.63% 급등하고 러셀2000지수는 2.00%, 다우 운송지수도 1.87% 상승. KOSPI 야간 선물은 1.30% 상승. 전일 서울 환시에서 달러/원 환율은 1,435.00원을 기록한 가운데 야간 시장에서는 1,432.80원으로 마감.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428.00원을 기록.


*FICC: 국채 금리, 해맥 발언, 무역협상 진전 등으로 크게 하락

국제유가는 OPEC+의 생산량 증가 보도에 전일 크게 하락 후 오늘은 안정. 물론, 트럼프의 심해저 채굴 산업 발전을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할 예정 소식, 석유 및 가스 프로젝트의 승인 기간을 최대 28일로 단축된다는 점에 상승은 제한. 향후 생산량 증가 우려 등에 하락 요인이기 때문. 미국 천연가스는 지난 주 천연가스 재고가 예상보다 많이 증가했다는 점에 3달러 하회. 유럽 천연가스도 하락.

달러화는 부진한 경제지표, 연준 위원들의 금리인하 기대 높이는 발언 등으로 여타 환율에 대해 약세. 물론, 트럼프의 무역 협상 진전 소식과 ECB 위원의 발언으로 약세가 축소되기는 했지만, 연준 위원들의 발언에 더 주목하는 경향. 유로화는 ECB 렌 위원이 추가 금리 인하는 불가피하며 대폭 인하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며 경기에 대한 불안을 언급하며 강세가 축소되기는 했지만, 여전히 강세는 진행. 역외 위안화는 보합권을 보인 가운데 멕시코 페소, 브라질 헤알 등은 달러 대비 강세

국채 금리는 부진한 경제지표로 인한 경기 둔화 우려가 확대된 가운데 미국의 무역 협상 진전 기대를 반영하며 하락. 더불어 해맥 총리가 6월 금리인하를 언급하는 등 연준의 정책 변화 기대가 높아진 점도 영향. 여기에 장중 나온 트럼프의 중국과의 회의 언급 후 하락 확대. 7년물 국채 입찰에서 응찰률은 12개월 평균인 2.58배를 소폭 하회한 2.55배, 간접입찰은 70.0%에서 59.3%로 둔화됐지만, 영향은 제한

금은 달러 약세 및 금리 하락 영향으로 상승. 무역협상 진전 기대가 높아졌지만, 여전히 불확실한 점도 부담. 구리 및 비철금속은 달러 약세에 상승 출발 후 미-중 무역 협상 진전기대를 반영하며 상승 확대. 특히 LME 시장에서 재고가 크게 감소한 아연의 상승이 컸음. 농작물은 대두가 일본이 무역 협상을 통해 미국산 대두 수입량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보도에 상승. 밀은 달러 약세에 기대 강세. 옥수수도 수출 데이터를 통해 견조하지만 전반적으로 부진했다는 소식에도 상승.
24.04.202523:19
MSD(미국 머크)는 면역항암제 ‘키트루다(Keytruda, 성분 펨브롤리주맙)’의 피하주사(SC) 제형이 향후 항암 치료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MSD는 한국시간으로 어제 밤, 투자자 대상 컨퍼런스콜에서 올 1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키트루다SC 제형이 임상3상에서 기존 정맥주사(IV) 제형과 비교해 비열등한 약물동태학(PK)과 동등한 유효성·안전성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조기 병기(Early-stage) 암 치료에서의 적용 가능성이 커, 특허 만료 이후 전략 중 하나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MSD는 현재 해당 제형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허가 심사를 받고 있으며, 처방약 사용자 수수료법(PDUFA)에 따른 심사 결과 발표는 오는 9월 23일로 예정돼 있다. 유럽의약품청(EMA)도 심사에 착수한 상태이며, ‘3주 간격’으로 투여 가능한 제형에 대해서도 별도의 임상 결과를 준비 중이다.

딘 리(Dean Y. Li) 머크연구소(Merck Research Laboratories) 대표는 키트루다SC 제형에 대해 “6주·3주 간격 제형 모두 허가를 추진 중”이라며 “SC 제형이 승인되면 피하주사 제형의 펨브롤리주맙은 조기 병기 암환자에게 특히 중요한 치료옵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는 키트루다가 해당 영역에서 이미 폭넓은 승인을 받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더욱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MSD는 올해 1분기 155억달러(약 22조20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환율 영향과 중국에서의 ‘가다실(Gardasil)’ 매출 감소를 제외하면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한 수치입니다. 특히 키트루다는 고정환율 기준으로 전년 대비 6% 늘어난 72억달러(약 10조30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키트루다SC, 6주·3주 간격 제형 모두 허가 추진 중”…환자 편의성·의료 효율성 개선
-키트루다 성장세 속 ‘윈레브에어’·‘웰리레그’ 등 신약도 호조
-“20개 이상 후기 단계 신약 후보물질 보유…2030년대 중반까지 연 500억달러 매출 목표”
-백신·HIV·항암 등 주요 분야서 성과…美 제조에 12조원 추가 투자, R&D·M&A 보강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619
24.04.202522:30
[HK이노엔(TP 65,000원 상향, Buy 유지)] 이제는 US-CAP으로

■요약

Sebela Pharma 미국 케이캡 3상 성공 발표. 연중 미국 케이캡 데이터 학회 발표 및 FDA 승인 신청, 유럽 L/O 기대감 유효

▶ 기다리던 신약 성과 확인, 2025년 핵심 포인트(미국, 유럽)

현지시간 4월 23일 파트너사 Sebela Pharma(비상장)는 미국 케이캡 3상(미란성, 비미란성) 성공 발표. 케이캡 원개발사인 동사는 전일 주가 30% 상승. 향후 소화기학회(DDW, ACG 추정) 발표 및 4Q25에 FDA 신약 허가 신청 예정

[미국 케이캡] 케이캡 미국 출시(4Q26 예상) 후 ’30년 피크 매출 약 7억달러 추정(vs Voquezna 12억달러). 향후 미국 P-CAB 시장은 Voquezna와 케이캡만의 경쟁, 다른 P-CAB은 제네릭 경쟁 타임라인 고려 시 진입 사실상 불가

[유럽 케이캡] 올해 케이캡 유럽 L/O 성과 기대. 경쟁사 Phathom 역시 유럽 L/O 추진 중이나, 특허 기간 및 비미란성 데이터 고려 시 케이캡이 1순위 옵션

▶ 미국 케이캡 3상 성공: 신약과 영업가치 동반 상승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65,000원으로 18% 상향. Sebela 3상 성공으로 미국 케이캡(0.4조원 →0.6조원)와 영업가치(1.3조원 → 1.5조원) 모두 상향

①미국 케이캡 가치: Phathom 現시총 0.4조원 상회 합당. Phathom은 ’27년 흑전 예상, ’30년 특허 만료 시 투자금 회수 기간 3년. 6월 시민 청원 결과 주목

② 영업가치: 타깃 EV/EBITDA 상향(9배 → 10.2배). ETC 아쉬운 성과에 타깃 멀티플 디스카운트 해왔음. 다만, 글로벌 임상 성과로 중형 제약사 수준 정상화

▶ 보고서 링크 : https://m.nhqv.com/c/36kir

■ [NH/한승연, CFA(제약/바이오), 02-768-7802]
से पुनः पोस्ट किया:
신한투자증권 제약/바이오 엄민용 avatar
신한투자증권 제약/바이오 엄민용
알테오젠 파트너사들 또한 이상무
से पुनः पोस्ट किया:
미래에셋증권 매크로/시황 김석환 avatar
미래에셋증권 매크로/시황 김석환
24.04.202521:55
(4/25) Global Market Snapshot

◆ 미국 증시
- DOW: 40,093.40p (+486.83p, +1.23%)
- S&P500: 5,484.77p (+108.91p, +2.03%)
- NASDAQ: 17,166.04p (+457.99p, +2.74%)
- 러셀2000: 1,957.59p (+38.45p, +2.00%)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55.95 (+0.35, +0.63%)
- MSCI 이머징지수 ETF: $43.53 (+0.50, +1.16%)
- Eurex kospi 200: 337.85p (+4.35p, +1.30%)
- NDF 환율(1개월물): 1,427.50원 / 전일 대비 6원 하락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4,208.19 (+224.27, +5.63%)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99.285 (-0.559, -0.56%)
- 유로/달러: 1.1389 (-0.0001, -0.01%)
- 달러/엔: 142.69 (+0.06, -0.04%)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3.7971% (-7.4bp)
- 10년물: 4.3149% (-6.6bp)
- 30년물: 4.7758% (-4.7bp)
- 10Y-2Y: 51.78bp (0.75bp 확대)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62.79 (+0.52, +0.84%)
- 브렌트유: 66.55 (+0.38, +0.57%)
- 금: 3,348.60 (+54.50, +1.65%)
- 은: 33.82 (-0.04, -0.12%)
- 구리: 491.05 (+1.55, +0.32%)
- 옥수수: 484.00 (+4.75, +0.99%)
- 밀: 544.50 (+1.00, +0.18%)
- 대두: 1,062.00 (+11.75, +1.12%)
से पुनः पोस्ट किया:
사제콩이_서상영 avatar
사제콩이_서상영
24.04.202521:23
*특징 종목: 시간 외 구글 상승 Vs. 인텔 하락

엔비디아(+3.62%)는 아마존과 엔비디아 임원들이 AI로 인해 전력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고 언급한 가운데 아마존 글로벌 데이터 센터 부사장인 케빈 밀로가 데이터 센터 계획은 크게 바뀌지 않았다고 주장하자 상승. 최근 아마존의 지출 축소 보도가 나왔었기 때문. 무역 협상 기대와 개별 기업들의 실적도 긍정적. 브로드컴(+6.35%), AMD(+4.51%), TSMC(+4.04%), 마이크론(+6.16%)등도 상승. 램리서치(+6.25%)는 예상보다 양호한 실적과 가이던스 발표로 상승. 텍사트 인스트루먼트(+6.56%)는 예상보다 크게 개선된 실적 발표를 기반으로 급등. 온 세미(+9.12%), NXP 세미(+7.02%)도 상승.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5.63% 상승. 인텔(+4.37%)은 구조조정 발표한 가운데 예상을 상회한 실적에도 전망은 하회하자 시간 외 6% 넘게 하락 중. 이에 반도체 기업들 시간 외 소폭 하락

테슬라(+3.50%)는 로보택시 출시 일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는 소식과 함께 미국의 무역 협상 진전 기대 등을 반영하며 상승. 특히 트럼프가 중국 수입 품목에 대한 관세 인하 보도등도 투자 심리에 우호적. 물론, 일부는 여전히 테슬라의 과대 광고에 속지 말아야 한다고 언급하는 등 부정적인 부분도 이어가고 있지만, 시장 강세에 테슬라도 상승 확대. GM(+2.27%), 포드(+2.86%)등은 중국산 일부 부품 관세 면제 발표에 힘입어 상승. 자동차 부품 회사인 오리얼리 오토모티브(-2.05%)는 부진한 실적 발표 여파로 하락. 오토존(-1.16%)도 동반 하락. 트랙터 서플라이(-3.41%)는 매출 부진으로 하락.

MS(+3.45%)는 최근 CPU에서 구동할 수 있고 적은 메모리 사용하는 새로운 ‘1비트' AI 모델을 공개.훨씬 더 많은 메모리를 사용하는 동급 AI 모델의 성능과 맞먹는 등 효율성이 특징. 이를 통해 적극적인 서비스 확대를 기대하자 상승. 애플(+1.84%)은 BOA가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한 데 이어 EU로부터 기술 규정 위반으로 벌금 부과에도 인도 아이폰 생산량이 10% 증가할 것이라는 소식 등에 상승. 아마존(+3.29%)은 인도와의 무역협상에서 미국이 아마존을 위해 개방 압력을 가하고 있다는 소식에 상승. 메타(+2.48%)는 EU의 기술 규정 위반에 따른 벌금 부과에도 상승. 알파벳(+2.38%)은 실적 발표에서 클라우드 매출이 예상보다 부진했지만, 여타 실적은 예상을 상회한 결과를 내놓은 가운데 700억 달러 자사주 매입 증액, 배당 증액을 발표하자 시간 외 4% 내외 상승. 메타, 아마존 등도 상승 중

서비스나우(+15.49%)는 예상보다 양호한 실적 등을 바탕으로 상승. 팔란티어(+6.90%)는 구글과의 협력 소식이 전일에 이어 오늘도 상승 지속 요인. 소프트웨어 관련 기업들이 호재성 재료를 바탕으로 강세를 확대하자 세일즈포스(+5.68%), 오라클(+4.65%)등도 동반 상승. 시놉시스(+3.95%)는 최근 TSMC와의 협업 소식에 강세를 보인데 이어 오늘도 상승 지속. 클라우드 스트라이크(+7.34%)는 Wipro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차세대 보안 운영을 제공한다고 발표하자 상승. 팔로알토(+4.59%), 클라우드 플레어(+5.38%)등도 동반 상승.

아이온큐(+5.93%)는 지난 주 한국 SK텔레콤과 양자 사업 협력을 논의한 가운데 전일 도요타 Tsusho와 일본 시장 진출 파트너십 체결 소식을 반영하며 상승. 리게티컴퓨팅(+2.09%), D-웨이브 퀀텀(+3.09%)등 여타 양자 컴퓨터 관련 기업들도 동반 상승. GE버노바(+7.26%), 컨스텔레이션 에너지(+3.94%), 비스트라(+3.53%)등 전력망 테마도 엔비디아, 아마존 임원들이 전력 수요 증가 언급에 강세. IBM(-6.58%)은 예상보다 양호한 실적 발표 등에도 불구하고 DOGE로 인한 계약 취소 발표하자 불확실성이 확대된 가운데 거시 경제 상황이 유동적이라고 주장하자 급락. 파이서브(-18.52%)는 결제 처리 부문의 수요 감소로 매출이 예상보다 부진하자 큰 폭 하락. 무역정책으로 인한 경기 침체 우려 속 소비자들이 지출을 줄이고 있다는 점이 영향.

로켓랩(+7.74%)은 미 국방부를 위한 초음속 시험 비행을 위한 계약 체결 소식에 상승. 이는 크라토스(KTOS)가 주도하는 MACH-TB 2.0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로켓랩의 HASTE 준궤도 로켓을 이용하여 수행할 예정. 인튜이티브 머신(+6.62%), 레드와이어(+7.87%)등 우주개발 관련 기업들도 동반 상승. 아처항공(+6.62%)은 UAE로 부터 하이브리드 헬리포트 설계 승인 소식이 전해지자 상승. 팔라다인 AI(+7.37%), 조비항공(+5.19%),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7.62%)등 드론 및 비행택시 관련 기업들도 동반 상승.

프록터앤갬블(-3.74%)은 비용 증가와 관세로 인한 재고 등을 이유로 예상보다 부진한 실적과 가이던스 발표하자 하락. 콜게이트-팔모라이브(-1.27%)도 동반 하락. 달러 제너럴(-1.70%), 달러트리(-2.64%)등도 하락. 펩시코(-4.89%)는 매출 증가에도 EPS가 예상보다 부진하고 연간 전망 또한 하향 조정하자 부진. 코카콜라(-1.06%), 몬스터 배버리지(-0.85%)등 여타 음료 업종도 동반 하락

일라이릴리(+3.65%)는 다음 주 5월 1일 실적 발표를 앞두고 대부분 예상보다 양호한 결과를 내놓을 것이라는 전망이 알려지자 상승. 최근 체중 감량제 임상 성공 기대 등도 우호적. 노보노드스크(+2.17%)도 상승. 다만 바이킹 테라퓨틱스(-0.47%)는 부진한 실적 발표 여파로 하락. 그 외 J&J(-0.29%)는 하락하고 에브비(+1.88%), 머크(+1.40%) 등은 상승하는 차별화가 진행. 길리어드사이언스(-0.22%)는 매출 부진 발표 후 시간 외 4% 내외 하락 중
दिखाया गया 1 - 24 का 1500
अधिक कार्यक्षमता अनलॉक करने के लिए लॉगिन क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