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허혜민의 제약/바이오 소식통 avatar
허혜민의 제약/바이오 소식통
허혜민의 제약/바이오 소식통 avatar
허혜민의 제약/바이오 소식통
릴리 점유율 역전
[키움 허혜민] 참고로 중국 기업 하나 소개

홍콩에 상장한 Ascletis가 저분자로 경구용 비만치료제 ASC30(GLP-1) 1b상 다회용량증량(MAD) 시험 4주차 데이터 발표한 바 있는데

최대 6.5% 위약 대비 체중 감소 효과 확인

ASC30은 로슈의 CT-996, Viking의 VK2735 등과 효능면에서 동등 수준

Ascletis의 올해 YTD 주가 +106% 상승. 시가총액 약 1.1조 원

올해 3분기 2a 시작 예정

릴리의 경구 비만 치료제 orforglipron의 ACHIEVE-1(2형 당뇨병 3상)에서 HbA1c 최대 1.5% 감소 및 최대 6.3% 체중 감소 확인.


이제는 미국 바이오텍 데이터도 봐야하지만, 중국의 경쟁력이 올라오면서 중국 데이터도 확인해야하네요 ^^ 화이자가 결국 누굴 선택할지..?
29.04.202522:34
2025.04.29 18:51:12
기업명: 바이오솔루션(시가총액: 2,208억)
보고서명: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카티라이프(바솔자가연골유래연골세포)의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 품목 변경허가 획득)

제목 : 카티라이프(바솔자가연골유래연골세포)의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 품목 변경허가 획득

* 주요내용
1) 품목허가 품목명:
- 카티라이프(CartiLife®, 바솔자가유래자가연골세포)

2) 적응증:
-관절연골이 손상 또는 결손된 대상자에 대한 자가유래 연골세포치료제(카티라이프)의 이식

3) 품목허가 신청일, 허가일 및 허가기관:
-신청일: 2024년 04월 23일
-허가일: 2025년 04월 29일
-품목허가 기관: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4) 허가사항:

용법용량
-첨부물(의약품직접주입기) 관련 문구 추가

사용상의 주의사항
-투여금지 대상(HCV, HIV-1/2 양성인 환자) 삭제
-3상 임상에 따른 안전성 정보 추가
-과량투여시의 처치 항목 추가 등

허가조건
-치료적확증 임상시험 조건 삭제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90097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86820
29.04.202513:44
[키움 허혜민] Merck, SprinWorks $3.9B에 인수

지난 2월부터 인수 협상 소식이 전해졌던 독일 머크가 암과 희귀질환 분야 바이오텍 기업 SpringWorks 현금 $3.9B에 인수 공식 발표

주당 $47로(26% 프리미엄) WSJ에서 보도된 금액과 일치하는 수준이나, 일부 애널리스트들이 초기 예상 가격보다는 낮은 수준

JP모건 애널리스트 Anupam은 다른 경쟁 입찰자가 없었고, 거시경제 환경이 어려웠던 점기업 가치 평가를 낮추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한 바 있음.

SpringWorks는 데스모이드 종양 치료제로 경구용 감마 세크레타제 저해제 Ogsiveo(‘24년 매출액 $172mn) 판매하고 있으며, 최근 신경섬유종증 1형 동반되는 신견섬유종 치료제로 MEK 저해제 Gomekli FDA 승인 받았음.

https://firstwordpharma.com/story/5953409
28.04.202523:11
유한양행이 기존 ‘트라스투주맙(제품명 허셉틴)’ 치료에 실패한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HER2·4-1BB’ 이중항체 후보물질인 ‘YH32367(개발코드명)’ 임상1상에서 긍정적인 데이터를 확보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25일부터 오는 3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처음 공개됐습니다.

공개된 초록에 따르면, 표준 치료(트라스투주맙)에 불응성 또는 내성을 보이는 HER2 양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YH32367의 임상1상에서 객관적 반응률(ORR)이 22.6%로 나타났습니다.

질병 조절률(DCR)은 55%였으며, 반응 지속기간(DoR)의 중앙값은 도달하지 않았습니다. 이 데이터는 2022년부터 지난해 5월까지 총 8가지의 용량(0.3~30㎎/㎏)을 투여한 고형암 환자 총 32명(담관암 14명·위암 9명 포함)에게서 확보한 데이터입니다.

YH32367은 유한양행과 국내 바이오기업인 에이비엘바이오가 2018년부터 공동 개발에 나선 이중항체 후보물질입니다. 에이비엘바이오의 개발코드명은 ‘ABL105’입니다. HER2·4-1BB의 종양 국소적 초작용제 활성을 증폭시키면서, 동시에 오프 타깃(off-target) 독성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됐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697
01.05.202522:55
[키움 허혜민] 2025년 1분기 바이오파마 VC 투자, 전년 대비 20% 감소

GlobalData에 따르면, 전 세계 바이오파마 벤처 투자 금액은 2024년 1분기 81억 달러 → 2025년 1분기 65억 달러로 20% 감소

투자 건수는 9% 감소한 162건

임상 3상 단계 기업의 중간 투자 금액은 6,250만 달러로 가장 높았음
-> 임상 데이터를 갖춘 후기 개발 기업에 더 높은 가치를 부여

2020년: 팬데믹 영향으로 사상 최대 자금 유입
2022~23년: 시장 조정기
2025년: 정상화 예상됐으나, 트럼프 수입 관세 정책 여파로 시장 변동성 심화로 기대에 못 미치는 투자환경 지속

https://www.fiercebiotech.com/biotech/biopharma-vc-financing-fell-20-q1-compared-24-globaldata
29.04.202522:50
[키움 허혜민] 화이자, 비만 R&D 도입 계획에 관련주 상승

실적발표에서 비만치료제 포함 심장대사 약물 추가하기 위한 계약 모색 계획 밝혔음

화이자 CEO는 앞으로 GIPR 길항제와 같은 프로그램을 발전시키고, 파트너십이나 인수를 포함한 외부 기회를 모색하여 비만 분야를 포함한 심장대사 파이프라인 구축하는 데 전념할 것이라고 언급

이후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볼라는 경구 비만치료제 다누글리프론 부진 이후 회사 파이프라인 강화를 위해 올해 총 $15B 규모의 2~3건의 인수 계획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음.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4-29/pfizer-pfe-slashes-spending-on-weaker-revenue-after-obesity-failure

Metsera +17.62%, Viking +7.71%, Structure +9.7%, Terns +5.8% 상승 마감
29.04.202522:26
★ [키움 허혜민] ★ 에스티팜, 실적은 1분기가 바닥

[키움 제약/바이오 / 허혜민]

◆ 애널리스트 코멘트
투자의견 BUY 상향, 목표가 10만 원 하향.

1분기 매출 부진 영향으로 기대치 하회. (영업이익 10억 원 vs 컨센서스 41억 원)

분기별 공급 일정으로 인한 부진은 시장에서 예상하고 있었던 바로, 장 중 기대치를 하회하는 실적 발표에도 동사의 주가는 -1.4% 하락에 그쳤음.

1분기가 분기 실적 바닥으로 4분기로 갈수록 실적 개선 기대.

키움 제약/바이오 소식통 → https://t.me/huhpharm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335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29.04.202507:16
2025.04.29 16:16:21
기업명: 한미약품(시가총액: 3조 1,643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3,909억(예상치 : 3,933억/ -1%)
영업익 : 590억(예상치 : 565억/ +4%)
순이익 : 426억(예상치 : 425억/ 0%)

**최근 실적 추이**
2025.1Q 3,909억/ 590억/ 426억
2024.4Q 3,516억/ 305억/ -48억
2024.3Q 3,621억/ 510억/ 350억
2024.2Q 3,781억/ 581억/ 471억
2024.1Q 4,037억/ 766억/ 632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800608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28940
28.04.202522:14
01.05.202522:46
아니 기사 제목...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479136

‘살보다 주가가 더 빠지네’…美일라이릴리 주가 급락

그럼에도 이날 주가가 크게 하락한 건 미국 최대 처방약급여관리업체(PBM)인 CVS가 오는 7월부터 젭바운드를 일부 보험급여에서 제외하고 위고비는 유지하기로 했단 소식 때문이다.

일라이릴리는 올해 연간 조정 주당순이익 전망치를 인수합병 관련 비용을 반영, 기존 22.50~24달러에서 20.78~22.28달러로 낮췄다.
30.04.202506:45
화이자(Pfizer)의 피하주사(SC)제형의 PD-1 항체 ‘사산리맙(sasanlimab)’이 방광암 임상3상에서 질병 재발 및 진행, 사망에 대한 위험을 32% 낮춘 결과를 내놨습니다.
화이자는 올해 1월 사산리맙이 EFS를 개선해 방광암 임상3상에 성공했다는 소식을 전하며 드디어 PD-1 영역으로의 진입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이번 AUA2025 학회에서 화이자는 BCG 단독투여보다 BCG와 사산리맙을 병용했을 때 위험율이 32% 낮아진 수치를 공개했습니다.
특히 비근침윤성 방광암(NMIBC)는 1차치료제로 지난 수십년간 BCG가 사용됐으나, 치료후 40~50%의 환자에서 암이 재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최근 계속해서 BCG unresponsive 환자를 대상으로 신약이 허가 받은 상황 속에서 BCG를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지만 BCG를 투여하지 않은(BCG-naïve) 환자를 대상으로 사산리맙의 효능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이번 임상결과는 의미가 있네요.
또한 사산리맙은 IV에서 SC로 제형변경한 것이 아닌 처음부터 BCG와 병용할 수 있게 SC제형으로 개발된 것으로, 히알루로니다제(hyaluronidase)등의 보조제가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화이자는 이러한 측면에서 사산리맙이 가진 투여용이성은 키트루다, 티센트릭, 옵디보 등의 SC형태와 구분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974
29.04.202522:42
[키움 허혜민] 머크 키트루다 생산을 위해 델라웨어에 $1B 투자

트럼프 행정부가 수입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고 특히 해외에서 생산되는 의약품을 표적으로 삼는 것을 위협하면서 이는 미국에서 의약품을 제조하려는 대형 제약회사의 또 다른 이니셔티브

머크는 지난주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관세로 인한 $200mn 손실을 2025년 실적 가이던스에 포함시켰다고 밝힌 바 있음.

https://www.fiercepharma.com/manufacturing/delaware-merck-begins-construction-1b-keytruda-manufacturing-facility
29.04.202522:17
29.04.202505:08
2025.04.29 14:04:16
기업명: 에스티팜(시가총액: 1조 5,921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524억(예상치 : 608억/ -14%)
영업익 : 10억(예상치 : 40억/ -75%)
순이익 : 10억(예상치 : 26억/ -62%)

**최근 실적 추이**
2025.1Q 524억/ 10억/ 10억
2024.4Q 1,157억/ 228억/ 124억
2024.3Q 617억/ 61억/ 137억
2024.2Q 446억/ -31억/ 9억
2024.1Q 517억/ 19억/ 54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90033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37690
28.04.202521:39
[키움 신민수] Allergan의 'Botox', 또 미국에서 YoY 큰 폭으로 역성장

- 미용 톡신 'Botox Cosmetic' 1Q25 매출액 $556M(YoY -12.3%)

>> 미국 매출액 $295M(YoY -24.3%) + 해외 매출액 $261M(YoY +6.9%)

>> 국내 업체들에게 좋게 보면 M/S 가져올 기회, 나쁘게 보면 전반적인 시장 침체


- 치료 톡신 'Botox Therapeutic' 1Q25 매출액 $866M(YoY +15.8%)

>> 미국 매출액 $723M(YoY +18.2%) + 해외 매출액 $143M(YoY +4.8%)


- HA 필러 'Juvederm' 1Q25 매출액 $231M(YoY -22.2%)

>> 미국 매출액 $75M(YoY -29.0%) + 해외 매출액 $156M(YoY -18.5%)


- 기타 미용 제품군 1Q25 매출액 $315M(YoY flat)

>> 미국 매출액 $270M(YoY -3.5%) + 해외 매출액 $45M(YoY +18.1%)


- E형 보툴리눔 톡신 제품 trenibotulinumtoxinE BLA 허가 신청 FDA에 제출

>> E형은 A형과 다르게 지속 기간 2~3주로 짧지만 시술 후 8시간 후부터 바로 효능 나타나는 특징으로 소비자의 다양한 수요 충족 가능함

>> 허가 획득 시, E형 톡신으로는 최초로 상업화 무대 진출 성공하는 케이스


- Allergan Aesthetics는 미국에 최신식 AMI(Allergan Medical Institute) 시설 3개소 오픈

>> 에스테틱 제품 제공자들을 트레이닝하는 시설


https://investors.abbvie.com/news-releases/news-release-details/abbvie-reports-first-quarter-2025-financial-results
30.04.202506:44
2025.04.30 15:39:27
기업명: 녹십자(시가총액: 1조 4,515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3,838억(예상치 : 4,077억/ -6%)
영업익 : 80억(예상치 : 58억/ +38%)
순이익 : 297억(예상치 : 6억+/ 4850%)

**최근 실적 추이**
2025.1Q 3,838억/ 80억/ 297억
2024.4Q 4,409억/ -101억/ -387억
2024.3Q 4,649억/ 396억/ 358억
2024.2Q 4,174억/ 176억/ -91억
2024.1Q 3,568억/ -150억/ -307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621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6280
29.04.202522:36
제목 : 올리패스(주) 상장폐지 관련 이의신청서 접수 및 개선기간 부여

동 사는 최근 사업연도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인의 감사의견이 감사범위제한으로 인한 한정으로 상장폐지사유가 발생('25.04.07)한 바 있으며, 금일('25.04.28)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시행세칙 제60조의 규정에 따라 이의신청서를 제출하였습니다.

거래소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55조의 규정에 따라 차기 사업보고서 법정제출기한의 다음날부터 10일('26.04.10*)까지 개선기간을 부여하였으며, 동 개선기간 중에는 매매거래정지가 지속됩니다.
* 사업보고서 제출기한 연장 신고 또는 금융당국의 제출지연 제재 면제 승인 등으로 변동 가능

또한 개선기간 종료 후 15일(영업일 기준) 이내에 개선계획 이행내역서 및 개선계획 이행결과에 대한 전문가의 확인서 등을 제출받아 관련 서류제출일로부터 20일(영업일 기준) 이내에 기업심사위원회를 개최하여 당해 주권의 상장폐지 여부를 심의·의결할 예정임을 알려드립니다.

* 관련 공시 : 기타시장안내(상장폐지 관련) ('25.04.07)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8900886
노바티스의 렉비오 1Q25 $257mn(YoY +72%) 올해 블록버스터 예약이네요

#에스티팜 #올리고 #API
29.04.202501:20
2025.04.29 09:52:50
기업명: 동아에스티(시가총액: 4,298억)
보고서명: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690억(예상치 : -)
영업익 : 70억(예상치 : -)
순이익 : 49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690억/ 70억/ 49억
2024.4Q 1,786억/ -73억/ 122억
2024.3Q 1,915억/ 43억/ -139억
2024.2Q 1,724억/ -60억/ -66억
2024.1Q 1,554억/ -161억/ -149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800148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70900
28.04.202507:35
[종합] 오름테라퓨틱(이하 오름)이 첫 항체분해약물접합체(DAC) 리드 파이프라인인 ‘ORM-5029(개발코드명)’의 임상1상을 자진 철회합니다. ORM-5029는 지난해 임상1상 진행 과정에서 환자 1명에게 중대한 이상반응(SAE)이 나타난 유방암 후보물질이자 오름의 리드 파이프라인입니다. 오름은 ORM-5029의 임상 지속이 환자의 이익보다 위험성이 더 클 것으로 내린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번 해당 임상의 철회 배경에는 ‘약물 부작용’이 꼽힙니다. 지난해 11월 2일 ORM-5029의 임상1상에 참여한 환자에게 최초 약물을 투여한 뒤, 같은 달 5일 SAE가 발생했습니다. 이에 따라 FDA는 ORM-5029에 대해 ‘부분 임상 보류(Partial Clinical Hold)’ 조치를 취했고, 환자 모집 ‘일시 중단’과 함께 기존 참가자들은 주치의의 동의 아래 임상을 계속 진행 중이었습니다. 이후 오름이 5개월 만에 ORM-5029의 임상 개발을 중단한 것입니다.

다만 오름이 그동안 ‘ORM-5029의 임상 재개에 대한 의지’를 피력해왔다는 점에서 FDA가 임상 중단을 요구한 게 아니냐는 업계의 진단도 나옵니다. 실제 오름은 환자에게서 나타난 SAE의 원인에 대해 철저히 조사하고 있으며, ‘특정 프로젝트에 국한된 사례’라고 판단하고 있다는 게 오름의 입장이었습니다. ORM-5029의 임상을 재개하기 위해 FDA와 협의하고 있다고도 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673
Shown 1 - 24 of 896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