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sted from:
크립토 체크 공지방 📣 (구 클레이 체크)

06.05.202509:22
넷플릭스 드라마 블랙미러에서 토큰 낸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매우 좋아하는 시리즈라 토큰 내는게 달갑지 않지만.. 일단 등록해봄...
개인적으로 매우 좋아하는 시리즈라 토큰 내는게 달갑지 않지만.. 일단 등록해봄...
06.05.202503:50
아이디어 기가 막히다
Reposted from:
루팡



07.04.202505:23
스탠 드러켄밀러
저는 10%를 초과하는 관세에는 반대합니다.
(스탠 드러켄밀러는 거의 트윗을 하지 않으며, 평생 5번도 채 안 될 정도입니다.
그런 그가 오늘, 정부의 관세 정책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저는 10%를 초과하는 관세에는 반대합니다.
(스탠 드러켄밀러는 거의 트윗을 하지 않으며, 평생 5번도 채 안 될 정도입니다.
그런 그가 오늘, 정부의 관세 정책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06.05.202503:50
SKT 사용자는 5만원에 즉시 손해배상채권 매도가 가능.
참고 링크 : creditorsmarket.com
참고 링크 : creditorsmarket.com
07.04.202504:11
06.04.202504:42
추후 4년간 가속화되지 않을까 싶음
Reposted from:
채권 애널리스트 김성수

06.05.202508:28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1.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것은 모두가 알고있는 사실. 다만, 연속해서 빠르게 일단 인하할 것인지, 추이를 지켜보면서 인하할 것인지 중에서는 후자가 적절. 외부 변수가 너무 어지러우니 지켜보면서 인하하겠다는 의미
2. 5월 성장률을 얼마로 전망하느냐에 따라서 인하 횟수는 바뀔 것. 전반적으로 전망이 하향 조정되고 있는 만큼 기준금리를 기존 예상보다 더 낮출 이유는 많은 상황
3. 얼마나, 어디까지, 언제 인하할 것인지는 5월 전망치를 통해 알 수 있을 것
4. Big Cut 인하 여부도 마찬가지로 데이터를 보며 결정하겠지만 과거 큰 폭의 인상이 가능했던 것은 미국이 공격적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했기 때문
5. 지금 시점에서 1% 이하 성장을 단정할 수는 없음. 4월 지표, 적어도 다음 주 정도까지 데이터를 보아야 판단이 가능
6. 재정(추경)은 거의 해결되는 것 같지만 국내 정치 상황이 소비뿐만 아니라 투자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
7. 토지거래허가제 문제 등으로 주택 거래량이 늘어난 영향에 4~5월 가계부채가 증가했다가 6월 다시 감소할 것으로 보지만 생각대로 줄어드는지 확인이 필요
8. 이자율을 낮췄을 때 실물 경기를 부양하는 데 자금이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자산 가격을 올리는 쪽으로 돈이 흘러가는 것에 대해 경계해야 함
9.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낮아지는 추세는 지속될 필요. 이에 대한 새 정부의 스탠스가 달라지지는 어려울 것. 어느 정부가 되었든 부동산이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문제점을 부인하지는 못할 것
10. 통화정책이 부동산 가격을 부채질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부적절. 과거 장기 저성장을 우려했을 때 금리를 계속 낮췄고, 결과적으로 자산 버블이 나타난 바 있음. 이런 일은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각오
11. 경제 성장률이 낮아졌다고 그것을 전부 다 추경으로 메우자는 것은 굉장히 위험한 생각. 장기적으로 올해 추경을 공격적으로 편상하면 당장은 효과가 있을지 모르지만, 내년에는 이것을 어떻게 감당해야 할 지도 고민해야 함
12. 환자가 당장 죽을 것 같으면 무슨 일이든지 하겠지만, 힘들어한다고 내일 생각하지 않고 오늘 당장 스테로이드를 투임해서는 안됨. 지금 우리 경제는 당장 죽는 상황이 아님
13. WGBI는 기존 편입 일정(2026년 4월)이 바뀌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 그러나 대선 이후 상황을 점검해볼 필요. 국가 신용등급이 떨어지지 않더라도 투자자 입장에서는 정부 정책이 어떻게 운영될지 모르는 상황. 성급하게 한국에 투자하는 것보다는 신중하게 투자결정을 내릴 수 있음
14. 한국을 보는 글로벌 투자자들의 시각은 정치하고 밀접한 관계
1.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것은 모두가 알고있는 사실. 다만, 연속해서 빠르게 일단 인하할 것인지, 추이를 지켜보면서 인하할 것인지 중에서는 후자가 적절. 외부 변수가 너무 어지러우니 지켜보면서 인하하겠다는 의미
2. 5월 성장률을 얼마로 전망하느냐에 따라서 인하 횟수는 바뀔 것. 전반적으로 전망이 하향 조정되고 있는 만큼 기준금리를 기존 예상보다 더 낮출 이유는 많은 상황
3. 얼마나, 어디까지, 언제 인하할 것인지는 5월 전망치를 통해 알 수 있을 것
4. Big Cut 인하 여부도 마찬가지로 데이터를 보며 결정하겠지만 과거 큰 폭의 인상이 가능했던 것은 미국이 공격적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했기 때문
5. 지금 시점에서 1% 이하 성장을 단정할 수는 없음. 4월 지표, 적어도 다음 주 정도까지 데이터를 보아야 판단이 가능
6. 재정(추경)은 거의 해결되는 것 같지만 국내 정치 상황이 소비뿐만 아니라 투자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
7. 토지거래허가제 문제 등으로 주택 거래량이 늘어난 영향에 4~5월 가계부채가 증가했다가 6월 다시 감소할 것으로 보지만 생각대로 줄어드는지 확인이 필요
8. 이자율을 낮췄을 때 실물 경기를 부양하는 데 자금이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자산 가격을 올리는 쪽으로 돈이 흘러가는 것에 대해 경계해야 함
9.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낮아지는 추세는 지속될 필요. 이에 대한 새 정부의 스탠스가 달라지지는 어려울 것. 어느 정부가 되었든 부동산이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문제점을 부인하지는 못할 것
10. 통화정책이 부동산 가격을 부채질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부적절. 과거 장기 저성장을 우려했을 때 금리를 계속 낮췄고, 결과적으로 자산 버블이 나타난 바 있음. 이런 일은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각오
11. 경제 성장률이 낮아졌다고 그것을 전부 다 추경으로 메우자는 것은 굉장히 위험한 생각. 장기적으로 올해 추경을 공격적으로 편상하면 당장은 효과가 있을지 모르지만, 내년에는 이것을 어떻게 감당해야 할 지도 고민해야 함
12. 환자가 당장 죽을 것 같으면 무슨 일이든지 하겠지만, 힘들어한다고 내일 생각하지 않고 오늘 당장 스테로이드를 투임해서는 안됨. 지금 우리 경제는 당장 죽는 상황이 아님
13. WGBI는 기존 편입 일정(2026년 4월)이 바뀌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 그러나 대선 이후 상황을 점검해볼 필요. 국가 신용등급이 떨어지지 않더라도 투자자 입장에서는 정부 정책이 어떻게 운영될지 모르는 상황. 성급하게 한국에 투자하는 것보다는 신중하게 투자결정을 내릴 수 있음
14. 한국을 보는 글로벌 투자자들의 시각은 정치하고 밀접한 관계
Reposted from:
[하나 채권 김상훈] 후니본(Bond)
![[하나 채권 김상훈] 후니본(Bond)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f2b18a40-d395-4327-a4e4-7c8284052c0d.jpg%3Fw%3D24%26h%3D24&w=48&q=75)
06.05.202502:31
< WSJ 닉 티미라오스의 5월 FOMC 프리뷰 >
Fed Confronts Lose-Lose Scenario Amid Haphazard Tariff Rollout: 연준은 트럼프의 무계획적인 관세정책 도입으로 인해 "양자택일의 딜레마"에 직면
1️⃣ 딜레마 구조
금리인하 → 경기 부양에 도움 vs 관세발 인플레이션 심화
금리동결 → 인플레이션 억제 효과 vs 경기침체 우려 확대
이로 인해 연준은 정책금리 인하를 너무 빨리하거나, 너무 늦게 하는 것을 모두 꺼려하는 상황에 직면
2️⃣ 연준 입장
파월과 연준위원들은 데이터가 뒷받침될 때까지 기다리는 전략을 고수 중. 인플레이션을 성급하게 포기하지 않겠다는 신중함의 표현 (파월: "아주 어려운 판단이 될 것이다.")
인플레이션 vs 경기침체 사이에서 골키퍼의 딜레마 (수많은 페널티킥을 분석해 보면 골키퍼가 오른쪽이든, 왼쪽이든 움직이지 않고 제자리에 있는게 공을 막을 확률이 제일 많다고 함. 그런데 골키퍼 입장에서 그 확률을 믿고 움직이지 않을 때, 아무런 노력도 안했다는 비난이 움직이고 골을 먹을 때의 비난보다 엄청 커서 결국은 움직일 수 밖에 없다는 딜레마)
단, 연준 내부 의견 차이 존재. 일부 위원들은 “상황이 확실해질 때까지 기다리는 게 낫다”고 주장 (Lael Brainard, Beth Hammack) vs 반면, 다른 인사들은 “너무 늦게 대응하는 과거 실수를 반복할 수 있다”고 우려 (Waller, Rosengren)
3️⃣ 관세가 유발하는 복합 리스크
트럼프의 갑작스러운 관세 부과는 공급망 혼란과 단기적 인플레 유발 가능성.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까지 커지는 중
4️⃣ 기대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의 중요성
연준 관계자들: 기대인플레이션이 잘 고정 (anchor)되어 있으면 실제 인플레도 쉽게 잡힌다는 입장. 단, 최근 몇 년간 높은 인플레로 인해 기대심리가 약해졌을 수 있다고 판단
노동시장이 명확히 약화되어야 금리인하에 대한 명분이 강해짐. 공급측 요인(관세 등)은 금리로 통제하기 어려움
5️⃣ 정치적 압박
트럼프는 파월의 신중한 전략에 대해 비판, “Mr. Too Late”라고 조롱
연준은 금리결정뿐만 아니라 정책 커뮤니케이션 방식에도 고심 중
비둘기파처럼 보이면 → 물가·임금 상승 기대 유발 가능성 vs 매파처럼 보이면 → 경기위축 가능성
https://www.wsj.com/economy/central-banking/fed-meeting-interest-rates-powell-trump-bd21e33f?st=b575dJ&reflink=article_copyURL_share
Fed Confronts Lose-Lose Scenario Amid Haphazard Tariff Rollout: 연준은 트럼프의 무계획적인 관세정책 도입으로 인해 "양자택일의 딜레마"에 직면
1️⃣ 딜레마 구조
금리인하 → 경기 부양에 도움 vs 관세발 인플레이션 심화
금리동결 → 인플레이션 억제 효과 vs 경기침체 우려 확대
이로 인해 연준은 정책금리 인하를 너무 빨리하거나, 너무 늦게 하는 것을 모두 꺼려하는 상황에 직면
2️⃣ 연준 입장
파월과 연준위원들은 데이터가 뒷받침될 때까지 기다리는 전략을 고수 중. 인플레이션을 성급하게 포기하지 않겠다는 신중함의 표현 (파월: "아주 어려운 판단이 될 것이다.")
인플레이션 vs 경기침체 사이에서 골키퍼의 딜레마 (수많은 페널티킥을 분석해 보면 골키퍼가 오른쪽이든, 왼쪽이든 움직이지 않고 제자리에 있는게 공을 막을 확률이 제일 많다고 함. 그런데 골키퍼 입장에서 그 확률을 믿고 움직이지 않을 때, 아무런 노력도 안했다는 비난이 움직이고 골을 먹을 때의 비난보다 엄청 커서 결국은 움직일 수 밖에 없다는 딜레마)
단, 연준 내부 의견 차이 존재. 일부 위원들은 “상황이 확실해질 때까지 기다리는 게 낫다”고 주장 (Lael Brainard, Beth Hammack) vs 반면, 다른 인사들은 “너무 늦게 대응하는 과거 실수를 반복할 수 있다”고 우려 (Waller, Rosengren)
3️⃣ 관세가 유발하는 복합 리스크
트럼프의 갑작스러운 관세 부과는 공급망 혼란과 단기적 인플레 유발 가능성.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까지 커지는 중
4️⃣ 기대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의 중요성
연준 관계자들: 기대인플레이션이 잘 고정 (anchor)되어 있으면 실제 인플레도 쉽게 잡힌다는 입장. 단, 최근 몇 년간 높은 인플레로 인해 기대심리가 약해졌을 수 있다고 판단
노동시장이 명확히 약화되어야 금리인하에 대한 명분이 강해짐. 공급측 요인(관세 등)은 금리로 통제하기 어려움
5️⃣ 정치적 압박
트럼프는 파월의 신중한 전략에 대해 비판, “Mr. Too Late”라고 조롱
연준은 금리결정뿐만 아니라 정책 커뮤니케이션 방식에도 고심 중
비둘기파처럼 보이면 → 물가·임금 상승 기대 유발 가능성 vs 매파처럼 보이면 → 경기위축 가능성
https://www.wsj.com/economy/central-banking/fed-meeting-interest-rates-powell-trump-bd21e33f?st=b575dJ&reflink=article_copyURL_share


07.04.202504:02
ㅋㅋㅋㅋㅋㅋㅋ
Reposted from:
한화 엔터/레저/운송 박수영

06.04.202523:06
JYP Ent. (035900)
시간이 약
✔️ https://bit.ly/3XQCkSC
쉬어가는 1분기였습니다. 다만 2분기부터는 실적 개선을 기대해도 되겠습니다. 스트레이키즈 미주 투어에서 발생될 콘서트 매출뿐만 아니라 MD 매출 등 부가 매출의 이익 기여가 클 것으로 기대됩니다.
✔️ 1Q25 Preview: 쉬어가는 1분기
우리는 동사의 지난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각각 1,113억원, 206억원으로 추정한다. 영업이익 기준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을 것으로 보인다. 1분기 아티스트 주요 활동으로는 킥플립, 엔믹스, 예지 솔로 등 앨범 발매와 트와이스 미사모, 스트레이키즈, 니쥬 콘서트 등이 있었다. Mega IP의 굵직한 활동이 많지 않았고, 방송 프로그램 제작비 일부가 반영되며, 계절성을 감안하더라도 다소 부진한 1분기 실적을 기록했던 것으로 비춰진다.
✔️시간이 다소 필요한 시기
시간이 필요한 회사다. 스트레이키즈라는 Mega IP를 보유한 회사는 맞지만, Next SKIZ를 배출할 수 있는 시스템이나 매출/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아직 완벽하게 갖추지 못했다. 내부적인 IP 배출 및 제대로된 수익화 시스템을 셋업하기까지 시간이 다소간 필요할 전망이다. 다만 불연속적이었던 일본 매출 인식 시점 개선 및 블루개러지나 MD 관련 전략적 변화 시도 등은 긍정적이다. 한편 2분기부터 시작되는 스키즈 대규모 미주 투어 판매 MD는 대부분 IP 로열티 매출 상품일 것으로 추정되는만큼 소폭이나마 단기적으로 영업이익률 개선도 기대할 수 있겠다.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80,000원 유지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한다. 스트레이키즈의 미주 투어시 발생될 MD 매출의 이익 기여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1분기 실적을 저점으로 2분기부터는 개선된 이익을 기대해도 되겠다. IP 라인업이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Mega IP의 존재감을 간과해서도 안 되겠다.
시간이 약
✔️ https://bit.ly/3XQCkSC
쉬어가는 1분기였습니다. 다만 2분기부터는 실적 개선을 기대해도 되겠습니다. 스트레이키즈 미주 투어에서 발생될 콘서트 매출뿐만 아니라 MD 매출 등 부가 매출의 이익 기여가 클 것으로 기대됩니다.
✔️ 1Q25 Preview: 쉬어가는 1분기
우리는 동사의 지난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각각 1,113억원, 206억원으로 추정한다. 영업이익 기준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을 것으로 보인다. 1분기 아티스트 주요 활동으로는 킥플립, 엔믹스, 예지 솔로 등 앨범 발매와 트와이스 미사모, 스트레이키즈, 니쥬 콘서트 등이 있었다. Mega IP의 굵직한 활동이 많지 않았고, 방송 프로그램 제작비 일부가 반영되며, 계절성을 감안하더라도 다소 부진한 1분기 실적을 기록했던 것으로 비춰진다.
✔️시간이 다소 필요한 시기
시간이 필요한 회사다. 스트레이키즈라는 Mega IP를 보유한 회사는 맞지만, Next SKIZ를 배출할 수 있는 시스템이나 매출/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아직 완벽하게 갖추지 못했다. 내부적인 IP 배출 및 제대로된 수익화 시스템을 셋업하기까지 시간이 다소간 필요할 전망이다. 다만 불연속적이었던 일본 매출 인식 시점 개선 및 블루개러지나 MD 관련 전략적 변화 시도 등은 긍정적이다. 한편 2분기부터 시작되는 스키즈 대규모 미주 투어 판매 MD는 대부분 IP 로열티 매출 상품일 것으로 추정되는만큼 소폭이나마 단기적으로 영업이익률 개선도 기대할 수 있겠다.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80,000원 유지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한다. 스트레이키즈의 미주 투어시 발생될 MD 매출의 이익 기여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1분기 실적을 저점으로 2분기부터는 개선된 이익을 기대해도 되겠다. IP 라인업이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Mega IP의 존재감을 간과해서도 안 되겠다.
06.04.202513:17
A 4 month low for Saudi OSPs: Saudi Aramco cut the May official selling price for Arab Light crude by $2.30 to $1.20 a barrel above the average of Oman and Dubai prices. #OOTT
06.04.202504:41
손주은씨가 이민 컨설팅 회사를 차린 이유가 바로 이 기사와 연관된다
앞으로 부자 자식들의 탈한국 러시가 본격화 될 것이다
앞으로 전후세대와 베이비부머세대의 은퇴와 사망으로 많은 상속이 이루어질 것이다
현재의 세율로는 그냥 기업 공중분해 시키고 자식들에게 나눠주고 해외로 보내는게 이익이다
https://x.com/spottedseal82/status/1708730716530561200?s=46&t=1vlQfdo9pC4lN6kyv0vNbQ
앞으로 부자 자식들의 탈한국 러시가 본격화 될 것이다
앞으로 전후세대와 베이비부머세대의 은퇴와 사망으로 많은 상속이 이루어질 것이다
현재의 세율로는 그냥 기업 공중분해 시키고 자식들에게 나눠주고 해외로 보내는게 이익이다
https://x.com/spottedseal82/status/1708730716530561200?s=46&t=1vlQfdo9pC4lN6kyv0vNbQ
Reposted from:
COINNESS News Feed (코인니스)

06.05.202507:51
[FT "멜라니아 밈코인 홍보 전 몇몇 주소가 선취매...$9,960만 수익"]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부인 멜라니아 측 밈코인 MELANIA 발행 홍보 전 일부 투자자들이 선취매에 나서 막대한 이익을 챙겼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멜라니아가 트루스소셜에 밈코인 발행 관련 게시물을 올리기 전 2분여 전부터 일부 주소들이 MELANIA를 대량 매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당시 20여개 주소가 260만 달러 상당 MELANIA를 매수했고, 이후 가격이 급등한 뒤 9,960만 달러에 물량을 털어냈다. FT는 "밈 코인은 미국 법상 증권으로 간주되지 않는 까닭에 개인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정보 공개 및 내부 거래 관련 규정을 준수할 필요가 없는 실정"이라고 덧붙였다.
https://coinness.com/news/1127467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부인 멜라니아 측 밈코인 MELANIA 발행 홍보 전 일부 투자자들이 선취매에 나서 막대한 이익을 챙겼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멜라니아가 트루스소셜에 밈코인 발행 관련 게시물을 올리기 전 2분여 전부터 일부 주소들이 MELANIA를 대량 매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당시 20여개 주소가 260만 달러 상당 MELANIA를 매수했고, 이후 가격이 급등한 뒤 9,960만 달러에 물량을 털어냈다. FT는 "밈 코인은 미국 법상 증권으로 간주되지 않는 까닭에 개인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정보 공개 및 내부 거래 관련 규정을 준수할 필요가 없는 실정"이라고 덧붙였다.
https://coinness.com/news/1127467
01.05.202514:23
07.04.202504:01
06.04.202514:58
Reposted from:
마늘쑥곰

06.04.202513:06
🎲 [유튜브] 테슬라 원샷원킬, 5가지 성장동력 지금부터 시작
2025년 테슬라의 대변혁이 시작됩니다. 5가지 성장동력 - ① FSD 지역확장, ② 저가모델 출시, ③ 로보택시, ④ 옵티머스, ⑤ 메가팩이 하나씩 구현됩니다. 테슬라의 단기 매출 성장률을 감안했을 때는 비싼 주가, 테슬라의 장기 비전에 공감한다면 싼 주가일 것 같습니다.
#유튜브 #원샷원킬 #미국주식 #테슬라 #TSLA
2025년 테슬라의 대변혁이 시작됩니다. 5가지 성장동력 - ① FSD 지역확장, ② 저가모델 출시, ③ 로보택시, ④ 옵티머스, ⑤ 메가팩이 하나씩 구현됩니다. 테슬라의 단기 매출 성장률을 감안했을 때는 비싼 주가, 테슬라의 장기 비전에 공감한다면 싼 주가일 것 같습니다.
#유튜브 #원샷원킬 #미국주식 #테슬라 #TSLA
Shown 1 - 24 of 278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